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103A -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103A
KR20210012103A KR1020190089225A KR20190089225A KR20210012103A KR 20210012103 A KR20210012103 A KR 20210012103A KR 1020190089225 A KR1020190089225 A KR 1020190089225A KR 20190089225 A KR20190089225 A KR 20190089225A KR 20210012103 A KR20210012103 A KR 20210012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mmunication means
battery
fire detection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태환
안형준
김성곤
김수창
이희정
손도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089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2103A/ko
Priority to JP2021538798A priority patent/JP7134554B2/ja
Priority to US17/422,335 priority patent/US20220109194A1/en
Priority to CN202080030090.2A priority patent/CN113748042B/zh
Priority to PCT/KR2020/008460 priority patent/WO2021015436A1/ko
Priority to EP20844124.6A priority patent/EP3904142A4/en
Publication of KR20210012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1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38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10Emission reduction
    • B60L2270/12Emission reduction of exha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2Temperatur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구조물에 장착되는 배터리 팩; 및 전자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팩은, 1개 이상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전자제어장치로 송신하는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및 벤팅가스가 방출되는 가스배출부가 구비된 배터리 팩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구조물에는, 상기 가스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온도 및 압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Apparatus For Fire Detection of Vehicle Batter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팩의 가스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온도와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가 차량 구조물에 구비되어 있어, 배터리 팩 케이스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신속 및 정확하게 탑승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노트북,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등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에 관한 기술이 활발해지고 있다. 또한, 이차 전지는 대기오염 물질을 유발하는 화석 연료의 대체 에너지원으로, 전기 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HEV) 등에 적용되고 있어, 이차 전지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상용화된 이차 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률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한편, 리튬 이차전지는 충방전시 열이 발생하는 바, 이러한 열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못하고 축적되는 경우, 전지의 열화가 초래되고 안전성도 크게 훼손될 수 있다. 특히,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 기자동차 등의 전원과 같이 고속 충방전 특성이 요구되는 전지에서는 순간적으로 고출력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많은 발열과 부피 팽창이 수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는, 배터리 모듈(210)과 배터리의 충방전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220)을 수납하기 위한 배터리 팩 케이스(230)로 이루어진 배터리 팩(200)이 차량 구조물(100)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배터리 팩 케이스(230)에는 팩 내부에서의 화재나 열폭주 시 가스나 압력을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 배출부(23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에서는, 배터리 셀의 온도나 전압 등을 센싱하여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전자제어장치(300)로 전송한다. 즉, 배터리 모듈(210) 및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220)과 관련된 정보는 제1 커넥터(110), 제2 커넥터(310) 및 제1 통신수단(410)을 통해 전자제어장치(300)로 전송되는 것이다.
하지만, 배터리 팩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온도 센서(미도시)나 전압 센서(미도시)가 손상되어 배터리의 상태를 정확하게 센싱할 수 없고, 게다가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과 인접하여 발화할 시에는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 자체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게 되므로, 탑승자를 위한 보호조치가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28023호에는 배터리 팩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배터리 팩 화재진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소화제를 보관하는 탱크가 추가로 형성되어 공간활용이 떨어지고, 그로 인한 무게 증가는 차량의 연비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51704호에는 배터리 팩 보호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에서는 측정 IC를 배터리 셀 양단에 연결하여 배터리 셀의 전압을 측정하여 전력 공급 경로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의 크기에 따라 측정 IC의 이상여부를 판단한다. 하지만 측정 IC는 BMS 내에서 배터리 전압, 온도, 전류 등을 측정하는 부품으로서, 화재나 열폭주로 인해 손상 받기 쉬워 근본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수년 내에 제정 및 강제 시행 예정인, GB 표준(전기차용 배터리 안전성 중국 표준, "20.07. 