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5696A -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5696A
KR20130025696A KR1020110089164A KR20110089164A KR20130025696A KR 20130025696 A KR20130025696 A KR 20130025696A KR 1020110089164 A KR1020110089164 A KR 1020110089164A KR 20110089164 A KR20110089164 A KR 20110089164A KR 20130025696 A KR20130025696 A KR 20130025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ion device
body member
piping connection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4094B1 (ko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김성훈
주식회사 초성
정석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훈, 주식회사 초성, 정석희 filed Critical 김성훈
Priority to KR1020110089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094B1/ko
Priority to US13/356,641 priority patent/US20130056976A1/en
Priority to PCT/KR2012/006961 priority patent/WO2013032254A2/ko
Priority to JP2013531519A priority patent/JP5438869B2/ja
Priority to CN2012800012012A priority patent/CN103282714A/zh
Priority to EP12772185.0A priority patent/EP2589848A4/en
Priority to AU2012244266A priority patent/AU2012244266A1/en
Priority to CA2788519A priority patent/CA2788519A1/en
Publication of KR20130025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6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latching members pushed radially by spring-lik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7Joints with sleeve or socket clamped by a wedg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볼트에 의해 배관에 고정되는 기존의 배관 연결장치가 갖는 문제점, 즉 볼트의 풀림 현상에 의한 고정력 약화, 시공상의 불편함 등을 해결함과 동시에, 배관간의 연결 시 더욱 우수한 수밀성 및 고정력을 제공하고 편리한 조립과정을 보장하고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배관(1)이 삽입되는 제1 본체부재(10A)와; 상기 제1 본체부재(10A)에 중심부를 기준으로 대향 배치되어 수밀성을 보장하기 위한 제1 수밀부재(20A)와; 상기 제1 수밀부재(20A)를 직선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지지부재(30A)와; 상기 제1 본체부재(10A)에 나선결합되는 체결부재(40A)와; 상기 체결부재(40A)로 삽입되어 가압스프링(50A-1)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되는 가압부재(50A)와; 상기 가압부재(50A)에 설치되어 가압부재(50A)의 이동 시 배관(1)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밀착부재(60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PIPE CONNECTING APPARATUS OF ONE-TOUCH TYPE}
본 발명은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관간의 연결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우수한 수밀성 및 고정력과 편리한 조립과정을 보장할 수 있는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를 일정경로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크기 및 모양의 관, 관이음체가 사용되며, 이의 조합에 따른 연결방식으로는 연결부에 대한 우수한 내구성 및 수밀성을 나타내는 용접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용접방식은 관체 연결을 위한 용접 작업에 일정공간의 확보를 필수적으로 요구함과 더불어 용접에 따른 관체간의 이음 후에도 이에 대한 하자 발생 시 보수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데, 예를 들어 관체간의 연결이 용접방식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용접 부위가 관체의 외주연을 따라 이루어져야 하므로 이로 인한 작업공간 확보가 필수적이고, 압륜을 개재하여 관체를 용접으로 연결함에 따라 차후 하자보수 시 관체 사이에 압륜을 개재하거나 재설치해야 하는 경우, 관체 사이에 압륜 분리 및 재설치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플랜지, 용접결합 등의 방식에 따라 크기가 다른 관체를 연결할 때에는 고가의 관이음체가 별도로 마련되어야 함에 따라,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9461호(이하 '등록특허1'이라 함) 및 등록특허 제10-0927198호(이하 '등록특허2'이라 함)를 발명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1 및 등록특허2의 배관 연결장치는 외부로 노출되는 볼트의 조임에 의해 