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846B1 -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 및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 및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07846B1 KR102107846B1 KR1020190011276A KR20190011276A KR102107846B1 KR 102107846 B1 KR102107846 B1 KR 102107846B1 KR 1020190011276 A KR1020190011276 A KR 1020190011276A KR 20190011276 A KR20190011276 A KR 20190011276A KR 102107846 B1 KR102107846 B1 KR 1021078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ding
- control unit
- coding robot
- operation control
- robot oper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1—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using advertising inform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2—Video game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be hand-held while playing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5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 A63F2300/55—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 A63F2300/5506—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using advertis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개시되는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이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과, 중앙 서버를 포함함에 따라, 수행자에게 코딩에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 및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4차 산업이 대두되면서,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커지게 되었고, 그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4차 산업의 주도를 위하여 코딩 교육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코딩 교육의 중요성 증대에 따라, 코딩 교육을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코딩(coding)이란, C 언더, 자바, 파이선 등의 기계가 알 수 있는 언어를 일정한 명령문에 따라 문자 또는 숫자를 사용하여 기호화한 것으로, 컴퓨터 프로그램밍이라고도 하고, 사용자가 직접 만든 코딩에 따라 작동되는 로봇이 코딩 로봇(coding robot)으로서, 상기 코딩 로봇은 각종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토이(Smart Toy)이다.
이러한 코딩 교육을 위한 종래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적용되는 코딩 로봇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들이다.
그러나, 종래의 코딩 교육을 위한 시스템에 의하면, 코딩 교육에 흥미를 유발하는데에 마땅치 못하여, 교육을 받는 학생 등의 수행자가 코딩 교육에 집중하는데에 한계가 있었고, 그에 따라 효율적인 코딩 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코딩에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 및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은 컴퓨터 언어로 프로그래밍하는 코딩 작업에 의해 작동되는 코딩 로봇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에 대한 상기 코딩 로봇의 작동 명령 정보를 입력하거나, 상기 코딩 로봇의 작동에 대한 상황 정보가 표시되는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입력된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에 대한 상기 코딩 로봇의 작동 명령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으로 전달하고,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에서 전달되는 상기 코딩 로봇의 작동에 대한 상황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달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은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의 공기가 일정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동 안내부와, 상기 케이스부 내부의 상기 공기가 유동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상기 공기의 유동 속도를 가변시키는 유동 가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 안내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면에 장착되되 복수 개가 상기 케이스부의 길이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1 유동 안내체와,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제 1 유동 안내체가 형성된 면과 대면되도록 위치되고, 복수 개가 상기 케이스부의 길이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2 유동 안내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동 안내체는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면에서 일정 길이로 형성되되, 일정 곡률의 중심이 상기 케이스부의 중심 쪽으로 형성되는 제 1 유동 안내 몸체와, 상기 제 1 유동 안내 몸체의 내측면에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가 일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제 1 유동 안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유동 안내체는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면에서 일정 길이로 형성되되, 일정 곡률의 중심이 상기 케이스부의 중심 쪽으로 형성되는 제 2 유동 안내 몸체와, 상기 제 2 유동 안내 몸체의 내측면에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가 일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제 2 유동 안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각 제 1 유동 안내체 사이의 이격 거리와 상기 각 제 2 유동 안내체 사이의 이격 거리는 동일하되, 상기 케이스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 1 유동 안내체 중 최하단에 위치된 것까지의 거리에 비해 상기 케이스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 2 유동 안내체 중 최하단에 위치된 것까지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유동 가변 수단을 경유하면서 일정 속도를 가진 상기 케이스부 내부의 공기가 복수 개의 상기 제 1 유동 안내면과, 복수 개의 상기 제 2 유동 안내면을 번갈아가면서 유동되되, 상기 공기가 상기 케이스부의 하부에서 상기 케이스부의 상부로 나선 형태를 형성하며 점진적으로 상승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은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의 공기가 일정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동 안내부와, 상기 케이스부 내부의 상기 공기가 유동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상기 공기의 유동 속도를 가변시키는 유동 가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 안내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면에 장착되되 복수 개가 상기 케이스부의 길이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1 유동 안내체와,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제 1 유동 안내체가 형성된 면과 대면되도록 위치되고, 복수 개가 상기 케이스부의 길이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2 유동 안내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동 안내체는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면에서 일정 길이로 형성되되, 일정 곡률의 중심이 상기 케이스부의 중심 쪽으로 형성되는 제 1 유동 안내 몸체와, 상기 제 1 유동 안내 몸체의 내측면에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가 일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제 1 유동 안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유동 안내체는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면에서 일정 길이로 형성되되, 일정 곡률의 중심이 상기 케이스부의 중심 쪽으로 형성되는 제 2 유동 안내 몸체와, 상기 제 2 유동 안내 몸체의 내측면에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가 일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제 2 유동 안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각 제 1 유동 안내체 사이의 이격 거리와 상기 각 제 2 유동 안내체 사이의 이격 거리는 동일하되, 상기 케이스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 1 유동 안내체 중 최하단에 위치된 것까지의 거리에 비해 상기 케이스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 2 유동 안내체 중 최하단에 위치된 것까지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유동 가변 수단을 경유하면서 일정 속도를 가진 상기 케이스부 내부의 공기가 복수 개의 상기 제 1 유동 안내면과, 복수 개의 상기 제 2 유동 안내면을 번갈아가면서 유동되되, 상기 공기가 상기 케이스부의 하부에서 상기 케이스부의 상부로 나선 형태를 형성하며 점진적으로 상승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 및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이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과, 중앙 서버를 포함함에 따라, 수행자에게 코딩에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을 구성하는 코딩 로봇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을 구성하는 코딩 로봇의 하측 케이스 내부 구성을 보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을 구성하는 중앙 서버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마트폰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보이는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구성하는 게임 모드의 흐름을 보이는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구성하는 광고 모드의 흐름을 보이는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구성하는 미션 모드의 흐름을 보이는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을 구성하는 코딩 로봇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을 구성하는 코딩 로봇의 하측 케이스 내부 구성을 보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을 구성하는 중앙 서버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마트폰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보이는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구성하는 게임 모드의 흐름을 보이는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구성하는 광고 모드의 흐름을 보이는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구성하는 미션 모드의 흐름을 보이는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 및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을 구성하는 코딩 로봇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을 구성하는 코딩 로봇의 하측 케이스 내부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을 구성하는 중앙 서버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마트폰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보이는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구성하는 게임 모드의 흐름을 보이는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구성하는 광고 모드의 흐름을 보이는 순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구성하는 미션 모드의 흐름을 보이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10)은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과, 스마트폰(170)과, 중앙 서버(150)를 포함한다.
