KR101739288B1 - 안전체험 장치를 구비한 차량 - Google Patents

안전체험 장치를 구비한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288B1
KR101739288B1 KR1020160020921A KR20160020921A KR101739288B1 KR 101739288 B1 KR101739288 B1 KR 101739288B1 KR 1020160020921 A KR1020160020921 A KR 1020160020921A KR 20160020921 A KR20160020921 A KR 20160020921A KR 101739288 B1 KR101739288 B1 KR 101739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re
signal
image
experi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0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민
Original Assignee
(주)세이프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이프인 filed Critical (주)세이프인
Priority to KR1020160020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2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81Training methods or equipment for fire-f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mass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안전체험 시뮬레이션 장치를 구비한 차량에 의하면, 안전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니즈가 높아지고 있어, 교육을 참여하기 곤란하거나 편리하게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찾아가는 안전교육체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에 안전체험 시뮬레이션 장치를 장착하기 위해서 필요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전기안전체험수단의 경우 기어장치를 이용하여 보관과 사용의 편의를 제공한 전기안전 체험을 할 수 있게 하였고, 모형소화기체험수단의 경우 피교육자의 눈높이에 맞춰 스크린의 높이를 조절하여 편리하게 모형소화기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심폐소생술체험수단의 경우 차량의 확장부에 의해 집중적인 심폐소생술 체험을 돕거나, 심폐소생술 교육을 다수의 피교육자들이 쉽게 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안전체험장치를 구비한 차량(10)은 박스 형태의 차량본체(100)와, 차량본체(100)의 측면에 개폐가 가능한 측면도어(110)와, 차량본체(100) 후측문과 통하는 내부와는 구분되는 측면도어(110) 내의 보조공간(120)과, 차량본체(100) 내부에서 위치하고 교통사고 발생시 충격에 의하여도 안전성을 확보해 주는 안전벨트의 중요성을 체험을 할 수 있는 안전벨트체험수단(200)과, 차량본체(100)의 보조공간(120) 일측에 위치하여 콘센트에 과다한 전력을 사용할 경우 과열에 의한 위험성을 체험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 신호를 송출하는 전기화재체험수단(300)과, 차량본체(100) 내부에 위치하고 전기화재체험수단(300)에서 화재발생 신호를 수신하며 모형소화기를 이용하여 가상의 화재를 진압하는 체험을 할 수 있는 소화기사용체험수단(400)과, 보조공간(120) 타측에 위치하며 더미를 이용하여 심폐소생술을 체험할 수 있는 심폐소생술체험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안전체험 장치를 구비한 차량{A VEHICLE WITH APPARATUS FOR SAFETY EXPERIENCE}
본 발명은 안전체험 장치를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적재함에 안전벨트 체험 장치, 전기화재 체험 장치, 모형소화기 사용 체험 장치, 심폐소생술 체험 장치 등을 설치하되, 공간적으로 효율적이고 이용상에 편의성을 제공하며, 차량 한 대만으로 안전관련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안전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니즈가 높아지고 있으나 실제로 안전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드물다. 육체적, 시간적 곤란함 또는 안전교육의 기회가 없어서 안전교육을 체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실정에 따라 안전벨트 착용의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전기 콘센트를 무분별하게 연결하여 화재를 유발하거나, 소화기를 실제로 사용해본 적이 없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화하지 못하거나, 이론적으로만 알고 있는 심폐소생술을 전혀 시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 분야에서는 안전교육이 필요하지만 교육을 받을 기회를 얻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이동식 안전체험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차량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안전벨트체험, 전기화재체험, 소화기사용체험, 심폐소생체험 등의 네 가지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공간활용의 효율성이 필요하고, 체험 대상자들의 체험장치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맞춤형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가상 소화기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입체 3D 시뮬레이션 가상 소화기 장치 사용 체험 시스템(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57256호)
