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176A - 패드 자동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패드 자동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9176A
KR20130029176A KR1020110092404A KR20110092404A KR20130029176A KR 20130029176 A KR20130029176 A KR 20130029176A KR 1020110092404 A KR1020110092404 A KR 1020110092404A KR 20110092404 A KR20110092404 A KR 20110092404A KR 20130029176 A KR20130029176 A KR 20130029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pad
coupled
gripper
coupl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석
Original Assignee
김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석 filed Critical 김진석
Priority to KR1020110092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9176A/ko
Publication of KR20130029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1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23P19/027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26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operation of relatively movable members; 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of such members
    • B23Q1/28Means for securing sliding members in any desir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드 자동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 후, 좌, 우, 상, 하로 각각 이송되는 이송수단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승강작동부; 상기 고정프레임에 슬라이드결합되어 제1승강작동부에 의해 승강 작동하는 탄성작동부; 상기 탄성작동부의 승강 작동에 따라 연동작동하는 연동작동부; 상기 연동작동부의 상측에 구성되며, 연동작동부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승강 작동하는 가이더를 구성한 제2승강작동부; 상기 연동작동부의 하부에 결합설치되는 중공형 탄성그립퍼; 상기 제2승강작동부의 가이더에 결합설치되며, 가이더의 승강 작동에 따라 탄성그립퍼의 외경에서 상,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탄성그립퍼를 조이거나 탄성그립퍼의 조임을 해제하는 가압작동부;로 이루어져 패드의 결합이 자동으로 이루어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이용하면, 가압작동부의 승강운동에 따라 작동하는 탄성그립퍼를 이용하여 패드를 전자제품의 케이스에 충격 발생 없이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압을 이용하여 패드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으며, 패드 결합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패드 자동 결합장치{The pad fixing device}
본 발명의 패드 자동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압작동부의 승강운동에 따라 작동하는 탄성그립퍼를 이용하여 패드를 전자제품의 케이스에 충격 발생 없이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압을 이용하여 패드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으며, 패드 결합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패드 자동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이나 비디오 및 세트박스와 같은 전자제품에는 케이스의 하부 모서리 부근에 받침역할을 하는 미끄럼방지용 패드가 설치되며, 이로 인해 낙하가 방지되어 파손 또는 안전사고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미끄럼방지용 패드는 통상적으로 접착제에 의해 시트지에 부착설치되어 있거나, 후방 결합을 위한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시트지에 부착되어 있는 미끄럼방지용 패드는 미끄럼방지용 패드를 시트지에서 떼어낸 후, 작업자가 미끄럼방지용 패드에 형성된 접착부를 전자제품의 케이스에 일일이 부착하는 방법이 통상적으로 이용되었고, 돌기가 형성된 미끄럼방지용 패드는 작업자가 미끄럼방지용 패드를 잡은 상태에서 전자제품의 케이스에 형성된 결합홈에 일일이 끼우는 방법이 통상적으로 이용되었으며, 이를 위하여 전자제품의 케이스를 통상의 컨베이어를 통해 일정속도로 이송되도록 한 후, 여러 명의 작업자가 지속적인 작업을 수행해야만 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단순작업의 반복수행을 신속하게 처리해야 함으로 작업자가 느끼는 피로가 클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실수가 발생할 경우, 빠른 속도로 이송되는 전자제품의 케이스에 미끄럼방지용 패드를 제대로 부착하지 못하거나 제대로 끼우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지속적인 검사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인건비의 문제로 인한 작업속도에 한계가 발생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미끄럼방지용 패드를 보다 손쉽고 빠르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패드 자동 결합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제1승강작동부에 승강 작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제2승강작동부의 승강 작동에 따라 가압작동부에 의해 탄성그립퍼가 조여지거나 조임이 해제되기 때문에 패드를 손쉽게 고정결합하여 전자제품의 케이스에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탄성작동부의 구성로 인해 제1승강작동부의 하강운동에 따른 충격으로부터 케이스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패드 자동 결합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동작동부에 설치된 통기관을 통해 공압을 분사하거나, 상기 통기관을 승강시킬 수 있기 때문에 탄성그립퍼에 고정설치된 패드를 전자제품의 케이스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공발생기와 센서에 의해 패드가 탄성그립퍼에 정확히 설치된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공압주입부와 통기관 사이에 구성되는 탄성체에 의해 패드 결합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패드 자동 결합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패드 자동 결합장치는 전, 후, 좌, 우, 상, 하로 각각 이송되는 이송수단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승강작동부; 상기 고정프레임에 슬라이드결합되어 제1승강작동부에 의해 승강 작동하는 탄성작동부; 상기 탄성작동부의 승강 작동에 따라 연동작동하는 연동작동부; 상기 연동작동부의 상측에 구성되며, 연동작동부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승강 작동하는 가이더를 구성한 제2승강작동부; 상기 연동작동부의 하부에 결합설치되는 중공형 탄성그립퍼; 상기 제2승강작동부의 가이더에 결합설치되며, 가이더의 승강 작동에 따라 탄성그립퍼의 외경에서 상,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탄성그립퍼를 조이거나 탄성그립퍼의 조임을 해제하는 가압작동부;로 이루어져 패드의 결합이 자동으로 이루어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패드 자동 결합장치는 제1승강작동부에 승강 작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제2승강작동부의 승강 작동에 따라 가압작동부에 의해 탄성그립퍼가 조여지거나 조임이 해제되기 때문에 패드를 손쉽게 고정결합하여 전자제품의 케이스에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탄성작동부의 구성로 인해 제1승강작동부의 하강운동에 따른 충격으로부터 케이스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동작동부에 설치된 통기관을 통해 공압을 분사하거나, 상기 통기관을 승강시킬 수 있기 때문에 탄성그립퍼에 고정설치된 패드를 전자제품의 케이스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공발생기와 센서에 의해 패드가 탄성그립퍼에 정확히 설치된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공압주입부와 통기관 사이에 구성되는 탄성체에 의해 패드 결합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패드 자동 결합장치가 설치된 전체구성도.
