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720B1 -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 - Google Patents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720B1
KR101857720B1 KR1020160156589A KR20160156589A KR101857720B1 KR 101857720 B1 KR101857720 B1 KR 101857720B1 KR 1020160156589 A KR1020160156589 A KR 1020160156589A KR 20160156589 A KR20160156589 A KR 20160156589A KR 101857720 B1 KR101857720 B1 KR 101857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ye
control
image data
mov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호식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56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7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004Microscop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2B21/002Scanning microscopes
    • G02B21/0024Confocal scanning microscopes (CSOMs) or confocal "macroscopes"; Accessories which are not restricted to use with CSOMs, e.g. sample holders
    • G02B21/0032Optical details of illumination, e.g. light-sources, pinholes, beam splitters, slits, fi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004Microscop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2B21/002Scanning microscopes
    • G02B21/0024Confocal scanning microscopes (CSOMs) or confocal "macroscopes"; Accessories which are not restricted to use with CSOMs, e.g. sample holders
    • G02B21/0036Scanning details, e.g. scanning stages
    • G02B21/0044Scanning details, e.g. scanning stages moving apertures, e.g. Nipkow disks, rotating lens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6Means for illuminating specimens
    • G02B21/08Condensers
    • G02B21/082Condensers for incident illumination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사와 환자가 이질감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을 위하여,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과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을 포함하는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으로서, (i) 상기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은, 피검안용 플레이트와, 상기 피검안용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피검안 위치 고정부와, 상기 피검안용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되 상기 피검안용 플레이트에 대해 평면 이동 가능한 제1이동프레임과, 상기 제1이동프레임 상에 위치하며 측정광을 조사할 수 있는 조명광학부와, 상기 제1이동프레임 상에 위치하며 상기 조명광학부로부터 조사된 측정광을 반사하여 상기 피검안 위치 고정부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피검안으로 유도하는 반사미러와, 상기 제1이동프레임 상에 위치하며 측정광이 조사된 피검안에 대한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이미지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이미지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이미지데이터 송신부와, 제어데이터 수신부를 구비하고, (ii) 상기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은, 제어용 플레이트와, 상기 제어용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되 상기 제어용 플레이트에 대해 평면 이동 가능한 제2이동프레임과, 상기 제어용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제2이동프레임의 위치를 변경하는 위치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위치 컨트롤러와, 상기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의 상기 이미지데이터 송신부에서 송신한 이미지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이미지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제2이동프레임 상에 위치하며 상기 이미지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한 이미지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관찰부와, 상기 위치 컨트롤러에서 발생시키는 위치신호에 대한 위치데이터를 포함한 제어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제어데이터 송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피검안용 플레이트 상에서의 상기 제1이동프레임의 위치는 상기 제어데이터 송신부가 송신하여 상기 제어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한 제어데이터가 포함하는 위치데이터에 따라 결정되는,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Slit-lamp microscope for telemedicin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의사와 환자가 이질감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에 관한 것이다.
세극등 현미경은 세로로 길고 가는 빛(slit beam, 측정광)을 피검안에 조사하여 안구의 광학적 절단면을 관찰함으로써, 안구 등의 상태를 검사하는 안과 장치이다. 이러한 세극등 현미경을 이용하면 측정광의 폭, 길이 및/또는 각도 등을 조절하여, 눈꺼풀, 결막, 각막, 수정체 및/또는 유리체 등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막 및 수정체의 두께 측정도 가능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8-284273
공개특허공보 제2001-0024596호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세극등 현미경의 경우 의사와 환자가 직접 대면한 상태에서 세극등 현미경을 이용해 의사가 환자의 안구 등을 검사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의사와 환자가 이질감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과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을 포함하는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으로서, (i) 상기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은, 피검안용 플레이트와, 상기 피검안용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피검안 위치 고정부와, 상기 피검안용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되 상기 피검안용 플레이트에 대해 평면 이동 가능한 제1이동프레임과, 상기 제1이동프레임 상에 위치하며 측정광을 조사할 수 있는 조명광학부와, 상기 제1이동프레임 상에 위치하며 상기 조명광학부로부터 조사된 측정광을 반사하여 상기 피검안 위치 고정부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피검안으로 유도하는 반사미러와, 상기 제1이동프레임 상에 위치하며 측정광이 조사된 피검안에 대한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이미지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이미지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이미지데이터 송신부와, 제어데이터 수신부를 구비하고, (ii) 상기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은, 제어용 플레이트와, 상기 제어용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되 상기 제어용 플레이트에 대해 평면 이동 가능한 제2이동프레임과, 상기 제어용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제2이동프레임의 위치를 변경하는 위치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위치 컨트롤러와, 상기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의 상기 이미지데이터 송신부에서 송신한 이미지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이미지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제2이동프레임 상에 위치하며 상기 이미지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한 이미지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관찰부와, 상기 위치 컨트롤러에서 발생시키는 위치신호에 대한 위치데이터를 포함한 제어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제어데이터 송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피검안용 플레이트 상에서의 상기 제1이동프레임의 위치는 상기 제어데이터 송신부가 송신하여 상기 제어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한 제어데이터가 포함하는 위치데이터에 따라 결정되는,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이 제공된다.