2. 안전벨트교육용 시뮬레이션장치(특허출원번호 제10-2006-0045407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교육 장치를 차량에 구비하여 안전교육에 참여하고자 하는 참여자를 찾아가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안전벨트체험, 전기화재체험, 소화기사용체험, 심폐소생체험 등의 네 가지 교육을 하기 위해서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제공하고, 체험 대상자들의 체험장치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맞춤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전기화재체험을 통해 화재가 발생하면 직접 소화기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체험을 하므로, 화재의 원인과 그 대응에 대한 체험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안전체험장치를 구비한 차량(10)은 박스 형태의 차량본체(100)와, 차량본체(100)의 측면에 개폐가 가능한 측면도어(110)와, 차량본체(100) 후측문과 통하는 내부와는 구분되는 측면도어(110) 내의 보조공간(120)과, 차량본체(100) 내부에서 위치하고 교통사고 발생시 충격에 의하여도 안전성을 확보해 주는 안전벨트의 중요성을 체험을 할 수 있는 안전벨트체험수단(200)과, 차량본체(100)의 보조공간(120) 일측에 위치하여 콘센트에 과다한 전력을 사용할 경우 과열에 의한 위험성을 체험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 신호를 송출하는 전기화재체험수단(300)과, 차량본체(100) 내부에 위치하고 전기화재체험수단(300)에서 화재발생 신호를 수신하며 모형소화기를 이용하여 가상의 화재를 진압하는 체험을 할 수 있는 소화기사용체험수단(400)과, 보조공간(120) 타측에 위치하며 더미를 이용하여 심폐소생술을 체험할 수 있는 심폐소생술체험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안전벨트체험수단(200)은 차량본체(100) 내부의 일측에 등받이와 안전벨트를 구비하고 착석이 가능한 좌석(210)과, 좌석(210)이 상하로 각운동 하도록 하는 각변화부(220)와, 각변화부(220)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230)와, 차량의 운행 시뮬레이션을 보여주는 안전벨트스크린(240)와, 안전벨트체험수단(200)을 제어하는 안전벨트 컨트롤러(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안전벨트 컨트롤러(250)는 안전벨트스크린(240)에 보여줄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저장부(251)와, 안전벨트스크린(240)에 영상을 안전벨트스크린(240)에 출력시키는 영상출력부(252)와, 출력되는 영상 중 충돌장면이나 접촉장면이 출력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설정부(253)와, 영상의 런닝시간을 체크하는 시간체크부(254)와, 각변화부(220)에 의한 의자의 하강을 최대로 하도록 동력부(230)에 신호를 전달하는 제1작동부(255)와, 각변화부(220)에 의한 의자의 하강을 제1작동부(255)에 의한 하강 보다 절반 이하로 하도록 동력부(230)에 신호를 전달하는 제2작동부(256)와, 출력되는 영상 중 충돌장면과 접촉장면을 구분하여 설정하는 작동설정부(257)와, 영상저장부(251)에 저장된 영상을 영상출력부(252)를 통하여 안전벨트스크린(240)에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고 시간설정부(253)에서 설정한 시간과 시간체크부(254)의 시간이 일치하면 작동설정부(257)에 의하여 충돌장면의 경우 제1작동부(255)가 신호를 송출하도록 하고 접촉장면의 경우 제2작동부(256)가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안전벨트 제어부(25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체험 시뮬레이션 장치를 구비한 차량에 의하면, 안전교육을 참여하기 곤란한 경우에도 편리하게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찾아가는 안전교육체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에 안전체험 시뮬레이션 장치를 장착하기 위해서 필요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전기안전체험수단의 경우 기어장치를 이용하여 보관과 사용의 편의를 제공한 전기안전 체험을 할 수 있게 하였고, 소화기사용체험수단의 경우 피교육자의 눈높이에 맞춰 스크린의 높이를 조절하여 편리하게 모형소화기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심폐소생술체험수단의 경우 차량의 확장부에 의해 집중적인 심폐소생술 체험을 돕거나, 심폐소생술 교육을 다수의 피교육자들이 쉽게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체험 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사시도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체험 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안전벨트체험수단을 도시한 평면도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체험수단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체험 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전기화재체험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화재체험수단의 판연결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화재체험수단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사용체험수단의 스크린연결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사용체험수단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체험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체험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 참고도임.