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390B1 - 식기형상에 적응하는 회전 수세미 - Google Patents

식기형상에 적응하는 회전 수세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390B1
KR101397390B1 KR1020110144845A KR20110144845A KR101397390B1 KR 101397390 B1 KR101397390 B1 KR 101397390B1 KR 1020110144845 A KR1020110144845 A KR 1020110144845A KR 20110144845 A KR20110144845 A KR 20110144845A KR 101397390 B1 KR101397390 B1 KR 101397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water
rotating
detergent
tablew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3291A (ko
Inventor
이원태
Original Assignee
이원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태 filed Critical 이원태
Priority to KR1020110144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390B1/ko
Publication of KR20120013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65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for drinking glasses
    • A47L15/006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for drinking glasses with brushes or similar scraping member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쪽은 물과 세제가 가해지고 저속회전하는 설거지용 수세미장치로서, 수도꼭지(3)가 붙고 반원몸통관(5)을 지탱하며 벽에 고정하는 부라켓(4); 반원몸통관의 머리부에 내장되는 모터(2)와; 반원몸통관의 머리부에 결합하는 축 몸통에 일체인 살수통(7); 축 몸통(6)의 상부 및 하부에 2개의 베어링(61)에 결합한 축(62); 상기 축(62) 하단에 결합하는 회전수세미뭉치(1); 상기 살수통(7)에 결합하는 급수관 및 세제연결관(33);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세미뭉치(1)는 2개의 수세미용 탄성 판재를 교차,접착하여 만들되 하단중앙이 공간이고 사방으로 벌려지는 기능으로 수세미의 내측이 식기의 외면에 닿고, 식기 내부는 수세미를 채워 수세미 외측이 닿아 문지르되, 상기 회전수세미의 반원몸통관(5)은 부라켓(4)을 중심으로 하여 90도 회전시킴과 동시 몸통관의 캠으로 마이크로스위치를 작동케 하고, 회전수세미뭉치(1)는 수세미발(11)을 수세미 하부프레임(14)에 끼우고 가장자리에 탄성이 있는 수세미고정발(141) 4개로 축(62)에 고정된 상부회전프레임(13)에 착탈 하여 교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싱크대나 기존 급수전과는 별개로 벽에 고정토록 하며, 회전하는 수세미가 식기에 닿는 면적을 극대화하고 급수및세제연결관(33)으로 세정제와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며, 사용자가 이 회전하는 수세미에 식기를 문질러 세척도록 하는 장치이므로 설거지가 쉽고 회전수세미(1)의 세척이나 정비가 필요할 때는 간단히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형상에 적응하는 회전 수세미{The dishware shapes form accommodable dishwasher}
본 발명은 전동기의 동력으로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회전수 수세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출원번호10-2010-0031253으로 발명의 명칭: 식기형상에 적응하는 회전 수세미(대구시 북구 산격4동 1423-4 이원태)로 출원인이 최초출원한바 있으나,
의견제출통지서(발송번호 9-5-2011-030445093호)에 기한 내 의견서 또는 보정서를 제출치 못하여 거절결정 받고(9-5-2011-044680594호),
2011,08,25자로 재심사요청 보정서를 제출하였으나 최초로 첨부된 명세서 또는 도면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이내가 아니라는 심사경위로 다시 특허거절결정(9-5-2011-050753918호)을 받은바 있습니다.
출원인이 최초출원의 범위를 벗어난 재심사 보정서를 제출한 우를 범해 재출원케 된 발명이며 우선심사신청 사유에서와 같이 제품이 완성단계에 이르른 점을 감안하시어 심사숙고하신 심사를 원합니다.
본 발명은 가정의 주방용 식기 등의 그릇을 세척하는 식기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식기류나 과일 등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자동식기세척기는 분사노즐을 통한 고압분사방식이나 초음파방식으로 되어있어서 전자동으로서 박스형 세척기의 내부 선반에 식기를 적재하고 아랫부분의 회전노즐에서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고 가열하여 건조할 수 있게 한 것이나,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며, 많은 전력과 물소비가 따르므로 소가족인 경우 아파트에 설비가 되어 있어도 사용치 않는 가정이 대부분이며 소량의 식기를 세척하기에는 이를 사용하기가 더 번거로워 아예 손수세미로 설거지하는 것이 보통이다.
