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7423A - 디스크 반송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반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7423A
KR20130027423A KR1020120093624A KR20120093624A KR20130027423A KR 20130027423 A KR20130027423 A KR 20130027423A KR 1020120093624 A KR1020120093624 A KR 1020120093624A KR 20120093624 A KR20120093624 A KR 20120093624A KR 20130027423 A KR20130027423 A KR 20130027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recording medium
shaped recording
rotated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후미 고또
다께시 구보
다께하루 다까사와
아끼라 스즈끼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27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4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221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ith movable magazine
    • G11B17/223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ith movable magazine in a vertical direction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기구의 간소화를 확보하는 데다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 시에서의 위치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한다.
디스크 카트리지로부터 인출되어 인입되는 인입 방향 또는 배출되어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되는 배출 방향으로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반송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되는 루트 어저스터를 설치하고, 루트 어저스터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 시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부가 삽입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 홈이 형성되었다.
이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구성이 루트 어저스터라고 하는 간소한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기구의 간소화를 확보하는 데다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 시에서의 위치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반송 장치{DISK CONVEYING DEVICE}
본 기술은 디스크 반송 장치에 관한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반송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가압되어 회동되는 루트 어저스터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위치 결정을 행하여 기구의 간소화를 확보하는 데다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 시에서의 위치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가 기록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디스크 반송 장치가 있다.
이러한 디스크 반송 장치에는, 한 쌍의 아암부와 각 아암부의 선단부에 각각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 걸림 갈고리가 설치되고, 한 쌍의 걸림 갈고리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외주측으로부터 끼움 지지하여 아암부를 동작시킴으로써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소정의 방향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디스크 반송 장치에서는, 한 쌍의 아암부에 설치된 걸림 갈고리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외주측으로부터 끼움 지지되어 보유 지지되고, 아암부가 동작되어, 예를 들어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08315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디스크 반송 장치에서는, 한 쌍의 아암부 및 각 아암부에 설치된 걸림 갈고리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외주측으로부터 보유 지지하여 반송하지만, 각 부의 조립 정밀도 등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적정한 위치로부터 어긋나 보유 지지될 가능성이 있고, 보유 지지 상태에 따라서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디스크 카트리지에 대하여 적정하게 수납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 경우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할 때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디스크 카트리지에 대하여 적정한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를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위치 결정 기구의 구성에 따라서는 디스크 반송 장치에 설치되는 기구가 복잡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해 버린다.
따라서, 본 기술 디스크 반송 장치는,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여, 기구의 간소화를 확보하는 데다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 시에서의 위치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첫째, 디스크 반송 장치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디스크 카트리지로부터 인출되어 인입되는 인입 방향 또는 배출되어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되는 배출 방향으로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반송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되는 루트 어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루트 어저스터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 시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부가 삽입되어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 홈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디스크 반송 장치에서는, 반송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의해 루트 어저스터가 회동될 때에 루트 어저스터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위치 결정된다.
둘째, 상기한 디스크 반송 장치에서는,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에 복수의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각각 수납 가능한 복수의 보유 지지 홈이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중심축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루트 어저스터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상기 배출 방향으로 반송되어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삽입되는 보유 지지 홈과 상이한 보유 지지 홈에 삽입되어 상기 루트 어저스터의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에 대한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용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루트 어저스터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삽입되는 보유 지지 홈과 상이한 보유 지지 홈에 삽입되어 루트 어저스터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대한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용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삽입과 위치 결정용 돌기부의 삽입이 디스크 카트리지의 상이한 보유 지지 홈에 대하여 행해진다.
세째, 상기한 디스크 반송 장치에서는, 상기 루트 어저스터의 위치 결정용 돌기부가, 상기 보유 지지 홈을 형성하는 면에 가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루트 어저스터의 위치 결정용 돌기부가, 보유 지지 홈을 형성하는 면에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위치 결정용 돌기부 보유 지지 홈을 형성하는 면에 가압되어 루트 어저스터가 디스크 카트리지에 대해 위치 결정된다.
네째, 상기한 디스크 반송 장치에서는, 상기 위치 결정용 돌기부에, 상기 루트 어저스터의 회동 시에 상기 보유 지지 홈을 형성하는 면에 미끄럼 이동되어 상기 미끄럼 이동되는 면에 대하여 경사진 피안내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 결정용 돌기부에, 루트 어저스터의 회동 시에 보유 지지 홈을 형성하는 면에 미끄럼 이동되어 미끄럼 이동되는 면에 대하여 경사진 피안내면을 형성함으로써, 피안내면이 디스크 카트리지에 안내되어 위치 결정용 돌기부가 보유 지지 홈에 위치 결정된 상태로 삽입된다.
다섯째, 상기한 디스크 반송 장치에서는, 상기 루트 어저스터가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고, 상기 위치 결정 홈이 상기 루트 어저스터의 외주면에 2개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상기 인입 방향으로의 반송 시에 상기 루트 어저스터가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한쪽으로 회동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부가 한쪽의 상기 위치 결정 홈에 삽입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상기 배출 방향으로의 반송 시에 상기 루트 어저스터가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쪽으로 회동되어,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부가 다른 쪽의 상기 위치 결정 홈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루트 어저스터가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고, 위치 결정 홈이 루트 어저스터의 외주면에 2개 형성됨으로써,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디스크 반송 장치에 대한 인입 방향 및 배출 방향으로의 반송 시에 모두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위치 결정 홈에 삽입되어 위치 결정된다.
여섯째, 상기한 디스크 반송 장치에서는, 상기 루트 어저스터가 상기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한쪽 및 다른 쪽으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루트 어저스터를 상기 중립 위치까지 회동시키는 복귀 스프링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루트 어저스터가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한쪽 및 다른 쪽으로 회동되었을 때에 루트 어저스터를 중립 위치까지 회동시키는 복귀 스프링을 설치함으로써,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디스크 반송 장치에 대한 인입 방향 및 배출 방향으로의 반송 시에 모두 루트 어저스터가 복귀 스프링에 의해 중립 위치로 회동된다.
일곱째, 상기한 디스크 반송 장치에서는, 상기 위치 결정 홈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안내하는 안내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 결정 홈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안내하는 안내면을 형성함으로써,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안내면에 안내되어 위치 결정 홈에 삽입된다.
여덟째, 상기한 디스크 반송 장치에서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어 반송되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레일과, 상기 한 쌍의 레일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레일을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면에 분리 접촉하는 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키는 복수의 링크 아암과, 적어도 한쪽의 상기 레일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회동됨으로써 상기 루트 어저스터에 의해 위치 결정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하는 배출 레버를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링크 아암 중 적어도 1개에 후크부를 설치하고, 상기 루트 어저스터에 상기 후크부에 걸림 결합 가능한 걸림부를 설치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되고 상기 배출 레버가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가압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링크 아암이 상기 배출 레버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위치 결정용 돌기부가 상기 보유 지지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 레버가 상기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링크 아암이 상기 배출 레버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후크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림 결합 가능하게 되고, 상기 후크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림 결합했을 때에 상기 루트 어저스터가 상기 링크 아암의 회동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중립 위치를 향하여 회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부가 걸림부에 걸림 결합 가능하게 되고, 후크부가 걸림부에 걸림 결합했을 때에 루트 어저스터가 링크 아암의 회동 동작에 수반하여 중립 위치를 향하여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루트 어저스터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대한 회동 상태와 무관하게 루트 어저스터가 중립 위치까지 회동된다.
아홉째, 상기한 디스크 반송 장치에서는, 상기 배출 레버가 상기 루트 어저스터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고, 상기 루트 어저스터의 회동 중심과 상기 배출 레버의 회동 중심이 상기 회동 중심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존재하고, 상기 배출 레버의 상기 반대 방향으로의 회동 시에 걸림 결합된 상기 후크부와 상기 걸림부가 미끄럼 이동되어 상기 배출 레버와 상기 루트 어저스터가 소정의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후크부와 상기 걸림부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 레버의 반대 방향으로의 회동 시에 걸림 결합된 후크부와 걸림부가 미끄럼 이동되어 배출 레버와 루트 어저스터가 소정의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후크부와 걸림부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루트 어저스터가 중립 위치까지 회동됨과 함께 링크 아암이 소정의 위치까지 회동된다.
본 기술 디스크 반송 장치는, 디스크 카트리지로부터 인출되어 인입되는 인입 방향 또는 배출되어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되는 배출 방향으로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반송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되는 루트 어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루트 어저스터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 시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부가 삽입되어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 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구성이 루트 어저스터라고 하는 간소한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기구의 간소화를 확보하는 데다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 시에서의 위치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기술에서는,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에 복수의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각각 수납 가능한 복수의 보유 지지 홈이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중심축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루트 어저스터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상기 배출 방향으로 반송되어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삽입되는 보유 지지 홈과 상이한 보유 지지 홈에 삽입되어 상기 루트 어저스터의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에 대한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용 돌기부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에 대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수납을 루트 어저스터가 방해하지 않아, 디스크 카트리지에 대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원활한 수납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기술에서는, 상기 루트 어저스터의 위치 결정용 돌기부가, 상기 보유 지지 홈을 형성하는 면에 가압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루트 어저스터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대한 위치 정밀도가 향상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디스크 카트리지의 보유 지지 홈에 확실하면서 또한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제4항에 기재한 기술에서는, 상기 위치 결정용 돌기부에, 상기 루트 어저스터의 회동 시에 상기 보유 지지 홈을 형성하는 면에 미끄럼 이동되어 상기 미끄럼 이동되는 면에 대하여 경사진 피안내면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루트 어저스터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대한 위치 결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디스크 카트리지에 확실하게 삽입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한 기술에서는, 상기 루트 어저스터가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고, 상기 위치 결정 홈이 상기 루트 어저스터의 외주면에 2개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상기 인입 방향으로의 반송 시에 상기 루트 어저스터가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한쪽으로 회동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부가 한쪽의 상기 위치 결정 홈에 삽입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상기 배출 방향으로의 반송 시에 상기 루트 어저스터가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쪽으로 회동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부가 다른 쪽의 상기 위치 결정 홈에 삽입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루트 어저스터에 의해 인입 방향 및 배출 방향으로의 반송 시에서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어, 부품 개수의 삭감을 도모하는 데다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위치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한 기술에서는, 상기 루트 어저스터가 상기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한쪽 및 다른 쪽으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루트 어저스터를 상기 중립 위치까지 회동시키는 복귀 스프링을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루트 어저스터는 회동 방향과 무관하게 복귀 스프링에 의해 중립 위치로 회동되어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회동되기 때문에, 루트 어저스터의 동작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한 기술에서는, 상기 위치 결정 홈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안내하는 안내면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루트 어저스터의 위치 결정 홈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확실하게 삽입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위치 정밀도의 향상을 간단하면서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한 기술에서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어 반송되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레일과, 상기 한 쌍의 레일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레일을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면에 분리 접촉하는 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키는 복수의 링크 아암과, 적어도 한쪽의 상기 레일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회동됨으로써 상기 루트 어저스터에 의해 위치 결정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하는 배출 레버를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링크 아암 중 적어도 1개에 후크부를 설치하고, 상기 루트 어저스터에 상기 후크부에 걸림 결합 가능한 걸림부를 설치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되고, 상기 배출 레버가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가압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링크 아암이 상기 배출 레버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위치 결정용 돌기부가 상기 보유 지지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 레버가 상기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링크 아암이 상기 배출 레버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후크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림 결합 가능하게 되고, 상기 후크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림 결합했을 때에 상기 루트 어저스터가 상기 링크 아암의 회동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중립 위치를 향하여 회동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루트 어저스터가 확실하게 중립 위치까지 회동되어, 디스크 반송 장치의 원활한 동작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한 기술에서는, 상기 배출 레버가 상기 루트 어저스터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고, 상기 루트 어저스터의 회동 중심과 상기 배출 레버의 회동 중심이 상기 회동 중심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존재하고, 상기 배출 레버의 상기 반대 방향으로의 회동 시에 걸림 결합된 상기 후크부와 상기 걸림부가 미끄럼 이동되어 상기 배출 레버와 상기 루트 어저스터가 소정의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후크부와 상기 걸림부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루트 어저스터를 중립 위치까지 확실하게 회동시킬 수 있음과 함께 링크 아암을 확실하게 초기 상태까지 회동시킬 수 있어, 디스크 반송 장치의 동작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도 2 내지 도 76과 함께 본 기술 디스크 반송 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은, 디스크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수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2는 제1 쉘과 제2 쉘의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와는 다른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제1 쉘과 제2 쉘의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4는 제1 쉘과 제2 쉘이 로크 슬라이더에 의해 로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5는 도 6과 함께 디스크 반송 장치가 설치된 디스크 스토리지 시스템을 도시하는 것이며, 도 5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6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디스크 카트리지와 디스크 반송 장치의 사이에서 전달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7은 디스크 반송 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디스크 반송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주로 베이스 섀시의 상면측에 배치된 각 부재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10은 주로 베이스 섀시의 하면측에 배치된 각 부재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11은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베이스 프레임과 유닛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좌측의 루트 어저스터와 제1 전방측 링크 아암 등을 도시하는 확대 분해 사시도.
도 14는 우측의 루트 어저스터와 제2 전방측 링크 아암 등을 도시하는 확대 분해 사시도.
도 15는 우측의 루트 어저스터와 제2 전방측 링크 아암 등을 도 14와는 상이한 방향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확대 분해 사시도.
도 16은 루트 어저스터의 확대 측면도.
도 17은 도 18 및 도 19와 함께 루트 어저스터의 동작을 도시하는 것이며, 도 17은, 루트 어저스터가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확대 평면도.
도 18은 루트 어저스터가 한쪽으로 회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확대 평면도.
도 19는 루트 어저스터가 다른 쪽으로 회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확대 평면도.
도 20은 베이스 섀시의 사시도.
도 21은 베이스 섀시의 제1 베이스의 저면측과 스프링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2는 구동 모터 및 각 기어 등을 도시하는 확대 분해 사시도.
도 23은 풀리 홀더와 척킹 풀리를 도시하는 확대 분해 사시도.
도 24는 척킹 풀리가 풀리 홀더에 보유 지지된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25는 제1 풀리 홀더와 제2 풀리 홀더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6은 제1 풀리 홀더와 제2 풀리 홀더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7은 연동 레버와 스타트 레버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8은 제1 메인 슬라이더와 서브 슬라이더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9는 제1 메인 슬라이더와 서브 슬라이더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0은 서브 슬라이더의 일부 및 작동 레버 등을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31은 제2 메인 슬라이더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2는 사이드 슬라이더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3은 제1 메인 슬라이더와 서브 슬라이더와 제2 메인 슬라이더와 사이드 슬라이더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4는 제1 링크 기구와 수납고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5는 제1 링크 기구와 수납고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36은 제1 전방측 링크 아암과 배출 레버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37은 가압 롤러 등이 수납고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확대 평면도.
도 38은 제2 링크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9는 도 40 내지 도 76과 함께 디스크 반송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것이며, 도 39는, 링크 기구 등의 초기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40은 슬라이더 등의 초기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41은 유닛 플레이트 등의 초기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42는 로딩 동작이 개시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척킹 위치를 향하여 반송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43은 계속해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척킹 위치를 향하여 반송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44는 리미트 레버의 피작용축에 의해 작동 레버가 가압되어 회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확대 평면도.
도 45는 계속해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척킹 위치를 향하여 반송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46은 계속해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척킹 위치를 향하여 반송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47은 계속해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척킹 위치를 향하여 반송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48은 계속해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척킹 위치를 향하여 반송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49는 서브 슬라이더가 후방으로 이동되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50은 제1 메인 슬라이더와 서브 슬라이더가 일체로 되어 후방으로 이동되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51은 유닛 플레이트가 상방을 향하여 이동되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52는 제1 메인 슬라이더와 서브 슬라이더가 후방의 이동단까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53은 제1 레일과 제2 레일이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가압 롤러와 회전 롤러와 디스크 보유 지지 핀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54는 유닛 플레이트가 상방의 이동단까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55는 이젝트 동작이 개시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디스크 카트리지를 향하여 반송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56은 루트 어저스터가 회동되어 위치 결정용 돌기부가 디스크 카트리지의 보유 지지 홈에 삽입되어 위치 결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57은 루트 어저스터가 회동되어 위치 결정용 돌기부가 디스크 카트리지의 보유 지지 홈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
도 58은 리미트 레버의 피작용축에 의해 작동 레버가 가압되어 서브 슬라이더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개시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확대 평면도.
도 59는 리미트 레버의 피작용축이 작동 레버를 타고 넘도록 하여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확대 평면도.
도 60은 리미트 레버의 피작용축이 제1 메인 슬라이더에 가압되어 제1 레일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개시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확대 평면도.
도 61은 비맞물림 위치로부터 제1 메인 슬라이더와 서브 슬라이더가 일체로 되어 전방으로 이동되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62는 제1 메인 슬라이더와 서브 슬라이더가 비맞물림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이동되어 로크용 레버에 의해 서브 슬라이더가 제1 메인 슬라이더에 대하여 로크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확대 평면도.