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아,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안전체험장치를 구비한 차량(10)은 박스 형태의 차량본체(100)와, 차량본체(100)의 측면에 개폐가 가능한 측면도어(110)와, 차량본체(100) 후측문과 통하는 내부와는 구분되는 측면도어(110) 내의 보조공간(120)과, 차량본체(100) 내부에서 위치하고 교통사고 발생시 충격에 의하여도 안전성을 확보해 주는 안전벨트의 중요성을 체험을 할 수 있는 안전벨트체험수단(200)과, 차량본체(100)의 보조공간(120) 일측에 위치하여 콘센트에 과다한 전력을 사용할 경우 과열에 의한 위험성을 체험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 신호를 송출하는 전기화재체험수단(300)과, 차량본체(100) 내부에 위치하고 전기화재체험수단(300)에서 화재발생 신호를 수신하며 모형소화기를 이용하여 가상의 화재를 진압하는 체험을 할 수 있는 소화기사용체험수단(400)과, 보조공간(120) 타측에 위치하며 더미를 이용하여 심폐소생술을 체험할 수 있는 심폐소생술체험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전벨트체험수단(200)은 차량본체(100) 내부의 일측에 등받이와 안전벨트를 구비하고 착석이 가능한 좌석(210)과, 좌석(210)의 앞부분이 상하로 각운동 하도록 하는 각변화부(220)와, 각변화부(220)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230)와, 차량본체 내부의 타측 벽면에 위치하여 차량의 운행 시뮬레이션을 보여주는 안전벨트스크린(240)와, 안전벨트체험수단(200)를 제어하는 안전벨트 컨트롤러(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전벨트 컨트롤러(250)는 안전벨트스크린(240)에 보여줄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저장부(251)와, 영상저장부(251)의 영상을 안전벨트스크린(240)에 출력시키는 영상출력부(252)와, 출력되는 영상 중 충돌장면이나 접촉장면이 출력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설정부(253)와, 영상의 런닝시간을 체크하는 시간체크부(254)와, 각변화부(220)에 의한 의자의 하강을 최대로 하도록 동력부(230)에 신호를 전달하는 제1작동부(255)와, 각변화부(220)에 의한 의자의 하강을 제1작동부(255)에 의한 하강 보다 절반 이하로 하도록 동력부(230)에 신호를 전달하는 제2작동부(256)와, 출력되는 영상 중 충돌장면과 접촉장면을 구분하여 설정하는 작동설정부(257)와, 영상저장부(251)에 저장된 영상을 영상출력부(252)를 통하여 안전벨트스크린(240)에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고 시간설정부(253)에서 설정한 기준시간에 시간체크부(254)에서 체크된 시간이 일치하면 작동설정부(257)에 의하여 충돌장면의 경우 제1작동부(255)가 신호를 송출하도록 하고 접촉장면의 경우 제2작동부(256)가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안전벨트 제어부(25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기화재체험수단(300)는 여러 전기제품의 이미지가 보여지는 판상의 이미지판(310)과, 각 전기제품 이미지와 대응되는 플러그(320)와, 이미지판(310)의 앞쪽에 위치하여 플러그(320)들이 각각 접속되는 멀티탭(330)과, 이미지판(310)의 앞쪽에 위치하여 멀티탭(330)을 지지해주며 각운동을 하는 지지판(340)과, 지지판(340)의 각운동에 따라 이미지판(310)을 상하로 움직이도록 이미지판(310)과 지지판(340)을 연결하는 판연결부(350)와, 이미지판(310) 중앙에 위치하여 멀티탭(330)에 접속되는 가전제품이 소비하는 총 전력에 따라 색을 표시하는 경고램프(360)와, 총 전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경고램프(360)를 작동시키는 전기화재 컨트롤러(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전기제품의 이미지는 각각 고유의 저항값을 갖고, 각 이미지와 대응되는 플러그(320)들이 멀티탭(330)에 접속되면 전력이 소비된다.
판연결부(350)는 내부 공간을 갖는 기어박스(350a)와, 기어박스(350a)에 내장된 상태로 지지판(340)에 고정되어 지지판(340)과 함께 각운동 하는 구동기어(351)와, 기어박스(350a) 내에 고정되고 구동기어(351)와 맞물리며 구동기어(351) 보다 작은 지름으로 구성되는 제1전달기어(352)와, 기어박스(350a) 내에서 제1전달기어(352)에 고정되고 제1전달기어(352)와 회전을 같이하며 지름이 제1전달기어(352) 보다 큰 지름으로 구성되는 제2전달기어(353)와, 기어박스(350a) 내에 고정되고 제2전달기어(353)와 일측이 맞물리나 지름이 제2전달기어(353) 보다 작은 작동기어(354)와, 작동기어(354)의 타측에 맞물리고 이미지판(310)에 고정된 상태로 작동기어(354)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래크(3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기화재 컨트롤러(370)는 멀티탭(330)에 플러그(320)가 접속되면 소모되는 총 전력을 인식하는 전력인식부(371)와, 인식한 총 전력과 미리 설정한 두 개의 기준값과 비교하는 전력비교부(372)와, 전력비교부(372)에 의해 비교한 결과 제1기준값 이하의 경우 제1신호를 송출하고 제1기준값을 초과하며 제2기준값 이하의 경우 제2신호를 송출하고 제2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3신호를 송출하는 전기화재 제어부(373)와, 전기화재 제어부(373)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제1신호를 수신한 경우 백색램프가 작동하게 하고 제2신호를 수신한 경우 황색램프가 작동하게 하고 제3신호를 수신한 경우 적색램프가 작동하게 하는 경보부(374)와, 제3신호가 수신된 경우 이하에서 기술할 소화컨트롤러(440)에 신호를 전하는 화재전달부(3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소화기체험수단(400)은 전기화재체험수단(300)과 이격되게 위치하고 차량본체(100) 내부와 격리되는 격벽에 구성되며 전기화재체험수단(300)의 신호를 받아 소화컨트롤러(440)를 통하여 미리 저장된 화재영상을 보여주는 소화스크린부(410)와, 소화스크린부(410)와 격벽을 연결하여 소화스크린부(410)의 위치를 조절하는 스크린연결부(420)와, 소화스크린부(410)에서 방영되는 화재영상에 대하여 화재 진압이 가능한 모형소화기(430)와, 모형소화기(430)와 소화스크린부(410)의 화재영상을 제어하는 소화컨트롤러(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크린연결부(420)는 일측이 격벽에 구성된 힌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 공간 측방으로 관통되는 측면홀이 형성되는 연결관(421)과, 일측이 연결관(421)의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타측이 소화스크린부(410) 후면에 구성된 힌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축(422)과, 연결축(422)을 따라 통공이 형성되는 길이조절통공부(423)와, 연결관(421)의 측면홀을 관통하고 연결축(422)의 길이조절통공부(423)들 중 어느 하나에 관통하여 연결관(421)에 연결축(422)을 고정시키는 연결핀(4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형소화기(430)는 소화기 형태로 탱크, 호스가 연결된 노즐, 손잡이부로 구성된다.