도면 번호 50은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 상기 스마트폰(170) 및 상기 중앙 서버(1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망으로, 와이파이, 이동통신망 등 다양한 통신망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은 컴퓨터 언어로 프로그래밍하는 코딩 작업에 의해 작동되는 코딩 로봇(미도시)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여기서, 상기 코딩 로봇은 강아지와 같은 애완 동물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 로봇으로,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과 블루투스 등의 무선으로 연결되어,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의 명령에 따라 동작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코딩 로봇은 각 팔다리, 머리 등을 전동 모터 등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코딩 로못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170)은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에 대한 상기 코딩 로봇의 작동 명령 정보를 입력하거나, 상기 코딩 로봇의 작동에 대한 상황 정보가 표시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스마트폰(170)은 터치 디스플레이(172)와, 폰 제어부(173)와, 폰 저장부(174)와, 폰 통신부(175)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172)는 폰 케이스(171)의 표면에 설치되어 각종 정보를 표시함과 함께 터치 방식으로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것으로, 정전식이 많이 이용된다.
상기 폰 제어부(173)는 상기 스마트폰(170)에서 발생되는 각종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폰 저장부(174)는 상기 스마트폰(170)에서 형성되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등의 상기 스마트폰(170)의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폰 통신부(175)는 상기 폰 저장부(174)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상기 통신망(50)을 통해 상기 중앙 서버(150)에 전달하거나, 상기 중앙 서버(150)로부터 각종 정보를 전달받는 것이다.
상기 스마트폰(170)은 널리 보급되어 일반적인 것이므로, 상기 스마트폰(170)의 각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172)를 통해 수행자가 각종 정보를 입력하거나, 각종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상기 폰 통신부(175)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170)이 상기 중앙 서버(150)와 각종 정보를 교환할 수 있고, 상기 폰 저장부(174)에 상기 스마트폰(170)에서 발생된 각종 정보와 상기 폰 통신부(175)를 통해 입력된 각종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상기 폰 제어부(173)가 상기 스마트폰(170)의 다른 구성 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상기 스마트폰(170)이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170)이 상기 수행자가 소지한 상태로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10)을 구성하여, 후술되는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10)의 각종 제어 방법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하에서는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10)의 각종 제어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170) 자체에 대해 설명되는 기능을 바탕으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172), 상기 폰 제어부(173), 상기 폰 저장부(174) 및 상기 폰 통신부(175)의 구체적인 작동들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인지 및 추론할 수 있을 것이므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172), 상기 폰 제어부(173), 상기 폰 저장부(174) 및 상기 폰 통신부(175)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스마트폰(170) 자체의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중앙 서버(150)는 상기 스마트폰(170)을 통해 입력된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에 대한 상기 코딩 로봇의 작동 명령 정보를 상기 통신망(50)을 통해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으로 전달하고,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에서 전달되는 상기 코딩 로봇의 작동에 대한 상황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170)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서버 입력부(151)와, 서버 제어부(152)와, 서버 저장부(153)와, 서버 통신부(154)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 입력부(151)는 키보드 등으로서, 상기 수행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중앙 서버(150)에 직접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서버 제어부(152)는 상기 중앙 서버(150)에서 발생되는 각종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서버 저장부(153)는 상기 중앙 서버(150)에서 형성되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등의 상기 중앙 서버(150)의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서버 통신부(154)는 상기 서버 저장부(153)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상기 통신망(50)을 통해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과 상기 스마트폰(170)에 전달하거나,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과 상기 스마트폰(170)으로부터 각종 정보를 전달받는 것이다.
상기 중앙 서버(150)은 널리 보급되어 일반적인 것이므로, 상기 중앙 서버(150)의 각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서버 입력부(151)를 통해 각종 정보가 직접 입력될 수 있고, 상기 서버 통신부(154)를 통해 상기 중앙 서버(150)가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 및 상기 스마트폰(170)과 각종 정보를 교환할 수 있고, 상기 서버 저장부(153)에 상기 중앙 서버(150)에서 발생된 각종 정보와 상기 서버 통신부(154)를 통해 입력된 각종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서버 제어부(152)가 상기 중앙 서버(150)의 다른 구성 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상기 중앙 서버(150)가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중앙 서버(150)가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10)을 구성하여,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10)의 각종 제어 방법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하에서는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10)의 각종 제어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150) 자체에 대해 설명되는 기능을 바탕으로, 상기 서버 입력부(151), 상기 서버 제어부(152), 상기 서버 저장부(153) 및 상기 서버 통신부(154)의 구체적인 작동들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인지 및 추론할 수 있을 것이므로, 상기 서버 입력부(151), 상기 서버 제어부(152), 상기 서버 저장부(153) 및 상기 서버 통신부(154)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중앙 서버(150) 자체의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은 케이스부(110)와, 모션 인식부(120)와, 음성 인식부(122)와,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와, 출력부(130)와, 유동 안내부(140)와, 코딩 로봇 작동 통신부(12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은 코딩 로봇 작동 저장부(126)와, 학습 및 추론부(127)를 더 포함한다.