도 63은 사이드 슬라이더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있을 때의 유닛 플레이트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64는 가압 롤러에 의해 가압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디스크 카트리지를 향하여 반송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65는 배출 레버가 미끄럼 이동 돌기부에 미끄럼 이동되어 가압 롤러가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66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가압 롤러에 의해 가압되어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67은 계속해서 가압 롤러에 의해 가압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디스크 카트리지를 향하여 반송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68은 계속해서 가압 롤러에 의해 가압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69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가압 롤러에 의해 가압되어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70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가압 롤러에 의해 과잉으로 전방으로 가압되었을 때에, 리미트 레버와 제1 레일의 사이에 지지된 인장 스프링이 신장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71은 루트 어저스터의 위치 결정용 돌기부가 디스크 카트리지의 보유 지지 홈으로부터 취출되지 않았을 때에 전방측 링크 아암의 후크부가 루트 어저스터의 걸림부에 걸림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72는 전방측 링크 아암의 후크부가 루트 어저스터의 걸림부로부터 이격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확대 평면도.
도 73은 도 74 내지 도 76과 함께 제1 메인 슬라이더와 서브 슬라이더가 전방의 이동단부터 비맞물림 위치까지 후방으로 이동될 때의 로크용 레버 등의 동작을 도시하는 것이며, 도 73은, 제1 메인 슬라이더와 서브 슬라이더가 전방의 이동단으로부터 비맞물림 위치를 향하여 이동된 직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확대 평면도.
도 74는 계속해서 제1 메인 슬라이더와 서브 슬라이더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제1 메인 슬라이더의 제2 메인 랙부와 구동 기어의 맞물림이 해제되었을 때에 로크용 레버에 의한 서브 슬라이더의 로크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확대 평면도.
도 75는 계속하여 제1 메인 슬라이더와 서브 슬라이더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서브 슬라이더의 제2 서브 랙부와 구동 기어의 맞물림이 해제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확대 평면도.
도 76은 서브 슬라이더가 비맞물림 위치까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확대 평면도.
이하에, 본 기술 디스크 반송 장치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디스크 반송 장치는 디스크 스토리지 시스템에서, 디스크 카트리지 사이에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디스크 카트리지로부터 디스크 반송 장치를 향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반송되는 방향을 후방(인입 방향)으로 하고, 디스크 반송 장치로부터 디스크 카트리지를 향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반송되는 방향을 전방(배출 방향)으로 하고, 좌우 방향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보았을 때의 상태로 나타내고, 전후 상하 좌우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전후 상하 좌우의 방향은 설명의 편의상의 것이고, 본 기술의 실시에 관해서는, 이들 방향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디스크 카트리지의 구성]
우선, 디스크 스토리지 시스템에 사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구성을 설명한다(도 1 내지 도 4 참조).
디스크 카트리지(1)는 케이스체(2)의 내부에 필요한 각 부가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케이스체(2)는 제1 쉘(3)과 제2 쉘(4)을 갖고 있다. 케이스체(2)의 내부에는 복수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 200, …)가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쉘(3)과 제2 쉘(4)은, 예를 들어 상하 방향에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1 내지 도 3 참조). 또한, 케이스체(2)가 세로로 긴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쉘(3)과 제2 쉘(4)은, 좌우 방향에서 결합 또는 분리된다.
제1 쉘(3)은 베이스체(5)와 베이스체(5)의 후단부에 설치된 보조 베이스(6)가 상하 방향에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베이스체(5)는 상하 방향을 향하는 베이스면부(7)와 베이스면부(7)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돌출된 사이드면부(8, 8)와 베이스면부(7)의 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리어면부(9)를 갖고 있다.
베이스면부(7)의 중앙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원축 형상의 센터 핀(10)이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면부(7)의 전단 근방의 위치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지지축(11, 11)이 좌우로 이격하여 설치되어 있다.
보조 베이스(6)의 좌우 양단부에서의 하단부에는 각각 측방(외측) 및 하방으로 개구된 홈 형상의 파지부(6a, 6a)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쉘(3)의 좌우 양측면부에서의 후단 근방의 위치에는, 각각 슬라이더 지지부(3a, 3a)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쉘(3)의 지지축(11, 11)에는 각각 로크 레버(12, 12)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크 레버(12)의 선단부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로크용 돌기부(12a)가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로크 레버(12, 12)가 지지축(11, 11)에 지지된 상태에서, 로크 레버(12, 12)는 도시하지 않은 가압 스프링에 의해 로크용 돌기부(12a, 12a)가 각각 사이드면부(8, 8)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제1 쉘(3)의 슬라이더 지지부(3a, 3a)에는 각각 로크 슬라이더(13, 13)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1 내지 도 4 참조). 로크 슬라이더(13, 13)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고 있다. 로크 슬라이더(13, 13)에는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부에 각각 내측으로 돌출된 로크부(13a, 13a)가 설치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제1 쉘(3)의 전단부에는 개폐 패널(14)이 설치되어 있다(도 1 내지 도 4 참조). 개폐 패널(14)에는 좌우로 이격하여 삽입 구멍(14a, 14a)이 형성되어 있다. 개폐 패널(14)의 좌우 양단부에는 각각 외측에 개구된 삽입용 절결부(14b, 14b)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쉘(4)은 상하 방향을 향하는 기면부(15)와 기면부(15)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 측면부(16, 16)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측면부(16)에는, 전단부에 전방으로 개구되고 좌우로 관통된 제1 로크용 오목부(16a)가 형성되고, 후단 근방의 위치에 후방 및 외측에 개구된 제2 로크용 오목부(16b)가 형성되어 있다.
측면부(16)의 내면에는 보유 지지 홈(16c, 16c, …)이 형성되고, 보유 지지 홈(16c, 16c, …)은 상하 방향에서 등간격으로 이격하여 위치되어 있다.
제2 쉘(4)의 측면부(16, 16) 사이의 후단 근방의 위치에는 브리지 부재(17)가 설치되어 있다(도 2 참조).
디스크 카트리지(1)에는, 예를 들어 케이스체(2)의 후방면에 정보 입력 수단으로서 정보 입력 시트(18)가 부착되어 있다(도 1및 도 2 참조). 정보 입력 시트(18)에는 소정의 정보, 예를 들어 케이스체(2)의 내부에 수납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 200, …) 사이의 피치 및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 200, …)의 수납 매수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어 있다.
또한, 정보 입력 수단은 정보 입력 시트(18)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케이스체(2)에 인쇄된 바코드 등의 인쇄 정보나 케이스체(2)에 매립된 기록 칩 등의 적절한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디스크 카트리지(1)에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 200, …)가 케이스체(2)의 내부에 보유 지지된다(도 1및 도 2 참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는 제1 쉘(3)과 제2 쉘(4)이 분리된 상태에서, 외주부가 제2 쉘(4)의 측면부(16, 16)에 형성된 보유 지지 홈(16c, 16c)에 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케이스체(2)의 내부에 보유 지지된다. 따라서, 제2 쉘(4)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개구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 200, …)의 제2 쉘(4)에 대한 삽입 및 취출이 행해지는 디스크 삽입 분리구(4a)로서 형성된다.
제1 쉘(3)과 제2 쉘(4)이 결합되고 제1 쉘(3)에 개폐 패널(14)이 설치되어 케이스체(2)가 구성된 상태에서는, 좌우 양측부에 각각 전후로 연장되는 삽입 홈(2a, 2a)이 형성된다(도 1 참조). 삽입 홈(2a, 2a)은, 후단부가 각각 제1 쉘(3)의 슬라이더 지지부(3a, 3a)에 연속되고, 전단부가 각각 개폐 패널(14)에 형성된 삽입용 절결부(14b, 14b)에 연속된다.
[디스크 카트리지의 결합 상태]
이하에, 디스크 카트리지(1)의 결합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4 참조).
제1 쉘(3)과 제2 쉘(4)은 베이스체(5)의 베이스면부(7)와 기면부(15)가 상하로 대향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제1 쉘(3)과 제2 쉘(4)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로크 레버(12, 12) 및 로크 슬라이더(13, 13)에 의해 제1 쉘(3)과 제2 쉘(4)이 로크되어 있다.
로크 레버(12, 12)는 가압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로크용 돌기부(12a, 12a)가 서로 이격하는 방향(외측)에서의 회동단에 위치되고, 로크용 돌기부(12a, 12a)가 각각 제2 쉘(4)의 측면부(16, 16)에 형성된 제1 로크용 오목부(16a, 16a)에 삽입되어 걸림 결합되어 있다.
로크 슬라이더(13, 13)는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전방의 이동단에 위치되고, 로크부(13a, 13a)가 각각 제2 쉘(4)의 측면부(16, 16)에 형성된 제2 로크용 오목부(16b, 16b)에 삽입되어 걸림 결합되어 있다.
제1 쉘(3)과 제2 쉘(4)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 200, …)는 중심 구멍(200a, 200a, …)에 제1 쉘(3)에 설치된 센터 핀(10)이 삽입된다.
[디스크 스토리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
이어서, 디스크 스토리지 시스템(19)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5 및 도 6 참조).
디스크 스토리지 시스템(19)은 디스크 카트리지(1)와 디스크 카트리지(1)가 보유 지지되는 디스크 체인저(20)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 200, …)를 반송하는 디스크 반송 장치(21)를 구비하고 있다.
디스크 체인저(20)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승강 기구와 승강 기구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도시하지 않은 카트리지 홀더가 설치되고, 카트리지 홀더에는 디스크 카트리지(1)가 보유 지지된다.
디스크 카트리지(1)는 카트리지 홀더와 함께 승강 기구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도 5 참조). 디스크 카트리지(1)와 디스크 반송 장치(21) 사이에서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전후 방향)에서 전달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는 디스크 체인저(20)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취출 기구에 의해 디스크 카트리지(1)로부터 후방으로 취출되고, 디스크 반송 장치(21)에 의해 후방을 향하여 반송되어(도 6 참조) 정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해진다. 정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이 종료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는, 디스크 반송 장치(21)에 의해 전방을 향하여 반송되어(도 6 참조) 디스크 카트리지(1)에 수납된다.
[디스크 반송 장치의 구성]
이어서, 디스크 반송 장치(2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7 내지 도 38 참조).
<베이스 프레임>
디스크 반송 장치(21)는 베이스 프레임(22)과 베이스 프레임(22)을 상측으로부터 덮는 도시하지 않은 커버를 갖고, 베이스 프레임(22)은 외형이 세로로 긴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저면판부(23)와 저면판부(23)의 외주연으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측면판부(24, 24, …)로 이루어진다(도 11 참조).
베이스 프레임(22)의 전후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부의 좌우 양측에는, 전후로 2개씩의 측면판부(24, 24, …)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전후로 배열하는 측면판부(24, 24) 사이에는 상방으로 개구된 상하로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되고, 이 슬릿이 안내 규제 구멍(24a)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전후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부에서 전후로 2개씩 배열하는 측면판부(24, 24, …)의 외면에는 각각 안내 규제 핀(25, 25, …)이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22)의 저면판부(23) 위에는 도시하지 않은 회로 기판이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프레임(22)의 측면판부(24, 24)에는 베이스 플레이트(26)가 설치되어 있다(도 7 참조). 베이스 플레이트(26)는 외형이 세로로 긴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판부(27)와 베이스판부(27)의 외주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피설치 돌기부(28, 28, …)와 베이스판부(27)의 외주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설치 돌기부(29, 29, …)를 갖고 있다(도 12 참조). 베이스 플레이트(26)는 피설치 돌기부(28, 28, …)가 각각 베이스 프레임(22)의 측면판부(24, 24, …)에 나사 고정 등에 의해 설치되고, 베이스판부(27)가 저면판부(23)의 상방에 위치되어 있다.
베이스판부(27)의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부에는 전후로 연장되는 베이스 유닛 배치 구멍(27a)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판부(27)의 전단부에서의 좌우 양단부에는 각각 어저스터 지지부(30, 30)가 설치되어 있다. 어저스터 지지부(30)에는 상하로 관통된 축 설치부(30a)가 형성되어 있다(도 13 참조). 어저스터 지지부(30)의 축 설치부(30a)의 주위 부분은 상방으로 개구된 오목 형상부(30b)로서 형성되고, 오목 형상부(30b)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스프링 걸림 돌기부(30c)가 형성되어 있다.
<루트 어저스터>
어저스터 지지부(30, 30)에는 각각 루트 어저스터(31, 31)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7 참조). 루트 어저스터(31)는 원통 형상의 축 삽입 관통부(32)와 축 삽입 관통부(32)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위치 조정부(33)와 위치 조정부(33)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된 위치 결정용 돌기부(34)와 위치 조정부(33)의 상단부로부터 위치 결정용 돌기부(34)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부(35)와 위치 조정부(33)의 선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스프링 걸림부(36)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도 13 내지 도 16 참조).
위치 조정부(33)는 선단으로 감에 따라 폭이 작아지는 대략 삼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면에 각각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 결정 홈(37, 37)을 갖고 있다. 위치 결정 홈(37)의 양단부에는 각각 선단으로 감에 따라 홈 폭이 커지는 안내면(37a, 37a, …)이 형성되어 있다(도 16 참조).
위치 결정용 돌기부(34)는 위치 조정부(33)의 축 삽입 관통부(32)로부터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 조정부(33)로부터 돌출되고, 좌우 양단부에서의 상하 양단부에 각각 외측으로 감에 따라 상하 방향에서 서로 접근하도록 경사진 피안내면(34a, 34a)을 갖고 있다.
돌기 형상부(35)는 선단부가 상측으로 굴곡되어 V자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부(35a)로서 형성되어 있다.
루트 어저스터(31)는 축 설치부(30a)에 설치된 지지축(38)을 지지점으로 하여 어저스터 지지부(3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도 13 내지 도 15 참조). 루트 어저스터(31)가 어저스터 지지부(30)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어저스터 지지부(30)의 축 설치부(30a)에 복귀 스프링(38)이 지지된다(도 17 참조). 복귀 스프링(38)은, 예를 들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다.
루트 어저스터(31)가 위치 결정용 돌기부(34)가 전방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면, 복귀 스프링(39)의 일단부(39a)가 스프링 걸림부(36)에 걸림 결합됨과 함께 복귀 스프링(39)의 타단부(39b)가 스프링 걸림 돌기부(30c)에 걸림 결합되고, 복귀 스프링(39)에 의해 루트 어저스터(31)에 위치 결정용 돌기부(34)가 후방측으로 이동되는 회동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부여된다(도 18 참조). 반대로, 루트 어저스터(31)가 위치 결정용 돌기부(34)가 후방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면, 복귀 스프링(39)의 타단부(39b)가 스프링 걸림부(36)에 걸림 결합됨과 함께 복귀 스프링(39)의 일단부(39a)가 스프링 걸림 돌기부(30c)에 걸림 결합되고, 복귀 스프링(39)에 의해 루트 어저스터(31)에 위치 결정용 돌기부(34)가 전방측으로 이동되는 회동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부여된다(도 17 참조). 따라서, 루트 어저스터(31)는 외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복귀 스프링(39)에 의해 중립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좌측에 위치하는 루트 어저스터(31)의 중립 위치는 위치 결정용 돌기부(34)가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에서 보유 지지된 위치이며, 우측에 위치하는 루트 어저스터(31)의 중립 위치는 위치 결정용 돌기부(34)가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에서 보유 지지된 위치이다.