관체에 고정되는 방식임에 따라 그 볼트에 충격이 가해져 풀림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배관간 연결에서 수밀성 및 고정력을 보장할 수 없게 되는 한편으로, 다수개의 볼트를 견고히 결합해야 하는 과정이 필수적임에 따라 그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이유로,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0977308호(이하 '등록특허3'이라 함)를 통해 그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있으나, 더욱 우수한 수밀성이나 편리한 조립과정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면의 연구가 여전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볼트에 의한 고정구조를 가급적 배제함과 아울러 배관간의 연결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더욱 우수한 수밀성 및 고정력과 함께 편리한 조립과정을 보장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관이 삽입가능한 크기를 갖고, 중앙부를 기준으로 내주면 양측으로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단턱과, 상기 단턱과 직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끼움홈과, 상기 제1 끼움홈으로부터 수평하게 형성되는 나선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제1 본체부재와; 상기 제1 끼움홈을 따라 배치되는 압착돌기와, 상기 압착돌기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단턱에 배치되는 안착편과, 상기 안착편 끝단으로부터 제1 본체부재 중앙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배관 외주면을 따라 밀착되는 탄성편이 구비된 제1 수밀부재와; 상기 압착돌기에 밀착되는 가압홈이 형성된 링형 지지부재와; 상기 제1 본체부재에 나선결합되면서 끝단이 지지부재를 가압하는 형상을 갖고 배관 삽입방향을 따라 내부 직경이 확장되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 일측 끝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로 삽입되어 걸림턱과 함께 가압스프링의 배치를 위한 밀폐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1 돌출리브와, 상기 제1 돌출리브에 대향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제2 돌출리브가 구비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경사면에 위치되는 가압부재측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톱니가 구비되어, 배관이 상기 제1 본체부재에 삽입될 경우 가압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톱니가 배관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는 배관을 삽입하는 단순한 과정만으로도 배관간의 견고한 연결을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기존 기술과 비교하여 더욱 우수한 수밀성을 제공할 수 있음에 따라, 배관 시공 및 유지보수 작업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고 누수 발생 사고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사출성형 가능한 구조를 갖는 이유로 금속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합성수지 또한 제품 소재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저가의 제작비용으로 우수한 제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중 가압부재 및 밀착부재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에 덮개부가 적용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가 탄성브라켓에 고정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이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가 병기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를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의 제1 실시예는 배관(1)이 삽입되는 제1 본체부재(10A)와, 제1 본체부재(10A)에 중심부를 기준으로 대향 배치되어 수밀성을 보장하기 위한 제1 수밀부재(20A)와, 제1 수밀부재(20A)를 직선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지지부재(30A)와, 제1 본체부재(10A)에 나선결합되는 체결부재(40A), 체결부재(40A)로 삽입되어 가압스프링(50A-1)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되는 가압부재(50A)와, 가압부재(50A)에 설치되어 가압부재(50A)의 이동 시 배관(1)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밀착부재(60A)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본체부재(10A)는 배관(1)이 삽입가능한 크기를 갖고, 중앙부를 기준으로 내주면 양측으로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단턱(10A-1)과, 단턱(10A-1)과 직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끼움홈(10A-2)과, 제1 끼움홈(10A-2)으로부터 