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0907A - 사판식 컴프레서 - Google Patents

사판식 컴프레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0907A
KR20130020907A KR1020127033969A KR20127033969A KR20130020907A KR 20130020907 A KR20130020907 A KR 20130020907A KR 1020127033969 A KR1020127033969 A KR 1020127033969A KR 20127033969 A KR20127033969 A KR 20127033969A KR 20130020907 A KR20130020907 A KR 20130020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ash plate
spherical
shoe
piston
column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3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6330B1 (ko
Inventor
마사노리 아키즈키
마사하루 하타
사토시 노무라
Original Assignee
다이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0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04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 F04B27/0821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component parts, details, e.g. valves, sealings,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5/00Multi-stage pumps
    • F04B25/04Multi-stage pump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04B27/0878Pistons
    • F04B27/0886Piston sho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54Actu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0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adaptations of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4Pistons, piston-rods or piston-rod connections

Abstract

사판식 컴프레서(1)는 회전축(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사판(3)과, 이 사판(3)의 회전에 따라 진퇴 운동함과 아울러 반구 오목형상의 슬라이딩면(4a)이 형성된 피스톤(4)과, 상기 사판(3)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평탄형상의 단면부(12) 및 상기 피스톤(4)의 슬라이딩면(4a)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구면부(11)가 형성된 슈(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슈(5)에 있어서의 상기 구면부(11)와 단면부(12) 사이에 기둥형상부(13)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기둥형상부(13)와 구면부(11)와의 경계 부분에,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함과 아울러 상기 구면부를 구성하는 구면부측 플랜지(14)를 형성했다.  슈의 윤활을 양호하게 행함과 아울러 슬라이딩 부분으로의 이물의 침입을 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사판식 컴프레서{SWASH PLATE COMPRESSOR}
본 발명은 사판식 컴프레서에 관한 것으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사판(斜板)과, 이 사판의 회전에 따라 진퇴 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사판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단면부 및 상기 피스톤에 형성한 반구 오목형상의 슬라이딩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구면부가 형성된 슈를 구비한 사판식 컴프레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사판과, 이 사판의 회전에 따라 진퇴 운동함과 아울러 반구 오목형상의 슬라이딩면이 형성된 피스톤과, 상기 사판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평탄형상의 단면부 및 상기 피스톤의 슬라이딩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구면부가 형성된 슈를 구비한 사판식 컴프레서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2).
특허문헌 1의 사판식 컴프레서에서는 상기 피스톤의 슬라이딩면과 슈의 구면부의 윤활을 위해, 슈의 구면부에 있어서의 상기 슬라이딩면과 슬라이딩 접촉하지 않는 비슬라이딩 접촉 부분의 표면 거칠기를 거칠게 하여, 이 비슬라이딩 접촉 부분에서 윤활유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사판식 컴프레서에서는 슈를 중공형상으로 함으로써 슈를 경량화하고, 피스톤의 왕복 운동에 따른 슈로의 관성력을 저감시킴으로써 피스톤의 슬라이딩면과 슈의 구면부의 슬라이딩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일본 등록공보 제325977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069747호
그러나, 특허문헌 1, 2의 사판식 컴프레서의 경우, 피스톤의 왕복 운동시에 슈가 요동하여, 상기 피스톤의 슬라이딩면과 슈의 구면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은 미소하기 때문에 윤활유를 적극적으로 유입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는 않고, 또 윤활유 중에 이물이 부유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공간에 이물이 들어감으로써 피스톤이나 슈를 손상시킨다는 문제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상기 슈의 윤활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고, 또 윤활유 중의 이물이 슬라이딩 부분에 들어가기 어려운 사판식 컴프레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청구항 1에 따른 사판식 컴프레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사판과, 이 사판의 회전에 따라 진퇴 운동함과 아울러 반구 오목형상의 슬라이딩면이 형성된 피스톤과, 상기 사판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평탄형상의 단면부 및 상기 피스톤의 슬라이딩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구면부가 형성된 슈를 구비한 사판식 컴프레서에 있어서,
상기 슈에 있어서의 상기 구면부와 단면부 사이에 기둥형상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기둥형상부와 구면부와의 경계 부분에,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함과 아울러 상기 구면부를 구성하는 구면부측 플랜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구면부측 플랜지를 형성함으로써, 이 구면부측 플랜지와 기둥형상부와의 경계 부분에 형성되는 오목부에 윤활유를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오목부로부터 넘친 윤활유에 의해 구면부와 피스톤의 슬라이딩면을 양호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또 윤활유 중의 이물은 상기 오목부에 수용되면, 윤활유의 표면장력에 의해 상기 구면부측 플랜지를 넘을 수 없어, 이 이물이 구면부와 슬라이딩면 사이에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사판식 컴프레서의 단면도.
