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8858A - 다중경로 전송을 이용한 협력적 대역폭 애그리게이션 - Google Patents

다중경로 전송을 이용한 협력적 대역폭 애그리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8858A
KR20130018858A KR1020127029140A KR20127029140A KR20130018858A KR 20130018858 A KR20130018858 A KR 20130018858A KR 1020127029140 A KR1020127029140 A KR 1020127029140A KR 20127029140 A KR20127029140 A KR 20127029140A KR 20130018858 A KR20130018858 A KR 20130018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ptp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path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9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7471B1 (ko
Inventor
딜립 크리쉬나스와미
사미르 에스. 솔리만
스리니바사 알. 에라벨리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18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4Multi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61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node-based peer discovery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2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 H04L47/125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by balancing the load, e.g. traffic engin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4Multichannel or multilink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04L69/165Combined use of TCP and UDP protocols; selection criteria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77Multiple interfaces, e.g. multihomed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방법은, 제 1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 1 MPTP 경로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 제 2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 2 MPTP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 ―제 2 MPTP 경로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는 제 2 IP 어드레스에서 무선 노드를 통한 통신임―; 및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무선 노드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경로 전송을 이용한 협력적 대역폭 애그리게이션{COOPERATIVE BANDWIDTH AGGREGATION USING MULTIPATH TRANSPORT}
본 출원은, 2010년 4월 6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COOPERATIVE BANDWIDTH AGGREGATION USING MULTIPATH TRANSPORT"인 미국 가특허출원 제 61/321,201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상기 가특허출원은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명백히 포함된다.
하기 설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다중경로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한 협력적 대역폭 애그리게이션(aggregation)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중경로 전송 프로토콜(MPTP)은, 다수의 서브플로우(subflow)들 또는 스트림들에 대한 지원이 인터넷 상의 목적지와 소스 사이에서 전송 계층에서 관리되도록 허용한다. MPTP의 예들은 다중경로 송신 제어 프로토콜(TCP) 및 스트림 제어 송신 프로토콜(SCTP)을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경로들에 걸친 성능을 애그리게이트(aggregate)하기 위해 소스와 목적지 사이에서 인터넷 상의 다수의 경로들을 활용하기 위한 다중경로 송신 제어 프로토콜(MPTCP)이 제안되어 왔다. 다중경로 TCP는 소스 및 목적지 노드들 모두가 다중경로 TCP 컴플라이언트(compliant) 소프트웨어 스택을 구현하도록 요구한다. 인터넷 상의 많은 애플리케이션 서버들이 레거시(legacy) TCP 스택을 가질 수 있다. 클라이언트의 TCP 스택은 다중경로 TCP 컴플라이언트로 변형될 수 있지만,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다중경로 TCP 능력을 갖지 못할 수 있다.
무선 광역 네트워크(WWAN) 클라이언트 노드들은 다수의 무선 캐리어들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다. WWAN 클라이언트 노드들은, 캐리어들에 걸쳐 동일한 무선 기술 또는 상이한 무선 기술들을 지원하는 프로토콜 스택들을 이용하여 상이한 무선 캐리어들에 액세스하기 위해 다수의 모뎀들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다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하는 경우, 캐리어들에 걸친 차분(differential) 대역폭 및 캐리어들 사이의 캐리어간 스큐(inter-carrier skew)가 현저할 수 있다. 이러한 캐리어간 스큐는 통상적으로 20ms 내지 200ms의 범위에 걸쳐 변할 수 있다. 스큐는, WWAN 인프라구조에서 트래픽이 스플릿(split)되는 곳에 따라 변한다. 예를 들어, 캐리어들에 걸친 트래픽이 eNodeB에서 스플릿되면(여기서 이러한 eNodeB는 모두 롱 텀 에볼루션(LTE)을 지원하는 다수의 캐리어들을 서빙함), 스큐는 국부적이기 때문에, 스큐에서의 변동은 작을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들에 대해 LTE의 eNodeB들 사이에 터널링(tunneling)이 요구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은 경로들에 걸친 스큐를 증가시킬 수 있다. 경로들에 걸친 차분 대역폭은, 통상적으로 다수의 WWAN 경로들에 걸쳐 수십 내지 수백 kbps 정도로 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WCDMA/UMTS/LTE 네트워크에서 상이한 NodeB들을 서빙하거나 CDMA2000 네트워크에서 상이한 BTS들을 서빙하는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NC)에서 트래픽이 스플릿되면 (이들 각각은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UMTS 또는 고속 패킷 액세스(HSPA)에 대해 상이한 캐리어를 지원함), 차분 대역폭에서 추가적인 변동이 존재할 수 있고, 경로들에 걸친 스큐가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트래픽은, 결국 RNC들 및/또는 eNodeB들 및/또는 BNC들을 서빙하는 인프라구조에서 더 상위의 노드에 있는 RNC들 및/또는 eNodeB들 사이에서 스플릿될 수 있다.
경로들에 걸친 스큐 및 차분 대역폭은, WWAN 클라이언트에 대한 단일 애플리케이션 플로우(flow)가 다수의 캐리어들을 활용하는 경우 TCP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다중경로 TCP는 스큐를 최적화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그러나, TCP 접속의 다른 종점(end-point)에 대한 인터넷 상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다중경로 TCP 컴플라이언트가 아닐 수 있다.
하기 설명은, 이러한 양상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에 대한 단순화된 요약을 제시한다. 이러한 요약은 모든 고려되는 양상들의 포괄적인 개요가 아니며, 모든 양상들의 핵심적인 또는 중요한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거나, 임의의 또는 모든 양상들의 범주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 유일한 목적은 이후에 제시되는 더 상세한 설명에 대한 도입부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의 일부 개념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서, 무선 통신 방법은, 제 1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 1 MPTP 경로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 제 2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 2 MPTP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 ―제 2 MPTP 경로를 통한 서버와의 통신은 제 2 IP 어드레스에서 무선 노드를 통한 통신임―; 및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무선 노드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서, 무선 통신 방법은 MPTP 터널링 서버와의 MPTP 세션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이 방법은 MPTP 터널을 통해 MPTP 터널링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터널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포함하고, MPTP 경로들 각각은 통신을 위한 캐리어에 대응한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서, 무선 통신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성능 파라미터들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이용하여 링크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은 일 장치와 관련된다. 이 장치는, 제 1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 1 MPTP 경로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 제 2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 2 MPTP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 ―제 2 MPTP 경로를 통한 서버와의 통신은 제 2 IP 어드레스에서 무선 노드를 통한 통신임―; 및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무선 노드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은 다른 장치와 관련된다. 이 장치는 MPTP 터널링 서버와의 MPTP 세션을 요청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장치는 MPTP 터널을 통해 MPTP 터널링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터널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포함하고, MPTP 경로들 각각은 통신을 위한 캐리어에 대응한다.
또 다른 양상은 일 장치와 관련된다. 이 장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성능 파라미터들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이용하여 링크를 구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과 관련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제 1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 1 MPTP 경로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고; 제 2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 2 MPTP 경로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고 ―제 2 MPTP 경로를 통한 서버와의 통신은 제 2 IP 어드레스에서 무선 노드를 통한 통신임―; 그리고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무선 노드와 통신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과 관련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MPTP 터널링 서버와의 MPTP 세션을 요청하고, 그리고 MPTP 터널을 통해 MPTP 터널링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터널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포함하고, MPTP 경로들 각각은 통신을 위한 캐리어에 대응한다.
또 다른 양상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과 관련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성능 파라미터들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선택하고, 그리고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이용하여 링크를 구축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와 관련된다. 이 장치는 또한, 제 1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 1 MPTP 경로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고, 제 2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 2 MPTP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고 ―제 2 MPTP 경로를 통한 서버와의 통신은 제 2 IP 어드레스에서 무선 노드를 통한 통신임―, 그리고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무선 노드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와 관련된다. 이 장치는 또한, MPTP 터널링 서버와의 MPTP 세션을 요청하고, 그리고 MPTP 터널을 통해 MPTP 터널링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고, 터널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포함하고, MPTP 경로들 각각은 통신을 위한 캐리어에 대응한다.
또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와 관련된다. 이 장치는 또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성능 파라미터들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선택하고, 그리고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이용하여 링크를 구축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들 및 관련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은, 아래에서 완전히 설명되고 특히 청구항들에서 특정되는 특징들을 포함한다. 하기 설명 및 관련 도면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특징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들은 다양한 방식들의 오직 일부를 표시하며, 다양한 방식들에서,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이 이용될 수 있고, 이 설명은 모든 이러한 양상들 및 이들의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중경로 전송 터널링 서비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중경로 TCP를 이용하는 WWAN 캐리어들에 걸친 터널링 서비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캐리어간 스큐 및 플로우 관리에 대한 경로 조정 및 경로 관리 오버레이(overlay) 지원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협력적 다중경로 전송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협력적 다중경로 TCP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캐리어간 스큐 및 플로우 관리에 대한 경로 조정 및 경로 관리 오버레이 지원을 도시하는 다른 블록도이다.
도 8은 협력적 다중경로 TCP에 대한 호출-흐름도이다.
도 9는 협력적 다중경로 전송을 도시하는 다른 블록도이다.
