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2029A - 아일렛 조립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아일렛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아일렛 조립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아일렛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2029A
KR20130032029A KR1020110095688A KR20110095688A KR20130032029A KR 20130032029 A KR20130032029 A KR 20130032029A KR 1020110095688 A KR1020110095688 A KR 1020110095688A KR 20110095688 A KR20110095688 A KR 20110095688A KR 20130032029 A KR20130032029 A KR 20130032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let
assembling
providing unit
heat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교웅
Original Assignee
이교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교웅 filed Critical 이교웅
Priority to KR1020110095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2029A/ko
Publication of KR20130032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0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 A41H37/02Setting hooks or ey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천이나 가죽 등과 같은 대상물에 아일렛을 장착하는 아일렛 조립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아일렛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일렛 조립 장치는, 아일렛 조립 유닛에 의해 제1 아일렛과 제2 아일렛이 조립되기 이전에 아일렛 조립 유닛에 의해 대상물의 장착 부위가 가열 방식으로 절개될 수 있으며, 그 대상물의 절개 부위에 제1 아일렛과 제2 아일렛이 조립될 수 있다.

Description

아일렛 조립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아일렛 조립 방법 {APPARATUS FOR ASSEMBLING EYELET AND METHOD FOR ASSEMBLING EYELE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아일렛 조립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아일렛 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이나 가죽 등의 대상물에 아일렛을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고, 아일렛을 조립하기 위한 구멍을 대상물에 천공하는 작업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아일렛 조립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아일렛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일렛은 천이나 가죽 등과 같은 대상물에 구멍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부품이다. 특히, 아일렛은 옷이나 신발 등에서 끈을 꿰는 용도의 구멍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아일렛은 조립 장치 또는 조립 공구를 이용하여 대상물에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아일렛 조립 장치(10)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아일렛(20)과 대상물(30)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아일렛(20)과 대상물(30)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일렛(20)은 제1 아일렛(22), 제2 아일렛(24), 및 아일렛 와셔(26)로 구성된다. 제1 아일렛(22)은 천과 가죽 등과 같은 대상물(30)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2 아일렛(24)은 대상물(30)의 상측에 배치되며, 아일렛 와셔(26)는 제1 아일렛(22)과 제2 아일렛(24)의 사이에 배치된다. 대상물(30)에는 아일렛(20)이 장착되는 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아일렛(20)은, 조립 공구를 이용하여 대상물(30)에 수작업으로 조립되거나, 또는 조립 장치를 이용하여 대상물(30)에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아일렛 조립 장치(10)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일렛 조립 장치(10)는, 본체(11), 본체(11)의 하부에 구비되고 제1 아일렛(22)이 배치되는 하부 모듈(12), 하부 모듈(12)에 제1 아일렛(22)을 공급하는 하부 공급 모듈(13), 본체(11)의 상부에 구비되고 제2 아일렛(24)이 배치되며 제1 아일렛(22)과 제2 아일렛(24)을 조립하는 상부 모듈(14), 상부 모듈(14)에 제2 아일렛(24)을 공급하는 상부 공급 모듈(15), 및 하부 모듈(12)과 상부 모듈(14)의 사이에 배치되는 대상물(30)에 구멍(32)을 생성하는 천공 모듈(16)을 포함한다.
즉, 천공 모듈(16)이 대상물(30)에 구멍(32)을 생성하면, 하부 모듈(12)과 상부 모듈(14)이 대상물(30)의 구멍(32)에 제1 아일렛(22)과 제2 아일렛(24)를 조립한다. 그리고, 하부 공급 모듈(13)과 상부 공급 모듈(15)은 하부 모듈(12)과 상부 모듈(14)에 제1 아일렛(22)과 제2 아일렛(24)을 공급한다. 전술한 아일렛(20)의 조립 과정은 대상물(30)의 위치를 변경한 후에 다시금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아일렛(20)을 대상물(30)에 장착하기 위해서 대상물(30)에 구멍(32)을 천공하는 작업 공정이 반드시 선행되어야만 했다. 만약, 아일렛 조립 장치(10)가 천공 모듈(16)을 구비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되면, 별도의 천공기를 이용하여 대상물(30)에 미리 구멍(32)을 생성해야만 한다.
