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412A - 파이프 펀칭 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펀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412A
KR20190089412A KR1020180007865A KR20180007865A KR20190089412A KR 20190089412 A KR20190089412 A KR 20190089412A KR 1020180007865 A KR1020180007865 A KR 1020180007865A KR 20180007865 A KR20180007865 A KR 20180007865A KR 20190089412 A KR20190089412 A KR 20190089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pipe
pilot
mark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1376B1 (ko
Inventor
홍석무
송철호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7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376B1/ko
Publication of KR20190089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8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tubes or other hollow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펀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파이프 펀칭 장치(10)에는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파이프(P)를 가압하여 관통공(h)을 형성시키는 펀치(20)가 구비된다. 상기 펀치(20)의 일단 중심에는 상기 펀치(20)가 이동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펀칭 지그(3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펀칭 지그(30)에 구비되는 파일럿(40)은 상기 관통공(h)이 형성될 위치가 표시된 마커(M)와 대응하여 위치된다. 상기 파일럿(40)은 상기 파이프(P)에 상기 관통공(h)이 형성되기 전 상기 마커(M)에 위치되고, 상기 펀치(20)는 상기 파일럿(40)을 따라 상기 파이프(P)를 가압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펀치가 파일럿에 의해 중심이 잡힌 상태에서 파이프를 가압하므로, 천공 작업이 정교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펀칭 장치{Apparatus for punching pipe}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파이프 펀칭 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를 정교하게 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파이프 펀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는 다른 파이프와의 연결을 위해 천공을 하게 되는데, 이때, 펀치를 사용하여 천공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상기 펀치를 이용하여 파이프에 천공을 형성할 시, 천공이 형성되어야 하는 위치의 외부에서 펀치를 사용하여 펀칭시켜 파이프에 천공을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와 같이 파이프에 천공을 형성시킬 때 현장에서는 작업자가 상기 천공의 중심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작업하기엔 어려우므로, 정교한 천공 작업을 수행하기엔 힘들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작업결과가 서로 상이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천공 작업을 잘못 수행했을 때에는 새로운 파이프를 사용해야 하므로 재료 소모 및 작업자의 작업부담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파이프에 천공을 용이하고 정교하게 형성할 수 있는 파이프 펀칭 장치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99527호(2006.07.0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파이프에 천공을 정교하게 형성할 수 있는 파이프 펀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펀칭 장치에 따르면, 파이프를 가압하여 관통공을 형성시키는 파이프 펀칭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에 상기 관통공을 형성시키고, 중심에는 상기 파이프를 향해 일측이 개구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펀치; 및 상기 수납공간에 상기 펀치가 이동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관통공이 형성될 위치가 표시된 마커와 대응하여 위치되는 펀치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펀치 지그는 상기 파이프에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기 전 상기 마커에 위치되고, 상기 펀치는 상기 펀치 지그를 따라 상기 파이프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펀치 지그는, 상기 수납공간에 상기 펀치가 이동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일럿과, 상기 수납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파일럿을 상기 펀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일럿은, 일단이 상기 마커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펀치를 향해 연장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삽입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납공간에 위치되는 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납공간의 하단에는 상기 걸이부가 걸어지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의 일단은 상기 펀치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커는 상기 파이프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일단은 상기 마커에 억지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이프와 마주보는 상기 펀치의 일단은 단면이 오목한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펀칭 장치에 따르면, 파이프를 가압하여 관통공을 형성하는 펀치의 수납공간에는 상기 관통공이 형성될 위치의 중심이 표시된 마커와 대응하여 위치되는 펀칭 지그가 설치되므로, 상기 펀치가 상기 펀칭 지그에 의해 중심이 잡힌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를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관통공이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천공 작업이 정교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펀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펀칭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펀칭 장치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펀칭 장치(10)는 가공 대상인 파이프(P)에 천공 작업을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파이프 펀칭 장치(10)에는 펀치(20)가 구비된다. 상기 펀치(20)는 상기 파이프 펀칭 장치(10)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부재(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파이프(P)를 가압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h)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통상적으로 파이프 펀칭 장치에 사용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P)와 마주보는 상기 펀치(20)의 일단은 단면이 오목한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파이프(P)의 외면과 최초로 접촉되는 부분인 상기 펀치(20)의 일단 가장자리에 압력이 집중되어 상기 관통공(h)이 쉽게 타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파이프(P)에 절단되는 면이 상기 펀치(20)의 내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접촉되어 밀림 현상 없이 깔끔하게 절단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2 내지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펀치(20)의 일단에는 수납공간(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22)은 상기 펀치(20)의 중심에 형성된다. 상기 수납공간(22)은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부재(S)와 파일럿(40)이 수납되는 부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공간(22)의 하단에는 걸림턱(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24)은 아래에서 설명될 파일럿(40)의 걸이부(44)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즉, 상기 걸림턱(24)에 파일럿(40)의 걸이부(44)가 걸어짐으로써 파일럿(40)이 상기 펀치(20)로부터 임의로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공간(22)에는 펀치 지그(30)가 설치된다. 