도 10은, UE가 WWAN 클라이언트 노드로서 작동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는 다중경로 전송 터널링 서비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사용자 장비가 WWAN 클라이언트 노드로서 작동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는 협력적 다중경로 전송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UE가 WWAN 클라이언트 노드로서 작동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는 협력적 다중경로 전송을 도시하는 다른 블록도이다.
도 13은 모뎀간(inter-modem) 조정에 의한 다중경로 전송 터널링 서비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모뎀간 조정에 의한 다중경로 전송 터널링 서비스를 도시하는 다른 블록도이다.
도 15는 예시적인 패킷 플로우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예시적인 장치의 기능을 도시하는 개념 블록도이다.
도 18은 다른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9는 예시적인 장치의 기능을 도시하는 개념 블록도이다.
도 20은 또 다른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1은 예시적인 장치의 기능을 도시하는 개념 블록도이다.
이하, 신규한 시스템들, 장치 및 방법들의 다양한 양상들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본 교시는 다수의 다른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고, 본 개시 전체에 제시되는 임의의 특정한 구조 또는 기능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오히려, 이 양상들은, 본 개시가 철저하고 완전해지도록 제공되고, 본 개시의 범주를 당업자들에게 완전하게 전달할 것이다. 본 명세서의 교시들에 기초하여, 당업자는, 본 개시의 범주가 본 발명의 임의의 다른 양상과 결합되어 구현되든 독립적으로 구현되든,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신규한 시스템들, 장치 및 방법들의 임의의 양상을 커버하도록 의도됨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술된 양상들 중 임의의 수의 양상들을 이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주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에 부가하여 또는 그 이외의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 및 기능을 이용하여 실시되는 이러한 장치 또는 방법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양상은 청구항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을 통합하기에 적절한 장치들의 예들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동작할 수 있는 사용자 장비(UE), WWAN 클라이언트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UE는 무선 단말, 모바일 폰, 사용자 단말, 이동국, 모바일 디바이스, 가입자국, 무선 디바이스, 무선 노드, 단말, 액세스 단말, 노드, 핸드헬드 디바이스, 또는 몇몇 다른 적절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 전체에 걸쳐 설명되는 다양한 개념들은 이들의 특정한 명명법과 무관하게 모든 적절한 장치들에 적용되도록 의도된다.
일반적으로, 일 양상에서, 협력하는 WWAN 모뎀들에 걸친 동시적 대역폭 애그리게이션이 발생할 수 있고, 여기서, 이 협력하는 모뎀들은, 서로에 대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근접한 다수의 모바일 플랫폼들 상에 또는 하나의 모바일 플랫폼 상에 상주할 수 있다. WWAN 기술들의 예들은, LTE(롱 텀 에볼루션), 고속 패킷 액세스(HSPA) 및 이들의 진화형들, CDMA2000-DORevA/B,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UMTS, GPRS/EDGE, 화이트스페이스(Whitespace)-기반 WWAN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WWAN 모뎀들 각각은 WWAN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어서, 모바일 플랫폼은 그에 이용가능한 WWAN 모뎀들 각각을 이용하여 대역폭을 애그리게이트할 수 있다. 사용자와 연관된 이용가능한 모뎀들은 하나의 디바이스 상에 상주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이 서로에 대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근접하게 되는 경우 동적으로 연관시킬 수 있는 다수의 디바이스들 상에 추가적 모뎀들이 존재할 수 있다. 추가로, 이러한 다수의 디바이스들은 유선 또는 무선 링크들을 통해 서로 조정할 수 있다(예를 들어, 트래픽 병합 또는 스플릿이 디바이스들 중 하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이용가능한 모뎀들은 서로 조정하여, WWAN 기술들의 이용가능성 및 성능 및 가격, 및 링크 조건들 등에 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고, 따라서 이용하기에 적절한 WWAN들을 선택할 수 있다. WWAN에서 이용가능한 성능은 네트워크 내의 사용자들의 수에 기초하여 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WWAN은 λ의 셀 스펙트럼 효율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λ는 0.8 내지 1.65 bps/Hz에서 변할 수 있다. 시그널링에 기인한 네트워크 상의 혼잡이 스펙트럼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추가로, 감소가 프랙션(fraction) η로 특정된다고 하면, 이를 "트위터 비효율 팩터"라 지칭할 것이다. η는 로드된(loaded) 네트워크들에서 0.4 또는 40%일 수 있다. 그 다음, 실제 데이터 송신들을 위해 시스템에서 유효한 동적으로 이용가능한 스펙트럼 효율은 ηλ으로 주어진다. 추가로, W의 채널 대역폭 및 N의 활성 데이터 사용자들의 수를 가정하면, 네트워크에서 활성 데이터 사용자에 대한 평균 이용가능 성능은 ηλW/N으로 주어진다. η은 상수가 아니고 시스템에서 접속된 사용자들의 수 M의 함수로서 변하는 것이 주목될 수 있고, 여기서 M은 N보다 훨씬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각각의 접속된 사용자가 시스템에서 유효하게 δ bps를 활용하면(δ는 대역폭이 아니지만, 혼잡에 기인하여 시스템에서 손실된 시간의 관점에서 유효한 로드임을 주목한다), M명의 접속된 사용자들은 자원들의 Mδ bps를 유효하게 활용한다. 총 이용가능한 스펙트럼 성능은 λW이다. 따라서, 일 양상에서, η는 η=(1-Mδ/λW)로 주어진다. 일례에서, λ = 1 bps/Hz, W = 5MHz, δ = 25kbps 및 M = 100을 갖는 시스템의 경우, η = 0.5 이고, WWAN S는 5개의 요소(η, λ, W, N, M)로 결정되는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모든 다른 팩터들이 고정된 것으로 가정하면, WWAN에서 평균 사용자 스루풋은 (1/N)으로 감소되고 (예를 들어, WWAN의 활성 데이터 사용자들의 수의 역수로 감소되고), Tu(S) = ηλW/N으로 주어진다. 여기서, λ는, 코드들, 시간 슬롯들 및 전력 관리를 포함하는 완전한 자원 활용을 가정한 WWAN 시스템의 평균 스펙트럼 효율이다. 사용자들의 수가 작은 경우, 코드 멀티플렉싱 이득 또는 다중-사용자 다이버시티 이득과 같은 특징들은 완전하게 활용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셀/섹터에 랜덤으로 분산된 사용자들에 의해 사용자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시스템의 스펙트럼 효율은 시스템의 평균 예상 값으로 수렴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태들(η1, λ1, W1, N1, M1) 및 (η2, λ2, W2, N2, M2)을 각각 갖는 2개의 WWAN들 S1 및 S2를 고려한다. 상기 논의된 방정식들에 기초하여, 2개의 WWAN들로부터의 데이터 경로들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에 대한 예상 평균 사용자 스루풋 Tu(S1, S2)는 Tu(S1, S2) = η1λ1W1/N1 2λ2W2/N 2로 주어진다. k개의 WWAN들 S1, S2,...SK의 경우, 애그리게이트된 대역폭은 Tu(S1, S2,...SK) = ΣηiλiWi/Ni로 주어진다. 따라서, 모바일 플랫폼은 상이한 네트워크들/채널들을 이용하여 더 높은 스루풋을 획득할 수 있다. 더 높은 스루풋은 또한, 동일한 채널 상에서 2개의 WWAN 모뎀들을 이용하는 경우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에서, 사용자는 동일한 기지국에 의해 2개의 WWAN 모뎀들을 턴온(turn on)시킬 수 있다. 기지국에는 이미 N1개의 모뎀들이 로드될 수 있기 때문에, 비례 공정(proportional fair) 스케줄링을 가정하면, 네트워크의 사용자의 평균 성능은 η1λ1W1/N1 으로부터 2η1λ1W1/(N1 +1)로 증가할 수 있다. Tu(S1, S1) = 2η1λ1W1/(N1 +1). 로드된 네트워크에서 N1이 큰 경우, 2개의 WWAN 모뎀들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이와 달리 오직 하나의 모뎀만을 이용하는 경우에 얻어졌을 스루풋보다 거의 2배의 스루풋을 얻을 수 있는 한편, 모든 다른 사용자들에게 약간의 영향을 준다(여기서의 개선은 (2/(N1+1)) / (1/N1) = 2/(1 + 1/N1)이다). 이러한 양상에서, 모든 사용자들이 동일한 채널 상에서 2개의 모뎀들을 턴온시키면, 2개의 모뎀들을 갖는 사용자의 평균 성능은 각각의 사용자가 하나의 모뎀을 갖는 경우의 평균 성능으로 저하되는 것이 추가로 주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에 2N1개의 모뎀들이 존재하고, 무선 채널에서 이용가능한 총 자원들을 공유하는 사용자 당 2개의 모뎀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따라서, WWAN에서 이용가능한 성능은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활성이고 접속된 사용자들의 수에 의존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사용자에 대한 성능은 또한, 기지국(예를 들어, EnodeB/NodeB/BTS)에 관한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위치 및 이동성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경험되는 링크 조건들, WWAN 모뎀에 의해 이용되는 변조 및 코딩 방식 등에 의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라디오 액세스 기술(RAT)로부터 이용가능한 용량을 활용하고 따라서 각각의 RAT로부터 이용가능한 용량들을 애그리게이트하기 위해, 상이한 채널들(잠재적으로 비인접함)에 대해 상이한 RAT들에 의한 동시적 링크 애그리게이션이 추구된다. 이러한 동시적 링크 애그리게이션은 네트워크들에 걸쳐 이용가능한 성능의 합을 제공하지만, 플랫폼 상에서 소모되는 에너지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사한 데이터 링크들/기술들에 있어서, 파일 또는 이메일 첨부물을 다운로드하는 것과 같은 주어진 통신 작업에 대해 2배의 전력이 소모될 수 있는 반면, 통신 시간은 절반으로 감소되어, 소모되는 에너지는 오직 하나의 데이터 링크만을 활용하는 경우와 대략 동일하다. 그러나, 통신 작업은 절반의 시간에 완료될 수 있어서, 플랫폼 상에서 더 양호한 전체 성능 및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다수의 WWAN 모뎀들을 이용하는 이용가능한 WWAN 경로들에 걸친 애그리게이션을 위해 다중경로 TCP가 (예를 들어, 스마트폰, 차량 모뎀, 랩탑, 태블릿 등과 같은) 하나의 모바일 플랫폼 상에서 또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태블릿, 태블릿과 랩탑, 또는 스마트폰과 태블릿과 랩탑 등과 같은) 다수의 플랫폼들 상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N개의 경로들 각각에 대한 혼잡 윈도우들 CWi에 의해 결정되는 차분 대역폭들에 기초하여 다중경로 TCP-기반 접근법을 이용하면, 트래픽은, 비율(ratio) CW1: CW2: CW3: .....: CWN과 같은, 혼잡 윈도우들에 비례하는 비율로 스플릿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가격 고려사항들이 또한 경로들에 걸친 비례 분배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더 저렴한 경로가 더 많이 활용될 수 있다.
