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8917A -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8917A
KR20130018917A KR1020127032096A KR20127032096A KR20130018917A KR 20130018917 A KR20130018917 A KR 20130018917A KR 1020127032096 A KR1020127032096 A KR 1020127032096A KR 20127032096 A KR20127032096 A KR 20127032096A KR 20130018917 A KR20130018917 A KR 20130018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indoor
degree
heat exchang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2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2745B1 (ko
Inventor
고오스케 기보
가즈히코 다니
마사히로 오카
신이치 가사하라
야스유키 아이사카
신고 오오니시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18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6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compressors within refrigeration or heat pump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absorption or discharge of heat in outdoor units
    • F24F11/871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absorption or discharge of heat in outdoor units by controlling outdo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20Heat-exchange flui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4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one four-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9Calculation of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6Temperatures of a cond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7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운전 효율을 향상시켜서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80)는 실외기(20)와, 이용측 열 교환기(42, 52, 62)를 포함하는 실내기(40, 50, 60)를 갖고 있으며, 실내 온도가 설정 온도에 근접하도록 실내기에 마련된 기기를 제어하는 실내 온도 제어를 행하는 공기 조화 장치(10)에 있어서, 현재의 상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과 현재보다도 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 또는 현재의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과 현재보다도 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에 기초하여,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하는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 {CONTROL DEVICE FOR AN AIR-CONDITIONING DEVICE AND AIR-CONDITIONING DEVICE PROVIDED THEREWITH}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허문헌 1(일본 특허 공개 평2-57875호 공보)에 개시된 복수의 실내기를 갖는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가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에서는, 각 실내기에서 연산되는 요구 능력 내에서 가장 큰 최대 요구 능력에 기초하여 압축기의 운전 용량을 결정함으로써 운전 효율을 향상시켜서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 2-57875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에서는, 각 실내기에 있어서의 요구 능력은, 흡입 공기 온도(실온)와 그때의 설정 온도와의 온도 차에만 기초하여 연산되고 있고, 그 밖의 요소(예를 들어, 풍량, 과열도, 과냉각도 등)에 대해서는 고려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에서는, 운전 효율을 항상 향상시키고 있다고는 할 수 없으며,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하지 않고 있는 경우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운전 효율을 향상시켜서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는, 실외기와, 이용측 열 교환기를 포함하는 실내기를 갖고 있으며, 실내 온도가 설정 온도에 근접하도록 실내기에 마련된 기기를 제어하는 실내 온도 제어를 행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현재의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과 현재보다도 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 또는 현재의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과 현재보다도 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에 기초하여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하는 요구 온도 연산부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에서는, 요구 온도 연산부가 현재의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과 현재보다도 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 또는 현재의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과 현재보다도 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에 기초하여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하고 있기 때문에, 이용측 열 교환기의 능력이 더 발휘된 상태에서의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하고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충분히 실내기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상태의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운전 효율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는, 제1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실내기는, 실내 온도 제어에서 제어되는 기기로서, 소정 풍량 범위에서 풍량 조정 가능한 송풍기를 갖고 있다. 요구 온도 연산부는,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할 때에 현재의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과 현재보다도 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으로서, 송풍기의 현재 풍량 및 소정 풍량 범위 내에서 현재 풍량보다도 큰 풍량을 적어도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에서는, 요구 온도 연산부가 송풍기의 현재 풍량 및 소정 풍량 범위 내에서 현재 풍량보다도 큰 풍량에 기초하여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하고 있기 때문에, 이용측 열 교환기의 능력이 더 발휘된 상태에 있어서의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하고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충분히 실내기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상태의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운전 효율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는, 제1 관점 또는 제2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에 있어서, 공기 조화 장치는, 실내 온도 제어에서 제어되는 기기로서, 그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이용측 열 교환기의 출구측의 과열도 또는 과냉각도를 조정 가능한 팽창 기구를 갖고 있다. 요구 온도 연산부는,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할 때에 현재의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과 현재보다도 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으로서, 현재 과열도 및 과열도에 있어서 팽창 기구의 개방도 조정에 의한 과열도 설정 가능 범위 내에서 현재 과열도보다도 작은 과열도, 또는 현재 과냉각도 및 과냉각도에 있어서 팽창 기구의 개방도 조정에 의한 과냉각도 설정 가능 범위 내에서 현재 과냉각도보다도 작은 과냉각도를 적어도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에서는, 요구 온도 연산부가 현재 과열도 및 과열도에 있어서 팽창 기구의 개방도 조정에 의한 과열도 설정 가능 범위 내에서 현재 과열도보다도 작은 과열도, 또는 현재 과냉각도 및 과냉각도에 있어서 팽창 기구의 개방도 조정에 의한 과냉각도 설정 가능 범위 내에서 현재 과냉각도보다도 작은 과냉각도에 기초하여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하고 있기 때문에, 이용측 열 교환기의 능력이 더 발휘된 상태에 있어서의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하고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충분히 실내기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상태의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운전 효율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는, 제1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실내기는, 실내 온도 제어에서 제어되는 기기로서, 소정 풍량 범위에서 풍량 조정 가능한 송풍기를 갖고 있다. 요구 온도 연산부는,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할 때에 현재의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과 현재보다도 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으로서, 송풍기의 현재 풍량 및 소정 풍량 범위 내에서 송풍기의 풍량을 최대로 한 풍량 최대값을 적어도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에서는, 요구 온도 연산부가 송풍기의 현재 풍량 및 풍량 최대값에 기초하여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하고 있기 때문에, 이용측 열 교환기의 능력이 더 발휘된 상태에 있어서의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하고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충분히 실내기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상태의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운전 효율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는, 제1 관점 또는 제4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에 있어서, 공기 조화 장치는, 실내 온도 제어에서 제어되는 기기로서, 그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출구측의 과열도 또는 과냉각도를 조정 가능한 팽창 기구를 갖고 있다. 요구 온도 연산부는,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할 때에 현재의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과 현재보다도 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으로서, 현재 과열도 및 과열도에 있어서 팽창 기구의 개방도 조정에 의한 과열도 설정 가능 범위 내에서 최소인 과열도 최소값, 또는 현재 과냉각도 및 과냉각도에 있어서 팽창 기구의 개방도 조정에 의한 과냉각도 설정 가능 범위 내에서 최소인 과냉각도 최소값을 적어도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에서는, 요구 온도 연산부가 현재 과열도 및 과열도 최소값, 또는 현재 과냉각도 및 과냉각도 최소값에 기초하여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하고 있기 때문에, 이용측 열 교환기의 능력이 더 발휘된 상태에 있어서의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하고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충분히 실내기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상태의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운전 효율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는, 제1 관점 내지 제5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실외기는 압축기를 갖는다. 운전 제어 장치는, 목표 증발 온도 또는 목표 응축 온도에 기초하여 압축기의 용량 제어를 행하고 있고,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목표 증발 온도 또는 목표 응축 온도로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7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는, 제1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실내기는 복수대 있고, 실내 온도 제어는 실내기마다 행해지고 있으며, 요구 온도 연산부는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실내기마다 연산한다. 운전 제어 장치는, 요구 온도 연산부에서 연산된 실내기마다의 요구 증발 온도 내에서 최소의 요구 증발 온도에 기초하여 목표 증발 온도를 결정하거나, 또는 요구 온도 연산부에서 연산된 실내기마다의 요구 응축 온도 내에서 최대의 요구 응축 온도에 기초하여 목표 응축 온도를 결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에서는, 충분히 실내기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상태의 실내기에 있어서 요구 공조 능력이 가장 큰 실내기에 맞춰 목표 증발 온도(목표 응축 온도)를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복수의 실내기에 능력 부족을 발생시키지 않고 운전 효율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는, 제7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실내기는, 실내 온도 제어에서 제어되는 기기로서, 소정 풍량 범위에서 풍량 조정 가능한 송풍기를 갖고 있다. 요구 온도 연산부는,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실내기마다 연산할 때에 현재의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과 현재보다도 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으로서, 송풍기의 현재 풍량 및 소정 풍량 범위 내에서 현재 풍량보다도 큰 풍량을 적어도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에서는, 요구 온도 연산부가 송풍기의 현재 풍량 및 소정 풍량 범위 내에서 현재 풍량보다도 큰 풍량에 기초하여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하고 있기 때문에, 이용측 열 교환기의 능력이 더 발휘된 상태에 있어서의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하고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충분히 실내기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상태의 요구 증발 온도(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구할 수 있고, 이들 요구 증발 온도(또는 요구 응축 온도) 중 최소(최대)의 요구 증발 온도(요구 응축 온도)를 채용하여 목표 증발 온도(목표 응축 온도)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분히 실내기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상태의 실내기에 있어서 요구 공조 능력이 가장 큰 실내기에 맞춰 목표 증발 온도(목표 응축 온도)를 결정할 수 있고, 복수의 실내기에 능력 부족을 발생시키지 않고 운전 효율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는, 제7 관점 또는 제8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에 있어서, 공기 조화 장치는, 실내 온도 제어에서 제어되는 기기로서 실내기마다 대응하고, 그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이용측 열 교환기의 출구측의 과열도 또는 과냉각도를 조정 가능한 복수의 팽창 기구를 갖고 있다. 요구 온도 연산부는,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실내기마다 연산할 때에 현재의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과 현재보다도 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으로서, 현재 과열도 및 과열도에 있어서 팽창 기구의 개방도 조정에 의한 과열도 설정 가능 범위 내에서 현재 과열도보다도 작은 과열도, 또는 현재 과냉각도 및 과냉각도에 있어서 팽창 기구의 개방도 조정에 의한 과냉각도 설정 가능 범위 내에서 현재 과냉각도보다도 작은 과냉각도를 적어도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에서는, 요구 온도 연산부가 현재 과열도 및 과열도에 있어서 팽창 기구의 개방도 조정에 의한 과열도 설정 가능 범위 내에서 현재 과열도보다도 작은 과열도, 또는 현재 과냉각도 및 과냉각도에 있어서 팽창 기구의 개방도 조정에 의한 과냉각도 설정 가능 범위 내에서 현재 과냉각도보다도 작은 과냉각도에 기초하여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하고 있기 때문에, 이용측 열 교환기의 능력이 더 발휘된 상태에 있어서의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하고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충분히 실내기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상태의 요구 증발 온도(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구할 수 있고, 이들 요구 증발 온도(또는 요구 응축 온도) 중 최소(최대)의 요구 증발 온도(요구 응축 온도)를 채용하여, 목표 증발 온도(목표 응축 온도)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분히 실내기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상태의 실내기에 있어서 요구 공조 능력이 가장 큰 실내기에 맞춰 목표 증발 온도(목표 응축 온도)를 결정할 수 있고, 복수의 실내기에 능력 부족을 발생시키지 않고 운전 효율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는, 제7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실내기는, 실내 온도 제어에서 제어되는 기기로서, 소정 풍량 범위에서 풍량 조정 가능한 송풍기를 갖고 있다. 요구 온도 연산부는,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실내기마다 연산할 때에 현재의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과 현재보다도 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으로서, 송풍기의 현재 풍량 및 소정 풍량 범위 내에서 송풍기의 풍량을 최대로 한 풍량 최대값을 적어도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에서는, 요구 온도 연산부가 송풍기의 현재 풍량 및 풍량 최대값에 기초하여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하고 있기 때문에, 이용측 열 교환기의 능력이 더 발휘된 상태에 있어서의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하고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충분히 실내기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상태의 요구 증발 온도(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구할 수 있고, 이들 요구 증발 온도(또는 요구 응축 온도) 중 최소(최대)의 요구 증발 온도(요구 응축 온도)를 채용하여 목표 증발 온도(목표 응축 온도)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분히 실내기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상태의 실내기에 있어서 요구 공조 능력이 가장 큰 실내기에 맞춰 목표 증발 온도(목표 응축 온도)를 결정할 수 있고, 복수의 실내기에 능력 부족을 발생시키지 않고 운전 효율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는, 제7 관점 또는 제10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에 있어서, 공기 조화 장치는 실내 온도 제어에서 제어되는 기기로서 실내기마다 대응하고, 그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이용측 열 교환기의 출구측의 과열도 또는 과냉각도를 조정 가능한 복수의 팽창 기구를 갖고 있다. 요구 온도 연산부는,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실내기마다 연산할 때에 현재의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과 현재보다도 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으로서, 현재 과열도 및 과열도에 있어서 팽창 기구의 개방도 조정에 의한 과열도 설정 가능 범위 내에서 최소인 과열도 최소값, 또는 현재 과냉각도 및 과냉각도에 있어서 팽창 기구의 개방도 조정에 의한 과냉각도 설정 가능 범위 내에서 최소인 과냉각도 최소값을 적어도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에서는, 요구 온도 연산부가 팽창 기구에 의해 조정되는 이용측 열 교환기의 출구측의 현재 과열도 및 과열도 최소값, 또는 현재 과냉각도 및 과냉각도 최소값에 기초하여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하고 있기 때문에, 이용측 열 교환기의 능력이 더 발휘된 상태에 있어서의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하고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충분히 실내기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상태의 요구 증발 온도(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구할 수 있고, 이들 요구 증발 온도(또는 요구 응축 온도) 중 최소(최대)의 요구 증발 온도(요구 응축 온도)를 채용하여, 목표 증발 온도(목표 응축 온도)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분히 실내기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상태의 실내기에 있어서 요구 공조 능력이 가장 큰 실내기에 맞춰 목표 증발 온도(목표 응축 온도)를 결정할 수 있고, 복수의 실내기에 능력 부족을 발생시키지 않고 운전 효율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는, 제7 관점 내지 제11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실외기는 압축기를 갖는다. 운전 제어 장치는, 목표 증발 온도 또는 목표 응축 온도에 기초하여 압축기의 용량 제어를 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에서는, 가장 요구 공조 능력이 큰 실내기에 있어서의 요구 증발 온도(요구 응축 온도)를 목표 증발 온도(목표 응축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장 요구 능력이 큰 실내기에 대하여 과부족이 없도록 목표 증발 온도(목표 응축 온도)로 설정할 수 있고, 압축기를 필요 최저한의 용량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3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는, 제2 관점 내지 제5 관점, 또는 제8 관점 내지 제11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송풍기의 풍량과, 이용측 열 교환기의 출구의 과열도 또는 과냉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연산하는 공조 능력 연산부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에서는,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연산하고 있기 때문에,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목표 증발 온도 또는 목표 응축 온도)를 고정밀도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목표 증발 온도 또는 목표 응축 온도)를 고정밀도이고 적정한 값으로 할 수 있고, 증발 온도의 지나친 상승이나 또는 응축 온도의 지나친 하강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내기를 최적의 상태로 빠르게 안정적으로 실현할 수 있어, 한층 더 에너지 절약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4 관점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는, 실외기와, 이용측 열 교환기를 포함하는 실내기와, 제1 관점 내지 제13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운전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10)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공기 조화 장치(10)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냉방 운전에 있어서의 에너지 절약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난방 운전에 있어서의 에너지 절약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변형예 3에 관한 에너지 절약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변형예 7에 관한 냉방 운전에 있어서의 에너지 절약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변형예 7에 관한 난방 운전에 있어서의 에너지 절약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1) 공기 조화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10)의 개략 구성도이다. 공기 조화 장치(10)는, 증기 압축식의 냉동 사이클 운전을 행함으로써, 빌딩 등의 실내의 냉난방에 사용되는 장치이다. 공기 조화 장치(10)는, 주로 1대의 열원 유닛으로서의 실외기(20)와, 거기에 병렬로 접속된 복수대(본 실시 형태에서는 3대)의 이용 유닛으로서의 실내기(40, 50, 60)와, 실외기(20)와 실내기(40, 50, 60)를 접속하는 냉매 연락관으로서의 액냉매 연락관(71) 및 가스 냉매 연락관(72)을 구비하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0)의 증기 압축식의 냉매 회로(11)는 실외기(20)와, 실내기(40, 50, 60)와, 액냉매 연락관(71) 및 가스 냉매 연락관(72)이 접속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1-1) 실내기
실내기(40, 50, 60)는 빌딩 등의 실내의 천장에 매립이나 현수 등에 의해, 또는 실내의 벽면에 벽걸이 등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실내기(40, 50, 60)는, 액냉매 연락관(71) 및 가스 냉매 연락관(72)을 개재하여 실외기(20)에 접속되어 있고, 냉매 회로(11)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어서, 실내기(40, 50, 6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실내기(40)와 실내기(50, 60)는 마찬가지의 구성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실내기(40)의 구성만 설명하고, 실내기(50, 60)의 구성에 대해서는 각각 실내기(40)의 각 부를 나타내는 40번대의 부호 대신에 50번대 또는 60번대의 부호를 부여하여, 각 부의 설명을 생략한다.