상기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은, 상기 제2이동프레임 상에 위치하는 모조조명광학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조조명광학부는 조명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어데이터 송신부는 상기 모조조명광학부에서 발생시키는 조명신호에 대한 조명데이터를 포함한 제어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조명광학부가 조사하는 측정광의 강도 및 파장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어데이터 송신부가 송신하여 상기 제어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한 제어데이터가 포함하는 조명데이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미지데이터 수신부는 인터넷, 유선통신망 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미지데이터 송신부로부터 이미지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데이터 수신부는 인터넷, 유선통신망 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제어데이터 송신부로부터 제어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은 상기 피검안 위치 고정부와 상기 이미지데이터 생성부 사이의 광경로에 배치되는 배율광학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은 배율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배율조절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데이터 송신부는 상기 배율조절부에서 발생시키는 배율신호에 대한 배율데이터를 포함한 제어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배율광학부의 배율은 상기 제어데이터 송신부가 송신하여 상기 제어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한 제어데이터가 포함하는 배율데이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사와 환자가 이질감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의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의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각종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된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은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과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을 구비한다. 도 1은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은 환자가 있는 곳에 위치하고,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은 의사가 있는 곳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과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은 인터넷, 유선통신망 및/또는 무선통신망 등을 통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게 된다.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피검안용 플레이트(101), 피검안 위치 고정부(140), 제1이동프레임(130), 조명광학부(110), 반사미러(118),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 이미지데이터 송신부 및 제어데이터 수신부를 구비한다. 도 1에서는 이미지데이터 송신부와 제어데이터 수신부가 일체화된, 제1송수신부(150)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피검안용 플레이트(101)는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의 베이스플레이트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피검안용 플레이트(101)는 필요에 따라 환자가 위치하는 곳의 테이블 등에 고정될 수 있고, 또는 피검안용 플레이트(101) 자체가 테이블 상판 등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피검안 위치 고정부(140)는 피검안용 플레이트(101) 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피검안 위치 고정부(140)가 피검안용 플레이트(101) 상에 배치된다는 것은 피검안 위치 고정부(140)가 피검안용 플레이트(101)에 고정된다는 것으로서, 피검안 위치 고정부(140)는 피검안용 플레이트(101)의 상면 상에 고정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피검안용 플레이트(101)의 측면 상에 고정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피검안 위치 고정부(140)는 각각 피검자의 이마와 턱을 지지하는 이마 고정부(head support, 142)와 턱 고정부(144)를 포함한다. 이러한 피검안 위치 고정부(140)는 나사나 레버 등을 통해 이마 고정부(142)의 z축 방향 상하 위치나 턱 고정부(144)의 z축 방향 상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이동프레임(130)은 피검안용 플레이트(101) 상에 위치한다. 이 제1이동프레임(130)은 피검안용 플레이트(101)에 대해 xy 평면 내에서 평면 이동 가능하다. 도 1에서는 제1이동프레임(130)이 가로바(131)를 따라 +y 방향이나 -y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 가로바(131)가 피검안용 플레이트(101) 상의 가이드프레임(133)을 따라 +x 방향이나 -x 방향으로 이동 가능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제1이동프레임(130)이 +x 방향이나 -x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1이동프레임(130)은 그 내부 및/또는 외부에 장착된 모터 등에 의해, xy평면 내에서 평면 이동할 수 있다.