추가로, 일 양상에서, RTT(Round Trip Time)에 기초한 경로들에 걸친 차분 지연에 기초하여, 더 느린 경로 상에서 데이터의 조기의(early) 송신 또는 더 빠른 경로 상에서 지연된 송신이 송신 애그리게이션 종점에서 수행될 수 있어서, 패킷들은 수신 애그리게이션 종점에 시간상 더 근접하게 도달하고, 따라서 개선된 플로우 관리에 의해 수신 클라이언트에서의 버퍼링 요건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추가로, 일 양상에서, 클라이언트와 네트워크 터널링 앵커(anchor) 사이에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UDP를 이용하는 경량의(lightweight) 오버레이들이 이용될 수 있다. 이 오버레이들은, WWAN 모뎀에 의해 인지되는 (네트워크 상에서 활용되는 시간의 프랙션(fraction)과 같은) 링크 활용도 및/또는 (이용되고 있는 현재의 변조 및 코딩 방식과 같은) 현재의 WWAN 상태 및/또는 링크 품질을 교환함으로써, 각각의 WWAN 링크들의 품질에 대한 추가적 동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다중경로 TCP 접속에서 경로들의 예상 성능에 대한 예상되는 경향을 결정하는 것을 보조하고, 클라이언트에서 WWAN 모뎀들에 의해 인지되는 변하는 조건들에 대한 선행적 적응을 가능하게 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경로들은 다중경로 TCP 세션 내에서 동적으로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추가로, 애플리케이션 계층 애그리게이션의 경우, 다중경로 TCP 세션은 인터넷 상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직접 셋업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다중경로 TCP 터널링 앵커가 운영자의 네트워크에서 또는 운영자 네트워크들에 걸쳐 제안될 수 있다. 다중경로 TCP 터널은 모바일 플랫폼과 연관된 다수의 WWAN 모뎀들을 활용하는 더 높은 대역폭들을 제공할 수 있고, 단순히 그 터널을 이용하는 인터넷 상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들에 대해 변경들을 요구하지 않을 수 있다. 터널은 시스템에서 단일 경로 활용 상태와 다중경로 활용 상태 사이의 전이들 동안 지속된다. 특정한 양상들에서, 대역폭을 애그리게이트한 모바일 플랫폼이 다른 모바일 플랫폼들에 대해 액세스 포인트로서 서빙하는 경우, 다수의 경로들에 걸쳐 애그리게이트된 대역폭은 다른 모바일 플랫폼들에 또한 이용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제, 일 장치의 다양한 양상들이 도 1을 참조하여 제시될 것이다. 도 1은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 블록도이다. 장치(100)는, 프로세서(104), 프로세서(104)에 커플링된 머신 판독가능 매체(메모리)(108), 프로세서(104)에 커플링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모뎀들(102), 및 프로세서(104)에 커플링된 트랜시버(106)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4) 및 머신 판독가능 매체(108)는 함께 프로세싱 시스템(110)으로 지칭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세싱 시스템(110)은 특정한 프로세서(104) 구성들의 경우 머신 판독가능 매체(108) 없이 프로세서(104)를 포함할 수 있다.
모뎀들(102)은 다중경로 전송을 이용하는 대역폭 애그리게이션을 위해 협력한다. 즉, 장치(100) 내에 있거나, 또는 장치(100)와 무선으로 근접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무선 노드들 및 장치(100) 모두 내에 있는 복수의 모뎀들에 걸쳐 협력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110)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은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SP), 필드 프로그래밍가능한 게이트 어레이들(FPGA), 프로그래밍가능한 논리 디바이스들(PLD), 제어기들, 상태 머신들, 게이트된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정보의 계산들 또는 다른 조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엔티티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110)은 또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머신 판독가능 매체(108)를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디스크립션 언어 또는 다른 것들로 지칭되더라도, 임의의 유형의 명령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해석될 것이다. 명령들은, (예를 들어, 소스 코드 포맷, 이진 코드 포맷, 실행가능한 코드 포맷 또는 코드의 임의의 다른 적절한 포맷으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프로세싱 시스템(110)으로 하여금, 후술되는 다양한 기능들 뿐만 아니라 다른 프로토콜 프로세싱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108)는 프로세서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에 통합된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108)는 또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플래쉬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래밍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PROM), 소거가능한 PROM(EPROM),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착탈식 메모리, CD-RMO, DVD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저장 디바이스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 외부의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머신 판독가능 매체(108)는 데이터 신호를 인코딩하는 반송파(carrier wave) 또는 송신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들은, 프로세싱 시스템에 대한 설명된 기능을 최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인식할 것이다.
도 2는 WWAN 캐리어들에 걸친 터널링 서비스를 도시하는 블록도(200)이다. 애플리케이션 서버(208)와의 통신을 허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캐리어 WWAN 지원 인프라구조 1,2,...N(210, 212, 214)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지원 인프라구조들을 통해 WWAN 클라이언트(202)와 다중경로 전송 프로토콜(MPTP) 터널링 서버(204) 사이에 다중경로 전송 프로토콜(MPTP) 캐리어간 터널이 구축된다. WWAN 클라이언트(202)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지원 인프라구조들(210, 212, 214)을 통해 MPTP 터널링 서버(204)와 동시에 통신하기 위해 복수의 모뎀들(102)을 갖는다. 클라이언트(202)가 인터넷/네트워크(206)에 접속하는 경우, 클라이언트(202)의 데이터 플로우는 터널링 서버(204)를 통해 구축된다. MPTP는 다중경로 TCP 또는 SCTP일 수 있다.
도 3은 다중경로 TCP를 이용하는 WWAN 캐리어들에 걸친 터널링 서비스를 도시하는 블록도(300)이다. 다중경로 TCP 캐리어간 터널이 WWAN 클라이언트(302)와 다중경로 TCP 터널링 서버(304) 사이에 구축된다. 일 양상에서는, 도 10, 11 및 12를 참조하여 논의되는 바와 같이, WWAN 클라이언트(302)가 다른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UE들)에 대한 애드 혹(ad hoc) 액세스 포인트로서 작동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에서, WWAN 클라이언트(302)는, WWAN 클라이언트(302)와 다중경로 TCP 터널링 서버(304) 사이의 통신들에 이용되는 것과 동일한 TCP를 이용하여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WWAN 클라이언트(3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프로토콜들에 기초하여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302)가 인터넷/네트워크(306)에 접속하는 경우, 클라이언트(302)의 데이터 플로우는 터널링 서버(304)를 통해 구축된다. 다중경로 TCP 터널링 서버(304)는, 동적으로 할당될 수도 있고 동적으로 할당되지 않을 수도 있는 ClientVPN_Public_IP 어드레스를 제공하고, 클라이언트(302)는 인터넷/네트워크(306) 상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308)와 통신하는 경우 패킷들에 이를 포함시킨다. 각각의 캐리어를 통한 각각의 경로에 대해, 클라이언트(302)는 각각의 캐리어에 대해 WWAN 인프라구조(310, 312, 314)로부터 상이한 IP 어드레스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302)가 N개의 캐리어들을 이용할 수 있으면, 클라이언트(302)는, 제 1 캐리어에 대한 어드레스 ClientTunnelIP1, 제 2 캐리어에 대한 어드레스 ClientTunnelIP2, ..., 제 N 캐리어에 대한 어드레스 ClientTunnelIPN을 수신한다. 터널링 서버(304)는 MPTP 접속들에 대해 대응하여 N개의 IP 어드레스들 TunnelServerIP1, TunnelServerIP2, ..., 및 TunnelServerIPN을 제공한다. 인터넷/네트워크(306) 상의 애플리케이션 서버(308)는 그 자신의 IP 어드레스 ApplicationServer_IP를 가질 수 있다.
