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4924A -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4924A
KR20130034924A KR1020110099097A KR20110099097A KR20130034924A KR 20130034924 A KR20130034924 A KR 20130034924A KR 1020110099097 A KR1020110099097 A KR 1020110099097A KR 20110099097 A KR20110099097 A KR 20110099097A KR 20130034924 A KR20130034924 A KR 20130034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ns
lens holder
unit
hold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9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0124B1 (ko
Inventor
하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트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트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트로닉
Priority to KR1020110099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124B1/ko
Publication of KR20130034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61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눈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컨택트 렌즈의 위치조절을 위한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는 컨택트 렌즈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며 컨택트 렌즈가 피벗팅되는 X축, 틸팅되는 Y축 및 스위블링되는 Z축에 대해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축선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되는 컨택트 렌즈 홀더와, 컨택트 렌즈 홀더가 피벗팅, 틸팅 또는 스위블링 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유닛과, 컨택트 렌즈 홀더와 구동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컨택트 렌즈 홀더를 지지하며 구동유닛의 구동력에 따라 컨택트 렌즈 홀더를 피벗팅, 틸팅 및 스위블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운동시키는 회전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컨택트 렌즈를 자동으로 피벗팅, 틸팅 및 스위블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조절함으로써, 치료 시의 정밀성 향상 및 시술자의 피로도를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과용 치료장치{CONTACT LENS HOLDER ASSEMBLY AND THERAPY APPARATUS FOR OPHTHALMOLOG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눈에 인접되는 컨택트 렌즈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과용 치료장치는 눈의 각막 및 망막을 검진 또는 치료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안과용 치료장치는 안과용 치료장치로부터 조사되는 치료 빔을 환자의 눈에 조사하기 위해 치료 빔을 안내하는 컨택트 렌즈와 함께 사용된다.
이러한 컨택트 렌즈는 눈의 내부, 즉 망막에 치료용 빔을 조사할 수 있도록 환자의 눈에 인접 또는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 특히, 컨택트 렌즈는 안과용 치료장치로부터 조사된 치료 빔의 경로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컨택트 렌즈는 환자의 망막을 검진 또는 치료하기 위해서 안과용 치료장치와 함께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한편, 안과용 치료장치와 사용되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컨택트 렌즈(1)는 환자의 눈을 검진 또는 치료하는 의사가 수동적으로 그 위치를 조절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컨택트 렌즈는 미국등록특허 제6,698,886호에도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컨택트 렌즈 및 미국등록특허 제6,698,886호에 개시된 컨택트 렌즈는 의사가 수동적으로 검진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의 눈에 맞추어 그 위치를 조절해야 함으로써, 치료 시의 정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함께 시술자인 의사의 피로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6,698,886호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눈에 인접 또는 접촉되는 컨택트 렌즈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과용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환자의 눈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컨택트 렌즈의 위치조절을 위한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렌즈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컨택트 렌즈가 피벗팅되는 X축, 틸팅되는 Y축 및 스위블링되는 Z축에 대해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축선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되는 컨택트 렌즈 홀더와,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가 피벗팅, 틸팅 또는 스위블링 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유닛과,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와 상기 구동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를 지지하며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에 따라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를 피벗팅, 틸팅 및 스위블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운동시키는 회전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전지지유닛은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며 자성체로 마련되는 홀더지지부와, 상기 홀더지지부를 스위블링 하도록 회전 운동되는 회전스테이지와, 상기 홀더지지부와 상기 회전스테이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홀더지지부가 피벗팅, 틸팅 및 스위블링 되도록 상기 홀더지지부와 상기 회전스테이지를 상호 연결하는 회전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가 피벗팅 또는 틸팅 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와,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가 