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1716A - 분체층 체적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분체층 체적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1716A
KR20130041716A KR1020120009167A KR20120009167A KR20130041716A KR 20130041716 A KR20130041716 A KR 20130041716A KR 1020120009167 A KR1020120009167 A KR 1020120009167A KR 20120009167 A KR20120009167 A KR 20120009167A KR 20130041716 A KR20130041716 A KR 20130041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powder layer
volume
powder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지 사사베
켄지 시미즈
토시유키 후지미
준이치 모우리
Original Assignee
호소가와미크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소가와미크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소가와미크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1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7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2/00Methods or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분체층 체적 측정장치는, 카메라(21), 카메라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장치(23), 카메라와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백라이트(30), 카메라와 백라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원통형 용기(104) 및 동작 제어를 행하는 제어장치(40)를 구비한다. 승강장치는 제어장치에 설정한 초기 설정 위치로부터의 카메라의 수직방향 변위량을 측정하는 변위량 측정장치(42)를 구비한다. 카메라가 촬상한 화상을 화상해석장치(41)가 해석해서 원통형 용기 내의 분체층의 분체면 위치가 계측되어, 초기 설정 위치와 분체면 위치로부터 분체층의 체적이 산출된다.

Description

분체층 체적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OF POWDER LAYER}
본 발명은 분체층 체적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체의 물성값은, 안식각, 붕괴각, 스파튤라각(spatula angle), 느슨하거나 단단한 부피 밀도, 압축도, 응집도, 분산도, 차이각 등, 다양한 파라미터를 가지고 측정된다. 이들 물성값을 측정하는 장치에 대해서는, 특허문헌 1에서 그 예를 볼 수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분체의 부피 밀도를 측정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해당 측정 장치에 구비된 측정이 행해지는 국소 공간인 측정실 내의 바닥부에 설치된 태핑 대에 분체 시료를 넣는 측정용 컵(메스실린더)을 설치한다. 상기 측정실 천장에는 측정용 컵의 바로 위에 해당하는 개소에 창문이 설치되고, 그 위에 센서 캐비넷이 설치된다. 센서 캐비넷 속에 배치된 비접촉형 센서가 측정용 컵 속의 분체면 레벨을 측정한다. 측정용 컵 속이 빈 상태일 때를 센서로 측정하고, 기준값(높이 0)을 구해둔다. 그 후, 측정용 컵에 시료 분체를 넣고, 센서에 의해 분체면 레벨(H)을 계측한다. 여기서, 측정용 컵의 밑면적(A)과 분체면 레벨의 측정값(측정용 컵의 밑바닥에서부터의 높이)(H)과의 곱에 의해, 시료 분체의 체적이 구해진다.
JP4368738 B
측정용 컵으로서 메스실린더를 사용했을 경우, 메스실린더에 투입한 시료 분체의 압축성에 관한 평가 방법으로서, 단단한 부피 밀도(固めかさ密度)("탭 밀도"(tap density)라고도 칭함)나 부피 감소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단단한 부피 밀도의 측정 방법으로서는, 메스실린더 내에 소정량의 시료 분체를 투입한 후, 메스실린더를 소정 스트로크량·소정 진동수(단위 시간당의 태핑 회수)로 소정 횟수 또는 소정 시간 태핑을 행하게 해서 단단한 부피 밀도를 구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미국 약전(United States Pharmacopeia: USP) 태핑이나 미국 재료시험협회(America Society for Testing & Materials: ASTM) 태핑의 경우의 단단한 부피 밀도는, 메스실린더 내에 투입한 시료 분체의 질량을 태핑 후의 시료 분체의 체적으로 나누어서 구해진다. 또, 카와키타식 분체 압축 평가법(川北式粉體縮評價法)의 부피 감소도는, 마찬가지 방법에 의해 태핑을 행하고, 태핑 전의 시료 분체의 체적을 V0, 태핑 후의 시료 분체의 체적을 V라 했을 때, (V0-V)/V0로 구해진다.
