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4944A -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 - Google Patents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4944A KR20180004944A KR1020160084695A KR20160084695A KR20180004944A KR 20180004944 A KR20180004944 A KR 20180004944A KR 1020160084695 A KR1020160084695 A KR 1020160084695A KR 20160084695 A KR20160084695 A KR 20160084695A KR 20180004944 A KR20180004944 A KR 201800049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r
- stopper
- door
- holder
- fasten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에 도어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홀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제1스토퍼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홀더에 결합하고 제1탄성체에 의해서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체결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2탄성체에 의해 상기 투입구에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으며,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홀더에 접촉하여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체결부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작동부;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어 상기 홀더에 결합되었는지 판단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가전기기를 비롯한 도어가 구비된 종래 장치들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수납대상이 수용되는 저장공간, 상기 저장공간에 연통하는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도어는 잠금장치를 통해 캐비닛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종래 잠금장치는 도어에 구비되는 홀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종래 잠금장치는 도어를 캐비닛에 고정하는데 필요한 힘(홀더를 결합부에 결합시키는데 필요한 힘)과 도어를 캐비닛에서 분리하는데 필요한 힘(홀더를 결합부에서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동일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작동 중 상기 저장공간의 압력이 높아질 수 있는 가전기기(식기세척기, 세탁기, 건조기 등)는 상기 잠금장치가 투입구에 연통하는 공간의 압력이 상승해도 도어가 캐비닛에서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만 했다.
그러나, 가전기기의 작동 중 도어가 캐비닛에서 분리되지 않는 충분한 체결력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종래 잠금장치는 가전기기의 작동 중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하는 문제는 방지할 수 있지만, 홀더를 결합부에 결합시켜 투입구를 폐쇄할 때 사용자로 하여금 필요 이상의 힘을 도어에 입력하도록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투입구를 폐쇄할 때 사용자가 도어에 입력하는 힘이 투입구를 개방할 때 사용자가 도어에 입력하는 힘보다 작은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과 투입구를 폐쇄하는 도어에 각각 구비된 홀더와 체결부로 구비되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부의 위치가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부가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더라도 도어를 캐비닛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 가능한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홀더와 체결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홀더와 체결부가 결합된 때 체결부가 홀더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하지 않았음에도 체결부가 홀더와 결합하는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도 홀더와 체결부를 결합시킬 수 있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할 때 사용자가 도어가 폐쇄되었음을 확인 가능한 소리신호를 발생시키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할 때 발생하는 소리신호가 지나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부와 홀더의 결합여부 및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구비된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닫히지 않은 경우를 판단할 수 있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닫히지 않은 경우에 가전기기를 운행할 수 없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에 도어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홀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제1스토퍼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홀더에 결합하고 제1탄성체에 의해서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체결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2탄성체에 의해 상기 투입구에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으며,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홀더에 접촉하여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체결부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작동부;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어 상기 홀더에 결합되었는지 판단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작동부가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작동부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체결부가 상기 홀더에 결합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작동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는 경우에 상기 작동부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제1접촉부; 및 상기 제1접촉부가 상기 작동부에 접촉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전기적 신호의 발생을 중단하는 제1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접촉부는 상기 체결부가 제1스토퍼에 결합된 경우에 상기 작동부에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는 상기 체결부가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고, 상기 홀더에 결합된 경우에 상기 작동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는 상기 체결부가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고, 상기 홀더에 결합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작동부에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스토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홀더에 결합하는 체결바디; 및 상기 체결바디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1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홀더에 접촉하여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슬라이더; 및 상기 제1슬라이더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바디에 접촉하여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제1바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슬라이더의 이동 경로에 구비되어, 상기 제1슬라이더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받는 제1접촉부; 및 상기 제1접촉부가 상기 제1슬라이더에 의해 가압을 받으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고, 상기 홀더에 결합한 경우에, 상기 제1슬라이더가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 상기 제1슬라이더는 상기 제1접촉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1스위치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고, 상기 홀더에 결합하지 못한 경우에, 상기 체결바디의 이동한계점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제2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슬라이더가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는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홀더에 결합한 경우 보다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2스토퍼에 의해 정지된 경우에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2스토퍼에 의해 정지된 경우에, 상기 제1슬라이더에 의해 상기 제1접촉부가 가압받지 않도록 상기 제1슬라이더에 오목하게 함몰된 제1가압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잠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바디의 다른 일단으로부터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2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이송부의 다른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2슬라이더; 및 상기 제2슬라이더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바디에 접촉하여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제2바디 가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2슬라이더의 이동 경로에 구비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받는 제2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가 상기 제2슬라이더에 의해 가압을 받으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2스토퍼에 의해 정지된 경우에, 상기 제2슬라이더에 의해 상기 제2접촉부가 가압받지 않도록 상기 제2슬라이더에 오목하게 함몰된 제2가압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잠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에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가 모두 가압받지 않으면 상기 도어가 닫히지 않은 것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홀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제1스토퍼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홀더에 결합하고 제1탄성체에 의해서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체결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2탄성체에 의해 상기 투입구에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으며,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홀더에 접촉하여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체결부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작동부;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어 상기 홀더에 결합되었는지 판단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스토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홀더에 결합하는 체결바디; 및 상기 체결바디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홀더에 접촉하여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부;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이송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 및 상기 이송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바디에 접촉하여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도록 상기 제1슬라이더에 구비되어 제1바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슬라이더의 이동 경로에 구비되어, 상기 제1슬라이더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받는 제1접촉부; 상기 제1접촉부가 상기 제1슬라이더에 의해 가압을 받으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스위치; 상기 제2슬라이더의 이동 경로에 구비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받는 제2접촉부; 상기 제2접촉부가 상기 제2슬라이더에 의해 가압을 받으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에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가 모두 가압받지 않으면 상기 도어가 닫히지 않은 것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닫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가전기기가 운전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투입구를 폐쇄할 때 사용자가 도어에 입력하는 힘이 투입구를 개방할 때 사용자가 도어에 입력하는 힘보다 작은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과 투입구를 폐쇄하는 도어에 각각 구비된 홀더와 체결부로 구비되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부의 위치가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부가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더라도 도어를 캐비닛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 가능한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홀더와 체결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홀더와 체결부가 결합된 때 체결부가 홀더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하지 않았음에도 체결부가 홀더와 결합하는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도 홀더와 체결부를 결합시킬 수 있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할 때 사용자가 도어가 폐쇄되었음을 확인 가능한 소리신호를 발생시키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할 때 발생하는 소리신호가 지나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부와 홀더의 결합여부 및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구비된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닫히지 않은 경우를 판단할 수 있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닫히지 않은 경우에 가전기기를 운행할 수 없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 잠금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구비된 작동부 락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구비된 감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 잠금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비정상상태에 있는 잠금장치에서 홀더와 체결부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 잠금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 잠금장치가 도어 개방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 잠금장치가 도어 정상 닫힘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 잠금장치가 도어가 닫히지 않은 상태인데도 작동부가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 잠금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구비된 작동부 락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구비된 감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 잠금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비정상상태에 있는 잠금장치에서 홀더와 체결부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 잠금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 잠금장치가 도어 개방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 잠금장치가 도어 정상 닫힘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 잠금장치가 도어가 닫히지 않은 상태인데도 작동부가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에 도어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상기 잠금장치(H, C)가 식기세척기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잠금장치(H, C)는 식기세척기 이외의 다양한 가전기기(세탁기, 건조기, 냉장고 등)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잠금장치(H, C)가 식기세척기(100)에 구비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00)는 캐비닛(1),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수납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11), 수납대상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암(21, 23), 상기 분사암으로 물을 공급하는 펌프(4)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11) 내부에는 세척대상이 수납되는 랙(rack)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랙은 터브의 상부 영역에 구비되는 상부랙(191), 상기 상부랙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랙(19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11)는 투입구(111)를 통해 캐비닛의 외부와 연통하는데, 상기 투입구(111)는 도어(16)에 의해 개폐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16)로 투입구(111)를 개방한 후 상기 랙 들(191, 193)을 상기 터브(11)에서 인출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터브(11) 내부를 밀폐시킬 필요가 있다면, 상기 터브(11)에는 상기 투입구(111)와 터브 내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홀(115)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16)는 상기 투입구(111)를 폐쇄하는 도어 제1바디(161) 및 상기 도어 제1바디에서 돌출되어 상기 연통홀(115)을 폐쇄하는 도어 제2바디(163)로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1)에는 상기 연통홀(115)과 도어 제2바디(163) 사이에 위치하는 가스켓(1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제2바디(163)는 도어 제1바디(161)가 투입구(111)를 폐쇄할 때 상기 투입구(111)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되어야 하며, 상기 도어 제2바디(163)에는 도어 제1바디(161)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경우 상기 연통홀(115)을 폐쇄하도록 구비된 폐쇄면(167)이 구비된다.
