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4178A - 디스크 로딩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로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4178A
KR20050004178A KR10-2004-7018772A KR20047018772A KR20050004178A KR 20050004178 A KR20050004178 A KR 20050004178A KR 20047018772 A KR20047018772 A KR 20047018772A KR 20050004178 A KR20050004178 A KR 20050004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recording medium
shaped recording
conveying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즈노하지메
미노테쓰요시
다무라렌지
이토신지
오쿠야마히데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44458A external-priority patent/JP423207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20343A external-priority patent/JP3882755B2/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4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17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01Details
    • G11B17/0402Servo control
    • G11B17/0404Servo control with parallel drive roll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26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the magazine having a cylindrical shape with vertical axi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상의 편리함을 확보하면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확실한 반송 상태의 확보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송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면에 서로 반대측으로부터 가압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제1 반송 수단(6)과 제2 반송 수단(7)을 구비하고, 제1 반송 수단으로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 경로를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동시에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되고 차례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면 상을 전동하도록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주고 받으면서 이송하는 이송 롤러(9, 9,…)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디스크 로딩 장치 {DISK LOADING DEVICE}
디스크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광디스크 등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반송하여 로딩하는 디스크 로딩 장치가 있는데, 이와 같은 디스크 로딩 장치에서는, 로딩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하여 정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한다.
디스크 로딩 장치의 로딩 방식은, 크게 나누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디스크 트레이에 탑재하여 로딩하는 이른바 트레이 방식과, 디스크 트레이를 이용하지 않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직접 디스크 삽입구로부터 삽입하여 로딩하는 이른바 슬롯인(slot-in) 방식이 있다.
트레이 방식의 디스크 로딩 장치에 있어서는, 외부 케이스로부터 인출된 디스크 트레이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탑재하고, 상기 디스크 트레이를 외부 케이스 내에 인입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로딩을 행한다.
슬롯인 방식의 디스크 로딩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롤러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그 두께 방향으로부터 끼워 넣고, 상기 한 쌍의 롤러를 회전시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외부 케이스 내에 인입하여 로딩을 행한다. 디스크 로딩 장치의 로딩 방식으로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직접 디스크 삽입구로부터 삽입하여 로딩하는 이른바 슬롯인 방식이 있다. 이와 같은 슬롯인 방식을 채용하는 디스크 로딩 장치에는, 반송 모드에서, 디스크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예를 들면, 반송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된 한 쌍의 이송 롤러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그 면 방향으로부터 끼워 넣고, 상기 한 쌍의 이송 롤러를 회전시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면 상에서 전동(轉動)시켜 이송하도록 하는 타입이 있다.
이와 같은 디스크 로딩 장치에 있어서는, 반송 모드에서 디스크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는, 반송 기구에 의해, 예를 들면, 기록 재생부까지 반송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한 정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한다.
그러나, 상기한 트레이 방식의 디스크 로딩 장치에 있어서는, 디스크 트레이를 외부 케이스로부터 인출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탑재하고, 상기 디스크 트레이를 다시 외부 케이스 내에 인입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복수 단계의 동작이 필요하게 되고 다수의 동작을 거친 후 로딩이 행해지고, 사용하기 불편한 동시에 로딩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이것에 대해, 상기한 슬롯인 방식의 디스크 로딩 장치에 있어서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직접 외부 케이스 내에 인입되어 로딩을 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의 향상 및 로딩까지의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한 쌍의 롤러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그 두께 방향으로부터 사이에 끼워 외부 케이스 내에 인입하기 때문에, 상기 롤러와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기록면의 접촉에 의해 상기 기록면의 손상을 발생할 우려가 있고 정보 신호의 기록 에러나 재생 에러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슬롯인 방식을 채용한 후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기록면의 손상이라고 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디스크 로딩 장치가 요구된다.
한편, 디스크 로딩 장치는, 예를 들면, 복수개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수납이 가능하며 수납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 중 원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하여 정보 신호의 기록이나 재생을 행할 수 있는 이른바 디스크 체인저에도 이용된다. 이와 같은 디스크 체인저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하여 정보 신호의 기록이나 재생을 행하는 기록 재생부 외에, 복수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각각 수납할 수 있는 스태커를 가지고 있다.
디스크 체인저에 있어서는, 디스크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기록 재생부까지 반송하는 외에, 디스크 삽입구 또는 기록 재생부와 스태커 사이에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을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 스트로크를 길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슬롯인 방식을 채용한 후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기록면의 손상이라고 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디스크 로딩 장치를 고려할 때는, 이와 같은 긴 반송 스트로크에도 대응할 수 있고, 또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을 확실하게 행해지도록 할 필요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 디스크 로딩 장치는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양호한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하면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손상의 방지를 도모하는 동시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확실한 반송 상태의 확보 등을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러나, 반송 기구에 의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중이나 정보 신호의 기록중 또는 재생중 등에, 다른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디스크 삽입구로부터 부주의하게 삽입되면, 반송 기구의 오동작이나 상기 각각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기록 재생부에 있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간섭하게 된다는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 디스크 로딩 장치는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부주의한 삽입을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디스크 로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디스크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반송하여 로딩하는 디스크 로딩 장치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도 2 내지 도 6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도면은 제1 반송 수단으로서 이송 롤러를 이용하고 제2 반송 수단으로서 이송벽을 사용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직선상의 경로를 따라 반송하는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제1 반송 수단으로서 이송 롤러를 이용하고 제2 반송 수단으로서 이송체를 사용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직선상의 경로를 따라 반송하는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 반송 수단 및 제2 반송 수단으로서 이송 롤러를 사용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직선상의 경로를 따라 반송하는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5 및 도 6과 함께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곡선상의 경로를 따라 반송하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며, 본 도면은 중심각이 약 90°의 반송 경로를 가지는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중심각이 약 180°의 반송 경로를 가지는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중심각이 약 180°의 반송 경로를 가지고 디스크 삽입구와 디스크 배출구가 각각 형성된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8 내지 도 99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도면은 장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지지 섀시와 베이스 섀시를 분리하여 나타낸 장치 전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지지 섀시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지지 섀시에 설치된 디스크 가이드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각 부가 지지된 상태로 나타낸 지지 섀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각 부가 지지된 상태로 나타낸 지지 섀시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7의 ⅩⅢ-Ⅹ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각 부가 지지된 상태로 지지 섀시의 후단측의 부분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는 이송체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3 슬라이드 수단과 이것에 지지된 각 부를 그들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은 처킹 풀리와 분리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8은 베이스 섀시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모드 형성용 구동 기구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
도 20은 캠부재와 제네바 종동 기어와 연결 기어를 나타낸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베이스 유닛과 캠부재, 모드 슬라이더의 위치 관계를 일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22는 삽입 규제 수단과 이것을 동작시키는 각 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삽입 규제 수단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4는 베이스 섀시의 배치 오목부에 지지된 각 부를 서브 섀시 함께 나타낸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는 모드 슬라이더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베이스 유닛과 베이스 섀시, 지지 섀시의 위치 관계를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7은 반송용 구동부와 스태커 승강 기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8은 서브 섀시와 작용 레버를 나타낸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9는 서브 섀시와 각 수진기구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30은 서브 섀시와 각 수진기구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
도 31은 서브 섀시와 각 수진기구의 각 부를 나타낸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2는 서브 섀시와 모드 슬라이더와 각 수진기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3은 스태커와 스태커 승강 기구를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34는 회전캠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5는 회전캠의 확대 전개도이다.
도 36은 장치 전체의 정면도이다.
도 37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이송 롤러, 이송체 사이에 발생하는 힘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8은 도 39 내지 도 95와 함께 동작을 나타낸 것이며, 본 도면은 반송 기구 등의 반송 모드에 있어서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9는 모드 형성용 구동 기구 등의 반송 모드에 있어서의 상태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
도 40은 삽입 규제 수단의 반송 모드에 있어서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1은 베이스 유닛 등의 반송 모드에 있어서의 상태를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낸 확대 정면도이다.
도 42는 모드 형성용 구동 기구 등의 승강 모드에 있어서의 상태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
도 43은 삽입 규제 수단의 승강 모드에 있어서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4는 삽입 규제 수단의 규제핀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삽입이 규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5는 스태커가 하방측의 이동단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46은 스태커가 상방측의 이동단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47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반송되고, 제1 슬라이드 수단이 이동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8은 도 47에 계속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반송되고, 제1 슬라이드 수단의 이동에 따라 제2 슬라이드 수단이 이동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9는 도 48에 계속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반송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제1 이송 롤러, 제1 이송체, 제2 이송 롤러 및 제2 이송체에 접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0은 도 49에 계속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반송되고, 제1 슬라이드 수단의 구동측 슬라이더와 종동측 슬라이더가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1은 도 50에 계속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반송되고, 제3 슬라이드 수단이 이동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2는 도 51에 계속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반송되고, 제2 이송 롤러,제2 이송체로부터 제3 이송 롤러, 제3 이송체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주고 받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3은 도 52에 계속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재생부까지 반송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4는 승강 모드로부터 수납 인출 모드가 설정되고 도중에서의, 모드 형성용 구동 기구 등의 상태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
도 55는 도 53에 계속하여 수납 인출 모드가 설정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6은 수납 인출 모드가 설정된 때의 모드 형성용 구동 기구 등의 상태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
도 57은 도 55에 계속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재생부로부터 스태커로 향하여 반송이 개시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8은 도 57에 계속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스태커로 향하여 반송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9는 도 58에 계속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스태커로 향하여 반송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0은 도 59에 계속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반송되고, 이동 레버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1은 도 60에 계속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반송되고, 제5 이송 롤러, 제5 이송체로부터 제6 이송 롤러, 제6 이송체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주고 받는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2는 디스크 가이드부에 지지되면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반송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3은 스태커의 디스크 수납부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64는 스태커의 디스크 수납부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수납되고 제6 이송 롤러와 제6 이송체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접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5는 도 66 내지 도 71과 함께 반송 동작의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도면은 주고 받는 측의 이송 롤러가 소 직경인 경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6은 주고 받는 측의 이송체가 소 직경인 경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7은 주고 받는 측의 이송체가 대 직경인 경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8은 주고 받는 측의 이송 롤러가 대 직경인 경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9는 이송 롤러가 링크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0은 도 71과 함께 작용 부재를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며, 본 도면은 작용 부재가 설치된 이송 롤러와 이송체를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함께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1은 작용 부재를 사용한 경우의 반송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2는 베이스 유닛이 회전되고 있는 도중 상태를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낸 확대 정면도이다.
도 73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처킹된 상태를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낸 확대 정면도이다.
도 74는 도 75도 및 도 76과 함께 모드 슬라이더가 이동되었을 때의 각 수진기구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본 도면은 모드 슬라이더가 이동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
도 75는 도 74에 계속하여 모드 슬라이더가 이동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
도 76은 도 75에 계속하여 모드 슬라이더가 이동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
도 77은 모드 슬라이더가 전방측의 이동단로 이동되었을 때의 모드 형성용 구동 기구 등의 상태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
도 78은 처킹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부터 이송 롤러 및 이송체가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9는 처킹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부터 이송 롤러 및 이송체가 이격된 상태를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낸 확대 정면도이다.
도 80은 베이스 유닛이 회전되었을 때에 분리 부재에 의해 처킹 풀리가 디스크 테이블로부터 강제적으로 이격된 상태를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낸 확대 정면도이다.
도 81은 수납 인출 위치에 있는 디스크 수납부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82는 도 83과 함께 스태커의 디스크 수납부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수납되었을 때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디스크 수납부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본 도면은 스태커가 상방측의 이동단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83은 스태커가 하방측의 이동단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84는 도 85와 함께 스태커가 승강되었을 때에 디스크 수납부에 수납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정렬되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며, 본 도면은 스태커가 상승될 때의 동작을 나타낸 확대 측면도이다.
도 85는 스태커가 하강될 때의 동작을 나타낸 확대 측면도이다.
도 86은 도 87 내지 도 95와 함께 소 직경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반송될 때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며, 본 도면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재생부를 향하여 반송되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7은 도 86에 계속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재생부까지 반송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8은 모드 슬라이더가 이동되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
도 89는 처킹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부터 이송 롤러 및 이송체가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0은 처킹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부터 이송 롤러 및 이송체가 이격된 상태를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낸 확대 정면도이다.
도 91은 디스크 어댑터를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함께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92는 디스크 어댑터에 장착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처킹된 상태를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낸 확대 정면도이다.
도 93은 도 94 및 도 95와 함께 디스크 어댑터가 낙하했을 때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며, 본 도면은 디스크 어댑터가 수용부재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4는 디스크 어댑터의 외주 에지가 수용부재의 경사면부와 슬라이드 접촉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5는 디스크 어댑터가 다시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6은 도 97 내지 도 99와 함께 이송 롤러 또는 이송체에 이용되는 재료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며, 본 도면은 각종의 부틸 고무에 대한 반발 탄성을 나타낸 도표이다.
도 97은 각종의 재료에 대하여, 경도의 온도 의존성을 나타낸 그래프도 및 도표이다.
도 98은 각종의 부틸 고무에 대하여, 경도의 온도 의존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9는 다른 각종의 부틸 고무에 대하여, 경도의 온도 의존성을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본 발명의 디스크 로딩 장치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송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면에 서로 반대측으로부터 가압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제1 반송 수단과 제2 반송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반송 수단으로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 경로를 따라 이격하여 배치되는 동시에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되고 차례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면을 전동하도록 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주고 받으면서 이송하는 복수의 이송 롤러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스크 로딩 장치에 있어서는, 회전하는 이송 롤러 사이에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차례로 주고 받으면서 반송한다.
본 발명 디스크 로딩 장치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송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면에 서로 반대측으로부터 가압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제1 반송 수단과 제2 반송 수단과, 반송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지지 섀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반송 수단으로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 경로를 따라 이격하여 배치되는 동시에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되고 차례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면 상을 전동하도록 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주고 받으면서 이송하는 복수의 이송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이송 롤러를 각각 지지하는 동시에 지지 섀시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송 롤러를 반송시키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면에 대해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삽입되는 반송 모드 이외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 가장 디스크 삽입구측에 위치되는 이송 롤러를 지지하는 슬라이더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 나타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디스크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광디스크 등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반송하여 로딩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해서 정보 신호의 재생을 행할 수 있는 디스크 로딩 장치에 적용한 것이다.
또, 이하에 나타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 신호의 재생을 행하는 장치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한 정보 신호의 기록을 행하는 장치, 또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한 정보 신호의 기록 및 재생의 양쪽을 행할 수 있는 장치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 나타낸 디스크 로딩 장치는 복수개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수납이 가능한 스태커를 구비하고, 상기 스태커에 수납된 임의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인출 및 스태커에 대한 임의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수납을 행할 수 있는 디스크 체인저(disk changer)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하에 나타낸 각 항목에 따라 차례로 설명한다.
(1) 디스크 로딩 장치의 개요
(2)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 경로
(3) 디스크 로딩 장치의 구체적 구성
(a) 전체 구성의 개요
(b) 지지 섀시
(c) 제1 슬라이드 수단
(d) 제2 슬라이드 수단
(e) 제3 슬라이드 수단
(f) 제4 슬라이드 수단
(g) 제5 슬라이드 수단
(h) 이동 레버
(i) 처킹 풀리
(j) 분리 부재
(k) 베이스 섀시
(l) 모드 형성용 구동 기구
(m) 삽입 규제 수단
(n) 모드 슬라이더
(o) 베이스 유닛
(p) 디스크 센서
(q) 반송용 구동부
(r) 서브 섀시
(s) 수진기구
(t) 스태커 승강 기구
(u) 스태커
(v) 케이스의 구성
(4) 디스크 로딩 장치의 동작
(a) 반송시의 조건
(b) 5개의 동작 모드
(c) 반송 모드
(d) 디스크 삽입구와 스태커 사이의 반송 동작
(e) 재생 동작(대 직경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
(f) 익스체인지 동작
(g) 재생 동작(소 직경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
(h) 디스크 어댑터를 사용한 경우의 반송 동작
이하, 각 항목에 따라 설명한다.
(1) 디스크 로딩 장치의 개요
이하에, 디스크 로딩 장치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1 내지 도 3 참조).
디스크 로딩 장치(1)(1A, 1B, 1C)는 케이스(2)에 필요한 각 부재 및 각 기구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며, 케이스(2)는, 예를 들면,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세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1 내지 도 3 참조). 케이스(2)의 전면에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삽입되는 디스크 삽입구(2a)가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 로딩 장치(1)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직경이 약 12cm의 대 직경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와, 예를 들면, 직경이 약 8cm의 소 직경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에 대한 정보 신호의 재생을 행할 수 있고, 후술하는 스태커에의 수납은 대 직경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 만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케이스(2)에는, 예를 들면, 전후로 이격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에 대해서 정보 신호의 재생을 행하는 재생부(3)와, 복수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 200,…)의 수납이 가능한 스태커(4)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 200,…)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에 대해서 정보 신호의 기록을 행하는 장치에 있어서는, 재생부(3)에 대신하여 기록부가 설치되고, 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에 대해서 정보 신호의 기록 및 재생을 행하는 장치에 있어서는, 재생부(3)에 대신하여 기록 재생부가 설치된다.
반송 기구(5)는 케이스(2)의 좌단부와 우단부에 각각 설치된 제1 반송 수단(6)과 제2 반송 수단(7)을 가지고 있다. 제1 반송 수단(6)과 제2 반송 수단(7)은 적어도 한쪽이 대략 원통형 또는 대략 원주형을 이루는 복수개의 이송 수단(8, 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송 수단(8, 8,…)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반송 방향(Y1-Y2)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송 수단(8, 8,…)으로는 회전 가능한 이송 롤러(9, 9,…) 또는 회전 불가능한 이송체(10, 10,…)가 사용되고, 제1 반송 수단(6) 또는 제2 반송 수단(7)의 적어도 한쪽은, 이송 롤러(9, 9,…)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송 롤러(9, 9,…) 및 이송체(10, 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어느 쪽도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가압되지만, 가압되었을 때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 사이에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대해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제1 반송 수단(6)으로서 이송 롤러(9, 9,…)를 사용하고, 제2 반송 수단(7)으로서 이송벽(11)을 사용한 디스크 로딩 장치(1A)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송 롤러(9, 9…)는 반송 방향(Y1-Y2)에 직교하는 방향인 이동 방향(X 1-X2)으로 케이스(2)에 대하여 각각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송벽(11)은 Y1-Y2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케이스(2)에 고정되어 있다. 이송벽(11)도 이송 롤러(9, 9,…) 및 이송체(10, 10,…)와 동일하게,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 사이에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대하여 미끄러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디스크 로딩 장치(1A)에 있어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삽입되면, 회전되고 있는 이송 롤러(9, 9,…)가 X1 방향으로 이동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차례로 가압되고, 이송 롤러(9, 9,…)가 가압시킨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이 이송벽(11)에 가압된다.
따라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는 이송 롤러(9, 9,…)와 이송벽(11)에 의하여 협지(挾持)된 상태로, 이송 롤러(9, 9,…)의 회전에 의해 차례로 이송 롤러(9, 9,…) 사이에서 주고 받으면서 Y1방향으로 반송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는 재생부(3) 또는 스태커(4)까지 반송되고, 정보 신호의 재생 또는 디스크 수납부에의 수납을 행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반송 중에는, 이송 롤러(9, 9,…)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반송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가압되도록 X1-X2 방향으로 이동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재생부(3) 또는 스태커(4)로부터의 디스크 삽입구(2a)를 향하여 반송, 즉, Y2 방향으로의 반송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이송 롤러(9, 9,…)와 이송벽(11)에 의해 협지된 상태로, 이송 롤러(9, 9,…)가 상기와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행해진다.
도 2는 제1 반송 수단(6)으로서 이송 롤러(9, 9,…)를 사용하고, 제2 반송 수단(7)으로서 이송체(10, 10,…)를 사용한 디스크 로딩 장치(1B)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송 롤러(9, 9,…)와 이송체(10, 10,…)는 케이스(2)에 대하여 X1-X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동기하여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디스크 로딩 장치(1B)에 있어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삽입되면, 회전되고 있는 이송 롤러(9, 9,…)가 X1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이송체(10, 10,…)가 X2 방향으로 동기하여 이동되어 각각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서로 반대측으로부터 차례로 가압된다.
따라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는 이송 롤러(9, 9,…)와 이송체(10, 10,…)에 의해 협지된 상태로, 이송 롤러(9, 9,…)의 회전에 의해 차례로 이송 롤러(9, 9,…) 사이에서 주고 받으면서 Y1 방향으로 반송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반송 중에는, 이송 롤러(9, 9,…)와 이송체(10, 10,…)는, 각각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반송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200)의 외주면에 가압되도록 X1-X2 방향으로 동기하여 이동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Y2 방향으로의 반송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이송 롤러(9, 9,…)와 이송체(10, 10,…)에 의해 협지된 상태로, 이송 롤러(9, 9,…)가 상기와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행해진다.
그리고, 디스크 로딩 장치(1B)에 있어서는, 이송 롤러(9, 9,…)와 이송체(10, 10,…)를 각각 X1-X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이송 롤러(9, 9,…) 또는 이송체(10, 10,…)의 어느 한쪽만을 X1-X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도 된다.
도 3은 제1 반송 수단(6) 및 제2 반송 수단(7)으로서, 어느 쪽도 모두 이송 롤러(9, 9,…)를 사용한 디스크 로딩 장치(1C)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반송 수단(6)으로서 이용된 이송 롤러(9, 9,…)와 제2 반송 수단(7)으로서 이용된 이송 롤러(9, 9,…)는, 케이스(2)에 대해서 X1-X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동기하여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디스크 로딩 장치(1C)에 있어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삽입되면, 제1 반송 수단(6)으로서 이용되고 회전되고 있는 이송 롤러(9, 9,…)가 X1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제2 반송 수단(7)으로서 이용되고 회전되고 있는 이송 롤러(9, 9,…)가 X2 방향으로 이동되어 각각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차례로 가압된다.
따라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는, 제1 반송 수단(6)으로서 이용된 이송 롤러(9, 9,…)와 제2 반송 수단(7)으로서 이용된 이송 롤러(9, 9,…)에 의해 협지된 상태로, 이송 롤러(9, 9,…)의 회전에 의해 차례로 이송 롤러(9, 9,…) 사이에서 주고 받으면서 Y1 방향으로 반송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반송 중에는, 제1 반송 수단(6)으로서 이용된 이송 롤러(9, 9,…)와 제2 반송 수단(7)으로서 이용된 이송 롤러(9, 9,…)는, 각각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반송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가압되도록 X1-X2 방향으로 동기하여 이동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Y2 방향으로의 반송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제1 반송 수단(6)으로서 이용된 이송 롤러(9, 9,…)와 제2 반송 수단(7)으로서 이용된 이송 롤러(9, 9,…)에 의해 협지된 상태로, 이송 롤러(9, 9,…)가 상기와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디스크 로딩 장치(1C)에 있어서는, 제1 반송 수단(6)으로서 이용된 이송 롤러(9, 9,…)와 제2 반송 수단(7)으로서 이용된 이송 롤러(9, 9,…)를 각각 X1-X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제1 반송 수단(6)으로서 이용된 이송 롤러(9, 9,…) 또는 제2 반송 수단(7)으로서 이용된 이송 롤러(9, 9,…)의 어느 한쪽만을 X1-X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크 로딩 장치(1)[디스크 로딩 장치(1A, 1B, 1C)]에 있어서는, 회전하는 이송 롤러(9, 9,…) 사이에서 주고 받으면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차례로 이송되어 반송되기 때문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2O0)를 탑재하여 반송하기 위한 디스크 트레이 등의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를 반송할 수 있고, 사용의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른 수의 이송 롤러(9, 9,…)를 설치함으로써, 반송 스트로크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설계의 자유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재생부 외에 스태커가 설치되고 디스크 체인저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디스크 로딩 장치에 있어서는, 재생부와 스태커 사이에서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도 행할 필요가 있고 긴 반송 스트로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송 롤러(9, 9,…)를 사용하는 것은 설계의 자유도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매우 유효한 수단이다.
또한, 이송 롤러(9, 9,…), 이송체(10, 10,…) 또는 이송벽(11)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가압됨으로써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반송되기 때문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기록면의 손상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한 디스크 로딩 장치(1B, 1C)에 있어서는, 이송 롤러(9, 9,…)와 이송체(10, 10,…), 또는, 제1 반송 수단(6)으로서 이용된 이송 롤러(9, 9,…)와 제2 반송 수단(7)으로서 이용된 이송 롤러(9, 9,…)를, 반송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대해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동기하여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으므로, 반송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에 대한 이송 롤러(9, 9,…)와 이송체(10, 10,…)에 의한 부하가 안정됨과 동시에 이송 동작의 제어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디스크 로딩 장치(1C)에 있어서는, 이송 수단(8, 8,…)으로서 회전 가능한 이송 롤러(9, 9,…)만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를 안정적이면서 확실하게 반송할 수 있다.
(2)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 경로
이하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반송 경로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4 내지 도 6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크 로딩 장치(1)(1A, 1B, 1C)의 반송 경로는, Y1-Y2 방향(도 1 내지 도 3 참조)인 직선상의 반송 경로로 되어 있지만, 이송 수단(8, 8,…)의 배치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반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를 곡선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6은 곡선상의 반송 경로를 설정한 디스크 로딩 장치의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디스크 로딩 장치(1D)는, 제1 반송 수단(6)으로서 원주 방향에 이격되어 이송 롤러(9, 9,…)가 배치되고, 제2 반송 수단(7)으로서 원호형으로 형성된 이송벽(12)이 설치되고, 상기 이송벽(12)이 이송 롤러(9, 9,…)의 배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송 롤러(9, 9,…)는 케이스(2)의 하나의 각부(角部)(P1)를 중심으로 하여, 중심각 90°의 범위에서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 로딩 장치(1D)의 반송 경로(H1)는, 중심각이 90°의 원호형의 경로로 되어 있다.
디스크 로딩 장치(1D)에 있어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삽입되면, 회전되고 있는 이송 롤러(9, 9,…)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차례로 가압되고, 이송 롤러(9, 9,…)가 가압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이 이송벽(12)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는 이송 롤러(9, 9,…)와 이송벽(12)로에 의해 협지된 상태로, 이송 롤러(9, 9,…)의 회전에 의해 차례로 이송 롤러(9, 9,…) 사이에서 주고 받으면서 원호형을 이루는 반송 경로(H1)로 반송된다.
도 5에 나타낸 디스크 로딩 장치(1E)는, 제1 반송 수단(6)으로서 원주 방향에 이격되어 이송 롤러(9, 9,…)가 배치되고, 제2 반송 수단(7)으로서 원호형으로 형성된 이송벽(13)이 설치되고, 상기 이송벽(13)이 이송 롤러(9, 9,…)의 배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송 롤러(9, 9,…)는 케이스(2)의 길이 방향에서 대략 중앙점(P2)을 중심으로 하여, 중심각 180°의 범위에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 로딩 장치(1E)의 반송 경로(H2)는, 중심각이 180°의 원호형의 경로로 되어 있다.
디스크 로딩 장치(1E)에 있어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삽입되면, 회전되고 있는 이송 롤러(9, 9,…)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차례로 가압되고, 이송 롤러(9, 9,…)가 가압시킨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이 이송벽(13)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는, 이송 롤러(9, 9,…)와 이송벽(13)에 의해 협지된 상태로, 이송 롤러(9, 9,…)의 회전에 의해 차례로 이송 롤러(9, 9,…) 사이에서 주고 받으면서 원호형을 이루는 반송 경로(H2)로 반송된다.
도 6에 나타낸 디스크 로딩 장치(1F)에 대하여는, 케이스(2)에, 예를 들면, 좌우로 이격되어 디스크 삽입구(2a)와 디스크 배출구(2b)가 형성되어 있는 점 이외는, 디스크 로딩 장치(1E)와 동일한 구성 및 동작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 로딩 장치(1F)에 있어서는, 그 반송 경로(H3)는, 케이스(2)의 길이 방향에서 대략 중앙점(P2)을 중심으로 하여 중심각이 180°의 원호형의 경로로 되어 있고,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삽입되어 반송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반송 경로(H3)로 반송되어 디스크 배출구(2b)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디스크 삽입구(2a)와 디스크 배출구(2b)의 위치는 반대라도 된다.
이상에 기재한 바와 같이, 디스크 로딩 장치(1D, 1E, 1F)에 있어서는, 반송 경로(H1, H2, H3)가 곡선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설계의 자유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송 롤러(9, 9,…)의 배열은, 상기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배열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송벽(12, 13)은 임의로 설정된 이송 롤러(9, 9,…)의 배열 방향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2)에 설치되는 다른 각 기구의 배치 위치를 설정한 후, 이송 롤러(9, 9,…)의 배열 방향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디스크 로딩 장치(1D, 1E, 1F)에 설치되는 다른 각 기구와의 간섭을 용이하게 회피할 수 있다.
상기에는, 제2 반송 수단(7)으로서 이송벽(12, 13)을 사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제2 반송 수단(7)으로서, 이송체(10, 10,…)나 이송 롤러(9, 9,…)를 사용해도 된다.
(3) 디스크 로딩 장치의 구체적 구성
이하에, 디스크 로딩 장치(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7 내지도 36 참조).
(a) 전체 구성의 개요
디스크 로딩 장치(1)는 케이스(2)에 필요한 각 부재 및 각 기구가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케이스(2)는 지지 섀시(14)와 베이스 섀시(15)가 상하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도 7 및 도 8 참조).
(b) 지지 섀시
지지 섀시(14)는 대략 평판형으로 형성되고, 후단측에 후방으로 개구된 대략 반원형을 이루는 큰 노치부(14a)를 가지고 있다(7도 내지 도 9 참조). 지지 섀시(14)의 전면 에지의 좌우방향에서의 중앙부에는, 전방으로 개구된 회피용 노치부(14b)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섀시(14)의 좌우방향에서의 중앙부에는, 전후로 이격되어 복수개의 안내구멍(16, 16,…)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구멍(16, 16,…)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도 9 참조). 안내구멍(16, 16,…)은 지지 섀시(14)의 좌단부 및 우단부의 후단측 부분에도 형성되어 있다.
