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501B1 -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501B1
KR101589501B1 KR1020090078178A KR20090078178A KR101589501B1 KR 101589501 B1 KR101589501 B1 KR 101589501B1 KR 1020090078178 A KR1020090078178 A KR 1020090078178A KR 20090078178 A KR20090078178 A KR 20090078178A KR 101589501 B1 KR101589501 B1 KR 101589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touch
zoom
photographing apparatus
touch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0522A (ko
Inventor
김창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8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501B1/ko
Priority to CN201010262680.6A priority patent/CN101996044B/zh
Priority to US12/861,938 priority patent/US8659681B2/en
Publication of KR20110020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디지털 촬영 장치의 줌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은, 터치 스크린에 주밍 제스처의 입력만으로 촬영 화각을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생 줌 동작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얼굴, 줌, 터치 스크린

Description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zoom using touch screen}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줌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시되는 대부분의 디지털 카메라는 10배, 20배 또는 그 이상의 광학 줌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광학 줌 기능이란 자체적인 비율 내에서는 어떤 거리에서도 초점을 맞출 수 있는 가변 초점 거리를 가지는 것을 의미하며, 표준에서 망원으로, 광각에서 표준으로의 화각의 변화를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줌 렌즈는 단 초점 렌즈에 비해 다양한 화각과 원근감이 있고 화질의 저하없이 멀리 있는 사물을 크게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기능이다.
한편, 디지털 줌은 광학 줌과는 달리 렌즈와는 별개로 영상 처리를 통해 이미지를 확대하는 기능이다. 디지털 줌은 카메라의 재생 모드시 촬영한 사진의 일 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기능, 즉 재생 줌 기능이 가능하기 때문에 촬영한 이미지를 그 자리에서 바로 자세하게 모니터하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얼굴검출 기술을 활용하여 촬영 화각을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생 줌 동작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줌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은 디지털 촬영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주밍 제스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주밍 제스처에 상응하는 터치 영역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한 터치 영역의 면적에 따라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줌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줌 제어 방법은 입력 영상에 존재하는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얼굴 영역을 검출한 경우,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과 상기 계산한 터치 영역의 면적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줌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계산한 터치 영역의 면적이 상기 검출 한 얼굴 영역의 면적보다 큰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광학 줌 렌즈를 구동시키는 줌 모터가 망원단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계산한 터치 영역의 면적이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의 면적보다 작은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광학 줌 렌즈를 구동시키는 줌 모터가 광각단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계산한 터치 영역의 면적이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의 면적보다 큰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확대시키는 디지털 줌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계산한 터치 영역의 면적이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의 면적보다 작은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축소시키는 디지털 줌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얼굴 영역을 검출하지 못한 경우, 상기 입력 영상과 상기 계산한 터치 영역의 비율에 따라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줌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비율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광학 줌 렌즈를 구동시키는 줌 모터가 망원단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율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광학 줌 렌즈를 구동시키는 줌 모터가 광각단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비율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확대시키는 디지털 줌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비율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축소시키는 디지털 줌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 영상은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줌 동작은,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광학 줌 또는 디지털 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밍 제스처는,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하는 특정 모양의 도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장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주밍 제스처에 상응하는 터치 영역을 계산하는 터치 영역 계산부; 및 상기 계산한 터치 영역의 면적에 따라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줌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줌 제어 장치는 입력 영상에 존재하는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얼굴 영역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굴 영역을 검출한 경우,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과 상기 계산한 터치 영역의 면적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줌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산한 터치 영역의 면적이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의 면적보다 큰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광학 줌 렌즈를 구동시키는 줌 모터가 망원단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계산한 터치 영역의 면적이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의 면적보다 작은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광학 줌 렌즈를 구동시키는 줌 모터가 광각단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줌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력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영상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산한 터치 영역의 면적이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의 면적보다 큰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확대시키고, 상기 계산한 터치 영역의 면적이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의 면적보다 작은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축소시키도록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굴 영역을 검출하지 못한 경우, 상기 입력 영상과 상기 계산한 터치 영역의 비율에 따라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줌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율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광학 줌 렌즈를 구동시키는 줌 모터가 망원단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율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광학 줌 렌즈를 구동시키는 줌 모터가 광각단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율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확대시키고, 상기 비율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축소시키도록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줌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터치 스크린에 주밍 제스처의 입력만으로 촬영 화각을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생 줌 동작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a 및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줌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디스플레이되는 화각의 변경을 위하여 기구적인 스위치, 예를 들면 광각 줌 버튼 또는 망원 줌 버튼과 같은 버튼, 또는 레버 타입을 통해 줌 명령을 입력하면, 디지털 카메라의 프로세서에서 광각 입력 또는 망원 입력인지를 판별하고, 이 스위치가 눌러진 동안 또는 레버가 이동한 구간만큼 줌 구동용 모터에 전압을 인가하여 렌즈의 화각 또는 배율을 변경시킨다. 단, 스위치가 계속 입력 상태이더라도 광각 또는 망원 한계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자동으로 줌 모터 구동을 정지한다.