IP 어드레스들 ClientVPN_Public_IP 및 ApplicationServer_IP를 이용하여, 레거시 TCP 또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세션이 애플리케이션 서버(308)와 클라이언트(302) 사이에 구축된다.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TCP 패킷들은, 클라이언트(302)에 대한 IP 어드레스들 ClientTunnelIP1, ClientTunnelIP2, ..., ClientTunnelIPN 및 터널링 서버(304)에 대한 IP 어드레스들 TunnelServerIP1, TunnelServerIP2, ..., TunnelServerIPN을 이용하여 구축되는 다중경로 TCP 터널을 통해 반송된다. 클라이언트(302)를 떠난 패킷들은 다중경로 TCP 터널로 랩핑(wrap)되고 터널링 서버(304)로 전달된다. 터널링 서버(304)는 패킷들을 언랩핑(unwrap)하고, IP 어드레스 ApplicationServer_IP로 향하는 패킷들을 전송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308)로부터의 패킷들은 ClientVPN_Public_IP 어드레스로 전송되고, 이 어드레스는 터널링 서버(304)의 도메인에서 관리된다. 터널링 서버(304)가 애플리케이션 서버(308)로부터 패킷들을 수신하는 경우, 터널링 서버(304)는 이 패킷들을 터널링 서버(304)와 클라이언트(302) 사이의 다중경로 TCP 터널로 랩핑한다. 패킷들이 클라이언트(302)에 도달하는 경우, 패킷들은 클라이언트(302)에 의해 언랩핑되고, 그 다음, 후속적으로 클라이언트(302) 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레거시 TCP 또는 UDP 종점으로 전달된다.
클라이언트(302)는 다중경로 TCP 계층(302D) 및 서브플로우 TCP/IP 계층(302E)을 가질 수 있어서, 클라이언트(302)는 애플리케이션(302A)을 이용하여 레거시 TCP(302B, 302C)를 통해 다중경로 TCP를 활용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302)는, 터널링 서버(304)로 통신을 전송하고 터널링 서버(304)로부터 통신을 수신함으로써 다중경로 TCP를 활용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다중경로 TCP 계층(302D)은 이 통신을 서브플로우 TCP/IP 계층(302E)으로 중계하고, TCP/IP 계층(302E)은 다중경로 TCP 가능 계층이고, IP 어드레스들 ClientTunnelIP1, ClientTunnelIP2, ..., ClientTunnelIPN (L1, L2, L3에 대응함) 각각으로부터 IP 어드레스들 TunnelServerIP1, TunnelServerIP2, ..., TunnelServerIPN에서 각각 통신을 터널링 서버(304)로 전송한다. 서브플로우 TCP/IP 계층(302E)은 터널링 서버(304)로부터 통신을 수신하고, 이 통신을 다중경로 TCP 계층(302D)으로 중계한다. 터널링 서버(304)는 유사하게 다중경로 TCP 계층(304A) 및 서브플로우 TCP/IP 계층(304B)을 가질 수 있다. 서브플로우 TCP/IP 계층들(302E, 304B)은, 각각 서브플로우에 대한 혼잡 제어 메커니즘들 및 슬로우-스타트 메커니즘들을 독립적으로 포함하여 각각의 서브플로우를 관리한다. 다중경로 TCP 계층들(302D, 303A)은 서브플로우들에 걸쳐 데이터를 병합/스플릿한다.
도 4는 캐리어간 스큐 및 플로우 관리에 대한 경로 조정 및 경로 관리 오버레이 지원을 도시하는 블록도(400)이다. 터널링 서버의 경로 관리자들(406, 408) 및 터널링된 클라이언트의 경로 관리자들(456, 458)은 각각의 WWAN 캐리어와 연관된 각각의 경로에 대해 생성된다. 경로 관리자들은 각각의 캐리어에 대해 각각의 서브플로우에 대한 발견 및 셋업을 가능하게 한다. 캐리어간 경로 조정기(404)는 터널링 서버(304)에 구축되고, 캐리어간 경로 조정기(454)는 터널링된 클라이언트(302)에 구축된다. 캐리어간 경로 조정기들(404, 454)은 각각의 경로의 성능을 동적으로 분석하고, 그 다음, 이용가능한 경로들에 걸친 플로우의 분배를 최적화한다. 노드들(302, 304) 사이에서 MPTP 터널(402, 452)을 이용한 경로들의 동시 활용을 최적화하기 위해, 터널링된 클라이언트(302) 및 터널링 서버(304)에서의 경로 관리자들과 캐리어간 경로 조정기들(404, 454) 사이에서 정보를 교환하도록, 터널링 서버(304)와 터널링된 클라이언트(302) 사이에 애플리케이션-계층 오버레이들이 구축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는, 도 10, 11 및 12를 참조하여 논의되는 바와 같이, 터널링 클라이언트(302)가 다른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UE들)에 대한 애드 혹 액세스 포인트로서 작동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각각의 서브-플로우의 혼잡 윈도우 사이즈를 이용하고 그리고/또는 각각의 경로에 대한 WWAN 링크 품질/활용/로드 정보에 관한 정보를 활용하는 것과 같은) 경로들 각각에 대한 유효 대역폭들 및 (각각의 서브-플로우에 대한 RTT(round-trip-time) 측정들에 기초한) 각각의 경로 상의 유효 지연들에 대한 지식에 기초하여, 트래픽 플로우가 최적화될 수 있다. 유효 대역폭들이 B1, B2, ..., BN이면, 트래픽은 서브-플로우들에 걸쳐 비율 B1:B2:...:BN으로 스플릿될 수 있다. 또한, 지연들이 D1, D2, ..., DN이면, 더 긴 지연을 갖는 경로들에 대한 패킷들이 경로들에 걸친 차분 지연들에 기초하여 송신을 위해 먼저 스케줄링될 수 있어서, 패킷들은 클라이언트의 수신 MPTCP 종점에 시간상 더 근접하게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스케줄링은 수신 MPTCP 종점에서의 버퍼링 요건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패킷들은 수신 MPTCP 종점에서 버퍼링될 수 있고, 서브플로우들에 걸쳐 패킷들을 애그리게이트함으로써 패킷들은 결국 순서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이러한 스케줄링은 요건이 아니다.
터널링 서버(304)는, 다수의 캐리어들을 지원하는 WWAN 인프라구조(310-314) 내에만 위치될 수 있다. 다수의 WWAN 인프라구조들(310-314)이 상이한 WWAN 캐리어들을 지원할 필요가 있는 경우, 터널링 서버(304)는 WWAN 인프라구조들(310-314)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널링 서비스는 WWAN 캐리어들에 걸친 스큐들을 관리할 수 있어서, WWAN 캐리어들에 걸친 이용가능한 대역폭의 애그리게이션을 가능하게 한다. 레거시 애플리케이션 서버들은 다중경로 TCP를 지원할 필요없이, 애그리게이트된 성능을 레버리지(leverage)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터널링 서비스의 이용을 통해, 클라이언트(302)는, MPTP 능력을 갖지 않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와의 MPTP 통신을 활용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는, 도 5, 도 6, 도 7 및 도 8에 관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가 협력적 디바이스들의 이용을 통해 MPTP를 활용할 수 있다.
도 5는 협력적 MPTP를 도시하는 블록도(500)이다. MPTP 가능 UE(즉, 클라이언트 노드)(502)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통신 경로들(512)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WWAN 네트워크들(510)과 동시에 통신하기 위해 복수의 모뎀들(102)을 갖는다. 일 양상에서, 통신 경로들(512)은 MPTP를 이용하도록 인에이블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스템(500)은, 피어-투-피어 통신(514)을 통해 클라이언트 노드(502)와 통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록시 노드(504)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피어-투-피어 통신들(514)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유선 및/또는 무선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지원될 수 있다. 프록시 노드(504)가 클라이언트 노드(502)에 무선으로 근접하게 되는 경우, 프록시 노드(504)는 클라이언트 노드(502)에 의해 발견될 수 있다. 협력적 MPTP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노드(502)는 인터넷/네트워크(506) 상에 상주하는 MPTP 가능 서버(508)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MPTP 가능 서버(508)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MPTP는 다중경로 TCP 또는 SCTP일 수 있다.