상기 코딩이란, C언어 등의 컴퓨터 언어를 이용하여 순차적이고 논리적인 흐름을 프로그래밍(programming)하는 작업이고, 상기 코딩 로봇은 작성된 상기 코딩이 전달하는 명령에 따라 작동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부(110)는 그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그 외부 형상이 어린이들에게 친근감을 유발할 수 있도록 동물 등의 캐릭터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부(110)는 상기 모션 인식부(120)와, 상기 음성 인식부(122)와, 상기 출력부(130)가 배치되는 상측 케이스(111)와,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 및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저장부(126)가 배치되는 하측 케이스(112)를 포함한다.
상기 모션 인식부(120)는 상기 상측 케이스(11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행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것으로, 상기 상측 케이스(111)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모션 인식부(120)에 의해 상기 수행자의 각종 동작 실행 여부가 인식될 수 있게 된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상기 모션 인식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는 모션 입력 정보라 정의하고, 상기 음성 인식부(122)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는 음성 입력 정보라 정의한다.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는 상기 케이스부(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션 인식부(120) 및 상기 음성 인식부(12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코딩 로봇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i)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30)는 상기 케이스부(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션 인식부(120) 및 상기 음성 인식부(12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 또는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에서 수행된 작업 결과를 외부로 출력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출력부(130)는 상기 모션 인식부(120)의 모션 정보 및 상기 음성 인식부(122)의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결과값이 영상으로 출력되는 영상 출력체(131)와, 상기 모션 인식부(120)의 모션 정보 및 상기 음성 인식부(122)의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결과값이 음성으로 출력되는 음성 출력체(132)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출력체(131)는 상기 상측 케이스(111)의 전면에 장착되는 엘시디 패널(LCD Panel)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고, 상기 음성 출력체(132)는 스피커 모듈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130)는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부로 출력되어야 할 결과값을 빛으로 출력하는 램프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잇다.
이하에서는 상기 모션 인식부(120)와, 상기 음성 인식부(122)와,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와, 상기 코딩 로봇의 작동 흐름에 대하여 예를 들어 간단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행자의 신체 중 미리 설정된 부분 예를 들면 상기 수행자의 손의 모션을 인식하라는 명령이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에서 상기 모션 인식부(120)에 전달된 상태에서, 상기 수행자가 손을 편 상태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모션 인식부(120)는 상기 모션 입력 정보인 상기 수행자의 손이 펴진 상태와 오른쪽 방향 이동을 인식한 다음, 그 인식 결과를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에 전달하게 되고,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는 상기 모션 인식부(120)에서 인식된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코딩 로봇에 상기 손 동작에 대응되는 작동인 오른쪽 방향 이동을 명령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코딩 로봇이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수행자가 주먹을 쥔 상태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모션 인식부(120)는 상기 모션 입력 정보인 상기 수행자의 손이 주먹 형태로 쥐어진 상태와 오른쪽 이동을 인식한 다음, 그 인식 결과를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에 전달하게 되고,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는 상기 모션 인식부(120)에서 인식된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코딩 로봇에 상기 손 동작에 대응되는 작동인 오른쪽 회전을 명령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코딩 로봇이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음성 인식부(122)는 상기 케이스부(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행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것으로, 상기 상측 케이스(111)에 내장된 마이크 모듈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행자가 음성으로 왼쪽 방향 이동 명령을 전달하면, 상기 음성 인식부(122)는 상기 음성 입력 정보인 상기 수행자의 상기 왼쪽 방향 이동 명령을 인식한 다음, 그 인식 결과를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에 전달하게 되고,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는 상기 음성 인식부(122)에서 인식된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코딩 로봇에 상기 왼쪽 방향 이동 명령에 대응되는 작동인 왼쪽 방향 이동을 명령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코딩 로봇이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저장부(126)는 상기 케이스부(110)에 배치되어 상기 수행자의 정보와, 상기 모션 인식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수행자의 상기 모션 입력 정보 및 상기 음성 인식부(122)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수행자의 상기 음성 입력 정보가 저장되는 것으로, 상기 하측 케이스(112)의 내부에 배치된 SSD(solid state drive) 등 다양한 형태의 저장 장치가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저장부(126)에 상기 수행자의 정보, 예를 들어 홍체 인식 또는 지문 등의 정보가 저장되면, 상기 수행자는 한 번의 정보 저장을 통해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션 입력 정보 및 상기 음성 입력 정보가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저장부(126)에 저장됨으로써, 최근에 입력된 입력 정보 목록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모션 입력 정보 및 상기 음성 입력 정보 중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정보들을 관리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학습 및 추론부(127)는 그 내부에 미리 저장된 복수 개의 데이터 샘플을 이용하여 알고리즘(Algorithm)을 구축하는 딥 러닝(Deep Learning)과, 미리 저장된 복수 개의 상기 데이터 샘플을 해석하는 추론(Inference)을 수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알고리즘은 수학과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해진 일련의 절차나 방법을 공식화한 형태로 표현한 것이고, 상기 딥 러닝 즉, 심화 학습은 대량의 데이터와 알고리즘을 통해 컴퓨터를 학습시킴으로써 사람의 사고 방식을 상기 컴퓨터에게 가르치는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이고, 상기 추론은 미리 저장된 복수 개의 상기 데이터 샘플을 이용하여 논리적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고, 이러한 상기 딥 러닝 및 상기 추론은 사람의 사고력을 기계로 구현한 인공 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의 기반이 된다.