실내기(40)는 주로 냉매 회로(11)의 일부를 구성하는 실내측 냉매 회로(11a) (실내기(50)에서는 실내측 냉매 회로(11b), 실내기(60)에서는 실내측 냉매 회로(11c))를 갖고 있다. 이 실내측 냉매 회로(11a)는, 주로 팽창 기구로서의 실내 팽창 밸브(41)와, 이용측 열 교환기로서의 실내 열 교환기(42)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팽창 기구로서 실내기(40, 50, 60) 각각에 실내 팽창 밸브(41, 51, 61)를 설치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팽창 기구(팽창 밸브를 포함함)를 실외기(20)에 마련해도 좋고, 실내기(40, 50, 60)나 실외기(20)와는 독립된 접속 유닛에 마련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내 팽창 밸브(41)는, 실내측 냉매 회로(11a) 내를 흐르는 냉매의 유량의 조절 등을 행하기 위해, 실내 열 교환기(42)의 액측에 접속된 전동 팽창 밸브이며, 냉매의 통과를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내 열 교환기(42)는 전열관과 다수의 핀에 의해 구성된 크로스핀식의 핀 앤드 튜브형 열 교환기이며, 냉방 운전시에는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해서 실내 공기를 냉각하고, 난방 운전시에는 냉매의 응축기로서 기능해서 실내 공기를 가열하는 열 교환기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내 열 교환기(42)는 크로스핀식의 핀 앤드 튜브형 열 교환기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식의 열 교환기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 실내기(40)는 유닛 내에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 열 교환기(42)에서 냉매와 열 교환시킨 후에, 공급 공기로서 실내에 공급하기 위한 송풍기로서의 실내 팬(43)을 갖고 있다. 실내 팬(43)은, 실내 열 교환기(42)에 공급하는 공기의 풍량을 소정 풍량 범위에서 가변하는 것이 가능한 팬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 DC 팬 모터 등을 포함하는 모터(43m)에 의해 구동되는 원심 팬이나 다익 팬 등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 실내 팬(43)에서는, 풍량이 가장 작은 약풍, 풍량이 가장 큰 강풍 및 약풍과 강풍과의 중간 정도인 중간풍의 3종류의 고정 풍량으로 설정하는 풍량 고정 모드와, 과열도 SH나 과냉각도 SC 등에 따라 약풍에서부터 강풍까지의 사이에서 자동으로 변경되는 풍량 자동 모드를 리모콘 등의 입력 장치에 의해 풍량 설정 모드를 설정 가능이다. 즉, 이용자가 예를 들어 「약풍」, 「중간풍」 및 「강풍」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경우에는, 약풍으로 고정되는 풍량 고정 모드가 되고, 「자동」을 선택한 경우에는 운전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풍량이 변경되는 풍량 자동 모드가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내 팬(43)의 풍량의 팬 탭은 「약풍」, 「중간풍」 및 「강풍」의 3단계로 전환되지만, 3단계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10단계 등이어도 좋다. 또한, 실내 팬(43)의 풍량인 실내 팬 풍량 Ga는, 모터(43m)의 회전수에 의해 연산된다. 실내 팬 풍량 Ga는, 모터(43m)의 회전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모터(43m)의 전류값에 기초하여 연산되어도 좋고, 설정되어 있는 팬 탭에 기초하여 연산되어도 좋다.
또한, 실내기(40)에는 각종 센서가 마련되어 있다. 실내 열 교환기(42)의 액측에는, 냉매의 온도(즉, 난방 운전시에 있어서의 응축 온도 Tc 또는 냉방 운전시에 있어서의 증발 온도 Te에 대응하는 냉매 온도)를 검출하는 액측 온도 센서(44)가 마련되어 있다. 실내 열 교환기(42)의 가스측에는,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는 가스측 온도 센서(45)가 마련되어 있다. 실내기(40)의 실내 공기의 흡입구측에는, 유닛 내에 유입되는 실내 공기의 온도(즉, 실내 온도 Tr)를 검출하는 실내 온도 센서(46)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가 있어서, 액측 온도 센서(44), 가스측 온도 센서(45) 및 실내 온도 센서(46)는 서미스터를 포함한다. 또한, 실내기(40)는, 실내기(40)를 구성하는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내측 제어 장치(47)를 갖고 있다. 실내측 제어 장치(47)는, 실내기(40)에 있어서의 현재의 공조 능력 등을 연산하는 공조 능력 연산부(47a)와, 현재의 공조 능력에 기초해서 그 능력을 발휘하는 데에 필요한 요구 증발 온도 Ter 또는 요구 응축 온도 Tcr을 연산하는 요구 온도 연산부(47b)를 갖는다. 그리고, 실내측 제어 장치(47)는, 실내기(40)의 제어를 행하기 위해 마련된 마이크로 컴퓨터나 메모리(47c) 등을 갖고 있어, 실내기(40)를 개별로 조작하기 위한 리모콘(도시하지 않음) 사이에서 제어 신호 등의 주고받기를 행하거나, 실외기(20) 사이에서 전송선(80a)을 통해 제어 신호 등의 주고받기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2) 실외기
실외기(20)는 빌딩 등의 실외에 설치되어 있으며, 액냉매 연락관(71) 및 가스 냉매 연락관(72)을 개재해서 실내기(40, 50, 60)에 접속되어 있고, 실내기(40, 50, 60)와 함께 냉매 회로(11)를 구성하고 있다.
이어서, 실외기(2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외기(20)는, 주로 냉매 회로(11)의 일부를 구성하는 실외측 냉매 회로(11d)를 갖고 있다. 이 실외측 냉매 회로(11d)는, 주로 압축기(21)와, 사방 전환 밸브(22)와, 열원측 열 교환기로서의 실외 열 교환기(23)와, 팽창 기구로서의 실외 팽창 밸브(38)와, 어큐뮬레이터(24)와, 액측 폐쇄 밸브(26)와, 가스측 폐쇄 밸브(27)를 갖고 있다.
압축기(21)는 운전 용량을 가변하는 것이 가능한 압축기이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인버터에 의해 회전수가 제어되는 모터(21m)에 의해 구동되는 용적식 압축기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압축기(21)는 1대뿐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실내기의 접속 대수 등에 따라 2대 이상의 압축기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사방 전환 밸브(22)는, 냉매의 흐름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밸브이며, 냉방 운전시에는, 실외 열 교환기(23)를 압축기(21)에 의해 압축되는 냉매의 응축기로서, 또한 실내 열 교환기(42, 52, 62)를 실외 열 교환기(23)에서 응축되는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시키기 위해, 압축기(21)의 토출측과 실외 열 교환기(23)의 가스측을 접속함과 함께 압축기(21)의 흡입측(구체적으로는, 어큐뮬레이터(24))과 가스 냉매 연락관(72)측을 접속하고(냉방 운전 상태: 도 1의 사방 전환 밸브(22)의 실선을 참조), 난방 운전시에는, 실내 열 교환기(42, 52, 62)를 압축기(21)에 의해 압축되는 냉매의 응축기로서, 또한 실외 열 교환기(23)를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에서 응축되는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시키기 위해, 압축기(21)의 토출측과 가스 냉매 연락관(72)측을 접속함과 함께 압축기(21)의 흡입측과 실외 열 교환기(23)의 가스측을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난방 운전 상태: 도 1의 사방 전환 밸브(22)의 파선을 참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외 열 교환기(23)는, 크로스핀식의 핀 앤드 튜브형 열 교환기이며, 공기를 열원으로 해서 냉매와 열 교환하기 위한 기기다. 실외 열 교환기(23)는, 냉방 운전시에는 냉매의 응축기로서 기능하고, 난방 운전시에는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열 교환기다. 실외 열 교환기(23)는, 그 가스측이 사방 전환 밸브(22)에 접속되고, 그 액측이 실외 팽창 밸브(38)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실외 열 교환기(23)는, 크로스핀식의 핀 앤드 튜브형 열 교환기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식의 열 교환기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외 팽창 밸브(38)는, 실외측 냉매 회로(11d) 내를 흐르는 냉매의 압력이나 유량 등의 조절을 행하기 위해, 냉방 운전을 행할 때의 냉매 회로(11)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 방향에서 실외 열 교환기(23)의 하류측에 배치된(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실외 열 교환기(23)의 액측에 접속되어 있음) 전동 팽창 밸브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외기(20)는 유닛 내에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 열 교환기(23)에서 냉매와 열 교환시킨 후에,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기로서의 실외 팬(28)을 갖고 있다. 이 실외 팬(28)은, 실외 열 교환기(23)에 공급하는 공기의 풍량을 가변하는 것이 가능한 팬이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DC 팬 모터 등을 포함하는 모터(28m)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펠러 팬 등이다.
액측 폐쇄 밸브(26) 및 가스측 폐쇄 밸브(27)는, 외부의 기기·배관(구체적으로는, 액냉매 연락관(71) 및 가스 냉매 연락관(72))과의 접속구에 마련된 밸브다. 액측 폐쇄 밸브(26)는, 냉방 운전을 행할 때의 냉매 회로(11)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 방향에서 실외 팽창 밸브(38)의 하류측이며 액냉매 연락관(71)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고, 냉매의 통과를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스측 폐쇄 밸브(27)는 사방 전환 밸브(2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실외기(20)에는 각종 센서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외기(20)에는, 압축기(21)의 흡입 압력(즉, 냉방 운전시에 있어서의 증발 압력 Pe에 대응하는 냉매 압력)을 검출하는 흡입 압력 센서(29)와, 압축기(21)의 토출 압력(즉, 난방 운전시에 있어서의 응축 압력 Pc에 대응하는 냉매 압력)을 검출하는 토출 압력 센서(30)와, 압축기(21)의 흡입 온도를 검출하는 흡입 온도 센서(31)와, 압축기(21)의 토출 온도를 검출하는 토출 온도 센서(32)가 마련되어 있다. 실외기(20)의 실외 공기의 흡입구측에는, 유닛 내에 유입되는 실외 공기의 온도(즉, 실외 온도)를 검출하는 실외 온도 센서(36)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가 있어서, 흡입 온도 센서(31), 토출 온도 센서(32) 및 실외 온도 센서(36)는 서미스터를 포함한다. 또한, 실외기(20)는, 실외기(20)를 구성하는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외측 제어 장치(37)를 갖고 있다. 실외측 제어 장치(37)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21)의 운전 용량을 제어하기 위한 목표 증발 온도차ΔTet 또는 목표 응축 온도차ΔTct를 결정하는 목표값 결정부(37a)를 갖는다(후술 참조). 그리고, 실외측 제어 장치(37)는, 실외기(20)의 제어를 행하기 위해서 마련된 마이크로 컴퓨터, 메모리(37b)나 모터(21m)를 제어하는 인버터 회로 등을 갖고 있으며, 실내기(40, 50, 60)의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 사이에서 전송선(80a)을 통해 제어 신호 등의 주고받기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와 실외측 제어 장치(37)와 운전 제어 장치(37, 47, 57) 사이를 접속하는 전송선(80a)에 의해, 공기 조화 장치(10) 전체의 운전 제어를 행하는 운전 제어 장치로서의 운전 제어 장치(80)가 구성되어 있다.