도 1a에서, 사용자가 촬영하려는 구도를 잡고, 프리뷰 화면상에서 피사체를 좀 더 확대해서 촬영하고자 할 때, 디지털 촬영 장치에 구비된 광각 줌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광각단 쪽으로 레버를 당기면 줌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피사체들을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다. 하지만, 촬영 구도를 잡으면서 줌 인 또는 줌 아웃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줌 스위치 또는 줌 레버 등을 작동시켜야만 하는 것을 사용자를 번거롭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또한, 도 1과 함께 설명할 도 2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광학부(10), 광학 구동부(11), 촬상소자(15), 촬상소자 제어부(16), 조작부(20), 프로그램 저장부(30), 버퍼 저장부(40), 데이터 저장부(50), 표시 제어부(60), 데이터 구동부(61), 주사 구동부(63), 표시부(65)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70)를 포함한다.
광학부(10)는 피사체로부터의 광학 신호가 입력되어 촬상 소자(13)로 제공한다. 광학부(10)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학부(10)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줌 렌즈는 플러스와 마이너스 굴절력을 가진 복수의 렌즈 군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체 측으로부터 차례로 플러스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 렌즈군, 마이너스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 렌즈군, 플러스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 렌즈군 및 플러스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 렌즈 군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구동부(15)의 구동 제어에 따라 각각의 렌즈 군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화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광학 구동부(15)의 제어에 따라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또는 망원단에서 광각단으로 이동 가능하다.
광학 구동부(11)는 렌즈의 위치, 조리개의 개폐 등을 조절한다. 렌즈의 위치를 이동시켜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또한, 조리개의 개폐를 조절하여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광학 구동부(11)가 광학부(10)를 제어할 수 있다.
광학부(10)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소자(15)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촬상 소자(15)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소자(15)는 촬상소자 제어부(16)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소자 제어부(16)도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소자(15)를 제어할 수 있다.
조작부(20)는 사용자 등의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조작부(2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5)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릴리즈 버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이 있다.
또한,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이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30), 연산 수행 중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결과 데이터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버퍼 저장부(40),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비롯하여 프로그램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50)를 포함한다.
아울러,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서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60), 표시 제어부(60)로부터 입력되어 표시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부(61)와 주사 구동 부(63), 데이터 구동부(61)와 주사 구동부(6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소정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65)를 포함한다. 표시부(65)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EP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터치 패널 일체형으로 구현된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은 광센서 방식,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또는 하이브리드 방식을 통해 터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센서 방식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소 내에 광센서를 배치하고, 광에 의해 화면에서 정보의 입력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 종류의 표시 장치에서는, 광센서로서 예를 들면 포토 다이오드가 이용되고, 각 화소의 포토 다이오드에 커패시터가 접속된다. 그리고 포토 다이오드에서의 수광량의 변화에 따라서 커패시터의 전하량을 변화시켜, 커패시터의 양단의 전압을 검출함으로써, 촬상 화상의 데이터를 생성한다.
광센서를 패널에 집적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상에 투영된 손가락 이미지를 검출하여 정보 입력을 행하는 것이다. 또는 라이트 펜 등의 발광 물체로부터 조사된 광을 검출함으로써 정보 입력을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광을 이용하거나 또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에서 발광하는 내광, 예를 들면 포토 다이오드의 발광을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를 포함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70)에 관하여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는 영상 신호 처리부(72), 얼굴 영역 검출부(73), 터치 영역 계산부(74)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줌 제어 장치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어부(71)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7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71)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주밍 제스처를 감지한다. 여기서, 주밍 제스처는 사용자가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하는 특정 모양의 도형이다. 제어부(71)는 터치 여부 판단 및 계산 모듈(미도시)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고, 터치 위치 또는 좌표를 계산한다. 따라서, 특정 주밍 제스처, 예를 들면 원 모양이 터치된 경우, 제어부(71)는 터치 위치를 계산하여 주밍 제스처가 입력되었는지를 감지한다.
