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8441A - Roast panel having double panel formation - Google Patents

Roast panel having double panel 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8441A
KR20130038441A KR1020110102805A KR20110102805A KR20130038441A KR 20130038441 A KR20130038441 A KR 20130038441A KR 1020110102805 A KR1020110102805 A KR 1020110102805A KR 20110102805 A KR20110102805 A KR 20110102805A KR 20130038441 A KR20130038441 A KR 20130038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pper plate
meat
heat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8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99920B1 (en
Inventor
송경운
Original Assignee
송경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경운 filed Critical 송경운
Priority to KR1020110102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920B1/en
Publication of KR20130038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4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9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82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gas-he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PURPOSE: A roast plate including a dual plate structure is provided to maintain characteristic tastes of meat by forming a food putting unit at the center of an upper plate in the roast plate and by suppressing emission of gravy from the roasted meat. CONSTITUTION: A roast plate(100) including a dual plate structure comprises an upper plate(10) and a lower plate(20). Meat or fish is put on the upper plate. An upper frame unit(11) is formed at an outer side part of the upper plate to prevent oil from being leaked. A connection unit(12) is formed at a lower part of the upper frame unit. The lower plate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and is heated by heating sources. A lower frame unit(21) is formed at the outer side part of the lower plate to separate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t regular intervals. A coupling unit(22) engaging with the connection unit is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lower frame unit. A space unit(30) is form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n order to heat the upper plate.

Description

이중 판 구조를 갖는 불판{roast panel having double panel formation}Robust panel having double panel formation

본 발명은 육류 등을 굽는 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불판을 상판과 하판으로 분리 구성하여 상기 불판의 상판과 하판을 겹쳐지도록 포개놓은 상태에서 하판으로 열을 가하면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 내의 공기가 가열됨은 물론 상기 가열되는 공기의 열이 상판의 전체 면으로 균일하게 전달되어 상기 상판의 전체 면을 고르게 가열하도록 하는 이중 판 구조를 갖는 불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plate for grilling meat and the like, and more specifically, the heat plate is separated into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and when the heat is applied to the lower plate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f the plate are stacked to overlap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he air in the space formed in the heating plate as well as the heat of the heated air is uniformly transmitt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upper plate relates to a non-plate having a double plate structure to evenly heat the entire surface of the upper plate.

일반적으로, 불판은 육류나 생선 등을 구울 때 불 위에 올려놓을 수 있는 기구로서, 상기 불판의 상면에 육류나 생선 등을 올려놓고 나서 가스불이나 숯불 등의 열원에 의해 불판이 가열되면서 상기 육류나 생선들을 익히거나 굽는다. In general, the grill is a device that can be placed on the fire when grilling meat or fish, the meat or fish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is heated by a heat source such as gas fire or charcoal and the meat or fish Cook or grill the fish.

그러나, 이러한 불판은 열원이 직접 닿음에 따라 상기 열원이 가해지는 부분과 상기 불판의 외측부가 가열되는 속도가 서로 다르므로 인해 상기 불판에서의 육류를 균일하게 굽지 못하는 등 상기 육류를 굽는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uch a grill is very inconvenient to bake the meat, such as the meat is not evenly grilled on the plate because the portion of the heat source is applied and the outer portion of the plate is heated differently as the heat source is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 was a problem.

그리고, 상기 불판은 열원에 의해 쉽게 가열 및 식음에 따라 육류를 굽는 정도를 조절하기가 매우 어려운데, 즉 상기 불판에 가해지는 열원이 센 경우에는 고열에 의해 불판이 금방 가열됨에 따라 상기 불판에서 구워지는 육류의 육즙이 배출되어 제거됨에 따라 육류의 고유 맛을 내기가 어려움은 물론 상기 육류가 쉽게 타버리는 경우가 발생되고, 상기 구워진 육류를 불판으로부터 다른 접시로 옮겨놓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구워지는 육류가 불판의 표면에 눌러 붙거나 타는 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불판을 가열하는 열원이 약한 경우에는 불판의 가열 시간 및 육류를 굽는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며, 상기 열원을 제거할 경우 불판이 금방 식게 됨에 따라 상기 불판에 얹혀져 구워진 육류가 쉽게 식으면서 말라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And, it is very difficult to control the degree of grilling the meat in accordance with the heating and cooling easily by the heat source, that is, when the heat source applied to the heat plate is very hard to burn in the heat plate as soon as the plate is heated by high heat As the meat juice is discharged and removed, not only the inherent taste of the meat is difficult, but also the meat is easily burned, and the grilled meat is not only hassle to be moved from the plate to another dish, Meat sticks or burns on the surface of the grill. In addition, when the heat source for heating the plate is weak, it takes a long time to heat the plate and grill the meat, and when the heat source is removed, the plate is quickly cooled, and the meat placed on the plate is easily dried and dried. There was a problem.