<베이스 섀시>
베이스 플레이트(26)에는 베이스 섀시(40)가 설치되어 있다(도 7 참조). 베이스 섀시(40)는 제1 베이스(41)와 제1 베이스(41)의 상면에서의 전단측에 설치된 제2 베이스(42)로 이루어진다. 제1 베이스(41)는, 예를 들어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제2 베이스(42)는, 예를 들어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40)는 외형이 세로로 긴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부에 피설치용 돌기부(40a, 40a, …)가 형성되어 있다(도 20 참조). 베이스 섀시(40)는 피설치용 돌기부(40a, 40a, …)가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26)의 설치 돌기부(29, 29, …)에 나사 고정 등에 의해 설치되고, 베이스판부(27)의 상방에 위치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40)의 좌우 양단부에는 각각 전후로 이격하여 상방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부(40b, 40b, …)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40)의 좌측 단부에서의 전단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동작 캠부(43)가 형성되어 있다. 동작 캠부(43)는, 베이스 섀시(40)의 좌측 전방의 코너부를 중심으로 한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캠부(43a)와, 동일하게 코너부를 중심으로 한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캠부(43a)의 전단에 연속하는 제2 캠부(43b)와, 제2 캠부(43b)의 전단에 연속되어 좌우로 짧게 연장되는 제3 캠부(43c)로 이루어진다. 제1 캠부(43a)는 제2 캠부(43b)보다 폭이 넓게 되고, 제1 캠부(43a)와 제2 캠부(43b)의 연속 부분에는 대략 후방을 향하는 단차 둘레(43d)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40)의 우측 단부에서의 전단부에는 기어 이동 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기어 이동 구멍(44)은 베이스 섀시(40)의 우측 전방의 코너부를 중심으로 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40)의 전후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부의 좌우 양단부에는 각각 제1 축 이동 구멍(45, 45)과 제2 축 이동 구멍(46, 4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축 이동 구멍(45, 45)과 제2 축 이동 구멍(46, 46)은 각각 중심의 위치가 상이한 내측에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방측에 위치하는 제2 축 이동 구멍(46, 46)의 전단부가 제1 축 이동 구멍(45, 45)의 중간부에 연통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40)에는 제2 축 이동 구멍(46, 46)의 내측에 각각 핀 이동 구멍(47, 47)이 형성되어 있다. 핀 이동 구멍(47, 47)은 각각 외측에 볼록 부분이 완만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40)에는 좌측에 위치하는 핀 이동 구멍(47)의 외측에 연속하여 연결부 이동 구멍(48)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 이동 구멍(48)은 핀 이동 구멍(47)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핀 이동 구멍(47)에 연통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40)에는 좌측에 위치하는 핀 이동 구멍(47)의 내측에, 작용축 이동 구멍(49)이 형성되어 있다. 작용축 이동 구멍(49)은 핀 이동 구멍(47)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40)의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개구된 배치용 오목부(50)가 형성되어 있다. 배치용 오목부(50)의 전후 양단부에는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 지지 핀(50a, 50a)이 설치되어 있다. 배치용 오목부(50)의 대략 중앙부에는 원 형상의 테이블 삽입 관통 구멍(50b)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40)의 하면에서의 전단측의 위치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미끄럼 이동 돌기부(40c, 40c)가 좌우로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 돌기부(40c, 40c)는 베이스 섀시(40)의 좌측 전방의 코너부를 중심으로 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단부가 베이스 섀시(40)의 전단에 일치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40)에는, 좌우 양단 근방의 위치에 각각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스프링 지지축(40d, 40d)이 설치되고, 좌우 양단부에는 스프링 누름부(40e, 40e)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누름부(40e, 40e)는 각각 스프링 지지축(40d, 40d)의 근방에 위치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40)의 좌측단 근방의 위치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로크용 작용 돌기부(40f)와 로크 해제용 작용 돌기부(40g)가 좌우로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다(도 20 참조). 로크용 작용 돌기부(40f)는 로크 해제용 작용 돌기부(40g)의 약간 전방에 위치되어 있다.
<구동 모터 및 각 기어 등>
베이스 섀시(40)의 좌측 단부에서의 전단부에는 설치판(51)이 나사 고정 등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도 7 참조). 설치판(51)은 모터 설치부(51a)와 기판 설치부(51b)를 갖고 있다(도 22 참조). 설치판(51)에는, 모터 설치부(51a)에 구동 모터(52)가 설치되고, 기판 설치부(51b)에 센서 기판(53)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 모터(52)와 센서 기판(53)은 모두 도시하지 않은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22)의 저면판부(23) 위에 배치된 회로 기판에 접속되어 있다.
구동 모터(52)는 출력축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모터 설치부(51a)에 설치되고, 출력축에는 웜(54)이 고정되어 있다.
센서 기판(53)에는 센서(53a, 53a)가 탑재되어 있다(도 7 및 도 8 참조).
베이스 섀시(40)에는 상면측에 웜 기어(55)와 전달 기어군(56)이 각각 지지되어 있다(도 7, 도 8 및 도 22 참조). 웜 기어(55)는 웜(54)에 맞물리고, 전달 기어군(56)은 웜 기어(55)에 맞물려 있다.
베이스 섀시(40)의 좌측단 근방의 위치에는 구동 기어(57)가 지지되어 있고, 구동 기어(57)는 전달 기어군(56)의 최종단의 기어에 맞물려 있다. 따라서, 구동 모터(52)가 회전되면, 그 구동력이 순서대로 웜(54), 웜 기어(55) 및 전달 기어군(56)을 통하여 구동 기어(57)에 전달되어, 구동 기어(57)가 전달 기어군(56)에 의해 감속되어 회전된다.
베이스 섀시(40)의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부의 전단부에는 기어 지지 플레이트(58)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기어 지지 플레이트(58)는 기어 지지부(58a)와 기어 지지부(58a)로부터 대략 후방으로 돌출된 아암부(58b)와 아암부(58b)의 선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미끄럼 이동 핀(58c)으로 이루어진다.
기어 지지 플레이트(58)에는 제1 전달 기어(59)와 전환 기어(60)가 맞물린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다. 제1 전달 기어(59)는 웜 기어(55)에 맞물려 있다.
베이스 섀시(60)의 전단부에서의 우측 단부에는 제2 전달 기어(61)와 제3 전달 기어(62)가 맞물린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다.
제2 전달 기어(61)는 기어 지지 플레이트(58)의 회동 위치에 의해 전환 기어(60)와 맞물리거나 또는 맞물림이 해제된다. 제3 전달 기어(62)는 베이스 섀시(60)의 우측 전방의 코너부에 지지되어 있다.
제2 전달 기어(61)가 전환 기어(60)에 맞물린 상태에서, 구동 모터(52)가 회전되면, 그 구동력이 순서대로 웜(54), 웜 기어(55), 제1 전달 기어(59), 전환 기어(60) 및 제2 전달 기어(61)를 통하여 제3 전달 기어(62)에 전달된다.
<풀리 홀더 및 척킹 풀리>
베이스 섀시(60)의 배치용 오목부(60)에는 제1 풀리 홀더(63)와 제2 풀리 홀더(64)가 배치되어 있다(도 8 및 도 9 참조).
제1 풀리 홀더(63)는 대략 좌측 방향으로 볼록한 대략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보유 지지부(63a)와 보유 지지부(63a)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피지지부(63b)와 보유 지지부(63a)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연결부(63c)로 이루어진다(도 23 및 도 24 참조). 보유 지지부(63a)의 중간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피작용 핀(63d)이 설치되고, 연결부(63c)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연결 핀(63e)이 설치되어 있다. 보유 지지부(63a)는 외주부를 제외하고 하방으로 경사지는 유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유 지지부(63a)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앙부의 상면에는 단차부(63f)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풀리 홀더(64)는 대략 우측 방향으로 볼록한 대략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보유 지지부(64a)와 보유 지지부(64a)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피지지부(64b)와 피지지부(64b)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연결부(64c)로 이루어진다. 연결부(64c)에는 완만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 구멍(64d)이 형성되어 있다. 보유 지지부(64a)는 외주부를 제외하고 하방으로 경사지는 유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유 지지부(64a)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앙부의 상면에는 단차부(64e)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풀리 홀더(63)는 피지지부(63b)에 배치용 오목부(50)에 설치된 한쪽의 지지 핀(50a)이 삽입되어, 배치용 오목부(50)에서 한쪽의 지지 핀(50a)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된다.
제2 풀리 홀더(64)는 피지지부(64b)에 배치용 오목부(50)에 설치된 다른 쪽의 지지 핀(50a)이 삽입되어, 배치용 오목부(50)에서 다른 쪽의 지지 핀(50a)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된다.
제1 풀리 홀더(63)의 연결 핀(63e)은 제2 풀리 홀더(64)의 연결 구멍(64d)에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고, 제1 풀리 홀더(63)의 회동 동작에 수반하여 제2 풀리 홀더(64)가 회동된다. 제1 풀리 홀더(63)와 제2 풀리 홀더(64)는 보유 지지부(63a)와 보유 지지부(64b)가 분리 접촉하는 방향으로 연동하여 회동된다. 제1 풀리 홀더(63)와 제2 풀리 홀더(64)가 지지 핀(50a, 50a)에 지지된 상태에서, 한쪽의 지지 핀(50a)과 제1 풀리 홀더(63) 사이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65)이 지지되고, 제1 풀리 홀더(63)와 제2 풀리 홀더(64)에 보유 지지부(63a)와 보유 지지부(64b)가 접근하는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부여된다.
제1 풀리 홀더(63)와 제2 풀리 홀더(64)에 의해 척킹 풀리(66)가 보유 지지된다. 척킹 풀리(66)는 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외형이 원 형상인 장착부(66a)와 장착부(66a)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66b)를 갖고 있다.
척킹 풀리(66)는 제1 풀리 홀더(63)의 보유 지지부(63a)와 제2 풀리 홀더(64)의 보유 지지부(64a)가 플랜지부(66b)의 하측에 위치됨으로써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보유 지지된다(도 24 및 도 25 참조). 척킹 풀리(66)가 보유 지지된 상태로부터 제1 풀리 홀더(63)와 제2 풀리 홀더(64)가 코일 스프링(65)의 가압력에 반하여 이격하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보유 지지부(63a, 64a)가 개방되어 플랜지부(66b)의 외측에 위치되면, 척킹 풀리(66)에 대한 제1 풀리 홀더(63)와 제2 풀리 홀더(64)에 의한 보유 지지 상태가 해제되어, 척킹 풀리(66)가 하방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된다(도 26 참조).
또한, 제1 풀리 홀더(63)와 제2 풀리 홀더(64)에는 각각 단차부(63f, 64e)가 형성되어 있고, 제1 풀리 홀더(63)와 제2 풀리 홀더(64)의 보유 지지부(63a, 64a)가 이격하여 갈 때에, 척킹 풀리(66)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가는 과정에서 수평한 상태에 대하여 경사졌을 때에 플랜지부(66b)가 어느 하나의 단차부(63f, 64e)에 걸림 결합하여 척킹 풀리(66)가 경사진 상태에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경사진 상태에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계속하여 보유 지지부(63a, 64a)가 이격하여 가면, 척킹 풀리(66)는 플랜지부(66b)가 양쪽의 단차부(63f, 64e)에 걸림 결합할 때까지 이동되어 수평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더욱 보유 지지부(63a, 64a)가 이격하여 갈 때에는, 척킹 풀리(66)가 수평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이동되어 가기 위해서, 척킹 풀리(66)의 적정한 방향에서의 이동이 행해진다.
<연동 레버>
베이스 섀시(40)의 상면에서의 후단 근방의 위치에는 제1 연동 레버(67)와 제2 연동 레버(68)가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8 내지 도 10 참조).
제1 연동 레버(67)는 상하 방향을 향하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대략 좌측 경사 후방으로 볼록한 く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도 27 참조). 제1 연동 레버(67)에는, 우측단 근방의 위치에 상방으로 돌출된 연결축(67a)이 설치되고, 좌측 단부에 대략 원호 형상의 걸림 구멍(67b)이 형성되고, 걸림 구멍(67b)의 우측에 하방으로 돌출된 디스크 보유 지지 핀(67c)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연동 레버(67)에는, 좌우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부에 원호 형상의 축 삽입 관통 구멍(67d)이 형성되고, 걸림 구멍(67b)과 축 삽입 관통 구멍(67d) 사이에 하방으로 돌출된 지지축(67e)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연동 레버(67)는 우측 단부가 베이스 섀시(4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연동 레버(68)는 상하 방향을 향하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대략 우측 경사 후방으로 볼록한 く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2 연동 레버(68)에는, 좌측단 근방의 위치에 원호 형상의 연결 구멍(68a)이 형성되고, 우측 단부에 대략 원호 형상의 걸림 구멍(68b)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동 레버(68)에는, 걸림 구멍(68b)의 근방에 하방으로 돌출된 디스크 보유 지지 핀(68c)이 설치되어 있다.
제2 연동 레버(68)는 좌측 단부가 베이스 섀시(4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연동 레버(67)의 연결축(67a)은 제2 연동 레버(68)의 연결 구멍(68a)에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고, 제1 연동 레버(67)와 제2 연동 레버(68)가 각각 우측 단부와 좌측 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연동하여 회동된다. 제1 연동 레버(67)와 제2 연동 레버(68)의 디스크 보유 지지 핀(67c, 68c)은 각각 베이스 섀시(40)의 핀 이동 구멍(47, 47)에 삽입 관통되어 베이스 섀시(40)의 하방으로 돌출된다.
제1 연동 레버(67)의 지지축(67e)은 베이스 섀시(40)의 연결부 이동 구멍(48)에 삽입되어 하방으로 돌출된다. 제1 연동 레버(67)의 지지축(67e)에는 스타트 레버(69)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도 10 및 도 27 참조).
스타트 레버(69)는 베이스 섀시(40)의 하면측에 위치된다. 스타트 레버(69)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단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피가압축(69a)을 갖고 있다. 스타트 레버(69)는 타단부가 제1 연동 레버(67)에 대한 회동 지지점으로 되어 있다. 스타트 레버(69)의 회동 지지점에 접근한 위치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작용축(69b)이 설치되고, 작용축(69b)은 베이스 섀시(40)의 작용축 이동 구멍(49) 및 제1 연동 레버(67)의 축 삽입 관통 구멍(67d)에 삽입 관통되어 상방으로 돌출된다.
스타트 레버(69)와 제1 연동 레버(67)의 디스크 보유 지지 핀(67c)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70)이 지지되고, 코일 스프링(70)에 의해 스타트 레버(69)에 피가압축(69a)이 대략 전방으로 이동하는 회동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부여된다.
<커버 플레이트>
베이스 섀시(40)의 제1 베이스부(41)의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부에는 커버 플레이트(71)가 나사 고정 등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설치되어 있다(도 7 및 도 8 참조). 커버 플레이트(71)는 세로로 긴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커버 플레이트(71)에 의해 제1 풀리 홀더(63)와 제2 풀리 홀더(64)와 척킹 풀리(66)와 제1 연동 레버(67)의 일부와 제2 연동 레버(68)의 일부가 상방으로부터 폐색된다. 커버 플레이트(71)의 좌우 양단부는 가이드부(71a, 71a)로서 설치되어 있다.
<동기 기어>
커버 플레이트(71)의 상면측에는 동기 기어(72, 72)가 맞물린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다.
<제1 메인 슬라이더>
베이스 섀시(40)의 상면에서의 좌측 단부에는 제1 메인 슬라이더(73)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7 내지 도 9 참조).
제1 메인 슬라이더(73)는 상하 방향을 향하는 판상의 슬라이드부(74)와 슬라이드부(74)의 좌측 단부에서의 전후 양단부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 결합부(75, 75)를 갖고 있다(도 28 및 도 29 참조).
슬라이드부(74)의 좌측 단부에서의 전반부에는 우측 방향을 향하는 제1 메인 랙부(74a)와 제2 메인 랙부(74b)가 전후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제1 메인 랙부(74a)와 제2 메인 랙부(74b) 사이의 부분은 무 랙부(74c)로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부(74)에는 전후로 이격하여 상방으로 돌출된 지지 핀(74d, 74d)이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부(74)에는, 우측단 근방의 위치에 우측 방향을 향하는 연결 랙부(74e)가 설치되고, 좌우 양단부에 각각 전후로 연장되는 피가이드부(74f, 74f)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부(74)의 우측단 근방의 위치에서의 후단부에는, 후방으로 개구된 삽입용 절결부(74g)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부(74)에는 좌측 단부에서의 후단 근방의 위치에 캠 구멍(76)이 형성되어 있다. 캠 구멍(76)은 개구 면적이 큰 대기부(76a)와 대기부(76a)의 좌측 단부의 전단에 연속하여 전후로 연장되는 제1 직선부(76b)와 제1 직선부(76b)의 전단에 연속하여 전방으로 감에 따라 좌측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경사진 경사부(76c)와 경사부(76c)의 전단에 연속하여 전후로 연장되는 제2 직선부(76d)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드부(74)에는 연결 랙부(74e)와 우측의 피가이드부(74f) 사이에 캠 지지 구멍(77)이 형성되어 있다. 캠 지지 구멍(77)은 전후로 연장되는 후방측부(77a)와 후방측부(77a)의 전단에 연속하여 전방으로 감에 따라 좌측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경사진 중간부(77b)와 중간부(77b)의 전단에 연속하여 전후로 연장되는 전방측부(77c)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드부(74)의 전단 근방의 위치에는 전후로 연장되는 레버 작용 구멍(74h)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부(74)에는 레버 작용 구멍(74h)에 배치되는 로크용 레버(78)가 설치되어 있다. 로크용 레버(78)는 전후로 연장되는 탄성 변형부(78a)와 탄성 변형부(78a)의 전단부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로크부(78b)로 이루어지고, 탄성 변형부(78a)의 후단부가 슬라이드부(74)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로크용 레버(78)는 탄성 변형부(78a)가 탄성 변형되어 레버 작용 구멍(74h)에서 동작된다.
제1 메인 슬라이더(73)는 피가이드부(74f, 74f)가 각각 베이스 섀시(40)의 좌측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부(40b, 40b)와 커버 플레이트(71)의 좌측의 가이드부(71a)에 안내되어 베이스 섀시(40)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메인 슬라이더(73)가 베이스 섀시(40)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연결 랙부(74e)가 좌측의 동기 기어(72)에 맞물린다(도 7 참조). 따라서, 제1 메인 슬라이더(73)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동기 기어(72, 72)가 회전된다.
또한, 제1 메인 슬라이더(73)가 베이스 섀시(40)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캠 지지 구멍(77)에 제1 풀리 홀더(63)에 설치된 피작용 핀(63d)이 삽입된다.
<서브 슬라이더>
제1 메인 슬라이더(73)에는 서브 슬라이더(79)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7 내지 도 9 참조).
서브 슬라이더(79)는 상하 방향을 향하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서브 슬라이더(79)의 좌측 단부에서의 전반부에 우측 방향을 향하는 제1 서브 랙부(79a)와 제2 서브 랙부(79b)가 전후로 이격하여 설치되어 있다(도 28 및 도 29 참조). 제1 서브 랙부(79a)와 제2 서브 랙부(79b) 사이의 부분은 비 랙부(79c)로서 형성되어 있다.