스위블링 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회전스테이지의 판면에 대해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자력부와, 상기 홀더지지부와 상기 자력부 사이에 자기력을 생성하여 상기 홀더지지부를 피벗팅 또는 틸팅 시키도록 상기 자력부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는 스테핑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홀더지지부는 상기 자력부와 상호 자기력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자력부는 종단면이 적어도 4개 이상 등분되어 극성이 상이하도록 구성 및 횡단면의 극성이 상이하도록 구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회전결합부는 상기 홀더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구동부의 구동력에 따라 상기 홀더지지부를 틸팅 시키는 제1회전결합부와, 상기 제1회전결합부와 상기 회전스테이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제1회전결합부에 상기 제1회전결합부의 회전축선에 대해 직교 방향의 회전축선을 갖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구동부의 구동력에 따라 상기 홀더지지부를 피벗팅 시키는 제2회전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회전결합부는 상기 홀더지지부와 상기 회전스테이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홀더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홀더지지부를 피벗팅 또는 틸팅 시키는 볼베어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홀더지지부와 상기 자력부는 영구자석 및 전자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는 상기 회전스테이지에 배치되어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의 조절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와 상기 홀더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와 맞물려서 상기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와 상기 홀더지지부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가이드 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컨택트 렌즈를 통해 환자의 눈에 치료용 빔을 조사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치료용 빔을 생성하여 상기 컨택트 렌즈로 치료용 빔을 조사하는 빔 발생유닛과, 전술한 구성의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와, 상기 본체와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를 상호 연결하는 홀더어셈블리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홀더어셈블리 연결유닛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가 틸팅되는 Y축의 축선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제1연결유닛과, 상기 제1연결유닛의 이동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상기 제1연결유닛과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가 스위블링되는 Z축의 축선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제2연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컨택트 렌즈를 자동으로 피벗팅, 틸팅 및 스위블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조절함으로써, 치료 시의 정밀성 향상 및 시술자의 피로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둘째, 컨택트 렌즈를 자동으로 피벗팅, 틸팅 및 스위블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조절함과 더불어 컨택트 렌즈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보다 정밀한 컨택트 렌즈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치료 시의 정밀성 향상 및 시술자의 피로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안과용 치료장치와 컨택트 렌즈를 사용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의 제어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의 홀더지지부의 극성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의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컨택트 렌즈홀더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과용 치료장치는 제1 및 제2실시 예로 구분되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로 기재되었음을 미리 밝혀둔다. 다만,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 예에 대한 각각의 특징을 갖는 회전지지유닛 및 회전지지유닛의 하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이한 도면부호로 기재되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설명하기에 앞서, 도면들에 표시된 X축, Y축 및 Z축의 각각의 축선에 대해 회전 운동되는 것을 피벗팅, 틸팅 및 스위블링으로 기재하였음도 미리 밝혀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10)는 본체(100), 빔 발생유닛(200),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400) 및 홀더어셈블리 연결유닛(5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10)는 컨택트 렌즈(1)와 함께 환자의 눈 검진 또는 치료를 위해 사용된다.
본체(100)는 안과용 치료장치(10)의 외관을 구성하며, 환자의 눈을 검진할 수 있는 현미경과 같은 배율을 확대할 수 있는 검안부 등을 포함한다.
빔 발생유닛(200)은 본체(100)의 내부에 마련되어 치료용 빔을 생성하여 컨택트 렌즈(1)로 치료용 빔을 조사한다. 빔 발생유닛(200)은 치료용 빔으로 사용되는 레이저를 생성하여 조사할 수 있도록 레이저 다이오드가 포함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의 홀더지지부의 극성 구성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의 작동도이다.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400)는 도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트 렌즈 홀더(410), 회전지지유닛(430) 및 구동유닛(45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400)는 입력부(460), 감지부(470), 제어부(480) 및 피드백부(490)를 더 포함한다.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400)는 컨택트 렌즈(1)를 수용하여 자동으로 컨택트 렌즈(1)의 위치를 조절한다.