운전 제어 장치(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센서(29 내지 32, 36, 39, 44 내지 46, 54 내지 56, 64 내지 66)의 검출 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접속됨과 함께, 이들의 검출 신호 등에 기초하여 각종 기기 및 밸브(21, 22, 28, 38, 41, 43, 51, 53, 61, 63)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한, 운전 제어 장치(80)를 구성하는 메모리(37b, 47c, 57c, 67c)에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도 2는 공기 조화 장치(10)의 제어 블록도이다.
(1-3) 냉매 연락관
냉매 연락관(71, 72)은, 공기 조화 장치(10)를 빌딩 등의 설치 장소에 설치할 때에, 현지에서 시공되는 냉매관이며, 설치 장소나 실외기와 실내기와의 조합 등의 설치 조건에 따라 다양한 길이나 관경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신규로 공기 조화 장치를 설치할 경우에는, 공기 조화 장치(10)에 대하여, 냉매 연락관(71, 72)의 길이나 관경 등의 설치 조건에 따른 적정한 양의 냉매를 충전할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내측 냉매 회로(11a, 11b, 11c)와, 실외측 냉매 회로(11d)와, 냉매 연락관(71, 72)이 접속되어서 공기 조화 장치(10)의 냉매 회로(11)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0)는,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와 실외측 제어 장치(37)로 구성되는 운전 제어 장치(80)에 의해, 사방 전환 밸브(22)에 의해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을 전환해서 운전을 행함과 함께, 각 실내기(40, 50, 60)의 운전 부하에 따라 실외기(20) 및 실내기(40, 50, 60)의 각 기기의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2) 공기 조화 장치의 동작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공기 조화 장치(10)에서는, 하기의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에 있어서, 이용자가 리모콘 등의 입력 장치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설정 온도 Ts에 실내 온도 Tr을 가깝게 하는 실내 온도 제어를 각 실내기(40, 50, 60)에 대해 행하고 있다. 이 실내 온도 제어에서는, 실내 팬(43, 53, 63)이 풍량 자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설정 온도 Ts로 실내 온도 Tr이 모아지도록, 각 실내 팬(43, 53, 63)의 풍량 및 각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가 조정된다. 또한, 실내 팬(43, 53, 63)이 풍량 고정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설정 온도 Ts로 실내 온도 Tr이 모아지도록, 각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가 조정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각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의 조정」이란, 냉방 운전의 경우에는 각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출구의 과열도의 제어를 말하며, 난방 운전의 경우에는 각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출구의 과냉각도의 제어를 말한다.
(2-1) 냉방 운전
우선, 냉방 운전에 대해서 도 1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냉방 운전시에는, 사방 전환 밸브(22)가 도 1의 실선으로 나타내지는 상태, 즉 압축기(21)의 토출측이 실외 열 교환기(23)의 가스측에 접속되면서, 또한 압축기(21)의 흡입측이 가스측 폐쇄 밸브(27) 및 가스 냉매 연락관(72)을 개재해서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가스측에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실외 팽창 밸브(38)는 완전 개방 상태로 되어 있다. 액측 폐쇄 밸브(26) 및 가스측 폐쇄 밸브(27)는 개방 상태로 되어 있다. 각 실내 팽창 밸브(41, 51, 61)는,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출구(즉,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가스측)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열도 SH가 목표 과열도 SHt에서 일정해지도록 개방도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목표 과열도 SHt는, 소정의 과열도 범위 내에서 실내 온도 Tr이 설정 온도 Ts로 모아지는데 최적인 온도값으로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열도 SH는, 가스측 온도 센서(45, 55, 65)에 의해 검출되는 냉매 온도값으로부터 액측 온도 센서(44, 54, 64)에 의해 검출되는 냉매 온도값(증발 온도 Te에 대응)을 뺌으로써 검출된다. 단, 각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열도 SH는, 상술한 방법으로 검출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흡입 압력 센서(29)에 의해 검출되는 압축기(21)의 흡입 압력을 증발 온도 Te에 대응하는 포화 온도값으로 환산하여, 가스측 온도 센서(45, 55, 65)에 의해 검출되는 냉매 온도값으로부터 이 냉매의 포화 온도값을 뺌으로써 검출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채용하지 않고 있지만, 각 실내 열 교환기(42, 52, 62) 내를 흐르는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마련하여, 이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증발 온도 Te에 대응하는 냉매 온도값을 가스측 온도 센서(45, 55, 65)에 의해 검출되는 냉매 온도값으로부터 뺌으로써, 각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열도 SH를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이 냉매 회로(11)의 상태로 압축기(21), 실외 팬(28) 및 실내 팬(43, 53, 63)을 운전하면, 저압의 가스 냉매는 압축기(21)에 흡입되고 압축되어서 고압의 가스 냉매가 된다. 그 후, 고압의 가스 냉매는, 사방 전환 밸브(22)를 경유해서 실외 열 교환기(23)로 보내져, 실외 팬(28)에 의해 공급되는 실외 공기와 열 교환을 행해서 응축해서 고압의 액냉매가 된다. 그리고, 이 고압의 액냉매는 액측 폐쇄 밸브(26) 및 액냉매 연락관(71)을 경유하여 실내기(40, 50, 60)에 보내진다.
이 실내기(40, 50, 60)에 보내진 고압의 액냉매는,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에 의해 압축기(21)의 흡입 압력 가까이까지 감압되어서 저압의 기액 2상 상태의 냉매가 되어 실내 열 교환기(42, 52, 62)로 보내지고,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에서 실내 공기와 열 교환을 행해서 증발해서 저압의 가스 냉매가 된다.
이 저압의 가스 냉매는, 가스 냉매 연락관(72)을 경유해서 실외기(20)에 보내지고, 가스측 폐쇄 밸브(27) 및 사방 전환 밸브(22)를 경유하여 어큐뮬레이터(24)에 유입된다. 그리고, 어큐뮬레이터(24)에 유입된 저압의 가스 냉매는, 다시 압축기(21)에 흡입된다. 이와 같이, 공기 조화 장치(10)에서는, 실외 열 교환기(23)를 압축기(21)에서 압축되는 냉매의 응축기로 하면서, 또한 실내 열 교환기(42, 52, 62)를 실외 열 교환기(23)에서 응축된 후에 액냉매 연락관(71) 및 실내 팽창 밸브(41, 51, 61)를 통해서 보내지는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시키는 냉방 운전을 적어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10)에서는,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가스측에 냉매의 압력을 조정하는 기구가 없기 때문에, 모든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에 있어서의 증발 압력 Pe가 공통의 압력이 된다.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0)에서는, 이 냉방 운전에 있어서, 도 3의 흐름도에 기초하여 에너지 절약 제어가 행해지고 있다. 이하, 냉방 운전에 있어서의 에너지 절약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스텝 S11에 있어서, 각 실내기(40, 50, 60)의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의 공조 능력 연산부(47a, 57a, 67a)가, 그 시점에 있어서의 실내 온도 Tr과 증발 온도 Te와의 온도차인 온도차ΔTer과, 실내 팬(43, 53, 63)에 의한 실내 팬 풍량 Ga와, 과열도 SH에 기초하여, 실내기(40, 50, 60)에 있어서의 공조 능력 Q1을 연산한다. 연산된 공조 능력 Q1은,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의 메모리(47c, 57c, 67c)에 기억된다. 또한, 공조 능력 Q1은 온도차ΔTer 대신에 증발 온도 Te를 채용해서 연산해도 좋다.
스텝 S12에서는, 공조 능력 연산부(47a, 57a, 67a)가, 실내 온도 센서(46, 56, 66)가 검출하는 실내 온도 Tr과, 그때에 이용자가 리모콘 등에 의해 설정하고 있는 설정 온도 Ts와의 온도차ΔT에 기초하여 실내 공간의 공조 능력의 변위ΔQ를 연산하고, 공조 능력 Q1에 가함으로써, 요구 능력 Q2를 연산한다. 연산된 요구 능력 Q2는,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의 메모리(47c, 57c, 67c)에 기억된다. 그리고,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실내기(40, 50, 60)에 있어서는, 실내 팬(43, 53, 63)이 풍량 자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요구 능력 Q2에 기초하여 설정 온도 Ts로 실내 온도 Tr이 모아지도록, 각 실내 팬(43, 53, 63)의 풍량 및 각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를 조정하는 실내 온도 제어가 행해지고 있다. 또한, 실내 팬(43, 53, 63)이 풍량 고정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요구 능력 Q2에 기초하여 설정 온도 Ts로 실내 온도 Tr이 모아지도록, 각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를 조정하는 실내 온도 제어가 행해지고 있다. 즉, 실내 온도 제어에 의해, 각 실내기(40, 50, 60)의 공조 능력은 상술한 공조 능력 Q1과 요구 능력 Q2 사이에 계속 유지되게 된다. 또한, 실내기(40, 50, 60)의 공조 능력 Q1이나 요구 능력 Q2는, 실질적으로는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열 교환량에 상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에너지 절약 제어에 있어서, 실내기(40, 50, 60)의 공조 능력 Q1이나 요구 능력 Q2는, 현재의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열 교환량에 상당하는 것이다.
스텝 S13에서는, 각 실내 팬(43, 53, 63)의 리모콘에 있어서의 풍량 설정 모드가 풍량 자동 모드가 되어 있는지 풍량 고정 모드가 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각 실내 팬(43, 53, 63)의 풍량 설정 모드가 풍량 자동 모드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스텝 S14로 이행하고, 풍량 고정 모드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스텝 S15로 이행한다.
스텝 S14에서는,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가, 요구 능력 Q2, 각 실내 팬(43, 53, 63)의 풍량 최대값 GaMAX(「강풍」에 있어서의 풍량) 및 과열도 최소값 SHmin에 기초하여 각 실내기(40, 50, 60)의 요구 증발 온도 Ter을 연산한다.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는, 추가로 요구 증발 온도 Ter로부터 그때에 액측 온도 센서(44)에 의해 검출되는 증발 온도 Te를 감산한 증발 온도차ΔTe를 연산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과열도 최소값 SHmin」이란,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 조정에 의한 과열도 설정 가능 범위 중 최소값이며, 기종에 따라 상이한 값이 설정된다. 또한, 각 실내기(40, 50, 60)에 있어서, 각 실내 팬(43, 53, 63)의 풍량이나 과열도를 풍량 최대값 GaMAX 및 과열도 최소값 SHmin으로 하면, 현재보다도 큰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상태를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에, 풍량 최대값 GaMAX 및 과열도 최소값 SHmin이라는 운전 상태량은, 현재보다도 큰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상태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운전 상태량을 의미한다. 그리고, 연산된 증발 온도차ΔTe는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의 메모리(47c, 57c, 67c)에 기억된다.
스텝 S15에서는,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가, 요구 능력 Q2, 각 실내 팬(43, 53, 63)의 고정 풍량 Ga(예를 들어 「중간풍」에 있어서의 풍량) 및 과열도 최소값 SHmin에 기초하여 각 실내기(40, 50, 60)의 요구 증발 온도 Ter을 연산한다.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는, 추가로 요구 증발 온도 Ter로부터 그때에 액측 온도 센서(44)에 의해 검출되는 증발 온도 Te를 감산한 증발 온도차ΔTe를 연산한다. 연산된 증발 온도차ΔTe는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의 메모리(47c, 57c, 67c)에 기억된다. 이 스텝 S15에서는, 풍량 최대값 GaMAX가 아닌 고정 풍량 Ga가 채용되지만, 이는 이용자가 설정한 풍량을 우선하기 위함이며, 이용자가 설정하고 있는 범위에서의 풍량 최대값으로서 인식하게 된다.
스텝 S16에서는, 스텝 S14 및 스텝 S15에서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의 메모리(47c, 57c, 67c)에 기억된 증발 온도차ΔTe가 실외측 제어 장치(37)에 송신되어, 실외측 제어 장치(37)의 메모리(37b)에 기억된다. 그리고, 실외측 제어 장치(37)의 목표값 결정부(37a)가 증발 온도차ΔTe 내에서 최소의 최소 증발 온도차ΔTem in을 목표 증발 온도차ΔTet로서 결정한다. 예를 들어, 각 실내기(40, 50, 60)의 ΔTe가 1℃, 0℃, -2℃인 경우, ΔTemin은 -2℃이다.
스텝 S17에서는, 목표 증발 온도차ΔTet에 근접하도록 압축기(21)의 운전 용량이 제어된다. 이와 같이, 목표 증발 온도차ΔTet에 기초하여 압축기(21)의 운전 용량이 제어되는 결과로서, 목표 증발 온도차ΔTet로서 채용된 최소 증발 온도차ΔTemin을 연산한 실내기(여기서는, 임시로 실내기(40)로 함)에서는, 실내 팬(43)이 풍량 자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풍량 최대값 GaMAX가 되도록 조정됨으로써, 실내 열 교환기(42)의 출구의 과열도 SH가 최소값이 되도록 실내 팽창 밸브(41)가 조정되게 된다.
