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443B1 -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2443B1
KR101612443B1 KR1020090018912A KR20090018912A KR101612443B1 KR 101612443 B1 KR101612443 B1 KR 101612443B1 KR 1020090018912 A KR1020090018912 A KR 1020090018912A KR 20090018912 A KR20090018912 A KR 20090018912A KR 101612443 B1 KR101612443 B1 KR 101612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etting
blocks
focus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0179A (ko
Inventor
손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8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2443B1/ko
Publication of KR20100100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5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comprising setting of focusing regions

Abstract

본 발명은, (a) 입력 영상을 복수 개의 블럭으로 나누는 단계와, (b) 상기 블럭들 각각에 대하여 블럭 포커스 값을 구하는 단계와, (c) 일정한 값 이상의 상기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상기 블럭들로 이루어지는 설정 영역들을 설정하는 단계와, (d) 상기 설정 영역을 중심으로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의한 제어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Digtal photographing app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는 CCD/CMOS 등의 센서를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전기적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의 압축/복원 동작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에 대한 디지털 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또는 출력 장치를 통하여 해당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는 피사체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포커스를 조정하는 자동 포커스 조정을 수행하고 있다. 자동 포커스 수행을 위해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를 통해 입수된 영상을 신호처리하여 출력되는 에지를 통해 산출된 포커스 값을 매 픽처 단위로 산출하고, 산출된 초점값을 근거로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 및 거리를 이동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포커스가 조정된다.
상세하게는 영상에서 분할된 영역(9분할 또는 11분할) 중 사용자가 선택한 일부 영역에서 포커스 값을 추출하여 자동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자동으 로 영상의 중앙(스팟)이나 전체(멀티) 영역에서 포커스 값을 추출하여 자동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인물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얼굴 인식에 의해 인식된 얼굴 영역을 중심으로 포커싱 영역을 설정하여 오토 포커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영상의 중앙(스팟)이나 전체(멀티) 영역에서 포커스 값을 추출하여 자동 포커싱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단순히 포커스 값이 큰 영역이 선택되어 오토 포커싱이 수행되므로 사용자 원하는 영역이 아닌 영역을 중심으로 포커싱이 수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식된 얼굴 영역을 중심으로 오토 포커스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오토 포커싱을 위해 얼굴 인식과 같은 별도의 기능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오토 포커싱의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오토 포커싱이 수행되고 보다 따르게 오토 포커싱이 수행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a) 입력 영상을 복수 개의 블럭으로 나누는 단계와, (b) 상기 블럭들 각각에 대하여 블럭 포커스 값을 구하는 단계와, (c) 일정한 값 이상의 상기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상기 블럭들로 이루어지는 설정 영역들을 설정하는 단계와, (d) 상기 설정 영역을 중심으로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럭 포커스 값은 상기 블럭 내에 속하는 픽셀들의 포커스 값을 합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블럭들 각각에 속하는 픽셀 들의 포커스 값들을 추출하는 단계와, (b2) 상기 블럭에 속하는 상기 픽셀들의 상기 포커스 값들을 합산하는 단계와, (b3) 합산된 상기 포커스 값을 상기 블럭의 상기 블럭 포커스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설정 영역은 상기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상기 블럭들이 서로 접하여 모여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설정 영역들 각각에 속하는 상기 블럭들의 개수를 구하는 단계와, (d2) 상기 설정 영역들에 속하는 상기 블럭들의 개수를 비교하는 단계와, (d3) 상기 블럭들의 개수가 가장 많은 상기 설정 영역을 포커스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d4) 상기 포커스 영역을 중심으로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와 상기 (d) 단계 사이에, 상기 설정 영역들 중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서 설정된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패턴을 갖는 상기 설정 영역을 검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패턴에 대응되는 상기 설정 영역을 중심으로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가 인물 모드인 경우, 상기 패턴은 사람 형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가 풍경 모드인 경우, 상기 패턴은 풍경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는 상기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는, 입력 영상에 대해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하여 촬영 영상을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을 복수 개의 블럭으로 나누는 블럭 설정부와, 상기 블럭들의 블럭 포커스 값을 계산하는 산출부와, 일정한 값 이상의 상기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상기 블럭들을 검색하고 상기 블럭들로 이루어진 설정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와, 상기 설정 영역을 중심으로 포커싱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럭은 