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8217A - 원통형 회전브러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원통형 회전브러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8217A
KR20130028217A KR1020110091595A KR20110091595A KR20130028217A KR 20130028217 A KR20130028217 A KR 20130028217A KR 1020110091595 A KR1020110091595 A KR 1020110091595A KR 20110091595 A KR20110091595 A KR 20110091595A KR 20130028217 A KR20130028217 A KR 20130028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washing
cylindrical
dish
dish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1449B1 (ko
Inventor
서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텍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텍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텍콤
Priority to KR1020110091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449B1/ko
Publication of KR20130028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37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47L17/08Pads; Balls of steel wool, wire, or plastic mesh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두 개의 원통형 회전브러시가 회전하면서 식기를 세척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는 세척하고자 하는 식기를 하우징(1)의 슬릿에 삽입하여 누르면, 식기의 하변이 식기받침(5)의 식기가이드에 닿아 스프링이 신장하면서 식기는 계속 아래로 내려가고, 이때 분사장치(4)는 세척액을 식기의 내면과 외면에 분사하고, 2개의 원통브러시(3)가 회전하면서 식기의 내면과 외면을 세척한다. 식기를 누른 후 누르는 힘을 약하게 하면, 신장되었던 식기받침(5)의 스프링이 복원되면서 식기를 끌어올리고, 식기가 올라오는 동안에도 원통브러시(3)는 회전하면서 각각 식기의 내면과 외면을 세척한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브러시를 이용하여 식기를 세척하므로, 사람이 단순히 식판을 하우징의 슬릿에 삽입하여 눌렀다가 누르는 힘을 빼고 올라오는 식판을 슬릿에세 제거하기만 하면 식판의 전면과 후면이 세척된다.

Description

원통형 회전브러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Washing up Machine Having Cylindrical Type Rotating Brush}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세척대의 상면에 식기를 삽입하는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롯으로 식기를 삽입하여 누르면 하부에 있는 두 개의 원통형 회전브러시가 회전하면서 식기를 세척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학교급식 등과 같은 대규모 집단급식이 많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대규모 집단 급식은 사용과 세척의 편리성에 기하여 넓은 판에 주식과 부식을 분리하여 담을 수 있는 식판(Tray)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식판과 같이 큰 식기를 통상적으로 사람이 손이나 행주로 문질러 세척을 하는데, 작업능률이 낮고 또한 아주 힘드는 작업이 수반된다. 특히 최근 우리나라 음식은 육류, 생선 등과 같이 지방함량이 많은 식재료를 많이 사용하고, 튀김, 부침개 등과 같이 기름을 많이 사용하는 음식이 많아짐에 따라 식기의 세척하는 작업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인력에 의하지 않고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자동 식기세척기가 많이 개발되어 있는데, 대부분 세척하고자 하는 식기를 밀폐된 용기 속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를 배열한 다음, 물과 세제를 분사하면서 세척하는 분사식 식기세척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분사식 식기세척기는 물의 소비가 지나치게 많고, 깊이가 깊은 식기가 잘 세척되지 않고, 또한 세척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 10-2011-0090535호 애벌 식판 세척장치는 고압 분사 세척부와 고속 회전 세척부를 이용하여 본 설거지 전에 식판에 부착되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을 제거하는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장치에 관한 것인데, 식판 투입구를 통하여 엎어진 상태로 투입되는 식판을 일정한 속도로 식판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식판 이동부, 식판 이동부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식판에 고압으로 물을 분사하는 고압 분사 세척부, 그리고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식판의 전면 또는 후면을 세척하는 고속 회전 세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애벌 식판 세척장치는 장치가 복잡하고, 이송하는 식기가 분사 세척부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물과 고속 회전 세척부의 회전 브러시에 의하여 식판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세척이 이루어질지 의문이다.
