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8023A -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8023A
KR20130028023A KR1020120099794A KR20120099794A KR20130028023A KR 20130028023 A KR20130028023 A KR 20130028023A KR 1020120099794 A KR1020120099794 A KR 1020120099794A KR 20120099794 A KR20120099794 A KR 20120099794A KR 20130028023 A KR20130028023 A KR 20130028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fire
extinguishing agent
holding tank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4704B1 (ko
Inventor
정승훈
신동석
신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CN201280043177.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3782444B/zh
Priority to EP12830762.6A priority patent/EP2755275B1/en
Priority to JP2014529624A priority patent/JP6132289B2/ja
Priority to PCT/KR2012/007262 priority patent/WO2013036087A2/ko
Publication of KR20130028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023A/ko
Priority to US14/198,741 priority patent/US953944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8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bursting charg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1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controlled by a signal from the danger zo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3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17Re-sealable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배터리 팩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는, 배터리 팩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감지 센서; 내부 공간에 소화제를 보유하는 소화제 보유 탱크; 및 상기 화재감지 센서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상기 소화제 보유 탱크의 소화제가 상기 배터리 팩의 내부로 주입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Fire suppression apparatus for 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을 보호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팩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배터리 팩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서, 노트북,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이차 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된 이차 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탄소 에너지가 점차 고갈되고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국, 유럽, 일본, 한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에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 부품은 차량 모터로 구동력을 부여하는 차량용 배터리이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의 충방전을 통해 차량의 구동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엔진만을 이용하는 자동차에 비해 연비가 뛰어나고 공해 물질을 배출하지 않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들이 점차 크게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배터리와 관련하여 사회적으로 가장 큰 이슈가 되고 있는 것 중 하나가 배터리의 안전성 문제이다. 노트북이나 휴대폰과 같은 소형 장치에서부터, 자동차나 전력저장시스템과 같은 중대형 장치에 이르기까지, 배터리의 수요 및 사용자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배터리의 폭발이나 화재는 이들이 장착된 장치의 파손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화재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배터리의 안전성 확보가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중대형 배터리의 경우, 일반 휴대용 전자제품 등에 사용되는 소형 배터리보다 더욱 높은 안전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중대형 배터리는 고전압을 생성하기 때문에 그 자체로 많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차량용 배터리 등의 경우 무더운 여름철에 고온에 노출된 상태에서 배터리 팩이 무리하게 동작하였거나, 차량 충돌과 같은 사고로 큰 충격이 배터리에 전해져 보호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거나 내부 단락 등이 발생하면 차량용 배터리에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용 배터리에 화재가 발생하면, 차량용 배터리 자체의 파손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차량으로 화재가 확산되어 재산상 피해를 가져오는 것은 물론,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의 안전에 큰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도로상에서의 차량 화재는 다른 차량으로 화재가 확산될 수 있고, 교통 장애를 유발할 수도 있기 때문에 더욱 심각한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배터리 팩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화재 발생 위험이 감지되는 경우,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는, 배터리 팩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감지 센서; 내부 공간에 소화제를 보유하는 소화제 보유 탱크; 및 상기 화재감지 센서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상기 소화제 보유 탱크의 소화제가 상기 배터리 팩의 내부로 주입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화제 보유 탱크는, 상기 배터리 팩 내부와 연결되어 상기 소화제를 유출시키는 유출구, 이동을 통해 상기 소화제를 상기 유출구로 유출시키는 피스톤, 및 폭발시 상기 피스톤을 이동시키는 폭약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상기 소화제 보유 탱크의 폭약을 폭발시켜 상기 피스톤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소화제 보유 탱크의 소화제가 상기 배터리 팩의 내부로 주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소화제 보유 탱크는,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는 제1 유출 밸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팩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배터리 팩에 화재 발생 위험, 즉 화재가 발생될 개연성이 있는 경우, 이를 예측하여 화재가 발생 및 확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배터리 팩의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어, 배터리 팩이 장착된 장치나 장비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배터리 팩 화재로 인한 재산 및 인명 피해를 