이와 같이, 단단한 부피 밀도나 부피 감소도는, 어느 쪽의 측정 방법에 있어서도, 태핑 전 및/또는 태핑 후의 메스실린더 내의 분체층의 체적을 측정함으로써 구해진다. 이때의 체적 측정은, 분체층을 압박하지 않도록, 비접촉으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연히,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와 같이 비접촉형 센서가 이용될 수 있는 것이지만, 시료 분체의 종류나 입자 직경, 혹은 분체면의 요철상태에 따라서는, 초음파 센서와 같은 비접촉형 센서로 정밀도 양호하게 체적 측정을 행하는 것은 곤란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원통형 용기 내의 분체층의 체적을 정밀도 양호하게 측정할 수 있는 분체층 체적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체층 체적 측정장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와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백라이트와, 상기 카메라와 상기 백라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원통형 용기와, 상기 카메라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장치와, 상기 카메라와 상기 승강장치의 동작 제어를 행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에 설정한 초기 설정 위치로부터의 상기 카메라의 수직방향 변위량을 검출해서 상기 제어장치에 출력하는 변위량 측정장치와, 상기 카메라가 촬상한 상기 용기 내의 분체층의 화상을 해석하고, 그 해석 결과를 상기 제어장치에 출력하는 화상해석장치와, 상기 초기 설정 위치로부터의 상기 카메라의 수직방향 변위량으로부터 분체층의 체적을 산출하는 연산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분체층 체적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용기는 스트로크량과 진동수가 설정된 태핑 장치의 태핑 대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분체층 체적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용기가 메스실린더에 의해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통형 용기 내의 분체층의 화상을 화상해석장치가 해석하고, 초기 설정 위치로부터의 카메라의 수직방향 변위량을 검출하고, 해당 수직방향 변위량으로부터 분체층의 체적을 산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밀도 양호하게 체적 측정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분체 물성 측정장치의 개략 정면도;
도 2는 분체 물성 측정장치의 개략 측면도;
도 3은 분체 물성 측정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백라이트의 개략 단면도로, 측면방향에서 본 도면;
도 5는 화상처리의 개념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분체층 체적 측정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7은 단단한 부피 밀도 또는 부피 감소도 측정에 대해서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분체층 체적 측정장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원통형 용기에 투입한 시료 분체의 단단한 부피 밀도나 부피 감소도의 측정이 가능한, 분체 물성 측정장치(1)로서 실현되어 있다.
분체 물성 측정장치(1)의 외관을 구성하는 2대 요소는, 본체(2)와, 그 앞 부분을 덮는 커버(3)이다. 본체(2)는 도시하지 않은 가대 구조의 외측을 판금제의 하우징체(4)로 둘러싼 것이며, 높이 조정가능한 복수의 지지 다리부(5)에 의해 지지면 상에 지지된다. 커버(3)는 투명한 합성 수지에 의해 주요부가 형성되어 있고, 좌우 1쌍의 암(arm)(6)으로 본체(2)의 좌우 양 측면에 부착된다. 암(6)의 선단부는 본체(2)에 연결하는 지점부(7)로 되고, 커버(3)는 지점부(7)를 중심으로 해서 수직면 내에서 회동한다.
커버(3)를 내리면 도 2의 실선 상태로 된다. 이때 커버(3)로 둘러싸인 공간이 도 3에 나타낸 측정실(10)로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3)는 주요부가 투명하기 때문에, 커버(3)를 내린 상태에서도 측정실(10)의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으며, 작업자는 시료의 상황 등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분진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측정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커버(3)의 정면에는 손잡이부(3a)가 형성되어 있어, 거기에 손을 대고, 커버(3)를 도 2의 가상 선의 위치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 도 2의 가상 선의 위치까지 끌어올렸을 때에는, 커버(3)는 손을 떼어도 그 위치에 머무르고 있다. 이와 같이 측정실(10)을 개방 상태로 한 뒤에, 작업자는 측정 완료 시료나 측정에 제공한 용구의 정돈, 새로운 측정 작업의 세팅, 보수 점검 작업 등을 행한다. 측정실(10)을 개방 상태로 해둘 필요가 없어졌을 때에는 커버(3)를 내린다. 지점부(7)에서 커버(3)를 유지하는 축에는 댐퍼를 조합시키고 있어, 내리는 도중에 손을 떼면 커버(3)는 천천히 강하하여, 충격을 주는 일 없이 조용히 닫힌다.