국내 등록특허 10-0920336호의 식판자동세척기는 래치편과 받침편을 갖는 체인콘베이어의 상방에 상하부 안내레일홈을 갖는 안내레일부를 설치하여서, 받침편에 얹히고 래치편에 걸려진 상태의 횡방 직립된 식판이 체인콘베이어에 의해 안내레일홈을 따라 이송되게 구성하고, 이송중의 식판이 애벌세척실내에 설치된 한 쌍 이상의 회전브러쉬 사이를 가로지르며 세척액 분사구에서 분사된 세척액와 함께 브러쉬와 접촉하며 세척된 후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식판자동세척기 전자동으로 작동하는 대형의 복잡한 장치로서, 고가이고 부피가 크고, 물의 소모가 아주 많을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이러한 대형 장치는 아주 큰 규모의 식당에서 사용하기는 적합할지라도, 소규모의 식당에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상기와 같이 식판과 같이 큰 식기를 세척하는 것은 아주 힘들고 능률이 오르지 않는데, 지금까지 알려진 자동화된 식기 세척기들은 복잡한 구조의 고가 장비로서,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물과 세제의 소비가 지나치게 많고, 표면에 요철이 있거나 깊이가 깊은 식기의 세척이 어려우며, 또한 세척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는 상면에 식기를 세워서 삽입할 수 있는 슬롯(11)이 구비된 육면체 상자 형상의 하우징(1),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세척이 일어나는 세척통(2), 상기 세척통(2)의 내부에 장착되어 식기를 세척하는 것으로서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2개의 원통브러시(3), 세척을 위하여 식기에 세제가 첨가된 물인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장치(4), 상기 세척통(2)의 내부 바닥에 장착되어 상기 슬롯으로 투입된 식기의 하변을 받쳐주는 식기받침(5), 그리고 상기 하우징(1)에 장착되어 상기 원통브러시(3)를 회전시키는 모터(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서, 세척하고자 하는 식기를 사람이 손으로 잡고 하우징(1)의 슬릿(11)에 삽입하여 누르면, 식기의 하변이 식기받침(5)의 식기가이드에 닿아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식기는 계속 아래로 내려가고, 이때 분사장치(4)는 세척액을 식기의 내면과 외면에 분사하고, 2개의 원통브러시(3)가 회전하면서 각각 식기의 내면과 외면을 세척한다.
식기의 상변이 상기 원통브러시(3)에 이를 때까지 식기를 누른 후 누르는 힘을 서서히 약하게 하면, 압축되었던 식기받침(5)의 스프링이 복원되면서 식기를 밀어올리고, 식기가 밀려 올라오는 동안에도 원통브러시(3)는 회전하면서 각각 식기의 내면과 외면을 세척한다. 식기가 충분히 올라오면 식기를 손으로 잡고 슬롯(11)에 서 제거한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전동 브러시를 이용하여 식기를 세척하므로, 사람이 단순히 식판을 하우징의 슬릿에 삽입하여 눌렀다가 누르는 힘을 빼고 올라오는 식판을 슬릿에세 제거하기만 하면 식판의 전면과 후면이 세척된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는 세척모가 서로 어긋나게 교차하는 두 개의 브러시가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사이에서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므로, 식기에 가해지는 힘이 서로 상쇄되어 식판과 같이 넓은 식기를 안전하게 세척할 수 있고, 식기에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의 모든 면을 빈틈없이 고르게 문질러 청결한 세척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는 소형이며 구조가 아주 간단하여,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설치공간을 크게 차지하지 않고, 사용이 편리하고, 고장의 염려가 적어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의 외형도이다.
도 2는 식기세척기의 정면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식기세척기의 측면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세척통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원통브러시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6은 원통브러시 상세도이다.
도 7은 식기받침 설치부위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는 도 1의 외형도 및 도 2와 도 3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에 식기를 세워서 삽입할 수 있는 슬롯(11)이 구비된 육면체 상자 형상의 하우징(1),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세척이 일어나는 세척통(2), 상기 세척통(2)의 내부에 장착되어 식기를 세척하는 것으로서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2개의 원통브러시(3), 세척을 위하여 식기에 물과 세제가 첨가된 물인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장치(4), 상기 세척통(2)에 장착되어 상기 슬롯(11)으로 투입된 식기의 하변을 받쳐주는 식기받침(5), 그리고 상기 하우징(1)에 장착되어 상기 원통브러시(3)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에 식기를 세워서 삽입할 수 있는 슬롯(11)이 구비된 육면체 상자 형상의 되고, 전면에 조작반(12)이 구비된다. 그리고 하우징(1)의 하단에 다리(13)를 구비하고, 전면에 도어(14)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조작반(12)에는 식기 세척기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조작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의 슬롯(11)의 길이가 긴 변에는 막음판(15)을 구비하여, 식기 세척 중 세척수가 슬롯(11)을 통하여 외부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막음판(15)은 도 1의 상세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좁고 긴 막음판몸체(151)의 긴 변에 일정 두께로 막음모(152)가 촘촘히 심어진 구조로 제작된다.