또한, 종래에는 제1 아일렛(22)과 제2 아일렛(24)의 조립시 제1 아일렛(22)과 제2 아일렛(24)의 사이에 위치되는 대상물(30)의 면적이 넓지 않으므로, 제1 아일렛(22)과 제2 아일렛(24)의 사이로부터 대상물(30)이 빠져나올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아일렛(22)과 제2 아일렛(24) 사이에 아일렛 와셔(26)를 추가로 배치하고 있지만, 아일렛 와셔(26)의 사용으로 인하여 아일렛(20)의 단가 및 조립 작업의 공정수가 증가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천이나 가죽 등과 같은 대상물에 아일렛을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는 아일렛 조립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아일렛 조립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일렛을 조립하기 직전에 가열부재로 대상물을 절개하여 대상물에 구멍을 천공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아일렛 조립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아일렛 조립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천이나 가죽 등의 대상물을 중간에 두고 제1 아일렛과 제2 아일렛을 조립하는 아일렛 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상물이 배치되는 본체, 상기 제1 아일렛을 상기 대상물의 일면에 제공하도록 상기 대상물의 상측과 하측 중 어느 한 측에 구비된 제1 아일렛 제공 유닛, 상기 제2 아일렛을 상기 대상물의 타면에 상기 제1 아일렛과 대응되게 제공하도록 상기 대상물의 상측과 하측 중 다른 한 측에 구비된 제2 아일렛 제공 유닛, 및 상기 제1 아일렛 제공 유닛 또는 상기 제2 아일렛 제공 유닛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아일렛과 상기 제2 아일렛이 장착되는 상기 대상물의 장착 부위를 절개한 후 상기 장착 부위에 상기 제1 아일렛과 상기 제2 아일렛을 조립하는 아일렛 조립 유닛을 포함하는 아일렛 조립 장치를 제공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대상물에 구멍을 형성하는 천공 공정이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아일렛과 상기 제2 아일렛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대상물의 면적이 증가되므로 상기 제1 아일렛과 상기 제2 아일렛이 상기 대상물에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1 아일렛은 개구부가 중앙에 구비된 와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아일렛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관 형상의 관형부가 중앙에 구비된 와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일렛 조립 유닛은, 상기 제1 아일렛 제공 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아일렛과 상기 제2 아일렛의 조립시 상기 개구부를 관통한 상기 관형부를 상기 제1 아일렛의 배면으로 압착시키도록 상기 관형부에 상기 제1 아일렛의 배면 방향으로 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아일렛과 상기 제2 아일렛의 조립시 상기 관형부가 상기 개구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아일렛과 상기 제2 아일렛의 조립 이전에 상기 장착 부위를 가열 방식으로 절개하는 가열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1 아일렛 제공 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관형부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된 기둥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선단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긴 관형부의 단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관형부의 단부 중심을 향해 뾰족하게 형성된 뿔 형상의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가 삽입된 상기 관형부의 단부가 걸리도록 상기 몸체부의 선단 가장자리부에 형성되고 상기 관형부가 상기 제1 아일렛의 배면으로 굴곡되도록 상기 관형부에 압착되는 가압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제1 아일렛과 상기 제2 아일렛의 조립 이전에 상기 대상물의 장착 부위에 접촉하여 상기 장착 부위를 열로 절개하도록 상기 삽입부의 선단 부분에 인출 또는 삽입 가능하게 구비된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가 상기 삽입부의 선단 부분에 탄성적으로 인출 또는 삽입되도록 상기 발열부와 상기 삽압부의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발열부는, 상기 대상물의 장착 부위를 십자 형상으로 절개하도록 상기 장착 부위와 접촉되는 부분이 십자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본체에 상기 대상물을 배치시키고 상기 제1 아일렛 제공 유닛에 상기 제1 아일렛을 공급하며 상기 제2 아일렛 제공 유닛에 상기 제2 아일렛을 공급하는 사전 준비 단계, 상기 제1 아일렛 제공 유닛과 상기 제2 아일렛 제공 유닛이 상기 제1 아일렛과 상기 제2 아일렛을 상기 대상물의 장착 부위의 상면과 하면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시키는 아일렛 배치 단계, 상기 관형부의 단부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아일렛 또는 