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3554A - 스마트폰에서 이용가능한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에서 이용가능한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3554A
KR20130023554A KR1020110086398A KR20110086398A KR20130023554A KR 20130023554 A KR20130023554 A KR 20130023554A KR 1020110086398 A KR1020110086398 A KR 1020110086398A KR 20110086398 A KR20110086398 A KR 20110086398A KR 20130023554 A KR20130023554 A KR 20130023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sion
game
mission game
image
ans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창호
Original Assignee
한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창호 filed Critical 한창호
Priority to KR1020110086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3554A/ko
Publication of KR20130023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1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using advertising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미션 게임을 통해 광고 내용을 전달하는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에 있어서, 순서가 정해진 다수의 미션으로 구성된 미션게임을 수신하고, 미션은 광고 내용을 포함하는 문제 및 정답, 문제이미지를 포함하는 미션게임 수신부; 미션의 문제를 표시하고 미션 문제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고, 미션이 해결되면 다음 순서의 미션의 문제를 표시하는 미션문제 제시부; 미션 문제에 대한 답변을 미션 문제의 정답과 대비하여, 동일하면 미션이 해결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미션해결 판단부; 및,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이하 뷰 이미지)와 문제이미지를 대비하여,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미션의 정답을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장치에 의하여,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직접 참여하여 재미를 느낄 수 있는 게임을 통해 광고 내용을 전달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광고를 전달하고 홍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에서 이용가능한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 { An advertizing promotion device based on mission games for a smart phone }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장치로서, 미션 게임을 통해 광고 내용으로 구성된 문제를 풀고 사용자가 직접 광고 대상 오프라인 장소로 이동하여 미션 문제를 수행하게 하는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고주가 특정 상품이나 아이디어, 서비스를 대중 매체를 이용하여 유료로 소비자에게 알리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한 형태가 광고이다. 광고는 통상적으로 상품, 아이디어,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알리거나 구매를 권유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전자, 자동차 등 제품 광고에서는 그 제품이 광고 내용이 되고, 정치 광고에서는 후보자나 정당의 정책, 의견 등이 광고 내용이 된다. 이처럼 모든 광고에는 소비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메시지가 있게 마련이다.
이러한 광고는 신문이나 잡지, TV, 라디오 등의 매스 미디어에 광고 게재, 또는, 옥외에 대형 광고판 설치, 사람의 왕래가 잦은 번화가, 공공장소, 기차역, 전철역 등에 광고 설치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인터넷의 발달로 광고 시장 역시 비용면에서 저렴하고 24시간 연속성을 지니는 인터넷 광고 시장으로 확대되는 추세이다. 즉, 웹페이지 상에 배너 광고를 삽입하여 광고주의 광고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이 배너 광고를 선택할 경우에 해당 광고주의 홈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오프라인 광고나 인터넷 광고의 수가 무수히 많아졌고, 그로 인해 사용자의 광고에 대한 관심도가 점차 저하되고 있으며, 인터넷을 이용한 광고 효과가 점차 미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게임이나, 경품, 퀴즈, 이벤트 등으로 소비자들의 관심을 유도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예로서, [한국공개특허 제2004-0084324호(2004.10.06.공개), "광고 매체를 이용한 온라인 공동 광고 시스템 및 방법"](이하 선행기술 1)에서, 오프라인으로 설치되어 있는 광고판의 내용을 수집하여 온라인 상에서 각각의 광고 내용을 기초로 게임이나 퀴즈 등으로 구성하여 일반인에게 웹페이지로 제공하고, 게임이나 퀴즈에 참여하여 정답을 맞추는 사람들에게 경품 등을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또한, 보물찾기 방법을 이용한 [한국공개특허 제2011-0053823호(2011.05.24.