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6186A - 자기 조작-방지 특징을 가진 뚜껑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 조작-방지 특징을 가진 뚜껑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6186A
KR20130036186A KR1020127022909A KR20127022909A KR20130036186A KR 20130036186 A KR20130036186 A KR 20130036186A KR 1020127022909 A KR1020127022909 A KR 1020127022909A KR 20127022909 A KR20127022909 A KR 20127022909A KR 20130036186 A KR20130036186 A KR 20130036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trap
latch
received
block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9158B1 (ko
Inventor
케년 에이 하프케
조엘 씨 브락
마이클 케이 힌츠
랜디 에스 맥도날드
마크 알 해켄캄프
조나단 에이치 올슨
아드리안 제이 탱글러
자로드 엠 술리크
Original Assignee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36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6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6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with a keeper caught between two pivoting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073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actuated by relative movement between two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11Hooked e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11Magn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세탁기(10) 또는 다른 전기 기구들을 위한 래치는 뚜껑(12) 위에 두 개의 서로 맞물리는 요소들과, 상호 반발을 위해 적응된 자석을 가지는 하우징(21)을 각각 제공한다. 이 자석들의 적절한 반발은, 전기 기구가, 예를 들어, 세탁물 회전 모드에서, 잠겨서 안전하게 동작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것과 같이, 뚜껑(12)이 적절하게 폐쇄되는지를 신호로 발생하는 것에 필수적이다.

Description

자기 조작-방지 특징을 가진 뚜껑 잠금 장치{LID LOCK WITH MAGNETIC ANTI-TAMPER FEATURE}
본 출원은 2010년 3월 1일에 출원되었으며,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병합되는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309,208호의 이득을 청구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세탁기 등과 같은 가전 기구와 관련이 있으며, 특히 탬퍼링(tampering)에 고도로 저항하는 뚜껑 잠금(lid locking) 메커니즘에 더욱 관련이 있다.
세탁기의 회전 주기(spin cycle)는 스핀 바스킷(spin basket) 안에 있는 세탁물을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젖은 세탁물로부터 물을 원심력으로 제거한다. 회전 주기 동안 사용자에 대한 상해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세탁기 뚜껑을 닫힌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전자적으로 작동되는 잠금 장치(lock)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양수인(assignee)에게 양도되고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병합되는 미국 특허 제6,363,755호, 제5,823,017호, 및 제5,520,424호는 몇 가지의 잠금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잠금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탬퍼링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잠금 장치가 작동되었을 때, 뚜껑을 열린 채로 유지시킴으로써, 잠금 메커니즘이 맞물리기 전에 그 뚜껑이 적소에 있는 것을 보장하기 하기 위해, 뚜껑 폐쇄 감지(lid closure sensing)를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있다. 종래의 기계적인 뚜껑 폐쇄 스위치들은 예를 들어, 연필 등의 단부로 스위치가 열리도록 고정시킴으로써, 종종 파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며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병합되는, 미국 특허 제7,251,961호는 뚜껑 폐쇄를 감지하기 위해 자석 및 전기적 리드(reed) 스위치를 이용하는 뚜껑 센서를 설명한다. 자기 작동기의 사용은 일시적인 탬퍼링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종래의 기계적인 뚜껑 폐쇄 스위치들에게서 종종 나타나는 스위치 열림 현상을 방지하고 일시적인 탬퍼링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은 자기장의 특정 극성, 자석 세기, 및 쉽게 복제되지 않는 근접(proximity)을 요구하는 메커니즘을 이용함으로써, 탬퍼링에 대해 훨씬 더 큰 저항을 가진 자기의 조작-방지 특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볼트 및 볼트를 수용하기 위해 대응하는 래치(latch)를 가진 전기 기구 래치(appliance latch)를 제공하며, 이 볼트 및 래치는 전기 기구 도어 및 전기 기구 프레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자석은 볼트 위에 배치되고, 제2 자석은, 볼트가 래치에 의해 수용될 때, 제1 자석의 근접(proximity)에 반응하여 이동될 래치 내부의 이동 가능한 요소 위에 배치된다. 이동 가능한 요소의 움직임과 함께 작동될 수 있는 전기적 스위치는 잠금을 위해 볼트와 래치의 적절한 맞물림을 지시하는 스위치 신호를 제공한다. 잠금 요소는, 볼트가 래치와 적절하게 맞물릴 때, 래치와 맞물린 볼트를 붙잡으며, 잠금 신호는, 해제 신호가 잠금 요소에 의해 수신되었을 때, 래치와의 맞물림으로부터 볼트의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잠금 요소에 의해 수신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특징은 다수의 정확하게 배치되는 자석들을 필요로 하는 정교한 인터록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뚜껑 잠금 시스템의 파손을 방지하여, 상해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도록 의도되는 것이다.
제1 및 제2 자석의 극성은, 볼트가 래치 내부에 적절하게 맞물릴 때, 이 볼트로부터 이동 가능한 요소를 반발시키는 것과 같은 것일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특징은 강철과 같이 자기 흡인력을 드러내는 물질들에 의해, 본 시스템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동 가능한 요소는 잠금 스위치 신호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어도 한 실시예의 특징은 잠금 동작을 트리거시키고 뚜껑의 적절한 잠금을 확증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것처럼, 잠금을 위한 뚜껑의 적절한 폐쇄를 확인하기 위해 전기 기구 제어기에 신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잠금 요소는 래치와 볼트의 맞물림으로 인해 제1 볼트-해제 위치로부터 제2 볼트-유지 위치로 이동된 트랩(trap)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양쪽의 해제 위치 중 제1 위치로 향하는 트랩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트랩이 제2 볼트-유지 위치에 있을 때, 이 트랩에 의해 수용될 수 있는 차단 요소(blocking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차단 요소와 통신하는 전기적 작동기는, 잠금 신호가 잠금 요소에 의해 수신되었을 때, 차단 요소를 트랩에 의해 수용되는 것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해제 신호가 잠금 요소에 의해 수신되었을 때, 이 차단 요소를 트랩에 의해 수용된 것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특징은 볼트의 위치를 기초로 하는 뚜껑 스위치 신호가 또한 이 볼트가 전기적 작동기에 의해 적소에 잠겨있을 수 있다는 것을 지시하는 래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전기적 작동기는 솔레노이드의 연속적인 전력 공급을 통해 트랩에 의해 수용되는 것과 트랩으로부터의 제거 사이에서 차단 요소를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 및 쌍안정 메커니즘일 수 있으며, 잠금 신호는 제1 전력 공급이고, 잠금 해제 신호는 솔레노이드의 제2 전력 공급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특징은 감소된 에너지 소비를 가진, 그리고 순간 전력 손실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 잠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트랩은 슬라이딩 부재(sliding member)이고, 제2 자석을 고정하고 있는 이동 가능한 요소는 이 트랩에 의해 미끄러지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특징은 트랩에 의해 수용되는 볼트에 대한 이동 가능한 요소 및 자석의 훌륭한 근접을 보장하는 콤팩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볼트는 한 축을 따라 래치에서 수용될 수 있고, 볼트가 래치 내부에서 수용될 때, 그 축에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볼트는 볼트를 그 축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강제로 향하게 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제1 방향은 볼트-유지 위치로 향하는 트랩의 움직임의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특징은 볼트를 유지하고 고정하도록 트랩을 배치시키기 위해 볼트 및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다.
