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9510A -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 - Google Patents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9510A
KR20130019510A KR20110081502A KR20110081502A KR20130019510A KR 20130019510 A KR20130019510 A KR 20130019510A KR 20110081502 A KR20110081502 A KR 20110081502A KR 20110081502 A KR20110081502 A KR 20110081502A KR 20130019510 A KR20130019510 A KR 20130019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thyl methacrylate
beads
hemispherical
parts
initi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81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0606B1 (ko
Inventor
이성호
박장호
김상욱
윤양배
남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진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진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진화학
Priority to KR20110081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606B1/ko
Priority to PCT/KR2011/006083 priority patent/WO2013024925A1/ko
Priority to US14/391,008 priority patent/US9487651B2/en
Priority to PCT/KR2012/005441 priority patent/WO2013024972A2/ko
Publication of KR20130019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9J1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는 화장품, 의료용품, 생활용품, 디스플레이 용품, 조명기구 및 잡화에 적용시 높은 점착성 및 흡유량을 가지며, 특히 화장료에 적용시 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에 비하여 더욱 화사한 색감을 가지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HEMISPHERICAL POLYMETHYLMETHACRYLATE BEAD}
본 발명은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 의료용품, 생활용품, 디스플레이 용품, 조명기구 및 잡화에 적용시 높은 점착성 및 흡유량을 가지며, 특히 화장료에 적용시 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에 비하여 더욱 화사한 색감을 가지게 할 수 있는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러 단량체를 합성하여 제조되는 공중합체 화합물은 형상과 물성의 조절이 용이하고 가공성이 뛰어나 화장품, 의료용품, 생활용품, 디스플레이 용품, 조명기구 및 잡화 등 인간의 생활과 밀접한 다양한 분야에서 폭 넓게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각 분야에 따라 목적하는 기능을 더욱 충실히 만족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유기 폴리머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하나의 물성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가지의 물성을 동시에 구비한 유기 폴리머의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유기 폴리머 중의 하나인 유리 폴리머 비드는 물성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장품, 샴푸 등의 생활용품과 약제 등 의료용품 분야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광확산 필름 등 디스플레이 분야에도 적용이 연구되고 있으며,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04-85658호와 같이 물성향상을 위하여 다각도의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다.
또한 최근 화장료의 색조감과 사용감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구형의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를 그라인딩하여 제조한 비드를 화장료에 적용하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나, 제조비용 및 형상제어에 어려움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화장품, 의료용품, 생활용품, 디스플레이 용품, 조명기구 및 잡화에 적용시 높은 점착성 및 흡유량을 가지며, 특히 화장료에 적용시 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에 비하여 더욱 화사한 색감을 가지게 할 수 있는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품, 의료용품, 생활용품, 디스플레이 용품, 조명기구 및 잡화에 적용시 높은 점착성 및 흡유량을 가지며, 특히 화장료에 적용시 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에 비하여 더욱 화사한 색감을 가지게 할 수 있는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에 대하여 비드 크기의 제어가 용이하고, 생산성 높게 대량생산 할 수 있는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에 있어서,
형태가 반구형(hemishperic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는 TAP DENSITY가 0.1 내지 0.5 g/ml 인 것이 좋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는 흡유량이 2.4 내지 3.0 cc/g 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아크릴계의 단량체, 가교제, 개시제, 공용매를 용매에 투입하여 중합반응시킨 후, 이를 세척 건조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공용매의 끓는점(BP)이 개시제의 반응온도와 비교하여 -5 내지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의료용품, 생활용품, 디스플레이 용품, 조명기구 또는 잡화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는 화장품, 의료용품, 생활용품, 디스플레이 용품, 조명기구 및 잡화에 적용시 높은 점착성 및 흡유량을 가지며, 특히 화장료에 적용시 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에 비하여 더욱 화사한 색감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반구형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 1에 따라 제조한 무정형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예 2에 따라 제조한 다공성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의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예 3에 따라 제조한 전형적인 구형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는 형태가 반구형(hemishperica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는 도 1과 같이 반구형(hemishperical)이며, 내부는 비어있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는 크기가 1um 내지 30um 이며, TAP DENSITY는 0.1 내지 0.5 ml/g 이며, 흡유량은 2.4 내지 3.0 cc/g 인 것이 좋다. 