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09455A1 - 포스 피드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포스 피드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09455A1
WO2019009455A1 PCT/KR2017/007373 KR2017007373W WO2019009455A1 WO 2019009455 A1 WO2019009455 A1 WO 2019009455A1 KR 2017007373 W KR2017007373 W KR 2017007373W WO 2019009455 A1 WO2019009455 A1 WO 201900945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ata
controller
force feedback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737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연우
오복성
이윤호
Original Assignee
㈜리얼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얼감 filed Critical ㈜리얼감
Publication of WO201900945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0945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8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pressure sensors, e.g. generating a signal proportional to the pressure applied by the play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8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respon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for affecting ambient conditions, e.g. for vibrating players' seats, activating scent dispensers or affecting temperature or light
    • A63F13/285Generating tactile feedback signals via the game input device, e.g. force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ce feedback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rce feedback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being combined with various contents manipulation controllers and generating force feedback based on various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force feedback to a user.
  • the virtual reality technique includes a display device (A in FIG. 1) that is detachable to a user's body and provides a virtual reality image to a user, a controller 1 in FIG. 1).
  • FIG. 1 is an example of controlling a behavior in a virtual reality image (C in Fig. 1) using a controller (B in Fig. 1).
  • a controller B in Fig. 1
  • the player may fire a gun, wield a baseball bat, or the like.
  • a virtual reality technique in which a user moves the controller (B in Fig. 1) to realize the same motion even in a virtual reality image (C in Fig. 1) has been used.
  • Such a controller initially developed, controls the behavior in the virtual reality image, and fails to provide the user with a physical change in the virtual reality image. 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force feedback which realizes a physical change in a virtual reality image, such as a collision, a position change, etc., to a user has been provided to a user and a force feedback And a method of vibrating the controller by the method has been used.
  • the controller is required to control the user by using a specific body part, when the force feedback is provided to the user, only the controller is used, and the position where the force feedback is transmitted is limited to the specific body part of the user .
  • the conventional controller for providing force feedback also has a limitation that the weight and size can not be increased beyond a certain standard.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real- And to provide a force feedback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coping with such problems.
  • a force feedback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force feedback corresponding to an event occurrence of a physically coupled controller differently according to a specific change and a reference, and providing the same to a user.
  • a method of providing force feedback using a content operation controller and a force feedback device detachable from a user's body comprising: An information analyzing step of analyzing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acquired by the force feedback apparatus and generating event analysis result data; A state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force feedback device into a free state or a control state that can not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event analysis result data; and a state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force feedback Convert device to control state Feedback control method comprising a feedback control step in which the force feedback device provides force feedback corresponding to the event analysis result data.
  • the controller mounting step may be a process in which part or all of the controller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orce feedback device.
  • the information obtaining step is a step in which the force feedback device receives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and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from an external server interlocked with the controller,
  • the detailed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function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appearance information, size information, weight information, volume information, button information, and part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 the information analyzing step may include analyzing whether a physical ev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button input event, a touch event, and a position change event has occurred in the controller based on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And generating event analysis result data.
  • the feedback control step may include: a result data acquiring step of acquiring the event analysis result data; a feedback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force feedback corresponding to the event analysis result data; And a feedback transmission process for providing the user of the device with the force feedback generated in the feedback generation process.
  • the feedback control step may further include a data classification step of classifying event analysis result data obtained in the result data obtaining step according to specific change information, And generating different force feedback according to the data classified in the data classification process.
  • the specific change information may be at least one of impact change information, sensory change information, and position change information
  • the data classification proces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impact change information, Change information,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of impact change data according to the impact change information, sensory change data according to the sensory change information, and position change data according to the position change information, It may be to sort the resulting data.
  • the feedback generation process may generate force feedback corresponding to data classified in the data classification proces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Data,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times of providing, the time of providing, the strength of providing vibration, and the strength of providing resistance may generate another force feedback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impacts, the duration of impact, If the data classified in the data classification process is sensory change data, the force feedback may be generated with a different temperature or pressure intensity on the basis of temperature difference or pressure intensity.
  • the classified data is position change data
  • the number of movements, the movement distance, And the rotation number of the at least one service based upon the at least one position of the variation time count, and provides the movement amount provides at least any one or more of the amount of rotation may create a different force feedback.
  • a force feedback apparatus capable of being detachably attached to a user's body, comprising: a coupling unit to which a content operation controller to be controlled is mounted; An information part for receiving and analyzing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from a server to generate event analysis result data; a conversion part for converting the combining part into a free state or a control state according to the event analysis result data;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force feedback corresponding to the event analysis result data when the conversion unit converts the coupling unit into a control state according to the event analysis result data.
  • the information unit receives and analyzes controller detailed information and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from an external server linked with the controller, and generates event analysis result data,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function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appearance information, size information, weight information, volume information, button information, and component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 the information unit may determine whether a physical ev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button input event, a touch event, and a position change event has occurred in the controller, and analyzes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
  • control unit may include: a data classification module that receives event analysis result data of the information unit and classifies the data according to specific change information; and a force feedback unit that performs different force feedback based on the data classified by the data classification module And a feedback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force feedback generated by the feedback generation module to the user of the force feedback device.
  • the specific change information may be at least one of impact change information, sensory change information, and position change information
  • the data classification modu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impact change information, The sensory chan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nsory change information, and the positional change data based on the positional change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impact change data, .
  • the feedback generation module may generate force feedback corresponding to data classified by the data classification module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criterion, Data,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times of providing, the time of providing, the strength of providing vibration, and the strength of providing resistance may generate another force feedback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impacts, the duration of impact,
  • Data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times of providing, the time of providing, the strength of providing vibration, and the strength of providing resistance may generate another force feedback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impacts, the duration of impact
  • the data classified by the data classification module is sensory change data, it is possible to generate force feedback having a different temperature or pressure intensity based 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or pressure intensity, If the classified data is position change data, the number of movements, the movement distance, And the rotation number of the at least one service based upon the at least one position of the variation time count, and provides the movement amount provides at least any one or more of the amount of rotation may create a different force feedback.
  • the force feedback device may be mounted at any joint of the user's body including the wrist joint, ankle joint, and neck joint of the user.
  • the force feedback corresponding to the event occurrence of the physically coupled controller can be gener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pecific change and the reference, and can be provided to the user.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ame system using a conventional virtual reality technology.
  •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force feedba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 force feedback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and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 detailed procedure of the feedback control ste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orce feedback apparat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orce feedback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 the force feedback device 1 includes a coupling unit 100, an information unit 200, a conversion unit 300, and a control unit 400.
  • the content operation controller X has similar functions in that it controls the behavior in the virtual reality image provided by the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but is manufactured and sold by various companies, and its form is also shown in FIG. 2 X1, X2, X3 and so on.
  • contents manipulated by the content manipulation controller (X) should be interpreted not only as a virtual reality system, but also as a concept including all contents that can be displayed, such as a 2D image system and a 3D image system.
  • the force feedback device 1 has a coupling unit 100 that can physically couple with various contents manipulation controllers X1, X2, X3 as shown in 201 in FIG.
  • the combining unit 100 provides a space where various contents operation controllers (X1; X2; X3) can be mounted.
  • the force feedback device 1 may be mounted on any one of the joints including the wrist joint, the ankle joint, and the neck joint, among the body of the user of the actual force feedback device 1.
  • the joint part is a naturally deformable and flexible body part, when the force feedback device 1 is attached to a specific joint part of the user and the force feedback is provided, the reality of the virtual reality system can be further enhanced.
