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0727A -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0727A
KR20130030727A KR1020120101427A KR20120101427A KR20130030727A KR 20130030727 A KR20130030727 A KR 20130030727A KR 1020120101427 A KR1020120101427 A KR 1020120101427A KR 20120101427 A KR20120101427 A KR 20120101427A KR 20130030727 A KR20130030727 A KR 20130030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ent
force
input information
interfac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4806B1 (ko
Inventor
이보람
박준아
이현정
이형규
임수철
한승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30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8Sliders, in which the moving part moves in a pla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힘 센서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조작하는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E USING BY FOR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제어 기술은 키보드, 조이스틱, 버튼 등과 같이 미리 구현된 하드웨어를 조작하여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방식, 사용자의 장치 접촉 여부 및 상태 등의 제스쳐를 이용해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방식, 사용자의 공간상 움직임(kinematic) 및 동작(action) 정보를 통하여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방식 등이 있다.
사용자의 제스쳐를 이용해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방식은 사용자의 공간적 이동을 통하여 방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크기가 큰 지도 이미지에서 관심 영역을 탐색하거나 길이가 긴 웹페이지를 스크롤 하기 위하여 접촉 좌표를 이동시키는 제스쳐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입력 장치는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공간적인 범위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커다란 가상 공간(large virtual workspace) 등을 탐색(navigation)하기 위하여 제스쳐를 반복적으로 수행해야만 한다.
사용자의 공간상 움직임 및 동작 정보를 통하여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방식은 예를 들어, 가속도, 각속도, 위치, 자세, 방위 등의 정보를 센싱하여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사용자의 공간상 움직임 및 동작 정보를 통하여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방식은 실제 입력 값이 맵핑(mapping) 되는 물리적인 공간이 한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 및 입력 장치의 운동이 인터렉션(interaction)에 방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미리 구현된 하드웨어를 조작하여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방식, 사용자의 제스쳐를 이용해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방식, 사용자의 공간상 움직임 및 동작 정보를 통하여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방식 등은 별도의 조치 없이는 입력 행위가 시각적으로 명백하게 드러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힘 센서로부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분석부 및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조작하는 컨텐츠 조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가 상기 컨텐츠를 조작하도록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힘 입력 정보가 상기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가시 영역의 스크롤 방향을 결정하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 조작부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가시 영역을 스크롤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의 조합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가시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 조작부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가시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에 포함된 힘의 강도에 따라 상기 가시 영역의 확대 비율 또는 축소 비율을 결정하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메뉴, 폴더 또는 파일에 대한 선택 영역을 결정하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 조작부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메뉴, 폴더 또는 파일에 대한 선택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의 조합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메뉴, 폴더 또는 파일에 대한 상위 또는 하위 영역을 결정하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 조작부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메뉴, 폴더 또는 파일에 대한 상위 또는 하위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멀티미디어에 대한 탐색 방향 또는 구간을 결정하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 조작부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멀티미디어에 대한 탐색 방향 또는 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의 조합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멀티미디어에 대한 이전 파일 또는 다음 파일을 결정하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 조작부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멀티미디어에 대한 이전 파일 또는 다음 파일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페이지 넘김 방향을 결정하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 조작부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멀티미디어에 대한 페이지 넘김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의 조합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최초 페이지 또는 최종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 조작부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최초 페이지 또는 최종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정보 수신부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입력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입력 정보는 접촉 입력 정보 또는 가속도 정보, 각속도 정보 또는 지자기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 및 상기 접촉 입력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 조작부는 상기 접촉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대상을 결정하고, 상기 힘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결정된 대상을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 가속도 정보, 각속도 정보 또는 지자기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 조작부는 상기 가속도 정보, 각속도 정보 또는 지자기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대상을 이동시키고, 상기 힘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센서로 입력되는 힘의 작용점, 방향, 강도 또는 작용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포인팅 객체로부터 힘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유연성을 갖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의 일면에 적층되고, 상기 접촉부를 수용하는 베이스, 상기 접촉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로부터 수신된 힘 입력 정보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힘 센서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된 센서부 및 상기 측정된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컨텐츠 조작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조작하는 컨텐츠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접촉부 및 상기 힘 센서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로부터의 상기 힘 입력 정보를 상기 힘 센서로 전달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센서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접촉부 사이에 형성된 하나이상의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접촉부의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접촉부 또는 상기 베이스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센서는 상기 접촉부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힘 센서는 연속 또는 불연속 패턴 중 어느 하나의 배열패턴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포인팅 객체로부터 힘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유연성을 갖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의 일면에 적층되고, 상기 접촉부로부터 수신된 힘 입력 정보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힘 센서가 베이스 상에 구비된 센서부 및 상기 측정된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컨텐츠 조작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조작하는 컨텐츠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은 하나 이상의 힘 센서로부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조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힘 입력 정보를 통하여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입력 공간의 제약을 제거하고 연속적인 입력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 및 센싱부의 결합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 및 센싱부의 결합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의 하나 이상의 힘 센서의 배열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2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의 베이스 및 접촉부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에 물리적인 인터렉션(interaction)을 가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힘을 측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5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컨텐츠의 가시 영역을 제어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6 및 도 37은 도 35의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컨텐츠의 가시 영역을 제어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컨텐츠의 가시 영역의 확대율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컨텐츠의 선택 항목을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0 내지 도 42는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컨텐츠의 선택항목을 결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음원 파일)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4 및 도 45 는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음원 파일)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e-book)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7 및 도 48 은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e-book)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특정 대상을 선택하여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특정 대상을 선택하여 제어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특정 항목을 선택하여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2 및 도 53은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특정 항목을 선택하여 제어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컨텐츠를 조합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컨텐츠를 조합 제어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6 및 도 57는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가 구현된 디바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58 및 도 59는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에 의해 분리되어 원격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컨텐츠를 조작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60은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가 힘 입력 키(key) 또는 버튼(button) 방식으로 구현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1 및 도 62는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메뉴 위젯의 조작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3 및 도 64는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메뉴 위젯의 조작에 따른 피드백 구현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입력 정보로 이용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접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입력 정보로 수신하여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 단말기 상에서 동작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컨텐츠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어 유저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모든 유형의 그래픽 요소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백그라운드에서 운용 가능한 구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특정 컨텐츠 객체에 대하여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컨텐츠 객체와 연결되어 있는 소정의 프로세스가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객체는 가상 공간(virtual space), 가상 물체(virtual object), 텍스트(text), 이미지(image), 파일(file), 폴더(folder), 윈도우(window), 웹(web)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및 이와 연관된 아이콘, 메뉴 버튼, 도구 버튼, 기타 각종 하이퍼링크 등을 모두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TV, 셋탑박스,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정보 수신부(110), 정보 분석부(120) 및 컨텐츠 조작부(130)을 포함한다.
