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7998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7998A
KR20140007998A KR1020120074838A KR20120074838A KR20140007998A KR 20140007998 A KR20140007998 A KR 20140007998A KR 1020120074838 A KR1020120074838 A KR 1020120074838A KR 20120074838 A KR20120074838 A KR 20120074838A KR 20140007998 A KR20140007998 A KR 20140007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river
camera module
sidewall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봉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4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7998A/ko
Publication of KR20140007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9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02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moving lens along basebo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베럴; 및 상기 하우징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베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하우징을 둘러싼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와 PDA 및 MP3 플레이어 등의 IT 기기를 비롯한 자동차와 내시경 등의 제작시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고 있으며,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기존의 30만 화소(VGA급)에서 기술의 발달에 따라 고화소 중심으로 발달됨과 동시에 장착 대상에 따라서 소형화 및 박형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저가의 제작 비용으로 오토포커싱(AF), 광학 줌(OPTICAL ZOOM)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이 구현 가능하도록 변화되고 있다.
또한, 현재 제작되는 카메라 모듈은 와이어 본딩 방식(COB ; Chip Of Board), 플립 칩 방식(COF ; Chip Of Flexible) 및 칩 스케일 패키지 방식(CSP ; Chip Scale Pakage)으로 제작되는 이미지센서 모듈이 탑재되어 제작되고 있으며, 주로 인쇄회로기판(PCB)이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등의 전기적 연결 수단을 통해 메인 기판에 접속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최근에 이르러 일반적인 수동소자와 마찬가지로 메인 기판 상에 직접 실장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간소화시키고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이 유저로부터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은, 주로 CCD나 CMOS 등의 이미지센서가 와이어 본딩 또는 플립 칩 방식에 의해 기판에 부착된 상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상기 이미지센서를 통하여 사물의 이미지를 집광시켜 카메라 모듈 내, 외의 메모리상에 데이터로 저장되고, 저장된 데이터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기기내의 LCD 또는 PC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매체를 통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통해 들어온 영상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가 저면에 지지되는 하우징과, 상기 이미지센서에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모아주는 렌즈군과, 상기 렌즈군이 내부에 적층되는 배럴의 순차적인 결합에 의해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CCD 또는 CMOS로 이루어진 이미지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부품인 콘덴서와 저항의 칩 부품이 부착된 실장용 기판(FPCB)이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실장용 기판(FPCB)에 다수의 회로 부품이 실장된 상태에서 기판과 이미지센서 사이에 이방전도성필름(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삽입하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통전되도록 접착 고정하고, 그 반대면에 적외선 차단 필터부를 부착한다.
또한, 다수의 렌즈군이 내장된 배럴과 하우징이 나사 결합에 의해서 가결합시킨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기 조립된 실장용 기판이 하우징의 저면에 별도의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 고정된다.
한편, 상기 이미지센서가 부착된 실장용 기판과 배럴이 결합된 하우징의 접착 고정 후에 상기 배럴의 전방에 피사체(해상도 챠트)를 일정한 거리로 하여 초점 조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초점 조정은 하우징에 나사 결합된 배럴의 회전에 의한 수직 이송량이 조절됨에 따라 렌즈군과 이미지센서 간의 초점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실시예는 최적화된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베럴; 및 상기 하우징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베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하우징을 둘러싼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의 측벽을 둘러싸는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OIS, AF 모듈, 메모리 및 자이로센서등을 포함한다.
종래에는 상기 OIS가 차지하는 회로기판의 부피가 너무 커서 핸드폰과 같은 작은 기기에 적용하기 힘들었으나, 본 실시예를 통해 회로기판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핸드폰에 적용하기 용이하다.
또한, AF 모듈 및 메모리는 종래에 카메라 모듈 내부에 실장되어 있던 구성으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AF 모듈 및 메모리가 카메라 모듈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카메라 모듈 내에 가장 크게 공간을 확보하고 있던 AF 모듈 및 메모리를 카메라 모듈의 외부로 위치시킴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부피를 축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기존에 AF 모듈 및 메모리가 위치하던 공간에 다른 기능의 소자를 배치시킬 수 있어,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이로센서가 카메라 모듈의 외부에 위치함으로써, 종래의 카메라 모듈보다 정밀한 손떨림을 센싱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사한 사시도이다.