볼트는 그 축과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탑재될 수 있고, 래치의 캠(cam) 표면은 볼트를 이동시켜서 트랩을 볼트-유지 위치로 밀어 낼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적어도 한 실시예의 특징은 이 볼트에 작용하는 캠 표면을 통해 트랩을 배치시키는 것이다.
이 트랩과 볼트의 맞물림은 뚜껑의 폐쇄를 지시하는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적어도 한 실시예의 특징은 분리형 뚜껑 스위치 오퍼레이터에 대한 필요를 제거하는 것이다.
차단 요소가 이 트랩에 의해 수용될 때, 래치로부터 맞물림이 해제되기 위한 볼트의 움직임은, 분해될 시, 잠금 스위치의 작동을 방지하는 트랩의 부서지기 쉬운 부분에 대해 차단 요소를 접하게 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특징은 추후의 잠금을 방지할 수 있는 강제적인 개방으로서 래치에 대한 손상을 감지하는 것이다.
이 트랩의 부서지기 쉬운 부분은, 부서지기 쉬운 요소의 제거로 인해 스프링 요소가 개구부를 막도록 차단 요소가 수용될 수 있는 개구부로부터 떨어진 스프링 요소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어도 한 실시예의 특징은 차단 요소를 파손하게 하고 이에 따라 잠금 신호를 작동하지 않게 함으로써 손상을 받는 신호 발신의 간단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기 기구는 전동기에 의해 동작되는 스핀 바스킷을 가지는, 그리고 볼트와 래치의 적절한 맞물림이 잠금 스위치에 의해 지시되지 않을 때, 이 전동기로부터 전력을 차단하기 위해 잠금 스위치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전기 기구 제어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세탁기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어도 한 실시예의 특징은 세탁기를 위한 향상된 래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과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청구항, 그리고 유사한 참조 번호가 유사한 특징부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도면들의 검토에 따라,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자기장의 특정 극성, 자석 세기, 및 쉽게 복제되지 않는 근접(proximity)을 요구하는 메커니즘을 이용함으로써, 탬퍼링에 대해 훨씬 더 큰 저항을 가진 자기의 조작-방지 특징을 제공한다.
도 1은 상향 개방 뚜껑의 앞면 근처에 배치된 스트라이크 애퍼쳐(strike aperture)를 도시하며, 뚜껑이 폐쇄될 때, 스트라이크와 맞물리기 위한 하향 확장 볼트를 도시하는, 본 발명과 함께 사용하는데 적절한 상부 적재형 세탁기(top loading washing machine)의 사시도 및 세부 삽화 도면.
도 2는 트랩 요소를 유지 및 잠금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볼트와 스트라이크 사이의 밀접한 공차(close-tolerance)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볼트의 부유(floating) 탑재를 도시하는, 도 1의 선 2--2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볼트가 스트라이크에 의해 수용될 때, 볼트를 맞물리게 하는 트랩의 단면도이자, 볼트 내부에 위치한, 그리고 트랩 내부에서 조작-방지 슬라이더에 의해 붙잡히는 자석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전자는 자기적인 반발의 영향 하에서 트랩 내부로 이동이 가능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볼트에서의 자석의 배향(orientation)을 도시하는, 그리고 위치 오차(positioning errors)의 개선된 조절(accommodation)을 제공하는 조작-방지 슬라이더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조작-방지 슬라이더 및 트랩 앞면에 있는 절단(breakaway) 애퍼쳐의 위치를 도시하는, 그리고 트랩의 움직임을 차단하기 위해 하강하는 차단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트랩 상부에 있는 쌍안정(bi-stable) 작동기를 도시하는, 볼트와 맞물리는 트랩의 단순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트랩의 애퍼쳐 내부에서 차단 요소의 맞물림을 도시하는, 그리고 애퍼쳐 무결성(integrity)이 래치의 강제적인 개방을 통하여 타협되었을 때, 이 맞물림의 차단을 도시하는, 선 6--6을 따라 도시된 단면도.
도 7a는 트랩과의 맞물림으로부터 차단 요소를 제거하는 제1 상태에 있는, 도 5의 쌍안정 작동기에 대한 평면도.
도 7b는 트랩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차단 요소를 트랩과 맞물리게 하는 제2 상태에 있는 쌍안정 작동기를 도시하는, 도 7a와 유사한 도면.
도 8은 솔레노이드 플런저(plunger)의 유극(clearance)을 위해 진동 방지 돌기를 자유롭게 하는 것과 같이, 도 7과 도 8의 상태들 사이에서 움직이고 있는 동안 솔레노이드의 작동을 도시하며, 명확함을 위해, 차단 요소 및 지지 잠금 스위치가 제거된, 도 7a와 도 7b와 유사한 도면.
도 9는 도 5, 도 7a, 및 도 7b의 차단 요소 및 잠금 스위치에 관한 측면도.