지지 섀시(14)의 좌단측에는 전후로 이격되어 좌측 삽입구멍(17, 17,…)이 형성되고, 상기 좌측 삽입구멍(17, 17,…)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지지 섀시(14)의 우단측에는 전후로 이격되어 우측 삽입구멍(18, 18,…)이 형성되고, 상기 우측 삽입구멍(18, 18,…)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지지 섀시(14)의 대략 중앙부에는, 원형상을 이루는 풀리 지지구멍(19)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섀시(14)에는, 풀리 지지구멍(19)의 전후에 각각 좌우방향으로긴 부재 배치구멍(20, 20)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섀시(14)에는, 풀리 지지구멍(19)의 우측의 위치에, 가로로 긴 삽입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섀시(14)의 후단부의 좌단부와 우단부에는, 각각 레버 배치구멍(22, 22)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 배치구멍(22, 22)은 완만하게 짧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 섀시(14)의 레버 배치구멍(22, 22)의 직전방측의 위치에는,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 레버 지지 돌기부(14c, 14c)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섀시(14)의 상면에는, 그 우단부 근처의 위치에 전후로 이격되어 상방으로 돌출된 스프링 걸림 돌기부(14d, 14d,…)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걸림 돌기부(14d)는 지지 섀시(14)의 좌단측에도 하나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 걸림 돌기부(14d)는 지지 섀시(14)의 전단측에 위치되어 있다.
지지 섀시(14)의 상면에는, 풀리 지지구멍(19)과 삽입구멍(21)의 사이 위치에, 전후로 이격되어 부재 지지 돌기부(14e, 14e)가 형성되어 있다. 부재 지지 돌기부(14e, 14e)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 섀시(14)의 삽입구멍(21)의 직좌측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삽입축부(14f)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섀시(14)의 하면에는 전후로 이격되어 디스크 가이드부(23, 23)가 형성되어 있다(도 9 및 도 10 참조). 디스크 가이드부(23, 23)는 지지 섀시(14)의 후단측에 형성되고,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디스크 가이드부(23, 23)는, 각각 지지 섀시(14)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수직 설치부(23a, 23a)와 상기 수직 설치부(23a, 23a)의 하단부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된 수용부(23b, 23b)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도 10 참조).
지지 섀시(14)의 노치부(14a)의 에지부에는, 원호형을 이루는 탈락 방지부(14g, 14h)가 형성되어 있다(도 7, 도 8, 도 9 및 도 13 참조). 탈락 방지부(14g)는 노치부(14a)의 에지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된 원호형을 이루는 벽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지부의 좌우방향에서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탈락 방지부(14h)는 노치부(14a)의 에지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원호형을 이루는 벽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지부의 대략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c) 제1 슬라이드 수단
지지 섀시(14)의 전단부에는 제1 슬라이드 수단(24)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1 슬라이드 수단(24)은 구동측 슬라이더(25)와 종동측 슬라이더(2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도 11 및 도 12 참조).
구동측 슬라이더(25)는 대략 좌우방향으로 긴 본체부(25a)와 상기 본체부(25a)의 좌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규제 돌기부(25b)로 이루어진다. 규제 돌기부(25b)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지지 몸통부(25c)가 형성되고, 본체(25a)의하면의 우단 근처의 위치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피안내핀(25d)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25a)의 전면에는 랙부(25e)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25a)의 상면의 우단 측에는 단차부(25f)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25f)에 의해, 그 우측 부분의 상면이 좌측의 부분의 상면보다 낮게 되어 있다.
구동측 슬라이더(25)는, 지지 몸통부(25c)가 맨앞열의 좌측 삽입구멍(17)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고, 피안내핀(25d)이 앞으로부터 2열째의 안내구멍(16)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고, 지지 몸통부(25c)와 피안내핀(25d)이 각각 좌측 삽입구멍(17)과 안내구멍(16)에 안내되어 지지 샤시(14)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구동측 슬라이더(25)가 지지 섀시(14)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본체부(25a)의 우단부와 그 우측에 위치하는 스프링 걸림 돌기부(14d)의 사이에 스프링 부재(인장 코일 스프링)(27)가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측 슬라이더(25)가 스프링 부재(27)에 의해 우측으로 가압된다.
종동측 슬라이더(26)는 좌우방향으로 긴 본체부(26a)와 상기 본체부(26a)의 우단측의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가압 돌기부(26b)로 이루어진다. 본체부(26a)의 하면의 우단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장착축부(26c)가 형성되고, 본체부(26a)의 하면의 좌단 근처의 위치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피안내핀(26d)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26a)의 후면에는 랙부(26e)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26a)의 좌단부는 규제부(26f)로서 형성되어 있다.
종동측 슬라이더(26)는, 장착축부(26c)가 맨앞열의 우측 삽입구멍(18)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고, 피안내핀(26d)이 맨앞열의 안내구멍(16)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고, 장착축부(26c)와 피안내핀(26d)이 각각 우측 삽입구멍(18)과 안내구멍(16)에 안내되어 지지 섀시(14)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종동측 슬라이더(26)가 지지 섀시(14)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장착축부(26c)에 제1 이송체(10a)가 장착되어 있다(도 15 참조). 제1 이송체(10a)는 편평한 대략 원주형으로 형성되고, 지지 섀시(14)의 하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이송체(10a)의 전체 원주에는 지지 홈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이송체(10a)는 종동측 슬라이더(26)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구동측 슬라이더(25) 및 종동측 슬라이더(26)가 각각 지지 섀시(14)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는, 종동측 슬라이더(26)의 가압 돌기부(26b)가 구동측 슬라이더(25)의 단차부(25f)의 우측에서, 구동측 슬라이더(25)의 상방에 위치되어 있다.
구동측 슬라이더(25) 및 종동측 슬라이더(26)가 각각 지지 섀시(14)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지지 섀시(14)의 구동측 슬라이더(25)와 종동측 슬라이더(26)의 사이에, 랙부(25e)와 랙부(26e)에 치합되는 피니언(28)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구동측 슬라이더(25)와 종동측 슬라이더(26)는 동기하여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또, 종동측 슬라이더(26)에는, 구동측 슬라이더(25) 및 피니언(28)을 통하여 스프링 부재(27)에 의한 좌측으로의 가압력이 부여된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 부재(27)에 의하여, 구동측 슬라이더(25)가 우측으로 가압되는 동시에 종동측 슬라이더(26)가 좌측으로 가압되고, 구동측 슬라이더(25) 및 종동측 슬라이더(26)에 외력이 부여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구동측 슬라이더(25)의 규제 돌기부(25b)와 종동측 슬라이더(26)의 규제부(26f)가 접촉되어 구동측 슬라이더(25)의 우측으로의 이동 및 종동측 슬라이더(26)의 좌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구동측 슬라이더(25)와 종동측 슬라이더(26)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동기하여 슬라이드되었을 때에는, 구동측 슬라이더(25)의 지지 몸통부(25c)와 피안내핀(25d)이 각각 좌측 삽입구멍(17)의 좌측 개구 에지와 안내구멍(16)의 좌측 개구 에지에 접촉되어 구동측 슬라이더(25)의 좌측으로의 슬라이드가 규제되고, 동시에, 종동측 슬라이더(26)의 장착축부(26c)와 피안내핀(26d)이 각각 우측 삽입구멍(18)의 우측 개구 에지와 안내구멍(16)의 우측 개구 에지 접촉되어 종동측 슬라이더(26)의 우측으로의 슬라이드가 규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구동측 슬라이더(25)와 종동측 슬라이더(26)가 동기하여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었을 때에는 스프링 부재(27)가 신축되지만, 상기 스프링 부재(27)는 구동측 슬라이더(25)의 우측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구동측 슬라이더(25)의 이동 스페이스 내에서 신축된다.
(d) 제2 슬라이드 수단
지지 섀시(14)의 제1 슬라이드 수단(24)의 후방측의 위치에는, 제2 슬라이드 수단(29)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2 슬라이드 수단(29)은 구동측 슬라이더(30)와 종동측 슬라이더(3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도 11 및 도 12 참조).
구동측 슬라이더(30)는 좌우방향으로 긴 본체부(30a)와 상기 본체부(30a)의 대략 좌반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30b)와 본체부(30a)의 좌단 근처의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규제 돌기부(30c)로 이루어진다. 돌출부(30b)의 하면의 좌단부와 본체부(30a)의 하면의 좌단부에는, 전후로 이격되어 각각 하방으로 돌출된 지지 몸통부(30d, 30d)가 형성되고, 본체부(30a)의 하면의 우단 근처의 위치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피안내핀(30e)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30a)의 전면에는 랙부(30f)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30a)의 우단부는 규제부(30g)로서 형성되어 있다.
구동측 슬라이더(30)는, 지지 몸통부(30d, 30d)가 각각 좌측 삽입구멍(17, 17)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고, 피안내핀(30e)이 안내구멍(16)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고, 지지 몸통부(30d, 30d)와 피안내핀(30e)이 각각 좌측 삽입구멍(17, 17)과 안내구멍(16)에 안내되어 지지 섀시(14)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종동측 슬라이더(31)는 좌우방향으로 긴 본체부(31a)와 상기 본체부(31a)의 우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규제 돌기부(31b)와 본체부(31a)의 우단부의 상측 에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피가압 돌기부(31c)로 이루어진다. 본체부(31a)의 하면의 우단부와 규제 돌기부(31b)의 하면의 우단부에는, 전후로 이격되어 각각 하방으로 돌출된 장착축부(31d, 31d)가 형성되고, 본체부(31a)의 하면의 좌단 근처의 위치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피안내핀(31e)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31a)의 후면에는 랙부(31f)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31a)의 좌단부는 규제부(31g)로서 형성되어 있다.
종동측 슬라이더(31)는, 장착축부(31d, 31d)가 각각 우측 삽입구멍(18, 18)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고, 피안내핀(31e)이 안내구멍(16)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고, 장착축부(31d, 31d)와 피안내핀(31e)이 각각 우측 삽입구멍(18, 18)과 안내구멍(16)에 안내되어 지지 섀시(14)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종동측 슬라이더(31)가 지지 섀시(14)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본체부(31a)의 좌우방향에서 대략 중앙 부분과 그 좌측에 위치하는 스프링 걸림 돌기부(14d) 사이에 스프링 부재(인장 코일 스프링)(32)가 설치된다. 따라서, 종동측 슬라이더(31)가 스프링 부재(32)에 의해 좌측으로 가압된다.
종동측 슬라이더(31)가 지지 섀시(14)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장착축부(31d, 31d)에 각각 제2 이송체(10c)와 제3 이송체(10e)가 장착되어 있다(도 15 참조). 제2 이송체(10c) 및 제3 이송체(10e)는 각각 대략 원주형으로 형성되고, 지지 섀시(14)의 하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이송체(10c) 및 제3 이송체(10e)의 전체 원주에는 각각 지지 홈부(10d, 10f)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이송체(10c) 및 제3 이송체(10e)는 각각 종동측 슬라이더(31)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구동측 슬라이더(30) 및 종동측 슬라이더(31)가 각각 지지 섀시(14)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지지 섀시(14)의 구동측 슬라이더(30)와 종동측 슬라이더(31)의 사이에, 랙부(30f)와 랙부(31f)에 치합되는 피니언(33)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구동측 슬라이더(30)와 종동측 슬라이더(31)는 동기하여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또, 구동측 슬라이더(30)에는, 종동측 슬라이더(31) 및 피니언(33)을 통하여 스프링 부재(32)에 의한 우측으로의 가압력이 부여된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 부재(32)에 의해, 구동측 슬라이더(30)가 우측으로 가압되는 동시에 종동측 슬라이더(31)가 좌측으로 가압되고, 구동측 슬라이더(30) 및 종동측 슬라이더(31)에 외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구동측 슬라이더(30)의 규제 돌기부(30c)와 종동측 슬라이더(31)의 규제부(31g)가 접촉되는 동시에 구동측 슬라이더(30)의 규제부(30g)와 종동측 슬라이더(31)의 규제 돌기부(31b)가 접촉되어 구동측 슬라이더(30)의 우측으로의 이동 및 종동측 슬라이더(31)의 좌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구동측 슬라이더(30)와 종동측 슬라이더(31)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동기하여 슬라이드되었을 때에는, 구동측 슬라이더(30)의 지지 몸통부(30d, 30d)와 피안내핀(30e)이 각각 좌측 삽입구멍(17, 17)의 좌측 개구 에지와 안내구멍(16)의 좌측 개구 에지에 접촉되어 구동측 슬라이더(30)의 좌측으로의 슬라이드가 규제되는 동시에, 종동측 슬라이더(31)의 장착축부(31d, 31d)와 피안내핀(31e)이 각각 우측 삽입구멍(18, 18)의 우측 개구 에지와 안내구멍(16)의 우측 개구 에지에 접촉되어 종동측 슬라이더(31)의 우측으로의 슬라이드가 규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구동측 슬라이더(30)와 종동측 슬라이더(31)가 동기하여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었을 때에는 스프링 부재(32)가 신축되지만, 상기 스프링 부재(32)는 종동측 슬라이더(31)의 직전방측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종동측 슬라이더(31)의 이동 스페이스 내에서 신축된다.
상기한 제1 슬라이드 수단(24)의 구동측 슬라이더(25)와 종동측 슬라이더(26)가 동기하여 슬라이드되고, 종동측 슬라이더(26)가 소정의 위치까지 우측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종동측 슬라이더(26)의 가압 돌기부(26b)가 제2 슬라이드 수단(29)의 종동측 슬라이더(31)의 피가압 돌기부(31c)를 우측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종동측 슬라이더(26)의 이동에 따라 구동측 슬라이더(30) 및 종동측 슬라이더(31)가 좌우 방향으로 동기하여 슬라이드된다.
(e) 제3 슬라이드 수단
지지 섀시(14)의 풀리 지지구멍(19)의 후방측의 위치에는 제3 슬라이드 수단(34)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3 슬라이드 수단(34)은 제1 슬라이더(35)와 제2 슬라이더(3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도 11 및 도 12 참조).
제1 슬라이더(35)는 대략 좌우방향으로 긴 본체부(35a)와 상기 본체부(35a)의 좌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규제 돌기부(35b)로 이루어진다. 규제 돌기부(35b)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지지축부(35c)가 형성되고, 본체부(35a)의 하면의 우단부 근처의 위치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피안내핀(35d)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35a)의 전면에는 랙부(35e)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35a)의 상면의 우단부 근처의 위치에는 단차부(35f)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35f)에 의해, 그 우측 부분의 상면이 좌측의 부분의 상면보다 낮게 되어 있다.
제1 슬라이더(35)는, 지지축부(35c)가 좌측 삽입구멍(17)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고, 피안내핀(35d)이 안내구멍(16)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고, 지지축부(35c)와 피안내핀(35d)이 각각 좌측 삽입구멍(17)과 안내구멍(16)에 안내되어 지지 섀시(14)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제1 슬라이더(35)의 지지축부(35c)에는, 제1 규제 롤러(37)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16 참조).
지지축부(35c)에는, 제1 규제 롤러(37)의 하부측에, 수용부재(38)가 지지되어 있다(도 16 참조). 수용부재(38)는 대략 원판형으로 형성된 피지지부(38a)와, 상기 피지지부(38a)의 외주 주위에 연속해 외측으로 감에 따라 하방으로 변위하고대략 원환형을 이루는 경사면부(38b)와, 상기 경사면부(38b)의 외주 주위에 연속해 외측으로 돌출된 수용부(38c)로 이루어지고, 피지지부(38a)가 지지축부(35c)에 지지되어 있다. 수용부(38c)는 그 우단부가 다른 부분보다 우측으로 크게 돌출되어 있다. 수용부(38c)의 일부에는, 상단부가 제1 슬라이더(35)에 장착된 피안내축(39)이 관통되어 있다. 수용부재(38)는 제1 슬라이더(35)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슬라이더(35)가 지지 섀시(14)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본체부(35a)의 우단부와 그 우측에 위치하는 스프링 걸림 돌기부(14d)의 사이에 스프링 부재(인장 코일 스프링)(40)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1 슬라이더(35)가 스프링 부재(40)에 의해 우측으로 가압된다.
제2 슬라이더(36)는 좌우방향으로 긴 본체부(36a)와 상기 본체부(36a)의 우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36b)와, 본체부(36a)의 우단부의 상측 에지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피가압 돌기부(36c)로 이루어진다. 돌출부(36b)의 하면의 우단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지지축부(36d)가 형성되고, 본체부(36a)의 하면의 좌단 근처의 위치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피안내핀(36e)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36a)의 후면에는 랙부(36f)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36a)의 좌단부는 규제부(36g)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2 슬라이더(36)는, 지지축부(36d)가 우측 삽입구멍(18)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고, 피안내핀(36e)이 안내구멍(16)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고, 지지축부(36d)와 피안내핀(36e)이 각각 우측 삽입구멍(18)과 안내구멍(16)에 안내되어 지지 섀시(14)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제2 슬라이더(36)의 지지축부(36d)에는, 제2 규제 롤러(4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16 참조).
제1 슬라이더(35) 및 제2 슬라이더(36)가 각각 지지 섀시(14)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는, 제2 슬라이더(36)의 피가압 돌기부(36c)가 제1 슬라이더(35)의 단차부(35f)의 우측에서, 제1 슬라이더(35)의 상방에 위치되어 있다.
제1 슬라이더(35) 및 제2 슬라이더(36)가 각각 지지 섀시(14)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지지 섀시(14)의 제1 슬라이더(35)와 제2 슬라이더(36)의 사이에, 랙부(35e)와 랙부(36f)에 치합되는 피니언(42)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제1 슬라이더(35)와 제2 슬라이더(36)는 동기하여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또, 제2 슬라이더(36)에는, 제1 슬라이더(35) 및 피니언(42)을 통하여 스프링 부재(40)에 의한 좌측으로의 가압력이 부여된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 부재(40)에 의해, 제1 슬라이더(35)가 우측으로 가압되는 동시에 제2 슬라이더(36)가 좌측으로 가압되고, 제1 슬라이더(35) 및 제2 슬라이더(36)에 외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제1 슬라이더(35)의 규제 돌기부(35b)와 제2 슬라이더(36)의 규제부(36g)가 접촉되어 제1 슬라이더(35)의 우측으로의 이동 및 제2 슬라이더(36)의 좌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제1 슬라이더(35)와 제2 슬라이더(36)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동기하여 슬라이드되었을 때에는, 제1 슬라이더(35)의 지지축부(35c)와 피안내핀(35d)이 각각 좌측 삽입구멍(17)의 좌측 개구 에지와 안내구멍(16)의 좌측 개구 에지에 접촉되어 제1 슬라이더(35)의 좌측으로의 슬라이드가 규제되는 동시에, 제2 슬라이더(36)의 지지축부(36d)와 피안내핀(36e)이 각각 우측 삽입구멍(18)의 우측 개구 에지와 안내구멍(16)의 우측 개구 에지에 접촉되어 제2 슬라이더(36)의 우측으로의 슬라이드가 규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1 슬라이더(35)와 제2 슬라이더(36)가 동기하여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었을 때에는 스프링 부재(4O)가 신축되지만, 상기 스프링 부재(40)는 제1 슬라이더(35)의 우측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제1 슬라이더(35)의 이동 스페이스 내에서 신축된다.
(f) 제4 슬라이드 수단
지지 섀시(14)의 제3 슬라이드 수단(34)의 후방측에는 제4 슬라이드 수단(43)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4 슬라이드 수단(43)은 구동측 슬라이더(44)와 종동측 슬라이더(4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도 11 및 도 12 참조).
구동측 슬라이더(44)는 좌우방향으로 긴 본체부(44a)와 상기 본체부(44a)의 좌우방향에서 중앙부보다 대략 좌측 방향 근처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규제 돌기부(44b)로 이루어진다. 본체부(44a)의 하면의 좌단 근처의 위치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지지 몸통부(44c)가 형성되고, 본체부(44a)의 하면의 우단 근처의 위치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피안내핀(44d)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44a)의 전면에는 랙부(44e)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측 슬라이더(44)는, 지지 몸통부(44c)가 좌측 삽입구멍(17)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고, 피안내핀(44d)이 안내구멍(16)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고, 지지 몸통부(44c)와 피안내핀(44d)이 각각 좌측 삽입구멍(17)과 안내구멍(16)에 안내되어 지지 섀시(14)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구동측 슬라이더(44)가 지지 섀시(14)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본체부(44a)의 우단부와 그 우측에 위치하는 스프링 걸림 돌기부(14d)의 사이에 스프링 부재(인장 코일 스프링)(46)가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측 슬라이더(44)가 스프링 부재(46)에 의해 우측으로 가압된다.
종동측 슬라이더(45)는 좌우방향으로 긴 본체부(45a)와, 상기 본체부(45a)의 우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45b)와, 본체부(45a)의 우단측의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가압 돌기부(45c)로 이루어진다. 돌출부(45b)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장착축부(45d)가 설치되고, 본체부(45a)의 하면의 좌단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피안내핀(45e)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45a)의 후면에는 랙부(45f)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45a)의 좌단부는 규제부(45g)로서 형성되어 있다.
종동측 슬라이더(45)는, 장착축부(45d)가 우측 삽입구멍(18)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고, 피안내핀(45e)이 안내구멍(16)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고, 장착축부(45d)와 피안내핀(45e)이 각각 우측 삽입구멍(18)과 안내구멍(16)에 안내되어 지지 섀시(14)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종동측 슬라이더(45)가 지지 섀시(14)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장착축부(45d)에 제4 이송체(10g)가 장착되어 있다(도 15 참조). 제4 이송체(10g)는 대략 원주형으로 형성되고, 지지 섀시(14)의 하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4 이송체(10g)의 전체 원주에는 지지 홈부(10h)가 형성되어 있다. 제4 이송체(10g)는 종동측 슬라이더(45)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구동측 슬라이더(44) 및 종동측 슬라이더(45)가 각각 지지 섀시(14)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는, 종동측 슬라이더(45)의 가압 돌기부(45c)가 제3 슬라이드 수단(34)의 제1 슬라이더(35)의 단차부(35f)의 우측에서, 제1 슬라이더(35)의 상방에 위치되고, 제3 슬라이드 수단(34)의 제2 슬라이더(36)의 피가압 돌기부(36c)에 좌측으로부터 접촉되어 있다.
구동측 슬라이더(44) 및 종동측 슬라이더(45)가 각각 지지 섀시(14)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지지 섀시(14)의 구동측 슬라이더(44)와 종동측 슬라이더(45)의 사이에, 랙부(44e)와 랙부(45f)에 치합되는 피니언(47)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구동측 슬라이더(44)와 종동측 슬라이더(45)는 동기하여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또, 종동측 슬라이더(45)에는, 구동측 슬라이더(44) 및 피니언(47)을 통하여 스프링 부재(46)에 의한 좌측으로의 가압력이 부여된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 부재(46)에 의해, 구동측 슬라이더(44)가 우측으로 가압되는 동시에 종동측 슬라이더(45)가 좌측으로 가압되고, 구동측 슬라이더(44) 및 종동측 슬라이더(45)에 외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구동측 슬라이더(44)의 규제 돌기부(44b)와 종동측 슬라이더(45)의 규제부(45g)가 접촉되어 구동측 슬라이더(44)의 우측으로의 이동 및 종동측 슬라이더(45)의 좌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구동측 슬라이더(44)와 종동측 슬라이더(45)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동기하여 슬라이드되었을 때에는, 구동측 슬라이더(44)의 지지 몸통부(44c)와 피안내핀(44d)이 각각 좌측 삽입구멍(17)의 좌측 개구 에지와 안내구멍(16)의 좌측 개구 에지에 접촉되어 구동측 슬라이더(44)의 좌측으로의 슬라이드가 규제되는 동시에, 종동측 슬라이더(45)의 장착축부(45d)와 피안내핀(45e)이 각각 우측 삽입구멍(18)의 우측 개구 에지와 안내구멍(16)의 우측 개구 에지에 접촉되어 종동측 슬라이더(45)의 우측으로의 슬라이드가 규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구동측 슬라이더(44)와 종동측 슬라이더(45)가 동기하여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었을 때에는 스프링 부재(46)가 신축되지만, 상기 스프링 부재(46)는 구동측 슬라이더(44)의 우측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구동측 슬라이더(44)의 이동 스페이스 내에서 신축된다.
상기한 구동측 슬라이더(44)와 종동측 슬라이더(45)가 동기하여 슬라이드되면, 종동측 슬라이더(45)의 가압 돌기부(45c)가 제3 슬라이드 수단(34)의 제2 슬라이더(36)의 피가압 돌기부(36c)를 우측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종동측 슬라이더(45)의 이동에 따라 제1 슬라이더(35) 및 제2 슬라이더(36)가 좌우 방향으로 동기하여 슬라이드된다.
(g) 제5 슬라이드 수단
지지 섀시(14)의 제4 슬라이드 수단(43)의 후방측에는 제5 슬라이드 수단(48)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5 슬라이드 수단(48)은 구동측 슬라이더(49)와 종동측 슬라이더(5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도 11 및 도 12 참조).
구동측 슬라이더(49)는 좌우방향으로 긴 본체부(49a)와, 상기 본체부(49a)의 좌반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규제 돌기부(49b)와, 상기 규제 돌기부(49b)의 좌단부로부터 왼쪽으로 비스듬히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49c)로 이루어진다. 돌출부(49c)의 하면에는 전후로 이격되어 하방으로 돌출된 지지 몸통부(49d, 49d)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측 슬라이더(49)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피안내핀(49e, 49e, 49e)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49a)의 후면에는 랙부(49f)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측 슬라이더(49)는, 지지 몸통부(49d, 49d)가 각각 좌측 삽입구멍(17, 17)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고, 피안내핀(49e, 49e, 49e)이 각각 안내구멍(16, 16, 16)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고, 지지 몸통부(49d, 49d)와 피안내핀(49e, 49e, 49e)이 각각 좌측 삽입구멍(17, 17)과 안내구멍(16, 16, 16)에 안내되어 지지 섀시(14)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구동측 슬라이더(49)가 지지 섀시(14)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본체부(49a)의 우단부와 그 우측에 위치하는 스프링 걸림 돌기부(14d) 사이에 스프링 부재(인장 코일 스프링)(51)가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측 슬라이더(49)가 스프링 부재(51)에 의해 우측으로 가압된다.
종동측 슬라이더(50)는 좌우방향으로 긴 본체부(50a)와, 상기 본체부(50a)의 우단부로부터 오른쪽으로 비스듬히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50b)로 이루어진다. 돌출부(50b)에는 전후로 이격되어 하방으로 돌출된 장착축부(50c, 50c)가 형성되어 있다. 종동측 슬라이더(50)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피안내핀(50d, 50d, 50d)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50a)의 전면에는 랙부(50e)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50a)의 좌단부는 규제부(50f)로서 형성되어 있다.
종동측 슬라이더(50)는, 장착축부(50c, 50c)가 각각 우측 삽입구멍(18, 18)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고, 피안내핀(50d, 50d, 50d)이 각각 안내구멍(16, 16, 16)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고, 장착축부(50c, 50c)와 피안내핀(50d, 50d, 50d)이 각각 우측 삽입구멍(18, 18)과 안내구멍(16, 16, 16)에 안내되어 지지 섀시(14)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종동측 슬라이더(50)가 지지 섀시(14)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장착축부(50c, 50c)에 각각 제5 이송체(10i)와 제6 이송체(10k)가 장착되어 있다(도 15 참조). 제5 이송체(10i) 및 제6 이송체(10k)는 각각 대략 원주형으로 형성되고, 지지 섀시(14)의 하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5 이송체(10i) 및 제6 이송체(10k)의 전체 원주에는 각각 지지 홈부(10j, 10l)가 형성되어 있다. 제5 이송체(10i) 및 제6 이송체(10k)는 각각 종동측 슬라이더(50)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구동측 슬라이더(49) 및 종동측 슬라이더(50)가 각각 지지 섀시(14)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지지 섀시(14)의 구동측 슬라이더(49)로 종동측 슬라이더(50) 사이에, 랙부(49f)와 랙부(50e)에 치합되는 피니언(52)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구동측 슬라이더(49)와 종동측 슬라이더(50)는 동기하여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또, 종동측 슬라이더(50)에는, 구동측 슬라이더(49) 및 피니언(52)을 통하여 스프링 부재(51)에 의한 좌측으로의 가압력이 부여된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 부재(51)에 의해, 구동측 슬라이더(49)가 우측으로 가압되는 동시에 종동측 슬라이더(50)가 좌측으로 가압되고, 구동측 슬라이더(49) 및종동측 슬라이더(50)에 외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구동측 슬라이더(49)의 규제 돌기부(49b)와 종동측 슬라이더(50)의 규제부(50f)가 접촉되어 구동측 슬라이더(49)의 우측으로의 이동 및 종동측 슬라이더(50)의 좌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구동측 슬라이더(49)와 종동측 슬라이더(50)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동기하여 슬라이드되었을 때에는, 구동측 슬라이더(49)의 지지 몸통부(49d, 49d)와 피안내핀(49e, 49e, 49e)이 각각 좌측 삽입구멍(17, 17)의 좌측 개구 에지와 안내구멍(16, 16, 16)의 좌측 개구 에지에 접촉되어 구동측 슬라이더(49)의 좌측으로의 슬라이드가 규제되는 동시에, 종동측 슬라이더(50)의 장착축부(50c, 50c)와 피안내핀(50d, 50d, 50d)이 각각 우측 삽입구멍(18, 18)의 우측 개구 에지와 안내구멍(16, 16, 16)의 우측 개구 에지에 접촉되어 종동측 슬라이더(50)의 우측으로으 슬라이드가 규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구동측 슬라이더(49)와 종동측 슬라이더(50)가 동기하여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었을 때에는 스프링 부재(51)가 신축되지만, 상기 스프링 부재(51)는 구동측 슬라이더(49)의 우측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구동측 슬라이더(49)의 이동 스페이스 내에서 신축된다.