공개), "보물찾기방법"](이하 선행기술 2)에서, 오프라인상의 특정 위치에 보물이 숨겨진 정보를 온라인을 통해 제공하고 보물이 숨겨진 위치에 찾아가서 보물을 발견한 사용자에게 특정의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의 위치에 방문하도록 유도하여 오프라인 광고 또는 이벤트에 이용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온라인 상에서만 구현되어 사용자가 쉽게 게임에 참여하기 어렵다는 점, 게임이나 퀴즈를 푼 사람이 그 정답을 온라인 상에 유포하면 이후 참여자는 해당 장소에 가지 않아도 문제를 맞추어, 광고하려는 장소를 찾아가게 하는 목적을 이룰 수 없다는 점 등의 문제점들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 2는 각 상점에서 보물을 관리하기 위한 작업을 별도로 수행해야 하는 점, 첫 발견자가 발견한 후 이후 발견자들의 발견은 어떻게 할 것인가가 명확하지 않는 점, 발견자에 의해 보물의 일련번호가 알려질 수 있다는 문제점들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들은 모두 혼자 진행하는 게임으로서 경쟁적인 측면이 적어 게임의 흥미가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장치로서, 미션 게임을 통해 광고 내용으로 구성된 문제를 풀고 사용자가 직접 광고 대상 오프라인 장소로 이동하여 미션 문제를 수행하게 하는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미션 장소의 특정한 부분을 문제이미지로 제시하고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그 부분에 초점을 맞추면 미션의 정답을 표시하게 함으로써 참여자가 오프라인 장소에 필히 이동하게 하는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미션 게임을 통해 광고 내용을 전달하는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순서가 정해진 다수의 미션으로 구성된 미션게임을 수신하고, 상기 미션은 광고 내용을 포함하는 문제 및 정답, 문제이미지를 포함하는 미션게임 수신부; 상기 미션의 문제를 표시하고 상기 미션 문제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고, 상기 미션이 해결되면 다음 순서의 미션의 문제를 표시하는 미션문제 제시부; 상기 미션 문제에 대한 답변을 상기 미션 문제의 정답과 대비하여, 동일하면 상기 미션이 해결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미션해결 판단부; 및,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이하 뷰 이미지)와 상기 문제이미지를 대비하여,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미션의 정답을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션문제 제시부는 상기 미션게임에서 더 이상 표시할 미션의 문제가 없으면 상기 미션게임을 완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답 및 답변은 텍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션게임 수신부는 서버로부터 미션게임 리스트를 수신하여 상기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리스트의 미션게임을 선택받아 선택된 미션게임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션문제 제시부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현재 시각을 읽어와서, 상기 현재시각이 상기 미션게임에 대하여 사전에 정해진 시각(이하 시작시각) 보다 이후인 경우에만 상기 미션의 문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션문제 제시부는 상기 미션게임에서 더 이상 표시할 미션의 문제가 없으면 상기 미션게임을 완수한 것으로 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서버에 미션게임 완수를 등록할 때 이미 등록된 상기 미션게임의 완수 등록 수에 따라, 상기 미션게임의 등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표시부는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추적 센서로부터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미션에 포함된 위치와 소정의 거리 이내일 때만 상기 미션의 정답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에 의하면,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직접 참여하여 재미를 느낄 수 있는 게임을 통해 광고 내용을 전달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광고를 전달하고 홍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에 의하면,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미션 장소의 특정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면 미션의 정답을 표시함으로써 참여자가 오프라인 장소에 필히 이동하여 직접 광고주의 오프라인 상점 또는 상품을 접하게 하는 직접 광고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마트폰 등 이동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고 프로모션 장치를 이용한 광고 프로모션 방법의 예들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이용자의 이동단말(11), 업체주 단말(12), 미션서버(30), 이동단말에 설치되는 광고 프로모션 장치(60)로 구성된다. 업체주 단말(12)과 미션서버(3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연결되고, 이동단말(11)은 이동통신망(21)을 통해 미션서버(30)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미션 내용, 이용자 정보, 업체주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4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용자의 이동단말(또는 이동통신 단말)(11)은 스마트폰, 태플릿PC, PDA 등 무선망(또는 이동통신망)(21)을 이용하는 휴대가능한 단말로서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단말을 말한다. 특히, 이동단말(12)은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단말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마트폰 등 이동단말(11)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11a), 이미지 또는 영상 등의 출력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11b), 터치스크린 등 입력장치(11c), 위치추적센서(11f),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어플 등)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11d), 및, 어플 등을 설치하여 실행시킬 수 있는 중앙처리장치(11e)로 구성된다.
또한, 스마트폰 등 이동단말(11)은 GPS(위성항법장치) 등 위치추적센서(11f)가 장착된 단말로서, 위치추적센서(11f)를 통해 이동단말(11)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11)은 무선 인터넷과 위치추적 등을 이용한 어플(이동단말용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단말을 말한다.