도 10은 솔레노이드, 잠금 스위치, 및 뚜껑 스위치의 상호 연결에 관한 개략도.
도 11은 전선들을 90도의 굽어진 방향으로 재 지정하면서, 이 전선들의 클램핑(clamping)을 제공하는,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스트레인 릴리프(strain relief)를 통한 단면도.
도 12는 분해된 형태로 도시되는, 도 11의 스트레인 릴리프의 부분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되기 전에, 본 발명은, 그 응용에 있어서 다음의 설명에서 진술되거나, 도면에서 예시되는 구성 요소들의 구조 및 배열에 관한 세부 사항들에 제한되지 않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을 수용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실행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문체 및 전문 용어는 설명의 목적을 위함이고, 제한으로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포함하는", "포함하다", 및 이들의 변형은 추후에 제시되는 항목들, 및 이에 따른 등가물, 그리고 추가적인 항목들, 및 이에 따른 등가물을 포괄한다는 의미이다.
이제, 도 1을 참조해보면, 본 발명과 함께 사용하는데 적합한 상부 적재형 세탁기(10)는 수평의 뚜껑 경첩 축(14)에 대하여 위로 개방되는 뚜껑(12)을 포함한다. 이 뚜껑 경첩 축(14)은, 세탁물이 스핀 바스킷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20)를 노출시키고 덮도록, 뚜껑(12)의 뒷면 모서리(16)가 올려지고 내려질 수 있기 위하여, 세탁기(10)의 상부 뒷면 모서리 근처에 배치된다. 또한, 전면-적재 세탁기(도시되지 않음)는, 이 배향의 적절한 조절을 통해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들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함께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세탁기(10)의 상부(22)의 수평적인 표면은, 개구부(20) 주변(periphery)에서, 상부(22)의 밑바닥에 고정된 래치(25)의 하우징(21)에서 스트라이크 애퍼쳐(24) 형태를 지지할 수 있다. 이 스트라이크 애퍼쳐(24)는 뚜껑(12)의 밑바닥에 부착된 하향 확장형 볼트(26)를 수용하기 위해, 위로 개방된다. 이 스트라이크 애퍼쳐(24)와 볼트(26)는 모두 축(14)에 평행하게 오프셋되고, 앞 모서리(16)의 중앙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세탁기(10)로의 적재 및 하적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한다.
이제 도 2를 참조해보면, 볼트(26)는 하향 확장형 암(28)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암(28)은, 도 2에서 도시되는 것과 같이, 이 암(28)으로부터 왼쪽으로 일반적으로 세탁기(10)의 사용자를 향해 확장하는 고리 부분(30)에서 종결된다. 이 암(28)의 상단부는, 스프링(34)에 의해 개략적으로 지시되는 탄성력(spring force)의 복원 시, 뚜껑(12)에 관하여 화살표(32)에 의해 지시되는 것과 같이, 왼쪽과 오른쪽으로 선회하도록, 뚜껑(12)에 탑재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고리 부분(30)의 왼쪽 및 오른쪽 표면은 세탁기(10)의 제조시 위치 공차(positional tolerance) 및 세탁기(10)의 마모를 조절하는데, 그리고 설명되는 트랩의 이동을 제공하는데 필요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 뚜껑이 폐쇄되면, 고리 부분(30)은 스트라이크 애퍼쳐(24) 쪽으로 이동되고, 이 스트라이크 애퍼쳐(24)를 한정하는 애퍼쳐 베젤(38)의 우향 제1 경사진 모서리(36)에 의해 오른쪽으로 인도된다. 이 애퍼쳐 베젤은 고리 부분(30)을 위치(29b)로 이동시키고, 볼트(26)의 왼쪽 모서리는 후퇴되지 않는 트랩(40)(도 2의 후퇴된 위치에서 도시됨)의 오른쪽 모서리와 제1 위치(31)에서 정렬된다. 그 후, 볼트(26)는, 고리 부분(30)이 위치(29c)로 지나가면, 트랩(40) 내부 개구부의 왼쪽 모서리가 위치(31')로 이동되기 위하여, 트랩(40)을 복원 스프링(도 2에 도시되지 않음)에 대항하여 왼쪽으로 밀어내도록, 좌향 제2 경사진 모서리(42)에 의해 강제로 왼쪽으로 향하게 된다.
트랩(40)의 다음에 이어지는 표면(33)은, 이 트랩이 위치(29c)에서 볼트(26)와 함께 후퇴될 때, 경사진 모서리(36)의 바닥면 상의 레지(ledge) 아래에서 고리 부분(30)을 트래핑하여, 고리 부분(30)의 우향 이동을 방지한다. 경사진 모서리(36)와 경사진 모서리(42)에 의해 한정된 이 꾸불꾸불한 경로는, 볼트(26)의 왼쪽 모서리가 뚜껑(12)과 상부(22)사이의 공차 변화(tolerance variations)에도 불구하고 아주 근접하여 트랩(40)의 왼쪽 모서리(41)에 인접하는 것을 보장하고, 앞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 볼트(26)가 잠금을 위해 필요되는 후퇴된 위치로 트랩(40)을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해보면, 트랩(40)은, 이 트랩(40) 내에서 트랩(40)에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조작-방지 슬라이더(44)를, 정지 표면(43)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서 좌-우 방향(47)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볼트(26)의 고리 부분(30)은, 슬라이딩 트랩(40)의 개구부의 왼쪽 모서리(41)에 가까운 조작-방지 슬라이더(44)의 오른쪽 단부에서, 대응하는 자석(48)에 대항하고 반발하는 배향을 가지는 내장형 자석(46)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자기적 반발력은, 볼트(26)가 왼쪽 모서리(41)로 미끄러지듯 이동하게 되면, 트랩(40)의 미끄러짐에 대하여 고정 점에 탑재되는, 그리고 위치(29c)에 있는 볼트(26)의 존재 및 이에 따른 뚜껑(12)의 폐쇄를 지시하도록 사용되는 접점 세트(50)를 닫기 위해, 조작-방지 슬라이더(44)를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리하여, 이 조작-방지 슬라이더(44)는 한 도구로부터 볼트(26)를 구별하며, 비록 이 도구가 강자성체(ferromagnetic)일 지라도, 이 도구는 트랩(40)을 탬퍼링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 조작-방지 슬라이더는 접점 세트(50)에 의해 오른쪽으로 치우치게 되고, 트랩(40)의 이동 범위의 대부분에 걸쳐, 트랩(40)의 움직임에 독립적으로 이동된다. 정지 표면(43)은 이 표면을 정체 현상(sticking)으로부터 방지하기 위한 트랩(40)의 움직임과 함께 조작-방지 슬라이더(44)의 일부 움직임을 보장하지만, 이 움직임은 접점 세트(50)를 동작시키기에 충분하지 않다.