상기한 각 이송체(10a, 10c, 10e, 10g, 10i, 10k)에는, 그 지지 홈부(10b, 10d, 10f, 10h, 10j, 10l)에,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원환형의 고무 부재가 부착되어 있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가압되었을 때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의 외주면에 대해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 규제 롤러(37)와 제2 규제 롤러(41)는, 미끄럼성이 양호한 수지 재료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디스크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대해서 미끄러지면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각 이송체(10a, 10c, 10e, 10g, 10i, 10k)에 의해 상기한 제2 반송 수단(7)이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크 로딩 장치(1)에서는, 모든 슬라이드 수단(24, 29, 34, 43, 48)이 지지 섀시(14)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지지 섀시(14)의 양호한 제조 정밀도를 확보함으로써 각 슬라이드 수단(24, 29, 34, 43, 48)간의 양호한 위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 모든 슬라이드 수단(24, 29, 34, 43, 48)이 지지 섀시(14)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모든 슬라이드 수단(24, 29, 34, 43, 48)의 이동이 지지 샤시(14)에 대해서 행해지고, 각 슬라이드 수단(24, 29, 34, 43, 48)간의 동작 제어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슬라이드 수단(24, 29, 34, 43, 48)이 지지 섀시(14)에 조립되어 있으므로, 조립 작업의 작업성의 향상에 의한 디스크 로딩 장치(1)의 제조의 용이화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수단(24, 29, 34, 43, 48)에 있어서는, 구동측 슬라이더(25)와 종동측 라이더(26), 구동측 슬라이더(30)와 종동측 슬라이더(31), 제1 슬라이더(35)와 제2 슬라이더(36), 구동측 슬라이드(44)와 종동측 슬라이더(45), 구동측 슬라이더(49)와 종동 슬라이더(50)의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의 규제를, 적어도 한쪽의 일부를 다른 쪽의 일부에 접촉시킴으로써 행하고 있으므로, 이동의 규제를 행하기 위한 전용의 스토퍼를 필요로 하지 않고, 부품수의 삭감 및 기구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수단(24, 29, 34, 43, 48)에 있어서는, 구동측 슬라이더(25)와 종동측 슬라이더(26), 구동측 슬라이더(30)와 종동측 슬라이더(31), 제1 슬라이더(35)와 제2 슬라이더(36), 구동측 슬라이더(44)와 종동측 슬라이드(45), 구동측 슬라이더(49)와 종동측 슬라이더(50)의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의 규제를, 지지 몸통부(25c, 30d, 30d, 44c, 49d), 지지축부(35c, 36d), 피안내핀(25d, 26d, 30e, 31e, 35d, 36e, 44d, 45e, 49e, 49e, 49e, 50d, 50d, 50d)을 지지 섀시(14)에 형성된 좌측 삽입구멍(17, 17…), 우측 삽입구멍(18, 18,…), 안내구멍(16, 16,…)의 각 개구 에지에 접촉시킴으로써 행하고 있으므로, 이동의 규제를 행하기 위한 전용의 스토퍼를 필요로 하지 않고, 부품수의 삭감 및 기구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는, 각 슬라이드 수단(24, 29, 34, 43, 48)의 각 슬라이더(25, 26, 30, 31, 35, 36, 44, 45, 49, 50)를 소정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인장 코일 스프링인 스프링 부재(27, 32, 40, 46, 51)를 사용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가압하기 위한 수단은 스프링 부재(27, 32, 40, 46, 5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고무 부재 등의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각 슬라이더(25, 26, 30, 31, 35, 36, 44, 45, 49, 50)를 동기하여 이동시키기 위하여 피니언(28, 33, 42, 47, 52)을 사용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동기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피니언(28, 33, 42, 47, 52)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링크나 레버 등의 소정의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h) 이동 레버
지지 섀시(14)의 후단부 근처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레버 지지 돌기부(14c, 14c)에는, 각각 이동 레버(53, 53)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12 및 도 14 참조). 이동 레버(53, 53)는, 각각 피지지부(53a, 53a)와 상기 피지지부(53a, 53a)의 일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축부(53b, 53b)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동 레버(53, 53)는, 각각 피지지부(53a, 53a)의 타단부가 레버 지지 돌기부(14c, 14c)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축부(53b, 53b)가 지지 섀시(14)의 레버 배치구멍(22, 22)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동 레버(53, 53)는, 토션 코일 스프링(54, 54)에 의해 축부(53b, 53b)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축부(53b, 53b)가 레버 배치구멍(22, 22)의 개구 에지에 접촉함으로써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되고 있다.
이동 레버(53, 53)의 축부(53b, 53b)에는, 각각 접촉 정지부(55, 55)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12 내지 도 14 참조). 접촉 정지부(55, 55)는 각각 미끄럼성이 양호한 재료에 의해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원주면(55a)의 상하 양단부 에지에 각각 상방 또는 하방으로 가까워짐에 따라 중심측으로 변위하는 경사 안내부(55b, 55c)가 형성되어 있다.
(i) 처킹 풀리
지지 섀시(14)의 풀리 지지구멍(19)에는 처킹 풀리(56)가 회전 가능하게 또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11 참조).
처킹 풀리(56)는 각각 대략 원판형으로 형성된 플랜지부(56a)와 스태빌라이저부(56b)가 연결축부(56c)를 통하여 상항 방향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도 17 참조). 플랜지부(56a)는 스태빌라이저(56b)보다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고, 연결축부(56c) 및 지지 섀시(14)의 풀리 지지구멍(19)보다 큰 직경로 되어 있다. 연결축부(56c)에는, 그하면에 개구된 삽입 오목부(56d)가 형성되어 있다. 처킹 풀리(56)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자성 금속판이 장착되어 있다.
처킹 풀리(56)는 연결축부(56c)가 풀리 지지구멍(19)에 삽입됨으로써 지지 섀시(14)에 지지되고, 플랜지부(56a)가 지지 섀시(14)의 상면측에 위치되고, 스태빌라이저부(56b)가 지지 섀시(14)의 하면측에 위치된다.
(j) 분리 부재
지지 섀시(14)의 부재 지지 돌기부(14e, 14e)에는, 분리 부재(57)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11 참조). 분리 부재(57)는, 베이스부(58)와, 상기 베이스부(58)의 전후 양단부로부터 각각 좌측으로 돌출된 들어올림부(59, 59)와, 베이스부(58)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앙부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된 피작용부(60)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도 17 참조). 피작용부(60)의 좌단 근처의 위치에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된 피지지핀(60a, 60a)이 형성되어 있다. 피작용부(60)에는 구멍(60b)이 형성되어 있다.
분리 부재(57)는, 피지지핀(60a, 60a)이 각각 부재 지지 돌기부(14e, 14e)에삽입되어 지지되고, 구멍(60b)에 지지 섀시(14)의 삽입축부(14f)가 삽입된다.
분리 부재(57)가 지지 섀시(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는, 피작용부(60)의 우단부가 지지 섀시(14)의 삽입 구멍(21)의 상방에 위치되고, 들어올림부(59, 59)가 각각 처킹 풀리(56)의 플랜지부(56a)의 하측에 삽입되어 지지 섀시(14)의 부재 배치구멍(20, 20)에 대응하여 위치된다. 따라서, 들어올림부(59, 59)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분리 부재(57)가 회전되면, 들어올림부(59, 59)에 의해 플랜지부(56a)를 들어 올릴 수 있는 처킹 풀리(56)가 상방으로 이동된다.
(k) 베이스 섀시
상기 베이스 섀시(15)는 평면에서 보아 세로로 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전단부, 전후 방향에서의 중앙부 및 후단부에, 각각 모터장착부(15a, 15b, 15c)를 가지고 있다(도 18 참조). 모터장착부(15a, 15b, 15c)에 각각 축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15)의 전단부에는, 그 좌우방향에서 중앙부에 전방 및 상방에 노치된 이탈 오목부(15d)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 오목부(15d)에 상하로 연장되는 핀 삽입구멍(15e)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15)에는 핀 삽입구멍(15e)의 직후방측에 광 투과공(15f)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15)의 전반부에는 큰 픽업 배치구멍(15g)이 형성되고, 상기 픽업 배치구멍(15g)의 우측에 레버 삽입구멍(15h)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15)의 전반측 부분의 좌단부에는, 상방으로 개구된 세로로 긴 배치 오목부(15i)가 형성되어 있다. 배치 오목부(15i)의 저면부에는, 대략 전후로이격되어 4개의 지지축(15j, 15j…)이 설치되고, 중간에 위치하는 지지축(15j, 15j) 사이에 기어 지지축(15k)이 설치되어 있다. 배치 오목부(15i)의 저면부의 소정의 위치에는, 각각 전후 방향에 긴 핀 지지구멍(15l, 15l, 15l)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15)에는, 배치 오목부(15i)의 전방에 좌측 방향으로 긴 가이드구멍(15m)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15)의 후반부에는, 그 좌우방향에서 중앙부에 전후로 이격되어 기어 배치구멍(15n, 15o)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15)의 후단부 근처의 위치에는, 그 좌우 양단부에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 가이드축(15p, 15p)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15)의 좌측의 가이드축(15p)의 전방측의 위치에는, 스프링 지지 돌기부(15q)가 형성되고, 그 전방측의 위치에 좌우 방향으로 긴 가이드구멍(15r)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15)의 하면의 우단부에는, 전후에 이격되어 축지지부(15s, 15s)가 형성되어 있다. 축지지부(15s, 15s)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15)의 상면에는, 그 우단부 근처의 위치의 픽업 배치구멍(15g)의 후방측에, 전후로 이격되어 상방으로 돌출된 디스크 가이드부(15t, 15t)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15)의 픽업 배치구멍(15g)의 직후방측의 위치에는, 원호형을 이루는 탈락 방지부(15u)가 형성되어 있다. 탈락 방지부(15u)는 상방으로 돌출된 벽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15)에는, 탈락 방지부(15u)의 하측에 연속하여 후방을 향하는 원호형을 이루는 면이 형성되고, 상기 면은 탈락 방지부(15v)로서 형성되어 있다.
(l) 모드 형성용 구동 기구
베이스 섀시(15)의 하면측에는, 후술하는 5개의 동작 모드를 형성하기 위한 모드 형성용 구동 기구가 배치되고, 상기 모드 형성용 구동 기구는 모드용 모터(61)의 구동력에 의하여 동작된다.
모드용 모터(61)는, 베이스 섀시(15)의 모터장착부(15a)에 장착되어 있고(도 8 참조), 모드용 모터(61)의 모터축이 축삽입구멍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모드용 모터(61)의 모터축에는 소 풀리(62)가 고정되어 있다(도 19 참조).
베이스 섀시(15)의 하면에는 풀리 기어(63)가 지지되고, 상기 풀리 기어(63)는 풀리부(63a)와 기어부(63b)가 동일 축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도 19 참조). 풀리부(63a)와 소 풀리(62)의 사이에는 전달 벨트(64)가 감겨져 있다.
베이스 섀시(15)의 하면의 전단부에는 기어군(65)이 지지되고, 상기 기어군(65)은 감속 기어로서 기능하는 복수의 단부 기어(65a, 65a,…)와 1개의 연락 기어(65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도 19 참조).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단부 기어(65a)는 풀리 기어(63)의 기어부(63b)와 치합되어 있다.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단부 기어(65a)는 연락 기어(65b)와 치합되어 있다.
기어군(65)의 하나의 단부 기어(65a)는, 베이스 섀시(15)의 하면에 지지된로터리 인코더(rotary encorder)(66)의 기어부(66a)와 치합되어 있다(도 19 참조). 로터리 인코다(66)는 그 회전량에 의해 모드용 모터(61)의 회전량의 검출을 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로터리 인코더(66)의 모드용 모터(61)의 회전량의 검출에 따라 모드용 모터(61)의 회전이 제어되고, 후술하는 각 동작 모드가 설정된다.
베이스 섀시(15)의 하면의 전단부에는 캠부재(67)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19 참조).
캠부재(67)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에 형성된 기어부(67a)를 가지고 있다(도 20 내지 도 22 참조). 캠부재(67)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작용핀(67b, 67b)이 형성되고, 상기 작용핀(67b, 67b)은 하면의 외주면에서 캠부재(67)의 중심을 사이에 두어 서로 180° 반대측에 위치되어 있다. 캠부재(67)의 하면에는, 상기 캠부재(67)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을 이루는 돌출부(67c, 67c)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67c, 67c)는 작용핀(67b, 67b) 사이에서, 캠부재(67)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180° 반대측에 위치되어 있다.
캠부재(67)의 원주면에는 캠홈(68)이 형성되어 있다. 캠홈(68)은 원주 방향으로 긴 하부측 수평부(68a)와, 상기 하부측 수평부(68a)에 연속해 하부측 수평부(68a)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상방으로 변위하는 경사부(68b)와, 경사부(68b)에 연속해 원주 방향으로 긴 상측 수평부(68c)로 이루어진다.
캠부재(67)는 기어부(67a)가 기어군(65)의 연락 기어(65b)와 치합되어 있다(도 19 참조).
베이스 섀시(15)의 하면의 캠부재(67)의 근방의 위치에는, 제네바 종동 기어(69)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19 내지 도 21 참조). 제네바 종동 기어(69)는 상측에 위치하는 캠부(70)와, 상기 캠부(70)의 하측에 위치하는 기어부(71)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도 19 및 도 20 참조).
캠부(70)는 대략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에 원호형을 이루는 벽부(70a, 70b, 70c)가 형성되어 있다. 벽부(70a, 70b, 70c)는, 그 양단이 각각 캠부(70)의 외주 에지에 연속되고, 중앙부가 캠부(70)의 중심부에 가장 접근하여 위치되어 있다. 벽부(70a, 70b, 70c)는, 캠부(70)의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벽부(70a, 70b, 70c) 사이에는, 각각 피작용 홈(70d, 70e)이 형성되어 있다. 피작용 홈(70d, 70e)은 캠부재(67)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직교하는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캠부(70)의 외주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상기 캠부재(67)가 회전되면, 한쪽의 돌출부(67c)가 제네바 종동 기어(69)중 어느 것의 벽부(70a, 70b, 70c)의 내측으로 슬라이드되고, 이 때 제네바 종동 기어(69)는 회전되지 않는다. 이어서, 한쪽의 작용핀(67b)이 제네바 종동기어(69)중 어느 것의 피작용 홈(70d, 70e)에 삽입된다. 한쪽의 작용핀(67b)이 피작용 홈(70d, 70e)에 삽입되면, 캠부재(67)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작용핀(67b)이 피작용 홈(70d) 또는 피작용 홈(70e)을 형성하는 벽면을 가압하고, 제네바 종동 기어(69)가 회전된다. 이 때 작용핀(67b)은 피작용 홈(70d) 또는 피작용 홈(70e) 내를 한번 왕복하고, 이 한번의 왕복에 의해 제네바 종동 기어(69)는 90°회전된다.
이와 같이 제네바 종동 기어(69)는, 돌출부(67c)가 벽부(70a, 70b, 70c)의내측을 슬라이드할 때에는 회전되지 않고, 작용핀(67b, 67b)이 피작용 홈(70d, 70e)에 삽입되었을 때에는 회전되고, 캠부재(67)의 회전에 따라 간헐적으로 90°씩 회전된다.
베이스 섀시(15)의 하면에는 연결 기어(72)가 지지되고, 상기 연결기어(72)는 제네바 종동 기어(69)의 기어부(71)와 치합된다(도 19 및 도 20 참조).
상기 모드용 모터(61)가 회전되면, 그 구동력이 소 풀리(62), 전달 벨트(64), 풀리 기어(63), 기어군(65)을 통하여 캠부재(67)에 전달되고, 상기 캠부재(67)가 모드용 모터(61)의 회전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회전된다. 캠부재(67)가 회전되면, 상기와 같이 제네바 종동 기어(69)가 간헐적으로 회전되고, 연결 기어(72)가 제네바 종동기어(69)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베이스 섀시(15)의 하면의 전단부에는 2단 기어(73)가 지지되고, 상기 2단 기어(73)는 동일 축상에 형성된 대 직경부(73a)와 소 직경부(73b)를 가지고 있다(도 19 및 도 22도 참조). 2단 기어(73)는, 대 직경부(73a)가 캠부재(67)의 기어부(67a)와 치합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15)의 하면의 전단부에는 작용 기어(74)가 지지되어 있다(도 19 및 도 22 참조). 작용 기어(74)는 그 원주면이 기어부(74a)로서 형성되고,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규제벽(7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규제벽(75)의 원주방향에서의 양단 사이는 삽입용 노치부(75a)로서 형성되어 있다. 작용 기어(74)의하면에는, 그 외주 에지에 하방으로 돌출된 가압핀(76)이 설치되고, 상기 가압핀(70)은 삽입용 노치부(75a)의 직하부에 위치되어 있다.
작용 기어(74)는, 기어부(74a)가 2단 기어(73)의 소 직경부(73b)와 치합되고, 캠부재(67)의 회전에 따라 2단 기어(73)를 통하여 회전된다.
(m) 삽입 규제 수단
베이스 섀시(15)의 하면측의 전단부에는 삽입 규제수단(77)이 설치되어 있는(도 22 및 도 23 참조). 삽입규제수단(77)은 지지 부재(78)와, 규제용 레버(79)와, 작동 레버(80)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부재(78)는, 좌우방향으로 긴 지지부(81)와, 상기 지지부(81)의 좌단부 근처의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연결부(82)와, 상기 연결부(82)의 상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지지 돌기부(83)로 이루어진다. 지지부(81)의 좌단부에는 상방으로 개구된 가로로 긴 지지홈(83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78)는 지지부(81)가 베이스 섀시(15)의 전면부를 따르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 섀시(15)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규제용 레버(79)는, 가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된 레버 본체부(84)와, 상기 레버 본체부(84)의 우단부에 형성된 가로로 긴 피지지축부(85)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레버 본체부(84)의 우단부 근처의 위치에는, 대략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 결합 돌기(84a, 84a)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 결합 돌기(84a, 84a)는 좌우방향으로 약간 이격되어 위치되어 있다. 레버 본체부(84)의 좌단부에는 대략 하방으로 돌출된 피가압핀(84b)이 형성되어 있다.
규제용 레버(79)는 피지지축부(85)가 지지 부재(78)의 지지홈(83a)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지지 부재(78)에 대하여 걸림 결합 돌기(84a, 84a)가 대략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또한, 피가압핀(84b)이 대략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작동 레버(80)는, 축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된 피지지몸통부(86)와 상기 피지지몸통부(86)로부터 대략 우측으로 돌출 되고 대략 좌우 방향으로 긴 레버 돌기부(87)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레버 돌기부의 좌단부 근처의 위치에 상방으로 돌출된 피가압돌기부(87a)가 형성되어 있다.
작동 레버(80)는 피지지몸통부(86)가 베이스 섀시(15)의 하면의 좌단부 근처의 위치에 지지되고, 레버 돌기부(87)의 선단부가 대략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규제용 레버(79) 및 작동 레버(80)가 상기와 같이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는, 규제용 레버(79)의 피가압핀(84b)이 작동 레버(80)의 레버 돌기부(87)의 선단부의 후방에서 근접 또는 접촉한 상태로 된다(도 23 참조). 작동 레버(80)는, 피가압돌기부(87a)가 상기 작용 기어(74)의 가압핀(76)의 후방에서 근접 또는 접촉한 상태로 된다(도 23 참조).
지지 부재(78)의 지지 오목부(81a)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88)이 삽입되어 지지된다(도 22 및 도 23 참조).
지지 오목부(81a)에 압축 코일 스프링(88)이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지지 오목부(81a)에 규제핀(89)이 삽입된다(도 22 및 도 23 참조). 규제핀(89)의 축방향에서 대략 중앙부에는, 스냅 링(snap ring)(90)이 고정되어 있다. 규제핀(89)은 스냅 링(90)으로부터 하측 부분이 압축 코일 스프링(88)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지지오목부(81a)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 오목부(8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압축 코일 스프링(88)이 스냅 링(90)에 하방으로부터 탄성 접촉됨으로써 규제핀(89)이 상방으로 가압된다.
지지 부재(78)의 지지 오목부(81a)에 압축 코일 스프링(88)과 규제핀(89)이 삽입된 상태에서, 규제핀(89)의 스냅 링(90)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규제용 레버(79)의 걸림 결합 돌기(84a, 84a) 사이에 삽입된다. 따라서, 스냅 링(90)에 걸림 결합 돌기(84a, 84a)가 상방으로부터 걸림 결합되고, 걸림 결합 돌기(84a, 84a)에 의하여 규제핀(89)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규제핀(89)은, 지지 오목부(81a)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베이스 섀시(15)의 전단부에 형성된 핀삽입구멍(15e)을 하방으로부터 삽입되고, 적어도 상단부가 핀삽입구멍(15e)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상기와 같이 모드용 모터(61)에 의한 캠부재(67)의 회전에 따라 작용 기어(74)가 회전되고, 가압핀(76)이 작동 레버(80)의 피가압돌기부(87a)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가압핀(76)에 의해 피가압돌기부(87a)가 후방으로 가압되어 간다. 피가압돌기부(87a)가 가압핀(76)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면, 작동 레버(80)가 회전되어 레버 돌기부(87)에 의해 규제용 레버(79)의 피가압핀(84b)이 후방으로 가압된다. 피가압핀(84b)이 후방으로 가압되면, 규제용 레버(79)가 회전되어 걸림 결합 돌기(84a, 84a)가 스냅 링(90)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규제핀(89)이 압축 코일 스프링(88)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하방으로 이동된다.
반대로, 작용 기어(74)가 가압핀(76)이 작동 레버(80)의 피가압돌기부(87a)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가압핀(76)에 의한 피가압돌기부(87a)에 대한 가압 및 레버 돌기부(87)에 의한 피가압핀(84b)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므로, 규제핀(89)이 압축 코일 스프링(88)의 탄발력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되고, 규제용 레버(79)는 걸림 결합 돌기(84a, 84a)가 대략 상방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n) 모드 슬라이더
베이스 섀시(15)이 배치 오목부(15i)에는, 모드 슬라이더(9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24 참조).
모드 슬라이더(91)는 세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판형의 주면부(92)에 각 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도 21, 도 24 및 도 25 참조). 주면부(92)는 전반부(92a)가 후반부(92b)보다 약간 좌우방향에서 폭이 넓게 형성되고, 전반부(92a)의 우단부가 후반부(92b)보다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주면부(92)에는 전후 방향으로 긴 이탈 구멍(92c)이 형성되어 있다.
주면부(92)의 전반부(92a)에는, 그 하면측의 우단부 근처의 위치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랙부(93)가 형성되고, 상기 랙부(93)의 랙치차는 우측을 향하고 있다. 주면부(92)의 하면에는, 소정의 각 위치에 하방으로 돌출된 피안내축(94, 94, 94)이 형성되어 있다.
주면부(92)의 전반부(92a)의 우측 에지에는 우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95, 95)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95, 95)는 상하로 이격되어 위치되어 있다.
전반부(92a)의 상면의 전단부 근처의 위치에는, 그 좌단부 근처의 위치에 제1 캠벽(9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캠벽(96)은 후방으로 감에 따라 좌측으로 변위되는 경사부(96a)와, 상기 경사부(96a)의 후단부에 연속해 전후로 연장되는 직선부(96b)를 가지고 있다. 경사부(96a)는, 전후 방향으로 대략 3등분하면, 매끄러운 곡선상을 이루는 3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이 3개의 부분은 전방부(96c), 중간부(96d) 및 후방부(96e)로 되어 있다(도 25의 확대도 참조). 전방부(96c)는 후방으로 감에 따라 경사각도가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중간부(96d)는 경사각도가 완만하게 형성되고, 후방부(96e)는 후방으로 감에 따라 경사각도가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반부(92a)의 상면의 후단부에는, 제1 캠벽(96)의 우측에 제2 캠벽(97)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캠벽(97)은 후방으로 감에 따라 좌측으로 변위하는 경사부(97a)와, 상기 경사부(97a)의 후단부에 연속해 전후로 연장되는 직선부(97b)를 가지고 있다. 경사부(97a)는, 제1 캠벽(96)의 경사부(96a)와 마찬가지로, 매끄러운 곡선상을 이루는 전방부(97c)와 중간부(97d)와 후방부(97e)로 이루어지고, 전방부(97c)는 후방으로 감에 따라 경사각도가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중간부(97d)는 경사각도가 완만하게 형성되고, 후방부(97e)는 후방으로 감에 따라 경사각도가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25의 확대도 참조).
전반부(92a)의 상면의 후단부에는, 제1 캠벽(96)의 후방에 제3 캠벽(98)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캠벽(98)은 후방으로 감에 따라 좌측으로 변위하는 경사부(98a)와, 상기 경사부(98a)의 후단부에 연속해 전후로 연장되는 직선부(98b)를 가지고 있다. 경사부(98a)는, 제1 캠벽(96)의 경사부(96a)와 마찬가지로, 매끄러운 곡선상을 이루는 전방부(98c)와 중간부(98d)와 후방부(98e)로 이루어지고, 전방부(98c)는 후방으로 감에 따라 경사각도가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중간부(98d)는 경사각도가 완만하게 형성되고, 후방부(98e)는 후방으로 감에 따라 경사각도가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25의 확대도 참조).
주면부(92)의 후반부(92b)의 상면에는, 제3 캠벽(98)의 후방에 제4 캠벽(9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4 캠벽(99)은, 전후로 연장되는 전방 직선부(99a), 상기 전방 직선부(99a)의 후단부에 연속해 후방으로 감에 따라 우측으로 변위하는 전방 경사부(99b)와, 상기 전방 경사부(99b)의 후단부에 연속해 전후로 연장되는 중간측 직선부(99c)와, 상기 중간측 진선부(99c)의 후단부에 연속해 후방으로 감에 따라 좌측으로 변위하는 후방 경사부(99d)와, 상기 후방 경사부(99d)의 후단부에 연속해 전후로 연장되는 후방 직선부(99e)로 이루어진다(도 25의 확대도 참조).
제4 캠벽(99)의 전방 경사부(99b)는, 전후 방향으로 대략 3등분하면, 매끄러운 곡선상을 이루는 3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이 3개의 부분은 각각 전방부(99f), 중간부(99g) 및 후방부(99h)로 되어 있다(도 25의 확대도 참조). 전방부(99f)는 후방으로 감에 따라 경사각도가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중간부(99g)는 경사각도가 완만하게 형성되고, 후방부(99h)는 후방으로 감에 따라 경사각도가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4 캠벽(99)의 후방 경사부(99d)는, 전후 방향으로 대략 3등분하면, 매끄러운 곡선상을 이루는 3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이 3개의 부분은 각각 전방부(99i), 중간부(99j) 및 후방부(99k)로 되어 있다(도 25의 확대도 참조). 전방부(99i)는 후방으로 감에 따라 경사각도가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중간부(99j)는 경사각도가 완만하게 형성되고, 후방부(99k)는 후방으로 감에 따라 경사각도가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주면부(92)의 후반부(92b)의 상면에는, 그 우단부에 전후로 연장되는 가압 돌기(l00)가 형성되어 있다.
주면부(92)의 후단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캠 돌기부(101)가 형성되고, 상기 캠 돌기부(10l)는 우측으로 감에 따라 후방으로 변위하는 경사면(101a)과, 상기 경사면(101a)의 우단부에 연속해 후방을 향하는 수직면(101b)을 가지고 있다.
모드 슬라이더(91)는 피안내축(94, 94, 94)이 각각 배치 오목부(15i)에 형성된 지지구멍(151, 151, 151)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걸림 결합되고, 베이스 섀시(15)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o) 베이스 유닛
베이스 섀시(15)의 픽업 배치구멍(15g)에는, 베이스 유닛(102)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도 8 및 도 26 참조). 베이스 유닛(102)은 지지 케이스(103)에 각 부가 장착되어 이루어진다(도 21 및 도 26 참조).
지지 케이스(103)는 프레임부(104)와, 상기 프레임부(104)의 우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걸림 결합 레버(105)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부(104)의 우단부에는 전후로 이격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된 피지지축(104a, 104a)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부(104)의 좌단부에는, 전후로 이격되어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 캠돌출핀(104b)과 피지지돌기(104c)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케이스(103)의 프레임부(104)에는 지지 베이스(106)가 장착되어 있다.지지 베이스(106)에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에 대하여 정보 신호의 재생을 행하는 광픽업(17)이 설치되어 있다. 광픽업(107)은 대물 렌즈(107a)를 가지고, 상기 대물 렌즈(107a)를 통하여 레이저광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에 조사(照射)되도록 되어 있다.
걸림 결합 레버(105)는 프레임부(104)에 연속해 상하로 뻗어있는 돌기부(105a)와, 상기 돌기부(105a)의 상단부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된 걸림 결합부(105b)로 이루어진다.
지지 베이스(106)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핀들 모터가 장착되고, 상기 스핀들 모터의 모터축에 디스크 테이블(108)이 고정되어 있다. 디스크 테이블(108)은 원판형을 이루는 테이블부(108a)와 상기 테이블부(108a)의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센터링 돌기부(108b)를 가지고, 상기 센터링 돌기부(108b)에 도시하지 않은 마그네트가 매설되어 있다. 디스크 테이블(108)은 처킹 풀리(56) 및 광픽업(107)과 함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에 대한 정보 신호의 재생을 행하는 상기 재생부(3)로서의 역할을 한다.
베이스 유닛(102)은 지지 케이스(103)의 피지지축(104a, 104a), 베이스 섀시(15)의 우단부에 형성된 축지지부(15s, 15s)에 각각 삽입되어 지지되고(도 26 참조), 피지지축(104a, 104a)을 교점으로 하여 디스크 테이블(108)이 대략 상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베이스 유닛(102)이 베이스 섀시(1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걸림 결합 레버(105)의 상단부가 베이스 섀시(15)의 레버 삽입구멍(15)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도 8 참조).