다음으로, 업체주 단말(12)은 업체주가 이용하는 통상의 컴퓨팅 단말기로서,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넷북, PDA, 태플릿PC 등이 있다. 업체주 단말(12)은 인터넷 등 네트워크(20)에 연결되어 미션서버(30)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업체주는 오프라인 상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업주 또는 담당직원을 말한다. 업체주는 업체주 단말(12)을 통해 미션서버(30)에 접속하여 업체의 광고 또는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업체주가 제공하는 정보는 업체의 오프라인 상점의 위치 정보, 업체의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미션게임의 상품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오프라인 상점의 위치는 이용자가 미션게임을 통해 방문하는 장소가 될 것이고, 업체의 제품/서비스 정보는 미션게임의 각 미션 문제를 만드는데 이용된다. 또한, 미션게임의 상품은 미션을 완수한 이용자 또는 미션게임에서 상위를 차지한 이용자 등에게 제공할 상품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업체의 서비스 또는 상품의 무료권, 할인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품 대신 금전적 보상도 가능하다. 즉, 업체주는 광고비용을 지불하고, 광고비용으로 이용자에게 보상이 될 수 있다.
업체주가 어떤 작업을 수행하는 것은 업체주 단말(12)을 통해 수행하는 작업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면부호 12를 단말 이외에 업체주에게도 붙이기로 하고, 이때 업체주는 업체주 단말(12)을 이용하여 작업하는 것을 의미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미션서버(30)는 통상의 서버로서 네트워크(20)에 연결되어, 업체주 단말(12)로부터 업체 위치, 광고 내용, 상품 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들에 기초한 미션게임을 이용자의 이동단말(11)에 전송한다.
미션게임은 다수의 미션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미션들은 문제 및 정답으로 구성된다. 문제는 텍스트, 이미지, 음성, 또는 영상 등으로 작성될 수 있다. 정답은 텍스트로 작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미션에는 문제에 해당하는 문제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문제이미지는 정답을 풀기위한 이미지를 말한다. 문제이미지는 정답을 알려주기 위해 풀어야하는 이미지이다. 즉, 카메라(11a)를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와 문제 이미지가 동일하면 정답을 알려준다. 이때, 이미지의 동일여부는 2개의 이미지가 똑같은 경우만을 의미하지 않고 이미지 매칭 기술에 의해 어느 정보 유사한 경우까지를 동일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문제이미지에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특히, 미션게임은 한 문제(미션 문제)를 풀면 다음 문제가 제시되어, 주어진 미션 문제를 모두 풀면 미션을 완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미션 문제들은 광고 내용에 의해 만들어진 단답식 퀴즈형 문제들이다. 입력되는 답변이 미션의 정답과 일치하면 그 미션 문제가 풀리는 것이고, 미션 문제가 풀리면 미션이 완성되는 것이다.
업체주(12)에 의해 올려진 업체 정보를 이용하여 미션게임들이 만들어지면, 미션게임들은 미션게임 리스트로 이동단말(11)에게 전송된다. 이동단말(11)에서 미션게임 리스트 중에서 하나의 미션게임이 선택되면, 선택된 미션게임 전체를 이동단말(11)로 전송된다. 이동단말(11)에 전송된 미션게임이 실행되어, 이용자는 미션게임에 참여하여, 미션게임의 미션 문제들을 푸는 것으로서, 미션게임에 참여한다.
다음으로, 광고 프로모션 장치(또는 광고 프로모션 어플)(60)는 프로그램화된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이동단말(11)에 설치되는 어플 또는 스마트 기기용 어플리케이션(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 등에 설치되어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따라서 광고 프로모션 장치(60)는 스마트폰 등 이동단말(11)의 하드웨어적(또는 소프트웨어적) 구성요소들을 이용한다.
광고 프로모션 어플(60)은 이동단말(11)에 설치될 때 이동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특정 키를 생성한다. 이것은 한명의 스마트폰 등 이동단말의 이용자가 여러 아이디로 참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동단말(11)에 설치되는 어플(60)에 고유키를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광고 프로모션 어플(60)은 시작시 이용자로부터 사용자 아이디 등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를 식별한다. 이때 사용자 아이디(또는 사용자 식별정보)에 이동단말의 고유키를 부여하여, 다음 로그인 시 사용자 아이디에 부여된 고유키가 이동단말의 고유키와 동일한가를 판단한다. 동일하지 않으면 다른 사용자의 아이디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참여할 수 없다는 경고를 주고 다른 사용자로 게임을 계속 진행하는 경우 기존 사용자 게임 기록을 삭제하거나 초기화하여 진행하도록 한다.