복수 개의 픽셀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럭 포커스 값 산출부는 상기 블럭 내의 속하는 픽셀들의 포커스 값을 합산하여 상기 블럭 포커스 값을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설정 영역은 상기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상기 블럭들이 서로 접하여 모여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영역들 각각에 속하는 상기 블럭의 개수를 구하여 상기 블럭의 개수가 가장 많은 상기 설정 영역을 포커스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커스 영역을 중심으로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서 설정된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패턴을 갖는 상기 설정 영역을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가 인물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인물 형상의 패턴에 대응되는 상기 설정 영역을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가 풍경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풍경 형상의 패턴에 대응되는 상기 설정 영역을 검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선택한 촬영 모드에 따라 오토 포커싱이 수행되며, 보다 빠른 오토 포커싱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밖에도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광학부(10), 광학 구동부(11), 촬상소자(15), 촬상소자 제어부(16), 조작부(20), 프로그램 저장부(30), 버퍼 저장 부(40), 데이터 저장부(50), 표시 제어부(60), 데이터 구동부(61), 주사 구동부(63), 표시부(65)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70)를 포함한다.
광학부(10)는 피사체로부터의 광학 신호가 입력되어 촬상 소자(13)로 제공한다. 광학부(10)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학부(10)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 구동부(11)는 렌즈의 위치, 조리개의 개폐 등을 조절한다. 렌즈의 위치를 이동시켜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또한, 조리개의 개폐를 조절하여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광학 구동부(11)가 광학부(10)를 제어할 수 있다.
광학부(10)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소자(15)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촬상 소자(15)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소자(15)는 촬상소자 제어부(16)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소자 제어부(16)도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소자(15)를 제어할 수 있다.
조작부(20)는 사용자 등의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 다. 조작부(2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5)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릴리즈 버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조작부(20)를 통해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을 표시부(65)에 표시할 수 있다.
조작부(20)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버튼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리모트 컨트롤러 등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이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30), 연산 수행 중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결과 데이터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버퍼 저장부(40),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비롯하여 프로그램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50)를 포함한다.
아울러,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서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60), 표시 제어부(60)로부터 입력되어 표시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부(61)와 주사 구동부(63), 데이터 구동부(61)와 주사 구동부(6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소정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65)를 포함한다. 표시부(65)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 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ED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를 포함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70)에 관하여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는 영상 신호 처리부(71), 블럭 설정부(72), 산출부(73), 영역 설정부(74), 및 제어부(7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신호 처리부(71)는 촬상 소자(15)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사람의 시각에 맞게 영상 신호를 변환하도록 감마 컬렉션(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부(72)는 그 기능이 설정된 경우 오토화이트밸런스(Auto White Balance)나 오토익스포저(Auto Exposure)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를 스케일러를 이용하여 그 크기를 조절하며, 압축하여 소정 형식의 이미지 파일을 형성한다. 반대로 이미지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기도 한다. 영상 신호 처리부(72)는 사진 촬영 전 라이브-뷰 모드에서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셔터-릴리즈 신호에 의해 입력된 영상 신호에 대해 상기와 같은 영상 신호 처리들을 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 신호들 각각에 대해 다른 영상 신호 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
블럭 설정부(72)는 입력 영상(101)에 복수 개의 블럭(102)을 설정한다. 도 3은 입력 영상(101)을 나타내며, 도 4는 블럭 설정부(72)에 의해 복수 개의 블럭(102)가 설정된 입력 영상(101)을 나타낸다. 광학부(10)를 통해 입력된 광이 촬상소자(15)에 결상되어 입력 영상이 생성되며, 상기 입력 영상은 영상 신호 처리부(71)를 거쳐 신호 처리된 후 블럭 설정부(72)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블럭(102)이 설정된다. 블럭(102)은 복수 개의 픽셀들로 이루어진다.