종래의 일반적인 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의 TAP DENSITY는 0.5 내지 1.2 ml/g 이며, 흡유량은 0.2 내지 1.0 cc/g 인 것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는 흡유량이 현저히 증가하고, 비중이 줄어 드는 특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는 형태상의 특징으로 인하여 화장료에 적용시 피부에 화장료의 부착성을 현저히 증가키시며, 화장료에 화사한 색감을 가지게 함으로써 화장료의 색조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바, 본 발명의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의 제조방법은 ⅰ) 아크릴계의 단량체, ⅱ) 가교제, ⅲ) 개시제, ⅳ) 공용매를 ⅴ) 용매에 투입하여 중합반응시킨 후, 이를 세척 건조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공용매의 끓는점(BP)이 개시제의 반응온도와 비교하여 -5 내지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공용매의 끓는점(BP)이 개시제의 반응온도와 비교하여 0 내지 10 ℃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ⅰ) 아크릴계열의 단량체와 ⅱ) 가교제는 반응하여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합성되며, 상기 아크릴계열의 단량체로는 대표적으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가교제로는 트리메틸로메탄테트라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로메탄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로부탄트리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다이비닐벤젠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ⅰ) 아크릴계열의 단량체와 ⅱ) 다관능 모노머의 함량비는 10 내지 90 중량부 : 90 내지 10 중량부인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30 내지 70 중량부 : 70 내지 30 중량부이다.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제조되는 반구형 비드의 물성 및 화장품에 적합한 입도 크기로의 조정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ⅲ) 개시제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제조에 사용되는 개시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합성비수용상에서 열분해에 의해 개시할 수 있는 아조기 개시제(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4,4-아조비스(4)-시아노펜타노산),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노니트릴)와 과산화물계(과산화 벤조일, 과산화 라우릴, 과산화 옥타노일, 3,3,5-트리메틸 과산화 헥사노일)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개시제의 사용량은 아크릴계열의 단량체와 가교제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개시제는 반응온도가 70 내지 85 ℃,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70 내지 80 ℃인 것이 좋다.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제조되는 반구형 비드의 물성 및 형상의 제어가 더욱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구형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ⅳ) 공용매는 중합시 중합되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가 반구형의 형상을 가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용매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개시제의 반응온도와 비교하여 끓는점(BP)가 -5 내지 15 ℃,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 ℃인 공용매를 사용하며, 사용되는 개시제의 반응온도에 따라 적절한 끓는점을 가지는 공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예로 개시제의 반응온도가 75 내지 80 ℃인 경우 공용매는 끓는점이 70 내지 95 ℃를 가지는 공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일예로 cyclohexane 끓는점 80.8 ℃, Ethyl Acetate 끓는점 75 ~ 85℃, Methyl Ethyl Ketone 77 ~ 82℃, Ortho Chloro Toluene 86.7℃, Iso Propyl Alcohol 79 ~ 82℃ 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공용매의 끓는점이 개시제의 반응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온도범위를 벗어나 높은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무정형의 비드가 제조되며, 매우 높은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반구형 비드가 제조되어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를 제조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공용매의 사용량은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아크릴계열의 단량체와 가교제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3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00 내지 2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제조되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강도 등 물성과 형상 및 입자의 크기 조절에 있어서 특히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반구형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안정화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정화제는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 메틸 에테르,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아클리산, 폴리비닐알콜, 비닐아세테이트 코폴리머, 에틸 셀룰로스 및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안정화제의 사용량은 아크릴계열의 단량체와 가교제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용매는 중합에 사용되는 성분들과 혼합될 수 있는 용매로서 통상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일예로 알콜류(메틸알콜, 에틸알콜, 부틸알콜, 아밀알콜, 옥틸알콜 또는 벤질알콜 등), 다가알콜류(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또는 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용매의 사용량은 상기 아크릴계열의 단량체와 가교제의 합계 100 중량부에대하여 500 내지 25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반구형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의 제조방법은 상기 아크릴계열의 단량체, 가교제, 개시제 및 공용매를 필요에 따라 현탁안정제가 용해된 용매에 투입하여 중합반응시키는 바, 바람직하게는 용매에 안정화제를 녹인 후 상온 이하로 식힌 다음, 아크릴계열의 단량체, 가교제, 개시제 및 공용매를 투입하여 호모믹서를 이용해 유화시키고, 원하는 사이즈의 액적을 얻은 후 유화액을 4구 반응기에 넣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잔류 단량체 양을 고려하여 6 내지 40 시간 정도 내에서 반응을 시킨다. 