상기와 같은 막음판(15)을 사용하면 세척하고자 하는 식기를 슬롯(11)에 삽입할 때 식기에 닿는 막음모(152)만 구부려지면서 식판의 움직임은 자유롭게 하고, 식기에 닿지 않는 막음모(152)는 구부려지지 않아 세척수가 슬롯(11)을 통하여 튀어나오는 것을 막아준다.
세척통(2)은 식기의 세척이 일어나는 통으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의 폭이 넓은 브러시장착부(21)와 하단의 폭이 좁은 식기받침장착부(22)로 구성된다. 브러시장착부(21)와 식기받침장착부(22)는 완만한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연결되게 하여, 세척수가 잘 배출되게 하는 것이 좋고, 식기받침장착부(22)의 바닥에는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23)가 구비된다. 세척통(2)은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스틸 판으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브러시장착부(21)의 양 측면에는 브러시브래킷(24)이 부착되어 세척통(2)에 원통브러시(3)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브러시브래킷(24)에는 베어링(25)을 구비하여 원통브러시(3)의 브러시축(33)이 결합할 수 있게 한다.
브러시장착부(21)의 양 측변 상단, 두 원통브러시(3)가 장착되는 곳의 사이에는 스프링브래킷(26)이 부착되어, 식기받침(5)의 양단을 매다는 인장스프링(55)이 결합된다.
원통브러시(3)는 상기 세척통(2)의 브러시장착부(21) 내부에 장착되어 식기를 세척하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가 나란히 배열되어 하나의 쌍을 이루고,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은 원통브러시(3) 쌍은 상하로 2단 또는 3단으로 배열될 수 있다.
원통브러시(3)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브러시몸체(31), 상기 브러시몸체(31)의 외측면에 연속하여 심어져 있는 세척모(32), 그리고 브러시몸체(31)의 양단으로 돌출하도록 구비되는 브러시축(33)으로 구성된다.
원통브러시(3)의 브러시몸체(31)에 심어지는 세척모(32)는 브러시몸체(31)의 원주방향을 따라 긴 모(321)와 짧은 모(322)가 교대로 환형으로 심어지는데, 두 원통브러시(3)의 긴 모(321)와 짧은 모(322)가 서로 어긋나도록 원통브러시(3)를 설치하여, 두 원통브러시(3)의 긴 모(321)가 서로 교차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브러시몸체(31)에는 짧은 모(322)를 심지 않고 긴 모(321)만 일정 간격으로 환형으로 심어, 두 원통브러시(3)의 긴 모(321)가 서로 어긋나게 교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브러시몸체(31)에 긴 모(321)를 나선형으로 심을 수 있다. 식기 세척용 브러시에 사용되는 세척모(32)는 나일론 또는 PE 재질의 모를 사용할 수 있고, 굵기가 서로 다른 모를 혼합하여 사용하면 세척이 더욱 잘 이루어진다.
브러시축(33)은 브러시몸체(31)의 중심축에 구비되어 양단으로 돌출되는데, 길게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브러시브래킷(23)에 직접 결합되게 할 수도 있으나, 사각 또는 육각홈이 형성된 연장축(331)을 구비하여, 이 연장축(331)을 상기 기 브러시브래킷(23)에 결합하는 것이 원통브러시(3)의 교환이 용이하다. 이 경우 브러시축(33)의 끝은 상기 연장축(331)에 형성된 사각 또는 6각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을 사각 또는 육각으로 한다.
브러시몸체(31)의 중심축에 구비되어 양단으로 돌출되는 두 브러시축(33) 중 어느 하나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시몸체(31)의 끝에 스프링(332)이 내장되는 스프링자리(333)를 구비하고, 이 스프링자리(333)에 브러시축(33)을 결합하여, 브러시축(33)이 축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하면, 원통브러시(3)의 교체가 더욱 용이하다.