정보 수신부(110)는 하나 이상의 힘 센서로부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는 하나 이상의 힘 센서로 입력되는 힘의 작용점, 방향, 강도 및 작용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분석부(120)는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가 컨텐츠를 조작하도록 설정된 기준 값 이상 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힘 입력 정보가 상기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한다.
컨텐츠 조작부(130)는 생성된 컨텐츠 조작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조작한다. 컨텐츠 조작부(130)는 가상 공간(virtual space), 가상 물체(virtual object), 텍스트(text), 이미지(image), 파일(file), 폴더(folder), 윈도우(window), 웹(web),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이들과 연관된 아이콘, 메뉴 버튼, 도구 버튼, 기타 각종 하이퍼링크 등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조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정보 수신부(110)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 분석부(120)는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입력 정보를 조합하여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다른 입력 정보는 접촉 입력 정보 또는 가속도 정보, 각속도 정보 및 지자기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정보 분석부(120)는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 및 접촉 입력 정보를 조합하여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컨텐츠 조작부(130)는 접촉 입력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대상을 결정하고, 힘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결정된 대상을 조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정보 분석부(120)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 가속도 정보, 각속도 정보 및 지자기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컨텐츠 조작부(130)는 상기 가속도 정보, 각속도 정보 또는 지자기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대상을 이동시키고, 상기 힘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정보 분석부(120)는 컨텐츠의 가시 영역의 스크롤 방향을 결정하는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컨텐츠 조작부(130)는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가시 영역을 스크롤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정보 분석부(120)는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의 조합에 따라 컨텐츠의 가시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컨텐츠 조작부(130)는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가시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성되는 컨텐츠 조작 정보는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에 포함된 힘의 강도에 따라 상기 가시 영역의 확대 비율 또는 축소 비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정보 분석부(120)는 컨텐츠의 메뉴, 폴더 또는 파일에 대한 선택 영역을 결정하는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컨텐츠 조작부(130)는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메뉴, 폴더 또는 파일에 대한 선택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정보 분석부(120)는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의 조합에 따라 컨텐츠의 메뉴, 폴더 또는 파일에 대한 상위 또는 하위 영역을 결정하는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컨텐츠 조작부(130)는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메뉴, 폴더 또는 파일에 대한 상위 또는 하위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정보 분석부(120)는 컨텐츠의 멀티미디어에 대한 탐색 방향 또는 구간을 결정하는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컨텐츠 조작부(130)는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멀티미디어에 대한 탐색 방향 또는 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정보 분석부(120)는 컨텐츠의 멀티미디어에 대한 이전 파일 또는 다음 파일을 결정하는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컨텐츠 조작부(130)는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멀티미디어에 대한 이전 파일 또는 다음 파일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정보 분석부(120)는 컨텐츠의 페이지 넘김 방향을 결정하는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컨텐츠 조작부(130)는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멀티미디어에 대한 페이지 넘김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정보 분석부(10)는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의 조합에 따라 컨텐츠의 최초 페이지 또는 최종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컨텐츠 조작부(130)는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최초 페이지 또는 최종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34 내지 56을 참고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컨텐츠를 조작하고,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피드백 구현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구현부(14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haptic) 등의 모달리티(modality)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각으로 제공되는 피드백의 경우에는 조명 수단에 의한 점등/점멸의 구현으로, 청각으로 제공되는 피드백의 경우에는 소리에 의한 알림으로, 촉각의 경우에는 액츄에이터 또는 모터와 같은 햅틱 수단에 의한 구현으로 피드백의 제공이 가능하다.
도 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른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센서 IC(340)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IC(Integrated Chip)(340)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홈 버튼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센서 IC(340)는 센서 IC(340)의 힘 센서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 및 센서 입력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힘 센서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는 힘의 위치 또는 좌표, 대상이 되는 힘 센서의 인덱스를 의미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는 센서 IC(340)를 통해 인식된 입력 정보 및 이벤트를 분석하여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컨텐츠 조작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조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는 정보 수신부(310), 정보 분석부(320) 및 컨텐츠 조작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신부(310)는 하나 이상의 힘 센서로부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 분석부(320)는 수신된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며, 컨텐츠 조작부(330)는 생성된 컨텐츠 조작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조작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유연성을 갖는 접촉부(410), 접촉부(410)의 일측에 형성되고, 접촉부(410)로부터 수신된 힘 입력 정보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힘 센서(421)가 베이스(430)에 구비된 센서부 및 측정된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컨텐츠 조작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조작하는 컨텐츠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의 형태로 활용가능하고, 이 경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부가될 수 있다.
접촉부(410)는 포인팅 객체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위치 또는 조작 명령에 대응하는 힘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부재로서, 사용자의 힘 입력 정보와 수신을 위하여 다시 원래의 형태로 복원 가능한 재질로 사용 가능하다. 이를 위해 접촉부(410)의 일면은 포인팅 객체로부터 힘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면으로서, 접촉부(410)의 일면은 사용자와 대면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포인팅 객체는 손가락, 터치 입력 펜 및 방향 입력을 위한 하나 이상의 키(key)를 포함하는 입력 버튼(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의 홈버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컨텐츠에 대한 위치 또는 조작 명령에 대응하는 힘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모든 구성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접촉부(410)는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의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에 삽입되거나, 모바일 장치의 홈버튼의 형태와 같이 힘 입력을 위한 힘 입력 키(key) 또는 힘 입력 버튼(button)의 하부에 삽입되거나, 일체형 또는 분할형 쿼티자판의 하부에 삽입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접촉부(410)는 힘 입력 정보 전달을 위한 모듈, LCD, OLED, 전자종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수단 중 어느 하나와 같이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힘 이외의 입력 정보(온도, 압력, 전기장 등)를 센싱하는 모듈 또는 휴대 전화와 같은 독립적인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센서부(421, 430)는 접촉부(410)의 일측에 형성되고, 접촉부(410)로부터 수신된 힘 입력 정보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힘 센서(421)와, 힘 센서(421)가 일면에 형성된 베이스(430)에 구비된다. 베이스(430)는 접촉부(410)의 일면에 적층되고, 접촉부(410)를 수용하는 요철부를 포함한다. 베이스(430)는 접촉부(410)의 일측에 형성되고 접촉부로부터 수신된 힘 입력 정보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힘 센서(421)를 구비한다.