도 2, 3는 본 발명의 패드 자동 결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패드 자동 결합장치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패드 자동 결합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공압장치와 진공발생기가 구성된 본 발명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탄성그립퍼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탄성지지대를 이용하여 패드를 고정설치하는 작동상태도.
도 9는 브라켓에 본 발명의 다수로 설치된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패드 자동 결합장치가 패드가 부착된 시트지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이 이송장치에 의해 하강하여 탄성그립퍼가 시트지에 밀착됨과 동시에, 제2승강작동부의 하강작동으로 가압작동부가 탄성그립퍼를 조여 패드가 고정설치되는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이 이송장치의 상승작동하여 탄성그립퍼에 고정설치된 패드가 시트지에서 떼어지는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이 이송장치에 의해 하강하여 탄성그립퍼에 고정설치된 패드를 케이스에 결합하는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승강작동부의 상승운동으로 가압작동부가 탄성그립퍼의 조임을 해제하여 탄성그립퍼에 의해 패드의 고정설치가 해제되는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승강작동부의 상승운동으로 탄성그립퍼가 케이스에서 이격되는 상태도.
도 16은 밀폐볼과 제3탄성체가 구성되어 본 발명이 작동하는 상태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 후, 좌, 우, 상, 하로 이동되는 이송장치(9)에 설치되어 승강 작동을 함으로써, 시트지(2)에 부착된 패드(1)를 떼어낸 후, 떼어낸 패드(1)를 컨베이어(8)를 통해 공급되는 전자제품의 케이스(3)에 자동으로 결합하거나, 돌기(미도시)가 형성된 패드를 잡아 전자제품의 케이스에 자동으로 결합하기 위한 패드 자동 결합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고정프레임(10)과, 제1승강작동부(20)와, 탄성작동부(30)와, 연동작동부(40)와, 제2승강작동부(50)와, 탄성그립퍼(60)와, 가압작동부(70)로 구성된다.
첫째, 고정프레임(10)은 통상의 브라켓(7)을 통하여 전, 후, 좌, 우, 상, 하로 이송되는 이송장치(9)에 결합되어 이송장치(9)의 움직임에 따라 전, 후, 좌, 우, 상, 하로 움직이는 통상의 설치프레임으로, 탄성작동부(30)가 슬라이드 결합되는 가이드홈(11)을 구성하고 있다.
둘째, 제1승강작동부(20)는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고정프레임(10)의 가이드홈(11)에 슬라이드결합된 탄성작동부(30)를 승강시키는 작용을 하며, 설치의 용이성을 위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부에 결합되어 고정 설치되는 제1실린더(21)와, 상기 제1실린더(21)에 의해 승강 작동하며 끝단이 탄성작동부(30)에 결합설치되는 제1로드(22)로 구성되는 것에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는 상기 제1승강작동부(20)를 통상의 실린더와 로드의 구성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 외에도 모터와 볼스크류에 의해 승강 작동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는 것과 같이 공지된 통상의 구성으로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셋째, 탄성작동부(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가이드홈(11)에 슬라이드결합된 상태로 제1승강작동부(20)의 제1로드(22)에 결합되어 승강 작동하는 구성으로, 몸체(33)와, 승강조절축(35)과, 커버(36)와, 제1탄성체(37)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탄성작동부(3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몸체(33)는 상기 고정프레임(10)에 슬라이드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1승강작동부(20)의 제1로드(22)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제1로드(22)의 승강작동에 따라 고정프레임(10)의 가이드홈(11)을 따라 승강작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33)에는 고정프레임(10)의 가이드홈(11)에 슬라이드결합되는 가이드돌기(33a)가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몸체(33)의 내부에는 슬라이드홈(32)이 상, 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데, 상기 슬라이드홈(33)의 중간부분에는 승강조절축(35)의 하강을 제한하는 제1단턱(31)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승강조절축(35)은 상기 슬라이드홈(32)에 삽입설치된 상태로 끝단 부분이 볼트와 같은 통상의 결합수단에 의해 연동작동부(40)에 결합설치되는 구성으로, 외력 발생시 충격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도록 슬라이드홈(32)에서 상, 하로 슬라이드 작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몸체(33)에 형성된 제1단턱(31)에 안착되는 제1걸림턱(34)이 구성되어 있어 승강조절축(35)이 몸체(33)에서 이탈되지 않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커버(36)는 상기 몸체(33)의 상부에 구성된 슬라이드홈(32)에 결합되어 슬라이드홈(32)을 밀폐하는 구성이다.