수세미에 세제를 묻혀서 수작업으로 식기표면을 닦은 다음, 물로 헹궈 설거지하는 방법은 수세미와 식기를 각각 잡고 인력으로 닦으므로 인해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피부 손상을 유발시키므로 설거지는 어쩔 수 없는 고민이다.
식기는 음식물의 기름 등과 이를 세정하는 세정제로 인해 미끄러우므로 누구라도 식기를 쥐고 수세미를 문지르는 일이 쉽지않음을 안다.
더구나 숟가락,젓가락을 일일이 비누 칠하는 일이 만만치 않다.
본 발명은 회전하는 수세미에 의한 식기 세척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싱크대에 접하며 싱크대의 기존급수꼭지 옆에 직류모터로 회전되는 수세미를 장치하고,
이에 붙인 별도의 급수꼭지에 의해 수량의 조절이 가능케 구성하여 회전하는 수세미에 물과 세제를 공급함으로, 사용자는 식기만 쥐고 회전하는 수세미에 문질러 닦을 수 있고 안전하면서도 능률적인 식기세척이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설거지의 최종공정인 식기 헹굼은 기존의 싱크대 급수꼭지에서 한다.
본 발명은 인력으로 식기를 세척함에 있어 식기의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동력으로 수세미를 회전시키고 필요한 물과 세제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손으로 설거지를 하되 힘과 시간이 절약되는 간단한 식기세척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으며 저전압의 직류를 사용하므로 감전의 염려가 없다.
싱크대와는 별도로 몸체를 벽에 고정하며, 사용시만 싱크대의 용기 중앙에 회전수세미뭉치(1)를 위치시키고 평시에는 90도 젖혀 벽에 붙이는 방법으로 공간이용을 합리화하였다.
본 발명 수세미의 구조가 식기의 내,외면 형상에 적응토록 하여 회전하는 수세미가 식기에 닿는 면적을 극대화 함으로서 단시간 내에 효율적인 세척이 이루어지고 회전수세미(1)의 교환은 수세미 상,하부 걸림구의 삽탈로 간단히 할 수 있다.
회전수세미뭉치(1)가 싱크대 평면에 수직으로 장치되므로 종래 안과 같은 하부나 측면에서 돌출되는 회전수세미나 와이어형의 움직이는 수세미에 비해 물과 세제가 고루 분포하며 사방에 비산(飛散) 이 적다.
수세미의 몸통을 좌,우 90도 회전으로 인해 자동으로 전원이 온/오프(on/off)되며, 종래 사용 후 젖은 수세미를 선반에 얹어 건조 및 보관하던 일이 필요 없고, 싱크대를 다른 용도로 쓸 때 거치적거리지 않는다.
물과 세제의 조절이 용이하고 한꺼번에 세제를 솥아 사용하던 종래에 비해 거품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 숟가락과 젓가락을 한 뭉치 쥐고 회전수세미뭉치(1)의 하단 쪽에 양손으로 잡고 번갈아 돌리며 문지를 수 있으므로 설겆이에서 낱개로 일일이 닦아야하는 이 부분이 한꺼번에 깨끗이 세척된다.
도 1;본 발명의 전체 측 단면도
도 2;본 발명의 정면부 단면도
도 3;본 발명의 회전수세미뭉치 사시도
도 4;본 발명의 수세미뭉치 조립 사시도
도 5;본 발명의 수세미구성 사시도
도 6;본 발명의 싱크대 위에 장치된 회전 수세미가 90도 회전하여 벽에접하는 평면도
도 7;본 발명의 회전 수세미에 식기가 접하는 원리 단면도
안쪽은 요 형이고 바깥쪽은 철 형인 일반적인 식기를 쉽고 효과적으로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시는 싱크대 위에 고정하고 평시에는 90도 젖혀 벽에 붙이는 기능과, 동력원으로는 감속기와 직류전원공급장치를 갖춘 직류모터를 사용한다.