상기 제2 아일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송시키는 아일렛 이송 단계, 상기 삽입부의 선단에 돌출되게 배치된 상기 가열부재가 상기 대상물과 접촉하여 상기 대상물의 장착 부위를 절개하는 대상물 절개 단계, 상기 관형부가 상기 대상물의 장착 부위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아일렛의 개구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아일렛과 상기 제1 아일렛을 결합하는 아일렛 결합 단계, 및 상기 삽입부를 상기 관형부의 내부에 삽입시킴과 아울러 상기 가압부를 상기 관형부의 단부에 압착시키도록 상기 가압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관형부를 상기 제1 아일렛의 배면으로 절곡시키는 아일렛 체결 단계를 포함하는 아일렛 조립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아일렛 체결 단계에서는 상기 가열부재가 상기 삽입부의 선단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재가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가열부재의 가열 작동이 정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일렛 조립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아일렛 조립 방법은, 아일렛 조립 유닛이 제1 아일렛과 제2 아일렛을 조립하기 이전에 대상물의 장착 부위를 가열 방식으로 절개하므로, 별도의 천공기를 이용하여 대상물에 구멍을 생성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일렛 조립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아일렛 조립 방법은, 구멍이 형성된 대상물에 아일렛을 조립하는 것이 아니라, 절개된 대상물에 아일렛을 조립하므로, 제1 아일렛과 제2 아일렛의 사이에 위치되는 대상물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아일렛을 대상물의 장착 부위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장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종래의 아일렛을 조립할 때 사용되던 아일렛 와셔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일렛 조립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아일렛 조립 방법은, 제1 아일렛과 제2 아일렛을 조립하기 직전에 대상물의 장착 부위에 대한 절개 작업이 실시되므로, 대상물의 절개 공정과 아일렛의 조립 공정이 거의 동시에 이루어져 아일렛을 조립하는 전체 공정 및 소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아일렛 조립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아일렛과 대상물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아일렛과 대상물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일렛 조립 장치의 주요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아일렛 조립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아일렛 조립 장치에 의해서 조립되는 아일렛과 대상물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가열부재의 발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일렛 조립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일렛 조립 장치(100)의 주요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아일렛 조립 장치(1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아일렛 조립 장치(100)에 의해서 조립되는 아일렛(200)과 대상물(300)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4에 도시된 가열부재(134)의 발열부(15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일렛 조립 장치(100)는 천이나 가죽 등의 대상물(300)에 아일렛(200)을 조립하는 장치로써, 본체(미도시), 제1 아일렛 제공 유닛(110), 제2 아일렛 제공 유닛(120), 및 아일렛 조립 유닛(130)를 포함한다.
아일렛(200)은 제1 아일렛(210) 및 제2 아일렛(220)을 구비할 수 있다. 아일렛(200)이 대상물(300)에 장착되면, 대상물(300)은 제1 아일렛(210)과 제2 아일렛(220)의 중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아일렛(210)은 개구부(212)가 중앙에 구비된 와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아일렛(220)은 개구부(212)에 삽입되는 관 형상의 관형부(222)가 중앙에 구비된 와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는 도 1에 도시된 본체(11)와 동일 유사한 구성이다. 본체에는 아일렛(200)을 조립하기 위한 대상물(300)이 배치될 수 있다. 