또한, 제1탄성체(37)는 상기 몸체(36)에 구성된 슬라이드홈(32)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같은 구성으로, 승강조절축(35)의 제1걸림턱(34)과 커버(36) 사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양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승강조절축(35)이 몸체(33)의 제1단턱(31)에서 이격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아울러, 상기 제1탄성체(37)는 승강조절축(35)에 외력이 전해졌을 경우, 상기 승강조절축(35)이 제1탄성체(37)의 탄성력에 의해 부드러운 슬라이드 이동을 하도록 하는 작용을 하여 파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며, 외력이 사라졌을 경우에는, 탄성복귀력에 의해 승강조절축(35)의 위치를 초기상태로 복귀시는 작용을 한다.
넷째, 연동작동부(40)는 상기 탄성작동부(30)의 승강조절축(35)에 결합되어 탄성작동부(30)의 승강 작동에 따라 연동하는 작동하는 구성으로, 제2승강작동부(50)의 승강 작동을 위해 안내홀(미도시)이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다섯째, 제2승강작동부(50)는 설치플레이트를 통하여 상기 연동작동부(40)의 상측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연동작동부(40)에 관통형성된 안내홀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승강 작동하는 가이더(53)를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승강작동부(50)는 설치플레이트를 통하여 상기 연동작동부(40)의 상측에 설치 구성되는 제2실린더(51)와, 상기 제2실린더(51)에 의해 승강 작동하는 제2로드(5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로드(52)에는 상기 연동작동부(40)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가이더(53)가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는 상기 제2승강작동부(50)를 통상의 실린더와 로드의 구성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 외에도 모터와 볼스크류에 의해 승강 작동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는 것과 같이 공지된 통상의 구성으로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연동작동부(40)와 제2승강작동부(50) 사이에는 패드(1)를 더욱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성인 공압주입부(8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고압주입부(80)에는 연동작동부(40)의 안내홀에 대응되는 안내홀(미도시)이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제2승강작동부(50)의 가이더(53)가 슬라이드결합되어야만 하며, 이때에, 상기 제2승강작동부(50)는 설치플레이트(50a)를 통하여 상기 공압주입부(80)의 상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공압주입부(80)에는 공압장치(82)에 연결되어 공압을 공압주입부(80)로 주입하는 연결라인(81)이 연결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데, 상기 연결라인(81)의 연결설치를 위해 공압주입부(80)에는 연결홀(80a)이 구성되며, 상기 공압주입부(80)의 하측에는 상기 연결홀(80b)에 연결되어 연결홀(80b)로 공급되는 공압을 하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공간부(80c)가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연동작동부(40)와 탄성그립퍼(50)의 내부에는 공압주입부(80)로 공급된 공압을 통공(84)을 통해 분사하는 통기관(85)이 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연동작동부(40)에는 통기관(85)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홈(4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기관(85)이 연동작동부(40)와 탄성그립퍼(50)의 내부에 용이하게 안착지지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연동작동부(40)에 형성된 설치홈(42)에는 제2단턱(43)을 형성하고, 상기 통기관(85)의 상부에는 제2걸림턱(8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동작동부(40)의 제2단턱(43)과 통기관(85)의 제2걸림턱(86) 사이에는 스프링과 같은 제2탄성체(88)가 설치되어 상기 제2탄성체(88)가 통기관(85)의 외경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통기관(85)이 제2탄성체(88)에 의해 부드럽게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공압주입부(80)에 구성된 공간부(80c)에는 통기관(85)의 상측에 위치하여 공압이 분사되는 통공(84)을 밀폐하는 밀폐볼(87)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게 함으로써, 공압 주입에 따라 통기관(85) 자체가 승강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상기 통기관(85)이 전술한 제2탄성체(88)에 의해 받쳐져 지지되도록 하여야만 한다.
그리고, 이때에는, 상기 제2걸림턱(86)의 외주면에 통상의 패킹(86a)이 설치함으로써, 제2걸림턱(86)과 설치홈(42) 사이의 틈새를 통해 공압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압주입부(80)로 공압이 공급되면, 밀폐볼(87)에 의해 통기관(85)이 하측으로 압력을 받게 되어 제2탄성체(88)가 압축되면서 통기관(85)이 하강하는 작용이 일어나며, 공압 공급이 해제되면, 제2탄성체(88)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통기관(85)이 초기상태로 복귀된다.