강제 시행 예상) 및 EVS-GTR(전기자동차 안전성 세계 규정)에서는 배터리의 열폭주 또는 화재로 인한 열확산으로 탑승 공간에 위험이 발생하기 5분 전에 차량이 탑승객에게 위험을 경고할 수 있도록 강제 사항으로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BMS가 손상되어 기능을 상실하면 탑승객에게 위험 경고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기술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28023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5170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터리 팩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확실하게 감지하여 탑승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및 화재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하중이 증가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배터리 팩 내부의 상황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및 화재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는, 차량 구조물에 장착되는 배터리 팩(200); 및 전자제어장치(300)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팩(200)은, 1개 이상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210), 상기 배터리 모듈(21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전자제어장치(300)로 송신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및 벤팅가스가 방출되는 가스배출부(231)가 구비된 배터리 팩 케이스(230)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구조물에는, 상기 가스배출부(231)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온도 및 압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에서, 상기 센서는 제1 온도센서(120)이고, 일측은 상기 제1 온도센서(120)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전자제어장치(300)와 연결된 제2 통신수단(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에서,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제1 압력센서(140)이고, 일측은 상기 제1 압력센서(140)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전자제어장치(300)와 연결된 제4 통신수단(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에서, 상기 제1 온도센서(120)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2 온도센서(130)가 위치하고, 일측은 상기 제2 온도센서(130)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전자제어장치(300)와 연결된 제3 통신수단(4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에서, 상기 제1 압력센서(140)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2 압력센서(150)가 위치하고, 일측은 상기 제2 압력센서(150)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전자제어장치(300)와 연결된 제5 통신수단(4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에서, 상기 제1 온도센서(120)와 제1 압력센서(140)는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에서, 상기 가스방출수단은 고어텍스막 또는 소정 압력 이상일 경우 파손되는 파열판(rupture disk)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방법은, 배터리 모듈의 온도 및 전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의 측정값을 전자제어장치(ECU)로 전송하는 제2 단계; 전자제어장치(ECU)에서 측정값을 수신하고, 수신한 측정값이 정상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는 제3 단계; 전자제어장치(ECU)에서 수신한 측정값이 정상 범위 이내이면 제1 단계를 수행하고, 측정값을 수신하지 못하거나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차량 구조물의 온도 및 압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정값을 전자제어장치(ECU)로 전송하는 제4 단계; 및 전자제어장치(ECU)가 수신한 차량 구조물의 측정값이 정상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여 알림 신호를 송신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방법에서, 상기 제4 단계에서의 측정값은 제1 온도이고, 제2 통신수단을 통해 ECU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방법에서, 상기 제4 단계에서의 측정값은 제1 압력이고, 제3 통신수단을 통해 ECU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방법에서, 상기 제4 단계에서의 측정값은 제2 통신수단을 통한 제1 온도와, 제3 통신수단을 통한 제2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방법에서, 상기 제1 온도와 제2 온도의 차이로부터 상기 제5 단계에서의 측정값이 정상 범위 이내인지는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방법에서, 상기 제4 단계에서의 측정값은 제4 통신수단을 통한 제1 압력과, 제5 통신수단을 통한 제2 압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방법에서, 상기 제1 압력과 제2 압력의 차이로부터 상기 제5 단계에서의 측정값이 정상 범위 이내인지는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배터리 팩의 가스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온도와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가 차량 구조물에 구비되어 있고, 따라서 배터리 팩 케이스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센서류나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이 손상되더라도 화재 발생여부를 전자제어장치로 신속하게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센서류와 통신수단만이 추가되기 때문에 차량의 하중 증가를 최소화하면서도 비상시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를 이용한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를 이용한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를 이용한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는, 차량 구조물(100), 배터리 팩(200), 전자제어장치(300) 및 통신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차량 구조물(100)은 배터리 팩(200)이 고정 장착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일예로 바디일 수 있다.
배터리 팩(200)은 배터리 모듈(210),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220), 및 배터리 팩 케이스(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배터리 모듈(210)은 셀 조립체을 포함하고 있는데, 셀 조립체는 긴 시트형의 양극 및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된 후 권취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젤리-롤형 셀조립체, 또는 장방형의 양극 및 음극이 분리막을 사이에 개재한 상태로 적층되는 구조의 단위셀들로 구성되는 스택형 셀조립체, 단위셀들이 긴 분리 필름에 의해 권취되는 스택-폴딩형 셀조립체, 또는 단위셀들이 분리막을 사이에 개재한 상태로 적층되어 서로 간에 부착되는 라미네이션-스택형 셀조립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셀 조립체는 케이스에 내장되며, 케이스는 통상적으로 내부층/금속층/외부층의 라미네이트 시트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내부층은 셀 조립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므로 절연성과 내전해액성을 가져야 하고, 또 외부와의 밀폐를 위하여 실링성 즉, 내부층끼리 열 접착된 실링 부위는 우수한 열접착 강도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내부층의 재료로는 내화학성이 우수하면서도 실링성이 좋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아크릴산, 폴리부틸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및 폴리이미드수지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인장강도, 강성, 표면경도, 내충격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과 내화학성이 뛰어난 폴리프로필렌이 가장 바람직하다.