힘 센서(421)는 베이스(430)와 접촉부(410)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접촉부(410)로부터 효율적인 힘 입력 정보의 수신을 위해 접촉부(410)의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힘 센서(421)는 접촉저항 방식, 정전용량 방식, 압전방식에 의해 작용되는 힘의 세기를 검출할 수 있고,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태가 변하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저항값, 정전량, 전압, 자기장, 광 파장, 밀도, 온도, 부피 등의 물리적 상태가 변하며, 상기 물리적 상태의 변화에 따른 측정값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괄한다.
컨텐츠 제어부(미도시)는 측정된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 조작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조작한다.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하고, 컨텐츠를 조작하는 구성 및 기능은 도 1 내지 3 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갈음하고, 이하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접촉부(410) 및 센싱부의 구성 및 결합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 및 센싱부의 결합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접촉부(410)는 포인팅 객체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위치 또는 조작 명령에 대응하는 힘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부재이고, 베이스(430)는 접촉부(410)의 일면에 적층되고, 접촉부(410)를 수용하는 요철부를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430)는 접촉부(410)의 일측에 형성되고 접촉부(410)로부터 수신된 힘 입력 정보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힘 센서(421)를 구비한다.
힘 센서(421)는 베이스(430)와 접촉부(410)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접촉부(410)로부터 효율적인 힘 입력 정보의 수신을 위해 접촉부(410)의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접촉부(410) 및 힘 센서(421) 사이에 형성되고, 접촉부(410)로부터의 힘 입력 정보를 힘 센서(421)로 전달하는 완충부(4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422)는 포인팅 객체로부터의 접촉부(410)로 입력되는 힘 입력 정보를 힘 센서(421)로 전달하고, 힘 전달을 균일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완충부(422)는 탄성을 가진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5를 참조하면, 완충부(422)는 접촉부(410)와 접촉하여 힘 센서(421)로 힘 입력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도 6를 참조하면, 완충부(422)는 베이스(430)의 측면에 접촉하여 힘 센서(421)로부터 전달되는 힘 입력 정보를 완충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7을 참조하면, 힘 센서(421)는 접촉부(410)로부터의 힘 입력 정보의 측정의 용이성과, 힘 전달을 위하여 탄성력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진 센서(420)일 수 있다. 즉, 힘 센서(421) 및 완충부(422)의 기능이 혼합된 혼합형 구조의 센서(420)가 접촉부(410)와 베이스(430) 사이에 배치되어, 힘 입력 정보를 완충 및 측정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베이스(430)에 의해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층 구조로 형성된 접촉부(410)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하나 이상의 힘 센서(421)는 상기 하나 이상의 층 구조로 형성된 베이스(430)와 접촉부(410)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접촉부(410)로부터 효율적인 힘 입력 정보의 수신을 위해 접촉부(410)의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접촉부(410) 및 센싱부(421, 430)의 구성 및 결합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 및 센싱부의 결합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유연성을 갖는 접촉부(410), 접촉부(410)의 일면에 적층되고, 접촉부(410)로부터 수신된 힘 입력 정보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힘 센서(421)가 베이스 상에 구비된 센서부 및 상기 측정된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 조장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 조작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조작하는 컨텐츠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접촉부(410)는 포인팅 객체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위치 또는 조작 명령에 대응하는 힘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부재로서, 사용자의 힘 입력 정보와 수신을 위하여 다시 원래의 형태로 복원 가능한 재질로 사용 가능하다.
센서부(421, 430)는 접촉부(410)의 일면에 적층되고, 접촉부(410)로부터 수신된 힘 입력 정보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힘 센서(421) 및 힘 센서(421)가 베이스(430) 상에 구비된 베이스(430)를 포함한다. 힘 센서(421)가 베이스(430) 상에 형성됨이라 함은 힘 센서(421)가 베이스(430)의 상판 또는 하판의 어느 일면에 적층됨을 의미할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430) 내부에 형성됨을 의미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베이스(430)는 힘 입력 정보 또는 외부 압력(힘)으로부터 보호하는 힘 센서(421)를 보호층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힘 센서(421)는 베이스(430)와 접촉부(410) 사이에 적층되고, 접촉부(410)의 어느 일면에 형성되어, 접촉부(410)로부터 힘 입력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접촉부(410)의 일면에 적층되고, 접촉부(410)로부터의 수신된 힘 입력 정보를 힘 센서(421)로 전달하는 완충부(422) 및 센서부(421, 430)의 일면에 적층되고, 컨텐츠 제어부의 컨텐츠 조작 시의 피드백을 생성하는 피드백 구현부(4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로는 피드백 구현부(441)가 힘 센서(421)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피드백 구현부(441)는 힘 센서(421)와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도 있고, 별도의 독립된 구조로서도 구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보다 효율적인 힘 입력 정보의 전달을 위하여 완충부(422) 및 힘센서(421)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피드백 구현부(441)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haptic) 등의 모달리티(modality)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서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피드백 구현부(441)의 지지를 위한 지지층(442)을 구비하여 피드백 구현층(44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은 접촉부(410) 및 힘 센서(421)가 결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된 혼합층을 구비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접촉부(410) 및 힘 센서(421)는 베이스(430)의 일면에 형성된 요철부에 각각 힘 센서(421) 및 접촉부(410)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혼합층(410, 421)을 형성할 수 있고, 접촉부(410)을 구성하는 물질 및 힘 센서(421)를 구성하는 물질을 상기 요철부에 적층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혼합층(410,421)은 하나 이상의 축(예를 들어 3축)의 힘 센싱이 가능한 구성으로서, 상기 혼합층(410, 421)은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의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에 삽입되거나, 모바일 장치의 홈버튼 하부에 삽입되거나, 일체형 또는 분할형 쿼티자판의 하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혼합층(410, 421)은 힘 입력 정보 전달을 위한 모듈, LCD, OLED, 전자종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수단 중 어느 하나와 같이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힘 이외의 입력 정보(온도, 압력, 전기장 등)를 센싱하는 모듈 또는 휴대 전화와 같은 독립적인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힘 센서 및 베이스의 배열패턴 및 접촉부의 배열패턴의 결합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의 하나 이상의 힘 센서의 배열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나 이상의 힘 센서(421)는 베이스(430) 및 접촉부(410) 사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개구부에 배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접촉부(410)의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410) 또는 베이스(430)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힘 센서(421)는 접촉부(410)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힘 센서(421)는 연속 또는 불연속 패턴 중 어느 하나의 배열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힘 센서(421)는 접촉부(421) 또는 베이스(43)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배열 패턴을 포함하고, 다양한 배열 패턴에 따라 연속 또는 불연속적인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힘 센서(421)는 접촉부의 상측 및/또는 하측에 서로 대향하는 배열 패턴을 포함하거나, 접촉부의 가장자리 둘레에 연속적인 