도 2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슈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슈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슈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슈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제5 실시예에 있어서의 슈의 확대 단면도.
이하 도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1은 사판식 컴프레서(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도시하지 않는 하우징에 축지지된 회전축(2)과, 이 회전축(2)에 부착된 사판(3)과, 하우징의 도시하지 않는 실린더 보어 내를 진퇴 운동하는 복수의 피스톤(4)과, 각 피스톤(4)의 내부에 마주보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사판(3)을 협지하는 복수의 슈(5)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사판(3)은 회전축(2)에 대하여 비스듬히 고정되어 있거나, 혹은 사판(3)의 경각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각 피스톤(4)마다 2개의 슈(5)에 의해 협지되어 있다. 그리고 사판(3)의 상기 슈(5)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부분에는 필요한 용사층, 도금층이나 수지 코팅 등의 코팅이 시행되어 있다.
또한, 본건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사판(3)의 구성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각종 사판(3)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4)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반구 오목형상의 슬라이딩면(4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슈(5)는 이 슬라이딩면(4a)에 대하여 요동하면서, 상기 사판(3)의 회전을 피스톤(4)의 진퇴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슈(5)는 철계, 구리계, 알루미늄계 재료 이외에 소결 재료나 수지 재료 등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SUJ2를 단조나 전조에 의해 제조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사판식 컴프레서(1)는 종래 공지이며,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II부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내고, 상기 슈(5)는 상기 피스톤(4)의 슬라이딩면(4a)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구면부(11)와, 사판(3)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단면부(12)와, 상기 구면부(11)와 단면부(12) 사이에 형성한 기둥형상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면부(11)에는 상기 기둥형상부(13)와의 경계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구면부측 플랜지(14)가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면부측 플랜지(14)는 상기 구면부(11)와 매끄럽게 접속됨과 아울러 동일한 곡률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구면부(11)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구면부측 플랜지(14)를 포함하는 구면부(11)에는 정부에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4)의 슬라이딩면(4a)과 접촉하지 않는 내측 릴리프부(11a)와, 이 내측 릴리프부(11a)를 둘러싸고 상기 슬라이딩면(4a)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도시 해칭으로 나타낸 슬라이딩 접촉부(11b)와, 이 슬라이딩 접촉부(11b)를 둘러쌈과 아울러 상기 구면부측 플랜지(14)의 외주에 위치하는 외측 릴리프부(11c)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내측 릴리프부(11a) 및 외측 릴리프부(11c)에 대해서는,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11b)보다 표면 거칠기를 거칠게 하여, 윤활유를 그 표면에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측 릴리프부(11a)의 중앙에는 평탄면(11d)이 형성되어 있고, 이 평탄면(11d)과 상기 피스톤(4)의 슬라이딩면(4a)에 의해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이 공간에 윤활유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면부측 플랜지(14)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슈(5)의 경사가 최대가 되었을 때에, 이 구면부측 플랜지(14)의 사판(3)측의 단부(A)가, 상기 피스톤(4)에 있어서의 사판에 가장 접근한 부분의 높이(B)보다 사판(3)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단면부(12)에 있어서의 상기 사판(3)과의 슬라이딩 접촉면은 도시하지 않지만 그 중앙이 약간 사판(3)측으로 팽출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단면부(12)와 사판(3) 사이에 윤활유가 끌려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또, 단면부(12)에 있어서의 상기 사판(3)과의 슬라이딩 접촉면에는 레이저 가공 등에 의해 미소 요철형상이 형성되어 있고, 사판(3)과의 슬라이딩 성능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이 미소 요철형상의 일례로서, 상기 단면부(12)의 표면에 레이저광에 의해 미소한 원을 그리고, 그 후 단면부(12)의 표면에 랩 가공 및 버프 가공을 행함으로써, 단면부(12)의 표면에 환형상의 미소 요철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환형상의 미소 요철형상을 단면부(12)의 표면 전역에 걸쳐 지그재그형상이나 가로세로 등간격으로 형성하면 된다. 