제1이동프레임(130) 상에는 조명광학부(110), 반사미러(118) 및/또는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가 배치되는데,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제1이동프레임(130) 상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이동프레임(130) 상에 제1상하프레임(135)이 위치하고 제1상하프레임(135) 상에 제1수직회전축(137)이 위치하며, 이러한 제1수직회전축(137)에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조명광학부(110)는 제1이동프레임(130) 상에 위치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제1이동프레임(130) 상에 위치한 제1상하프레임(135) 상의 제1수직회전축(13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조명회전아암(119)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명광학부(110)는 제1이동프레임(130)이 xy평면 내에서 평면 이동함에 따라 동일하게 평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조명광학부(110)는 제1이동프레임(130) 상의 제1상하프레임(135) 상에 장착되기에, 제1상하프레임(135)이 z축을 따라 +z 방향이나 -z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조명광학부(110) 역시 z축을 따라 +z 방향이나 -z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제1상하프레임(135)은 그 내부 및/또는 외부에 장착된 모터 등에 의해, 제1이동프레임(130)에 대한 제1상하프레임(135)의 상대적 위치가 z축 상에서 변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제1조명회전아암(119) 역시 그 내부 및/또는 외부에 장착된 모터 등에 의해, 제1수직회전축(137)을 중심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광학부(110)는 측정광을 조사할 수 있는데, 도 1에서는 조명광학부(110)가 하우징(112) 내에서 발생된 측정광을 -z 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조명광학부(110)에서 조사된 측정광은 조명광학부(110)의 하부에 위치한 반사미러(118)에 의해 반사되어, 피검안 위치 고정부(14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피검안으로 유도된다. 반사미러(118)는 조명광학부(110)와 마찬가지로 제1조명회전아암(119)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조명회전아암(119)이 제1수직회전축(137)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기에, 조명광학부(110)에서 방출된 광은 반사미러(118)에서 반사된 후 피검안에 조사될 시 다양한 각도로 피검안에 조사될 수 있다.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 역시 제1이동프레임(130) 상에 위치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제1이동프레임(130) 상에 위치한 제1상하프레임(135) 상의 제1수직회전축(13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촬영회전아암(124)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는 제1이동프레임(130)이 xy평면 내에서 평면 이동함에 따라 동일하게 평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는 제1이동프레임(130) 상의 제1상하프레임(135) 상에 장착되기에, 제1상하프레임(135)이 z축을 따라 +z 방향이나 -z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 역시 z축을 따라 +z 방향이나 -z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은 필요하다면 피검안 위치 고정부(140)와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 사이의 광경로에 배치되는 배율광학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배율광학부는 예컨대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와 일체(一體)일 수도 있다. 배율광학부는 렌즈를 포함하여, 이에 따라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가 다양한 배율의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는 CCD 또는 CMOS 등의 촬상소자를 포함하기에, 측정광이 조사된 피검안에 대한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촬영회전아암(124)이 제1수직회전축(137)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기에,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는 다양한 각도로 피검안을 촬영할 수 있다. 참고로 제1조명회전아암(119)과 촬영회전아암(124)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1수직회전축(137)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는 좌안용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a)와 우안용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좌안용 이미지데이터와 우안용 이미지데이터라 함은 환자의 좌안에 대한 이미지데이터와 환자의 우안에 대한 이미지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의사의 좌안용 이미지데이터와 의사의 우안용 이미지데이터를 의미한다.
예컨대 후술하는 것과 같이 의사가 환자의 좌안을 관찰할 시, 좌안용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a)와 우안용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b)는 모두 환자의 좌안에 대한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좌안용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a)의 중심과 우안용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b)의 중심은 의사의 좌안과 우안과 같이 일정 간격을 갖게 된다. 그러한 상태에서 좌안용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a)가 좌안용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하고 우안용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b)가 우안용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의사가 사용하는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의 관찰부(220)의 제1관찰부(220a)는 좌안용 이미지데이터를 이용하여 좌안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관찰부(220)의 제2관찰부(220b)는 우안용 이미지데이터를 이용하여 우안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의사의 좌안은 관찰부(220)의 제1관찰부(220a)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좌안용 이미지를 시인하고 의사의 우안은 관찰부(220)의 제2관찰부(220b)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우안용 이미지를 시인하게 되며, 그 결과 의사는 환자의 좌안을 입체이미지(3D 이미지, stereoscopic image)로 인식할 수 있다.