그래서, 열원에 의해 상기의 불판 전체면이 고르게 가열되도록 상기 육류를 굽는 측의 불판을 간접적으로 가열하기 위하여,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11465호 '매개층을 구비한 이중구조 불판'이 개재되어 있는 바, 상기 '매개층을 구비한 이중구조 불판'은 제1판과 상기 제1판의 하면에는 열을 보존하는 매개층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결합되는 제2판을 구성함으로써, 열원에 의해 제2판을 가열하면 매개층이 가열되면서 상기 가열된 매개층의 열이 제1판으로 전달되어 상기 제1판이 가열됨에 따라 상기 매개층에 의하여 제1판의 급격한 온도 변화를 방지하므로 상기 불판에서 고기가 타거나 눌러 붙는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고기를 구워먹는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 동안 구워진 고기를 불판 위에 둘 수 있다. Thus, in order to indirectly heat the plate on the side of roasting the meat so that the entire surface of the plate is evenly heated by a heat source, Korean Unexamin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0-0011465 'Double-structure plate with media layer' As interposed therebetween, the 'double-structured non-plate with intermediate layer' constitutes a second plate which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first plat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with an intermediary layer for conserving heat therebetween. When the second plate is heated by a heat source, as the intermediate layer is heated, heat of the heated intermediate layer is transferred to the first plate, and thus, as the first plate is heated, a sudden temperature change of the first plate is prevented by the intermediate layer. In addition to preventing the burning or pressing of the meat on the grill, the user who grills the meat may place the grilled meat on the grill for a relatively long time.

그러나, 이러한 매개층을 구비한 이중구조 불판은 제1판과 제2판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열원에 의해 제2판이 가열되면서 제1판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상기 재2판에서 제1판으로 열을 전달하는 상기 제1판과 제2판 사이에 형성된 매개층은 체적의 변화없이 압력만 높아짐에 따라 상기 높아진 압력에 의해 불판이 파열되거나 파손될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내재되어 있다. However, in the dual structure baffle plate having the intermediate layer, the second plate is heated from the second plate to the first plate in the process of heating the first plate while the second plate is heated by the heat source as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re integrally combined. The intermediate layer form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hat transfers heat to the plate may rupture or break due to the increased pressure as the pressure increases without changing the volume, thereby causing a risk of a safety accident.

여기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999-0075664호 '구이용 석쇠'가 개재되어 있는 바, 상기 '구이용 석쇠'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로 이루어진 이중용기본체와, 상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수단과, 상기의 공간으로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수단을 구성함으로써, 불이 이중용기본체의 외부용기를 가열하면 상기 외부용기와 내부용기 사이의 공간에 있는 공기가 가열되면서 내부용기를 가열함에 따라 상기 내부용기에 올려놓은 고기를 굽게 되며, 상기 공간 내의 공기가 가열되어 압력이 증가하게 되면 공기배출수단을 통해 공간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공간의 압력이 저하되고, 열이 제거하면 이중용기본체가 냉각되어 공간 내의 공기 압력이 저하되면 공기유입수단을 통해 공간 내로 공기를 유입시킨다. He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999-0075664 'grilling grill' is interposed, the 'grilling grill' is a dual-use main body consisting of an inner container and an outer container, and the inside By constituting the air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air from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and the air inlet means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space, if the fire heats the outer container of the double container main body,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As the air in the space is heated, the meat placed in the inner container is grilled as the inner container is heated. When the air in the space is heated and the pressure increases, the air in the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discharge means. When the pressure in the space is lowered and the heat is removed, the dual main body is cooled, and when the air pressure in the space is lowered, air inflow means Through the air into the space.