이제, 도 4를 참조해보면, 자석(46)과 자석(48)은, 볼트(26)의 맞물림의 방향을 따라 상하 및 측방향으로(경첩 축과 평행) 자석의 경미한 오정렬(misalignment)에 대항하여 향상된 면역성(immunity)을 제공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그들의 가장 큰 치수 확장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프리즘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확한 극성의 강하고 집중된 자기장이, 볼트(26)가 정확한 위치(29c)에 있지 않을 경우, 세탁기의 동작을 방지하는 조작-방지 접점 세트(50)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하다.
이제, 도 5를 참조해보면, 이 슬라이딩 트랩(40)은, 보통, 고리 부분(30)이 도 2에 도시되는 위치(29b)로 이동할 때, 고리 부분(30)을 수용하고 , 그 후, 상향 이동에 대항하여 고리 부분(30)을 고정하도록, 스프링(52)으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되는 바이어싱 스프링에 의해 오른쪽 방향으로 치우친다. 이 트랩(40)은 왼쪽 모서리에 애퍼쳐(63)를 포함한다. 트랩(40)이 왼쪽에서 후퇴되어, 고리 부분(30)을 포획할 때, 애퍼쳐(63)는 트랩(40) 위에 배치된 작동기 메커니즘(55)으로부터 애퍼쳐(63)로 내려갈 수 있는 차단 요소(54)와 정렬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트랩(40)의 오른쪽 이동은, 애퍼쳐(63)의 왼쪽 벽을 형성하는 봉쇄 표면(53)에 인접하는 차단 요소(54)의 왼쪽 표면 사이의 간섭으로 인해 중단된다. 그래서, 트랩(40)은, 차단 요소(54)가 트랩(40)에 대한 차단 요소의 임무를 수행할 때, 볼트(26)를 적소에 고정하는 트랩의 임무를 수행한다.
이제 도 5, 도 6a, 및 도 9를 참조해보면, 차단 요소(54)는 유연한 리프 스프링(56)의 영향 하에 아래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유연한 리프 스프링(56)은, 차단 요소(54)가 내려지고 잠금 스위치(57)가 폐쇄되도록 접점들이 연결될 때, 래치(25)의 적절한 잠금을 지시하는 잠금 스위치(57)의 한 쌍의 접점들 중 한 개를 고정한다. 이 시점에서, 차단 요소(54)는, 리프 스프링(56)을 들어올려서 이 리프 스프링(56)의 경사진 부분(59)에 접속함으로써 차단 요소(54)를 끌어올릴 수 있는 쐐기 요소(58)를 제공하는 쌍안정 솔레노이드 메커니즘(60)(도 5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아래에 설명됨)의 작동에 의해서만 오로지 맞물림이 풀릴 수 있다.
도 5를 다시 참조해보면, 이 봉쇄 표면(53)은, 차단 요소(54)가 볼트(26)의 강제적인 추출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것처럼 하강했을 때, 이 트랩(40) 상에서 오른쪽으로 눌림으로써 잠금이 강제적으로 개방된다면, 도 6b에서 도시되는 것과 같이 절단될 수 있는 얇은 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봉쇄 표면(53)이 절단될 때, 트랩(40)의 아래 표면에 배치된 리프 스프링(71)은 자유롭게 위쪽으로 이동하고, 트랩(40)의 이동 범위에 걸쳐, 잠금 스위치 상의 접점들을 개방하면서, 리프 스프링과 함께 차단 요소(54)를 옮긴다.
이제, 도 9,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해보면, 쌍안정 메커니즘은, 솔레노이드가 작동될 때, 플런져(64)가 이 솔레노이드로 당겨지도록 하는 전기적 솔레노이드(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플런져(64)는 솔레노이드(62)가 동작되지 않을 때, 솔레노이드(62)로부터 플런져(64)를 확장하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66)에 의해 둘러쌓일 수 있다. 이 플런져(64)의 단부는, 플런져가 솔레노이드(62)로부터 일정 간격이 떨어진 정상부(apex) 방향으로 경사진, 그리고 플런져(64)의 축과 정렬된, 각진 트랙(68)에 의해 완전히 확장될 때, 플런져(64)의 축과 정렬되도록 안내되는 선회하는 고리(67)에 연결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62)가 동작될 때, 고리(67)는, 솔레노이드(62)의 연속적인 전력 공급이 해제되고 그 후 플런져(64)에서 당기는 것이 진동 요소(70)가 도 7a와 도 7b에서 도시되는 극단들(extremes) 사이에서 진동하는 것을 야기하기 위해서, 내부로 당겨지며 진동 요소(70)의 톱니가 있는 앞 표면에 접촉한다. 진동 요소(70)의 톱니가 있는 표면은 이 표면이 이러한 쌍안정 이동을 야기하면서 트랙(68)의 정상부에서 활동하지 않는 위치로부터 이동했기 때문에, 진동 요소(70)의 반대 측면에 당겨지도록 고리(67)를 안내한다.
도 7b에서 도시되는, 시계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되는 단부는 일반적으로 트랩(40)을 위한 잠겨진 상태를 제공하지만, 반면에 도 7a의, 시계반대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되는 단부는 일반적으로 트랩(40)의 잠겨지지 않은 상태를 제공한다.
