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3834A - 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3834A
KR20130033834A KR1020110097765A KR20110097765A KR20130033834A KR 20130033834 A KR20130033834 A KR 20130033834A KR 1020110097765 A KR1020110097765 A KR 1020110097765A KR 20110097765 A KR20110097765 A KR 20110097765A KR 20130033834 A KR20130033834 A KR 20130033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navigation
driver
steering wheel
tact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7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3834A/ko
Publication of KR20130033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8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52Guidance using non-audiovisual output, e.g. tactile, haptic or electric stimuli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는, 설정된 목적지로 차량의 운행 방향을 안내하는 네비게이션과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어 운전자에게 진동 촉감을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촉감전달부재와 네비게이션으로부터 차량의 운행 방향에 따른 방향전환 신호를 제공받고,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촉감전달부재에 인가하여 촉감전달부재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DIRECTION GUID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네비게이션의 방향안내를 스티어링 휠에 진동을 주어 운전자에게 전달하도록 하는 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3개 이상의 인공위성을 이용한 GPS 장치를 통해서 정보가 담긴 전파를 수신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속도 등을 결정하고, 결정된 차량의 현재 위치를 대량 정보 기억매체에 저장된 지도데이터를 읽어서 디스플레이부에 화면으로 표시해주는 것이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을 통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 속도, 진행방향 및 도로정보 등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이러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디스플레이부 화면을 통한 시각적인 방법이나 스피커를 이용한 청각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시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안내하는 경우, 사용자는 운전을 위해서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을 잡고 있으면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얻기 위하여 계속하여 디스플레이부 화면을 주시하여야 했다.
이로 인해 운전자는 전방을 주시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러한 전방 주시에 대한 집중력 저하는 사고의 위험을 높인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정보를 안내하기 위해 스피커 등의 청각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음성정보로 안내하는 방법은 운전자가 운전 중에 청취하게 되는 음악이나 방송, 혹은 대화로 인해 상기 음성정보가 명확하게 전달되지 않거나 혹은 상기 음성정보로 인해 운전자가 음악이나 대화에 집중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자동차의 진행방향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 혹은 청각적 수단만을 이용하고 있어서 운전자가 이에 주의를 기울이는 경우에, 운전자의 전방에 대한 집중력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부가적으로, 음성을 이용한 정보전달 방식의 경우에는 조타정보가 필요 없는 비운전자들에게도 정보가 전달되어 대화나 수면 등에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는 스티어링 휠의 양측 내부에 진동모터를 각각 설치하여 네비게이션의 좌, 우측 방향 안내 시, 스티어링 휠로 전달되는 진동을 통해 운전자에게 진행방향을 인식시키고자 하는 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는, 설정된 목적지로 차량의 운행 방향을 안내하는 네비게이션과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어 운전자에게 진동 촉감을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촉감전달부재와 상기 네비게이션으로부터 차량의 운행 방향에 따른 방향전환 신호를 제공받고,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촉감전달부재에 인가하여 상기 촉감전달부재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촉감전달부재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원주방향 양측 내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촉감전달부재는 전기에너지를 진동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진동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는 스티어링 휠의 양측 내부에 진동모터를 각각 설치하여 네비게이션의 좌, 우측 방향 안내 시, 스티어링 휠로 전달되는 진동을 통해 운전자에게 진행방향을 인식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네비게이션의 화면을 응시하여 부주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음악 또는 라디오를 청취하다가 음성안내를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가 적용된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티어링 휠을 운전자가 두손으로 파지하는 경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가 적용된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2의 스티어링 휠을 운전자가 두손으로 파지하는 경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1)는 스티어링 휠(40)의 양측 내부에 진동모터를 각각 설치하여 네비게이션의 좌, 우측 방향 안내 시, 스티어링 휠(40)로 전달되는 진동을 통해 운전자에게 진행방향을 인식시킴으로써, 운전자가 네비게이션의 화면을 응시하여 부주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음악 또는 라디오를 청취하다가 음성안내를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1)는 기본적으로 네비게이션(10), 촉감전달부재(20) 및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40)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설치된 촉감전달부재를 제1 촉감전달부재(21)로 정의하고, 우측에 설치되는 것을 제2 촉감전달부재(23)로 정의한다.
먼저, 상기 네비게이션(10)은 운전자가 설정한 목적지로 차량의 운행방향을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네비게이션(10)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촉감전달부재(21, 23)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40)에 설치되어 운전자에게 진동 촉감을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써, 스티어링 휠(40)의 원주방향 양측 내부에 각각 설치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촉감전달부재(21, 23)는 스티어링 휠(40)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 우측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촉감전달부재(21, 23)는 스티어링 휠(40)의 운전자 파지부분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및 제2 촉감전달부재(21, 23)는 전기에너지를 진동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진동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는 네비게이션(10)으로부터 차량의 운행 방향에 따른 방향전환 신호를 제공받고,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제1 및 제2 촉감전달부재(21, 23)에 인가하여 제1 및 제2 촉감전달부재(21, 23)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어부(30)는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ECU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의 작동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1)는 차량의 주행 시, 운전자가 설정한 목적지로 상기 네비게이션(10)은 방향안내를 하게된다.
여기서, 상기 네비게이션(10)이 좌측방향을 지시하게 되면, 이에 상응하는 방향신호를 제어부(30)로 출력하고, 제어부(30)는 스티어링 휠(40)의 좌측에 설치된 제1 촉감전달부재(21)에 작동신호를 인가한다.
그러면 운전자는 진동인식을 받게되고, 이러한 진동인식을 통해 운전자는 차량의 운행방향을 좌회전으로 조종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네비게이션(10)이 우측방향을 지시하게 되면, 이에 상응하는 방향신호를 제어부(30)로 출력하고, 제어부(30)는 스티어링 휠(40)의 우측에 설치된 제2 촉감전달부재(23)에 작동신호를 인가한다.
그러면 운전자는 진동인식을 받게되고, 이러한 진동인식을 통해 운전자는 차량의 운행방향을 우회전으로 조종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40)의 양측 내부에 제1 및 제2 촉감전달부재(21, 23)를 각각 설치하여 네비게이션(10)의 좌, 우측 방향 안내 시, 스티어링 휠(40)로 전달되는 진동을 통해 운전자에게 진행방향을 인식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네비게이션(10)의 화면을 응시하여 부주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음악 또는 라디오를 청취하다가 음성안내를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 10...네비게이션
20...촉감전달부재 21...제1 촉감전달부재
23...제2 촉감전달부재 30...제어부
40...스티어링 휠