내부층과 접하고 있는 금속층은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각종 가스가 전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리어층에 해당되고, 이러한 금속층의 바람직한 재료로는 가벼우면서도 성형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막막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금속층의 타측면에는 외부층이 구비되며, 이러한 외부층은 전극조립체를 보호하면서 내열성과 내화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인장강도, 투습방지성 및 공기투과 방지성이 우수한 내열성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고, 일예로 나일론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양극 리드와 음극 리드로 이루어지는 리드들은 셀 조립체의 양극 탭과 음극 탭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와 같은 전지 셀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구성들에 해당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배터리 모듈(210)의 일측에는 제2 커넥터(211),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220) 양측에는 제3 커넥터(221)와 제4 커넥터(222)가 구비되며, 이들은 후술할 제1 통신수단(4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 모듈(210)의 상태를 전자제어장치(300)로 전송한다.
충방전 등 배터리를 전체적으로 제어 및 관리하는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220)은 이미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배터리 팩 케이스(230)는 배터리 모듈(210)과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220)을 수납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 위치에는 가스배출부(231)가 구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양극의 리튬 금속 산화물로부터 리튬 이온이 음극의 흑연 전극으로 삽입(intercalation)되고 탈리(deintercalation)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충방전이 진행되지만, 외부 충격에 의한 내부 단락, 과충전, 과방전 등으로 인한 발열과 전해질이 분해되고, 그 결과 고온 고압의 가스가 발생한다.
상기 가스배출부(231)는 배터리 팩 케이스(230) 내부에서 발생한 고온 고압 가스를 신속하게 배출시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로, 배터리 모듈(210)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시에는 팩 케이스(230) 내부와 외부를 완전히 차단하며, 설정치 이상으로 압력이 증가하는 비상시에만 파열되도록 구성된 파열판(rupture disk)일 수 있고, 배터리 모듈(210)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더라도 소량의 가스나 수분이 생성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선택적 및 통기성 소재인 고어텍스 멤브레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고어텍스 멤브레인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하더라도 배터리 팩 케이스(230) 내부의 압력이 비이상적으로 높아지면 폭발 방지를 위해 찢어 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차량 구조물(100)에는 제1 온도센서(120)가 구비되고, 제1 온도센서(120)와 전자제어장치(300) 사이에는 제2 통신수단(420)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차량 구조물(100)에 장착되는 제1 온도센서(120)는 가스배출부(231)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온도를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가스배출부(231)와 근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전술한 GB 표준과 EVS-GTR을 고려할 때, 5분 이내에 유의미한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제1 온도센서(120)는 가스배출부(231)로부터 5~50mm 정도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통신수단(420)의 일측은 제1 온도센서(120)와 연결되고 타측은 전자제어장치(30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220)을 경유하지 않고도 가스배출부(231)에서 배출되는 가스 온도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2 통신수단(420)은 제1 온도센서(120)의 측정값을 전자제어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종래의 경우, 배터리 모듈에서 화재가 발생할 시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통해 전자제어장치로 신호가 전송되는 방법이었으나, 급격한 화재로 인해 하네스 등 센싱부품이나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 자체가 손상되는 경우 배터리 팩 내부의 상황을 전혀 인식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배터리 팩 케이스와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차량 구조물(100)에 제1 온도센서(120)가 설치되어 있어, 배터리 팩 케이스 안의 센싱부품이나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 자체에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전자제어장치로 신속하게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제2 온도센서(130)와 제3 통신수단(430)이 더 구비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추가로 구비된 제2 온도센서(130)와 제3 통신수단(430)에 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온도센서(120)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2 온도센서(130)가 위치한다. 