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4542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4542A
KR20130034542A KR1020110098609A KR20110098609A KR20130034542A KR 20130034542 A KR20130034542 A KR 20130034542A KR 1020110098609 A KR1020110098609 A KR 1020110098609A KR 20110098609 A KR20110098609 A KR 20110098609A KR 20130034542 A KR20130034542 A KR 20130034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unit
unit
receiving groove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2597B1 (ko
Inventor
안명진
정승만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8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597B1/ko
Priority to US13/605,480 priority patent/US9207366B2/en
Priority to JP2012197330A priority patent/JP5904912B2/ja
Priority to TW101132685A priority patent/TWI508547B/zh
Publication of KR20130034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62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8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wafer level op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75Arrays characterized by non-optical structures, e.g. having integrated holding or alignment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이 개시된다.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 내에 배치되고, 제 1 외곽 형상을 가지는 제 1 렌즈부; 상기 렌즈 배럴 내에 배치되고, 제 2 외곽 형상을 가지는 제 2 렌즈부; 및 상기 렌즈 배럴과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RMERA MODULE}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와 PDA 및 MP3 플레이어 등의 IT 기기를 비롯한 자동차와 내시경 등의 제작시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고 있으며,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기존의 30만 화소(VGA급)에서 기술의 발달에 따라 고화소 중심으로 발달됨과 동시에 장착 대상에 따라서 소형화 및 박형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저가의 제작 비용으로 오토포커싱(AF), 광학 줌(OPTICAL ZOOM)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이 구현 가능하도록 변화되고 있다.
또한, 현재 제작되는 카메라 모듈은 와이어 본딩 방식(COB ; Chip Of Board), 플립 칩 방식(COF ; Chip Of Flexible) 및 칩 스케일 패키지 방식(CSP ; Chip Scale Pakage)으로 제작되는 이미지센서 모듈이 탑재되어 제작되고 있으며, 주로 인쇄회로기판(PCB)이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등의 전기적 연결 수단을 통해 메인 기판에 접속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최근에 이르러 일반적인 수동소자와 마찬가지로 메인 기판 상에 직접 실장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간소화시키고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이 유저로부터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은, 주로 CCD나 CMOS 등의 이미지센서가 와이어 본딩 또는 플립 칩 방식에 의해 기판에 부착된 상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상기 이미지센서를 통하여 사물의 이미지를 집광시켜 카메라 모듈 내, 외의 메모리상에 데이터로 저장되고, 저장된 데이터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기기내의 LCD 또는 PC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매체를 통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통해 들어온 영상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가 저면에 지지되는 하우징과, 상기 이미지센서에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모아주는 렌즈군과, 상기 렌즈군이 내부에 적층되는 배럴의 순차적인 결합에 의해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CCD 또는 CMOS로 이루어진 이미지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부품인 콘덴서와 저항의 칩 부품이 부착된 실장용 기판(FPCB)이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실장용 기판(FPCB)에 다수의 회로 부품이 실장된 상태에서 기판과 이미지센서 사이에 이방전도성필름(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삽입하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통전되도록 접착 고정하고, 그 반대면에 적외선 차단 필터부를 부착한다.
또한, 다수의 렌즈군이 내장된 배럴과 하우징이 나사 결합에 의해서 가결합시킨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기 조립된 실장용 기판이 하우징의 저면에 별도의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 고정된다.
