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4903A - 절삭용 인서트 및 인덱서블 절삭공구 - Google Patents
절삭용 인서트 및 인덱서블 절삭공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24903A KR20130024903A KR1020127028396A KR20127028396A KR20130024903A KR 20130024903 A KR20130024903 A KR 20130024903A KR 1020127028396 A KR1020127028396 A KR 1020127028396A KR 20127028396 A KR20127028396 A KR 20127028396A KR 20130024903 A KR20130024903 A KR 201300249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tting
- cutting edge
- insert
- tool
- ma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02—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 B23C5/205—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characterised by chip-breakers of special for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06—Face-milling cutters, i.e. having only or primarily a substantially flat cutting surfa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02—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04—Overall shape
- B23C2200/0422—Octagon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0—Top or side views of the cutting edge
- B23C2200/201—Details of the nose radius and immediately surrounding area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0—Top or side views of the cutting edge
- B23C2200/205—Discontinuous cutting edg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06—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1908—Face or end mill
- Y10T407/1924—Specified tool shap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2—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holder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2268—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holder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with chip breaker, guide or deflect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3—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tool having plural alternatively usable cutting edges
- Y10T407/235—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tool having plural alternatively usable cutting edges with integral chip breaker, guide or defl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의 발생을 억제하는 동시에 고능률 가공을 가능하게 하는 절삭용 인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절삭용 인서트(1)는 절삭면과 여유면의 교차부에 형성된 절삭날을 가지고, 절삭날은 코너부(20)와, 그 코너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 1 주절삭날(21)과, 그 코너부의 타측에 형성된 제 2 주절삭날(22)을 포함하며, 제 2 주절삭날(22)은 코너부(20)로부터 멀어질수록 상하면 중 절삭면(11)이 형성된 면측으로부터, 대향하는 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서서히 경사지는 내리막 경사부(22a)와, 코너부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대향하는 면측으로부터 그 절삭면이 형성된 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서서히 경사지는 오르막 경사부(22b)를 구비하고, 내리막 경사부는 코너부와 접속되며, 오르막 경사부는 내리막 경사부에 접속되고, 오르막 경사부와 내리막 경사부의 적어도 접속 영역은 오목한 형상으로 휘어지는 회피부(24)를 가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절삭용 인서트 및 그 절삭용 인서트를 장착할 수 있는 날끝 교환식 절삭공구에 관한 것이다.
정면 프레이즈(fraise) 가공에서 발생하는 버(burr)는, 일반적으로 정면 프레이즈 가공 종료 후에 설치되는 버 제거 공정에 의하여 제거된다. 한편, 주물의 프레이즈 가공에서 발생하는 부스러기에 있어서는, 그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부스러기가 발생하기 어려운 절삭조건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 밖에, 정면 프레이즈 가공에서 버 또는 부스러기를 억제하는 기술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그러한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08-052611호의 종래기술은, 주절삭을 목적으로 하는 거친 가공용 인서트 이외에 원형의 버 억제용 인서트(버 제거용 팁)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버 억제용 인서트는 원반 형상이고, 그 원형의 측면과 원주면의 교차 능선부에 절삭날이 형성된다.
하지만, 일본공개특허공보 평08-052611호의 목적은, 주절삭을 행하는 거친 가공용 인서트와, 버 억제 전용의 플랫 드랙(flat drag)을 설치한 버 억제용 인서트가 조합되어 설치된 정면 프레이즈를 이용함으로써 버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문제 중 첫번째는, 거친 가공용 인서트와 버 억제용 인서트의 2종류의 팁을 준비해야만 하므로, 절삭용 인서트의 재고 종류가 늘어난다는 것이다.
문제 중 두번째는, 거친 가공용 인서트와 버 억제용 인서트는 공구 수명에서 차이가 있어, 어느 한쪽의 공구 수명이 다하였을 때, 양쪽 인서트를 동시에 교환해야만 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그 때문에, 각각의 절삭용 인서트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없어 공구비가 높아진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거친 가공용의 절삭날과 버 억제용의 절삭날의 양쪽 절삭날을 가지는 절삭 인서트 및 그 절삭 인서트를 구비한 날끝 교환식 절삭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절삭용 인서트는, 절삭용 인서트의 중심축선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상하면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는 절삭면과, 상기 상하면 사이에서 연장하는 상기 절삭용 인서트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여유면을 가지는 다각형상의 판형상 절삭용 인서트로서, 상기 절삭면과 상기 여유면의 교차부에 형성된 절삭날을 가지고, 상기 절삭날은, 코너부와, 그 코너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 1 주절삭날과, 그 코너부의 타측에 형성된 제 2 주절삭날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주절삭날은 상기 코너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상하면 중 상기 절삭면이 형성된 면측으로부터, 그 절삭면에 대향하는 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서서히 경사지는 내리막 경사부와, 상기 코너부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절삭면에 대향하는 면측으로부터 그 절삭면이 형성된 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서서히 경사지는 오르막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르막 경사부는 상기 내리막 경사부와 접속되며, 상기 오르막 경사부와 상기 내리막 경사부의 적어도 접속 영역은 오목한 형상으로 휘어지는 회피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날끝 교환식 절삭공구는, 상기 본 발명의 절삭용 인서트와, 그 인서트를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하는 인서트 설치 시트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공구본체를 가지는 날끝 교환식 절삭공구로서, 상기 공구본체에 장착된 상기 절삭용 인서트는 상기 제1 주절삭날 및 상기 제 2 주절삭날의 각각이 상기 공구본체의 외주면 및 선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 2 주절삭날의 내리막 경사부는 음의 절삭각을 가지며, 상기 제 2 주절삭날의 오르막 경사부는 양의 절삭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절삭용 인서트가 날끝 교환식 절삭공구에 장착되어 피삭재의 절삭가공을 할 때, 제 1 주절삭날 및 코너부가 피삭재의 거친 절삭 가공을 담당한다. 한편, 제 2 주절삭날의 오르막 경사부의 일부는 근소한 절삭각을 가지는 버 억제날로서 작용한다. 이에 따라, 제 1 주절삭날에 의한 거친 절삭 가공에 있어서 가공면에 버가 발생하여도, 그 버를 버 억제날이 제거하므로, 버 또는 부스러기의 발생을 방지한다. 즉, 본 발명의 절삭용 인서트가 사용되면, 1종류의 절삭용 인서트로 거친 가공과 버 제거 가공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따라서, 거친 가공용 절삭조건 그대로 버가 없는 가공이 가능하게 된다. 바꿔 말하면, 본 발명의 절삭용 인서트는 절삭조건을 떨어뜨리지 않고, 버 또는 부스러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주절삭날의 내리막 경사부와 오르막 경사부의 교차부 근방은 피삭재와 접촉하지 않는 회피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회피부를 사이에 끼우고, 오르막 경사부의 일부로 구성되는 버 억제날과, 제 1 주절삭날 및 코너부는 서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버 억제날로부터 생성되는 절삭 부스러기와, 제 1 주절삭날 및 코너부로부터 발생되는 절삭 부스러기는 서로 분단되게 된다. 그 때문에, 생성된 절삭 부스러기가 원활하게 배출된다. 또한, 제 1 주절삭날과 버 억제날에서 개별적으로 절삭각이나 절삭날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가공에 대하여 적정화를 할 수 있다.