그러나, 이러한 구이용 석쇠는 열에 의해 가열 및 냉각될 때마다 상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 및 유입시키기 위하여 여러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공기배출수단과 공기유입수단을 구비하여야 함에 따라 상기의 각 수단에 의해 구이용 석쇠의 구조가 매우 복잡함은 물론 제작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의 수단을 구비하는데 따른 제작비용, 시간 등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 제작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roasting grill should be provided with air discharge means and air inlet means composed of various components to discharge and inflow the air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to the outside each time it is heated and cooled by heat. Therefore, the structure of the grill for grilling by the above means is not only very complicated, but also very difficult to manufa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is reduced as the manufacturing cost, time, etc. according to the above means are required.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11465호(2010.11.24.)Domest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0-0011465 (2010.11.24.)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999-0075664호(1999.10.15.)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999-0075664 (1999.10.15.)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함은 물론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공기가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의 상판과 하판이 서로 포개지거나 분리가능한 이중 판 구조의 불판을 구비함으로써, 육류를 굽기 위한 열원이 가해지는 하판이 가열됨과 동시에 상기 공기부 내의 공기가 가열되고, 상기 가열된 공기의 열이 상판의 전체 면에 균일하게 전달되어 상기 상판의 전체 면을 고르게 가열할 뿐만 아니라 상기 하판의 상부에 상판이 얹혀지도록 상기 상판과 하판이 서로 겹쳐지도록 포개놓은 상태임에 따라 상기 공간부 내의 공기가 가열되어 공기의 압력이 높아질 경우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의 틈새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므로 인해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comprising a top plate and a bottom plate, as well as forming a space with air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is superimposed on each other By having a detachable plate having a double plate structure, the lower plate to which the heat source for roasting meat is applied is heated while the air in the air portion is heated, and the heat of the heated air is uniformly transmitt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upper plate.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stacked so that the upper plate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so that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air in the space is heated to increase the air pressure.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gap between the bottom plat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Th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육류나 생선 등을 올려놓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하판으로 이루어진 불판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외측부에는 외부로 기름의 유출을 방지하는 테두리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테두리의 하부에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판의 외측부에는 상기 상판과 하판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는 테두리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테두리의 상부에는 상기 상판과 하판이 탈착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부와 맞물리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는 상기 하판으로부터 전달된 열을 상판으로 전달하여 상판을 가열하도록 공기가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판과 하판이 서로 포개지도록 상기 하판의 상부에 상판으로 얹혀놓은 상태에서 열원에 의해 하판이 가열됨과 동시에 공간부에 있는 공기가 가열되고, 상기 가열된 공기의 열이 상판으로 전달되어 상판의 전체 면을 고르게 가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판 구조를 갖는 불판이 제공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upper plate on which meat or fish, etc., and the lower plate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is heated by a heat source, the outer plate of the upper plate oil An edge is formed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edge and a coupling portion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edge, and an out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is formed with an edg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t the upper portion of the edge. A fastening part is formed to engage with the coupling part to be detachably formed, and an air space part is form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transfer heat transferred from the lower plate to the upper plate to heat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verlap each other. The bottom plate is heated by a heat source in a state where the top plate is placed on the top of the bottom plate At the same time and heating the air in the space part, the heat of the heated air is transferred to the top plate is provided with a grill having a double plat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o heat evenly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top plate.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상판과 하판을 각각 구성함은 물론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공기가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이중 판 구조를 갖는 불판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불판의 상판과 하판을 서로 포개지도록 설치하거나 또는, 상판과 하판이 서로 분리가능함에 따라 상기의 불판을 설치 및 분해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불판의 상판과 하판을 각각 제작함에 따라 불판의 제작이 손쉬움은 물론 그로 인한 제작시간이나 비용 등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a top plate and a bottom plate, as well as having a baffle plate having a double plate structure for forming a space portion with air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of the plate It is not only easy to install and disassemble the fire plate as it is installed to overlap each other, or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manufacturing of the fire plate is easy as well as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f the plate are manufactured.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production time or cost.

또한, 열원이 위치하는 측에 하판을 설치하고 나서 상기 하판의 상부에 육류나 생선 등을 올려놓고 굽기 위한 상판이 포개지도록 설치함으로써, 상기 열원에 의해 하판이 가열됨과 함께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 내에 있는 공기가 가열되고, 상기 가열되는 공기는 공간부 내에서 상하, 전후좌우 방향으로 순환 및 이동함에 따라 상기 공기의 열은 상판의 전체 면으로 균일하게 전달되면서 상기 상판의 전체면을 고르게 가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plate is installed on the side where the heat source is located, and then the meat or fish is placed on top of the lower plate so that the upper plate for baking is overlapped, thereby heating the lower plate by the heat source and being form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s the air in the space is heated and the heated air circulates and moves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in the space, the heat of the air is uniformly transferr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top plate, thereby uniformly the entire surface of the top plate. It has the effect of heating.

상기 공간부 내의 공기에 의해 상판의 전체 면이 고르게 가열됨에 따라 상기 열원에 의해 상판의 온도 변화가 급격하게 변하는 것 즉, 열원이 있는 경우에 상판의 온도가 급격하게 올라가는 것 및, 열원을 제거할 경우에 상판의 온도가 급격하게 내려가는 등 상기 상판의 온도 변화가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불판의 상판에 구워지는 육류 등이 타거나 눌러 붙는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불판에서 오랜 시간 동안 구워진 육류를 둘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구워진 육류로부터 육즙의 방출을 최대한 억제함에 따라 상기 육류의 고유의 맛을 그대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As the entire surface of the top plate is uniformly heated by the air in the space part,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top plate changes rapidly by the heat source, that is, the temperature of the top plate rises sharply when there is a heat source, and the heat source can be removed. In this case, by preventing the temperature of the top plate from changing drastically, such as the temperature of the top plate decreases rapidly, not only the meat or the like baked on the top plate of the plate is burned or pressed, but also baked for a long time in the plate. It is possible to put meat as well as to suppress the release of the juice from the grilled meat as possible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original taste of the meat as it is.