상기 학습 및 추론부(127)가 내장됨으로써,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은 상기 인공 지능을 구비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수행자의 동작 및 음성 인식률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에 상기 학습 및 추론부(127)가 내장됨으로써, 상기 수행자에게 상기 인공 지능을 체험시킬 수도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학습 및 추론부(127)가 그 내부에 미리 저장된 복수 개의 데이터 샘플을 이용한다고 하였으나, 이는 단지 하나의 예시일 뿐, 상기 모션 인식부(120) 및 상기 음성 인식부(122)를 통해 데이터 샘플을 더 추가할 수 있고, 상기 딥 러닝을 수행할 때 상기와 같이 추가된 데이터 샘플을 함께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코딩 로봇 작동 통신부(128)는 상기 케이스부(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이 상기 통신망(50)을 통해 상기 중앙 서버(150)와 각종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이 상기 코딩 로봇과 블루투스 통신 등을 통해 각종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유동 안내부(140)는 상기 케이스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부(110) 내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하측 케이스(132)의 내부 공기가 일정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것이다.
도면 번호 135는 상기 케이스부(110) 내부의 공기가 효율적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케이스부(110) 내부에서 유동되는 상기 공기의 유동 속도를 가변시키는 유동 가변 수단으로, 팬(fan) 등이 그 예로 제안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동 안내부(140)는 상기 하측 케이스(112)의 내측면에 장착되되 복수 개가 상기 하측 케이스(112)의 길이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1 유동 안내체(141)와, 상기 하측 케이스(112)의 내측면에서 상기 제 1 유동 안내체(141)가 형성된 면과 대면되도록 위치되고, 복수 개가 상기 하측 케이스(112)의 길이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2 유동 안내체(144)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제 1 유동 안내체(141)는 상기 하측 케이스(112)의 내측면에서 일정 길이로 형성되되, 일정 곡률의 중심이 상기 하측 케이스(112)의 중심 쪽으로 형성되는 제 1 유동 안내 몸체(143)와, 상기 제 1 유동 안내 몸체(143)의 내측면에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가 일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제 1 유동 안내면(14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유동 안내체(144)는 상기 하측 케이스(112)의 내측면에서 일정 길이로 형성되되, 일정 곡률의 중심이 상기 하측 케이스(112)의 중심 쪽으로 형성되는 제 2 유동 안내 몸체(146)와, 상기 제 2 유동 안내 몸체(146)의 내측면에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가 일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제 2 유동 안내면(145)을 포함한다.
상기 각 제 1 유동 안내체(141) 사이의 이격 거리와 상기 각 제 2 유동 안내체(144) 사이의 이격 거리는 동일하되, 상기 하측 케이스(112)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 1 유동 안내체(141) 중 최하단에 위치된 것까지의 거리에 비해 상기 하측 케이스(112)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 2 유동 안내체(144) 중 최하단에 위치된 것까지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유동 가변 수단(135)을 경유하면서 일정 속도를 가진 상기 하측 케이스(112) 내부의 공기가 복수 개의 상기 제 1 유동 안내면(142)과, 복수 개의 상기 제 2 유동 안내면(145)을 번갈아가면서 유동되되, 상기 공기가 상기 하측 케이스(112)의 하부에서 상기 상측 케이스(111)의 상부로 나선 형태를 형성하며 점진적으로 상승 유동됨으로써, 상기 하측 케이스(112) 내부에 배치된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 및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저장부(126)의 방열이 효과적으로 진행되고, 그에 따라,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 및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저장부(126)의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유동 가변 수단(135)에서 일정 속도를 가진 상기 공기는 상기 제 1 유동 안내면(142) 중 상기 하측 케이스(112)의 저면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것을 경유하여 복수 개의 상기 제 2 유동 안내면(145) 중 상기 하측 케이스(112)의 저면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것으로 유동되고, 상기 하측 케이스(112)의 저면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상기 제 2 유동 안내면(145)에서 유동된 상기 공기는 상기 제 1 유동 안내면(142) 중 상기 하측 케이스(112)의 저면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것의 상부에 위치된 것으로 유동되고, 상기와 같이 상기 공기가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 상기 제 1 유동 안내면(142)과 상기 제 2 유동 안내면(145)을 번갈아가면서 유동됨으로써, 상기 공기는 상기 하측 케이스(112)의 내부 전체를 유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 및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저장부(126)의 방열이 전체 면적에서 진행되어 방열 효과가 증가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 자체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의 모션 인식 작업에 관한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a-1) 단계로서, 상기 모션 인식부(120)가 상기 수행자의 영상을 촬영한다.
그런 다음, (a-2) 단계로서, 상기 (a-1) 단계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에 미리 설정된 일정 부분 영상의 검출 여부를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가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일정 부분은 상기 수행자의 신체 중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에 미리 저장된 신체 일부로써, 예를 들면 손 등이 될 수 있고,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는 상기 (a-1) 단계에서 촬영된 상기 수행자의 영상 정보에서 상기 수행자의 상기 미리 설정된 부분인 손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런 다음,(a-3) 단계로서, 상기 (a-2) 단계에서 상기 수행자의 상기 일정 부분 영상이 미검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가 상기 모션 인식부(120)에 상기 (a-1) 단계인 상기 수행자의 상기 일정 부분 영상 촬영을 명령한다.