  • the combining unit 100 may provide various combining methods depending on the size, shape, or shape of the content operation controller X.
  • the engaging portion 100 has a bolt-nut tightening structure to adjust bolt tightnes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ccordingly, the coupling unit 100 can be engaged with the controller X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content operation controller X.
  • the joining part 10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center of the joining part 100 is opened to seat the content control controller X in the corresponding space. Then, the joining part 100 uses a force And may be implemented to enclose the controller X.
  • the method of coupling with the controller X provided by the coupling unit 10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coupling method describ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upling method of the coupling unit 10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that includes all the various ways of physically combining.
  • the contents manipulation controller X has a size and a shape that can be generally caught by a human hand, when the combining unit 100 is implemented to have the above-described combining method, X1, X2, X3).
  • the coupling portion 10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orce feedback device 1.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coupling unit 100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controller X and to mount the coupling unit 100 on the force feedback apparatus 1, So that the convenience of manufacturing the force feedback device 1 can be increased.
  • the information unit 200 acquires and analyzes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X mounted or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100.
  • the information section 200 acquires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of th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X and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X from the external server Y interlocked with the controller X Any one or more can be transmitted.
  • Reference numeral 202 in FIG. 2 denotes that the controller X and the external server Y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Reference numeral 203 denotes an information section 200 for implementing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section 200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server Y 200 can communicate with the external server Y wirelessly or by wire.
  •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X includes at least one of function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appearance information, size information, weight information, volume information, button information, and component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May also includ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other controller (X).
  • the external server Y can electrically and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controller X so that the external server Y can sense various events and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X and also store the details of the controller X .
  • the external server Y can implement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may have a separate storage (not shown).
  • the external server Y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a notebook, a smart phone, a smart pad, a smart TV, a VR display device,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used for performing the processes 202 and 203 may be a communication technology using Zigbee, Long Term Evolution (LTE), Bluetooth, or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no.
  • LTE Long Term Evolution
  • Bluetooth Wireless Fidelity
  •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 the information unit 200 can also generate event analysis result data by analyzing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X received from the external server Y.
  • the external server Y is a main body for providing contents
  • the force feedback device 1 obtains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which is fragmentary information, from the server Y using the information unit 200, And provides the generated force feedback to the user.
  • the force feedback device 1 can be provided to the force feedback device 1 through the coupling with the controller X and the force feedback from the external server Y And may only perform the role of providing force feedback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received force feedback information.
  • the functions and procedures performed by the information unit 200 of the force feedback device 1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in the external server Y, and the information unit 200 itself can be executed in the external server Y, Lt; / RTI >
  • the information unit 200 determines whether a physical ev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button input event, a touch event, and a position change event has occurred in the controller X, analyzes th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X, It is possible to generate event analysis result data that comprehensively considers what kind of event has occurred and how much is the size of the event.
  • the events included in th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and the event analysis result data may include temperature change data pressure change data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button input event, touch event, and location change event,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 the converting unit 300 may convert the combining unit 100 into a free state or a control state according to event analysis result data of the information unit 200.
  • the conversion unit 300 may include a separate power generation unit (not shown), and the power generation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motor.
  • the free state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force feedback device 1 can be operated by an external force, and can be moved by the user even when the force feedback device 1 is mounted on a specific joint site.
  • the converting unit 300 may convert the coupling unit 100 and the force feedback device 1 into a free state through a method such as not providing special power.
  • the control state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specific body of the user on which the force feedback device 1 is mounted is controlled by the power provided by the force feedback device 1.
  • the power provided by the conversion part 300 allows the user to use a specific joint part to generate a force greater than the power provided by the conversion part 300
  • the entire force feedback device 1 receives a certain force and is operated in a specific direction. Therefore, the force feedback device 1 The jointed parts of the mounted user are also moved togeth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ce feedback device 1 is operated.
  • the controller 400 may include a data classification module 410, a feedback generation module 420, and a feedback transmission module 430.
  • the data classification module 410 receives the event analysis result data of the information part 200 and classifies the event analysis result data according to the specific change information.
  • the feedback generation module 420 generates different feedback types based on the data classified by the data classification module 410,
  • the feedback transfer module 430 performs the function of transferring the force feedback generated by the feedback generation module 420 to the user of the force feedback device 1.
  • the specific change information means information according to a certain change, and may b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impact change information, sensory change information, and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ata classification module 410 can classify event analysis result data generated and analyzed by the information unit 200 using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impact change information, sensory change information, and position change information, The data classification module 410 classifies the above-described event analysis result data into at least one or more data among the impact change data according to the impact change information, the sensory change data according to the sensory change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change data according to the position change information Can ...
  • the feedback generation module 420 may generate force feedback corresponding to the data classified by the data classification module 41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Through this, diversity of providing the force feedback can be diversified, and a more realistic virtual reality system can be experienced.
  • the feedback generation module 420 when the data classified by the data classification module 410 is the impact change data, the feedback generation module 420 generates the feedback frequency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impact frequency, the impact duration, At least one of the providing time, the intensity of the provided vibration, and the strength of the providing resistance can generate another force feedback.
  • the feedback generation module 420 If the data classified by the data classification module 410 is sensory change data, the feedback generation module 420 generates the force feedback having different strengths of the provided temperature or the supplied pressure based 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or the pressure intensity And when the data classified by the data classification module 410 is position change data, the number of provided position fluctuation times, the supplied movement amount, and the amount of rotation provid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movements, the movement distance, At least one or more of them may generate different force feedback.
  • the number of impacts, impact duration, impact strength, temperature difference, pressure intensity, number of movements, travel distance, displacement and number of rotations corresponding to a certain standard are only some exampl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 the feedback generation module 420 may generate different force feedback based on any other criteria.
  • the information section 200 when the data classified by the data classification module 410 is shock change data, the information section 200 generates event analysis result data, which is generated based on th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X received from the external server Y,
  • the event generation module 420 may generate event analysis result data by setting various units and criteria such as how many times the impact of the X is detected, You can generate multiple force feedbacks by determining how many force feedbacks are to be provided, how long to provide them, and how much strength they will have. Needless to say, the reference and the unit can be variously modified.
  • the data classified by the data classification module 410 is a sensory change event, whether the sensory is a temperature change, a pressure change, or the like is determined in the event analysis result data of the information section 200
  • the feedback generation module 420 may vary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force feedback provided to the user on the basis thereof, and the feedback transmission module 430 may transmit the same to the user.
  • the data classified by the data classification module 410 is the position change data, the position movement frequency, the movement distance and the displacement, and the rotation frequency in the case of the rotation.
  • Information on how much the rotation amount is, etc. may be generated and included in the event analysis result data of the information unit 200 using various criteria and units, and based on this, the feedback generation module 420 may calculate the position movement number, And the feedback transmission module 430 can provide the user with various force feedbacks.
  • FIGS. 5 and 6 show a feedback control step S500). ≪ / RTI >
  • the force feedback method (2) is a force feedback method using the force feedback device 1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4, the information obtaining step S200, the information analysis step S300, A feedback control step (S500),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mounting step (SlOO).
  • the controller mounting step S100 is a process in which a part or all of the controller X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orce feedback device 1 so as to be rotatable by a procedure performed by the coupling unit 100, Can be performed by adopting various coupling methods so as to be able to be combined with the action controllers (X1, X2, X3).
  • the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S200 is a procedure performed by the information unit 200 and is a process of receiving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X from the external server Y linked to the controller X, Information can also be transmitted.
  •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X includes at least one of function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appearance information, size information, weight information, volume information, button information, .