수평하게 형성되는 나선(10A-3)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구조를 통해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제1 수밀부재(20A), 지지부재(30A), 체결부재(40A), 가압부재(50A) 및 밀착부재(60A)를 수용하거나 이와 결합되면서 2개의 배관(1)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1 본체부재(10A)의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선형 뿐만 아니라, 배관간의 방향전환 연결을 위한 엘보형, T형, 분기형(직선형에서 양측으로 배관의 추가 설치가 가능한 형상) 등의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 수밀부재(20A)는 제1 끼움홈(10A-2)을 따라 배치되는 압착돌기(20A-1)와, 압착돌기(20A-1)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단턱(10A-1)에 배치되는 안착편(20A-2)과, 안착편(20A-2) 끝단으로부터 제1 본체부재(10A) 중앙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배관(1) 외주면을 따라 밀착되는 탄성편(20A-3)이 구비된 고무재질의 패킹으로, 배관(1) 삽입시에는 그 동일방향으로 탄성편(20A-3)이 휘어지면서 배관(1)에 밀착되었다가 배관(1) 이탈방향으로 수압이 작용할 시에는 탄성편(20A-3)이 누수되지 않도록 기능함으로써 유체 이송을 위한 배관간 연결에서 수밀성을 보장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30A)는 플라스틱, 금속과 같은 소재를 재질로 하여 제1 수밀부재(20A)의 압착돌기(20A-1)에 밀착되는 가압홈(30A-1)이 형성된 링형상을 갖는데, 이에 따르면 제1 본체부재(10A) 및 체결부재(40A)가 결합될 경우 압착돌기(20A-1)가 가압홈(30A-1)에 밀착되면서 단턱(10A-1)과 안착편(20A-2) 틈 사이로 미세한 누수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또한 제1 본체부재(10A) 및 체결부재(40A)의 결합 시 체결부재(40A) 끝단의 회전에 의해 제1 수밀부재(20A)에 마찰력이 가해져 제1 수밀부재(20A)가 물리적으로 손상되는 조건을 배제하도록 단순히 제1 수밀부재(20A)를 직선방향으로 견고히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체결부재(40A)는 제1 본체부재(10A)에 나선결합되면서 끝단이 지지부재(30A)를 가압하는 형상을 갖고, 배관(1) 삽입방향을 따라 내부 직경이 확장되는 경사면(40A-1)을 가지며, 경사면(40A-1) 일측 끝단에 걸림턱(40A-2)이 형성된 구조를 갖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40A)는 제1 수밀부재(20A) 및 지지부재(30A)가 제1 본체부재(10A)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가압부재(50A) 및 밀착부재(60A)와 함께 배관(1)의 원터치식 연결을 가능하게 하며, 여기서 걸림턱(40A-2)은 도면과 같이 경사면(40A-1) 중 직경이 가장 작은 부분으로부터 연속하여 위치하게 된다.
상기 가압부재(50A)는 배관(1)이 삽입가능하게 천공된 형상으로 체결부재(40A)로 삽입되어 걸림턱(40A-2)과 함께 가압스프링(50A-1)의 배치를 위한 밀폐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1 돌출리브(50A-2)와, 제1 돌출리브(50A-2)에 대향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제2 돌출리브(50A-3)를 구비하여 체결부재(40A)에 삽입되되, 제2 돌출리브(50A-3)의 경우는 가압부재(50A) 전체를 압박하거나 잡아당기는 등 이의 설치 및 분해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밀착부재(60A)는 경사면(40A-1)에 위치되는 가압부재(50A)측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톱니(60A-1)가 구비되어, 배관(1)이 제1 본체부재(10A)에 삽입될 경우 가압스프링(50A-1)의 복원력에 의해 톱니(60A-1)가 배관(1) 외주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의 제2 실시예는 배관(1)이 삽입되는 제2 본체부재(10AA)와, 제2 본체부재(10AA) 내측 중앙에 고정되는 삽입부재(70A)와, 삽입부재(70A)에 양측으로 대향 배치되어 수밀성을 보장하기 위한 제2 수밀부재(20AA)와, 제2 본체부재(10AA)와 나선결합되면서 삽입부재(70A)를 양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체결부재(40A), 체결부재(40A)로 삽입되어 가압스프링(50A-1)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되는 가압부재(50A)와, 가압부재(50A)에 설치되어 가압부재(50A)의 이동 시 배관(1)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밀착부재(60A)로 구성된다.
상기 제2 본체부재(10AA)는 배관(1)이 삽입가능한 크기를 갖고, 내측 중심을 따라 고정돌기(10AA-1)가 구비되며, 양측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것으로, 이는 고정돌기(10AA-1)를 통해 삽입부재(70A)와 결합됨으로써 단순한 형태의 제2 본체부재(10AA)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삽입부재(70A)에 제2 수밀부재(20AA)가 끼움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10AA-1)는 삽입부재(70A)가 제2 본체부재(10AA) 중앙측에 배치되도록 삽입부재(70A)의 고정 또는 이탈이 가능할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으로 충분하다.