반응시 교반속도가 너무 빠를 경우에는 응집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적절하게 교반속도를 유지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반구형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의 제조방법은 상기 중합반응을 통하여 합성된 반구형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를 세척 및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바, 상기 세척은 미반응 단량체 및 안정제, 공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수행되어지며, 물 또는 메틸에틸케톤(MEK) 수용액, 이소프로필알콜(IPA)수용액, 아세톤 수용액, 에틸아세테이트 수용액, 에탄올 수용액, 메탄올 수용액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 수용액으로 세척할 수 있다. 특히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미반응 단량체 및 공용매의 잔류량이 극미량(각각 10ppm, 10ppm)이어야 하는 바,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 용매를 이용하여 2-3 차례 세척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건조 단계는 세척을 거친 반구형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를 건조하는 단계로서, 바람직하게는 공용매의 제거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유리 전이온도를 고려하여 유리 전이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진공상태 하에서 건조를 실시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중합, 세척, 및 건조단계를 통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반구형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는 이후 분급하는 단계를 추가로 실시하여 입도 분포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급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분급은 체걸음이나 통상의 분급기의 피딩속도, 회전수, 및 풍량을 조절하면서 비드의 입도 분포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의 제조방법은 비드 크기의 제어가 용이하고, 대량생산에 적합하여 생산성 높게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반구형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는 화장품, 의료용품, 생활용품, 디스플레이 용품, 조명기구 및 잡화에 적용시 높은 점착성 및 흡유량을 가지며, 특히 화장료에 적용시 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에 비하여 더욱 화사한 색감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80 중량부 및 트리메틸로메탄트리아크릴레이트 20 중량부를 혼합한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개시제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 중량부와 안정화제로 폴리비닐알콜(PVA) 2 중량부가 녹아 있는 물 600 중량부 및 공용매인 시클로헥산 200 중량부를 함께 넣은 후,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유화시켰다. 이후, 유화액을 반응관에 넣고 50 ℃에서 4 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70 ℃까지 승온시켜 20 시간 동안 더욱 반응시켜 반구형 비드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반구형 비드를 여과한 후, 물, 에탄올 수용액, 및 메탄올 수용액의 혼합 세척 용액으로 세척한 후, 여과물을 진공오븐에 넣어 24 시간 동안 건조시켜 반구형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반구형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는 도 1에서와 같이 반구형의 형상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개시제로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노니트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반구형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반구형의 형상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를 제조하되 개시제의 반응온도보다 25 ℃ 높은 끓는점을 가지는 공용매를 사용하였다. 제조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는 도 2에서와 같이 무정형의 형상을 가져 반구형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는 제조되지 않았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를 제조하되 개시제의 반응온도보다 35 ℃ 높은 끓는점을 가지는 공용매를 사용하였다. 제조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는 도 3에서와 같이 구형의 다공성 비드가 형성되어 반구형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는 제조되지 않았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를 제조하되 공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는 전형적인 구형의 반구형 비드가 형성되어 반구형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는 제조되지 않았다.

Claims (10)

  1.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에 있어서,
    형태가 반구형(hemishperic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는 TAP DENSITY가 0.1 내지 0.5 g/ml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는 흡유량은 2.4 내지 3.0 cc/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
  4. 아크릴계의 단량체, 가교제, 개시제, 공용매를 용매에 투입하여 중합반응시킨 후, 이를 세척 건조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공용매의 끓는점(BP)이 개시제의 반응온도와 비교하여 -5 내지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매의 끓는점(BP)이 개시제의 반응온도와 비교하여 0 내지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알콜, 비닐아세테이트 코폴리머, 에틸 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안정화제를 비드 제조시 사용되는 단량체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의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제가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4,4-아조비스(4)-시아노펜타노산,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노니트릴), 과산화벤조일, 과산화 라우릴, 과산화 옥타노일, 및 3,3,5-트리메틸과산화헥사노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며, 비드 제조시 사용되는 단량체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의 제조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매가 cyclohexane, Ethyl Acetate, Methyl Ethyl Ketone, Ortho Chloro Toluene, Iso Propyl Alcohol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며, 비드 제조시 사용되는 단량체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4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의 제조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이후 분급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의 제조방법.