또한, 상기 불판의 상판 중앙부에 김치나 마늘 등을 올려놓는 얹음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얹음부에서 김치나 마늘 등을 별도로 위치시켜 육류와 따로 구워먹음에 따라 상기 상판에 올려놓고 구워지는 육류와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구워지는 육류에서 나오는 육즙 및 기름에 밥을 비벼먹고자 할 때에는 상기 얹음부에 육류를 올려놓고 구운 다음 밥을 비벼먹을 수 있는 등 상기 하나의 불판으로 사람들이 각자 원하는 형태로 사용 가능한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a kimchi or garlic on the center of the top plate of the plate, by placing the kimchi or garlic separately in the top portion to be grilled separately from the meat and the meat is placed on the top plate and grill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o preventing mixing and to cook rice in the gravy and oil from the roasted meat, the one portion of the plate is such that the meat can be put on the top of the grilled portion and then grilled. There are also effects available.

한편, 상기 불판의 상판과 하판은 서로 겹쳐지도록 포개놓은 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상기 하판에 의해 공기가 가열되어 공간부 내에서 공기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즉, 상판의 자체 하중보다 큰 공기의 압력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공간부 내의 가열 공기 압력에 의해 하판으로부터 상판이 살짝 들려지면서 상기 상판과 하판이 겹쳐진 부분에서 틈새가 발생되고, 상기 발생된 틈새를 통해 가열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공간부 내의 공기 압력을 낮아지므로 인해 상기 가열 공기의 압력 조절이 자체적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s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f the bulge plate is installed so as to overlap each other, when the air is heated by the lower plate to increase the pressure of the air in the space portion, that is, the pressure of the air greater than its own load of the upper plate occurs When the upper plate is slightly lifted from the lower plate by the heating air pressure in the space portion, a gap is generated at the portion where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verlap, and the heat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enerated gap to increase the air pressure in the space portion. Due to the lowering of the pressure control of the heating air itself is not only natural, but also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 이중 판 구조를 갖는 불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이중 판 구조를 갖는 불판의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이중 판 구조를 갖는 불판을 단면한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이중 판 구조를 갖는 불판의 상판과 하판을 결합하는 구조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lge plate having a double plat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each configuration of the unburned plate having a double plat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eparated stat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bull plate having a double plat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other embodiment showing a structure for combining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f the bulge plate having a double plat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판 구조를 갖는 불판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fire plate having a double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본 발명은, 육류나 생선 등을 구울 때 불 위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 불판(10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불판(100)은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육류나 생선 등을 올려놓는 상판(10)과 상기 상판(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열원(110)에 의해 가열되면서 상판(10)으로 열을 전달하는 하판(20)으로 이루어져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re plate 100 that can be placed on the fire when grilling meat or fish, the fire plate 100 is a top plate for placing meat or fish, as shown in Figs. 10) and the lower plate 20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10 to transfer heat to the upper plate 10 while being heated by the heat source 110.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상판(10)과 하판(20)은 중앙부가 불판(100)의 상방을 향하도록 만곡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상판(10)의 중앙부가 만곡형성함과 함께 상기 하판(20)은 편평하게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상판(10)과 하판(10) 모두 편평하게 형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20 are curved to form a central portion upward of the bull plate 100, or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plate 10 is curved and formed. The lower plate 20 may be formed flat or both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10 may be formed flat.

즉, 이중 판 구조를 갖는 불판(100)의 상판(10)과 하판(20)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불판(100)의 사용목적이나 효과 및 구매자의 선택의 폭을 넓히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로 형성하기 위함이다. That is,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20 of the bulge plate 100 having a double plate structure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or formed in a different shape, which is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use of the bulge plate 100 And to form a variety of structures to broaden the buyer's choice.

또한, 상기 상판(10)과 하판(20)은 원형이나 타원형 및, 도면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과 같은 다각형 형상 또는, 불규칙한 형상 등으로 형성가능하다. In addition,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2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oval shape, a polygonal shape such as a square shape, or an irregular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s.