상기 가스켓(17)은 캐비닛(1)에 구비된 바디 고정부(113)에 결합되는 고정부(171),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연통홀(115)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는 실링부(173)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어 제1바디(161)가 투입구(111)를 폐쇄하면, 상기 실링부(173)는 상기 폐쇄면(167)에 의해 상기 연통홀(115) 방향으로 압착될 것이므로, 터브(11) 내부의 유체가 연통홀(115)을 통해 터브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랙이 상부랙(191) 및 하부랙(193)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분사암은 상부랙(191)에 물을 분사하는 상부암(21), 하부랙(193)에 물을 분사하는 하부암(2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암(21, 23)에서 수납대상에 분사된 물(터브에 잔류하는 물)은 섬프(13)로 회수될 수 있다. 상기 섬프(13)는 상기 터브(11)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터브 바닥면(15)에 고정되는데, 상기 터브 바닥면(15)에는 상기 섬프(13)와 상기 터브(11) 내부를 연통시키는 회수홀(151)이 구비된다.
상기 섬프(13)는 급수유로(135)를 통해 급수원(미도시)에 연결되고, 상기 급수유로(135)는 밸브(136)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섬프(13)에 저장된 물은 배수유로(137) 및 배수펌프(139)를 통해 식기세척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섬프(13)에 저장된 물은 펌프(4) 및 공급유로(3)를 통해 상기 분사암(21, 23)으로 공급되는데, 상기 공급유로(3)는 상기 펌프(4)에 연결된 연결유로(31), 상기 연결유로와 상부암(21)을 연결하는 제1공급유로(33), 상기 연결유로와 하부암(23)을 연결하는 제2공급유로(3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암(21)은 제1공급유로(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하부암(23)은 제2공급유로(3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유로(33)와 제2공급유로(35)는 연결유로(31)가 분지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공급유로(33)와 제2공급유로(35)의 분지점에는 각 공급유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환밸브(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프(4)는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되는 펌프바디(41), 상기 펌프바디(41) 내부의 공간을 구분하여 상기 펌프바디(41) 내부에 펌프 제1챔버(421)와 펌프 제2챔버(422)를 형성시키는 격벽(42), 상기 격벽(42)에 구비되어 펌프 제1챔버(421)와 펌프 제2챔버(422)를 연통시키는 격벽관통홀(43), 상기 펌프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는 임펠러(4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프 제1챔버(421)는 펌프바디(4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펌프 유입부(423)를 통해 상기 섬프(13)와 연결되고, 상기 펌프 제2챔버(422)는 펌프바디(4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펌프 배출부(424)를 통해 상기 연결유로(31)와 연결된다.
상기 임펠러(45)는 펌프바디(41)에 고정된 모터(46)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모터의 회전축은 상기 펌프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임펠러(45)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펌프 제1챔버(421)의 바닥면에는 가열부(47)가 구비된다. 상기 펌프바디(41)가 하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가열부(47)는 상기 펌프 제1챔버(421)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열부(47)는 상기 펌프 제1챔버(42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가열판(471), 상기 가열판에 고정되되 상기 펌프 제1챔버(421)의 외부에 위치하는 히터(47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판(471)은 열전달이 용이한 금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부(47)는 상기 펌프 제1챔버(421)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므로, 본 발명은 분사암(21, 23)으로 물을 공급하는 기능 및 물을 가열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 가능한 펌프(4)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펌프(4)가 구비된 식기세척기(100)는 펌프(4)에 구비된 가열부(47)를 통해 스팀을 터브(11)로 공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식기세척기(100)에는 스팀공급부(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25)는 상기 터브(11)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노즐(251), 상기 노즐(251)과 상기 펌프 제1챔버(421)를 연결하는 스팀공급관(253), 상기 스팀공급관을 개폐하는 스팀밸브(255)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노즐(251)이 도어(16)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상기 노즐(251)은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도어의 일면 하부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구조를 가진 식기세척기(100)는 잠금장치(H, C)를 통해 도어(16)가 캐비닛(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데, 본 발명에 구비된 잠금장치는 도어(16)와 캐비닛(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홀더(H), 도어와 캐비닛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H)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C)로 구비될 수 있다.
종래 잠금장치는 도어(16)를 캐비닛(1)에 고정하는데 필요한 힘(홀더를 결합부에 결합시키는데 필요한 힘)과 도어(16)를 캐비닛(1)에서 분리하는데 필요한 힘(홀더를 결합부에서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동일하였다.
한편, 수납대상이 수용되는 공간(터브)의 압력이 높아질 수 있는 가전기기(식기세척기, 세탁기, 건조기, 냉장고 등)는 잠금장치가 터브 내부의 압력이 상승해도 도어가 캐비닛에서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만 했다.
그러나, 도어가 캐비닛에서 분리되지 않는 충분한 체결력을 제공하는 종래 잠금장치는 가전기기의 작동 중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하는 문제는 방지할 수 있지만, 홀더를 결합부에 결합시켜 투입구를 폐쇄할 때 사용자로 하여금 필요 이상의 힘을 도어에 입력하도록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구비된 잠금장치(H, C)는 홀더(H)를 결합부(C)에 결합시키기 위해 입력되어야 하는 힘이 홀더(H)를 결합부(C)에서 분리시키기 위해 입력되어야 하는 힘보다 작은 것이 특징이다.
즉, 본 발명에 구비된 잠금장치(H, C)는 투입구(111)를 폐쇄(연통홀을 폐쇄)할 때 사용자가 도어(16)에 입력하는 힘이 투입구(111)를 개방할 때 사용자가 도어(16)에 입력하는 힘보다 작은 것이 특징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홀더(H)는 도어와 캐비닛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C)는 도어와 캐비닛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홀더(H)는 도어(16)에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C)는 캐비닛(1)에 구비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H)는 도어(16)에 고정되는 홀더바디(51), 상기 홀더바디(51)에 구비되어 후술할 결합부의 체결바디(75)가 수용되는 수용홈(54), 상기 홀더바디(51)에 구비되어 결합부(C)에 구비된 이송부(95)를 작동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수용홈(54)에 삽입된 체결바디(75)가 수용홈(54)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H)의 형상은 상기 결합부(C)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홀더(H)는 상기 도어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됨으로써 구비되는 수용홈(54)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C)는 캐비닛(1)에 고정되는 하우징(6), 상기 하우징(6)에 구비되는 제1스토퍼(611), 상기 제1스토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홀더(H)에 결합하는 체결부(7),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며, 상기 홀더(H)에 의해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체결부(7)를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시키는 작동부(9), 상기 체결부(7)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면 상기 체결부(7)를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77), 상기 작동부(9)를 상기 투입구(111)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2탄성체(981, 9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6)은 상술한 체결부(7) 및 작동부(9)의 운동을 구현시킬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6)은 캐비닛(1) 내부에 형성되어 체결부(7)와 작동부(9)의 운동을 안내하는 공간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에 결합되는 별도의 부품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의 하우징(6)은 상기 투입구(111)가 위치된 방향에 구비된 전방면(63), 상기 전방면(63)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된 상부면(61) 및 하부면(62)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하부면(62)에는 상기 홀더의 돌기(53)와 상기 체결부(7)가 접촉 가능한 공간을 형성할 뿐 아니라 상기 작동부(9)에 구비된 이송부(95)가 노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면 제1관통홀(621)이 구비되고, 상기 제1스토퍼(611)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61)에서 상기 하부면 제1관통홀(621)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하부면 제1관통홀(621)은 하우징(6)의 형상에 따라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상기 홀더(H) 전체가 하우징(6)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7)에 결합되는 구조라면 굳이 하부면 제1관통홀(621)과 같은 수단이 불필요할 것이기 때문이다.
상기 체결부(7)는 상기 제1스토퍼(61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체결바디(75), 상기 체결바디(75)의 마주보는 양단으로부터 상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1바디(71) 및 제2바디(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71)와 제2바디(74)는 하우징(6) 내부에서 홀더(H)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상기 제1바디(71)와 제2바디(74)가 상기 체결바디(75)에서 하우징의 후방면을 향해 연장되는 바(bar)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체결바디(75)는 상기 제1바디(71)나 제2바디(74)가 작동부(9)에 의해 하우징의 하부면(62) 방향으로 가압될 경우 상기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며, 상기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된 체결바디(75)는 상기 홀더의 수용홈(54)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9)는 상기 체결바디(75)를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하우징(6)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작동부(9)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는 제1슬라이더(91) 및 제2슬라이더(94),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를 연결하며 상기 홀더(H)에 의해 상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송부(95)를 포함한다.