모형소화기(430)는 노즐의 위치를 센싱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노즐센서부(431)와, 손잡이의 압력을 센싱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손잡이압력센서(432)와, 노즐센서부(431)와 손잡이압력센서(432)의 신호를 소화컨트롤러(440)로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송신부(4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형소화기(430)는 노즐의 선단의 노즐센서부(431)에서 X, Y 방향의 움직임을 인식하는데, 구체적으로, X축에서 방위각, Y축에서 기울기를 감지한다.
손잡이압력센서(432)는 사용자가 모형소화기의 손잡이를 눌러 분사력을 조절하는 정도를 감지한다.
소화컨트롤러(440)는 전기화재체험수단(300)의 화재전달부(375)가 보내는 신호를 인식하는 화재인식부(441)와, 화재영상을 저장하는 영상저장부(442)와, 무선송신부(433)로부터 수신 받은 모형소화기(430)의 신호를 인식하는 무선수신부(443)와, 무선수신부(443)에서 수신한 신호를 통하여 노즐의 위치와 손잡이의 압력 정보를 해석하는 신호해석부(444)와, 신호해석부(444)에서 해석한 정보를 화재영상에 반영하도록 신호를 변경하는 신호변경부(445)와, 변경된 신호를 통하여 화재영상에 분사 영상을 출력하는 분사출력부(446)와, 신호해석부(444)에서 해석한 모형소화기(430)의 정보를 이용해 화재영상의 불이 진압되도록 영상을 제어하는 소화제어부(4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심폐소생술체험수단(500)은 타측 보조공간(120)의 차량본체(100) 바닥 내에 삽입되어 구성되되 외부로 돌출 확장이 가능한 판으로 확장부의 중간이 절곡되어 지면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도록 구성이 가능한 경사판부(510)와, 경사판부(510)와 이격되어 차량본체(100) 바닥 내에 삽입되어 구성되되 외부로 돌출 확장이 가능한 판상의 차량확장부(520)와, 타측 보조공간(120)에 심폐소생술영상을 제공하는 심폐소생 스크린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전체험 시뮬레이션 장치를 구비한 차량(10)의 작동 과정 및 효과에 대해 도1 내지 도10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본체(100) 내부 후측도어 쪽에 아이들도 쉽게 차량본체 내부로 오를 수 있는 계단이 형성될 수 있다.
안전벨트체험수단(200)의 체험은 도 2에 도시한 예와 같이, 좌석(210)에 피교육자가 탑승을 하고 안전벨트를 착용하면, 안전벨트 컨트롤러(250)에 의하여 전면에 보이는 안전벨트스크린(240)에서 재생되는 차량 운행 시뮬레이션을 체험할 수 있다.
안전벨트체험수단(200)의 제어상태는 도 3을 참고할 수 있다.
영상출력부(252)는 영상저장부(251)에 저장된 영상을 안전벨트스크린(240)에 출력하며, 영상 중 차량의 접촉장면이나 충돌장면이 나타나는 시점을 시간설정부(253)로 미리 설정하고, 사고의 유형(접촉장면 또는 충돌장면)을 작동설정부(257)로 미리 설정하며, 영상의 런닝시간을 시간체크부(254)가 체크한다.
안전벨트 제어부(258)는 시간설정부(253)에서 설정한 시간과 시간체크부(254)의 시간이 일치하면 작동설정부(257)에 의하여 충돌장면의 경우 제1작동부(255)가 신호를 송출하도록 하고 접촉장면의 경우 제2작동부(256)가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안전벨트 제어부(258)에 의해 송출신호가 결정되면, 충돌장면의 경우 제1작동부(255)가 작동하여 각변화부(220)에 의한 의자의 하강을 최대로 하도록 동력부(230)에 신호를 전달하고, 접촉장면의 경우 제2작동부(256)가 작동하여 각변화부(220)에 의한 의자의 하강이 충돌장면에 의한 하강 보다 절반 이하로 하도록 동력부(230)에 신호를 전달하여 피교육자는 사고의 경중에 따라 안전벨트의 중요성을 체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뮬레이션의 상황에 따라, 제1작동부(255)와 제2작동부(256)가 연속적으로 작동하도록 하여 다양한 교통사고의 상황에 대한 경험을 체험할 수도 있게 된다.