또한, 스텝 S11의 공조 능력 Q1의 연산 및 스텝 S14 또는 스텝 S15에서 행해지는 증발 온도차ΔTe의 연산에는, 실내기(40, 50, 60)마다의 공조(요구) 능력 Q, 풍량 Ga, 과열도 SH 및 온도차ΔTer의 관계를 고려한 실내기(40, 50, 60)마다 상이한 냉방용 열 교환 함수에 의해 구해진다. 이 냉방용 열 교환 함수는, 각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특성을 나타내는 공조(요구) 능력 Q, 풍량 Ga, 과열도 SH 및 온도차ΔTer이 관련된 관계식으로, 실내기(40, 50, 60)의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의 메모리(47c, 57c, 67c)에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공조(요구) 능력 Q, 풍량 Ga, 과열도 SH 및 온도차ΔTer 중 하나의 변수는, 그 밖의 3개의 변수를 냉방용 열 교환 함수에 입력함으로써 구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증발 온도차ΔTe를 고정밀도이고 적정한 값으로 할 수 있어, 정확하게 목표 증발 온도차ΔTet를 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증발 온도 Te의 지나친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내기(40, 50, 60)의 공조 능력의 과부족을 방지하면서, 실내기(40, 50, 60)를 최적의 상태로 빠르게 안정적으로 실현할 수 있으며, 한층 더 에너지 절약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이 플로우에서 목표 증발 온도차ΔTet에 기초하여 압축기(21)의 운전 용량을 제어하고 있지만, 목표 증발 온도차ΔTet로 한정되지 않으며, 각 실내기(40, 50, 60)에서 연산된 요구 증발 온도 Ter의 최소값을 목표 증발 온도 Tet로서 목표값 결정부(37a)가 결정하고, 결정된 목표 증발 온도 Tet에 기초하여 압축기(21)의 운전 용량을 제어해도 좋다.
(2-1-2) 난방 운전
이어서, 난방 운전에 대해서 도 1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난방 운전시에는, 사방 전환 밸브(22)가 도 1의 파선으로 나타내지는 상태(난방 운전 상태), 즉 압축기(21)의 토출측이 가스측 폐쇄 밸브(27) 및 가스 냉매 연락관(72)을 개재해서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가스측에 접속되면서, 또한 압축기(21)의 흡입측이 실외 열 교환기(23)의 가스측에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실외 팽창 밸브(38)는, 실외 열 교환기(23)에 유입되는 냉매를 실외 열 교환기(23)에서 증발시키는 것이 가능한 압력(즉, 증발 압력 Pe)까지 감압하기 위해 개방도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액측 폐쇄 밸브(26) 및 가스측 폐쇄 밸브(27)는 개방 상태로 되어 있다. 실내 팽창 밸브(41, 51, 61)는,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냉각도 SC가 목표 과냉각도 SCt에서 일정해지도록 개방도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목표 과냉각도 SCt는, 그때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특정되는 과냉각도 범위 내에서 실내 온도 Tr이 설정 온도 Ts로 모아지기 위해 최적의 온도값으로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냉각도 SC는, 토출 압력 센서(30)에 의해 검출되는 압축기(21)의 토출 압력 Pd를 응축 온도 Tc에 대응하는 포화 온도값으로 환산하고, 이 냉매의 포화 온도값으로부터 액측 온도 센서(44, 54, 64)에 의해 검출되는 냉매 온도값을 뺌으로써 검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채용하지 않고 있지만 각 실내 열 교환기(42, 52, 62) 내를 흐르는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마련하여, 이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응축 온도 Tc에 대응하는 냉매 온도값을, 액측 온도 센서(44, 54, 64)에 의해 검출되는 냉매 온도값으로부터 뺌으로써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냉각도 SC를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이 냉매 회로(11)의 상태에서 압축기(21), 실외 팬(28) 및 실내 팬(43, 53, 63)을 운전하면, 저압의 가스 냉매는 압축기(21)에 흡입되고 압축되어서 고압의 가스 냉매가 되고, 사방 전환 밸브(22), 가스측 폐쇄 밸브(27) 및 가스 냉매 연락관(72)을 경유하여 실내기(40, 50, 60)에 보내진다.
그리고, 실내기(40, 50, 60)에 보내진 고압의 가스 냉매는,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에 있어서, 실내 공기와 열 교환을 행해서 응축해서 고압의 액냉매가 된 후, 실내 팽창 밸브(41, 51, 61)를 통과할 때에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밸브 개방도에 따라 감압된다.
이 실내 팽창 밸브(41, 51, 61)를 통과한 냉매는, 액냉매 연락관(71)을 경유해서 실외기(20)에 보내지고, 액측 폐쇄 밸브(26) 및 실외 팽창 밸브(38)를 경유해서 더 감압된 후에 실외 열 교환기(23)에 유입된다. 그리고, 실외 열 교환기(23)에 유입된 저압의 기액 2상 상태의 냉매는, 실외 팬(28)에 의해 공급되는 실외 공기와 열 교환을 행해서 증발해서 저압의 가스 냉매가 되고, 사방 전환 밸브(22)를 경유해서 어큐뮬레이터(24)에 유입된다. 그리고, 어큐뮬레이터(24)에 유입된 저압의 가스 냉매는 다시 압축기(21)에 흡입된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10)에서는,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가스측에 냉매의 압력을 조정하는 기구가 없기 때문에, 모든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에 있어서의 응축 압력 Pc가 공통의 압력이 된다.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0)에서는, 이 난방 운전에 있어서, 도 4의 흐름도에 기초하여 에너지 절약 제어가 행해지고 있다. 이하, 난방 운전에 있어서의 에너지 절약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스텝 S21에 있어서, 각 실내기(40, 50, 60)의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의 공조 능력 연산부(47a, 57a, 67a)가, 그 시점에 있어서의 실내 온도 Tr과 응축 온도 Tc와의 온도차인 온도차ΔTcr과, 실내 팬(43, 53, 63)에 의한 실내 팬 풍량 Ga와, 과냉각도 SC에 기초하여, 현재의 실내기(40, 50, 60)에 있어서의 공조 능력 Q3을 연산한다. 연산된 공조 능력 Q3은,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의 메모리(47c, 57c, 67c)에 기억된다. 또한, 공조 능력 Q3은, 온도차ΔTcr 대신에 응축 온도 Tc를 채용해서 연산해도 좋다.
스텝 S22에서는, 공조 능력 연산부(47a, 57a, 67a)가, 실내 온도 센서(46, 56, 66)가 검출하는 실내 온도 Tr과, 그 때에 이용자가 리모콘 등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설정 온도 Ts와의 온도차ΔT에 기초하여 실내 공간의 공조 능력의 변위ΔQ를 연산하고, 공조 능력 Q3에 가함으로써 요구 능력 Q4를 연산한다. 연산된 요구 능력 Q4는,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의 메모리(47c, 57c, 67c)에 기억된다. 그리고,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실내기(40, 50, 60)에 있어서는, 실내 팬(43, 53, 63)이 풍량 자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요구 능력 Q4에 기초하여 설정 온도 Ts로 실내 온도 Tr이 모아지도록, 각 실내 팬(43, 53, 63)의 풍량 및 각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를 조정하는 실내 온도 제어가 행해지고 있다. 또한, 실내 팬(43, 53, 63)이 풍량 고정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요구 능력 Q4에 기초하여 설정 온도 Ts로 실내 온도 Tr이 모아지도록, 각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를 조정하는 실내 온도 제어가 행해지고 있다. 즉, 실내 온도 제어에 의해, 각 실내기(40, 50, 60)의 공조 능력은 상술한 공조 능력 Q3과 요구 능력 Q4 사이에 계속 유지되게 된다. 또한, 실내기(40, 50, 60)의 공조 능력 Q3이나 요구 능력 Q4는, 실질적으로는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열 교환량에 상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에너지 절약 제어에 있어서, 실내기(40, 50, 60)의 공조 능력 Q3이나 요구 능력 Q4는, 현재의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열 교환량에 상당하는 것이다.
스텝 S23에서는, 각 실내 팬(43, 53, 63)의 리모콘에 있어서의 풍량 설정 모드가 풍량 자동 모드로 되어 있을지 풍량 고정 모드로 되어 있을지를 확인한다. 각 실내 팬(43, 53, 63)의 풍량 설정 모드가, 풍량 자동 모드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스텝 S24로 이행하고, 풍량 고정 모드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스텝 S25로 이행한다.
스텝 S24에서는,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가 요구 능력 Q4, 각 실내 팬(43, 53, 63)의 풍량 최대값 GaMAX(「강풍」에 있어서의 풍량) 및 과냉각도 최소값 SCmin에 기초하여 각 실내기(40, 50, 60)의 요구 응축 온도 Tcr을 연산한다.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는, 추가로 요구 응축 온도 Tcr로부터 그때에 액측 온도 센서(44)에 의해 검출되는 응축 온도 Tc를 감산한 응축 온도차ΔTc를 연산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과냉각도 최소값 SCmin」이란,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 조정에 의한 과냉각도 설정 가능 범위 중 최소값이며, 기종에 따라 상이한 값이 설정된다. 또한, 각 실내기(40, 50, 60)에 있어서, 각 실내 팬(43, 53, 63)의 풍량이나 과열도를 풍량 최대값 GaMAX 및 과냉각도 최소값 SCmin으로 하면, 현재보다도 큰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상태를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에, 풍량 최대값 GaMAX 및 과냉각도 최소값 SCmin이라는 운전 상태량은, 현재보다도 큰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상태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운전 상태량을 의미한다. 그리고, 연산된 응축 온도차ΔTc는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의 메모리(47c, 57c, 67c)에 기억된다.
스텝 S25에서는,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가 요구 능력 Q4, 각 실내 팬(43, 53, 63)의 고정 풍량 Ga(예를 들어 「중간풍」에 있어서의 풍량) 및 과냉각도 최소값 SCmin에 기초하여 각 실내기(40, 50, 60)의 요구 응축 온도 Tcr을 연산한다.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는, 추가로 요구 응축 온도 Tcr로부터 그때에 액측 온도 센서(44)에 의해 검출되는 응축 온도 Tc를 감산한 응축 온도차ΔTc를 연산한다. 연산된 응축 온도차ΔTc는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의 메모리(47c, 57c, 67c)에 기억된다. 이 스텝 S25에서는, 풍량 최대값 GaMAX가 아닌 고정 풍량 Ga가 채용되지만, 이것은 이용자가 설정한 풍량을 우선하기 위함이며, 이용자가 설정하고 있는 풍량의 범위에서의 최대값으로서 인식하게 된다.
스텝 S26에서는, 스텝 S24 및 스텝 S25에서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의 메모리(47c, 57c, 67c)에 기억된 응축 온도차ΔTc가 실외측 제어 장치(37)에 송신되어, 실외측 제어 장치(37)의 메모리(37b)에 기억된다. 그리고, 실외측 제어 장치(37)의 목표값 결정부(37a)가 응축 온도차ΔTc 내에서 최대인 최대 응축 온도차ΔTcM AX를 목표 응축 온도차ΔTct로서 결정한다.
스텝 S27에서는, 목표 응축 온도차ΔTct에 기초하여 압축기(21)의 운전 용량이 제어된다. 이와 같이, 목표 응축 온도차ΔTct에 기초하여 압축기(21)의 운전 용량이 제어되는 결과로서, 목표 응축 온도차ΔTct로서 채용된 최대 응축 온도차ΔTcMAX를 연산한 실내기(여기서는, 임시로 실내기(40)로 함)에서는, 실내 팬(43)이 풍량 자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풍량 최대값 GaMAX가 되도록 조정됨으로써, 실내 열 교환기(42)의 출구의 과냉각도 SC가 최소값이 되도록 실내 팽창 밸브(41)가 조정되게 된다.
또한, 스텝 S21의 공조 능력 Q3의 연산 및 스텝 S24 또는 스텝 S25에서 행해지는 응축 온도차ΔTc의 연산에는, 실내기(40, 50, 60)마다의 공조(요구) 능력 Q, 풍량 Ga, 과냉각도 SC 및 온도차ΔTcr(실내 온도 Tr과 응축 온도 Tc와의 온도차)의 관계를 고려한 실내기(40, 50, 60)마다 상이한 난방용 열 교환 함수에 의해 구해진다. 이 난방용 열 교환 함수는, 각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특성을 나타내는 공조(요구) 능력 Q, 풍량 Ga, 과열도 SH 및 온도차ΔTcr이 관련된 관계식이며, 실내기(40, 50, 60)의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의 메모리(47c, 57c, 67c)에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공조(요구) 능력 Q, 풍량 Ga, 과냉각도 SC 및 온도차ΔTcr 중 하나의 변수는, 그 밖의 3개의 변수를 난방용 열 교환 함수에 입력함으로써 구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응축 온도차ΔTc를 고정밀도이고 적정한 값으로 할 수 있어, 정확하게 목표 응축 온도차ΔTct를 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응축 온도 Tc의 지나친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내기(40, 50, 60)의 공조 능력의 과부족을 방지하면서, 실내기(40, 50, 60)를 최적의 상태로 빠르게 안정적으로 실현할 수 있으며, 한층 더 에너지 절약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이 플로우에서 목표 응축 온도차ΔTct에 기초하여 압축기(21)의 운전 용량을 제어하고 있지만, 목표 응축 온도차ΔTct로 한정되지 않으며, 각 실내기(40, 50, 60)에서 연산된 요구 응축 온도 Tcr의 최대값을 목표 응축 온도 Tct로 하여 목표값 결정부(37a)가 결정되고, 결정된 목표 응축 온도 Tct에 기초하여 압축기(21)의 운전 용량을 제어해도 좋다.