분사장치(4)는 상기 원통브러시(3)의 상단에 장착되어 슬롯(11)으로 투입되는 식기의 내, 외면에 물 또는 세척수를 분사한다. 분사장치(4)는 액체를 분사하는 노즐로서, 식기의 내, 외면에 물 또는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투입되는 식기의 양측에 대수 개가 구비된다. 분사장치(4)는 급수관(41)으로 수도관에 직접 연결하여 물을 분사함으로써 식기를 행구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물에 세제를 첨가한 세척수가 담긴 세척수용기(43)에 연결하여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식기를 세척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세척수용기(43)는 펌프(42)를 구비하여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할 수 있게 한다.
분사장치(4)는 상하로 다수 개를 배열하여, 상부의 것은 수도관과 연결하여 물을 분사하게 하고, 하부의 것은 세척수용기(43)과 연결하여 세척액을 분사하게 하여, 세척수로 세척한 식기를 상기 하우징(1)의 슬롯(11)에서 빼내기 직전에 식기에 묻은 세척수를 씻어낼 수가 수 있다.
식기받침(5)은 단면이 ㄷ-자인 채널로서, 상기 세척통(2)의 식기받침장착부(22)에 장착되어 상기 슬롯(11)으로 투입된 식기의 하변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데, 양단에 인장스프링(55)이 결합되어 상기 세척통(2)의 스프링프래킷(27)에 매달린다. 이 식기받침(5)은 인장스프링(55)이 신축함에 따라 세척통(2)의 식기받침장착부(22)에서 세척하고자 하는 식기에 눌려 상하로 운동한다.
식기받침(5)은 양단을 인장스프링(55)으로 매다는 대신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기받침(5)의 하부에 피스톤(51)을 결합하여 세척통(2)의 바닥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압축스프링(53)이 내장된 실린더(52)에 삽입하여, 식기받침(5)의 하단을 압축스프링(53)으로 받쳐줄 수도 있다.
구동모터(6)는 상기 하우징(1)에 장착되어 상기 원통브러시(3)를 회전시키는는 것으로서, 각각의 원통브러시(3)에 구동모터(6)가 구비되어 하나의 구동모터(6)가 하나의 원통브러시(3)를 구동할 수도 있고, 전동장치(61)를 이용하여 하나의 구동모터(6)로 쌍을 이루는 두 원통브러시(3)를 함께 구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전동장치(61)로는 벨트 또는 체인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전동장치(61)의 종류에 따라 구동모터(6)의 축과 원통브러시(3)의 브러시축(33)에 벨트풀리 또는 스프로겟이 구비된다.
하나의 구동모터(6)로 쌍을 이루는 두 원통브러시(3)를 함께 구동하는 경우, 상기 전동장치(61)는 모터풀리와 상기 두 원통브러시(3)에 구비된 브러시풀리에 감겨 돌아가는데, 상기 3개의 풀리가 모두 전동장치(61)에 내접하면, 두 브러시풀리는 모터(6)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식기세척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하우징(1)의 조작반(12)에 구비된 작동 스위치를 이용하여 식기세척기를 가동하면, 모터(6)가 작동하여 원통브러시(3)를 회전시키고, 분사장치(4)는 물 또는 세척수를 식기에 분사한다.
상기와 같은 작동상태에서 세척하고자 하는 식기를 사람이 손으로 잡고 하우징(1)의 슬릿(11)에 삽입하여 누르면, 식기의 하변이 식기받침(5)에 닿아 스프링(55, 53)이 신장 또는 압축되면서 식기는 계속 아래로 내려간다. 이때 분사장치(4)에서 분사된 세척액이 식기의 내면과 외면에 묻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2개의 원통브러시(3)가 회전하면서 각각 식기의 내면과 외면을 세척한다. 세척모(32)가 서로 어긋나게 교차하는 2개의 원통브러시(3)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식판의 내면과 외면에서 하나의 원통브러시(3)의 세척모(32)는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면서 식기를 문지르고, 다른 하나의 원통브러시(3)의 세척모(32)는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면서 식기를 문지르게 되므로 식기에 작용하는 수평방향 힘과 수직방향 힘이 모두 상쇄된다. 따라서 식기를 세척하는 도중에 식기가 크게 요동을 하거나 한쪽으로 밀리는 경우가 없어 안전하게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식기의 상변이 상기 원통브러시(3)에 이를 때까지 식기를 누른 후 누르는 힘을 서서히 약하게 하면, 신장 또는 압축되었던 식기받침(5)의 인장스프링 또는 압축스프링이 복원되면서 식기를 밀어올리게 된다. 이와 같이 식기가 밀려 올라오는 동안에도 원통브러시(3)는 회전하면서 각각 식기의 내면과 외면을 세척한다. 식기가 충분히 올라오면 식기를 손으로 잡고 슬롯(11)에서 제거한다.