예를 들어, 상기 모션 인식부(120)에서 촬영된 상기 수행자의 영상 정보에 상기 미리 설정된 일정 부분, 예를 들어 상기 수행자의 손이 미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는 상기 모션 인식부(120)에 상기 미리 설정된 일정 부분에 대한 재촬영을 명령하게 된다.
그런 다음, (a-4) 단계로서, 상기 (a-2) 단계에서 상기 수행자의 상기 일정 부분 영상이 검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션 인식부(120)가 상기 수행자의 동작을 인식한다.
그런 다음, (a-5) 단계로서, 상기 (a-4) 단계에서 인식된 상기 수행자의 동작과 미리 설정된 동작의 일치 여부를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가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동작은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에 미리 저장된 동작, 예를 들어 직선 또는 회전 방향 등이 될 수 있고,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는 상기 (a-4) 단계에서 인식된 상기 수행자의 동작 정보인 직선 또는 회전 방향과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에 저장된 상기 미리 설정된 동작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a-6) 단계로서, 상기 (a-5) 단계에서 인식된 상기 수행자의 동작이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에 미리 설정된 동작과 불일치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가 상기 모션 인식부(120)에 상기 (a-4) 단계인 상기 수행자의 동작 인식을 명령한다.
그런 다음, (a-7) 단계로서, 상기 (a-5) 단계에서 인식된 상기 수행자의 동작이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에 미리 설정된 동작과 일치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코딩 로봇이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에 미리 설정된 동작에 대응되는 동작으로 작동되도록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가 상기 코딩 로봇에 작동을 명령함으로써, 상기 모션 인식부(120)를 통해 인식된 상기 수행자의 동작에 따라 상기 코딩 로봇이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의 모션 인식 작업에 관한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b-1) 단계로서, 상기 음성 인식부(122)가 상기 수행자의 음성을 인식한다.
그런 다음, (b-2) 단계로서, 상기 (b-1) 단계에서 인식된 상기 수행자의 음성과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에 미리 설정된 음성의 일치 여부를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가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음성은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에 미리 저장된 음성 정보 등이 될 수 있고,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는 상기 (b-1) 단계에서 인식된 상기 수행자의 음성 정보와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에 미리 저장된 음성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b-3) 단계로서, 상기 (b-2) 단계에서 인식된 상기 수행자의 음성이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에 미리 설정된 음성과 불일치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가 상기 음성 인식부(122)에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에 미리 설정된 음성이 인식될 때까지 대기할 것을 명령한다.
그런 다음, (b-4) 단계로서, 상기 (b-2) 단계에서 인식된 상기 수행자의 음성이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에 미리 설정된 음성과 일치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코딩 로봇이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에 미리 설정된 음성에 대응되는 동작으로 작동되도록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가 상기 코딩 로봇에 작동을 명령함으로써, 상기 음성 인식부(122)를 통해 인식된 상기 수행자의 음성에 따라 상기 코딩 로봇이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이 컴퓨터 언어로 프로그래밍하는 코딩 작업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코딩 로봇과 연결되어 상기 코딩 로봇을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부(110)와, 상기 모션 인식부(120)와, 상기 음성 인식부(122)와,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부(125)와, 상기 출력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수행자의 모션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여 상기 코딩 로봇을 작동시킴으로써, 복잡한 코딩 작업 없이도 상기 코딩 로봇을 동작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코딩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10)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10)을 마련한다.
그런 다음, 상기 중앙 서버(150)가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과 상기 스마트폰(170)을 이용하여 코딩 게임 모드를 수행시키는 게임 모드 실행 단계가 수행된다(S110).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게임 모드 실행 단계(S11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스마트폰(170)에는 미리 설정된 개수만큼 코인이 저장되어 있는데, 상기 게임 모드 실행 단계(S110)의 수행을 위해서, 상기 스마트폰(170)을 통해 상기 중앙 서버(150)로 상기 코인이 전송되는 코인 전송 단계(S111)가 수행된다. 그러면, 상기 스마트폰(170)에서는 상기 코인이 하나 차감되어 저장된다.
그런 다음, 상기 코인 전송 단계(S111)에서 상기 코인이 전송된 경우, 상기 중앙 서버(150)가 코딩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 진행 단계(S112)가 수행된다.
상기 코딩 게임이란, 상기 코딩 로봇이 미리 설정된 코딩 게임용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수행자가 상기 미리 설정된 코딩 게임용 동작에 대응되는 코딩을 상기 스마트폰(170)을 통해 작성하고, 상기 수행자가 작성한 상기 코딩이 상기 미리 설정된 코딩 게임용 동작과 부합되면, 상기 스마트폰(170)에서 승리 정보가 형성되고, 상기 수행자가 작성한 상기 코딩이 상기 미리 설정된 코딩 게임용 동작과 부합되지 아니하면, 상기 스마트폰(170)에서 패배 정보가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중앙 서버(150)는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코딩 게임용 동작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폰(170)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코딩 게임용 동작에 부합되는 코딩의 정답 정보를 송신해 둠으로써,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이 상기 코딩 로봇이 상기 미리 설정된 코딩 게임용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폰(170)이 상기 승리 정보 또는 상기 패배 정보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술된 상기 코딩 게임은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 코딩에 대한 상기 수행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다른 다양한 게임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게임 진행 단계(S112)에서 상기 수행자가 상기 코딩 게임에서 승리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스마트폰(170)이 판단하고(S113), 상기 게임 진행 단계(S112)에서 상기 스마트폰(170)을 이용한 상기 코딩 게임에서 승리한 상기 승리 정보가 형성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170)은 상기 승리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150)로 전송하고, 상기 승리 정보를 전달받은 상기 중앙 서버(150)가 상기 중앙 서버(150)에 저장되어 있던 상기 코인을 상기 스마트폰(170)으로 전송하는 코인 전송 단계(S114)가 수행된다.