제1송수신부(150)는 이미지데이터 송신부와 제어데이터 수신부를 포함하는데, 이미지데이터 송신부는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가 생성한 이미지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제어데이터 수신부는 후술하는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으로부터의 제어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송수신부(150)가 피검용 플레이트(101)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송수신부(150)는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컴퓨터의 일부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용 플레이트(201), 제2이동프레임(230), 위치 컨트롤러(260), 모조조명광학부(210), 관찰부(220), 이미지데이터 수신부 및 제어데이터 송신부를 구비한다. 도 2에서는 이미지데이터 수신부와 제어데이터 송신부가 일체화된, 제2송수신부(250)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어용 플레이트(201)는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의 베이스플레이트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어용 플레이트(201)는 필요에 따라 의사가 위치하는 곳의 테이블 등에 고정될 수 있고, 또는 제어용 플레이트(201) 자체가 테이블 상판 등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제2이동프레임(230)은 제어용 플레이트(201) 상에 위치한다. 이 제2이동프레임(230)은 제어용 플레이트(201)에 대해 xy 평면 내에서 평면 이동 가능하다. 도 2에서는 제2이동프레임(230)이 가로바(231)를 따라 +y 방향이나 -y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 가로바(231)가 제어용 플레이트(201) 상의 가이드프레임(233)을 따라 +x 방향이나 -x 방향으로 이동 가능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제2이동프레임(230)이 +x 방향이나 -x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2이동프레임(230)은 그 내부 및/또는 외부에 장착된 모터 등에 의해, xy평면 내에서 평면 이동할 수 있다.
제2이동프레임(230) 상에는 위치 컨트롤러(260), 모조조명광학부(210) 및/또는 관찰부(220)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가 배치되는데,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제2이동프레임(230) 상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지만,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이동프레임(230) 상에 제2상하프레임(235)이 위치하고 제2상하프레임(235) 상에 제2수직회전축(237)이 위치하며, 이러한 제2수직회전축(237)에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위치 컨트롤러(260)는 사용자, 즉 의사에 의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제어용 플레이트(201)에 대한 제2이동프레임(230)의 위치를 변경하는 위치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위치 컨트롤러(260)를 +x 방향, -x 방향, +y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기울임에 따라, 제2이동프레임(230)이 그 방향으로 제어용 플레이트(20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위치 컨트롤러(260)를 이용하여 제2상하프레임(235)의 제2이동프레임(230)에 대한 z축 상에서의 상대적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위치 컨트롤러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상하프레임(235)은 z축 상에서 제2이동프레임(2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사용자가 위치 컨트롤러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상하프레임(235)은 z축 상에서 제2이동프레임(230)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모조조명광학부(210)는 제2이동프레임(230) 상에 위치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제2이동프레임(230) 상에 위치한 제2상하프레임(235) 상의 제2수직회전축(23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조명회전아암(219)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조조명광학부(210)는 제2이동프레임(230)이 xy평면 내에서 평면 이동함에 따라 동일하게 평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모조조명광학부(210)는 제2이동프레임(230) 상의 제2상하프레임(235) 상에 장착되기에, 제2상하프레임(235)이 z축을 따라 +z 방향이나 -z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모조조명광학부(210) 역시 z축을 따라 +z 방향이나 -z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제2상하프레임(235)은 그 내부 및/또는 외부에 장착된 모터 등에 의해, 제2이동프레임(230)에 대한 제2상하프레임(235)의 상대적 위치가 z축 상에서 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모조조명광학부(210)는 실제로는 광을 방출하지 않고 조명광학부(110)와 유사한 형태만 갖은 채 조명에 대한 신호인 조명신호만을 생성한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실제로 측정광을 방출하는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의 조명광학부(110)는 원격지에 위치한 사용자가 모조조명광학부(210)를 조작하는 대로 동일/유사하게 조작된다.