광고 프로모션 어플(60)은 미션서버(30)로부터 미션게임을 수신하면, 미션게임에 포함된 미션 문제들을 순차적으로 스마트폰 등 이동단말(11)의 디스플레이(11b)에 표시한다. 그리고 광고 프로모션 어플(60)은 이용자의 입력장치(11c)를 통한 입력에 의해 답변을 받아들이고, 답변과 미션 문제의 정답을 비교하여 미션 문제가 맞혀졌는지 판단한다. 문제를 맞히면 해당 미션은 성공되고 다음 미션 문제를 디스플레이(11b)에 표시한다.
이때, 답변은 텍스트로 입력될 수도 있고, 텍스트를 코드화한 바코드, 2차원 바코드, QR코드 등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즉, 답변을 입력받을 때 입력장치(11c)에 의해 텍스트 형태로 받지 않고, 이동단말(11)의 카메라(11a)를 통해 QR코드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문제가 오프라인 상점의 카운터 안내판이나 메뉴판에 있는 QR코드의 입력인 경우, 이용자는 해당 QR코드를 카메라(11a)로 촬상하는 것으로 답변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광고 프로모션 어플(60)은 미션 문제가 문제이미지를 포함하는 경우, 문제와 함께 상기 문제이미지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단말(11)의 카메라(11a)를 통해 이미지(또는 뷰이미지)가 입력되면, 광고 프로모션 어플(60)은 해당 미션의 문제이미지와 대비하여 동일한지를 판단하여, 동일하면 미션의 정답을 디스플레이(11b)에 표시한다. 이용자는 표시된 정답을 보고 미션의 답변을 입력하여, 미션을 완수할 수 있다. 이것은 이용자가 직접 오프라인 상점을 찾아가서 그 상점의 특정한 부분을 촬상하면 그때 정답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용자는 광고 대상인 상점을 직접 찾아가야 미션을 해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이용자에게 체험을 통해 직접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이때, 이동단말(11)은 위치추적센서(11f)에 현재 위치를 추적하여 그 위치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카메라(11a)의 뷰이미지를 촬상하여 사진 이미지로 저장할 때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사진 이미지와 함께 저장한다. 그리고 뷰이미지와 미션의 문제이미지를 비교할 때, 상기 뷰이미지의 위치정보가 문제이미지의 위치정보의 근처일 때에만 정답을 보여줄 수 있다. 즉, 이용자들이 직접 장소에 찾아가지 않고 타 이용자가 찍은 사진이나 기존 인터넷에 존재하는 사진을 전송하여 순위를 조작하는 폐해를 막기 위해 위치정보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전송사진에 대한 정보저장방식으로 운영상의 보안을 가진다.
데이터베이스(40)는 미션게임을 저장하는 미션게임DB(41), 이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이용자DB(42), 광고를 하고자 하는 업체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업체주DB(43)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베이스(40)의 구성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일 뿐이며, 구체적인 장치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접근 및 검색의 용이성 및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론에 의하여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위한 시스템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를 위한 시스템 구성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미션게임을 동시에 진행하여, 참여자들의 순위가 매겨지는 게임 방식을 말한다.
다수의 이용자는 광고 프로모션 어플(60)을 통해 해당 미션게임의 참여를 신청할 수 있다. 미션서버(30)는 미션게임 리스트 중에서 실시간으로 참여하는 미션게임(이하 쇼셜형 미션게임)을 표시한다. 쇼셜형 미션게임은 단독으로 참여할 수 있는 미션게임(이하 단독형 미션게임)과 달리 다수의 참여자(또는 이용자)가 동시에 참여하여 순위를 매길 수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용자는 미션게임의 리스트 중에서 쇼셜형 미션게임을 선택하여 신청함으로써, 상기 쇼셜형 미션게임에 참여할 수 있다.
즉, 도 1에서의 광고 프로모션 어플(60)은 다수의 이용자에 의해 미션게임을 동시에 진행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게임 참여시(미션게임을 신청하여 다운로드 받을 때) 이용자가 설정한 활동지역(행정구역으로 구분하거나 일정한 거리의 반경 이내로 정하는 방식으로 지역을 구분할 수 있다)에서만 미션게임을 참가할 수 있게 한다.
광고 프로모션 어플(60)은 미션게임을 사전에 정해진 시작시간(이하 게임 시작시간)이 지난 후에만 미션 문제를 디스플레이(11b)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미션게임의 게임 시작시간을 오전 8시로 설정되어 있으면, 모든 이용자는 오전 8시가 시작되어야 그 미션게임을 시작할 수 있다. 한편, 미션게임의 시작시간 전에, 미션서버(30)는 미션게임에 참여하는 이용자의 수가 사전에 정해진 최소 인원수에 미달되면 해당 미션게임을 소멸시킬 수 있다.