컨택트 렌즈 홀더(410)는 컨택트 렌즈(1)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한다. 즉, 컨택트 렌즈 홀더(410)는 내부에 컨택트 렌즈(1)를 수용하여 컨택트 렌즈(1)의 위치를 조절시킨다. 컨택트 렌즈 홀더(410)는 X축의 축선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되는 피벗팅, Y축의 축선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되는 틸팅 및 Z축의 축선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되는 스위블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회전 운동된다. 물론, 컨택트 렌즈 홀더(410)는 피벗팅, 틸팅 및 스위블링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컨택트 렌즈 홀더(410)는 피벗팅, 틸팅 및 스위블링 순서, 또는 틸팅, 스위블링 및 피벗팅 순서와 같이 다양한 조합의 순서로 회전 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컨택트 렌즈 홀더(410)는 몸체(412) 및 가이드(414)를 포함한다. 몸체(412)는 컨택트 렌즈 홀더(410)의 외관을 형성하며 컨택트 렌즈(1)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가이드(414)는 컨택트 렌즈 홀더(410)의 하부에 마련되며 후술할 홀더지지부(432)의 가이드결합부(432b)에 대해 슬라이딩 결합되어 맞물린다. 가이드(4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컨택트 렌즈 홀더(410)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으나, 홀더지지부(432)의 가이드결합부(432b)와 치환되어 홀더지지부(432)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렇게 컨택트 렌즈 홀더(410)에는 가이드(414)가 마련되어 홀더지지부(432)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컨택트 렌즈(1)의 크기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컨택트 렌즈 홀더(410)를 홀더지지부(432)에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400)의 회전지지유닛(430)은 홀더지지부(432), 회전스테이지(434) 및 회전결합부(436)를 포함한다. 회전지지유닛(430)은 구동유닛(450)의 구동력에 따라 컨택트 렌즈 홀더(410)를 피벗팅, 틸팅 및 스위블링 시킨다.
홀더지지부(432)는 홀더몸체(432a) 및 가이드결합부(432b)를 포함한다. 홀더지지부(432)는 컨택트 렌즈 홀더(410)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한다. 홀더지지부(432)는 회전스테이지(434) 및 회전결합부(436)의 작동에 따라 컨택트 렌즈 홀더(410)를 피벗팅, 틸팅 및 스위블링 시킨다.
홀더몸체(432a)는 자성체의 원판 형상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홀더몸체(432a)는 후술할 제1구동부(452)의 자력부(452a)와 자기력을 생성할 수 있도록 N극 및 S극을 갖는 자성체로 마련된다. 홀더몸체(432a)는 도 6에 도시된 (a)와 같이, 종방향(Z축의 축선방향) 4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며 중심을 기준으로 대향된 영역이 상호 동일한 극을 갖는 자성체로 마련된다. 반면, 홀더몸체(432a)는 도 6에 도시된 (b)와 같이, 횡방향의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각각 다른 극을 갖는 자성체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 홀더몸체(432a)의 작동은 제1구동부(452)의 자력부(452a)와 함께 도 6의 (a)를 기준으로 도 7에 도시된 작동도에서 설명한다.
가이드결합부(432b)는 컨택트 렌즈 홀더(410)와 인접되는 홀더몸체(432a)의 판면에 마련된다. 가이드결합부(432b)는 컨택트 렌즈 홀더(410)의 가이드(414)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결합부(432b)는 가이드(414)와 치환되어 컨택트 렌즈 홀더(410)의 하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회전스테이지(434)는 홀더지지부(432)가 스위블링 되도록 마련된다. 회전스테이지(434)는 구동유닛(450)의 제2구동부(454)와 연결되어 제2구동부(454)의 구동력에 따라 회전된다. 이때, 홀더지지부(432)와 회전스테이지(434)는 회전결합부(436)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회전스테이지(434)의 회전 구동력은 회전결합부(436)에 의해 홀더지지부(432)로 전달된다.
회전결합부(436)는 홀더지지부(432)와 회전스테이지(434)를 상호 연결한다. 본 발명의 회전결합부(436)는 제1회전결합부(436a), 제2회전결합부(436b) 및 회전핀(436c)을 포함한다. 회전결합부(436)는 회전스테이지(434)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제공 받아 홀더지지부(432)가 스위블링 되는 회전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회전결합부(436)는 홀더지지부(432)의 홀더몸체(432a)와 제1구동부(452)의 자력부(452a) 사이에 생성되는 자기력에 의해 피벗팅 또는 틸팅됨으로써, 홀더지지부(432)를 피벗팅 또는 틸팅 시킨다.