서브 슬라이더(79)의 제1 서브 랙부(79a)와 제2 서브 랙부(79b)의 피치는 각각 제1 메인 랙부(74a)와 제2 메인 랙부(74b)의 피치와 동일하게 되고, 비 랙부(79c)의 전후 방향에서의 거리는 무 랙부(74c)의 전후 방향에서의 거리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서브 슬라이더(79)에는 전후로 이격하여 전후로 연장되는 피지지 구멍(79d, 79d)이 형성되어 있다. 서브 슬라이더(79)의 후단부에는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작용 돌기부(79e)가 형성되어 있다.
서브 슬라이더(79)의 전후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부에는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 스프링 지지 돌기부(79f)와 스프링 걸림 돌기부(79g)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지지 돌기부(79f)는 후방측의 피지지 구멍(79d)의 우측 방향에 위치되고, 스프링 걸림 돌기부(79g)는 스프링 지지 돌기부(79f)와 후방측의 피지지 구멍(79d)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서브 슬라이더(79)에는 후방측의 피지지 구멍(79d)의 후방에 상방으로 돌출된 레버 지지 핀(79h)이 설치되어 있다. 서브 슬라이더(79)에는 스프링 지지 돌기부(79f)의 후방에 상방으로 돌출된 회동 규제 돌기부(79i)가 형성되어 있다. 서브 슬라이더(79)에는 스프링 지지 돌기부(79f)를 사이에 두고 스프링 걸림 돌기부(79g)의 반대측에 상방으로 돌출된 스프링걸이 돌기부(79j)가 설치되어 있다.
서브 슬라이더(79)에는 좌측 단부에서의 후단 근방의 위치에 캠 작용 구멍(80)이 형성되어 있다. 캠 작용 구멍(80)은 개구 면적이 큰 대기부(80a)와 대기부(80a)의 좌측 단부의 전단에 연속하여 전후로 연장되는 후방측 직선부(80b)와 후방측 직선부(80b)의 전단에 연속하여 전후로 연장되는 전방측 직선부(80c)로 이루어진다. 후방측 직선부(80b)는 가로 폭이 전방측 직선부(80c)의 가로 폭보다 크게 되어 있다.
서브 슬라이더(79)의 전단 근방의 위치에는 레버 삽입 구멍(81)이 형성되어 있다. 레버 삽입 구멍(81)은 전후로 연장되는 삽입부(81a)와 좌측 방향으로 개구된 오목 형상의 레버 걸림부(81b)로 이루어지고, 레버 걸림부(81b)가 삽입부(81a)의 후단 근방의 부분에 연통되어 있다.
서브 슬라이더(79)의 스프링 지지 돌기부(79f)에는 위치 제어 스프링(82)이 지지되어 있다. 위치 제어 스프링(82)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며, 코일부(82a)가 스프링 지지 돌기부(79f)에 지지되고, 일단부(82b)가 스프링 걸림 돌기부(79g)의 전방측에 위치되고, 타단부(82c)가 스프링 걸림 돌기부(79g)의 후방측에 위치되어 있다.
위치 제어 스프링(82)의 일단부(82b)와 타단부(82c) 사이에는 후방측의 피지지 구멍(79d)에 삽입된 제1 메인 슬라이더(73)의 지지 핀(74d)이 위치되어 있다.
서브 슬라이더(79)의 레버 지지 핀(79h)에는 L자 형상의 작동 레버(83)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작동 레버(83)는 대략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83a)과 대략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83b)으로 이루어지고, 제1 부분(83a)과 제2 부분(83b)이 연속된 부분이 레버 지지 핀(79h)에 지지되어 있다.
작동 레버(83)는 제1 부분(83a)의 일부가 캠 작용 구멍(80)의 대기부(80a)의 상측에 위치된다. 작동 레버(83)의 제2 부분(83b)과 스프링걸이 돌기부(79j) 사이에는 인장 코일 스프링(84)이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 레버(83)는 제2 부분(83b)이 대략 전방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제2 부분(83b)이 회동 규제부(83i)에 접하여 서브 슬라이더(79)에 대한 회동이 규제된다.
서브 슬라이더(79)는 피지지 구멍(79d, 79d)에 각각 지지 핀(74d, 74d)이 하방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제1 메인 슬라이더(73)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도 29 참조).
서브 슬라이더(79)가 제1 메인 슬라이더(73) 위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제1 메인 슬라이더(73)에 설치된 로크용 레버(78)가 레버 삽입 구멍(81)에 삽입된다.
<제2 메인 슬라이더>
베이스 섀시(40)의 상면에서의 우측 단부에는 제2 메인 슬라이더(85)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7 내지 도 9 참조).
제2 메인 슬라이더(85)는 상하 방향을 향하는 판상의 슬라이드부(86)와 슬라이드부(86)의 우측 단부에서의 전후 양단부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 결합부(87, 87)를 갖고 있다.
슬라이드부(86)에는 후단 근방의 위치에 캠 구멍(88)이 형성되어 있다. 캠 구멍(88)은 개구 면적이 큰 대기부(88a)와 대기부(88a)의 우측 단부의 전단에 연속하여 전후로 연장되는 제1 직선부(88b)와 제1 직선부(88b)의 전단에 연속하여 전방으로 감에 따라 우측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경사진 경사부(88c)와 경사부(88c)의 전단에 연속하여 전후로 연장되는 제2 직선부(88d)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드부(86)에는, 좌측단 근방의 위치에 좌측 방향을 향하는 연결 랙부(86a)가 설치되고, 좌우 양단부에 각각 전후로 연장되는 피가이드부(86b, 86b)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부(86)에는 전단측의 위치에 캠 미끄럼 이동 구멍(89)이 형성되어 있다. 캠 미끄럼 이동 구멍(89)은 전후로 연장되는 후방측 미끄럼 이동부(89a)와 후방측 미끄럼 이동부(89a)의 전단에 연속하여 전방으로 감에 따라 좌측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경사진 경사 미끄럼 이동부(89b)와 경사 미끄럼 이동부(89b)의 전단에 연속하여 전후로 연장되는 전방측 미끄럼 이동부(89c)로 이루어진다.
제2 메인 슬라이더(85)는 피가이드부(86b, 86b)가 각각 베이스 섀시(40)의 우측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부(40b, 40b)와 커버 플레이트(71)의 우측의 가이드부(71a)에 안내되어 베이스 섀시(40)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 메인 슬라이더(85)가 베이스 섀시(40)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연결 랙부(86a)가 우측의 동기 기어(72)에 맞물린다(도 7 참조). 따라서, 제2 메인 슬라이더(85)에는 제1 메인 슬라이더(73)의 이동력이 동기 기어(72, 72)를 통하여 전달되어, 제1 메인 슬라이더(73)와 제2 메인 슬라이더(85)가 동기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사이드 슬라이더>
제1 메인 슬라이더(73)의 결합부(75, 75)와 제2 메인 슬라이더(85)의 결합부(87, 87)에는 각각 사이드 슬라이더(90, 90)가 결합되어 있다(도 7 내지 도 9 참조). 사이드 슬라이더(90)는 좌우 방향을 향하는 판상으로 형성된 측면부(91)와 측면부(91)의 상단부에 설치된 상하 방향을 향하는 판상의 가이드부(92)로 이루어진다(도 32 참조).
사이드 슬라이더(90, 90)는 상단부에서의 전후 양단부가 각각 제1 메인 슬라이더(73)의 결합부(75, 75)와 제2 메인 슬라이더(85)의 결합부(87, 87)에 결합되고, 측면부(91, 91)가 각각 베이스 섀시(40)의 좌우 양측면의 외측에 위치된다(도 33 참조).
측면부(91)에는 전후로 이격하여 승강용 캠 구멍(93, 93)이 형성되어 있다(도 32 및 도 33 참조). 승강용 캠 구멍(93)은 전방으로 감에 따라 상방으로 변위하는 경사 캠부(93a)와 경사 캠부(93a)의 전단에 연속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측 캠부(93b)와 경사 캠부(93a)의 후단부에 연속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측 캠부(93c)로 이루어지고, 경사 캠부(93a)의 후단부에 상방으로 개구하는 보유 지지 오목부(93d)가 형성되어 있다.
측면부(91)에는 전방측의 승강용 캠 구멍(93)의 하측과 후방측의 승강용 캠 구멍(93)의 상측에 각각 전후로 연장되는 피가이드 구멍(91a, 91a)이 형성되어 있다. 측면부(91)의 상단부 근방의 위치에는 전후로 연장되는 보유 지지 구멍(91b, 91b)이 전후로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92)에는 캠 미끄럼 이동 구멍(94)이 형성되어 있다. 캠 미끄럼 이동 구멍(94)은 후방으로 개구되고, 전후로 연장되는 후방측 미끄럼 이동부(94a)와 후방측 미끄럼 이동부(94a)의 전단에 연속하여 전방으로 감에 따라 외측(측방)으로 변위하도록 경사진 경사 미끄럼 이동부(94b)와 경사 미끄럼 이동부(94b)의 전단에 연속하여 전후로 연장되는 전방측 미끄럼 이동부(94c)로 이루어진다.
사이드 슬라이더(90)는 피가이드 구멍(91a, 91a)에 각각 베이스 프레임(22)의 안내 규제 핀(25, 25)이 삽입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22)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사이드 슬라이더(90)가 베이스 프레임(22)에 지지된 상태에서, 서브 슬라이더(79)의 좌측의 측연부가 보유 지지 구멍(91b, 91b)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어, 서브 슬라이더(79)의 제1 메인 슬라이더(73)로부터의 부상이 방지된다.
<유닛 플레이트 및 베이스 유닛 등>
사이드 슬라이더(90, 90)에는 유닛 플레이트(95)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7 참조).
유닛 플레이트(95)는 상하 방향을 향하는 베이스면부(96)와 베이스면부(96)의 좌우 양쪽 측연부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 제1 사이드면부(98, 98)와 베이스면부(96)의 좌우 양쪽 측연부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 제2 사이드면부(99, 99, …)를 갖고 있다(도 11 및 도 12 참조).
베이스면부(96)는 세로로 긴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후 양단부에 좌우로 이격한 상태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스프링걸이편(96a, 96a, …)을 갖고 있다. 유닛 플레이트(95)의 스프링걸이편(96a, 96a, …)과 베이스 프레임(22) 사이에는 각각 스프링(100, 100, …)이 지지되고, 유닛 플레이트(95)가 하방으로 가압되고 있다.
제1 사이드면부(98)는 제2 사이드면부(99)보다 약간 내측에 위치되고, 제1 사이드면부(98)의 외면에는 피안내 핀(98a, 98a)이 상하로 이격하여 설치되어 있다. 피안내 핀(98a, 98a)은 베이스 프레임(22)의 측면판부(24, 24) 사이에 형성된 안내 규제 구멍(24a)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고, 유닛 플레이트(95)가 베이스 프레임(22)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제2 사이드면부(99, 99, …)는 각각 제1 사이드면부(98, 98)를 사이에 두고 전후로 위치되어 있다. 제2 사이드면부(99)의 외면에는 피가이드 핀(99a)이 설치되어 있다. 피가이드 핀(99a)은 사이드 슬라이더(90)의 승강용 캠 구멍(93)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어, 유닛 플레이트(95)가 사이드 슬라이더(90, 90)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유닛 플레이트(95)가 사이드 슬라이더(90, 90)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베이스면부(96)가 베이스 플레이트(26)의 베이스판부(27)와 베이스 섀시(40) 사이에 위치된다.
제1 메인 슬라이더(73)와 제2 메인 슬라이더(85)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사이드 슬라이더(90, 9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 피안내 핀(98a, 98a)이 베이스 프레임(22)의 안내 규제 구멍(24a)에 안내되고, 피가이드 핀(99a)이 사이드 슬라이더(90)의 승강용 캠 구멍(93)에 미끄럼 이동되어 유닛 플레이트(95)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베이스면부(96) 위에는 4개의 댐퍼(97, 97, …)가 전후 좌우로 이격하여 형성되고, 베이스면부(96)에는 댐퍼(97, 97, …)를 개재하여 도시하지 않은 베이스 유닛이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유닛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장착되는 디스크 테이블, 디스크 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는 광 픽업 등을 갖고 있다. 디스크 테이블은 척킹 풀리(66)의 바로 아래에 위치되고, 척킹 풀리(66)를 흡착하기 위한 마그네트를 갖고 있다.
베이스 유닛은 유닛 플레이트(95)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디스크 테이블이 척킹 풀리(66)에 분리 접촉된다.
<제1 링크 기구 등>
베이스 섀시(40)에는 하면측에 제1 링크 기구(101)가 지지되어 있다(도 10 참조). 제1 링크 기구(101)는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과 제1 후방측 링크 아암(103)과 제1 레일(104)을 갖고 있다(도 34 및 도 35 참조).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은 상하 방향을 향하여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에서의 일단부가 베이스 섀시(40)의 좌측 하방의 코너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의 회동 지지점은 베이스 플레이트(26)의 좌측의 어저스터 지지부(30)에 지지된 루트 어저스터(31)의 회동 지지점에 대하여 약간 후방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의 일단부측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작용편부(105)가 설치되어 있다. 작용편부(105)에는 일부가 하방으로 잘라 세워져 형성된 후크부(105a)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의 길이 방향에서의 타단부에는 하면측에 슬리브(106)가 지지되어 있다.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앙부에는 하면측에 고정 롤러(107)가 지지되어 있다. 고정 롤러(107)는 적어도 외주부가 고무 등의 탄성 변형 가능한 밀착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에는 배출 레버(108)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배출 레버(108)는 길이 방향에서 결합된 피지지면부(109)와 롤러 지지면부(111)를 갖고 있다(도 34 내지 도 36 참조).
피지지면부(109)는 일 방향으로 길어진 기초부(109a)와 기초부(109a)의 일단부 둘레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절곡부(109b)와 절곡부(109b)의 하부 둘레로부터 기초부(109a)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부(109c)로 이루어진다.
피지지면부(109)의 타단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캠 걸림부(110)가 설치되어 있다.
롤러 지지면부(111)는 기초부(109a)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결합부(109c)에 결합되어 있다.
롤러 지지면부(111)의 타단부의 하면측에는 가압 롤러(112)가 설치되어 있다. 가압 롤러(112)는 롤러부(112a)와 롤러부(112a)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112b)로 이루어지고, 롤러부(112a)의 외주부가 고무 등의 탄성 변형 가능한 밀착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에 배출 레버(108)가 지지된 상태에서,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과 배출 레버(108) 사이에 가압 스프링(113)이 지지된다(도 36 참조). 가압 스프링(113)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며, 코일부(113a)가 슬리브(106)에 지지되고, 일단부(113b)가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의 타단부에 걸림 결합되고, 타단부(113c)가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의 결합부(109c)와 배출 레버(108)의 일단부 사이에 삽입되어 걸림 결합된다. 따라서, 가압 스프링(113)에 의해 배출 레버(108)에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에 대하여 상방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동력이 부여됨과 함께 상방으로의 이동력이 부여된다.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이 베이스 섀시(40)에 지지된 상태에서, 배출 레버(108)의 캠 걸림부(110)가 베이스 섀시(40)의 동작 캠부(43)에 하방으로부터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걸림 결합된다(도 10 참조).
제1 후방측 링크 아암(103)은 상하 방향을 향하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베이스 섀시(40)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앙부의 좌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후방측 링크 아암(103)의 회동 지지점과 반대측의 단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연결축부(103a)가 설치되어 있다(도 34 및 도 35 참조). 제1 후방측 링크 아암(103)이 베이스 섀시(40)에 지지된 상태에서, 연결축부(103a)가 베이스 섀시(40)의 좌측의 제1 축 이동 구멍(45)에 하방으로부터 삽입되고 좌측의 제1 연동 레버(67)에 형성된 걸림 구멍(67b)에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연동 레버(67)는 제1 후방측 링크 아암(103)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된다.
제1 레일(104)은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과 제1 후방측 링크 아암(10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레일(104)은 전후로 연장되고,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과 제1 후방측 링크 아암(103)의 회동 동작에 수반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 레일(104)은 전단부와 전후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부가 각각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과 제1 후방측 링크 아암(10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레일(104)의 전단부에서의 하면측에는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에 지지된 고정 롤러(107)가 위치되어 있다.
제1 레일(104)의 전단 근방의 위치에는 우측 방향을 향하는 부재 설치부(104a)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레일(104)의 전단측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삽입 핀(104b)이 설치되어 있다(도 34 및 도 35 참조). 제1 레일(104)의 후단 근방의 위치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지지 핀(104c, 104c)이 전후로 이격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1 레일(104)의 후단부에는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스프링걸이 돌기부(104d)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레일(104)의 부재 설치부(104a)에는 수납고(114)가 나사 고정 등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수납고(114)는 좌측 방향으로 개구하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수납부(115)와 수납부(115)의 하단부의 전방측에 연속하여 설치된 전방측 안내부(116)와 수납부(115)의 후방측에 연속하여 설치된 후방측 안내부(117)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수납부(115)의 우측 단부에는 우측 방향으로 감에 따라 서로 이격하는 한 쌍의 경사면이 상하로 이격하여 형성되고, 이 한 쌍의 경사면이 레버 안내면(115a, 115a)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전방측 안내부(116)의 우측 단부에는 우측 방향으로 감에 따라 하방으로 변위하도록 경사진 전방측 디스크 안내면(116a)이 형성되어 있다.