또한, 이상과 같은 운전 제어는,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을 포함하는 통상 운전을 행하는 운전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운전 제어 장치(80)(보다 구체적으로는,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와 실외측 제어 장치(37)와 운전 제어 장치(37, 47, 57) 사이를 접속하는 전송선(80a))에 의해 행해진다.
(3) 특징
(3-1)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0)의 운전 제어 장치(80)에서는, 냉방 운전의 경우에, 공조 능력 연산부(47a, 57a, 67a)가 실내기(40, 50, 60)마다 증발 온도 Te와, 실내 팬(43, 53, 63)에 의한 실내 팬 풍량 Ga와, 과열도 SH에 기초하여, 현재의 실내기(40, 50, 60)에 있어서의 공조 능력 Q1을 연산한다. 공조 능력 연산부(47a, 57a, 67a)는, 또한 연산된 공조 능력 Q1과, 공조 능력의 변위ΔQ에 기초하여 요구 능력 Q2를 연산한다. 그리고,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가 요구 능력 Q2, 각 실내 팬(43, 53, 63)의 풍량 최대값 GaMAX(「강풍」에 있어서의 풍량) 및 과열도 최소값 SHmin에 기초하여 각 실내기(40, 50, 60)의 요구 증발 온도 Ter을 연산한다.
또한, 난방 운전의 경우에, 공조 능력 연산부(47a, 57a, 67a)가 실내기(40, 50, 60)마다 응축 온도 Tc와, 실내 팬(43, 53, 63)에 의한 실내 팬 풍량 Ga와, 과냉각도 SC에 기초하여, 현재의 실내기(40, 50, 60)에 있어서의 공조 능력 Q3을 연산한다. 공조 능력 연산부(47a, 57a, 67a)는, 또한 연산된 공조 능력 Q3과, 공조 능력의 변위ΔQ에 기초하여 요구 능력 Q4를 연산한다. 그리고,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가 요구 능력 Q4, 각 실내 팬(43, 53, 63)의 풍량 최대값 GaMAX(「강풍」에 있어서의 풍량) 및 과냉각도 최소값 SCmin에 기초하여 각 실내기(40, 50, 60)의 요구 응축 온도 Tcr을 연산한다.
이와 같이, 공조 능력 연산부(47a, 57a, 67a)와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를 포함하는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가 공조 능력 Q1, Q3과, 풍량 최대값 GaMAX와, 과열도 최소값 SHmin(과냉각도 최소값 SCmin)에 기초하여 요구 증발 온도 Ter 또는 요구 응축 온도 Tcr을 실내기(40, 50, 60)마다 연산하고 있기 때문에, 각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능력이 더 발휘된 상태에 있어서의 요구 증발 온도 Ter 또는 요구 응축 온도 Tcr을 연산하고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충분히 각 실내기(40, 50, 60)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상태의 요구 증발 온도 Ter(또는 요구 응축 온도 Tcr)을 구할 수 있고, 이들 요구 증발 온도 Ter(또는 요구 응축 온도 Tcr) 중 최소(최대)의 요구 증발 온도 Ter(요구 응축 온도 Tcr)을 채용하여, 목표 증발 온도차ΔTet(목표 응축 온도차ΔTct)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분히 각 실내기(40, 50, 60)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상태의 각 실내기(40, 50, 60)에 있어서 요구 공조 능력이 가장 큰 실내기에 맞춰 목표 증발 온도차ΔTet(목표 응축 온도차ΔTct)를 결정할 수 있고, 운전 효율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3-2)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10)의 운전 제어 장치(80)는, 실내 팬(43, 53, 63)의 풍량이 소정 풍량 범위인 「약풍 」에서부터 「강풍」의 풍량의 범위에서 조정 가능하다. 실내 팬(43, 53, 63)이 풍량 자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소정 풍량 범위의 최대값인 「강풍」에 있어서의 풍량을 풍량 최대값 GaMAX로 하여 요구 증발 온도 Ter 또는 요구 응축 온도 Tcr의 연산에 채용된다. 또한, 실내 팬(43, 53, 63)이 풍량 고정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용자에 의해 설정된 고정 풍량(예를 들어 「중간풍」)을 풍량 최대값 GaMAX로 하여 요구 증발 온도 Ter 또는 요구 응축 온도 Tcr의 연산에 채용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0)에 있어서, 풍량 자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실내기와 풍량 고정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실내기가 혼재하고 있을 경우나, 모든 실내기(40, 50, 60)가 풍량 고정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풍량 자동 모드의 실내기에 있어서는 그때의 실내 팬의 풍량에 관계없이 소정 풍량 범위의 최대값인 「강풍」에 있어서의 풍량을 풍량 최대값 GaMAX로 하고, 풍량 고정 모드의 실내기에 있어서는 이용자가 설정한 고정 풍량(예를 들어 「중간풍」)을 풍량 최대값 GaMAX로 하게 된다. 이로 인해, 풍량 고정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실내기에서는 이용자의 풍량에 관한 기호를 우선시킨 상태에서 요구 증발 온도 Ter 또는 요구 응축 온도 Tcr을 연산할 수 있고, 그 이외의 풍량 자동 모드의 실내기에서는 풍량을 소정 풍량 범위의 최대값인 「강풍」의 풍량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요구 증발 온도 Ter 또는 요구 응축 온도 Tcr을 연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용자의 기호를 우선하면서 운전 효율의 향상을 최대한 도모할 수 있다.
(3-3)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10)의 운전 제어 장치(80)에서는, 목표 증발 온도차ΔTet 또는 목표 응축 온도차ΔTct에 기초하여 압축기(21)의 용량 제어를 행한다.
따라서, 가장 요구 공조 능력이 큰 실내기에 있어서의 요구 증발 온도 Ter(요구 응축 온도 Tcr)을 목표 증발 온도차ΔTet(목표 응축 온도ΔTct)로 설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장 요구 능력이 큰 실내기에 대하여 과부족이 없도록 목표 증발 온도차ΔTet(목표 응축 온도차ΔTct)로 설정할 수 있고, 압축기(21)를 필요 최저한의 용량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4) 변형예
(4-1) 변형예 1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10)의 운전 제어 장치(80)에서는, 목표 증발 온도차ΔTet 또는 목표 응축 온도차ΔTct를 연산하여, 목표 증발 온도차ΔTet 또는 목표 응축 온도차ΔTct에 기초하여 압축기(21)의 용량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이 압축기(21)의 용량 제어가 행해짐과 함께, 리모콘 등에 의해 이용자가 설정하고 있는 설정 온도 Ts에 실내 온도 Tr이 근접하도록 각 실내 팽창 밸브(41, 51, 61) 또는 각 실내 팬(43, 53, 63)이 제어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목표 증발 온도차ΔTet(목표 응축 온도차ΔTct)로서 채용된 최소 증발 온도차ΔTemin(최대 응축 온도차ΔTcMAX)을 연산한 실내기(여기서는, 임시로 실내기(40)로 함)에서는, 실내 팬(43)이 풍량 자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풍량 최대값 GaMAX가 되도록 조정됨으로써, 실내 열 교환기(42)의 출구의 과열도 SH(과냉각도 SC)가 최소값(최대값)이 되도록 실내 팽창 밸브(41)가 조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목표 증발 온도차ΔTet(목표 응축 온도차ΔTct)에 기초하는 압축기(21)의 용량 제어와 리모콘 등에 의해 이용자가 설정하고 있는 설정 온도 Ts에 실내 온도 Tr이 근접하도록 자연스럽게 각 실내 팽창 밸브(41, 51, 61) 또는 각 실내 팬(43, 53, 63)의 제어가 행해지고 있지만, 이 자연스러운 제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목표 증발 온도차ΔTet(목표 응축 온도차ΔTct)를 결정함과 함께 각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를 조정하기 위한 목표 과열도 SHt(목표 과냉각도 SCt) 및 실내 팬(43, 53, 63)의 목표 풍량 Gat를 결정하여, 결정된 팽창 밸브의 개방도 및 실내 팬의 풍량으로 운전하도록 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목표 과열도 SHt(목표 과냉각도 SCt)는, 상기 실시 형태로 연산된 요구 능력 Q2(Q4)와, 목표 증발 온도차ΔTet(목표 응축 온도차ΔTct)와, 현재의 실내 팬 풍량 Ga에 기초하여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에 의해 연산된다. 또한, 목표 풍량 Gat는 요구 능력 Q2(Q4)와, 목표 증발 온도차ΔTet(목표 응축 온도차ΔTct)와, 현재의 과열도 SH(과냉각도 SC)에 기초하여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에 의해 연산된다.
(4-2) 변형예 2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10)에서는, 실내기(40, 50, 60)에 구비되는 실내 팬(43, 53, 63)의 풍량은, 풍량 자동 모드와 풍량 고정 모드를 이용자가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풍량 자동 모드만 설정 가능한 실내기여도 좋고, 풍량 고정 모드만 설정 가능한 실내기여도 좋다.
풍량 자동 모드만을 설정 가능한 실내기인 경우에는, 상기 실시 형태의 냉방 운전의 플로우 내에서 스텝 S13과 스텝 S15가 생략된 것이 되고, 난방 운전의 플로우 내에서 스텝 S23과 스텝 S25가 생략된 것이 된다.
또한, 풍량 고정 모드만을 설정 가능한 실내기인 경우에는, 상기 실시 형태의 냉방 운전의 플로우 내에서 스텝 S13과 스텝 S14가 생략된 것이 되고, 난방 운전의 플로우 내에서 스텝 S23과 스텝 S25가 생략된 것이 된다.
(4-3) 변형예 3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 2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10)의 운전 제어 장치(80)에서는, 냉방 운전의 에너지 절약 제어의 스텝 S11, 또는 난방 운전의 에너지 절약 제어의 스텝 S21에 있어서, 공조 능력 연산부(47a, 57a, 67a)가 공조 능력 Q1(Q3)을 연산하고 있지만, 이 연산을 행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31 내지 S35의 에너지 절약 제어가 행해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냉방 운전의 에너지 절약 제어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며, 난방 운전의 에너지 절약 제어에 대해서는 냉방 운전의 에너지 절약 제어와 상이한 부분을 괄호에 써서 설명하기로 한다. 즉, 난방 운전의 에너지 절약 제어는, 냉방 운전의 에너지 절약 제어의 문언을 괄호에 쓴 문언으로 치환한 제어가 된다.
스텝 S31에 있어서, 각 실내 팬(43, 53, 63)의 리모콘에 있어서의 풍량 설정 모드가 풍량 자동 모드로 되어 있을지 풍량 고정 모드로 되어 있을지를 확인한다. 각 실내 팬(43, 53, 63)의 풍량 설정 모드가, 풍량 자동 모드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스텝 S32로 이행하고, 풍량 고정 모드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스텝 S33으로 이행한다.
스텝 S32에서는,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가 각 실내 팬(43, 53, 63)의 현재의 실내 팬 풍량 Ga, 각 실내 팬(43, 53, 63)의 풍량 최대값 GaMAX(「강풍」에 있어서의 풍량), 현재의 과열도 SH(현재의 과냉각도 SC) 및 과열도 최소값 SHmin(과냉각도 최소값 SCmin)에 기초하여 각 실내기(40, 50, 60)의 요구 증발 온도 Ter(요구 응축 온도 Tcr)을 연산한다.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는, 추가로 요구 증발 온도 Ter(요구 응축 온도 Tcr)로부터 그때에 액측 온도 센서(44)에 의해 검출되는 증발 온도 Te(응축 온도 Tc)를 감산한 증발 온도차ΔTe(응축 온도차ΔTc)를 연산한다. 연산된 증발 온도차ΔTe(응축 온도차ΔTc)는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의 메모리(47c, 57c, 67c)에 기억된다.
스텝 S33에서는,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가 각 실내 팬(43, 53, 63)의 고정 풍량 Ga(예를 들어 「중간풍」에 있어서의 풍량), 현재의 과열도 SH(현재의 과냉각도 SC) 및 과열도 최소값 SHmin(과냉각도 최소값 SCmin)에 기초하여 각 실내기(40, 50, 60)의 요구 증발 온도 Ter(요구 응축 온도 Tcr)을 연산한다.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는, 추가로 요구 증발 온도 Ter(요구 응축 온도 Tcr)로부터 그때에 액측 온도 센서(44)에 의해 검출되는 증발 온도 Te(응축 온도 Tc)를 감산한 증발 온도차ΔTe(응축 온도차ΔTc)를 연산한다. 연산된 증발 온도차ΔTe(응축 온도차ΔTc)는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의 메모리(47c, 57c, 67c)에 기억된다. 이 스텝 S15에서는, 풍량 최대값 GaMAX가 아닌 고정 풍량 Ga가 채용되지만, 이것은 이용자가 설정한 풍량을 우선하기 위함이며, 이용자가 설정하고 있는 범위에서의 풍량 최대값으로서 인식하게 된다.