베이스 유닛(102)이 베이스 섀시(1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지지 케이스(103)에 설치된 캠돌출핀(104b)이 상기 캠부재(67)의 캠홈(68)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걸림 결합된다(도 21 참조). 캠돌출핀(104b)이 캠홈(68)의 하측 수평부(68a)에 걸림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피지지돌기(104c)가 상기 모드 슬라이더(91)의 지지돌기(95, 95) 사이에 삽입 가능한 높이에 위치되어 있다(도 21 참조).
베이스 유닛(102)은, 캠부재(67)의 회전에 캠돌출핀(104b)의 캠홈(68)에 대한 걸림 결합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베이스 섀시(15)에 대하여 피지지축(104a, 104a)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된다.
(p) 디스크 센서
베이스 섀시(15)에는, 그 전단부에 형성된 광투과구멍(15f)의 하부측에 디스크 센서(109)가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 센서(109)는, 예를 들면, 광 센서이며, 광투과구멍(15f)을 통하여 상방을 향하여 검출광을 출사(出謝)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유무의 판별을 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q)반송용 구동부
반송용 구동부는, 상기 제1 반송 수단(6)으로서 설치된 각 이송 롤러(9a, 9c, 9e, 9g, 9i, 9k)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이며, 구동용 모터(110의 구동력에 의하여 동작된다.
구동용 모터(110)는, 베이스 섀시(15)의 중앙부에 형성된 모터장착부(15b)에장착되어 있고(도 8 및 도 27 참조), 구동용 모터(110)의 모터축이 축삽입구멍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구동용 모터(110)의 모터축에는 소 직경 풀리(111)가 고정되어 있다(도 27 참조).
베이스 섀시(15)의 하면에는 기어부 풀리(112)가 지지되고, 상기 기어부 풀리(112)는 풀리부(112a)와 기어부(112b)가 동일 축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풀리부(112a)와 소 직경 풀리(111)의 사이에는 벨트(113)가 감겨있다.
베이스 섀시(15)의 하면의 기어부 풀리(112)의 근방에는, 이송용 기어(114)가 지지되고, 상기 이송용 기어(114)는 대 기어부(114a)와 소 기어부(114b)가 동일 축 상에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대기어부(114a)는 기어부 풀리(112)의 기어부(112b)와 치합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15)의 배치 오목부(15i)에 설치된 4개의 지지축(15j, 15j, 15j…)에는, 각각 지점 기어(115, 115,…)가 지지되어 있다(도 24 및 도 27 참조). 지점 기어(115, 115,…)에는 상하로 긴 가늘고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 상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 기어부(115a, 115a,…), 제2 기어부(115b, 115b,…), 및 제3 기어부(115c, 115c,…)가 동일 축 상에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제3 기어부(115c, 115c,…)는, 그 직경이 제1 기어부(115a, 115a,…)보다 크고, 제2 기어부(115b, 115b,…)보다 작게 되어 있다.
지점 기어(115, 115,…) 중, 중간에 있는 2개의 지점 기어(115, 115)는, 제1 기어부(115a, 115a,…)가 상기 모드 슬라이더(91)의 이탈 구멍(92c)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전방측와 후방측에 위치하는 2개의 지점 기어(115, 115)는,모더 슬라이더(91)의 이동궤적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4개의 지점 기어(115, l15,…) 중, 가장 후방측에 위치된 지점 기어(115)의 제3 기어부(115c)의 하반부와 상기 이송용 기어(114)의 소 기어부(114b) 사이에는 제1 타이밍 벨트(116)가 감겨져 있다. 가장 후방측에 위치된 지점 기어(115)의 제3 기어부(115c)의 상반부와 후방으로부터 2번째 지점 기어(115)의 제3 기어부(115c) 사이에는 제2 타이밍 벨트(117)가 감겨져 있다. 전방측의 2개의 지점 기어(115, 115)의 제 기어부(115c, 115c) 사이에는 제3 타이밍 벨트(118)가 감겨져 있다.
베이스 섀시(15)의 배치 오목부(15i)에 설치된 기어 지지축(15k)에는, 동기 기어(119)가 지지되어 있다. 동기 기어(119)는 중간에 위치된 2개의 지점 기어(115, 115)의 제2 기어부(115b, 115b)와 치합되어 있다.
구동용 모터(110)가 회전되면, 그 구동력이 소 직경 풀리(111), 벨트(113), 기어부 풀리(112), 이송용 기어(114), 제1 타이밍 벨트(116), 제2 타이밍 벨트(117), 동기 기어(119) 및 제3 타이밍 벨트(118)를 통하여 지점 기어(115, 115,…)에 전달되고, 상기 지점 기어(115, 115,…)가 구동용 모터(110)의 회전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동기하여 회전된다.
(r) 서브 섀시
베이스 섀시(15)의 배치 오목부(15i)에는, 모드 슬라이더(91)를 덮도록 서브 섀시(120)가 장착되어 있다(도 8 및 도 24 참조). 서브 섀시(120)는 세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 방향을 향하는 평판형을 이루는 피지지면부(121)와, 상기피지지면부(121)의 좌우 양측 에지로부터 각각 돌출된 좌측면부(122) 및 우측면부(123)와, 피지지면부(121)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된 격벽부(1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도 28 참조).
서브 섀시(120)의 피지지면부(121)에는, 전후로 이격되어 4개의 기어 삽입구멍(121a, 121a,…)이 형성되어 있다. 피지지면부(121)에는, 격벽부(124)의 전방측에 전후로 이격되어 좌우로 긴 가이드구멍(121b, 121b)이 형성되고, 격벽부(124)의 후방측에 전후로 이격되어 좌우로 긴 가이드구멍(121c, 121c)이 형성되고, 후단부에 좌우로 연장되는 가이드구멍(121d)이 형성되어 있다. 피지지면부(121)에는, 후방측에 위치하는 가이드구멍(121c)과 가이드구멍(121d) 사이에, 레어 배치구멍(121e)이 형성되어 있다.
서브 섀시(120)의 우측면부(123)의 상면에는, 격벽부(124)를 사이에 두고 전후의 위치에, 각각 스프링 걸림돌기(123a, 123b)가 형성되어 있다.
서브 섀시(120)가 배치 오목부(15i)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는, 기어 삽입구멍(121a, 121a,…)으로부터, 각각 지점 기어(115, 115,…)의 제1 기어부(115a, 115a,…)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도 29 및 도 30 참조).
서버 섀시(120)의 피지지면부(121)에는, 레버 배치구멍(121e)의 직좌측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작용 레버(125)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28 및 도 29 참조).
작용 레버(125)는, 대략 한 방향으로 긴 레버 본체부(126)와, 상기 레버 본체부(126)의 한쪽의 측면 에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연결부(127)와, 상기 연결부(127)로부터 레버 본체부(126)가 위치하는 측과 반대측으로 돌출된 피작용부(128)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레버 본체부(l26)에는, 그 일단부에 회전 지점부(126a)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레버 본체부(126)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긴 지지구멍(126b)이 형성되어 있다.
작용 레버(125)는 회전 지점부(126a)를 지점으로 하여 서브 섀시(12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고, 작용 레버(125)가 서브 섀시(120)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레버 배치구멍(121e)을 통하여 피작용부(128)가 피지지면부(121)의 하면측에 위치된다.
(s) 수진기구
베이스 섀시(15)의 배치 오목부(15i)에 배치된 지점 기어(115, 115,…) 중, 가장 전방측에 위치하는 지점 기어(115)에는, 제1 수진기구(129)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29 및 도 30 참조). 제1 수진기구(129)는, 회전 부재(130)와 회전 레버(131)와 제1 회전체(132)를 가지고 있다(도 29 및 도 31 참조).
회전 부재(130)는 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지점 기어(11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 레버(131)는 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 부재(130)의 타단부의 하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 레버(131)의 상면에는 제1 전달 기어(133)와 제2 전달 기어(134)가 지지되어 있다. 제1 전달 기어(133)는 감속기어로서 형성되고, 대 직경 기어부(133a)와 소 직경 기어부(133b)가 동일 축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대 직경 기어부(133a)가 지점기어(115)의 제1 기어부(115a)와 치합되고, 소 직경 기어부(133b)가 제2 전달 기어(134)와 치합되어 있다.
제1 회전체(132)는, 편평한 대략 원기둥형을 이루는 제1 이송 롤러(9a)와, 상기 제1 이송 롤러(9a)의 하면의 중심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축부(132a)와, 상기 축부(132a)의 하단부에 설치된 기어부(132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이송 롤러(9a)의 전체 원주에는 지지 홈부(9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회전체(132)는, 그 중심부를 관통한 지지축(135)을 통하여 회전 레버(131)의 상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기어부(132b)가 제2 전달 기어(134)와 치합되어 있다.
지지축(135)은 회전 레버(131)의 타단부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회전 레버(13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지지축(135)의 하단부는, 베이스 섀시(15)의 전단부에 형성된 가이드구멍(15m)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걸림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회전체(132)는 가이드구멍(15m)에 안내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제1 수진기구(129)는, 지점 기어(115)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회전 부재(130)와 회전 레버(131)가 대략 우측으로 돌출되는 각도로 지지되어 있다(도 30 참조).
제1 수진기구(129)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구동용 모터(110)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지점 기어(115)가 회전되면, 구동용 모터(110)의 구동력이 차례로 제1 전달 기어(133), 제2 전달 기어(134) 및 기어부(132b)로 전달되고, 지점 기어(115)의회전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제1 이송 롤러(9a)가 회전된다. 이때 회전 레버(131)에, 회전 부재(130)와 회전 레버(131)의 위치관계 및 지점 기어(115)의 회전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회전 모멘트가 발생되고, 상기 회전 모멘트에 따라 제1 이송 롤러(9a)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이동력이 부여된다.
전방으로부터 2번째의 지점 기어(115)에는, 제2 수진기구(136)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29 및 도 30 참조). 제2 수진기구(136)는, 회전 부재(137)와 제1 회전 레버(138)와 제3 회전체(139)와 제2 회전 레버(140)와 제2 회전체(141)를 가지고 있다(도 29 내지 도 31 참조).
회전 부재(137)는 한쪽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지점 기어(11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회전 레버(138)는 한쪽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 부재(137)의 타단부의 하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회전 레버(138)의 상면에는 제1 전달 기어(142)와 제2 전달 기어(143)가 지지되어 있다. 제1 전달 기어(142)는 감속기어로서 형성되고, 대 직경 기어부(142a)와 소 직경 기어부(142b)가 동일 축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대 직경 기어부(142a)가 지점 기어(115)의 제1 기어부(115a)와 치합되고, 소 직경 기어부(142b)가 제2 전달 기어(143)와 치합되어 있다.
제3 회전체(139)는, 편평한 대략 원주형을 이루는 제3 이송 롤러(9e)와, 상기 제3 이송 롤러(9e)의 하면의 중심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축부(139a)와, 상기 축부(139a)의 하단부에 형성된 기어부(139b)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3 이송롤러(9e)의 전체 원주에는 지지 홈부(9f)가 형성되어 있다.
제3 회전체(139)는, 그 중심부가 관통한 지지축(144)을 통하여 제1 회전 레버(138)의 상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기어부(139b)가 제2 전달 기어(143)와 치합되어 있다.
제2 회전 레버(140)는 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제1 회전 레버(138)의 타단부의 하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회전 레버(140)의 상면에는 제3 전달 기어(145, 145, 145)가 차례로 치합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제2 회전체(141)는, 편평한 대략 원주형을 이루는 제2 이송 롤러(9c)와, 상기 제2 이송 롤러(9c)의 하면의 중심부으로 하방으로 돌출된 축부(141a)와, 상기 축부(141a)의 하단부 형성된 기어부(141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이송 롤러(9c)의 전체 원주에는 지지 홈부(9d)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회전체(141)는, 그 중심부를 관통한 지지축(146)을 통하여 제2 회전 레버(140)의 상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기어부(141b)가 하나의 제3 전달 기어(145)와 치합되어 있다.
제3 회전체(139)를 지지하는 지지축(144)은 제1 회전 레버(138)이 타단부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제2 회전 레버(14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지지축(144)의 하단부는, 서브 섀시(120)의 전방으로부터 2번째의 가이드구멍(121b)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3 회전체(139)는 가이드구멍(121b)에 안내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제2 회전체(141)를 지지하는 지지축(146)은 제2 회전 레버(140)의 타단부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제2 회전 레버(14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서브 섀시(120)의 1번째 전방측의 가이드구멍(121b)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2 회전체(141)는 가이드구멍(121b)에 안내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회전 부재(137)와 서브 섀시(120)의 스프링 걸림돌기(123a)의 사이에는, 가압 스프링(147)이 설치되어 있다. 가압 스프링(147)로서는, 예를 들면, 인장 코일 스프링이 이용되고, 가압 스프링(147)에 의하여 제2 수진기구(136)가 우측으로 가압된다.
제2 수진기구(136)는, 지점 기어(115)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회전 부재(137)와 제1 회전 레버(138), 제2 회전 레버(140)가 대략 우측으로 돌출되는 각도로 지지되어 있다(도 30 참조).
제2 수진기구(136)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구동용 모터(110)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지점 기어(115)가 회전되면, 구동용 모터(110)의 구동력이 차례로 제1 전달 기어(142), 제2 전달 기어(143), 기어부(139b), 제3 전달 기어(145, 145, 145) 및 기어부(141b)로 전달되고, 지점 기어(115)의 회전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제3 이송 롤러(9e) 및 제2 이송 롤러(9c)가 회전된다. 이 때 제1 회전 레버(138)와 제2 회전 레버(140)의 각각에, 회전 부재(137)와 제1 회전 레버(138)와 제2 회전 레버(140)의 위치 관계 및 지점 기어(115)의 회전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의 회전 모멘트가 발생되고, 상기 회전 모멘트에 따라 제3 이송 롤러(9e) 및 제2 이송 롤러(9c)에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이동력이 부여된다.
전방으로부터 3번째의 지점 기어(115)에는, 제3 수진기구(148)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29 및 도 30 참조). 제3 수진기구(148)는, 회전 부재(149)와 회전 레버(150)와 제4 회전체(151)를 가지고 있다(도 29 내지 도 31 참조).
회전 부재(149)는 한쪽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지점 기어(11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 레버(150)는 대략 3각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나의 각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부재(149)의 타단부의 하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 레버(150)의 상면에는 제1 전달 기어(152)와 제2 전달 기어(153)가 지지되어 있다. 제1 전달 기어(152)는 감속 기어로서 형성되고, 대 직경 기어부(152a)와 소 직경 기어부(152b)가 동일 축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대 직경 기어부(152a)가 지점 기어(115)의 제1 기어부(115a)와 치합되고, 소 직경 기어부(152b)가 제2 전달 기어(153)와 치합된다.
제4 회전체(151)는, 편형한 대략 원주형을 이루는 제4 이송 롤러(9g)와, 상기 제4 이송 롤러(9g)의 하면의 중심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축부(151a)와, 상기 축부(151a)의 하단부에 형성된 기어부(151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4 이송 롤러(9g)의 전체 원주에는 지지 홈부(9h)가 형성되어 있다.
제4 회전체(151)는, 그 중심부를 관통한 지지축(154)을 통하여 회전 레버(150)의 상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기어부(151b)가 제2 전달 기어(153)와 치합되어 있다.
지지축(154)은 회전 레버(150)의 상기 하나의 각부(角部)와는 다른 각부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회전 레버(15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지지축(154)의 하단부는, 서브 섀시(1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작용 레버(125)의 긴 지지구멍(126b) 및 서브 섀시(120)의 후방측의 가이드구멍(121c)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4 회전체(151)는 가이드구멍(121c)에 안내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회전 부재(149)와 서브 섀시(120)의 스프링 걸림돌기(123b)의 사이에는, 가압 스프링(155)이 설치되어 있다. 가압 스프링(155)으로는, 예를 들면, 인장 코일 스프링이 이용되고, 가압 스프링(155)에 의해 제3 수진기구(148)가 우측으로 가압된다.
제3 수진기구(148)는, 지점 기어(115)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회전 부재(149)와 회전 레버(150)에 의하여 대략 우측으로 돌출되는 각도로 지지되어 있다(도 30 참조).
제3 수진기구(148)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구동용 모터(110)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지점 기어(115)가 회전되면, 구동용 모터(110)의 구동력이 차례로 제1 전달기(152), 제2 전달 기어(153) 및 기어부(151b)로 전달되고, 지점 기어(115)의 회전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제4 이송 롤러(9g)가 회전된다. 이 때 회전 레버(150)에, 회전 부재(149)와 회전 레버(150)의 위치 관계 및 지점 기어(115)의 회전방향에 따른 방향으로의 회전 모멘트가 발생되고, 상기 회전 모멘트에 따라 제4 이송 롤러(9g)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이동력이 부여된다.
가장 후방측에 위치하는 지점 기어(115)에는, 제4 수진기어(156)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29 및 도 30 참조). 제4 수진기구(156)는, 회전 부재(157)와 제1 회전 레버(158)와 제5 회전체(159)와 제2 회전 레버(160)와 제6 회전체(161)를 가지고 있다(도 29 내지 도 31 참조).
회전 부재(157)는 한쪽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지점 기어(11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회전 레버(158)는 한쪽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 부재(157)의 타단부의 하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회전 레버(158)의 상면에는 제1 전달 기어(162)와 제2 전달 기어(163)가 지지되어 있다. 제1 전달 기어(162)는 감속 기어로서 형성되고, 대 직경 기어부(162a)와 소 직경 기어부(162b)가 동일 축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대 직경 기어부(162a)가 지점 기어(115)의 제1 기어부(115a)와 치합되고, 소 직경 기어부(162b)가 제2 전달 기어(163)와 치합되어 있다.
제5 회전체(159)는, 편평한 대략 원주형을 이루는 제5 이송 롤러(9i)와, 상기 제5 이송 롤러(9i)의 하면의 중심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축부(159a)와, 상기 축부(159a)의 하단부에 형성된 기어부(159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5 이송 롤러(9i)의 전체 원주에는 지지 홈부(9j)가 형성되어 있다.
제5 회전체(159)는, 그 중심부를 관통한 지지축(164)을 통하여 제1 회전 레버(158)의 상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기어부(159b)가 제2 전달 기어(163)와 치합되어 있다.
제5 이송 롤러(9i)는, 상기 각 이송 롤러(9a, 9c, 9e, 9g) 및 각 이송체(10a, 10c, 10e, 10g)에 비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과 접하는 부분의 직경이 약간 작게 되어 있다.
제2 회전 레버(160)는 한쪽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제1 회전 레버(158)의 타단부의 하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회전 레버(160)의 상면에는 제3 전달 기어(165, 165, 165)가 차례로 치합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제6 회전체(161)는, 편형한 대략 원주형을 이루는 제6 이송 롤러(9k)와, 상기 제6 이송 롤러(9k)의 하면의 중심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축부(161a)와, 상기 축부(161a)의 하단부에 형성된 기어부(161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6 이송 롤러(9k)의 전체 원주에는 지지 홈부(9l)가 형성되어 있다.
제6 회전체(161)는, 그 중심부를 관통한 지지축(166)을 통하여 제2 회전 레버(160)의 상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기어부(161b)가 하나의 제3 전달 기어(165)와 치합되어 있다.
제5 회전체(159)를 지지하는 지지축(164)은 제1 회전 레버(158)의 타단부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제2 회전 레버(l6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지지축(164)의 하단부는, 서브 섀시(120)의 가장 후방측에 위치하는 가이드구멍(121d)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5 회전체(159)는 가이드구멍(121d)에 안내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제6 회전체(161)를 지지하는 지지축(166)은 제2 회전 레버(160)의 타단부에고정되고, 하단부가 제2 회전 레버(16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지지축(166)의 하단부는, 베이스 섀시(15)의 서브 섀시(120)의 후방측에 위치된 가이드구멍(15r)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걸림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6 회전체(161)는 가이드구멍(15r)에 안내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회전 부재(157)와 베이스 섀시(15)의 가이드구멍(15)의 우측에 형성된 스프링 지지 돌기부(15q) 사이에는, 가압 스프링(67)이 설치되어 있다. 가압 스프링(167)으로는, 예를 들면, 인장 코일 스프링이 사용되고, 가압 스프링(167)에 의해 제4 수진기구(156)가 우측으로 가압된다.
제4 수진기구(156)는, 지점 기어(115)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회전 부재(157)와 제1 회전 레버(158), 제2 회전 레버(160)가 크랭크형을 이루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4 수진기구(156)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구동용 모터(110)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지점 기어(115)가 회전되면, 구동용 모터(110)의 구동력이 차례로 제1 전달 기어(162), 제2 전달 기어(163), 기어부(159b), 제3 전달 기어(165, 165, 165) 및 기어부(161b)로 전달되고, 지점 기어(115)의 회전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제5 이송 롤러(9i) 및 제6 이송 롤러(9k)가 회전된다. 이 때 제1 회전 레버(158)와 제2 회전 레버(160)의 각각에, 회전 부재(157)와 제1 회전 레버(158)와 제2 회전 레버(160)의 위치관계 및 지점 기어(115)의 회전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의 회전 모멘트가 발생되고, 상기 회전 모멘트에 따라 제5 이송 롤러(9i) 및 제6 이송 롤러(9k)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이동력이 부여된다.
상기한 각 이송 롤러(9a, 9c, 9e, 9g, 9i, 9k)에는, 그 지지 홈부(9b, 9d, 9f, 9h, 9j, 9l)에,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원환형의 고무 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가압되었을 때에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대하여 미끄러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각 지지축(144, 146, 154, 164)은 각각 서브 섀시(120)의 각 가이드구멍(121b, 121b, 121c, 121d)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하나의 부재인 서브 섀시(120)에 의하여 각 지지축(144, 146, 154, 164)의 기울어짐이 방지되어 각 이송 롤러(9c, 9e, 9g, 9i)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고, 이들의 높이 위치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부품 개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지지축(144, 146, 154, 164)이 각각 서브 섀시(120)의 각 가이드구멍(121b, 121b, 121c, 121d)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모드 슬라이더(9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에, 제1 캠벽(96) 또는 제2 캠벽(97)이 지지축(146)의 하단부에 슬라이드 접촉 가능한 위치에 있고, 제4 캠벽(99)이 지지축(164)의 하단부에 슬라이드 접촉 가능한 위치에 있다(도 32 참조). 또, 모드 슬라이더(9)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에, 가압 돌기(100)는 서브 섀시(1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작용 레버(125)의 피작용부(128)에 슬라이드 접촉 가능한 위치에 있다(도 32 참조).
상기와 같이 각 이송 롤러(9a, 9c, 9e, 9g, 9i, 9k)는, 각각 지점 기어(115, l15,…)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고, 상기 지점 기어(115, 115,…)는 구동용 모터(110)의 구동력에 의해 동시에 회전된다. 따라서, 구동용 모터(110)가 회전되면, 각 이송 롤러(9a, 9c, 9e, 9g, 9i, 9k)는, 각각 구동용 모터(110)의 회전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된다.
각 이송 롤러(9a, 9c, 9e, 9g, 9i, 9k)는, 상기한 제1 반송 수단(6)을 구성한다. 상기 지지 섀시(14)에 지지된 각 슬라이드 수단(24, 29, 43, 48)에 장착된 제2 반송 수단(7)을 구성하는 각 이송체(10a, 10c, 10e, 10g, 10i, 10k)와 상기 각 이송 롤러(9a, 9c, 9e, 9g, 9i, 9k)는, 각각 상기 이송 수단(8, 8, …)으로서 기능한다. 제1 반송 수단(6)과 제2 반송 수단은 반송기구(5)의 구성 요소로 된다.
(t) 스태커 승강 기구
스태커 승강 기구는, 상기 스태커(4)를 승강시키기 위한 기구이며, 승강용 모터(168)의 구동력에 의하여 동작된다.
승강용 모터(168)는, 베이스 섀시(15)의 후단부에 형성된 모터 장착부(15c)에 장착되어 있고(도 7, 도 8 및 도 27 참조), 승강용 모터(168)의 모터축이 축삽입구멍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승강용 모터(168)의 모터축에는 풀리 부재(169)가 고정되어 있다(도 27 및 도 33 참조).
베이스 섀시(15)의 하면에는 기어부 풀리 부재(170)가 지지되고, 상기 기어부 풀리 부재(170)는 풀리부(170a)와 기어부(170b)가 동일 축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풀리부(170a)와 풀리 부재(169) 사이에는 벨트 부재(71)가 감겨져 있다.
베이스 섀시(15)의 하면의 후단부에는 연락용 기어(72)가 지지되고, 상기 연락용 기어(172)는 대 직경부(172a)와 소 직경부(172b)가 동일 축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연락용 기어(17)는, 대 직경부(172a)가 기어부 풀리 부재(170)의 기어부(170b)와 치합되어 있다. 연락용 기어(172)는, 소 직경부(172b)가 베이스 섀시(15)의 후방측의 기어 배치구멍(150o)으로부터 베이스 섀시(15)의 상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15)의 상면의 후단부 근처의 위치에는, 그 좌우방향에서 대략 중앙부에 중간 기어(173)가 지지되어 있다. 중간 기어(173)는 대 직경부(173a)와 소 직경부(173b)가 동일 축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대 직경부(173a)가 연락용 기어(172)의 소 직경부(172b)와 치합되어 있다. 중간 기어부(173a)는 소 직경부(173b)가 베이스 섀시(15)의 전방측의 기어 배치구멍(15n)으로부터 베이스 섀시(15)의 하면측으로 돌출되고, 소 직경부(173b)가 베이스 섀시(15)의 하면측에 지지된 로터리 인코더(174)의 기어부(174a)와 치합되어 있다. 로터리 인코더(174)는, 그 회전량에 의하여 승강용 모터(168)의 회전량의 검출을 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로터리 인코더(174)의 승강용 모터(168)의 회전량의 검출에 따라 승강용 모터(168)의 회전이 제어되고, 스태커(4)의 높이 위치가 설정된다.
베이스 섀시(15)의 상면의 후단부 근처의 위치에는, 중간 기어(173)를 사이에 두고 좌우로 각각 동기 평기어(175, 175)가 지지되고, 상기 동기 평기어(175, 175)는 중간 기어(173)의 대 직경부(173a)와 치합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15)의 후단부 또는 후단부 근처의 위치에는, 그 좌우 양단부에 회전캠(176, 176, 176)이 지지되어 있다(도 7, 도 8, 도 27 및 도 33 참조).
회전캠(176, 176, 176)은, 상하로 긴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각각 하단부에 기어부(176a, 176a, 176a)가 형성되어 있다(도 34 참조). 회전캠(176, 176, 176)의 원주면에는, 각각 캠홈부(177, 177, 177)가 형성되어 있다. 캠홈부(177)는 수평인 비작용부(177a, 177a,…)와 상기 비작용부(177a, 177a,…)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진 작용부(177b, 177b,…)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도 34 및 도 35 참조). 비작용(177a, 177a,…)의 길이는, 작용부(177b, 177b,…)의 길이보다 길게 되고, 예를 들면, 회전캠(176)의 중심각 180° 이상에 상당하는 길이로 되어 있다.
회전캠(176, 176, 176)은, 좌측에 위치하는 하나의 회전캠(176)의 기어부(176a)가 좌측에 위치하는 동기 평기어(175)와 치합되고, 우측에 위치하는 2개의 회전캠(176, 176)의 기어부(176a, 176a)가 우측에 위치하는 동기 평기어(175)와 각각 치합되어 있다.
(u) 스태커
베이스 섀시(15)의 후단부 근처의 위치에 설치된 가이드축(15p, 15p)에는, 스태커(4)가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7, 도 8, 도 27 및 도 33 참조). 스태커(4)는, 상하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 대략 원호형을 이루는 선반부(178, 178,…)와, 상기 선반부(178, 178,…)의 외주 에지간을 연결하도록 배치된 원주면부(179)와, 상기 원주면부(179)의 하단부의 좌우 양단부 근처의 위치로부터 각각 좌우로 돌출된 피가이드부(180, 180)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도 33 참조). 피가이드부(180, 180)의 선단부에는, 각각 피안내구멍(180a, 180a)이 형성되어 있다.
스태커(4)의 선반부(178, 178,…) 사이의 공간은, 대 직경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 200a,…)가 각각 수납되는 디스크 수납부(181, 181,…)로서 형성되어 있다. 원주면부(179)의 하단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 피안내 돌기부(179a, 179a, 179a)가 형성되어 있다.
스태커(4)는 피가이드부(180, 180)의 피안내구멍(180a, 180a)에 각각 베이스 섀시(15)의 가이드축(15p, 15p)이 삽입되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태커(4)가 가이드축(15p, 15p)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피안내 돌기부(179a, 179a, 179a)가 각각 회전캠(176, 176, 176)의 캠홈부(177, 177, 177)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림 결합된다.
승강용 모터(168)가 회전되면, 그 구동력이 풀리 부재(169), 벨트 부재(171), 기어부 풀리 부재(170), 연락용 기어(172), 중간 기어(173), 동기 평기어(175, 175), 회전캠(176, 176, 176)에 차례로 전달되고, 상기 회전캠(176, 176, 176)이 동기하여 회전된다. 회전캠(176, 176, 176)이 동기하여 회전되면, 스태커(4)의 피안내 돌기부(179a, 179a, 179a)의 캠홈부(177, 177, 177)에 대한 위치가 변화되거, 스태커(4)가 회전캠(176, 176, 176)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된다.
(v) 케이스의 구성
이상과 같이 하여 각 부가 배치된 베이스 섀시(15)에, 각 부가 배치된 지지 섀시(14)가 상방으로부터 장착되어 케이스(2)가 구성된다(도 7 및 도 8 참조). 베이스 섀시(151)에 지지 섀시(14)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는, 양자의 사이에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 200,…)가 삽입되어 반송되는 반송 공간으로 된다.