또한, 이 미소 요철형상의 형상은 상기 환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세로선이나 가로세로의 격자형상선이나 동심원형상의 선 등, 다른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단면부(12)의 외주에는 사판(3)과 슬라이딩 접촉하지 않는 릴리프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기둥형상부(13)에 있어서의 구면부(11)와 단면부(12)와의 중간 부분에는, 그 외주면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팽출한 팽출부(13a)가 형성되어 있고, 이 팽출부(13a)는 상기 구면부측 플랜지(14)의 외경보다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기둥형상부(13)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구면부(11)에 있어서의 슬라이딩 접촉부(11b)보다 표면 거칠기가 거칠게 되어 있고, 상기 내측 릴리프부(11a) 및 외측 릴리프부(11c)와 마찬가지로 그 표면에서 윤활유를 유지하기 쉬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기둥형상부(13)와 상기 구면부측 플랜지(14)와의 경계 부분에는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오목부가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 오목부를 구면부측 플랜지(14)에 있어서의 외주 가장자리보다 상기 피스톤(4)측을 향하여 퇴몰(退沒)한 잘록한 부분(15)이 되도록 성형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기둥형상부(13)의 높이, 즉 상기 사판(3)과의 슬라이딩 접촉 부분으로부터 상기 구면부측 플랜지(14)의 기부까지의 높이는 상기 구면부(11)에 있어서의 구면부측 플랜지(14)의 사판측의 단부(A)로부터 이 구면부(11)의 정부까지의 높이에 대하여, 1:1보다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이하에 설명하는 슬라이딩면(4a)과 슈(5)와 사판(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s)에 많은 윤활유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사판식 컴프레서(1)에 의하면, 상기 사판(3)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슈(5)는 사판(3)의 각도에 따라 기울면서 피스톤(4)의 슬라이딩면(4a)을 따라 요동하고, 사판(3)의 회전을 피스톤(4)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슈(5)가 요동하여 플랜지(14)가 슬라이딩면(4a)에 접근하면, 도 2의 도시 하방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면(4a)과 슈(5)와 사판(3)에 의해 공간(s)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 공간(s)은 상기 슬라이딩면(4a)을 그대로 연장한 가상 구면(S)(도시 이점쇄선)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본 실시예의 슈(5)는 종래의 반구형상의 슈에 대하여 상기 공간(s)만큼 용적을 작게 할 수 있어, 종래의 슈(5)보다 경량화할 수 있다.
경량화에 의해, 피스톤(4)의 왕복 운동에 따른 부딪힘 하중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사판(3)의 코팅의 마모를 가급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슈(5)와 사판(3)과의 클리어런스 증대에 의한 슈(5)의 자세가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코팅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생략함으로써, 사판(3)의 비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국제공개공보 WO/2002/075172호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61801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사판(3)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슈(5)의 구면부(11)와 기둥형상부(13)와의 경계 부분에 형성한 상기 구면부측 플랜지(14)는 상기 부딪힘 하중에 의한 진동에 의해 그 기부가 탄성 변형하도록 되어 있고, 슈(5)가 피스톤(4)의 슬라이딩면(4a) 내에서 요동할 때에 슈(5)가 피스톤(4)으로 파고들어가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면부측 플랜지(14)에 있어서의 사판(3)측의 단부(A)가, 상기 피스톤(4)의 사판(3)으로부터의 높이(B)보다 사판(3)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설정함으로써, 미스트 상태가 된 윤활유는 구면부측 플랜지(14)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구면부(11)와 피스톤(4)의 슬라이딩부(4a)와의 슬라이딩 부분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사판식 컴프레서(1)의 내부를 유통하는 윤활유나 냉매의 움직임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도 2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4)이 도시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슈(5)가 도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최대 각도로 경사진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설명한다.
우선, 상기 기둥형상부(13)의 외주면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슬라이딩면(4a)이나 구면부(11)의 슬라이딩 접촉부(11b)보다 거칠게 성형되어 있는 점에서, 윤활유는 이 기둥형상부(13)의 표면에 모이려고 한다.
다음에 슈(5)가 도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슈(5)의 도시 상방측에 있어서는, 슈(5)의 회전에 의한 관성력과, 사판식 컴프레서(1) 내의 분위기에 의한 저항력에 의해, 상기 기둥형상부(13)의 외주면에 부착된 윤활유나 냉매는 도시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흐르려고 한다.
여기서, 상기 기둥형상부(13)에는 상기 팽출부(13a)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이 팽출부(13a)보다 상기 구면부(11)측에 위치하는 윤활유는 상기 관성력에 의해 구면부(11)측으로 보다 흐르기 쉽게 되어 있다.