방지 내지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에서 소화제가 배터리 팩 내부로 주입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에서 소화제가 배터리 팩 내부로 주입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배터리 팩(10)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터리 셀(11)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는 이와 같은 배터리 팩(10)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장치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는, 화재감지 센서(100), 소화제 보유 탱크(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화재감지 센서(100)는, 배터리 팩(10)의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여기서, 배터리 팩(10)의 화재발생 여부란, 배터리 팩(10)에 실제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는 물론이고, 배터리 팩(10)에 화재가 발생하기 전이라도 화재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지 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재감지 센서(100)는, 온도 센서, 충격 센서 및 압력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우선, 배터리 팩(10)에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로 인해 배터리 팩(10)의 온도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화재감지 센서(100)는 온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온도 센서는, 배터리 팩(10)에 대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배터리 팩(10)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팩(10)에 높은 충격이 가해지면 내부 단락 등으로 인해 배터리 팩(10)에 화재가 발생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상기 화재감지 센서(100)는 충격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충격 센서는, 배터리 팩(10)에 대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배터리 팩(10)에 화재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팩(10)에 높은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배터리 팩(10)에 화재가 발생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상기 화재감지 센서(100)는 압력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압력 센서는, 배터리 팩(10)에 대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배터리 팩(10)에 화재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 센서, 충격 센서 또는 압력 센서가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데 기준이 되는 온도, 충격량 또는 압력 등에 대한 정보는, 해당 화재감지 센서(100) 또는 다른 저장 장치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상기 화재감지 센서(100)가 배터리 팩(10)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례에 불과할 뿐, 이러한 화재감지 센서(100)가 반드시 배터리 팩(10)에 부착된 형태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배터리 팩(10)과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화재감지 센서(100)는, 온도 센서, 충격 센서 및 압력 센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재감지 센서(100)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화제 보유 탱크(200)는,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내부 공간에 소화제(201)를 보유한다.
여기서, 소화제(201)는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물질 및 형태이면 되며, 본 발명은 이러한 소화제(201)의 특정 종류나 형태 등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소화제(201)는 물이나 물에 소화 물질을 용해시킨 용액 등, 불연성 내지 난연성 용액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제(201)는 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둘 이상의 물질은 각각 존재할 때에 소화성을 갖는 물질일 수도 있고, 상호 반응으로 소화성을 갖는 물질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화제(201)는 중탄산나트륨과 황산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화학 반응을 통해 거품을 발생시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공지된 다양한 소화 물질이 본 발명의 소화제(201)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제(201)는 소화제 보유 탱크(200)에 액체, 기체 또는 분말 상태로 보유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소화제(201)는 액체, 기체 또는 분말 상태로 배터리 팩(10)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화재감지 센서(100)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소화제 보유 탱크(200)의 소화제(201)가 배터리 팩(10) 내부로 주입되도록 한다. 즉, 배터리 팩(10)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화재발생의 개연성이 있는 경우, 화재감지 센서(100)가 이러한 화재발생 또는 화재발생 위험을 감지하고 그러한 정보를 제어부(300)로 전송하면, 제어부(300)는 소화제 보유 탱크(20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소화제(201)가 배터리 팩(10) 내부로 주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부(300)는, 배터리 팩(10)에 BMS(Battery Management System)가 존재하는 경우, BMS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BMS란 배터리 셀(11)에 연결되어 배터리 팩(10)의 충방전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를 의미한다.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제어부(300)의 실시 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300)는 BMS와 별도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화제 보유 탱크(200)는, 유출구(210), 피스톤(220) 및 폭약(23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소화제 보유 탱크(200)의 유출구(210)는, 배터리 팩(10) 내부와 연결되어 소화제 보유 탱크(200) 내부의 소화제(201)가 배터리 팩(10) 내부로 주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피스톤(220)은, 소화제 보유 탱크(200)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동을 통해 소화제 보유 탱크(200) 내부의 소화제(201)가 유출구(210)를 통해 유출되어 배터리 팩(10) 내부로 주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폭약(230)은, 이러한 피스톤(220)이 이동 운동을 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즉, 폭약(230)은 폭발시 그 폭발력으로 인해 피스톤(220)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폭발력이 피스톤(220)에 전달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된다.