제1회전결합부(436a)는 홀더지지부(432)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홀더지지부(432)를 틸팅 시킨다. 실질적으로 제1회전결합부(436a)는 능동적으로 홀더지지부(432)를 틸팅 시키는 것이 아니라 도 6의 (a)에 도시된'B-B'단면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된 홀더몸체(432a)의 S극과 도 7의 (b)에 도시된 자력부(452a)의 S극 사이의 자기력에 의해 회전 운동되는 홀더지지부(432)의 틸팅을 안내하는 것이다.
제2회전결합부(436b)는 제1회전결합부(436a)와 회전스테이지(434)를 상호 연결하고 제1회전결합부(436a)에 제1회전결합부(436a)의 회전축선에 대해 직교 방향의 회전축선(X축의 축선)을 갖도록 결합된다. 제2회전결합부(436b)는 제1구동부(452)의 구동력에 따라 홀더지지부(432)를 피벗팅 시킨다. 실질적으로 제2회전결합부(436b)는 능동적으로 홀더지지부(432)를 피벗팅 시키는 것이 아니라 도 6의 (a)에 도시된 'A-A'단면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된 홀더몸체(432a)의 N극과 도 7의 (a)에 도시된 자력부(452a)의 N극 사이의 자기력에 의해 회전 운동되는 홀더지지부(432)의 피벗팅을 안내하는 것이다.
여기서, 회전핀(436c)은 홀더지지부(432)와 제1회전결합부(436a)가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제1회전결합부(436a)와 제2회전결합부(436b)가 피벗팅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구동유닛(450)은 제1구동부(452) 및 제2구동부(454)를 포함한다. 제1구동부(452)는 컨택트 렌즈 홀더(410)가 피벗팅 또는 틸팅 되도록 구동력을 발생한다. 제1구동부(45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자력부(452a) 및 전류공급부(452b)를 포함한다.
자력부(452a)는 X축의 축선 및 Y축의 축선을 따라 상호 대향되도록 각 2개씩 4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자력부(452a)는 4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N극 및 S극을 갖는 홀더지지부(432)에 대응되어 홀더지지부(432)와 회전스테이지(434) 사이에 배치된다.
자력부(452a)는 전류공급부(452b)로부터 제공된 전류방향 또는 전류량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같이, 홀더지지부(432)의 N극 또는 S극과 척력의 자기력을 형성하여 홀더지지부(432)를 피벗팅 또는 틸팅 시킨다. 물론, 전류공급부(452b)는 상호 대향된 자력부(452a)의 자기력의 세기가 조절되어 홀더지지부(432)의 피벗팅 또는 틸팅이 이루어지도록 자력부(452a)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해야 한다. 여기서, 홀더지지부(432)와 자력부(452a)는 영구자석 및 전자석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된다.
제2구동부(454)는 회전스테이지(434)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제2구동부(454)는 홀더지지부(432)가 일정 각도로 스위블링 될 수 있도록 스테핑 모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2구동부(454)는 홀더지지부(432)의 스위블링 각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공지된 모터 또는 구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입력부(460)는 구동유닛(450)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도록 마련된다. 입력부(460)는 회전스테이지(434)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고, 본체(100)에 배치될 수도 있다.