스텝 S34에서는, 스텝 S32 및 스텝 S33에 있어서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의 메모리(47c, 57c, 67c)에 기억된 증발 온도차ΔTe(응축 온도차ΔTc)가 실외측 제어 장치(37)에 송신되어, 실외측 제어 장치(37)의 메모리(37b)에 기억된다. 그리고, 실외측 제어 장치(37)의 목표값 결정부(37a)가 증발 온도차ΔTe(응축 온도차ΔTc) 내에서 최소인 최소 증발 온도차ΔTemin(최대 응축 온도차ΔTcMAX)을 목표 증발 온도차ΔTet(목표 응축 온도차ΔTct)로서 결정한다.
스텝 S35에서는, 목표 증발 온도차ΔTet(목표 응축 온도차ΔTct)에 근접하도록 압축기(21)의 운전 용량이 제어된다. 이와 같이, 목표 증발 온도차ΔTet(목표 응축 온도차ΔTct)에 기초하여 압축기(21)의 운전 용량이 제어되는 결과로서, 목표 증발 온도차ΔTet(목표 응축 온도차ΔTct)로서 채용된 최소 증발 온도차ΔTemin(최대 응축 온도차ΔTcMAX)을 연산한 실내기(여기서는, 임시로 실내기(40)로 함)에서는, 실내 팬(43)이 풍량 자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풍량 최대값 GaMAX가 되도록 조정됨으로써, 실내 열 교환기(42)의 출구의 과열도 SH(과냉각도 SC)가 최소값이 되도록 실내 팽창 밸브(41)가 조정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스텝 S31 내지 S35의 에너지 절약 제어에서는, 공조 능력 연산부(47a, 57a, 67a)가 공조 능력 Q1(Q3) 및 요구 능력 Q2(Q4)의 연산을 행하지 않고 있지만, 공조 능력 Q1(Q3)의 연산을 행하지 않고, 직접 요구 능력 Q2(Q4)의 연산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의 스텝 S12(S22)에 있어서, 공조 능력 연산부(47a, 57a, 67a)가, 실내 온도 센서(46, 56, 66)가 검출하는 실내 온도 Tr과, 그때에 이용자가 리모콘 등에 의해 설정하고 있는 설정 온도 Ts와의 온도차ΔT를 연산하고, 이 온도차ΔT와, 실내 팬(43, 53, 63)에 의한 실내 팬 풍량 Ga와, 과열도 SH에 기초하여 요구 능력 Q2를 연산하고, 공조 능력 Q1(Q3)의 연산을 행하는 스텝 S11, S21을 생략하도록 해도 좋다.
(4-4) 변형예 4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 내지 3에서는, 각 실내기(40, 50, 60)의 요구 증발 온도 Ter(요구 응축 온도 Tcr)을 연산하는 데에, 현재의 실내 팬 풍량 Ga, 풍량 최대값 GaMAX, 현재의 과열도 SH(현재의 과냉각도 SC) 및 과열도 최소값 SHmin(과냉각도 최소값 SCmin)에 기초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현재의 실내 팬 풍량 Ga와 풍량 최대값 GaMAX와의 차인 풍량차ΔGa와, 현재의 과열도 SH(현재의 과냉각도 SC)와 과열도 최소값 SHmin(과냉각도 최소값 SCmin)과의 차인 과열도 차ΔSH(과냉각도 차ΔSC)를 구하고, 이들의 풍량차ΔGa와 과열도 차ΔSH(과냉각도 차ΔSC)에 기초하여 각 실내기(40, 50, 60)의 요구 증발 온도 Ter(요구 응축 온도 Tcr)을 연산해도 좋다.
(4-5) 변형예 5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 내지 4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10)의 운전 제어 장치(80)에서는, 냉방 운전에 있어서의 에너지 절약 제어의 스텝 S14(S32) 또는 스텝 S15(S33)에 있어서, 풍량 최대값 GaMAX 또는 풍량 최대값으로서의 고정 풍량 Ga 이외에, 추가로 과열도 최소값 SHmin에 기초하여 각 실내기(40, 50, 60)의 요구 증발 온도 Ter을 연산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풍량 최대값 GaMAX 또는 풍량 최대값으로서의 고정 풍량 Ga에만 기초하여 각 실내기(40, 50, 60)의 요구 증발 온도 Ter을 연산해도 좋다. 또한, 난방 운전에 있어서의 에너지 절약 제어의 스텝 S24(S32) 또는 스텝 S25(S33)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풍량 최대값 GaMAX 또는 풍량 최대값으로서의 고정 풍량 Ga 이외에, 추가로 과냉각도 최소값 SCmin에 기초하여 각 실내기(40, 50, 60)의 요구 증발 온도 Ter을 연산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풍량 최대값 GaMAX 또는 풍량 최대값으로서의 고정 풍량 Ga에만 기초하여 각 실내기(40, 50, 60)의 요구 응축 온도 Tcr을 연산해도 좋다.
(4-6) 변형예 6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 내지 5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10)의 운전 제어 장치(80)에서는, 냉방 운전에 있어서의 에너지 절약 제어의 스텝 S14(S32) 또는 스텝 S15(S33)에 있어서, 풍량 최대값 GaMAX 또는 풍량 최대값으로서의 고정 풍량 Ga와, 과열도 최소값 SHmin에 기초하여 각 실내기(40, 50, 60)의 요구 증발 온도 Ter을 연산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과열도 최소값 SHmin에만 기초하여 각 실내기(40, 50, 60)의 요구 증발 온도 Ter을 연산해도 좋다. 또한, 난방 운전에 있어서의 에너지 절약 제어의 스텝 S24(S32) 또는 스텝 S25(S33)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풍량 최대값 GaMAX 또는 풍량 최대값으로서의 고정 풍량 Ga와, 과냉각도 최소값 SCmin에 기초하여 각 실내기(40, 50, 60)의 요구 증발 온도 Ter을 연산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과냉각도 최소값 SCmin에만 기초하여 각 실내기(40, 50, 60)의 요구 응축 온도 Tcr을 연산해도 좋다.
(4-7) 변형예 7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 내지 6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10)의 운전 제어 장치(80)에서는, 공조 능력 연산부(47a, 57a, 67a)와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를 포함하는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가 현재의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열 교환량에 상당하는 공조 능력 Q1, Q2(Q3, Q4)와, 현재보다도 큰 상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인 풍량 최대값 GaMAX 및 과열도 최소값 SHmin(과냉각도 최소값 SCmin)에 기초하여 요구 증발 온도 Ter 또는 요구 응축 온도 Tcr을 실내기(40, 50, 60)마다 연산함으로써, 각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열 교환량이 최대한 발휘된 열 교환량 최대 상태에 있어서의 요구 증발 온도 Ter 또는 요구 응축 온도 Tcr을 연산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열 교환량 최대 상태에 있어서의 요구 증발 온도 Ter 또는 요구 응축 온도 Tcr을 연산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현재의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열 교환량보다도 소정 비율(이하의 설명에서는 5%)만 큰 열 교환량이 발휘된 열 교환량 상태에 있어서의 요구 증발 온도 Ter 또는 요구 응축 온도 Tcr을 연산해도 좋다.
본 변형예에서는, 냉방 운전에 있어서, 도 6의 흐름도에 기초하여 에너지 절약 제어가 행해지고 있다. 이하, 냉방 운전에 있어서의 에너지 절약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스텝 S41에 있어서, 각 실내기(40, 50, 60)의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의 공조 능력 연산부(47a, 57a, 67a)가, 그 시점에서의 실내 온도 센서(46, 56, 66)가 검출하는 실내 온도 Tr과, 그 때에 이용자가 리모콘 등에 의해 설정하고 있는 설정 온도 Ts와의 온도차ΔT를 연산하고, 이 온도차ΔT와, 실내 팬(43, 53, 63)에 의한 실내 팬 풍량 Ga와, 과열도 SH에 기초하여 요구 능력 Q2를 연산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스텝 S11, S12와 같이 공조 능력 Q1을 연산하고, 요구 능력 Q2를 연산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연산된 요구 능력 Q2는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의 메모리(47c, 57c, 67c)에 기억된다. 그리고, 도 6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실내기(40, 50, 60)에 있어서는, 실내 팬(43, 53, 63)이 풍량 자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요구 능력 Q2에 기초하여 설정 온도 Ts로 실내 온도 Tr이 모아지도록, 각 실내 팬(43, 53, 63)의 풍량 및 각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를 조정하는 실내 온도 제어가 행해지고 있다. 또한, 실내 팬(43, 53, 63)이 풍량 고정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요구 능력 Q2에 기초하여 설정 온도 Ts로 실내 온도 Tr이 모아지도록, 각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를 조정하는 실내 온도 제어가 행해지고 있다. 즉, 실내 온도 제어에 의해, 각 실내기(40, 50, 60)의 공조 능력은, 상술한 요구 능력 Q2 사이에 계속 유지되게 된다. 또한, 실내기(40, 50, 60)의 요구 능력 Q2는, 실질적으로는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열 교환량에 상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에너지 절약 제어에 있어서, 실내기(40, 50, 60)의 요구 능력 Q2는 현재의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열 교환량에 상당하는 것이다.
스텝 S42에서는, 각 실내 팬(43, 53, 63)의 리모콘에 있어서의 풍량 설정 모드가 풍량 자동 모드로 되어 있을지 풍량 고정 모드로 되어 있을지를 확인한다. 각 실내 팬(43, 53, 63)의 풍량 설정 모드가 풍량 자동 모드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스텝 S43으로 이행하고, 풍량 고정 모드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스텝 S45로 이행한다.
스텝 S43에서는,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가 요구 능력 Q2와, 각 실내 팬(43, 53, 63)의 현재의 풍량에 기초하여 요구 능력 Q2를 소정 비율(여기서는 5%)분만 증가한 능력에 상당하는 풍량(이하, 「요구 능력 5% 증가 상당 풍량」이라 함)을 연산한다. 그리고, 이 요구 능력 5% 증가 상당 풍량과 실내 팬(43, 53, 63)의 풍량 최대값 GaMAX(「강풍」에 있어서의 풍량)를 비교하여, 풍량 최대값 GaMAX가 요구 능력 5% 증가 상당 풍량보다도 작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요구 능력 5% 증가 상당 풍량을, 다음 스텝 S44에 있어서의 요구 증발 온도 Ter의 연산에 사용하는 풍량으로서 선택한다. 또한,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가 요구 능력 Q2와, 각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출구에 있어서의 현재의 과열도에 기초하여 요구 능력 Q2를 소정 비율(여기서는 5%)분만 증가한 능력에 상당하는 과열도(이하, 「요구 능력 5% 증가 상당 과열도」라 함)를 연산한다. 그리고, 이 요구 능력 5% 증가 상당 과열도와 과열도 최소값 SHmin을 비교하여, 과열도 최소값 SHmin이 요구 능력 5% 증가 상당 과열도보다도 작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요구 능력 5% 증가 상당 과열도를, 다음 스텝 S44에 있어서의 요구 증발 온도 Ter의 연산에 사용하는 과열도로서 선택한다.
스텝 S44에서는,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가 요구 능력 Q2, 스텝 S43에서 선택된 각 실내기(40, 50, 60)에 있어서의 풍량에 기초하여, 그리고 한층 더 에너지 절약을 요구하면 추가로 과열도에 기초하여 각 실내기(40, 50, 60)의 요구 증발 온도 Ter을 연산한다.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는, 추가로 요구 증발 온도 Ter로부터 그때에 액측 온도 센서(44)에 의해 검출되는 증발 온도 Te를 감산한 증발 온도차ΔTe를 연산한다. 연산된 증발 온도차ΔTe는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의 메모리(47c, 57c, 67c)에 기억된다.
스텝 S45에서는,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가 요구 능력 Q2와, 각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출구에 있어서의 현재의 과열도에 기초하여 요구 능력 Q2를 소정 비율(여기서는 5%)분만 증가한 능력에 상당하는 과열도(이하, 「요구 능력 5% 증가 상당 과열도」라 함)를 연산한다. 그리고, 이 요구 능력 5% 증가 상당 과열도와 과열도 최소값 SHmin을 비교하여, 과열도 최소값 SHmin이 요구 능력 5% 증가 상당 과열도보다도 작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요구 능력 5% 증가 상당 과열도를, 다음 스텝 S46에 있어서의 요구 증발 온도 Ter의 연산에 사용하는 과열도로서 선택한다.
스텝 S46에서는,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가 요구 능력 Q2, 각 실내 팬(43, 53, 63)의 고정 풍량 Ga(예를 들어 「중간풍」에 있어서의 풍량) 및 스텝 S45에서 선택된 각 실내기(40, 50, 60)에 있어서의 과열도에 기초하여 각 실내기(40, 50, 60)의 요구 증발 온도 Ter을 연산한다.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는, 추가로 요구 증발 온도 Ter로부터 그때에 액측 온도 센서(44)에 의해 검출되는 증발 온도 Te를 감산한 증발 온도차ΔTe를 연산한다. 연산된 증발 온도차ΔTe는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의 메모리(47c, 57c, 67c)에 기억된다.
스텝 S47에서는, 스텝 S44 및 스텝 S46에 있어서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의 메모리(47c, 57c, 67c)에 기억된 증발 온도차ΔTe가 실외측 제어 장치(37)에 송신되어, 실외측 제어 장치(37)의 메모리(37b)에 기억된다. 그리고, 실외측 제어 장치(37)의 목표값 결정부(37a)가 증발 온도차ΔTe 내에서 최소의 최소 증발 온도차ΔTemin을 목표 증발 온도차ΔTet로서 결정한다.