본체에는 제1 아일렛 제공 유닛(110)과 제2 아일렛 제공 유닛(120)에 제1 아일렛(210)과 제2 아일렛(220)을 자동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 아일렛 제공 유닛(110)은 제1 아일렛(210)을 대상물(300)의 일면에 제공하는 구성으로써 대상물(300)의 상측과 하측 중 어느 한 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아일렛 제공 유닛(120)은 제2 아일렛(220)을 대상물(300)의 타면에 제1 아일렛(210)과 대응되게 제공하는 구성으로써 대상물(300)의 상측과 하측 중 다른 한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아일렛 제공 유닛(110)이 대상물(300)의 하측에 구비되고 제2 아일렛 제공 유닛(120)이 대상물(300)의 상측에 구비된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제1 아일렛 제공 유닛(110)과 제2 아일렛 제공 유닛(120)은 아일렛 조립 장치(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아일렛 제공 유닛(110) 및 제2 아일렛 제공 유닛(120) 중 적어도 하나는 본체(11)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아일렛 제공 유닛(120)이 본체(11)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 아일렛 제공 유닛(110) 및 제2 아일렛 제공 유닛(120)에는 제1 아일렛(210)과 제2 아일렛(220)을 잡아주는 구조물 또는 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아일렛 제공 유닛(110) 및 제2 아일렛 제공 유닛(120)에는, 제1 아일렛(210)과 제2 아일렛(220)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거나, 또는 제1 아일렛(210)과 제2 아일렛(220)을 능동적으로 잡아주는 클램프 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아일렛 조립 유닛(130)은 제1 아일렛(210)과 제2 아일렛(220)이 장착되는 대상물(300)의 장착 부위(310)를 절개한 후 장착 부위(310)에 제1 아일렛(210)과 제2 아일렛(220)을 조립하는 장치이다. 아일렛 조립 유닛(130)은 제1 아일렛 제공 유닛(110) 또는 제2 아일렛 제공 유닛(1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아일렛 조립 유닛(130)이 제1 아일렛 제공 유닛(110)의 내부에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아일렛 조립 장치(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아일렛 조립 유닛(130)은 가압부재(132) 및 가열부재(134)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가압부재(132)는 제1 아일렛(210)과 제2 아일렛(220)의 조립시 개구부(212)를 관통한 관형부(222)를 제1 아일렛(210)의 배면으로 압착시키는 구성이다. 가압부재(132)는 제2 아일렛(220)의 관형부(222)보다 강도와 경도가 우수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132)는 제1 아일렛(210)과 제2 아일렛(220)의 조립시 관형부(222)에 제1 아일렛(210)의 배면 방향으로 압력을 제공하도록 제1 아일렛 제공 유닛(11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압부재(132)는 몸체부(140), 삽입부(142), 및 가압부(144)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부(140)는 제1 아일렛 제공 유닛(110)의 내부에 형성된 가압부재 설치 공간(112)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아일렛 제공 유닛(110)의 가압부재 설치 공간(112)은 몸체부(140)의 승강 작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한다. 몸체부(140)의 승강 작동은 일반적인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제어될 수 있지만, 그에 대한 구성과 작동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몸체부(140)는 관형부(222)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부(140)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삽입부(142)는 제1 아일렛(210)과 제2 아일렛(220)의 조립시 관형부(222)의 단부에 삽입되도록 몸체부(140)의 상단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42)는 관형부(222)의 단부 중심을 향해 뾰족하게 형성된 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부(142)가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삽입부(142)의 하부는 관형부(222)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142)가 관형부(222)의 단부에 삽입되면, 관형부(222)의 단부는 외측을 향하는 방사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가압부(144)는 제1 아일렛(210)과 제2 아일렛(220)의 조립시 관형부(222)의 단부가 걸리도록 몸체부(140)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144)는 관형부(222)를 제1 아일렛(210)의 배면으로 굴곡시키는 구성으로써, 제1 아일렛(210)과 제2 아일렛(220)의 조립시 관형부(222)가 굴곡 가능한 설정 압력보다 큰 압력으로 관형부(222)에 압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가열부재(134)는 제1 아일렛(210)과 제2 아일렛(220)의 조립 이전에 장착 부위(310)를 가열 방식으로 절개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제1 아일렛(210)과 제2 아일렛(220)의 조립시 제2 아일렛(220)의 관형부(222)는 대상물(300)을 관통하여 제1 아일렛(210)의 개구부(212)에 삽입될 수 있다. 가열부재(134)는 대상물(300)과의 접촉이 원활하도록 가압부재(132)의 삽입부(142)의 상부에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열부재(134)는 발열부(150) 및 탄성부(152)를 구비할 수 있다.