배열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접촉부(410) 및 베이스(430)는 모양, 재질 또는 크기 등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 16 내지 도 2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의 베이스 및 접촉부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접촉부(410)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힘 센서(421)는 접촉부(410)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힘 센서(421)는 접촉부(410)의 형상에 따라 그 개수 및 배열 패턴을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430)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힘 센서(421)는 베이스(43)와 접촉부(410) 사이에 형성되어 베이스(43) 및 접촉부(410)의 형상에 따라 그 개수 및 배열 패턴을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7 내지 도 5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설명이 용이하도록 베이스(43) 및 접촉부(410)가 다각형 중 사각형의 형상인 경우를 기반으로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에 물리적인 인터렉션(interaction)을 가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에 힘 입력 정보를 인가하기 위하여, 손가락, 펜, 버튼 식 입력수단 등의 포인팅 객체를 통하여 힘을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외형, 힘 센서의 개수 및 배열 패턴에 따라 힘의 작용점, 방향, 강도 및 힘을 가한 시간(duration) 등의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는 하나 이상의 힘 센서로 입력되는 힘의 작용점, 방향, 강도 또는 작용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힘을 측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포인팅 객체(손가락)로부터 인가되는 힘의 방향이 도 28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상측으로 향하는 경우, 상기 인가되는 힘으로 압축되는(compressed) 쪽의 힘 센서의 신호가 우측 그래프와 같이 출력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접촉부(410) 상의 두 개 이상의 지점에 대하여 모멘트(moment)를 발생하는 힘이 도 29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향하는 경우, 모멘트의 방향에 따라 상기 인가되는 힘으로 발생하는 힘 센서의 신호가 좌/우측 그래프와 같이 출력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기설정된 오프셋(offset)이 발생하도록 압력을 통해 신호를 검출할 수도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포인팅 객체(손가락)로부터 인가되는 힘의 방향이 도 31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상측으로 향한 후 다시 하측으로 변경되는 방향인 경우, 상기 인가되는 힘으로 압축되는(compressed) 쪽의 상측 및 하측 방향의 힘 센서의 신호가 각각 우측 그래프와 같이 출력될 수 있다.
도 32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포인팅 객체(손가락)로부터 인가되는 힘의 방향이 도 32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상측으로 향한 후 다시 상측으로 속도 또는 힘의 세기가 변경되는 방향인 경우, 상기 인가되는 힘으로 압축되는(compressed) 쪽의 힘 센서의 신호가 우측 그래프와 같이 출력될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힘 센서의 배열 패턴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일정 시간 이상 입력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즉, 상측 방향으로 일정 시간 이상 2회 입력하고, 우측 방향의 1회 입력과 하측 방향의 1회 입력의 힘 입력 코드의 패턴을 잠금 상태 해제의 암호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4 내지 5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센서를 통해 인가되는 힘의 방향 또는 모멘트 방향을 산출하고, 상기 인가된 값을 직접 이용하거나 상기 산출된 값을 이용해 기설정된 방향을 구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의 방향을 degree 또는 rad와 같은 단위, 상하좌우, 동서남북, 8방위 또는 시간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센서를 통해 인가되는 힘의 강도를 산출하고, 상기 인가된 값을 직접 이용하거나 상기 산출된 값을 이용해 기설정된 강도의 레벨을 표현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의 강도를 voltage, N(Newton), psi 등의 물리적인 단위로 표현하거나, high/low, 강/중/약, 1~5와 같은 레벨로 표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센서를 통해 인가되는 힘이 지속되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인가된 값을 직접 이용하거나 상기 산출된 값을 이용해 기설정된 강도의 레벨로 표현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이 지속되는 시간을 second 등과 같은 시간을 나타내는 물리적인 단위, short/long 또는 1~3 등과 같은 레벨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센서를 통하여 인가되는 힘이 지속되는 시간을 산출하고, 연속된 시퀀스(sequence)의 힘의 입력을 정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방향 혹은 같은 방향에 연속적으로 힘이 가해짐을 인식하여 컨텐츠를 다르게 조작할 수도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은 단계 3410에서 하나 이상의 힘 센서로부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3420 에서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힘 입력 정보가 기설정된 설정 조건에 만족하는지 여부 판별하고, 조건에 만족하는 경우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가 상기 컨텐츠를 조작하도록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힘 입력 정보가 상기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3430 에서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조작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컨텐츠의 가시 영역을 제어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단계 1510 및 1520 에서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힘 입력 정보로부터 힘의 크기에 대한 절대값이 특정 값(Fthre)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단계 3521 에서 힘의 크기에 대한 절대값이 특정 값 이하인 경우, 의도된 입력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컨텐츠 조작을 실행하지 아니한다.
반면, 힘의 크기에 대한 절대값이 특정 값 이상인 경우,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한 컨텐츠의 가시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은 힘의 방향 및 힘의 연속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컨텐츠의 가시 영역을 이동 또는 줌인/줌아웃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의 정보 분석부(120)는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가시 영역의 스크롤 방향을 결정하는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컨텐츠 조작부(130)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가시 영역을 스크롤 할 수 있다.
다시 도 35를 참조하면, 단계 3530, 3540 및 3550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인가된 힘의 방향이 상향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힘의 방향이 상향이고, 연속 입력인 경우 가시 영역을 줌인(zoom-in)하고, 단계 3570, 1580 및 1590 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인가된 힘의 방향이 하향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힘의 방향이 하향이고 연속 입력인 경우 가시 영역을 줌아웃(zoom-out)할 수 있다.
반면, 단계 1560 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인가된 힘이 연속입력이 아닌 경우에는 힘의 방향으로 가시 영역을 이동할 수 있다.
도 36 및 도 37은 도 35의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컨텐츠의 가시 영역을 제어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방향과 보여지는 컨텐츠의 이동 방향을 일치시켜, 연속적으로 컨텐츠의 가시 영역을 스크롤 할 수 있다.
도 3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한 결과, 힘의 방향이 상향이고 단일 입력인 경우 힘(F)의 방향인 위쪽으로 가시 영역을 이동시킬 수 있고,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한 결과, 힘의 방향이 하향이고 단일 입력인 경우 힘(F)의 방향인 아래쪽으로 가시 영역을 이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의 방향을 상향, 하향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2차원 또는 3차원의 모든 힘의 방향을 인지하여 가시 영역을 이동 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방향과 보여지는 컨텐츠의 이동 방향을 반대로 하여, 연속적으로 컨텐츠를 드래그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의 강도를 분석하여 컨텐츠의 이동 속도 또는 변화 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힘을 가하는 방향에 따라 컨텐츠를 줌인/줌아웃(zoom-in/zoom-out)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의 조합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가시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가시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특정 모드를 동작하여 컨텐츠를 확대 또는 축소할 수도 있고, 기설정된 연속된(sequential) 힘 입력 정보의 조합에 의하여 컨텐츠를 확대 또는 축소할 수도 있다.