상기 삽입부재(70A)는 제2 본체부재(10AA)에 삽입되어 중앙측이 고정돌기(10AA-1)를 따라 고정되고, 양측 내주면에 제2 끼움홈(70A-1)이 형성되어 그 제2 끼움홈(70A-1)을 따라 제2 수밀부재(20AA)가 고정되도록 하게 되는데, 삽입부재(70A)는 제2 본체부재(10AA)와 결합되는 체결부재(40A)에 의해 제2 본체부재(10AA) 내측에서 이동 불가한 상태로 고정되며 제2 수밀부재(20AA)에 마찰력과 같은 물리적인 힘이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제2 수밀부재(20AA)는 고무를 재질로 하는 일종의 패킹으로 제2 끼움홈(70A-1)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편(20AA-1)과, 고정편(20AA-1) 끝단으로부터 제2 본체부재(10AA) 중앙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배관(1) 외주면을 따라 밀착되는 탄력편(20AA-2)을 구비하여, 배관(1) 삽입시에 그 동일방향으로 탄력편(20AA-2)이 휘어지면서 배관(1)에 밀착되었다가 배관(1) 이탈방향으로 수압이 작용할 시에는 탄력편(20AA-2)이 누수되지 않도록 기능함으로써 유체 이송을 위한 배관간 연결에서 수밀성을 보장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재(40A)는 제2 본체부재(10AA)에 나선결합되면서 끝단이 삽입부재(70A)를 가압하는 형상을 갖고 배관(1) 삽입방향을 따라 내부 직경이 확장되는 경사면(40A-1)을 가지며 경사면(40A-1) 일측 끝단에 걸림턱(40A-2)이 형성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체결부재(40A), 가압부재(50A) 및 밀착부재(60A)는 구조와 기능상에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것이므로 제2 실시예에서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로 하여 기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상기 밀착부재(60A)의 설치방식에 대해 살펴보면, 첫째로 가압부재(50A)에 밀착부재(60A)가 끼움고정되는 끼움홀(50A-5)을 형성하고, 끼움홀(50A-5)에 밀착부재(60A)가 삽입되도록 하되, 배관(1)이 삽입될 경우 가압스프링(50A-1)의 복원력에 의해 톱니(60A-1)가 배관(1)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경사면(40A-1)에 의해 지지되는 돌출편(60A-2)이 밀착부재(60A)에 구비되도록 하며, 여기서 밀착부재(60A)는 끼움홀(50A-5)에 일정한 방향으로 삽입될 시에만 끼움고정되도록 끼움홀(50A-5)과 함께 그 길이나 형상이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밀착부재(60A)의 톱니(60A-1)가 배관(1) 삽입방향으로 경사진 부분을 갖도록 하여 배관(1)과의 밀착정도가 보다 양호해질 수 있도록 할 시에 그 톱니 방향(60A-1)이 밀착부재(60A)의 설치방향에 대응하여 반대가 되는 것을 조립과정에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상기 가압부재(50A)의 끼움홀(50A-5)에 밀착부재(60A)를 설치하는 방식은 제1 또는 제2 본체부재(10A, 10AA)에 삽입된 가압부재(50A) 끝단에 도구를 통해 부분적으로 외력을 내부 중심방향으로 가하여 끼움홀(50A-5)이 형성된 부분이 휘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이격된 틈 사이로 끼움홀(50A-5)에 밀착부재(60A)가 삽입되도록 하여 걸림턱(40A-2)으로부터 경사면(40A-1) 및 배관(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만 밀착부재(60A)가 이동가능하게 하며, 참고로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밀착부재(60A)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가압부재(50A)의 끼움홀(50A-5)이 형성된 부분이 휨성을 가져야 하는 이유로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로 가압부재(50A)를 제작할 시에 내측으로 휘어진 다음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갖도록 그 크기가 적절히 조절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상기 밀착부재(60A)의 또 다른 설치방식에 대해 살펴보면, 가압부재(50A)의 제2 돌출리브(50A-3) 반대측 끝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절삭홀(50A-4)을 형성하여 가압부재(50A)의 절삭홀(50A-4)이 형성된 부분이 휨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가압부재(50A)에 미리 밀착부재(60A)를 끼움고정시킨 상태에서 제1 또는 제2 본체부재(10AA)측으로 삽입함으로써 걸림턱(40A-2)에 밀착부재(60)가 접촉될 시에도 가압부재(50) 일부가 휘어지면서 밀착부재(60)가 경사면(40A-1)측으로 위치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이전의 밀착부재(60A) 설치방식의 번거로운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50A)에 삽입된 복수개의 밀착부재(60A)가 끼움홀(50A-5)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밀착부재(60A)를 동시에 둘러싸는 링형 고무밴드(60A-3)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고무밴드(60A-3)는 탄성력에 의해 밀착부재(60A)를 고정시킬 수도 있고 아울러 가압부재(50A)의 절삭홀(50A-4)이 형성된 부분과 함께 크기 가변적일 수 있다.