상기 제1슬라이더(91)와 상기 제2슬라이더(94)는 상기 제1바디(71)와 상기 제2바디(74)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되지만 상기 이송부(95)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1슬라이더(91)와 제2슬라이더(94)의 형상은 상기 하우징(6) 내부에서 왕복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각 슬라이더(91, 94)가 제1바디(71)와 제2바디(74)에 각각 나란한 바(bar)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이송부(95)는 각 슬라이더(91, 94)를 서로 연결할 수 있고, 상기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할 때 상기 홀더의 돌기(53)에 의해 상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작동부(9)에는 상기 이송부(95)가 홀더의 돌기(53)에 의해 상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바디(71)와 제2바디(7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하우징의 하부면(62) 방향으로 가압하는 바디 가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 가압부는 상기 제1슬라이더(91)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71)를 하우징의 하부면(6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바디 가압부(913)와 상기 제2슬라이더(94)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바디(74)를 하우징의 하부면(6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바디 가압부(943)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바디 가압부(913)는 상기 제1슬라이더(91)에서 상기 제2슬라이더(94)를 향해 돌출(제1바디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바디 가압부(943)는 상기 제2슬라이더(94)에서 상기 제1슬라이더(91)를 향해 돌출(제2바디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바디(71)에는 상기 제1바디 가압부(913)가 접촉하는 제1바디 경사면(711)이 구비되고, 상기 제2바디(74)에는 상기 제2바디 가압부(943)가 접촉하는 제2바디 경사면(74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 경사면(711)은 상기 제1슬라이더(91)가 상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한 경우에만 상기 제1바디 가압부(913)에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제1바디 경사면(711)은 제1바디(71)의 영역 중 상기 체결바디(75)가 위치된 지점에서 상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바디 경사면(741)은 제2바디(74)의 영역 중 상기 체결바디(75)가 위치된 지점에서 상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9)가 제1바디(71)와 제2바디(74)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슬라이더(91)와 제2슬라이더(94)로 구비된 것은, 상기 체결부(7)의 위치가 하우징(6) 내부에서 틀어질 경우를 대비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바디(71)와 제2바디(74)는 하우징(6) 내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체결바디(75)는 제1바디(71)와 제2바디(74)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바디(71)와 제2바디(74)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위치를 벗어날 경우 상기 체결바디(75)가 홀더(H)에 결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제1바디(71)와 제2바디(74)가 상기 제1슬라이더(91)와 제2슬라이더(94)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므로, 제1바디와 제2바디가 하우징 내부에서 설정된 위치를 벗어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바디(71)와 제2바디(74)의 외측에 각각 구비된 제1슬라이더(91)와 제2슬라이더(94)는 상기 제1바디(71)와 제2바디(74)가 기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게 되더라도, 상기 체결바디(75)가 원하는 시기에 상기 스토퍼(611)에서 분리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작동부(9)가 하나의 슬라이더만으로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7)의 위치가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를 가정해보자. 이 경우, 상기 홀더(H)에 의해 이송부(95)가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하나의 슬라이더로 구비된 작동부(9)는 설정된 시점보다 빨리 상기 제1바디(71)나 제2바디(74)를 가압할 수도 있고, 상기 제1바디(71)나 제2바디(74)중 어느 것도 가압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작동부(9)가 제1바디(71)와 제2바디(74)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서로 이격된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로 구비되면, 상기 체결바디(75)가 스토퍼(611)에서 분리되는 시점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라이더(91)와 제2슬라이더(94)는 제1바디(71)와 제2바디(74)가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게 되는 범위를 최소화하는 수단이므로, 상기 바디 가압부들(913, 943)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바디들(71, 74)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는 시점의 편차가 최소화될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9)에는 상기 제1슬라이더(91)와 상기 제2슬라이더(94)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더(96)와 제2가이더(9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더(96)는 상기 하우징(6) 내부에 구비되어 제1슬라이더(91)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수용부(963)와 상기 제1슬라이더(9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슬라이더(91)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바(96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가이더(97)는 상기 하우징(6) 내부에 구비되어 제2슬라이더(94)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2수용부(973)와 상기 제2슬라이더(94)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94)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2바(97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제1수용부(963)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슬라이더(91)를 투입구(111)가 위치된 방향(하우징의 전방면이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스프링(981)과 상기 제2수용부(973)에 구비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94)를 상기 투입구(111)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스프링(98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바(961)와 제2바(971)가 구비될 경우, 상기 제1바(961)는 상기 제1스프링(981)에 삽입되어 상기 제1수용부(963)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바(971)는 상기 제2스프링(983)에 삽입되어 상기 제2수용부(973) 내부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라이더(91)와 제2슬라이더(94)가 각 수용부(963, 973) 내부에서 왕복할 때 각 스프링(981, 983)이 위치를 이탈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작동부(9)는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할 때 홀더(H)의 돌기(53)가 이송부(95)에 접촉하므로, 각 슬라이더(91, 94)는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하우징의 후방)으로 이동할 것이다.
이 때, 상기 제1스프링(981)과 제2스프링(983)은 각 수용부(963, 973) 내부에서 압축되므로, 상기 홀더(H)에 의해 상기 이송부(95)에 입력되는 외력이 사라지면(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각 슬라이더(91, 94)는 상기 제1스프링(981)과 제2스프링(983)의 복원력에 의해 투입구(11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면, 체결부(7)를 상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하우징의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77)는 일단은 상기 하우징(6)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바디(71)의 자유단과 상기 제2바디(74)의 자유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6)에는 상기 제1탄성체(77)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8, 도 3 참고)가 구비되고, 상기 제1바디(71)의 자유단과 제2바디(74)의 자유단에는 상기 제1탄성체(77)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1결합홈(713)과 제2결합홈(743)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체(77)는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 지지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지지부(8)와 상기 결합홈(713, 743)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는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체(77)의 일단은 하우징(6)에 고정된 지지부(8)에 고정되고, 제1탄성체(77)의 타단은 각 바디(71, 74)의 자유단에 고정되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 지지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탄성체(77)는 상기 제1바디(71)의 자유단과 제2바디(74)의 자유단이 지지부(8)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제공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 지지된 상태에 있으면, 상기 제1탄성체(77)는 상기 체결바디(75)가 스토퍼(61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1탄성체(77)는 복원력 때문에 지지부(8)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길이가 늘어날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제1탄성체(77)는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된 때 상기 체결바디(75)를 상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 잠금장치에는 상기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하는 경우에만 상기 체결부(7)가 홀더(H)에 결합될 수 있게 하는 작동부 락(L)이 더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 락(L)은 작동부(9)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작동부(9)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작동부 락(L)이 상기 도어(16)에 접촉하면 상기 작동부(9)는 하우징(6) 내부에서 왕복 가능한 상태가 되지만, 상기 도어(16)가 작동부 락(L)에 접촉되지 않으면 상기 작동부(9)의 위치를 고정하는 수단이다.
상기 작동부 락(L)은 작동부에 구비된 제1슬라이더(91)와 제2슬라이더(9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작동부 락(L)이 제2슬라이더(94)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 락(L)은 상기 하우징(6) 내부에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9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락 바디(921), 상기 락 바디(921)에서 연장되되 자유단이 하우징의 하부면(62)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는 락 바디 연장부(92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락 바디(921)는 상기 하우징(6)의 높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왕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락 바디(921)는 슬라이더 체결부(927)를 통해 제2슬라이더(94)에 결합할 수 있다.
도면은 상기 락 바디(921)가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왕복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나, 상기 락 바디(921)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에 나란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락 바디(921)가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에 교차하도록 구비되는 한 상기 락 바디의 이동경로와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경로가 형성하는 각도는 직각일 필요는 없다.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927)는 락 바디(921)에서 상기 제2슬라이더(94)를 향해 돌출된 돌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2슬라이더에는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927)가 수용되는 락 수용홈(941)이 구비되어야 한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6)에는 상기 락 바디(921)의 이동을 안내하는 락 바디 가이더(929)가 구비되고, 상기 락 바디(921)에는 상기 락 바디 가이더(929)가 삽입되는 가이더 삽입홀(921b)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락 바디 가이더(929)는 제2슬라이더(94)의 이동방향에 직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더 삽입홀(921b)은 락 바디(921)에 구비될 수도 있고, 락 바디(921)에서 돌출된 제1플랜지(921a)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락 바디 연장부(923)의 자유단은 하우징 하부면(62)에 구비된 하부면 제2관통홀(622, 도 2 참고)에 삽입되어 하우징(6)의 외부에 노출된다. 따라서,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락 바디 연장부(923)의 자유단은 상기 도어(16)에 접촉한다. 상기 락 바디 연장부(923)가 도어(16)에 접촉하면 상기 락 바디(921)는 하우징(6)의 상부면(61)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락 바디(921)가 하우징의 높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927)는 락 수용홈(941)에서 분리될 것이다.