도 6은 협력적 다중경로 TCP를 도시하는 블록도(600)이다. 도 7은 캐리어간 스큐 및 플로우 관리에 대한 경로 조정 및 경로 관리 오버레이 지원을 도시하는 블록도(700)이다. 도 8은 협력적 다중경로 TCP에 대한 호출-흐름도(800)이다. 다중경로 TCP 가능 UE(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노드)(602)는,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프록시 노드(604) 및 WWAN 네트워크(610)와 동시에 통신하기 위해 복수의 모뎀들(102)을 갖는다. 일 양상에서, 피어-투-피어 통신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유선 및/또는 무선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지원될 수 있다. 프록시 노드(604)가 클라이언트 노드(602)에 무선으로 근접하게 되는 경우, 프록시 노드(604)는 클라이언트 노드(602)에 의해 발견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노드(602)는 후속적으로, 자신의 IP 어드레스(주 IP 어드레스로 지칭됨)를 이용하여 인터넷/네트워크(606) 상의 서버(608)와 TCP 세션을 시작하고(802), 서버(608)가 다중경로 TCP 가능이라는 것을 발견한다(804). 일 양상에서, 도 10, 11 및 12를 참조하여 논의되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노드(602)는 다른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UE들)에 대한 애드 혹 액세스 포인트로서 작동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에서, 클라이언트 노드(602)는, 클라이언트 노드(602)와 서버(604) 사이의 통신들에 대해 이용되는 것과 동일한 TCP를 이용하여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클라이언트 노드(6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프로토콜들에 기초하여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 그 다음, 클라이언트(602)는 프록시 노드(604)에 보조 IP 어드레스를 요청한다(806). 프록시 노드(604)는 네트워크(610)로부터 IP 어드레스를 요청한다(808). 프록시 노드(604)가 네트워크(610)로부터 IP 어드레스를 수신하는 경우, 프록시 노드(604)는 그 IP 어드레스를 클라이언트(602)에 제공한다(810). 클라이언트(602)는 그 IP 어드레스를 자신의 보조 IP 어드레스로 이용한다. 클라이언트(602)는 자신의 주 IP 어드레스 및 자신의 보조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서버(608)와 다중경로 TCP 세션을 셋업한다(812, 814). 다른 실시예들에서, 클라이언트 노드(602)는 프록시 노드(604)를 통해 서버(608)와의 경로를 셋업하기 위해, 프록시 노드(604)로부터 주 IP 어드레스를 먼저 획득할 수 있다. 이것은, 클라이언트(602)가 고려할 수 있는 많은 이유들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이 이유들은, WWAN 네트워크가 클라이언트에 대한 직접 액세스에 대해 이용가능하지 않을 수 있는 가능성, 또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주어진 위치에서 네트워크에 대해 가입이 이용가능하지 않을 수 있는 가능성, 또는 프록시 노드를 통한 경로를 이용하는 것이 더 낮은 에너지 또는 더 낮은 비용일 수 있는 가능성, 또는 프록시 노드를 통한 네트워크의 성능이 직접 경로보다 더 양호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포함할 수 있다. 후속적으로, 서버(608)가 다중경로 TCP 가능인 것을 발견한 후, 클라이언트 노드(602)는, 자신의 네트워크의 이용가능성에 기초하여, 또는 네트워크들을 이용하는 비용에 기초하여, 또는 에너지 고려사항들에 기초하여, 또는 성능 요건들에 기초하여, 자신의 WWAN 네트워크를 통한 직접 경로에 대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보조 IP 어드레스들을 추가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노드(602)는 또한 동일한 프록시 노드(604) 또는 상이한 프록시 노드를 통한 다른 경로에 대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보조 IP 어드레스를 추가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노드(602) 및 프록시 노드(604)는 상이한 WWAN 네트워크들과 통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록시 노드 및 클라이언트 노드가 자신들의 각각의 네트워크들과 통신하기 위해 이용하는 WWAN 네트워크들 또는 채널들 또는 프로토콜들 또는 기술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각각의 IP 어드레스에 대해 각각의 서브플로우에 대한 서버(608)로부터의 트래픽이 네트워크(610)에 도달한다(816). 네트워크(610)는 주 IP 어드레스에 대한 서브플로우 트래픽을 클라이언트(602)로 지향시킨다(818). 네트워크(608)는 보조 IP 어드레스에 대한 서브플로우 트래픽을 프록시 노드(604)로 지향시킨다(820). 그 다음, 프록시 노드(604)는 프록시 노드(604)와 클라이언트(602) 사이에서 피어-투-피어(P2P) 링크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보조 IP 어드레스에 대해 수신된 트래픽을 클라이언트(602)로 전달한다(822). P2P 애플리케이션은 보조 IP 서브플로우와 연관된 패킷들을 전달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후속적으로, 서브플로우들이 클라이언트(602)에서 병합되고,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전달된다. 클라이언트(602)로부터 서버(608)로의 반대 경로에서, 클라이언트는 주 IP 어드레스에 대한 서브플로우 트래픽을 네트워크(610)로 전송하고(818), 보조 IP 어드레스에 대한 서브플로우 트래픽을, 네트워크(610)로 포워딩하는(820) 프록시 노드(604)로 전송한다(822). 네트워크(610)는 서브플로우들 둘 모두에 대한 트래픽을 서버(608)로 전송한다(816).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 노드(602)는, 자신이 직접 활용할 수 있는 WWAN 네트워크들 각각, 및 자신의 인근에 있는 프록시 노드들이 액세스할 수 있는 WWAN 네트워크들 각각에 대해 다수의 IP 어드레스들을 획득할 수 있다.
네트워크(610)는 WWAN 또는 다수의 WWAN들일 수 있어서, 프록시 노드(604) 및 클라이언트 노드(602)는 자신들의 각각의 WWAN들에 접속할 수 있다. 이것은, 프록시 노드(604)에 대해 상이한 WWAN을 이용하여, 또는 프록시 노드(604) 및 클라이언트(602) 모두에 대해 동일한 WWAN에서 상이한 WWAN 채널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602)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유효 대역폭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WWAN(들)에서는 어떠한 변경들도 요구되지 않는다. 프록시 노드(604)가 보조 IP 어드레스로서 이용할 자신의 IP 어드레스를 클라이언트(602)에 제공하기 때문에, 네트워크(610)에 관한 한, 보조 IP 어드레스에 대한 모든 트래픽은 프록시 노드(604)에 관한 것을 의미한다. 네트워크(610)는, 프록시 노드(604)가 자신의 IP 어드레스를 클라이언트(602)에 대여했다는 사실을 모를 수 있다. 서버(608)에 관한 한 서버(608)는 오직 클라이언트(602)와 통신중이다. 프록시 노드(604)와 클라이언트(602) 사이의 P2P 애플리케이션은 보조 IP 어드레스에 대한 서브플로우 트래픽을 통신하기 위해 이용된다. WWAN과 통신하는 경우, 프록시 노드(604) 및 클라이언트(602)는 자신들의 주 및 보조 IP 어드레스들을 셋업하기 위해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 콘텍스트(context)들을 셋업할 수 있다. 협력적 프록시 노드들을 통한 다중경로 TCP는 2개보다 많은 경로들을 이용하도록 확장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동일한 프록시 또는 상이한 프록시를 이용하여 제3의 경로가 셋업될 수 있고, 따라서, 네트워크(610)에 요구되는 변경들 없이, 다수의 프록시 노드들을 이용하여 협력적 성질이 다수의 경로들에 확장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하면, 다중경로 전송 서버(508)의 경로 관리자들(706, 708) 및 다중경로 전송 클라이언트(502)의 경로 관리자들(756, 758)은 각각의 WWAN 캐리어와 연관된 각각의 경로에 대해 생성된다. 경로 관리자들은 각각의 캐리어에 대해 각각의 서브플로우에 대한 발견 및 셋업을 가능하게 한다. 캐리어간 경로 조정기(704)는 서버(508)에 구축되고, 캐리어간 경로 조정기(754)는 클라이언트(502)에 구축된다. 캐리어간 경로 조정기들(704, 754)은 각각의 경로의 성능을 동적으로 분석하고, 그 다음, 이용가능한 경로들에 걸친 플로우의 분배를 최적화한다. 노드들(508, 502) 사이에서 MPTP 세션(702, 752)을 이용한 경로들의 동시 활용을 최적화하기 위해, 클라이언트(502) 및 서버(508)의 경로 관리자들과 캐리어간 경로 조정기들(704, 754) 사이에서 정보를 교환하도록, 서버(508)와 클라이언트(502) 사이에 애플리케이션-계층 오버레이들이 구축될 수 있다.
도 8은 협력적 다중경로 TCP에 대한 호출-흐름도(800)이다. 일 양상에서, 시스템(800)은 다중경로 TCP 클라이언트(602), 다중경로 TCP 프록시(604), 네트워크(610) 및 다중경로 TCP 서버(608)를 포함할 수 있다. 시퀀스 단계(802)에서, 다중경로 TCP 클라이언트(602)는 다중경로 TCP 서버(608)를 통해 주 IP 어드레스로 접속을 개시할 수 있다. 시퀀스(804)에서, 다중경로 TCP 서버(608)는 접속을 승인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다중경로 TCP 서버(608)는, 그 접속이 다중경로 TCP 가능임을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시퀀스 단계(806)에서, 다중경로 TCP 클라이언트(602)는 다중경로 TCP 프록시(604)에 대한 보조 IP 어드레스를 요청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다중경로 TCP 프록시(604) 및 다중경로 TCP 클라이언트(602)는 네트워크(610)를 통해 다중경로 TCP 서버(608)와 협력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시퀀스 단계(808)에서, 다중경로 TCP 프록시(604)는 네트워크(610)로부터 IP 어드레스를 요청 및 획득할 수 있다. 시퀀스 단계(810)에서, 다중경로 TCP 프록시(604)는 획득된 IP 어드레스를 다중경로 TCP 클라이언트(602)에 통신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다중경로 TCP 프록시(604)는 또한 다중경로 TCP 협력적 통신을 승인할 수 있다.