산출부(73)는 블럭(102)들 각각에 대한 블럭 포커스 값을 산출한다. 블럭 포커스 값은 블럭(102) 내에 속하는 픽셀들의 포커스 값을 합산한 값을 의미한다. 산출부(73)는 블럭(102) 내에 속하는 픽셀들의 포커스 값을 합산하여 해당 블럭(102)의 블럭 포커스 값을 산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산출부(72)는 블럭(102) 내에 속하는 픽셀들의 포커스 값을 추출하며, 상기 포커스 값들을 합산하며, 합산된 포커스 값을 블럭(102)의 블럭 포커스 값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산출부(73)는 블럭(102)들 각각에 대한 블럭 포커스 값을 산출한다.
영역 설정부(74)는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들을 검색하여 설정 영역(A)을 설정한다. 설정 영역은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104)들이 서로 인접하여 모여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도 5 및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블럭(102)이 설정된 입력 영상(101)에서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104)들과 일정한 값 이하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103)들을 나타내며, 도 6은 입력 영상에서 검출된 설정 영역(A)을 나타낸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영역 설정부(74)는 산출부(73)에 의해 산출된 블럭 포커스 값들이 일정한 값 이상을 갖는지를 판단한다. 즉, 영역 설정부(74)는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104)들과 일정한 값 이하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103)들을 검출한다. 또한, 영역 설정부(74)는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104)들이 서로 인접하여 모여있는 영역을 검색하며, 상기 영역을 설정 영역(A)으로 설정한다.
제어부(75)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7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75)는 포커스 영역(A)을 중심으로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상세하게는, 제어부(75)는 설정 영역들 각각에 속하는 블럭들의 개수를 산출한다. 설정 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들이 서로 인접하여 모여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입력 영상에서는 설정 영역들이 복수 개로 존재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설정 영역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75)는 설정 영역에 속하는 블럭들의 개수를 구하여 가장 많은 블럭들을 갖는 설정 영역을 포커스 영역으로 설정한다. 제어부(75)는 상기 포커스 영역의 블럭 포커스 값을 이용하여 오토 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광학 구동부(11)를 제어한다. 도 5 및 6의 경우,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은 104이며 상기 블럭들(104)로 이루어진 설정 영역(A)이 포커스 영역이 된다. 따라서, 제어부(75)는 포커스 영역(A)을 중심으로 오토 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75)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에서 설정된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패턴을 갖는 설정 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패턴에 대응되는 설정 영역을 중심 으로 오토 포커싱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에는 인물 모드, 풍경 모드와 같은 촬영 모드가 마련되어 사용자에게 영상 촬영의 편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는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블럭 패턴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즉,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는 인물 모드에 대응하여 인물의 얼굴에 대응되는 블럭 패턴이나 인물 전체에 대응되는 블럭 패턴을 구비할 수 있으며, 풍경 모드에 대응하는 산이나 강과 같은 풍경에 대응되는 블럭 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75)는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블럭 패턴과 유사한 설정 영역을 검색하여 상기 블럭 패턴과 유사한 설정 영역을 포커스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포커스 영역을 중심으로 오토 포커싱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촬영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즉, 촬영 모드가 선택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부(75)는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들(104)을 가지고 상기 블럭들(104)의 개수가 가장 많은 설정 영역인 포커스 영역(A)을 중심으로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도 8은 인물 모드가 선택된 경우를 나타낸다.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에서 인물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75)는 미리 저장된 인물 형상의 패턴과 유사한 설정 영역(B)을 검출하고 상기 설정 영역(B)을 포커스 영역으로 설정한 후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는 도 8에서와 같은 패턴뿐만 아니라 인물의 얼굴, 인물의 전체 형상 등과 같은 인물에 관한 다양한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도 9는 풍경 모드가 선택된 경우를 나타낸다.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에서 풍경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75)는 미리 저장된 풍경 형상의 패턴과 유사한 설정 영역(C)을 검출하고 상기 설정 영역(C)을 포커스 영역으로 설정한 후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는 도 9에서와 같은 산 모양의 패턴뿐만 아니라 바다, 강 등과 같은 다양한 풍경 관한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롬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입력 영상을 복수 개의 블럭을 설정하는 단계(S101), 블럭들 각각의 블럭 포커스 값을 산출하는 단계(S102),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들을 검색하는 단계(S103), 설정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104), 포커스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105), 및 오토 포커싱을 수행한 단계(S106)를 구비할 수 있다.