본체(2)의 외측, 정면에서 보아서 좌측의 위치에 촬상장치(20)가 배치된다. 측정실(10)의 내부에는 백라이트(30)가 배치된다. 백라이트(30)는, 측정실(10)의 안쪽의 내벽으로부터 돌출하는 브래킷(31)에 부착되어 있다. 촬상장치(20)와 백라이트(30) 사이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원통형 용기(104)가 배치되지만, 이것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촬상장치(20)는, C-MOS나 CCD라고 하는 고체 촬상소자를 구비한 카메라(21)와, 카메라(21)를 지지하는 칼럼(22)을 구비한다. 칼럼(22)은 본체(2)의 상기 도시하지 않은 가대 구조로부터 돌출하는 브래킷(2a)의 상부면에 세워져 있다.
촬상장치(20)에는, 칼럼(22)을 따라서 카메라(21)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장치(23)가 부속된다. 승강장치(23)는, 칼럼(22)의 측면에 고정된 수직인 리니어 가이드(24)와, 리니어 가이드(24)를 따라서 승강가능한 슬라이더(25)와, 슬라이더(25)에 연결되어, 자체의 회전으로 슬라이더(25)를 승강시키는 수직인 볼 나사(26)와, 볼 나사(26)를 회전시키는 감속장치 부착 스테핑 모터(27)에 의해 구성된다. 카메라(21)는 슬라이더(25)에 유지되어서 승강된다.
백라이트(30)의 광원으로 되는 것은 발광 다이오드(이하 「LED」라 칭함)이다. LED는 LED 라이트(32)(도 4 참조)로서 구성되어 있다. LED 라이트(32)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커버 렌즈(33a)를 구비한 세장형(elongate)의 케이스(33)와, 케이스(33)의 내부에 일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LED(34)를 구비한다. LED(34)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타입의 것으로, 백색 LED가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LED 라이트(32)는 길이방향을 수직으로 하여, 광의 출사방향을 촬상장치(20) 쪽을 향해서 배치된다. 이 LED 라이트(32)를 각진 통 형상의 램프셰이드(lampshade)(35)가 둘러싼다. 램프셰이드(35)는 유백색의 아크릴 수지로 형성되어 있어, 복수의 LED(34)가 각각에서 방출하는 광을 균일한 면 형상 광으로 변화시킨다. 또한, 램프셰이드(35)의 재질은 아크릴 수지로 한정되지 않는다.
카메라(21)는 제어장치(40)(도 6 참조)에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장치(40)는 일종의 컴퓨터로 위치 부여되는 것으로, 카메라(21), 승강장치(23) 및 백라이트(30)에 대해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카메라(21)는 화상해석장치(41)(도 6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해석장치(41)가 촬상 화상을 해석하고, 그 해석 결과가 신호로서 제어장치(40)에 출력된다. 카메라(21)로서는, 예를 들어, 주식회사 키엔스 제품인 CV-3000SO605시리즈, 오무론 주식회사 제품인 FQ-S10100F, 파나소닉전공 주식회사 제품인 ANM832CE, COGNEX사 제품인 Checker 센서 G47 등이 사용가능하다.
승강장치(23)는, 제어장치(40)에 설정한 초기 설정 위치로부터의 카메라(21)의 수직방향 변위량을 측정해서 제어장치(40)에 출력하는 변위량 측정장치(42)(도 6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변위량 측정장치(42)는, 카메라(21)와 함께 승강하는 부재, 본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말하면 슬라이더(25)에, 혹은 카메라(21) 그 자체에 연결한 리니어 인코더에 의해서 실현된다. 혹은, 슬라이더(25)를 승강시키는 볼 나사(26)나, 볼 나사(26)를 회전시키는 감속장치나 스테핑 모터(27) 등에 연결한 로터리 인코더(rotary encoder)나 리졸버(resolver) 등에 의해서 실현된다.