베이스 섀시(15)에 지지 섀시(14)가 장착되어 케이스(2)가 구성된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2)의 전면부에 가로로 긴 디스크 삽입구(2a)가 형성된다(도 7 및 도 36 참조). 디스크 삽입구(2a)의 상하 방향에서의 폭은, 좌우 양단부(2c, 2c)가 가장 작게 되고, 상기 좌우 양단부(2c, 2c)로부터 좌우 방향에서 중앙(2d)으로 감에 따라 점차 크게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중앙(2d)이 가장 크게 되어 있다. 디스크 삽입구(2a)의 좌우 양단부(2c, 2c)의 상하 방향에서의 폭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두께의 2배 미만으로 되어 있다.
통상,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디스크 삽입구(2a)에 삽입될 때에는, 그 중앙부로부터 삽입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중앙(2d)의 폭이 가장 크게 되어 있으므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양호한 삽입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 디스크 삽입구(2a)의 좌우 양단부(2c, 2c)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두께의 2배 미만으로 되어 있으므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복수매 중첩한 상태에서의 삽입을 회피할 수 있고, 디스크 삽입구(2a)에 대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 섀시(15)에 지지 섀시(14)가 장착되어 케이스(2)가 구성된 상태에 있어서는, 지지 섀시(14)의 탈락 방지부(14h)와 베이스 섀시(15)의 탈락 방지부(15u)가 상하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양자 간에 가로로 긴 디스크 통과구(182)가 형성된다(도 13 참조). 디스크 통과구(182)은, 그 형상 및 크기가 디스크 삽입구(2a)와 대략 동일하게 되고, 상하 방향으로의 폭은, 좌우 양단부(182a, 182a)가 가장 작게되고, 상기 좌우 양단부(182a, 182a)로부터 좌우방향에서 중앙(182b)으로 감에 따라 점차 크게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중앙(182b)이 가장 크게 되어 있다. 디스크 통과구(182)의 좌우 양단부(182a, 182a)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두께만으로 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스태커(4)로부터 재생부(3)로 향하여 반송될 때,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오동작에 의해 복수매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중첩된 상태로 반송되려고 해도, 디스크 통과구(182)의 좌우 양단부(182a, 182a)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두께의 2배 미만으로 되어 있으므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복수매 중첩된 상태에서의 반송을 회피할 수 있고, 디스크 통과구(182)에 대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2)가 구성된 상태에 있어서는, 제1 수진기구(129)의 제1 회전체(132)를 지지하는 지지축(135)이 제1 슬라이드 수단(24)의 구동측 슬라이더(25)의 지지 몸통부(25c)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 수진기구(136)의 제2 회전체(141), 제3 회전체(139)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축(146, 144)이 각각 제2 슬라이드 수단(29)의 구동측 슬라이더(30)의 지지 몸통부(30d, 30d)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3 수진기구(148)의 제4 회전체(151)를 지지하는 지지축(154)이 제4 슬라이드 수단(43)의 구동측 슬라이더(44)의 지지 몸통부(44c)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4 수진기구(156)의 제5 회전체(159), 제6 회전체(161)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축(164, 166)이 각각 제5 슬라이드 수단(48)의 구동측 슬라이더(49)의 지지 몸통부(49d, 49d)에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이 지지축(146, 144, 154, 164, 166)이 각각 지지 몸통부(30d, 30d, 44c, 49d, 49d)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는, 지지축(146, 144, 154, 164, 166)의 상단부가 각 슬라이더(31, 44, 49)에 지지된 스프링 부재(32, 46, 51)에 의해 우측으로의 인장력을 받지만, 각 수진기구(136, 148, 156)의 회전 부재(137, 149, 157)가 각각 가압 스프링(147, 155, 167)에 의해 우측으로의 인장력을 받기 때문에, 지지축(146, 144, 154, 164, 166)의 서브 섀시(120) 또는 베이스 섀시(15)에 대한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2)가 구성된 상태에 있어서는, 제3 슬라이드 수단(34)의 제1 슬라이더(35)에 장착된 피안내축(39)의 하단부가 서브 섀시(120)의 전후방향으로 중앙부에 형성된 전방측의 가이드구멍(120c)에 삽입된다. 피안내축(39)의 하단부가 가이드구멍(121c)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모드 슬라이더(91)의 제3 캠벽(98)이 피안내축(39)의 하단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케이스(2)가 구성된 상태에 있어서는, 베이스 유닛(102)의 지지 케이스(103)의 걸림 결합 레버(105)가, 지지 섀시(14)의 삽입구멍(21)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걸림 결합부(105b)가지지 섀시(14)의 상면에 지지된 분리 부재(57)의 피작용부(60)에 상측으로부터 걸림 결합된다(도 7 및 도 36 참조). 따라서, 디스크 테이블(108)이 상방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베이스 유닛(102)이 회전되면, 분리 부재(57)는 들어올림부(59, 59)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처킹 풀리(56)가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되고, 반대로, 디스크 테이블(108)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베이스 유닛(102)이 회전되면, 분리 부재(57)는 들어올림부(59, 59)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플랜지부(56a)를 들어 올릴 수 있는 처킹 풀리(56)가 상방으로 이동된다.
(4) 디스크 로딩 장치의 동작
이하에, 디스크 로딩 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37 내지 도 95 참조).
디스크 로딩 장치(1)에서는, 이송 롤러(9, 9,…)와 이송체(10, 10,…)에 의하여 협지된 상태에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반송된다.
(a) 반송시의 조건
먼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를 반송하기 위해 필요한 이송 롤러(9, 9,…) 및 이송체(10, 10,…)m이 조건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37 참조).
이송 롤러(9, 9,…) 및 이송체(10, 10,…는, 각 슬라이드 수단(24, 29, 43, 48)에 지지된 스프링 부재(27, 32, 46, 51)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각각 가압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는, 그 반송 방향에서 이격되는 각 이송 롤러(9, 9,…) 및 각 이송체(10, 10,…) 사이에서 주고 받으면서 반송된다.
스프링 부재의 탄성력을 X로하고, 이송 롤러(이송체)와 디스크형 기록 매체 사이의 마찰 계수를 μ, 이송 롤러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부터 받은 수직항력을 N으로 하면, Xsinθ= μN 이라는 조건 식이 성립한다. 단, θ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중심(P)을 통하여 반송 방향(S)을 따른 선분을 L1으로 할 때의, 중심(P)을 통하여 선분(L1)에 직교하는 선분(L2)과, 중심(P)과 이송 롤러의 회전중심(Q)을 연결한 선분(L3)이 이루는 각도이다(이하, 각도 θ를 "접촉각"이라 한다). N=Xcosθ이므로, Xsinθ=μXcosθ로 되고 μ=tanθ로 된다. 따라서, 접촉각(θ)이 크게 되는 만큼, 마찰계수(μ)가 크게 되어야 하고, 이송 롤러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 대하여 미끄러지기 쉬워진다.
이상과 같이, 이송 롤러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해서 미끄러지는지 아닌지는 탄성력(X)에는 관계없이, 마찰 계수(μ)에 의존한다. 따라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을 확실하게 행하기 위하여는, 접촉각(θ)은 가능한 한 작은 것이 좋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이송 롤러 및 이송체로부터 다음의 이송 롤러 및 이송체에 주고 받을 때는, 주고 받는 이송 롤러 및 이송체이 서로 가능한 한 이격한 반송 방향(S)을 따른 선분(L1)으로부터의 거리가 큰편이 바람직하다.
한편,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시에 있어서는, 탄성력(X)은, 이송 롤러 및 이송체의 중심이 선분(L2)과 일치할 때까지는 이송 롤러와 이송체가 상기 탄성력(X)에 저항하여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해 반송에 대한 부하로 되지만, 이송 롤러 및 이송체의 중심이 선분(L2)과 일치한 후는 이송 롤러와 이송체가 상기 탄성력(X)에 의해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하여 반송에 대한 조력으로 된다.
(b) 5개의 동작 모드
디스크 로딩 장치(1)에 있어서는, 이하의 동작에 대하여 5개의 동작 모드가 설정된다.
이 5개의 동작 모드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 또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가 디스크 삽입구(2a)와 재생부(3)의 사이에서 반송될 때의 반송 모드, 스태커(4)가 승강 동작될 때의 승강 모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재생부(3)와 스태커(4) 사이에서 반송될 때의 수납인출 모드, 재생부(3)에 반송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 또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를 처킹하고 또는 그 해제를 행하는 처킹 모드, 처킹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 또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의 이송 롤러(9) 및 이송체(l0)에 의한 지지를 해제하는 디스크 지지 해제 모드이다.
(c) 반송 모드
다음에,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삽입되었을 때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디스크 삽입구(2a)와 재생부(3)의 사이에서 반송될 때의 반송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반송 모드에 있어서의 각 부의 상태는 이하와 같다(도 38 내지 도 41 참조).
지지 섀시(14)에 지지된 제1 슬라이드 수단(24)은, 스프링 부재(27)의 탄성력에 의해 구동측 슬라이더(25)의 규제 돌기부(25b)에 종동측 슬라이더(26)의 규제부(26f)가 접촉되어 있고, 구동측 슬라이더(25)와 종동측 슬라이더(26)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에서의 이동단에 위치되어 있다(도 38 참조). 따라서, 구동측 슬라이더(25)에 지지된 제1 이송 롤러(9a)와 종동측 슬라이더(26)에 장착된 제1 이송체(10a)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에서의 이동단에 지지되어 있다.
제2 슬라이드 수단(29)은, 스프링 부재(32)의 탄성력에 의하여 구동측 슬라이더(30)의 규제 돌기부(30c)에 종동측 슬라이더(31)의 규제부(31g)가 접촉되는 동시에 종동측 슬라이더(31)의 규제 돌기부(31b)에 구동측 슬라이더(30)의 규제부(30g)가 접촉되어 있고, 구동측 슬라이더(30)와 종동측 슬라이더(31)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에서의 이동단에 위치되어 있다(도 38 참조). 따라서, 구동측 슬라이더(30)에 지지된 제2 이송 롤러(9c) 및 제3 이송 롤러(9e)와 종동측 슬라이더(31)에 장착된 제2 이송체(10c) 및 제3 이송체(10e)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에서의 이동단에 지지되어 있다. 이때, 종동측 슬라이더(31)의 피가압돌기부(31c)의 좌측으로 제1 슬라이드 수단(24)의 종동측 슬라이더(26)의 가압 돌기부(26b)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있다.
제3 슬라이드 수단(34)은, 스프링 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슬라이더(35)의 규제 돌기부(35b)에 제2 슬라이더(36)의 규제부(36g)가 접촉되어 있고, 제1 슬라이더(35)와 제2 슬라이더(36)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단에 위치되어 있다(도 38 참조). 따라서, 제1 슬라이더(35)에 지지된 제1 규제 롤러(37)와 제2 슬라이더(36)에 지지된 제2 규제 롤러(41)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단에 지지되어 있다.
제4 슬라이드 수단(43)은, 스프링 부재(46)의 탄성력에 의해 구동측 슬라이더(44)의 규제 돌기부(44b)에 종동측 슬라이더(45)의 규제부(45g)가 접촉되어 있고, 구동측 슬라이더(44)와 종동측 슬라이더(45)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단에 위치되어 있다(도 38 참조). 따라서, 구동측 슬라이더(44)에 지지된 제4 이송 롤러(9g)와 종동측 슬라이더(45)에 장착된 제4 이송체(109)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단에 지지되어 있다. 이 때, 종동측 슬라이더(45)의 가압 돌기부(45c)가 제3 슬라이드 수단(34)의 제2 슬라이더(36)의 피가압 돌기부(36c)에 좌측으로부터 접촉되어 있다. 이 때 서브 섀시(120)에 지지된 작용 레버(125)는,피작용부(128)가 우측으로 비스듬히 후방을 향한 상태로 되어 있다(도 38 참조).
제5 슬라이드 수단(48)은, 구동측 슬라이더(49)의 피지지 몸통부(49d)에 지지된 지지축(166)이 모드 슬라이더(91)의 캠 돌기부(101)의 경사면(101a)의 좌단부에 걸림 결합되어 있으므로, 구동측 슬라이더(49)와 종동측 슬라이더(50)가 서로 이격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단에 위치되어 있다(도 38 참조). 따라서, 구동측 슬라이더(49)에 지지된 제5 이송 롤러(9i) 및 제6 이송 롤러(9k)와 종동측 슬라이더(50)에 장착된 제5 이송체(10i) 및 제6 이송체(10k)는, 서로 이격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단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섀시(14)의 후단부 근처의 위치에 지지된 이동 레버(53, 53)는, 토션 코일 스프링(54, 54)에 의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동 레버(53, 53)에 각각 지지된 접촉 정지부(55, 55)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단에 지지되어 있다(도 38 참조).
베이스 섀시(15)의 하면에 지지된 캠부재(67)는, 그 하면에 형성된 한쪽의 돌기부(67c)가 제네바 종동 기어(69)의 벽부(70a)에 접촉 또는 근접한 상태로 되어 있다(도 39 참조). 이 때 2단 기어(73)를 통하여 캠부재(67)의 기어부(67a)와 치합되어 있는 작용 기어(74)는, 규제벽(75)의 삽입용 노치부(75a)가 좌측으로 위치되어 있다(도 39 참조). 따라서, 제1 슬라이드 수단(24)의 구동측 슬라이더(25)에 지지된 지지축(135)은, 구동측 슬라이더(25)가 좌측으로 이동되었을 때에 삽입용 노치부(75a)를 통과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고, 구동측 슬라이더(25)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는 비록크 상태로 되어 있다(도 39 참조).
베이스 섀시(15)의 하면측에 배치된 삽입 규제 수단(77)은, 작동 레버(80)의 피가압 돌기부(87a)가 작용 기어(74)의 가압핀(76)에 의해 후방측으로 가압되고, 작동 레버(80)가 후방측으로 회전되어 있다(도 39 및 도 40 참조). 작동 레버(80)가 후방측으로 회전되고 있으므로, 규제용 레버(79)의 피가압핀(84b)이 작동 레버(80)의 레버 돌기부(87)에 의해 후방측으로 가압되고, 규제용 레버(79)는 걸림 결합 돌기(84a, 84a)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다(도 40 참조). 따라서, 걸림 결합 돌기(84a, 84a)에 의해, 지지 부재(78)에 지지된 규제핀(89)에 장착된 스냅 링(90)이 압축 코일 스프링(88)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하방으로 가압되고, 규제핀(89)의 상단부가 베이스 섀시(15)의 핀 삽입구멍(15e)으로부터 약간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규제핀(89)의 상단부가 핀 삽입구멍(15e)으로부터 약간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규제핀(89)의 상기 상단부는 베이스 섀시(15)의 이탈 오목부(15d)에 위치되고, 디스크 삽입구(2a)의 전방에는 위치되어 있지 않다(도 40 참조). 따라서, 반송 모드에 있어서는, 디스크 삽입구(2a)에 대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삽입 또는 인출이 가능한 비규제 상태로 되어 있다.
모드 슬라이더(91)는 후방측의 이동단에 위치되어 있다(도 38 및 도 39 참조). 따라서, 랙부(93)의 전단부가 베이스 섀시(15)의 하면에 지지된 연결 기어(72)와 치합되어 있다(도 39 참조).
모드 슬라이더(91)의 지지돌기(95, 95)는, 베이스 유닛(102)의 피지지돌기(104c)의 후방에 위치되어 있다. 모드 슬라이더(91)의 제1 캠벽(96) 및 제2 캠벽(97)은 제3 이송 롤러(9e)를 지지하는 지지축(144)의 후방에 위치되고, 제3 캠벽(98)은 제3 슬라이드 수단(34)의 제1 슬라이더(35)에 지지된 피안내축(39)의 후방에 위치되어 있다(도 38 참조). 모드 슬라이더(91)의 제4 캠벽(99)은, 전방측 직선부(99a)가 제5 이송 롤러(9i)를 지지하는 지지축(164)에 우측으로부터 걸림 결합되어 있다(도 38 참조). 이 때 지지축(164)은 제5 슬라이드 수단(48) 및 제4 수진기구(156)를 우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51) 및 가압 스프링(167)에 의해 제4 캠벽(99)의 전방측 직선부(99a)에 탄성 접촉되어 있다. 모드 슬라이더(91)의 가압 돌기(100)는, 서브 섀시(120)에 지지된 작용 레버(125)의 피작용부(128)의 후방에 위치되어 있다(도 38 참조). 모드 슬라이더(91)의 캠 돌기부(101)는 경사면(101a)의 좌단부가 제6 이송 롤러(9k)를 지지하는 지지축(166)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도38 참조).
베이스 유닛(102)은, 지지 케이스(103)의 캠돌출핀(104b)이 캠부재(67)의 캠홈(68)의 하부측 수평부(68a)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도 41 참조). 따라서, 베이스 유닛(102)은, 디스크 테이블(108)이 하방측의 이동단에 위치한 상태로 베이스 섀시(15)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베이스 유닛(102)이 경사져 있으므로, 걸림 결합 레버(105)의 걸림 결합부(105b)에 의해 분리 부재(57)는 들어올림부(59, 59)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분리 부재(57)에 의해 처킹 풀리(56)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다(도 41 참조). 따라서, 처킹 풀리(56)와 디스크 테이블(108)의 사이에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d) 디스크 삽입구와 스태커 사이의 반송 동작
다음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디스크 삽입구(2a)와 스태커(4) 사이에서 반송될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42 내지 도 71 참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를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삽입하여 스태커(4)까지 반송하여 수납하려고 할 때는, 도시하지 않은 수납 손잡이를 조작한다. 수납 손잡이가 조작되면, 처음에 스태커(4)가 승강 동작될 때의 승강 모드가 설정된다.
이 때 스태커(4)의 디스크 수납부(181, 181,…) 중,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를 수납하려고 하는 원하는 디스크 수납부(181)를 선택한다. 승강 모드에서의 각 부의 상태는 이하와 같다(도 42 내지 도 44 참조).
각 슬라이드 수단(24, 29, 34, 43, 48)의 상태는, 상기한 반송 모드에서의 상태와 동일하다.
베이스 섀시(15)의 하면에 지지된 캠부재(67)는, 반송 모드에서의 상태로부터 모드용 모터(61)의 회전에 의해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회전 방향(도 42에 나타낸 R2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회전되고, 한쪽의 작용핀(67b)이 제네바 종동 기어(69)의 피작용 홈(70d)에 삽입되기 직전의 위치에서 정지되어 있다(도 42 참조).
베이스 섀시(15)의 하면측에 배치된 삽입 규제수단(77)은, 작용 기어(74)가 캠부재(67)의 회전에 따라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회전 방향(도 42에 나타낸 P2방향)으로 회전되므로, 가압핀(76)에 의한 작동 레버(80)의 피가압 돌기부(87a)에의 후방측으로의 가압이 해제되어 있다(도 42 및 도 43 참조). 이 때 작용 기어(74)는, 규제벽(75)의 삽입용 노치부(75a)가 좌측으로 위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슬라이드 수단(24)의 구동측 슬라이더(25)에 지지된 지지축(135)은, 구동측 슬라이더(25)의 좌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려고 해도 규제벽(75)에 의해 상기 이동이 규제되고 삽입용 노치(75a)를 통과할 수 없는 상태로 되어 있고, 구동측 슬라이더(25)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한 록킹 상태로 되어 있다(도 42 및 도 43 참조).
구동측 슬라이더(25)의 록킹 상태는, 승강 모드 외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재생부(3)와 스태커(4) 사이에서 반송될 때의 수납 인출 모드, 재생부(3)에 반송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를 처킹하거나 또는 그 해제를 행하는 처킹 모드 및 처킹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이송 롤러(9, 9) 및 이송체(10, 10)에 의한 지지를 해제하거나 또는 다시 지지하는 디스크 지지 해제 모드에 있어서도 설정되고, 구동측 슬라이더(25)가 이동 가능하게 되는 비록킹 상태는, 상기 반송 모드에서만 설정된다.
따라서, 작용 기어(74)의 규제벽(75)은, 반송 모드 이외의 동작 모드에서, 구동측 슬라이더(25)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디스크 로딩 장치(1)에 있어서는, 반송 모드 이외의 동작 모드에서는 구동측 슬라이더(25)의 이동이 불가능한 록킹 상태가 설정되므로, 반송 모드 이외의 동작 모드에서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오삽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삽입 규제 수단(77)에 있어서는, 가압핀(76)에 의한 피가압 돌기부(87a)에의 후방측으로의 가압이 해제되어 있으므로, 압축 코일 스프링(88)의 탄성력에 의해, 규제용 레버(79)는 걸림 결합 돌기(84a, 84a)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규제핀(89)은 압축 코일 스프링(88)의 가압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고, 규제핀(89)의 상단부가 디스크 삽입구(2a)의 전방에 위치되어 있다(도 43 참조). 따라서, 승강 모드에 있어서는, 디스크 삽입구(2a)에 대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삽입 또는 인출이 불가능한 규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 작동 레버(80)는, 규제용 레버(79)의 피가압핀(84b)에 의해 레버 돌기부(87)가 전방측으로 가압되고, 상기 레버 돌기부(87)는 좌우로 연장되는 상태로 되어 있다(도 42 및 도 43 참조).
디스크 삽입구(2a)에 대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삽입 또는 인출이 불가능한 규제 상태는, 승강 모드 외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재생부(3)와 스태커(4)의 사이에서 반송될 때의 수납 인출 모드, 재생부(3)에 반송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를 처킹하거나 또는 그 해제를 행하는 처킹 모드 및 처킹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이송 롤러(9, 9) 및 이송체(10, 10)에 의한 지지를 해제하거나 또는 다시 지지하는 디스크 지지 해제 모드에 있어서도 설정되고, 디스크 삽입구(2a)에 대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삽입 또는 인출이 가능한 비규제 상태는, 상기 반송 모드에서만 설정된다.
디스크 로딩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측 슬라이더(25)의 록킹 상태가 설정되므로, 반송 모드 이외에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반송은 방지할 수 있지만, 록킹 상태의 설정만으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외주면이 제1 이송 롤러(9a) 및 제1 이송체(10a)에 접할 때까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를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예를 들면, 재생부(3)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재생부(3)에 존재하는 디스크형기록 매체(200)의 외주부와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삽입하려고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부가 접촉하고, 서로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 200)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디스크 로딩 장치(1)에 있어서는, 구동측 슬라이더(25)의 록킹 상태 및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삽입 또는 인출이 불가능한 규제 상태가 동시에 설정되도록 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부의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의 삽입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도 44 참조).
이와 같이, 록킹 상태가 설정될 때, 동시에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삽입이 불가능한 규제 상태가 설정되므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부의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의 삽입도 방지되고, 디스크 삽입구(2a)의 근방에 재생 중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존재하고 있어도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 200)끼리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다.
승강 모드에 있어서는, 모드 슬라이더(91)는 반송 모드와 동일하게 후방측의 이동단에 위치되어 있다(도 42 참조).
베이스 유닛(102)은, 반송 모드와 동일하게, 디스크 테이블(108)이 하방측의 이동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베이스 섀시(15)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상기에 설명한 승강 모드가 설정되면, 이어서, 수납 손잡이의 조작시에 선택한 원하는 디스크 수납부(181)가 수납 인출 위치에 이동되도록, 승강용 모터(168)가 회전된다.
승강용 모터(168)가 회전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그 회전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회전캠(176, 176, 176)이 회전되고, 스태커(4)의 피안내 돌기부(179a, 179a, 179a)의 캠홈부(177, 177, 177)에 대한 위치가 변화되고, 스태커(4)가 승강된다. 예를 들면, 선택된 디스크 수납부(181)가 최상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스태커(4)가 하방측의 이동단까지 이동되고, 상기 디스크 수납부(181)가 제6 이송 롤러(9k) 및 제6 이송체(10k)의 바로 뒤, 즉, 수납 인출 위치에 위치된다(도 45 참조). 또한, 선택된 디스크 수납부(181)가 최하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스태커(4)가 상방측의 이동단까지 이동되고, 상기 디스크 수납부(181)가 수납 인출 위치에 위치된다(도 46 참조).
상기와 같이 스태커(4)의 승강은, 회전캠(176, 176, 176)의 회전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랙과 승강용의 기어를 사용하여 승강 동작을 행하는 경우와 같이 랙과 승강용의 기어 사이의 백래쉬에 의한 스태커(4)의 정지 위치의 정밀도의 분산이 생기지 않고, 스태커(4)의 정지 위치의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스태커(4)의 피안내 돌기부(179a, 179a, 179a)가 회전캠(176, 176, 176)의 비작용부(177a, 177a, 177a) 중 어느 하나의 부분에 걸림 결합되어도 스태커(4)가 정지되기 때문에, 회전캠(176, 176, 176)의 회전 제어의 정밀도를 엄밀하게 설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로터리 인코더(174)에 의한 승강용 모터(168)의 회전 제어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태커(4)가 승강되고 원하는 디스크 수납부(181)가 수납 인출 위치에 위치되면, 이어서, 모드용 모터(61)가 회전되어 상기 반송 모드가 설정된다. 반송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수단(24)의 구동측 슬라이더(25)에 지지된 지지축(135)의 좌측으로 작용 기어(74)의 삽입용 노치(75a)가 위치되어 비록킹 상태로 되는 동시에 규제핀(89)이 하강되어 비규제 상태로 된다(도 39 및 도 4O 참조).
반송 모드가 설정되면, 이어서, 구동용 모터(110)가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구동용 모터(11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이송 롤러(9a, 9c, 9e, 9g, 9i, 9k)가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삽입되면,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외주면이 이송 롤러(9a)와 이송체(10a)로 가압되고, 이송 롤러(9a)의 회전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케이스(2)의 내부로 인입되어 간다(도 47 참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인입되어갈 때는, 이송 롤러(9a)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외주면 상을 전동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인입되어 가면, 이송 롤러(9a)와 이송체(10a) 사이의 거리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2OOa)의 인입된 위치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되고, 제1 슬라이드 수단(24)의 구동측 슬라이더(25)와 종동측 슬라이더(26)가 스프링 부재(27)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지지 섀시(14)에 대해서 슬라이드된다(도 47 참조). 이 때 제1 수진기구(129)는, 회전 부재(130)와 회전 레버(131)의 경사각도가 변화되면서, 지지축(135)이 베이스 섀시(15)에 형성된 가이드구멍(15m)에 안내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인입되고, 구동측 슬라이더(25)와 종동측 슬라이더(26)가 스프링 부재(27)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더 슬라이드되면, 종동측 슬라이더(26)의 가압 돌기부(26b)에 의해 제2 슬라이드 수단(29)의 종동측 슬라이더(31)의 피가압 돌기부(31c)가 가압되고, 구동측 슬라이더(25)와 종동측 슬라이더(26)의 슬라이드에 따라 구동측 슬라이더(30)와 종동측 슬라이더(31)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도 48 참조). 구동측 슬라이더(30)와 종동측 슬라이더(31)의 슬라이드가 개시되었을 때에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외주면은 이송 롤러(9c)와 이송체(10c)에는 접촉하지 않는다.
구동측 슬라이더(25)와 종동측 슬라이더(26)가 스프링 부재(27)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더 슬라이드되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외주면이 제1 이송 롤러(9a), 제1 이송체(10a)로부터 제2 이송 롤러(9c), 제2 이송체(10c)로 주고 받게 된다(도 49 참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를 주고 받을 될 때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외주면에 제1 이송 롤러(9a), 제2 이송 롤러(9c), 제1 이송체(10a) 및 제2 이송체(10c)가 접촉한 상태로 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더 인입되면, 구동측 슬라이더(30)와 종동측 슬라이더(31)는 스프링 부재(32)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더 슬라이드되고, 반대로, 구동측 슬라이더(25)와 종동측 슬라이더(26)는 스프링 부재(27)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간다(도 50 참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더 인입되어 가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외주면이 제3 슬라이드 수단(34)의 제1 슬라이더(35)와 제2 슬라이더(36)에 각각 지지된 제1 규제 롤러(37)와 제2 규제 롤러(41)에 접촉한다(도 51 참조).
또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인입되어 가면, 제1 슬라이더(35)와 제2슬라이더(36)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제2 이송 롤러(9c), 제2 이송체(10c)로부터 제3 이송 롤러(9e), 제3 이송체(10e)로 주고 받게 된다(도 52 참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를 주고 받을 될 때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외주면에 제1 이송 롤러(9a), 제3 이송 롤러(9e), 제1 규제 롤러(37), 제1 이송체(10a), 제3 이송체(10e) 및 제2 규제 롤러(41)가 접촉한 상태로 된다. 제1 규제 롤러(37) 및 제2 규제 롤러(41)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외주면에 접촉해도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외주면에 대해서 공전(空轉)되기 때문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를 반송하는 수단으로서는 기능하지 않는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제3 이송 롤러(9e) 및 제3 이송체(10e)에 주고 받게 되어 더 인입되어 가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외주면이 제4 이송 롤러(9g) 및 제4 이송체(10g)에 접촉한다(도 53 참조). 이 때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외주면으로부터 제1 이송 롤러(9a) 및 제1 이송체(10a)가 이격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외주면에 제3 이송 롤러(9e), 제4 이송 롤러(9g), 제1 규제 롤러(37), 제3 이송체(10e), 제4 이송체(10g) 및 제2 규제 롤러(41)가 접촉한 상태로 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외주면에 제4 이송 롤러(9g) 및 제4 이송체(10g)가 접촉하면, 구동용 모터(110)의 회전이 일단 정지된다. 이 때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는 그 중심구멍이 디스크 테이블(108)의 대략 바로 위에 위치되고, 디스크 테이블(108)에의 장착이 가능한 장착 위치에 지지된다(도 53 참조).
