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4510A -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4510A
KR20120084510A KR1020110005917A KR20110005917A KR20120084510A KR 20120084510 A KR20120084510 A KR 20120084510A KR 1020110005917 A KR1020110005917 A KR 1020110005917A KR 20110005917 A KR20110005917 A KR 20110005917A KR 20120084510 A KR20120084510 A KR 20120084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vigation
vibration
information
guide
vibration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05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4510A/ko
Publication of KR20120084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5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7Output of additional, non-guidance related information, e.g. low fuel leve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내비게이션과의 정보 전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내비게이션과 이격된 소형장치를 이용해 각종 조타정보를 진동으로 표시하고, 소형장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격된 네비게이션을 조작하여 유용성 향상 및 편리성 향상을 도모한 정보 전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에 고정적으로 탑재된 내비게이션 장치의 입출력을 모바일 기기를 통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EXPRESSING OF NAVIGATION GUIDE-INFORMATION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내비게이션과의 정보 전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내비게이션과 이격된 소형장치를 이용해 각종 조타정보를 진동으로 표시하고, 소형장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격된 네비게이션을 조작하여 유용성 향상 및 편리성 향상을 도모한 정보 전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에 고정적으로 탑재된 내비게이션 장치의 입출력을 모바일 기기를 통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내비게이션은 청각적 요소 및 시각적 요소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왔다.
다만, 청각 채널을 이용한 정보전달은 비 운전자에게 불편함을 야기시키고, 다른 소리와 충돌되어 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시각 채널을 이용한 정보전달은 전방시각과 충돌하여 안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 조향 핸들이나 시트 등에 진동액츄에이터를 구비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인터페이스가 제시되었으나, 전기 배선 처리 문제와 또 다른 장비를 구비해야 한다는 문제점들이 발생되어 왔다.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내비게이션의 정보 전달을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휴대용 기기와 내비게이션을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여 내비게이션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휴대용 기기의 진동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방법은, 내비게이션(2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모바일 기기(10)로 전송받고, 이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모바일기기(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는, 방향 안내, 거리 안내, 속도 안내, 경고 안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 패턴은, 진동의 온-오프 상태의 시계열적 배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리 안내에 대한 진동 패턴은, 목표 거리가 감소할수록 온-오프 상태의 변환 주기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 패턴은, 사용자에 따라 수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 기기(10)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네비게이션(20)으로부터 정보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진동발생기(11),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 신호가 저장된 저장부(12), 및 상기 진동발생기(11)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3)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10)와, 상기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10)로 전송이 가능한 통신부(22)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20)을 포함하는 환경에서 수행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방법이고,
상기 제어모듈(13)이 상기 통신부(22)로부터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받는 단계와, 상기 제어모듈(13)이 상기 저장부(12)에 저장된 상기 전송받은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발생기(11)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모바일 기기(10)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 신호를 수정하여 상기 저장부(12)에 저장할 수 있는 진동 패턴 수정부(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 패턴 수정부(14)를 통해 진동 패턴 신호를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는, 진동발생기(11), 및 상기 진동발생기(11)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3)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10)와,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 신호를 상기 모바일 기기(10)로 전송이 가능한 통신부(22)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20)을 포함하는 환경에서 수행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방법이고,
상기 제어모듈(13)이 상기 통신부(22)로부터 상기 진동 패턴 신호를 전송받는 단계와, 상기 제어모듈(13)이 상기 진동 패턴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발생기(11)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는, 방향 안내, 거리 안내, 속도 안내, 경고 안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 패턴 신호는, 진동의 온-오프 상태의 시계열적 배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리 안내에 대한 진동 패턴 신호는, 목표 거리가 감소할수록 온-오프 상태의 변환 주기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시스템의 실시예로서, 진동발생기(11),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 신호가 저장된 저장부(12), 및 상기 진동발생기(11)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3)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10)와, 상기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10)로 전송이 가능한 통신부(22)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2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13)이 상기 통신부(22)로부터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저장부(12)에 저장된 상기 전송받은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발생기(11)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진동발생기(11), 및 상기 진동발생기(11)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3)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10)와,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 신호를 상기 모바일 기기(10)로 전송이 가능한 통신부(22)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2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13)이 상기 통신부(22)로부터 상기 진동 패턴 신호를 전송받아, 이에 따라 상기 진동발생기(11)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는, 방향 안내, 거리 안내, 속도 안내, 경고 안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상기 진동 패턴 신호는, 진동의 온-오프 상태의 시계열적 배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비게이션 모듈, 진동발생기(11),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발생기(11)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3)을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는, 방향 안내, 거리 안내, 속도 안내, 경고 안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상기 진동 패턴 신호는, 진동의 온-오프 상태의 시계열적 배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1. 별도의 하드웨어를 차량에 구비하지 않고서도 진동모듈과 전기,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기기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으로부터의 정보를 전달받아 표현할 수 있고, 반대로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어, 비용절감효과를 제공한다.