감지부(470)는 회전스테이지(434)에 배치되어 컨택트 렌즈 홀더(410)의 조절 위치를 감지한다. 즉, 감지부(470)는 피벗팅, 틸팅 및 스위블링 되는 컨택트 렌즈 홀더(410)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이다. 감지부(470)는 예를 들어, 광을 조사하는 광원 및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감지하는 광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렇게 광원 및 광 센서로 구현된 감지부(470)는 광 센서로 수광되는 빛의 양에 따라 컨택트 렌즈 홀더(410)의 조절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감지부(470)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컨택트 렌즈 홀더(410)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동유닛(450)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80)는 감지부(470)에 의해 감지된 신호가 피벗팅 또는 틸팅을 요구하는 신호로 분석된 경우, 홀더지지부(432)를 피벗팅 또는 틸팅 되도록 제1구동부(452)의 작동을 제어한다. 반면, 제어부(480)는 감지부(470)에 의해 감지된 신호가 스위블링을 요구하는 신호로 분석된 경우, 홀더지지부(432)를 스위블링 되도록 제2구동부(454)의 작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480)는 피드백부(490)로부터 피드백된 신호를 제공 받아 실시간으로 컨택트 렌즈 홀더(410)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홀더어셈블리 연결유닛(500)은 제1연결유닛(520) 및 제2연결유닛(540)을 포함한다. 홀더어셈블리 연결유닛(500)은 본체(100)와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400)를 상호 연결한다. 또한, 홀더어셈블리 연결유닛(500)은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400)를 Y축의 축선방향 및 Z축의 축선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즉, 홀더어셈블리 연결유닛(500)의 제1연결유닛(520)은 본체(100)에 연결되고 컨택트 렌즈 홀더(410)가 틸팅되는 Y축의 축선 방향(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그리고, 제2연결유닛(540)은 제1연결유닛(520)의 이동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제1연결유닛(520)과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400)를 상호 연결하며 컨택트 렌즈 홀더(410)가 스위블링 되는 Z축의 축선 방향(수직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홀더어셈블리 연결유닛(5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연결유닛 구동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컨택트 렌즈홀더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10)의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400)의 구성요소는 회전지지유닛(830)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 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다. 이에, 이하에서는 제1실시 예와 상이한 회전지지유닛(83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회전지지유닛(830)은 홀더지지부(832), 회전스테이지(834) 및 회전결합부(836)를 포함한다. 회전지지유닛(830)은 제1실시 예와 같이, 구동유닛(450)의 구동력에 의해 피벗팅, 틸팅 및 스위블링 된다.
홀더지지부(832)는 제1실시 예와 같이, 원판 형상으로 마련되고 자성체인 홀더몸체(832a) 및 홀더몸체(832a)의 판면에 마련되어 컨택트 렌즈 홀더(410)의 가이드(414)와 맞물리는 가이드결합부(832b)를 포함한다.
회전스테이지(834)는 제1실시 예와 같이, 회전결합부(836)를 사이에 두고 홀더지지부(832)와 연결되어 홀더지지부(832)를 스위블링 시킨다.
회전결합부(836)는 홀더지지부(832)와 회전스테이지(834)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836a) 및 연결부(836a)의 일측에 마련되어 홀더지지부(832)에 연결되며 홀더지지부(832)를 피벗팅 또는 틸팅 시키는 볼베어링부(836b)를 포함한다. 볼베어링부(836b)는 홀더지지부(832)가 X축의 축선 및 Y축의 축선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피벗팅 및 틸팅 시키도록 마련된다.
물론, 볼베어링부(836b)는 제1실시 예의 제1회전결합부(436a) 및 제2회전결합부(436b)와 같이 능동적으로 홀더지지부(832)를 피벗팅 또는 틸팅 시키는 것이 아니라, 홀더지지부(832)와 자력부(452a) 사이에 생성된 자기력에 의해 피벗팅 또는 틸팅 되는 홀더지지부(832)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10)의 작동 과정을 이하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 예 중 안과용 치료장치(10)의 작동 과정은 대표적으로 제1실시 예를 기초로 설명한다.
우선, 컨택트 렌즈 홀더(410)를 홀더지지부(432)에 결합시키고, 컨택트 렌즈(1)를 컨택트 렌즈(1)의 컨택트 렌즈 홀더(410)에 삽입시킨다. 검진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의 눈에 컨택트 렌즈(1)가 위치되도록 입력 신호를 인가한다.
첫째, 컨택트 렌즈(1)의 피벗팅이 필요한 경우, 제1구동부(452)의 전류공급부(452b)는 홀더지지부(432)와 자력부(452a) 사이에 자기력을 발생하여 홀더지지부(432)를 피벗팅 시키도록 자력부(452a)에 전류를 인가시킨다.