상기 코인 전송 단계(S114)가 수행된 다음, 다시 상기 게임 진행 단계(S112)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게임 진행 단계(S112)에서 상기 스마트폰(170)을 이용한 상기 코딩 게임에서 패배한 상기 패배 정보가 형성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170)은 상기 패배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150)에 전송하고, 상기 패배 정보를 전달받은 상기 중앙 서버(150)가 상기 스마트폰(170)으로부터 상기 코인을 전송받는 코인 차감 단계(S115)가 수행된다.
상기 코인 차감 단계(S115)에서 상기 스마트폰(170)에 저장된 상기 코인이 소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116)하여, 상기 스마트폰(170)에 차감될 상기 코인이 충분한 경우, 상기 중앙 서버(150)가 상기 코딩 게임을 재진행시켜 상기 게임 진행 단계(S112)가 재진행된다.
상기 코인 차감 단계(S115)에서 상기 스마트폰(170)에 저장된 상기 코인이 소진되어 충분하지 아니한 것으로 상기 판단 단계(S116)에서 판단된 경우, 상기 게임 모드 실행 단계(S110)가 종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게임 모드 실행 단계(S110)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게임 모드 실행 단계(S110)에서 상기 코인이 모두 소진된 경우, 상기 중앙 서버(150)가 상기 스마트폰(170)으로 상기 코인을 충전하기 위한 코인 충전을 선택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코인 충전 선택 문의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스마트폰(170)이 상기 코인 충전 선택 문의 정보를 표시하는 코인 충전 선택 문의 단계(S130)가 수행된다.
상기 코인 충전 선택 문의 단계(S130)에서 상기 스마트폰(170)을 통해 상기 코인 충전이 선택된 경우, 상기 중앙 서버(150)가 상기 스마트폰(170)으로 광고 모드를 실행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광고 모드 실행 문의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스마트폰(170)이 상기 광고 모드 실행 문의 정보를 표시하는 광고 모드 실행 문의 단계(S131)가 수행된다.
반면, 상기 코인 충전 선택 문의 단계(S130)에서 상기 스마트폰(170)을 통해 상기 코인 충전이 선택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10)의 작동이 종료된다.
한편, 상기 광고 모드 실행 문의 단계(S131)에서 상기 광고 모드의 실행 선택 여부가 상기 스마트폰(170)에 의해 판단되는 광고 모드 실행 선택 판단 단계(S132)가 수행되고, 상기 광고 모드 실행 선택 판단 단계(S132)에서, 상기 광고 모드 실행 문의 단계(S131)에서 상기 스마트폰(170)을 통해 상기 광고 모드의 실행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중앙 서버(150)가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과 상기 스마트폰(170)을 이용하여 상기 광고 모드를 수행시키는 광고 모드 수행 단계(S140)가 수행된다.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광고 모드 수행 단계(S14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중앙 서버(150)가 미리 설정된 광고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170)으로 전달하여, 상기 스마트폰(170)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광고 정보에 대응되는 광고가 표시되는 광고 표시 단계(S141)가 수행된다.
그런 다음, 상기 광고 표시 단계(S141) 수행 중 미리 설정된 시점에 상기 중앙 서버(150)가 미리 설정된 광고 대응 코딩 로봇 동작 정보를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으로 전달하고,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은 상기 미리 설정된 광고 대응 코딩 로봇 동작 정보에 따라 상기 코딩 로봇이 상기 미리 설정된 광고 대응 코딩 로봇 동작 정보에 대응되는 광고 대응 코딩 로봇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광고 대응 코딩 로봇 동작 수행 단계(S142)가 수행된다.
그런 다음, 상기 광고 대응 코딩 로봇 동작 수행 단계(S142)에서 수행된 상기 광고 대응 코딩 로봇 동작을 상기 수행자가 흉내낸 수행자 광고 대응 흉내 동작 정보가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을 통해 상기 중앙 서버(150)로 전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광고 대응 흉내 동작 정보 전달 판단 단계(S143)가 수행된다.
상기 광고 대응 흉내 동작 정보 전달 판단 단계(S143)에서 상기 수행자 광고 대응 흉내 동작 정보가 전달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중앙 서버(150)가 상기 스마트폰(170)으로 상기 코인을 전달하는 코인 추가 단계(S144)가 수행된다.
반면, 상기 광고 대응 흉내 동작 정보 전달 판단 단계(S143)에서 상기 수행자 광고 대응 흉내 동작 정보가 전달되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광고 표시 단계(S141)가 재수행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광고 모드 수행 단계(S140)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고 모드 수행 단계(S140)에서 상기 광고 모드의 수행이 완료된 경우 또는 후술되는 미션 모드 수행 단계(S160)의 수행이 완료된 경우, 상기 중앙 서버(150)가 상기 스마트폰(170)으로 상기 코딩 게임 모드를 재선택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게임 모드 재선택 문의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스마트폰(170)이 상기 게임 모드 재선택 문의 정보를 표시하는 게임 모드 재선택 문의 단계(S135)가 수행된다.
