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0163A -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 - Google Patents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0163A
KR20130020163A KR1020110082608A KR20110082608A KR20130020163A KR 20130020163 A KR20130020163 A KR 20130020163A KR 1020110082608 A KR1020110082608 A KR 1020110082608A KR 20110082608 A KR20110082608 A KR 20110082608A KR 20130020163 A KR20130020163 A KR 20130020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raw material
container
injection
powder 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5559B1 (ko
Inventor
유상오
정석우
이승종
윤용승
Original Assignee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filed Critical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to KR1020110082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559B1/ko
Publication of KR20130020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50Pneuma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58Devices for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flow of the materials; Use of pressure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41Air pressur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로서, 분체원료를 고압반응기에 고압으로 공급하기 위한 주입용기와, 상기 주입용기내의 분체원료가 일정량 기류수송되면 상기 주입용기에 분체원료를 재충진하는 충진용기와, 상기 주입용기와 충진용기에 각각 기류수송가스를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기류수송가스 공급장치와, 상기 주입용기와 충진용기의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는 제 1 및 제 2 로드셀과, 상기 주입용기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압력유지수단과, 상기 주입용기 내부의 분체원료를 상기 주입용기와 고압반응기 사이의 차압에 의해 상기 고압반응기로 정량 이송하도록 상기 주입용기에 연결된 분체원료 기류수송수단과, 상기 주입용기와 충진용기내의 분체원료의 브리징 현상 방지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의 경우, 주입용기와 고압반응기사이의 차압을 측정하고 설정된 차압 기준으로 주입용기에 유입되는 기류수송가스의 일부를 통기 압력조절밸브로 통기시켜, 분체원료의 안정적 정량공급하고, 분체원료의 재충진의 경우, 충진용기와 주입용기사이의 차압을 측정하고 분체원료의 기류수송에 적절한 차압을 유지하도록 기류수송가스의 양을 조절하여 주입용기와 고압반응기의 차압도 일정 유지시켜 안정적인 분체원료 재충진 공급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Apparatus for pneumatically transporting powdered coal to a high pressure}
본 발명은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압 조건에서 미분탄 등의 분체원료를 기류수송 방식에 의해 반응기에 공급하기 위하여, 고압으로 운전되는 반응기와 분체원료 주입용기 사이의 차압을 통기 압력조절밸브를 이용하여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소량의 이송가스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분체원료를 정량공급할 수 있는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체를 수송하기 위한 종래의 고압 분체원료 공급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류피더를 이용하여 분체원료를 정량적으로 공급하면서 이송가스를 이용하여 반응기에 공급하는 방식과, 도 2에 나타내었듯이 주입용기 내부에 충진된 분체원료를 기류수송 가스를 공급하여 반응기로 이송하면서 공급라인에 미세조성 가스를 공급하여 공급되는 분체원료의 양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2가지 방식의 종래기술을 보다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도 1에 나타낸 기존 고압 분체원료 공급장치(10)의 경우, 미분탄 주입용기(12)에 채워진 분체원료를 구동모터(13)에 의해 작동되는 스크류피더(14)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공급하고, 공급되는 분체원료를 이송가스(carrier gas)를 이용하여 미분탄 이송 배관(16)을 통해 미분탄 공급호퍼(18)로 기류수송을 하게 되며, 정상운전 중 미분탄 공급호퍼(18)내의 미분탄(15)은 하부에 설치된 미분탄 분사 스크류(20) 회전을 통해 가스화기(22) 상부로 공급된다.
도 2에 나타낸 기존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40)의 경우 주입용기(42)에 채워진 분체원료를 기류수송 가스(44)를 공급하면서 공급밸브(46)를 통하여 반응기(50)에 공급하는데, 이때 공급되는 분체원료의 양을 정량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분체원료 이송라인(52)에 미세조정 가스(48)를 공급한다.