도 7과 같이 내부가 비고 벌어지도록 되어 회전하는 수세미뭉치(1)가 식기의 내,외면에 닿는 면적을 극대화하였으며,감속모터(2)에 의해 저속으로 회전케 하고 사용자가 이에 두 손으로 식기를 잡고 문질러 세척도록 하는 장치인바, 이하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에서와 같이 벽체 고정용 부라켓(4) 하단에 물을 급,단수하는 수도꼭지(3)를 결합하고,
상기 부라켓 상부의 통공(41)에 반원몸통관을 결합하고 고정하여 상,하로 빠지지않고 좌우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감속직류모터(2)는 반원몸통관(5) 앞쪽인 머리부에 위치한다.
전원은 외부정류기로 공급하며 12v의 감속직류모터(2)를 제어하는 스위치(22)는 반원몸통관을 결합하는 부라켓(4)에 내장되어 반원몸통관회전부의 캠에 의해서 부라켓 내부에 장치된 마이크로스위치를 온/오프(on/off)시킨다.
즉 반원몸통관이 벽에 붙으면 정지, 90도 회전하여 싱크대 중앙에 위치하면 캠스위치에 의해 수세미가 회전하여 작업모드에 들어간다.
축 몸통(6) 내부에는 상,하 2개의 베어링(61)이 내장되고 이에 결합하는 축(62)은 상단부가 모터의 축에, 하단부는 수세미몸통의 상측인 수세미상부프레임(13)에 결합한다.
축 몸통(6) 하부에는 수세미에 물을 뿌리는 살수통(7)이 위치하는데, 회전수세미뭉치(1)를 하단에 축과 나합하여 12v전동모터(2)의 동력을 회전수세미뭉치(1)에 전달한다.
도 5와 같이 살수통(7)은 중심부에 축(62) 이 통과하는 원뿔모양이며 다수개의 살수(撒水) 구멍이 있어 살수통(7)을 밀폐한다.
회전수세미뭉치(1)는 스펀지와 인조수세미 등의 수세미용 탄성 판재 2개를 교차,접착하여 만든 후 수세미발(11)을 먼저 수세미하부프레임(14)에 끼우는데, 이는 중앙축에 기둥과 가장자리 4곳의 수세미고정발(141) 4개가 있는 것으로,
이를 상부프레임(13)의 중앙부 축과 역시 가장자리 4곳의 고정발걸림통공(131)에 수세미고정발의걸림구(142) 4개를 삽입,결합하면 엎어진 꽃 봉오리모양이 된다.
회전수세미뭉치(1)의 수세미상부프레임(13)을 축 하단 탭에 나사로 결합하는것이다.
수세미하부프레임(14) 중앙의 4각기둥과 가장자리 4곳의 수세미고정발(141)은 회전할 때 기계적으로 잡아주며 수세미상부프레임(13)의 가장자리 4곳의 통공에 수세미고정발의걸림구(142)를 삽,탈 하므로 수세미하부프레임(14)과 수세미만 간단히 분리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세미는 프레스펀칭 가공하되 약 32m/m 두께로 중간은 일반스펀지이며 양측에 재질이 강한 7m/m의 인조수세미를 접착제로 덧대는 등으로 만든다.
물의 흐름은 살수량 조절이 가능한 수도꼭지(3)를 거쳐 급수관(33)이 반원몸통관(5)의 내부를 통과하고 살수통(7)에 공급되어 수세미를 고루 적신다.
이때 세제는 반원몸통관(5)의 회전부 중심축 상단에 위치한 세제통(34)에서 역시 반원몸통관내부를 통과하는 세제호-스가 결합되는 세제발브관(36)의 세제조절발브(37)에 의해 수세미에 공급되는 세제량을 조절한다.