도 9를 다시 참조해보면, 이 잠겨지지 않은 상태는, (도 5에 도시된) 트랩(40)의 애퍼쳐와의 맞물림으로부터 차단 요소(54)를 들어올리기 위해, 리프 스프링(56)의 경사진 부분(59) 아래에 배치되고 있는 쐐기 요소(58)와 관련이 있다. 대조적으로, 이 잠겨진 상태는, 차단 요소(54)가 트랩(40)의 애퍼쳐로 하강하는 것을 허용하는, 리프 스프링(56)의 경사진 부분(59)으로부터 제거될 쐐기 요소(58)와 관련이 있다.
이제, 도 7a, 도 7b, 및 도 8를 참조해보면, 진동 요소(70)는, 솔레노이드(62)가 전력 공급되지 않는 중이고 나선형 스프링(66)에 의해 이미 완전히 확장될 때, 플런져(64)의 단부에 인접하기 위해, 거기서부터 왼쪽으로 확장한, 진동 방지 돌기(72)를 가진다. 도 7a의 잠기지 않은 상태와 도 7b의 잠긴 상태에 있어서, 확장된 플런져(64)의 대항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이 진동 방지 돌기(72)는, 솔레노이드 플런져(64)가 완전히 확장되면, 진동으로부터 진동 요소(70)의 회전을 단독으로 방지한다. 이 솔레노이드(62)가 동작될 때, 그러나 도 8에서 도시되는 것과 같이, 솔레노이드 플런져(64)의 끌어당김은, 진동 방지 돌기(72)가 플런져(64)의 단부를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며, 진동 요소(70)의 회전이 발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제, 도 10을 참조해보면, 래치(25)는, 예를 들어, 해제 가능한 콘넥터 등에 의해, 세탁기(10) 상에 있는 사이클 타이머 또는 다른 제어 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4개의 컨덕터(76)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컨덕터들(76) 중 하나는, 접점 세트(50)의 한 측면에 연결되는 전압의 공통 소스를 위한 연결을 제공하며, 이 접점 세트(50)는 다른 측면이 뚜껑 스위치 신호를 공급하는 컨덕터(76)에 연결되는 뚜껑 스위치를 제공한다. 또한, 공통의 컨덕터는 잠금 스위치(57)의 한 측면에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측면은 컨덕터(76)에 잠금 스위치 신호를 제공한다. 결국, 이 공통의 컨덕터는 또한, 솔레노이드(62)의 한 측면에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측면은, 잠금 신호, 및 전기적 전류 흐름이 연속적인 해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컨덕터를 제공한다.
이제, 도 11과 도 12를 참조해보면,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메커니즘을 고정하는 하우징을 빠져나가는 배선 장비(80)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배선들은 주름잡힌 튜브 모양(bellows-shaped)의 외부 표면을 가진 소위 스플릿 룸 튜브(82)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두-부분의 부싱(bushing: 84)은, 스플릿 룸 튜브(82)의 트러프(trough)를 이에 대응하여 이격된 돌기(88)와 맞물리도록 함께 스냅(snap) 연결하는 제1 부분(86a)과 제2 부분(86b)을 제공한다. 제2 부분(86b)은 상향 확장하는 핑거(90)를 제공하고, 제1 부분은 내부적으로 포함된 배선(92)을 부분(86a)과 부분(86b)이 함께 만나는 구불구불한 경로로 구부리는, 하향 확장하는 핑거(91)를 제공한다. 이 경로는 스플릿 룸 튜브(82)의 축을 향해 대략 90도로 부싱(84)을 통하여 위로 빠져나간다. 이러한 방법으로, 스트레인 릴리프가 얻어질 수 있으며, 이는 또한 90도의 통로를 위한 배선의 구부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오로지 참조의 목적으로 본 명세서에 특정 전문 용어가 사용되고, 이에 따라 제한함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향", "아래에", "위에서", "하향"과 같은 용어는 참조가 이루어진 도면에서 방향을 언급한다. "왼쪽", "오른쪽", "앞", "뒷", "바닥", 그리고 "측면"과 같은 용어는, 논의 하에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텍스트 및 관련 도면에 대한 참조로서 명백해지는, 일관적이지만 임의적인 프레임 내부 구성 요소의 부분들의 배향을 설명한다. 이러한 용어는 상기 구체적으로 언급된 단어들, 그에 따른 파생어들, 그리고 유사한 도입 단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도, 용어 "제1", "제2", 그리고 이러한 구조를 언급하는 다른 수치 용어들은 문맥에 의해 명백히 지시되지 않는 경우, 차례 또는 순서를 암시하지 않는다.