차량의 공간활용을 위하여 차량본체(100)의 하단은 차량의 바퀴 중간까지 내려오게 할 수 있고, 측면도어(110)는 보조공간(120)에 배치되는 화물의 안전한 보관을 위해 차량의 바퀴 상부까지만 개방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보조공간(120)의 하부와 측면도어(110)가 개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의 차이가 생겨 전기화재체험수단(300), 모형소화기(430), 심폐소생술체험에 쓰이는 더미 등의 화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전기화재체험수단(300)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5A는, 판연결부(350)의 지지판(340)이 펼쳐지며 이미지판(310)이 상승되는 과정으로 참고할 수 있고, 도 5B는, 판연결부(350)의 지지판(340)이 접히며, 이미지판(310)이 하강되는 과정으로 참고할 수 있다.
전기화재체험수단(300)은 측면도어 문턱쪽에 있는 지지판(340)을 당겨서 각운동시키면, 기어박스(350a) 내에 고정된 구동기어(351)가 회전한다.
구동기어(351)가 회전하면, 기어박스(350a) 내에 고정되고 구동기어(351)와 맞물린 구동기어 보다 지름이 작은 제1전달기어(352)가 회전수의 비에 상응하게 빠르게 회전하게 되고, 제2전달기어(353)는 기어박스(350a) 내에서 제1전달기어(352)와 함께 고정되고 회전을 같이하며 지름이 제1전달기어(352) 보다 커서 높은 회전수를 전달한다.
작동기어(354)는 기어박스(350a) 내에 고정되고 제2전달기어(353)와 일측이 맞물리나 지름이 제2전달기어(353) 보다 작아 회전수의 비에 상응하게 빠르게 회전하고, 이미지판(310)에 고정된 승강래크(355)는 작동기어(354)의 타측에 맞물려 빠르게 상승한다.
그러므로, 지지판(340)의 작은 각운동에 비하여 이미지판(310)은 회전수의 비에 상응하는 만큼 많은 위치의 변화를 줄 수 있다. 이는 전기화재체험수단(300)이 보조공간(120) 중간에 위치하면 플러그(320)들이 차량 운행 중 엉키거나 흔들려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기화재체험수단(300)을 이용하지 않을 때에는 이미지판(310)을 보조공간(120) 하부에 위치시켜 안전한 보관, 효율적인 공간활용 및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한다.
상기의 원리에 의해 전기화재체험수단(300)의 지지판(340)이 펼쳐지면, 피교육자는 콘센트를 이용한 전기화재 체험을 시작할 수 있다.
전기화재체험수단(300)의 제어상태는 도 6을 참고할 수 있다.
피교육자가 여러 전기제품의 이미지에 대응되는 플러그(320)를 멀티탭(330)에 꽂으면, 각각의 전기제품에 고유한 저항값에 의하여 소모되는 총 전력을 전기화재 컨트롤러(370)의 전력인식부(371)에서 인식하고, 전력비교부(372)는 인식한 총 전력과 미리 설정된 두 개의 기준값과 비교한다.
전기화재 제어부(373)는 전력비교부(372)에 의해 비교한 결과 제1기준값 이하의 경우 제1신호를, 제1기준값을 초과하며 제2기준값 이하의 경우에는 제2신호를, 제2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3신호로 나누어 경보부(374)와 화재전달부(375)에 신호를 송출한다.
경보부(374)는 전기화재 제어부(373)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제1신호의 경우 백색램프가 작동하게 하고, 제2신호의 경우 황색램프가 작동하게 하고, 제3신호의 경우 적색램프가 작동하게 하여, 경고램프(360)는 상황에 따라 다른 색을 나타나도록 한다. 이로써 피교육자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멀티탭에 많은 전력을 사용하면 과부하가 걸린다는 것을 체험할 수 있게 된다.
소화기체험수단(400)의 소화스크린부(410)는 도 7a에 도시한 예와 같이, 후면에 격벽과 연결되는 스크린연결부(420)가 있고, 스크린연결부(420)는 소화스크린부(410)와 격벽 각각에 연결된 힌지에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스크린연결부(420)를 격벽과 평행하게 굽혀 소화스크린부(410)를 격벽에 붙여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도 7b 및 도 7c에 도시한 예와 같이, 소화스크린부(410)를 사용할 때는 스크린연결부(420)를 격벽과 수직방향으로 펼쳐서 보조공간(120) 내에 삽입되어 있는 소화스크린부(410)를 차량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다.
나아가, 스크린연결부(420)의 연결축(422)은 연결관(421)에서 돌출시키고 연결핀(424)으로 길이조절통공부(423)에 고정을 시키는 방법으로 스크린연결부(4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피교육자가 어린아이인 경우, 스크린연결부(420)는 적절하게 각도와 길이의 조절로 소화기체험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소화기체험수단(400)은 전기화재체험수단(300)과 연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소화기체험수단(400)의 제어상태는 도 8을 참고할 수 있다.
소화컨트롤러(440)의 화재인식부(441)는 전기화재 컨트롤러(370)의 화재전달부(374)에서 신호를 받아 영상저장부(442)에 저장된 화재영상을 소화스크린부(410)에서 재생할 수 있다.