후방측 안내부(117)의 우측 단부에는 우측 방향으로 감에 따라 서로 이격하도록 경사진 후방측 디스크 안내면(117a, 117a)이 상하로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레일(104)의 지지 핀(104c, 104c)에는 리미트 레버(118)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리미트 레버(118)는 상하 방향을 향하는 피지지판부(118a)와 피지지판부(118a)의 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피작용축(118b)과 피지지판부(118a)의 우측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스프링걸이편부(118c)로 이루어진다.
리미트 레버(118)의 스프링걸이편부(118c)와 제1 레일(104)의 스프링걸이 돌기부(104d)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119)이 지지되고, 리미트 레버(118)가 제1 레일(104)에 대하여 후방으로 가압되고 있다.
제1 레일(104)이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과 제1 후방측 링크 아암(103)에 지지된 상태에서, 리미트 레버(118)의 피작용축(118b)이 베이스 섀시(40)의 좌측의 제2 축 이동 구멍(46)에 하방으로부터 삽입되고 제1 메인 슬라이더(73)의 캠 구멍(76) 및 서브 슬라이더(79)의 캠 작용 구멍(80)에 삽입된다.
<제2 링크 기구 등>
베이스 섀시(40)에는 하면측에 제2 링크 기구(120)가 지지되어 있다(도 10 참조). 제2 링크 기구(120)는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과 제2 후방측 링크 아암(122)과 제2 레일(123)을 갖고 있다(도 38 참조).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은 상하 방향을 향하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에서의 일단부가 베이스 섀시(40)의 우측 하단의 코너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의 회동 지지점은 베이스 플레이트(26)의 우측의 어저스터 지지부(30)에 지지된 루트 어저스터(31)의 회동 지지점에 대하여 약간 후방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의 일단부측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작용편부(124)가 설치되어 있다. 작용편부(124)에는 일부가 하방에 잘라 세워져 형성된 후크부(124a)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의 일단부에는 베이스 섀시(40) 위에 지지된 제3 전달 기어(62)가 연결되어, 제3 전달 기어(62)가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에 대하여 회전된다.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앙부에는 2단 기어(125)가 지지되어 있다. 2단 기어(125)의 상측의 기어부(125a)는 제3 전달 기어(62)에 맞물려 있다.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의 길이 방향에서의 타단부에는 축부가 연결된 이송 기어(126, 127)가 상면측과 하면측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이송 기어(126)는 2단 기어(125)의 하측의 기어부(125b)에 맞물려 있다. 이송 기어(126, 127)의 축부에서의 하단부에는 구동 롤러(128)가 연결되어 있다. 구동 롤러(128)는 적어도 외주부가 고무 등의 탄성 변형 가능한 밀착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전달 기어(61)가 전환 기어(60)에 맞물린 상태에서, 구동 모터(52)가 회전되면, 그 구동력이 순서대로 웜(54), 웜 기어(55), 제1 전달 기어(59), 전환 기어(60) 및 제2 전달 기어(61)를 통하여 제3 전달 기어(62)에 전달된다. 제3 전달 기어(62)에 전달된 구동력은, 순서대로 2단 기어(125), 이송 기어(126) 및 이송 기어(127)에 전달되어 구동 롤러(128)가 회전된다.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이 베이스 섀시(40)에 지지된 상태에서, 2단 기어(125)의 상측의 기어부(125a)가 베이스 섀시(40)의 기어 이동 구멍(44)에 하방으로부터 삽입된다.
제2 후방측 링크 아암(122)은 상하 방향을 향하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베이스 섀시(40)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앙부의 우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후방측 링크 아암(122)의 회동 지지점과 반대측의 단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연결축부(122a)가 설치되어 있다. 링크 아암(122)이 베이스 섀시(40)에 지지된 상태에서, 연결축부(122a)가 베이스 섀시(40)의 우측의 제1 축 이동 구멍(45)에 하방으로부터 삽입되고 우측의 제2 연동 레버(68)에 형성된 걸림 구멍(68b)에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연동 레버(68)는 제2 후방측 링크 아암(122)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된다.
제2 레일(123)은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과 제2 후방측 링크 아암(12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 레일(123)은 전후로 연장되고,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과 제2 후방측 링크 아암(122)의 회동 동작에 수반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1 레일(104)과 제2 레일(123)은 항상 평행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 레일(123)은 전후 방향에서의 길이가 제1 레일(104)보다 짧아져, 전단부와 후단 근방의 부분이 각각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과 제2 후방측 링크 아암(12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 레일(123)의 후단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피작용축(123a)이 설치되어 있다.
제2 레일(123)의 전단측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삽입 핀(123b)이 설치되어 있다.
제2 레일(123)의 전반부에는 순서대로 맞물린 이송 평기어(129, 129, …)가 지지되어 있다. 가장 전방측에 위치된 이송 평기어(129)는 이송 기어(126)에 맞물려 있다. 가장 후방측에 위치하는 이송 평기어(129)에는 동축 상에 회전 롤러(130)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송 기어(126)에 전달된 구동 모터(52)의 구동력은, 순서대로 이송 평기어(129, 129, …)를 통하여 회전 롤러(130)에 전달되어 회전 롤러(130)가 회전된다. 회전 롤러(130)는 구동 롤러(128)와 동기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송 기어(126)와 평기어(129, 129, …)는 기어 커버(131)에 의해 하면측으로부터 덮여 있다.
제1 링크 기구(101)의 제1 레일(104)과 제2 링크 기구(120)의 제2 레일(123)은 각각 스프링 부재(132, 132)에 의해 좌우 방향에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도 21 참조).
스프링 부재(132, 132)는 코일 스프링이며, 코일부(132a, 132a)가 각각 베이스 섀시(40)의 스프링 지지축(40d, 40d)에 지지되고, 일단부(132b, 132b)가 각각 베이스 섀시(40)의 스프링 누름부(40e, 40e)에 걸림 결합되고, 타단부(132c, 132c)가 각각 제1 레일(104)과 제2 레일(123)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
제2 레일(123)이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과 제2 후방측 링크 아암(122)에 지지된 상태에서, 제2 레일(123)의 피작용축(123a)이 베이스 섀시(40)의 우측의 제2 축 이동 구멍(46)에 하방으로부터 삽입되고 제2 메인 슬라이더(85)의 캠 구멍(88)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연동 레버(67)와 제2 연동 레버(68)는 연결축(67a)이 연결 구멍(68a)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고, 제1 후방측 링크 아암(103)은 연결축부(103a)가 제1 연동 레버(67)의 걸림 구멍(67b)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고, 제2 후방측 링크 아암(122)은 연결축부(122a)가 제2 연동 레버(68)의 걸림 구멍(68b)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 및 제1 후방측 링크 아암(103)에 지지된 제1 레일(104)과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 및 제2 후방측 링크 아암(122)에 지지된 제2 레일(123)은 제1 연동 레버(67) 및 제2 연동 레버(68)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고, 서로 분리 접촉하는 방향으로 좌우 방향에서 평행 이동된다.
[디스크 반송 장치의 동작]
이하에, 디스크 반송 장치(21)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에 대한 반송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39 내지 도 76 참조).
디스크 반송 장치(21)는, 각 부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를 로딩하기 전의 초기 상태부터 동작을 개시하여, 디스크 카트리지(1)로부터 취출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를 로딩 동작에 의해 척킹 위치까지 인입 방향(후방)으로 반송하고, 척킹 위치에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를 척킹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에 기록된 정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한다. 디스크 반송 장치(21)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에 대한 정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이 종료되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에 대한 척킹을 해제하고, 척킹 위치로부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를 이젝트 동작에 의해 배출 방향(전방)으로 반송하여 디스크 카트리지(1)에 수납하고, 디스크 카트리지(1)로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수납 후에 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로딩 동작 및 이젝트 동작에서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고정 롤러(107), 가압 롤러(112), 구동 롤러(128) 및 회전 롤러(130)에 의해 반송되고, 이들 고정 롤러(107), 가압 롤러(112), 구동 롤러(128) 및 회전 롤러(130)가 반송 롤러로서 기능한다.
<초기 상태>
우선, 각 부의 초기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39 내지 도 41 참조).
초기 상태에서 루트 어저스터(31, 31)는 각각 복귀 스프링(39, 39)에 의해 중립 위치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좌측에 위치하는 루트 어저스터(31)의 중립 위치는 위치 결정용 돌기부(34)가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에서 보유 지지된 위치이며, 우측에 위치하는 루트 어저스터(31)의 중립 위치는 위치 결정용 돌기부(34)가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에서 보유 지지된 위치이다.
초기 상태에서는, 구동 모터(52)는 회전되지 않아, 구동 기어(57)와 구동 롤러(128)는 모두 회전되지 않는다.
초기 상태에서는, 제1 메인 슬라이더(73)는 제1 메인 랙부(74a) 및 제2 메인 랙부(74b)가 모두 구동 기어(57)에 맞물리지 않고 무 랙부(74c)가 구동 기어(57)에 대향하여 위치된 비맞물림 위치에 있다.
초기 상태에서는, 서브 슬라이더(79)는 비 랙부(79c)가 무 랙부(74c)의 바로 위에 위치되고, 비 랙부(79c)가 구동 기어(57)에 대향하여 위치된 비맞물림 위치에 있고, 제1 서브 랙부(79a) 및 제2 서브 랙부(79b) 모두 구동 기어(57)에 맞물려 있지 않다. 이때 제1 메인 슬라이더(73)의 지지 핀(74d, 74d)이 각각 서브 슬라이더(79)의 피지지 구멍(79d, 79d)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있다.
제1 메인 슬라이더(73)에 설치된 로크용 레버(78)는 로크부(78b)가 서브 슬라이더(79)의 레버 삽입 구멍(81)에서의 삽입부(81a)의 개구 둘레에 접한 상태로 되고, 서브 슬라이더(79)는 제1 메인 슬라이더(73)에 대하여 로크되어 있지 않다.
제2 메인 슬라이더(85)는 제1 메인 슬라이더(73)의 위치에 따라 이동 범위의 중앙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제1 메인 슬라이더(73)가 초기 상태에 있을 때에는, 제1 레일(104)에 지지된 리미트 레버(118)의 피작용축(118b)이 제1 메인 슬라이더(73)의 캠 구멍(76)에서의 대기부(76a)의 전방측 개구 둘레에 접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때 제2 레일(123)의 피작용축(123a)이 제2 메인 슬라이더(85)의 캠 구멍(88)에서의 대기부(88a)의 전방측 개구 둘레에 접한 상태로 되어 있다.
초기 상태에서는,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 제1 후방측 링크 아암(103),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 및 제2 후방측 링크 아암(122) 모두 내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되어 있고, 배출 레버(108)도 내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배출 레버(108)의 롤러 지지면부(111) 및 가압 롤러(112)는 수납고(114)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때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에 지지된 고정 롤러(107)와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에 지지된 구동 롤러(128)의 거리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제1 메인 슬라이더(73)가 초기 상태에 있을 때에는, 제1 풀리 홀더(63)의 피작용 핀(63d)이 제1 메인 슬라이더(73)의 캠 지지 구멍(77)에서의 후방측부(77a)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풀리 홀더(63)와 제2 풀리 홀더(64)는 보유 지지부(63a, 64a)가 척킹 풀리(66)의 하측에 위치된 보유 지지 위치에 있고, 척킹 풀리(66)가 보유 지지부(63a, 64a)에 의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보유 지지되어 있다.
제2 메인 슬라이더(85)가 초기 상태에 있을 때에는, 기어 지지 플레이트(58)의 미끄럼 이동 핀(58c)이 제2 메인 슬라이더(85)의 캠 미끄럼 이동 구멍(89)에서의 후방측 미끄럼 이동부(89a)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기어 지지 플레이트(58)는 전환 기어(60)가 제2 전달 기어(6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있고, 전환 기어(60)가 제2 전달 기어(61)에 맞물려 구동 모터(52)의 구동력이 구동 롤러(128)에 전달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서브 슬라이더(79)가 초기 상태에 있을 때에는, 인장 코일 스프링(84)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된 작동 레버(83)의 제2 부분(83b)이 회동 규제 돌기부(79i)에 가압되어 평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의 회동단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때 제1 연동 레버(67)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스타트 레버(69)의 작용축(69b)이 서브 슬라이더(79)의 작용 돌기부(79e)보다 전방에 위치되어 있다.
사이드 슬라이더(90, 90)는 각각 제1 메인 슬라이더(73)와 제2 메인 슬라이더(85)에 결합되어 있고, 제1 메인 슬라이더(73)와 제2 메인 슬라이더(85)의 이동 위치에 따른 위치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때 스프링(100, 100, …)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된 유닛 플레이트(95)는 제2 사이드면부(99, 99)의 피가이드 핀(99a, 99a, …)이 각각 승강용 캠 구멍(93, 93, …)의 보유 지지 오목부(93d, 93d, …)에 가압된 상태로 걸림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유닛 플레이트(95) 및 유닛 플레이트(95)에 배치된 베이스 유닛은 하방의 이동단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유닛 플레이트(95)의 피가이드 핀(99a, 99a, …)이 스프링(100, 100, …)의 가압력에 의해 각각 승강용 캠 구멍(93, 93, …)의 보유 지지 오목부(93d, 93d, …)에 가압됨으로써, 유닛 플레이트(95) 및 베이스 유닛의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 정밀도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로딩 동작>
디스크 체인저(20)에 설치된 취출 기구에 의해 디스크 카트리지(1)로부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후방(인입 방향)으로 취출되면, 디스크 반송 장치(21)에 의해 이하와 같은 로딩 동작이 행해진다(도 42 내지 도 54 참조).
디스크 카트리지(1)로부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후방으로 취출되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이 루트 어저스터(31, 31)에 접하여 루트 어저스터(31, 31)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된다(도 42 참조). 루트 어저스터(31, 31)에는 위치 결정 홈(37, 37)이 형성되어 있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부가 안내면(37a, 37a, …)에 안내되어 위치 결정 홈(37, 37)에 삽입된다.
따라서, 안내면(37a, 37a, …)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부가 확실하게 위치 결정 홈(37, 37)에 삽입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 정밀도의 향상이 도모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에 의해 가압된 루트 어저스터(31, 31)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를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각각 복귀 스프링(39, 39)의 가압력에 반하여 회동되어 간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는 외주면이 구동 롤러(128)와 고정 롤러(107)에 접촉된다. 이때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삽입에 기초하는 센서 기판(53)에 탑재된 센서(53a)의 검출 동작에 의해 구동 모터(52)가 회전된다. 구동 모터(52)가 회전되면, 그 구동력이 순서대로 웜(54), 웜 기어(55) 및 전달 기어군(56)을 통하여 구동 기어(57)에 전달되어, 구동 기어(57)가 전달 기어군(56)에 의해 감속되어 회전된다. 또한, 구동 모터(52)의 구동력은 순서대로 웜(54), 웜 기어(55), 제1 전달 기어(59), 전환 기어(60), 제2 전달 기어(61), 제3 전달 기어(62), 2단 기어(125), 이송 기어(126) 및 이송 기어(127)에 전달되어 구동 롤러(128)가 회전된다. 이때 구동 모터(52)의 구동력은 이송 기어(126)로부터 평기어(129, 129, …)를 통하여 회전 롤러(130)에도 전달되어, 회전 롤러(130)가 구동 롤러(128)와 동기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구동 기어(57)가 회전되어도 제1 메인 슬라이더(73)와 서브 슬라이더(79)는 모두 비맞물림 위치에 있기 때문에, 제1 메인 슬라이더(73), 서브 슬라이더(79) 및 제2 메인 슬라이더(85)는 이동되지 않는다.
구동 롤러(128)가 회전되면, 구동 롤러(128)와 고정 롤러(107)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후방으로 반송되어 간다(도 43 참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후방으로 반송되어 갈 때에는, 더욱 루트 어저스터(31, 31)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를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각각 복귀 스프링(39, 39)의 가압력에 반하여 회동되어 간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후방으로 반송되어 가면, 제1 레일(104)과 제2 레일(123)이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평행 이동되어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 제1 후방측 링크 아암(103),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 및 제2 후방측 링크 아암(122) 모두 외측으로 회동되어 간다. 이때 배출 레버(108)도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의 회동 동작에 수반하여 외측으로 회동되어 간다.
또한,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과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의 회동 동작에 수반하여 제1 연동 레버(67)와 제2 연동 레버(68)가 각각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된다.
제1 레일(104)이 이동되어 갈 때에는, 리미트 레버(118)의 피작용축(118b)이 베이스 섀시(40)의 좌측의 제2 축 이동 구멍(46)을 이동되어 간다.
배출 레버(108)가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의 회동 동작에 수반하여 회동되어 갈 때에는, 배출 레버(108)의 캠 걸림부(110)가 베이스 섀시(40)의 동작 캠부(43)에 미끄럼 이동되어 이동되어 간다.