우선, 입력 영상(101)에 복수 개의 블럭(102)을 설정한다(S101). 광학부(10)를 통해 입력된 광이 촬상소자(15)에 결상되어 입력 영상이 생성되며, 상기 입력 영상은 영상 신호 처리부(71)를 거쳐 신호 처리된 후 블럭 설정부(72)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블럭(102)이 설정된다. 블럭(102)은 복수 개의 픽셀들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블럭(102)들 각각에 대한 블럭 포커스 값을 산출한다. 블럭 포커스 값은 블럭(102) 내에 속하는 픽셀들의 포커스 값을 합산한 값을 의미한다. 상세하게는, 산출부(72)에 의해 블럭(102) 내에 속하는 픽셀들의 포커스 값이 추출되며, 상기 포커스 값들을 합산하여 합산된 포커스 값을 블럭(102)의 블럭 포커스 값으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들을 검색하여 설정 영역(A)을 설정한다(S103, S104). 설정 영역은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104)들이 서로 인접하여 모여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상세하게는, 영역 설정부(74)에 의해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104)들과 일정한 값 이하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103)들이 검출된다. 이후, 영역 설정부(74)는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104)들이 서로 인접하여 모여있는 영역을 검색하여 상기 영역을 설정 영역(A)으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설정 영역들 각각에 속하는 블럭들의 개수를 산출하고, 블럭의 개수가 가장 많은 설정 영역을 포커스 영역으로 설정한다(S105).
다음으로, 설정된 포커스 영역을 중심으로 오토 포커싱을 수행한다(S106).
또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100)에서 설정된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패턴을 갖는 설정 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패턴에 대응되는 설정 영역을 중심으로 오토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얼굴 인식 과정이 없이도 입력 영상에서 설정된 복수 개의 블럭들의 블럭 포커스 값을 이용하여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므로 보다 빠른 오토 포커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촬영 모드 선택에 따라 사용자가 촬영하고자하는 피사체에 대하여 오토 포커싱이 수행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 포커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일예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카메라 기능이 부가된 카메라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 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입력 영상을 나타낸다.
도 4는 블럭 설정부에 의해 복수 개의 블럭가 설정된 입력 영상을 나타낸다.
도 5는 블럭이 설정된 입력 영상에서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들과 일정한 값 이하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블럭들을 나타낸다.
도 6은 입력 영상에서 검출된 설정 영역을 나타낸다.