구동용 모터(110)의 회전이 정지되면, 이어서, 모드용 모터(61)가 회전된다. 모드용 모터(61)는 캠부재(67)가 도 42에 나타낸 R2방향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모드용 모터(61)의 회전에 의해 캠부재(67)가 회전되면, 한쪽의 작용핀(67b)이 제네바 종동 기어(69)의 피작용 홈(70d)에 삽입된다(도 54 참조). 작용핀(67b)이 피작용 홈(70d)에 삽입되면 제네바 종동 기어(69)가 회전되고, 연결 기어(72)를 통하여 모드 슬라이더(91)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제네바 종동 기어(69)는 작용핀(67b)이 피작용 홈(70d)으로부터 인출되기 까지 캠부재(67)의 회전에 의해 90° 회전되고, 캠부재(67)의 돌기부(67c)가 제네바 종동 기어(69)의 벽부(70b)에 접촉 또는 근접하여 위치되므로 모드용 모터(61)의 회전이 정지된다.
모드용 모터(61)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 있어서는, 베이스 유닛(102)의 캠돌출핀(104b)은 캠부재(67)의 캠홈(68)의 하부측 수평부(68a)에서의 경사부(68b)측의 단부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
모드 슬라이더(91)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캠 돌기부(101)가 제4 수진기구(156)의 지지축(166)으로부터 이격되는 동시에 지지축(166)이 제4 캠벽(99)을 전방측 직선부(99a)로부터 전방측 경사부(99b)를 거쳐 중간측 직선부(99c)로 향하여 슬라이드 접촉되기 때문에, 제5 슬라이드 수단(48)의 구동측 슬라이더(49)와 종동측 슬라이더(50)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도 55 참조). 제5 슬라이드 수단(48)은, 스프링 부재(51)의 탄성력에 의하여 구동측 슬라이더(49)의 규제 돌기부(49b)에 종동측 슬라이더(50)의 규제부(50f)가 접촉되어 있고, 구동측 슬라이더(49)와 종동측 슬라이더(50)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에서의 이동단에 위치된다. 따라서, 구동측 슬라이더(49)에 지지된 제5 이송 롤러(9i) 및 제6 이송 롤러(9k)와 종동측 슬라이더(50)에 장착된 제5 이송체(10i) 및 제6 이송체(10k)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에서의 이동단에 지지된다.
모드 슬라이더(91)는 피안내축(94, 94, 94)이 베이스 섀시(15)의 지지구멍(151, 151, 151)의 전후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된 상태로 정지되고, 재생부(3)와 스태커(4) 사이에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반송을 행하는 수납 인출 모드가 설정된다(도 56 참조). 이 때 제4 수진기구(156)의 지지축(164)은 제4 캠벽(99)의 중간측 직선부(99c)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
수납 인출 모드가 설정되면, 이어서, 구동용 모터(110)가 다시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구동용 모터(11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다시, 각 이송 롤러(9a, 9c, 9e, 9g, 9i, 9k)가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된다.
수납 인출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외주면에 제3 이송 롤러(9e), 제4 이송 롤러(9g), 제3 이송체(10e) 및 제4 이송체(10g)가 접촉해 있으므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는 제3 이송 롤러(9e) 및 제4 이송 롤러(9g)의 회전에 의해 인입되고 스태커(4)로 향하여 반송되어 간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인입되어 가면, 제4 슬라이드 수단(43)의 구동측 슬라이더(44)와 종동측 슬라이더(45)가 스프링 부재(46)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반대로, 제2 슬라이드 수단(29)의 구동측슬라이더(30)와 종동측 슬라이더(31)가 스프링 부재(32)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간다(도 57 참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더 인입되어 가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외주면이 제2 슬라이드 수단(29)의 구동측 슬라이더(30)와 종동측 슬라이더(3l)로부터 이격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는 제4 슬라이드 수단(43)의 구동측 슬라이더(44)에 지지된 제4 이송 롤러(9g)의 회전만에 의하여 인입되어 간다(도 58 참조). 이 때 제3 슬라이드 수단(34)의 제1 슬라이더(35)와 제2 슬라이더(36)는 스프링 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간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더 인입되어 가면,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외주면이 제5 이송 롤러(9i)와 제5 이송체(10i)에 접촉하고, 제4 이송 롤러(9g)와 제5 이송 롤러(9i)의 회전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스태커(4)로 향하여 반송된다(도 59 참조). 이 때 제4 슬라이드 수단(43)의 구동측 슬라이더(44)와 종동측 슬라이더(45)는, 스프링 부재(46)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간다.
또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인입되어 가면, 제5 슬라이드 수단(48)의 구동측 슬라이더(49)와 종동측 슬라이더(50)가 스프링 부재(51)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외주면이 제5 이송 롤러(9i)의 회전만에 의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스태커(4)로 향하여 반송된다(도 6O 참조). 이 때 지지 섀시(14)에 지지된 이동 레버(53, 53)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외주면에 접촉 정지부(55, 55)가 슬라이드 접촉되기때문에,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토션 코일 스프링(54, 54)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약간 회전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더 인입되어 가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외주면이 제5 이송 롤러(9i)와 제5 이송체(10i)로부터 이격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는 제6 이송 롤러(9k)의 회전만에 의해 인입되어 간다(도 61 참조).
상기와 같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재생부(3)로부터 스태커(4)로 향하여 반송될 때에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O0a)의 외주 에지부, 즉, 기록면 이외의 부분이, 지지 섀시(14)의 하면에 설치된 디스크 가이드부(23, 23)의 수용부(23b, 23b)와 베이스 섀시(15)의 상면에 설치된 디스크 가이드부(15t, 15t)에 근접 또는 접촉한 상태로 이동된다(도 62 참조). 따라서, 반송시에서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기울어짐이 방지되고 반송 동작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기록면 이외의 부분이 디스크 가이드부(23, 23) 및 디스크 가이드부(15t, 15t)에 접촉하기 때문에, 기록면의 손상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디스크 로딩 장치(1)에서는, 디스크 가이드부(23, 23)와 디스크 가이드부(15t, 15t)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를 두께 방향에서 지지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기울어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크 로딩 장치(1)에서는, 재생부(3)와 스태커(4) 사이의 반송시 에서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크 가이드부(23, 23) 및 디스크 가이드부(15t, 15t)를 설치하고 있지만, 디스크 삽입구(2a)와 재생부(3) 사이에 반송시에서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위한 디스크 가이드부를 지지 섀시(14)나 베이스 섀시(15)에 설치해도 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는 제6 이송 롤러(9k)의 회전만에 의하여 인입되어 감으로써, 스태커(4)의 기다리고 있는 디스크 수납부(181)에 수납된다(도 63 참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상기 디스크 수납부(181)에 수납되면, 구동용 모터(110)의 회전이 정지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디스크 수납부(181)에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는, 구동측 슬라이더(49)와 종동측 슬라이더(50)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51)의 탄성력에 의해 제6 이송 롤러(9k)와 제6 이송체(10k)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외주면에 탄력 접촉되어 있다(도 64 참조). 따라서, 제6 이송 롤러(9k)와 제6 이송체(10k)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디스크 수납부(181)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어 있다. 이 때 이동 레버(53, 53)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의 회전단에 위치되고, 접촉 정지부(55, 55)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외주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여 위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디스크 수납부(181)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2O0a)가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이젝트 손잡이가 조작되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스태커(4)로부터 디스크 삽입구(2a)까지 다음과 같이 하여 반송된다. 그리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스태커(4)로부터 디스크 삽입구(2a)까지의 반송 동작은, 상기한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스태커(4)까지의 반송 동작의 반대의 동작이므로, 간단하게 설명한다.
이젝트 손잡이가 조작되면, 수납 인출 모드가 설정되고, 구동용 모터(110)가상기와는 반대의 다른 방향으로 회전된다. 구동용 모터(110)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면, 각 이송 롤러(9a, 9c, 9e, 9g, 9i, 9k)가 평면에서 보아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된다.
구동용 모터(110)가 회전되면, 제6 이송 롤러(9k)의 회전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디스크 수납부(181)로부터 인출되고, 재생부(3)로 향하여 반송되어 간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Oa)는 제6 이송 롤러(9k), 제6 이송체(10k)로부터 제5 이송 롤러(9i), 제5 이송체(10i)를 통하여 제4 이송 롤러(9g), 제4 이송체(10g) 및 제3 이송 롤러(9e), 제3 이송체(10e)에 주고 받으면서, 재생부(3)까지 반송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재생부(3)까지 반송되면, 구동용 모터(110)의 회전이 일단 정지되고, 이어서, 모드용 모터(61)가 회전되고 모드 슬라이더(91)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반송 모드가 설정된다. 반송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수단(24)의 구동측 슬라이더(25)에 지지된 지지축(135)의 좌측으로 작용 기어(74)의 삽입용 노치(75a)가 위치되어 비록킹 상태로 되는 동시에 규제핀(89)이 하강되어 비규제 상태로 된다(도 39 및 도 4O 참조).
반송 모드가 설정되면 모드용 모터(61)의 회전이 정지되고, 다시 구동용 모터(110)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고 각 이송 롤러(9a, 9c, 9e, 9g, 9i, 9k)가 다시 평면에서 보아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는 제4 이송 롤러(9g), 제4 이송체(10g)로부터 제3 이송 롤러(9e), 제3 이송체(10e) 및 제2 이송 롤러(9c), 제2 이송체(10c)를 통하여제1 이송 롤러(9a), 제1 이송체(10a)로 주고 받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디스크 삽입구(3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다. 돌출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를 파지하여 빼냄으로써,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를 케이스(2)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디스크 로딩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5 이송 롤러(9i)가, 각 이송 롤러(9a, 9c, 9e, 9g) 및 각 이송체(10a, 10c, 10e, 10g)와 비교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부분의 직경이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재생부(3)로부터 스태커(4)로 향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반송될 때, 제5 이송 롤러(9i)의 회전에 의해 스태커(4)를 향하여 이동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이, 제6 이송체(10k)에 접촉하기 전에 확실하게 제6 이송 롤러(9k)에 접촉한다(도 65 참조). 이와 같이, 제5 이송 롤러(9i)의 회전에 의해 이동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이 항상 제6 이송 롤러(9k)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예를 들면, 시간의 경과에 의한 마모에 의해 제6 이송 롤러(9k)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와 접촉하는 부분의 직경이 변화된 경우나, 제조상의 치수 오차 등에 의해 제5 이송 롤러(9i), 제5 이송체(10i), 제6 이송 롤러(9k), 제6 이송체(10k)에 설계상의 위치에 대하여 약간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된 경우 등에서도, 제5 이송 롤러(9i)로부터 제6 이송 롤러(9k)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를 확실하게 주고 받기 때문에, 반송 동작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크 로딩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제5 이송 롤러(9i)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과 접하는 부분의 직경을, 각 이송 롤러(9a,9c, 9e, 9g) 및 각 이송체(10a, 10c, 10e, 10g)에 대하여 작게 하고 있지만,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확실한 주고 받음을 행하도록 하기 위해, 각 이송 롤러(9a, 9c, 9e, 9g, 9i, 9k) 및 각 이송체(10a, 10c, 10e, 10g, 10i, 10k) 중, 반송시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를 둘러싸도록 위치되는 이송 롤러(9, 9) 및 이송체(10, 10)에 있어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를 주고 받는 측을 제m번째로 하고 주고 받게 되는 측을 제m+1번째로 할 때, 다음과 같이 하여 반송 동작을 확실하게 행하도록 해도 된다.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스태커(4)로 향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반송되는 상태에 있어서는, 제m+1번째의 이송체(10)의 직경을 제m번째의 이송 롤러(9), 제m+1번째의 이송 롤러(9) 및 제m번째의 이송체(10)의 직경보다 작게 하거나(도 66 참조), 또는, 제m번째의 이송체(10)의 직경을 제m번째의 이송 롤러(9), 제m+1번째의 이송 롤러(9) 및 제m+1번째의 이송체(10)의 직경보다 크게 하거나(도 67 참조), 또는, 제m+1번째의 이송 롤러(9)의 직경을 제m번째의 이송 롤러(9), 제m번째의 이송체(10) 및 제m+1번째의 이송체(10)의 직경보다 크게 한다(도 68 참조)라고하는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태커(4)로부터 디스크 삽입구(2a)로 향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반송되는 상태에 있어서는, 제m번째의 이송 롤러(9)의 직경을 제m+1번째의 이송 롤러(9), 제m번째의 이송체(10) 및 제m+1번째의 이송체(10)의 직경보다 작게 하거나, 또는, 제m+1번째의 이송체(10)의 직경을 제m번째의 이송 롤러(9), 제m+1번째의 이송 롤러(9) 및 제m번째의 이송체(10)의 직경보다 작게 하거나, 또는, 제m+1번째의이송 롤러(9)의 직경을 제m번째의 이송 롤러(9), 제m+1번째의 이송체(10) 및 제m번째의 이송체(10)의 직경보다 크게 하거나, 제m번째의 이송체(10)의 직경을 제m번째의 이송 롤러(9), 제m+1번째의 이송 롤러(9) 및 제m+1번째의 이송체(10)의 직경보다 크게 한다는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수단을 사용해도, 제m번째의 이송 롤러(9)와 제m+1번째의 이송 롤러(9)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확실하게 접촉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반송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는, 반송시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를 둘러싸도록 위치되는 이송 롤러(9, 9) 및 이송체(10, 10)에 대하여, 직경의 크기를 변경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이송 롤러(9)와 이송체(10)와 제1 규제 롤러(37)와 제2 규제 롤러(42)가 반송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를 둘러싸도록 위치되었을 때에, 이송체(10)와 제1 규제 롤러(37)와 제2 규제 롤러(42)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접촉하지만 이송 롤러(9)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접촉하지 않은 반송 불가능한 상태로 되어 버리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규제 롤러(37) 또는 제2 규제 롤러(42)의 직경의 크기를 변경하여, 항상 이송 롤러(9)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이송 롤러(9, 9,…) 또는 이송체(10, 10,…)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이송 롤러(9, 9,…) 또는 이송체(10, 10,…)의 직경과 다르도록 하고, 제m번째의 이송 롤러(9)와 제m+1번째의 이송 롤러(9), 또는, 제m번째의 이송체(10)와 제m+1번째의 이송체(10) 중 적어도 한쪽을, 소정의 링크 수단에 의해 연결하고상기 링크 수단을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하여, 제m번째의 이송 롤러(9), 이송체(10)간의 거리(Lm)보다 제m+1번째의 이송 롤러(9), 이송체(10)간의 거리(Lm+1)를 크게 할 수도 있다(도 69 참조).
이와 같이 거리(Lm)보다 거리(Lm+1)를 크게 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이송 롤러(9)와 이송체(10)에 주고 받을 때의 접촉각(θ)(도 37 참조)이 작게 되기 때문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대하여 이송 롤러(9) 및 이송체(10)가 미끄러지도록 되지 않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반송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를 이송하기 위한 힘이 작아도 되어 구동력이 작은 구동용 모터(11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로딩 장치(1)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제2 이송 롤러(9c)와 제3 이송 롤러(9e)를 링크 수단으로서 제2 회전 레버(140)를 사용하여 연결하고, 또, 제5 이송 롤러(9i)와 제6 이송 롤러(9k)를 링크 수단으로서 제2 회전 레버(160)를 사용하여 연결하고 있다.
디스크 로딩 장치(1)에 있어서, 제m번째의 이송 롤러(9)로부터 제m+1번째의 이송 롤러(9)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를 주고 받을 때, 제m번째의 이송 롤러(9)에 의한 반송 방향에서의 이송 속도를 A로 하고 제m+1번째의 이송 롤러(9)에 의한 반송 방향에서의 전송 속도를 B로 할 때, 이송 속도(B)를 이송 속도(A)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이송 속도(A, B)의 설정은,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한 제어나 구동용 모터(110)의 구동력을 이송 롤러(9, 9,…)에 전달하는 각 기어의 직경을 변경하는 것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 속도(B)를 이송 속도(A) 이상으로 함으로써, 이송 롤러(9)로부터 다음 이송 롤러(9)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를 주고 받을 때, 주고 받게 되는 측의 이송 롤러(9)의 회전이 주고 받는 측의 이송 롤러(9)의 이송 동작에 대한 부하로 되지 않고, 반송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디스크 로딩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삽입되고 제1 슬라이드 수단(24)의 구동측 슬라이더(25)와 종동측 슬라이더(26)가 스프링 부재(27)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었을 때에, 종동측 슬라이더(26)의 가압 돌기부(26b)에 의해 제2 슬라이드 수단(29)의 종동측 슬라이더(31)의 피가압 돌기부(31c)가 가압되고, 구동측 슬라이더(25)와 종동측 슬라이더(26)의 슬라이드에 따라 구동측 슬라이더(30)와 종동측 슬라이더(31)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고 있다(도 48 참조). 따라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구동측 슬라이더(30)에 지지된 제2 이송 롤러(9c), 제3 이송 롤러(9e), 제2 이송체(10c), 제3 이송체(10e)에 접촉할 때, 제2 이송 롤러(9c), 제2 이송체(10c)간의 간격 및 제3 이송 롤러(9e), 제3 이송체(10e)간의 간격이 크고 접촉각(θ)(도 37 참조)이 작게 되어 있으므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대해서 제2 이송 롤러(9c), 제3 이송 롤러(9e), 제2 이송체(10c), 제3 이송체(10e)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대하여 미끄러지지 않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반송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를 이송하기 위한 힘이 작아도 되어 구동력이 작은 구동용 모터(110)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를 반송할 때에, 좌우에 위치하는 이송 롤러(9)와 이송체(10)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반송 위치에 따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반송 방향에서의 이송 롤러(9, 9,…)사이 및 이송체(10, 10,…)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할 수 있고, 그만큼, 부품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로딩 장치(1)에 있어서는, 구동측 슬라이더(25)와 종동측 슬라이더(26)의 슬라이드에 따라 구동측 슬라이더(30)와 종동측 슬라이더(31)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반송 방향에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주고 받게 되는 측에 위치하는 구동측 슬라이더(25, 30, 44, 49) 및 종동측 슬라이더(26, 31, 45, 50)가, 주고 받는 측에 위치하는 구동측 슬라이더(25, 30, 44, 49), 제1 슬라이더(35) 및 종동측 슬라이더(26, 31, 45, 50), 제2 슬라이더(36)의 슬라이드에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에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를 주고 받는 측의 구동측 슬라이더(25, 30, 44, 49) 또는 제1 슬라이더(35)와 종동측 슬라이더(26, 31, 45, 50) 또는 제2 슬라이더(36)의 슬라이드에 따라 주고 받게되는 측의 구동측 슬라이더(25, 30, 44, 49)와 종동측 슬라이더(26, 31, 45, 50)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한 쌍의 작용 부재(183, 183)를 사용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주고 받게되는 측의 구동측 슬라이더(25, 30, 44, 49)와 종동측 슬라이더(26, 31, 45, 50)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해도 된다(도 70 및 도 71 참조).
작용 부재(183, 183)는, 이송 롤러(9) 및 이송체(10)에, 예를 들면, 연결부(184, 184)를 통하여 연결된 환축형의 부재이다. 작용 부재(183, 183)는, 이송 롤러(9) 및 이송체(10)보다도 반송되어 오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측에 위치되어 있다(도 70 참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반송되어 오면,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이 처음에 작용 부재(183, 183)에 접촉하고(도 71의 점선 참조), 또한 반송되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이 작용 부재(183, 183)를 가압하고, 상기 작용 부재(183, 183)와 함께 이송 롤러(9)와 이송체(10)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구동측 슬라이더와 종동측 슬라이더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이송 롤러(9), 이송체(10) 및 작용 부재(183, 183)에 접촉한 상태로 된다(도 71의 실선 참조). 또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반송되면, 그 외주면이 작용 부재(183, 183)으로부터 이격되는 동시에 이송 롤러(9)와 이송체(10)를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이송 롤러(9)의 회전에 의하여 반송되어 간다(도 71의 2점쇄선 참조).
이와 같이 작용 부재(183, 183)를 사용하여 주고 받게되는 측의 구동측 슬라이더와 종동측 슬라이더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했을 경우에도,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이송 롤러(9)와 이송체(10)에 접촉할 때, 이송 롤러(9), 이송체(10)간의 간격이 크고 접촉각(θ)(도 37 참조)이 작게 되기 때문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반송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구동력이 작은 구동용 모터(110)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디스크 로딩 장치(1)에 있어서는, 제m번째의 이송 롤러(9)와 제m+1번째의 이송 롤러(9)의 직경을 다르도록 하고, 제m번째의 이송 롤러(9)와 제m+1번째의 이송 롤러(9)의 단위시간당 회전수를 다르도록 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제m번째의 이송 롤러(9)로부터 제m+1번째의 이송 롤러(9)로 주고 받게될 때의 반송 방향에서의 속도가 일정하게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간단한 수단으로 반송 효율의 향상 및 주고 받을 때의 주고 받는 측의 이송 롤러(9)의 이송 동작에 대한 부하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이송 롤러(9)의 직경을 다르게 하기 때문에, 설계의 자유도가 넓어지는 동시에 이송 롤러(9)의 직경을 작게 함으로써 디스크 로딩 장치(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디스크 로딩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반송 동작에서 각 슬라이드 수단(24, 29, 34, 43, 48)이 슬라이드 되었을 때에, 스프링 부재(27, 32, 40, 46, 51)의 일부가 각 슬라이드 수단(24, 29, 34, 43, 48)의 이동 공간 내에서 신축된다. 따라서, 스프링 부재(27, 32, 40, 46, 51)가 신축되기 위한 전용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공간의 유효 활용에 의한 디스크 로딩 장치(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스프링 부재(27, 32, 40, 46, 51)가 지지 섀시(14)와 한쪽의 슬라이더(25, 31, 35, 44, 49)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스프링 부재(27, 32, 40, 46, 51)를 슬라이더(25, 26)간, 슬라이더(30, 31)간, 슬라이더(35, 36)간, 슬라이더(44, 45)간 또는 슬라이더(49, 50)간에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스프링 부재(27, 32, 40, 46, 51)의 신축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 선택의 여지가 커지는 동시에 설계의 자유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스프링 부재(27, 46, 51)는, 각각 이송 롤러(9a, 9g, 9i, 9k)를 지지하는 구동측 슬라이더(25, 44, 49)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이송 롤러(9a, 9g, 9i, 9k)에 접촉하여 구동측 슬라이더(25, 44, 49)가 슬라이드될 때, 스프링 부재(27, 46, 51)를 종동측 슬라이더(26, 45, 50)에 지지한 경우와 비교해, 피니언(28, 47, 52)과 랙부(25e, 44e, 49f) 사이의 백래쉬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제2 슬라이드 수단(29)에 있어도, 스프링 부재(32)를 종동측 슬라이더(31)에 대신하여 구동측 슬라이더(30)에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디스크 로딩 장치(1)에 있어서는, 4개의 수진기구(129, 136, 148, 156)를 설치하고, 각각 회전 부재(130)와 회전 레버(131), 회전 부재(137)와 회전 레버(138, 140), 회전 부재(149)와 회전 레버(150), 회전 부재(157)와 회전 레버(158, 16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수진기구(129, 136, 148, 156)에 각각 지지된 이송 롤러(9a, 9c, 9e, 9g, 9i, 9k)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반송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고, 각 이송 롤러(9, 9,…)와 이송체(10, 10,…)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를 서로 180° 반대측으로부터 협지할 수 있다.
또, 수진기구(129, 136, 148, 156)에 있어서는, 각 전달 기어(133, 134, 142, 143, 145, 145, 145, 152, 153, 162, 163, 165, 165, 165)를 통하여 이송 롤러(9a, 9c, 9e, 9g, 9i, 9k)에 구동용 모터(110)의 구동력이 각각 전달되기 때문에, 1개의 구동용 모터(110)에 의해 모든 이송 롤러(9a, 9c, 9e, 9g, 9i, 9k)에 구동력이 전달되고, 기구의 간소화 및 부품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디스크 로딩 장치(1)에 있어서는, 4개의 수진기구(129, 136, 148, 156)가 설치되어 있고, 각각 회전 부재(130)와 회전 레버(131), 회전 부재(137)와 회전 레버(138, 140), 회전 부재(149)와 회전 레버(150), 회전 부재(157)와 회전 레버(158, 160)의 위치 관계 및 지점 기어(115, 115,…), 각 전달 기어(133, 134, 142, 143, 145, 145, 145, 152, 153, 162, 163, 165, 165, 165)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 레버(131, 138, 140, 150, 158, 160)에 소정의 방향으로의 회전 모멘트가 발생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스태커(4)로 향하여 반송된 상태에서, 반송중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이 각 이송 롤러(9, 9,…)에 접촉했을 때에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접촉이 각 이송 롤러(9, 9,…)의 회전에 대한 부하로 되므로, 이하와 같은 회전 모멘트가 발생된다. 회전 모멘트의 방향은, 제1 수진기구(129)의 회전 레버(131)는 평면에서 보아 시계 회전 방향, 제2 수진기구(136)의 제1 회전 레버(138) 및 제2 회전 레버(140)는 평면에서 보아 시계 회전 방향, 제3 수진기구(148)의 회전 레버(150)는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회전 방향, 제4 수진기구(156)의 제1 회전 레버(158) 및 제2 회전 레버(160)는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회전 방향이다. 따라서, 각 회전 모멘트에 의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스태커(4)로 향하여 반송될 때는, 제1 이송 롤러(9a), 제2 이송 롤러(9c) 및 제3 이송 롤러(9e)에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부여되고, 제4 이송 롤러(9g), 제5 이송 롤러(9i) 및 제6 이송 롤러(9k)에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외주면에 접근하는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부여된다.
한편,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스태커(4)로부터 디스크 삽입구(2a)로 향하여 반송된 상태에서, 반송중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이 각 이송 롤러(9, 9,…)에 접촉했을 때에도,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접촉이 각 이송 롤러(9, 9,…)의 회전에 대한 부하로 되므로, 이하와 같은 회전 모멘트가 생긴다. 회전 모멘트의 방향은, 상기와는 반대로 되고, 각 회전 모멘트에 의해, 제1 이송 롤러(9a), 제2 이송 롤러(9c) 및 제3 이송 롤러(9e)에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접근하는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부여되고, 제4 이송 롤러(9g), 제5 이송 롤러(9i) 및 제6 이송 롤러(9k)에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부여된다.
디스크 로딩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반송 방향에 따라 각 회전 레버(131, 138, 140, 150, 158, 160)에 소정의 방향으로의 회전 모멘트가 발생되고, 각 이송 롤러(9, 9,…)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대해서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부여된다. 이송 롤러(9, 9,…)에 부여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클 때에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 사이에 소정의 마찰력을 얻을 수 없고, 반송 동작에 지장을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디스크 로딩 장치(1)에서는, 소정의 마찰력을 얻기 위한 이하와 같은 2개의 수단을 사용하고 있다.
제1 수단으로서, 각 수진기구(129, 136, 148, 156)에 감속 기어으로서 기능하는 제1 전달 기어(133), 제1 전달 기어(142), 제1 전달 기어(152), 제1 전달 기어(162)를 사용하고, 각 이송 롤러(9, 9,…)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송 롤러(9, 9,…)의 회전 속도를 감속함으로써,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가 각 이송 롤러(9, 9,…)와 접촉했을 때에 발생되는 회전 모멘트가 작게 되고, 이송 롤러(9, 9,…)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작게 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와의 사이의 소정의 마찰력을 얻을 수 있다.
제2 수단으로서, 각 수진기구(136, l48, 156)의 이송 롤러(9, 9,…)를, 반송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가압하기 위한 가압 스프링(147, 155, 167)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송 롤러(9, 9,…)를 가압 스프링(147, 155, 167)에 의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가압함으로써,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와의 사이의 소정의 마찰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디스크 로딩 장치(1)에 있어서는, 제1 수진기구(129)의 이송 롤러(9a)를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가압하기 위한 가압 스프링을 설치하고 있지 않지만, 이송 롤러(9a)를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의 외주면에 가압하기 위한 가압 스프링을 설치할 수도 있다.
(e) 재생 동작(대 직경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
다음에,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삽입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재생부(3)에서 재생될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72 내지 도 80 참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에 기록된 정보 신호의 재생을 실시하려고 할 때는, 도시하지 않은 재생 손잡이를 조작한다. 재생 손잡이가 조작되면, 상기한 반송 모드가 설정된다. 반송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를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삽입하면,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스태커(4)로 향하여 상기 반송 동작(도 47 내지 도 53 참조)과 마찬가지의 동작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재생부(3)까지 반송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재생부(3)까지 반송되면 구동용 모터(110)의 회전이 정지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재생부(3)에 반송된 상태에서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외주면에 제3 이송 롤러(9e), 제4 이송 롤러(9g), 제1 규제 롤러(37), 제3 이송체(10e), 제4 이송체(10g) 및 제2 규제 롤러(41)가 접촉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는 그 중심구멍이 디스크 테이블(108)의 대략 직상부에 위치되고, 디스크 테이블(108)에의 장착이 가능한 장착 위치에 지지된다(도 53 참조).
구동용 모터(110)의 회전이 정지되면, 이어서, 모드용 모터(61)가 회전된다. 모드용 모터(61)는 캠부재(67)가 도 39에 나타낸 R2방향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모드용 모터(61)의 회전에 의해 캠부재(67)가 회전되면, 한쪽의 작용핀(67b)이 제네바 종동 기어(69)의 피작용홈(70d)에 삽입되어 제네바 종동 기어(69)가 90°회전되고, 연결 기어(72)를 통하여 모드 슬라이더(91)가 전방으로 이동된다(도 56 참조).
모드용 모터(61)는 계속하여 회전된다. 모드용 모터(61)가 계속 회전되면, 재생부(3)에 반송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를 처킹하거나 또는 그 해제를 행하는 처킹 모드가 설정되고, 캠부재(67)의 회전에 따라 베이스 유닛(102)의 캠돌출핀(104b)이 캠홈(68)의 하부측 수평부(68a)로부터 경사부(68b) 내를 상부측 수평부(68c)로 향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되어 간다(도 72 참조). 캠돌출핀(104b)이 경사부(68b) 내를 상부측 수평부(68c)로 향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됨으로써, 베이스 유닛(102)은 디스크 테이블(108)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간다.