도 7과같이 식기 외부는 철 형이므로 수세미 하단중앙이 공간으로 비어있는 내부로 밀어넣는데 유연한 수세미용 탄성 판재인 스펀지나 인조수세미로 만든 수세미발(11)이 사방으로 벌어지는 기능으로 수세미의 내면이 식기의 외면에 넓게 닿고, 식기 내부는 요 형이므로 회전하는 수세미를 식기 안에 채워 수세미 외 측이 닿아 문지르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회전하는 수세미뭉치(1)의 내,외면 전체가 식기에 최대한 접하므로 효율적인 식기세척이 이루어지며,
또 숟가락과 젓가락을 한 뭉치 쥐고 회전수세미뭉치(1)의 하단 쪽에 양 손으로 잡고 번갈아 돌리며 문지를 수 있으므로 까다로운 이 부분이 한꺼번에 세척된다.
도 6과 같이 싱크대 사용에 지장이 없도록 부라켓(4)을 중심으로 하여 90도 회전시킴과 동시 몸통관의 캠으로 마이크로스위치를 작동케 하는 것이 특징이며,
벽에 붙여 보관케 하고 사용시는 벽체와 직각 되게 하면 반원몸통관회전부의 하단 바깥 측 홈에 멈춤구(51)가 끼워져 고정되는 구조로 하는데 반원몸통관회전부의 양측에서 작동하는 이 멈춤구는 탄성이 있는 나일론소재로 한다.
결론적으로, 스펀지나 인조수세미로 만든 수세미발(11) 2장을 교차결합하여 만든 회전수세미뭉치(1)는 수세미발(11)을 수세미 하부프레임(14)에 끼우고 가장자리에 탄성이 있는 수세미고정발(141) 4개로 축(62)에 고정된 상부회전프레임(13)에 착,탈 하여 교환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며,
이를 4곳의 수세미고정발(141)이 있는 상,하부회전프레임과 조립한 수세미뭉치(1)를 축(62)에 결합하여 모터(2)를 동력원으로 하여 회전하는 수세미뭉치에 물과 세제를 더해 식기를 세척하며, 구조가 꽃봉오리를 거꾸로 엎은 형상에 식기의 외면을 밀어넣고 식기의 내면은 수세미 하단을 담아 회전하는 수세미에 문지르는 방식으로 식기에 닿는 면적을 극대화 함으로서 적은 힘으로 단시간 내에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1:회전수세미뭉치 11:수세미발
13:수세미상부프레임 131:고정발걸림통공
14:수세미하부프레임 141:고정발
142:고정발걸림구 2:모터
21:마이크로스위치 3:수도꼭지
32:수도관 33:급수 및 세제연결관
34:세제통 37:세제조절발브
4:부라켓 41:부라켓통공
5:반원몸통관 51:반원몸통관멈춤구
6:축 몸통 61:베어링
62:축 64:모터하우징
65:축결합볼트 67:축 키이
7:살수통

Claims (3)

  1. 물과 세제가 가해지고 저속회전하는 설거지용 수세미장치로서,
    수도꼭지(3)가 붙고 반원몸통관(5)을 지탱하며 벽에 고정하는 부라켓(4);
    반원몸통관의 머리부에 내장되는 모터(2)와;
    반원몸통관의 머리부에 결합하는 축 몸통에 일체인 살수통(7);
    축 몸통(6)의 상부 및 하부에 2개의 베어링(61)에 결합한 축(62);
    상기 축(62) 하단에 결합하는 회전수세미뭉치(1);
    상기 살수통(7)에 결합하는 급수관 및 세제연결관(33);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세미뭉치(1)는 2개의 수세미용 탄성 판재를 교차,접착하여 만들되 하단중앙이 공간이고 사방으로 벌려지는 기능으로 수세미의 내측이 식기의 외면에 닿고, 식기 내부는 수세미를 채워 수세미 외측이 닿아 문지르되, 상기 회전수세미의 반원몸통관(5)은 부라켓(4)을 중심으로 하여 90도 회전시킴과 동시 몸통관의 캠으로 마이크로스위치를 작동케 하고, 회전수세미뭉치(1)는 수세미발(11)을 수세미 하부프레임(14)에 끼우고 가장자리에 탄성이 있는 수세미고정발(141) 4개로 축(62)에 고정된 상부회전프레임(13)에 착탈하여 교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형상에 적응하는 회전수세미.