상술한 락 바디 연장부(923)는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6)가 락 바디 연장부(923)에 접촉할 때 상기 락 바디 연장부(923)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락 바디 연장부(923)가 하부면 제2관통홀(622) 방향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도어(16)가 락 바디 연장부(923)에 접촉할 때 상기 도어(16)와 락 바디 연장부(923)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락 바디 연장부(923)에는 접촉돌기(9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돌기(925)는 상기 락 바디 연장부(923)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되, 락 바디 연장부의 너비(Z1, 도 5 참고)보다 작은 너비(Z2)를 가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16)를 닫기 위해 도어에 입력해야 하는 힘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슬라이더에 구비되는 락 수용홈(941)은 제2슬라이더(94)의 측면(락 바디가 위치되는 방향을 향하는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락 수용홈(941)은 슬라이더 체결부(927)가 지지되는 바닥면(941a),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927)가 락 수용홈에서 인출되는 개방면(941b, 락 수용홈의 입구)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슬라이더(94)에는 상기 개방면(941b)에서 상기 제2슬라이더의 전방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 제1경사면(94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면(942)은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락 수용홈(941)에서 인출된 슬라이더 체결부(927)를 제2슬라이더(94)의 전방면으로 안내하는 수단이 되고,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슬라이더 체결부(927)를 락 수용홈(941)으로 안내하는 수단이 된다.
상술한 구조의 작동부 락(L)은 상기 홀더에 구비된 돌기(53)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도어에 구비된 폐쇄면(167)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부 락(L)은 상기 홀더에 구비된 돌기(53)가 이송부(95)에 접촉하기 전에 작동되도록 구비되어야 하므로, 상기 작동부 락(L)이 홀더(H)의 돌기(53)에 의해 작동하게 하려면 상기 작동부 락(L)은 이송부(95) 이전에 위치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상기 이송부(95)와 하우징의 전방면(63)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상기 작동부 락(L)은 상기 홀더(H)보다 상기 폐쇄면(167)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작동부 락(L)이 홀더(H)의 돌기(53)에 의해 작동하게 하려면, 상기 돌기(53)의 형상은 슬라이더 체결부(927)가 락 수용홈(941)에서 완전히 인출되는 위치까지 상기 락 바디(921)를 이동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돌기(53)가 캐비닛(1) 내부로 삽입되어야만 이송부(95)에 결합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기 돌기(53)의 높이를 증가시키기 어렵고, 상기 돌기의 높이가 증가되지 못하면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927)가 락 수용홈(941)에서 분리되는 길이가 짧아져야 한다. 이는 작동부 락과 슬라이더의 체결력을 약화시키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상기 작동부 락(L)은 상기 홀더(H)보다 상기 폐쇄면(167)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 잠금장치(H, C)에는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부는 제1슬라이더(91)가 상기 체결바디(75)를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시키는 위치까지 이동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감지부(S1), 제2슬라이더(94)가 체결바디(75)를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시키는 위치까지 이동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부(S2)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두 개의 감지부를 구비한 것은 어느 하나의 감지부가 파손된 경우에도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감지부(S1, 슬라이더 감지부)는 캐비닛(1) 또는 하우징(6)에 고정되는 제1케이스(S11), 제1슬라이더(91)가 체결바디(75)를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시키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상기 제1슬라이더(91)에 접촉하는 제1접촉부(S13), 상기 제1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접촉부가 제1슬라이더에 접촉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스위치(S1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S13)의 자유단은 하우징에 구비된 제1수용부(963)을 관통하여 제1수용부(963)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촉부(S13)는 상기 제1슬라이더(91)에 접촉하면 제1스위치(S15)를 폐쇄하고, 제1슬라이더(91)와의 접촉이 해제되면 제1스위치(S15)를 개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슬라이더(91)와 상기 제1접촉부(S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슬라이더(91)와 제1접촉부(S13)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슬라이더(91)에는 제1슬라이더(91)의 후방면과 제1슬라이더의 측면을 연결하는 경사면(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제1접촉부(S13)의 자유단은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감지부(S1, 슬라이더 감지부)는 상기 제1슬라이더(91)에 구비되는 제1자석, 체결바디(75)를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시키는 위치까지 제1슬라이더(91)가 이동하면 상기 제1자석의 자력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신호발생부로 구비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제1감지부(S1)는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잠금장치에 외력이 입력되면 도어가 투입구(111)를 폐쇄하지 않았음에도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될 위험(도 10 참고)이 있는데, 이와 같은 상황을 가전기기에 구비된 제어부가 판단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감지부(S1, 체결바디 위치 감지부)는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됐을 때 상기 제1접촉부(S13)가 상기 제1바디(71)와 제2바디(7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하도록 구비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감지부(S1)는 상기 제1자석이 제1바디(71), 제2바디(74) 및 체결바디(75)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신호발생부는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됐을 때 상기 제1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도록 구비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감지부(S2)는 캐비닛(1) 또는 하우징(6)에 고정되는 제2케이스(S21), 제2슬라이더(94)가 체결바디(75)를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시키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상기 제2슬라이더(94)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S23), 상기 제2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접촉부가 제2슬라이더에 접촉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스위치(S2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부(S23)의 자유단은 하우징에 구비된 제2수용부(973)을 관통하여 제2수용부(973)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접촉부(S23)는 상기 제2슬라이더(94)에 접촉하면 제2스위치(S25)를 폐쇄하고, 제2슬라이더와 접촉이 해제되면 제2스위치를 개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슬라이더(94)와 상기 제2접촉부(S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2슬라이더(94)와 제2접촉부(S23)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슬라이더(94)의 후방에는 접촉면(946, 도 3 참고)이 구비되고, 상기 제2접촉부(S23)의 자유단은 곡면(도 4 참고)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946)은 제2슬라이더(94)의 후방면과 제2슬라이더의 측면을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잠금장치는 제2슬라이더(94)가 체결바디(75)를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시키는 위치까지 이동할 경우, 상기 제2접촉부(S23)가 락 수용홈(941)에 삽입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제2접촉부(S23)가 락 수용홈(941)에 삽입되면, 상기 제2탄성체(981, 983)의 복원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2슬라이더(94)가 초기위치로 복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락 수용홈(941)과 접촉면(946) 사이에는 상기 제2접촉부(S23)가 락 수용홈(941)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면(94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947)의 넓이를 최대화하기 위해 상기 락 수용홈(941)에는 바닥면(941a)에서 지지면(947)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2경사면(94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부 락의 슬라이더 체결부(927)에는 상기 제2경사면(945)에 대응하는 각도를 가지는 체결부 경사면(928, 도 5 참고)이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상기 제2감지부(S2) 역시 제2슬라이더에 고정된 제2자석, 체결바디가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상기 제2자석의 자력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신호발생부로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감지부(S2, 락 감지부)는 상기 작동부 락(L)이 제2슬라이더(94)에서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감지부(S2)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접점지지부(S12), 상기 접점지지부에 고정된 제1접점(S14), 고정단은 상기 접점지지부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락 바디(921)에 접촉하는 제2접점(S16)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락 바디(921)가 제2슬라이더에 구비된 락 수용홈(941)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2접점(S16)의 자유단은 상기 제1접점(S14)에 접촉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작동부 락(L)에는 상기 제1플랜지(921a)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접점(S16)의 자유단을 지지하는 제2플랜지(921c)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상술한 구조를 가진 잠금장치(H, C)의 작동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도 7은 도어(16)가 투입구(111)를 개방한 상태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체결바디(75)는 제1탄성체(77)가 제공하는 힘에 의해 스토퍼(611)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16)를 상기 투입구(11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작동부 락(L)은 제2슬라이더(94)에서 분리되고, 작동부 락(L)이 작동부(9)에서 분리되면 이송부(95)는 홀더의 돌기(53)에 의해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그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제2바디(163)에 구비된 폐쇄면(167)은 상기 도어 제1바디(161)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홀더에 구비된 돌기(53)보다 더 먼 거리에 위치된다. 즉, 상기 돌기(53)는 상기 도어 제1바디(161)와 상기 폐쇄면(167) 사이에 형성된 공간(165)을 벗어나지 않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폐쇄면(167)은 상기 돌기(53)보다 상기 투입구(111)에 더 가까운 거리에 위치된다.
따라서, 도어 제1바디(161)가 투입구(11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작동부 락(L)은 도어 제2바디에 구비된 폐쇄면(167)에 접촉하고, 상기 작동부 락(L)이 폐쇄면(167)에 접촉되면 락 바디 연장부(923)는 하우징(6)을 향해 이동하며, 락 바디 연장부가 하우징을 향해 이동하면 슬라이더 체결부(927, 도 3 참고)는 제2슬라이더에 구비된 락 수용홈(941)에서 분리될 것이다.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927)가 락 수용홈(941)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2슬라이더(94)는 하우징(6)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홀더에 구비된 돌기(53)가 작동부에 구비된 이송부(95)에 접촉하면, 상기 제1슬라이더(91)와 제2슬라이더(94)는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연통홀이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제1슬라이더(91) 및 제2슬라이더(94)는 제2탄성체(981, 983)를 압축시킨다.