상기 게임 모드 재선택 문의 단계(S135)에서 상기 스마트폰(170)을 통해 상기 코딩 게임 모드가 재선택된 경우, 상기 게임 모드 실행 단계(S110)가 다시 수행되어, 상기 중앙 서버(150)가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과 상기 스마트폰(170)을 이용하여 상기 코딩 게임 모드를 재수행시킨다.
반면, 상기 게임 모드 재선택 문의 단계(S135)에서 상기 스마트폰(170)을 통해 상기 코딩 게임 모드가 재선택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10)의 작동이 종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광고 모드 수행 단계(S140)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고 모드 실행 선택 판단 단계(S132)에서, 상기 스마트폰(170)을 통해 상기 광고 모드의 실행이 미선택된 경우, 상기 중앙 서버(150)가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과 상기 스마트폰(170)을 이용하여 미션 모드를 수행시키는 미션 모드 수행 단계(S160)가 수행된다.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미션 모드 수행 단계(S16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중앙 서버(150)가 미리 설정된 제 1 미션 동작 정보를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으로 전달하고,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은 상기 미리 설정된 제 1 미션 동작 정보에 따라 상기 코딩 로봇이 상기 미리 설정된 제 1 미션 동작 정보에 대응되는 제 1 미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 1 미션 동작 수행 단계(S161)가 수행된다.
그런 다음, 상기 제 1 미션 동작 수행 단계에서 수행된 상기 제 1 미션 동작을 상기 수행자가 흉내낸 수행자 제 1 미션 동작 대응 흉내 동작 정보가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을 통해 상기 중앙 서버(150)로 전달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미션 동작 대응 흉내 동작 정보 전달 판단 단계(S162)가 수행된다.
그런 다음, 상기 제 1 미션 동작 대응 흉내 동작 정보 전달 판단 단계(S162)에서 상기 수행자 제 1 미션 동작 대응 흉내 동작 정보가 전달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수행자가 추가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을 통해 인식된 추가 동작 정보가 상기 중앙 서버(150)로 전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추가 동작 인식 판단 단계(S163)가 수행된다.
반면, 상기 제 1 미션 동작 대응 흉내 동작 정보 전달 판단 단계(S162)에서 상기 수행자 제 1 미션 동작 대응 흉내 동작 정보가 전달되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 1 미션 동작 수행 단계(S161)가 재수행된다.
상기 추가 동작 인식 판단 단계(S163)에서 상기 추가 동작 정보가 전달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중앙 서버(150)가 상기 추가 동작 정보에 대응되는 코딩 로봇 반응 동작 정보를 형성하여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으로 전달하고,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이 상기 코딩 로봇 반응 동작 정보에 따라 상기 코딩 로봇이 상기 코딩 로봇 반응 동작 정보에 대응되는 코딩 로봇 반응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코딩 로봇 반응 동작 수행 단계(S164)가 수행된다.
반면, 상기 추가 동작 인식 판단 단계(S163)에서 상기 추가 동작 정보가 전달되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중앙 서버(150)가 상기 스마트폰(170)으로 하나의 상기 코인을 전달하는 코인 추가 단계(S167)가 수행된다.
상기 코딩 로봇 반응 동작 수행 단계(S164)가 수행된 다음, 상기 코딩 로봇 반응 동작 수행 단계(S164)에서 수행된 상기 코딩 로봇 반응 동작을 상기 수행자가 흉내낸 수행자 반응 동작 대응 흉내 동작 정보가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을 통해 상기 중앙 서버(150)로 전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행자 반응 동작 대응 흉내 동작 정보 전달 판단 단계(S165)가 수행된다.
그런 다음, 상기 수행자 반응 동작 대응 흉내 동작 정보 전달 판단 단계(S165)에서 상기 수행자 반응 동작 대응 흉내 동작 정보가 전달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중앙 서버(150)가 상기 스마트폰(170)으로 두 배의 상기 코인을 전달하는 코인 더블 추가 단계(S166)가 수행된다.