  2. 삭제
  3. 삭제
KR1020110144845A 2011-12-28 2011-12-28 식기형상에 적응하는 회전 수세미 KR101397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845A KR101397390B1 (ko) 2011-12-28 2011-12-28 식기형상에 적응하는 회전 수세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845A KR101397390B1 (ko) 2011-12-28 2011-12-28 식기형상에 적응하는 회전 수세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291A KR20120013291A (ko) 2012-02-14
KR101397390B1 true KR101397390B1 (ko) 2014-05-20

Family

ID=45836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845A KR101397390B1 (ko) 2011-12-28 2011-12-28 식기형상에 적응하는 회전 수세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3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049Y1 (ko) 2020-03-26 2020-07-27 정성목 전동식 세척솔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54674A (zh) * 2012-09-21 2014-03-26 招远泽洋工具制造有限公司 家用自动清洗机械手
CN108209788B (zh) * 2017-08-21 2020-07-07 永康市一搏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水杯清洗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653Y1 (ko) * 1993-01-27 1995-05-11 오숭일 다용도 식기세척기
KR0157019B1 (ko) * 1996-06-14 1998-12-01 김주형 주방용 식기 세척장치
JPH11244217A (ja) * 1998-03-06 1999-09-14 Shinkojima Danchi:Kk 食器洗い装置
KR20100042621A (ko) * 2010-04-06 2010-04-26 이원태 식기형상에 적응하는 회전 수세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653Y1 (ko) * 1993-01-27 1995-05-11 오숭일 다용도 식기세척기
KR0157019B1 (ko) * 1996-06-14 1998-12-01 김주형 주방용 식기 세척장치
JPH11244217A (ja) * 1998-03-06 1999-09-14 Shinkojima Danchi:Kk 食器洗い装置
KR20100042621A (ko) * 2010-04-06 2010-04-26 이원태 식기형상에 적응하는 회전 수세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049Y1 (ko) 2020-03-26 2020-07-27 정성목 전동식 세척솔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291A (ko) 201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7562B2 (en) Implement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US8261395B2 (en) Electric pan scrubber device
KR20130114970A (ko) 세탁기의 세탁조 청소장치
KR101397390B1 (ko) 식기형상에 적응하는 회전 수세미
CN204335778U (zh) 一种高效水果清洗机
CN203041980U (zh) 一种蔬菜水果清洗机
KR101281449B1 (ko) 원통형 회전브러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CN101273868A (zh) 餐具洗涤方法及设备
KR101292552B1 (ko) 야채 세척 드럼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야채 겸용 식기 세척기
KR20100042621A (ko) 식기형상에 적응하는 회전 수세미
US2022220A (en) Dishwashing machine
KR101620984B1 (ko) 다용도 목욕타올 겸용 수세미
CN208709781U (zh) 一种清洁工具
KR101691444B1 (ko) 수세미 세척 장치
WO2019134210A1 (zh) 一种餐具清洗一体化机
KR20010106605A (ko) 다용도 세척기
CN201082153Y (zh) 涡轮式半自动洗碗机
KR20130001964U (ko) 자동 설거지 장치
JP2002065564A (ja) 食器洗浄具および食器洗浄機
KR200333018Y1 (ko) 자동세척기
KR20100116103A (ko) 반구형 핸드 식기세척기 수세미
KR200234325Y1 (ko) 회전 식기세척기
CN103349423A (zh) 电动洗碗刷
CN211749430U (zh) 一种餐具清洗一体化机
RU2690722C1 (ru) Губка, мочалка со средством для мытья, о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ей, ухода, уборки и личной гигиен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