상기 상판(10)의 외측부에는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상판(10)의 상면에 올려 놓여져 구워지는 육류나 생선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기름이 불판(1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테두리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테두리부(11)에는 육류가 구워지면서 빠져나와 상판(10)의 외측 즉, 상테두리부(11) 측으로 흘러가는 기름을 상기 불판(10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14)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공(14)는 불판(100)의 사용목적이나 효과 등에 따라 형성하거나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out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1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so as to prevent oil coming out of the grilled meat or fish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fire plate 100. The part 11 is formed, and the meat is baked on the upper border part 11 and the oil flowing out of the upper plate 10, that is, the upper border part 11, flows to the outside of the burner plate 100. The discharge hole 14 for discharging is formed through, and the discharge hole 14 may or may not be formed according to the purpose or effect of use of the fire plate 100.

상기 상판(10)의 상면에는 밋밋한 상태로 형성하거나 또는, 도 2에서와 같이 상판(10)의 상면에 올려지는 육류나 생선 등이 상판(1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이격되도록 복수 개의 돌출부(15)를 형성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5 may be formed in a flat st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or may be meat or fish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as shown in FIG. 2. Can be formed.

상기 상판(10)의 상면에는 육류와 따로 김치나 야채 및 마늘 등을 굽도록 상기 김치나 야채 및 마늘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얹음부(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얹음부(13)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상판(10)의 중앙부에 형성하거나 또는, 상판(10)의 전후방향이나 좌우방향 및 사선방향 중 어느 한 방향 또는 여러 방향 등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얹음부(13)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가능한데, 이는 다양한 형태를 갖는 이중 판 구조의 불판(100)을 구비하기 위함이다.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10 is formed with a top portion 13 for placing the kimchi or vegetables and garlic to bake kimchi or vegetables and garlic separately from the meat, the top portion 13 is 1 and 2, or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plate 10, or formed long in any one direction or several directions, such as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oblique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10, the mounting portion The shape of (13)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circular, elliptical, polygonal, etc., in order to have a double plate structure fire plate 100 having various shapes.

상기 얹음부(13)에는 상기와 같이 김치나 야채 및 마늘 등만 구울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육류가 구워질 때 빠져나오는 기름과 밥을 비벼먹을 수 있도록 상기 육류를 올려놓고 굽을 수 있는 등 상기 얹음부(13)는 상기의 역할을 포함하여 다양하게 활용가능하다. The top portion 13 may not only burn kimchi or vegetables and garlic as described above, but also put the meat on the grill so as to rub oil and rice coming out when the meat is grilled. (13) can be used in various ways including the above role.

상기 상판(10)의 상테두리부(11) 하부에는 상기 상판(10)과 하판(20)이 서로 겹쳐지면서 포개질 때 상기 하판(20)으로부터 상판(10)이 유동됨 없이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12)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결합부(12)는 도 3에서와 같이 상테두리부(11)의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부(121)와, 상기 결합돌부(121)의 측방에 상테두리부(11)의 상방으로 파여진 형태로 형성된 결합홈부(122)로 이루어져 있다. Coupling portion that allows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20 to be combined without overlapping the upper plate 10 from the lower plate 20 when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20 are overlapped while overlapping each other of the upper plate 10 12 is formed, the coupling portion 12 is a coupling protrusion 121 protruding downward of the upper edge portion 11, as shown in Figure 3 and the upper edge on the sid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21 It consists of a coupling groove portion 122 formed in the shape dug upward of the portion (11).

상기 하판(20)의 외측부에는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상판(10)과 하판(20)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 즉, 상기 상판(10)의 저면과 상기 하판(20)의 상면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하테두리부(21)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outer side of the lower plate 20 separates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20 at regular intervals,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 are constant. The lower edge 21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at intervals.

상기 하테두리부(21)의 상부에는 상기 상판(10)과 하판(20)이 서로 겹쳐지면서 포개질 때 상기 하판(20)으로부터 상판(10)이 유동됨 없이 상기 상판(10)과 하판(2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부(12)와 맞물리는 구조를 갖는 체결부(22)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체결부(22)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부(12)의 결합돌부(121)가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상기 하테두리부(21)의 하방으로 파여진 형태로 형성된 체결홈부(221)와, 상기 체결홈부(221)의 측방에는 결합부(12)의 결합홈부(122)로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상기 하테두리부(21)의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부(222)로 이루어져 있다.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20 do not flow from the lower plate 20 when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20 overlap each other while overlapping the upper plate 10. )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12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22 is formed, the coupling portion 22 is a coupling protrusion of the coupling portion 12 as shown in FIG. A fastening groove 221 formed in a shape dug downward of the lower border portion 21 so that the 121 is inserted and engaged with the coupling groove 122 of the coupling portion 12 on the side of the fastening groove 221. The fastening protrusion 222 is formed to protrude upwardly of the lower border portion 21 to be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여기서, 상기 결합부(12)와 상기 체결부(22)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실시예로서, 도 4에서와 같이 결합돌부(121)과 결합홈부(122)를 갖는 요(凹)형상의 결합부(12) 및, 체결홈부(221)과 체결돌부(222)를 갖는 철(凸)형상의 체결부(22)로 형성할 수도 있는데, 즉 상기 상판(10)과 하판(20)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됨은 물론 상기 상, 하판(10,2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상기의 결합부(12)와 체결부(22)는 도 3과 도 4의 형상은 물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Here, as an embodiment showing a different shape of the coupling portion 12 and the fastening portion 22, as shown in Figure 4 coupling portion 121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121 and the coupling groove portion 122 12 and the iron-shaped fastening part 22 having the fastening groove 221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222, that is,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20 are detachably attached. Of course, the coupling part 12 and the fastening part 22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s well as those of FIG. 3 and FIG. 4 as long as the structure prevents the flow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10 and 20. have.