캠부재(67)는 모드용 모터(61)의 회전에 의해 계속 회전되고, 캠돌출핀(104b)이 캠홈(68)의 상부측 수평부(68c)까지 상대적으로 이동된다(도 73 참조). 캠돌출핀(104b)이 캠홈(68)의 상부측 수평부(68c)까지 상대적으로 이동될 때는, 디스크 테이블(108)의 센터링 돌기부(108b)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중심구멍에 삽입되어 처킹 풀리(56)의 삽입 오목부(56d)에 삽입된다. 디스크 테이블(108)의 센터링 돌기부(108b)가 처킹 풀리(56)의 삽입 오목부(56d)에 삽입되면, 디스크 테이블(108)의 마그네트에 의해 처킹 풀리(56)의 자성 금속판이 끌어 당겨지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디스크 테이블(108)의 테이블부(108a)와 처킹 풀리(56)의 스태빌라이져(stabilizer)부(56b)에 의해 협지되어 처킹된다(도 73 참조). 이 때 지지 섀시(14)에 지지된 분리 부재(57)는, 피작용부(60)가 베이스 유닛(102)의 걸림 결합 레버(105)와 걸림 결합된 상태로, 들어올림부(59, 59)가 처킹 풀리(56)의 플랜지부(56a)의 하방에 위치되어 있다.
모드용 모터(61)는 계속 회전되고, 캠돌출핀(104b)은 캠부재(67)의 캠홈(68)의 상부측 수평부(68c) 내를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모드용 모터(61)가 계속해 회전되면, 다른 쪽의 작용핀(67b)이 제네바 종동 기어(69)의 피작용 홈(70e)에 삽입되어 제네바 종동 기어(69)가 다시 회전되고, 연결 기어(72)를 통하여 모드 슬라이더(91)가 더 전방으로 이동되어 간다(도 74 참조).
모드 슬라이더(91)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가면, 제3 이송 롤러(9e)를 지지하는 지지축(144)이 제1 캠벽(96)과 슬라이드 접촉되고, 제1 규제 롤러(37)의 하부측에 설치된 수용부재(38)를 관통한 피안내축(39)이 제3 캠벽(98)과 슬라이드 접촉되고, 제5 이송 롤러(9i)를 지지하는 지지축(164)이 제4 캠벽(99)과 슬라이드 접촉된다. 이 때 동시에, 서브 섀시(120)에 지지된 작용 레버(125)의 피작용부(128)가 가압돌기(100)에 의해 전방측으로 가압된다(도 74 참조).
다른 쪽의 작용핀(67b)이 제네바 종동 기어(69)의 피작용 홈(70e)에 삽입된 초기의 단계에서는, 상기 작용핀(67b)이 피작용 홈(70e) 내를 그 개구단으로부터 제네바 종동 기어(69)의 중심부를 향하여 이동되고, 이 때 지지축(144)은 제1 캠벽(96)의 경사가 급한 전방부(96c)와 슬라이드 접촉되고, 피안내축(39)은 제3 캠벽(98)의 경사가 급한 전방부(98c)와 슬라이드 접촉되고, 지지축(164)은 제4 캠벽(99)의 경사가 급한 전방부(99i)와 슬라이드 접촉된다(도 74 참조).
다음에, 다른 쪽의 작용핀(67b)이 제네바 종동 기어(69)의 피작용 홈(70e)에 삽입된 중기의 단계에서는, 상기 작용핀(67b)이 피작용 홈(70e) 내를 제네바 종동 기어(69)의 중심부측에서 왕복 이동되고, 이 때 지지축(144)은 제1 캠벽(96)의 경사가 완만한 중간부(96d)와 슬라이드 접촉되고, 피안내축(39)은 제3 캠벽(98)의 경사가 완만한 중간부(98d)와 슬라이드 접촉되고, 지지축(164)은 제4 캠벽(99)의 경사가 완만한 중간부(99j)와 슬라이드 접촉된다(도 75 참조).
이어서, 다른 쪽의 작용핀(67b)이 제네바 종동 기어(69)의 피작용 홈(70e)에 삽입된 종기의 단계에서는, 상기 작용핀(67b)이 피작용 홈(70e) 내를 제네바 종동 기어(69)의 중심부측으로부터 개구단으로 향하여 이동되고, 이 때 지지축(144)은 제1 캠벽(96)의 경사가 급한 후방부(96e)와 슬라이드 접촉되고, 피안내축(39)은 제3 캠벽(98)의 경사가 급한 후방부(98e)와 슬라이드 접촉되고, 지지축(164)은 제4 캠벽(99)의 경사가 급한 후방부(99k)와 슬라이드 접촉된다(도 76 참조).
상기와 같이, 지지축(144), 피안내축(39), 지지축(164)이 각각 제1 캠벽(96), 제3 캠벽(98), 제4 캠벽(99)과 슬라이드 접촉되면, 지지축(144), 피안내축(39), 지지축(164)은 각각 서브 섀시(120)의 가이드구멍(121b, 121c, 121d)에 안내되어 좌측을 향하여 이동된다. 지지축(144), 피안내축(39), 지지축(164)이 좌측을 향하여 이동됨으로써, 제2 슬라이드 수단(29)의 구동측 슬라이더(30), 제3 슬라이드 수단(34)의 제1 슬라이더(35) 및 제5 슬라이드 수단(48)의 구동측 슬라이더(49)가 좌측을 향하여 이동되고, 제2 슬라이드 수단(29)의 종동측 슬라이더(31), 제3 슬라이드 수단(34)의 제2 슬라이더(36) 및 제5 슬라이드 수단(48)의 종동측 슬라이더(50)가 동기되어 우측을 향하여 이동된다. 따라서, 제2 이송 롤러(9c), 제3 이송 롤러(9e), 제1 규제 롤러(37), 제5 이송 롤러(9i) 및 제6 이송 롤러(9k)가 좌측을 향하여 이동되는 동시에 제2 이송체(10c), 제3 이송체(10e), 제2 규제 롤러(41), 제5 이송체(10i) 및 제6 이송체(10k)가 우측을 향하여 이동된다.
모드 슬라이더(91)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는, 동시에, 상기한 바와 같이, 서브 섀시(120)에 지지된 작용 레버(125)의 피작용부(128)가 가압돌기(100)에 의해전방측으로 가압된다. 작용 레버(125)의 피작용부(128)가 가압돌기(100)에 가압되면, 작용 레버(125)는 피작용부(128)가 대략 전방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긴 지지구멍(126b)에 삽입되어 지지되어 있는 지지축(154)이 서브 섀시(120)의 가이드구멍(121c)에 안내되어 좌측을 향하여 이동된다(도 74 내지 도 76 참조). 지지축(154)이 좌측을 향하여 이동됨으로써, 제4 슬라이드 수단(43)의 구동측 슬라이더(44)가 좌측을 향하여 이동되고, 종동측 슬라이더(45)가 동기되어 우측을 향하여 이동된다. 따라서, 제4 이송 롤러(9g)가 좌측을 향하여 이동되는 동시에 제4 이송체(10e)가 우측을 향하여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축(154)은 피작용부(128)가 가압돌기(100)에 가압되고 작용 레버(125)가 회전됨으로써 좌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피작용부(128)가 가압되어 회전 지점부(126a)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되는 작용 레버(125)를 사용하여 지지축(154)을 이동시킴으로써, 지점[회전 지점부(126a)]과 힘점[피작용부(128)]을 원하는 거리만큼 이격시킬 수 있고, 작은 힘으로 지지축(154)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모드 슬라이더(91)를 이동시키기 위한 모드용 모터(61)의 구동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캠부재(67)의 다른 쪽의 작용핀(67b)이 제네바 종동 기어(69)의 피작용 홈(70e)로부터 인출되었을 때에는, 제네바 종동 기어(69)가 90° 회전되어 있고, 모드 슬라이더(91)가 전방측의 이동단까지 이동되어 있다(도 77 참조). 모드 슬라이더(91)가 전방측의 이동단까지 이동됨으로써, 처킹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이송 롤러(9, 9) 및 이송체(10, 10)에 의한 지지를 해제하는 디스크 지지 해제 모드가 설정된다.
모드 슬라이더(91)가 전방측의 이동단에 이동된 상태에서는, 모드 슬라이더(91)의 지지돌기(95, 95)가 베이스 유닛(102)의 피지지돌기(104c)를 상하 방향으로부터 사이에 둔 상태로 된다(도 73 참조). 따라서, 베이스 유닛(102)이 상방측의 회전단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에 대한 후술하는 정보 신호의 재생 동작에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면 편차가 방지되고, 상기 재생 동작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디스크 지지 해제 모드에서는, 지지축(144)이 제1 캠벽(96)의 직선부(96b)와 걸림 결합되고, 피안내축(39)이 제3 캠벽(98)의 직선부(98b)와 걸림 결합되고, 지지축(164)이 제4 캠벽(99)의 후방측 직선부(99e)와 걸림 결합되고, 지지축(154, 166)이 각각 좌측의 이동단에 위치되어 있다(도 78 참조). 따라서, 제3 이송 롤러(9e), 제4 이송 롤러(9g), 제1 규제 롤러(37)가 좌측의 이동단에 위치되어 있다. 이 때 제3 이송체(10e), 제4 이송체(10g), 제2 규제 롤러(41)는 우측의 이동단에 위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3 이송 롤러(9e), 제4 이송 롤러(9g), 제1 규제 롤러(37)가 좌측의 이동단에 위치됨으로써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제3 이송체(10e), 제4 이송체(10g), 제2 규제 롤러(41)가 우측의 이동단에 위치됨으로써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다(도 78 및 도 79 참조). 따라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는 디스크 테이블(108)의 회전에 따라 원활하게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이, 캠부재(67)의 다른 쪽의 작용핀(67b)이 제네바 종동 기어(69)의 피작용 홈(70e)에 삽입되었을 때에, 초기의 단계 및 종기의 단계에서는, 작용핀(67b)이 피작용 홈(70e)을 형성하는 벽부 중 제네바 종동 기어(69)의 외주부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압하기 때문에, 제네바 종동 기어(69)로부터 작용핀(67b)에 대하여 걸리는 부하가 작아지게 되고, 중기의 단계에서는, 작용핀(67b)이 피작용 홈(70e)을 형성하는 벽부 중 제네바 종동 기어(69)의 중심부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압하기 때문에, 제네바 종동 기어(69)로부터 작용핀(67b)에 대하여 걸리는 부하는 크다.
따라서, 디스크 로딩 장치(1)에서는, 초기의 단계 및 종기의 단계에서는, 상기와 같이, 지지축(144), 피안내축(39), 지지축(164)이 각각 경사가 급한 제1 캠벽(96)의 전방부(96c) 또는 후방부(96e), 제3 캠벽(98)의 전방부(98c) 또는 후방부(98e), 제4 캠벽(99)의 전방부(99i) 또는 후방부(99k)와 슬라이드 접촉되도록 하고, 중기의 단계에서는, 지지축(144), 피안내축(39), 지지축(164)이 각각 경사가 완만한 제1 캠벽(96)의 중간부(96d), 제3 캠벽(98)의 중간부(98d), 제4 캠벽(99)의 중간부(99j)와 슬라이드 접촉되도록 하고 있다(도 74 내지 도 76 참조). 따라서, 캠부재(67)의 작용핀(67b)에 대한 부하가 경감되고, 모드용 모터(61)에 대한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반송 모드 또는 승강 모드로부터 수납 인출 모드로 모드의 전환이 행해질 때에는, 캠부재(67)의 한쪽의 작용핀(67b)이 제네바 종동 기어(69)의 피작용 홈(70d)에 삽입되고 제네바 종동 기어(69)가 90° 회전되어 모드슬라이더(91)가 이동되고, 제5 이송 롤러(9i)를 지지하는 지지축(164)이 모드 슬라이더(91)의 제4 캠벽(99)의 전방측 경사부(99b)와 슬라이드 접촉된다. 이 동작시에 있어서도, 작용핀(67b)이 피작용 홈(70e)에 삽입된 초기의 단계 및 종기의 단계에는, 지지축(164)가 각각 경사가 급한 전방부(99f) 또는 후방부(99h)와 슬라이드 접촉되고, 중기의 단계에는, 지지축(164)이 경사가 완만한 중간부(99g)와 슬라이드 접촉된다. 따라서, 이 동작시에 있어서도, 캠부재(67)의 작용핀(67b)에 대한 부하가 경감되고, 모드용 모터(61)에 대한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 디스크 로딩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캠부재(67)의 작용핀(67b, 67b)이 제네바 종동 기어(69)의 피작용 홈(70d, 70e)에 삽입되었을 때에 제네바 종동 기어(69)가 회전되고, 모드 슬라이더(91)가 이동되어 각 동작 모드의 설정을 행한다. 따라서, 작용핀(67b, 67b)이 피작용 홈(70d) 또는 피작용 홈(70e)으로부터 인출됨으로써 모드 슬라이더(91)가 정지되어 각 동작 모드가 설정되므로, 각 동작 모드는 제네바 종동 기어(69)의 어느 하나의 벽부(70a, 70b, 70c)가 캠부재(67)의 어느 하나의 돌기부(67c, 67c)에 대응하여 위치되어 있으면 설정된다. 따라서, 모드용 모터(61)의 정지 위치에 모드 슬라이더(91)의 정지 위치가 크게 의존하지 않고, 모드 슬라이더(91)의 정지 위치의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디스크 로딩 장치(1)와 같이, 기어군(65) 등의 복수의 기어를 통하여 모드용 모터(61)의 구동력이 모드 슬라이더(91)에 전달되고 각 기어간의 백래쉬가 큰 기구를 가지는 장치의 경우에는, 제네바 종동 기어(69)를 사용하여 모드 슬라이더(91)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은, 모드 슬라이더(91)의 정지 위치의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데에 매우 유효하다.
디스크 지지 해제 모드가 설정되면, 디스크 테이블(108)이 스핀들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동시에 광픽업(107)이 동작되고, 처킹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에 대한 재생 동작을 행한다. 재생 동작시에는, 광픽업(107)의 도시하지 않은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이 대물 렌즈(107a)를 통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에 조사(照射)되고, 그 귀환광이 대물 렌즈(107a)를 통하여 광픽업(107)의 도시하지 않은 수광 소자에 입사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에 기록된 정보 신호가 재생된다.
상기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에 대한 정보 신호의 재생 동작이 종료된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이젝트 손잡이가 조작되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재생부(3)로부터 디스크 삽입구(2a)까지 다음과 같이 하여 반송된다. 또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재생부(3)로부터 디스크 삽입구(2a)까지의 반송 동작은, 상기 「(d) 디스크 삽입구와 스태커 사이의 반송 동작」에서 설명한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재생부(3)까지의 반송 동작과 같기 때문에, 간단하게 설명한다.
이젝트 손잡이가 조작되면, 모드용 모터(61)가 상기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되고 도 77에 나타낸 R1방향으로 회전된다. 모드용 모터(61)의 회전에 의해 캠부재(67)가 R1방향으로 회전되면, 모드 슬라이더(91)가 후방을 향하여 이동되고, 제3 이송 롤러(9e)를 지지하는 지지축(144)이 제1 캠벽(96)을 직선부(96b)로부터 경사부(96a)를 향하여 슬라이드 접촉되고, 제1 규제 롤러(37)의 하부측에 설치된 수용부재(38)를 관통한 피안내축(39)이 제3 캠벽(98)을 직선부(98b)로부터 경사부(98a)를 향하여 슬라이드 접촉되고, 제5 이송 롤러(9i)를 지지하는 지지축(164)이 제4 캠벽(99)을 후방측 직선부(99e)로부터 중간측 직선부(99c)로 향하여 슬라이드 접촉된다. 이 때 동시에, 서브 섀시(120)에 지지된 작용 레버(125)의 피작용부(128)에 대한 가압돌기(100)에 의한 가압이 해제된다. 따라서, 제2 이송 롤러(9c), 제3 이송 롤러(9e), 제4 이송 롤러(9g), 제5 이송 롤러(9i), 제6 이송 롤러(9k), 제1 규제 롤러(37)와 제2 이송체(10c), 제3 이송체(10e), 제4 이송체(10g), 제5 이송체(10i), 제6 이송체(10k), 제2 규제 롤러(41)가 스프링 부재(32, 40, 46, 51)에 의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외주면에 제3 이송 롤러(9e), 제4 이송 롤러(9g), 제1 규제 롤러(37), 제3 이송체(10e), 제4 이송체(10g) 및 제2 규제 롤러(41)가 접촉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제3 이송 롤러(9e), 제4 이송 롤러(9g), 제3 이송체(10e) 및 제4 이송체(10g)에 의해 지지된다(도 53 참조).
이 때 베이스 유닛(102)의 캠돌출핀(104b)은 캠부재(67)의 캠홈(68)의 상부측 수평부(68c) 내를 경사부(68b)를 향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모드용 모터(61)는 계속 회전되고, 베이스 유닛(102)의 캠돌출(104b)이 캠부재(67)의 캠홈(68)의 상부측 수평부(68c)로부터 경사부(68b)를 거쳐 하부측 수평부(68a)까지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캠돌출핀(104b)이 상부측 수평부(68c)로부터 하부측 수평부(68a)까지 상대적으로 이동될 때는, 디스크 테이블(108)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베이스 유닛(102)이 회전되고, 디스크 테이블(108)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하방에 위치된다.
베이스 유닛(102)의 캠돌출핀(104b)이 캠부재(67)의 캠홈(68)의 상부측 수평부(68c)로부터 경사부(68b)를 향하여 상대적인 이동이 개시되었을 때에는, 디스크 테이블(108)의 마그네트에 처킹 풀리(56)의 자성 금속판이 끌어 당겨지고 있으므로, 베이스 유닛(102)의 회전에 따라 처킹 풀리(56)가 하방으로 이동하려고 하지만, 베이스 유닛(102)의 회전에 따라 걸림 결합 레버(105)의 걸림 결합부(105b)가 분리 부재(57)의 피작용부(60)을 하방으로 가압한다(도 80 참조). 따라서, 분리 부재(57)는 피지지핀(60a, 60a)을 지점으로 하여 들어올림부(59, 59)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처킹 풀리(56)의 플랜지부(56)가 들어올림부(59, 59)에 의해 들어 올려질 수 있다.
플랜지부(56a)가 들어올림부(59, 59)에 의해 들어 올려질 수 있음으로써, 처킹 풀리(56)는 디스크 테이블(108)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다(도 80 참조). 이와 같이 베이스 유닛(102)의 회전시에 분리 부재(57)에 의해 처킹 풀리(56)가 강제적으로 디스크 테이블(108)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기 때문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에 대한 처킹의 해제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모드용 모터(61)는 계속해 회전되고, 모드 슬라이더(91)가 후방측의 이동단까지 이동되어 반송 모드가 설정된다. 반송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수단(24)의 구동측 슬라이더(25)에 지지된 지지축(135)의 좌측 방향으로 작용 기어(74)의 삽입용 노치(75a)가 위치되어 비록킹 상태로 되는 동시에 규제핀(89)이 하강되어 비규제 상태로 된다(도 39 및 도 40 참조).
반송 모드가 설정되면 모드용 모터(61)의 회전이 정지되고, 구동용 모터(110)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고 각 이송 롤러(9a, 9c, 9e, 9g, 9i, 9k)가 다시 평면에서 보아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는 제4 이송 롤러(9g), 제4 이송체(10g)로부터 제3 이송 롤러(9e), 제3 이송체(10e) 및 제2 이송 롤러(9c), 제2 이송체(10c)를 통하여 제1 이송 롤러(9a), 제1 이송체(10a)로 주고 받게 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다. 돌출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를 파지하여 빼냄으로써,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를 케이스(2)로부터 꺼낼 수 있다.
(f) 익스체인지 동작
다음에, 스태커(4)에 적어도 1매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2O0a)가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태커(4)에 수납되어 있는 원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와 재생부(3)의 디스크 테이블(108)에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교환 동작, 즉, 익스체인지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81 내지 도 85 참조).
상기와 같이 재생부(3)에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에 대한 정보 신호의 재생 동작이 종료되었을 때, 익스체인지를 행하려고 할 때는, 도시하지 않은 익스체인지 손잡이를 조작한다. 이 때 디스크 지지 해제 모드가 설정되어 있고, 익스체인지 손잡이가 조작되면, 모드용 모터(61)가 캠부재(67)를 도 77에 나타낸 R2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젝트 손잡이를 조작한 때의 상기한 동작과 같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에 대한 디스크 테이블(108)과 처킹 풀리(56)에 의한 처킹이 해제된다(도 80 참조).
또한, 디스크 로딩 장치(1)에 있어서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에 대한 처킹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스태커(4)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수납되어 있지 않은 디스크 수납부(181)가 디스크 통과구(182)의 직후방, 즉, 수납 인출 위치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수납되어 있지 않은 디스크 수납부(181)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예를 들면, 익스체인지 손잡이가 조작되었을 때에, 그 취지의 표시를 디스크 로딩 장치(1)의 도시하지 않은 표시부에 표시하는 동시에 익스체인지 동작을 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에 대한 처킹이 해제되면, 모드용 모터(61)의 회전이 일단 정지되고, 모드 슬라이더(91)가 이동 범위에서의 대략 중앙부에 정지되고 수납 인출 모드가 설정된다.
수납 인출 모드가 설정되면, 구동용 모터(110)가 회전되고, 수납 손잡이를 조작한 때의 상기한 동작과 같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재생부(3)로부터 스태커(4)까지 반송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수납 인출 위치에 위치된 디스크 수납부(181)에 수납된다(도 81 참조). 재생부(3)로부터 반송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디스크 수납부(181)에 수납되면, 구동용 모터(110)의 회전이 정지된다.
스태커(4)의 디스크 수납부(181, 181,…)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 200a,…)는, 스태커(4)의 선반부(178, 178,…)에 탑재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외란이나 스태커(4)의 승강 동작시의 진동 등에 의해 디스크 수납부(181, 181,…)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디스크 로딩 장치(1)에는, 지지 섀시(14)에 탈락 방지부(14g, 14h)가 설치되고, 베이스 섀시(15)에 탈락 방지부(15u, 15v)가 설치되고, 이들 탈락 방지부(14g, 14h, 15u, 15v)가, 스태커(4)가 승강되는 이동 범위에서 디스크 수납부(181, 181,…)에 수납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 200a,…)의 외주 에지에 근접하여 위치된다(도 82 및 도 83 참조). 따라서, 수납 인출 위치에 있는 디스크 수납부(181)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 이외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 200a,…)에 대하여는 디스크 수납부(181, 181,…)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 200a,…)의 디스크 수납부(181, 181,…)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수납 인출 위치에 있는 디스크 수납부(181)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는, 이동 레버(53, 53)에 각각 지지된 접촉 정지부(55, 55)에 의해 디스크 수납부(181)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디스크 수납부(181)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접촉 정지부(55, 55)는 지지 섀시(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이동 레버(53, 53)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재생부(3)와 스태커(4) 사이에서 반송될 때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2O0a)의 외주면과 슬라이드 접촉되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반송의 방해가 되지 않고 반송 동작의 적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구동용 모터(110)의 회전이 정지되면, 이어서, 승강용 모터(168)가 회전된다. 승강용 모터(168)가 회전되면, 회전캠(176, 176, 176)이 동기하여 회전되고,스태커(4)의 피안내 돌기부(179a, 179a, 179a)의 캠홈부(177, 177, 177)에 대한 위치가 변화되고, 스태커(4)가 승강된다.
예를 들면, 교환하려고 하는 원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최상단의 디스크 수납부(181)에 수납되어 있을 경우에는, 스태커(4)가 이동 범위에서의 하단까지 이동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디스크 통과구(182)의 직후방에 위치된다(도 63 참조).
스태커(4)가 승강될 때에는, 디스크 수납부(181, 181,…)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 200a,…)가 이동 레버(53, 53)에 각각 지지된 접촉 정지부(55, 55)로 슬라이드 접촉되고, 다음과 같이 정렬된다(도 84 및 도 85 참조).
스태커(4)가 상승될 때는, 접촉 정지부(55, 55)의 하방에 위치되어 있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 200a,…)의 외주 에지가 접촉 정지부(55, 55)의 경사 안내부(55c, 55c)와 슬라이드 접촉되고, 이어서, 원주면(55a, 55a)과 슬라이드 접촉된다(도 84 참조). 반대로, 스태커(4)가 하강될 때는, 접촉 정지부(55, 55)의 상방에 위치되어 있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 200a,…)의 외주 에지가 접촉 정지부(55, 55)의 경사 안내부(55b, 55b)와 슬라이드 접촉되고, 이어서, 원주면(55a, 55a)과 슬라이드 접촉된다(도 85 참조). 따라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 200a,…)는, 접촉 정지부(55, 55)의 원주면(55a, 55a)에 의해 정렬된다.
이와 같이 디스크 로딩 장치(1)에 있어서는, 스태커(4)의 승강 동작이 행해질 때, 접촉 정지부(55, 55)에 의해 디스크 수납부(181, 181,…)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 200a,…)가 정렬되기 때문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외주 에지를 수납 인출 위치에서 제6 이송 롤러(9k)의 지지 홈부(9l), 제6 이송체(10k)의 지지 홈부(101)에 근접하여 위치시킬 수 있고, 디스크 수납부(181)로부터의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를 적정하면서 확실하게 꺼낼 수 있다.
또, 스태커(4)가 승강될 때는, 접촉 정지부(55, 55)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 200a,…)가 슬라이드 접촉되기 때문에, 접촉 정지부(55, 55)가 스태커(4)의 승강 동작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디스크 로딩 장치(1)에 있어서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 접촉 정지부(55, 55)가 각각 이동 레버(53, 5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접촉 정지부(55, 55)가 반송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와 접촉했을 때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반송 동작에 대한 부하가 작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디스크 수납부(181)에의 수납 및 디스크 수납부(181)로부터의 인출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스태커(4)가 승강되고, 교환하려고 하는 원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수납된 디스크 수납부(181)가 수납 인출 위치에 위치되면, 승강용 모터(168)의 회전이 정지된다.
승강용 모터(168)의 회전이 정지되면, 다시 구동용 모터(110)가 회전되고, 이젝트 손잡이를 조작할 때의 상기한 동작과 같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스태커(4)로부터 재생부(3)까지 반송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재생부(3)까지 반송되면 구동용 모터(110)의 회전이 정지되고, 이어서, 모드용 모터(61)가 회전되고, 재생 손잡이를 조작할 때의상기한 동작과 같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처킹 풀리(56)와 디스크 테이블(108)에 의해 처킹된다(도 79 참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처킹되면, 디스크 테이블(108)이 스핀들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동시에 광픽업(107)이 동작되고, 처킹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에 대한 재생 동작을 행한다.
(g) 재생 동작(소 직경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
디스크 로딩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직경이 약 8cm의 소 직경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에 대한 정보 신호의 재생을 행할 수 있다. 이하에,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삽입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가 재생부(3)에서 재생될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86 내지 도 90 참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에 기록된 정보 신호의 재생을 행하려고 할 때는, 도시하지 않은 재생 손잡이를 조작한다. 재생 손잡이가 조작되면, 상기한 반송 모드가 설정된다. 반송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수단(24)의 구동측 슬라이더(25)에 지지된 지지축(135)의 좌측으로 작용 기어(74)의 삽입용 노치(75a)가 위치되어 비록킹 상태로 되는 동시에 규제핀(89)이 하강되어 비규제 상태로 되어 있다(도 39 및 도 40 참조).
반송 모드가 설정되면, 구동용 모터(110)가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구동용 모터(11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이송 롤러(9a, 9c, 9e, 9g, 9i, 9k)가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가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삽입되면, 디스크형기록 매체(200a)가 삽입되었을 경우와 같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가 차례로 이송 롤러(9a) 및 이송체(10a), 이송 롤러(9b) 및 이송체(10b), 이송 롤러(9c) 및 이송체(10c)로 차례로 주고 받게되면서 재생부(3)를 향하여 반송되어 간다. 단,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보다 직경이 작기 때문에, 각 이송 롤러(9a, 9b, 9c) 및 각 이송체(10a, 10b, 10c)의 좌우 방향으로의 슬라이드량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경우보다 작다(도 86 참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가 반송되어 가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의 외주면이 제3 슬라이드 수단(34)의 제1 슬라이더(35)와 제2 슬라이더(36)에 각각 지지된 제1 규제 롤러(37)와 제2 규제 롤러(41)에 접촉하고, 제1 슬라이더(35)와 제2 슬라이더(36)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간다.
제2 이송 롤러(9c)의 회전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가 재생부(3)까지 반송되면, 예를 들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의 위치를 검출하는 도시하지 않은 위치 검출 센서나 위치 검출 스위치에 의하여 구동용 모터(110)가 정지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가 재생부에서 정지된다.
그리고, 구동측 슬라이더(30)와 종동측 슬라이더(31)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구동측 슬라이더(30)의 규제 돌기부(30c)와 종동측 슬라이더(31)의 규제부(31g)가 접촉되는 동시에 구동측 슬라이더(30)의 규제부(30g)와 종동측 슬라이더(31)의 규제 돌기부(31b)가 접촉되어 구동측 슬라이더(30)의 우측으로의 이동 및 종동측 슬라이더(31)의 좌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었을 때에는, 직경이 작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는 제4 이송 롤러(9g) 및 제4 이송체(10g)에 접촉되어 있지 않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가 더 이상 스태커(4)측으로 인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디스크 로딩 장치(1)에 있어서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의 반송 동작에서, 구동측 슬라이더(30)의 우측으로의 이동 및 종동측 슬라이더(31)의 좌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순간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가 재생부(3)에 도달되도록 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를 재생부(3)로 정지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가 재생부(3)까지 반송된 상태에서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의 외주면에 제3 이송 롤러(9e), 제3 이송체(10e), 제1 규제 롤러(37) 및 제2 규제 롤러(41)가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도 87 참조).