상기 펀치 지그(30)는 상기 관통공(h)이 형성될 위치가 표시된 마커(M)와 대응하여 위치된다. 상기 펀치 지그(30)는 상기 펀치(20)가 상기 관통공(h)을 정교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펀치(20)의 중심을 잡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펀치(20)는 상기 펀치 지그(30)를 따라 상기 파이프(P)를 가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마커(M)는 천공 작업 전 상기 파이프(P) 드릴 또는 송곳 등으로 홈 형태나 관통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커(M)는 관통공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마커(M)는 상기 관통공(h)과 동심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펀치 지그(30)는 파일럿(40) 및 탄성부재(S)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일럿(40)에는 삽입부(42)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부(42)는 대략 바 형상으로, 일단은 상기 마커(M)에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펀치(20)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삽입부(42)의 일단은 상기 펀치(20)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마커(M)에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삽입부(42)의 타단에는 상기 삽입부(4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이부(44)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44)는 상기 수납공간(22)에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부(44)는 상기 걸림턱(24)에 걸어져 상기 파일럿(40)이 상기 펀치(2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파일럿(40)의 삽입부(42)는 상기 마커(M)에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fit)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펀치(30)가 상기 파이프(P)에 관통공(h)을 형성한 후 원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펀치(30)에 의해 절단된 조각(t)이 상기 삽입부(42)에 끼워진 상태로 회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파이프(P) 내로 절단된 조각(t)이 잔류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절단된 조각을 상기 파이프(P)로부터 꺼내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P)와 마주보는 상기 삽입부(42)의 일단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삽입부(42)가 상기 마커(M)를 통과하여 상기 파이프(P) 내로 들어갔을 때 상기 파이프(P)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공간(22)에는 탄성부재(S)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S)는 코일 스프링으로, 일단은 상기 펀치(20)에 연결되고 타단은 파일럿(40)의 걸이부(44)에 연결된다. 상기 탄성부재(S)는 수축 및 이완되면서 파일럿(40)을 상기 펀치(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S)는 상기 파일럿(4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부재(S)의 탄성력은 상기 파이프(P)의 직경 및 상기 파일럿(40)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펀칭 장치의 동작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상기 파이프(P)에 천공 작업을 하기 위한 부분에 마커(M)를 형성한 후, 상기 파일럿(40)의 일단에 위치시킨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커(M)에 상기 파일럿(40)의 삽입부(42) 일단이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천공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펀치(20)가 작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펀치(20)가 상기 파이프(P)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파일럿(40)은 상기 탄성부재(S)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수납공간(22)으로 수납되고, 상기 탄성부재(S)는 수축된다.
이와 같이, 이와 같이, 상기 펀치(20)가 상기 파이프(P)를 계속 가압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h)이 형성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S)가 이완되면서 상기 파일럿(40)의 삽입부(42)는 상기 파이프(P) 내에 위치된다.
계속해서, 상기 펀치(20)가 상기 파이프(P)를 가압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일럿(40)의 삽입부(42) 일단이 상기 파이프(P) 내면에 접촉하게 되고, 상기 탄성부재(S)는 다시 수축된다. 이때, 상기 파일럿(40)의 삽입부(42) 일단은 곡면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파이프(P)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파일럿(20)에 의해 상기 펀치(20)의 중심이 잡힌 상태에서 가압하므로 상기 관통공(h)이 어긋하게 형성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관통공(h)이 형성되면, 상기 펀치(20)는 원위치로 복귀되고, 상기 파일럿(40)은 상기 탄성부재(S)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상기 파일럿(40)의 삽입부(42)는 상기 마커(M)에 억지 끼워맞춤된 상태이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조각(t)이 상기 파일럿(40)에 끼워진 상태로 회수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파일럿(40)으로부터 플라이어(pliers)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절단된 조각(t)을 제거하면 된다. 이와 같이, 절단된 조각(t)을 상기 파이프(P)로부터 꺼내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파이프 펀칭 장치 20: 펀치
22: 수용공간 30: 펀치 지그
40: 파일럿 42: 삽입부
44: 걸이부 S: 탄성부재
P: 파이프 M: 마커
h: 관통공

Claims (7)

  1. 파이프를 가압하여 관통공을 형성시키는 파이프 펀칭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에 상기 관통공을 형성시키고, 중심에는 상기 파이프를 향해 일측이 개구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펀치; 및
    상기 수납공간에 상기 펀치가 이동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관통공이 형성될 위치가 표시된 마커와 대응하여 위치되는 펀치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펀치 지그는 상기 파이프에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기 전 상기 마커에 위치되고, 상기 펀치는 상기 펀치 지그를 따라 상기 파이프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펀칭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 지그는,
    상기 수납공간에 상기 펀치가 이동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일럿과,
    상기 수납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파일럿을 상기 펀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펀칭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은,
    일단이 상기 마커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펀치를 향해 연장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삽입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납공간에 위치되는 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펀칭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의 하단에는 상기 걸이부가 걸어지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펀칭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일단은 상기 펀치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펀칭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파이프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일단은 상기 마커에 억지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펀칭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와 마주보는 상기 펀치의 일단은 단면이 오목한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펀칭 장치.