상기 상판(10)과 하판(20) 사이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상판(10)의 상테두리부(11)와 상기 하판(20)의 하테두리부(21)에 의해 상기 상판(10)의 저면과 상기 하판(20)의 상면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공기가 들어있는 공간부(30)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 between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20, the upper plate 10 is formed by the upper edge portion 11 of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edge portion 21 of the lower plate 20. The bottom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 is spaced at regular intervals is formed a space portion 30 containing air.

즉, 상기 공간부(30)는 상기 열원(110)에 의해 가열되는 하판(20)으로부터 전달된 열을 공급받아 공간부(30) 내의 공기가 순환 및 이동하면서 균일하게 가열되고, 상기 가열된 공기의 열은 상판(10)의 전체 면으로 고르게 전달되어 가열하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space part 30 receives heat transferred from the lower plate 20 heated by the heat source 110 and is uniformly heated while air in the space part 30 circulates and moves, and the heated air The heat of is to be evenly transferr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top plate 10 to be heated.

여기서, 상기 공간부(30) 내의 공기가 가열되어 공기의 압이 높아지면 상기 가열된 공기는 상판(10)과 하판(20)이 겹쳐진 부분의 틈새 즉, 결합부(12)와 체결부(22)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불판(100)의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결합부(12)와 체결부(22)간의 틈새가 없을 경우에는 가열된 공기의 압에 의해 상판(10)이 살짝 들려짐에 따라 상기 결합부(12)와 체결부(22) 사이에서 틈새가 발생됨에 따라 상기의 틈새를 통해 가열된 공기의 압이 빠져나가 상기 공간부(30) 내의 공기 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Here, when the air in the space part 30 is heated to increase the pressure of the air, the heated air is formed in the gap between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20, that is, the coupling part 12 and the fastening part 22. When there is no gap between the coupling part 12 and the fastening part 22 through the gap formed between the or the gap between the coupling part 12 and the fastening part 22, the upper plate 10 is lifted slightly by the pressure of the heated air. As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coupling part 12 and the fastening part 22, the pressure of the heated air is released through the gap to maintain a constant air pressure in the space part 30. Will be prevent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이중 판 구조를 갖는 불판(100)에서 육류나 생선을 굽기 위해서는 상기 불판(100)의 하판(20)을 열원(110)의 상방에 얹혀지도록 설치한 다음 상기 하판(20)의 상면에 상판(10)을 위치시킨다. 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bake meat or fish in the fire plate 100 having a double plate structure, the lower plate 20 of the fire plate 100 is installed to be placed above the heat source 110 and then the lower plate 20 Position the top plate 1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상판(10)의 상테두리부(11) 하부에 형성된 결합부(12)의 결합돌부(121)와 결합홈부(122)를 상기 하판(20)의 하테두리부(21) 상면에 형성된 체결부(22)의 체결홈부(221)와 체결돌부(222)를 일치시킨다. 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121 and the coupling groove 122 of the coupling portion 12 formed on the upper edge portion 11 of the upper plate 1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dge portion 21 of the lower plate 20. The fastening groove 221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222 of the fastening portion 22 coincide with each other.

즉, 상기 결합부(12)의 결합돌부(121)는 상기 체결부(22)의 체결홈부(221)에 삽입하고, 상기 결합부(12)의 결합홈부(122)에는 상기 체결부(22)의 체결돌부(222)를 삽입하여 상기 결합부(12)와 상기 체결부(22)가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 즉, 상기 결합부(12)와 체결부(22)에 의해 상기 상판(10)과 하판(20)은 유동됨 없이 탈착가능하게 결합 즉, 상판(10)과 하판(20)이 겹쳐지면서 포개진다. That is, the coupling protrusion 121 of the coupling part 12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part 221 of the coupling part 22, and the coupling part 22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part 122 of the coupling part 12. Insert the fastening protrusions 222 of the coupling portion 12 and the coupling portion 22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that is, the coupling portion 12 and the coupling portion 22 by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by The 20 is detachably coupled without flowing, that is,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20 are overlapped while overlapping.