제1 후방측 링크 아암(103)이 회동되어 갈 때에는, 연결축부(103a)가 베이스 섀시(40)의 좌측의 제1 축 이동 구멍(45) 및 제1 연동 레버(67)에 형성된 걸림 구멍(67b)을 이동하여 간다.
제2 레일(123)이 이동되어 갈 때에는, 피작용축(123a)이 베이스 섀시(40)의 우측의 제2 축 이동 구멍(46)을 이동하여 간다.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이 회동되어 갈 때에는, 링크 아암(121)에 지지된 2단 기어(125)의 상측의 기어부(125a)가 베이스 섀시(40)의 기어 이동 구멍(44)을 이동하여 간다.
제2 후방측 링크 아암(122)이 회동되어 갈 때에는, 연결축부(122a)가 베이스 섀시(40)의 우측의 제1 축 이동 구멍(45) 및 제2 연동 레버(68)에 형성된 걸림 구멍(68b)을 이동하여 간다.
제1 연동 레버(67)와 제2 연동 레버(68)가 회동되어 갈 때에는, 디스크 보유 지지 핀(67c, 68c)이 각각 베이스 섀시(40)의 핀 이동 구멍(47, 47)을 이동하여 간다. 이때 제1 연동 레버(67)의 지지축(67e)은 베이스 섀시(40)의 연결부 이동 구멍(48)을 이동하고, 스타트 레버(69)의 작용축(69b)은 베이스 섀시(40)의 작용축 이동 구멍(49) 및 제1 연동 레버(67)의 축 삽입 관통 구멍(67d)을 이동하여 간다.
구동 롤러(128)와 고정 롤러(107)에 의해 더욱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후방으로 반송되어 간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더욱 후방으로 반송되어 갈 때에는, 더욱 루트 어저스터(31, 31)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를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각각 복귀 스프링(39, 39)의 가압력에 반하여 회동되어 간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더욱 후방으로 반송되어 갈 때에는, 제1 레일(104)과 제2 레일(123)이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더욱 평행 이동되기 때문에, 리미트 레버(118)의 피작용축(118b)에 의해 서브 슬라이더(79)에 지지되어 있는 작동 레버(83)의 제1 부분(83a)이 좌측 방향으로 가압된다(도 44 참조). 따라서, 작동 레버(83)는 인장 코일 스프링(84)의 가압력에 반하여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제1 레일(104)과 제2 레일(123)은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계속하여 평행 이동되기 때문에, 리미트 레버(118)의 피작용축(118b)이 작동 레버(83)의 제1 부분(83a)을 상측으로부터 타고 넘도록 하여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작동 레버(83)가 인장 코일 스프링(84)의 가압력에 의해 평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제2 부분(83b)이 회동 규제 돌기부(79i)에 후방으로부터 접하는 원위치로 복귀된다. 리미트 레버(118)의 피작용축(118b)은 제1 레일(104)의 이동에 수반하여 더욱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메인 슬라이더(73)의 캠 구멍(76)에서의 대기부(76a)의 좌측단 근방에 위치된다.
이때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 제1 후방측 링크 아암(103),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 및 제2 후방측 링크 아암(122) 모두 더욱 외측으로 회동되어 간다(도 45 참조). 제1 레일(104)과 제2 레일(123)이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더욱 평행 이동되어, 구동 롤러(128)와 고정 롤러(107)를 연결하는 선 상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중심이 위치되었을 때에는, 제1 레일(104)과 제2 레일(123)이 크게 이격하여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 제1 후방측 링크 아암(103),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 및 제2 후방측 링크 아암(122)이 대략 전후로 연장되는 상태로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 롤러(128)와 고정 롤러(107)에 의해 더욱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후방으로 반송되어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이 대략 전후로 연장되는 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배출 레버(108)도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에 의해 더욱 회동되어 롤러 지지면부(111) 및 가압 롤러(112)가 수납고(114)의 수납부(115)에 수납된다.
또한 구동 롤러(128)와 고정 롤러(107)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후방으로 반송되어 가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이 구동 롤러(128), 고정 롤러(107), 가압 롤러(112) 및 회전 롤러(130)에 접한 상태로 된다(도 46 참조).
이때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부가 수납고(114)의 전방측 안내부(116)에 형성된 전방측 디스크 안내면(116a)에 안내되어 후방으로 반송되어 간다.
또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후방으로 반송되어 갈 때에는, 루트 어저스터(31, 31)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접촉이 해제되어, 루트 어저스터(31, 31)가 각각 복귀 스프링(39, 39)의 가압력에 의해 중립 위치까지 회동된다.
또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후방으로 반송되어 갈 때에는, 제1 레일(104)과 제2 레일(123)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평행 이동되어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 제1 후방측 링크 아암(103),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 및 제2 후방측 링크 아암(122) 모두 내측으로 회동된다.
계속해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는 회전 롤러(130)와 가압 롤러(112)에 의해 후방으로 반송되어 가, 구동 롤러(128)와 고정 롤러(107)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다(도 47 참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더욱 후방으로 반송되어 갈 때에는, 제1 레일(104)과 제2 레일(123)이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다시 평행 이동되어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 제1 후방측 링크 아암(103),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 및 제2 후방측 링크 아암(122) 모두 다시 외측으로 회동되어 간다. 제1 레일(104)과 제2 레일(123)이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평행 이동되어, 회전 롤러(130)와 가압 롤러(112)를 연결하는 선 상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중심이 위치되었을 때에는, 제1 레일(104)과 제2 레일(123)이 다시 크게 이격하여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 제1 후방측 링크 아암(103),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 및 제2 후방측 링크 아암(122)이 다시 대략 전후로 연장되는 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회전 롤러(130)와 가압 롤러(112)에 의해 후방으로 반송되어 갈 때에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부가 수납고(114)의 전방측 안내부(116)의 전방측 디스크 안내면(116a)과 후방측 안내부(117)의 후방측 디스크 안내면(117a, 117a)에 안내되어 후방으로 반송되어 간다.
계속하여 구동 롤러(128)와 고정 롤러(107)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는 척킹 위치까지 후방으로 반송되어 간다(도 48 참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척킹 위치, 즉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중심 구멍(200a)이 베이스 유닛의 디스크 테이블의 바로 위에 존재하는 위치까지 반송되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이 가압 롤러(112), 회전 롤러(130), 제1 연동 레버(67)의 디스크 보유 지지 핀(67c) 및 제2 연동 레버(68)의 디스크 보유 지지 핀(68c)에 접한 상태로 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4점으로 보유 지지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이동이 척킹 위치에서 정지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척킹 위치까지 반송되었을 때에는, 리미트 레버(118)의 피작용축(118b)이 제1 메인 슬라이더(73)의 캠 구멍(76)에서의 대기부(76a)의 좌측단 근방의 위치까지 이동되고, 제2 레일(123)의 피작용축(123a)이 제2 메인 슬라이더(85)의 캠 구멍(88)에서의 대기부(88a)의 우측단 근방의 위치까지 이동되고 있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척킹 위치까지 반송되었을 때에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의해 제1 연동 레버(67)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스타트 레버(69)의 피가압축(69a)이 후방으로 가압된다. 피가압축(69a)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면, 스타트 레버(69)가 코일 스프링(70)의 가압력에 반하여 회동되고, 작용축(69b)에 의해 서브 슬라이더(79)의 작용 돌기부(79e)가 후방으로 가압된다(도 49 참조).
스타트 레버(69)가 회동되어 작용축(69b)에 의해 작용 돌기부(79e)가 후방으로 가압되면, 서브 슬라이더(79)가 비맞물림 위치로부터 제1 메인 슬라이더(73)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되어 구동 모터(52)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있는 구동 기어(57)에 제1 서브 랙부(79a)가 맞물린다. 이때 서브 슬라이더(79)가 비맞물림 위치로부터 제1 메인 슬라이더(73)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위치 제어 스프링(82)의 일단부(82b)가 상대적으로 제1 메인 슬라이더(73)의 지지 핀(74d)에 전방으로 가압되어, 위치 제어 스프링(82)에 의해 서브 슬라이더(79)에 전방으로의 이동력이 부여된다.
구동 기어(57)에 제1 서브 랙부(79a)가 맞물리면, 서브 슬라이더(79)가 구동 모터(52)의 구동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어 간다. 서브 슬라이더(79)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피지지 구멍(79d, 79d)의 전방측 개구 둘레가 각각 제1 메인 슬라이더(73)의 지지 핀(74d, 74d)에 접한다. 서브 슬라이더(79)는 후방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작용 돌기부(79e)가 작용축(69b)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간다.
지지 핀(74d, 74d)은 서브 슬라이더(79)의 제1 메인 슬라이더(73)에 대한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로서 기능하고, 피지지 구멍(79d, 79d)은 이동 규제부로서 기능하는 지지 핀(74d, 74d)에 의해 서브 슬라이더(79)의 제1 메인 슬라이더(73)에 대한 이동이 규제되는 피규제부로서 기능한다.
피지지 구멍(79d, 79d)의 전방측 개구 둘레가 각각 제1 메인 슬라이더(73)의 지지 핀(74d, 74d)에 접한 상태에서 계속하여 서브 슬라이더(79)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가면, 피지지 구멍(79d, 79d)의 전방측 개구 둘레에 의해 각각 지지 핀(74d, 74d)이 후방으로 가압되고, 제1 메인 슬라이더(73)와 서브 슬라이더(79)가 일체로 되어 후방으로 이동되어 간다(도 50 참조). 따라서, 제1 메인 슬라이더(73)의 제1 메인 랙부(74a)가 구동 기어(57)에 맞물리고, 구동 기어(57)에는 제1 메인 랙부(74a)와 서브 슬라이더(79)의 제1 서브 랙부(79a)가 모두 맞물린다.
제1 메인 슬라이더(73)와 서브 슬라이더(79)가 일체로 되어 후방으로 이동되어 가면, 리미트 레버(118)의 피작용축(118b)이 제1 메인 슬라이더(73)의 캠 구멍(76)에서의 대기부(76a)부터 제1 직선부(76b)까지 이동되고, 제2 레일(123)의 피작용축(123a)이 제2 메인 슬라이더(85)의 캠 구멍(88)에서의 대기부(88a)부터 제1 직선부(88b)까지 이동된다.
이때 제2 메인 슬라이더(85)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기어 지지 플레이트(58)의 미끄럼 이동 핀(58c)이 제2 메인 슬라이더(85)의 캠 미끄럼 이동 구멍(89)의 후방측 미끄럼 이동부(89a)부터 경사 미끄럼 이동부(89b)를 거쳐 전방측 미끄럼 이동부(89c)까지 이동된다. 따라서, 기어 지지 플레이트(58)가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전환 기어(60)가 이동되어 전환 기어(60)와 제2 전달 기어(61)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구동 롤러(128)와 회전 롤러(130)의 회전이 정지된다.
제1 메인 슬라이더(73) 및 제2 메인 슬라이더(85)가 상기와 같이 후방으로 슬라이드될 때에는 사이드 슬라이더(90, 90)가 일체로 되어 후방으로 이동된다(도 51 참조).
사이드 슬라이더(90, 9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스프링(100, 100, …)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된 유닛 플레이트(95)의 피가이드 핀(99a, 99a, …)이 각각 승강용 캠 구멍(93, 93, …)의 보유 지지 오목부(93d, 93d, …)로부터 경사 캠부(93a, 93a, …)로 이동된다. 따라서, 유닛 플레이트(95) 및 유닛 플레이트(95)에 배치된 베이스 유닛이 상방으로 이동되어 디스크 테이블이 척킹 풀리(66)에 접근되어 간다.
또한 구동 기어(57)의 회전에 의해 제1 메인 슬라이더(73)와 서브 슬라이더(79)가 일체로 되어 후방으로 이동되어 간다(도 52 참조).
또한 구동 기어(57)의 회전에 의해 제1 메인 슬라이더(73)와 서브 슬라이더(79)가 일체로 되어 후방으로 이동되어 감으로써, 리미트 레버(118)의 피작용축(118b)이 제1 메인 슬라이더(73)의 캠 구멍(76)에서의 제1 직선부(76b)부터 경사부(76c)를 거쳐 제2 직선부(76d)까지 이동된다. 동시에, 제2 레일(123)의 피작용축(123a)이 제2 메인 슬라이더(85)의 캠 구멍(88)에서의 제1 직선부(88b)부터 경사부(88c)를 거쳐 제2 직선부(88d)까지 이동된다.
따라서, 제1 레일(104)과 제2 레일(123)이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가압 롤러(112과 회전 롤러(130)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부로부터 이격된다(도 53 참조). 동시에, 제1 후방측 링크 아암(103)과 제2 후방측 링크 아암(122)의 회동 동작에 수반하여 제1 연동 레버(67)와 제2 연동 레버(68)가 회동되어, 디스크 보유 지지 핀(67c, 68c)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제1 레일(104)과 제2 레일(123)은 가장 이격되는 위치까지 이동된다.
제1 레일(104)과 제2 레일(123)이 가장 이격되는 위치까지 이동될 때에는, 동시에, 제1 메인 슬라이더(73)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제1 풀리 홀더(63)의 피작용 핀(63d)이 제1 메인 슬라이더(73)의 캠 지지 구멍(77)에서의 후방측부(77a)부터 중간부(77b)를 거쳐 전방측부(77c)까지 이동된다. 따라서, 척킹 풀리(66)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위치로부터 제1 풀리 홀더(63)와 제2 풀리 홀더(64)가 코일 스프링(65)의 가압력에 반하여 이격하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척킹 풀리(66)에 대한 제1 풀리 홀더(63)와 제2 풀리 홀더(64)의 보유 지지 상태가 해제되어, 척킹 풀리(66)가 하방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이때 동시에, 제1 메인 슬라이더(73)와 제2 메인 슬라이더(85)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사이드 슬라이더(90, 90)가 후방으로 이동되고, 유닛 플레이트(95)의 피가이드 핀(99a, 99a, …)이 각각 승강용 캠 구멍(93, 93, …)의 경사 캠부(93a, 93a, …)부터 전방측 캠부(93b, 93b, …)까지 이동된다(도 54 참조). 따라서, 유닛 플레이트(95) 및 유닛 플레이트(95)에 배치된 베이스 유닛이 상방의 이동단까지 이동된다. 베이스 유닛이 상방의 이동단까지 이동된 상태에서는, 베이스 유닛의 일부가 베이스 플레이트(26)의 베이스판부(27)에 형성된 베이스 유닛 배치 구멍(27a)에 배치된다.
베이스 유닛이 상방의 이동단까지 이동되면, 디스크 테이블에 척킹 풀리(66)가 흡착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디스크 테이블과 척킹 풀리(66)에 의해 끼움 지지되어 척킹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로딩이 완료된다.
사이드 슬라이더(90, 90)가 후방으로 이동될 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레일(104)과 제2 레일(123)이 가장 이격하는 위치를 향하여 이동되어, 제1 레일(104)의 삽입 핀(104b)과 제2 레일(123)의 삽입 핀(123b)이 각각 사이드 슬라이더(90, 90)의 가이드부(92, 92)에 형성된 캠 미끄럼 이동 구멍(94, 94)에 삽입된다.
삽입 핀(104b, 123b)은 각각 캠 미끄럼 이동 구멍(94, 94)의 후방측 미끄럼 이동부(94a, 94a)와 경사 미끄럼 이동부(94b, 94b)를 거쳐 전방측 미끄럼 이동부(94c, 94c)까지 삽입된다. 따라서, 제1 레일(104)과 제2 레일(123)은 가장 이격하는 위치에서 보유 지지된다.
제1 메인 슬라이더(73), 서브 슬라이더(79) 및 제2 메인 슬라이더(85)는 후방의 이동단까지 이동되어 정지된다. 제1 메인 슬라이더(73), 서브 슬라이더(79) 및 제2 메인 슬라이더(85)가 후방의 이동단까지 이동되면, 구동 모터(52)의 구동이 정지되어 구동 기어(57)의 회전이 정지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디스크 테이블과 척킹 풀리(66)에 의해 척킹되면, 디스크 테이블이 회전됨과 함께 광 픽업의 구동이 개시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에 대한 정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해진다.
정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이 종료되면, 디스크 테이블의 회전이 정지됨과 함께 광 픽업의 구동이 종료된다.
<이젝트 동작>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에 대한 정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이 종료되면, 디스크 반송 장치(21)에 의해 이하와 같은 이젝트 동작이 행해진다(도 55 내지 도 72 참조).
이젝트 동작은 구동 모터(52)가 로딩 동작에서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개시된다.
구동 모터(52)가 회전되면, 상기한 로딩 동작에서의 각 동작과 역동작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디스크 카트리지(1)에 향하여 전방(배출 방향)으로 반송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디스크 반송 장치(21)로부터 배출되어 간다(도 55 참조). 이때 제1 메인 슬라이더(73) 및 서브 슬라이더(79)는 구동 모터(52)의 구동력에 의해 일체로 되어 전방으로 이동된다.