그리고, 공급되는 미세조정 가스(48)의 양에 따라 주입용기(42)에서 이송되는 분체원료의 양이 변화하게 되는데, 미세조정 가스(48)를 많이 공급하면 분체원료 이송라인(52)에 저항이 커지면서 분체원료의 공급량이 감소하고, 미세조정 가스(48)를 적게 공급하면 분체원료의 공급량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주입용기(42) 내부의 분체원료가 일정량 사용되면 충진용기(60)에 기류수송가스(62)를 공급하면서 재충진 밸브(64)를 열어 상부 밸브(68)를 통해 충진용기(60) 내부로 공급된 분체원료를 재충진라인(66)을 통해 주입용기(42)에 재충진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종래 기술의 경우, 스크류피더를 이용하는 기계적인 방식을 적용하고 있으므로 분체원료를 하루 30톤 이상과 같이 대용량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장비의 크기가 매우 커지게 되어 부적합하고, 고압으로 운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계속해서 회전이 이루어지는 스크류피더의 밀봉(sealing) 부분을 통해 누설(leak)이 발생될 확률이 커지며 기계적 고장의 가능성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주입용기에서 공급되는 분체원료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미세조정 가스를 사용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는데, 실제로 운전함에 있어서 공급되는 미세조정 가스가 저항으로 작용하여 분체원료 이송라인에서의 정체가 일어나면서 막힘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주입용기 내부의 압력을 적절하게 조절하지 못할 경우 반응기와 주입용기 사이의 차압이 커지면서 다량의 분체원료가 기류수송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 제10-0592164호(분체 기류 수송량 제어장치)는 본체원료의 이송라인에 공급량 미세조정을 위하여 가스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조절방법과 방식이 다름. 한국특허 제10-0804948호(미분탄 수송시 고체/기체비 증대방법 및 수송성 평가방법)는 미분탄의 이송 시 보조공기의 유량조절을 통하여 고체/기체비를 증대시키는 방법과 미분탄의 유동성 지수 산출을 통하여 수송성 평가방법을 제시하는 내용으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장치와 관련이 없음. 미국특허 제04209304호(Coal gasification-method of feeding dry coal)는 미분탄이 이송가스에 통해 미분탄 공급호퍼에 충진되며 스크류에 의해 고압 리액터로 미분탄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장치와 관련이 없음.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고압조건에서 미분탄 등의 분체원료를 기류수송 방식에 의해 반응기에 공급하기 위하여, 고압으로 운전되는 반응기와 분체원료 주입용기 사이의 차압을 배출용 압력조절 밸브를 이용하여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소량의 이송가스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분체원료를 정량공급할 수 있는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는 분체원료를 고압반응기에 고압으로 공급하기 위한 주입용기와, 상기 주입용기내의 분체원료가 일정량 기류수송되면 상기 주입용기에 분체원료를 재충진하는 충진용기와, 상기 주입용기와 충진용기에 각각 기류수송가스를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기류수송가스 공급장치와, 상기 주입용기와 충진용기의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는 제 1 및 제 2 로드셀과, 상기 주입용기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압력 유지수단과, 상기 주입용기 내부의 분체원료를 상기 주입용기와 고압반응기 사이의 차압에 의해 상기 고압반응기로 정량 이송하도록 상기 주입용기에 연결된 분체원료 기류수송수단과, 상기 주입용기와 충진용기내의 분체원료의 브리징 현상 방지수단을 포함한다.
압력유지수단은 주입용기와 고압반응기 사이의 차압 측정을 위한 차압측정장치와, 주입용기와 고압반응기의 차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통기 압력조절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기류수송수단은 주입용기와 고압반응기 사이에 연결된 분체원료 공급라인과, 상기 이송라인에 설치된 공급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분체원료 공급라인의 끝단이 상기 주입용기의 내부에 설치되고, 차압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된 차압이 설정압력 이상 시 상기 공급밸브가 개방되어 분체원료의 기류수송을 시작할 수 있다.
이때, 기류수송되는 분체원료의 양은 제 1 및 제 2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무게 감량분과, 상기 공급라인의 크기와, 측정된 차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브리징 현상 방지수단은 주입용기와 충진용기의 내벽에 각각 설치된 블로우 다공관과, 상기 주입용기와 충진용기에 각각 블로우 가스를 공급하는 블로우가스 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주입용기 내부의 분체원료가 일정량 기류수송되면 충진용기로부터 재충진이 이루어지며, 주입용기와 동일한 형상의 충진용기의 내부에 제 2 기류수송장치로부터 기류수송가스가 공급되면서 일정압력 이상으로 가압될 수 있다.