스텝 S48에서는, 목표 증발 온도차ΔTet에 근접하도록 압축기(21)의 운전 용량이 제어된다. 이와 같이, 목표 증발 온도차ΔTet에 기초하여 압축기(21)의 운전 용량이 제어되는 결과로서, 목표 증발 온도차ΔTet로서 채용된 최소 증발 온도차ΔTemin을 연산한 실내기(여기서는, 임시로 실내기(40)로 함)에서는, 실내 팬(43)이 풍량 자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43에서 선택된 풍량(풍량 최대값 GaMAX의 경우를 제외하고, 요구 능력 5% 증가 상당 풍량)이 되도록 조정됨으로써, 실내 열 교환기(42)의 출구의 과열도 SH가 스텝 S43, S45에서 선택된 과열도(과열도 최소값 SHmin의 경우를 제외하고, 요구 능력 5% 증가 상당 과열도)가 되도록 실내 팽창 밸브(41)가 조정되게 된다.
또한, 스텝 S41의 요구 능력 Q2의 연산 및 스텝 S44 또는 스텝 S46에 있어서 행해지는 증발 온도차ΔTe의 연산에는, 실내기(40, 50, 60)마다의 요구 능력 Q2, 풍량 Ga, 과열도 SH 및 온도차ΔTer의 관계를 고려한 실내기(40, 50, 60)마다 상이한 냉방용 열 교환 함수에 의해 구해진다. 이 냉방용 열 교환 함수는, 각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특성을 나타내는 요구 능력 Q2, 풍량 Ga, 과열도 SH 및 온도차ΔTer이 관련된 관계식이며, 실내기(40, 50, 60)의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의 메모리(47c, 57c, 67c)에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요구 능력 Q2, 풍량 Ga, 과열도 SH 및 온도차ΔTer 중 하나의 변수는, 그 밖의 3개의 변수를 냉방용 열 교환 함수에 입력함으로써 구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증발 온도차ΔTe를 고정밀도이고 적정한 값으로 할 수 있어, 정확하게 목표 증발 온도차ΔTet를 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증발 온도 Te의 지나친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내기(40, 50, 60)의 공조 능력의 과부족을 방지하면서, 실내기(40, 50, 60)를 최적의 상태로 빠르게 안정적으로 실현할 수 있으며, 한층 더 에너지 절약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이 플로우에서 목표 증발 온도차ΔTet에 기초하여 압축기(21)의 운전 용량을 제어하고 있지만, 목표 증발 온도차ΔTet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실내기(40, 50, 60)에서 연산된 요구 증발 온도 Ter의 최소값을 목표 증발 온도 Tet로서 목표값 결정부(37a)가 결정하고, 결정된 목표 증발 온도 Tet에 기초하여 압축기(21)의 운전 용량을 제어해도 좋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난방 운전에 있어서, 도 7의 흐름도에 기초하여 에너지 절약 제어가 행해지고 있다. 이하, 난방 운전에 있어서의 에너지 절약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스텝 S51에 있어서, 각 실내기(40, 50, 60)의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의 공조 능력 연산부(47a, 57a, 67a)가, 그 시점에 있어서의 실내 온도 센서(46, 56, 66)가 검출하는 실내 온도 Tr과, 그때에 이용자가 리모콘 등에 의해 설정하고 있는 설정 온도 Ts와의 온도차ΔT를 연산하고, 이 온도차ΔT와, 실내 팬(43, 53, 63)에 의한 실내 팬 풍량 Ga와, 과냉각도 SC에 기초하여 요구 능력 Q4를 연산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스텝 S21, S22와 같이, 공조 능력 Q3을 연산하고, 요구 능력 Q4를 연산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연산된 요구 능력 Q4는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의 메모리(47c, 57c, 67c)에 기억된다. 그리고, 도 7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실내기(40, 50, 60)에 있어서는, 실내 팬(43, 53, 63)이 풍량 자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요구 능력 Q4에 기초하여 설정 온도 Ts에 실내 온도 Tr이 모아지도록, 각 실내 팬(43, 53, 63)의 풍량 및 각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를 조정하는 실내 온도 제어가 행해지고 있다. 또한, 실내 팬(43, 53, 63)이 풍량 고정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요구 능력 Q4에 기초하여 설정 온도 Ts에 실내 온도 Tr이 모아지도록, 각 실내 팽창 밸브(41, 51, 61)의 개방도 조정하는 실내 온도 제어가 행해지고 있다. 즉, 실내 온도 제어에 의해, 각 실내기(40, 50, 60)의 공조 능력은, 상술한 요구 능력 Q4 사이에 계속 유지되게 된다. 또한, 실내기(40, 50, 60)의 요구 능력 Q4는, 실질적으로는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열 교환량에 상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에너지 절약 제어에 있어서, 실내기(40, 50, 60)의 요구 능력 Q4는, 현재의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열 교환량에 상당하는 것이다.
스텝 S52에서는, 각 실내 팬(43, 53, 63)의 리모콘에 있어서의 풍량 설정 모드가 풍량 자동 모드로 되어 있을지 풍량 고정 모드로 되어 있을지를 확인한다. 각 실내 팬(43, 53, 63)의 풍량 설정 모드가 풍량 자동 모드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스텝 S53으로 이행하고, 풍량 고정 모드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스텝 S55로 이행한다.
스텝 S53에서는,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가 요구 능력 Q4와, 각 실내 팬(43, 53, 63)의 현재의 풍량에 기초하여 요구 능력 Q4를 소정 비율(여기서는 5%)분만 증가한 능력에 상당하는 풍량(이하, 「요구 능력 5% 증가 상당 풍량」이라 함)을 연산한다. 그리고, 이 요구 능력 5% 증가 상당 풍량과 실내 팬(43, 53, 63)의 풍량 최대값 GaMAX(「강풍」에 있어서의 풍량)를 비교하여, 풍량 최대값 GaMAX가 요구 능력 5% 증가 상당 풍량보다도 작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요구 능력 5% 증가 상당 풍량을, 다음 스텝 S54에 있어서의 요구 응축 온도 Tcr의 연산에 사용하는 풍량으로서 선택한다. 또한,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가 요구 능력 Q4와, 각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출구에 있어서의 현재의 과냉각도에 기초하여 요구 능력 Q4를 소정 비율(여기서는 5%)분만 증가한 능력에 상당하는 과냉각도(이하, 「요구 능력 5% 증가 상당 과냉각도」라 함)를 연산한다. 그리고, 이 요구 능력 5% 증가 상당 과냉각도와 과냉각도 최소값 SCmin을 비교하여, 과냉각도 최소값 SCmin이 요구 능력 5% 증가 상당 과냉각도보다도 작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요구 능력 5% 증가 상당 과냉각도를, 다음 스텝 S54에 있어서의 요구 응축 온도 Tcr의 연산에 사용하는 과냉각도로서 선택한다.
스텝 S54에서는,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가 요구 능력 Q4, 스텝 S43에서 선택된 각 실내기(40, 50, 60)에 있어서의 풍량 및 과냉각도에 기초하여 각 실내기(40, 50, 60)의 요구 응축 온도 Tcr을 연산한다.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는, 추가로 요구 응축 온도 Tcr로부터 그때에 액측 온도 센서(44)에 의해 검출되는 응축 온도 Tc를 감산한 응축 온도차ΔTc를 연산한다. 연산된 응축 온도차ΔTc는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의 메모리(47c, 57c, 67c)에 기억된다.
스텝 S55에서는,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가 요구 능력 Q4와, 각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출구에 있어서의 현재의 과냉각도에 기초하여 요구 능력 Q4를 소정 비율(여기서는 5%)분만 증가한 능력에 상당하는 과냉각도(이하, 「요구 능력 5% 증가 상당 과냉각도」라 함)를 연산한다. 그리고, 이 요구 능력 5% 증가 상당 과냉각도와 과냉각도 최소값 SCmin을 비교하여, 과냉각도 최소값 SCmin이 요구 능력 5% 증가 상당 과냉각도보다도 작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요구 능력 5% 증가 상당 과냉각도를, 다음 스텝 S56에 있어서의 요구 응축 온도 Tcr의 연산에 사용하는 과냉각도로서 선택한다.
스텝 S56에서는,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가 요구 능력 Q4, 각 실내 팬(43, 53, 63)의 고정 풍량 Ga(예를 들어 「중간풍」에 있어서의 풍량) 및 스텝 S45에서 선택된 각 실내기(40, 50, 60)에 있어서의 과냉각도에 기초하여 각 실내기(40, 50, 60)의 요구 응축 온도 Tcr을 연산한다.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는, 추가로 요구 응축 온도 Tcr로부터 그때에 액측 온도 센서(44)에 의해 검출되는 응축 온도 Tc를 감산한 응축 온도차ΔTc를 연산한다. 연산된 응축 온도차ΔTc는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의 메모리(47c, 57c, 67c)에 기억된다.
스텝 S57에서는, 스텝 S44 및 스텝 S46에 있어서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의 메모리(47c, 57c, 67c)에 기억된 응축 온도차ΔTc가 실외측 제어 장치(37)에 송신되어, 실외측 제어 장치(37)의 메모리(37b)에 기억된다. 그리고, 실외측 제어 장치(37)의 목표값 결정부(37a)가 응축 온도차ΔTc 내에서 최대인 최대 응축 온도차ΔTcMAX를 목표 응축 온도차ΔTct로서 결정한다.
스텝 S58에서는, 목표 응축 온도차ΔTct에 근접하도록 압축기(21)의 운전 용량이 제어된다. 이와 같이, 목표 응축 온도차ΔTct에 기초하여 압축기(21)의 운전 용량이 제어되는 결과로서, 목표 응축 온도차ΔTct로서 채용된 최대 응축 온도차ΔTcMAX를 연산한 실내기(여기서는, 임시로 실내기(40)로 함)에서는, 실내 팬(43)이 풍량 자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53에서 선택된 풍량(풍량 최대값 GaMAX의 경우를 제외하고, 요구 능력 5% 증가 상당 풍량)이 되도록 조정됨으로써, 실내 열 교환기(42)의 출구의 과냉각도 SC가 스텝 S53, S55에서 선택된 과냉각도(과냉각도 최소값 SCmin의 경우를 제외하고, 요구 능력 5% 증가 상당 과냉각도)가 되도록 실내 팽창 밸브(41)가 조정되게 된다.
또한, 스텝 S51의 요구 능력 Q4의 연산 및 스텝 S54 또는 스텝 S56에 있어서 행해지는 응축 온도차ΔTc의 연산에는, 실내기(40, 50, 60)마다의 요구 능력 Q4, 풍량 Ga, 과냉각도 SC 및 온도차ΔTcr의 관계를 고려한 실내기(40, 50, 60)마다 상이한 난방용 열 교환 함수에 의해 구해진다. 이 난방용 열 교환 함수는, 각 실내 열 교환기(42, 52, 62)의 특성을 나타내는 요구 능력 Q4, 풍량 Ga, 과냉각도 SC 및 온도차ΔTcr이 관련된 관계식이며, 실내기(40, 50, 60)의 실내측 제어 장치(47, 57, 67)의 메모리(47c, 57c, 67c)에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요구 능력 Q4, 풍량 Ga, 과냉각도 SC 및 온도차ΔTcr 중 하나의 변수는, 그 밖의 3개의 변수를 난방용 열 교환 함수에 입력함으로써 구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응축 온도차ΔTe를 고정밀도이고 적정한 값으로 할 수 있어, 정확하게 목표 응축 온도차ΔTct를 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응축 온도 Tc의 지나친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내기(40, 50, 60)의 공조 능력의 과부족을 방지하면서, 실내기(40, 50, 60)를 최적의 상태로 빠르게 안정적으로 실현할 수 있으며, 한층 더 에너지 절약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이 플로우에 있어서 목표 응축 온도차ΔTct에 기초하여 압축기(21)의 운전 용량을 제어하고 있지만, 목표 응축 온도차ΔTct로 한정되지 않으며, 각 실내기(40, 50, 60)에 있어서 연산된 요구 응축 온도 Tcr의 최소값을 목표 응축 온도 Tct로서 목표값 결정부(37a)가 결정하고, 결정된 목표 응축 온도 Tct에 기초하여 압축기(21)의 운전 용량을 제어해도 좋다.
(4-8) 변형예 8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 내지 7에서는, 실내기를 복수대 갖는 공기 조화 장치(10)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설명했지만, 실내기가 1대 여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 내지 7의 운전 제어 장치(80)에 있어서, 목표값 결정부(37a) 및 스텝 S16, S26, S34, S47, S57이 불필요해져, 요구 증발 온도(요구 응축 온도)를 그대로 목표 증발 온도(목표 응축 온도)로서 사용하여, 압축기(21)의 용량 제어가 행해지게 된다.