제2송수신부(250)는 이미지데이터 수신부와 제어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하는데, 이미지데이터 수신부는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의 이미지데이터 송신부가 송신한 이미지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2송수신부(250)가 제어용 플레이트(201)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2송수신부(250)는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컴퓨터의 일부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관찰부(220)는 제2이동프레임(230) 상에 위치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제2이동프레임(230) 상에 위치한 제2상하프레임(235) 상의 제2수직회전축(237)에 회전가능하다 결합되는 관찰회전아암(224)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찰부(220)는 제2이동프레임(230)이 xy평면 내에서 평면 이동함에 따라 동일하게 평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관찰부(220)는 제2이동프레임(230) 상의 제2상하프레임(235) 상에 장착되기에, 제2상하프레임(235)이 z축을 따라 +z 방향이나 -z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관찰부(220) 역시 z축을 따라 +z 방향이나 -z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관찰회전아암(224)이 제2수직회전축(237)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제2조명회전아암(219)과 관찰회전아암(224)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2수직회전축(237)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관찰부(220)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미지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한 이미지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의사 등의 사용자는 원격지에 위치하여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을 이용하는 환자의 안구 등에 대한 이미지를 관찰부(220)를 통해 관찰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관찰부(220)는 스위치 등과 같은 형태의 배율조절부(22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배율조절부(222)를 조작함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의 배율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관찰부(220)는 의사의 좌안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관찰부(220a)와, 의사의 우안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관찰부(220b)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1관찰부(220a)는 좌안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제2관찰부(220b)는 우안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의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에 대해 설명한 것과 같이, 의사가 환자의 좌안을 관찰할 시, 좌안용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a)와 우안용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b)는 모두 환자의 좌안에 대한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좌안용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a)의 중심과 우안용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b)의 중심은 의사의 좌안과 우안과 유사하게 일정 간격을 갖게 된다. 그러한 상태에서 좌안용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a)가 좌안용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하고 우안용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b)가 우안용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의사가 사용하는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의 관찰부(220)의 제1관찰부(220a)는 좌안용 이미지데이터를 이용하여 좌안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관찰부(220)의 제2관찰부(220b)는 우안용 이미지데이터를 이용하여 우안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의사의 좌안은 관찰부(220)의 제1관찰부(220a)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좌안용 이미지를 시인하고 의사의 우안은 관찰부(220)의 제2관찰부(220b)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우안용 이미지를 시인하게 되며, 그 결과 의사는 환자의 좌안을 입체이미지(3D 이미지, stereoscopic image)로 인식할 수 있다. 물론 의사가 환자의 우안을 검안할 시에도 마찬가지로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의 좌안용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a)와 우안용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b)는 모두 환자의 우안에 대한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의사가 사용하는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의 관찰부(220)의 제1관찰부(220a)는 좌안용 이미지데이터를 이용하여 좌안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관찰부(220)의 제2관찰부(220b)는 우안용 이미지데이터를 이용하여 우안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의사의 좌안은 관찰부(220)의 제1관찰부(220a)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좌안용 이미지를 시인하고 의사의 우안은 관찰부(220)의 제2관찰부(220b)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우안용 이미지를 시인하게 되며, 그 결과 의사는 환자의 우안을 입체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다.
참고로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의 제1관찰부(220a)와 제2관찰부(220b)는 그 사이의 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사가 자신의 좌안과 우안에 대응하도록 제1관찰부(220a)와 제2관찰부(220b)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2송수신부(250)는 이미지데이터 수신부와 제어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하는데, 제어데이터 송신부는 위치 컨트롤러(260)에서 발생시키는 위치신호에 대한 위치데이터를 포함한 제어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의 제어데이터 수신부는 이와 같이 송신된 제어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제어데이터 송신부가 송신하는 제어데이터는 위치 컨트롤러(260)에서 발생시키는 위치신호에 대한 위치데이터 뿐만 아니라, 모조조명광학부(210)에서 발생시키는 조명신호에 대한 조명데이터나, 배율조절부(222)에서 발생시키는 배율신호에 대한 배율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의 작동 방식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의사는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을 사용하고, 환자는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을 사용한다. 이때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과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은 원격지에 이격되어 위치하며, 인터넷, 유선통신망 또는 무선통신망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즉,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의 이미지데이터 수신부는 인터넷, 유선통신망 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의 이미지데이터 송신부로부터 이미지데이터를 수신하고,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의 제어데이터 수신부는 인터넷, 유선통신망 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의 제어데이터 송신부로부터 제어데이터를 수신한다.