한편, 상기 이미지센서가 부착된 실장용 기판과 배럴이 결합된 하우징의 접착 고정 후에 상기 배럴의 전방에 피사체(해상도 챠트)를 일정한 거리로 하여 초점 조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초점 조정은 하우징에 나사 결합된 배럴의 회전에 의한 수직 이송량이 조절됨에 따라 렌즈군과 이미지센서 간의 초점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실시예는 작은 크기를 가지고 향상된 성능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 내에 배치되고, 제 1 외곽 형상을 가지는 제 1 렌즈부; 상기 렌즈 배럴 내에 배치되고, 제 2 외곽 형상을 가지는 제 2 렌즈부; 및 상기 렌즈 배럴과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렌즈 배럴에 서로 다른 외곽 형상을 가지는 렌즈부들을 배치시킨다. 특히,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렌즈 배럴에 서로 다른 크기, 서로 다른 외곽 형상 및 서로 다른 성능을 가지는 렌즈부들을 배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성능이 필요치 않는 렌즈부들은 기판 형태로 다수 개를 한꺼번에 형성하고, 이를 적층하여, 한꺼번에 절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다각 형의 외곽 형상을 가지는 렌즈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성능이 필요한 렌즈부들은 원하는 외곽 형상을 가지도록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원 형상을 가지는 렌즈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성능이 필요한 렌즈부들은 큰 면적을 차지하므로, 원형의 외곽 형상으로 가공되어, 원통 형상의 렌즈 배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고성능의 렌즈부들은 상기 렌즈 배럴 내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성능이 필요하지 않는 렌즈부들은 대량 생산이 용이하도록 다각형의 외곽 형상을 가지는데, 큰 면적을 차지하지 않으므로, 상기 렌즈 배럴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렌즈 배럴 내에, 렌즈부들의 성능 별로 외곽 형상을 달리하여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렌즈부들의 성능 및 제조 용이성을 기준으로 상기 렌즈 배럴 내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용이하게 제조되고, 작은 크기를 가지며, 향상된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렌즈 배럴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렌즈 배럴에 렌즈 어셈블리 및 제 2 렌즈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렌즈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렌즈 배럴, 렌즈 어셈블리 및 제 2 렌즈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렌즈부 및 렌즈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렌즈 배럴, 렌즈 어셈블리, 제 2 렌즈부 및 제 4 렌즈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렌즈, 유닛, 부, 홀, 돌기, 홈 또는 층 등이 각 렌즈, 유닛, 부, 홀, 돌기, 홈 또는 층 등의 "상(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부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렌즈 배럴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렌즈 배럴에 렌즈 어셈블리 및 제 2 렌즈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렌즈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100), 렌즈 어셈블리(200), 제 2 렌즈부(220), 고정부(300), 하우징(400),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 및 센서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 및 상기 제 2 렌즈부(220)를 수용한다.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수용홈(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수용홈(120)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수용홈(120)은 바텀측에서 보았을 때, 다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수용홈(120)은 바텀측에서 보았을 때,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수용홈(120)의 외곽은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수용홈(120)은 바텀측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수용홈(120)은 바텀측에서 보았을 때, 정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기 제 2 렌즈부(220)를 수용하기 위한 제 2 수용홈(130)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수용홈(130)은 상기 제 2 렌즈부(22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수용홈(130)은 바텀측에서 보았을 때,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수용홈(130)의 외곽은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수용홈(120) 및 상기 제 2 수용홈(130)은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 1 수용홈(120) 및 상기 제 2 수용홈(130)은 직접 연결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수용홈(120)은 상기 제 2 수용홈(130)보다 더 물체 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수용홈(120)은 상기 제 2 수용홈(13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수용홈(120)은 상기 제 2 수용홈(130)보다 더 작은 평면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수용홈(120)의 외곽은 상기 제 2 수용홈(130)의 외곽 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 1 수용홈(120) 및 상기 제 2 수용홈(130)은 서로 단차를 형성한다. 즉, 상기 제 1 수용홈(120)의 내측면 및 상기 제 2 수용홈(130)의 내측면은 서로 단차를 형성한다.
상기 렌즈 배럴(100)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배럴(100)의 외곽은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기 하우징(400)과 결합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기 하우징(400)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100)의 외주면에 수나사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100)의 수나사부(110)는 상기 하우징(400)의 암나사부(41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나사부(110) 및 상기 암나사부(410)에 의해서, 상기 제 2 렌즈부(220) 및 상기 센서부(60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배럴(10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 2 렌즈부(220) 및 상기 센서부(60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센서부(600)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 및 상기 제 2 렌즈부(220)의 전체 초점 거리에 배치되도록, 상기 센서부(60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배럴(100) 및 상기 하우징(400)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 상기 제 2 렌즈부(220) 및 상기 센서부(600) 사이의 초점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방(물체 측)으로 오픈되는 입광홈을 포함한다. 상기 입광홈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를 노출시킨다. 상기 입광홈을 통하여,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에 영상이 입사된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상기 렌즈 배럴(100) 내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상기 제 1 수용홈(120) 내에 배치된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상기 제 1 수용홈(120)에 삽입된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제 1 외곽 형상을 가진다. 더 자세하게,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다각형의 외곽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탑측에서 보았을 때,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탑측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탑측에서 보았을 때, 정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다수 개의 렌즈부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제 1 렌즈부(210), 제 3 렌즈부(230) 및 제 4 렌즈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렌즈부(240), 상기 제 3 렌즈부(230) 및 상기 제 1 렌즈부(210)는 차례로 적층된다.