아울러, 상기 제2탄성체(88)에 의해 탄성 복귀되는 통기관(85)은 제2탄성력(88)에 의해 튕기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공압주입부(80)에 구성된 공간부(80c)의 크기를 제2걸림턱(86)의 크기보다 작게 하는 것으로 간단히 이룰 수 있을 것이며, 상기 공간부(80c)에 스프링과 같은 제3탄성체(95)를 설치하는 것으로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압주입부(80)에는 진공센서(92)가 설치된 진공발생기(93)가 진공라인(91)에 의해 연결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연결설치는 상기 공압주입부(80)에 구성된 연결라인(81)에 진공라인(91)을 연결구성하는 것을 통해 간단히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탄성그립퍼(60)의 조임에 따라 탄성그립퍼(60)에 고정설치되는 패드(1)에 의해 통기관(85)에 형성된 통공(84)이 밀폐되는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오작동이나 기타 이유에 의해 패드(1)가 탄성그립퍼(60)에 제대로 고정설치되지 않거나 패드(1)의 고정설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통기관(85)의 통공(84)이 밀폐되지 않으므로, 상기 통기관(85)과 공압주입부(80) 및 연결라인(81)과 진공라인(91)에 진공이 형성되지 않으며, 이러한 상태는 진공발생기(83)에 설치된 진공센서(92)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에 의한 신속한 조치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압주입부(80)의 내부에는 공압주입부(80)와 통기관(85)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같은 제3탄성체(9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탄성그립퍼(60)의 조임에 따라 상기 탄성그립퍼(60)에 고정설치되는 패드(1)가 통기관(85)의 하부에 완전히 밀착결합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로써, 상기 통기관(85)에 형성된 통공(84)의 밀폐가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작용은 상기 제3탄성체(95)에 의해 통기관(85)이 탄성그립퍼(60) 보다 하측으로 돌출되게 하거나, 통기관(85)의 돌출길이를 탄성그립퍼(60)의 돌출길이보다 덜 돌출하되, 통기관(85)과 탄성그립퍼(60)의 끝단의 이격거리가 패드(1)의 두께보다는 작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에 따르면, 제3탄성체(95)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그립퍼(60)에 고정설치된 패드(1)에 통기관(85)의 끝단이 자동적으로 밀착되어 통공(84)의 밀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여섯째, 탄성그립퍼(60)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1)를 잡아 고정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진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볼트결합과 같은 통상의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연동작동부(40)의 하부에 결합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그립퍼(60)는 가압작동부(70)의 하강작동에 의해 조여질 수 있음과 동시에, 가압작동부(70)의 상승작동에 의해 탄성그립퍼(60)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어 자동적으로 탄성 복귀될 수 있도록 상협하광의 형태 즉, 중공형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수의 이격홈부(61)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에는 연동작동부(40)의 하부에 결합되는 체결부(62)를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연동작동부(40)에는 탄성그립퍼(60)의 더욱 견고한 설치를 위하여 탄성그립퍼(60)의 체결부(62)를 고정하는 체결수단(44)이 더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일곱째, 가압작동부(70)는 상기 제2승강작동부(50)의 가이더(53)에 결합설치되는 구성으로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탄성그립퍼(60)의 외경에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승강작동부(50)에 구성된 가이더(53)의 승강 작동에 따라 탄성그립퍼(60)의 외경에서 상,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가압작동부(70)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그립퍼(60)를 조이는 작용을 하여 탄성그립퍼(60)가 패드(1)를 고정설치하게 되고, 가압작동부(7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그립퍼(60)의 조임을 해제되어 패드(1)의 고정이 해제됨으로 상기 패드(1)가 탄성그립퍼(60)에서 이탈되게 된다.
한편,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그립퍼(60)의 양측에는 시트지에 부착된 패드(1)를 탄성그립퍼(60)를 이용하여 떼어낼 때에 시트지(2)의 들림 현상 없이 패드가 떼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탄성지지대(14)의 구성을 추가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탄성지지대(14)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탄성지지대(14)의 설치를 위해서는, 상기 고정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브라켓(13)을 구성하고, 상기 설치브라켓(13)에 탄성지지대(14)를 결합하는 구성으로 상기 탄성지지대(14)를 탄성그립퍼(60)의 양측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상기 설치브라켓(13)은 고정프레임(10)에 ㄱ자 형상으로 결합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때에는, 탄성그립퍼(60)를 통한 패드(1)의 고정설치시 패드(1)가 부착된 시트지 또는, 탄성그립퍼(60)에 고정설치되지 않는 또 다른 패드 즉, 탄성그립퍼(60)가 고정설치하는 패드(1)의 양 옆에 위치한 패드가 탄성지지대(14)가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탄성지지대(14)의 높이가 탄성그립퍼(60)의 높이보다는 조금 낮은 위치에 있어야만 한다. 여기서 말한 탄성그립퍼(60)의 높이는 제1승강작동부(20)가 상승작동된 상태의 높이를 말한다.