충진용기에는 통기 압력조절밸브가 부착되어, 제 2 로드셀에 의해 상기 분체원료의 재충진이 확인되면, 통기 압력조절밸브가 폐쇄되어 충진용기내의 압력을 다시 상압으로 만들고, 분체원료 충진라인을 통해 분체원료를 충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 장치의 경우, 동일한 분체원료 공급라인의 크기에서는 주입용기와 반응기의 차압에 의하여 분체원료 공급량이 결정됨에 따라, 주입용기와 고압 반응기 사이의 차압을 차압측정기로 계속 측정하면서 통기 압력조절 밸브를 이용하여 설정된 차압 기준으로 주입용기에 유입되는 기류수송 가스의 일부를 통기시킴으로써 주입용기의 압력이 상승하지 않고 설정값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어 분체원료의 안정적인 정량공급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충진용기에서 주입용기로 분체원료를 재충진 할 경우에도, 충진용기와 주입용기 사이의 차압을 측정하면서 분체원료의 기류수송을 위하여 필요한 적절 차압, 예컨대 0.6기압 이상으로 차압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류수송 가스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안정적인 분체원료 재충진이 가능하며, 분체원료 재충진 시 충진용기로부터 분체원료와 함께 주입용기로 유입되는 기류수송 가스는 주입용기의 통기 압력조절 밸브에 자동제어에 의해 조절됨으로써, 주입용기와 고압 반응기의 차압도 일정하게 유지되어 분체원료 재충진 시에도 안정적인 분체원료 공급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고압 분체원료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분체원료 기류수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100)는 분체원료를 고압반응기(102)에 고압으로 공급하기 위한 주입용기(110)와, 상기 주입용기(110)내의 분체원료가 일정량 기류수송되면 상기 주입용기(110)에 분체원료를 재충진하는 충진용기(120)와, 상기 주입용기(110)와 충진용기(120)에 각각 기류수송가스를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기류수송가스 공급장치(112)(122)와, 상기 주입용기(110)와 충진용기(120)의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는 제 1 및 제 2 로드셀(114)(124)과, 상기 주입용기(110)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압력 유지수단과, 상기 주입용기(110) 내부의 분체원료를 상기 주입용기(110)와 고압반응기(102) 사이의 차압에 의해 상기 고압반응기(102)로 정량 이송하도록 상기 주입용기(110)에 연결된 분체원료 기류수송수단과, 상기 주입용기(110)와 충진용기(120)내의 분체원료의 브리징 현상 방지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는 압력유지수단으로서, 주입용기(110)와 고압반응기(102) 사이의 차압 측정을 위한 차압측정장치(130)와, 주입용기(110)와 고압반응기(102)의 차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통기 압력조절밸브(140)로 구성되며, 통기 압력조절밸브(140)는 고압반응기(102)와 압력 변동에 따라 작동한다.
즉 주입용기(110)와 고압반응기(102)사이의 차압을 차압측정장치(130)가 측정하게 되면, 통기 압력조절밸브(140)는 그 측정값에 따라 개폐량이 제어된다. 즉 차압이 설정값 이상으로 증가할 경우에는 더 많은 기류수송가스를 통기하고, 차압이 설정값 보다 감소할 경우에는 통기 압력조절밸브(140)를 닫으면서 기류수송가스의 통기량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분체원료 기류수송수단은 주입용기(110)와 고압반응기(102) 사이에 연결된 분체원료 공급라인(104)과, 상기 분체원료 공급라인(104)에 설치된 공급밸브(150)를 포함하며, 이때, 분체원료 공급라인(104)의 끝단이 주입용기(1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차압측정장치(130)에 의해 측정된 주입용기(110)와 고압반응기(102) 사이의 차압이 설정압력, 바람직하게는 0.6-5기압 이상이 되면, 공급밸브(150)가 개방되어 분체원료의 기류수송을 시작한다.
이때 기류수송되는 분체원료의 양은 제 1 및 제 2 로드셀(114)(124)에 의해 측정된 무게 감량분과, 분체원료 공급라인(104)의 크기와, 차압측정장치(130)에 의해 측정된 주입용기(110)와 고압반응기(102) 사이의 차압에 의해 결정된다.