영상 신호 처리부(72)는 제어부(71)의 제어에 따라 입력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한다. 영상 신호 처리부(72)는 제어부(71)의 제어 명령, 예를 들면 재생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스케일러를 이용하여 크기를 조절한다.
일반적으로, 영상 신호 처리부(72)는 촬상 소자(15)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사람의 시각에 맞게 영상 신호를 변환하도록 감마 컬렉션(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부(72)는 그 기능이 설정된 경우 오토화이트밸런스(Auto White Balance)나 오토익스포저(Auto Exposure)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소정 형식의 이미지 파일, 예를 들면 JPEG 파일을 생성하거나 이미지 파일의 압축을 해제한다. 영상 신호 처리부(72)는 사진 촬영 전 라이브-뷰 모드에서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셔터-릴리즈 신호에 의해 입력된 영상 신호에 대해 상기와 같은 영상 신호 처리들을 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 신호들 각각에 대해 다른 영상 신호 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
얼굴 영역 검출부(73)는 입력 영상에서 얼굴 영역을 검출한다. 여기서, 입력 영상은 재생 영상, 프리뷰 영상을 포함한다. 얼굴 영역 검출은 입력된 영상에서 어느 위치에 얼굴이 있는지를 검출한다. 얼굴 영역 검출부(73)는 미리 기억된 얼굴의 특징 데이터와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입력된 영상 중에 얼굴의 특징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얼굴 데이터가 있다고 판단되면 어느 위치에 그 얼굴의 화상 데이터가 있는지를 인식한다. 얼굴 영역 검출과 관련하여 많은 종래기술들이 존재하며, 아다부스팅(Adaboosting) 알고리즘, 피부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얼굴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터치 영역 계산부(74)는 입력된 주밍 제스처에 상응하는 터치 영역을 계산한다. 터치 영역은 터치한 좌표에 해당하는 픽셀 수를 계산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제어부(71)는 터치 영역 계산부(74)가 계산한 터치 영역의 면적에 따라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줌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줌 동작은 광학 줌과 디지털 줌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촬영하기 전에 입력된 영상, 즉, 프리뷰 영상을 보고, 터치 스크린에 줌 인 또는 줌 아웃을 포함하는 주밍 제스처를 입력함으로써 줌 촬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촬영한 이미지를 재생하는 동안에도 터치 스크린에 주밍 제스처를 입력함으로써 촬영한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볼 수 있다.
제어부(71)는 얼굴 영역 검출부(73)가 입력 영상에서 얼굴 영역을 검출한 경우에는 검출한 얼굴 영역과 터치 영역 계산부(74)가 계산한 터치 영역의 면적을 비교한다. 그리고 비교 결과를 가지고,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줌 동작을 제어하는데, 계산한 터치 영역의 면적이 검출한 얼굴 영역의 면적보다 큰 경우에는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광학 줌 렌즈를 구동시키는 줌 모터가 망원단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그 반대의 경우, 즉 계산한 터치 영역의 면적이 검출한 얼굴 영역의 면적보다 작은 경우에는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광학 줌 렌즈를 구동시키는 줌 모터가 광각단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71)는 전술한 광학 줌 뿐만 아니라, 영상 신호 처리부(72)를 제어함으로써 디지털 줌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c를 참조하면, 도 4a에서, 2명의 인물을 포함하는 입력 영상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입력 영상은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일 수 있다. 도 4a에서, 입력 영상에서 얼굴 영역을 검출한다. 도 4b에서, 사용자가 주밍 제스처(원 모양)를 입력한다. 