아울러, 상기 탄성지지대(14)는, 고정몸체(15)와, 상기 고정몸체(15)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축(16)과, 상기 축(16)의 끝단에 결합설치되는 고정구(17)와, 상기 축(16)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몸체(15)와 고정구(17) 사이에 밀착설치되는 탄성부재(18)와, 상기 축(16)에 결합되어 축(16)의 하강높이를 제한하는 걸림부재(19)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걸림부재(19)의 구성은 상기 축(16)에 결합되어 고정몸체(15)에 걸리는 스냅링과 같은 통상의 구성으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패드 자동 결합장치(100)는 도 1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제품의 케이스(3)에 패드(1)를 보다 빠르게 결합할 수 있도록 이송장치(9)에 다수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설치는 이송장치(9)에 결합되는 브라켓(7)에 본 발명을 다수로 설치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브라켓(7)에 다수로 결합설치하면, 다수의 패드(1)를 한번에 고정설치한 후, 이송장치(9)의 전, 후, 좌, 우, 상, 하 이동에 따라 패드(1)를 전자제품의 케이스에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패드 자동 결합장치(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장치(9)의 전, 후, 좌, 우 이송에 따라 패드(1)가 부착된 시트지(2)의 상측에 위치된 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장치(9)의 상, 하 이송에 따라 시트지(2)에 부착된 패드(1)에 밀착되게 되어 패드(1)를 탄성그립퍼(60)로 고정설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탄성그립퍼(60)를 이용한 패드(1)의 고정설치에 대한 작동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장치(9)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이송장치(9)에 결합된 브라켓(7)이 하강하게 되어 본 발명의 하강운동이 일어나며, 이로 인해 하나의 패드(1)가 중공형 탄성그립퍼(6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태로 탄성그립퍼(60)가 시트지(2)에 밀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그립퍼(60)가 시트지(2)에 밀착될 때에는, 본 발명의 하강 운동에 따라 충격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충격은 탄성작동부(30)에 구성된 제1탄성체(37)에 의해 흡수되므로, 본 발명 및 시트지(2)가 안착된 부분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패드(1)가 탄성그립퍼(6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 후에는, 제2승강작동부(50)가 하강운동하는 작용이 일어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승강작동부(50)의 가이더(53)에 결합된 가압작동부(70)가 탄성그립퍼(60)의 외경에서 하측방향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작동부(70)의 하강 이송에 따라 탄성그립퍼(60)가 조여지게 되어 탄성그립퍼(60)의 내부에 위치된 패드(1)가 탄성그립퍼(60)에 의해 고정설치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패드(1)의 고정설치가 이루어진 후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장치(9)의 상승운동이 일어나 탄성그립퍼(60)에 고정설치된 패드(1)가 시트지(2)에서 떼어지게 지게 되며, 이 후, 이송장치(9)의 전, 후, 좌, 우, 상, 하 이송에 따라 상기 이송장치(9)에 결합된 본 발명의 패드 자동 결합장치(100)가 컨베이어(8)를 통해 자동으로 이송되는 전자제품의 케이스(3) 상측에 위치하게 된 다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승강작동부(20)의 하강운동에 따라 탄성그립퍼(60)에 고정설치된 패드(1)를 전자제품의 케이스(3)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8)에는 전자제품의 케이스(3)를 정해진 위치로 고정설치하는 구성이 설치되어 있음은 당연하며, 이러한 구성은 공지된 통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시트지(2)에서 패드(1)를 떼어내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패드(1)가 부착된 시트지(2)는 통상의 고정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설치해야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탄성그립퍼(60)의 양측 방향에 탄성지지대(14)를 구성하는 것으로, 시트지(2)의 고정설치를 이룰 필요가 없게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탄성지지대(14)에 의한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장치(9)의 하강운동에 따라 탄성그립퍼(60)가 시트지(2)에 밀착될 때에는 상기 탄성그립퍼(60)의 양측에 위치한 탄성지지대(14)도 시트지(2) 또는 상기 시트지(2)에 부착되어 탄성그립퍼(60)의 양측에 위치한 패드(1')에 밀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지지대(14)는 탄성그립퍼(60) 보다 조금 더 하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탄성지지대(14)의 탄성부재(18)가 압축되면서 시트지(2)의 움직임을 완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탄성그립퍼(60)가 하나의 패드(1)를 고정설치한 후 이송장치(9)의 상승작동이 일어나면, 탄성지지대(14)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탄성그립퍼(60)가 고정설치된 패드(1)를 시트지에서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패드(1)를 전자제품의 케이스(3)에 결합하는 것에 대한 작동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승강작동부(20)가 하강작동하면, 상기 제1승강작동부(20)의 제1로드(22)에 결합된 탄성작동부(30)가 고정프레임(10)에서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탄성작동부(30)의 승강조절축(35)에 결합된 연동작동부(40)가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연동작동부(40)에 결합된 탄성그립퍼(60)가 하강운동하게 되어 패드(1)가 고정설치된 탄성그립퍼(60)의 끝단이 전자제품의 케이스(3)에 밀착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탄성그립퍼(60)의 끝단에 결합된 패드(1)의 접착부분이 케이스(3)에 접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그립퍼(60)가 케이스(3)에 밀착될 때에는, 하강 운동에 따라 충격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충격은 탄성작동부(30)에 구성된 제1탄성체(37)에 의해 흡수되므로, 본 발명이 구성품 및 전자제품의 케이스(3)에는 충격이 가해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파손이 방지되게 된다.