한편으로는 상기 가압부재(50A)에 밀착부재(60A)를 미리 설치하는 방식을 고려하면, 가압부재(50A)의 사출 시 밀착부재(60A)의 일부가 그 가압부재(50A)에 매설되도록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밀착부재(60A)의 톱니(60A-1)가 배관(1)에 밀착되도록 경사면(40A-1)에 의해 지지되는 볼록부(50A-6), 즉 돌출편(60A-2)과 같은 기능을 하는 볼록부(50A-6)가 가압부재(50A)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끼움홀(50A-5)에 밀착부재(60A)를 설치하는 과정 또한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재(40A) 및 가압부재(50A)가 지하나 벽체에 매설될 시에 틈 사이로 이물질이 개재되어 차후 유지보수 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도 8에서와 같이 제2 돌출리브(50A-3) 끝단 둘레를 따라 체결부재(40A)측을 커버하도록 연장되는 덮개부(50A-7)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덮개부(50A-7) 내측면에 이탈방지돌기(50A-8)가 구비되도록 하고, 이탈방지돌기(50A-8)가 외력에 의해 끼움되어 가압부재(50A)가 일정범위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하는 단턱부(40A-3)를 체결부재(40A) 외측면에 형성함으로써, 조립된 본 발명의 배관 연결장치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참고로 이러한 이탈방지돌기(50A-8) 및 단턱부(40A-3)에 의한 이탈방지 구조는 제1 돌출리브(50A-2) 끝단과 및 체결부재(40A) 내측면 각각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로 하면, 더욱이 벽면 또는 바닥면에 고정되어 원통형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종래 탄성브라켓(2)에 본 발명의 연결장치가 견고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브라켓(2) 끝단이 고정되는 고정리브(10A-4)가 제1 본체부재(10A) 및 체결부재(40A) 중 하나 이상의 외측면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고정리브(10A-4)에는 탄성브라켓(2) 끝단의 고정을 위한 구멍이나 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추가로 직선부위를 갖는 상기 제1 본체부재(10A) 내측면에 배관(1)이 양측으로 동일한 길이만큼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제한리브(10A-5)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배관(1)이 일정한 길이만큼만 제1 본체부재(10A)에 삽입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제1 본체부재(10A) 양측에 배치되는 배관이 동일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Claims (12)

  1. 배관(1)이 삽입가능한 크기를 갖고, 중앙부를 기준으로 내주면 양측으로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단턱(10A-1)과, 상기 단턱(10A-1)과 직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끼움홈(10A-2)과, 상기 제1 끼움홈(10A-2)으로부터 수평하게 형성되는 나선(10A-3)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제1 본체부재(10A)와;
    상기 제1 끼움홈(10A-2)을 따라 배치되는 압착돌기(20A-1)와, 상기 압착돌기(20A-1)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단턱(10A-1)에 배치되는 안착편(20A-2)과, 상기 안착편(20A-2) 끝단으로부터 제1 본체부재(10A) 중앙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배관(1) 외주면을 따라 밀착되는 탄성편(20A-3)이 구비된 제1 수밀부재(20A)와;
    상기 압착돌기(20A-1)에 밀착되는 가압홈(30A-1)이 형성된 링형 지지부재(30A)와;
    상기 제1 본체부재(10A)에 나선결합되면서 끝단이 지지부재(30A)를 가압하는 형상을 갖고 배관(1) 삽입방향을 따라 내부 직경이 확장되는 경사면(40A-1)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40A-1) 일측 끝단에 걸림턱(40A-2)이 형성된 체결부재(40A)와;
    상기 체결부재(40A)로 삽입되어 걸림턱(40A-2)과 함께 가압스프링(50A-1)의 배치를 위한 밀폐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1 돌출리브(50A-2)와, 상기 제1 돌출리브(50A-2)에 대향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제2 돌출리브(50A-3)가 구비되는 가압부재(50A)와;
    상기 경사면(40A-1)에 위치되는 가압부재(50A)측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톱니(60A-1)가 구비되어, 배관(1)이 상기 제1 본체부재(10A)에 삽입될 경우 가압스프링(50A-1)의 복원력에 의해 톱니(60A-1)가 배관(1)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부재(60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배관 연결 장치.