시퀀스 단계(812)에서, 다중경로 TCP 클라이언트(602)는 다중경로 TCP 서버(608)로부터 다중경로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이 요청은 주 및 보조 IP 어드레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시퀀스 단계(814)에서, 다중경로 TCP 서버(608)는 다수의 IP 어드레스들을 이용하여 다중경로 TCP 세션을 셋업할 수 있다. 시퀀스 단계(816)에서, 다중경로 TCP 서버(608)는 네트워크(610)와 통신하여, 다중경로 TCP 세션에 대해 셋업된 다수의 서브플로우들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시퀀스 단계(818)에서, 네트워크(610)는 서브플로우들에 대한 데이터를, 다중경로 TCP 클라이언트(602)와 연관된 다수의 IP 어드레스들 중 하나로 전송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퀀스 단계(820)에서, 네트워크(610)는 서브플로우들에 대한 데이터를, 다중경로 TCP 프록시(604)와 연관된 다수의 IP 어드레스들 중 하나로 전송 및/또는 수신할 수 있고, 그 후, 시퀀스 단계(822)에서, 네트워크(610)는 서브플로우들에 대한 데이터를, 다중경로 TCP와 연관된 다수의 IP 어드레스들 중 하나로 전송 및/또는 수신할 수 있고, 서브플로우들을 다중경로 TCP 클라이언트(602)에 통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다중경로 TCP 클라이언트(602)는 다른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UE들)에 대한 애드 혹 액세스 포인트로서 작동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에서, 다중경로 TCP 클라이언트(602)는 다중경로 TCP 클라이언트(602)와 서버(610) 사이의 통신들에 대해 이용되는 것과 동일한 TCP를 이용하여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다중경로 TCP 클라이언트(6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프로토콜들에 기초하여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
도 9는 협력적 다중경로 TCP를 도시하는 다른 블록도(900)이다. 애플리케이션 서버(906)가 다중경로 TCP 가능이 아니면, 애플리케이션 서버(906)와 클라이언트(902) 사이의 통신은 터널링 서버(908)를 통해 핸들링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906)는 인터넷/네트워크(910)에 있다. 터널링 서버(908)는 또한 인터넷/네트워크(910)에 있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터널링 서버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WWAN 네트워크들(912)에 상주할 수 있다. 터널링 서버(908)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통신 경로들(912)을 통해 클라이언트(902) 및 프록시 노드(904) 모두와의 통신을 핸들링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통신 경로들(912)은 MPTP를 이용하도록 인에이블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스템(900)은, 피어-투-피어 통신(914)을 통해 클라이언트 노드(902)와 통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록시 노드(904)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피어-투-피어 통신들(914)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유선 및/또는 무선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지원될 수 있다.
도 10,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WWAN 클라이언트는 다른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UE들)에 대해 로컬 애드 혹 액세스 포인트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10은 WWAN 캐리어들에 걸친 터널링 서비스를 도시하는 블록도(1000)이다. 애플리케이션 서버(1008)와의 통신을 허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캐리어 WWAN 지원 인프라구조 1,2,...N(1010, 1012, 1014)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지원 인프라구조들을 통해 WWAN 클라이언트(1002)와 MPTP 터널링 서버(1004) 사이에 다중경로 전송 프로토콜(MPTP) 캐리어간 터널이 구축된다. WWAN 클라이언트(1002)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지원 인프라구조들(1010, 1012, 1014)을 통해 MPTP 터널링 서버(1004)와 동시에 통신하기 위해 복수의 모뎀들(102)을 갖는다. 클라이언트(1002)가 인터넷/네트워크(1006)에 접속하는 경우, 클라이언트(1002)의 데이터 플로우는 터널링 서버(1004)를 통해 구축된다. MPTP는 다중경로 TCP 또는 SCTP일 수 있다.
추가로, 일 양상에서, WWAN 클라이언트(1002)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UE들(1020, 1022, 1024)과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에서, WWAN 클라이언트(1002)는, UE들(1020, 1022, 1024)이 애플리케이션 서버(1008)와 같은 엔티티들과 통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UE(1)(1020), UE(2)(1022), UE(N)(1024) 등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UE들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애드 혹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일 양상에서, WWAN 클라이언트(1002)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UE들(1020, 1022, 1024) 사이의 통신에 이용되는 애드 혹 네트워크는 유선 및/또는 무선 프로토콜들에 기초할 수 있다. 추가로, 무선 통신들은 802.11 프로토콜에 기초할 수 있다.
도 11은 협력적 MPTP를 도시하는 블록도(1100)이다. MPTP 가능 사용자 장비(UE)(즉, 클라이언트 노드)(1102)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통신 경로들(1112)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WWAN 네트워크들(1110)과 동시에 통신하기 위해 복수의 모뎀들(102)을 갖는다. 일 양상에서, 통신 경로들(1112)은 MPTP를 이용하도록 인에이블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스템(1100)은, 피어-투-피어 통신(1114)을 통해 클라이언트 노드(1102)와 통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록시 노드(1104)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피어-투-피어 통신들(1114)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유선 및/또는 무선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지원될 수 있다. 프록시 노드(1104)가 클라이언트 노드(1102)와 무선으로 근접하게 되는 경우, 프록시 노드(1104)는 클라이언트 노드(1102)에 의해 발견될 수 있다. 협력적 MPTP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노드(1102)는, 인터넷/네트워크(1106) 상에 상주하는 MPTP 가능 서버(1108)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MPTP 가능 서버(1108)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MPTP는 다중경로 TCP 또는 SCTP일 수 있다.
추가로, 일 양상에서, 클라이언트 노드(1102)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UE들(1120, 1122, 1124)과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에서, 클라이언트 노드(1102)는, UE들(1120, 1122, 1124)이 엔티티들과 통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UE(1)(1120), UE(2)(1122), UE(N)(1124) 등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UE들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애드 혹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일 양상에서, 클라이언트 노드(502)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UE들(1120, 1122, 1124) 사이의 통신에 이용되는 통신들(1116)은 유선 및/또는 무선 프로토콜들에 기초할 수 있다. 추가로, 통신들(1116)은 802.11 프로토콜에 기초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통신들(1116)은 피어-투-피어 통신들을 인에이블하도록 이용될 수 있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유선 및/또는 무선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지원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유선 통신은 고속 칩간(high speed inter chip)(HSIC) 인터페이스(inter-chip USB)를 통해 제 2 칩 또는 모뎀을 이용하여 인에이블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통상적인 USB 트랜시버들을 제거할 수 있지만, USB 설계의 나머지 및 유선 접속 설계를 유지한다.
도 12는 협력적 다중경로 TCP를 도시하는 다른 블록도(1200)이다. 애플리케이션 서버(1206)가 다중경로 TCP 가능이 아니면, 애플리케이션 서버(1206)와 클라이언트(1202) 사이의 통신은 터널링 서버(908)를 통해 핸들링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1206)는 인터넷/네트워크(1210)에 있다. 터널링 서버(1208)는 또한 인터넷/네트워크(1210)에 있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터널링 서버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WWAN 네트워크들(1212)에 상주할 수 있다. 터널링 서버(1208)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통신 경로들(1212)을 통해 클라이언트(1202) 및 프록시 노드(1204) 모두와의 통신을 핸들링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통신 경로들(1212)은 MPTP을 이용하도록 인에이블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스템(1200)은, 피어-투-피어 통신(1214)을 통해 클라이언트 노드(1202)와 통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록시 노드(1204)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피어-투-피어 통신들(1214)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유선 및/또는 무선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지원될 수 있다.
추가로, 일 양상에서, 클라이언트 노드(1202)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UE들(1220, 1222, 1224)과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에서, 클라이언트 노드(1202)는, UE들(1220, 1222, 1224)이 엔티티들과 통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UE(1)(1220), UE(2)(1222), UE(N)(1224) 등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UE들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애드 혹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일 양상에서, 클라이언트 노드(1202)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UE들(1220, 1222, 1224) 사이의 통신에 이용되는 통신들(1216)은 유선 및/또는 무선 프로토콜들에 기초할 수 있다. 추가로, 통신들(1216)은 802.11 프로토콜에 기초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통신들(1216)은 피어-투-피어 통신들을 인에이블하도록 이용될 수 있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유선 및/또는 무선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지원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유선 통신은 고속 칩간(HSIC) 인터페이스(inter-chip USB)를 통해 제 2 칩 또는 모뎀을 이용하여 인에이블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통상적인 USB 트랜시버들을 제거할 수 있지만, USB 설계의 나머지 및 유선 접속 설계를 유지한다.
도 13은 모뎀간 조정에 의한 WWAN 캐리어들에 걸친 터널링 서비스를 도시하는 블록도(1300)이다. 애플리케이션 서버(1308)와의 통신을 허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캐리어 WWAN 지원 인프라구조 1,2,...N(1310, 1312, 1314)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지원 인프라구조들을 통해 WWAN 클라이언트(1302)와 MPTP 터널링 서버(1304) 사이에 MPTP 캐리어간 터널이 구축된다. 일 양상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1308)는 통상적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네트워크 운영자(MNO)가 네트워크에서 다중경로 애그리게이션 앵커(1316)를 제공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자들은 최소한의 변경들로 또는 변경없이 서비스들을 이용할 수 있다. 반대로, MNO가 다중경로 애그리게이션을 위해 지원되는 앵커를 갖지 않으면,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자는, 이용가능한 클라이언트 IP 어드레스들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302)로의 다중경로 세션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다중경로 서버(1304)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에서, 다중경로 TCP 앵커(1316)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자에게 속하는 서버에 상주할 수 있다(예를 들어, 스트리밍 미디어 컨텐츠 제공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의 다중경로 세션을 직접 셋업할 수 있다). 다중경로 애그리게이션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서버와는 상이한 서버로부터 컨텐츠가 전달되는 경우에도, 터널링 앵커(1316)는 여전히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에서, 데이터는 컨텐츠 제공자 서버(1308)로부터 다중경로 TCP 서버(1304)로의 단일 경로에서 스트리밍될 수 있고, 그 다음, 다중경로 TCP 서버(1304)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302)로의 다중경로 스트림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스트리밍할 수 있다.