버 억제날이 되는 오르막 경사부의 반경방향 경사(rake)각은 음의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그 때문에, 오르막 경사부에서 발생하는 절삭 저항에 의한 반발력의 방향은, 절삭공구의 바깥쪽을 향한다. 즉, 절삭 인서트의 회전에 의해 빠질 때에는 버를 피삭재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을 향한다. 또한, 오르막 경사부는 반경방향 경사각의 음의 방향으로의 경사가 작은 경우와 비교하면, 피삭재로부터 시간을 들여 서서히 이탈한다. 즉, 피삭재로부터의 이탈부를 절삭날이 크게 경사진 채로 통과한다. 절삭날이 경사진 상태로 피삭재를 절삭하기 위하여, 절삭 저항이 더욱 낮아져서, 버가 확실히 제거된다. 이에 따라, 버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절삭용 인서트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절삭용 인서트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절삭용 인서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절삭용 인서트의 제 2 주절삭날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절삭용 인서트를 장착하는 날끝 교환식 정면 프레이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날끝 교환식 정면 프레이즈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내는 날끝 교환식 정면 프레이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내는 날끝 교환식 정면 프레이즈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절삭용 인서트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절삭용 인서트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내는 절삭용 인서트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나타내는 절삭용 인서트의 제 2 주절삭날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9에 나타내는 절삭용 인서트를 장착하는 날끝 교환식 정면 프레이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날끝 교환식 정면 프레이즈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나타내는 날끝 교환식 정면 프레이즈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5 및 도 13에 나타내는 날끝 교환식 정면 프레이즈의 피삭재로부터 빠질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5 및 도 13에 나타내는 날끝 교환식 정면 프레이즈의 피삭재로부터 빠질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5 및 도 13에 나타내는 날끝 교환식 정면 프레이즈의 절삭날 회전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절삭용 인서트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절삭용 인서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절삭용 인서트의 제 2 주절삭날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절삭용 인서트를 장착하는 날끝 교환식 정면 프레이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날끝 교환식 정면 프레이즈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내는 날끝 교환식 정면 프레이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내는 날끝 교환식 정면 프레이즈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절삭용 인서트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절삭용 인서트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내는 절삭용 인서트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나타내는 절삭용 인서트의 제 2 주절삭날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9에 나타내는 절삭용 인서트를 장착하는 날끝 교환식 정면 프레이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날끝 교환식 정면 프레이즈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나타내는 날끝 교환식 정면 프레이즈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5 및 도 13에 나타내는 날끝 교환식 정면 프레이즈의 피삭재로부터 빠질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5 및 도 13에 나타내는 날끝 교환식 정면 프레이즈의 피삭재로부터 빠질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5 및 도 13에 나타내는 날끝 교환식 정면 프레이즈의 절삭날 회전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절삭용 인서트(1)는 대략 팔각형의 판형상을 이룬다. 절삭용 인서트(1)는 중심축선(CL)을 중심에 가지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설치구멍(13)을 가진다. 절삭면(11)은 절삭용 인서트(1)의 중심축선(CL) 방향(두께 방향)에 대향하는 대략 팔각형상의 상하면에 형성된다. 여유면(12)은 상하에 대향하는 팔각형면 사이를 두께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주면에 형성된다. 절삭용 인서트(1)는 중심축선(CL)에 직교하고, 상하면의 중간을 통과하며, 제 1 주절삭날과 평행한 축선에 관하여 180°회전대칭이다.
본 실시형태의 절삭용 인서트(1)의 절삭날은, 상면 및 하면과 외주면과의 교차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된 8개의 코너부 중 4개의 코너부(20) 부근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절삭날은 제 1 주절삭날(21)과, 제 2 주절삭날(22)과, 플랫 드랙(23)을 포함한다. 제 1 주절삭날(21)과 제 2 주절삭날(22)은 코너부(20)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고, 제 2 주절삭날(22)과 플랫 드랙(23)은 서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주절삭날(21)은, 절삭면(11a)과 여유면(12a)의 교차부에 형성되고, 제 2 주절삭날(22)은, 절삭면(11b)과 여유면(12b)의 교차부에 형성되며, 플랫 드랙(23)은 절삭면(11c)과 여유면(12c)의 교차부에 형성되어 있다. 코너부(20)는 절삭용 인서트(1)를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코너부(20)는 중심축선(CL)에 관하여 90°회전대칭으로 배치된다. 제 1 주절삭날(21)은 절삭용 인서트(1)의 (*1)중심축선(CL)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대략 직선 형상으로 연장된다. 제 1 주절삭날(21)에 인접하는 절삭면(11a)은 제 1 주절삭날(21)로부터 중심축선(CL)측을 향하여 멀어질수록 절삭용 인서트(1)의 중심축선(CL) 방향의 두께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양의 절삭각을 가진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주절삭날(22)은 코너부(20)를 통하여 제 1 주절삭날(21)에 접속된 내리막 경사부(22a)와, 플랫 드랙(23)에 접속된 오르막 경사부(22b)를 가진다. 내리막 경사부(22a)와 코너부(20)의 접속부는 매끄럽게 휘어져 있다. 그리고, 내리막 경사부(22a)는 코너부(20)로부터 플랫 드랙(23)을 향하는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서, 절삭용 인서트(1)의 중심축선(CL) 방향의 두께가 서서히 감소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면에 형성된 내리막 경사부(22a)라면 상면측에서 하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하면에 형성된 내리막 경사부(22a)라면 하면측으로부터 상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오르막 경사부(22b)는 내리막 경사부(22a)의 최하점에 있어서 접속되고, 오르막 경사부(22b)는 코너부(20)로부터 플랫 드랙(23)을 향하는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서, 절삭용 인서트(1)의 중심축선(CL) 방향의 두께가 서서히 증가하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즉, 상면에 형성된 오르막 경사부(22b)라면 하면측으로부터 상면측을 향하는 왼쪽 오르막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하면에 형성된 오르막 경사부(22b)라면 상면측으로부터 하면측을 향하는 오른쪽 내리막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오르막 경사부(22b)와 내리막 경사부(22a)는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다. 제 2 주절삭날(22)의 여유면(12b)은 단일한 평면으로 구성된다.