  10. 제 1항 기재의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화장품, 의료용품, 생활용품, 디스플레이 용품, 또는 조명기구.
KR20110081502A 2011-08-17 2011-08-17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 KR101330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81502A KR101330606B1 (ko) 2011-08-17 2011-08-17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
PCT/KR2011/006083 WO2013024925A1 (ko) 2011-08-17 2011-08-18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
US14/391,008 US9487651B2 (en) 2011-08-17 2012-07-10 Hemispherical polymethylmethacrylate beads
PCT/KR2012/005441 WO2013024972A2 (ko) 2011-08-17 2012-07-10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81502A KR101330606B1 (ko) 2011-08-17 2011-08-17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904A Division KR101512369B1 (ko) 2013-10-02 2013-10-02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510A true KR20130019510A (ko) 2013-02-27
KR101330606B1 KR101330606B1 (ko) 2013-11-18

Family

ID=47715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81502A KR101330606B1 (ko) 2011-08-17 2011-08-17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87651B2 (ko)
KR (1) KR101330606B1 (ko)
WO (2) WO20130249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8424A1 (ko) * 2013-04-10 2014-10-16 주식회사 유엑스엔 골드비드를 함유한 비누,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누, 화장품 제조방법
KR101694938B1 (ko) * 2013-04-10 2017-01-11 주식회사 유엑스엔 골드비드를 함유한 비누,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누, 화장품 제조방법
WO2015061416A2 (en) 2013-10-23 2015-04-3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Hla-a24 agonist epitopes of muc1-c oncoprotein an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7617B2 (ja) * 2002-06-25 2006-09-27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樹脂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33087B1 (ko) * 2003-02-10 2005-12-02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광투과성 및 내변색성이 우수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제조방법
KR101004367B1 (ko) * 2005-03-03 2010-12-28 주식회사 선진화학 화장품용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구상비드의 제조방법
KR100673550B1 (ko) * 2005-06-15 2007-01-24 주식회사 선진화학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의 제조방법
JP5671534B2 (ja) 2009-08-04 2015-02-18 シャネル パフュームズ ビューテ 実質的に半球状の粒子をベースとする化粧料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24972A2 (ko) 2013-02-21
WO2013024972A3 (ko) 2013-04-18
KR101330606B1 (ko) 2013-11-18
US9487651B2 (en) 2016-11-08
WO2013024972A9 (ko) 2013-06-13
US20150118493A1 (en) 2015-04-30
WO2013024925A1 (ko) 201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49421B (zh) 一种高分子微球及其制备方法
KR101330606B1 (ko)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
JP2006241226A (ja) 多孔性単分散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1233689A (en) Methyl methacrylate polymer production method
WO2006046803A1 (en) Method of preparing non-yellowing and high refractive bead
JP5463005B2 (ja) 架橋樹脂粒子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シート
WO2015178501A1 (ja) ポリマー微粒子組成物およびその光拡散剤としての使用
JP5452978B2 (ja) 光拡散性有機微粒子の製造法及び光拡散フィルム又は成形体
KR100600470B1 (ko) 다공성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제조방법
KR20130133710A (ko)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
CN107406547A (zh) 聚合物粒子、聚合物粒子的制造方法及其用途
KR100673550B1 (ko)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의 제조방법
KR101422666B1 (ko) 아크릴계 미립자 및 이를 포함하는 확산필름
KR20070121199A (ko) 특수형상 고분자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0095368A (ko) 미크론 크기의 단분산성 가교 고분자 입자의 제조 방법
KR101833679B1 (ko) 다공성 소프트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TW201033257A (en) Spherical polymer bead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S61225208A (ja) 耐溶剤型均一粒径微粒子の製造方法
KR20150113459A (ko) 다공성 소프트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29263A (ko) 다중분포를 갖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의 제조방법
KR101615311B1 (ko)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지는 구형 폴리머 분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26531B1 (ko) 비등방성 타원체 고분자 입자의 제조 방법
KR101611009B1 (ko) 코어-쉘 미립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확산필름
KR101596254B1 (ko)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수지 조성물 및 포장 물품
TW201533073A (zh) 交聯丙烯酸類樹脂顆粒及其製造方法、樹脂組合物、光學薄膜以及包裝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