한편, 상기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가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동안 체결부(7)에 구비된 제1바디(71)와 제2바디(74)는 각 슬라이더에 구비된 바디 가압부(913, 943, 도 2 참고)에 의해 하우징의 하부면(62)을 향해 가압된다.
상기 제1바디(71)와 제2바디(74)가 바디 가압부(913, 943)에 의해 가압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토퍼(611)에 지지된 체결바디(75)는 상기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어 홀더의 수용홈(54)에 삽입된다.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될 때 상기 제1바디(71)의 자유단과 제2바디(74)의 자유단은 상기 제1탄성체(77)의 복원력에 의해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도어 제1바디(161)는 투입구(111)를 폐쇄하고, 도어 제2바디(163)는 연통홀(115)을 폐쇄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제1감지부(S1) 및 제2감지부(S2)는 제어부(미도시)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할 것이므로 제어부는 투입구 및 연통홀이 폐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된 체결바디(75)는 홀더의 수용홈(54)에 삽입된 상태가 되고, 상기 제1탄성체(77)의 복원력은 상기 제2탄성체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힘보다 크게 설정되므로, 본 발명은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기만 하면 상기 제1탄성체(77)가 상기 홀더(H)를 캐비닛 내부로 이동시킬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투입구(111) 및 연통홀(115)을 폐쇄할 때 사용자가 도어(16)에 입력해야 하는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바디(75)가 홀더의 수용홈(54)에 삽입되면, 상기 홀더의 돌기(53)는 체결바디(75)와 이송부(95)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경우 돌기(53)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잠금장치(H, C)는 상기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경우 상기 도어(16)가 투입구(111)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폐쇄면과 연통홀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 가능).
본 발명 잠금장치(H, C)에 의해 실링부(173)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장치에 구비된 이송부(95)의 이동범위는 실링부(173)에 접촉하지 않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장치에 구비된 홀더(H)는 도어 제2바디의 상부면(165)에 위치하고, 투입구(111)가 폐쇄될 때 이송부(95)는 홀더의 돌기(53)에 의해 투입구(111)에서 연통홀(115)을 향해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이송부(95)의 이동범위가 상기 도어 제2바디의 상부면(165)을 벗어나도록 설정되면, 도어(16)가 투입구(111)를 폐쇄할 때 이송부(95)가 실링부(173)에 접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실링부(173)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부(95)의 이동범위는 상기 도어 제2바디의 상부면(165, 도어 제1바디와 상기 도어 제2바디의 폐쇄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벗어나지 않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9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16)를 열어 투입구(111)를 개방하면, 상기 체결바디(75)는 홀더의 돌기(53)에 의해 투입구(111)를 향해 이동한다.
상기 체결바디(75)가 투입구(111)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제1탄성체(77)는 체결바디(75)에 고정된 제1바디(71)의 자유단과 제2바디(74)의 자유단에 의해 지지부(8) 방향으로 압축될 것이고, 상기 제1슬라이더(91)와 제2슬라이더(94)는 제2탄성체(981, 983)의 복원력에 의해 투입구(111)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이동할 것이다.
상기 체결바디(75)가 상기 투입구(111)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탄성체(77)가 지지부(8) 방향으로 압축되면, 상기 체결바디(75)는 상기 홀더의 수용홈(54)에서 인출되어 상기 제1스토퍼(611)에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에 상기 제1탄성체(77)를 압축시키는 힘을 도어에 입력함으로써 상기 홀더(H)를 상기 결합부(C)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제1슬라이더(91)와 제2슬라이더(94)는 하우징의 전방면(63)을 향해 이동하므로, 작동부 락(L)에 구비된 슬라이더 체결부(927)는 제1경사면(942)의 안내를 받아 락 수용홈(941)에 삽입되어 제2슬라이더(94)의 위치를 고정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잠금장치는 상기 투입구(111)와 연통홀(115)을 폐쇄할 때에는 상기 제2탄성체(981, 983)를 압축하는 정도의 힘을 요구하고, 상기 투입구(111)를 개방할 때에는 상기 제1탄성체(77)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정도의 힘을 요구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탄성체(77) 및 제2탄성체(981, 983)는 상기 제1탄성체(77)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힘이 상기 제2탄성체(981, 983)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힘보다 크게 설정되므로, 본 발명은 상기 투입구(111) 및 연통홀(115)을 개방하기 위해 도어에 입력해야 하는 힘이 투입구(111) 및 연통홀(115)을 폐쇄하기 위해 도어에 입력해야 하는 힘보다 큰 잠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투입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도어가 이동할 때 상기 체결바디(75)가 하우징의 전방면(63)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의 전방면(63)에는 체결바디(75)가 하우징(6)의 외부로 인출 가능한 관통홀(63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잠금장치는 상기 도어(16)가 투입구(111)를 개방한 상태임에도 캐비닛(1)을 통해 하우징(6)으로 외력이 전달될 경우,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상기 도어(16)가 투입구(111)를 개방한 경우, 도 7과 같이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 지지된 상태를 정상상태라고 할 때, 도 10과 같이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된 상태는 비정상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 잠금장치(H, C)는 체결부(7)가 비정상상태에 있더라도 홀더와 체결부를 결합시킬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데, 앞서 언급한 지지부(8)가 도 10에 도시된 구조로 구비된다면 상기 지지부(8)는 체결부가 비정상상태에 있더라도 홀더와 체결부를 결합시킬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8)는 하우징(6)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제1탄성체(77)의 일단이 고정되는 지지바디(87), 상기 지지바디(87)에서 제1스토퍼(611)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89)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6) 내부에 제1탄성체(77)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플레이트(81)와 제2플레이트(83)가 구비될 경우, 상기 지지바디(87)는 상기 제1플레이트(81)와 제2플레이트(8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81)와 제2플레이트(83)는 상기 제1탄성체(77)의 이동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제1탄성체(77)가 위치를 이탈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플레이트(81)와 제2플레이트(83)는 상기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된 체결바디(75)가 하우징(6)의 후방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811, 제2스토퍼)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된 체결바디(75)가 상기 연장부(89)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체결바디(75)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1스토퍼(611)를 향하는 제1플레이트의 일면(811)과 상기 제1스토퍼(611)를 향하는 제2플레이트의 일면(8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4는 상기 제2스토퍼가 제1플레이트의 전방면(811) 및 제2플레이트의 전방면(831)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지지바디(87)에는 각 플레이트(81, 83)를 향해 돌출되어 연장부(89)의 된 회전축을 형성하는 축(871)이 구비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81)와 제2플레이트(83)에는 각 축이 수용되는 축지지부(8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축지지부(85)는 각 플레이트를 향하는 지지바디(87)의 마주보는 양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축(871)은 각각의 플레이트(81, 83)에서 각 축지지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89)는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된 경우, 상기 체결바디(75)가 상기 제1스토퍼(611)와 상기 지지바디(87) 사이에 형성된 공간(P)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다.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면, 상기 체결바디(75)는 상기 제2스토퍼(811, 831)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연장부(89)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16)를 밀어 투입구(111)를 폐쇄하면, 홀더의 돌기(53)는 상기 체결바디(75)를 연장부(89) 방향으로 가압할 것이다.
상기 체결바디(75)가 연장부(89)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체결바디(75)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중 상기 홀더의 돌기(53)가 접촉하는 영역은 경사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바디(75)가 연장부(89)가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연장부(89)는 축(871)을 중심으로 체결바디(75)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할 것이므로, 상기 체결바디(75)는 상기 제1스토퍼(611)와 지지바디(87) 사이에 형성된 공간(P,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이동할 것이다.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와 제2스토퍼(811, 831) 사이에 형성된 공간(P)으로 이동하면, 상기 홀더의 돌기(53)는 이송부(95)와 체결바디(75) 사이로 이동하여 도 9와 같은 상태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홀더(H)에 의하지 않고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더라도 홀더(H)와 결합부(C)를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1스토퍼(611)에는 상기 연장부(89)의 자유단을 지지하는 안착부(613)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안착부(613)는 상기 연장부(89)가 하우징의 하부면에 구비된 하부면 제1관통홀(62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된다.