그 결과, 윤활유는 상기 구면부측 플랜지(14)와 상기 기둥형상부(13)와의 경계 부분에 형성한 잘록한 부분(15)에 수용되지만, 그 후 이 윤활유는 잘록한 부분(15)으로부터 구면부(11)측에 넘치고, 구면부측 플랜지(14)를 타고 구면부(11)와 피스톤(4)의 슬라이딩면(4a) 사이에 유입되어, 이들을 윤활하게 된다.
한편, 윤활유 중의 이물은 윤활유와 함께 상기 잘록한 부분(15)에 수용되지만, 잘록한 부분(15)에 수용된 윤활유나 냉매의 표면장력에 의해, 상기 구면부측 플랜지(14)를 넘어 흐를 수 없어, 이 이물이 슈(5)와 피스톤(4) 사이에 들어가는 것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슈(5)의 도시 하방측에서는, 상기 슬라이딩면(4a), 기둥형상부(13), 구면부측 플랜지(14)에 의해 형성된 상기 공간(s)에 윤활유나 냉매가 유입하면, 상기 기둥형상부(13)의 표면 거칠기에 의해, 이 공간(s)에 유입한 윤활유는 이 기둥형상부(13)의 표면에 모이도록 되어 있다.
한편, 슈(5)는 도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점에서, 기둥형상부(13)의 외주면에 부착된 윤활유나 냉매는 슈(5)의 회전에 의한 관성력과, 사판식 컴프레서(1) 내의 분위기에 의한 저항력에 의해 도시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흐르고, 상기 공간(s)의 내부에는 윤활유나 냉매에 의한 도시 시계방향으로의 대류가 생기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형상부(13)에는 팽출부(13a)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이 팽출부(13a)보다 단면부(12)측에 위치하는 윤활유는 상기 관성력에 의해 기둥형상부(13)를 타고 상기 단면부(12)와 사판(3) 사이에 유입되어, 이들을 윤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잘록한 부분(15)에 수용된 윤활유 중의 이물은 표면장력에 의해 상기 팽출부(13a)를 넘을 수 없어, 이 이물이 슈(5)와 사판(3) 사이에 들어가는 것이 저지되게 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슈(5)에 기둥형상부(13)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공간(s)의 용적만큼 종래의 슈(5)보다 경량화할 수 있고, 부딪힘 하중에 의한 사판(3)의 마모나 슈(5) 클리어런스의 확대를 가급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기둥형상부(13)와 구면부측 플랜지(14)와의 경계 부분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또한 이 오목부를 상기 잘록한 부분(15)으로 함으로써, 보다 많은 윤활유를 수용함과 아울러, 보다 많은 이물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둥형상부(13)의 중간 부분에 상기 팽출부(13a)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잘록한 부분(15)에 보다 많은 윤활유나 냉매를 수용함과 아울러, 보다 많은 이물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제5 실시예의 슈(5)를 나타내고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당해 구성 요소에 붙인 것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나타내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슈(5)는 상기 기둥형상부(13)와 구면부(11)와의 경계 부분에 구면부측 플랜지(14)를 구비함과 아울러, 기둥형상부(13)와 단면부(12)와의 경계 부분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단면부측 플랜지(16)를 형성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 상기 기둥형상부(13)는 상기 구면부(13)와의 경계 부분의 직경이 상기 단면부(12)와의 경계 부분의 직경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구면부(11)로부터 단면부(12)를 향하여 소직경이 되는 테이퍼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피스톤(4), 사판(3), 슈(5)로 형성하는 공간(s)의 용적을 크게 하여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슈(5)에는 제1 실시예의 슈(5)와 같이 기둥형상부(13)와 구면부측 플랜지(14)와의 경계 부분에 상기 잘록한 부분(15)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또 기둥형상부(13)에는 상기 팽출부(13a)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구면부측 플랜지(14)는 반경방향 외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기둥형상부(13)와 구면부측 플랜지(14)와의 경계 부분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1 실시예의 잘록한 부분(15)만큼 윤활유 및 이물을 수용할 수는 없지만, 이 오목부에 윤활유 및 이물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슈(5)의 경우, 상기 단면부측 플랜지(16)와 기둥형상부(13)와의 경계 부분에도 오목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 오목부에 윤활유 및 이물을 수용할 수 있어, 단면부측 플랜지(16)를 넘어 윤활유를 단면부(12)와 사판(3) 사이에 유입시킴과 아울러, 단면부(12)와 사판(3) 사이에 이물이 들어가는 것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면부측 플랜지(14)와 기둥형상부(13)와의 경계 부분에 형성한 오목부 및 단면부측 플랜지(16)와 