이때, 피교육자가 모형소화기(430)를 들고 노즐을 화재영상에 향하여 손잡이를 쥐면, 노즐센서부(431)는 노즐의 좌표를 센싱하고 손잡이압력센서(432)는 손잡이의 압력을 센싱하여 신호를 송출하고, 송출된 신호를 무선송신부(433)를 통하여 무선으로 소화컨트롤러(440)로 보내게 된다.
무선송신부(433)의 신호값은 무선수신부(443)에서 수신하게 되며, 수신한 신호는 신호해석부(444)에서 노즐의 위치와 손잡이의 압력 정보를 해석하고, 해석한 정보를 신호변경부(445)에서 화재영상에 반영되도록 신호를 변경하며, 분사출력부(446)는 변경된 신호를 화재영상에 분사 영상을 반영하도록 영상을 출력한다.
소화제어부(447)는 신호해석부(444)에서 해석한 가상 소화기의 정보를 이용해 화재영상의 불이 진압되도록 영상을 제어하여, 화재영상을 통해 피교육자가 사용하는 가상 소화기(430)에 의한 화재 진화 체험을 할 수 있게 된다.
심폐소생술체험수단(500)의 일실시예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고, 도 10a는 경사판부(510)와 차량확장부(520)가 보조공간(120)의 차량본체(100) 바닥 내에 삽입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도 10b는 경사판부(510)와 차량확장부(520)가 보조공간(120)의 차량본체(100) 바닥 내에서 외부로 돌출 확장된 차량의 배면도이다.
타측 보조공간(120)의 차량본체(100) 바닥 내에 삽입되어 구성되는 경사판부(510)는 외부로 돌출 확장이 가능한 판으로 확장부의 중간이 절곡되어 지면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경사판부(510)와 이격되어 차량본체(100) 바닥 내에 삽입되어 구성되는 차량확장부(520)는 외부로 돌출 확장이 가능한 판상이며 지지대가 구성되어 차량확장부(520)를 지지해 줄 수 있다.
그러므로, 심폐소생술 체험자는 경사판부(510)를 따라 올라가 차량확장부(520)로 도달이 가능하고, 타측 보조공간(120) 격벽에 위치한 심폐소생 스크린부(530)에서 재생되는 심폐소생술 지시사항을 보고 준비된 더미를 이용하여 심폐소생술을 체험할 수 있다.
또한, 차량확장부(520)는 차량의 바퀴 높이 이상으로 위치가 높아서, 조교들이 심폐소생술에 대한 시범을 선보일 때, 피교육자들이 차량 외부에서 교육을 받기에 시각적으로 편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차량본체
110 : 측면도어
120 : 보조공간
200 : 안전벨트체험수단
210 : 좌석
220 : 각변화부
230 : 동력부
240 : 안전벨트스크린
250 : 안전벨트 컨트롤러
300 : 전기화재체험수단
310 : 이미지판
320 : 플러그
330 : 멀티탭
340 : 지지판
350 : 판연결부
360 : 경고램프
370 : 전기화재 컨트롤러
400 : 모형소화기사용체험수단
410 : 소화스크린부
420 : 스크린연결부
430 : 모형소화기
440 : 소화컨트롤러
500 : 심폐소생술체험수단
510 : 경사판부
520 : 차량확장부
530 : 심폐소생 스크린부

Claims (6)

  1. 박스 형태의 차량본체(100)와,
    차량본체(100)의 측면에 개폐가 가능한 측면도어(110)와,
    차량본체(100) 후측문과 통하는 내부와는 구분되는 측면도어(110) 내의 보조공간(120)과,
    차량본체(100) 내부에 위치하고 교통사고 발생시 충격에 의하여도 안전성을 확보해 주는 안전벨트의 중요성을 체험을 할 수 있는 안전벨트체험수단(200)과,
    차량본체(100) 내부에 위치하고 콘센트에 과다한 전력을 사용할 경우 과열에 의한 위험성을 체험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 신호를 송출하는 전기화재체험수단(300)과,
    차량본체(100) 내부에 위치하고 전기화재체험수단(300)에서 화재발생 신호를 수신하며 모형소화기를 이용하여 가상의 화재를 진압하는 체험을 할 수 있는 소화기사용체험수단(400)과,
    차량본체(100) 내부에 위치하고 더미를 이용하여 심폐소생술을 체험할 수 있는 심폐소생술체험수단(500)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벨트체험수단(200)은,
    차량본체(100) 내부의 일측에 등받이와 안전벨트를 구비하고 착석이 가능한 좌석(210)과,
    좌석(210)이 상하로 각운동 하도록 하는 각변화부(220)와,
    각변화부(220)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230)와,
    차량의 운행 시뮬레이션을 보여주는 안전벨트스크린(240)와,
    안전벨트체험수단(200)을 제어하는 안전벨트 컨트롤러(250)를 포함하고,

    안전벨트 컨트롤러(250)는