제 2 주절삭날(22)에 대응하는 절삭면(11b)은 내리막 경사부(22a) 및 오르막 경사부(22b)에 대응한 내리막 경사면 및 오르막 경사면을 가지고, 이들은 제 2 주절삭날(22)로부터 중심축선(CL) 방향을 향하여 멀어질수록 절삭용 인서트(1)의 중심축선(CL) 방향의 두께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양의 절삭각을 가진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선형상의 플랫 드랙(23)은 제 2 주절삭날(22)의 오르막 경사부(22b)에 접속하고 있다. 플랫 드랙(23)은 중심축선(CL)의 방향에서 볼 때, 제 2 주절삭날(22)의 오르막 경사부(22b)에 대하여 둔각으로 교차하고 있다. 또한, 플랫 드랙(23)은 플랫 드랙(23)을 플랫 드랙(23)으로부터 연장하는 여유면(12c)에 대향하는 측에서 볼 때는, 절삭용 인서트(1)의 중심축선(CL)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된다. 한편, 플랫 드랙(23)은 형성을 생략하여도 상관없다. 플랫 드랙(23)의 오르막 경사부(22b)와는 반대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능선(26)은 하면에 형성된 제 2 주절삭날(22)로부터 연장되는 여유면(12b)과 절삭용 인서트(1)의 상면의 절삭면(11b)의 교차부에 형성되고, 이 능선(26)은 중심축선(CL) 방향에서 볼 때, 플랫 드랙(23)에 대하여 둔각으로 교차한다.
본 실시형태의 절삭용 인서트(1)는 코너부(20), 제 1 주절삭날(21), 제 2 주절삭날(22) 및 플랫 드랙(23)이 상면의 4곳, 하면의 4곳에 형성되고, 상면 또는 하면이 선택적으로 절삭면(11)으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절삭용 인서트(1)는 합계 8개의 코너를 절삭날로서 사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절삭용 인서트(1)를 장착하는 날끝 교환식 정면 프레이즈(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끝 교환식 정면 프레이즈(100)는, 회전축선(AX) 둘레로 회전하는 대략 원반 형상의 공구본체(101)를 가진다. 공구본체(101)는 그 기단측의 단면에 설치 기준면(130)를 가지고, 회전축선(AX)을 따라서 아버(arbor) 등의 보유구를 통하여 공작기계의 주축(미도시)에 장착하기 위한 나사 구멍을 가진다. 칩포켓(110)은 공구본체(101)의 선단부에 둘레방향을 따라서 대략 등간격으로 복수(8곳) 형성된다. 인서트 설치 시트(120)는 각 칩포켓(110)의 공구 회전방향(S)을 향하는 벽면(110A)을 절삭용 인서트(1)의 상하면과 대략 동일한 팔각형상으로 절삭한 오목부이다. 인서트 설치시트(120)의 공구 회전방향(S)을 향하는 바닥면(120a)은 절삭용 인서트(1)의 상면 또는 하면을 지지한다. 이러한 바닥면(120a)에 대략 직각으로 교차하여 공구 선단측을 향하는 2개의 벽면(120b, 120c)은 절삭용 인서트(1)의 외주면 중 2개의 외주면을 지지한다(도 5를 참조). 인서트 설치 시트(120)의 바닥면(120a)의 대략 중앙부에는 바닥면(120a)에 대략 직교하는 나사 구멍이 형성된다.
인서트 설치 시트(120)의 바닥면(120a)은 공구본체(101)의 회전축선(AX)에 대하여 공구 회전방향(S)측으로 기울어지며, 공구본체(101)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공구 회전방향(S)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인서트 설치 시트(120)는 거기에 설치된 절삭용 인서트(1)의 축방향 경사 및 반경방향 경사가 마이너스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절삭용 인서트(1)는 그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쪽 및 2개의 외주면을 인서트 설치 시트(120)의 바닥면(120a) 및 2개의 벽면(120b, 120c)에 각각 맞닿게 놓고, 설치구멍(13)에 삽입 통과한 조임 나사(BT)를 인서트 설치 시트(120)의 바닥면(120a)에 설치된 나사 구멍에 조임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절삭용 인서트(1)를 공구본체(101)에 설치하는 방법은 조임 나사 이외에 쐐기, 웨지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절삭용 인서트(1)는 인서트 설치 시트(120)에 의하여, 공구본체(101)의 회전축선(AX)에 대하여 공구 회전방향(S)측으로 기울어지고, 공구본체(101)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공구 회전방향(S)측으로 기울어지며, 축방향 경사, 반경방향 경사 모두 음이 되도록 공구본체(101)에 설치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는 축방향 경사가 -6°, 반경방향 경사가 -5.5°로 설정되어 있다. 절삭용 인서트(1)의 하나의 코너부(20)는 공구본체(101)의 선단 외주부에 배치된다.
도 18은 본 실시형태의 날끝 교환식 정면 프레이즈의 절삭날 회전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절삭날 회전 형상이란 주운동 방향을 따른 방향에서 절삭날을 볼 때의 절삭날에 의하여 획정되는 곡선형상을 말한다. 공구본체(101)를 회전축선(AX) 둘레로 회전시키면, 코너부(20), 제 1 주절삭날(21), 제 2 주절삭날(22) 및 플랫 드랙(23)의 절삭날 회전 형상은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이 된다. 공구본체(101)의 선단 외주부에 배치된 하나의 코너부(20)로부터 공구본체(101)의 기단측 및 외주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주절삭날(21)은 공구본체(101)의 회전축선(AX)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그 경사각 즉 절삭각(κ1)은 약 45°가 된다. 제 2 주절삭날(22)은 내리막 경사부(22a) 및 오르막 경사부(22b)의 각각의 경사와, 음의 축방향 경사와의 조합(합성)에 의하여 후술하는 형상이 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구본체(101)에 설치된 절삭용 인서트(1)는 그 코너부(20)로부터 공구본체(101)의 직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제 2 주절삭날(22)(내리막 경사부(22a), 오르막 경사부(22b))과, 플랫 드랙(23)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절삭용 인서트(1)가 축방향 경사 및 반경방향 경사가 마이너스가 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 2 주절삭날(22)의 내리막 경사부(22a)는 코너부(20)와의 접속부로부터 직경방향 내측(공구본체(101)의 회전축선(AX)을 향하는 방향, 도 18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연속적으로 공구본체(101)의 기단측(공구본체와 공작기계와의 접속부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고, 제 2 주절삭날(22)의 오르막 경사부(22b)는 내리막 경사부(22a)와의 교차부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을 향할수록 연속적으로 공구본체(101)의 선단측을 향하도록 경사진다. 이때, 내리막 경사부(22a)는 음의 절삭각을 나타낸다.
그 결과, 내리막 경사부(22a) 및 내리막 경사부(22a)에 접속된 오르막 경사부(22b)의 적어도 접속영역이, 코너부(20)의 최선단보다 공구본체(101)의 기단측을 향하여 움푹 패인(후퇴한) 회피부(24)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회피부(24)는 절삭가공 중에 절삭에 관여하지 않는(피삭재에 접촉하지 않는) 부분이 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는, 회피부(24)에서의 코너부(20)의 최선단으로부터의 움푹 패인 양은 0.02㎜로 되어 있다.