KR1020180007865A 2018-01-22 2018-01-22 파이프 펀칭 장치 KR102021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865A KR102021376B1 (ko) 2018-01-22 2018-01-22 파이프 펀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865A KR102021376B1 (ko) 2018-01-22 2018-01-22 파이프 펀칭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412A true KR20190089412A (ko) 2019-07-31
KR102021376B1 KR102021376B1 (ko) 2019-09-16

Family

ID=67474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865A KR102021376B1 (ko) 2018-01-22 2018-01-22 파이프 펀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3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08846A (zh) * 2021-03-15 2021-05-18 惠州至精精密技术有限公司 一种管状型材冲孔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4020Y2 (ja) * 1978-02-20 1985-10-09 赤井電機株式会社 蒸着用メタルマスク
KR100599527B1 (ko) 2005-01-07 2006-07-13 두원동파이프공업 주식회사 파이프의 분기공 천공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4020B2 (ja) * 2011-12-21 2016-11-30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電子部品装着方法及び電子部品装着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4020Y2 (ja) * 1978-02-20 1985-10-09 赤井電機株式会社 蒸着用メタルマスク
KR100599527B1 (ko) 2005-01-07 2006-07-13 두원동파이프공업 주식회사 파이프의 분기공 천공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08846A (zh) * 2021-03-15 2021-05-18 惠州至精精密技术有限公司 一种管状型材冲孔设备
CN112808846B (zh) * 2021-03-15 2022-04-08 惠州至精科技有限公司 一种管状型材冲孔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376B1 (ko) 201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505062A (ja) 連結ピンによって固定される着脱可能なパンチ先端体を備えるパンチアセンブリ
KR20190089412A (ko) 파이프 펀칭 장치
ATE471586T1 (de) Kabelabmantelungswerkzeug
TWM589622U (zh) 快速更換刀頭之夾鉗結構
KR102105579B1 (ko) 확경공 천공 장치
EP3476515A2 (en) Soldering system
US20210039153A1 (en) Quick connect mechanisms for draw stud assemblies
KR20120129657A (ko) 금속파이프 천공장치 및 천공방법
KR20170003215U (ko) 관 연결장치
KR100892555B1 (ko) 열교환기 헤더 제조용 공구와, 이를 이용한 헤더 제조 방법
JP2018062021A (ja) ホールソー
KR102125129B1 (ko) 안전 척킹 장치를 구비한 내부 척킹 커터 슬리브 구조물
TWI706835B (zh) 快速更換刀頭之夾鉗結構及其組裝方法
KR20200119825A (ko) 확경구멍부의 천공 장치
US3398445A (en) Jack tip inserting tool
JP2009066608A (ja) パンチング金型の着脱機構
EP2979792B1 (en) Tooling adapted to manufacture a washer,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ical washer, and use of a rivet for manufacturing a washer
CN205342533U (zh) 电子封装金属外壳扁头引线钻孔夹具
TWI680024B (zh) 將螺帽鑲嵌於金屬板的製造方法
KR100806617B1 (ko) 커팅 및 피어싱 장치
KR101996452B1 (ko) 압입프레스 및 압입방법
TWM563938U (zh) 具安全卡制裝置之內卡制型刀套結構
KR20130032029A (ko) 아일렛 조립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아일렛 조립 방법
KR100852205B1 (ko) 절단장치
KR20100008046U (ko) 휴대용 파이프 포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