환자가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의 피검안 위치 고정부(140)에 얼굴 등을 위치시켜 안구의 위치를 고정하면, 의사는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의 위치 컨트롤러(260)를 이용하여 제2이동프레임(230)의 위치나 제2상하프레임(235)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컨트롤러(260)에서 발생시키는 위치신호는 제어용 플레이트(201)에 대한 제2이동프레임(230)의 위치나 제2이동프레임(230)에 대한 제2상하프레임(235)의 위치에 대한 신호인바, 이러한 위치신호에 대한 위치데이터를 포함한 제어데이터는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의 제어데이터 송신부에서 송신되어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의 제어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한다. 그리고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의 피검안용 플레이트(101)에 대한 제1이동프레임(130)의 위치나 제1이동프레임(130)에 대한 제1상하프레임(135)의 위치는 수신된 제어데이터에 따라 결정된다. 즉,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의 제1이동프레임(130) 및/또는 제1상하프레임(135)은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의 제2이동프레임(230) 및/또는 제2상하프레임(235)과 동일하게 움직이게 된다.
물론 의사가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의 관찰회전아암(224)을 제2수직회전축(237)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바, 이러한 관찰회전아암(224)의 회전 방향과 회전각도에 대한 데이터 역시 제어데이터에 포함되어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에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의 촬영회전아암(124)도 제1수직회전축(137)을 중심으로 관찰회전아암(224)과 동일한 방향 및 동일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의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가 측정광이 조사된 피검안에 대한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미지데이터 송신부를 통해 송신하면,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의 이미지데이터 수신부가 그 이미지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의 관찰부(220)는 수신된 이미지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여, 의사는 해당 이미지를 관찰부(220)를 통해 인식할 수 있다.
이처럼 의사와 환자가 동일한 공간에 위치하지 않고 서로 상이한 곳에 위치하더라도,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을 이용하게 되면 의사는 아무런 이질감 없이 환자가 동일한 공간에 위치하는 것처럼 환자의 안구 등에 대해 진료할 수 있다.
한편, 의사는 필요에 따라 환자의 안구 등에 조사되는 광원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의 모조조명광학부(210)는 하우징(212)에 결합된 광조절부(213)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광조절부(213)는 복수개의 버튼을 가져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버튼을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고, 디스크와 같은 형상을 가져 사용자가 이를 회전시킴으로서 필터가 선택되도록 하여 측정광을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 어떤 경우이든 의사 등의 사용자가 광조절부(213)를 조작하면, 해당 조작 내용은 조명데이터의 일부로서 제어데이터에 포함되어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의 제어데이터 송신부를 통해 송신된다.
이 제어데이터는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의 제어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하는바, 이에 따라 조명데이터는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의 조명광학부(110)에 전달되어 조명광학부(110)의 광조절부(113)에서 이를 반영하게 된다. 예컨대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의 광조절부(213)가 디스크와 같은 형상을 가져 회전됨에 따라 측정광의 파장이나 강도 등에 대한 조명데이터를 생성하면,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의 광조절부(113) 역시 디스크와 같은 형상을 가져 회전됨에 따라 측정광의 파장이나 강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필요하다면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의 광조절부(113)는 필터를 포함하고, 이 필터가 조명데이터에 따라 모터 등에 의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측정광은 피검안에 조사될 시 슬릿 형상의 조사영역을 형성하는바,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은 그러한 슬릿 형상의 크기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들을 가질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은 슬릿의 상하 길이 및/또는 슬릿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슬릿 조절부(216)를 구비할 수 있다. 의사 등의 사용자가 슬릿 조절부(216)를 조작하게 되면, 해당 조작 내용은 조명데이터의 일부로서 제어데이터에 포함되어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의 제어데이터 송신부를 통해 송신된다.