그리고 광고 프로모션 어플(60)은 모든 미션 문제가 완수되어 미션이 종료되면, 미션서버(30)에 접속하여 미션게임의 완수 및 그 진행결과를 미션서버(30)에 전송한다. 미션서버(30)는 해당 미션게임을 다운로드받은 다수의 이용자의 이동단말(11)로부터 진행결과를 수신하여, 진행결과가 접수된(또는 수신된) 순서에 의하여 참여한 미션게임의 순위를 결정한다. 또는 광고 프로모션 어플(60)은 미션게임이 완수되었을 때의 완료시각을 서버(30)에 전송하고, 서버(30)는 그 완료시각을 기준으로 각 이용자들의 순위를 매긴다.
한편, 미션서버(30)는 업체주가 미션게임에 할당한 각 순위의 경품을 해당 게임 참여자의 상위 순위자에게 부여한다. 즉, 위와 같은 방식으로 우선순위 1,2,3등이 가려지고 경품이 지급된다. 참가자 전원에게는 프로모션 진행업체(또는 업체주)에서 제공하는 할인권 등을 부여할 수 있다. 또는 각 미션게임 내의 특정 단계(또는 미션)를 해결하면 소정의 경품(할인권 등)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모든 이용자에게 경품을 부여할 수 있다. 경품은 온라인상으로 지급할 수 있는 종래의 기술을 이용한다. 일례로서, 각 이용자는 미션서버(30) 또는 어플(60)에 사용자로 등록하고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면, 각 경품은 상기 사용자 또는 사용자 계정에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쇼셜형 미션게임은 미션게임의 게임 시작시간으로부터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단독형 미션게임으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쇼셜형 미션게임을 1일 동안 진행하고 그 다음날부터는 단독형 미션게임으로 전환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위한 시스템 구성은 상기 제1 또는 제2 실시예를 위한 시스템 구성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하면, 광고 프로모션 어플(60)은 미션게임 전체를 다운로드하여 스마트폰 등 이동단말(11)에 저장하지 않고, 미션 단위로 게임을 다운로드한다.
즉, 광고 프로모션 어플(60)은 첫 번째 미션의 문제(또는 문제와 함께 문제이미지)를 다운로드 받고, 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그리고 광고 프로모션 어플(60)은 답변을 입력받으면, 상기 답변을 서버(30)에 전송한다. 서버(30)는 답변과 상기 미션의 정답을 비교하여 동일하면 상기 미션을 맞힌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서버(30)는 다음 문제를 이동단말(11)에 전송하여 광고 프로모션 어플(60)이 상기 문제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11b)에 표시하게 한다.
상기 제3 실시예는 무선통신망(21)을 통해 서버(30)와 통신을 미션 중에 계속 연결하고 있어야 하는 반면,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는 미션 중에서 무선통신망(21)에 계속 연결하지 않고, 미션게임을 다운로드할 때와 미션게임이 완수된 경우에만 서버(30)에 접속하면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60)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광고 프로모션 장치(60)는 미션게임 수신부(61), 미션문제 제시부(62), 미션해결 판단부(63), 및, 이미지 표시부(64)로 구성된다.
미션게임 수신부(61)는 순서가 정해진 다수의 미션으로 구성된 미션게임을 수신하고, 상기 미션은 광고 내용을 포함하는 문제 및 정답, 또는 문제이미지를 함께 포함한다.
앞서 본 바와 같이, 미션게임은 다수의 미션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미션들은 문제 및 정답으로 구성된다. 문제는 텍스트, 이미지, 음성, 또는 영상 등으로 작성될 수 있고, 정답은 텍스트로 작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미션에는 문제에 해당하는 문제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문제이미지는 정답을 알려주기 위해 풀어야하는 이미지로서, 카메라(11a)를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와 일치되면 정답을 알려줄 때 이용되는 이미지이다. 예를 들어, 첫 번째 미션의 문제는 "한국 스타벅스 1호점은 어디인가?"이고 정답은 "신촌점"이다. 그리고 두 번째 미션의 문제는 "스타벅스의 간판 이미지"를 문제이미지로 제공할 수 있다.