도 4c에서, 주밍 제스처에 상응하는 터치 영역의 면적, 즉 원 모양에 포함된 픽셀 수와 도 4a에서 검출된 얼굴 영역의 면적, 즉 얼굴 영역의 픽셀 수를 비교한다. 여기서, 터치 영역의 픽셀 수가 얼굴 영역의 픽셀 수보다 많기 때문에, 터치 영역의 픽셀 수만큼 줌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광학 줌 동작인 경우에는 광학부(10), 예를 들면 줌 렌즈를 텔레단으로 구동시키도록 광학 구동부(11), 예를 들면 줌 모터를 제어한다. 반대로, 터치 영역의 픽셀 수가 얼굴 영역의 픽셀 수보다 적은 때에는 줌 렌즈를 광각단으로 구동시키도록 줌 모터를 제어한다. 또한, 디지털 줌 동작인 경우에는 영상 신호 처리부(72)가 입력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71)는 얼굴 영역 검출부(73)가 입력 영상에서 얼굴 영역을 검출하지 못한 경우애는 입력 영상과 터치 영역 계산부(74)가 계산한 터치 영역의 비율에 따라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줌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입력 영상 전체 픽셀 수와 터치 영역의 픽셀 수의 비율이 임계값, 즉 일정 비율보다 크면 줌 렌즈를 텔레단으로 이동시키도록 줌 모터를 제어하고, 일정 비율보다 작으면 줌 렌즈를 광각단으로 이동시키도록 줌 모터를 제어한다. 디지털 줌 동작인 경우에도 전술한 제어 방법과 동일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00에서, 터치 스크린을 통해 주밍 제스처를 입력한다. 여기서, 주밍 제스처는 사용자가 줌 인 또는 줌 아웃 동작을 위해 입력하는 터치 스크린상에서의 입력 동작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줌 인을 하고자 할 때는, 검출된 얼굴 영역보다 큰 주밍 제스처를 입력하고, 줌 아웃을 하고자 할 때는, 검출된 얼굴 영역보다 작은 주밍 제스처를 입력한다. 또한, 검출된 얼굴 영역이 없는 경우에는 입력 영상과 터치 영역의 비율에 따라 줌 인 또는 줌 아웃 동작을 입력할 수 있다.
단계 502에서, 주밍 제스처에 따른 터치 영역을 계산한다. 예를 들면 원 영역에 포함된 픽셀 수를 계산함으로써 터치 영역의 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단계 504에서, 영상 내에서 얼굴을 검출한다. 여기서, 얼굴은 터치 영역 내에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다.
단계 506에서, 단계 504에서, 얼굴 영역을 검출한 경우, 터치 영역과 얼굴 영역의 면적을 비교하고, 단계 508에서, 비교 결과에 따라 줌 동작을 제어한다.
단계 510에서, 단계 504에서, 얼굴 영역을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는, 전체 영상에서의 터치 영역의 면적 비율을 계산하고, 단계 512에서, 면적 비율에 따라 줌 동작을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506에서, 터치 영역과 얼굴 영역의 면적을 비교한다. 단계 600에서, 터치 영역의 면적과 얼굴 영역의 면적을 비교하고, 터치 영역의 면적이 얼굴 영역의 면적보다 큰 경우에는 단계 602로 진행하여, 망원단으로 터치 영역만큼 줌 렌즈 구동량을 제어한다. 여기서, 면적의 비교는 해당 영역에 포함된 픽셀 수를 계산하여 비교한다. 그리고 단계 606에서, 터치 영역이 얼굴 영역보다 큰 경우에는 사용자가 줌 인 동작을 원하는 것으로 해석하여, 줌 렌즈를 망원단으로 이동하도록 줌 모터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줌 인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프리뷰 영상을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다.
단계 600에서, 터치 영역의 면적이 얼굴 영역의 면적보다 작은 경우에는 단계 604로 진행하여, 광각단으로 터치 영역만큼 줌 렌즈 구동량을 제어한다. 그리고 단계 606에서, 터치 영역이 얼굴 영역보다 작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줌 아웃 동작을 원하는 것으로 해석하여, 줌 렌즈를 광각단으로 이동시키도록 줌 모터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줌 아웃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프리뷰 영상을 대하여 화각을 넓게 하여 촬영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에 입력한 주밍 제스처를 검출한 얼굴 영역보다 크게 또는 작게 입력함으로써, 광학 줌 동작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과 비교하면, 입력 영상에서 얼굴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이다. 단계 512에서, 면적 비율에 따라 줌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면적 비율은 입력 영상과 터치 영역의 면적 비율을 의미한다.