본 개시 사항의 구성 요소들, 특징들, 및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소개할 때, "하나", "한", "그", "이", 그리고 "상기"와 같은 어구는 이러한 요소들 또는 특징들의 한 개 이상의 존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포함하다", "포함하는", "가지는"과 같은 용어는 총괄적이라고 의도되며, 구체적으로 제시된 것들 이외의 다른 추가적인 요소들이나 특징들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단계, 절차, 및 동작은 실행의 순서로서 특별히 식별되지 않는 한, 논의되거나 도시되는 특정 순서에 반드시 입각하여 이들의 실행을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됨이 더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단계들이 이용될 수도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은 다음의 청구항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구성 요소들의 구조 및 배열에 관한 세부 사항들에 대한 적용에 있어서 제한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을 수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실행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진술의 변경 및 수정들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속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드러나고 정의되는 본 발명은 텍스트 및/또한 도면으로부터 언급되는 또는 명백한 두 개 이상의 개별 특징들의 모든 대안적인 결합들로 확장됨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모든 상이한 결합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대안적인 양상들을 구성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최선의 방식을 설명하며, 당업자들이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10 : 세탁기 12 : 뚜껑
14 : 수평의 뚜껑 경첩 축 16 : 뚜껑의 뒷면 모서리
20 : 개구부 21 : 하우징
22 : 세탁기의 상부 24 : 스트라이크 애퍼쳐
25 : 래치 26 : 볼트
28 : 확장형 암 30 : 고리 부분
32 : 화살표 34 : 스프링
36 : 제1 경사진 모서리 38 : 애퍼쳐 베젤
40 : 트랩 41 : 왼쪽 모서리
42 : 제2 경사진 모서리 43 : 정지 표면
44 : 조작-방지 슬라이더 46 : 내장형 자석
48 : 자석 50 : 접점 세트
52 : 스프링 53 : 봉쇄 표면
54 : 차단 요소 55 : 작동기 메커니즘
56 : 리프 스프링 57 : 잠금 스위치
58 : 쐐기 요소 59 : 경사진 부분
60 : 쌍안정 솔레노이드 메커니즘 62 : 전기적 솔레노이드
64 : 플런져 66 : 나선형 압축 스프링
67 : 선회하는 고리 68 : 각진 트랙
70 : 진동 요소 72 : 진동 방지 돌기
76 : 컨덕터 80 : 배선 장비
82 : 스플릿 룸 튜브 84 : 부싱

Claims (21)

  1. 전기 기구 래치 어셈블리로서,
    볼트, 및 상기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해당 래치로서, 상기 볼트 및 래치는 전기 기구 도어 및 전기 기구 프레임에 배치 가능한, 볼트 및 래치;
    상기 볼트에 배치되는 제1 자석;
    상기 볼트가 상기 래치에 의해 수용될 때, 상기 제1 자석의 접근에 대한 반응으로 이동될 상기 래치 내부의 이동 가능한 요소 위에 배치되는 제2 자석;
    잠금을 위해 상기 볼트와 상기 래치의 적절한 맞물림을 지시하는 뚜껑 스위치 신호를 제공하는 상기 이동 가능한 요소의 이동과 함께 작동 가능한 전기적 스위치; 그리고,
    상기 볼트가 적절히 맞물리며, 잠금 신호가 잠금 요소에 의해 수신되었을 때, 상기 래치와 맞물리는 상기 볼트를 고정하고, 그리고 잠금 해제 신호가 상기 잠금 요소에 의해 수신되었을 때, 상기 래치와의 맞물림으로부터 상기 볼트의 해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잠금 요소;를 포함하는, 전기 기구 래치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의 극성은, 상기 볼트가 상기 래치 내부에서 적절히 맞물릴 때, 상기 볼트로부터 상기 이동 가능한 요소를 반발시키는, 전기 기구 래치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자석들은, 수직 각에서 서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확장하는 그들의 가장 큰 치수를 가지는 직사각형의 프리즘인, 전기 기구 래치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한 요소는, 상기 뚜껑 스위치 신호들을 제어하는 상기 전기적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전기 기구 래치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요소는,
    상기 래치와 상기 볼트의 맞물림으로써, 제1의 볼트-유지 위치로부터 제2의 볼트-유지 위치까지 이동 가능한 트랩;
    상기 제1의 볼트-유지 위치로의 상기 트랩의 움직임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트랩이 상기 제2의 볼트-유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트랩에 의해 수용되는 차단 요소; 및
    상기 잠금 신호가 상기 잠금 요소에 의해 수신되었을 때, 상기 차단 요소를 상기 트랩에 의해 수용되는 것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그리고 상기 잠금 해제 신호가 상기 잠금 요소에 의해 수신되었을 때, 상기 차단 요소를 상기 트랩에 의해 수용된 것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상기 차단 요소와 통신하는 전기적 작동기;를 포함하는, 전기 기구 래치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작동기는 상기 솔레노이드의 연속적인 전력 공급을 통해 상기 트랩에 의해 수용되는 것과 상기 트랩으로부터의 이동 사이에서 상기 차단 요소를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 및 쌍안정 메커니즘이고, 상기 잠금 신호는 제1 전력 공급이고 상기 잠금 해제 신호는 상기 솔레노이드의 제2 전력 공급인, 전기 기구 래치 어셈블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은 슬라이딩 부재이고 상기 이동 가능한 요소는 상기 트랩에 의해 미끄러지듯 고정되는, 전기 기구 래치 어셈블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한 축을 따라 상기 래치에서 수용되고, 상기 볼트가 상기 래치 내부에서 수용될 때, 상기 축에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전기 기구 래치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상기 축에 수직인 상기 이동을 위해 선회하며, 상기 축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상기 볼트를 강제로 향하게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전기 기구 래치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볼트 유지 위치로 향하는 상기 트랩의 이동의 방향인, 전기 기구 래치 어셈블리.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상기 축에 수직인 이동을 위해 탑재되며, 상기 래치의 캠 표면은 상기 볼트가 상기 트랩을 상기 볼트 유지 위치로 밀도록 이동시키는, 전기 기구 래치 어셈블리.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에 의해 수용되는 것을 향한 상기 차단 요소의 이동은 상기 뚜껑의 잠금을 지시하는 잠금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전기 기구 래치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요소가 상기 트랩에 의해 수용될 때, 상기 래치로부터 상기 볼트의 맞물림을 해제하기 위한 상기 볼트의 움직임은, 분해될 시, 상기 트랩에 의해 수용되는 것을 향한 상기 차단 요소의 이동을 방지하는 상기 트랩의 부서지기 쉬운 부분에 대해, 상기 차단 요소에 인접하게 되는, 전기 기구 래치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의 상기 부서지기 쉬운 부분은, 상기 부서지기 쉬운 요소의 제거가 스프링 요소가 개구부를 막는 것을 야기하도록 상기 차단 요소가 수용될 수 있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떨어진 상기 스프링 요소를 지지하는, 전기 기구 래치 어셈블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구는, 전동기에 의해 동작되는 스핀 바스킷을 가지며, 그리고 추가로 상기 볼트와 상기 래치의 적절한 맞물림이 상기 전기적 스위치에 의해 지시되지 않을 때, 상기 전동기로부터 전력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전기적 스위치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생성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전기 기구 제어를 더 포함하는, 전기 기구 래치 어셈블리.