가압상태에서는 주입용기(110)와 충진용기(120)의 내벽에 브리징 현상이 발생되는 바, 본 발명은 이러한 브리징 현상을 방지하고자, 주입용기(110)와 충진용기(120)의 내벽에 각각 블로우 다공관(116)(126)을 설치하고, 주입용기(110)와 충진용기(120)의 각각의 블로우 다공관(116)(126)에 각각 블로우가스를 공급하는 블로우가스 공급장치(118)(128)를 통해 주입용기(110)와 충진용기(120)에 각각 블로우가스를 공급한다.
주입용기(110) 내부의 분체원료가 일정량 기류수송되면, 충진용기(120)로부터 재충진라인(106)을 통해 재충진이 이루어진다. 재충진라인(106)에는 재충진밸브(170)가 부착되며, 재충진되는 분체원료의 양을 제어한다. 충진용기(120)는 주입용기(110)와 동일한 형상으로, 충진용기(120)의 내부에 제 2 기류수송장치(122)로부터 기류수송가스가 공급되면서 주입용기보다 0.6기압 이상 높은 압력으로 가압된다.
또한 충진용기(120)에도 통기 압력조절밸브(160)가 부착된다. 제 2 로드셀(122)에 의해 분체원료의 재충진이 확인되면, 통기 압력조절밸브(160)가 폐쇄되어 충진용기(120)내의 압력을 다시 상압으로 만들고, 분체원료 충진라인(162)을 통해 분체원료를 충진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입용기(110)에 분체원료를 채우고 제 1 기류수송장치(112)를 통해 기류수송 가스를 주입용기(110)의 하부에서 공급하면, 주입용기(110)의 압력이 상승하기 시작하는데, 차압측정기(130)를 통하여 측정되는 고압반응기(102)와의 차압이 설정압력인 0.6-5기압 이상이 되면, 공급밸브(150)를 열어서 분체원료 공급라인(104)을 통해 분체원료 기류수송을 시작한다. 분체원료가 분체원료 공급라인(104)으로 유입되는 끝단은 주입용기(110) 내부에 설치한다.
이때, 가압 상태에서 분체원료의 공급이 시작되면, 블로우가스 공급장치(118)(128)을 통해 주입용기(110)와 충진용기(120) 내벽에 각각 설치된 블로우 다공판(116)(126)에 질소 가스를 유입시켜서, 주입용기(110)와 충진용기(120) 내부의 분체원료가 브리징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기류수송되는 분체원료의 양은 주입용기(110)와 충진용기(120) 외부에 설치된 3점식 로드셀(114)(124)을 이용하여 무게 감량분을 측정함으로써 계산한다.
한편 주입용기(110)에서 기류수송되는 분체원료의 양은 분체원료 공급라인(104)의 크기 및 차압측정장치(130)에 의해 측정된 주입용기(110)와 고압반응기(102) 사이의 차압값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일정한 크기의 분체원료 공급라인(104)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체원료를 기류수송하기 위해서는 주입용기(110)와 고압반응기(102)의 차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를 위하여 제 1 기류수송가스 공급장치(112)를 통해 주입용기(110)에 유입되는 기류수송가스를 주입용기(110) 상부에 설치된 통기 압력조절밸브(140)를 통해 통기시켜켜서, 주입용기(110)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즉 고압반응기(102)의 압력변동에 따라 차압측정장치(130)를 통하여 측정되는 차압값이 설정값 이상으로 증가할 경우에는 통기 압력조절밸브(140)는 더 많은 기류수송 가스를 통기하도록 개방되고, 차압이 감소할 경우에는 닫히면서 기류수송가스의 통기량을 제어한다.
이어서, 주입용기(110) 내부에 분체원료가 일정량 기류수송되면, 충진용기(120)로부터 재충진이 이루어지는데, 충진용기(120) 역시 주입용기(11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에 분체원료를 충진한 후에는 제 2 기류수송가스 공급장치(122)를 통해 기류수송가스를 공급하면서 주입용기(110) 보다 0.6기압 이상 높은 압력으로 가압하고, 재충진밸브(170)를 열면 충진용기(120) 내부의 분체원료가 재충진라인(106)을 통해 주입용기(110)로 공급된다.