카메라(21)가 촬상하는 화상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으로 된다. 화상은 다수의 화소의 집합으로 이루어진다. 도 5에는 투명한 원통형 용기의 내부에 통형상의 분체층이 존재하는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분체 물성 측정장치(1)는, 단단한 부피 밀도나 부피 감소도의 측정 장치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단단한 부피 밀도나 부피 감소도의 측정을 위하여 필요한 것이 태핑 장치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체 물성 측정장치(1)에 구비된 측정을 행하게 하는 국소 공간인 측정실(10)의 바닥면부에 태핑 장치(50)가 배치된다. 태핑 장치(50)는 태핑 대(51)와, 태핑 대(51)를 지지하는 태핑 축(52)을 구비한다. 도 6에 나타낸 태핑 모터(53)가, 도시하지 않은 리프트 바에 의해서 태핑 축(52)을 들어올려, 태핑 동작을 행하게 한다.
태핑 모터(53)는 스테핑 모터이며, 모터 드라이버(54)로 구동된다. 모터 드라이버(54)에 대해서 제어장치(40)가 제어 신호를 보내면, 제어 신호에 따른 구동 펄스가 모터 드라이버(54)로부터 출력되어, 태핑 모터(53)는 구동 펄스수에 따른 각도만큼 회전한다.
태핑 모터(53)가 스테핑 모터인 점으로부터, 리프트 바에 부여되는 회동 각도와 회동 속도를 비교적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시료의 물성이나 측정의 목적에 부합하여 태핑의 스트로크량과 진동수를 설정하는 것이 용이해져서, 태핑 장치(50)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분체 물성 측정장치(1)에는, 시료 분체를 진동 체로 걸러내는 체 진동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체 진동장치의 본체 부분은 하우징체(4) 내에 존재하고, 그 본체 부분이 구비하는 진동 레버(60)(도 7 참조)의 일부분만이 측정실(10)에 돌출하고 있다. 진동 레버(60)에는 링 형상의 체 부착 프레임(61)이 고정되어 있다. 진동 레버(60)에는, 도 6에 나타낸 전자석(62)에 의해 상하 방향의 진동이 부여된다.
제어장치(40)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금까지 기재된 촬상장치(20), 승강장치(23), 백라이트(30), 변위량 측정장치(42), 태핑 모터(53), 모터 드라이버(54) 및 전자석(62)이라고 하는 구성 요소 외에, 표시장치(70)가 접속된다. 표시장치(70)는 외장형의 모니터 장치 등에 의해 구성되어, 측정 데이터나 계산 결과 등의 표시를 행한다.
계속해서, 도 3 및 도 7에 의거해서, 분체 물성 측정장치(1)가 어떻게 이용되는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것은 USP 태핑이나 ASTM 태핑에 의해 단단한 부피 밀도 측정을 할 경우, 혹은 카와키타식 분체 압축 평가법으로 부피 감소도를 측정할 경우의 세팅이다. 체 부착 프레임(61)에 슈트(102), 체(100) 및 체 누름부(101)의 순으로 포개고, 이들을 체결 기구(103)로 체 부착 프레임(61)에 고정하고 있다. 태핑 대(51)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원통형 용기(104)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원통형 용기(104)는 메스실린더이다.