이 경우에도, 현재의 실내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과 현재보다도 큰 실내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 또는 현재의 실내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풍량이나 과열도, 과냉각도)과 현재보다도 큰 실내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풍량이나 과열도, 과냉각도)에 기초하여,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하고 있기 때문에, 실내 열 교환기의 능력이 더 발휘된 상태에 있어서의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하게 된다. 따라서, 충분히 실내기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상태의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운전 효율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10: 공기 조화 장치
20: 실외기
37a: 목표값 결정부
41, 51, 61: 실내 팽창 밸브(복수의 팽창 기구)
42, 52, 62: 실내기
43, 53, 63: 실내 팬(송풍기)
47a, 57a, 67a: 공조 능력 연산부
47b, 57b, 67b: 요구 온도 연산부
80: 운전 제어 장치

Claims (14)

  1. 실외기(20)와, 이용측 열 교환기(42, 52, 62)를 포함하는 실내기(40, 50, 60)를 갖고 있으며, 실내 온도가 설정 온도에 근접하도록 상기 실내기에 마련된 기기를 제어하는 실내 온도 제어를 행하는 공기 조화 장치(10)에 있어서,
    현재의 상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과 현재보다도 큰 상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 또는 현재의 상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과 현재보다도 큰 상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에 기초하여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하는 요구 온도 연산부(47b, 57b, 67b)
    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8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상기 실내 온도 제어에서 제어되는 기기로서, 소정 풍량 범위에서 풍량 조정 가능한 송풍기(43, 53, 63)를 갖고 있으며,
    상기 요구 온도 연산부는, 상기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할 때에 상기 현재의 상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과 상기 현재보다도 큰 상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으로서, 상기 송풍기의 현재 풍량 및 상기 소정 풍량 범위 내에서 상기 현재 풍량보다도 큰 풍량을 적어도 사용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8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상기 실내 온도 제어에서 제어되는 기기로서, 그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출구측의 과열도 또는 과냉각도를 조정 가능한 팽창 기구(41, 51, 61)를 갖고 있으며,
    상기 요구 온도 연산부는, 상기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할 때에 상기 현재의 상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과 상기 현재보다도 큰 상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으로서, 상기 과열도에 있어서 상기 팽창 기구의 개방도 조정에 의한 과열도 설정 가능 범위 내에서 현재 과열도보다도 작은 과열도 및 현재 과열도, 또는 상기 과냉각도에 있어서 상기 팽창 기구의 개방도 조정에 의한 과냉각도 설정 가능 범위 내에서 현재 과냉각도보다도 작은 과냉각도 및 현재 과냉각도를 적어도 사용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8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상기 실내 온도 제어에서 제어되는 기기로서, 소정 풍량 범위에서 풍량 조정 가능한 송풍기(43, 53, 63)를 갖고 있으며,
    상기 요구 온도 연산부는, 상기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할 때에 상기 현재의 상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과 상기 현재보다도 큰 상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으로서, 상기 송풍기의 현재 풍량 및 상기 소정 풍량 범위 내에서 상기 송풍기의 풍량을 최대로 한 풍량 최대값을 적어도 사용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80).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상기 실내 온도 제어에서 제어되는 기기로서, 그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출구측의 과열도 또는 과냉각도를 조정 가능한 팽창 기구(41, 51, 61)를 갖고 있으며,
    상기 요구 온도 연산부는, 상기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연산할 때에 상기 현재의 상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과 상기 현재보다도 큰 상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으로서, 현재 과열도 및 상기 과열도에 있어서 상기 팽창 기구의 개방도 조정에 의한 과열도 설정 가능 범위 내에서 최소인 과열도 최소값, 또는 현재 과냉각도 및 상기 과냉각도에 있어서 상기 팽창 기구의 개방도 조정에 의한 과냉각도 설정 가능 범위 내에서 최소인 과냉각도 최소값을 적어도 사용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8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압축기(21)를 갖고,
    목표 증발 온도 또는 목표 응축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기의 용량 제어를 행하고 있고,
    상기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상기 요구 응축 온도를 상기 목표 증발 온도 또는 상기 목표 응축 온도로서 사용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80).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복수대 있고,
    상기 실내 온도 제어는 상기 실내기마다 행해지고 있으며,
    상기 요구 온도 연산부는 상기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실내기마다 연산하고,
    상기 요구 온도 연산부에서 연산된 상기 실내기마다의 요구 증발 온도 내에서 최소의 요구 증발 온도에 기초하여 목표 증발 온도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요구 온도 연산부에서 연산된 상기 실내기마다의 요구 응축 온도 내에서 최대의 요구 응축 온도에 기초하여 목표 응축 온도를 결정하는, 목표값 결정부(37a)를 더 구비하고 있는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8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내기는, 상기 실내 온도 제어에서 제어되는 기기로서, 소정 풍량 범위에서 풍량 조정 가능한 송풍기(43, 53, 63)를 갖고 있으며,
    상기 요구 온도 연산부는, 상기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실내기마다 연산할 때에 상기 현재의 상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과 상기 현재보다도 큰 상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으로서, 상기 송풍기의 현재 풍량 및 상기 소정 풍량 범위 내에서 상기 현재 풍량보다도 큰 풍량을 적어도 사용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80).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상기 실내 온도 제어에서 제어되는 기기로서, 상기 실내기마다 대응하고, 그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출구측의 과열도 또는 과냉각도를 조정 가능한 복수의 팽창 기구(41, 51, 61)를 갖고 있으며,
    상기 요구 온도 연산부는, 상기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실내기마다 연산할 때에 상기 현재의 상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과 상기 현재보다도 큰 상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으로서, 현재 과열도 및 상기 과열도에 있어서 상기 팽창 기구의 개방도 조정에 의한 과열도 설정 가능 범위 내에서 상기 현재 과열도보다도 작은 과열도, 또는 현재 과냉각도 및 상기 과냉각도에 있어서 상기 팽창 기구의 개방도 조정에 의한 과냉각도 설정 가능 범위 내에서 상기 현재 과냉각도보다도 작은 과냉각도를 적어도 사용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80).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내기는, 상기 실내 온도 제어에서 제어되는 기기로서, 소정 풍량 범위에서 풍량 조정 가능한 송풍기(43, 53, 63)를 갖고 있으며,
    상기 요구 온도 연산부는, 상기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실내기마다 연산할 때에 상기 현재의 상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과 상기 현재보다도 큰 상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으로서, 상기 송풍기의 현재 풍량 및 상기 소정 풍량 범위 내에서 상기 송풍기의 풍량을 최대로 한 풍량 최대값을 적어도 사용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80).
  11. 제7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상기 실내 온도 제어에서 제어되는 기기로서, 상기 실내기마다 대응하고, 그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출구측의 과열도 또는 과냉각도를 조정 가능한 복수의 팽창 기구(41, 51, 61)를 갖고 있으며,
    상기 요구 온도 연산부는, 상기 요구 증발 온도 또는 요구 응축 온도를 실내기마다 연산할 때에 상기 현재의 상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과 상기 현재보다도 큰 상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발휘시키는 운전 상태량으로서, 현재 과열도 및 상기 과열도에 있어서 상기 팽창 기구의 개방도 조정에 의한 과열도 설정 가능 범위 내에서 최소인 과열도 최소값, 또는 현재 과냉각도 및 상기 과냉각도에 있어서 상기 팽창 기구의 개방도 조정에 의한 과냉각도 설정 가능 범위 내에서 최소인 과냉각도 최소값을 적어도 사용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80).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압축기(21)를 갖고,
    상기 목표 증발 온도 또는 상기 목표 응축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기의 용량 제어를 행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80).
  13. 제2항 내지 제5항 또는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의 풍량과, 상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출구의 과열도 또는 과냉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측 열 교환기의 열 교환량을 연산하는 공조 능력 연산부(47a, 57a, 67a)를 더 구비하고 있는,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80).
  14. 실외기와,
    이용측 열 교환기를 포함하는 실내기와,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운전 제어 장치
    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10).
KR1020127032096A 2010-05-11 2011-04-22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 KR1014627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09042 2010-05-11
JP2010109042 2010-05-11
JP2011078717A JP4947221B2 (ja) 2010-05-11 2011-03-31 空気調和装置の運転制御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JPJP-P-2011-078717 2011-03-31
PCT/JP2011/059924 WO2011142234A1 (ja) 2010-05-11 2011-04-22 空気調和装置の運転制御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917A true KR20130018917A (ko) 2013-02-25
KR101462745B1 KR101462745B1 (ko) 2014-11-17

Family

ID=44914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096A KR101462745B1 (ko) 2010-05-11 2011-04-22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995517B2 (ko)
EP (2) EP3964768A1 (ko)
JP (1) JP4947221B2 (ko)
KR (1) KR101462745B1 (ko)
CN (1) CN102884383B (ko)
AU (1) AU2011251411B2 (ko)
BR (1) BR112012028619B1 (ko)
ES (1) ES2911657T3 (ko)
WO (1) WO20111422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94267B2 (ja) * 2011-09-12 2014-09-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JP5791785B2 (ja) * 2012-03-27 2015-10-07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CN104603699B (zh) * 2012-09-04 2017-08-29 富士通株式会社 温度管理系统
US20150276255A1 (en) * 2012-10-18 2015-10-01 Daikin Industries, Ltd. Air conditioning apparatus
ES2654642T3 (es) * 2012-10-18 2018-02-14 Daikin Industries, Ltd. Aire acondicionado
JP5790729B2 (ja) 2013-09-30 2015-10-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5780280B2 (ja) 2013-09-30 2015-09-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9820411B2 (en) 2013-10-10 2017-11-14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Reversible fan direction control responsive to device enclosure orientation
JP5846226B2 (ja) * 2014-01-28 2016-01-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6115594B2 (ja) * 2014-09-30 2017-04-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室内機
JP5831661B1 (ja) * 2014-09-30 2015-12-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機
JP6036783B2 (ja) * 2014-10-08 2016-11-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室内機
CN104406270B (zh) * 2014-11-12 2017-02-1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室内温度自适应控制方法及空调器
JP6028817B2 (ja) * 2015-01-30 2016-11-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6028816B2 (ja) 2015-01-30 2016-11-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2017044382A (ja) * 2015-08-25 2017-03-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運転制御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JP2017044383A (ja) * 2015-08-25 2017-03-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運転制御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CN105485859B (zh) * 2016-01-04 2018-09-04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室内机风档调节方法、装置及空调器室内机
CN105485861B (zh) * 2016-01-06 2018-09-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多联机内机制热膨胀阀开度的控制方法和装置
JP6672860B2 (ja) * 2016-02-10 2020-03-25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装置
JP6693312B2 (ja) 2016-07-07 2020-05-13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装置
JP6493432B2 (ja) 2017-02-24 2019-04-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7316759B2 (ja) * 2018-03-20 2023-07-2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
GB2589474B (en) 2018-06-20 2022-03-02 Mitsubishi Electric Corp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operation condition
US11441808B2 (en) * 2018-07-18 2022-09-1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method
CN109751718B (zh) * 2018-11-29 2020-04-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系统控制方法和装置
CN109855245B (zh) * 2019-02-13 2021-09-21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多联机空调系统及其换热量计算方法
CN110260452B (zh) * 2019-05-24 2022-01-04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多联机空调系统及其换热量计算方法
CN115183407A (zh) * 2022-06-10 2022-10-14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系统、控制装置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032A (ja) 1983-07-05 1985-01-24 Daikin Ind Ltd 多室用冷暖房装置
JPS62206357A (ja) * 1986-03-05 1987-09-10 三菱電機株式会社 ヒ−トポンプ用センサ−装置
JPS6325446A (ja) * 1986-07-18 1988-02-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US4873649A (en) * 1988-06-10 1989-10-10 Honeywell Inc. Method for operating variable speed heat pumps and air conditioners
JPH0762569B2 (ja) * 1988-08-19 1995-07-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運転制御装置
US5303561A (en) * 1992-10-14 1994-04-19 Copeland Corporation Control system for heat pump having humidity responsive variable speed fan
US5475986A (en) * 1992-08-12 1995-12-19 Copeland Corporation Microprocessor-based control system for heat pump having distributed architecture
JPH11281222A (ja) * 1998-03-31 1999-10-15 Nippon Kentetsu Co Ltd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の冷媒循環量制御装置
JP4032634B2 (ja) * 2000-11-13 2008-01-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WO2004040208A1 (ja) * 2002-10-30 2004-05-1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空気調和装置
JP4127230B2 (ja) * 2004-03-26 2008-07-3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5053527B2 (ja) * 2005-07-29 2012-10-17 サンデン株式会社 ショーケース冷却装置
JP2009229012A (ja) * 2008-03-24 2009-10-08 Daikin Ind Ltd 冷凍装置
JP5045524B2 (ja) * 2008-03-31 2012-10-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JP5034066B2 (ja) * 2008-03-31 2012-09-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US8849604B2 (en) * 2011-05-24 2014-09-30 Clark Equipment Company Method for calculating the probability of moisture build-up in a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42234A1 (ja) 2011-11-17
US20130067944A1 (en) 2013-03-21
CN102884383A (zh) 2013-01-16
AU2011251411A1 (en) 2013-01-10
EP2570746A1 (en) 2013-03-20
EP2570746B1 (en) 2022-03-09
KR101462745B1 (ko) 2014-11-17
CN102884383B (zh) 2015-04-08
US9995517B2 (en) 2018-06-12
EP2570746A4 (en) 2018-03-28
ES2911657T3 (es) 2022-05-20
BR112012028619B1 (pt) 2021-04-20
JP2011257126A (ja) 2011-12-22
JP4947221B2 (ja) 2012-06-06
BR112012028619A2 (pt) 2016-08-02
EP3964768A1 (en) 2022-03-09
AU2011251411B2 (en) 201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2745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
JP5056855B2 (ja) 空気調和装置
JP5790729B2 (ja) 空調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5780280B2 (ja) 空調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AU2007244357B2 (en) Air conditioner
JP4968373B2 (ja) 空気調和装置
JP5213966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5979112B2 (ja) 冷凍装置
JP4840522B2 (ja) 冷凍装置
JP4839861B2 (ja) 空気調和装置
CN112840164B (zh) 空调装置和管理装置
JP5505477B2 (ja) 空気調和装置および空気調和装置の冷媒量判定方法
JP6031367B2 (ja) 空気調和装置の運転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5245575B2 (ja) 空気調和装置の冷媒量判定方法および空気調和装置
JP5245576B2 (ja) 空気調和装置の冷媒量判定方法および空気調和装置
KR101485848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WO2017094172A1 (ja) 空気調和装置
JP7332817B2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