상기 연장부(89)가 상기 하부면 제1관통홀(62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61)에는 지지바디(87)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1홀(61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61)에는 상기 연장부(89)가 회전할 때 연장부의 자유단이 하우징의 상부면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홀(61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조를 가진 잠금장치(H, C)는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2스토퍼(811, 831)에 충돌하면서 소리신호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체결바디(75)가 제2스토퍼(811, 831)에 충돌하는 신호를 통해 투입구(111)가 도어(16)에 의해 폐쇄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어가 닫혔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소리신호는 클수록 유리하겠지만, 이 경우 체결바디(75)나 제2스토퍼(811, 831)의 파손이 우려되므로 소리신호의 크기를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상기 체결바디(75)가 제2스토퍼(811, 831)에 충돌하는 소리신호의 크기는 상기 제1탄성체(77)의 복원력에 따라 결정되고, 본 발명 잠금장치는 제1탄성체(77)의 복원력을 줄이기 힘든 구조이기 때문에 체결바디(75)가 제2스토퍼(811, 831)에 충돌하는 소리의 크기를 줄이려면 별도의 완충수단을 잠금장치에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완충수단의 일례로 제2스토퍼(811, 831) 또는 지지바디(87)에 구비되는 댐퍼(84)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는 체결바디(75)는 제2스토퍼(811, 831)에 충돌하고, 이 과정에서 소리신호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체결바디(75)가 제2스토퍼(811, 831)에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 중 일부를 흡수하는 댐퍼(84)가 제2스토퍼(811, 831)에 구비된다면, 체결바디나 제2스토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체결바디가 제2스토퍼에 충돌할 때 발생하는 소리신호가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상기 댐퍼(84)는 어떠한 재질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고무가 그 일례가 될 수 있다.
도 9의 상측에 도시된 실시예는 체결바디(75)가 제2스토퍼(811, 831)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 가능한 것이 특징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댐퍼(84)는 지지바디(87)에 구비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댐퍼(84)는 수용부(82)를 통해 연장부(89)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된 체결바디(75)는 상기 연장부(89)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지지부(8)에 상기 체결바디(75)와 제2스토퍼(811, 831)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댐퍼(84)가 구비되면 체결바디(75)가 제2스토퍼(811, 831)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 잠금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 잠금장치가 도어 개방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 잠금장치가 도어 정상 닫힘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 잠금장치가 도어가 닫히지 않은 상태인데도 작동부가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도 11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 잠금장치에서 도어가 개방된 정상적인 상태와 비정상적인 상태, 도어가 닫힌 상태를 구별하기 위한 잠금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을 참고하면, 잠금장치는 상기 도어(16)가 투입구(111)를 개방한 상태임에도 캐비닛(1)을 통해 하우징(6)으로 외력이 전달될 경우, 상기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한 예로, 사용자가 직접 작동부 락(L)을 손으로 밀어 올리면, 작동부(9)는 하우징(6) 내부에서 왕복 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송부(95)를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면, 작동부(9)는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바디 가압부(913, 943)에 의해 체결부(7)는 하측으로 이동하고, 체결바디(75)는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도어(16)가 열려서 투입구(111)가 개방된 경우, 도 7과 같이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 지지된 상태를 정상상태로, 도 10과 같이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된 상태는 비정상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16)가 닫힌 경우, 도 9와 같이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되 홀더(H)의 홀더(H)에 결합된 상태를 도어 닫힌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가 닫힌 상태, 도어가 열린 정상상태, 도어가 열린 비정상상태를 구분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도어가 닫힌 상태와 도어가 열린 비정상상태에서 작동부(9) 및 체결부(7)의 위치가 비슷하여 가전기기는 도어(16)가 닫힌 상태로 인식할 우려가 있고, 도어가 개방된 비정상상태에서 가전기기가 운행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 잠금장치는 도어(16)에 구비되는 홀더(H)와, 캐비닛(1)에 구비되는 하우징(6)과, 하우징(6)에 구비된 제1스토퍼(611)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면 홀더(H)에 결합하고 제1탄성체(77)에 의해서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체결부(7)와, 하우징(6)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2탄성체(981, 983)에 의해 투입구(111)에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으며, 도어(16)가 닫히면 홀더(H)에 접촉하여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체결부(7)를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시키는 작동부(9)와, 체결부(7)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어 홀더(H)에 결합되었는지 판단하는 감지부( S1, S2)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H)는 도어(16)의 일단에서 연장된 돌기(53)을 포함하며, 돌기(53)은 체결부(7)에 결합된다. 도어(16)가 닫힌 경우에 체결부(7)는 돌기(53)에 도어(16)가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여 도어(16)를 고정한다. 반대로 말하면, 도어(16)가 닫힌 경우에 체결부(7)는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면, 제1탄성체(77)에 의해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후방)으로 힘을 받지만 돌기(53)에 걸려서 후방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고 고정된다.
체결부(7)는 제1탄성체(77)에 의해서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으나, 도어가 열린 정상상태에서는 하우징(6)에 고정되게 구비된 제1스토퍼(611)에 지지되어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 제1스토퍼(611)는 체결부(7)를 이루는 제1바디(71)와 제2바디(74) 사이에 놓이도록 하우징(6)의 상부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체결바디(75)의 후면은 제1스토퍼(611)의 전면에 의해 지지되며, 체결바디(75)가 하측으로 이동시 체결바디(75)는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어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고, 체결부(7)는 제1탄성체(77)에 의해서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후방)으로 이동한다.
한편,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된 체결바디(75)가 하우징(6)의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스토퍼(811, 8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스토퍼(811, 831)는 제1바디(71)와 제2바디(74)의 사이에 구비되며, 제1스토퍼(611)보다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제2스토퍼(811, 831)는 체결바디(75)의 후면을 지지하여 체결바디(75)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2스토퍼(811, 831)는 지지부(8)의 양단에서 지지부(8)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플레이트(81)와 제2플레이트(83)의 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4는 제2스토퍼가 제1플레이트의 전방면(811) 및 제2플레이트의 전방면(831)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작동부(9)는 작동부 락(L)에 의해 잠금이 해제된 경우 하우징(6)에서 전부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며, 제2탄성체(981, 983)에 의해 투입구(111)에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작동부 락(L)에 의해 작동부(9)의 잠금 및 잠금해제에 대한 설명은 앞서 자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도어(16)가 닫히면, 도어(16) 자체 또는 도어에 구비된 홀더(H)는 이송부(95)에 접촉하여 이송부(95)에 외력을 작용하고, 작동부(9)를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제2탄성체(981, 983)의 탄성력보다 도어(16)에 의해서 이송부(95)에 작용하는 힘이 크므로, 작동부(9)는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후방)으로 이동한다.
작동부(9)에 구비된 바디 가압부(913, 943)는 체결부(7)의 상부면(구체적으로는 제1바디(71) 또는 제2바디(74)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체결부(7)가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체결바디(75)는 제1스토퍼(611)에서 이탈하게 되며, 체결바디(75)는 도어(16)의 홀더(H)에 결합되거나 제2스토퍼(811, 831)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다.
체결바디(75)는 도어가 개방된 정상적인 상태, 도어가 닫힌 상태, 도어가 개방된 비정상적인 상태에 따라 상이한 위치에 놓인다.
도어(16)가 개방된 정상적인 상태에는 체결바디(75)는 제1스토퍼(611)의 전면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도어(16)가 열리는 방향(전방)에 가깝게 위치한다. (도 12 참조)
그리고, 도어(16)가 닫힌 상태에서는 체결바디(75)는 제1스토퍼(611)에서 이탈하여 도어(16)의 홀더(H)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된다. 도어(16)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16)의 홀더(H)는 제1스토퍼(611) 보다 도어(16)가 닫히는 방향(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제1스토퍼(611) 보다 하측에 구비되어, 체결바디(75)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면, 제1스토퍼(611)의 후방 하측에 구비된 도어(16)의 홀더(H)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된다. (도 13 참조)
그리고, 도어(16)가 개방된 비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체결바디(75)는 제1스토퍼(611)에서 이탈하여, 제2스토퍼(811, 831)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된다. 도어(16)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도어(16)의 홀더(H)는 제1스토퍼(611)의 후방측에 놓이지 않은 상태이다. ( 도 14 참조)
그리고, 제2스토퍼(811, 831)는 제1스토퍼(611)에서 도어(16)가 닫히는 방향(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제1스토퍼(611) 보다 하측에 구비되어, 체결바디(75)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면, 제1스토퍼(611)의 후방 하측에 구비된 제2스토퍼(811, 831)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된다.
제2스토퍼(811, 831)는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고, 홀더(H)에 결합하지 못한 경우에 체결바디(75)의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한계점을 형성한다.