그리고 일측은 제2 온도센서(130)와 연결되고 타측은 전자제어장치(300)와 연결된 제3 통신수단(430)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제1 온도센서(120)와 제2 통신수단(420) 대신에 제1 압력센서(140)와 제4 통신수단(440)이 구비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압력센서(140)와 제4 통신수단(440)에 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서는, 차량 구조물(100)에는 제1 압력센서(140)가 구비되고, 제1 압력센서(140)와 전자제어장치(300) 사이에는 제4 통신수단(440)이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차량 구조물(100)에 장착되는 제1 압력센서(140)는 가스배출부(231)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압력을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가스배출부(231)와 근접한 위치, 구체적으로 제1 온도센서(120)와 유사하게 가스배출부(231)로부터 5~50mm 정도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4 통신수단(440)의 일측은 제1 압력센서(140)와 연결되고 타측은 전자제어장치(30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220)을 경유하지 않고도 가스배출부(231)에서 배출되는 가스 압력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제2 압력센서(150)와 제5 통신수단(450)이 더 구비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제3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추가로 구비된 제2 압력센서(150)와 제5 통신수단(450)에 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서는, 제1 압력센서(140)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2 압력센서(150)가 위치한다. 그리고 일측은 제2 압력센서(150)와 연결되고 타측은 전자제어장치(300)와 연결된 제5 통신수단(450)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제1 압력센서(140)와 제4 통신수단(440)이 더 구비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추가로 구비된 제1 압력센서(140)와 제4 통신수단(440)에 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서는, 제1 온도센서(120)와 함께 제1 압력센서(140)가 함께 구비되어 있다. 또 일측은 제1 압력센서(140)와 연결되고 타측은 전자제어장치(300)와 연결된 제4 통신수단(440)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온도센서(120)와 제1 압력센서(140)는 가스배출부(231)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온도와 압력을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제1 온도센서(120)와 제1 압력센서(140)는 서로 인근하여 위치하고, 또 가스배출부(231)와 근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하면, 배터리 팩 케이스와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차량 구조물(100)에 제1 온도센서(120)와 제1 압력센서(140)가 함께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배터리 팩 케이스 안의 센싱부품이나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 자체에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전자제어장치로 신속하게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고, 게다가 온도와 압력 정보를 모두 전송할 수 있어 배터리 팩 케이스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제2 실시예,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제4 실시예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제5 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즉, 차량 구조물에는, 가스배출부(231)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온도와 압력을 모두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제1 온도센서(120)와 제1 압력센서(140)가 가스배출부(231)와 근접하게 위치하고 있으며, 이들 측정값을 전자제어장치(300)로 전송하기 위한 제2 통신수단(420)과 제4 통신수단(440)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 제1 온도센서(120) 및 제1 압력센서(140)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각각 제2 온도센서(130)와 제2 압력센서(150), 그리고 제3 통신수단(430)과 제5 통신수단(450)이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제1 내지 제6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를 이용한 감지 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를 이용한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먼저 배터리 셀의 온도 및 전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제1 단계, 제1 단계에서의 측정값이 제1 통신수단을 통하여 ECU로 전송하는 제2 단계, ECU에서 측정값을 수신하고, 수신한 측정값이 정상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는 제3 단계, 제3 단계에 해당되지 않을 시에는 제2 통신수단을 통해 제1 온도값을 ECU로 전송하는 제4 단계, 및 수신한 제1 온도값이 정상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여 알림 신호를 송신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계는, 배터리 팩 케이스 안에 수납되어 있는 배터리 셀의 온도와 전압을 연속 또는 비연속적으로 측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온도 또는 전압만을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배터리 셀의 보다 정확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온도와 전압을 모두 측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단계는, 제1 단계에서 측정한 온도 및/또는 전압을 제1 통신수단, 즉 배터리 모듈과 BMS의 정보를 ECU로 전달할 수 있도록 이들을 직접적으로 연결하고 있는 제1 통신수단을 경유하여 전송하는 단계이다.