단계 702에서, 면적 비율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사용자가 줌 인 동작을 원하는 것으로 해석하여, 줌 렌즈를 망원단으로 이동하도록 줌 모터를 구동시킨다. 예를 들면 입력 영상에 포함된 픽셀수가 100이고, 터치 영역에 포함된 픽셀 수가 15라면, 비율은 0.15이다. 여기서, 임계값이 0.1로 설정되어 있다면,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의사를 줌 렌즈를 망원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터치 영역에 포함된 픽셀수가 5라면, 비율은 0.05이고,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의사를 줌 렌즈를 광각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값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값이다. 따라서, 줌 인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프리뷰 영상을 화각을 좁게 하여 촬영할 수 있다.
단계 700에서, 면적 비율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단계 704로 진행하여, 광각단으로 터치 영역만큼 줌 렌즈 구동량을 제어한다. 그리고 단계 706에서, 터치 영역이 얼굴 영역보다 작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줌 아웃 동작을 원하는 것으로 해석하여, 줌 렌즈를 광각단으로 이동시키도록 줌 모터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줌 아웃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프리뷰 영상을 대하여 화각을 넓게 하여 촬영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에 입력한 주밍 제스처를 크게 또는 작게 입력함으로써, 광학 줌 동작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506에서, 터치 영역과 얼굴 영역의 면적을 비교한다. 단계 800에서, 터치 영역의 면적과 얼굴 영역의 면적을 비교하고, 터치 영역의 면적이 얼굴 영역의 면적보다 큰 경우에는 단계 802로 진행하여, 터치 영역만큼 영상을 확대한다. 여기서, 영상 확대는 디지털 줌 동작을 의미하여, 터치 영역이 얼굴 영역보다 큰 경우에는 사용자가 영상 확대를 원하는 것으로 해석하여, 영상 처리를 통해 입력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을 확대한다.
단계 800에서, 터치 영역의 면적이 얼굴 영역의 면적보다 작은 경우에는 단계 804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영상 축소를 원하는 것으로 해석하여, 영상 처리를 통해 입력 영상을 확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에 입력한 주밍 제스처를 통해 현재 재생중인 영상을 편리하게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8과의 차이점은 입력 영상에서 얼굴 영역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입력 영상의 면적과 터치 영역의 면적을 비교하여 입력 영상을 선택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면적 비율은 입력 영상과 터치 영역의 면적 비율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재생 줌 또는 디지털 줌 동작을 터치 스크린에 주밍 제스처의 입력만으로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카메라 기능이 부가된 카메라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a 및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줌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는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신호 처리부(7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4c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디지털 촬영 장치 70: 디지털 신호 처리부
71: 제어부 72: 영상 신호 처리부
73: 얼굴 영역 검출부 74: 터치 영역 계산부

Claims (20)

  1. 입력 영상에 존재하는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디지털 촬영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주밍 제스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주밍 제스처에 상응하는 터치 영역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얼굴 영역을 검출한 경우,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과 상기 계산한 터치 영역의 면적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줌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계산한 터치 영역의 면적이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의 면적보다 큰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광학 줌 렌즈를 구동시키는 줌 모터가 망원단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계산한 터치 영역의 면적이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의 면적보다 작은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광학 줌 렌즈를 구동시키는 줌 모터가 광각단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계산한 터치 영역의 면적이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의 면적보다 큰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확대시키는 디지털 줌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계산한 터치 영역의 면적이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의 면적보다 작은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축소시키는 디지털 줌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얼굴 영역을 검출하지 못한 경우, 상기 입력 영상과 상기 계산한 터치 영역의 비율에 따라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줌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비율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광학 줌 렌즈를 구동시키는 줌 모터가 망원단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율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광학 줌 렌즈를 구동시키는 줌 모터가 광각단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비율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확대시키는 디지털 줌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비율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축소시키는 디지털 줌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은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줌 동작은,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광학 줌 또는 디지털 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밍 제스처는,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하는 특정 모양의 도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
  13.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4. 입력 영상에 존재하는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얼굴 영역 검출부;
    디지털 촬영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주밍 제스처에 상응하는 터치 영역을 계산하는 터치 영역 계산부; 및
    상기 얼굴 영역을 검출한 경우,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과 상기 계산한 터치 영역의 면적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줌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장치.