한편, 이와 같은 실시예의 경우, 폭약(230)의 폭발은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0)는,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소화제 보유 탱크(200)의 폭약(230)을 폭발시켜 피스톤(220)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화제 보유 탱크(200)의 소화제(201)가 배터리 팩(10)의 내부로 주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 내부로의 소화제(201) 주입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에서 소화제(201)가 배터리 팩(10) 내부로 주입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팩(10)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감지 센서(100)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고, 화재감지 센서(100)는 이러한 화재감지 신호를 제어부(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이러한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300)는 소화제 보유 탱크(200)의 폭약(230)이 폭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폭약(230)이 폭발하게 되며, 폭발시 발생하는 폭발력으로 인해 피스톤(220)을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피스톤(220)의 이동은 소화제 보유 탱크(200) 내부의 소화제(201)가 유출구(210)를 통해 유출되어 배터리 팩(10) 내부로 주입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배터리 팩(10) 내부로 주입된 소화제(201)로 인해 배터리 팩(10)에서 발생한 화재는 진압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폭약(230)의 폭발력으로 인한 피스톤(220)의 이동으로 소화제(201)가 배터리 팩(10) 내부로 주입되므로, 소화제(201)의 주입 속도가 매우 빠르다. 따라서, 배터리 팩(10)에 화재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그러한 화재는 초기에 신속하게 진압될 수 있어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화제 보유 탱크(200)는 제1 유출 밸브(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유출 밸브(240)는, 소화제 보유 탱크(200)의 유출구(210)에 마련되어 유출구(210)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즉, 평상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출 밸브(240)가 닫혀 있어 소화제 보유 탱크(200)의 소화제(201)가 유출구(210)를 통해 유출되지 않도록 하다가, 배터리 팩(10)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출 밸브(240)가 열리면서 소화제 보유 탱크(200)의 소화제(201)가 유출구(210)를 통해 배터리 팩(10) 내부로 주입되기 위한 경로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유출 밸브(240)는, 제어부(300)의 제어 하에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감지 센서(100)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300)는 제1 유출 밸브(240)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300)는, 그와 동시에 또는 그 이후에, 폭약(230)이 폭발되도록 함으로써 피스톤(220)의 이동을 통해 소화제(201)가 배터리 팩(10) 내부로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1 유출 밸브(240)는, 소화제 보유 탱크(200) 내부의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즉, 제1 유출 밸브(240)는 제어부(300)를 비롯한 다른 구성요소의 제어를 통해 개방되는 것이 아니라, 소화제 보유 탱크(200) 내부의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아지게 되는 경우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제1 유출 밸브(240)가 막혀 있다가, 배터리 팩(10)에 화재가 발생하여 제어부(300)에 의해 폭약(230)이 폭발되는 경우, 피스톤(220)의 이동으로 소화제 보유 탱크(200)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그러면, 이와 같은 소화제 보유 탱크(200)의 내부 압력 증가로 인해 제1 유출 밸브(240)가 자동으로 개방되며, 따라서 소화제(201)가 배터리 팩(10) 내부로 주입될 수 있는 경로가 열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유출 밸브(240)는 체크 밸브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유출 밸브(240)가 체크 밸브로 구현되는 경우, 소화제(201)는 유출구(210)를 통해 소화제 보유 탱크(200)에서 배터리 팩(10) 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으며, 배터리 팩(10)에서 소화제 보유 탱크(200)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러한 제1 유출 밸브(240)의 종류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제1 유출 밸브(240)는 다양한 밸브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화제 보유 탱크(200)는, 상기 유출구(210)에 캡(2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캡(250)은, 평상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구(210)를 폐쇄하여 소화제 보유 탱크(200) 내부의 소화제(201)가 유출구(210)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다가, 폭약(230)의 폭발로 소화제 보유 탱크(200) 내부의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구(210)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때, 유출구(210)의 개방은 캡(250)의 파쇄나 유출구(210)로부터의 분리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에서와 마찬가지로,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는, 화재감지 센서(100), 소화제 보유 탱크(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제 보유 탱크(200)는 배터리 팩(10) 내부와 연결되어 소화제(201)를 유출시키는 유출구(210) 및 유출구(210)를 개폐하는 제2 유출 밸브(26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화제 보유 탱크(200)는, 내부 공간에 소화제(201)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보유할 수 있다. 즉, 소화제 보유 탱크(200)는, 고압 탱크로서 높은 내부 압력으로 소화제(201)를 보유하다가, 제2 유출 밸브(260)가 개방되면 소화제 보유 탱크(200) 내부의 높은 압력으로 인해 소화제(201)가 자동으로 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화제 보유 탱크(200)는, 제2 유출 밸브(260)가 열리면 소화제(201)가 유출구(210)를 통해 자동으로 유출될 수 있을 만한 수준의 내부 압력으로 소화제(201)를 압축 보유하면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300)는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제2 유출 밸브(260)를 개방할 수 있다. 그러면, 소화제 보유 탱크(200) 내부의 고압으로 인해 소화제(201)가 자동으로 유출되어 배터리 팩(10)의 내부로 주입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배터리 팩(10)의 화재는 진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유출 밸브(260)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제2 유출 밸브(260)의 특정 종류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도 3의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에서 소화제(201)가 배터리 팩(10) 내부로 주입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 팩(10)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감지 센서(100)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고, 화재감지 센서(100)는 이러한 화재감지 신호를 제어부(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이러한 화재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즉시 소화제 보유 탱크(200)의 제2 유출 밸브(260)를 개방한다. 그러면, 소화제 보유 탱크(200) 내부의 높은 압력으로 인해 내부의 소화제(201)가 유출구(210)를 통해 유출되어 배터리 팩(10) 내부로 주입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배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 배출부(400)는, 배터리 팩(10)의 적어도 일부분에 마련되어 배터리 팩(10)의 내부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가스 배출부(400)는, 배터리 팩(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가스 배출구(410) 및 이러한 가스 배출구(410)를 개폐하는 가스 밸브(420)를 구비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팩(10)의 내부 가스란 배터리 팩(10)의 화재로 인해 생성된 가스일 수도 있고, 배터리 팩(10)의 충방전 과정에서 생성된 가스일 수도 있다.