상기 제 1 렌즈부(210)는 제 1 렌즈(211) 및 제 1 지지부(21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렌즈(211)는 곡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지지부(212)는 상기 제 1 렌즈(211)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1 렌즈(211) 및 상기 제 1 지지부(21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212)에는 상기 제 2 렌즈부(220)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렌즈부(230)는 상기 제 1 렌즈부(210) 아래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3 렌즈부(230)는 상기 제 1 렌즈부(210) 및 상기 제 2 렌즈부(22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3 렌즈부(230)는 제 3 렌즈(231) 및 제 3 지지부(232)를 포함한다. 상기 제 3 렌즈(231)는 곡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 3 지지부(232)는 상기 제 3 렌즈(231)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3 렌즈(231) 및 상기 제 3 지지부(2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지지부(232)에는 상기 제 4 렌즈부(240)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지지부(232)의 상면에는 상기 제 1 렌즈부(210)에 고정되기 위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 렌즈부(240)는 상기 제 3 렌즈부(230) 아래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4 렌즈부(240)는 상기 제 3 렌즈부(230) 및 상기 제 2 렌즈부(22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4 렌즈부(240)는 제 4 렌즈(241) 및 제 4 지지부(242)를 포함한다. 상기 제 4 렌즈(241)는 곡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 4 지지부(242)는 상기 제 4 렌즈(241)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4 렌즈(241) 및 상기 제 4 지지부(24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 지지부(242)의 상면에는 상기 제 3 렌즈부(230)에 고정되기 위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3개의 렌즈부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1개 또는 2개의 렌즈부를 포함하거나, 4개 이상의 렌즈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폴리머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렌즈부(210), 상기 제 2 렌즈부(220) 및 상기 제 3 렌즈부(230)로 사용되는 물질은 아크릴계 수지 등과 같은 투명한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수 개의 렌즈 어레이 기판들(213, 233, 243)이 차례로 적층된다. 상기 렌즈 어레이 기판들(213, 233, 243)은 다수 개의 렌즈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 4 렌즈 어레이 기판(243), 제 3 렌즈 어레이 기판(233) 및 제 1 렌즈 어레이 기판(213)이 차례로 적층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렌즈 어레이 기판(213), 상기 제 3 렌즈 어레이 기판(233) 및 상기 제 4 렌즈 어레이 기판(243)이 적층된 채로 절단된다. 이에 따라서, 다수 개의 렌즈 어셈블리들(200)이 한꺼번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 1 렌즈부(210), 상기 제 3 렌즈부(230) 및 상기 제 4 렌즈부(240)는 모두 동일한 외곽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렌즈부(210), 상기 제 3 렌즈부(230) 및 상기 제 4 렌즈부(240)는 모두 상기 제 1 외곽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어셈블리들(200)은 탑측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적층 및 절단 공정에 의해서 형성되므로, 필연적으로 다각형의 외곽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렌즈부(220)는 상기 제 2 수용홈(130) 내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렌즈부(220)는 물체 측을 기준으로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보다 더 멀리 배치된다. 즉, 상기 제 2 렌즈부(220)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렌즈부(220)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의 제 1 외곽 형상과 다른 제 2 외곽 형상을 가진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2 렌즈부(220)는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렌즈부(220)는 원형의 외곽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렌즈부(220)는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렌즈부(220)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보다 더 넓은 평면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렌즈부(220)는 상기 제 1 렌즈부(210), 상기 제 2 렌즈부(220) 및 상기 제 3 렌즈부(230)보다 더 넓은 평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렌즈부(220)는 유리 또는 투명한 폴리머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렌즈부(220)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폴리머 또는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2 렌즈부(220)로 유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 및 상기 제 2 렌즈부(220) 사이에 제 5 렌즈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5 렌즈부는 상기 제 2 렌즈부(220)와 동일한 외곽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렌즈부(220)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 사이에는 스페이서(22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225)는 상기 제 2 렌즈부(220)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 사이의 간격을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225)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 및 상기 제 2 렌즈부(220)를 상기 렌즈 배럴(100)에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렌즈 배럴(100) 및 상기 제 2 렌즈부(220)에 접착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렌즈 배럴(100)의 하면 및 상기 제 2 렌즈부(220)의 하면에 접착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렌즈 배럴(100)의 하면 및 상기 제 2 렌즈부(220)의 하면에 직접 접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00)는 도트(dot)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고정부(300)는 도트 형태로 다수 개일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의 하면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00)로 사용되는 물질은 에폭시계 수지 등과 같은 접착성이 높은 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제 2 렌즈부(220)의 외곽 부분에만 접착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에 입사되는 광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고정부(300)는 도트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간단한 공정으로 용이하게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 및 상기 제 2 렌즈부(220)를 상기 렌즈 배럴(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 및 상기 렌즈 배럴(100) 사이의 영역에 수지 조성물이 도팅된 후, 상기 수지 조성물이 경화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고정부(300)가 간단한 공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00)은 상기 센서부(600) 및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를 수용한다. 