기둥형상부(13)와의 경계 부분에 형성한 오목부에 대해서는, 그 성형(R)을 변경해도 되고, 예를 들면 성형(R)을 작게 함으로써, 보다 많은 윤활유 및 이물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에 나타내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슈(5)는 상기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슈(5)의 구성 요소를 조합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슈(5)에 있어서, 상기 구면부측 플랜지(14)와 기둥형상부(13)와의 경계 부분에,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슈(5)의 잘록한 부분(15)을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3 실시예의 슈(5)에 의하면, 상기 제2 실시예의 슈(5)에 대하여, 상기 잘록한 부분(15)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많은 윤활유 및 이물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슈(5)는 상기 제3 실시예의 슈(5)에 대하여 단면부측 플랜지(16)를 보다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시킨 구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4 실시예의 슈(5)에 의하면, 상기 제3 실시예의 슈(5)보다 기둥형상부(13)와 단면부측 플랜지(16)와의 경계 부분에 형성한 오목부에 보다 많은 윤활유 및 이물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물에 의한 단면부(12)와 사판(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슈(5)는 제3 실시예의 슈(5)에 대하여 사판(3)측 플랜지를 생략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5 실시예의 슈(5)에 의하면, 상기 제3 실시예의 슈(5)보다 상기 공간(s)의 용적을 크게 할 수 있고, 슈(5)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제5 실시예는 일례이며, 상기 실시예를 적당히 조합한 슈(5)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5 실시예에 있어서의 슈(5)의 기둥형상부(13)에 제1 실시예의 팽출부(13a)를 형성해도 된다.
1…사판식 컴프레서
3…사판
4…피스톤
4a…슬라이딩면
5…슈
11…구면부
12…단면부
13…기둥형상부
14…구면부측 플랜지
15…잘록한 부분
16…단면부측 플랜지

Claims (8)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사판과, 이 사판의 회전에 따라 진퇴 운동함과 아울러 반구 오목형상의 슬라이딩면이 형성된 피스톤과, 상기 사판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평탄형상의 단면부 및 상기 피스톤의 슬라이딩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구면부가 형성된 슈를 구비한 사판식 컴프레서에 있어서,
    상기 슈에 있어서의 상기 구면부와 단면부 사이에 기둥형상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기둥형상부와 구면부와의 경계 부분에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함과 아울러 상기 구면부를 구성하는 구면부측 플랜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컴프레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부와 기둥형상부와의 경계 부분에,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함과 아울러 상기 사판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단면부측 플랜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컴프레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부측 플랜지와 기둥형상부와의 경계 부분에, 상기 피스톤측을 향하여 퇴몰하는 잘록한 부분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컴프레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형상부의 외주면은 구면부와 단면부의 중간 부분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팽출한 팽출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컴프레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형상부에 있어서의 상기 구면부와의 경계 부분의 직경을 상기 단면부와의 경계 부분의 직경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컴프레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형상부의 표면 거칠기를 상기 구면부 및 단면부의 표면 거칠기보다 거칠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컴프레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슈의 경사가 중심축에 대하여 최대가 되었을 때에, 상기 구면부측 플랜지에 있어서의 사판측의 단부가, 상기 피스톤에 있어서의 사판에 가장 접근한 부분의 높이보다 사판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컴프레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부에 있어서의 사판과의 슬라이딩 접촉면에 미소 요철형상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컴프레서.