분사장치(4)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통(2)의 바닥에 고여 배수구(2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는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사람이 단순히 식판을 하우징(1)의 슬릿(11)에 삽입하여 눌렀다가, 누르는 힘을 빼고 올라오는 식판을 슬릿(11)에서 제거하기만 하면 식판의 전면과 후면이 세척된다.
1 : 하우징, 2 : 세척통, 3 : 원통브러시, 4 : 분사장치,
5 : 식기받침, 6 : 구동모터,
11 : 슬롯 , 12 : 조작반, 13 : 다리, 14 : 도어, 15 : 막음판,
21 : 브러시장착부, 22 : 식기받침장착부, 23 : 배수구,
24 : 브러시브래킷, 25 : 베어링, 26 : 스프링브래킷,
31 : 브러시몸체, 32 : 세척모, 33 : 브러시축,
41 : 급수관, 42 : 펌프, 43 : 세척수용기
51 : 피스톤, 52 : 실린더, 53 : 압축스프링, 55 : 인장스프링,
61 : 전동장치.

Claims (7)

  1. 상면에 식기를 세워서 삽입할 수 있는 슬롯(11)이 구비된 육면체 상자 형상의, 하우징(1);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이 일어나는 통으로서, 상단의 폭이 넓은 브러시장착부(21)와 하단의 폭이 좁은 식기받침장착부(22)로 구성되고, 상기 브러시장착부(21)의 양 측면에는 베어링(25)을 구비한 브러시브래킷(24)이 부착되고, 상기 식기받침장착부(22)의 바닥에는 세척에 사용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수구(21)를 구비한, 세척통(2);
    나란히 배열되어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2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어 상기 세척통(2)의 브러시장착부(21)의 내부에 장착되어 식기를 세척하는 것으로서, 원통형의 브러시몸체(31), 상기 브러시몸체(31)의 외측면에 연속하여 심어져 있는 세척모(32), 그리고 상기 브러시몸체(31)의 양단으로 돌출하도록 구비되는 브러시축(33)으로 구성되고, 상기 브러시축(33)은 상기 세척통(2)의 브러시브래킷(24)에 구비된 베어링(25)에 결합되는, 원통브러시(3);
    상기 원통브러시(3)의 상단에 다수 개가 장착되어 슬롯(11)으로 투입되는 식기의 내, 외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것으로서, 수도관 또는 펌프(42)를 구비한 세척수용기(43)와 급수관(42)으로 연결되어 물 또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장치(4);
    단면이 ㄷ-자인 채널로서, 상기 세척통(2)의 식기받침장착부(22)에 장착되어 상기 슬롯(11)으로 투입된 식기의 하변을 받쳐주는 것으로서, 세척통(2)에 고정된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어, 식기받침장착부(22) 내에서 상하로 운동하는, 식기받침(5);
    그리고, 상기 하우징(1)에 장착되고, 상기 원통브러시(3)의 브러시축(33)에 직접 또는 전동장치(61)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상기 원통브러시(3)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6);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은, 슬롯(11)의 양변에 좁고 긴 막음판몸체(151)에 막음모(152)가 심어진 막음판(15)을 추가로 구비하여, 식기 세척 중 세척수가 슬롯(11)을 통하여 외부로 튀어나오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원통브러시(3)는, 나란히 배열되어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2개가 하나의 쌍을 이룬 것이, 상하로 2단 이상 다단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원통브러시(3)의 브러시몸체(31)에 심어지는 세척모(32)는, 브러시몸체(31)의 원주방향을 따라 긴 모(321)와 짧은 모(322)가 교대로 환형으로 심어지거나, 긴 모(321)만 일정 간격으로 환형으로 심어지거나, 또는 긴 모(321)가 일정 간격으로 나선형으로 심어지고, 두 원통브러시(3)는 긴 모(321)가 서로 교차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6)는 하나를 구비하고, 구동모터(6)의 풀리와 하나의 쌍을 이루는 2개의 원통브러시(3)의 브러시축(33)에 구비된 풀리가 모두 전동장치(61)에 내접하여, 하나의 구동모터(6)로 2개의 원통브러시(3)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통(2)은 상기 브러시장착부(21)의 양 측변 상단에는 스프링브래킷(26)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식기받침(5)을 지지하는 스프링은 식기받침(5)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프래킷(27)에 고정되는 인장스프링(55)으로서;