구동용 모터(110)의 회전이 정지되면, 이어서, 모드용 모터(61)가 회전된다. 모드용 모터(61)는 캠부재(67)가 도 39에 나타낸 R2방향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모드용 모터(61)의 회전에 의해 캠부재(67)가 회전되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경우와 같이 처킹 모드가 설정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가 디스크 테이블(108)의 테이블부(108a)와 처킹 풀리(56)의 스태빌라이져(stabilizer)부(56b)에 의해 협지되어 처킹된다. 이 때 지지 섀시(14)에 지지된 분리 부재(57)는, 피작용부(60)가 베이스 유닛(102)의 걸림 결합 레버(105)와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들어올림부(59, 59)가 처킹 풀리(56)의 플랜지부(56a)의 하방에 위치되어 있다.
모드용 모터(61)는 계속해 회전되고, 캠부재(67)의 회전에 의해 모드 슬라이더(91)가 더 전방으로 이동되어 간다(도 88 참조). 모드 슬라이더(91)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가면, 제3 이송 롤러(9e)를 지지하는 지지축(144)이 제2 캠벽(97)과 슬라이드 접촉되고, 제5 이송 롤러(9i)를 지지하는 지지축(164)이 제4 캠벽(99)과 슬라이드 접촉된다. 이 때 동시에, 서브 섀시(120)에 지지된 작용 레버(125)의 피작용부(128)가 가압돌기(100)에 의해 전방측으로 가압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축(144)이 제2 캠벽(97)과 슬라이드 접촉됨으로써, 제3 이송 롤러(9e)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다(도 89 및 도 90 참조). 또, 작용 레버(125)의 피작용부(128)가 가압돌기(100)에 가압되면, 작용 레버(125)는 피작용부(128)가 대략 전방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긴 지지구멍(126b)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축(154)이 서브 섀시(120)의 가이드구멍(121c)에 안내되어 좌측을 향하여 이동된다. 지지축(154)이 좌측을 향하여 이동됨으로써, 제4 슬라이드 수단(43)의 구동측 슬라이더(44)가 좌측을 향하여 이동되고, 종동측 슬라이더(45)가 동기하여 우측을 향하여 이동된다.
제4 슬라이드 수단(43)의 종동측 슬라이더(45)가 우측을 향하여 이동되면, 가압 돌기부(45c)에 의해 제3 슬라이드 수단(34)의 제2 슬라이더(36)의 피가압 돌기부(36c)가 우측으로 가압되고, 제1 슬라이더(35)와 제2 슬라이더(36)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동기하여 이동된다. 따라서, 제1 규제 롤러(37) 및 제2 규제 롤러(41)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다(도 89 참조).
상기와 같이, 모드 슬라이더(91)가 이동될 때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처킹 되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캠부재(67)의 다른쪽의 작용핀(67b)이 제네바 종동 기어(69)의 피작용 홈(70e)에 삽입되었을 때에, 초기의 단계 및 종기의 단계에서는, 지지축(144), 지지축(164)이 각각 경사가 급한 제2 캠벽(97)의 전방부(97c), 제4 캠벽(99)의 전방부(99i)와 슬라이드 접촉되도록 하고, 중기의 단계에서는, 지지축(144), 지지축(164)이 각각 경사가 완만한 제2 캠벽(97)의 중간부(97d), 제4 캠벽(99)의 중간부(99j)와 슬라이드 접촉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캠부재(67)의 작용핀(67b)에 대한 부하가 경감되고, 모드용 모터(61)에 대한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모드 슬라이더(91)가 전방측의 이동단에 이동된 상태에서는, 디스크 지지 해제 모드가 설정되어 있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에 대한 재생 동작을 행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모드 슬라이더(91)의 지지돌기(95, 95)가 베이스 유닛(102)의 피지지돌기(104c)를 상하 방향으로부터 협지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베이스 유닛(102)이 상부측의 회전단에서 안정하게 지지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에 대한 후술하는 정보 신호의 재생 동작에 있어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의 면 편차가 방지되고, 상기 재생 동작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디스크 지지 해제 모드에 있어서는, 제3 이송 롤러(9e), 제1 규제 롤러(37), 제3 이송체(10e) 및 제2 규제 롤러(41)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고(도 89 참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는 디스크 테이블(108)의 회전에 따라 원활하게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디스크 지지 해제 모드가 설정되면, 디스크 테이블(108)이 스핀들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동시에 광픽업(107)이 동작되고, 처킹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에 대한 재생 동작을 행한다. 재생 동작시에는, 광픽업(107)의 도시하지 않은 빌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이 대물 렌즈(107a)를 통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에 조사되고, 그 귀환광이 대물 렌즈(107a)를 통하여 광픽업(107)의 도시하지 않은 수광 소자에 입사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에 기록된 정보 신호가 재생된다.
상기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에 대한 정보 신호의 재생 동작이 종료된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이젝트 손잡이가 조작되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가 재생부(3)로부터 디스크 삽입구(2a)까지 다음과 같이 반송된다. 또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의 재생부(3)로부터 디스크 삽입구(2a)까지의 반송동작은, 상기한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재생부(3)까지의 반송 동작의 반대의 동작이므로, 간단하게 설명한다.
이젝트 손잡이가 조작되면, 모트용 모터(61)가 상기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되고 캠부재(67)가 도 77에 나타낸 R1방향으로 회전된다. 모드용 모터(61)의 회전에 의해 캠부재(67)가 R1방향으로 회전되면, 모드 슬라이더(91)가 후방을 향하여 이동되고, 제3 이송 롤러(9e)를 지지하는 지지축(144)이 제2 캠벽(97)을 직선부(97b)로부터 경사부(97a)로 향하여 슬라이드 접촉되고, 제5 이송 롤러(9i)를 지지하는 지지축(164)이 제4 캠벽(99)을 후방측 직선부(99e)로부터 중간측 직선부(99c)로 향하여 슬라이드 접촉된다. 이 때 동시에, 서브 섀시(120)에 지지된 작용 레버(125)의 피작용부(128)에 대한 가압돌기(100)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고, 제4 슬라이드 수단(43)의 구동측 슬라이더(44)와 종동측 슬라이더(45)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구동측 슬라이더(44)와 종동측 슬라이더(45)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종동측 슬라이더(45)의 가압 돌기부(45c)에 의한 제2 슬라이더(36)의 피가압 돌기부(36c)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기 때문에, 제3 슬라이드 수단(34)의 제1 슬라이더(35)와 제2 슬라이더(36)가 스프링 부재(46)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1 규제 롤러(37)와 제2 규제 롤러(41)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의 외주면에 제3 이송 롤러(9e), 제1 규제 롤러(37), 제3 이송체(10e) 및 제2 규제 롤러(41)가 접촉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가 제3 이송 롤러(9e) 및 제3 이송체(10e)에 의해 지지된다.
이 때 베이스 유닛(102)의 캠돌출핀(104b)은 캠부재(67)의 캠홈(68)의 상부측 수평부(68c) 내를 경사부(68b)를 향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모드용 모터(6l)는 계속 회전되고, 베이스 유닛(102)의 캠돌출핀(104b)이 캠부재(67)의 캠홈(68)의 상부측 수평부(68c)로부터 경사부(68b)를 거쳐 하부측 수평부(68a)까지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캠돌출핀(104b)이 상부측 수평부(68c)로부터 하부측 수평부(68a)까지 상대적으로 이동될 때는, 디스크 테이블(108)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베이스 유닛(102)이 회전되고, 디스크 테이블(108)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의 하방에 위치된다.
이 때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의 처킹이 해제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베이스 유닛(102)의 회전에 따라 걸림 결합 레버(105)의 걸림 결합부(105b)가 분리부재(57)의 피작용부(60)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분리 부재(57)는 피지지핀(60a, 60a)을 지점으로 하여 들어올림부(59, 59)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처킹 풀리(56)의 플랜지부(56a)가 들어올림부(59, 59)에 의해 들어 올려지게 된다.
플랜지부(56a)가 들어올림부(59, 59)에 의해 들어 올려짐으로써, 처킹 풀리(56)는 디스크 테이블(108)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 유닛(102)의 회전시에 분리 부재(57)에 의해 처킹 풀리(56)가 강제적으로 디스크 테이블(108)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기 때문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에 대한 처킹의 해제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모드용 모터(61)는 계속 회전되고, 모드 슬라이더(91)가 후방측의 이동단까지 이동되어 반송 모드가 설정된다. 반송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수단(24)의 구동측 슬라이더(25)에 지지된 지지축(135)의 좌측에 작용 기어(74)의 삽입용 노치(75a)가 위치되어 비록킹 상태로 되는 동시에 규제핀(89)이 하강되어 비규제 상태로 된다(도 39 및 도 40 참조).
반송 모드가 설정되면 모드용 모터(61)의 회전이 정지되고, 구동용 모터(110)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고 각 이송 롤러(9a, 9c, 9e, 9g, 9i, 9k)가 다시 평면에서 보아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는 제3 이송 롤러(9e), 제3 이송체(10e)로부터 제2 이송 롤러(9c), 제2 이송체(10c)를 통하여 제1 이송 롤러(9a), 제1 이송체(10a)로 주고 받게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가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다. 돌출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2O0b)를 파지하여 빼냄으로써,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를 케이스(2)로부터 꺼낼 수가 있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가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스태커(4)로 향하여 반송된 상태에서, 반송중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의 외주면이 각 이송 롤러(9a, 9c, 9e)에 접촉했을 때에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의 접촉이 각 이송 롤러(9a, 9c, 9e)의 회전에 대한 부하로 되므로, 이하와 같은 회전 모멘트가 발생된다. 회전 모멘트의 방향은, 제1 수진기구(129)의 회전 레버(131), 제2 수진기구(136)의 제1 회전 레버(138) 및 제2 회전 레버(14O) 모두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회전 방향이다. 따라서, 각 회전 모멘트에 의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가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스태커(4)로 향하여 반송될 때는, 제1 이송 롤러(9a), 제2 이송 롤러(9c) 및 제3 이송 롤러(9e)에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의 외주면에 접근하는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부여된다.
한편,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가 스태커(4)로부터 디스크 삽입구(2a)로 향하여 반송된 상태에서, 반송중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의 외주면이 각 이송 롤러(9a, 9c, 9e)에 접촉했을 때에도,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의 접촉이 각 이송 롤러(9a, 9c, 9e)의 회전에 대한 부하로 되므로, 이하와 같은 회전 모멘트가 발생된다. 회전 모멘트의 방향은, 상기와는 반대로 되어, 각 회전 모멘트에 의하여, 제1 이송 롤러(9a), 제2 이송 롤러(9c) 및 제3 이송 롤러(9e)에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부여된다.
디스크 로딩 장치(1)에 있어서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반송되는 상기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수진기구(129, 136)에 감속 기어로서 기능하는 제1 전달 기어(133), 제1 전달 기어(142)를 사용하고, 각 이송 롤러(9a, 9c, 9e)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가 각 이송 롤러(9a, 9c, 9e)와 접촉했을 때의 회전 모멘트를 작게 하고 있다.
또, 제2 수진기구(136)의 이송 롤러(9c, 9e)를, 반송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의 외주면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 스프링(147)을 사용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마찰력을 얻도록 하고 있다.
(h) 디스크 어댑터를 사용한 경우의 반송 동작
디스크 로딩 장치(1)에서는, 소 직경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를 디스크 어댑터(185)에 장착한 상태로 재생부(3)까지 반송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에 대한 정보 신호의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디스크 어댑터(185)는, 예를 들면, 판형의 대략 원환형을 이루는 본체부(186)와, 상기 본체부(186)의 내주부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 지지부(187, 187, 187)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187, 187, 187)가 본체부(186)에 대해서 디스크 어댑터(185)의 방사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91 참조). 지지부(187, 187, 187)는 본체부(186)에 대해서, 디스크 어댑터(185)의 중심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지지부(187)에는 각각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부(187a, 187b, 187b)가 형성되고, 지지돌기부(187a)와 지지돌기부(187b, 187b)가 상하로 이격되어 위치되어 있다. 지지돌기부(187b, 187b)는 디스크 어댑터(185)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위치되어 있다.
디스크 어댑터(185)는, 예를 들면, 그 외경이 약 12cm으로 되고, 내경이 약 8cm로 되어 있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는, 상하 방향에서 지지돌기부(187a, 187a, 187a)와 지지돌기부(187b, 187b,…)에 의하여 협지된 상태로 디스크 어댑터(185)에 장착되어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삽입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가 장착된 디스크 어댑터(185)가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삽입되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재생부(3)로 향하여 상기 반송 동작(도 47 내지 도 53 , 도 72 내지 도 78 참조)과 마찬가지의 동작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가 재생부(3)까지 반송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가 디스크 어댑터(185)에 장착된 상태로 처킹 풀리(56)와 디스크 테이블(108)에 의해 처킹된다(도 92 참조). 또한, 디즈크형 기록 매체(200b)가 장착된 디스크 어댑터(185)가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삽입되었을 때에는, 상기 디스크 어댑터(185)의 외주면이 각 이송 롤러(9a, 9c, 9e)와 각 이송체(10a, 10c, 10e)에 차례로 가압되고, 각 이송 롤러(9a, 9c, 9e)의 회전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가 장착된 디스크 어댑터(185)가 케이스(2)의 내부로 인입되어 간다.
디스크 어댑터(185)에 장착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가 처킹되면, 디스크 테이블(108)이 스핀들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동시에 광픽업(107)이 동작되고, 처킹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에 대한 재생 동작을 행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는 디스크 어댑터(185)로 일체로 되어 회전된다.
상기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에 대한 정보 신호의 재생 동작이 종료된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이젝트 손잡이가 조작되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a)가 재생부(3)로부터 디스크 삽입구(2a)까지 반송되는 동작과 같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가 장착된 디스크 어댑터(185)가 디스크 삽입구(2a)까지 반송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가 장착된 디스크 어댑터(185)가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디스크 어댑터(185)를 파지하여 빼냄으로써,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를 케이스(2)로부터 꺼낼 수 있다.
상기에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가 장착된 디스크 어댑터(185)가 반송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착오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디스크 어댑터(185)가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삽입된 때에는, 이하와 같은 동작을 행한다.
디스크 어댑터(185)가 재생부(3)까지 반송되면 구동용 모터(110)의 회전이 정지되고, 이어서, 모드용 모터(61)가 회전되어 베이스 유닛(102)이 회전되지만,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가 디스크 어댑터(185)에 장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처킹은 행하지 않은 디스크 테이블(108)의 테이블부(108a)와 처킹 풀리(56)의 스태빌라이져부(56b)가 중첩된다.
모드용 모터(61)는 계속 회전되고, 제3 이송 롤러(9e), 제4 이송 롤러(9g), 제1 규제 롤러(37), 제3 이송체(10e), 제4 이송체(10g) 및 제2 규제 롤러(41)가 디스크 어댑터(185)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디스크 어댑터(185)에 대한 지지 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디스크 어댑터(185)는 낙하된다(도 93 참조).이 때 제1 규제 롤러(37)가 좌측의 이동단에 위치되어 있고, 낙하된 디스크 어댑터(185)는 내주측의 부분이 베이스 유닛(102)상에 접촉함과 동시에 외주부가 제1 규제 롤러(37)의 하부측에 형성된 수용부재(38)의 수용부(38c) 상에 접촉하고, 디스크 어댑터(185)는 경사진 상태로 된다(도 93 참조).
이어서, 광픽업(107)의 구동이 개시되지만,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동작 에러가 검출되어, 즉시 이젝트 동작이 개시된다.
이젝트 동작이 개시되면, 모드용 모터(61)의 회전에 의해, 모드 슬라이더(91)가 후방을 향하여 이동되고, 제2 이송 롤러(9c), 제3 이송 롤러(9e), 제4 이송 롤러(9g), 제5 이송 롤러(9i), 제6 이송 롤러(9k), 제1 규제 롤러(37)와 제2 이송체(10c), 제3 이송체(10e), 제4 이송체(10g), 제5 이송체(10i), 제6 이송체(10k), 제2 규제 롤러(41)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간다.
이 때, 디스크 어댑터(185)의 외주 에지가 수용부재(38)의 수용부(38c)로부터 경사면부(38b)상에 슬라이드 접촉되고(도 94 참조), 또한 경사면부(38b)로부터 제1 규제 롤러(37)까지 슬라이드 접촉된다(도 95 참조). 디스크 어댑터(185)의 외주면이 제1 규제 롤러(37)까지 슬라이드 접촉되면, 디스크 어댑터(185)의 외주부가 제3 이송 롤러(9e), 제4 이송 롤러(9g), 제3 이송체(10e) 및 제4 이송체(10g)의 각 지지홈(9f, 9h, 10f, 10h)에 삽입되고, 디스크 어댑터(185)는 수평 상태로 되어 다시 제3 이송 롤러(9e), 제4 이송 롤러(9g), 제3 이송체(10e) 및 제4 이송체(10g)에 의해 지지된다.
모드용 모터(61)는 계속 회전되고, 처킹 풀리(56)와 디스크 테이블(108)이상하로 이격되고, 모드 슬라이더(91)가 후방측의 이동단까지 이동되어 반송 모드가 설정된다. 반송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수단(24)의 구동측 슬라이더(25)에 지지된 지지축(135)의 좌측에 작용 기어(74)의 삽입용 노치(75a)가 위치되어 비록킹 상태로 되는 동시에 규제핀(89)이 하강되어 비규제 상태로 된다(도 39 및 도 40 참조).
반송 모드가 설정되면 모드용 모터(61)의 회전이 정지되고, 구동용 모터(110)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어 디스크 어댑터(185)가 제4 이송 롤러(9g), 제4 이송체(10g)로부터 제3 이송 롤러(9e), 제3 이송체(10e) 및 제2 이송 롤러(9c), 제2 이송체(10c)를 통하여 제1 이송 롤러(9a), 제1 이송체(10a)로 주고 받게되고, 디스크 어댑터(185)가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다. 돌출된 디스크 어댑터(185)를 파지하여 빼냄으로써, 디스크 어댑터(185)를 케이스(2)로부터 꺼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착오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b)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디스크 어댑터(185)가 디스크 삽입구(2a)로부터 삽입되어 버린 경우에는, 수용부재(38)에 의해 낙하된 디스크 어댑터(185)를 수용하게 되고, 이젝트 동작에 따라 디스크 어댑터(185)가 각 이송 롤러(9, 9), 이송체(10, 10)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착오로 삽입되어 낙하된 디스크 어댑터(185)를 확실하게 이젝트할 수 있다.
이하에, 상기 이송 롤러(9, 9,…) 및 이송체(10, 10,…)를 형성하는 재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송 롤러(9, 9,…) 및 이송체(10, 10,…)는, 적어도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에 접촉하는 부분, 예를 들면, 지지 홈부(9b, 9d, 9f, 9h, 9j, 9l, 10b, 10d, 10f, 10h, 10j, 10l)가, 예를 들면, 부틸 고무로 형성되어 있다.
이송 롤러(9, 9,…) 및 이송체(10, 10,…)의 재료로서는, 부틸 고무 외에, 예를 들면, 우레탄계 고무, 실리콘 고무, CR(Chloroprene Rubber)계 고무,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Polymethylene)계 고무, 엘라스토머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우레탄계 고무는, 일반적으로, 형 허물어짐이 어렵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고가이다라는 단점을 가진다. 또, 우레탄계 고무는, 일반적으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형성 재료인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와 친화성이 높기 때문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부착하기 쉽다는 단점을 가진다.
실리콘 고무는, 일반적으로, 형 허물어짐이 어렵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고가인 동시에 균열을 일으키고 쉽다는 단점을 가진다.
CR계 고무는, 일반적으로, 저가이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마모 및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를 일으키기 쉽다는 단점을 가진다.
EPDM계 고무는, 일반적으로, 저가인 동시에 흡유성이 높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부착된 기름 성분을 흡수하기 쉽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마모하기 쉽다는 단점을 가진다.
엘라스토머는, 일반적으로, 이송 롤러 또는 이송체의 축부와 일체 성형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마모하기 쉽다는 단점을 가진다.
한편, 부틸 고무는, 일반적으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형성 재료인 폴리카보네이트와 친화성이 낮기 때문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부착되기 어렵고, 점성이 높고 반발 탄성이 작기 때문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한 반송력이 높다는 장점 외에, 저가이다는 장점도 가진다. 따라서, 이송 롤러(9, 9,…) 및 이송체(10, 10,…)의 재료로서는, 부틸 고무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96은 각종 부틸 고무에 대한 반발 탄성을 나타낸 도표이다. 도면 중의 「재료명」은, 부틸 고무의 각 종류를 나타낸 것이며, 모두 야마우치 주식회사의 제품명이다. 모두 부틸 고무와 반발 탄성은 약 30% 이하이며, 일부를 제외하고, 10%대로 낮다.
도 97은 각종의 재료에 대하여, 경도의 온도 의존성을 나타낸 그래프도 및 도표이다. 도면 중의 「LBT-501」 및 「CC-40」은 부틸 고무이며, 「EPDM50°」은 EPDM계 고무이며, 「SI-50」은 실리콘 고무이다.
도 9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틸 고무는 온도에 의해 경도가 변화되고 저온시에는 경화하기 쉽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저온시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한 반송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부틸 고무에 의해 형성한 이송 롤러(9, 9,…) 및 이송체(10, 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이송 롤러(9, 9,…) 및 이송체(10, 10,…)를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에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으로서 탄성력이 강한 것을 사용하고, 이송 롤러(9, 9,…) 및 이송체(10, 10,…)의 각 지지홈을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해서 접촉 면적이 크게 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저온에서도 경도가 일정 이하인 종류의 부틸 고무를 사용하는 등의 수단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200)에대한 양호한 반송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8 및 도 99는 각종의 부틸 고무(모두 야마우치 주식회사의 제품)에 대하여, 경도의 온도 의존성을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도 98 및 도 9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틸 고무는 종류에 따라 상이한 경도를 가지고 있고, 디스크 로딩 장치(1)를 사용하는 온도 조건 등을 고려하여, 최적인 부틸 고무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에는, 부틸 고무, 우레탄계 고무, 실리콘 고무, CR계 고무, EPDM계 고무, 엘라스토머 등을 이송 롤러(9, 9,…) 및 이송체(10, 10,…)의 재료로서 사용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상기한 이송벽(11, 12, 13)에 대하여도, 이들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나타낸 각 부의 구체적인 형상 및 구조는, 모두 본 발명을 실시할 때의 구체적인 일례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상의 기재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크 로딩 장치는, 디스크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반송하여 로딩하는 디스크 로딩 장치로서, 반송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협지하여 서로 반대측에 위치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면에 서로 반대측으로부터 가압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제1 반송 수단과 제2 반송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반송 수단으로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 경로를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동시에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되어 차례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면 상에 전동(轉動)하도록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주고 받으면서 이송하는 복수의 이송 롤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탑재하여 반송 하기 위한 디스크 트레이 등의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반송할 수 있고 , 사용의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른 수의 이송 롤러를 설치함으로써, 반송 스트로크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설계의 자유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재생부 외에 스태커가 설치되고 디스크 체인저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디스크 로딩 장치에 있어서는, 재생부와 스태커 사이에서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도 행할 필요가 있어 긴 반송 스트로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송 롤러를 사용하는 것은 설계의 자유도를 매우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1 반송 수단과 제2 반송 수단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면에 가압됨으로써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반송되기 때문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기록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2 반송 수단으로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이송 롤러와 동일한 수로 배치되는 동시에 대략 원통형 또는 대략 원주둥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이 반송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면에 차례로 가압되는 복수개의 이송체를 설치하고, 반송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협지하여 반대측에 위치된 각 이송 롤러와 각 이송체를 반송시키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면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기하여 이동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반송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한 이송 롤러와 이송체에 의한 부하가 안정됨과 동시에 이송 동작의 제어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개의 이송체를, 그러한 외주면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면 상을 전동하는 방향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안정적으로 또한 확실하게 반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이송 롤러의 적어도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접촉하는 부분을 부틸 고무로 형성했으므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한 양호한 반송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이송체의 적어도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접촉하는 부분을 부틸 고무에 의해 형성했으므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한 양호한 반송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의 기재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디스크 로딩 장치는, 반송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고 반송 모드에서 디스크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반송하여 로딩하는 디스크 로딩 장치로서, 반송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협지하여 서로 반대측에 위치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면에 서로 반대측으로부터 가압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제1 반송 수단과 제2 반송 수단과, 반송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지지 섀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반송 수단으로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 경로를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동시에 각각 독립하여 회전되고 차례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면 상을 전동하도록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주고 받으면서 이송하는 복수개의 이송 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복수개의 이송 롤러를 각각 지지하는 동시에 지지 섀시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송 롤러를 반송시키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면에 대해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더를 설치하고, 반송 모드 이외의 동작 모드에서, 가장 디스크 삽입구측에 위치되는 이송 롤러를 지지하는 슬라이더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반송 모드 이외의 동작 모드에서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디스크 삽입구로부터의 착오삽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장 디스크 삽입구측에 위치되는 이송 롤러를 지지하는 슬라이더의 이동이 상기 규제 수단에 의해 규제되었을 때에, 디스크 삽입구의 일부를 폐색(閉塞)하는 규제핀을 설치하였으므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부의 디스크 삽입구로부터의 삽입이 방지되고, 디스크 삽입구의 근방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존재하고 있어도, 디스크형 기록 매체끼리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크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반송하여 로딩하는 디스크 로딩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8)

  1.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 경로를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고, 각각 독립하여 순차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면을 전동(轉動)함으로써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주고 받으면서 반송하는 복수개의 롤러로 이루어지는 제1 반송 수단, 및
    반송되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반송 수단과 반대측에 상기 반송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상기 제1 반송 수단과 함께 협지(挾持)하는 제2 반송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반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송 수단은,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롤러와 동일한 수의 대략 원통형 또는 대략 원주형의 복수개의 이송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 부재는, 반송되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배치된 롤러와 동기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반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이송 부재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면을 전동하는방향으로 각각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반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적어도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접촉하는 부분은 부틸 고무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반송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부재의 적어도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접촉하는 부분은 부틸 고무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반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반송되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섀시,
    상기 복수개의 롤러를 각각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섀시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롤러를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 경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슬라이더, 및
    상기 복수개의 롤러 중 가장 디스크 삽입구측에 배치되는 롤러를 지지하는 슬라이더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반송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반송 장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모드를 적어도 포함하는 복수개의 동작 모드를 가지고,
    상기 규제 수단은 상기 반송 모드 이외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복수개의 롤러 중 가장 디스크 삽입구측에 배치되는 롤러를 지지하는 슬라이더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반송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롤러 중 가장 디스크 삽입구측에 배치되는 상기 롤러를 지지하는 슬라이더의 이동이 상기 규제 수단에 의해 규제될 때, 상기 디스크 삽입구의 일부를 폐색(閉塞)하는 규제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반송 장치.
KR10-2004-7018772A 2002-05-20 2003-05-20 디스크 로딩 장치 KR200500041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44458 2002-05-20
JPJP-P-2002-00144117 2002-05-20
JP2002144117 2002-05-20
JP2002144458A JP4232075B2 (ja) 2002-05-20 2002-05-20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2003020343A JP3882755B2 (ja) 2002-05-20 2003-01-29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JP-P-2003-00020343 2003-01-29
PCT/JP2003/006281 WO2003098621A1 (fr) 2002-05-20 2003-05-20 Dispositif de chargement de disqu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178A true KR20050004178A (ko) 2005-01-12

Family

ID=29553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772A KR20050004178A (ko) 2002-05-20 2003-05-20 디스크 로딩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130081A1 (ko)
KR (1) KR20050004178A (ko)
CN (1) CN1656552A (ko)
WO (1) WO20030986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3522B2 (en) * 2001-04-05 2008-04-01 Sony Corporation Disk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apparatus including a pair of transport rollers, with at least one fixed transport roller
JP3788395B2 (ja) * 2002-06-21 2006-06-21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4358U (ja) * 1982-12-28 1984-07-13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デイジタル・オ−デイオ・デイスク・プレ−ヤのロ−デイング装置
DE3732918A1 (de) * 1987-09-30 1989-04-20 Thomson Brandt Gmbh Lade- und entladevorrichtung eines cd-geraetes
JPH0589581A (ja) * 1991-09-25 1993-04-09 Nikon Corp 情報記録、再生装置
KR950004249A (ko) * 1993-07-09 1995-02-17 오오가 노리오 테이프 레코더 장치
JP4363670B2 (ja) * 1997-01-20 2009-11-11 ソニー株式会社 円盤状記録媒体再生及び/又は記録装置
US5886974A (en) * 1997-06-18 1999-03-23 Multidisc Technologies Compact disc loader and transport apparatus
TW390994B (en) * 1997-09-02 2000-05-21 Kenwood Corp Transport mechanism for optical disc cartridge
AU5296600A (en) * 1999-05-27 2000-12-18 Lam Research Corporation Wafer cascade scrubber
JP3856604B2 (ja) * 1999-09-02 2006-12-13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収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30081A1 (en) 2006-06-15
WO2003098621A1 (fr) 2003-11-27
CN1656552A (zh) 2005-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243335A (ja) ディスク搬送装置及びディスクストレージシステム
JP3380910B2 (ja)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及びディスク有無検出方法
KR20050004178A (ko) 디스크 로딩 장치
US5982720A (en) Disk reproducing apparatus
US6650602B2 (en) Disk device with disk changing section
US6667940B2 (en) Disk insertion/ejection device having a translating roller arrangement
JP4232075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KR20130027423A (ko) 디스크 반송 장치
US20010022767A1 (en) Disk device
JP3882755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3969177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US6785216B2 (en) Disk device with rotatable playing section
JP3928477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KR20130027422A (ko) 디스크 반송 장치
JP2003338121A (ja) 記録媒体チェンジャー
JP2003338117A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
JP2003338104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2003338110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2003338108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KR20050084026A (ko) 디스크 플레이어
JP2003338120A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
JP4702649B2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
JP2003338107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2003338109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EP1357552B1 (en) Disk supporter, disk holder, and dis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