KR1020127033969A 2010-07-28 2011-03-22 사판식 컴프레서 KR1014363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68799 2010-07-28
JP2010168799A JP5594466B2 (ja) 2010-07-28 2010-07-28 斜板式コンプレッサ
PCT/JP2011/056730 WO2012014523A1 (ja) 2010-07-28 2011-03-22 斜板式コンプレッ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907A true KR20130020907A (ko) 2013-03-04
KR101436330B1 KR101436330B1 (ko) 2014-09-01

Family

ID=45529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3969A KR101436330B1 (ko) 2010-07-28 2011-03-22 사판식 컴프레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81936B2 (ko)
EP (1) EP2581602B1 (ko)
JP (1) JP5594466B2 (ko)
KR (1) KR101436330B1 (ko)
CN (1) CN103026065B (ko)
BR (1) BR112012033325A2 (ko)
WO (1) WO20120145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021B1 (ko) 2012-12-14 2014-07-17 희성정밀 주식회사 압축기용 슈 및 그 제조 방법
CN104595141B (zh) * 2015-01-10 2016-06-08 浙江大学 自定心抗倾覆分体式回程盘
JP6622533B2 (ja) * 2015-09-16 2019-12-18 Kyb株式会社 液圧回転機
WO2017094810A1 (ja) * 2015-12-02 2017-06-08 大豊工業株式会社 摺動部材および斜板式コンプレッサ
JP6468991B2 (ja) * 2015-12-02 2019-02-13 大豊工業株式会社 摺動部材および斜板式コンプレッサ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27652A1 (de) * 1985-08-16 1987-03-05 Toyoda Automatic Loom Works Gleitschuh fuer einen taumelscheibenkompressor
JPH03259777A (ja) 1990-03-08 1991-11-19 Komatsu Ltd 地中レーダの情報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3503154B2 (ja) * 1993-10-01 2004-03-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斜板式圧縮機
JPH1122640A (ja) * 1997-07-08 1999-01-26 Riken Corp 斜板式圧縮機用シュー
JPH11218077A (ja) * 1998-01-30 1999-08-10 Muro Corp 斜板式コンプレッサー用シュ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3259777B2 (ja) 1999-11-26 2002-02-25 大豊工業株式会社 半球状シュー
EP1281881B1 (en) 2001-03-16 2019-10-30 Taiho Kogyo Co., Ltd Sliding material
JP2004084574A (ja) * 2002-08-27 2004-03-18 Taiho Kogyo Co Ltd スリッパー
JP4817039B2 (ja) 2004-11-11 2011-11-16 大豊工業株式会社 摺動装置
JP3925730B2 (ja) * 2004-12-28 2007-06-06 大豊工業株式会社 シュー
US7704337B2 (en) * 2005-01-17 2010-04-27 Taiho Kogyo Co., Ltd. Method for making a slide member
JP2007278149A (ja) * 2006-04-05 2007-10-25 Calsonic Kansei Corp 斜板式圧縮機のピストンシューおよび斜板式圧縮機
CN2924064Y (zh) * 2006-04-30 2007-07-18 上海三电贝洱汽车空调有限公司 一种旋转斜盘式压缩机的滑履
CN2898357Y (zh) * 2006-04-30 2007-05-09 上海三电贝洱汽车空调有限公司 一种旋转斜盘式压缩机的滑履
US7313997B2 (en) * 2006-05-26 2008-01-0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Copper alloy piston shoe
JP2008069747A (ja) 2006-09-15 2008-03-27 Toyota Industries Corp 圧縮機用シュ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5229576B2 (ja) * 2009-01-30 2013-07-03 大豊工業株式会社 斜板式コンプレッ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84195A1 (en) 2013-04-04
EP2581602A4 (en) 2018-01-17
EP2581602B1 (en) 2019-04-24
CN103026065A (zh) 2013-04-03
JP2012026414A (ja) 2012-02-09
US9181936B2 (en) 2015-11-10
BR112012033325A2 (pt) 2016-11-22
WO2012014523A1 (ja) 2012-02-02
KR101436330B1 (ko) 2014-09-01
CN103026065B (zh) 2015-12-16
JP5594466B2 (ja) 2014-09-24
EP2581602A1 (en) 201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0907A (ko) 사판식 컴프레서
CN101675258B (zh) 轴承
CN105114287A (zh) 往复式压缩机及其活塞连杆机构
KR20140045318A (ko) 왕복 냉동 압축기용 베어링 장치
KR101501277B1 (ko) 슬라이딩 부재
JP2009257230A (ja) シュー
WO2014196282A1 (ja) 内燃機関用ピストンおよびそのピン穴の加工方法
EP2985463B1 (en) Hemispherical shoe for swash plate compressor, and swash plate compressor
EP2290239B1 (en) Shoe
KR101185812B1 (ko) 사판식 컴프레서
JP4421456B2 (ja) ころ軸受
CN219932391U (zh) 往复式压缩机和制冷设备
US11022134B2 (en) Oil pump of vehicle having inner ring
JP2018059412A (ja) コンプレッサ用斜板
CN108071684B (zh) 角接触球轴承保持架
CN117469129A (zh) 往复式压缩机和制冷设备
JP5771266B2 (ja) シュー
JP2010043586A (ja) シュー
JP2018059414A (ja) コンプレッサ用斜板
JP2009257202A (ja) シュ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