도 3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한 결과, 힘의 방향이 상향이고 연속 입력인 경우 가시 영역을 줌인하여 표시할 수 있고,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한 결과, 힘의 방향이 하향이고 연속 입력인 경우 가시 영역을 줌아웃하여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가해지는 힘의 크기가 기설정된 최소값(Fmin) 또는 최대값(Fmax)의 범위 내인지 판단하고, 상기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경우 해당하는 상기 힘의 크기에 대응하는 줌 배율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 변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컨텐츠의 가시 영역의 확대율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단계 3810, 3820 및 3840 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줌 모드가 동작하는 경우, 힘의 크기가 기설정된 최소값(Fmin) 또는 최대값(Fmax)의 범위 내인지 판단한다.
단계 3830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의 크기가 기설정된 최소값 이하인 경우, 최소 줌인 변화율로 설정하여 가시 영역을 확대 할 수 있다.
단계 3850 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의 크기가 기설정된 최소값 이상이고, 상기 힘의 크기가 기설정된 최대값 이상인 경우, 최대 줌인 변화율로 설정하여 상기 가시 영역을 확대 할 수 있다.
단계 3860 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의 크기가 기설정된 최소값 이상이고, 힘의 크기가 기설정된 최대값 이하인 경우, 힘의 크기에 따라 줌인 변화율을 설정하여 상기 가시 영역을 확대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의 선택 항목을 결정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의 조합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메뉴, 폴더 또는 파일에 대한 상위 또는 하위 영역을 결정하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메뉴, 폴더 또는 파일에 대한 상위 또는 하위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컨텐츠의 선택 항목을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9를 참조하면, 단계 3910 및 3920 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상기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힘의 크기에 대한 절대값이 특정 값(Fthre)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단계 3921 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의 크기에 대한 절대값이 특정 값 이하인 경우, 의도된 입력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컨텐츠 조작을 실행하지 아니한다.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의 크기에 대한 절대값이 특정 값 이상인 경우, 힘의 방향 및 힘의 연속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컨텐츠의 선택 항목을 결정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메뉴, 폴더 또는 파일에 대한 선택 영역을 결정하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메뉴, 폴더 또는 파일에 대한 선택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3930 및 3950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인가된 힘의 방향이 상향 또는 하향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단계 3940 및 3960 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인가되는 힘 입력 정보가 연속적으로 동일한 정보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40 내지 도 42를 참조하여 도 39의 구체적인 단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0 내지 도 42는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컨텐츠의 선택항목을 결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방향과 보여지는 컨텐츠의 이동 방향을 일치시켜, 컨텐츠의 선택 항목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3942 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한 결과, 힘의 방향이 상향이고 단일 입력인 경우 선택 항목을 동일 레벨의 상위 파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단계 3962 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한 결과, 힘의 방향이 하향이고 단일 입력인 경우 동일 레벨의 하위 파일로 선택 항목을 이동 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컨텐츠가 상하로 배치된 것이 아닌, 도 41과 같이 좌우로 배치로 된 경우 힘의 방향이 좌 또는 우인가를 판단하여 선택 항목을 결할 수도 있다.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3942 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한 결과, 힘의 방향이 상향이고 연속 입력인 경우 상위 레벨로 선택 항목을 이동 시킬 수 있고, 단계 3961 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한 결과, 힘의 방향이 하향이고 연속 입력인 경우 하위 레벨로 선택 항목을 이동 시킬 수 있다(1961).
실시예에 따라서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의 방향을 상향, 하향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2차원 또는 3차원의 모든 힘의 방향을 인지하여 선택 항목을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방향에 따라 동일 레벨간 메뉴, 폴더 또는 파일에 대한 선택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방향과 보여지는 컨텐츠의 이동 방향을 반대로 하여, 연속적으로 컨텐츠를 드래그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의 강도를 분석하여 컨텐츠의 이동 속도 또는 변화 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힘의 강도를 분석하여 메뉴, 폴더 또는 파일에 대한 선택 커서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음원 파일)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멀티미디어에 대한 탐색 방향 또는 구간을 결정하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의 조합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멀티미디어에 대한 이전 파일 또는 다음 파일을 결정하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멀티미디어에 대한 이전 파일 또는 다음 파일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4310 및 4320 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하고, 힘의 크기에 대한 절대값이 특정 값(Fthre)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4321 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의 크기에 대한 절대값이 특정 값 이하인 경우, 의도된 입력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컨텐츠 조작을 실행하지 아니하고, 힘의 크기에 대한 절대값이 특정 값 이상인 경우, 힘의 방향 및 힘의 연속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 4330 및 4350 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인가된 힘의 방향이 우향 또는 좌향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단계 2340 및 2360 에서 인가되는 힘 입력 정보가 연속적으로 동일한 정보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하에서는 도 44 및 도 4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음원 파일)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4 및 도 45 는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음원 파일)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방향과 보여지는 컨텐츠의 이동 방향을 일치시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4342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한 결과, 힘의 방향이 우향이고 단일 입력인 경우 현재 파일을 후진 탐색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단계 4362에서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한 결과, 힘의 방향이 좌향이고 단일 입력인 경우 현재 파일을 전진 탐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4341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한 결과, 힘의 방향이 우향이고 연속 입력인 경우 다음 파일을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 4361 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한 결과, 힘의 방향이 좌향이고 연속 입력인 경우 이전 파일을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의 방향을 우향, 좌향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2차원 또는 3차원의 모든 힘의 방향을 인지하여 선택 항목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을 가하는 방향과 탐색 방향을 일치시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어하거나, 힘의 강도를 분석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탐색 속도, 재생 속도 배율, 볼륨의 양 및 명암의 양 등을 조절 할 수 있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e-book)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의 크기에 대한 절대값이 특정 값 이상인 경우, 힘의 방향 및 힘의 연속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페이지 넘김 방향을 결정하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멀티미디어에 대한 페이지 넘김 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의 조합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최초 페이지 또는 최종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최초 페이지 또는 최종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6을 참조하면, 단계 4610 및 4620 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힘의 크기에 대한 절대값이 특정 값(Fthre)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단계 2621 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의 크기에 대한 절대값이 특정 값 이하인 경우, 의도된 입력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컨텐츠 조작을 실행하지 아니한다.