제3 단계는, 전송된 온도 및/또는 전압 측정값을 ECU가 제대로 수신하는지, 또 수신된 측정값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는 단계이다. 만약 ECU가 온도 및/또는 전압 측정값을 정상적으로 수신하고, 또 수신한 측정값이 정상범위에 해당되면, 계속해서 배터리 셀의 온도와 전압을 연속 또는 비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제1 단계와 제2 단계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제4 단계는, ECU가 온도 및/또는 전압 측정값을 수신하지 못하거나, 수신하더라도 측정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2 통신수단을 통해 제1 온도값을 ECU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ECU가 온도 및/또는 전압 측정값을 제대로 수신하지 못하는 것은 배터리 팩 내부에서의 화재나 발열 등 각종 원인에 의해, 제1 통신수단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기 때문이며, 측정값을 수신하더라도 비정상적인 범위라면 역시 위와 같은 긴급상황에 임박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배터리 팩과는 분리되어 있는 제2 통신수단을 통해 제1 온도값을 ECU로 전송한다.
제5 단계는, 제2 통신수단에 의해 전송된 제1 온도값으로부터 배터리 팩 내부의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로서, 제1 온도값이 정상적인 범위 이내라면 제1 통신수단의 단순한 물리적 단락 등을 예상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점검이 필요함을 운전자에게 알린다. 반면, 제1 온도값이 비정상 범위에 해당되면 배터리 팩의 가열이나 발화일 가능성이 농후하므로 신속하게 차량으로부터 대피하도록 알린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를 이용한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제1 단계 내지 제3 단계는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감지 방법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3 단계에 해당되지 않을 시에는 제2 통신수단과 제3 통신수단을 통해 각각 제1 온도값과 제2 온도값을 ECU로 전송하는 제4 단계, 및 수신한 제1 온도값과 제2 온도값을 비교하여 정상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여 알림 신호를 송신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단계는, ECU가 온도 및/또는 전압 측정값을 수신하지 못하거나, 수신하더라도 측정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2 통신수단을 통해서는 제1 온도값, 그리고 제3 통신수단으로는 제2 온도값을 함께 ECU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제5 단계는, 제2 통신수단과 제3 통신수단을 통해 전송된 제1 온도값과 제2 온도값의 차이로부터 배터리 팩 내부의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즉, 제1 온도값과 제2 온도값의 차이가 정상적인 범위 이내라면 제1 통신수단의 단순한 물리적 단락 등을 예상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점검이 필요함을 운전자에게 알린다. 반면, 가스배출부와 근접하여 위치한 제1 온도값과, 가스배출부와는 소정 거리 이격하여 구비되어 있는 제2 온도값의 차이가 비정상 범위, 즉 제2 온도값보다 제1 온도값이 소정 범위 이상으로 높은 경우라면, 배터리 팩의 가열이나 발화일 가능성이 농후하므로 신속하게 차량으로부터 대피하도록 알린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를 이용한 감지 방법은 제4 통신수단을 통해 제1 압력값을 ECU로 전송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감지 방법과 동일하고,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를 이용한 감지 방법은 제4 통신수단과 제5 통신수단을 통해 제1 압력값과 제2 압력값을 ECU로 전송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9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감지 방법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또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를 이용한 감지 방법은 제1 실시예와 제3 실시예의 감지 방법을 동시에 구현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를 이용한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제1 단계 내지 제3 단계는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감지 방법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3 단계에 해당되지 않을 시에는 제2 통신수단 내지 제5 통신수단을 통해 각각 제1 온도값, 제2 온도값, 제1 압력값 및 제2 압력값을 ECU로 전송하는 제4 단계, 및 수신한 제1 온도값과 제2 온도값 차이와, 제1 압력값과 제2 압력값 차이를 비교하여, 각 차이값들이 정상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여 알림 신호를 송신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제5 단계에서는 온도값들의 차이와 함께 압력값들의 차이를 함께 비교하기 때문에, 배터리 팩(200) 내부의 상황을 한층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차량 구조물
110 : 제1 커넥터
120 : 제1 온도센서
130 : 제2 온도센서
140 : 제1 압력센서
150 : 제2 압력센서
200 : 배터리 팩
210 : 배터리 모듈
211 : 제2 커넥터
220 :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
221 : 제3 커넥터 222 : 제4 커넥터
230 : 배터리 팩 케이스
231 : 가스배출부
300 : 전자제어장치(ECU)
310 : 제5 커넥터
400 : 통신수단
410 : 제1 통신수단
420 : 제2 통신수단
430 : 제3 통신수단
440 : 제4 통신수단
450 : 제5 통신수단

Claims (14)