미션게임 수신부(61)는 서버(또는 미션서버)(30)로부터 미션게임 리스트를 수신하여 상기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리스트의 미션게임을 선택받아 선택된 미션게임을 수신한다. 즉, 미션게임 수신부(61)는 미션게임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1b)에 표시하면, 이용자는 리스트 중에서 자신이 참여하고자 하는 미션게임을 선택한다. 미션게임 수신부(61)는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미션게임 전체를 서버(30)로부터 수신한다.
미션문제 제시부(62)는 상기 미션의 문제를 표시하고 상기 미션 문제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고, 상기 미션이 해결되면 다음 순서의 미션의 문제를 표시한다. 또한, 미션해결 판단부(63)는 상기 미션 문제에 대한 답변을 상기 미션 문제의 정답과 대비하여, 동일하면 상기 미션이 해결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미션문제 제시부(62)는 서버(30)로부터 수신된 미션게임에 포함된 첫 번째 미션의 문제(또는 문제 및 문제이미지)를 디스플레이(11b)에 표시한다. 이용자가 그 문제에 대한 답변을 입력하면, 미션문제 제시부(62)는 그 답변을 입력받는다. 미션해결 판단부(63)는 입력된 답변과 미션 문제의 정답을 대비하여 동일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하면 미션이 해결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답변은 텍스트로 입력될 수도 있고, 텍스트를 코드화한 바코드, 2차원 바코드, QR코드 등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코드 등은 이동단말(11)의 카메라(11a)를 통해 입력받는다.
미션이 해결되면, 미션문제 제시부(62)는 해결된 미션의 다음 미션을 제시한다. 즉, 다음 미션의 문제를 디스플레이(11b)에 표시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해결하도록 요청한다. 상기와 같이 미션문제 제시부(62)는 미션게임이 포함된 모든 미션을 순차적으로 제시하여 해결되도록 하고, 모든 문제가 해결되어 더 이상 표시할 미션의 문제가 없으면 상기 미션게임이 완수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미지 표시부(64)는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이하 뷰 이미지)와 문제이미지를 대비하여,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미션의 정답을 표시한다.
이미지 표시부(64)는 미션의 문제와 함께 미션이미지가 표시된 상태(또는 미션 수행중)에서, 이용자가 카메라(11a)를 통해 촬상된 이미지를 입력받으면, 입력된 이미지와 미션의 문제 이미지를 대비한다. 대비하여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미션 정답을 디스플레이(11b)에 표시한다.
앞서의 예와 같이, 미션 문제에서 문제이미지로서 스타벅스 간판이미지가 표시되는 경우, 오프라인 상점(스타벅스 커피점)의 간판과 카메라 뷰를 일치시키면 카메라 뷰에는 글자가 나타난다. 바람직하게는 반전효과를 주어 글자를 나타낸다. 반전효과로 나타난 글자가 곧 정답이고, 이용자는 정답을 입력한다.
한편, 이미지 표시부(64)는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추적 센서(11f)로부터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미션에 포함된 위치와 소정의 거리 이내일 때만 상기 미션의 정답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소정의 거리(이하 최소 거리)를 30m로 정하면, 이동단말의 위치추적 센서(11f)에 의해 측정되는 위치와 미션에 포함된 위치와의 거리 차이가 30m이내인 경우에만 정답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60)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광고 프로모션 장치(60)는 상기 제1 실시예의 프로모션 장치(60)와 동일하며, 다만, 게임의 시작시간과 현재 시각에 따라 시간상 제약을 두는 차이가 있다.
즉, 미션문제 제시부(62)는, 상기 스마트폰 등 이동단말(11)로부터 현재 시각을 읽어와서, 상기 현재시각이 상기 미션게임에 대하여 사전에 정해진 시각(이하 시작시각) 보다 이후인 경우에만 상기 미션의 문제를 표시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션게임의 게임 시작시간을 오전 8시로 설정되어 있으면, 모든 이용자는 오전 8시가 시작되어야 그 미션게임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미션문제 제시부(62)는 상기 미션게임에서 더 이상 표시할 미션의 문제가 없으면 상기 미션게임을 완수한 것으로 서버(30)에 등록한다. 그리고 서버(30)에 미션게임 완수를 등록할 때 이미 등록된 상기 미션게임의 완수 등록 수에 따라, 상기 미션게임의 등수가 결정된다.