이 제어데이터는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의 제어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한다. 이에 따라 조명데이터는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의 조명광학부(110)에 전달되며, 조명광학부(110)는 슬릿 형상의 측정광의 상하길이나 폭 등을 조절하게 된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조명광학부(110)는 모터 등을 포함하여 측정광이 통과하는 슬릿의 상하길이나 폭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이 외에도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은 다양한 조절스위치 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세극등 조절부(214)를 구비하여, 의사가 이를 조작하면 세극등 조절부(214)는 세극등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는 제어데이터의 일부로서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에 전달될 수 있다.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은 수신된 세극등에 대한 데이터에 따라,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에서 환자에게 조사할 세극등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세극등의 색을 백색광에서 청색광으로 또는 그 반대로 바꿀 수 있다.
그리고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은 센터링 조절부(215)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의사가 이를 조작하면 센터링 조절부(215)는 센터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는 제어데이터의 일부로서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에 전달될 수 있다.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은 수신된 센터링 데이터에 따라, 피검안 상에 조사된 슬릿 형상의 측정광의 위치가 중앙으로부터 바깥으로 이동하거나 바깥에서 중앙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의사가 원격지의 환자의 안구 등을 실시간으로 진료하는 과정에서,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의 피검안 위치 고정부(140)의 턱 고정부(144)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의사가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의 턱 위치 조절부(246)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등으로 회전시켜 조작함에 따라 턱 위치 조절부(246)에서 턱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게 되고, 이 턱 위치 데이터는 제어데이터에 포함되어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의 피검안 위치 고정부(140)가 포함하는 턱 위치 결정부(146)는 내부에 포함된 모터 등을 장착시켜 수신한 턱 위치 데이터에 따라 턱 고정부(144)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의사와 환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을 이용하여 의사가 원격지의 환자의 안구 등을 실시간으로 진료하는 과정에서, 고배율로 환자의 안구를 관찰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의사가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의 관찰부(220)가 포함하는 배율조절부(222)를 조작하게 되면, 배율조절부(222)에서 발생시키는 배율신호에 대한 배율데이터 등은 제어데이터에 포함되어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의 제어데이터 송신부를 통해 송신된다. 배율조절부(222)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예컨대 다이얼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제어데이터는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의 제어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한다. 이에 따라 피검안 위치 고정부(140)와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 사이의 광경로에 배치되는 배율광학부에 배율데이터 등이 전달된다. 배율광학부는 모터 등을 이용해 포함하는 렌즈 등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렌즈 등을 교체하는 방식 등을 통해, 의사 등의 조작에 대응하는 배율의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데이터가 이미지데이터 생성부(120)에서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데이터는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의 이미지데이터 송신부를 통해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의 이미지데이터 수신부로 전송되며,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의 관찰부(220)는 이 수신된 이미지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따라서 의사 등은 실시간으로 자신이 원하는 배율로 환자의 안구 등을 진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 피검안용 플레이트 110: 조명광학부
113: 광조절부 118: 반사미러
119: 제1조명회전아암 120: 이미지데이터 생성부
124: 촬영회전아암 130: 제1이동프레임
131: 가로바 133: 가이드프레임
135: 제1상하프레임 137: 제1수직회전축
140: 피검안 위치 고정부 146: 턱 위치 결정부
150: 제1송수신부 201: 제어용 플레이트
210: 모조조명광학부 212: 하우징
213: 광조절부 214: 세극등 조절부
215: 센터링 조절부 216: 슬릿 조절부
219: 제2조명회전아암 220: 관찰부
222: 배율조절부 224: 관찰회전아암
230: 제2이동프레임 231: 가로바
233: 가이드프레임 235: 제2상하프레임
237: 제2수직회전축 246: 턱 위치 조절부
250: 제2송수신부 260: 컨트롤러

Claims (5)

  1.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과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을 포함하는,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으로서,
    상기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은,
    피검안용 플레이트;
    상기 피검안용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피검안 위치 고정부;
    상기 피검안용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되, 상기 피검안용 플레이트에 대해 평면 이동 가능한, 제1이동프레임;
    상기 제1이동프레임 상에 위치하며, 측정광을 조사할 수 있는, 조명광학부;
    상기 제1이동프레임 상에 위치하며, 상기 조명광학부로부터 조사된 측정광을 반사하여 상기 피검안 위치 고정부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피검안으로 유도하는, 반사미러;
    상기 제1이동프레임 상에 위치하며, 측정광이 조사된 피검안에 대한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이미지데이터 생성부;