Claims (3)

  1. 설정된 목적지로 차량의 운행 방향을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어 운전자에게 진동 촉감을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촉감전달부재; 및
    상기 네비게이션으로부터 차량의 운행 방향에 따른 방향전환 신호를 제공받고,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촉감전달부재에 인가하여 상기 촉감전달부재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촉감전달부재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원주방향 양측 내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촉감전달부재는 전기에너지를 진동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진동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
KR1020110097765A 2011-09-27 2011-09-27 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 KR201300338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765A KR20130033834A (ko) 2011-09-27 2011-09-27 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765A KR20130033834A (ko) 2011-09-27 2011-09-27 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834A true KR20130033834A (ko) 2013-04-04

Family

ID=48436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765A KR20130033834A (ko) 2011-09-27 2011-09-27 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38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87200A (zh) * 2014-08-29 2016-03-09 福特全球技术公司 触觉反馈换档指示器
WO2017099753A1 (en) * 2015-12-09 2017-06-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U-turn assistan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87200A (zh) * 2014-08-29 2016-03-09 福特全球技术公司 触觉反馈换档指示器
WO2017099753A1 (en) * 2015-12-09 2017-06-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U-turn assistance
GB2560272A (en) * 2015-12-09 2018-09-05 Ford Global Tech Llc U-turn assistance
US10723352B2 (en) 2015-12-09 2020-07-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U-turn assist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2574B2 (ja) 自動操縦装置が作動している自動車両において通信端末を使用する方法及び自動車両
US8547215B2 (en) Information presentation apparatus and system
US20180226077A1 (en) Vehicle driving assist and vehicle having same
US20100198458A1 (en) Navigation system with haptic assist
US20190193754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ducing and Transmitting a Piece of Driver Information
JP2007112316A (ja) 振動情報呈示部品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車線逸脱警告装置
KR20160076262A (ko) 차량의 주행 모드 전환 장치 및 그 방법
CN103158615A (zh) 用于向行人警告车辆来临的装置
JP2009281991A (ja) 車載ディスプレイ制御装置および車載ディスプレイ制御方法
GB2480744A (en) Driver assist system that informs the driver that further use of the accelerator pedal is not needed
JP4558753B2 (ja) 表示装置
CN207311578U (zh) 方向盘和具有该方向盘的车辆
JP4817804B2 (ja) 方向呈示装置
KR20130033834A (ko) 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
US20230041105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arting voice commands to a motor vehicle
KR20160118182A (ko) 차량의 주행 모드 전환 장치 및 그 방법
EP3842327B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for open moving machine
JP2015033991A (ja) インターフェースデバイス、インターフェースデバイス制御方法、及びインターフェースデバイス制御プログラム
KR101985427B1 (ko) 진동팔찌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장치
JP2013206319A (ja) 車両用遠隔支援システム
CN106080378B (zh) 基于立体声技术的车用警示系统及警示方法
KR101068665B1 (ko)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 자동차 네비게이션용 스티어링 휠 및 커버,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주행안내방법
KR101032635B1 (ko)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 자동차 네비게이션용 스티어링 휠 및 커버,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주행안내방법
KR101601300B1 (ko) 차량용 조향 제어시스템
KR20120084510A (ko)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