이 상태에서, 상기 상판(10)의 상면에 육류나 생선을 올려놓게 되면 상기 열원(110)에 의해 하판(20)이 가열됨과 동시에 상기 가열된 하판(20)에서 공급, 전달되는 열에 의하여 상기 상판(10)과 하판(2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30) 내의 공기도 가열된다. In this state, when meat or fish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the lower plate 20 is heated by the heat source 110 and at the same time, the upper plate is heated and supplied from the heated lower plate 20. Air in the space portion 30 formed between the 10 and the lower plate 20 is also heated.

상기 공간부(30) 내의 공기는 하판(20)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상기 공간부(30) 내에서 상하방향 및 전후. 좌우방향으로 순환 및 이동되면서 균일하게 가열되고, 상기 균일하게 가열된 공기의 열은 상판(10)으로 전달되어 상기 상판(10)의 전체 면을 고르게 가열한다. Air in the space portion 30 is up and down and back and forth in the space portion 30 by the heat transmitted from the lower plate (20). Heated uniformly while being circulated and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heat of the uniformly heated air is transferred to the upper plate 10 to evenly heat the entire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그러므로, 상기 전체 면이 고르게 가열되는 상판(10)의 상면에 올려 놓여 진 육류나 생선 등은 상기 상판(10)의 상면 전체 면에서 고르게 구워지고, 상기 공간부(30) 내의 공기에 의하여 상판(10)의 온도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상판(10)에 올려져 구워지는 육류나 생선 등이 오랜 시간 동안 두어도 타거나 눌러 붙는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불판(100)에서 은근한 상태로 구워지는 육류나 생선 등으로부터 육즙의 방출을 최대한 억제함에 따라 상기 육류나 생선의 고유 맛을 그대로 유지한다. Therefore, meat or fish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in which the entire surface is heated evenly is roasted eve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and the upper plate is formed by air in the space 30. As the temperature change of 10) does not occur suddenly, the meat or fish, which is placed on the top plate 10 and baked, is prevented from burning or pressing even after being put for a long time, as well as in a quiet state in the plate 100. By maximally suppressing the release of the juice from the roasted meat or fish, the intrinsic taste of the meat or fish is maintained as it is.

한편, 상기 상판(10)의 상면에 형성된 얹음부(13)에는 상기 상판(10)의 상면에 육류를 구울 때 김치나 야채 및 마늘 등을 올려놓음에 따라 상기의 김치와 야채 및 마늘과 육류가 섞이지 않으면서 따로 구워지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kimchi, vegetables and garlic and meat is placed on the top portion 13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op plate 10 according to the kimchi or vegetables and garlic when placing meat on the top surface of the top plate 10 Try baking separately without mixing.

이때, 육류가 구워질 때 빠져나오는 육즙이나 기름 등에다가 밥을 비벼먹고자 할 때에는 상기 얹음부(13)에 육류 및 김치 등을 같이 구운 다음 밥을 넣고 비벼 먹게 되는데, 이렇게 하여도 비벼먹는 부분과 육류를 굽는 부분이 서로 다름에 따라 육류는 육류대로 굽고 밥은 밥대로 비벼먹을 수 있는 등 상기 불판(100)은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you want to mix the rice with grated meat or oil coming out when the meat is grilled, the meat and kimchi are grilled together in the top portion 13, and then the rice is mixed and eaten. As the grilling part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meat can be grilled as meat and the rice can be eaten as a rice bowl. The fire plate 100 can be used in various way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판 구조를 갖는 불판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bulge plate having a double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herein,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thu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상판 11: 상테두리부
12: 결합부 13: 얹음부
14: 배출공 15: 돌출부
20: 하판 21: 하테두리부
22: 체결부 30: 공간부
100: 불판 110: 열원
121: 결합돌부 122: 결합홈부
221: 체결홈부 222: 체결돌부
10: top plate 11: top border
12: coupling part 13: mounting part
14: discharge hole 15: protrusion
20: Bottom 21: Hateduribu
22: fastening portion 30: space portion
100: heat plate 110: heat source
121: coupling protrusion 122: coupling groove
221: fastening groove 222: fastening protrusion

Claims (3)