  1. 차량 구조물에 장착되는 배터리 팩; 및 전자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팩은, 1개 이상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전자제어장치로 송신하는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 및 벤팅가스가 방출되는 가스배출부가 구비된 배터리 팩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구조물에는, 상기 가스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온도 및 압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제1 온도센서이고, 일측은 상기 제1 온도센서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전자제어장치와 연결된 제2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제1 압력센서이고, 일측은 상기 제1 압력센서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전자제어장치와 연결된 제4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센서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2 온도센서가 위치하고, 일측은 상기 제2 온도센서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전자제어장치와 연결된 제3 통신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센서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2 압력센서가 위치하고, 일측은 상기 제2 압력센서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전자제어장치와 연결된 제5 통신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센서와 제1 압력센서는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방출수단은 고어텍스막 또는 소정 압력 이상일 경우 파손되는 파열판(rupture disk)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를 이용한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방법은,
    배터리 모듈의 온도 및 전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의 측정값을 전자제어장치(ECU)로 전송하는 제2 단계;
    전자제어장치(ECU)에서 측정값을 수신하고, 수신한 측정값이 정상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는 제3 단계;
    전자제어장치(ECU)에서 수신한 측정값이 정상 범위 이내이면 제1 단계를 수행하고, 측정값을 수신하지 못하거나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차량 구조물의 온도 및 압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정값을 전자제어장치(ECU)로 전송하는 제4 단계; 및
    전자제어장치(ECU)가 수신한 차량 구조물의 측정값이 정상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여 알림 신호를 송신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의 측정값은 제1 온도이고, 제2 통신수단을 통해 ECU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의 측정값은 제1 압력이고, 제3 통신수단을 통해 ECU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의 측정값은 제2 통신수단을 통한 제1 온도와, 제3 통신수단을 통한 제2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와 제2 온도의 차이로부터 상기 제5 단계에서의 측정값이 정상 범위 이내인지는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의 측정값은 제4 통신수단을 통한 제1 압력과, 제5 통신수단을 통한 제2 압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과 제2 압력의 차이로부터 상기 제5 단계에서의 측정값이 정상 범위 이내인지는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방법.
KR1020190089225A 2019-07-23 2019-07-23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KR20210012103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225A KR20210012103A (ko) 2019-07-23 2019-07-23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JP2021538798A JP7134554B2 (ja) 2019-07-23 2020-06-29 車両バッテリー火災感知装置及び感知方法
US17/422,335 US20220109194A1 (en) 2019-07-23 2020-06-29 Vehicle battery fire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CN202080030090.2A CN113748042B (zh) 2019-07-23 2020-06-29 车辆电池起火感测设备和方法
PCT/KR2020/008460 WO2021015436A1 (ko) 2019-07-23 2020-06-29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EP20844124.6A EP3904142A4 (en) 2019-07-23 2020-06-29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 VEHICLE BATTERY F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225A KR20210012103A (ko) 2019-07-23 2019-07-23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103A true KR20210012103A (ko) 2021-02-03

Family

ID=74193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225A KR20210012103A (ko) 2019-07-23 2019-07-23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09194A1 (ko)
EP (1) EP3904142A4 (ko)
JP (1) JP7134554B2 (ko)
KR (1) KR20210012103A (ko)
CN (1) CN113748042B (ko)
WO (1) WO202101543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363B1 (ko) * 2021-06-22 2021-10-22 주식회사 일진정공 전기화물차용 저상형 전기냉동탑
KR20230126266A (ko) 2022-02-21 2023-08-30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형 수송 차량용 배터리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24106923A1 (ko) * 2022-11-14 2024-05-2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 화재진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5159A (ko) 2020-11-12 2022-05-20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및 방법과, 에너지 저장 장치
DE102022205778A1 (de) 2022-06-07 2023-12-07 Webasto SE Batteriegehäuse sowie dieses umfassendes Batterie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CN117523809B (zh) * 2024-01-08 2024-03-12 四川千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储能站火灾监控评价管理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8023A (ko) 2011-09-08 2013-03-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