  • the information analysis step S300 is a process performed by the information unit 200, which analyzes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X acquired through the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S200 and generates event analysis result data.
  • the information analysis step S300 performed by the information unit 200 may include a button input event, a touch event, and a position change event in the controller X based on th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X Analyzing whether a physical ev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physical events has occurred, and generating event analysis result data based on the analysis.
  • the state conversion step S400 is a procedure performed by the conversion unit 300 and refers to a process of converting the force feedback device 1 into a free state or a control state according to event analysis result data of the information analysis step S300 .
  • the description of the free state and the control stat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 the feedback control step S500 is a procedur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400.
  • the force feedback device 1 is changed to the control state in the state conversion step S400 according to the event analysis result data of the information analysis step S300 , And the force feedback device 1 generates and provides force feedback corresponding to the event analysis result data of the information analysis step S300.
  • the feedback control step S500 includes a result data acquisition step S510, a data classification step S520, a feedback generation step S530, and a feedback transmission step S540, as shown in FIG. 6 as a detailed procedure .
  • the result data acquisition step S510 is a process in which the controller 400 acquires the event analysis result data generated through the information analysis step S300 and the data classification step S520 is a step in which the data classification module 410 acquires the result data And the event analysis result data obtained in step S510 is classified according to specific change information.
  • the feedback generation process S530 is a process in which the feedback generation module 420 generates force feedback corresponding to the event analysis result data generated through the information analysis step S300, 1) to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in step S530.
  • the specific change information referred to in the data classification step (S520) may be at least one of the impact change information, the sensory change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change information.
  • the data classification process (S520) may use at least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impact change information, sensory change information, and position change information to generate impact change data according to the impact change information, sensory change data according to the sensory change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change data according to the position change information, the event analysis result data generated through the information analysis step (S300).
  • the feedback generation process (S530) may generate force feedback corresponding to the data classified in the data classification process (S520) according to a preset reference by the feedback generation module 420, S520) is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times of providing, the time of providing, the strength of providing vibration, and the strength of providing resistanc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times of impact, the duration of impact and the strength of impact, If at least one of them generates different force feedbacks and the data classified in the data classification step S520 is sensory change data, the force feedback generating unit generates force feedbacks having different strengths of the provided temperature or pressure based 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or the pressure intensity If the data classified in the data classification step (S520) is position change data, the number of movements, the movement distance, At least one of the provided position fluctuation number, the provided movement amount, and the provided rotation amount may generate another force feedback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above and the number of revolutions.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ctual implementation of force feedback device 1 and method 2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ler X may be coupled to the force feedback device 1 coupling unit 100 after the user wears the force feedback device 1 on the wrist as shown in FIG.
  • the information unit 200 can acquire th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X and the controller X detailed information through the external server Y.
  • the information unit 200 can receive the related information through the external server Y linked with the controller X, Based on the event analysis result data generated by the information unit 200, the converting unit 300 may convert the combining unit 100 and the force feedback device 1 into free states Or to a control state.
  • control unit 400 If the force feedback device 1 is converted into the control state, the control unit 400 generates force feedback corresponding to the event analysis result data of the information unit 200 according to specific change information and a certain criterion, .
  • a button input event and a physical event which is a position change event, are generated in the controller X, and the force feedback device 1 receives from the external server Y a controller X
  • the control unit 400 classifies the impact chan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mpact change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change data according to the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ased on the impact change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change information as the specific change information, Generates force feedback and provides it to the user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force feedback device 1, and transmits vibration or shock to the user.
  • 701 in FIG. 7 means this series of procedures.
  • the intensity and duration of vibration or impact can be modified by applying various criteria and units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wrist part of the user equipped with the force feedback device 1 is changed, and the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user, and the joint of the user is bent, so that the user can experience a more realistic virtual reality technique.
  • the conventional virtual reality system does not allow the external server Y to provide force feedback to the user via the controller X
  • the controller X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force feedback device 1 is limited in weight, size, and shap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methods such as a force feedback providing size, strength, or force feedback providing method. That is, diversity of the force feedback method can be pursued.
  • the force feedback device 1 can be physically coupled to any type of controller X and the force feedback device 1 does not ne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X, 1) can exert excellent effects in terms of manufacturing cost and installation efficiency of the apparatu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ce feedback device and method, and is applicable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orce feedback, and has repeatability and industrial applic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신체에 착탈이 가능한 포스 피드백 장치에 있어서, 제어 대상인 컨텐츠 조작용 컨트롤러가 장착되는 결합부와, 상기 컨트롤러와 연동된 외부서버로부터 상기 컨트롤러의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전송 받고 분석하여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보부와, 상기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에 따라 상기 결합부를 자유상태 또는 제어상태로 변환하는 변환부, 그리고 상기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에 따라 상기 변환부에서 상기 결합부를 제어상태로 변환한 경우, 상기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에 대응하는 포스 피드백을 생성 및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포스 피드백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포스 피드백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포스 피드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컨텐츠 조작용 컨트롤러와 결합이 가능하고, 각종 정보를 토대로 포스 피드백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포스 피드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차 산업 혁명과 관련하여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관련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가상 현실 기술을 게임과 접목시킨 가상 현실 게임이 기존의 게임의 한계인 현실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면서, 가상 현실 게임이 지닌 게임에 현실감을 더하여 사용자가 직접 체험하는 듯한 효과로 인해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가상 현실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자 신체에 착탈 가능하여 가상 현실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도 1에서 A)와, 가상 현실 영상 내의 행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도 1에서 B)를 구비한 가상 현실 시스템으로 구현된다.
도 1은 컨트롤러(도 1에서 B)를 이용하여 가상 현실 영상(도 1에서 C) 내의 행동을 제어하는 예로써, 종래에는 사용자가 컨트롤러(도 1에서 B)의 버튼을 조작하여 가상 현실 영상(도 1에서 C) 내에서 운전을 수행할 수도 있고, 이외에도 총을 발사하거나, 야구 배트를 휘두르는 등. 사용자가 컨트롤러(도 1에서 B)를 움직임으로써 가상 현실 영상(도 1에서 C) 내에서도 동일한 움직임을 구현하는 방식의 가상 현실 기술이 사용되고 있었다.
초기에 개발된 이러한 컨트롤러는 가상 현실 영상 내의 행동을 제어할 뿐, 가상 현실 영상 내의 물리적인 변화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못하여 가상 현실 시스템 사용시 현실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상 현실 영상 내에서의 물리적인 변화인 충돌, 위치 변화 등을 사용자에게 현실감 있게 전달하는 포스 피드백(Force Feedback)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되었고, 포스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으로 컨트롤러에 진동을 주는 방법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특정 신체 부위를 이용하여 제어해야 하므로, 포스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시, 컨트롤러만을 이용하게 되면 포스 피드백이 전달되는 위치가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에 한정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직접 들고 조작할 수 있어야 하므로, 포스 피드백 제공을 위한 종래의 컨트롤러는 무게와 크기를 일정 규격 이상 늘릴 수 없는 한계 역시 존재하였다.