단계 4630 및 4650 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인가된 힘의 방향이 우향 또는 좌향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단계 4640 및 4660에서 인가되는 힘 입력 정보가 연속적으로 동일한 정보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하에서는 도 47 및 도 48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e-book)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7 및 도 48 은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e-book)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4642 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한 결과, 힘의 방향이 우향이고 단일 입력인 경우 다음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단계 4662 에서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한 결과, 힘의 방향이 좌향이고 단일 입력인 경우 이전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4641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한 결과, 힘의 방향이 우향이고 연속 입력인 경우 최종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단계 4661에서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한 결과, 힘의 방향이 좌향이고 연속 입력인 경우 최초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입력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다른 입력 센서를 통하여 접촉 입력 정보 또는 가속도 정보, 각속도 정보 또는 지자기 정보 등의 다양한 다른 입력 정보와 힘 입력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접촉 위치 정보를 이용해 컨텐츠 상의 대상을 선택하고,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된 컨텐츠 조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의 상태와 관련된 값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9는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특정 대상을 선택하여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 및 상기 접촉 입력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접촉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대상을 결정하고, 상기 힘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결정된 대상을 조작할 수 있다.
도 49를 참조하면, 단계 4910 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하고, 단계 4920 에서 힘의 크기에 대한 절대값이 특정 값(Fthre)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4921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의 크기에 대한 절대값이 특정 값 이하인 경우, 의도된 입력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컨텐츠 조작을 실행하지 아니한다.
단계 4930 및 4940 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수신된 접촉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접촉 좌표를 판단하고, 접촉 좌표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대상을 선택할 수 있고, 단계 4950 및 4970 에서 인가된 힘의 방향이 우향 또는 좌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하에서는 도 50을 참조하여,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특정 대상을 선택하여 제어하는 구체적인 프로세스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0은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특정 대상을 선택하여 제어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4960 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한 결과 힘의 방향이 우향인 경우 선택된 대상을 우향에 대응하는 컨텐츠 조작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단계 4980 에서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한 결과, 힘의 방향이 좌향인 경우 선택된 대상을 좌향에 대응하는 컨텐츠 조작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1은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특정 항목을 선택하여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1을 참조하면, 단계 5110 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하고, 단계 5120에서 힘의 크기에 대한 절대값이 특정 값(Fthre)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단계 5131에서 힘의 크기에 대한 절대값이 특정 값 이하인 경우, 의도된 입력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컨텐츠 조작을 실행하지 아니한다.,
단계 5130 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수신된 접촉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접촉 좌표를 판단하고, 단계 5140 에서 접촉 좌표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 가속도 정보, 각속도 정보 또는 지자기 정보를 조합하여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가속도 정보, 각속도 정보 또는 지자기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대상을 이동시키고, 힘 입력 정보에 따라 대상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2 및 도 53을 참조하여,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특정 항목을 선택하여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2 및 도 53은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특정 항목을 선택하여 제어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5150 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인가된 힘 입력 정보가 연속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단계 5151 에서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한 결과, 힘 입력 정보가 연속 입력이 아닌 경우 선택된 대상을 이동 시키거나 회전시키며,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접촉 입력 정보를 통해 컨텐츠의 배경이 선택됨을 판단하고, 힘 입력 정보를 통하여 컨텐츠의 글로벌 뷰(global view)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접촉 입력 정보를 통하여 컨텐츠의 상자가 선택됨을 판단하고, 힘 입력 정보를 통하여 상자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단계 5152 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한 결과, 힘 입력 정보가 연속 입력인 경우 선택된 대상을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도 54는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컨텐츠를 조합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4를 참조하면, 단계 5410 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상기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하고, 단계 5420 에서 힘의 크기에 대한 절대값이 특정 값(Fthre)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단계 5421 에서 힘의 크기에 대한 절대값이 특정 값 이하인 경우, 의도된 입력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컨텐츠 조작을 실행하지 아니한다.
단계 5430 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수신된 다른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본체의 움직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단계 5421에서 본체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컨텐츠 조작을 실행하지 아니한다.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 가속도 정보, 각속도 정보 또는 지자기 정보를 조합하여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가속도 정보, 각속도 정보 또는 지자기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대상을 이동시키고, 힘 입력 정보에 따라 대상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5을 참조하여,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컨텐츠를 조합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5는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컨텐츠를 조합 제어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5440 및 5450 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힘의 방향이 상향인지 하향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단계 5441 에서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한 결과, 본체의 움직임이 있고 힘의 방향이 상향인 경우 대상의 속성값(크기)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대상을 움직임에 따라 기울이고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단계 5451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한 결과, 본체의 움직임이 있고 힘의 방향이 하향인 경우 대상의 속성값(크기)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대상을 움직임에 따라 기울이고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3451).
실시예에 따라서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한 결과, 본체가 좌향으로 기울어지고 힘의 방향이 하향인 경우 대상을 좌측으로 기울이고 크기를 축소할 수 있고,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한 결과, 본체가 좌향으로 기울어지고 힘의 방향이 상향인 경우 대상을 좌측으로 기울이고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도 56 및 도 57는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가 구현된 디바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5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의 형태로 활용가능하고, 포인팅 객체로부터 힘 입력 정보의 수신을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부가될 수 있다.
도 5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원격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제어도 가능하다. 즉,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에서 포인팅 객체로부터 수신되는 힘 입력 정보에 기반한 컨텐츠의 제어가 원격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포인팅 객체는 손가락, 터치 입력 펜, 또는 방향 입력을 위한 하나 이상의 키(key)를 포함하는 입력 버튼(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의 홈버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컨텐츠에 대한 위치 또는 조작 명령에 대응하는 힘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모든 구성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의 접촉부(410)는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의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에 삽입되거나, 모바일 장치의 홈버튼 하부에 삽입되거나, 일체형 또는 분할형 쿼티자판의 하부에 삽입될 수 있다.
도 58 및 도 59는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에 의해 분리되어 원격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컨텐츠를 조작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8 및 도 59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와는 구분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컨텐츠를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조작할 수 있다. 이로부터 인터페이스 제어 신호 입력 상의 공간적인 제약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연속적인 입력 정보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입력 정보를 위한 움직임 로드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력 정보에 대한 타인으로의 노출이 없어 보안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0 내지 6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가 구현된 디바이스의 활용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0은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가 힘 입력 키(key) 또는 버튼(button) 방식으로 구현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입력이 가능한 키(key) 또는 버튼(button)으로 구현 가능하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리모콘에서 사용되는 설정된 시작 페이지 또는 화면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홈 버튼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입력 키 또는 힘 입력 버튼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일정 시간 이상의 힘 입력 정보를 포인팅 객체(예를 들어, 손가락)로부터 수신하여 힘 입력 정보에 기반한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 힘 입력 키 또는 힘 입력 버튼으로 구현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포인팅 객체로부터 특정 방향으로 일정 시간 이상 수신되는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화면 잠금 상태' 를 해제하는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 조작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기의 '화면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0 에서는 상측 방향의 입력되는 힘 입력 정보를 가정하였지만, '화면 잠금 상태'의 해제를 위하여 특정 방향의 방향패턴을 포함하는 패스코드(passcode) 방식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단말기 상의 화면에서 티치 입력 기반으로 일정 길이 이상의 드래그 이벤트 방식을 대체할 수 있다.