  15. 삭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산한 터치 영역의 면적이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의 면적보다 큰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광학 줌 렌즈를 구동시키는 줌 모터가 망원단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계산한 터치 영역의 면적이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의 면적보다 작은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광학 줌 렌즈를 구동시키는 줌 모터가 광각단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력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영상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산한 터치 영역의 면적이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의 면적보다 큰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확대시키고, 상기 계산한 터치 영역의 면적이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의 면적보다 작은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축소시키도록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굴 영역을 검출하지 못한 경우, 상기 입력 영상과 상기 계산한 터치 영역의 비율에 따라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줌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율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광학 줌 렌즈를 구동시키는 줌 모터가 망원단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율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광학 줌 렌즈를 구동시키는 줌 모터가 광각단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율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확대시키고, 상기 비율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축소시키도록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장치.
KR1020090078178A 2009-08-24 2009-08-24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589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178A KR101589501B1 (ko) 2009-08-24 2009-08-24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 및 장치
CN201010262680.6A CN101996044B (zh) 2009-08-24 2010-08-24 使用触摸屏控制变焦的方法和设备
US12/861,938 US8659681B2 (en) 2009-08-24 2010-08-24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zoom using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178A KR101589501B1 (ko) 2009-08-24 2009-08-24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522A KR20110020522A (ko) 2011-03-03
KR101589501B1 true KR101589501B1 (ko) 2016-01-28

Family

ID=43605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178A KR101589501B1 (ko) 2009-08-24 2009-08-24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59681B2 (ko)
KR (1) KR101589501B1 (ko)
CN (1) CN1019960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0569B2 (ja) * 2009-03-27 2011-07-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影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188065A (ja) * 2010-03-05 2011-09-22 Sony Corp 撮像制御装置、被写体検出方法、プログラム
CN102736759B (zh) * 2011-04-08 2017-02-15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触摸屏及其控制方法
CN102270096A (zh) * 2011-07-19 2011-12-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将手指滑动的坐标信息转换为云台控制消息的方法及装置
CN102281399A (zh) * 2011-08-12 2011-12-14 广东步步高电子工业有限公司 一种带触摸屏的数字摄影设备及其变焦方法
US9519350B2 (en) 2011-09-19 2016-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fac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orce
US9501098B2 (en) 2011-09-19 2016-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fac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orce
US9137444B2 (en) 2011-09-26 2015-09-15 Sony Corporation Image photography apparatus for clipping an image region
KR101811717B1 (ko) * 2011-11-14 2018-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줌 제어 방법 및 장치와, 디지털 촬영 장치
KR20130123691A (ko) * 2012-05-03 2013-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입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WO2013169259A1 (en) * 2012-05-10 2013-11-14 Intel Corporation Gesture responsive image capture control and/or operation on image
KR20150022003A (ko) * 2012-06-18 2015-03-03 유롱 컴퓨터 텔레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즈 (셴첸) 코., 엘티디. 단말 및 인터페이스 조작 관리 방법
KR20130143381A (ko) * 2012-06-21 201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40062917A1 (en) * 2012-08-29 2014-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zoom function in an electronic device
WO2014047922A1 (zh) 2012-09-29 2014-04-03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控制显示对象缩放的方法
CN102905074B (zh) * 2012-10-25 2015-05-27 深圳市掌网立体时代视讯技术有限公司 一种数码变焦装置及方法
CN103809841B (zh) * 2012-11-07 2019-11-26 联想(北京)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及电子设备
TWI563397B (en) * 2012-12-20 2016-12-21 Chiun Mai Comm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inserting image objects to a note software
KR102201730B1 (ko) * 2013-09-02 2021-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5116065A1 (en) * 2014-01-29 2015-08-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e processing for an image capture device
US10042529B2 (en) 2014-04-01 2018-08-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ent display with dynamic zoom focus
KR20150140012A (ko) * 2014-06-05 2015-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KR102424986B1 (ko) * 2014-11-04 2022-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얼굴 정보를 분석하는 방법
EP3692896A1 (en) * 2014-11-04 2020-08-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nalyzing face information in electronic device
JP6436761B2 (ja) * 2014-12-24 2018-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制御装置、撮像装置、ズーム制御装置の制御方法、及びズーム制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CN104615365B (zh) * 2014-12-29 2017-10-31 深圳市魔眼科技有限公司 一种三维交互装置及方法
CN105578275A (zh) * 2015-12-16 2016-05-1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视频显示方法及装置