  16. 세탁기 래치와 함께 탬퍼링을 감지하는 방법으로서,
    볼트와, 상기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해당 래치를 전기 기구 도어 및 전기 기구 프레임 상에 부착시키는 단계;
    제1 자석을 상기 볼트 내부에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볼트가 상기 래치에 의해 수용될 때, 상기 제1 자석의 근접에 반응하여 이동되도록 상기 래치 내부에 있는 이동 가능한 요소 위에 배치되는 제2 자석을 반발시키기 위해, 상기 볼트를 상기 래치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볼트와 상기 래치의 적절한 맞물림을 지시하는 뚜껑 스위치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이동 가능한 요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전기적 잠금 신호에 응답하는 잠금 요소에 의해, 상기 볼트를 상기 래치 안에 포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탬퍼링을 감지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요소는 상기 볼트의 단부를 포획하고, 상기 래치와 상기 볼트의 맞물림의 힘에 의해 제1 볼트-해제 위치로부터 제2 볼트-유지 위치까지 상기 트랩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미끄러지듯 이동 가능한 트랩인, 탬퍼링을 감지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은, 상기 트랩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쌍안정 작동기에 의해, 차단 요소를 상기 트랩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2 볼트-유지 위치에 고정하는, 탬퍼링을 감지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요소가 상기 트랩에 의해 수용될 때, 상기 래치로부터 상기 볼트의 맞물림을 해제하기 위한 상기 볼트의 움직임은, 상기 트랩의 부서지기 쉬운 부분에 대해 상기 차단 요소에 인접하는 것을 야기하고, 상기 볼트가, 상기 래치에 대한 손상을 지시하는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래치로부터 강제로 이동될 때, 상기 차단 요소에 인접하는 상기 트랩의 부서지기 쉬운 부분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탬퍼링을 감지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의 상기 부서지기 쉬운 부분은, 상기 부서지기 쉬운 요소의 이동이 스프링 요소가 개구부를 막도록 상기 차단 요소가 수용될 수 있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떨어진 상기 스프링 요소를 지지하는, 탬퍼링을 감지하는 방법.
  21. 원통 모양의 루멘(lumen)을 제공하는 타입의 스플릿 룸 튜빙(tubing)과 함께 사용을 위한 배선 안전 장치로서, 상기 원통 모양의 루멘은 상대적으로 더 큰 반경의 원주 리지(ridge)와 상대적으로 더 작은 반경의 트러프(trough)를 교대로 가지는, 배선 안전 장치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 왕래하는 개구부를 가지는 도관(conduit)을 제공하기 위한, 맞물림 축을 따라 상호 맞물리는, 제1 및 제2의 셸(shell);
    상기 제1의 개구부에 근접한 상기 제1의 셸로부터 상기 축에 평행한 상기 도관의 내부 방향으로 확장하는 일련의 돌기로서, 상기 돌기는, 상기 스플릿 룸 튜빙이 상기 도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의 개구부로부터 확장할 때, 상기 스플릿 룸 튜빙의 상기 트러프와 맞물리도록 적응되는, 일련의 돌기; 그리고,
    패널(panel)의 구멍과 맞물림을 위한, 상기 제2 개구부에서의 부싱;을 포함하는, 배선 안전 장치.

KR1020127022909A 2010-03-01 2011-02-25 자기 조작-방지 특징을 가진 뚜껑 잠금 장치 KR101779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0920810P 2010-03-01 2010-03-01
US61/309,208 2010-03-01
PCT/US2011/026199 WO2011109235A1 (en) 2010-03-01 2011-02-25 Lid lock with magnetic anti-tamper fea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186A true KR20130036186A (ko) 2013-04-11
KR101779158B1 KR101779158B1 (ko) 2017-09-18

Family

ID=4398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909A KR101779158B1 (ko) 2010-03-01 2011-02-25 자기 조작-방지 특징을 가진 뚜껑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36406B2 (ko)
KR (1) KR101779158B1 (ko)
CN (2) CN102782202B (ko)
WO (1) WO20111092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4944A (ko) * 2016-07-05 2018-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3427B2 (en) * 2011-01-24 2016-01-26 Carefusion 303, Inc. Self-aligning modular latch
US9598807B2 (en) * 2012-08-10 2017-03-21 Whirlpool Corporation Lid lock for household appliance
CN104918531B (zh) * 2013-01-17 2017-05-17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具有电压编码布线的电器锁
US20140319850A1 (en) * 2013-03-15 2014-10-30 Securitech Group, Inc. Magnetic door lock assembly
KR102071705B1 (ko) * 2013-06-26 2020-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도어 개폐 검출 장치
WO2015066580A2 (en) * 2013-11-04 2015-05-07 Illinois Tool Works Inc. Appliance latch striker
US9598811B2 (en) * 2013-11-05 2017-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10316454B2 (en) 2013-12-04 2019-06-11 Illinois Tool Works Inc. Tamper resistant appliance latch
DE102014209113A1 (de) * 2014-05-14 2015-11-19 BSH Hausgeräte GmbH Verriegelungseinrichtung zum Verriegeln einer Tür eines Haushaltsgeräts, Haushaltsgerät und entsprechendes Verfahren
KR102295086B1 (ko) * 2014-12-04 2021-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US10871349B2 (en) 2015-01-05 2020-12-22 Crosman Corporation Firearm associated electronic device with acceleration resistant latch
US9957657B2 (en) 2015-01-30 2018-05-01 Emz-Hanauer Gmbh & Co. Kgaa Appliance lock
JP6357653B2 (ja) * 2015-03-30 2018-07-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US9691575B2 (en) * 2015-04-10 2017-06-27 Way-More Hopper control actuator
CN106283511B (zh) * 2015-05-22 2022-04-0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盖体开合结构及洗衣机
ITUB20153594A1 (it) * 2015-09-14 2017-03-14 Illinois Tool Works Dispositivo blocco-porta per elettrodomestici, in particolare per lavatrici
WO2017171215A1 (en) 2016-03-28 2017-10-05 Lg Electronics Inc.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CN107237085B (zh) * 2016-03-29 2019-05-21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波轮洗衣机
CN107237096B (zh) * 2016-03-29 2019-05-21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波轮洗衣机
DE102016008044B4 (de) * 2016-07-01 2021-09-23 Emz-Hanauer Gmbh & Co. Kgaa Elektrisches Haushaltsgerät, insbesondere Geschirrspülmaschine
DE102016008317B4 (de) * 2016-07-07 2018-10-31 Emz-Hanauer Gmbh & Co. Kgaa Türverschluss für ein elektrisches Haushaltsgerät
US10371185B2 (en) * 2017-01-09 2019-08-06 David Lynn Magnetically-controlled connectors and methods of use
US10269520B2 (en) * 2017-08-10 2019-04-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ermanent magnet contactor
CN112482893B (zh) 2018-06-04 2022-05-10 东莞安联电器元件有限公司 门锁、锁盖结构及锁止机构
DE102019005564B3 (de) 2019-05-10 2020-09-17 Emz-Hanauer Gmbh & Co. Kgaa Türverschluss für ein elektrisches Haushaltsgerät
KR102373576B1 (ko) * 2020-02-25 2022-03-10 하수남 손잡이를 겸한 창문 이중잠금장치
KR102346960B1 (ko) * 2020-04-20 2022-01-03 전대훈 창문 잠금장치
DE102020124399B3 (de) * 2020-08-31 2021-10-21 Emz-Hanauer Gmbh & Co. Kgaa Elektrisches Haushaltsgerät und Türverschluss hierfür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1805A (en) * 1959-03-09 1962-08-28 Magnetrol Inc Electric switch control means
US3622922A (en) * 1969-09-24 1971-11-23 Denki Onkyo Co Ltd Electric pushbutton switch
DE2043042C3 (de) * 1970-08-31 1973-09-20 Danfoss A/S, Nordborg (Daenemark) Magnetfeldbetätigter bistabiler elektrischer Schalter
ATE110493T1 (de) 1989-04-13 1994-09-15 Ellenberger & Poensgen Sicherheits-türschloss für türen von elektrogeräten.