2. 내비게이션으로부터의 정보를 진동으로 표현하는 경우, 진동 등의 촉감 채널을 이용하여 표현이 가능하므로, 각기 다른 패턴에 따라 여러가지 조향, 조타 정보를 운전자에게만 직관적이며 빠르게 전달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진동 패턴 신호의 예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진동 패턴 신호의 예시.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진동 패턴 신호의 예시.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진동 패턴 신호의 예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중심으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제시되는 예로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방법은, 내비게이션(2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모바일 기기(10)로 전송받고, 이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모바일기기(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는, 방향 안내, 거리 안내, 속도 안내, 경고 안내 등 통상적인 정보들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중에 내비게이션(20)으로부터의 정보를 동승자에게 방해됨이 없이 안전하게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같은 차량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비게이션(20)과, 모바일 기기(10)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비게이션(20)과 모바일 기기(10)의 정보의 전송은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유선 통신 등도 가능하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진동 패턴은 진동의 온-오프 상태의 시계열적 배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진동이 발생하는 구간과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 구간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반복적으로 배열함으로써, 진동이 발생하는 구간에 따른 리듬 패턴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이러한 리듬 패턴으로 진동 패턴을 표시하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진동 패턴을 표준 기보법(musical notation)으로 표현한 것이다. 표준 기보법으로 표현된 경고택톤은, 음 높이가 사용되지 않고 오직 리듬으로만 표현되어 하나의 선에 구성된 음표들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핵심은 도 5와 같이 관련성이 있는 정보를 계층화 택톤을 사용하여 표시할 수도 있는데, 주행 중의 기타정보에 과속 방지턱 정보 및 잘못된 차선 정보를 연관성 있게 사용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과속 방지턱 정보 또는 잘못된 차선 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기보법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은 진동 패턴은 경고 정보를, 도 7과 같은 진동 패턴은 유턴 정보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진동 패턴을 소정의 것으로 고정 사용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취향 및 익숙함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순한 방향 지시 정보, 유턴 정보, 도로 상황에 따른 경고 정보, 기준속도 초과 안내 정보 등은 동일한 진동 패턴을 반복적으로 표현하면 되나, 거리에 대한 정보는 단순한 패턴 만으로는 표현하기가 어렵다.
거리 정보의 경우, 턴 정보, 경고 정보에 비해 덜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지만, 운전자의 기대와 예측 측면에서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므로 인코딩이 되어야 한다. 앞서 사용된 시공간적 패턴을 제외하고, 주파수와 진폭은 정보를 코딩하기에 적절한 것이 아니므로 제외하면, 자극의 타이밍(온-오프 리듬)이 적절한 선택이 된다.
특히, 피부는 시간적 측면에서 매우 민감하므로 이러한 매핑은 본 발명에서 매우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다. 세기의 변화 역시 거리 정보를 표현할 수 있지만, 타이밍의 변화가 세기의 변화보다 코딩에 더욱 적절하다. 다만, 그렇다고 하여 본 발명에서 진동 세기의 변화를 완전히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진동 패턴을 이용하여 거리 정보를 표현하는 일실시예로서, 도 4와 같이, 목표 거리가 감소할수록 온-오프 상태의 변환 주기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자극의 타이밍(온-오프 리듬)을 빠르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방법의 좀더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진동발생기(11),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 신호가 저장된 저장부(12), 및 상기 진동발생기(11)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3)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10)와, 상기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10)로 전송이 가능한 통신부(22)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20)을 포함하는 환경에서 수행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방법을 설명한다.