따라서 가상 현실 영상 내의 다양한 변화를 사용자에게 각기 다른 방식으로 현실감 있게 전달하는 포스 피드백 구현 기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주된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컨텐츠 조작용 컨트롤러와의 물리적인 결합만으로 결합된 컨트롤러의 각종 이벤트 발생에 따라 자유상태 또는 제어상태로 구분하여 대응할 수 있는 포스 피드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물리적으로 결합된 컨트롤러의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는 포스 피드백을 특정 변화와 기준에 따라 각각 달리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포스 피드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컨텐츠 조작용 컨트롤러와 사용자 신체에 착탈 가능한 포스 피드백 장치를 이용하여 포스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스 피드백 장치가 상기 컨트롤러와 연동된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컨트롤러의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전송 받는 정보 획득 단계와, 상기 포스 피드백 장치가 상기 정보 획득 단계를 통해 획득한 상기 컨트롤러의 이벤트 발생 정보를 분석하고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보 분석 단계 와, 상기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에 따라 상기 포스 피드백 장치를 동작될 수 있는 자유상태 또는 동작될 수 없는 제어상태로 변환하는 상태 변환 단계, 그리고 상기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에 따라 상기 상태 변환 단계에서 상기 포스 피드백 장치를 제어상태로 변환한 경우, 상기 포스 피드백 장치가 상기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에 대응하는 포스 피드백을 제공하는 피드백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포스 피드백 방법을 제공한다.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스 피드백 장치에 상기 컨트롤러가 결합되는 컨트롤러 장착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 장착 단계는, 상기 컨트롤러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포스 피드백 장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과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 획득 단계는, 상기 포스 피드백 장치가 상기 컨트롤러와 연동된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컨트롤러의 이벤트 발생 정보 및 상기 컨트롤러의 세부 정보를 전송 받는 과정이되, 상기 컨트롤러의 세부 정보는, 상기 컨트롤러의 기능 정보, 조작 정보, 작동 정보, 외형 정보, 크기 정보, 무게 정보, 부피 정보, 버튼 정보 및 부품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 단계는, 상기 컨트롤러의 이벤트 발생 정보를 토대로 상기 컨트롤러에서 버튼 입력 이벤트, 터치 이벤트 및 위치 변경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리적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분석하여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제어 단계는, 상기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획득하는 결과 데이터 획득 과정과, 상기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에 대응하는 포스 피드백을 생성하는 피드백 생성 과정, 그리고 상기 포스 피드백 장치의 사용자에게 상기 피드백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포스 피드백을 제공하는 피드백 전달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제어 단계는, 상기 결과 데이터 획득 과정에서 획득한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특정 변화 정보에 따라 분류하는 데이터 분류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피드백 생성 과정은, 상기 데이터 분류 과정에서 분류된 데이터에 따라 각기 다른 포스 피드백을 생성하는 과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특정 변화 정보는, 충격 변화 정보, 감각 변화 정보 및 위치 변화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상기 데이터 분류 과정은, 상기 충격 변화 정보, 감각 변화 정보 및 위치 변화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충격 변화 정보에 따른 충격 변화 데이터, 상기 감각 변화 정보에 따른 감각 변화 데이터 및 상기 위치 변화 정보에 따른 위치 변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로 상기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분류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생성 과정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데이터 분류 과정에서 분류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포스 피드백을 각기 달리 생성하되, 상기 데이터 분류 과정에서 분류된 데이터가 충격 변화 데이터인 경우, 충격 횟수, 충격 지속 시간 및 충격의 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제공 횟수, 제공 시간, 제공 진동의 세기 및 제공 저항의 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다른 포스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 분류 과정에서 분류된 데이터가 감각 변화 데이터인 경우 온도의 차이 또는 압력의 세기를 기준으로 하여 제공 온도 또는 제공 압력의 세기가 다른 포스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분류 과정에서 분류된 데이터가 위치 변화 데이터인 경우 이동 횟수, 이동 거리, 변위 및 회전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제공 위치 변동 횟수, 제공 이동량 및 제공 회전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다른 포스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 신체에 착탈이 가능한 포스 피드백 장치에 있어서, 제어 대상인 컨텐츠 조작용 컨트롤러가 장착되는 결합부와, 상기 컨트롤러와 연동된 외부서버로부터 상기 컨트롤러의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전송 받고 분석하여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보부와, 상기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에 따라 상기 결합부를 자유상태 또는 제어상태로 변환하는 변환부, 그리고 상기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에 따라 상기 변환부에서 상기 결합부를 제어상태로 변환한 경우, 상기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에 대응하는 포스 피드백을 생성 및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포스 피드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부는, 상기 컨트롤러와 연동된 외부서버로부터 상기 컨트롤러의 컨트롤러 세부 정보 및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전송 받고 분석하여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컨트롤러 세부 정보는, 상기 컨트롤러의 기능 정보, 조작 정보, 작동 정보, 외형 정보, 크기 정보, 무게 정보, 부피 정보, 버튼 정보, 부품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부는, 상기 컨트롤러에서 버튼 입력 이벤트, 터치 이벤트 및 위치 변경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리적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파악하여 상기 컨트롤러의 이벤트 발생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부의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전송 받아 특정 변화 정보에 따라 분류하는 데이터 분류 모듈과,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에서 분류된 데이터를 토대로 각기 다른 포스 피드백을 생성하는 피드백 생성 모듈, 그리고 상기 피드백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포스 피드백을 상기 포스 피드백 장치의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피드백 전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특정 변화 정보는 충격 변화 정보, 감각 변화 정보 및 위치 변화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은 상기 충격 변화 정보, 감각 변화 정보 및 위치 변화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충격 변화 정보에 따른 충격 변화 데이터, 상기 감각 변화 정보에 따른 감각 변화 데이터 및 상기 위치 변화 정보에 따른 위치 변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로 상기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생성 모듈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에서 분류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포스 피드백을 각기 달리 생성하되,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에서 분류된 데이터가 충격 변화 데이터인 경우, 충격 횟수, 충격 지속 시간 및 충격의 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제공 횟수, 제공 시간, 제공 진동의 세기 및 제공 저항의 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다른 포스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에서 분류된 데이터가 감각 변화 데이터인 경우 온도의 차이 또는 압력의 세기를 기준으로 하여 제공 온도 또는 제공 압력의 세기가 다른 포스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에서 분류된 데이터가 위치 변화 데이터인 경우 이동 횟수, 이동 거리, 변위 및 회전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제공 위치 변동 횟수, 제공 이동량 및 제공 회전량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다른 포스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스 피드백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중 손목 관절, 발목 관절 및 목 관절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관절 부위 중 어느 한 관절 부위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컨텐츠 조작용 컨트롤러와의 물리적인 결합이 가능하고, 물리적인 결합만으로 컨트롤러의 각종 이벤트 발생에 따른 대응을 자유상태 또는 제어상태로 구분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물리적으로 결합된 컨트롤러의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는 포스 피드백을 특정 변화와 기준에 따라 각각 달리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가상 현실 기술을 이용한 게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피드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피드백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8.08.2017]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제어 단계의 세부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8.08.2017]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피드백 장치 및 방법이 실제 구현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부", “단계” 및 “과정”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또는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접속, 접촉 또는 결합)"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접속, 접촉 또는 결합)"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구비 또는 마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구비 또는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피드백 장치(이하 “포스 피드백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포스 피드백 장치(1)는 결합부(100), 정보부(200), 변환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컨텐츠 조작용 컨트롤러(X)는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하는 가상 현실 영상 내에서의 행동을 제어한다는 점에서 기능이 유사하나, 여러 회사에서 제작 및 판매되고 있으며, 그 형태 역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X1, X2, X3 등으로 다양하다.
또한 컨텐츠 조작용 컨트롤러(X)가 조작하는 컨텐츠는 가상 현실 시스템 뿐만 아니라, 2D 영상 시스템 및 3D 영상 시스템 등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모든 컨텐츠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포스 피드백 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201과 같이 다양한 컨텐츠 조작용 컨트롤러(X1; X2; X3)와 물리적으로 결합이 가능한 결합부(100)를 구비한다.