    상기 이미지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이미지데이터 송신부; 및
    제어데이터 수신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은,
    제어용 플레이트;
    상기 제어용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되, 상기 제어용 플레이트에 대해 평면 이동 가능한 제2이동프레임;
    상기 제어용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제2이동프레임의 위치를 변경하는 위치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위치 컨트롤러;
    상기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의 상기 이미지데이터 송신부에서 송신한 이미지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이미지데이터 수신부;
    상기 제2이동프레임 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2이동프레임과 함께 이동하며, 상기 이미지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한 이미지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관찰부;
    상기 제2이동프레임 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2이동프레임과 함께 이동하며, 광을 방출하지 않고 조명신호만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조조명광학부; 및
    상기 위치 컨트롤러에서 발생시키는 위치신호에 대한 위치데이터와 상기 모조조명광학부에서 발생시키는 조명신호에 대한 조명데이터를 포함한 제어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제어데이터 송신부;
    를 구비하며,
    상기 피검안용 플레이트 상에서의 상기 제1이동프레임의 위치는 상기 제어데이터 송신부가 송신하여 상기 제어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한 제어데이터가 포함하는 위치데이터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조명광학부가 조사하는 측정광의 강도, 파장 및 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어데이터 송신부가 송신하여 상기 제어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한 제어데이터가 포함하는 조명데이터에 따라 결정되는,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데이터 수신부는 인터넷, 유선통신망 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미지데이터 송신부로부터 이미지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데이터 수신부는 인터넷, 유선통신망 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제어데이터 송신부로부터 제어데이터를 수신하는,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안용 세극등 현미경은, 상기 피검안 위치 고정부와 상기 이미지데이터 생성부 사이의 광경로에 배치되는 배율광학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용 세극등 현미경은 배율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배율조절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데이터 송신부는 상기 배율조절부에서 발생시키는 배율신호에 대한 배율데이터를 포함한 제어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배율광학부의 배율은 상기 제어데이터 송신부가 송신하여 상기 제어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한 제어데이터가 포함하는 배율데이터에 따라 결정되는,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
KR1020160156589A 2016-11-23 2016-11-23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 KR101857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589A KR101857720B1 (ko) 2016-11-23 2016-11-23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589A KR101857720B1 (ko) 2016-11-23 2016-11-23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720B1 true KR101857720B1 (ko) 2018-05-14

Family

ID=62188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589A KR101857720B1 (ko) 2016-11-23 2016-11-23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7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6085A1 (ko) * 2022-10-06 2024-04-1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4273A (ja) * 2007-05-21 2008-11-27 Univ Of Yamanashi 眼科遠隔診断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4273A (ja) * 2007-05-21 2008-11-27 Univ Of Yamanashi 眼科遠隔診断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6085A1 (ko) * 2022-10-06 2024-04-1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6094B2 (ja) 虚像照準装置を使った光学医療治療システム及び方法
JP4937792B2 (ja) 眼底カメラ
US8205988B2 (en) Stereomicroscope
JP2019536499A (ja) 眼科装置
JP2018047095A (ja) 検眼装置
JPH0366895B2 (ko)
KR101857720B1 (ko)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
JP6061287B2 (ja) 角膜検査装置
US11992267B2 (en) Ophthalmologic apparatus and ophthalmologic system
JP2024016065A (ja) 眼科装置、及び眼科システム
JP2023175996A (ja) 検眼装置
KR20150111589A (ko) 보조 조명 장치 일체형 세극등 현미경
KR20190123084A (ko)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
JP7249097B2 (ja) 眼科装置及び検眼システム
WO2010034502A2 (en) Ophthalmoscopy using direct sensing of the flat aerial-image created by an aspheric lens
JP2021019976A (ja) 眼科装置及び眼科システム
KR20240048119A (ko) 원격진료용 세극등 현미경 장치
JP7018152B2 (ja) 眼科検査装置
US20220331042A1 (en) Slit projector arrangement
US20240074649A1 (en) Ophthalm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ophthalmic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S63161950A (ja) 医科器械の制御装置
JP2019208751A (ja) 眼科装置
JP2023145253A (ja) 視標提示装置及び眼科装置
JP2019208749A (ja) 眼科装置
JP2019208750A (ja) 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