상기 하우징(400)은 상기 렌즈 배럴(100)과 결합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하우징(400)은 상기 렌즈 배럴(100)과 나사 결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400)의 암나사부(410)는 상기 렌즈 배럴(100)의 수나사부(110)와 렌즈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400)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00)은 원형 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400)은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420) 및 상기 센서부(6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430)을 포함한다.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는 상기 하우징(400) 내에 배치된다.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는 입사되는 적외선을 필터링한다.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는 상기 센서부(600)에 유입되는 과도한 장파장의 광의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는 광학 유리에 티타늄 옥사이드 및 실리콘 옥사이드가 교대로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티타늄 옥사이드 및 상기 실리콘 옥사이드의 두께는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600)는 상기 하우징(400) 내에 수용된다. 상기 센서부(600)는 CCD 이미지 센서 또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600)는 상기 이미지 센서와 연결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600)는 입사되는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경시킨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렌즈 배럴(100)에 서로 다른 외곽 형상을 가지는 렌즈부들을 배치시킨다. 특히,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렌즈 배럴(100)에 서로 다른 크기, 서로 다른 외곽 형상 및 서로 다른 성능을 가지는 렌즈부들을 배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고성능을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작은 크기의 렌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적층 및 절단 공정에 의해서 다각형 형상의 외곽을 가지더라도, 작은 크기의 렌즈들을 가지기 때문에, 작은 크기로 상기 렌즈 배럴(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 2 렌즈부(220)는 고성능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 2 렌즈부(220)의 렌즈는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 2 렌즈부(220)는 원 형상의 외곽을 가지도록 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렌즈부(220)는 원 형상의 외곽으로 가공되어, 원통 형상의 렌즈 배럴(100)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 2 렌즈부(220)는 상기 렌즈 배럴(100) 내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여 배치될 수 있다.
결국,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대량 생산이 용이하도록 다각형의 외곽 형상을 가지는데, 큰 면적을 차지하지 않으므로, 상기 렌즈 배럴(100)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렌즈부(220)는 넓은 평면적을 가지므로, 공간 사용의 극대화를 위하여 원형의 외곽 형상을 가진다.
즉,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렌즈 배럴(100) 내에, 렌즈부들의 성능 별로 외곽 형상을 달리하여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렌즈부들의 성능 및 제조 용이성을 기준으로 상기 렌즈 배럴(100) 내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용이하게 제조되고, 작은 크기를 가지며, 향상된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렌즈 배럴, 렌즈 어셈블리 및 제 2 렌즈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렌즈부 및 렌즈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카메라 모듈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즉, 앞선 카메라 모듈에 대한 설명은 변경된 부분을 제외하고,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본질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 2 렌즈부(220)가 렌즈 어셈블리(200)보다 물체 측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즉, 상기 제 2 렌즈부(220)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렌즈부(220)는 렌즈 배럴(100)의 제 2 수용홈(130)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상기 렌즈 배럴(100)의 제 1 수용홈(120)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 2 수용홈(130)은 상기 제 1 수용홈(120)보다 물체 측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즉, 상기 제 2 수용홈(130)은 상기 제 1 수용홈(12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렌즈부(220)는 원형의 외곽 형상을 가지고,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다각형의 외곽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렌즈부(220)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보다 더 작은 평면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렌즈부(220)의 외곽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의 외곽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렌즈부(220)의 일부는 상기 렌즈 배럴(100)로부터 물체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2 렌즈부(220)의 렌즈가 상기 렌즈 배럴(10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넓은 화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차량 등에 적용되어, 넓은 시야각을 가질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렌즈 배럴, 렌즈 어셈블리, 제 2 렌즈부 및 제 4 렌즈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카메라 모듈에 대한 설명들을 참조한다. 즉, 앞선 카메라 모듈에 대한 설명들은 변경된 부분을 제외하고,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본질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렌즈 어셈블리(200) 및 제 2 렌즈부(220) 사이에 제 5 렌즈부(250)가 배치된다. 상기 제 5 렌즈부(250)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의 제 1 외곽 형상과 다른 외곽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 렌즈부(250)는 상기 제 2 렌즈부(220)와 다른 외곽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 렌즈부(250)는 상기 렌즈 배럴(100)의 제 3 수용홈(140) 내에 배치된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상기 렌즈 배럴(100)의 제 1 수용홈(120) 내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렌즈부(220)는 상기 렌즈 배럴(100)의 제 2 수용홈(130) 내에 배치된다.