US5485733A (en) * 1993-05-13 1996-01-23 Hoffman; Charles G. Concealed magnetic lock for cabinet closure
DE4332685A1 (de) * 1993-09-25 1995-03-30 Licentia Gmbh Elektrischer Wäschetrockner
US5520424A (en) 1995-01-30 1996-05-28 U.S. Controls Copr. Tamper-proof door switch and latch device
DE19601228C5 (de) * 1996-01-15 2007-08-16 Emz-Hanauer Gmbh & Co. Kgaa Vorrichtung zum Verriegeln der Tür einer Wasch- oder Spülmaschine
JPH09217532A (ja) * 1996-02-15 1997-08-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等の蓋ロック装置
US5823017A (en) 1996-12-10 1998-10-20 U.S. Controls Corporation Rapid release washing machine lid lock
US6363755B1 (en) 1999-12-07 2002-04-02 Ark-Les Corporation Timed release washing machine lid lock
US6659516B2 (en) * 2001-01-05 2003-12-09 Apple Computer, Inc. Locking system for a portable computer
JP2004166454A (ja) * 2002-11-15 2004-06-10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US7251961B2 (en) 2003-01-14 2007-08-07 Ark-Les Corporation Washing machine lid lock with magnetic lid sensor
DE10312269A1 (de) * 2003-03-19 2004-09-30 Drumm Gmbh Magneto-mechanische Schließeinrichtung
US7654590B2 (en) * 2005-01-04 2010-02-02 Illinois Tool Works, Inc. Magnetic appliance latch
US7234739B2 (en) * 2005-02-10 2007-06-26 Washin Optical Co., Ltd. Magnetic latch assembly
JP4475142B2 (ja) * 2005-03-01 2010-06-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線カバー
AT502553B1 (de) * 2005-03-15 2008-02-15 Dietzel Gmbh Elektro-installations-wellrohr
JP4466455B2 (ja) * 2005-04-27 2010-05-26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の保護構造
FR2895581B1 (fr) * 2005-12-23 2008-02-29 Sofanou Sa Gaine de protection annelee, fendue et incisee pour former une charniere
SE529117C2 (sv) * 2006-06-02 2007-05-02 Optosolutions Sweden Ab Låsanordning
US7705253B2 (en) 2006-10-26 2010-04-27 Illinois Tool Works, Inc. Appliance lock using a motor driven linear actuator with helical spring drive
DE102006052428A1 (de) * 2006-11-07 2008-05-0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gerät zur Pflege von Wäschestücken, insbesondere Wäschetrockner
US20080179895A1 (en) * 2007-01-30 2008-07-31 Inventec Corporation Two-way fastening structure for tablet PC
DE102007013292A1 (de) * 2007-03-16 2008-09-18 Magcode Ag Magnetische Schaltvorrichtung
US8399762B2 (en) * 2007-06-11 2013-03-19 Solibro Research Ab Electrical feed-through
CN101662906B (zh) * 2008-08-26 2011-08-3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4944A (ko) * 2016-07-05 2018-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36406B2 (en) 2014-05-27
CN105256506B (zh) 2017-12-15
WO2011109235A1 (en) 2011-09-09
CN102782202B (zh) 2015-09-23
US20120312594A1 (en) 2012-12-13
CN102782202A (zh) 2012-11-14
CN105256506A (zh) 2016-01-20
KR101779158B1 (ko) 2017-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6186A (ko) 자기 조작-방지 특징을 가진 뚜껑 잠금 장치
CN107587795B (zh) 家用电器的门锁
US7251961B2 (en) Washing machine lid lock with magnetic lid sensor
KR101467778B1 (ko)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US9528298B2 (en) Appliance latch with uni-directional actuator
US10745846B2 (en) Tamper resistant appliance latch
KR20150067122A (ko) 도어 존재 감지를 갖는 기기 래치
US9869049B2 (en) Washing machine having lid locker
WO2011031845A1 (en) Appliance lock with mechanical door sensor
CN111315927A (zh) 抗污染的电器闩锁
KR20190094218A (ko) 안전 시스템을 갖춘 도어 잠금 장치
CN111910395A (zh) 用于家用电器的门锁
CN101324019B (zh) 洗衣机用洗涤槽门的锁定装置
KR101128692B1 (ko) 세탁기의 도어 잠금 장치
CN107227586B (zh) 电器门锁、电磁门锁组件及电器
KR100809357B1 (ko) 가전제품의 도어락 장치
JP2020524234A (ja) ドアロック
KR102429320B1 (ko)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
JP4738489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ロック装置
KR101481587B1 (ko)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JP2000051567A (ja) 洗濯機
JP2000051572A (ja) 洗濯機
KR20060082349A (ko) 드럼세탁기의 도어로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