    식기받침(5)이 인장스프링(55)에 의하여 세척통(2)에 매달리는 형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브러시(3)는, 브러시몸체(31)의 한쪽 끝에 스프링(332)이 내장되는 스프링자리(333)를 구비하고, 이 스프링자리(333)에 스프링(332)을 장착한 후 브러시축(33)을 결합하여, 브러시축(33)이 축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원통브러시(3)의 브러시축(33)은 양단에 브러시축(33)과 분리될 수 있는 연장축(331)을 구비하여, 상기 연장축(331)이 상기 세척통(2)의 브러시브래킷(24)에 구비된 베어링(25)에 결합되어;
    원통브러시(3)의 교환을 용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20110091595A 2011-09-09 2011-09-09 원통형 회전브러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KR101281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595A KR101281449B1 (ko) 2011-09-09 2011-09-09 원통형 회전브러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595A KR101281449B1 (ko) 2011-09-09 2011-09-09 원통형 회전브러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217A true KR20130028217A (ko) 2013-03-19
KR101281449B1 KR101281449B1 (ko) 2013-07-03

Family

ID=48178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595A KR101281449B1 (ko) 2011-09-09 2011-09-09 원통형 회전브러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4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0779A (zh) * 2018-06-15 2018-11-02 辽宁科技大学 一种家用洗碗机
CN112617415A (zh) * 2020-12-04 2021-04-09 丽水市美芦装饰设计有限公司 一种具有清洁和消毒功能的多功能茶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4600B (zh) * 2018-06-15 2021-06-22 山东卓健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餐具清洗消毒装置
US11857132B2 (en) * 2022-01-26 2024-01-02 Whirlpool Corporation Clean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7915A (ja) * 1993-01-22 1994-08-09 Kisoo Kk 容器洗浄機
KR970010431B1 (ko) * 1995-09-27 1997-06-26 장만조 개수통 설치용 식기세척기
JP3040789U (ja) * 1997-02-21 1997-08-26 株式会社ちくし号農機製作所 長靴洗浄機
KR100920336B1 (ko) 2007-12-06 2009-10-08 안희곤 식판자동세척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0779A (zh) * 2018-06-15 2018-11-02 辽宁科技大学 一种家用洗碗机
CN108720779B (zh) * 2018-06-15 2023-11-14 辽宁科技大学 一种家用洗碗机
CN112617415A (zh) * 2020-12-04 2021-04-09 丽水市美芦装饰设计有限公司 一种具有清洁和消毒功能的多功能茶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1449B1 (ko)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5545B2 (en) Rotary dinnerware washing apparatus
KR100935955B1 (ko) 식기세척 장치
KR101253000B1 (ko) 식기세척장치
KR101236067B1 (ko) 고속 식기세척기
KR101281449B1 (ko) 원통형 회전브러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KR100908211B1 (ko)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기
CN106923771A (zh) 自动清洗消毒智能洗碗机
CN101816546A (zh) 餐具清洗机
CN207734120U (zh) 一种家庭用餐具清洗装置
KR101244379B1 (ko) 식판 자동세척기
KR200457697Y1 (ko) 원통형 회전브러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CN203314920U (zh) 超声波分子雾化洗碗机
CN204813747U (zh) 一种商用自动洗碗机
CN204839395U (zh) 一种家用自动洗碗机
CN101273868A (zh) 餐具洗涤方法及设备
KR101397390B1 (ko) 식기형상에 적응하는 회전 수세미
CN201675909U (zh) 餐具清洗机
CN213119207U (zh) 一种厨具表面清洗装置
CN204246094U (zh) 小型快速刷碗机
KR20150039938A (ko) 업다운 방식의 대용량 식기세척기
KR101363604B1 (ko) 식기 세척기
KR101082318B1 (ko) 애벌 식판 세척장치
CN2523340Y (zh) 电脑自动多用途洗菜机
KR101027995B1 (ko) 애벌 설거지용 식판 세척장치
KR101068051B1 (ko) 애벌 식판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