  2. 배관(1)이 삽입가능한 크기를 갖고, 내측 중심을 따라 고정돌기(10AA-1)가 구비되며, 양측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제2 본체부재(10AA)와;
    상기 제2 본체부재(10AA)에 삽입되어 중앙측이 고정돌기(10AA-1)를 따라 고정되고, 양측 내주면에 제2 끼움홈(70A-1)이 형성된 삽입부재(70A)와;
    상기 제2 끼움홈(70A-1)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편(20AA-1)과, 상기 고정편(20AA-1) 끝단으로부터 제2 본체부재(10AA) 중앙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배관(1) 외주면을 따라 밀착되는 탄력편(20AA-2)이 구비된 제2 수밀부재(20AA)와;
    상기 제2 본체부재(10AA)에 나선결합되면서 끝단이 삽입부재(70A)를 가압하는 형상을 갖고 배관(1) 삽입방향을 따라 내부 직경이 확장되는 경사면(40A-1)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40A-1) 일측 끝단에 걸림턱(40A-2)이 형성된 체결부재(40A)와;
    상기 체결부재(40A)로 삽입되어 걸림턱(40A-2)과 함께 가압스프링(50A-1)의 배치를 위한 밀폐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1 돌출리브(50A-2)와, 상기 제1 돌출리브(50A-2)에 대향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제2 돌출리브(50A-3)가 구비되는 가압부재(50A)와;
    상기 경사면(40A-1)에 위치되는 가압부재(50A)측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톱니(60A-1)가 구비되어, 배관(1)이 상기 제2 본체부재(10AA)에 삽입될 경우 가압스프링(50A-1)의 복원력에 의해 톱니(60A-1)가 배관(1)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부재(60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배관 연결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50A)의 제2 돌출리브(50A-3) 반대측 끝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절삭홀(50A-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배관 연결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50A)에는 밀착부재(60A)가 끼움고정되는 끼움홀(50A-5)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홀(50A-5)에 삽입되는 밀착부재(60A)에는 톱니(60A-1)가 배관(1)에 밀착되도록 경사면(40A-1)에 의해 지지되는 돌출편(60A-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배관 연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60A)는 끼움홀(50A-5)에 일정한 방향으로 삽입될 시에만 끼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배관 연결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50A)에 삽입된 복수개의 밀착부재(60A)는 링형 고무밴드(60A-3)의 탄성력에 의해 끼움홀(50A-5)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배관 연결 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50A)에는 밀착부재(60A)의 일부가 매설되어 톱니(60A-1)가 배관(1)에 밀착되도록 경사면(40A-1)에 의해 지지되는 볼록부(50A-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배관 연결 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40A) 및 가압부재(50A) 사이의 틈 사이로 이물질이 개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돌출리브(50A-3) 끝단 둘레를 따라 체결부재(40A)측을 커버하도록 연장되는 덮개부(50A-7)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배관 연결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50A-7) 내측면에는 이탈방지돌기(50A-8)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재(40A) 외측면에는 이탈방지돌기(50A-8)가 외력에 의해 끼움되어 가압부재(50A)가 일정범위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하는 단턱부(40A-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배관 연결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재(10A) 및 체결부재(40A) 중 하나 이상의 외측면에는 벽면 또는 바닥면에 고정되어 원통형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브라켓(2)의 끝단이 고정되는 고정리브(10A-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배관 연결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재(10A) 내측면에는 배관(1)이 양측으로 동일한 길이만큼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제한리브(10A-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배관 연결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재(10A)는 직선형, 엘보형, T형 및 분기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배관 연결 장치.