다시 말해 결합부(100)는 다양한 컨텐츠 조작용 컨트롤러(X1; X2; X3)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서 포스 피드백 장치(1)는 실제 포스 피드백 장치(1)의 사용자의 신체 중에서도 손목 관절, 발목 관절 및 목 관절을 포함하는 관절 부위 중 어느 한 관절 부위에 장착될 수 있다.
관절 부위는 자연스럽게 변형이 가능하고 유연한 신체 부위이므로 사용자의 특정 관절 부위에 포스 피드백 장치(1)가 장착되어 포스 피드백을 제공받는 경우 가상 현실 시스템의 현실감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결합부(100)는 컨텐츠 조작용 컨트롤러(X)의 크기나 모양 또는 형태에 따라 다양한 결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결합부(100)는 볼트-너트 조임 구조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볼트 조임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부(100)는 컨텐츠 조작용 컨트롤러(X)의 크기에 맞춰 컨트롤러(X)와 체결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0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결합부(100) 중앙을 벌려 컨텐츠 조작용 컨트롤러(X)를 해당 공간에 안착 시킨 후 결합부(100)가 오므라드는 힘을 이용하여 컨텐츠 조작용 컨트롤러(X)를 감싸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결합부(100)는 별도의 체결구(도시하지 않음), 관통공(도시하지 않음) 혹은 체결링(도시하지 않음)과 연결 바(bar) 또는 연결 케이블을 구비하여 각 구성요소의 연결을 통해 컨트롤러(X)와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결합부(100)가 제공하는 컨트롤러(X)와의 결합 방법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에에서 설명하는 결합 방법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부(100)의 결합 방법이란 전술한 결합 방법 이외에도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여러 방법들을 다 포함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컨텐츠 조작용 컨트롤러(X)는 일반적으로 사람의 손에 잡힐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를 지니므로 전술한 결합 방법을 갖도록 결합부(100)를 구현하면, 결합부(100)는 다양한 컨텐츠 조작용 컨트롤러(X1, X2, X3)와 물리적으로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0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스 피드백 장치(1)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부(100)를 구현하면 컨트롤러(X)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결합부(100)를 제작하여 포스 피드백 장치(1)에 장착할 수 있고, 결합부(100)는 교체가 가능해지므로 포스 피드백 장치(1)의 제작 편의성 역시 증대될 수 있다.
정보부(200)는 결합부(100)에서 장착 또는 결합된 컨트롤러(X)의 정보를 획득하여 분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으로 정보부(2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X)와 연동된 외부 서버(Y)로부터 컨트롤러(X)의 이벤트 발생 정보 및 컨트롤러(X) 세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전송 받을 수 있다.
도2의 202는 컨트롤러(X)와 외부 서버(Y)가 전기적으로 연동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고, 203은 정보부(200)가 외부 서버(Y)로부터 정보를 전송 받는 구성을 구현하기 위해 정보부(200)는 외부 서버(Y)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이 가능함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컨트롤러(X) 세부 정보란 컨트롤러의 기능 정보, 조작 정보, 작동 정보, 외형 정보, 크기 정보, 무게 정보, 부피 정보, 버튼 정보, 부품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나, 이외의 다른 컨트롤러(X)와 관련된 정보들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외부 서버(Y)는 컨트롤러(X)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기적 연동이 가능하므로, 외부 서버(Y)는 컨트롤러(X)의 각종 이벤트와 정보들을 센싱할 수 있고, 컨트롤러(X) 세부 정보 역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서버(Y)는 무선 통신 기술 구현이 가능하며 별도의 저장소(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도 있다. 예컨대 외부 서버(Y)는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VR디스플레이 기기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202와 203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무선 통신 기술은 지그비(Zigbee), LTE(Long Term Evolution),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한 통신 기술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정보부(200)는 외부 서버(Y)로부터 전송 받은 컨트롤러(X)의 이벤트 발생 정보를 분석하여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외부 서버(Y)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체이고, 포스 피드백 장치(1)는 정보부(200)를 이용하여 서버(Y)로부터 단편적인 정보인 이벤트 발생 정보를 얻고, 이를 분석하여 포스 피드백을 생성하고, 생성된 포스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외부 서버(Y)에서 포스 피드백과 관련된 모든 연산을 수행하여 일방적으로 포스 피드백 장치(1)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포스 피드백 장치(1)는 컨트롤러(X)와의 결합과 외부 서버(Y)로부터 전달받은 포스 피드백 정보에 따라 단순히 포스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만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설명에서 설명하는 포스 피드백 장치(1)의 정보부(200)가 수행하는 기능과 절차들은 외부 서버(Y)에서도 수행될 수 있고, 정보부(200) 자체가 외부 서버(Y)에 존재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부(200)는 컨트롤러(X)에서 버튼 입력 이벤트, 터치 이벤트 및 위치 변경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리적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파악하여 컨트롤러(X)의 이벤트 발생 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어떠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그 크기는 얼마인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이벤트 발생 정보와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에 포함되는 이벤트는 전술한 버튼 입력 이벤트, 터치 이벤트 및 위치 변경 이벤트 외에도 온도 변화 데이터 압력 변화 데이터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외에도 얼마든지 발생 가능한 이벤트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해야 한다.
변환부(300)는 정보부(200)의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에 따라 결합부(100)를 자유상태 또는 제어상태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변환부(300)는 별도의 동력 발생 유닛(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동력 발생 유닛(도시하지 않음)은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자유상태란 외력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상태로서, 사용자가 포스 피드백 장치(1)를 특정 관절 부위에 장착한 경우에도 자의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상태를 일컫는다. 변환부(300)는 특별한 동력을 제공하지 않는 등의 방법을 통하여 결합부(100) 및 포스 피드백 장치(1)를 자유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상태란 포스 피드백 장치(1)가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포스 피드백 장치(1)가 장착된 사용자의 특정 신체가 제어되는 상태를 일컫는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포스 피드백 장치(1)를 특정 관절 부위에 장착한 경우 변환부(300)가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사용자가 특정 관절 부위를 이용하여 변환부(300)가 제공하는 동력 이상의 힘을 포스 피드백 장치(1)에 가하지 않는 이상 임의로 움직일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변환부(300)가 특정 동력을 특정 방향으로 결합부(100)에 제공하게 되면, 포스 피드백 장치(1) 전체가 일정한 힘을 받아 특정한 방향으로 동작되는 상태가 되므로, 포스 피드백 장치(1)가 장착된 사용자의 관절 부위 역시 포스 피드백 장치(1)가 동작하는 방향으로 함께 움직이게 된다.