작동 및 제어 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며, 주요 단계는 상기 제어모듈(13)이 상기 통신부(22)로부터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받는 단계와, 상기 제어모듈(13)이 상기 저장부(12)에 저장된 상기 전송받은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발생기(11)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모듈(13)이란 모바일 기기(10)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소프트웨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모바일 기기(10)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 신호를 수정하여 상기 저장부(12)에 저장할 수 있는 진동 패턴 수정부(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 패턴 수정부(14)를 통해 진동 패턴 신호를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는, 진동발생기(11), 및 상기 진동발생기(11)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3)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10)와,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 신호를 상기 모바일 기기(10)로 전송이 가능한 통신부(22)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20)을 포함하는 환경에서 수행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방법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모듈(13)이 상기 통신부(22)로부터 상기 진동 패턴 신호를 전송받는 단계와, 상기 제어모듈(13)이 상기 진동 패턴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발생기(11)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의 실시예는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안내 정보를 받아 제어모듈(13)이 알맞은 진동 패턴으로 변환시키는 것이고, 뒤의 실시예는 내비게이션 자체에서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을 변환하여 이를 직접 제어모듈(13)이 전송받는 방식의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안내 정보 표현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대하여도 권리범위로 청구한다. 이러한 시스템의 실시예로서, 진동발생기(11),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 신호가 저장된 저장부(12), 및 상기 진동발생기(11)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3)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10)와, 상기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10)로 전송이 가능한 통신부(22)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2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13)이 상기 통신부(22)로부터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저장부(12)에 저장된 상기 전송받은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발생기(11)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진동발생기(11), 및 상기 진동발생기(11)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3)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10)와,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 신호를 상기 모바일 기기(10)로 전송이 가능한 통신부(22)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2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13)이 상기 통신부(22)로부터 상기 진동 패턴 신호를 전송받아, 이에 따라 상기 진동발생기(11)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통신부(22)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1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 정보 표현 시스템은 내비게이션 장치 또는 내비게이션 모듈(이는 GPS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맵 데이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을 탑재한 모바일 기기에 적용이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별도의 무선 통신부가 없이 하나의 기기에서 동작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이는 내비게이션 모듈, 진동발생기(11),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발생기(11)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3)을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는, 방향 안내, 거리 안내, 속도 안내, 경고 안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상기 진동 패턴 신호는, 진동의 온-오프 상태의 시계열적 배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가지고 있다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가 정해짐을 밝혀둔다.
10 : 모바일 기기, 11 : 진동발생기, 12 : 저장부, 13 : 제어모듈, 14 : 진동 패턴 수정부, 16 : 센서, 18 : 연산모듈, 20 : 내비게이션 장치, 22 : 통신부

Claims (15)

  1. 내비게이션(2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모바일 기기(10)로 전송받고, 이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모바일기기(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는, 방향 안내, 거리 안내, 속도 안내, 경고 안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진동 패턴은, 진동의 온-오프 상태의 시계열적 배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거리 안내에 대한 진동 패턴은, 목표 거리가 감소할수록 온-오프 상태의 변환 주기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진동 패턴은, 사용자에 따라 수정이 가능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10)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네비게이션(20)으로부터 정보를 전송받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방법.
  7. 진동발생기(11),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 신호가 저장된 저장부(12), 및 상기 진동발생기(11)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3)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10)와, 상기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10)로 전송이 가능한 통신부(22)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20)을 포함하는 환경에서 수행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13)이 상기 통신부(22)로부터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받는 단계와,
    상기 제어모듈(13)이 상기 저장부(12)에 저장된 상기 전송받은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발생기(11)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정보 표현 방법.
  8. 진동발생기(11), 및 상기 진동발생기(11)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3)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10)와,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 신호를 상기 모바일 기기(10)로 전송이 가능한 통신부(22)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20)을 포함하는 환경에서 수행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13)이 상기 통신부(22)로부터 상기 진동 패턴 신호를 전송받는 단계와,
    상기 제어모듈(13)이 상기 진동 패턴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발생기(11)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정보 표현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10)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 신호를 수정하여 상기 저장부(12)에 저장할 수 있는 진동 패턴 수정부(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 패턴 수정부(14)를 통해 진동 패턴 신호를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정보 표현 방법.