제1 메인 슬라이더(73) 및 제2 메인 슬라이더(85)가 전방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리미트 레버(118)의 피작용축(118b)이 제1 메인 슬라이더(73)의 캠 구멍(76)에서의 제2 직선부(76d)부터 경사부(76c) 및 제1 직선부(76b)를 거쳐 대기부(76a)의 좌측단 근방의 위치까지 이동된다. 또한, 제2 레일(123)의 피작용축(123a)이 제2 메인 슬라이더(85)의 캠 구멍(88)에서의 제2 직선부(88d)부터 경사부(88c) 및 제1 직선부(88b)를 거쳐 대기부(88a)까지 이동된다. 이때 기어 지지 플레이트(58)의 미끄럼 이동 핀(58c)이 제2 메인 슬라이더(85)의 캠 미끄럼 이동 구멍(89)의 전방측 미끄럼 이동부(89c)부터 경사 미끄럼 이동부(89b)를 거쳐 후방측 미끄럼 이동부(89a)까지 이동되어, 전환 기어(60)와 제2 전달 기어(61)가 다시 맞물린다.
또한, 제1 메인 슬라이더(73)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제1 풀리 홀더(63)의 피작용 핀(63d)이 제1 메인 슬라이더(73)의 캠 지지 구멍(77)에서의 전방측부(77c)부터 중간부(77b)를 거쳐 후방측부(77a)까지 이동되어, 척킹 풀리(66)가 제1 풀리 홀더(63)와 제2 풀리 홀더(64)에 의해 다시 보유 지지된다. 유닛 플레이트(95) 및 유닛 플레이트(95)에 배치된 베이스 유닛은, 제1 메인 슬라이더(73)와 제2 메인 슬라이더(85)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수반하는 사이드 슬라이더(90, 90)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하강되어, 피가이드 핀(99a, 99a, …)이 각각 승강용 캠 구멍(93, 93, …)의 보유 지지 오목부(93d, 93d, …)에 다시 보유 지지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는 구동 롤러(128)와 고정 롤러(107)에 접하여 대략 절반이 디스크 반송 장치(2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위치까지 반송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디스크 카트리지(1)를 향하여 반송될 때에는, 루트 어저스터(31, 31)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된다. 루트 어저스터(31, 31)에는 위치 결정 홈(37, 37)이 형성되어 있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부가 안내면(37a, 37a, …)에 안내되어 위치 결정 홈(37, 37)에 삽입된다.
따라서, 안내면(37a, 37a, …)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부가 확실하게 위치 결정 홈(37, 37)에 삽입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 정밀도의 향상이 도모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에 의해 가압된 루트 어저스터(31, 31)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를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각각 복귀 스프링(39, 39)의 가압력에 반하여 회동되어 간다. 이때 루트 어저스터(31, 31)의 위치 결정용 돌기부(34, 34)가 각각 디스크 카트리지(1)의 좌우로 이격하여 위치된 보유 지지 홈(16c, 16c)에 삽입된다(도 56 참조). 루트 어저스터(31, 31)의 위치 결정용 돌기부(34, 34)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삽입되는 보유 지지 홈(16c, 16c)의, 예를 들어 1단 위의 보유 지지 홈(16c, 16c)에 삽입된다(도 56 및 도 57 참조).
위치 결정용 돌기부(34)가 보유 지지 홈(16c)에 삽입될 때에는, 위치 결정용 돌기부(34)는 상하 양단부에 형성된 상측의 피안내면(34a) 또는 하측의 피안내면(34a)이 보유 지지 홈(16c)의 후방측 개구 둘레에 미끄럼 이동되어 보유 지지 홈(16c)에 위치 결정된다. 디스크 반송 장치(21)에서는, 위치 결정용 돌기부(34)가 보유 지지 홈(16c)에 삽입될 때에, 예를 들어 하측의 피안내면(34a)이 보유 지지 홈(16c)의 후방측 개구 둘레에 미끄럼 이동되어 보유 지지 홈(16c)에 위치 결정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루트 어저스터(31, 31)의 위치 결정용 돌기부(34, 34)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삽입되는 보유 지지 홈(16c, 16c)의 1단 위의 보유 지지 홈(16c, 16c)을 형성하는 하면에 가압된 상태에서 위치 결정된다.
제1 레일(104)과 제2 레일(123)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디스크 반송 장치(21)로부터 배출됨에 수반하여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평행 이동되어,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 제1 후방측 링크 아암(103),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 및 제2 후방측 링크 아암(122) 모두 내측으로 회동되어 간다. 이때 배출 레버(108)도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의 회동 동작에 수반하여 내측으로 회동되어, 롤러 지지면부(111) 및 가압 롤러(112)가 수납고(114)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간다.
제1 메인 슬라이더(73)와 서브 슬라이더(79)는 각각 무 랙부(74c)가 구동 기어(57)에 대향하여 위치되는 비맞물림 위치와 비 랙부(79c)가 구동 기어(57)에 대향하여 위치되는 비맞물림 위치에서 정지된다. 또한, 제1 메인 슬라이더(73)와 동기하여 전방으로 이동된 제2 메인 슬라이더(85)도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전방으로의 반송에 의해, 제1 레일(104)과 제2 레일(123)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평행 이동되면, 리미트 레버(118)의 피작용축(118b)에 의해 서브 슬라이더(79)에 지지된 작동 레버(83)의 제1 부분(83a)이 우측 방향으로 가압된다(도 58 참조).
따라서, 작동 레버(83)에 의해 회동 규제 돌기부(79i)가 전방으로 가압되어, 서브 슬라이더(79)가 비맞물림 위치로부터 제1 메인 슬라이더(73)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되어 간다.
제1 레일(104)과 제2 레일(123)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평행 이동됨과 함께 서브 슬라이더(79)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리미트 레버(118)의 피작용축(118b)은 캠 구멍(76)의 대기부(76a)에서 작동 레버(83)의 제1 부분(83a)을 상측으로부터 타고 넘도록 하여 우측 방향으로 이동된다(도 59 참조).
이때 서브 슬라이더(79)가 비맞물림 위치로부터 제1 메인 슬라이더(73)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위치 제어 스프링(82)의 타단부(82c)가 상대적으로 제1 메인 슬라이더(73)의 지지 핀(74d)에 후방으로 가압되어, 위치 제어 스프링(82)에 의해 서브 슬라이더(79)에 후방으로의 이동력이 부여된다.
또한, 서브 슬라이더(79)가 전방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리미트 레버(118)의 피작용축(118b)에 캠 구멍(76a)의 후방측 개구 둘레가 후방으로부터 접촉되어, 서브 슬라이더(79)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1 레일(104)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간다(도 60 참조). 제1 레일(104)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갈 때에는 제2 레일(123)이 제1 레일(104)에 동기하여 전방으로 이동되어 간다. 서브 슬라이더(79)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구동 기어(57)에 제2 서브 랙부(79b)가 맞물린다(도 61 참조).
구동 기어(57)에 제2 서브 랙부(79b)가 맞물리면, 서브 슬라이더(79)가 구동 모터(52)의 구동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간다. 서브 슬라이더(79)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피지지 구멍(79d, 79d)의 후방측 개구 둘레가 각각 제1 메인 슬라이더(73)의 지지 핀(74d, 74d)에 접한다.
피지지 구멍(79d, 79d)의 후방측 개구 둘레가 각각 제1 메인 슬라이더(73)의 지지 핀(74d, 74d)에 접한 상태에서 계속하여 서브 슬라이더(79)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가면, 피지지 구멍(79d, 79d)의 후방측 개구 둘레에 의해 각각 지지 핀(74d, 74d)이 전방으로 가압되어, 제1 메인 슬라이더(73)와 서브 슬라이더(79)가 일체로 되어 전방으로 이동되어 간다(도 62 참조). 따라서, 제1 메인 슬라이더(73)의 제2 메인 랙부(74b)가 구동 기어(57)에 맞물리고, 구동 기어(57)에는 제2 메인 랙부(74b)와 서브 슬라이더(79)의 제2 서브 랙부(79b)가 함께 맞물린다.
제1 메인 슬라이더(73)가 서브 슬라이더(79)와 일체로 되어 전방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제2 메인 슬라이더(85)도 제1 메인 슬라이더(73)에 동기하여 전방으로 이동되어 간다.
제2 메인 랙부(74b)와 제2 서브 랙부(79b)가 구동 기어(57)에 맞물린 상태에서 제1 메인 슬라이더(73)와 서브 슬라이더(79)가 일체로 되어 전방으로 이동될 때에는, 베이스 섀시(40)에 형성된 로크용 작용 돌기부(40f)에 의해 제1 메인 슬라이더(73)에 설치된 로크용 레버(78)의 탄성 변형부(78a)가 탄성 변형된다(도 62 참조). 탄성 변형부(78a)가 탄성 변형되면, 로크부(78b)가 서브 슬라이더(79)에 형성된 레버 삽입 구멍(81)의 레버 걸림부(81b)에 삽입되어 서브 슬라이더(79)가 제1 메인 슬라이더(73)에 대하여 로크용 레버(78)에 의해 로크된다. 따라서, 제1 메인 슬라이더(73)와 서브 슬라이더(79)는 로크된 상태에서 전방을 향하여 이동된다.
이때 유닛 플레이트(95)는, 제1 메인 슬라이더(73)와 제2 메인 슬라이더(85)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수반하는 사이드 슬라이더(90, 90)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피가이드 핀(99a, 99a, …)이 각각 승강용 캠 구멍(93, 93, …)의 후방측 캠부(93c, 93c, …)를 이동한다(도 63 참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는 구동 롤러(128)와 고정 롤러(107)에 의해 전방을 향하여 반송되지만,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디스크 반송 장치(21)로부터 소정량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되면, 구동 롤러(128)와 고정 롤러(107)에 의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반송이 불가능한 상태로 된다.
서브 슬라이더(79)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리미트 레버(118)의 피작용축(118b)이 서브 슬라이더(79)에 의해 가압되어 제1 레일(104)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가면, 루트 어저스터(31, 31)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접촉이 해제되어, 루트 어저스터(31, 31)가 각각 복귀 스프링(39, 39)의 가압력에 의해 중립 위치까지 회동된다(도 64 참조). 이때 배출 레버(108)는 제1 레일(104)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배출 레버(108)가 대략 전방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크게 회동되어 있고, 구동 롤러(128)와 고정 롤러(107)에 의한 반송에 이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배출 레버(108)에 의해 전방을 향하여 반송되어 간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는 외주면이 가압 롤러(112)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전방을 향하여 반송되어 간다.
이때 배출 레버(108)의 롤러 지지면부(111)는 베이스 섀시(40)의 하면에 형성된 미끄럼 이동 돌기부(40c, 40c)에 미끄럼 이동되어(도 65 참조), 가압 롤러(112)가 수납고(114)에 수납된 상태보다도 하방에 위치된다. 배출 레버(108)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가압 스프링(113)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력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롤러 지지면부(111)가 미끄럼 이동 돌기부(40c, 40c)에 가압되어, 가압 롤러(112)의 위치가 안정된다.
배출 레버(108)가 제1 레일(108)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더욱 회동되어 롤러 지지면부(111)가 미끄럼 이동 돌기부(40c, 40c)의 전방에 위치되면, 가압 롤러(112)가 배출 레버(108)와 함께 가압 스프링(113)의 가압력에 의해 약간 상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후단부가 가압 롤러(112)의 플랜지부(112b)에 의해 약간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수평 방향에 대하여 전방 하강으로 경사진다(도 66 참조). 이때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는 일부가 디스크 카트리지(1)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는 디스크 카트리지(1)의 보유 지지 홈(16c, 16c)에 전방 하강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수납되어 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디스크 카트리지(1)에 수납될 때에는, 루트 어저스터(31, 31)의 위치 결정용 돌기부(34, 34)에 형성된 피안내면(34a, 34a, …)이 디스크 카트리지(1)의 후방측 개구 둘레에 안내되어 위치 결정용 돌기부(34, 34)가 보유 지지 홈(16c, 16c)에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삽입된다.
따라서, 루트 어저스터(31, 31)의 디스크 카트리지(1)에 대한 위치 결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를 디스크 카트리지(1)의 보유 지지 홈(16c, 16c)에 확실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디스크 카트리지(1)에 수납되어 갈 때에는, 루트 어저스터(31, 31)의 위치 결정용 돌기부(34, 34)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삽입되는 보유 지지 홈(16c, 16c)의 1단 위의 보유 지지 홈(16c, 16c)을 형성하는 하면에 가압된 상태에서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루트 어저스터(31, 31)의 디스크 카트리지(1)에 대한 위치 정밀도가 향상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를 디스크 카트리지(1)의 보유 지지 홈(16c, 16c)에 확실하면서 또한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루트 어저스터(31, 31)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삽입되는 보유 지지 홈(16c, 16c)은 상이한 보유 지지 홈(16c, 16c)에 위치 결정용 돌기부(34, 34)가 삽입되어 디스크 카트리지(1)에 대한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1)에 대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수납을 루트 어저스터(31, 31)가 방해하지 않아, 디스크 카트리지(1)에 대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원활한 수납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루트 어저스터(31, 31)의 위치 결정 홈(37, 37, …)에 안내면(37a, 37a, …)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루트 어저스터(31, 31)의 위치 결정 홈(37, 37, …)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확실하게 삽입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위치 정밀도의 향상을 간단하면서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루트 어저스터(31)에는 외주면에 2개의 위치 결정 홈(37, 37)이 형성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디스크 반송 장치(21)에 대한 인입 방향 및 배출 방향으로의 반송 시에 모두 루트 어저스터(31)가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회동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부가 위치 결정 홈(37, 37)에 삽입되어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루트 어저스터(31, 31)에 의해 인입 방향 및 배출 방향으로의 반송 시에서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어, 부품 개수의 삭감을 도모하는 데다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위치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 외에, 루트 어저스터(31, 31)는 회동 방향과 무관하게 복귀 스프링(39)에 의해 중립 위치로 회동되어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회동되기 때문에, 루트 어저스터(31, 31)의 동작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배출 레버(108)가 제1 레일(104)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회동되어 갈 때에는, 캠 걸림부(110)가 베이스 섀시(40)에 형성된 동작 캠부(43)에 미끄럼 이동되어 간다. 배출 레버(108)는 캠 걸림부(110)가 베이스 섀시(40)의 동작 캠부(43)에서의 제2 캠부(43b)의 전단부에 걸림 결합된다.
배출 레버(108)가 제1 레일(104)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더욱 회동되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더욱 가압 롤러(112)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어 디스크 카트리지(1)에 수납되어 간다(도 67 참조).
또한 배출 레버(108)가 제1 레일(104)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회동되면, 배출 레버(108)는 캠 걸림부(110)가 베이스 섀시(40)의 동작 캠부(43)에서의 제2 캠부(43b)로부터 제3 캠부(43c)에 삽입된다(도 68 참조). 캠 걸림부(110)가 제3 캠부(43c)에 삽입되면, 배출 레버(108)가 캠 걸림부(110)를 지지점으로 하여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에 대하여 가압 롤러(112)가 대략 전방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가압 롤러(112)가 디스크 카트리지(1)의 내부에 삽입된다(도 69 참조).
가압 롤러(112)가 디스크 카트리지(1)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전체가 디스크 카트리지(1)에 수납된다. 이때 제1 메인 슬라이더(73), 서브 슬라이더(79) 및 제2 메인 슬라이더(85)는 전방의 이동단까지 이동되어 정지되고, 구동 모터(52)의 구동이 정지되어 구동 기어(57)의 회전이 일단 정지된다.
이때 리미트 레버(118)의 피작용축(118b)이 제1 메인 슬라이더(72)에 가압되어 이동되는 제1 레일(104)의 정지 위치에 따라서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가압 롤러(112)에 의해 과잉으로 전방으로 가압되어 디스크 카트리지(1)의 전방면부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전방 둘레가 가압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에 흠집 발생이나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가압 롤러(112)에 의해 과잉으로 전방으로 가압되어 전방면부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전방 둘레가 접촉했을 때에, 더욱 리미트 레버(118)의 피작용축(118b)이 제1 메인 슬라이더(72)에 가압되면, 리미트 레버(118)와 제1 레일(104) 사이에 지지된 인장 스프링(119)이 신장된다(도 70 참조).
따라서, 리미트 레버(118)가 제1 메인 슬라이더(72)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되고 제1 메인 슬라이더(72)는 이동되지 않아,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에 전방으로의 과잉의 이동력이 부여되지 않기 때문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흠집 발생이나 손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구동 모터(52)는 이젝트 동작에서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를 디스크 카트리지(1)에 수납하는 동작과 반대 동작에 의해 각 부가 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각 부가 초기 상태로 복귀되면, 센서 기판(53)에 탑재된 센서(53a)의 검출 동작에 의해 구동 모터(52)의 회전이 정지된다.