둘째, 컨택트 렌즈(1)의 틸팅이 필요한 경우, 제1구동부(452)의 전류공급부(452b)는 시키도록 자력부(452a)에 전류를 인가한다.
셋째, 컨택트 렌즈(1)의 스위블링이 필요한 경우, 제2구동부(454)를 작동시켜 회전스테이지(434)를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홀더지지부(432)를 스위블링 시킨다.
넷째, 컨택트 렌즈(1)의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 홀더어셈블리 연결유닛(500)을 작동시킨다.
한편, 상술한 첫째 내지 넷째의 작동 과정은 기재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그 순서는 요구되는 컨택트 렌즈(1)의 위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400) 및/또는 홀더어셈블리 연결유닛(500)의 작동에 의해 환자의 눈에 요구되는 위치에 컨택트 렌즈(1)가 위치되면, 빔 발생유닛(200)을 작동시켜 컨택트 렌즈(1)를 통해 환자의 눈으로 치료용 빔을 조사한다.
이에, 컨택트 렌즈를 자동으로 피벗팅, 틸팅 및 스위블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조절함으로써, 치료 시의 정밀성 향상 및 시술자의 피로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컨택트 렌즈를 자동으로 피벗팅, 틸팅 및 스위블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조절함과 더불어 컨택트 렌즈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보다 정밀한 컨택트 렌즈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치료 시의 정밀성 향상 및 시술자의 피로도를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컨택트 렌즈 10: 안과용 치료장치
100: 본체 200: 빌 발생유닛
400: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 410: 컨택트 렌즈 홀더
414: 가이드 430: 회전지지유닛
432: 홀더지지부 432b: 가이드결합부
434: 회전스테이지 436: 회전결합부
436a: 제1회전결합부 436b: 제2회전결합부
450: 구동유닛 452: 제1구동부
452a: 자력부 452b: 전류공급부
454: 제2구동부 4780: 감지부
500: 홀더어셈블리 연결유닛 520: 제1연결유닛
540: 제2연결유닛 830: 회전지지유닛
836: 회전결합부 836a: 연결부
836b: 볼베어링부

Claims (13)

  1. 환자의 눈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컨택트 렌즈의 위치조절을 위한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렌즈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컨택트 렌즈가 피벗팅되는 X축, 틸팅되는 Y축 및 스위블링되는 Z축에 대해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축선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되는 컨택트 렌즈 홀더와;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가 피벗팅, 틸팅 또는 스위블링 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유닛과;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와 상기 구동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를 지지하며,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에 따라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를 피벗팅, 틸팅 및 스위블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운동시키는 회전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유닛은,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며, 자성체로 마련되는 홀더지지부와;
    상기 홀더지지부를 스위블링 하도록 회전 운동되는 회전스테이지와;
    상기 홀더지지부와 상기 회전스테이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홀더지지부가 피벗팅, 틸팅 및 스위블링 되도록 상기 홀더지지부와 상기 회전스테이지를 상호 연결하는 회전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가 피벗팅 또는 틸팅 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와;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가 스위블링 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홀더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회전스테이지의 판면에 대해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자력부와;
    상기 홀더지지부와 상기 자력부 사이에 자기력을 생성하여 상기 홀더지지부를 피벗팅 또는 틸팅 시키도록, 상기 자력부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스테핑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지지부는 상기 자력부와 상호 자기력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자력부는 종단면이 적어도 4개 이상 등분되어 극성이 상이하도록 구성 및 횡단면의 극성이 상이하도록 구성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결합부는,
    상기 홀더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구동부의 구동력에 따라 상기 홀더지지부를 틸팅 시키는 제1회전결합부와;
    상기 제1회전결합부와 상기 회전스테이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제1회전결합부에 상기 제1회전결합부의 회전축선에 대해 직교 방향의 회전축선을 갖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구동부의 구동력에 따라 상기 홀더지지부를 피벗팅 시키는 제2회전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결합부는,
    상기 홀더지지부와 상기 회전스테이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홀더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홀더지지부를 피벗팅 또는 틸팅 시키는 볼베어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지지부와 상기 자력부는 영구자석 및 전자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는,