도 3은 회로기판의 평면도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사한 사시도이다. 도 3은 회로기판의 평면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100), 렌즈 어셈블리(200), 하우징(400),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 회로기판(800) 및 구동부(710, 720...)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를 수용한다.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10)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홈(110)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용홈(110)은 바텀측에서 보았을 때,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수용홈(110)은 바텀측에서 보았을 때,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수용홈(110)의 외곽은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수용홈(110)의 외곽은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100)은 사각 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배럴(100)의 외곽은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기 하우징(400)과 연결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기 하우징(400)에 탄성 부재를 통해서 연결된다. 즉,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기 하우징(400)에,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서, 유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방(물체 측)으로 오픈되는 입광홈을 포함한다. 상기 입광홈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를 노출시킨다. 상기 입광홈을 통하여,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에 영상이 입사된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상기 렌즈 배럴(100) 내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상기 수용홈(110) 내에 배치된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상기 수용홈(110)에 삽입된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제 1 외곽 형상을 가진다. 더 자세하게,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원형의 외곽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탑측에서 보았을 때,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탑측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다수 개의 렌즈들(210, 220, 23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제 1 렌즈(210), 제 2 렌즈(220) 및 제 3 렌즈(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렌즈(230), 상기 제 2 렌즈(230) 및 상기 제 1 렌즈(210)는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3개의 렌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1개 또는 2개의 렌즈를 포함하거나, 4개 이상의 렌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00)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00)은 사각의 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400)은 4개의 측벽들(410, 420, 430, 4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들(410, 420, 430, 440)은 상기 렌즈 배럴(100)의 주위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측벽들(410, 420, 430, 440)은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들(410, 420, 430, 440)은 상기 렌즈 배럴(100)의 외측면들에 각각 대향될 수 있다. 상기 측벽들(410, 420, 430, 440)은 제 1 측벽(410), 제 2 측벽(420), 제 3 측벽(430) 및 제 4 측벽(440)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렌즈 배럴(100)을 덮고, 상기 측벽들(410, 420, 430, 440)로부터 연장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렌즈들(210, 220, 230)을 일부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는 상기 하우징(400) 내에 배치된다.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는 상기 하우징(4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는 입사되는 적외선을 필터링한다.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는 상기 센서부에 유입되는 과도한 장파장의 광의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는 광학 유리에 티타늄 옥사이드 및 실리콘 옥사이드가 교대로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티타늄 옥사이드 및 상기 실리콘 옥사이드의 두께는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센서부는 상기 회로기판(800)에 고정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회로기판(800)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회로기판(8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800)은 상기 구동부(710, 7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회로기판(800)을 통하여, 상기 구동부(710, 720...)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가 상기 구동부(710, 720...)에 인가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800)은 제1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하우징(400)의 외측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회로기판(800)은 제2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하우징(400)의 외부로 연장된다. 즉, 상기 회로기판(800)은 상기 하우징(400)을 둘러싼다. 상기 회로기판(800)은 상기 하우징(400)의 측벽을 둘러싼다. 따라서, 상기 회로기판(800)은 상기 하우징(400)의 측벽을 둘러싸도록 절곡되어 연장된다.
상기 회로기판(800)은 상기 제 1 측벽(410), 제 2 측벽(420), 제 3 측벽(430) 및 제 4 측벽(440)을 둘러싼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로기판(800)은 제1 부(801), 제2 부(802), 제3 부(803) 및 제4 부(80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부(801)는 상기 제 1 측벽(410)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부(801)는 수동소자(811) 및 다른 소자와 연결되는 커넥터(connector)(8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802)는 상기 제 2 측벽(420)에 배치된다. 상기 제2 부(802)는 손떨림방지 모듈인 OIS(optical image stablization)(821)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 OIS가 차지하는 회로기판의 부피가 너무 커서 핸드폰과 같은 작은 기기에 적용하기 힘들었으나, 본 실시예를 통해 회로기판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핸드폰에 적용하기 용이하다.
상기 제3 부(803)는 상기 제 3 측벽(430)에 배치된다. 상기 제3 부(803)는 렌즈배럴을 구동시키는 AF 모듈(831)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832)(EEprom)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AF 모듈(831) 및 메모리(832)는 종래에 카메라 모듈 내부에 실장되어 있던 구성으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AF 모듈(831) 및 메모리(832)가 카메라 모듈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카메라 모듈 내에 가장 크게 공간을 확보하고 있던 AF 모듈(831) 및 메모리(832)를 카메라 모듈의 외부로 위치시킴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부피를 축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기존에 AF 모듈(831) 및 메모리(832)가 위치하던 공간에 다른 기능의 소자를 배치시킬 수 있어,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제4 부(804)는 상기 제 4 측벽(440)에 배치된다. 상기 제4 부(804)는 각속도를 감지하는 자이로(gyro)센서(841)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자이로센서(841)가 카메라 모듈의 외부에 위치함으로써, 종래의 카메라 모듈보다 정밀한 손떨림을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710, 720...)는 상기 하우징(400)에 대하여, 상기 렌즈 배럴(100)을 구동한다. 상기 구동부(710, 720...)는 상기 하우징(400)에 대하여, 상기 렌즈 배럴(100)을 상대 이동시킨다. 더 자세하게, 상기 구동부(710, 720...)는 상기 하우징(400)에 대하여, 3축 방향으로, 상기 렌즈 배럴(100)을 상대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710, 720...)는 자기력에 의해서, 상기 렌즈 배럴(100)을 상기 하우징(400)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710, 720...)는 제 1 구동부(710), 제 2 구동부(720), 제 3 구동부(730), 제 4 구동부(740), 제 5 구동부(750), 제 6 구동부(760), 제 7 구동부(770) 및 제 8 구동부(78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구동부(710)는 상기 렌즈 배럴(100)에 부착된다. 상기 제 1 구동부(710)는 상기 렌즈 배럴(1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부(710)는 상기 렌즈 배럴(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부(710)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부(710)는 자성체로 이루어 줄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부(710)는 산화철, 아철산 코발트 또는 페라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부(71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부(710)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구동부(720)는 상기 제 1 하우징(410)에 부착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2 구동부(720)는 상기 제 1 하우징(410)에 고정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2 구동부(720)는 상기 제 1 하우징(410)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 구동부(720)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구동부(720)는 코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구동부(720)의 코일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감겨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구동부(720)의 코일은 상기 회로기판(8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부(710) 및 상기 제 2 구동부(720)는 상기 제 1 하우징(410)에 대하여, 상기 렌즈 배럴(100)을 상대 이동시킨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구동부(710) 및 상기 제 2 구동부(720)는 상기 제 1 하우징(410)에 대하여,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의 광축 방향으로, 상기 렌즈 배럴(100)을 상대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3 구동부(730)는 상기 제 1 하우징(410)에 부착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3 구동부(730)는 상기 제 1 하우징(410)에 고정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3 구동부(730)는 상기 제 1 하우징(410)의 외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3 구동부(730)는 자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 3 구동부(73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3 구동부(730)는 판형 자석일 수 있다.