또한, 제2스토퍼(811, 831)에서 제1스토퍼(611)까지의 이격거리는 도어(16)가 닫힌 상태에서 홀더(H)에서 제1스토퍼(611)까지의 이격거리와 동일하거나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도어(16)가 닫힌상태에서 홀더(H)는 제2스토퍼(811, 831)와 수직하게 동일한 선상에 구비될 수 있고, 제2스토퍼(811, 831) 보다 도어(16)에 가까운 방향(전방)측에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어(16)가 닫힌 상태에서 홀더(H)는 제1스토퍼(611)와 제2스토퍼(811, 83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 S1, S2)는 작동부(9)가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작동부(9)의 위치에 따라서 체결부(7)가 홀더(H)에 결합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감지부( S1, S2)는 작동부(9)가 하우징(6)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는 경우에 작동부(9)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제1접촉부(S13), 및 제1접촉부(S13)가 작동부(9)에 접촉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전기적 신호의 발생을 중단하는 제1스위치(S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스위치(S15)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으며, 가전기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20)는 제1스위치(S15)에서 발생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 받거나, 전달받고 있던 전기적 신호의 발생이 중단된 경우에 제1접촉부(S13)가 작동부(9)에 접촉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스위치(S15)는 제1접촉부(S13)가 작동부(9)에 접촉한 경우에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어부(920)는 제1스위치(S15)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에만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명령에 따라 가전기기의 운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920)는 제1스위치(S15)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에만 가전기기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접촉부(S13)는 체결부(7)가 제1스토퍼(611)에 결합된 경우 작동부(9)에 접촉하지 않으며(도 12 참조), 제1접촉부(S13)는 체결부(7)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고, 홀더(H)에 결합되지 않는 경우에 작동부(9)에 접촉하지 않는다(도 14 참조). 따라서, 제어부(920)는 제1스위치(S15)에 의해서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도어(16)가 닫히지 않은 경우(도어가 개방된 정상상태(전자) 혹은 비정상상태(후자))로 판단할 수 있으며, 제어부(920)는 가전기기의 운전을 수행하지 않거나, 가전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제1접촉부(S13)는 체결부(7)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고, 홀더(H)에 결합된 경우 작동부(9)에 접촉한다(도 13 참조). 따라서, 제어부(920)는 제1스위치(S15)가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므로, 도어(16)가 닫힌 경우로 판단할 수 있으며, 제어부(920)는 가전기기의 운전을 수행하거나, 가전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개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체결부(7), 작동부(9), 감지부( S1, S2)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체결부(7)는 제1스토퍼(6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면 홀더(H)에 결합하는 체결바디(75) 및 체결바디(75)의 일단으로부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바디(7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작동부(9)는 홀더(H)에 접촉하여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후방)으로 이동하는 이송부(95), 이송부(95)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슬라이더(91), 및 제1슬라이더(91)에 구비되어 이송부(95)의 위치에 따라 제1바디(71)에 접촉하여 체결바디(75)를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시키는 제1바디 가압부(913)를 포함할 수 있고, 감지부( S1, S2)는 제1슬라이더(91)의 이동 경로에 구비되어, 제1슬라이더(91)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받는 제1접촉부(S13), 및 제1접촉부(S13)가 제1슬라이더(91)에 의해 가압을 받으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스위치(S1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접촉부(S13)는 제1슬라이더(91)의 이동 경로 상에 제1접촉부(S13)의 끝단이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제1슬라이더(91)가 왕복 운동하는 경우에 제1접촉부(S13)의 끝단은 제1슬라이더(91)와 접촉하여 가압될 수 있다.
제1슬라이더(91)는 제1슬라이더(91)가 이동하면서 제1접촉부(S13)에 접하는 부분에서 일부분에 제1접촉부(S13)를 가압하지 않도록 오목하게 함몰된 제1가압해제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접촉부(S13)가 제1가압해제부(900)에 삽입된 경우에는 제1접촉부(S13)는 가압되지 않는다.
도어가 개방된 정상적인 경우에는 작동부(9)에 도어(16)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작동부(9)는 이동하지 않고, 제1접촉부(S13)는 작동부(9)의 최초위치에서는 제1슬라이더(91)의 의해 가압되지 않는다(도 12 참조).
한편,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고, 홀더(H)에 결합한 경우(도어가 닫힌 경우)에, 제1슬라이더(91)가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 제1슬라이더(91)는 제1접촉부(S13)를 가압하여 제1스위치(S15)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도 13 참조).
한편, 체결바디(75)가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되고, 상기 홀더(H)에 결합하지 못하고, 제2스토퍼(811, 831)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되는 경우(도어가 개방된 비정상 상태인 경우)에, 제1슬라이더(91)에서 오목하게 함몰된 제1가압해제부(900)의 내부에 제1접촉부(S13)가 놓이도록 구비되어, 제1접촉부(S13)는 가압되지 않고, 제1스위치(S15)도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기 않는다(도 14 참조).
한편, 체결바디(75)가 홀더(H)에 결합한 경우에 제1슬라이더(91)가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 보다 체결바디(75)가 상기 제2스토퍼(811, 831)에 의해 정지된 경우에 제1슬라이더(91)가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가 더 길게 구비된다.
다시 말해, 도어가 닫힌 경우보다 도어가 개방된 비정상 상태에서 제1슬라이더(91)는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후방)으로 더 이동된다. 따라서, 도어가 닫히면서 제1슬라이더(91)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제1슬라이더(91)가 제1접촉부(S13)를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비정상적으로 제1슬라이더(91)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제1접촉부(S13)는 제1가압해제부(900)상에 놓여서 가압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감지부( S1, S2)가 하나의 제1접촉부(S13)와 제1스위치(S15)로 구비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하에서는 감지부( S1, S2)가 제2접촉부(213)와 제2스위치(S25)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체결부(7)는 체결바디(75)의 다른 일단으로부터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2바디(7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작동부(9)는 이송부(95)의 다른 일단에서 연장된 제2슬라이더(94); 및 제2슬라이더(94)에 구비되어 이송부의 위치에 따라 제2바디(74)에 접촉하여 체결바디(75)를 제1스토퍼(611)에서 분리시키는 제2바디 가압부(94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감지부(S1, S2)는 제2슬라이더(94)의 이동 경로에 구비되어, 제2슬라이더(94)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받는 제2접촉부(213) 및 제2접촉부(213)가 제2슬라이더(94)에 의해 가압을 받으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스위치(S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체결바디(75)가 제2스토퍼(811, 831)에 의해 정지된 경우(도어가 개방된 비정상 상태의 경우)에는 제2슬라이더(94)에 의해 제2접촉부(213)가 가압받지 않도록 제2슬라이더(94)에 오목하게 함몰된 제2가압해제부(9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접촉부(213)는 제2가압해제부(910)의 내부에 구비되므로, 제2접촉부(213)는 제2슬라이더(94)에 의해 눌려지지 않고, 제2스위치(S25)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제어부(920)는 제2스위치(S25)도 연결되어 제2스위치(S25)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 받으며, 이 경우에 도어가 정상적으로 닫힌 것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920)는 제1스위치(S15)와 제2스위치(S25)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920)는 제1접촉부(S13) 및 제2접촉부(213) 중 어느 하나라도 제1슬라이더(91) 및 제2슬라이더(94)에 의해 가압받지 않으면, 도어가 닫히지 않은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제1스위치(S15) 및 제2스위치(S25) 중 어느 하나라도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제어부(920)는 도어가 열리지 않은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도어가 정상적으로 개방된 상태 뿐만 아니라 도어가 비정상 적으로 개방된 상태(작동부와 체결부만 이동한 경우) 모두에 도어가 개방되어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말하자면, 제어부(920)는 제1접촉부(S13) 및 제2접촉부(213)가 모두 가압 받은 경우에만 도어가 닫힌 것을 판단하며, 제1스위치(S15) 및 제2스위치(S25) 모두에서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여 제어부(920)에 전달된 상태를 말한다.