KR20140051704A (ko) 2012-10-23 2014-05-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보호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4401A (ja) * 1997-11-28 1999-06-18 Yazaki Corp 電気自動車用電池管理装置
JP5098197B2 (ja) * 2006-03-27 2012-12-12 株式会社デンソー 蓄電素子モジュール
JP4582205B2 (ja) * 2008-06-12 2010-11-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
JP2011023302A (ja) * 2009-07-17 2011-02-03 Sanyo Electric Co Ltd 組電池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並びに組電池用のバインドバー
KR101232786B1 (ko) * 2009-12-30 2013-0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11101942A1 (ja) * 2010-02-19 2011-08-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4965750B2 (ja) * 2010-07-30 2012-07-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システム
KR101281066B1 (ko) * 2011-10-18 2013-07-09 송영길 전기자동차용 하이브리드 배터리 시스템
KR20190089225A (ko) 2011-12-16 2019-07-30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성형품
US11325479B2 (en) * 2012-06-28 2022-05-10 Midtronics, Inc. Hybrid and electric vehicle battery maintenance device
JP2015044454A (ja) * 2013-08-27 2015-03-12 スズキ株式会社 バッテリの取付構造
DE102015002070A1 (de) * 2015-02-18 2016-08-18 Audi Ag Batteriezelle für eine Batterie eines Kraftfahrzeugs, Batterie und Kraftfahrzeug
KR101781827B1 (ko) * 2015-02-27 2017-09-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압력 센서가 구비된 전지팩을 포함하고 있는 차량
WO2016143399A1 (ja) * 2015-03-12 2016-09-15 オムロン株式会社 バッテリ、システム、バッテリ管理方法、バッテリ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6808283B2 (ja) * 2016-12-19 2021-01-06 マレリ株式会社 組電池
JP6988308B2 (ja) * 2017-09-22 2022-01-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パックシステム
IT201900001735A1 (it) * 2019-02-06 2020-08-06 Leonardo Spa Sistema ausiliario di sicurezza per una batteria modulare in un veicolo subacqueo e relativa batteri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8023A (ko) 2011-09-08 2013-03-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
KR20140051704A (ko) 2012-10-23 2014-05-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보호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363B1 (ko) * 2021-06-22 2021-10-22 주식회사 일진정공 전기화물차용 저상형 전기냉동탑
KR20230126266A (ko) 2022-02-21 2023-08-30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형 수송 차량용 배터리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24106923A1 (ko) * 2022-11-14 2024-05-2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 화재진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16910A (ja) 2022-03-03
JP7134554B2 (ja) 2022-09-12
EP3904142A4 (en) 2022-03-30
WO2021015436A1 (ko) 2021-01-28
EP3904142A1 (en) 2021-11-03
CN113748042B (zh) 2023-12-12
CN113748042A (zh) 2021-12-03
US20220109194A1 (en) 2022-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34554B2 (ja) 車両バッテリー火災感知装置及び感知方法
US9653724B2 (en)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secondary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EP3340337B1 (en) Battery pack comprising fire extinguish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using same
US10476068B2 (en) Battery module including probe for detecting expansion of battery cell
JP7191441B2 (ja) 車両バッテリー火災感知装置及び感知方法
US20200028128A1 (en) Pouch-Shaped Battery Case for Secondary Batteries Capable of Discharging Gas
KR20160113888A (ko) 배터리 팩
US11799138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ermal runaway of battery for electric vehicle
KR20210135141A (ko) 소화부가 구비된 전지 모듈
CN114355202A (zh) 用于检测电动车辆电池的热失控的装置
KR20130089376A (ko)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US11799144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ermal runaway of battery for electric vehicle
KR20120136826A (ko)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KR20220049141A (ko) 셀케이스의 팽창확인이 용이한 이차전지 및 팽창 여부 검사 방법
KR20200084403A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89543B1 (ko) 상변환 물질에 의해 배터리 온도의 급격한 변화를 제어할 수 있는 배터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터리 장치 운전 방법
US20240079667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ermal Runaway of Battery for Electric Vehicle
US20240021888A1 (en) Battery module having electrolytic solution leakage detection function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