메스실린더 내의 분체층의 체적을 측정할 경우에는, 우선, 카메라(21)와 제어장치(40)에 의해서 초기 설정 위치로부터 메스실린더의 제1눈금선까지의 높이[㎜]를 측정하고, 제어장치(40)가 구비한 기억수단에 기억시킨다. 높이[㎜]는, 카메라(21)가 초기 설정 위치로부터 눈금선의 높이까지 이동했을 때의 펄스 수(전술한 리니어 인코더, 로터리 인코더, 리졸버 등이 출력하는 펄스 수)를 계수하고, 그것을 제어장치(40)에 의해 변환함으로써 구해진다. 제어장치(40)는 연산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이하에 설명하는 분체층의 체적의 산출도 그 연산수단에 의해서 행해진다.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의 「기억한다」, 「산출한다」등의 표현은 제어장치(40)의 기억 수단이나 연산수단에 의해 그 동작이 행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에, 초기 설정 위치로부터 메스실린더의 제2눈금선까지의 높이[㎜]를 기억한다. 제1, 제2눈금선 간의 용적차와 높이[㎜]의 차이로부터, 1㎜당의 메스실린더의 용적이 결정된다. 1㎜당의 메스실린더 용적과, 이미 기억하고 있는 제1눈금 또는 제2눈금의 위치로부터, 기준점(0㎖의 위치)의 높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설정 위치로부터 50㎖의 제1눈금선까지의 높이가 30.00㎜, 다음에 초기 설정 위치로부터 250㎖의 제2눈금선까지의 높이가 130.00㎜였다고 하자. 이 경우, 용적차 200㎖에서 제1눈금선과 제2눈금선과의 높이의 차이가 100.00㎜로 되므로, 1㎜당의 메스실린더 용적은, 2[㎖/㎜]로 된다. 따라서, 기준점의 높이는 초기 설정 위치로부터 5.00㎜의 위치라고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초기 설정 위치로부터 분체층의 분체면까지의 높이가 80.00㎜였을 경우에는, 메스실린더 내의 분체층의 체적은, 2[㎖/㎜]에 75.00㎜(분체층의 분체면 높이 -기준점의 높이)를 곱함으로써 150㎖라고 하는 값이 얻어진다.
체 누름부(101) 및 체(100)에 시료 분체를 투입하고, 진동 레버(60)를 개재해서 체 부착 프레임(61)을 진동시키면, 체(100)를 통과한 시료 분체가 슈트(102)를 통해서 낙하하여, 원통형 용기(104)에 들어간다. 소정량의 시료 분체가 원통형 용기(104)에 투입된 시점에서, 진동 레버(60)의 진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후술하는 방법으로 분체층의 분체면을 검출하고, 그때의 높이로부터 구한 용량[㎖]을 기억시킨다. 그 후, 태핑을 행한다. 소정 횟수 태핑을 행하면, 분체층은 압축되어, 분체층의 분체면은 태핑 전의 분체층의 분체면보다도 내려간다.
다음에, 분체층의 분체면의 검출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태핑 후, 카메라(21)는 메스실린더의 최하부로부터 분체층을 따라서 서서히 상승해간다. 메스실린더 내의 분체층 부분은 백라이트(30)로부터의 광이 투과하지 않으므로 어두워지고, 분체층이 없는 부분은 백라이트(30)로부터의 광이 투과하므로 밝은 색으로 인식된다. 제어장치(40)에 미리 밝은 색을 등록해둠으로써, 그 이외의 색은 어두운 색으로 인식된다.
카메라(21)가 상승 중에, 카메라(21)의 촬상 화면 중 색 면적 검출 영역 내에서 검출되는 밝은 색의 색 면적이, 미리 제어장치(40)에 설정해둔 밝은 색의 색 면적의 역치를 초과한 시점에서, 카메라(21)를 자동 정지시킨다. 그리고, 기준점으로부터 분체층의 분체면까지의 높이로부터 구한 용적[㎖]을 기억한다.
또, 색 면적 이외에도, 밝은 색과 어두운 색을 2치화 처리하는 것으로도, 분체층의 분체면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측정 시간을 짧게 하기 위하여, 카메라(21)가 상승하는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즉, 일단 분체층의 분체면을 초과하는 위치까지 고속으로 카메라(21)를 상승시킨 후, 카메라(21)를 해당 분체면보다도 아래쪽의 위치까지 하강시키고, 이어서 재차 서서히 카메라(21)를 상승시켜서 해당 분체면을 검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혹은, 분체층의 분체면을 초과하지 않지만 해당 분체면에 가까운 위치까지 고속으로 카메라(21)를 상승시킨 후, 서서히 카메라(21)를 상승시켜서 해당 분체면을 검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준점으로부터 분체층의 분체면까지의 높이와, 1㎜당의 메스실린더 용적으로부터, 메스실린더 내의 분체층의 체적을 구할 수 있다.