만일, 배터리 팩(10)의 내부 공간에 가스가 많이 채워져 있다면, 이러한 가스로 인해 소화제(201)가 배터리 팩(10) 내부로 제대로 유입되지 못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실시예에 의할 경우, 배터리 팩(10)에 화재 발생시 가스 배출부(400)에 의해 배터리 팩(10)의 내부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제(201)가 배터리 팩(10) 내부로 쉽게 유입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배터리 팩(10) 내부에 가스가 가득 차게 되면 이러한 가스의 압력으로 인해 배터리 팩(10)이 폭발될 수 있으나, 상기 실시예에 의할 경우 내부 가스가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어 이러한 배터리 팩(10)의 폭발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10)은, 상술한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를 포함한다. 즉, 배터리 팩(10)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11), BMS와 같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각종 배터리 팩 보호 장치와 함께, 상술한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를 배터리 팩(10)의 외부 또는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는 자동차에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전기 자동차(EV)나 하이브리드 자동차(HEV)와 같이 배터리 팩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자동차는 배터리 팩의 높은 전압, 교통 사고, 다양한 온도에의 노출 등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기 쉽고, 화재 발생시 차량 손상은 물론 탑승자의 안전을 해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가 장착된 경우, 배터리 팩에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신속하게 진압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피해가 발생하거나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제어부', '가스 배출부' 등과 같이 '부'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 배터리 팩
11: 배터리 셀
100: 화재감지 센서
200: 소화제 보유 탱크
201: 소화제
210: 유출구
220: 피스톤
230: 폭약
240: 제1 유출 밸브
250: 캡
300: 제어부
400: 가스 배출부
410: 가스 배출구
420: 가스 밸브

Claims (16)

  1. 배터리 팩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감지 센서;
    내부 공간에 소화제를 보유하는 소화제 보유 탱크; 및
    상기 화재감지 센서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상기 소화제 보유 탱크의 소화제가 상기 배터리 팩의 내부로 주입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제 보유 탱크는, 상기 배터리 팩 내부와 연결되어 상기 소화제를 유출시키는 유출구, 이동을 통해 상기 소화제를 상기 유출구로 유출시키는 피스톤, 및 폭발시 상기 피스톤을 이동시키는 폭약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상기 소화제 보유 탱크의 폭약을 폭발시켜 상기 피스톤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소화제 보유 탱크의 소화제가 상기 배터리 팩의 내부로 주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제 보유 탱크는,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는 제1 유출 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출 밸브는, 상기 소화제 보유 탱크 내부의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자동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출 밸브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출 밸브는, 체크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제 보유 탱크는, 상기 유출구에 마련되어 상기 유출구를 폐쇄하되, 상기 소화제 보유 탱크 내부의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상기 유출구를 개방시키는 캡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제 보유 탱크는, 상기 배터리 팩 내부와 연결되어 상기 소화제를 유출시키는 유출구 및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는 제2 유출 밸브를 구비하되, 상기 제2 유출 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소화제가 상기 유출구를 통해 자동으로 유출될 수 있는 내부 압력으로 상기 소화제를 보유하고,
    상기 제어부는,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2 유출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소화제 보유 탱크의 소화제가 상기 배터리 팩의 내부로 주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출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 센서는, 온도 센서, 충격 센서 및 압력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의 적어도 일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 팩의 내부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가스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출부는, 상기 배터리 팩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관통된 가스 배출구 및 상기 가스 배출구를 개폐하는 가스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제는, 액체 또는 기체 상태로 상기 배터리 팩의 내부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팩의 BMS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120099794A 2011-09-08 2012-09-10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 KR101424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80043177.9A CN103782444B (zh) 2011-09-08 2012-09-10 电池组灭火装置