그 후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승강작동부(50)의 작동에 의해 가이더(53)가 상승작동하는 작용이 일어남과 동시에 상승작동하는 가이더(53)에 의해 가압작동부(70)가 탄성그립퍼(60)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탄성그립퍼(60)의 조임이 해제된다. 따라서, 탄성복귀력에 의해 상기 탄성그립퍼(60)가 초기상태로 복귀되어 패드의 고정설치가 해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패드(1)가 전자제품의 케이스(3)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설치가 해제된 다음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장치(9) 및 제1승강작동부(20)의 상승작동이 일어나며, 이 후, 전술한 작동이 지속적으로 반복되어 패드(1)의 자동 결합이 연속적으로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연동작동부(40)와 제2승각작동부(50) 사이에는 연결라인(81)을 통해 공압장치(82)에 연결되어 공압이 주입되는 공압부입부(80)를 구성하고, 상기 연동작동부(40)와 탄성그립퍼(60)의 내부에는 공압주입부(80)로 주입된 공압을 통공(84)을 통해 분사하는 통기관(85)을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전자제품의 케이스(3)에 패드(1)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패드(1)를 견고하게 결합하는데에 사용된다.
다시 말해서, 탄성그립퍼(60)가 전자제품의 케이스(3)에 밀착되었을 때부터 패드(1)의 결합이 완료되어 이송장치(9) 및 제2승강작동부(50)의 상승작용이 일어날 때까지 공압장치(82)에서 공급되는 공압을 통기관(85)을 통해 패드(1)의 상측으로 분사하는 작업을 하는 것으로, 패드(1)의 상측에 압력을 가해 패드(1)를 케이스(3)에 견고히 결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공압이 주입되는 구성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기관(85)의 상부에 위치한 공압주입부(80)의 공간부(80c)에 설치되어 통기관(85)에 형성된 통공(84)을 밀폐하는 밀폐볼(87)을 구성함으로써, 통기관(85)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며, 이로써, 공압이 아닌 통기관(85) 자체로 패드에 압력을 가할 수도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공압주입부(80)에 진공라인(91)에 의해 진공센서(92)가 설치된 진공발생기(93)가 연결되어 있을 때에는, 밀폐 여부에 따른 진공상태를 확인하여 패드(1) 결합에 따른 오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작동은 시트지(2)에 부착된 패드(1)를 탄성그립퍼(60)로 고정설치할 때에 탄성그립퍼(60)에 의해 고정설치된 패드(1)가 통기관(85)의 통공(84)을 밀폐하는 여부를 확인하는 것, 즉, 진공발생기(93)에 의해 통공(84)과 공압주입부(80)의 내부 및 연결라인(81)과 진공라인(91)에 진공이 형성되는 여부를 감지하는 진공센서(92)에 의한 것이며,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면, 오작동 또는 패드의 미설치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작업자가 신속하게 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압주입부(80)에 형성된 공간부(80c)에 제3탄성체(95)를 형성하는 것으로, 탄성그립퍼(60)에 패드(1)가 고정설치될 때에 패드(1)의 상부에 통기관(85)이 밀착되게 하는 작동을 보다 손쉽게 이룰 수도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하면, 패드(1)의 고정설치에 따른 오작동이 최소화된다.