즉, 미션문제 제시부(62)는 모든 미션 문제가 완수되어 미션이 종료되면, 미션서버(30)에 접속하여 미션게임의 완수 및 그 진행결과를 미션서버(30)에 전송한다. 미션서버(30)는 해당 미션게임에 대한 다수의 이용자의 이동단말(11)로부터 진행결과를 수신하여, 진행결과가 접수된(또는 수신된) 순서에 의하여 참여한 미션게임의 순위를 결정한다. 또는 광고 프로모션 어플(60)은 미션게임이 완수되었을 때의 완료시각을 서버(30)에 전송하고, 서버(30)는 그 완료시각을 기준으로 각 이용자들의 순위를 매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광고 프로모션 장치를 이용하여 광고를 수행하는 예들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성형외과 및 자동차 판매점 등과 같은 오프라인 상점주 또는 업체주는 경품을 제공하여, 쇼셜플레잉(또는 서버)에 미션게임을 진행하게 한다. 순위에 따라 해당 경품을 제공하고, 해당 순위자에게 그 경품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대한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미션수행을 통한 신개념 놀이문화 프로모션 플랫폼"(이하 쇼셜플레잉)으로서, 일정시간 동안 일정인원 이상을 모집하여 프로모션을 진행하게 된다. 이용자들은 미션게임을 통하여 서비스 업체가 제공하는 경품(1,2,3등 순위)을 획득하기 위해 미션을 수행하게 되고 경품을 획득한 사용자들은 직접 해당 서비스업체에 방문하여 경품을 수령하게 된다.
여기에서는 순위체크는 우선 답을 입력하는 순이다. 그 외 순위 밖 사용자들은 간단한 어플게임(예. 가위바위보 게임)을 통하여 할인쿠폰을 발행받게 된다. 즉 경품을 획득한 사용자들과 경품을 획득하지 못한 순위 밖의 사람들 모두 서비스업체에 방문하게끔 유도하여 서비스업체에 대한 광고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들이 실제로 해당 서비스업체에서 물건(음식 등)을 구입하지 않아도 그 업체의 위치, 역사, 특징, 현재 진행하고 있는 할인 행사, 신제품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효과는 서비스업체에서 단독으로 프로모션을 진행 하였을 경우 보다 브랜드 인지도 형성 및 소비자에게 서비스업체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것에 효과적이다.
이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노출되냐 중요하지만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즐거움을 느끼는가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어 많은 사람들이 소셜플레잉을 통해 여러 상품들을 획득하며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자연스럽게 해당 서비스업체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얻을 수 있고 관심을 가질 수 있게 유도할 수 있다. 이용자들이 실제로 해당 서비스업체에서 물건(음식 등)을 구입하지 않아도, 많은 사람들이 상품을 획득하는 과정 속에 즐거움을 크게 느낄수록 해당 서비스업체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이 거부감 없이 자연스럽게 이용자들에게 다가갈 것이기 때문이다.
소셜커머스와 다른 점은 소셜 커머스는 이용자들에게 할인 쿠폰을 판매하여 해당 서비스업체를 이용하게 유도하게 하는 것이라면 소셜플레잉의 이용자들은 게임을 통하여 해당 서비스업체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상품들을 획득하거나 게임을 통한 즐거움을 느끼기 위해 이용을 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해당 서비스업체대한 인식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브랜드 인지도 형성 및 소비자에게 각인을 시켜주기 쉽다는 것이다.
서비스업, 제조업 등 대부분의 사업을 함에 있어 업주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업체에 대한 홍보라고 할 수 있다. 홍보를 하는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가장 효과적인 홍보효과를 누리고자 하는 것은 모든 사업주들의 희망 사항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홍보 방법 중 사업주가 좀 더 쉽고 간편하게 그리고 저렴하게 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이용자들은 즐거움과 동시에 상품 및 서비스업체에 대한 각종 혜택을 얻을 수 있고 사업주들은 단독으로 진행할 때 보다 효과적으로 프로모션이 가능하므로 이용자와 사업주 모두가 Win-Win 할 수 있는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다.