EP12830762.6A EP2755275B1 (en) 2011-09-08 2012-09-10 Apparatus for extinguishing a battery-pack fire
JP2014529624A JP6132289B2 (ja) 2011-09-08 2012-09-10 バッテリーパックの火災鎭圧装置
PCT/KR2012/007262 WO2013036087A2 (ko) 2011-09-08 2012-09-10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
US14/198,741 US9539448B2 (en) 2011-09-08 2014-03-06 Fire suppression apparatus for a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376 2011-09-08
KR20110091376 2011-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023A true KR20130028023A (ko) 2013-03-18
KR101424704B1 KR101424704B1 (ko) 2014-07-31

Family

ID=48178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794A KR101424704B1 (ko) 2011-09-08 2012-09-10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39448B2 (ko)
EP (1) EP2755275B1 (ko)
JP (1) JP6132289B2 (ko)
KR (1) KR101424704B1 (ko)
CN (1) CN103782444B (ko)
WO (1) WO2013036087A2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136B1 (ko) * 2019-02-21 2019-08-28 주식회사 에코이노 에너지저장장치 화재 사고 발생시 대응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KR102021072B1 (ko) * 2019-05-15 2019-11-05 주식회사 아산정밀 에너지저장장치의 화재예방 시스템
KR20190136514A (ko) * 2018-05-31 2019-12-1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
US10874889B2 (en) 2017-06-16 2020-12-29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with improved safety
WO2021015436A1 (ko) 2019-07-23 2021-0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KR20210015198A (ko) 2019-08-01 2021-02-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재 진압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구조물
WO2021075759A1 (ko) 2019-10-18 2021-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KR102348505B1 (ko) * 2021-09-24 2022-01-07 주식회사 지이솔루션 충전량 설정가능한 이차전지 배터리 팩
KR20220075553A (ko)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오투마 전자기기 및 배터리용 소화장치
WO2023121260A1 (ko) *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팩
KR102567801B1 (ko) * 2022-09-07 2023-08-18 덕양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팩 화재의 신속 소화 시스템
KR102573300B1 (ko) * 2023-05-04 2023-08-31 조풍연 전기차에 구비된 배터리 모듈을 보호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243875A1 (ko) * 2022-06-14 2023-12-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화재 안전성을 개선한 배터리 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3271B2 (ja) * 2012-10-17 2016-09-14 ホーチキ株式会社 蓄電装置
JP6189603B2 (ja) * 2013-02-19 2017-08-30 ホーチキ株式会社 消火装置
FR3002910A1 (fr) * 2013-03-11 2014-09-1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tructure porteuse d'un vehicule hybride ou electrique, pour l'extinction d'un incendie des batteries
FR3007209B1 (fr) * 2013-06-18 2015-07-0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anti-incendie autonome pour une batterie a cellule(s) de stockage
CN103331000A (zh) * 2013-07-17 2013-10-02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的自动灭火系统及自动灭火方法
US10135102B2 (en) * 2013-12-25 2018-11-20 Shenzhen Espirit Technology Co., Ltd.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automobi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11426B1 (ko) * 2014-08-11 2021-10-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CN104253415B (zh) * 2014-08-22 2018-05-04 浙江超威创元实业有限公司 一种具有多重保护功能的电池保护系统
FR3026956B1 (fr) * 2014-10-09 2019-12-20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Dispositif de protection anti-incendie d'un dispositif demarreur-controleur d'une installation electrique
DE102016200368A1 (de) * 2016-01-14 2017-07-2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atteriesystem und Verfahren zum Löschen oder Verhindern eines Brandes eines Batteriemoduls in einem Batteriesystem
US20170338527A1 (en) * 2016-05-20 2017-11-23 Faraday&Future Inc. Thermal malfunction detector for electric vehicle
JP2017004959A (ja) * 2016-06-24 2017-01-05 ホーチキ株式会社 蓄電装置
CN106058337A (zh) * 2016-07-26 2016-10-26 江苏索尔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自动灭火电池