    상기 회전스테이지에 배치되어,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의 조절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와 상기 홀더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와 맞물려서 상기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와 상기 홀더지지부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가이드 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
  12. 컨택트 렌즈를 통해 환자의 눈에 치료용 빔을 조사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치료용 빔을 생성하여 상기 컨택트 렌즈로 치료용 빔을 조사하는 빔 발생유닛과;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와;
    상기 본체와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를 상호 연결하는 홀더어셈블리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어셈블리 연결유닛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가 틸팅되는 Y축의 축선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제1연결유닛과;
    상기 제1연결유닛의 이동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상기 제1연결유닛과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컨택트 렌즈 홀더가 스위블링되는 Z축의 축선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제2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KR1020110099097A 2011-09-29 2011-09-29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KR101300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097A KR101300124B1 (ko) 2011-09-29 2011-09-29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097A KR101300124B1 (ko) 2011-09-29 2011-09-29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924A true KR20130034924A (ko) 2013-04-08
KR101300124B1 KR101300124B1 (ko) 2013-08-30

Family

ID=48436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097A KR101300124B1 (ko) 2011-09-29 2011-09-29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1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435B1 (ko) * 2013-07-25 2014-09-01 주식회사 루트로닉 컨택트 렌즈 및 이를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65984A (zh) * 2015-03-13 2015-06-03 张陆瑶 隐形眼镜安装架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4014U (ja) * 1992-04-17 1993-11-12 日本電子株式会社 走査電子顕微鏡
US5336215A (en) * 1993-01-22 1994-08-09 Intelligent Surgical Lasers Eye stabilizing mechanism for use in ophthalmic laser surgery
JPH07286955A (ja) * 1994-04-20 1995-10-31 Nippon Steel Corp 分光測定用試料回転ホルダー
JP2000077488A (ja) * 1998-08-31 2000-03-14 Nec Kyushu Ltd プローブ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435B1 (ko) * 2013-07-25 2014-09-01 주식회사 루트로닉 컨택트 렌즈 및 이를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
WO2015012544A1 (ko) * 2013-07-25 2015-01-29 (주)루트로닉 컨택트 렌즈 및 이를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
US10543124B2 (en) 2013-07-25 2020-01-28 Lutronic Vision Inc Contact lens and ophthalmic treatment device hav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0124B1 (ko) 201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534355A (ja) 短パルス・レーザ眼科手術用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AU2006303175B2 (en) A tool constraint mechanism
JP6110487B2 (ja) カスタマイズされた屈折矯正手術のための自動機械設定
US6788455B2 (en) Microscope for the wide-angle viewing, in particular for eye surgeries
EP1961445A1 (en) Particle beam irradiation system
JP2017522112A (ja) 可動広角眼科手術システム
JP5242596B2 (ja) 眼組織を分解するための眼科用装置
JPS6323653A (ja) レ−ザ外科手術装置
KR101300124B1 (ko) 컨택트 렌즈 홀더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KR101435435B1 (ko) 컨택트 렌즈 및 이를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
JP6052819B2 (ja) 装置支持機構
JP6386867B2 (ja) 眼底撮影装置
JP2023089209A (ja) 眼科装置及び眼科システム
JP7144255B2 (ja) 眼科装置
CN101032653A (zh) 全自动头部γ刀放射治疗装置
US11796784B2 (en) Surgical microscope system
JP2003509154A (ja) レーザー眼治療用二軸枢動走査
KR101857720B1 (ko)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
KR20100026431A (ko) 레이저 치료기용 캘리브레이션장치
KR101783197B1 (ko) 수술 보조용 팔걸이를 구비한 세극등 현미경
KR20200055528A (ko) 중공형 안구 수술 장치
JP2011245028A (ja) 眼科撮影装置
JP7181636B2 (ja) 眼科用レーザー装置
CN116234516A (zh) 用于光致破裂器的免手动滴定照明的装置和方法
JPH05123409A (ja) 座位照射外科治療システムにおける回転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