한편, 회피부(24)를 형성하지 않는 오르막 경사부(22b)의 나머지 부분은 코너부(20)의 최선단보다도 공구본체(101)의 선단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부분이 절삭에 관여하는 버 억제날(25)이 된다. 버 억제날(25)의 내주단 및 이 내주단으로부터 공구본체(101)의 내주측으로 연장되는 플랫 드랙(23)은 날끝 교환식 정면 프레이즈(100)에서의 가장 선단측에 위치하고, 코너부(20)의 최선단에 대하여 0.1㎜ 이상 0.3㎜ 이하의 돌출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버 억제날(25)의 내주단 및 플랫 드랙(23)의 돌출량은 0.17㎜가 되어 있다.
플랫 드랙(23)은 직선형상을 이루어 공구본체(101)의 회전축선(AX)에 직교하는 평면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더욱이, 버 억제날(25)의 절삭각(κ2)은 제 1 주절삭날(21)의 절삭각(κ1)에 비하여 매우 작으며, 5°이상 15°이하의 범위에 있다. 본 실시형태의 κ2는 5.5°로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절삭용 인서트(1) 및 이 절삭용 인서트(1)를 장착하는 날끝 교환식 정면 프레이즈(100)가 절삭 가공을 하면, 우선 1개째의 절삭 인서트(3)의 제 1 주절삭날(21) 및 코너부(20)가 피삭재의 거친 절삭 가공을 담당한다. 다음으로, 거친 절삭 가공을 행한 절삭 인서트(3)의 후방에 배치된 다른 절삭 인서트의 버 억제날(25)이 최초로 가공한 절삭 인서트(3)에 의하여 발생한 버를 제거하는 버 제거 가공을 담당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절삭용 인서트가 교대로 거친 가공과 버 제거 가공을 행한다. 이에 관하여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6은 1개째의 절삭용 인서트가 절삭하고 있는 상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주절삭날(21)의 절삭각(κ1)은 통상 수준의 크기이므로, 1개째의 절삭용 인서트(3)의 제 1 주절삭날(21)이 피삭재로부터 빠질 때에는, 제 2 주절삭날(22)에 의하여 절삭될 예정인 부분은 절삭되지 않고 날끝 교환식 정면 프레이즈(100)의 직경방향 또는 이송 방향으로 넘어가 버가 될 우려가 있다. 즉, 피삭재로부터 제 1 주절삭날(21)이 빠질 때, 피삭재의 폭이 얇아진 부분이 절삭 저항에 견디지 못하고 소성 변형하면서 넘어가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그때 넘어가고 남은 부분이 버가 된다.
도 17은 2개째의 절삭용 인서트가 절삭하고 있는 상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주절삭날(21)이 피삭재로부터 빠진 후에, 2개째의 절삭용 인서트(3)의 버 억제날(25)이 1개째의 절삭용 인서트(3)가 절삭할 수 없었던 부분을 절삭한다. 즉, 1개째의 절삭용 인서트(3)의 제 1 주절삭날(21)과 2개째의 절삭용 인서트(3)의 버 억제날(25)은 서로 보완 관계에 있으며, 1개째의 절삭용 인서트(3)의 제 1 주절삭날(21)이 형성한 버를 2개째의 절삭용 인서트(3)의 버 억제날(25)이 절삭한다. 그리고, 2개째의 절삭용 인서트(3)의 버 억제날(25)의 절삭각(κ2)은 통상보다 근소하므로, 실질적인 절삭 깊이는 작아져서, 발생하는 절삭 부스러기의 두게도 얇아진다. 따라서, 2개째의 절삭용 인서트(3)의 버 억제날(25)이 피삭재로부터 빠질 때에는, 다음의 절삭용 인서트(3)의 버 억제날(25)에 의하여 절삭될 예정인 부분은 공구본체(101)의 직경방향 또는 이송 방향으로 넘어가지 않고 완전히 절삭된다.
절삭에는 관여하지 않는 (피삭재에 접촉하지 않는) 회피부(24)는 제 2 주절삭날(22)의 내리막 경사부(22a)의 전체와, 내리막 경사부(22a)에 인접하는 오르막 경사부(22b)의 일부로 구성되고, 이것이 제 1 주절삭(21) 및 코너부(20)와, 버 억제날(25)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제 1 주절삭날(21) 및 코너부(20)와, 버 억제날(25)이 서로 분단된다. 즉, 회피부(24)가 형성됨으로써, 제 1 주절삭날(21) 및 코너부(20)와 버 억제날(25) 사이에 어떤 크기의 간격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 주절삭날(21) 및 코너부(20)로부터 생성되는 절삭 부스러기와, 버 억제날(25)로부터 생성되는 절삭 부스러기가 서로 분단되게 된다. 그 때문에, 버 억제날(25)에 의한 미소한 절삭각으로의 절삭 가공은, 제 1 주절삭날(21) 및 코너부(20)에 의한 거친 절삭 가공의 영향이 배제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버 억제날(25)에 의한 버의 억제가 매우 효과적으로 된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버 억제날(25)은 제 1 주절삭날(21) 및 코너부(20)에 비하여 공구본체(101)의 반경선에 대하여 공구 회전방향(S)측으로 크게 경사져 있고, 큰 음의 반경방향 경사를 가진다. 이 때문에, 버 억제날(25)은 피삭재로부터 서서히 이탈하게 되어, 버 억제날(25)에 의하여 절삭될 예정인 부분은 완만히 절삭된다. 따라서, 버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버 억제날(25)이 음의 반경방향 경사를 가짐으로써, 버 억제날(25)에서 발생하는 절삭저항이 버 억제날(25)에 의하여 절삭될 예정인 부분을 피삭재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향한다. 이러한 것도 버가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하나의 요인이 된다.
또한, 버 억제날(25)의 절삭각(κ2)이 5°~15°의 범위로 설정됨으로써, 버 억제 효과가 높아진다. 더욱이, 버 억제날(25)의 절삭각(κ2)이 이와 같은 범위로 설정됨으로써, 버 억제날(25)이 생성하는 절삭 부스러기의 두께도 얇아져서, 절삭 저항이 현저하게 저감된다. 이에 따라, 버 억제날(25)의 칩핑이나 결손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버 발생의 억제 효과를 장기에 걸쳐 유지한다.
또한, 버 억제날(25)의 최선단의 돌출량이 코너부(20)의 최선단에 대하여 0.1㎜ 이상 0.3㎜ 이하로 한정되는 것에 의해서도 버 발생의 억제와 동시에 버 억제날(25)의 손상 경감이 도모된다.
플랫 드랙(23)은 가장 선단측으로 돌출되는 절삭날로서, 버 억제날(25)의 내주측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플랫 드랙(23)은 버 억제날(25)의 절삭에 이어서 절삭을 하며, 피삭재의 가공면을 평활하게 마무리한다. 이에 따라, 면조도에 뛰어난 고품위의 가공면이 얻어진다.