도 7은 촬영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도 8은 인물 모드가 선택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9는 풍경 모드가 선택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롬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디지털 촬영 장치 70: 디지털 신호 처리부
71: 영상 신호 처리부 72: 블럭 설정부
73: 산출부 74: 영역 설정부
75: 제어부

Claims (18)

  1. (a) 입력 영상을 복수 개의 블럭으로 나누는 단계;
    (b) 상기 블럭들 각각에 대하여 블럭 포커스 값을 구하는 단계;
    (c) 일정한 값 이상의 상기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상기 블럭들로 이루어지는 설정 영역들을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설정 영역을 중심으로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설정 영역들 각각에 속하는 상기 블럭들의 개수를 구하는 단계;
    (d2) 상기 설정 영역들에 속하는 상기 블럭들의 개수를 비교하는 단계;
    (d3) 상기 블럭들의 개수가 가장 많은 상기 설정 영역을 포커스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d4) 상기 포커스 영역을 중심으로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 포커스 값은 상기 블럭 내에 속하는 픽셀들의 포커스 값을 합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블럭들 각각에 속하는 픽셀들의 포커스 값들을 추출하는 단계;
    (b2) 상기 블럭에 속하는 상기 픽셀들의 상기 포커스 값들을 합산하는 단계; 및
    (b3) 합산된 상기 포커스 값을 상기 블럭의 상기 블럭 포커스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영역은 상기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상기 블럭들이 서로 접하여 모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와 상기 (d) 단계 사이에,
    상기 설정 영역들 중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서 설정된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패턴을 갖는 상기 설정 영역을 검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패턴에 대응되는 상기 설정 영역을 중심으로 포커싱 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가 인물 모드인 경우, 상기 패턴은 사람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가 풍경 모드인 경우, 상기 패턴은 풍경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0. 입력 영상에 대해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하여 촬영 영상을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을 복수 개의 블럭으로 나누는 블럭 설정부;
    상기 블럭들의 블럭 포커스 값을 계산하는 산출부;
    일정한 값 이상의 상기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상기 블럭들을 검색하고 상기 블럭들로 이루어진 설정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 및
    상기 설정 영역을 중심으로 포커싱을 수행하고, 상기 설정 영역들 각각에 속하는 상기 블럭의 개수를 구하여 상기 블럭의 개수가 가장 많은 상기 설정 영역을 포커스 영역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은 복수 개의 픽셀들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 포커스 값 산출부는 상기 블럭 내의 속하는 픽셀들의 포커스 값을 합산하여 상기 블럭 포커스 값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영역은 상기 일정한 값 이상의 블럭 포커스 값을 갖는 상기 블럭들이 서로 접하여 모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커스 영역을 중심으로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서 설정된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패턴을 갖는 상기 설정 영역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가 인물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인물 형상의 패턴에 대응되는 상기 설정 영역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가 풍경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풍경 형상의 패턴에 대응되는 상기 설정 영역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KR1020090018912A 2009-03-05 2009-03-05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612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912A KR101612443B1 (ko) 2009-03-05 2009-03-05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912A KR101612443B1 (ko) 2009-03-05 2009-03-05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179A KR20100100179A (ko) 2010-09-15
KR101612443B1 true KR101612443B1 (ko) 2016-04-26

Family

ID=43006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912A KR101612443B1 (ko) 2009-03-05 2009-03-05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24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748B1 (ko) 2013-07-31 2020-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3656A (ja) 2005-06-22 2007-01-11 Fujifilm Holdings Corp 撮像レンズの合焦位置決定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7279601A (ja) 2006-04-11 2007-10-25 Nikon Corp カメラ
JP2008004996A (ja) 2006-06-20 2008-01-10 Casio Comput Co Ltd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3656A (ja) 2005-06-22 2007-01-11 Fujifilm Holdings Corp 撮像レンズの合焦位置決定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7279601A (ja) 2006-04-11 2007-10-25 Nikon Corp カメラ
JP2008004996A (ja) 2006-06-20 2008-01-10 Casio Comput Co Ltd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179A (ko) 201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8612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049363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1589501B1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 및 장치
US8917333B2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KR10164361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643602B1 (ko) 구도 가이드 방법 및 장치, 및 디지털 촬영 장치
KR10170036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39379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4974812B2 (ja) 電子カメラ
US8648960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690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1728042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3029656A (ja) 撮像装置
KR101630287B1 (ko) 손 떨림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456494B1 (ko) 잔류 영상을 표시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상기제어 방법에 따라 구동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상기제어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797040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20071972A (ko)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의 정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20011920A (ko)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JPWO2018235382A1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撮像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8711271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evaluating validity of an auto-focus operation
US8760565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based on user-specified depth of focus region
KR101747304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오토포커싱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20100099008A (ko) 오토 포커싱 제어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JP4807623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撮像プログラム
KR101612443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