또한, 돌기가 형성된 패드를 전자제품의 케이스에 결합시킬 때에는, 상기 패드가 시트지에 부착되는 것이 아닌, 고정판넬과 같은 고정수단에 패드의 돌기가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패드를 전자제품의 케이스에 결합하는 방법은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적용하여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특정 실시 예를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특정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할 것이고, 이러한 변화가 모두 본 특허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첨부된 청구범위를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1 : 패드 2 : 시트지
3 : 케이스 8 : 컨베이어
9 : 이송장치 10 : 고정프레임
11 : 가이드홈 20 : 제1승강작동부
21 : 제1실린더 22 : 제1로드
30 : 탄성작동부 31 : 제1단턱
32 : 슬라이드홈 33 : 몸체
33a : 가이드돌기 34 : 제1걸림턱
35 : 승강조절축 36 : 커버
37 : 제1탄성체 40 : 연동작동부
42 : 제2설치홈 43 : 제2단턱
44 : 체결수단 40 : 제2승강작동부
50a : 설치플레이트 51 : 2실린더
52 : 제2로드 53 : 가이더
60 : 탄성그립퍼 61 : 이격홈부
62 : 체결부 70 : 가압작동부
80 : 공압주입부 80b : 연결홀
80c : 공간부 81 : 연결라인
82 : 공압장치 84 : 통공
85 : 통기관 86 : 제2걸림턱
86a : 패킹 87 : 밀폐볼
88 : 제2탄성체 91 : 진공라인
92 : 진공센서 93 : 진공발생기
100 : 패드 자동 결합장치

Claims (12)

  1. 전, 후, 좌, 우, 상, 하로 각각 이송되는 이송수단(9)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0);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승강작동부(20);
    상기 고정프레임(10)에 슬라이드결합되어 제1승강작동부(20)에 의해 승강 작동하는 탄성작동부(30);
    상기 탄성작동부(30)의 승강 작동에 따라 연동작동하는 연동작동부(40);
    상기 연동작동부(40)의 상측에 구성되며, 연동작동부(40)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승강 작동하는 가이더(53)를 구성한 제2승강작동부(50);
    상기 연동작동부(40)의 하부에 결합설치되는 중공형 탄성그립퍼(60);
    상기 제2승강작동부(50)의 가이더(53)에 결합설치되며, 가이더(53)의 승강 작동에 따라 탄성그립퍼(60)의 외경에서 상,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탄성그립퍼(60)를 조이거나 탄성그립퍼(60)의 조임을 해제하는 가압작동부(70);로 이루어져 패드(1)의 결합이 자동으로 이루어는 것에 특징이 있는 패드 자동 결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작동부(20)는,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실린더(21)와, 상기 제1실린더(21)에 의해 승강 작동하며 끝단이 탄성작동부(30)에 결합설치되는 제1로드(22)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패드 자동 결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작동부(30)는,
    상기 고정프레임(10)에 슬라이드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1승강작동부(20)에 결합설치되며, 제1단턱(31)이 형성된 슬라이드홈(32)을 관통구성한 몸체(33);
    일측이 상기 몸체(33)의 제1단턱(31)에 안착되도록 제1걸림턱(34)을 구성하고, 타측이 연동작동부(40)에 결합설치되는 승강조절축(35);
    상기 몸체(33)의 슬라이드홈(32)에 결합되는 커버(36);
    상기 몸체(36)에 구성된 슬라이드홈(32)에 삽입되되, 승강조절축(35)의 제1걸림턱(34)과 커버(36) 사이에 밀착되어 탄성작동하는 제1탄성체(37);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패드 자동 결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승강작동부(50)는 연동작동부(40)의 상측에 구성되는 제2실린더(51)와, 상기 제2실린더(51)에 의해 승강 작동하는 로드(52)를 구성하며, 상기 로드(52)에는 상기 연동작동부(40)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가이더(53)가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패드 자동 결합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작동부(40)와 제2승강작동부(50) 사이에는 연결라인(81)을 통해 공압장치(82)에 연결되어 공압이 주입되는 공압주입부(8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연동작동부(40)와 탄성그립퍼(60)의 내부에는 공압주입부(80)로 주입된 공압을 통공(84)을 통해 분사하는 통기관(85)이 삽입설치된 것에 특징이 있는 패드 자동 결합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주입부(80)의 하측에 설치되는 통기관(85)의 상부에는 제2걸림턱(86)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통기관(85)의 외경에는 제2걸림턱(86)을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체(88)가 끼워져 상기 제2탄성체(88)가 제2걸림턱(86)과 연동작동부(40) 사이에 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패드 자동 결합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주입부(80)에는 통기관(85)의 상측에 위치하여 공압이 분사되는 통공(84)을 밀폐하는 밀폐볼(87)이 더 포함구성되어 공압의 주입 여부에 따라 상기 통기관(85)이 승강 작동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패드 자동 결합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주입부(80)에는 상기 탄성그립퍼(60)의 조임에 따라 탄성그립퍼(60)에 고정설치되는 패드(1)에 의해 통기관(85)에 형성된 통공(84)이 밀폐되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진공센서(92)가 설치된 진공발생기(93)가 진공라인(91)에 의해 연결설치된 것에 특징이 있는 패드 자동 결합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주입부(80)의 내부에는 공압주입부(80)와 통기관(85) 사이에 설치되는 제3탄성체(95)가 더 포함구성되어 탄성그립퍼(60)의 조임에 따라 상기 탄성그립퍼(60)에 고정설치되는 패드(1)가 통기관(85)의 하부에 밀착결합되어 상기 통기관(85)에 형성된 통공(84)의 밀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는 패드 자동 결합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그립퍼(60)는 중공형 원뿔대 형상을 지닌 상협하광의 형태로 형성되되, 탄성력을 지니도록 이격홈부(61)가 다수로 구성되며, 연동작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체결부(62)가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패드 자동 결합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0)에는 설치브라켓(13)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설치브라켓(13)에는 탄성지지대(14)가 탄성그립퍼(6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결합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패드 자동 결합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대(14)는, 고정몸체(15)와, 상기 고정몸체(15)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축(16)과, 상기 축(16)의 끝단에 결합설치되는 고정구(17)와, 상기 축(16)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몸체(15)와 고정구(17) 사이에 밀착설치되는 탄성부재(18)와, 상기 축(16)에 결합되어 축(16)의 하강높이를 제한하는 걸림부재(19)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패드 자동 결합장치.