변환부(300)가 결합부(100)와 포스 피드백 장치(1)를 자유상태 또는 제어상태로 변환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방법 및 형태는 전술한 방법 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데이터 분류 모듈(410), 피드백 생성 모듈(420) 및 피드백 전달 모듈(430)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분류 모듈(410)은 정보부(200)의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전송 받아 특정 변화 정보에 따라 분류하고, 피드백 생성 모듈(420)은 데이터 분류 모듈(410)에서 분류된 데이터를 토대로 각기 다른 포스 피드백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피드백 전달 모듈(430)은 피드백 생성 모듈(420)에서 생성된 포스 피드백을 포스 피드백 장치(1)의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특정 변화 정보란 일정한 변화에 따른 정보를 의미하며 예컨대, 충격 변화 정보, 감각 변화 정보 및 위치 변화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데이터 분류 모듈(410)은 전술한 충격 변화 정보, 감각 변화 정보 및 위치 변화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정보부(200)가 분석하여 생성한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데이터 분류 모듈(410)은 충격 변화 정보에 따른 충격 변화 데이터, 감각 변화 정보에 따른 감각 변화 데이터 및 위치 변화 정보에 따른 위치 변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로 전술한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피드백 생성 모듈(420)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데이터 분류 모듈(410)에서 분류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포스 피드백을 각기 달리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포스 피드백을 제공하는 형태를 다양화 함으로써 더욱 실감나는 가상 현실 시스템을 체험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피드백 생성 모듈(420)은 데이터 분류 모듈(410)에서 분류된 데이터가 충격 변화 데이터인 경우, 충격 횟수, 충격 지속 시간 및 충격의 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제공 횟수, 제공 시간, 제공 진동의 세기 및 제공 저항의 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다른 포스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 생성 모듈(420)은 데이터 분류 모듈(410)에서 분류된 데이터가 감각 변화 데이터인 경우 온도의 차이 또는 압력의 세기를 기준으로 하여 제공 온도 또는 제공 압력의 세기가 다른 포스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으며, 데이터 분류 모듈(410)에서 분류된 데이터가 위치 변화 데이터인 경우 이동 횟수, 이동 거리, 변위 및 회전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제공 위치 변동 횟수, 제공 이동량 및 제공 회전량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다른 포스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 중 일정 기준에 해당하는 충격 횟수, 충격 지속 시간, 충격 세기, 온도의 차이, 압력의 세기, 이동 횟수, 이동 거리, 변위 및 회전 횟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일부 실시예일 뿐이며, 피드백 생성 모듈(420)은 얼마든지 다른 기준을 토대로 각기 다른 포스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분류 모듈(410)에서 분류된 데이터가 충격 변화 데이터인 경우, 정보부(200)는 외부 서버(Y)로부터 전송 받은 컨트롤러(X)의 이벤트 발생 정보를 토대로 생성한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는 컨트롤러(X)의 충격을 몇 회 감지하였는지, 그 지속 시간은 얼마인지, 그 세기는 얼마인지 각종 단위와 기준을 설정하여 이벤트 분석 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피드백 생성 모듈(420)은 이를 바탕으로 포스 피드백을 몇 회 제공할 것인지, 제공 시간을 얼마로 할 것인지, 그 세기는 얼마로 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포스 피드백을 여러 개 생성할 수 있다. 기준과 단위는 다양하게 변형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데이터 분류 모듈(410)에서 분류된 데이터가 감각 변화 이벤트라면, 그 감각이 온도 변화인지, 압력의 변화인지를 그 변화량은 얼마인지 등이 정보부(200)의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에 측정될 수 있고, 피드백 생성 모듈(420)은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포스 피드백의 온도와 압력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고 피드백 전달 모듈(430)은 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데이터 분류 모듈(410)에서 분류된 데이터가 위치 변화 데이터인 경우 위치 이동 횟수가 얼마인지, 그 이동 거리나 변위는 얼마인지, 또 회전한 경우 회전 횟수. 회전량 등은 얼마인지에 관한 정보는 다양한 기준과 단위를 이용하여 정보부(200)의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에 생성 및 포함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피드백 생성 모듈(420)은 위치 이동 횟수, 이동량, 회전량 등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다수의 포스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으며 피드백 전달 모듈(430)은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8.08.2017]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피드백 방법(이하 “포스 피드백 방법(2)”)의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제어 단계(S500)의 세부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포스 피드백 방법(2)은 전술한 포스 피드백 장치(1)를 이용한 포스 피드백 방법으로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획득 단계(S200), 정보 분석 단계(S300), 상태 변환 단계(S400) 및 피드백 제어 단계(S500)를 포함하며, 컨트롤러 장착 단계(S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 장착 단계(S100)는 결합부(100)가 수행하는 절차로 컨트롤러(X)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포스 피드백 장치(1)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과정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컨텐츠 조작용 컨트롤러(X1, X2, X3)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여러 결합 방법을 채택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정보 획득 단계(S200)는 정보부(200)가 수행하는 절차로서 컨트롤러(X)와 연동된 외부 서버(Y)로부터 컨트롤러(X)의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전송 받는 과정을 말하며, 컨트롤러(X)의 세부 정보 역시 전송 받을 수 있다.
컨트롤러(X) 세부 정보에는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듯이, 컨트롤러의 기능 정보, 조작 정보, 작동 정보, 외형 정보, 크기 정보, 무게 정보, 부피 정보, 버튼 정보, 부품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될 수 있다.
정보 분석 단계(S300) 역시 정보부(200)가 수행하는 절차로서 정보 획득 단계(S200)를 통해 획득한 컨트롤러(X)의 이벤트 발생 정보를 분석하고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말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듯이, 구체적으로 정보부(200)가 수행하는 정보 분석 단계(S300)는 컨트롤러(X)의 이벤트 발생 정보를 토대로 컨트롤러(X)에서 버튼 입력 이벤트, 터치 이벤트 및 위치 변경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리적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상태 변환 단계(S400)는 변환부(300)가 수행하는 절차로서, 정보 분석 단계(S300)의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에 따라 포스 피드백 장치(1)를 자유상태 또는 제어상태로 변환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자유상태와 제어상태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피드백 제어 단계(S500)는 제어부(400)가 수행하는 절차로서, 정보 분석 단계(S300)의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에 따라 상태 변환 단계(S400)에서 포스 피드백 장치(1)를 제어상태로 변환한 경우, 포스 피드백 장치(1)가 정보 분석 단계(S300)의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에 대응하는 포스 피드백을 생성 및 제공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8.08.2017] 
이러한 피드백 제어 단계(S500)는 세부 절차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과 데이터 획득 과정(S510), 데이터 분류 과정(S520), 피드백 생성 과정(S530) 및 피드백 전달 과정(S540)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 데이터 획득 과정(S510)은 제어부(400)가 정보 분석 단계(S300)를 통해 생성된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이고, 데이터 분류 과정(S520)은 데이터 분류 모듈(410)이 결과 데이터 획득 과정(S510)에서 획득한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특정 변화 정보에 따라 분류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피드백 생성 과정(S530)은 피드백 생성 모듈(420)이 정보 분석 단계(S300)를 통해 생성된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에 대응하는 포스 피드백을 생성하는 과정이고, 피드백 전달 과정(S540)은 포스 피드백 장치(1)의 사용자에게 피드백 생성 과정(S530)에서 생성된 포스 피드백을 제공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 분류 과정(S520)에서 말하는 특정 변화 정보는, 충격 변화 정보, 감각 변화 정보 및 위치 변화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분류 과정(S520)은, 전술한 충격 변화 정보, 감각 변화 정보 및 위치 변화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충격 변화 정보에 따른 충격 변화 데이터, 상기 감각 변화 정보에 따른 감각 변화 데이터 및 상기 위치 변화 정보에 따른 위치 변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로 정보 분석 단계(S300)를 통해 생성된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피드백 생성 과정(S530)은 피드백 생성 모듈(420)에 의해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데이터 분류 과정(S520)에서 분류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포스 피드백을 각기 달리 생성할 수 있고, 예컨대 데이터 분류 과정(S520)에서 분류된 데이터가 충격 변화 데이터인 경우, 충격 횟수, 충격 지속 시간 및 충격의 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제공 횟수, 제공 시간, 제공 진동의 세기 및 제공 저항의 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다른 포스 피드백을 생성하고, 데이터 분류 과정(S520)에서 분류된 데이터가 감각 변화 데이터인 경우 온도의 차이 또는 압력의 세기를 기준으로 하여 제공 온도 또는 제공 압력의 세기가 다른 포스 피드백을 생성하며, 데이터 분류 과정(S520)에서 분류된 데이터가 위치 변화 데이터인 경우 이동 횟수, 이동 거리, 변위 및 회전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제공 위치 변동 횟수, 제공 이동량 및 제공 회전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다른 포스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8.08.2017]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피드백 장치(1) 및 방법(2)이 실제 구현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8.08.2017]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포스 피드백 장치(1)를 손목 부위에 착용한 후 포스 피드백 장치(1) 결합부(100)에 컨트롤러(X)가 결합될 수 있다. 이후 정보부(200)가 외부 서버(Y)를 통해 컨트롤러(X)의 이벤트 발생 정보와 컨트롤러(X) 세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8.08.2017] 
도 7에서는 사용자가 손목 부위에 포스 피드백 장치(1)를 착용하였으나, 포스 피드백 장치(1)는 사용자의 발목을 포함하는 다양한 사용자 신체 관절 부위에 착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컨트롤러(X)에 버튼 입력 이벤트, 터치 이벤트, 위치 변화 이벤트 등의 물리적 이벤트가 발생하면 컨트롤러(X)와 연동된 외부 서버(Y)를 통해 정보부(200)는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이벤트 발생 정보를 토대로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정보부(200)가 생성한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토대로 변환부(300)는 결합부(100) 및 포스 피드백 장치(1)를 자유상태 또는 제어상태로 변환할 수 있다.