KR1020110089164A 2011-09-02 2011-09-02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1274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164A KR101274094B1 (ko) 2011-09-02 2011-09-02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US13/356,641 US20130056976A1 (en) 2011-09-02 2012-01-23 One-touch pipe connection device
PCT/KR2012/006961 WO2013032254A2 (ko) 2011-09-02 2012-08-31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JP2013531519A JP5438869B2 (ja) 2011-09-02 2012-08-31 ワンタッチ式配管連結装置
CN2012800012012A CN103282714A (zh) 2011-09-02 2012-08-31 一键式配管连接装置
EP12772185.0A EP2589848A4 (en) 2011-09-02 2012-08-31 APPARATUS FOR CONNECTING PIPES OF SINGLE-TOUCH TYPE
AU2012244266A AU2012244266A1 (en) 2011-09-02 2012-08-31 One-touch pipe connection device
CA2788519A CA2788519A1 (en) 2011-09-02 2012-09-04 One-touch pipe conne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164A KR101274094B1 (ko) 2011-09-02 2011-09-02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696A true KR20130025696A (ko) 2013-03-12
KR101274094B1 KR101274094B1 (ko) 2013-06-18

Family

ID=48177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164A KR101274094B1 (ko) 2011-09-02 2011-09-02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09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517A1 (ko) * 2015-01-01 2016-07-07 김석윤 회전쐐기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장치
CN107969141A (zh) * 2015-01-01 2018-04-27 金石允 一种使用旋转楔钉榫的管件连接装置
CN112371279A (zh) * 2020-01-18 2021-02-19 王琼 一种呼吸科用药物磨粉机
EP4040028A1 (fr) * 2021-02-05 2022-08-10 Staubli Faverges Élément de raccord
CN116608344A (zh) * 2023-07-13 2023-08-18 无锡大洋高科热能装备有限公司 一种熔盐加热器用蒸汽输送管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6626A (zh) * 2013-12-10 2015-06-10 大连顺杰机械有限公司 一种紧固套件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712A (ko) * 2003-01-03 2004-07-09 아시아리드 주식회사 배관 연결구의 원터치식 배관 고정장치
KR20110047448A (ko) * 2009-10-30 2011-05-09 주식회사 조인탑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 장치
KR101007546B1 (ko) * 2010-10-15 2011-01-14 (주)럭키텍 이음관 내부에 구성되는 파이프 연결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517A1 (ko) * 2015-01-01 2016-07-07 김석윤 회전쐐기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장치
CN107969141A (zh) * 2015-01-01 2018-04-27 金石允 一种使用旋转楔钉榫的管件连接装置
CN112371279A (zh) * 2020-01-18 2021-02-19 王琼 一种呼吸科用药物磨粉机
EP4040028A1 (fr) * 2021-02-05 2022-08-10 Staubli Faverges Élément de raccord
FR3119657A1 (fr) * 2021-02-05 2022-08-12 Staubli Faverges Elément de raccord
US11815213B2 (en) 2021-02-05 2023-11-14 Staubli Faverges Connector element
CN116608344A (zh) * 2023-07-13 2023-08-18 无锡大洋高科热能装备有限公司 一种熔盐加热器用蒸汽输送管道
CN116608344B (zh) * 2023-07-13 2023-09-26 无锡大洋高科热能装备有限公司 一种熔盐加热器用蒸汽输送管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4094B1 (ko) 201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094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JP5438869B2 (ja) ワンタッチ式配管連結装置
KR101025542B1 (ko) 관체 연결 장치
TWI638112B (zh) 轉接頭之連接器
KR100977308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20200084840A (ko)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
KR102028180B1 (ko) 파이프 구조체
KR101329805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1181414B1 (ko) 상하수도관용 신축이음장치
WO2011133377A1 (en) Self-restraining system for belled pipe
KR101636798B1 (ko) 파이프 연결 조인트
KR20160086657A (ko) 관연결장치
KR20140085958A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FI93898B (fi) Laite ohutseinäisen letkun liittämiseksi putken muotoiseen elementtiin
KR20150090770A (ko) 플랜지관 이음용 클램프 장치
KR20130049957A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1432945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2000733B1 (ko) 조임력이 변경되더라도 내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오배수관용 연결 이음장치
KR101458394B1 (ko) 나선관용 연결장치
KR20120111363A (ko)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1673243B1 (ko) 힌지를 이용한 스테인리스 파이프를 체결하는 체결구 및 이를 이용한 스테인리스 파이프 체결 어셈블리
KR20130123016A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1187042B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101111722B1 (ko) 관 이음장치
KR20130072705A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