상기 제 4 구동부(740)는 상기 제 2 하우징(420)에 부착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4 구동부(740)는 상기 제 2 하우징(420)에 고정된다. 상기 제 4 구동부(740)는 상기 제 2 하우징(4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 구동부(740)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구동부(740)는 상기 회로기판(800)을 통하여, 구동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제 4 구동부(740)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서, 자기장을 생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제 3 구동부(730) 및 상기 제 4 구동부(740)는 서로 인접한다. 상기 제 3 구동부(730) 및 상기 제 4 구동부(740)는 매우 작은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3 구동부(730) 및 상기 제 4 구동부(740) 사이의 간격은 약 50㎛ 내지 약 1000㎛일 수 있다. 상기 제 3 구동부(730) 및 상기 제 4 구동부(740)는 서로 대향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 3 구동부(730) 및 상기 제 4 구동부(740) 사이에 자기력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 3 구동부(730) 및 상기 제 4 구동부(740)는 상기 제 2 하우징(420)에 대하여, 상기 제 1 하우징(410)을 상대 이동시킨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3 구동부(730) 및 상기 제 4 구동부(740)는 상기 제 2 하우징(420)에 대하여,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의 광축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상기 제 1 하우징(410)을 상대 이동시킬 수 있다.
결국, 상기 구동부(710, 720, 730, 740)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를 상기 센서부에 대하여, 상기 광축 방향 및 상기 광축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흔들림에 의해서, 피사체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3 구동부(730) 및 상기 제 4 구동부(740)에 의해서, 상기 제 1 하우징(410)이 틸팅되거나, 수평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 및 상기 센서부 사이의 수평 상대 위치가 서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구동부(710) 및 상기 제 2 구동부(720)에 의해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 및 상기 센서부 사이의 초점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베럴; 및
    상기 하우징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베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는 제1 영역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 측벽, 제2 측벽, 제3 측벽 및 제4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측벽에 배치되는 제1 부;
    상기 제2 측벽에 배치되는 제2 부;
    상기 제3 측벽에 배치되는 제3 부;
    상기 제4 측벽에 배치되는 제4 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 제2 부, 제3 부 및 제4 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배럴을 구동시키는 AF 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고, 각속도를 감지하는 자이로(gyro)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20074838A 2012-07-10 2012-07-10 카메라 모듈 KR201400079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838A KR20140007998A (ko) 2012-07-10 2012-07-10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838A KR20140007998A (ko) 2012-07-10 2012-07-10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998A true KR20140007998A (ko) 2014-01-21

Family

ID=50142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838A KR20140007998A (ko) 2012-07-10 2012-07-10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79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9473B1 (ko) 카메라 모듈
JP7447165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1349524B1 (ko) 카메라 모듈
KR101262597B1 (ko) 카메라 모듈
KR101940478B1 (ko) 카메라 모듈
CN107820576A (zh) 双相机模块及光学装置
KR20140007183A (ko) 카메라 모듈
US9363424B2 (en) Camera module having a guide unit
KR101231517B1 (ko) 카메라 모듈
KR20220137582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보기술 기기
KR101895965B1 (ko) 카메라 모듈
KR101349567B1 (ko) 카메라 모듈
KR102041487B1 (ko) 카메라 모듈
KR102072775B1 (ko) 카메라 모듈
KR20140007998A (ko) 카메라 모듈
KR101117181B1 (ko) 카메라 모듈
KR102057995B1 (ko) 카메라 모듈
JP2023541178A (ja) カメラ装置及び光学機器
KR101262571B1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