    안전벨트스크린(240)에 보여줄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저장부(251)와,
    안전벨트스크린(240)에 영상을 안전벨트스크린(240)에 출력시키는 영상출력부(252)와,
    출력되는 영상 중 충돌장면이나 접촉장면이 출력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설정부(253)와,
    영상의 런닝시간을 체크하는 시간체크부(254)와,
    각변화부(220)에 의한 의자의 하강을 최대로 하도록 동력부(230)에 신호를 전달하는 제1작동부(255)와,
    각변화부(220)에 의한 의자의 하강을 제1작동부(255)에 의한 하강 보다 절반 이하로 하도록 동력부(230)에 신호를 전달하는 제2작동부(256)와,
    출력되는 영상 중 충돌장면과 접촉장면을 구분하여 설정하는 작동설정부(257)와,
    영상저장부(251)에 저장된 영상을 영상출력부(252)를 통하여 안전벨트스크린(240)에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고 시간설정부(253)에서 설정한 시간과 시간체크부(254)의 시간이 일치하면 작동설정부(257)에 의하여 충돌장면의 경우 제1작동부(255)가 신호를 송출하도록 하고 접촉장면의 경우 제2작동부(256)가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안전벨트 제어부(25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체험 장치를 구비한 차량.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전기화재체험수단(300)는
    여러 전기제품의 이미지가 보여지는 이미지판(310)과,
    각 전기제품 이미지와 대응되는 플러그(320)와,
    플러그(320)들이 각각 접속되는 멀티탭(330)과,
    멀티탭(330)을 지지해주며 각운동을 하는 지지판(340)과,
    지지판(340)의 각운동에 따라 이미지판(310)을 상하로 움직이도록 이미지판(310)과 지지판(340)을 연결하는 판연결부(350)와,
    멀티탭(330)에 접속되는 가전제품이 소비하는 총 전력에 따라 색을 표시하는 경고램프(360)와,
    총 전력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경고램프(360)를 작동시키는 전기화재 컨트롤러(37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판연결부(350)는
    내부 공간을 갖는 기어박스(350a)와,
    기어박스(350a)에 내장된 상태로 지지판(340)에 고정되어 지지판(340)과 함께 각운동 하는 구동기어(351)와,
    기어박스(350a) 내에 고정되고 구동기어(351)와 맞물리며 구동기어(351) 보다 작은 지름으로 구성되는 제1전달기어(352)와,
    기어박스(350a) 내에서 제1전달기어(352)에 고정되고 제1전달기어(352)와 회전을 같이하며 지름이 제1전달기어(352) 보다 큰 지름으로 구성되는 제2전달기어(353)와,
    기어박스(350a) 내에 고정되고 제2전달기어(353)와 일측이 맞물리나 지름이 제2전달기어(353) 보다 작은 작동기어(354)와,
    작동기어(354)의 타측에 맞물리고 이미지판(310)에 고정된 상태로 작동기어(354)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래크(35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체험 장치를 구비한 차량.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전기화재 컨트롤러(370)는
    멀티탭(330)에 플러그(320)가 접속되면 소모되는 총 전력을 인식하는 전력인식부(371)와,
    인식한 총 전력과 미리 설정한 두 개의 기준값과 비교하는 전력비교부(372)와,
    전력비교부(372)에 의해 비교한 결과 제1기준값 이하의 경우 제1신호를 송출하고 제1기준값을 초과하며 제2기준값 이하의 경우 제2신호를 송출하고 제2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3신호를 송출하는 전기화재 제어부(373)와,
    전기화재 제어부(373)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제1신호를 수신한 경우 백색램프가 작동하게 하고 제2신호를 수신한 경우 황색램프가 작동하게 하고 제3신호를 수신한 경우 적색램프가 작동하게 하는 경보부(374)와,
    제3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소화기사용체험수단(400)으로 신호를 전하는 화재전달부(37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체험 장치를 구비한 차량.