이때 재충진되는 분체원료와 함께 공급되는 가스는 주입용기(110)의 통기 압력조절밸브(140)가 더 많이 열리면서 외부로 배출하게 되어 주입용기(110)와 고압반응기(102) 사이의 차압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충진용기(120)에 설치된 로드셀(124)의 측정값에 의하여 주입용기(110)로의 분체원료의 재충진 완료가 확인되면, 재충진밸브(170)가 닫히고 통기 압력조절밸브(160)가 열리면서 충진용기(120)의 압력을 다시 상압으로 만들게 된다. 그리고, 분체원료 재충진 시 분체원료 충진라인(162)을 통해 충진용기(120)에 분체가 채워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는 고압 조건에서 미분탄 등의 분체원료를 기류수송 방식에 의해 반응기에 공급하기 위한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로서, 주입용기(110)와 충진용기(120)의 2개의 호퍼로 구성된 장치에서 주입용기(110)에 기류수송가스를 공급하면서 주입용기(110) 상부에 설치된 통기 압력조절밸브(140)를 통하여 주입용기(110)와 고압반응기(102) 사이에 적절한 차압 유지를 통하여 주입용기(110) 내부의 분체원료가 정량적으로 고압반응기(102)에 공급되도록 하며, 또한 주입용기(110) 내부에 충진된 분체원료가 일정량 공급된 후에는 가압용기(110)에 분체원료를 충진하고 가압한 후 동일한 기류수송 방식에 의해 주입용기(110)로 재충진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므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2 : 고압반응기 104 : 분체원료 공급라인
106 : 재충진라인 110 : 주입용기
112, 122 : 기류수송가스 공급장치 114, 124 : 로드셀
116, 126 : 블로우 다공관 118, 128 : 블로우가스 공급장치
120 : 충진용기 130 : 압력측정장치
140, 160 : 통기 압력조절밸브 150 ; 공급밸브
162 : 분체원료 충진라인 170 : 재충진밸브

Claims (7)

  1.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로서,
    분체원료를 고압반응기에 고압으로 공급하기 위한 주입용기와,
    상기 주입용기내의 분체원료가 일정량 기류수송되면 상기 주입용기에 분체원료를 재충진하는 충진용기와,
    상기 주입용기와 충진용기에 각각 기류수송가스를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기류수송가스 공급장치와,
    상기 주입용기와 충진용기의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는 제 1 및 제 2 로드셀과,
    상기 주입용기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압력유지수단과,
    상기 주입용기 내부의 분체원료를 상기 주입용기와 고압반응기 사이의 차압에 의해 상기 고압반응기로 정량 이송하도록 상기 주입용기에 연결된 분체원료 기류수송수단과,
    상기 주입용기와 충진용기내의 분체원료의 브리징 현상 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유지수단은
    상기 주입용기와 고압반응기 사이의 차압 측정을 위한 차압측정장치와, 상기 주입용기와 고압반응기의 차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통기 압력조절밸브로 구성되는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수송수단은 상기 주입용기와 고압반응기 사이에 연결된 분체원료 공급라인과, 상기 이송라인에 설치된 공급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공급라인의 끝단이 상기 주입용기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압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된 차압에 의해 설정압력 이상 시 상기 공급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분체원료의 기류수송을 시작하는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수송되는 분체원료의 양은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무게 감량분과, 상기 공급라인의 크기와, 상기 측정된 차압에 의해 결정되는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징 현상 방지수단은 상기 주입용기와 충진용기의 내벽에 각각 설치된 블로우 다공관과, 상기 주입용기와 충진용기에 각각 블로우 가스를 공급하는 블로우가스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용기 내부의 분체원료가 일정량 기류수송되면 상기 충진용기로부터 재충진이 이루어지며, 상기 주입용기와 동일한 형상의 상기 충진용기의 내부에 제 2 기류수송장치로부터 기류수송가스가 공급되면서 주입용기보다 0.6기압 이상으로 가압되는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용기에는 통기 압력조절밸브가 부착되어, 상기 제 2 로드셀에 의해 상기 분체원료의 재충진이 확인되면, 상기 통기 압력조절밸브가 폐쇄되어 상기 충진용기내의 압력을 다시 상압으로 만들고, 분체 충진라인을 통해 분체원료를 충진하는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