WWAN 클라이언트(1302)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지원 인프라구조들(1310, 1312, 1314)을 통해 MPTP 터널링 서버(1304)와 동시에 통신하기 위해 복수의 모뎀들(102)을 갖는다. 클라이언트(1302)가 인터넷/네트워크(1306)에 접속하는 경우, 클라이언트(1302)의 데이터 플로우는 터널링 서버(1304)를 통해 구축된다. MPTP는 다중경로 TCP 또는 SCTP일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네트워크 경로들 중 하나가 (공유된 LTE 네트워크 경로와 같이) 다른 운영자를 통해 구축되면, 주어진 위치에서 이 공유된 네트워크와 연관된 비용들에 기초하여, 경로가 이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MPTP 앵커(1318)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320)에 대한 접속을 구축할 때, 시스템의 에너지 레벨, 각각의 경로에 대한 데이터 통신들의 에너지 효율에 기초한 가변 에너지 비용들, 각각의 경로를 턴온시키는 것과 연관된 고정 비용들 등과 같은 다양한 팩터들에 따라, 하나보다 많은 경로를 이용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302)는 배터리로 동작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WWAN들(1310, 1312, 1314)은, 서로의 대역들로부터의 간섭을 제거하는 상이한 대역들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다중-안테나 간섭 제거(MAIC)와 같은 조정된 동작들에 관여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이러한 기능은 프로토콜들을 RF-프론트 엔드(front end)로부터 기저대역 시스템들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모뎀간 조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다중경로 TCP 앵커(1316)에 의한 사용을 위해 하나보다 많은 WWAN 경로를 노출시킬지 여부가 플랫폼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동작시에, WWAN(예를 들어, 1310)에서 접속된 사용자들은 이용가능한 성능을 감소시키는 WWAN(1310)에서의 혼잡을 초래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WWAN 시스템들은 스마트폰들 등과 같은 많은 디바이스들에 대한 동작의 낮은 데이터 레이트 모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이 모바일 디바이스들(1302) 상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1320)에 기인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량이 적을지라도 상당한 양의 오버헤드 시그널링 동작이 존재할 수 있다. 이 오버헤드 시그널링은, 애플리케이션들(1320)에 대한 접속 유지(keep alive) 메시지들과 같은 빈번한 낮은 데이터 레이트 메시지들, 또는 인스턴트 메신저 구현들에 대한 업데이트들의 존재로부터 기인할 수 있다. 추가로, 스마트폰들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수가 증가하면, 실제 데이터를 사용자들에게 전달하는 시스템(1300)에서의 이용가능한 성능에 영향을 주는 혼잡 로드에서의 현저한 증가가 관측된다. 일 양상에서, 다수의 WWAN들(1310, 1312, 1314)에 걸쳐 다중경로 전송 접속을 이용하고, 각각의 WWAN을 최소한으로 이용하면, 사용자는 다수의 WWAN들(1310, 1312, 1314)에서 불필요하게 혼잡을 초래한다.
게다가, 다수의 WWAN(1310, 1312, 1314) 경로들을 이용하는 능력에 의해 다중경로 전송 접속이 구축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애플리케이션(1320)이, 하나의 WWAN 경로에 의해서는 전달될 수 없는 더 높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경우, 다중경로 TCP 앵커(1316)는 하나보다 많은 WWAN 경로를 할당할 수 있다. (간헐적 이메일 또는 IM 업데이트들을 수신하는 접속된 사용자와 같이) 사용자가 낮은 대역폭을 소모하고 있는 모드들 동안, 사용자의 접속 상태는 다중경로 TCP 앵커(1316)에 의해 WWAN들 중 오직 하나의 WWAN 상에서만 유지된다. 다중경로 TCP 앵커(1316)는, 다른 WWAN들을 통한 추가적 경로들이 언제 턴온되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302)와 네트워크(1306) 사이의 다중경로 전송 접속에 추가될 경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다중경로 TCP 앵커(1316)는 애그리게이트 스루풋의 이동 평균을 유지할 수 있어서, 디바이스(1302)가 유휴이거나 소량의 대역폭을 이용하는 시간들 동안, 다수의 WWAN 네트워크들(1300)에서 혼잡 및 점유를 감소시키기 위해 추가적 경로들을 위한 WWAN 네트워크 자원들이 릴리스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대역폭 요건들이 낮은 시간들에는 최소 비용 경로(예를 들어, 에너지/비트 또는 가격*에너지/비트)가 활용되어, 그 선택된 경로가 그 시간에 요구되는 임의의 지연 요건들을 충족시킬 수 있다. 더 높은 대역폭들이 요구되는 경우, 추가적인 이용가능한 WWAN 경로들이 턴온되고, 활용되고, 그 다음 릴리스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경로들은 다중경로 TCP 터널(1304) 내에서 동적으로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즉, 터널은 시스템(1300)에서 단일경로 활용 상태와 다중경로 활용 상태 사이의 전이들 동안 지속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다중경로 TCP 앵커(1316)는, 제 1의 더 느린 경로를 따른 데이터 패킷들의 더 조기의 송신 및/또는 제 2의 빠른 경로를 따른 데이터 패킷들의 지연된 송신을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킷 송신들은 더 느린 경로 상에서는 조기에 송신되고 비교적 더 빠른 경로 상에서는 적시에 송신되도록 스케줄링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패킷 송신들은 더 느린 경로 상에서는 적시의 송신을 위해 스케줄링되고, 비교적 더 빠른 경로 상에서는 지연되도록 스케줄링될 수 있다. 추가로, 더 느린 경로 상의 조기의 송신과 더 빠른 경로 상의 지연된 송신의 임의의 조합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디바이스(1302)는, 백홀에 대한 다중경로 전송 접속성을 활용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하도록 이용될 수 있고, 여기서 액세스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통해 제공된다. 다른 양상에서, 다중경로 TCP 앵커(1316)는 각각의 경로를 따라 이용가능한 성능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다수의 경로들에 걸쳐 트래픽을 스플릿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이러한 성능 파라미터들은, 현재의 TCP 혼잡 윈도우 추정치, 경로 정보 교환을 위해 오버레이들을 사용하여 이용가능한 선행적 링크 성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다중경로 TCP 앵커(1316)는 혼잡, 각각의 경로에 대해 이용가능한 윈도우 사이즈들 등과 같은 팩터들에 기초하여 트래픽을 파티셔닝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선행적 오버레이들을 통해 획득되는 실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트래픽 파티셔닝에 대한 적응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선행적 오버레이들은, 다중경로 클라이언트(1302)와 다중경로 서버(1304) 사이에서 종단간에 정보를 교환하는 UDP-기반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WWAN 모뎀(1302)에 의한 무선 링크와 관련된 성능 변경은, 선행적 오버레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MPTP 서버(1304)로 리포트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선행적 오버레이는, 이러한 선행적 성능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터널 상에 있는 부수적(side)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추가로, 선행적 오버레이는 또한 UDP를 통해 서버(1304)에 직접 전송될 수 있다. UDP에 기인하여 정보가 손실되더라도 무방하여, 이전에 수신된 정보가 이용된다.