분체층의 분체면의 검출에 카메라를 사용하는 장점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면, 레이저 센서에서는, 메스실린더의 벽면에 시료 분체가 부착되어 있을 경우, 혹은 그 부착이 부분적으로 구멍이 벌어져 있는 바와 같은 상태더라도 레이저광이 투과하지 않거나, 투과했다고 해도 그 투과한 레이저광의 강도가 약하여, 분체층의 분체면을 검출할 수 없다. 그러나, 레이저광의 강도가 강한 것을 이용했을 경우에는, 검출 오차가 커진다. 또한, 초음파 센서에서는, 정밀도가 낮고 또한 다공성의 시료 분체에서는 분체층의 분체면을 검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 카메라(21)를 이용해서 화상 판정을 행하는 것으로 하면, 판정 범위가 넓고, 메스실린더 벽면에 시료 분체가 부착되어 있어도, 그 중에 약간이라도 시료 분체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개소가 있으면, 그곳을 통해서 분체층의 분체면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정밀도 양호하게 측정할 수 있다.
단단한 부피 밀도의 측정 방법에는 USP 태핑, ASTM 태핑 등이 있고, 부피 감소도의 측정 방법에는 카와키타식 태핑 등의 방법이 있다. 어느 방법으로 측정을 실시하는지에 따라, 그것에 맞는 원통형 용기(메스실린더)(104)와 태핑 대(51), 및 슈트(102)가 이용된다. 예를 들어, USP 태핑의 경우에는, 용적 250㎖ 또는 100㎖의 유리 메스실린더가 이용된다. 또한, ASTM 태핑의 경우에는, 용적 100㎖ 또는 25㎖의 유리 메스실린더가 이용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21)가 화상해석장치(41)를 구비하고 있지만, 카메라(21)가 아니라 제어장치(40)가 화상해석장치(41)를 구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을 가해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체층 체적 측정장치에 널리 이용가능하다.
1: 분체 물성 측정장치 2: 본체
3: 커버 10: 측정실
20: 촬상장치 21: 카메라
23: 승강장치 30: 백라이트
41: 화상해석장치 42: 변위량 측정장치
50: 태핑 장치 51: 태핑 대
52: 태핑 축 104: 원통형 용기

Claims (3)

  1. 카메라;
    상기 카메라와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상기 카메라와 상기 백라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원통형 용기;
    상기 카메라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장치;
    상기 카메라와 상기 승강장치의 동작 제어를 행하는 제어장치;
    상기 제어장치에 설정한 초기 설정 위치로부터의 상기 카메라의 수직방향 변위량을 검출해서 상기 제어장치에 출력하는 변위량 측정장치;
    상기 카메라가 촬상한 상기 용기 내의 분체층의 화상을 해석하고, 해석 결과를 상기 제어장치에 출력하는 화상해석장치; 및
    상기 초기 설정 위치로부터의 상기 카메라의 수직방향 변위량으로부터 분체층의 체적을 산출하는 연산수단을 포함하는 분체층 체적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용기가 태핑 장치의 태핑 대에 부착되는 것인 분체층 체적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용기가 메스실린더에 의해 구성되는 것인 분체층 체적 측정장치.