만약, 포스 피드백 장치(1)가 제어상태로 변환된 경우 제어부(400)는 정보부(200)의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에 대응하는 포스 피드백을 특정 변화 정보와 일정한 기준에 따라 각기 달리 생성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8.08.2017]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컨트롤러(X)에 버튼 입력 이벤트와 위치 변경 이벤트인 물리적 이벤트가 발생하였고, 포스 피드백 장치(1)는 외부 서버(Y)로부터 상기 물리적 이벤트가 포함된 컨트롤러(X)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전송 받아 전술한 특정 변화 정보인 충격 변화 정보와 위치 변화 정보를 기준으로 충격 변화 정보에 따른 충격 변화 데이터와 위치 변화 정보에 따른 위치 변화 데이터로 분류하였으며, 그에 따라 제어부(400)는 포스 피드백을 생성 및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포스 피드백 장치(1)의 위치를 변화시키고, 사용자에게 진동 또는 충격을 전달한다. 도7의 701은 이러한 일련의 절차를 의미하는 것이다.
진동 또는 충격의 세기와 지속시간은 앞서 설명하였듯이 다양한 기준과 단위를 적용하여 변형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포스 피드백 장치(1)가 장착된 사용자의 손목 부위의 위치가 변경되고, 사용자에게 충격이 전달되어 사용자의 관절이 꺾이는 등 사용자는 더욱 현실감 있는 가상 현실 기술을 체험할 수 있다.
종래의 가상 현실 시스템은 외부 서버(Y)와 연동된 컨트롤러(X)의 크기와 무게가 한계를 지니므로, 외부 서버(Y)가 컨트롤러(X)를 통해 사용자에게 포스 피드백을 제공하는 데에도 그 세기나 지속 시간 등에 제한이 존재하였으나, 포스 피드백 장치(1) 및 포스 피드백 방법(2)을 이용하면, 포스 피드백 장치(1)와 결합 가능한 컨트롤러(X)는 무게나 크기 및 형태에 있어서 제한이 없으므로, 포스 피드백 제공 크기나 세기 또는 포스 피드백 제공 방법 등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즉, 포스 피드백 방법의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다.
또한 포스 피드백 장치(1)는 어떠한 형태의 컨트롤러(X)와도 물리적으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고, 포스 피드백 장치(1)는 컨트롤러(X)와는 전기적인 연동이 불필요하므로, 포스 피드백 장치(1)는 장치의 제작 비용 및 설치 효율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는 위의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에서 함께 기술되었다.
본 발명은 포스 피드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포스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적용 가능하고, 반복 가능성이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15)

  1. 컨텐츠 조작용 컨트롤러와 사용자 신체에 착탈 가능한 포스 피드백 장치를 이용하여 포스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스 피드백 장치가 상기 컨트롤러와 연동된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컨트롤러의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전송 받는 정보 획득 단계;
    상기 포스 피드백 장치가 상기 정보 획득 단계를 통해 획득한 상기 컨트롤러의 이벤트 발생 정보를 분석하고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보 분석 단계;
    상기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에 따라 상기 포스 피드백 장치를 자유상태 또는 제어상태로 변환하는 상태 변환 단계; 및
    상기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에 따라 상기 상태 변환 단계에서 상기 포스 피드백 장치를 제어상태로 변환한 경우, 상기 포스 피드백 장치가 상기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에 대응하는 포스 피드백을 제공하는 피드백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 피드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 피드백 장치에 상기 컨트롤러가 결합되는 컨트롤러 장착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 장착 단계는,
    상기 컨트롤러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포스 피드백 장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 피드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획득 단계는,
    상기 포스 피드백 장치가 상기 컨트롤러와 연동된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컨트롤러의 이벤트 발생 정보 및 상기 컨트롤러의 세부 정보를 전송 받는 과정이되,
    상기 컨트롤러의 세부 정보는,
    상기 컨트롤러의 기능 정보, 조작 정보, 작동 정보, 외형 정보, 크기 정보, 무게 정보, 부피 정보, 버튼 정보 및 부품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 피드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 단계는,
    상기 컨트롤러의 이벤트 발생 정보를 토대로 상기 컨트롤러에서 버튼 입력 이벤트, 터치 이벤트 및 위치 변경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리적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분석하여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 피드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제어 단계는,
    상기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획득하는 결과 데이터 획득 과정;
    상기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에 대응하는 포스 피드백을 생성하는 피드백 생성 과정; 및
    상기 포스 피드백 장치의 사용자에게 상기 피드백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포스 피드백을 제공하는 피드백 전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 피드백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제어 단계는,
    상기 결과 데이터 획득 과정에서 획득한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특정 변화 정보에 따라 분류하는 데이터 분류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생성 과정은,
    상기 데이터 분류 과정에서 분류된 데이터에 따라 각기 다른 포스 피드백을 생성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 피드백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변화 정보는,
    충격 변화 정보, 감각 변화 정보 및 위치 변화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데이터 분류 과정은,
    상기 충격 변화 정보, 감각 변화 정보 및 위치 변화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충격 변화 정보에 따른 충격 변화 데이터, 상기 감각 변화 정보에 따른 감각 변화 데이터 및 상기 위치 변화 정보에 따른 위치 변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로 상기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 피드백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생성 과정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데이터 분류 과정에서 분류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포스 피드백을 각기 달리 생성하되,
    상기 데이터 분류 과정에서 분류된 데이터가 충격 변화 데이터인 경우, 충격 횟수, 충격 지속 시간 및 충격의 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제공 횟수, 제공 시간, 제공 진동의 세기 및 제공 저항의 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다른 포스 피드백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분류 과정에서 분류된 데이터가 감각 변화 데이터인 경우 온도의 차이 또는 압력의 세기를 기준으로 하여 제공 온도 또는 제공 압력의 세기가 다른 포스 피드백을 생성하며,
    상기 데이터 분류 과정에서 분류된 데이터가 위치 변화 데이터인 경우 이동 횟수, 이동 거리, 변위 및 회전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제공 위치 변동 횟수, 제공 이동량 및 제공 회전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다른 포스 피드백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 피드백 방법.