이러한 절삭용 인서트(1)에서는 회피부(24) 및 버 억제날(25)은 제 2 주절삭날(22)의 여유면(12b)에 대향하는 측면에서 볼 때, 절삭용 인서트(10)의 두께 방향으로 경사지는 내리막 경사부(22a) 및 오르막 경사부(22b)에 의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제 2 주절삭날(22)의 여유면(12)은 요철이 없는 단일한 평면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이러한 절삭용 인서트(1)를 공구본체(101)의 인서트 설치 시트(120)에 설치할 때, 제 2 주절삭날(22)의 여유면(12b)을 인서트 설치 시트(120)의 벽면에 의하여 확실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인서트 설치 시트(120)의 벽면을 성형하는 것도 쉬워진다.
플랫 드랙(23)의 한쪽단에서 공구본체(101)의 직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능선은, 절삭용 인서트(1)의 뒤쪽 하면에 형성된 제 2 주절삭날(22)로부터 연장되는 여유면(12b)과 절삭면(11)의 교차 능선이다. 이러한 능선은 플랫 드랙(23)보다 공구본체(101)의 기단측으로 후퇴해 있고, 피삭재에 전혀 접촉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절삭용 인서트(1)를 뒤집어서 뒤쪽 하면을 절삭면(11)으로 하였을 때, 이 절삭면(11)에 형성되는 제 2 주절삭날(22)을 건전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절삭용 인서트(1)에 대하여,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제 2 실시형태의 구성 중,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절삭용 인서트(1)는 대략 팔각형 판형상을 이룬다. 절삭면(11)은 상면의 약간 변칙적인 팔각형면에만 형성된다. 절삭용 인서트(1)의 하면은 상면보다 소형으로 되어 있고, 양자 사이로 연장되는 외주면은 상면에서 하면으로 갈수록 절삭용 인서트(1)의 내측을 향하여 경사진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절삭용 인서트(1)는 포지티브 절삭용 인서트이다.
여유면(12)은 절삭용 인서트(1)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절삭날은 절삭면(11)과 여유면(12)의 교차 능선부에 형성된다. 절삭면(11)과 여유면(12)은 예각으로 교차하고 있고, 여유면(12)은 양의 여유각을 가지고 있다. 즉, 이 절삭용 인서트(1)는 팔각형의 상면의 4곳에 형성된 코너부(20)만을 사용한다.
제 1 주절삭날(21)은 절삭용 인서트(1)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략 직선 형상으로 연장된다. 제 1 주절삭날(21)에 인접하는 절삭면(11a)은 이러한 제 1 주절삭날(21)로부터 멀어질수록 절삭용 인서트(1)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양의 경사각을 가진다. 바꿔 말하면, 제 1 주절삭날(21)에 인접하는 절삭면(11a)은 제 1 주절삭날(21)과의 교차부를 기점으로, 절삭용 인서트(1)의 중심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주절삭날(22)에 인접하는 절삭면(11b)은 내리막 경사부(22a) 및 오르막 경사부(22b)에 대응한 내리막 경사면 및 오르막 경사면을 가지는 동시에, 제 2 주절삭날(22)로부터 멀어질수록 절삭용 인서트(1)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양의 경사각을 가진다.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절삭면(11)에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호 형상을 이루는 코너부(20)와, 코너부(20)의 한쪽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대략 직선 형상의 제 1 주절삭날(21)과, 코너부(20)의 또 다른 한쪽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주절삭날(22)이 4곳에 형성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절삭용 인서트(1)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내리막 경사부(22a) 및 오르막 경사부(22b)를 가진다. 내리막 경사부(22a) 및 오르막 경사부(22b)의 각각의 여유면(12)으로부터 대향하는 측(여유면(12)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경사와, 제 2 주절삭날(22)로부터 연장되는 여유면(12)의 양의 여유각에 대응하는 경사의 조합(합성)에 의하여, 제 2 주절삭날(22)은 절삭면(11)에 대향하는 측에서 보아 소정의 형상이 된다. 즉,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주절삭날(22)의 내리막 경사부(22a)의 전체와, 내리막 경사부(22a)에 인접하는 오르막 경사부(22b)의 일부는, 코너부(20)의 최선단보다 공구 기단측으로 움푹 패여 있고, 이 부분은 절삭에 관여하지 않는, 즉 피삭재에 접촉하지 않는 회피부(24)가 된다. 회피부(24)를 구성하지 않는 오르막 경사부(22b)의 나머지 부분은, 코너부(20)의 최선단보다 공구 선단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절삭에 관여하는 버 억제날(25)이 된다. 제 2 주절삭날(22)의 코너부(20)와는 반대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능선부에는, 여유면(12)에 대향하는 측에서 보아 대략 직선형상의 플랫 드랙(23)이 형성된다. 플랫 드랙(23)은 절삭면(11)에 대향하는 측에서 보아 제 2 주절삭날(22)에 대하여 둔각으로 교차하고, 여유면(12)에 대향하는 측에서 보아 절삭용 인서트(10)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장된다. 플랫 드랙(23)의 코너부(20)와는 반대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능선은, 절삭면(11)에 대향하는 측에서 보아 플랫 드랙(23)에 대하여 둔각으로 교차한다. 한편, 플랫 드랙(23)은 생략하여도 상관없다.
이러한 절삭용 인서트(1)는 코너부(20), 제 1 주절삭날(21), 제 2 주절삭날(22) 및 플랫 드랙(23)이 상면의 4곳에 형성되어 있고, 이 상면만을 절삭면(11)으로서 사용하는 4 코너 사용 가능한 절삭용 인서트(1)이다.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절삭용 인서트(1)를 장착하는 날끝 교환식 정면 프레이즈(100)에 대하여, 도 13 내지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날끝 교환식 정면 프레이즈(100)에서는, 인서트 설치 시트(120)는 공구본체(101)의 회전축선(AX)에 대하여 공구 회전방향(S) 후방측으로 기울어지고, 공구본체(101)의 반경선에 대하여 공구 회전방향(S) 후방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절삭용 인서트(1)는 그 하면 및 2개의 외주면을 인서트 설치 시트(120)의 바닥면 및 2개의 벽면에 각각 맞닿게 놓고, 설치구멍을 삽입 통과한 조임 나사를 인서트 설치 시트(120)의 바닥면에 설치한 나사 구멍에 조임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절삭용 인서트(1)는 인서트 설치 시트(120)에 의하여, 공구본체(101)의 회전축선(AX)에 대하여 공구 회전방향(S) 후방측으로 기울어지고, 공구본체(101)의 반경선에 대하여 공구 회전방향(S) 후방측으로 기울어져서 축방향 경사가 양, 반경방향 경사가 음이 되도록 공구본체(101)에 설치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는, 축방향 경사가 5°, 반경방향 경사가 -6°로 설정되어 있다.