구동 모터(52)가 이젝트 동작에서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각 부가 초기 상태로 복귀될 때에는, 배출 레버(108)가 회동되어 가압 롤러(112)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로부터 후방측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가압 롤러(112)의 플랜지부(112b)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하면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수평한 상태로 되어 디스크 카트리지(1)의 보유 지지 홈(16c, 16c)의 적정한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각 부가 초기 상태로 복귀될 때에는, 제1 메인 슬라이더(73), 서브 슬라이더(79) 및 제2 메인 슬라이더(85)가 후방으로 이동되고, 제1 레일(104)과 제2 레일(123)이 후방으로 이동되고,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 제1 후방측 링크 아암(103),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 및 제2 후방측 링크 아암(122)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배출 레버(108)는 가압 롤러(112)가 수납고(114)에 수납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루트 어저스터(31)는 위치 결정용 돌기부(34)가 디스크 카트리지(1)의 보유 지지 홈(16c)에 삽입되어 위치 결정되지만, 각 부의 세트 정밀도나 가공 정밀도에 따라서는 위치 결정용 돌기부(34)가 보유 지지 홈(16c)으로부터 취출되지 않고 루트 어저스터(31)가 중립 위치를 향하여 회동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디스크 반송 장치(21)에서는, 각 부가 초기 상태로 복귀될 때에, 위치 결정용 돌기부(34)가 보유 지지 홈(16c)으로부터 취출되지 않는 경우에, 이하와 같이, 루트 어저스터(31)를 강제적으로 중립 위치를 향하여 회동시키도록 하고 있다(도 71 및 도 72 참조).
각 부가 초기 상태로 복귀될 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과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위치 결정용 돌기부(34)가 보유 지지 홈(16c)으로부터 취출되지 않는 경우에,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의 작용편부(105)에 설치된 후크부(105a)가 좌측의 루트 어저스터(31)의 돌기 형상부(35)에 설치된 걸림부(35a)에 걸림 결합되고,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의 작용편부(124)에 설치된 후크부(124a)가 우측의 루트 어저스터(31)의 돌기 형상부(35)에 설치된 걸림부(35a)에 걸림 결합된다(도 71 참조).
계속해서,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과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이 회동되면,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의 후크부(105a)가 걸림부(35a)에 걸림 결합되고,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의 후크부(124a)가 걸림부(35a)에 걸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과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에 의해 루트 어저스터(31, 31)가 중립 위치를 향하여 강제적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위치 결정용 돌기부(34, 34)가 각각 디스크 카트리지(1)의 보유 지지 홈(16c, 16c)으로부터 취출된다.
계속하여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과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이 회동되면,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과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의 회동 지지점이 각각 루트 어저스터(31, 31)의 회동 지지점에 대하여 약간 후방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후크부(105a, 124a)의 위치가 각각 걸림부(35a, 35a)에 대하여 측방으로 어긋난다(도 72 참조). 따라서, 후크부(105a, 124a)와 걸림부(35a, 35a)의 걸림 결합 상태가 각각 해제되고, 루트 어저스터(31, 31)가 각각 복귀 스프링(39, 39)의 가압력에 의해 중립 위치까지 회동되고,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과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이 각각 초기 상태까지 회동된다.
이렇게 디스크 반송 장치(21)에서는, 위치 결정용 돌기부(34)가 보유 지지 홈(16c)으로부터 취출되지 않게 된 경우에 루트 어저스터(31)를 강제적으로 중립 위치를 향하여 회동시키는 기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루트 어저스터(31, 31)가 확실하게 중립 위치까지 회동되어, 디스크 반송 장치(21)의 원활한 동작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루트 어저스터(31)의 위치 결정용 돌기부(34)가 보유 지지 홈(16c)으로부터 취출되었을 때에, 후크부(105a, 124a)와 걸림부(35a, 35a)의 걸림 상태가 각각 해제되어 있다.
따라서, 루트 어저스터(31, 31)를 중립 위치까지 확실하게 회동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제1 전방측 링크 아암(102)과 제2 전방측 링크 아암(121)을 확실하게 초기 상태까지 회동시킬 수 있어, 디스크 반송 장치(21)의 동작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로크용 레버 등의 동작>
이어서, 배출 레버(108)에 의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디스크 카트리지(1)로의 수납이 종료되어 제1 메인 슬라이더(73)와 서브 슬라이더(79)가 전방의 이동단부터 비맞물림 위치까지 후방으로 이동될 때의 로크용 레버(78) 등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73 내지 도 76 참조).
또한, 제1 메인 슬라이더(73)는 구동 모터(52)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소정의 각 부에 구동 모터(52)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들 소정의 각 부는 구동 전달부로서 설치되고, 구동 전달부로서는, 예를 들어 제1 링크 기구(101)의 각 부, 제2 링크 기구(120)의 각 부, 사이드 슬라이더(90, 90) 등의 제1 메인 슬라이더(73)에 연동하여 동작되는 각 부가 포함된다.
배출 레버(108)에 의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디스크 카트리지(1)로의 수납이 종료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 모터(52)가 이젝트 동작에서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구동 기어(57)의 회전에 의해 제1 메인 슬라이더(73)와 서브 슬라이더(79)가 일체로 되어 후방으로 이동되어 간다(도 73 참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서브 슬라이더(79)는 제1 메인 슬라이더(73)에 대하여 로크용 레버(78)에 의해 로크되어 있고, 위치 제어 스프링(82)에 의해 서브 슬라이더(79)에 제1 메인 슬라이더(73)에 대하여 후방으로의 이동력이 부여되어 있다.
또한 구동 모터(52)의 구동력에 의해 제1 메인 슬라이더(73)와 서브 슬라이더(79)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가면, 제1 메인 슬라이더(73)의 제2 메인 랙부(74b)와 구동 기어(57)의 맞물림이 해제된다(도 74 참조). 이때 로크 해제용 작용 돌기부(40g)에 로크용 레버(78)의 탄성 변형부(78a)가 미끄럼 이동되고 탄성 변형부(78a)가 탄성 복귀되어 로크부(78b)가 서브 슬라이더(79)에 형성된 레버 삽입 구멍(81)의 레버 걸림부(81b)로부터 인출된다. 따라서, 서브 슬라이더(79)의 제1 메인 슬라이더(73)에 대한 로크용 레버(78)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어, 제1 메인 슬라이더(73)가 비맞물림 위치에서 정지된다.
서브 슬라이더(79)는 구동 모터(52)의 구동력에 의해 계속해서 약간 후방으로 이동된다(도 75 참조).
서브 슬라이더(79)가 구동 모터(52)의 구동력에 의해 약간 후방으로 이동되면, 구동 기어(57)와 서브 슬라이더(79)의 제2 서브 랙부(79b)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구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한 서브 슬라이더(79)의 이동이 정지된다. 이때 위치 제어 스프링(82)에 의해 서브 슬라이더(79)에 제1 메인 슬라이더(73)에 대하여 후방으로의 이동력(가압력)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서브 슬라이더(79)가 위치 제어 스프링(82)의 가압력에 의해 제1 메인 슬라이더(73)에 대하여 약간 후방으로 이동되어 비맞물림 위치에서 정지된다(도 76 참조).
[정리]
이상 기재한 바와 같이, 디스크 반송 장치(21)에서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되는 루트 어저스터(31, 31)를 설치하고, 루트 어저스터(31, 31)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부가 삽입되는 위치 결정 홈(37, 37, …)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구성이 루트 어저스터(31, 31)라는 간소한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기구의 간소화를 확보하는 데다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반송 시에서의 위치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기술]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1) 디스크 카트리지로부터 인출되어 인입되는 인입 방향 또는 배출되어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되는 배출 방향으로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반송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되는 루트 어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루트 어저스터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 시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부가 삽입되어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 홈이 형성된, 디스크 반송 장치.
(2)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에 복수의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각각 수납 가능한 복수의 보유 지지 홈이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중심축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루트 어저스터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상기 배출 방향으로 반송되어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삽입되는 보유 지지 홈과 상이한 보유 지지 홈에 삽입되어 상기 루트 어저스터의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에 대한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용 돌기부를 형성한 상기 (1)에 기재한, 디스크 반송 장치.
(3) 상기 루트 어저스터의 위치 결정용 돌기부가, 상기 보유 지지 홈을 형성하는 면에 가압되도록 한 상기 (2)에 기재한, 디스크 반송 장치.
(4) 상기 위치 결정용 돌기부에, 상기 루트 어저스터의 회동 시에 상기 보유 지지 홈을 형성하는 면에 미끄럼 이동되어 상기 미끄럼 이동되는 면에 대하여 경사진 피안내면을 형성한 상기 (3)에 기재한, 디스크 반송 장치.
(5) 상기 루트 어저스터가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고, 상기 위치 결정 홈이 상기 루트 어저스터의 외주면에 2개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상기 인입 방향으로의 반송 시에 상기 루트 어저스터가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한쪽으로 회동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부가 한쪽의 상기 위치 결정 홈에 삽입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상기 배출 방향으로의 반송 시에 상기 루트 어저스터가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쪽으로 회동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부가 다른 쪽의 상기 위치 결정 홈에 삽입되도록 한 상기 (1) 내지 상기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디스크 반송 장치.
(6) 상기 루트 어저스터가 상기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한쪽 및 다른 쪽으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루트 어저스터를 상기 중립 위치까지 회동시키는 복귀 스프링을 설치한 상기 (5)에 기재한, 디스크 반송 장치.
(7) 상기 위치 결정 홈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안내하는 안내면을 형성한 상기 (1) 내지 상기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디스크 반송 장치.
(8)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어 반송되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레일과, 상기 한 쌍의 레일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레일을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면에 분리 접촉하는 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키는 복수의 링크 아암과, 적어도 한쪽의 상기 레일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회동됨으로써 상기 루트 어저스터에 의해 위치 결정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하는 배출 레버를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링크 아암 중 적어도 1개에 후크부를 설치하고, 상기 루트 어저스터에 상기 후크부에 걸림 결합 가능한 걸림부를 설치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되고, 상기 배출 레버가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가압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링크 아암이 상기 배출 레버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위치 결정용 돌기부가 상기 보유 지지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 레버가 상기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링크 아암이 상기 배출 레버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후크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림 결합 가능하게 되고, 상기 후크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림 결합했을 때에 상기 루트 어저스터가 상기 링크 아암의 회동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중립 위치를 향하여 회동되도록 한 상기 (1) 내지 상기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디스크 반송 장치.
(9) 상기 배출 레버가 상기 루트 어저스터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고, 상기 루트 어저스터의 회동 중심과 상기 배출 레버의 회동 중심이 상기 회동 중심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존재하고, 상기 배출 레버의 상기 반대 방향으로의 회동 시에 걸림 결합된 상기 후크부와 상기 걸림부가 미끄럼 이동되어 상기 배출 레버와 상기 루트 어저스터가 소정의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후크부와 상기 걸림부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도록 한 상기 (8)에 기재한, 디스크 반송 장치.
상기한 최선의 형태에서 기재된 각 부의 구체적인 형상 및 구조는, 모두 본 기술을 실시할 때의 구체화의 그저 일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이들에 의해 본 기술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경우가 있어서는 안된다.
1: 디스크 카트리지
16c: 보유 지지 홈
21: 디스크 반송 장치
31: 루트 어저스터
34: 위치 결정용 돌기부
34a: 피안내면
35a: 걸림부
37: 위치 결정 홈
37a: 안내면
39: 복귀 스프링
102: 제1 전방측 링크 아암
103: 제1 후방측 링크 아암
104: 제1 레일
105a: 후크부
108: 배출 레버
121: 제2 전방측 링크 아암
122: 제2 후방측 링크 아암
123: 제2 레일
124a: 후크부
200: 디스크형 기록 매체

Claims (9)

  1. 디스크 반송 장치로서,
    디스크 카트리지로부터 인출되어 인입되는 인입 방향 또는 배출되어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되는 배출 방향으로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반송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되는 루트 어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루트 어저스터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 시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부가 삽입되어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 홈이 형성된, 디스크 반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에 복수의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각각 수납 가능한 복수의 보유 지지 홈이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중심축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루트 어저스터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상기 배출 방향으로 반송되어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삽입되는 보유 지지 홈과 상이한 보유 지지 홈에 삽입되어 상기 루트 어저스터의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에 대한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용 돌기부를 형성한, 디스크 반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루트 어저스터의 위치 결정용 돌기부가, 상기 보유 지지 홈을 형성하는 면에 가압되도록 한, 디스크 반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용 돌기부에, 상기 루트 어저스터의 회동 시에 상기 보유 지지 홈을 형성하는 면에 미끄럼 이동되어 상기 미끄럼 이동되는 면에 대하여 경사진 피안내면을 형성한, 디스크 반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트 어저스터가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고,
    상기 위치 결정 홈이 상기 루트 어저스터의 외주면에 2개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상기 인입 방향으로의 반송 시에 상기 루트 어저스터가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한쪽으로 회동되어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부가 한쪽의 상기 위치 결정 홈에 삽입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상기 배출 방향으로의 반송 시에 상기 루트 어저스터가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쪽으로 회동되어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부가 다른 쪽의 상기 위치 결정 홈에 삽입되도록 한, 디스크 반송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루트 어저스터가 상기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한쪽 및 다른 쪽으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루트 어저스터를 상기 중립 위치까지 회동시키는 복귀 스프링을 설치한, 디스크 반송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홈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안내하는 안내면을 형성한, 디스크 반송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어 반송되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레일과,
    상기 한 쌍의 레일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레일을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면에 분리 접촉하는 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키는 복수의 링크 아암과,
    적어도 한쪽의 상기 레일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회동됨으로써 상기 루트 어저스터에 의해 위치 결정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하는 배출 레버를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링크 아암 중 적어도 1개에 후크부를 설치하고,
    상기 루트 어저스터에 상기 후크부에 걸림 결합 가능한 걸림부를 설치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되고 상기 배출 레버가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가압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링크 아암이 상기 배출 레버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위치 결정용 돌기부가 상기 보유 지지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 레버가 상기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링크 아암이 상기 배출 레버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후크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림 결합 가능하게 되고,
    상기 후크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림 결합했을 때에 상기 루트 어저스터가 상기 링크 아암의 회동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중립 위치를 향하여 회동되도록 한, 디스크 반송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레버가 상기 루트 어저스터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고,
    상기 루트 어저스터의 회동 중심과 상기 배출 레버의 회동 중심이 상기 회동 중심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존재하고,
    상기 배출 레버의 상기 반대 방향으로의 회동 시에 걸림 결합된 상기 후크부와 상기 걸림부가 미끄럼 이동되어 상기 배출 레버와 상기 루트 어저스터가 소정의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후크부와 상기 걸림부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도록 한, 디스크 반송 장치.
KR1020120093624A 2011-09-07 2012-08-27 디스크 반송 장치 KR201300274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95512 2011-09-07
JP2011195512A JP2013058280A (ja) 2011-09-07 2011-09-07 ディスク搬送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423A true KR20130027423A (ko) 2013-03-15

Family

ID=47753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624A KR20130027423A (ko) 2011-09-07 2012-08-27 디스크 반송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93712B2 (ko)
JP (1) JP2013058280A (ko)
KR (1) KR20130027423A (ko)
CN (1) CN103000201A (ko)
TW (1) TWI4537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52687B2 (ja) * 2013-04-17 2017-06-2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搬送装置
CN108885883B (zh) * 2016-03-23 2020-10-30 索尼公司 磁盘传送装置
CN111794491B (zh) * 2020-07-24 2022-02-01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吊篮支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7200A (ja) * 2001-09-03 2003-03-14 Tanashin Denki Co ディスク搬送装置
WO2004088653A1 (ja) * 2003-03-31 2004-10-14 Clarion Co., Ltd. ディスク装置、ディスク搬送装置及び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機構
JP3920844B2 (ja) * 2003-12-18 2007-05-30 ヤマウチ株式会社 ディスク移送部材
JP2005310208A (ja) * 2004-04-16 2005-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ィスク装置
TWI281151B (en) * 2004-10-22 2007-05-11 Lite On It Corp Disk exchanger and protection apparatus for disk exchanger
JP2011108315A (ja) 2009-11-16 2011-06-02 Sony Corp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00201A (zh) 2013-03-27
JP2013058280A (ja) 2013-03-28
TWI453735B (zh) 2014-09-21
US20130057982A1 (en) 2013-03-07
TW201331934A (zh) 2013-08-01
US8793712B2 (en) 2014-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10650A1 (en) Disk device
US20110119693A1 (en) Cartridge drive apparatus
JP2012243335A (ja) ディスク搬送装置及びディスクストレージシステム
KR20130027423A (ko) 디스크 반송 장치
JP2012248237A (ja) カートリッジ搬送装置
KR20130027422A (ko) 디스크 반송 장치
US8589961B2 (en) Disc changer for diverse recording media
CN108885883B (zh) 磁盘传送装置
JP4054133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EP2178087B1 (en) Disk device
JP2013058279A (ja) ディスク搬送装置及びディスクストレージシステム
JP2013058281A (ja) ディスク駆動装置
EP1734524B1 (en) Floating lock device
JP4706391B2 (ja) スライド装填式箱体の着脱装置
JP4420717B2 (ja) ドライブユニット振り込み装置及びディスク装置
JP3882755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2012104203A (ja) ディスクストレージシステム
JP4420718B2 (ja) フローティングロック装置
KR20050004178A (ko) 디스크 로딩 장치
WO2005096296A1 (ja) ディスク装置
JPH08195017A (ja) 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JP2006236444A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H0917090A (ja) カートリッジオートチェンジャー
JP2006127729A (ja) ディスクホルダ及びディスク装置
JPH09190668A (ja) カートリッジオートチェンジャ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