JP6738905B2 (ja) * 2016-10-18 2020-08-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蓄電池電車用蓄電池装置及び蓄電池電車
CN106340602A (zh) * 2016-10-19 2017-01-18 重庆无线绿洲通信技术有限公司 车用电池充放电防爆箱
KR102220902B1 (ko) * 2017-01-26 2021-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소화시스템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203246B1 (ko) * 2017-05-25 2021-0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CN107320872A (zh) * 2017-08-04 2017-11-07 公安部上海消防研究所 一种被动式电动汽车动力电池包防火灾保护装置及方法
US10487084B2 (en) * 2017-08-16 2019-11-26 Bristol-Myers Squibb Company Toll-like receptor 7 (TLR7) agonists having a heterobiaryl moiety, conjugates thereof, and methods and uses therefor
KR102490611B1 (ko) * 2018-01-12 2023-01-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소화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 시스템
KR102314575B1 (ko) 2018-01-12 2021-10-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의 충방전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활성화 공정 장치
DE102018200870A1 (de) * 2018-01-19 2019-07-2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lektrochemischer Energiespeicher, Verfahren zu dessen Wartung sowie Fahrzeug
DE102018211629A1 (de) 2018-07-12 2020-01-16 Audi Ag Löschsystem für eine Hochvoltbatterie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mit einem Löschsystem für eine Hochvoltbatterie
CN109091779A (zh) * 2018-07-18 2018-12-28 中国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安全灭火系统及方法
TWI666848B (zh) * 2018-09-12 2019-07-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蓄電系統消防裝置及其運作方法
TWI690350B (zh) * 2018-10-01 2020-04-11 協同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淹浸式電池滅火系統及其方法
US20200147426A1 (en) 2018-11-13 2020-05-14 E-Cell Secure, L.L.C. Hazardous products containment system and method
CN109552080B (zh) * 2018-12-21 2024-01-26 北京科易动力科技有限公司 车辆
CN113521599A (zh) * 2018-12-28 2021-10-2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包
KR102381692B1 (ko) * 2019-02-21 2022-03-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
NO20190634A1 (en) * 2019-05-21 2020-04-16 Olav Asserson Container for storing a mobile device while recharging
CN110429217B (zh) * 2019-08-05 2022-04-08 天津安时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可有效灭火的充电仓
KR20210017535A (ko) * 2019-08-08 2021-0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소화 유닛을 포함한 배터리 팩
EP4038686A1 (fr) * 2019-10-03 2022-08-10 Saft Procédé pour éviter la propagation d'un événement thermique dans une enceinte comprenant plusieurs modules d'éléments électrochimiques
SE544092C2 (en) * 2019-10-10 2021-12-21 Dafo Vehicle Fire Prot Ab A fire suppression system
US20220209339A1 (en) * 2019-11-08 2022-06-30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battery rack comprising same, and power storage device
AU2020398095A1 (en) * 2019-12-05 2022-05-26 Tyco Fire Products Lp Fire suppression system for a vehicle
DE102019134744A1 (de) * 2019-12-17 2021-06-1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mit einem Einspeiseanschluss für fahrzeugexternes Löschmittel
KR20210097523A (ko) * 2020-01-30 2021-08-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소화 유닛을 포함한 배터리 팩,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시스템
KR20210109314A (ko) 2020-02-27 2021-09-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시스템
KR20210115086A (ko) * 2020-03-11 2021-09-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터리 탈거 시스템
KR20210114625A (ko) * 2020-03-11 2021-09-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터리 탈거 시스템
KR20210118601A (ko) * 2020-03-23 2021-10-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화재 진압 장치
KR102380502B1 (ko) * 2020-04-06 2022-03-31 (주) 신코퍼레이션 위험물 보관장치
CN111697178B (zh) * 2020-06-08 2022-11-01 南京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新能源汽车电池箱固定装置
KR20220006666A (ko) 2020-07-08 2022-0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화재 확산 방지 시스템
DE102020121193A1 (de) * 2020-08-12 2022-02-1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randschutzeinrichtung für ein wenigstens teilweise elektrisch betriebenes Kraftfahrzeug und Brandsensor