절삭용 인서트(1)의 하나의 코너부(20)는 공구본체(101)의 선단 외주부에 배치된다. 공구본체(101)가 회전축선(AX) 둘레로 회전할 때, 코너부(20), 제 1 주절삭날(21), 제 2 주절삭날(22) 및 플랫 드랙(23)의 회전 형상은 도 18에 나타내는 형상이 된다. 상기 하나의 코너부(20)로부터 공구 기단측 및 외주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주절삭날(21)은 공구본체(101)의 회전축선(AX)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고, 그 경사각 즉, 절삭각(κ1)은 약 45°가 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구본체(101)에 설치된 절삭용 인서트(1)는 그 코너부(20)로부터 공구본체(101)의 직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제 2 주절삭날(22)(내리막 경사부(22a), 오르막 경사부(22b)), 플랫 드랙(23)을 구성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제 2 주절삭날(22)과 마찬가지로, 제 2 주절삭날(22)의 내리막 경사부(22a)의 전체와, 내리막 경사부(22a)에 인접하는 오르막 경사부(22b)의 일부는, 코너부(20)의 최선단보다 공구 기단측으로 움푹 패여 있고, 절삭에 관여하지 않는, 즉 피삭재에 접촉하지 않는 회피부(24)를 구성하고 있다.
회피부(24)를 구성하지 않는 오르막 경사부(22b)의 나머지 부분은, 코너부(20)의 최선단보다 공구 선단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절삭에 관여하는 버 억제날(25)을 구성하고 있다. 버 억제날(25)의 내주단 및 이 내주단에서 내주측으로 연장되는 플랫 드랙(23)은 가장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코너부(20)의 최선단에 대하여 0.1㎜ 이상 0.3㎜ 이하의 돌출량을 가진다. 플랫 드랙(23)은 직선 형상을 이루며 공구본체(101)의 회전축선(AX)에 직교하는 평면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더욱이, 버 억제날(25)의 절삭각(κ2)은 제 1 주절삭날(21)의 절삭각(κ1)에 비하여 매우 작으며, 5°이상 15°이하의 범위에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절삭용 인서트(1) 및 이 절삭용 인서트(1)를 장착하는 날끝 교환식 정면 프레이즈(100)에 따르면,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가공면에 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절삭에 관여하지 않는 회피부(24)가 제 1 주절삭날(21) 및 코너부(20)와 버 억제날(25)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제 1 주절삭날(21) 및 코너부(20)와 버 억제날(25)을 서로 분단한다. 이에 따라, 제 1 주절삭날(21) 및 코너부(20)로부터 생성되는 절삭 부스러기와, 버 억제날(25)로부터 생성되는 절삭 부스러기가 각각 독립된 개별의 것이 된다. 즉, 버 억제날(25)에 의한 미소한 절삭이, 제 1 주절삭날(21) 및 코너부(20)에 의한 절삭의 영향을 배제한 상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버 억제날(25)에 의한 버의 억제가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14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버 억제날(25)은 제 1 주절삭날(21) 및 코너부(20)에 비하여 공구본체(101)의 반경선에 대하여 공구 회전방향(S)측으로 크게 경사져 있고, 큰 음의 반경방향 경사를 가진다. 이에 따라, 버 억제날(25)에서 발생하는 절삭 저항에 의한 반발력은 그 버 억제날(25)에 의하여 절삭될 예정인 부분을 피삭재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절삭공구의 바깥쪽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절삭 인서트가 피삭재로부터 빠질 때에 버를 피삭재로부터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므로, 버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버 억제날(25)은 제 1 주절삭날(21) 및 코너부(20)에 비하여 공구 회전방향(S)에 대하여 크게 경사진다. 이에 따라, 버 억제날(25)은 반경방향 경사각의 음의 방향으로의 경사가 작은 경우에 비하여, 피삭재로부터 서서히 이탈하게 된다. 즉, 피삭재로부터의 이탈부를 절삭날이 크게 경사진 채로 통과한다. 이에 따라, 버 억제날(25)이 경사져서 피삭재를 절삭할 수 있게 되며, 절삭될 예정인 부분을 보다 원만하게 절삭하므로, 버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절삭용 인서트(1)에 있어서, 제 2 주절삭날(22)에 인접하는 절삭면(11)은 그 자신의 양의 경사각에 그 날끝 교환식 정면 프레이즈(100) 상에서의 양의 축방향 경사가 더해짐으로써, 제 1 실시형태보다 큰 양의 경사각이 확보된다. 이에 따라, 버 억제날(25)의 절삭 정도가 제 1 실시형태에 비하여 개선되며, 버 억제날(25)에 발생하는 절삭 저항이 절삭될 예정인 부분을 가공면으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 때문에, 버의 억제 효과가 더욱 높아진다.
플랫 드랙(23)은 가장 선단측으로 돌출되는 절삭날로서, 버 억제날(25)의 내주측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버 억제날(25)의 절삭에 이어서 피삭재의 가공면을 평활하게 마무리한다. 이에 따라, 면조도에 뛰어난 고품위의 가공면이 얻어진다.
이러한 절삭용 인서트(1)에서는 회피부(24) 및 버 억제날(25)은 제 2 주절삭날(22)의 릴리프면(12)에 대향하는 측에서 볼 때, 절삭용 인서트(1)의 두께 방향으로 경사지는 내리막 경사부(22a) 및 오르막 경사부(22b)에 의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제 2 주절삭날(22)의 여유면(12)은 요철이 없는 단일한 평면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이 절삭용 인서트(1)를 공구본체(101)의 설치 시트에 설치할 때, 제 2 주절삭날(22)의 여유면(12)을 설치 시트의 벽면에 의하여 확실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인서트 설치 시트(120)의 벽면을 성형하는 것이 쉬워진다.