도 61 및 도 62는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메뉴 위젯의 조작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입력이 가능한 힘 입력 키 또는 버튼으로 구현 가능하고, 포인팅 객체로터 힘 입력 키 또는 힘 입력 버튼에 수신되는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영역에 활성화된 메뉴 위젯(menu widjet)에 대한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 조작 정보를 기반으로 메뉴 위젯을 조작할 수 있다.
도 6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영역에 활성화된 메뉴 위젯에 대하여 힘 입력 키 또는 힘 입력 버튼에 입력 되는 힘 입력 정보에 따라 선택되는 메뉴가 이동할 수 있고, 선택된 메뉴가 실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포인팅 객체(예를 들어, 손가락)로부터의 메뉴 위치에 따라 2차원적인 수평방향의 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고, 수직방향으로의 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메뉴 위젯을 조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도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팅 장치의 힘 입력 키 또는 힘 입력 버튼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리모트 컨트롤러와 같은 포인팅 장치에 적용되어 볼륨(volume) 변경, 채널 변경, VOD 선택의 컨텐츠 조작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포인팅 장치는 메뉴 위젯를 조작하기 위한 컨텐츠 조작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수단(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힘 입력 정보로부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로부터 컨텐츠 조작 정보를 통신 수산을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컨텐츠 조작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조작할 수 있는 컨텐츠 제어부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도 63 및 도 64는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메뉴 위젯의 조작에 따른 피드백 구현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전술한 메뉴 위젯의 조작에 따라 시각적인 피드백의 구현이 가능하다. 즉, 힘 입력을 기반으로 메뉴 위젯에 대하여 이동 또는 진동하는 운동량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시각적 피드백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메뉴 위젯이 특정 방향으로의 힘 입력에 대응하여 탄성 및 복원을 반복하는 시각적 피드백을 구현할 수 있고,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위치에 고정된 메뉴 위젯이 특정 방향으로의 힘 입력에 대응하여 끌려가다 상기 힘 입력이 종료되는 시점에 다시 고정된 위치로 복원되는 시각적 피드백의 구현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가한 힘의 반력에 의한 시각적 피드백 또는 촉감 피드백(tactile feedback)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스스로 입력에 대한 성공 여부를 즉시 가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 의도를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고, 입력의 시작 및 종료를 쉽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정보 수신부
120: 정보 분석부
130: 컨텐츠 조작부

Claims (27)

  1. 하나 이상의 힘 센서로부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분석부; 및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조작하는 컨텐츠 조작부
    를 포함하는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가 상기 컨텐츠를 조작하도록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힘 입력 정보가 상기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는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가시 영역의 스크롤 방향을 결정하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 조작부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가시 영역을 스크롤하는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의 조합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가시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 조작부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가시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에 포함된 힘의 강도에 따라 확대 비율 또는 축소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비율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가시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는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메뉴, 폴더 또는 파일에 대한 선택 영역을 결정하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 조작부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메뉴, 폴더 또는 파일에 대한 선택 영역을 결정하는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의 조합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메뉴, 폴더 또는 파일에 대한 상위 또는 하위 영역을 결정하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 조작부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메뉴, 폴더 또는 파일에 대한 상위 또는 하위 영역을 결정하는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멀티미디어에 대한 탐색 방향 또는 구간을 결정하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 조작부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멀티미디어에 대한 탐색 방향 또는 구간을 결정하는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의 조합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멀티미디어에 대한 이전 파일 또는 다음 파일을 결정하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 조작부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멀티미디어에 대한 이전 파일 또는 다음 파일을 결정하는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페이지 넘김 방향을 결정하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 조작부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멀티미디어에 대한 페이지 넘김 방향을 결정하는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의 조합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최초 페이지 또는 최종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 조작부는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최초 페이지 또는 최종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부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입력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는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입력 정보는,
    접촉 입력 정보 또는 가속도 정보, 각속도 정보 및 지자기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 및 상기 접촉 입력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 조작부는 상기 접촉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대상을 결정하고, 상기 힘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결정된 대상을 조작하는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 가속도 정보, 각속도 정보 및 지자기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 조작부는 상기 가속도 정보, 각속도 정보 또는 지자기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대상을 이동시키고, 상기 힘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센서로 입력되는 힘의 작용점, 방향, 강도 및 작용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17. 힘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유연성을 갖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의 일면에 적층되고, 상기 접촉부를 수용하는 베이스;
    상기 접촉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로부터 수신된 힘 입력 정보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힘 센서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된 센서부; 및
    상기 측정된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컨텐츠 조작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조작하는 컨텐츠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 및 상기 힘 센서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로부터의 상기 힘 입력 정보를 상기 힘 센서로 전달하는 완충부
    를 더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의 일면에 적층되고, 상기 컨텐츠 제어부의 상기 컨텐츠 조작 시의 피드백을 생성하는 피드백 구현부를 구비하는 피드백층
    을 더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센서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접촉부 사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접촉부의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되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 또는 상기 베이스는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센서는 상기 접촉부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힘 센서는 연속 및 불연속 패턴 중 어느 하나의 배열패턴에 따라 배치되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23. 힘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유연성을 갖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의 일면에 적층되고, 상기 접촉부로부터 수신된 힘 입력 정보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힘 센서가 베이스 상에 구비된 센서부; 및
    상기 측정된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컨텐츠 조작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조작하는 컨텐츠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일면에 적층되어 상기 접촉부로부터의 상기 힘 입력 정보를 상기 힘 센서로 전달하는 완충부
    를 더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25. 하나 이상의 힘 센서로부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조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입력 정보가 상기 컨텐츠를 조작하도록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힘 입력 정보가 상기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컨텐츠 조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27. 제25항 또는 제2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20101427A 2011-09-19 2012-09-13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994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154 2011-09-19