상기 제 3 수용홈(140)은 상기 제 1 수용홈(120) 및 상기 제 2 수용홈(13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3 수용홈(140)은 상기 제 1 수용홈(120) 및 상기 제 2 수용홈(130)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수용홈(120)의 내측면은 상기 제 3 수용홈(140)의 내측면과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수용홈(130)의 내측면은 상기 제 3 수용홈(140)의 내측면과 단차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다양한 외곽 형상을 가지는 렌즈부들을 상기 렌즈 배럴(100) 내에 효과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 내에 배치되고, 제 1 외곽 형상을 가지는 제 1 렌즈부;
    상기 렌즈 배럴 내에 배치되고, 제 2 외곽 형상을 가지는 제 2 렌즈부; 및
    상기 렌즈 배럴과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곽 형상은 다각 형상이고,
    상기 제 2 외곽 형상은 원 형상인 카메라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부 및 상기 제 2 렌즈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 1 외곽 형상을 가지는 제 3 렌즈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렌즈부 및 상기 제 2 렌즈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 1 외곽 형상을 가지는 제 4 렌즈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부, 상기 제 3 렌즈부 및 상기 제 4 렌즈부는 서로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는 절단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부, 상기 제 3 렌즈부 및 상기 제 4 렌즈부는 플라스틱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렌즈부는 유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부 및 상기 제 2 렌즈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 2 외곽 형상을 가지는 제 3 렌즈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부는 상기 제 2 렌즈부보다 물체 측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부는 상기 제 1 렌즈부보다 물체 측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제 1 렌즈부를 수용하는 제 1 수용홈; 및
    상기 제 2 렌즈부를 수용하는 제 2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용홈의 내측면은 상기 제 2 수용홈의 내측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부 및 상기 제 2 렌즈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 3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제 1 렌즈부를 수용하는 제 1 수용홈;
    상기 제 2 렌즈부를 수용하는 제 2 수용홈; 및
    상기 제 3 렌즈부를 수용하는 제 3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용홈의 내측면은 상기 제 3 수용홈의 내측면과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수용홈의 내측면은 상기 제 3 수용홈의 내측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10098609A 2011-09-28 2011-09-28 카메라 모듈 KR101262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609A KR101262597B1 (ko) 2011-09-28 2011-09-28 카메라 모듈
US13/605,480 US9207366B2 (en) 2011-09-28 2012-09-06 Camera module
JP2012197330A JP5904912B2 (ja) 2011-09-28 2012-09-07 カメラモジュール
TW101132685A TWI508547B (zh) 2011-09-28 2012-09-07 攝像模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609A KR101262597B1 (ko) 2011-09-28 2011-09-28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542A true KR20130034542A (ko) 2013-04-05
KR101262597B1 KR101262597B1 (ko) 2013-05-09

Family

ID=47911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609A KR101262597B1 (ko) 2011-09-28 2011-09-28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07366B2 (ko)
JP (1) JP5904912B2 (ko)
KR (1) KR101262597B1 (ko)
TW (1) TWI5085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517B1 (ko) * 2011-09-19 2013-0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04516081A (zh) * 2013-09-30 2015-04-15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
TWI463205B (zh) * 2013-09-30 2014-12-01 玉晶光電股份有限公司 Optical imaging lens
CN105980904B (zh) * 2014-02-12 2019-08-13 日本电产三协(东莞)工机有限公司 透镜单元及摄像装置
US9507117B2 (en) * 2014-02-26 2016-11-2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module
EP3032712B1 (en) 2014-12-12 2018-02-07 Goodrich Control Systems Motor for an electrohydraulic actuator
TWI741988B (zh) * 2015-07-31 2021-10-11 日商新力股份有限公司 堆疊式透鏡結構及其製造方法,以及電子裝置