본 발명은 이상에 설명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절삭용 인서트(1)의 상하면 형상은 팔각형 이외의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으로 변경 가능하다. 절삭용 인서트(1)를 장착하는 날끝 교환식 공구에 대해서도 비트(bit), 보링 공구 등의 선삭 공구, 드릴, 보링 커터, 리머 등의 펀칭 공구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11: 절삭면
20: 코너부
21: 제 1 주절삭날
22: 제 2 주절삭날
23: 플랫 드랙
CL: 중심축선
20: 코너부
21: 제 1 주절삭날
22: 제 2 주절삭날
23: 플랫 드랙
CL: 중심축선
Claims (9)
- 절삭용 인서트의 중심축선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상하면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는 절삭면과, 상기 상하면 사이에서 연장하는 상기 절삭용 인서트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여유면을 가지는 다각형상의 판형상 절삭용 인서트로서,
상기 절삭면과 상기 여유면의 교차부에 형성된 절삭날을 가지고,
상기 절삭날은 코너부와, 그 코너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 1 주절삭날과, 그 코너부의 타측에 형성된 제 2 주절삭날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주절삭날은 상기 코너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상하면 중 상기 절삭면이 형성된 면측으로부터, 그 절삭면에 대향하는 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서서히 경사지는 내리막 경사부와, 상기 코너부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절삭면에 대향하는 면측으로부터 그 절삭면이 형성된 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서서히 경사지는 오르막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르막 경사부는 상기 내리막 경사부와 접속되며,
상기 오르막 경사부와 상기 내리막 경사부의 적어도 접속 영역은 오목한 형상으로 휘어지는 회피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용 인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피부는 절삭가공 중에 절삭에 관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용 인서트.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리막 경사부는 상기 코너부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용 인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은 상기 오르막 경사부에 인접하여 형성된 상기 중심축선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연장되는 플랫 드랙을 더 가지는 절삭용 인서트.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선에 관하여 대칭인 위치에 배치된 상기 코너부를 상기 상하면의 각각에 복수개 가지고, 각 상기 코너부에 대하여 상기 제 1 주절삭날과 상기 제 2 주절삭날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절삭용 인서트는 상기 중심축선에 직교하고, 상기 상하면의 중간을 통과하면서, 상기 제 1 주절삭날과 평행인 축선에 관하여 180°회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용 인서트.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절삭용 인서트와, 그 인서트를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하는 인서트 설치 시트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공구본체를 가지는 날끝 교환식 절삭공구로서,
상기 공구본체에 장착된 상기 절삭용 인서트는, 상기 제 1 주절삭날이 상기 공구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 2 주절삭날이 상기 공구본체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 2 주절삭날의 내리막 경사부는 음의 절삭각을 가지고,
상기 제 2 주절삭날의 오르막 경사부는 양의 절삭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끝 교환식 절삭공구.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르막 경사부의 절삭각이 5°이상 15°이하인 날끝 교환식 절삭공구. -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리막 경사부의 외주단이 내주단보다 상기 공구본체의 축선방향 선단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돌출량이 0.1㎜ 이상 0.3㎜ 이하인 날끝 교환식 절삭공구.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절삭용 인서트와, 그 인서트를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하는 인서트 설치 시트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공구본체를 가지는 날끝 교환식 절삭공구로서,
상기 인서트 설치 시트에 설치된 상기 절삭용 인서트의 상기 내리막 경사부 및 상기 오르막 경사부의 적어도 접속영역이 절삭가공 중에 절삭에 관여하지 않는 회피부를 형성하며, 그 회피부를 구성하지 않는 상기 오르막 경사부의 나머지 부분이 상기 내리막 경사부에 접속되는 코너부보다 상기 공구본체의 선단측으로 돌출되는 버 억제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끝 교환식 절삭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0106794 | 2010-05-06 | ||
JPJP-P-2010-106794 | 2010-05-06 | ||
PCT/JP2011/060542 WO2011138950A1 (ja) | 2010-05-06 | 2011-05-02 | 切削用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4903A true KR20130024903A (ko) | 2013-03-08 |
Family
ID=44903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28396A KR20130024903A (ko) | 2010-05-06 | 2011-05-02 | 절삭용 인서트 및 인덱서블 절삭공구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20130094913A1 (ko) |
EP (1) | EP2567768A1 (ko) |
JP (2) | JP5299568B2 (ko) |
KR (1) | KR20130024903A (ko) |
CN (1) | CN102905827A (ko) |
BR (1) | BR112012027937A2 (ko) |
CA (1) | CA2798659A1 (ko) |
RU (1) | RU2012146970A (ko) |
WO (1) | WO201113895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T12630U1 (de) | 2011-08-26 | 2012-09-15 | Ceratizit Austria Gmbh | Doppelseitiger schneideinsatz zum fräsen |
US9718138B2 (en) | 2012-11-30 | 2017-08-01 | Kyocera Corporation |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of producing machined product |
US9296054B2 (en) * | 2013-05-23 | 2016-03-29 | Kennametal Inc. | Indexable cutting insert with a triangular shape |
EP3072618B1 (en) * | 2013-11-20 | 2021-09-29 | Kyocera Corporation |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for producing a cut article |
EP3150318B1 (en) * | 2014-05-26 | 2023-02-01 | Tungaloy Corporation |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
WO2016006425A1 (ja) * | 2014-07-10 | 2016-01-14 | 住友電工ハードメタル株式会社 | 切削インサートと正面フライスカッタ |
DE112016001367B4 (de) * | 2015-03-23 | 2023-08-17 | Kyocera Corporation | Einsatz, Bohrer und Verfahren des Herstellens eines maschinell bearbeiteten Produkts unter Verwendung derselben |
WO2016190351A1 (ja) * | 2015-05-26 | 2016-12-01 | 京セラ株式会社 | 切削インサート、切削工具及びこれ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
USD854063S1 (en) * | 2016-08-26 | 2019-07-16 | Sumitomo Electric Hardmetal Corp. | Cutting tool |
CN110023014B (zh) * | 2016-12-27 | 2020-09-18 | 住友电工硬质合金株式会社 | 切削刀具 |
DE102020115987A1 (de) | 2019-07-05 | 2021-01-07 | Kennametal India Limited | Beidseitige, polygonale wendeschneidplatte mit abwechselnd konkaven und konvexen schneidkanten |
DE102019123912A1 (de) * | 2019-09-05 | 2021-03-11 | Kennametal Inc. | Schneideinsatz sowie Schneidwerkzeug |
JP6714248B1 (ja) * | 2019-11-06 | 2020-06-24 | 株式会社ジーベックテクノロジー | 面取りカッターおよびワークの面取り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3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32319A (en) * | 1990-10-25 | 1993-08-03 | Iscar Ltd. | Insert for a milling cutter |
IL103115A (en) * | 1992-09-09 | 1996-09-12 | Iscar Ltd | Milling placement |
JP3348534B2 (ja) * | 1994-08-12 | 2002-11-20 |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 スローアウェイ式転削工具 |
JP3317089B2 (ja) * | 1995-06-01 | 2002-08-19 |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スローアウェイ式カッタ |
US5807031A (en) * | 1995-03-10 | 1998-09-15 | Mitsubishi Materials Corp. | Throw-away tip and throw-away type cutter |
JP2001009628A (ja) * | 1999-07-01 | 2001-01-16 | Mitsubishi Materials Corp |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スローアウェイ式カッタ |
SE515070C2 (sv) * | 1999-10-22 | 2001-06-05 | Sandvik Ab | Dubbelnegativt skär till verktyg för spånavskiljande bearbetning |
US6530726B2 (en) * | 2001-04-04 | 2003-03-11 | Kennametal Inc. | Cutting insert having improved cutting |