KR1020110092404A 2011-09-14 2011-09-14 패드 자동 결합장치 KR201300291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404A KR20130029176A (ko) 2011-09-14 2011-09-14 패드 자동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404A KR20130029176A (ko) 2011-09-14 2011-09-14 패드 자동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176A true KR20130029176A (ko) 2013-03-22

Family

ID=48179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404A KR20130029176A (ko) 2011-09-14 2011-09-14 패드 자동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917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40031A (zh) * 2014-11-28 2015-03-25 深圳市共进电子股份有限公司 自动压脚垫机
CN104907803A (zh) * 2015-06-23 2015-09-16 吴中区横泾博尔机械厂 全自动电料压装机的压装机构
CN105081734A (zh) * 2014-04-23 2015-11-25 康硕电子(苏州)有限公司 压合装置及其操作方法
CN105758348A (zh) * 2015-12-31 2016-07-13 东莞鸿图精密压铸有限公司 全自动压销、检测一体机
CN105945557A (zh) * 2016-05-20 2016-09-21 苏州博众精工科技有限公司 取放装置
CN106799579A (zh) * 2017-03-10 2017-06-06 陈琼瑜 一种阀芯压盖自动组装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81734A (zh) * 2014-04-23 2015-11-25 康硕电子(苏州)有限公司 压合装置及其操作方法
CN104440031A (zh) * 2014-11-28 2015-03-25 深圳市共进电子股份有限公司 自动压脚垫机
CN104907803A (zh) * 2015-06-23 2015-09-16 吴中区横泾博尔机械厂 全自动电料压装机的压装机构
CN104907803B (zh) * 2015-06-23 2017-01-25 吴中区横泾博尔机械厂 全自动电料压装机的压装机构
CN105758348A (zh) * 2015-12-31 2016-07-13 东莞鸿图精密压铸有限公司 全自动压销、检测一体机
CN105758348B (zh) * 2015-12-31 2018-09-18 东莞鸿图精密压铸有限公司 全自动压销、检测一体机
CN105945557A (zh) * 2016-05-20 2016-09-21 苏州博众精工科技有限公司 取放装置
CN106799579A (zh) * 2017-03-10 2017-06-06 陈琼瑜 一种阀芯压盖自动组装装置
CN106799579B (zh) * 2017-03-10 2019-02-22 陈琼瑜 一种阀芯压盖自动组装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9176A (ko) 패드 자동 결합장치
US8523255B2 (en) Suction apparatus equipped with ejector
JP5869005B2 (ja) 吸着ノズル及びその異常検出装置
KR101288098B1 (ko) 서랍식패널을 이용한 연성회로기판용 보강판 프레스 장치
CN105269554A (zh) 一种能够消除偏移程序累积误差的机器人手爪
JP6340065B2 (ja) 粘着テープ封函機
CN109048655B (zh) 卡盘工作台
US20190078272A1 (en) Device for compacting a substrate
KR20110113104A (ko) 라벨 그리퍼
CN107718565A (zh) 一种汽车控制板热熔组装设备
KR20160002285A (ko) 자동 와셔 압입 장치
KR20040102290A (ko) 실린더 헤드 누수시험용 플러그 검출장치
CN113733724B (zh) 一种印刷机用真空平台及其使用方法
KR20090094700A (ko) 밸브 스템 씰 압입장치
KR20120085948A (ko) 테스트핸들러의 픽앤플레이스장치용 픽킹모듈
CN207712736U (zh) 集装箱全自动锁的拆装装置
KR20050097628A (ko) 스터드 코킹프레스의 스터드자동공급설비
KR101195938B1 (ko) 보강재 부착 장치
TWI627359B (zh) Diaphragm type operator and test classification equipment thereof
CN217102066U (zh) 一种多功能吸盘上下模组
EP1502974A3 (en) Yarn twisting machine comprising a yarn package supply
CN106975900A (zh) 红钢片分料机构
JP6226378B2 (ja) 部品移送方法
KR200474273Y1 (ko) 연속식 하역기의 체인 고정장치
CN219135707U (zh) 取料装置及具有其的转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