발열부(150)는 삽입부(142)의 상단 중심부에 상하 방향으로 인출 또는 삽입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삽입부(142)의 상단 중심부에는 발열부(15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열부재 설치 공간(146)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발열부(150)는 가압부재(132)의 이동 방향과 관계없이 가열부재 설치 공간(146)을 따라 인출 또는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발열부(150)는 제1 아일렛(210)과 제2 아일렛(220)의 조립 이전에 대상물(300)의 장착 부위(310)에 먼저 접촉하여 대상물(300)을 열로 절개할 수 있다. 일예로, 발열부(150)는 인두와 같이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높은 온도로 가열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부(150)는 대상물(300)의 장착 부위(310)에 십자 형상의 절개라인(320)이 형성되도록 대상물(300)과 접촉되는 상부가 십자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발열부(150)의 상부 구조는 십자형 돌기(154)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아일렛 조립 장치(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발열부(150)는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이 조절될 수 있다. 즉, 발열부(150)가 가열부재 설치 공간(146)의 내부에 삽입되면 발열부(150)에 전원이 차단되어 발열부(150)가 가열되지 않고, 발열부(150)가 가열부재 설치 공간(146)의 외부로 설정 길이 이상으로 인출되면 발열부(150)에 전원이 공급되어 발열부(150)가 고온으로 가열될 수 있다. 상와 같이 발열부(150)의 작동을 조절하면,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발열부(150)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에 의해서 주변의 부품이나 대상물(300)의 열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발열부(150)의 위치는 발열부(150)의 주위에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적절히 배치하여 실시간으로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탄성부(152)는 발열부(15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발열부(150)와 삽입부(14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152)는 가압부재(132)의 승강 방향과 무관하게 발열부(150)를 삽입부(142)의 상부로 인출시키거나 또는 가열부재 설치 공간(146)의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일렛 조립 장치(100)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일렛 조립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일렛 조립 방법은, 사전 준비 단계(1), 아일렛 배치 단계(2), 아일렛 이송 단계(3), 대상물 절개 단계(4), 아일렛 결합 단계(5), 및 아일렛 체결 단계(6)를 포함한다.
사전 준비 단계(1)에서는, 본체에 대상물(300)을 배치시킬 수 있고, 제1 아일렛 제공 유닛(110)에 제1 아일렛(210)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제2 아일렛 제공 유닛(120)에 제2 아일렛(220)을 공급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일렛 배치 단계(2)에서는 제1 아일렛 제공 유닛(110)과 제2 아일렛 제공 유닛(120)이 제1 아일렛(210)과 제2 아일렛(220)을 대상물(300)의 장착 부위의 상면과 하면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시킬 수 있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일렛 이송 단계(3)에서는 제2 아일렛(220)의 관형부(222)가 제1 아일렛(210)의 개구부(21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제1 아일렛(210) 또는 제2 아일렛(22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송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아일렛 제공 유닛(120)이 하측으로 하강되나, 제1 아일렛 제공 유닛(110)은 정지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2 아일렛(220)의 관형부(222)는 제1 아일렛(210)의 개구부(212)를 향해 이송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 절개 단계(4)에서는 삽입부(142)의 상부에 돌출되게 배치된 가열부재(134)의 발열부(150)를 대상물(300)의 장착 부위(310)에 접촉시켜 대상물(300)의 장착 부위(310)를 절개할 수 있다. 즉, 대상물(300)의 장착 부위(310)는 제2 아일렛(220)의 관형부(222)에 의해 하측으로 하강되어 가열부재(134)의 발열부(150)에 접촉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대상물(300)의 장착 부위(310)는 발열부(150)의 십자형 돌기(154)와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대상물(300)의 장착 부위(310)는 고온의 십자형 돌기(154)에 의해서 순간적으로 태워지면서 십자 형상으로 신속히 절개될 수 있다. 