US6604893B2 (en) * | 2001-07-27 | 2003-08-12 | Kennametal Inc. | Cutting insert with wiper |
IL148535A (en) * | 2002-03-06 | 2009-02-11 | Gil Hecht | Metal cutting tool |
JP3775321B2 (ja) * | 2002-03-20 | 2006-05-17 |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および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
IL169491A (en) * | 2005-06-30 | 2009-06-15 | Carol Smilovici | Cutting insert |
DE102006023740B4 (de) * | 2006-05-18 | 2017-05-11 | Kennametal Widia Produktions Gmbh & Co. Kg | Schneideinsatz und Werkzeug, bestehend aus Werkzeughalter und Schneideinsatz |
DE102006024131A1 (de) * | 2006-05-22 | 2007-11-29 |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 Schneideinsatz mit Planschneide, insbesondere für Planfräser |
JPWO2007142224A1 (ja) * | 2006-06-06 | 2009-10-22 |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 切削工具及び切削インサート |
SE530090C2 (sv) * | 2006-06-27 | 2008-02-26 |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 Planfrässkär med flera bågformiga deleggar och konvexa släppningsytor |
JP4779864B2 (ja) * | 2006-08-09 | 2011-09-28 | 株式会社タンガロイ |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および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
KR100886455B1 (ko) * | 2006-12-27 | 2009-03-04 | 한국야금 주식회사 | 고능률 절삭 인서트 |
IL182100A (en) * | 2007-03-21 | 2010-11-30 | Taegutec India Ltd | Cutting insert for a milling cutter |
IL182343A0 (en) * | 2007-04-01 | 2007-07-24 | Iscar Ltd | Cutting insert and tool for milling and ramping at high feed rates |
SE531250C2 (sv) * | 2007-06-05 | 2009-02-03 |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 Indexerbart hörnfrässkär |
SE532742C2 (sv) * | 2008-05-13 | 2010-03-30 |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 Frässkär med biegg snedställd i måttlig vinkel |
JP5378507B2 (ja) * | 2008-06-13 | 2013-12-25 | デグテック エルティーディー | 切削挿入体 |
JP2009208221A (ja) * | 2008-06-27 | 2009-09-17 | Kyocera Corp |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ミーリング工具ならびに切削方法 |
JP5007853B2 (ja) * | 2009-04-02 | 2012-08-22 | 株式会社タンガロイ | 切削用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
CN102413972B (zh) * | 2009-05-28 | 2014-07-16 | 京瓷株式会社 | 切削镶刀及切削工具、以及使用该切削工具的切削加工物的制造方法 |
KR101097658B1 (ko) * | 2009-05-29 | 2011-12-22 | 대구텍 유한회사 | 절삭 삽입체 |
EP2450139B1 (en) * | 2009-06-29 | 2019-03-27 | Kyocera Corporation |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cut product using the same |
US8851810B2 (en) * | 2009-08-31 | 2014-10-07 | Kyocera Corporation | Cutting to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achined product using the same |
JP5498502B2 (ja) * | 2009-10-28 | 2014-05-21 | 京セラ株式会社 |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
EP2529868B1 (en) * | 2010-01-29 | 2019-05-29 | Kyocera Corporation |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cut product using same |
WO2011105420A1 (ja) * | 2010-02-24 | 2011-09-01 | 京セラ株式会社 | 切削工具 |
EP2546012A4 (en) * | 2010-03-10 | 2013-08-07 | Tungaloy Corp |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
KR20130038292A (ko) * | 2010-06-21 | 2013-04-17 | 가부시키가이샤 탕가로이 | 절삭용 인서트 및 날끝 교환식 전삭공구 |
RU2539277C2 (ru) * | 2010-09-27 | 2015-01-20 | Тунгалой Корпорейшн | Режущая пластина и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
CN103889624B (zh) * | 2011-10-31 | 2017-07-04 | 京瓷株式会社 | 切削镶刀及切削工具、以及使用该切削工具的切削加工物的制造方法 |
US8573905B2 (en) * | 2012-03-22 | 2013-11-05 | Iscar, Ltd. | Triangular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
US8708616B2 (en) * | 2012-07-06 | 2014-04-29 | Iscar, Ltd. | Rotary cutting tool and reversible cutting insert therefor |
-
2011
- 2011-05-02 CN CN2011800228474A patent/CN102905827A/zh active Pending
- 2011-05-02 WO PCT/JP2011/060542 patent/WO201113895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5-02 JP JP2012513825A patent/JP5299568B2/ja active Active
- 2011-05-02 CA CA2798659A patent/CA279865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1-05-02 BR BR112012027937A patent/BR112012027937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05-02 KR KR1020127028396A patent/KR2013002490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1-05-02 EP EP11777469A patent/EP2567768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1-05-02 RU RU2012146970/02A patent/RU2012146970A/ru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2
- 2012-11-06 US US13/670,007 patent/US2013009491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3
- 2013-02-04 JP JP2013019887A patent/JP5445700B2/ja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445700B2 (ja) | 2014-03-19 |
CA2798659A1 (en) | 2011-11-10 |
RU2012146970A (ru) | 2014-06-20 |
WO2011138950A1 (ja) | 2011-11-10 |
EP2567768A1 (en) | 2013-03-13 |
BR112012027937A2 (pt) | 2015-11-24 |
JPWO2011138950A1 (ja) | 2013-07-22 |
JP5299568B2 (ja) | 2013-09-25 |
JP2013078842A (ja) | 2013-05-02 |
CN102905827A (zh) | 2013-01-30 |
US20130094913A1 (en) | 2013-04-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24903A (ko) | 절삭용 인서트 및 인덱서블 절삭공구 | |
JP6205726B2 (ja) | 正面フライス用切削インサート及び刃先交換式正面フライス | |
JP5062336B2 (ja) | 刃先交換式切削工具およびこれに用いる切削用インサート | |
US9101989B2 (en) |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achined product using them | |
JP4814890B2 (ja) | 切削インサート、ミーリング工具および切削方法 | |
JP6241636B2 (ja) |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 |
US20120275868A1 (en) | Cutting insert and replaceable insert-type rotating tool | |
WO2010147065A1 (ja) | 切削用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正面フライス | |
JP2008229745A (ja) |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インサート着脱式転削工具 | |
US20140126968A1 (en) | Milling tool with recessed cutting edge | |
JP4779864B2 (ja) |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および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 |
JP2008023632A (ja) | 切削工具及びインサート | |
JP5783025B2 (ja) |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エンドミル | |
JP7101120B2 (ja) | ピーリング用チップ | |
JP2010201565A (ja) | エンドミル | |
JP2010253632A (ja) |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ならびにそれらを用いた被削加工物の製造方法 | |
JP2015208835A (ja) | 刃先交換式正面フラ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08055600A (ja) | スローアウェイインサートおよびそれを装着した転削工具 | |
JP2008100316A (ja) | 切削工具及び仕上げ刃インサート | |
WO2016039347A1 (ja) |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刃先交換式回転切削工具 | |
JP4952560B2 (ja) | スローアウェイ式正面フライス | |
JP2008023660A (ja) |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切削工具 | |
JP2006224278A (ja) | フライスカッター用インサート | |
JP2010149234A (ja) |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ならびにそれらを用いた切削方法 | |
JP2006289600A (ja) | スローアウェイインサートおよびそれを装着した転削工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