  10.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는, 방향 안내, 거리 안내, 속도 안내, 경고 안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진동 패턴 신호는, 진동의 온-오프 상태의 시계열적 배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거리 안내에 대한 진동 패턴 신호는, 목표 거리가 감소할수록 온-오프 상태의 변환 주기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방법.
  13. 진동발생기(11),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 신호가 저장된 저장부(12), 및 상기 진동발생기(11)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3)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10)와,
    상기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10)로 전송이 가능한 통신부(22)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2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13)이 상기 통신부(22)로부터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저장부(12)에 저장된 상기 전송받은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발생기(11)의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는, 방향 안내, 거리 안내, 속도 안내, 경고 안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상기 진동 패턴 신호는, 진동의 온-오프 상태의 시계열적 배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시스템.
  14. 진동발생기(11), 및 상기 진동발생기(11)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3)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10)와,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 신호를 상기 모바일 기기(10)로 전송이 가능한 통신부(22)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2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13)이 상기 통신부(22)로부터 상기 진동 패턴 신호를 전송받아, 이에 따라 상기 진동발생기(11)의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는, 방향 안내, 거리 안내, 속도 안내, 경고 안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상기 진동 패턴 신호는, 진동의 온-오프 상태의 시계열적 배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시스템.
  15. 내비게이션 모듈, 진동발생기(11),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발생기(11)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3)을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는, 방향 안내, 거리 안내, 속도 안내, 경고 안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상기 진동 패턴 신호는, 진동의 온-오프 상태의 시계열적 배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시스템.
KR1020110005917A 2011-01-20 2011-01-20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845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917A KR20120084510A (ko) 2011-01-20 2011-01-20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917A KR20120084510A (ko) 2011-01-20 2011-01-20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510A true KR20120084510A (ko) 2012-07-30

Family

ID=46715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917A KR20120084510A (ko) 2011-01-20 2011-01-20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451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6591A (ko) * 2015-05-20 2016-11-30 (주) 비앤디 차량 단말 및 웨어러블 기기 간 연동 장치 및 차량 단말 및 웨어러블 기기 간 연동 방법
US9715797B2 (en) 2014-12-16 2017-07-25 Hyundai Motor Company Event no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9806753B2 (en) 2015-11-09 2017-10-31 Hyundai Motor Company Navigation method using wearable device in vehicle and vehicle carrying out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5797B2 (en) 2014-12-16 2017-07-25 Hyundai Motor Company Event no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20160136591A (ko) * 2015-05-20 2016-11-30 (주) 비앤디 차량 단말 및 웨어러블 기기 간 연동 장치 및 차량 단말 및 웨어러블 기기 간 연동 방법
US9806753B2 (en) 2015-11-09 2017-10-31 Hyundai Motor Company Navigation method using wearable device in vehicle and vehicle carrying out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7064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
WO2016013153A1 (ja) 車両用報知システム、報知制御装置、及び報知装置
US20190263263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20200090621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KR20120084510A (ko)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 표현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016457A (ja) 表示制御装置、投影装置、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WO2008120290A1 (ja) 経路誘導装置、経路誘導方法、経路誘導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7709931B (zh) 导航系统及导航装置
WO2018192103A1 (zh) 导航指令提示方法、提示装置、车辆和导航仪
JP5866498B2 (ja) 表示制御装置、投影装置、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200083901A (ko) 자율주행차의 제어권 전환 hmi 평가 장치, 방법 및 저장 매체
JP2018034581A (ja) 車両用計器装置
CN104936827B (zh) 车载显示系统
JP2017128200A (ja) 車両用情報提供装置
JP6623786B2 (ja) 車両用情報提供装置
US10268440B2 (en) Vehicle display system,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vehicle display program
JP2019182013A (ja) 表示制限システム、およびメータ装置
JP2017211510A (ja) 車両用情報提供装置
KR101468116B1 (ko) 차량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
KR101938634B1 (ko) 운전자 맞춤형 차량정보 표시매체 배열위치 운영장치
JP2005059721A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10185685A (ja) ユーザ評価入力装置
JP6681021B2 (ja) 車両用情報提供装置
KR20130033834A (ko) 차량용 방향 안내 장치
JP6384794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投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