기존의 온라인 이벤트행사 및 경품행사는 단순히 회원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랜덤추첨방식으로 경품을 지급하다보니 신뢰성 및 재미가 결여된 효과 없는 프로모션이었다. 반면에 본 발명은 온라인게임 형식을 빌려 오프라인 서비스를 게임형태(미션수행)로 구성하여 미션수행과정을 통하여 이용자들이 재미를 느낌과 동시에 오프라인 서비스업체가 프로모션을 통하여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광고하고 홍보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제공하고 프로모션을 대행해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 : 이동단말 12 : 업체주 단말
20 : 네트워크 21 : 이동통신망
30 : 미션서버 40 : 데이터베이스
60 : 광고 프로모션 장치 61 : 미션게임 수신부
62 : 미션문제 제시부 63 : 미션해결 판단부
64 : 이미지 표시부

Claims (7)

  1.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미션 게임을 통해 광고 내용을 전달하는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에 있어서,
    순서가 정해진 다수의 미션으로 구성된 미션게임을 수신하고, 상기 미션은 광고 내용을 포함하는 문제 및 정답, 문제이미지를 포함하는 미션게임 수신부;
    상기 미션의 문제를 표시하고 상기 미션 문제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고, 상기 미션이 해결되면 다음 순서의 미션의 문제를 표시하는 미션문제 제시부;
    상기 미션 문제에 대한 답변을 상기 미션 문제의 정답과 대비하여, 동일하면 상기 미션이 해결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미션해결 판단부; 및,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이하 뷰 이미지)와 상기 문제이미지를 대비하여,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미션의 정답을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문제 제시부는 상기 미션게임에서 더 이상 표시할 미션의 문제가 없으면 상기 미션게임을 완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답 및 답변은 텍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게임 수신부는 서버로부터 미션게임 리스트를 수신하여 상기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리스트의 미션게임을 선택받아 선택된 미션게임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문제 제시부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현재 시각을 읽어와서, 상기 현재시각이 상기 미션게임에 대하여 사전에 정해진 시각(이하 시작시각) 보다 이후인 경우에만 상기 미션의 문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문제 제시부는 상기 미션게임에서 더 이상 표시할 미션의 문제가 없으면 상기 미션게임을 완수한 것으로 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서버에 미션게임 완수를 등록할 때 이미 등록된 상기 미션게임의 완수 등록 수에 따라, 상기 미션게임의 등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표시부는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추적 센서로부터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미션에 포함된 위치와 소정의 거리 이내일 때만 상기 미션의 정답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
KR1020110086398A 2011-08-29 2011-08-29 스마트폰에서 이용가능한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 KR20130023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398A KR20130023554A (ko) 2011-08-29 2011-08-29 스마트폰에서 이용가능한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398A KR20130023554A (ko) 2011-08-29 2011-08-29 스마트폰에서 이용가능한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554A true KR20130023554A (ko) 2013-03-08

Family

ID=48175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398A KR20130023554A (ko) 2011-08-29 2011-08-29 스마트폰에서 이용가능한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35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754B1 (ko) * 2013-05-21 2015-01-19 (주)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 복수의 미션들을 완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107846B1 (ko) * 2019-01-29 2020-05-07 성창경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 및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의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754B1 (ko) * 2013-05-21 2015-01-19 (주)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 복수의 미션들을 완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107846B1 (ko) * 2019-01-29 2020-05-07 성창경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 및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4299B1 (ko) 미션 수행을 통한 방문자 수의 증가를 유도하는 보물찾기 존 활성화 광고 촉진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8538814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advertising content
US81955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rving relevant question-based advertisements
US201302319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ized marketing
US20110264494A1 (en) System for an incentive-based distribution of a marketing material
KR102578533B1 (ko) 홍보용 샘플제품의 수령시스템 및 방법
KR20050014077A (ko) 로또 게임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광고방법
US10350498B2 (en) Gaming system and method
KR20190108709A (ko) 온라인 이벤트 기반 타깃광고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Strout et al. Location based marketing for dummies
KR20150098265A (ko) 사용자 참여 유도형 스마트 광고 시스템 및 방법
US20090197675A1 (en) Interactive gaming platform
US20200184501A1 (en) Reactive show-specific game show process and system
KR20150042888A (ko) 누적포인트의 순위 경쟁을 통한 게임 마케팅 플랫폼
KR102411914B1 (ko) 퀴즈 광고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30023554A (ko) 스마트폰에서 이용가능한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
KR20130062391A (ko) 경품 이벤트 진행 방법
Hwang et al. What make sport spectators scan quick response code? Application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MLB attendees
JP6883303B2 (ja) キャンペーン管理システム、サーバー装置、キャンペーン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9163694A1 (ja) 懸賞ゲームを備える広告費課金装置、広告配信装置、および賞金送金サービス提供装置
KR20010025683A (ko) 인터넷상에서 온라인퀴즈를 이용한 기업 및 단체의 광고방법
KR20040028880A (ko) 핸드폰 카메라를 이용한 인터렛티브 미디어 광고 기법
KR20000024361A (ko) 인터넷 광고 방법
JP6516945B2 (ja) 広告システム
JP6516944B1 (ja) 広告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