JP6978826B2 (ja) * 2016-01-08 2021-12-08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US11402909B2 (en) 2017-04-26 2022-08-02 Cognixion Brain computer interface for augmented reality
US11237635B2 (en) 2017-04-26 2022-02-01 Cognixion Nonverbal multi-input and feedback devices for user intended computer control and communication of text, graphics and audio
CN109561249A (zh) * 2017-09-26 2019-04-0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调整焦距的方法及装置
CN107977142A (zh) * 2017-11-28 2018-05-01 浪潮金融信息技术有限公司 屏幕触摸控制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终端
EP3754958A4 (en) * 2018-02-14 2022-03-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CN110505400B (zh) * 2019-08-16 2021-09-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预览图像显示调整方法及终端
US11297244B2 (en) * 2020-02-11 2022-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ick-and-lock zoom camera user interface
KR20220102491A (ko) * 2021-01-13 2022-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각을 조정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5086561A (zh) * 2022-06-21 2022-09-20 易兆微电子(杭州)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变焦方法、装置、自拍器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5617A (ja) * 1998-06-05 1999-12-24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表示器付きカメラ
US20050212753A1 (en) * 2004-03-23 2005-09-29 Marvit David L Motion controlled remote controller
US7180501B2 (en) * 2004-03-23 2007-02-20 Fujitsu Limited Gesture based navigation of a handheld user interface
KR101058011B1 (ko) * 2004-10-01 201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조작 방법
KR101114407B1 (ko) * 2005-10-11 201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 방법
US8872879B2 (en) 2006-01-26 2014-10-28 Polycom,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deoconference with touch screen interface
US20070222859A1 (en) * 2006-03-23 2007-09-27 Coban Research And Technologies, Inc. Method for digital video/audio recording with backlight compensation using a touch screen control panel
US7956847B2 (en) * 2007-01-05 2011-06-07 Apple Inc. Gestures for controlling, manipulating, and editing of media files using touch sensitive devices
KR101373333B1 (ko) * 2007-07-11 201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인식을 통한 영상촬영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그 촬영방법
CN101414231B (zh) * 2007-10-17 2011-09-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触摸屏装置及其图像显示方法
CN101453568A (zh) * 2007-12-03 2009-06-10 佛山普立华科技有限公司 成像系统及其成像方法
US8723811B2 (en) * 2008-03-21 2014-05-1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screen displaying method thereof
US8237807B2 (en) * 2008-07-24 2012-08-07 Apple Inc. Image capturing device with touch screen for adjusting camera settings
US8427502B2 (en) * 2008-08-08 2013-04-23 Cadence Design Systems, Inc. Context-aware non-linear graphic editing
CN201252615Y (zh) 2008-08-18 2009-06-03 北京创先泰克科技有限公司 现场拍摄中摄像机及云台的控制系统
US8913176B2 (en) * 2008-09-05 2014-12-1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erforming multi-focusing and photographing image including plurality of objects using the same
US20100218100A1 (en) * 2009-02-25 2010-08-26 HNTB Holdings, Ltd. Presentation system
US8532346B2 (en) * 2009-03-11 2013-09-10 Sony Corporation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8111247B2 (en) * 2009-03-27 2012-02-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touch screen functiona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43662A1 (en) 2011-02-24
CN101996044B (zh) 2014-11-19
CN101996044A (zh) 2011-03-30
KR20110020522A (ko) 2011-03-03
US8659681B2 (en) 201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9501B1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 및 장치
US8885069B2 (en) View angle manipulation by optical and electronic zoom control
US8823864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ology for auto-focus and facial detection
KR101531167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움직임에 따른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JP5623915B2 (ja) 撮像装置
KR101643602B1 (ko) 구도 가이드 방법 및 장치, 및 디지털 촬영 장치
US8654203B2 (en) Imaging device controlling operation of a zoom lens and a focus lens to create movie image data
US20120105590A1 (en) Electronic equipment
US8648960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3054726A9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20113056A1 (en) Input device, input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device
WO2011111371A1 (ja) 電子ズーム装置、電子ズー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135029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10081535A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95637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CN115280756B (zh) 一种数码相机的缩放设置调整的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US82378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haken image by using auto focusing
KR20100099008A (ko) 오토 포커싱 제어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20100115574A (ko) 디지털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JP2009246700A (ja) 撮像装置
KR101416236B1 (ko) 자동으로 오토포커싱을 실행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제어 방법
KR101612443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477535B1 (ko) 이미지 검색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10192318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436838B1 (ko) 오토포커싱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