KR20110094154 2011-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727A true KR20130030727A (ko) 2013-03-27
KR101994806B1 KR101994806B1 (ko) 2019-07-02

Family

ID=47880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427A KR101994806B1 (ko) 2011-09-19 2012-09-13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01098B2 (ko)
KR (1) KR10199480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3079A (ko) * 2014-11-26 2015-06-30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WO2019009455A1 (ko) * 2017-07-07 2019-01-10 ㈜리얼감 포스 피드백 장치 및 방법
US10503276B2 (en) 2013-12-19 2019-12-10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US10514775B2 (en) 2013-12-19 2019-12-24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059949A1 (ko) * 2018-09-20 2020-03-26 (주)리얼감 포스 피드백 방법 및 시스템
US11054929B2 (en) 2013-12-19 2021-07-06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32886A (ja) * 2018-10-24 2019-02-2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装置用プログラム
JP6725775B1 (ja) * 2020-02-13 2020-07-22 Dmg森精機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6998A (ko) * 2008-03-10 2009-09-15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의 풀브라우징 표시방법및 그 기록매체
KR20090096895A (ko) * 2008-03-10 2009-09-15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촉감 피드백장치를 이용한 촉감전달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9236A (en) 1992-06-08 1999-03-30 Synaptics Incorporated Pressure sensitive scrollbar feature
JP2005508533A (ja) 2001-04-13 2005-03-3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力センサおよびそ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
WO2006041097A1 (ja) 2004-10-12 2006-04-20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3次元ポインティング方法、3次元表示制御方法、3次元ポインティング装置、3次元表示制御装置、3次元ポインティングプログラム、及び3次元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8324492B2 (en) * 2006-04-21 2012-12-04 Vergence Entertainment Llc Musically interacting devices
US20080259046A1 (en) * 2007-04-05 2008-10-23 Joseph Carsanaro Pressure sensitive touch pad with virtual programmable buttons for launching utility applications
CN101641665B (zh) * 2007-04-12 2013-02-06 诺基亚公司 键区
US20090046110A1 (en) 2007-08-16 2009-02-1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ipulating a displayed image
KR20090037652A (ko) 2007-10-12 2009-04-16 오의진 데이터입력장치
KR100936046B1 (ko) 2007-09-14 2010-01-0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촉각 센서를 이용한 마우스 기능을 갖는 터치패드 구현방법
US20090256807A1 (en) * 2008-04-14 2009-10-15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
KR101474452B1 (ko) 2008-08-04 2014-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터치입력 제어방법
KR20100018883A (ko) 2008-08-07 2010-02-18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JP5332519B2 (ja) 2008-11-05 2013-11-06 日本電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操作検出方法および電子機器
US9116569B2 (en) * 2008-11-26 2015-08-25 Blackberry Limited Touch-sensitiv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KR20100066036A (ko) 2008-12-09 201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00071754A (ko) * 2008-12-19 2010-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와 키조작에 의한 멀티 입력 방식을 이용한 촬영방법 및 이를 적용한 촬영장치
KR100996664B1 (ko) * 2009-01-13 2010-11-25 주식회사 휘닉스아이씨피 고정형 마우스
KR101545589B1 (ko) 2009-02-06 201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US20100271312A1 (en) * 2009-04-22 2010-10-28 Rachid Alameh Menu Configu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 on an Electronic Device
TWI402737B (zh) 2009-05-04 2013-07-21 Mitac Int Corp Multi - touch device and its method
KR101540453B1 (ko) 2009-05-25 2015-07-30 (주)멜파스 압력 기반의 입력 장치 및 입력 감지 방법
US20100321319A1 (en) 2009-06-17 2010-12-23 Hefti Thierry Method for displaying and updating a view of a graphical scene in response to commands via a touch-sensitive device
US8497884B2 (en) 2009-07-20 2013-07-30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ipulating graphic user interface elements
KR101589501B1 (ko) 2009-08-24 2016-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 및 장치
US9262063B2 (en) * 2009-09-02 2016-02-16 Amazon Technologies, Inc. Touch-screen user interface
US20110057886A1 (en) * 2009-09-10 2011-03-10 Oliver Ng Dynamic sizing of identifier on a touch-sensitive display
JP2011065512A (ja) 2009-09-18 2011-03-31 Fujitsu Ltd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操作認識システム、および操作認識プログラム、
JP2011100385A (ja) 2009-11-09 2011-05-19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1107738A (ja) 2009-11-12 2011-06-02 Univ Of Electro-Communications ポインティング装置、入力処理装置、入力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10316859A1 (en) * 2010-06-25 2011-12-29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US9112058B2 (en) * 2010-09-10 2015-08-18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s
US9262002B2 (en) * 2010-11-03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Force sensing touch screen
US20120180001A1 (en) * 2011-01-06 2012-07-12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6998A (ko) * 2008-03-10 2009-09-15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의 풀브라우징 표시방법및 그 기록매체
KR20090096895A (ko) * 2008-03-10 2009-09-15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촉감 피드백장치를 이용한 촉감전달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03276B2 (en) 2013-12-19 2019-12-10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US10514775B2 (en) 2013-12-19 2019-12-24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US11054929B2 (en) 2013-12-19 2021-07-06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73079A (ko) * 2014-11-26 2015-06-30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WO2019009455A1 (ko) * 2017-07-07 2019-01-10 ㈜리얼감 포스 피드백 장치 및 방법
WO2020059949A1 (ko) * 2018-09-20 2020-03-26 (주)리얼감 포스 피드백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01098B2 (en) 2016-11-22
KR101994806B1 (ko) 2019-07-02
US20130069861A1 (en) 201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9350B2 (en) Interfac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orce
KR101994806B1 (ko)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JP6328921B2 (ja) 入力方法、入力方法を適用する端末装置、及びこれ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を格納する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Harrison et al. Using shear as a supplemental two-dimensional input channel for rich touchscreen interaction
US8049737B2 (en) Dual pointing device and method based on 3-D motion and touch sensors
US8370772B2 (en) Touchpad controlling method and touch device using such method
EP2508972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20070152959A1 (en) Pressure-sensitive button
US9086741B2 (en) User input device
US201300574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wireless control device
US200902788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multiple degrees of freedom of a display
KR20130142824A (ko)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28091A (ko) 자기 특성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조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US20140055386A1 (en) Touch and non touch based interaction of a user with a device
KR20160003031A (ko) 햅틱 셀들의 어레이를 이용한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들 및 제스처들의 시뮬레이션
AU2014208041A2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effect to input unit
KR102139110B1 (ko)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
KR20140035870A (ko) 스마트 에어 마우스
US20140055385A1 (en) Scaling of gesture based input
JP2019135665A (ja) 要素選択装置、要素選択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39985B1 (ko)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009136A1 (en) Operation input device and input operation processing method
KR101436585B1 (ko) 원 포인트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1745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36588B1 (ko) 멀티 포인트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