  9. 사용자 신체에 착탈이 가능한 포스 피드백 장치에 있어서,
    제어 대상인 컨텐츠 조작용 컨트롤러가 장착되는 결합부;
    상기 컨트롤러와 연동된 외부서버로부터 상기 컨트롤러의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전송 받고 분석하여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보부;
    상기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에 따라 상기 결합부를 자유상태 또는 제어상태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에 따라 상기 변환부에서 상기 결합부를 제어상태로 변환한 경우, 상기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에 대응하는 포스 피드백을 생성 및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 피드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부는,
    상기 컨트롤러와 연동된 외부서버로부터 상기 컨트롤러의 컨트롤러 세부 정보 및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전송 받고 분석하여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컨트롤러 세부 정보는,
    상기 컨트롤러의 기능 정보, 조작 정보, 작동 정보, 외형 정보, 크기 정보, 무게 정보, 부피 정보, 버튼 정보, 부품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 피드백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부는,
    상기 컨트롤러에서 버튼 입력 이벤트, 터치 이벤트 및 위치 변경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리적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파악하여 상기 컨트롤러의 이벤트 발생 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 피드백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부의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전송 받아 특정 변화 정보에 따라 분류하는 데이터 분류 모듈;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에서 분류된 데이터를 토대로 각기 다른 포스 피드백을 생성하는 피드백 생성 모듈; 및
    상기 피드백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포스 피드백을 상기 포스 피드백 장치의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피드백 전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 피드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변화 정보는 충격 변화 정보, 감각 변화 정보 및 위치 변화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은 상기 충격 변화 정보, 감각 변화 정보 및 위치 변화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충격 변화 정보에 따른 충격 변화 데이터, 상기 감각 변화 정보에 따른 감각 변화 데이터 및 상기 위치 변화 정보에 따른 위치 변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로 상기 이벤트 분석 결과 데이터를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 피드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생성 모듈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에서 분류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포스 피드백을 각기 달리 생성하되,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에서 분류된 데이터가 충격 변화 데이터인 경우, 충격 횟수, 충격 지속 시간 및 충격의 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제공 횟수, 제공 시간, 제공 진동의 세기 및 제공 저항의 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다른 포스 피드백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에서 분류된 데이터가 감각 변화 데이터인 경우 온도의 차이 또는 압력의 세기를 기준으로 하여 제공 온도 또는 제공 압력의 세기가 다른 포스 피드백을 생성하며,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에서 분류된 데이터가 위치 변화 데이터인 경우 이동 횟수, 이동 거리, 변위 및 회전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제공 위치 변동 횟수, 제공 이동량 및 제공 회전량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다른 포스 피드백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 피드백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 피드백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중 손목 관절, 발목 관절 및 목 관절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관절 부위 중 어느 한 관절 부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 피드백 장치.
PCT/KR2017/007373 2017-07-07 2017-07-11 포스 피드백 장치 및 방법 WO201900945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86566 2017-07-07
KR10-2017-0086566 2017-07-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09455A1 true WO2019009455A1 (ko) 2019-01-10

Family

ID=64951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7373 WO2019009455A1 (ko) 2017-07-07 2017-07-11 포스 피드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900945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5615A (zh) * 2019-06-03 2019-09-24 华北科技学院 力反馈仿真数据的生成方法及力反馈仿真系统
CN113842634A (zh) * 2021-09-27 2021-12-28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扳机按键的力反馈控制方法、装置、电子产品及介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9203A (ko) * 2008-08-08 2010-02-18 한국과학기술원 에이잭스를 활용을 위한 햅틱 피드백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01379A (ko) * 2009-11-18 2012-09-13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아메리카 엘엘씨 이동 감응 제어기를 통한 휴대용 장치의 상호작용
KR20130030727A (ko) * 2011-09-19 2013-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40011540A (ko) * 2012-07-03 2014-01-29 한국화학연구원 이온 교환방법에 의한 액체 및 기체의 선택적 분리용 무기막 제조방법
KR20150123307A (ko) * 2013-02-28 2015-11-03 페이스북, 인크. 모듈식 외골격 힘 피드백 컨트롤러
KR20160081809A (ko) * 2014-12-31 2016-07-08 임머숀 코퍼레이션 증강 및 가상 현실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햅틱 향상 객체들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9203A (ko) * 2008-08-08 2010-02-18 한국과학기술원 에이잭스를 활용을 위한 햅틱 피드백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01379A (ko) * 2009-11-18 2012-09-13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아메리카 엘엘씨 이동 감응 제어기를 통한 휴대용 장치의 상호작용
KR20130030727A (ko) * 2011-09-19 2013-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40011540A (ko) * 2012-07-03 2014-01-29 한국화학연구원 이온 교환방법에 의한 액체 및 기체의 선택적 분리용 무기막 제조방법
KR20150123307A (ko) * 2013-02-28 2015-11-03 페이스북, 인크. 모듈식 외골격 힘 피드백 컨트롤러
KR20160081809A (ko) * 2014-12-31 2016-07-08 임머숀 코퍼레이션 증강 및 가상 현실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햅틱 향상 객체들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5615A (zh) * 2019-06-03 2019-09-24 华北科技学院 力反馈仿真数据的生成方法及力反馈仿真系统
CN110275615B (zh) * 2019-06-03 2023-03-10 华北科技学院 一种力反馈仿真数据的生成方法及一种力反馈仿真系统
CN113842634A (zh) * 2021-09-27 2021-12-28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扳机按键的力反馈控制方法、装置、电子产品及介质
CN113842634B (zh) * 2021-09-27 2024-02-27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扳机按键的力反馈控制方法、装置、电子产品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14155A1 (en) A head mounted dipslay and method of outputting a content using the same
WO2017146531A1 (ko) 객체 컨트롤러
WO201915179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EP2912514A1 (en) Head mounted display and method of outputting audio signal using the same
EP3108289A1 (en) Head mounted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1025198A1 (ko)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
WO2020184769A1 (ko) 햅틱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햅틱 피드백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9009455A1 (ko) 포스 피드백 장치 및 방법
WO2010085007A1 (ko) 진동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동 방법
WO2022080548A1 (ko) 라이다 센서를 이용한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
WO2012165882A2 (ko) 재활 운동 장치, 착용형 통신 장치 및 이를 응용한 응용 시스템 및 방법
EP3214529A1 (en) Wireless control device, position calibrator and accessory
JP2005107758A (ja) 保全システムおよび情報共有システム
EP2944153A1 (en)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earph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7073850A1 (ko)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WO2018076454A1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其相关设备
Luo et al. Towards robot avatars: Systems and methods for teleinteraction at avatar xprize semi-finals
WO2012102442A1 (ko) Pc 기반의 모듈형 휴머노이드 로봇 플랫폼
WO2013073912A1 (ko) 복수의 액추에이터를 가상 물체의 속도에 따라 주파수를 변화시키며 순차 구동하되 감지되는 진동 자극의 위치가 연속적으로 변하는 영역을 생성하며 이동 진동파를 구현하는 이동 진동파 생성 방법
WO2018044059A1 (ko) 피트니스 모니터링 시스템
WO2019112093A1 (ko) 포스 피드백 콘트롤 장치 및 방법
CN112313042B (zh) 远程操作系统
WO2016032226A1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tion chair based on physical data of audience
WO2022005027A1 (ko) 전자 장치와 연결된 히어러블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1045386A1 (ko) 크래들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9165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9165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