KR1020120009167A 2011-10-17 2012-01-30 분체층 체적 측정장치 KR201300417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27850A JP2013088231A (ja) 2011-10-17 2011-10-17 粉体層体積測定装置
JPJP-P-2011-227850 2011-10-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716A true KR20130041716A (ko) 2013-04-25

Family

ID=48060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167A KR20130041716A (ko) 2011-10-17 2012-01-30 분체층 체적 측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3088231A (ko)
KR (1) KR20130041716A (ko)
CN (1) CN1030479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4847A (zh) * 2019-07-29 2019-09-24 山东农业大学 一种振动容量筒及基于振动容量筒检测MgO活性的方法
US11183284B2 (en) 2015-06-01 2021-11-23 Digital Hospital, Inc. Dosage confirmation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08001B (zh) * 2013-05-17 2016-01-06 河海大学 基于光学成像的泥沙水下休止角测量装置的测量方法
CN109883883A (zh) * 2019-04-19 2019-06-14 华南农业大学 一种振实密度自动测定装置
CN110567404A (zh) * 2019-09-02 2019-12-13 苏州久越金属科技有限公司 一种5g通信产品ccd自动化检测设备
CN111189505B (zh) * 2020-01-13 2020-10-30 江南大学 多用途一体化液体小剂量称量装置及其称量方法
CN113375750B (zh) * 2021-06-10 2024-04-16 陕西延长石油(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非接触式油箱油量检测装置及方法
CN114062195A (zh) * 2021-11-16 2022-02-18 攀钢集团攀枝花钢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粉体润湿性测试样品的制备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8843A (en) * 1981-06-01 1982-12-06 Toshiba Corp Filling device for powder sample
JPH01141320A (ja) * 1987-11-27 1989-06-02 Hitachi Ltd 浄水場に於ける沈殿池汚泥界面検出装置
JPH08178729A (ja) * 1994-12-22 1996-07-12 Nishiyama Seisakusho:Kk 粒子沈殿体積計測装置
EP0770859A1 (de) * 1995-10-27 1997-05-02 Endress + Hauser Gmbh + Co. Verfahren zum Abgleich bei der Füllstandsmessung
JP3427801B2 (ja) * 1999-11-19 2003-07-22 日本電気株式会社 液位測定装置及び液位測定方法
ITBO20000257A1 (it) * 2000-05-05 2001-11-05 Steroglass S R L Dispositivo e metodo per il riempimento di contenitori .
JP4368738B2 (ja) * 2004-05-19 2009-11-18 ホソカワミクロン株式会社 粉体の見掛比重測定装置
JP5247624B2 (ja) * 2009-08-11 2013-07-24 株式会社トーショー 水剤分注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83284B2 (en) 2015-06-01 2021-11-23 Digital Hospital, Inc. Dosage confirmation apparatus
CN110274847A (zh) * 2019-07-29 2019-09-24 山东农业大学 一种振动容量筒及基于振动容量筒检测MgO活性的方法
CN110274847B (zh) * 2019-07-29 2024-03-08 山东农业大学 一种振动容量筒及基于振动容量筒检测MgO活性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88231A (ja) 2013-05-13
CN103047929A (zh) 201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1716A (ko) 분체층 체적 측정장치
KR101456079B1 (ko) 프린트 기판의 검사 장치
KR101463338B1 (ko) 시편 굽힘각도 자동 측정장치
CN104785452B (zh) 一种轴承高度检测装置
CN108235690B (zh) 用于弯曲机的、测量板材的臂之间弯曲角度的电子角度测量装置
GB2459349A (en) Contactless detection of the height of a load pickup means
CN202583021U (zh) 一种球压痕硬度计
CN208505916U (zh) 一种玻璃检测机
US20130272497A1 (en) X-ray detection apparatus
CN209640237U (zh) 光学检测设备
CN101936919A (zh) 一种基于计算机视觉的玻璃质量检测装置及其测量方法
KR20040024310A (ko) 유압실린더 검사장치
CN1825152A (zh) 测量机的自动焦点机构
JP2013189810A (ja) 管理装置
EP2924431B1 (en) Device for measuring volumetric changes in a substance
CN207351683U (zh) 一种千斤顶检测装置
KR200438943Y1 (ko) 내ㆍ외경 측정용 통합게이지 및 그것을 이용한 측정시스템
CN106959085A (zh) 一种非接触式机械测量装置
JP4368738B2 (ja) 粉体の見掛比重測定装置
CN212932241U (zh) 一种检测板材抗折强度的试验仪
CN206724916U (zh) 一种非接触式机械测量装置
CN109975103A (zh) 儿童游戏床架测试装置
CN212482528U (zh) 用于光电位移传感器的检测台
CN214668334U (zh) 一种基于图像散斑技术的回弹模量检测仪
CN109357650A (zh) 一种活塞长度批量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