GB2597996B (en) * 2020-08-14 2023-05-03 Hitachi Rail Ltd Railway vehicle including an energy storage system
CN112216899B (zh) * 2020-09-30 2022-08-09 农军 一种大功率防爆水冷电池包
KR20220065159A (ko) 2020-11-12 2022-05-20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및 방법과, 에너지 저장 장치
KR20240011236A (ko) * 2020-11-17 2024-01-25 지앙수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소방 장치, 케이스 어셈블리, 배터리, 전기 장치 및 배터리의 제조 방법
US11817566B2 (en) * 2020-11-18 2023-11-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attery fire suppressant system
CN112451881A (zh) * 2020-12-10 2021-03-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集装箱的消防系统结构
CN112670629B (zh) * 2020-12-17 2022-06-03 湖南久森新能源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电芯防护结构
KR102623287B1 (ko) 2021-03-18 2024-01-11 주식회사 한진지티씨 전기자동차 화재진압장치
KR102619174B1 (ko) * 2021-06-07 2023-12-2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기반의 차량 화재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N113594605B (zh) * 2021-07-31 2023-01-24 浙江米皇新材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电池包铝型材
CN113750401B (zh) * 2021-08-13 2022-10-14 王守久 一种电池系统
CN113921942A (zh) * 2021-09-24 2022-01-11 东风时代(武汉)电池系统有限公司 新能源快速冷却器、电池包的冷却方法及汽车
KR102537502B1 (ko) 2021-11-26 2023-05-26 주식회사 코리아시뮬레이터 염수조를 사용한 고용량 충방전 시험용 배터리의 소화장치
WO2023128401A1 (ko) * 2021-12-27 2023-07-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CN114306988A (zh) * 2021-12-30 2022-04-12 北京固芯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组
FR3139764A1 (fr) * 2022-09-20 2024-03-22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anti-incendie pour packs batterie de vehicules electriques
CN118076504A (zh) * 2022-09-22 2024-05-24 株式会社斯巴鲁 车辆
KR20240048847A (ko) 2022-10-07 2024-04-16 주식회사 대창 모터스 전기차 배터리 팩용 소화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56634B1 (ko) 2023-01-05 2023-07-17 신동기 배터리팩에 장착되는 열폭주 소화 파열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204Y2 (ko) * 1984-10-30 1991-03-29
JPH0261362A (ja) 1988-08-23 1990-03-01 Diesel Kiki Co Ltd 増圧式ユニットインジェクタ
JPH0261362U (ko) * 1988-10-28 1990-05-08
JPH0631011A (ja) * 1992-07-14 1994-02-08 Japan Steel Works Ltd:The 消火方法及び装置
JPH0974603A (ja) * 1995-09-01 1997-03-18 Mitsubishi Motors Corp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の安全装置
KR19980051830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엔진 룸 소화장치
JPH10216265A (ja) * 1997-02-10 1998-08-18 Shonan Tsuri Esa Center:Kk 消火具、防火具、消防補助具
JPH11219732A (ja) * 1998-02-03 1999-08-10 Toyo System Kk 電池用充放電装置
JP4458601B2 (ja) * 2000-02-14 2010-04-28 帝国繊維株式会社 超高圧消火装置
FR2810796B1 (fr) * 2000-06-26 2003-03-21 Cit Alcatel Batterie de generateurs electrochimiques comprenant un dispositif de securite
KR100889244B1 (ko) 2005-04-20 2009-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압전 센서가 내장된 이차전지 모듈
KR100778435B1 (ko) * 2005-07-05 2007-1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소화 시스템
KR100641126B1 (ko) 2005-08-22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료전지의 소화 장치
FR2911168B1 (fr) 2007-01-10 2009-04-10 Snpe Materiaux Energetiques Sa Procede et dispositif pyrotechnique, autonome, d'injection d'un fluide
JP2008230519A (ja) * 2007-03-22 2008-10-02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用ケース
KR100846103B1 (ko) * 2007-06-21 2008-07-1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화재진단 및 자동소화 시스템 및 그방법
JP5118926B2 (ja) 2007-09-20 2013-01-16 鳥居化成株式会社 樹脂製管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接続方法
JP2009207650A (ja) * 2008-03-04 2009-09-17 Panasonic Corp 電力機器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と電力供給素子検査設備
JP2010097836A (ja) * 2008-10-17 2010-04-30 Panasonic Corp 電池パック、それを電源として用いた電子機器、及び電池パック用ケース
JP4786700B2 (ja) * 2008-12-24 2011-10-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ATE527720T1 (de) * 2009-02-10 2011-10-15 Autoliv Dev Sicherheits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KR101238062B1 (ko) * 2010-12-20 2013-02-27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보호장치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4889B2 (en) 2017-06-16 2020-12-29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with improved safety