또한, 대상물(300)에 구멍을 형성하는 천공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일렛 결합 단계(5)에서는 제1 아일렛(210)과 제1 아일렛(21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관형부(222)는 대상물(300)의 절개된 부분을 관통하여 제1 아일렛(210)의 개구부(21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아일렛(210)과 제1 아일렛(210)이 결합되면, 대상물(300)의 절개된 부분이 제1 아일렛(210)과 제2 아일렛(2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아일렛(210)과 제2 아일렛(220)이 장착되는 대상물(300)의 면적이 증가되므로, 아일렛(200)이 대상물(300)에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일렛 체결 단계(6)에서는, 대상물(300)의 절개 부분이 중간에 배치된 상태로 제1 아일렛(210)과 제2 아일렛(220)을 체결할 수 있다. 즉, 삽입부(142)를 관형부(222)의 내부에 삽입함과 아울러 가압부(144)를 관형부(222)의 단부에 압착시키기 위하여 가압부재(132)를 상측으로 상승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압부재(132)가 상측으로 상승되면, 제2 아일렛(220)의 관형부(222)가 제1 아일렛(210)의 배면으로 절곡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제1 아일렛(210)과 제2 아일렛(220)이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한편, 가압부재(132)가 상측으로 상승되면, 가열부재(134)가 제2 아일렛 제공 유닛(120)과 간섭되어 가압부재(132)의 상승 동작이 방해받지 않도록 가열부재(134)의 발열부(150)는 삽입부(142)의 가열부재 설치 공간(146)의 내부로 탄성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재(132)가 초기의 위치로 하강되면, 가열부재(134)는 삽입부(142)의 가열부재 설치 공간(146)의 외부로 탄성적으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발열부(150)가 가열부재 설치 공간(146)의 내부에 삽입되면 발열부(150)의 작동이 정지될 수 있으며, 발열부(150)가 가열부재 설치 공간(146)의 외부로 인출되면 발열부(150)가 재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발열부(150)가 불필요하게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발열부(150)의 열기로 인한 주변 부품과 대상물(300)의 열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100: 아일렛 조립 장치
110: 제1 아일렛 제공 유닛
120: 제2 아일렛 제공 유닛
130: 아일렛 조립 유닛
132: 가압부재
134: 가열부재
200: 아일렛
210: 제1 아일렛
220: 제2 아일렛
300: 대상물

Claims (7)

  1. 천이나 가죽 등의 대상물을 중간에 두고 제1 아일렛과 제2 아일렛을 조립하는 아일렛 조립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이 배치되는 본체;
    상기 제1 아일렛을 상기 대상물의 일면에 제공하도록 상기 대상물의 상측과 하측 중 어느 한 측에 구비된 제1 아일렛 제공 유닛;
    상기 제2 아일렛을 상기 대상물의 타면에 상기 제1 아일렛과 대응되게 제공하도록 상기 대상물의 상측과 하측 중 다른 한 측에 구비된 제2 아일렛 제공 유닛; 및
    상기 제1 아일렛 제공 유닛 또는 상기 제2 아일렛 제공 유닛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아일렛과 상기 제2 아일렛이 장착되는 상기 대상물의 장착 부위를 절개한 후 상기 장착 부위에 상기 제1 아일렛과 상기 제2 아일렛을 조립하는 아일렛 조립 유닛;
    을 포함하는 아일렛 조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일렛은 개구부가 중앙에 구비된 와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아일렛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관 형상의 관형부가 중앙에 구비된 와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아일렛 조립 유닛은,
    상기 제1 아일렛 제공 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아일렛과 상기 제2 아일렛의 조립시 상기 개구부를 관통한 상기 관형부를 상기 제1 아일렛의 배면으로 압착시키도록 상기 관형부에 상기 제1 아일렛의 배면 방향으로 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아일렛과 상기 제2 아일렛의 조립시 상기 관형부가 상기 개구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아일렛과 상기 제2 아일렛의 조립 이전에 상기 장착 부위를 가열 방식으로 절개하는 가열부재;
    을 구비한 아일렛 조립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1 아일렛 제공 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관형부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된 기둥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선단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긴 관형부의 단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관형부의 단부 중심을 향해 뾰족하게 형성된 뿔 형상의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가 삽입된 상기 관형부의 단부가 걸리도록 상기 몸체부의 선단 가장자리부에 형성되고, 상기 관형부가 상기 제1 아일렛의 배면으로 굴곡되도록 상기 관형부에 압착되는 가압부;
    를 구비한 아일렛 조립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제1 아일렛과 상기 제2 아일렛의 조립 이전에 상기 대상물의 장착 부위에 접촉하여 상기 장착 부위를 열로 절개하도록 상기 삽입부의 선단 부분에 인출 또는 삽입 가능하게 구비된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가 상기 삽입부의 선단 부분에 탄성적으로 인출 또는 삽입되도록 상기 발열부와 상기 삽압부의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