KR1020110082608A 2011-08-19 2011-08-19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 KR101355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608A KR101355559B1 (ko) 2011-08-19 2011-08-19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608A KR101355559B1 (ko) 2011-08-19 2011-08-19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163A true KR20130020163A (ko) 2013-02-27
KR101355559B1 KR101355559B1 (ko) 2014-02-05

Family

ID=47898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608A KR101355559B1 (ko) 2011-08-19 2011-08-19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5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250B1 (ko) * 2013-05-22 2015-06-22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이성분체 혼합 및 기류수송 장치 및 방법
KR20150131514A (ko) * 2014-05-15 2015-11-25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기류수송 방식의 미분탄 가스화 시스템의 차압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미분탄 가스화 시스템과 미분탄 가스화 방법
KR101590135B1 (ko) * 2014-12-30 2016-01-28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분체시료의 고압 공급장치 및 고압 공급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22U (ja) * 1991-06-25 1993-01-14 横河電機株式会社 粉体吹込み制御装置
JPH07125792A (ja) * 1993-10-22 1995-05-16 Tokai Paudetsukusu:Kk 粉粒体の貯蔵装置
JP3586219B2 (ja) * 2001-05-23 2004-11-10 株式会社日本製鋼所 高圧容器への粉体材料の供給方法及び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250B1 (ko) * 2013-05-22 2015-06-22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이성분체 혼합 및 기류수송 장치 및 방법
KR20150131514A (ko) * 2014-05-15 2015-11-25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기류수송 방식의 미분탄 가스화 시스템의 차압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미분탄 가스화 시스템과 미분탄 가스화 방법
KR101590135B1 (ko) * 2014-12-30 2016-01-28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분체시료의 고압 공급장치 및 고압 공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5559B1 (ko)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0951B2 (ja) 流れの悪いバルク材の空気輸送方法および装置
RU2539406C2 (ru) Дозатор, установк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плотного потока и способ подачи пылевидного насыпного материала
JP2005509151A (ja) ばら積材料を重量配分する方法と装置
KR101355559B1 (ko) 고압 분체원료 기류수송장치
CN201962257U (zh) 一种干煤粉加压密相输送系统
KR102045777B1 (ko) 공압 수송에 의해 가루 물질을 분배하기 위해 물질이 저장되는 가압 저장부를 감압하는 감압부를 포함하는 장치
JP2011195333A (ja) 自動計量投入システム及び自動計量投入方法
KR101371292B1 (ko) 분체원료 유량 제어장치
CN111661657A (zh) 使用真空输送机的粉体自动输送系统
CN201158550Y (zh) 将粉末固体供应到输送线路的装置及装有该装置的鼓风炉
KR101901866B1 (ko) 잠금 호퍼에서 벌크 물질의 증가된 가압
RU2012117504A (ru) Дозирующая установка, установк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плотного потока и способ подачи пылевидного насыпного материала
CZ291088B6 (cs) Způsob řízení zařízení k dodávání sypkého materiálu
JP3788110B2 (ja) 高炉微粉炭吹き込み設備における中間タンクから吹き込みタンクへの微粉炭供給方法および装置
JPH0711313A (ja) 微粉炭吹込み制御方法
KR100940753B1 (ko) 케미컬 공급장치
UA83491C2 (uk) Пристрій для безперервної подачі порошкоподібного твердого матеріалу в пневмотранспортний трубопровід
RU2010116900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пылевидного материала
CN202687507U (zh) 颗粒状固体物料传输装置
JPS5822216A (ja) 粉粒体混合高圧気体輸送装置
JPS5882923A (ja) 粉末の気送方法
JP4526599B1 (ja) 粉体圧送装置及び粉体圧送方法
KR101330568B1 (ko) 분입체원료의 감량 계량식 자동 정량공급장치
CN215905435U (zh) 立式连续输送装置
CN102689798A (zh) 定量给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