KR20190136514A (ko) * 2018-05-31 2019-12-1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
KR101977136B1 (ko) * 2019-02-21 2019-08-28 주식회사 에코이노 에너지저장장치 화재 사고 발생시 대응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KR102021072B1 (ko) * 2019-05-15 2019-11-05 주식회사 아산정밀 에너지저장장치의 화재예방 시스템
WO2020230944A1 (ko) * 2019-05-15 2020-11-19 (주)아산정밀 에너지저장장치의 화재예방 시스템
WO2021015436A1 (ko) 2019-07-23 2021-0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KR20210012103A (ko) 2019-07-23 2021-0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KR20210015198A (ko) 2019-08-01 2021-02-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재 진압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구조물
WO2021075759A1 (ko) 2019-10-18 2021-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KR20210046331A (ko)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US11975615B2 (en) 2019-10-18 2024-05-07 Lg Energy Solution, Ltd. Vehicle battery fire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20075553A (ko)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오투마 전자기기 및 배터리용 소화장치
KR102348505B1 (ko) * 2021-09-24 2022-01-07 주식회사 지이솔루션 충전량 설정가능한 이차전지 배터리 팩
WO2023121260A1 (ko) *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팩
WO2023243875A1 (ko) * 2022-06-14 2023-12-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화재 안전성을 개선한 배터리 팩
KR102567801B1 (ko) * 2022-09-07 2023-08-18 덕양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팩 화재의 신속 소화 시스템
KR102573300B1 (ko) * 2023-05-04 2023-08-31 조풍연 전기차에 구비된 배터리 모듈을 보호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83129B1 (ko) * 2023-05-04 2023-09-26 조풍연 열폭주 현상으로부터 전기차에 구비된 배터리 모듈을 보호하는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55275A4 (en) 2015-08-05
JP2014531231A (ja) 2014-11-27
JP6132289B2 (ja) 2017-05-24
US9539448B2 (en) 2017-01-10
WO2013036087A2 (ko) 2013-03-14
WO2013036087A3 (ko) 2013-05-02
EP2755275B1 (en) 2017-06-07
US20140186668A1 (en) 2014-07-03
EP2755275A2 (en) 2014-07-16
CN103782444A (zh) 2014-05-07
CN103782444B (zh) 2016-11-09
KR101424704B1 (ko)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8023A (ko)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
KR102010012B1 (ko) 소화 장치가 포함된 배터리 팩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US9806325B2 (en) Battery housing for lithium-ion cells
US926993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afety measures during gas release from a vehicle battery and installation space for a vehicle battery
US20130075116A1 (en) Device for preventing fire in battery pack used for electric vehicle
GB2537859A (en) Electric vehicle battery safety
CN112103444B (zh) 电池、用电设备及电池的制造方法
CN106345085A (zh) 一种新能源汽车动力电池安全系统
US20170113080A1 (en) Fire prevention or fire extinguishing in an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system
KR102625181B1 (ko) 소방 장치, 케이스 어셈블리, 배터리, 전기 장치 및 배터리의 제조 방법
WO2017150818A1 (ko) 차량용 배터리시스템
KR20230093309A (ko) 리튬 이온 배터리의 열적 보호
KR102531013B1 (ko) 전기 모빌리티 배터리팩의 화재감지 및 소화방법
KR102531012B1 (ko)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이와 결합된 인렛, 커넥터 및 배터리팩
CN106345086A (zh) 一种新能源汽车动力电池安全系统
CN207384645U (zh) 一种固定于新能源电车电池箱内部的灭火装置
EP4123791A1 (en) Box body, battery, electr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battery
KR101715694B1 (ko) 배터리 팩 발화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20010377A (ko) 차량용 배터리 팩의 고전압을 차단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579025B1 (ko) 전자기기 및 배터리용 소화장치
US12002940B2 (en) Emergency rapid cooling capsule embedded within an electric vehicle
CN115513590B (zh) 一种超充储能电站支架及消防系统
CN113764769B (zh) 用于车辆电池的电池安全气囊和电池防爆方法
US20230261285A1 (en) Emergency rapid cooling capsule embedded within an electric vehicle
KR20110134101A (ko) 배터리 팩 연소 방지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