    를 구비한 아일렛 조립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대상물의 장착 부위를 십자 형상으로 절개하도록 상기 장착 부위와 접촉되는 부분이 십자 형상으로 돌출되는 아일렛 조립 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아일렛 조립 장치를 이용한 아일렛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상기 대상물을 배치시키고, 상기 제1 아일렛 제공 유닛에 상기 제1 아일렛을 공급하며, 상기 제2 아일렛 제공 유닛에 상기 제2 아일렛을 공급하는 사전 준비 단계;
    상기 제1 아일렛 제공 유닛과 상기 제2 아일렛 제공 유닛이 상기 제1 아일렛과 상기 제2 아일렛을 상기 대상물의 장착 부위의 상면과 하면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시키는 아일렛 배치 단계;
    상기 관형부의 단부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아일렛 또는 상기 제2 아일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송시키는 아일렛 이송 단계;
    상기 삽입부의 선단에 돌출되게 배치된 상기 가열부재가 상기 대상물과 접촉하여 상기 대상물의 장착 부위를 절개하는 대상물 절개 단계;
    상기 관형부가 상기 대상물의 장착 부위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아일렛의 개구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아일렛과 상기 제1 아일렛을 결합하는 아일렛 결합 단계; 및
    상기 삽입부를 상기 관형부의 내부에 삽입시킴과 아울러 상기 가압부를 상기 관형부의 단부에 압착시키도록 상기 가압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관형부를 상기 제1 아일렛의 배면으로 절곡시키는 아일렛 체결 단계;
    를 포함하는 아일렛 조립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일렛 체결 단계에서는 상기 가열부재가 상기 삽입부의 선단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가열부재가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가열부재의 가열 작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일렛 조립 방법.
KR1020110095688A 2011-09-22 2011-09-22 아일렛 조립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아일렛 조립 방법 KR201300320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688A KR20130032029A (ko) 2011-09-22 2011-09-22 아일렛 조립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아일렛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688A KR20130032029A (ko) 2011-09-22 2011-09-22 아일렛 조립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아일렛 조립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029A true KR20130032029A (ko) 2013-04-01

Family

ID=48435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688A KR20130032029A (ko) 2011-09-22 2011-09-22 아일렛 조립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아일렛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20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682B1 (ko) * 2015-10-27 2016-06-13 안켐 주식회사 스냅단추 부착장치
KR102444105B1 (ko) 2022-07-29 2022-09-20 주식회사 원월드파트너스 아일렛 부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682B1 (ko) * 2015-10-27 2016-06-13 안켐 주식회사 스냅단추 부착장치
KR102444105B1 (ko) 2022-07-29 2022-09-20 주식회사 원월드파트너스 아일렛 부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5502B2 (ja) 動的クランプ及びそのための工具ホルダ
JP2006297416A (ja) パイプ材にナットを固着するプレス装置
KR101587723B1 (ko) 실린더 피스톤의 패킹 조립장치
KR20130032029A (ko) 아일렛 조립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아일렛 조립 방법
CN104094400A (zh) 用于散热器安装的紧固件组件和方法
JP2016182621A (ja) 半田処理装置
TW201002894A (en) Device for cutting cloth of sewing machine
JP4749408B2 (ja) ホースクリップの装着装置
JP4315947B2 (ja) ニードルパンチ機における針留
KR101908641B1 (ko) 포터블형 오픈함 펀칭장치
KR100910314B1 (ko) 터미널단자 커팅기
RU2006129265A (ru) Вспомог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опливного бака и способ его установки внутри этого бака
JP6241740B2 (ja) ソレノイドの固定構造
JP5563063B2 (ja) ハトメ取付装置及びハトメ取付方法
JP2017051989A (ja) 半田付け装置
JP2008295858A (ja) ミシン
CN106037535A (zh) 研磨器及其连接圈以及豆浆机
JP4463606B2 (ja) スナップファスナー取付け機
JP2013116527A (ja) スナップリングの装着冶具
JP6304808B2 (ja) 半田鏝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の製造装置
JP2015131329A (ja) ハンダ付け装置
KR20190089412A (ko) 파이프 펀칭 장치
JP2005102611A (ja) 苗植付装置
JP3110096U (ja) 刃先の加熱位置決め装置
JP4896085B2 (ja) 半田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