육류나 생선 등을 올려놓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하판으로 이루어진 불판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외측부에는 외부로 기름의 유출을 방지하는 상테두리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상테두리부의 하부에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판의 외측부에는 상기 상판과 하판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는 하테두리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하테두리부의 상부에는 상기 상판과 하판이 탈착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부와 맞물리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는 상기 하판으로부터 전달된 열을 상판으로 전달하여 상판을 가열하도록 공기가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판과 하판이 서로 포개지도록 상기 하판의 상부에 상판으로 얹혀놓은 상태에서 열원에 의해 하판이 가열됨과 동시에 공간부에 있는 공기가 가열되고, 상기 가열된 공기의 열이 상판으로 전달되어 상판의 전체 면을 고르게 가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판 구조를 갖는 불판.
In the fire plate consisting of a top plate on which meat or fish, etc., and a bottom plat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op plate and heated by a heat source,
The outer edge of the upper plate is formed with an upper edge portion for preventing the outflow of oil to the outside, and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edge portion,
A lower edge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lower plate to space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edge portion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portion that engages with the coupling portion to detach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formed a space with air to transfer the heat transferred from the lower plate to the upper plate to heat the upper plate,
The lower plate is heated by the heat source while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placed on the upper plate so that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verlap each other, and the air in the space is heated, and the heat of the heated air is transferred to the upper plate so that the entire upper plate A non-plate having a double plate structure, characterized by heating the surface evenly.
제 1 항에 있어서,
상판의 상면에는 김치나 야채 및 마늘 등을 올려놓고 굽도록 하는 얹음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판 구조를 갖는 불판.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plate of the upper plate is a bull plate having a double plat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top portion is formed to bake and put kimchi or vegetables and garlic.
제 1 항에 있어서,
상판의 결합부는 결합돌부와 상기 결합돌부의 측방에 형성되는 결합홈부로 이루어지고, 하판의 체결부는 결합돌부와 맞물리는 체결홈부와 상기 체결홈부의 측방에 형성되어 결합홈부와 맞물리는 체결돌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판 구조를 갖는 불판.
The method of claim 1,
The coupling part of the upper plate is composed of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side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lower plate is formed of a coupling groove portion engag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groove portion formed in the side of the coupling groove portion. A fire plate having a double plat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10102805A 2011-10-10 2011-10-10 roast panel having double panel formation KR1012999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805A KR101299920B1 (en) 2011-10-10 2011-10-10 roast panel having double panel 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805A KR101299920B1 (en) 2011-10-10 2011-10-10 roast panel having double panel 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441A true KR20130038441A (en) 2013-04-18
KR101299920B1 KR101299920B1 (en) 2013-08-27

Family

ID=48438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805A KR101299920B1 (en) 2011-10-10 2011-10-10 roast panel having double panel 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92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6261A1 (en) * 2020-01-17 2021-07-23 Pierre Barberet COOKING SURFACE SUPPOR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822B1 (en) * 2017-01-24 2018-10-11 원영훈 Double heating type cookwar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783Y1 (en) * 2002-08-10 2002-11-13 오문근 Cooking Pan
KR200431912Y1 (en) * 2006-08-31 2006-11-27 김영환 Double-palte typed roaster
KR200441544Y1 (en) * 2006-11-07 2008-08-25 유준복 A grill
KR101078690B1 (en) 2009-03-30 2011-11-02 김용경 A Gril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6261A1 (en) * 2020-01-17 2021-07-23 Pierre Barberet COOKING SURFACE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9920B1 (en) 201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173Y1 (en) Oven type easy cooker
KR200477614Y1 (en) Roasting plate
KR101299920B1 (en) roast panel having double panel formation
KR200422827Y1 (en) Roaster which has a water - cooling system
KR20110021541A (en) Cooking vessel for multipurpose
KR20140139860A (en) Double roast pan
KR101346816B1 (en) A double pot for multipurpose cooking
KR20130006375U (en) Barbecue meat grill plate
KR101340648B1 (en) Cookwake
KR101632833B1 (en) flame-blocking plate for charcoal fire roast
KR101713432B1 (en) Multi-function grill
KR102142681B1 (en) Baking pan
KR101557810B1 (en) Grill appratus for roasting of meat
KR20100038622A (en) Smokeless grill having plate diffusing heat
KR200461000Y1 (en) Burner board for steam heater
KR200355866Y1 (en) The pressure roasting plate
KR101251739B1 (en) Roast plate
KR102347762B1 (en) Fire plate for both direct and indirect grilling
KR100609279B1 (en) Grill plate
KR200359216Y1 (en) A Roasting Plate Of A Cooking
KR101049067B1 (en) Heating Temperature Differential Grilled Plates
KR100717079B1 (en) Table embedded with gas burner and the roast pan
JP3158370U (en) Auxiliary frame for fish roasting grilled over high heat
KR20110003628U (en) Roast pan and simple cooker using the one
KR20120105124A (en) A roster f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