KR102628423B1 (ko) * 2016-03-30 2024-01-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가상 현실 구현을 위한 헤드 장착 표시 장치
US11314151B2 (en) * 2016-12-10 2022-04-26 Raytech Optical (Changzhou) Co., Ltd. Lens module
ES2945726T3 (es) * 2018-09-27 2023-07-06 Huawei Tech Co Ltd Cámara y terminal
CN111190258A (zh) * 2018-11-15 2020-05-22 三营超精密光电(晋城)有限公司 光学镜头、应用该光学镜头的镜头模组及电子装置
CN210270325U (zh) * 2019-08-15 2020-04-07 瑞声通讯科技(常州)有限公司 镜头模组
CN212276071U (zh) * 2020-11-26 2021-01-01 常州市瑞泰光电有限公司 镜头模组及摄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6309U (ja) * 1982-09-20 1984-03-27 ソニー株式会社 光学部品取付装置
JPH075353A (ja) 1993-04-21 1995-01-10 Asahi Optical Co Ltd レンズ保持構造
JP2004029554A (ja) 2002-06-27 2004-01-29 Olympus Corp 撮像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JP4436609B2 (ja) 2003-02-21 2010-03-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結像光学系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4847020B2 (ja) * 2005-01-19 2011-12-28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レンズ装置
JP2006284788A (ja) 2005-03-31 2006-10-19 Fuji Photo Film Co Ltd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小型撮像モジュール
JP4862411B2 (ja) * 2006-01-30 2012-01-25 ソニー株式会社 像ぶれ補正装置、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7292845A (ja) 2006-04-21 2007-11-08 Citizen Holdings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
JP4999508B2 (ja) * 2007-03-20 2012-08-15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
KR100843300B1 (ko) * 2007-04-12 2008-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0833312B1 (ko) * 2007-05-10 2008-05-2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2009163120A (ja) 2008-01-09 2009-07-23 Tamron Co Ltd 撮像装置用レンズの連結方法及びその連結方法を用いたレンズユニット並びにそのレンズユニットを内蔵した撮像装置
JP5274881B2 (ja) 2008-04-21 2013-08-28 カンタツ株式会社 撮像レンズモジュール
CN101644811A (zh) * 2008-08-08 2010-02-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成像装置
JP2011070016A (ja) 2009-09-25 2011-04-07 Sanyo Electric Co Ltd レンズモジュール、撮影装置、レンズ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1319129B1 (ko) * 2009-11-04 2013-10-17 코니카 미놀타 어드밴스드 레이어즈 인코포레이티드 구동 기구 및 그것을 사용한 촬상 장치
CN102087374A (zh) * 2009-12-02 2011-06-0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滤光片及采用所述滤光片的镜头模组
JP2011170214A (ja) * 2010-02-22 2011-09-01 Nidec Sankyo Corp レンズ駆動装置
JP5617561B2 (ja) * 2010-11-25 2014-11-05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77183A1 (en) 2013-03-28
JP5904912B2 (ja) 2016-04-20
KR101262597B1 (ko) 2013-05-09
TW201316756A (zh) 2013-04-16
JP2013073236A (ja) 2013-04-22
TWI508547B (zh) 2015-11-11
US9207366B2 (en) 201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597B1 (ko) 카메라 모듈
US11543567B2 (en)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opt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JP7229193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1231517B1 (ko) 카메라 모듈
KR101349524B1 (ko) 카메라 모듈
KR101349473B1 (ko) 카메라 모듈
US7831139B2 (en) Camera module with lens carrying structure using electrostatic driving unit
JP2013015837A (ja) レンズユニット、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
KR100832072B1 (ko) 카메라 모듈
JP2014103458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表示装置
KR101895965B1 (ko) 카메라 모듈
KR20140073255A (ko) 카메라 모듈
KR102284138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보기술 기기
KR20140023551A (ko) 카메라 모듈
KR100863797B1 (ko) 카메라 모듈
KR101349567B1 (ko) 카메라 모듈
KR101262571B1 (ko) 카메라 모듈
KR102072775B1 (ko) 카메라 모듈
KR101231433B1 (ko) 카메라 모듈
KR102057995B1 (ko) 카메라 모듈
KR100769723B1 (ko) 카메라 모듈
KR20100049405A (ko) 카메라모듈
KR20090051902A (ko) 초점 무조정 타입 카메라 모듈
KR20140007998A (ko) 카메라 모듈
KR20100081095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