제어부(9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서 또는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가전기기를 운전한다. 그러나, 제어부(920)는 도어(16)가 닫혀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가전기기의 운전을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920)는 도어가 닫혀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가전기기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가 개방된 경우(정상/비정상 상태)에 가전기기아 운전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캐비닛
11: 터브
111: 투입구
115: 연통홀 13: 섬프 16: 도어
21: 상부암 23: 하부암 25: 스팀공급부
3: 공급유로 4: 펌프 41: 펌프바디
42: 격벽 43: 격벽 관통홀 45: 임펠러
47: 가열부 H, C: 잠금장치 H: 홀더
51: 홀더바디 52: 연장바디 53: 돌기
54: 수용홈 C: 결합부 6: 하우징
61: 상부면 611: 제1스토퍼 613: 안착부
62: 하부면 621: 하부면 제1관통홀 622: 하부면 제2관통홀
7: 체결부 71: 제1바디 711: 제1바디 경사면
713: 제1결합홈 74: 제2바디 741: 제2바디 경사면
743: 제2결합홈 75: 체결바디 77: 제1탄성체
8: 지지부 81: 제1플레이트 83: 제2플레이트
85: 축지지부 87: 지지바디 871: 축
89: 연장부 9: 작동부 91: 제1슬라이더
94: 제2슬라이더 941: 락 수용홈 95: 이송부
96: 제1가이더 961제1바 963제1수용부
97: 제2가이더 971제2바 973제2수용부
913: 제1바디 가압부 943: 제2바디 가압부 981: 제1스프링
983: 제2스프링 900: 제1가압해제부 910: 제2가압해제부
115: 연통홀 13: 섬프 16: 도어
21: 상부암 23: 하부암 25: 스팀공급부
3: 공급유로 4: 펌프 41: 펌프바디
42: 격벽 43: 격벽 관통홀 45: 임펠러
47: 가열부 H, C: 잠금장치 H: 홀더
51: 홀더바디 52: 연장바디 53: 돌기
54: 수용홈 C: 결합부 6: 하우징
61: 상부면 611: 제1스토퍼 613: 안착부
62: 하부면 621: 하부면 제1관통홀 622: 하부면 제2관통홀
7: 체결부 71: 제1바디 711: 제1바디 경사면
713: 제1결합홈 74: 제2바디 741: 제2바디 경사면
743: 제2결합홈 75: 체결바디 77: 제1탄성체
8: 지지부 81: 제1플레이트 83: 제2플레이트
85: 축지지부 87: 지지바디 871: 축
89: 연장부 9: 작동부 91: 제1슬라이더
94: 제2슬라이더 941: 락 수용홈 95: 이송부
96: 제1가이더 961제1바 963제1수용부
97: 제2가이더 971제2바 973제2수용부
913: 제1바디 가압부 943: 제2바디 가압부 981: 제1스프링
983: 제2스프링 900: 제1가압해제부 910: 제2가압해제부
Claims (17)
-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에 도어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홀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제1스토퍼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홀더에 결합하고 제1탄성체에 의해서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체결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2탄성체에 의해 상기 투입구에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으며,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홀더에 접촉하여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체결부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작동부;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어 상기 홀더에 결합되었는지 판단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작동부가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작동부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체결부가 상기 홀더에 결합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작동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는 경우에 상기 작동부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제1접촉부; 및
상기 제1접촉부가 상기 작동부에 접촉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전기적 신호의 발생을 중단하는 제1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접촉부는 상기 체결부가 제1스토퍼에 결합된 경우에 상기 작동부에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는 상기 체결부가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고, 상기 홀더에 결합된 경우에 상기 작동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는 상기 체결부가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고, 상기 홀더에 결합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작동부에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스토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홀더에 결합하는 체결바디; 및 상기 체결바디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1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홀더에 접촉하여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슬라이더; 및 상기 제1슬라이더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바디에 접촉하여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제1바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슬라이더의 이동 경로에 구비되어, 상기 제1슬라이더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받는 제1접촉부; 및 상기 제1접촉부가 상기 제1슬라이더에 의해 가압을 받으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고, 상기 홀더에 결합한 경우에,
상기 제1슬라이더가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 상기 제1슬라이더는 상기 제1접촉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1스위치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고, 상기 홀더에 결합하지 못한 경우에,
상기 체결바디의 이동한계점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제2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더가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는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홀더에 결합한 경우 보다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2스토퍼에 의해 정지된 경우에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2스토퍼에 의해 정지된 경우에,
상기 제1슬라이더에 의해 상기 제1접촉부가 가압받지 않도록 상기 제1슬라이더에 오목하게 함몰된 제1가압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바디의 다른 일단으로부터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2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이송부의 다른 일단에서 연장된 제2슬라이더; 및 상기 제2슬라이더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바디에 접촉하여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제2바디 가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2슬라이더의 이동 경로에 구비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받는 제2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가 상기 제2슬라이더에 의해 가압을 받으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디가 상기 제2스토퍼에 의해 정지된 경우에,
상기 제2슬라이더에 의해 상기 제2접촉부가 가압받지 않도록 상기 제2슬라이더에 오목하게 함몰된 제2가압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에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가 모두 가압받지 않으면 상기 도어가 닫히지 않은 것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홀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제1스토퍼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홀더에 결합하고 제1탄성체에 의해서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체결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2탄성체에 의해 상기 투입구에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으며,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홀더에 접촉하여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체결부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는 작동부;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어 상기 홀더에 결합되었는지 판단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스토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되면 상기 홀더에 결합하는 체결바디; 및 상기 체결바디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홀더에 접촉하여 상기 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부;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이송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 및 상기 이송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바디에 접촉하여 상기 체결바디를 상기 제1스토퍼에서 분리시키도록 상기 제1슬라이더에 구비되어 제1바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슬라이더의 이동 경로에 구비되어, 상기 제1슬라이더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받는 제1접촉부; 상기 제1접촉부가 상기 제1슬라이더에 의해 가압을 받으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스위치; 상기 제2슬라이더의 이동 경로에 구비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받는 제2접촉부; 상기 제2접촉부가 상기 제2슬라이더에 의해 가압을 받으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에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가 모두 가압받지 않으면 상기 도어가 닫히지 않은 것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닫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가전기기가 운전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4695A KR102455188B1 (ko) | 2016-07-05 | 2016-07-05 |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 |
PCT/KR2017/000897 WO2017171215A1 (en) | 2016-03-28 | 2017-01-25 |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
AU2017239948A AU2017239948B2 (en) | 2016-03-28 | 2017-01-25 |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
EP17153831.7A EP3225147B1 (en) | 2016-03-28 | 2017-01-30 |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
EP19156835.1A EP3501370B1 (en) | 2016-03-28 | 2017-01-30 |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
CN201710076004.1A CN107237561B (zh) | 2016-03-28 | 2017-02-13 | 锁和具有该锁的家用电器 |
US15/465,010 US10321798B2 (en) | 2016-03-28 | 2017-03-21 |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
US16/402,388 US10531782B2 (en) | 2016-03-28 | 2019-05-03 |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
US16/701,546 US11419477B2 (en) | 2016-03-28 | 2019-12-03 |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4695A KR102455188B1 (ko) | 2016-07-05 | 2016-07-05 |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4944A true KR20180004944A (ko) | 2018-01-15 |
KR102455188B1 KR102455188B1 (ko) | 2022-10-17 |
Family
ID=61001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4695A KR102455188B1 (ko) | 2016-03-28 | 2016-07-05 |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5188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19474A (ko) * | 2003-08-19 | 2005-03-03 | 주식회사 삼코 | 드럼세탁기의 도어 안전록킹장치 |
KR20070117909A (ko) * | 2006-06-09 | 2007-12-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
KR20130036186A (ko) * | 2010-03-01 | 2013-04-11 |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 자기 조작-방지 특징을 가진 뚜껑 잠금 장치 |
-
2016
- 2016-07-05 KR KR1020160084695A patent/KR10245518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19474A (ko) * | 2003-08-19 | 2005-03-03 | 주식회사 삼코 | 드럼세탁기의 도어 안전록킹장치 |
KR20070117909A (ko) * | 2006-06-09 | 2007-12-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
KR20130036186A (ko) * | 2010-03-01 | 2013-04-11 |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 자기 조작-방지 특징을 가진 뚜껑 잠금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55188B1 (ko) | 2022-10-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31782B2 (en) |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 |
EP3190249B1 (en) |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 |
US10667667B2 (en) | Dishwasher | |
KR101968311B1 (ko) | 식기세척기 | |
KR20170082105A (ko) |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 | |
US20130125938A1 (en) | System for charging a power supply in a closure element of a household appliance | |
JP2015150444A (ja) | 衣類処理装置 | |
KR20150097185A (ko) | 의류처리장치 | |
US9127482B2 (en) | Door lock device with thermoactuator for household appliances | |
US20120138108A1 (en) | Dishwasher, in particular domestic dishwasher, having a door lock, and associated door lock | |
KR20170113008A (ko) |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 | |
KR20180004944A (ko) |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 | |
EP2596736A1 (en) | Dishwasher with transforming door | |
AU2017239948B2 (en) |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 |
EP3932286B1 (en) | A dishwasher comprising a detergent dispenser | |
US10753130B2 (en) | Garment processing device | |
US11542650B2 (en) | Washing machine | |
CN218454646U (zh) | 一种门锁机构及电器设备 | |
US10851489B2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CN220057410U (zh) | 蒸汽刷 | |
DK2865315T3 (en) | Use barrier arrangement and appliance | |
CN219412182U (zh) | 用于家用电器的门体结构及家用电器 | |
KR20190133311A (ko) | 도어 개폐감지기능을 장착한 전자동 세탁기의 도어 잠금장치 | |
JP2001327452A (ja) | 食器洗浄機 | |
US11168427B2 (en) | Garment process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