  5. 청구항 1에 있어서, 소화기체험수단(400)은
    전기화재체험수단(300)과 이격되게 위치하고 차량본체(100) 내부와 격리되는 격벽에 구성되며 전기화재체험수단(300)의 신호를 받아 소화컨트롤러(440)를 통하여 미리 저장된 화재영상을 보여주는 소화스크린부(410)와,
    소화스크린부(410)와 격벽을 연결하여 소화스크린부(410)의 위치를 조절하는 스크린연결부(420)와,
    소화스크린부(410)에서 방영되는 화재영상에 대하여 화재 진압이 가능한 모형소화기(430)와,
    모형소화기(430)와 소화스크린부(410)의 화재영상을 제어하는 소화컨트롤러(440)를 포함하고,
    스크린연결부(420)는
    일측이 격벽에 구성된 힌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 공간 측방으로 관통되는 측면홀이 형성되는 연결관(421)과,
    일측이 연결관(421)의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타측이 소화스크린부(410) 후면에 구성된 힌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축(422)과,
    연결축(422)을 따라 통공이 형성되는 길이조절통공부(423)와,
    연결관(421)의 측면홀을 관통하고 연결축(422)의 길이조절통공부(423)들 중 어느 하나에 관통하여 연결관(421)에 연결축(422)을 고정시키는 연결핀(42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모형소화기(430)는 노즐의 위치를 센싱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노즐센서부(431)와,
    손잡이의 압력을 센싱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손잡이압력센서(432)와,
    노즐센서부(431)와 손잡이압력센서(432)의 신호를 소화컨트롤러(440)로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송신부(43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소화컨트롤러(440)는
    전기화재체험수단(300)의 신호를 인식하는 화재인식부(441)와,
    화재영상을 저장하는 영상저장부(442)와,
    무선송신부(433)로부터 수신 받은 모형소화기(430)의 신호를 인식하는 무선수신부(443)와,
    무선수신부(443)에서 수신한 신호를 통하여 노즐의 위치와 손잡이의 압력 정보를 해석하는 신호해석부(444)와,
    신호해석부(444)에서 해석한 정보를 화재영상에 반영하도록 신호를 변경하는 신호변경부(445)와,
    변경된 신호를 통하여 화재영상에 분사 영상을 출력하는 분사출력부(446)와,
    신호해석부(444)에서 해석한 모형소화기(430)의 정보를 이용해 화재영상의 불이 진압되도록 영상을 제어하는 소화제어부(44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체험 장치를 구비한 차량.
  6. 청구항 1에 있어서, 심폐소생술체험수단(500)은
    타측 보조공간(120)의 차량본체(100) 바닥 내에 삽입되어 구성되되 외부로 돌출 확장이 가능한 판으로 확장부의 중간이 절곡되어 지면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도록 구성이 가능한 경사판부(510)와,
    경사판부(510)와 이격되어 차량본체(100) 바닥 내에 삽입되어 구성되되 외부로 돌출 확장이 가능한 판상의 차량확장부(520)와,
    타측 보조공간(120)에 심폐소생술영상을 제공하는 심폐소생 스크린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체험 장치를 구비한 차량.
KR1020160020921A 2016-02-23 2016-02-23 안전체험 장치를 구비한 차량 KR101739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921A KR101739288B1 (ko) 2016-02-23 2016-02-23 안전체험 장치를 구비한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921A KR101739288B1 (ko) 2016-02-23 2016-02-23 안전체험 장치를 구비한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9288B1 true KR101739288B1 (ko) 2017-05-24

Family

ID=59051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921A KR101739288B1 (ko) 2016-02-23 2016-02-23 안전체험 장치를 구비한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2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285B1 (ko) * 2019-09-23 2020-01-17 (주)창조인 화재안전교육용 멀티콘센트 화재모사장치
KR20220051948A (ko) 2020-10-20 2022-04-27 주식회사 제이피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1900B2 (ja) * 1998-04-17 2005-03-2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消火訓練シミュレータ
KR101550210B1 (ko) * 2015-01-16 2015-09-04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교육용 소방안전 체험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1900B2 (ja) * 1998-04-17 2005-03-2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消火訓練シミュレータ
KR101550210B1 (ko) * 2015-01-16 2015-09-04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교육용 소방안전 체험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285B1 (ko) * 2019-09-23 2020-01-17 (주)창조인 화재안전교육용 멀티콘센트 화재모사장치
KR20220051948A (ko) 2020-10-20 2022-04-27 주식회사 제이피 키오스크 안전체험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9288B1 (ko) 안전체험 장치를 구비한 차량
CN106139587B (zh) 一种基于vr游戏用来规避现实环境障碍物的方法及系统
KR100896450B1 (ko) 가상현실 체험용 게임 시뮬레이터 부스 시스템
CN104645626B (zh) 一种红外手势感应式玩具结构及其应用
CN204337780U (zh) 智能早教机器人
CN106875676B (zh) 一种终端探测路况的方法及终端
US20170202358A1 (en) Entertainment device accessory
US10748437B2 (en) Learning aid apparatus and system
KR20150135154A (ko)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KR102212241B1 (ko) 혼합현실 기반의 소방 체험 시스템
CN1873733B (zh) 自行车模拟系统
CN107985529A (zh) 一种遥控游泳圈
KR20180049582A (ko) 체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KR200409276Y1 (ko) 시뮬레이터
CN110536729A (zh) 交互式模块化构造元件及具有交互式模块化构造元件的模块化构造系统
CN106384471B (zh) 一种电子狗
KR101992380B1 (ko) 커뮤니케이션 로봇
CN107909869A (zh) 一种可移动式雷达感应儿童学习机
CN107050884A (zh) 一种儿童用防撞伤遥控汽车
CN205190286U (zh) 一种智能遥控风扇小车
US10049596B2 (en) Apparatus for recognizing intention of horse-riding simulator user and method thereof
KR101898589B1 (ko) 네트워크용 허브 기기, 동작용 서브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로봇
KR101483104B1 (ko) 패스트로프훈련모드기능이 구비된 비행시뮬레이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7769001U (zh) 一种具有提醒功能的消火栓箱
CN211842005U (zh) 一种家用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