반면, 상기 수행자 반응 동작 대응 흉내 동작 정보 전달 판단 단계(S165)에서 상기 수행자 반응 동작 대응 흉내 동작 정보가 전달되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코인 추가 단계(S167)가 수행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미션 모드 수행 단계(S16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10)이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100)과, 상기 스마트폰(170)과, 상기 중앙 서버(150)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수행자에게 상기 코딩에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 및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코딩에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 :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
100 :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
150 : 중앙 서버
170 : 스마트폰
100 :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
150 : 중앙 서버
170 : 스마트폰
Claims (5)
- 컴퓨터 언어로 프로그래밍하는 코딩 작업에 의해 작동되는 코딩 로봇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에 대한 상기 코딩 로봇의 작동 명령 정보를 입력하거나, 상기 코딩 로봇의 작동에 대한 상황 정보가 표시되는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입력된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에 대한 상기 코딩 로봇의 작동 명령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으로 전달하고,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에서 전달되는 상기 코딩 로봇의 작동에 대한 상황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달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은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의 공기가 일정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동 안내부와,
상기 케이스부 내부의 상기 공기가 유동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상기 공기의 유동 속도를 가변시키는 유동 가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 안내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면에 장착되되 복수 개가 상기 케이스부의 길이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1 유동 안내체와,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제 1 유동 안내체가 형성된 면과 대면되도록 위치되고, 복수 개가 상기 케이스부의 길이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2 유동 안내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동 안내체는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면에서 일정 길이로 형성되되, 일정 곡률의 중심이 상기 케이스부의 중심 쪽으로 형성되는 제 1 유동 안내 몸체와,
상기 제 1 유동 안내 몸체의 내측면에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가 일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제 1 유동 안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유동 안내체는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면에서 일정 길이로 형성되되, 일정 곡률의 중심이 상기 케이스부의 중심 쪽으로 형성되는 제 2 유동 안내 몸체와,
상기 제 2 유동 안내 몸체의 내측면에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가 일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제 2 유동 안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각 제 1 유동 안내체 사이의 이격 거리와 상기 각 제 2 유동 안내체 사이의 이격 거리는 동일하되, 상기 케이스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 1 유동 안내체 중 최하단에 위치된 것까지의 거리에 비해 상기 케이스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 2 유동 안내체 중 최하단에 위치된 것까지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유동 가변 수단을 경유하면서 일정 속도를 가진 상기 케이스부 내부의 공기가 복수 개의 상기 제 1 유동 안내면과, 복수 개의 상기 제 2 유동 안내면을 번갈아가면서 유동되되, 상기 공기가 상기 케이스부의 하부에서 상기 케이스부의 상부로 나선 형태를 형성하며 점진적으로 상승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1276A KR102107846B1 (ko) | 2019-01-29 | 2019-01-29 |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 및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의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1276A KR102107846B1 (ko) | 2019-01-29 | 2019-01-29 |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 및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의 제어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07846B1 true KR102107846B1 (ko) | 2020-05-07 |
Family
ID=70733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11276A KR102107846B1 (ko) | 2019-01-29 | 2019-01-29 |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 및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의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784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6509B1 (ko) * | 2021-06-22 | 2021-11-17 | 경상남도 (교육청) | Ai 학습 기반의 터틀봇 구슬 치기 게임 장치를 이용한 구슬 치기 게임 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44113A (ko) * | 2004-11-11 | 2006-05-16 | 엔에이치엔(주) | 인터넷 게임 서비스 시스템, 인터넷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방법 실행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KR20130023554A (ko) * | 2011-08-29 | 2013-03-08 | 한창호 | 스마트폰에서 이용가능한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 |
JP2018093963A (ja) * | 2016-12-09 | 2018-06-21 |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ゲームシステム及びゲーム装置 |
KR20180124310A (ko) | 2017-05-11 | 2018-11-21 | 이중훈 | 모듈화된 인공지능형 코딩교육 로봇 시스템 |
KR20180128196A (ko) | 2017-05-23 | 2018-12-03 | 주식회사 큐브로이드 | 코딩 교육 로봇용 구동 프로그램을 코딩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
-
2019
- 2019-01-29 KR KR1020190011276A patent/KR10210784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44113A (ko) * | 2004-11-11 | 2006-05-16 | 엔에이치엔(주) | 인터넷 게임 서비스 시스템, 인터넷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방법 실행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KR20130023554A (ko) * | 2011-08-29 | 2013-03-08 | 한창호 | 스마트폰에서 이용가능한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 |
JP2018093963A (ja) * | 2016-12-09 | 2018-06-21 |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ゲームシステム及びゲーム装置 |
KR20180124310A (ko) | 2017-05-11 | 2018-11-21 | 이중훈 | 모듈화된 인공지능형 코딩교육 로봇 시스템 |
KR20180128196A (ko) | 2017-05-23 | 2018-12-03 | 주식회사 큐브로이드 | 코딩 교육 로봇용 구동 프로그램을 코딩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6509B1 (ko) * | 2021-06-22 | 2021-11-17 | 경상남도 (교육청) | Ai 학습 기반의 터틀봇 구슬 치기 게임 장치를 이용한 구슬 치기 게임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ccavale et al. | Kinesthetic teaching and attentional supervision of structured tasks in human–robot interaction | |
US11358285B2 (en) | Robot and method of recognizing mood using the same | |
WO2019113502A2 (en) | Adding deep learning based ai control | |
EP0978770B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bject by simulating emotions and a personality in the object | |
KR102225909B1 (ko) | 카메라 시야 확보를 위한 세척 기능을 구비하는 로봇 및 그의 제어 방법 | |
US11029803B2 (en) | Robot | |
US11440185B2 (en) | Multi-operation unit integration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autonomous learning type robot device | |
KR102220191B1 (ko) | 로봇 핸드 및 그 제어방법 | |
KR102107846B1 (ko) |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 및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코딩 게임 수행 시스템의 제어 방법 | |
US11458624B2 (en) | Control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robot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robot implementing the same | |
US11738465B2 (en) |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Akkaladevi et al. | Toward an interactive reinforcement based learning framework for human robot collaborative assembly processes | |
KR20210020312A (ko) | 로봇 및 그의 제어 방법 | |
KR20200093933A (ko) |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 및 상기 코딩 로봇 작동 제어 유닛의 제어 방법 | |
KR20200132654A (ko) | 로봇 및 그의 제어 방법 | |
CN115666871A (zh) | 分布式机器人演示学习 | |
Zolotas et al. | Motion polytopes in virtual reality for shared control in remote manipulation applications | |
Vats et al. | Synergistic scheduling of learning and allocation of tasks in human-robot teams | |
Kim et al. | Behavior selection and learning for synthetic character | |
JP2024035150A (ja) | エンティティ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Gomila et al. | Challenges for artificial cognitive systems | |
Michaud et al. | Representation of behavioral history for learning in nonstationary conditions | |
Swinson et al. | Expanding frontiers of humanoid robotics [Guest Editor's Introduction] | |
Virčíková et al. | Discovering art in robotic motion: from imitation to innovation via interactive evolution | |
Admoni et al. | Robot nonverbal communication as an AI problem (and solu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