일 양상에서, 경로 관리자는 클라이언트(1302)와 서버(1304) 사이의 각각의 경로에 대해 생성될 수 있다. 추가로, 이 경로 관리자는 WWAN 클라이언트(1302)와 터널링 서버 노드들(1304) 모두에 존재할 수 있다. 경로 관리자들은 각각의 캐리어에 대해 각각의 서브플로우에 대한 발견 및 셋업을 인에이블시키는데 유용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각각의 경로의 성능을 동적으로 분석하고, 그 다음, 이용가능한 경로들을 통한 플로우의 분배를 최적화하기 위해, 2개의 노드들 모두에 IntercarrierPath 조정기가 구축될 수 있다. WWANClient(1302) 및 TunnelingServer 노드들(1304)에 있는 InterCarrierPath 조정기들과 PathManagers 사이에서 정보를 교환하여, 이 노드들 사이에서 다중경로 TCP 터널을 이용한 다중경로들의 활용도를 최적화하기 위해, TunnelingServer(1304)와 TunneledClient(1302) 사이에 애플리케이션-계층 오버레이들이 구축될 수 있다. 추가로, 주어진 경로의 무선 성능에서의 저하가 클라이언트(1302)에 의해 서버(1304)로 신속하게 리포트될 수 있도록, 경로 관리자는, 10분의 몇(several 10th) ms 또는 100분의 몇(a few 100th) ms와 같은 시간 기간 동안 각각의 경로 상에서 관측되는 성능의 이동 평균을 리포트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다중경로 TCP 앵커(1316)는 순방향 링크 플로우들(예를 들어, 순방향 링크 전용(FLO) 경로)에 대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들을 할당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다중경로 TCP 앵커(1316)는 양방향 플로우들(예를 들어, 고속 패킷 액세스(HSPA))에 대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경로들을 할당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LO 라디오가 이용되면, 데이터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의해 오직 다운링크 상에서만 수신될 수 있다. 업링크 지원을 제공하는 교번(alternate) 라디오 경로 상에서 임의의 확인응답들이 횡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번 라디오 경로는 LTE 또는 HSPA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교번 라디오 경로는 양방향일 수 있고, 제 1 경로에 대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 데이터 플로우 모두에 대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방향 경로는 오직 하나의 방향(다운링크 또는 업링크)에서 제 2 데이터 플로우에 대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고, 이와 반대 방향(각각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에서 데이터에 대한 지원을 위해 제 1 경로를 활용할 수 있다. 제 1 데이터 플로우에 대한 라운드 트립 시간(RTT)(RTT_1)은 제 1 경로에 대한 양 방향들에서의 지연들을 포함할 것이다. 제 2 데이터 플로우에 대한 RTT(RTT_2)는 일방향 경로를 따른 일방향에 대한 지연, 및 양방향 제 1 경로를 이용한 반대 방향에 대한 지연을 포함할 것이다. 일방향 경로에 대한 일방향 지연 값은 수식 (1)을 이용하여 추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1)
클라이언트에 대한 2개의 경로들을 서빙하고 있는 다중경로 TCP 앵커 서버에 TCP 확인응답들을 전송할 필요성을 갖는 것과 같이, 특히, 제 2 데이터 플로우가 업링크 방향에서 최소의 필요성들을 가지면, 이러한 구현은 시스템(1300)에서 추가적인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방향 HSPA 접속을 통한 양방향 플로우에 대해 IP 어드레스가 획득될 수 있다. 그 후, 일방향 FLO 경로를 통한 양방향 접속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FLO 다운링크 일방향 경로와 연관된 제 2 IP 어드레스가 또한 양방향 HSPA 접속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동작시에, WWAN 모뎀들(1302)의 구현들은,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활성이 될 오직 하나의 WWAN 데이터 기술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는 WWAN 다중-모뎀 설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최적화된 다중-모뎀 설계에 기초하여, 다중-모뎀 설계는 동시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고 다수의 WAN들을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에서, 동시 실행(concurrency)의 양은 활성인 동시적 WWAN 데이터 모뎀들의 수에 기초할 수 있다. 이러한 동시 실행은 동시적 대역폭 애그리게이션(COBA) 시스템에서 모뎀 동시 실행 레벨(MCL)로 지칭될 수 있다. 제 1 단계로서, MCL이 2가 되도록, 오직 2개의 WWAN 모뎀 설계들이 복제되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WWAN들을 동시에 액세스 및 활용하기 위한 모뎀 동시 실행의 추가적 레벨은 장래에 고려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COBA 시스템은, MPTP를 이용하여 애그리게이트된 대역폭을 전달하기 위해, 각각 WWAN 모뎀을 갖는 2개의 상이한 칩들로부터의 WWAN 모뎀들을 이용하고, 2개 또는 그 초과의 WWAN RF 체인들을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에서, 칩들 중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모뎀들에 걸친 애그리게이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로, 이러한 구현은, 각각 하나 또는 그 초과의 WWAN 모뎀들을 갖는 다수의 칩들의 이용을 허용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단일 칩이 이용될 수 있고, 여기서 단일 칩은 집적된 다수의 WWAN 모뎀들을 갖고, 트래픽을 애그리게이트하기 위해 집적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을 추가로 갖는다. 추가적으로, 이용가능한 경우 추가적 무선 데이터 경로들을 제공하기 위해, 인지(cognitive) 및 화이트스페이스 액세스 능력들을 이러한 플랫폼들에 포함시킬 수 있다. 즉, 단일 디바이스 상에서의 애그리게이션은 듀얼-UICC 듀얼-데이터 링크 액세스를 갖는 폰들에서 명확해질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더 높은 대역폭을 (예를 들어, 이 칩들로 이루어진 폰과 같은) 그 자신의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 있고, 유선(USB/이더넷 접속) 또는 무선(Wi-Fi/WiFi-Direct 또는 다른 무선) 링크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활용될 수 있는 이러한 더 높은 대역폭을 액세스 포인트 디바이스로서 전달할 수 있고, 기타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접속은 USB 코드 접속을 통해 구축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액세스 포인트 디바이스(1302)는 다수의 WWAN 모뎀들을 이용하여 다수의 WWAN들(1304)에 액세스할 수 있고, WLAN, USB, 이더넷-기반 액세스 등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들에 대한 대역폭을 애그리게이트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1302)는 WiFi 액세스 포인트 디바이스일 수 있고, 이 디바이스는 기존의 WiFi 액세스 포인트의 이더넷 포트의 뒤쪽에 연결(plug into)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디바이스(1302)는 테더링된(tethered) USB 접속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디바이스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WWAN 모뎀들을 갖는 다른 디바이스들이 USB를 통해 접속하도록 허용하는 다중경로 TCP 애그리게이터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단일 디바이스 솔루션이 또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바이스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내부 WWAN 모뎀들을 가질 수 있고, 유선 접속을 통해 다른 WWAN 모뎀들을 활용할 수 있다. 내부 WWAN 모뎀들은 버스들, 프로세서들 및 시스템 메모리 등을 이용하여, 온칩(on-chip) 상호접속들을 이용하는 단일 칩 내에서 통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내부 WWAN 모뎀들은, 예를 들어, UART, GPIO들 또는 HSIC 인터페이스들과 같은(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다양한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칩간 상호접속들과 접속될 수 있고, 여기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WWAN 모뎀들은 상이한 칩들 상에서 이용가능하다. 일 양상에서, 칩들은, 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플랫폼 상에서 함께 접속될 수 있다.
추가로, 일 양상에서, 둘 또는 그 초과의 디바이스들이 함께 결합될 수 있어서, 각각의 디바이스 상의 적어도 하나의 WWAN 모뎀은 다수의 WWAN 모뎀들을 갖는 수퍼-디바이스를 생성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선(예를 들어, USB 등) 또는 무선(Wi-Fi Direct, 종래의 WiFi, BT, UWB 등)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들 사이에 본딩(bonding)이 수행될 수 있다. 추가로, 디바이스들 중 하나 상에서 애그리게이션이 수행될 수 있다. 동작시에, COBA 클라이언트(1302) 상의 WWAN 모뎀은 IP 어드레스를 획득할 수 있다. 추가로, COBA 프록시와 같은 상이한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1302)와 유선/무선으로 근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록시 디바이스는 자신의 WWAN으로부터 IP 어드레스를 획득할 수 있고, IP 어드레스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여할 수 있다. 그 후, 이러한 디바이스는 자신의 IP 어드레스를 클라이언트에 제공할 수 있어서,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WWAN 모뎀들로부터 그리고 근접한 프록시 디바이스들로부터 이용가능한 IP 어드레스들을 활용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디바이스들 사이에 분산된 이용가능한 WWAN 모뎀들이 플랫폼들 중 하나 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서 애그리게이션을 수행할 수 있고, 시스템의 애그리게이트된 대역폭을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멀티-디바이스 애그리게이트된 솔루션은 또한 다른 디바이스들이 다중경로 WWAN 접속을 이용하도록 액세스 포인트를 노출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추가로, 동작시에, COBA는 네트워크들에 걸쳐 이용가능한 성능의 합을 제공할 수 있는 한편, 이러한 시스템은 플랫폼 상에서 소모되는 에너지를 현저하게 증가 또는 감소시키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사한 데이터 링크들/기술들을 이용하여, 파일 또는 이메일 첨부물의 다운로드와 같은 주어진 통신 작업에 대해 2배의 전력이 소모되는 반면, 통신 시간은 절반으로 감소되어, 소모되는 에너지는 오직 하나의 데이터 링크를 활용하는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이러한 통신 작업은 절반의 시간에 완료될 것이어서, COBA 기반 플랫폼 상에서 더 양호한 전체 성능 및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추가로, 다중경로 TCP 접속을 갖는 COBA 기반 시스템은, 다중경로 TCP를 이용하고 있는 플로우에 대해 다수의 WWAN 인터페이스들을 활용함으로써 단일 TCP 플로우에 대한 피크 레이트가 증가되게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애플리케이션들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대한 어떠한 변형들도 없이 다중경로 전송에서 이용가능한 더 높은 대역폭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에서, 터널은 초기 접속 시에 운영자의 네트워크에서 동적으로 구축될 수 있고, 추가적 경로들이 후속적으로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는 한편, 경로가 추가 또는 삭제되는 경우에도 터널은 지속될 수 있다. 준-정적(quasi-static) 무선 접속들을 갖는 대부분의 모바일 컴퓨팅 이용의 경우들에서, 세션 동안 생성된 경로들은 계속 존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 14는 모뎀간 조정에 의한 WWAN 캐리어들에 걸친 터널링 서비스를 도시하는 블록도(1400)이다. MPTP에 대한 네트워크 앵커는, 예를 들어, WWAN 모뎀들 1, 2(1414, 1416), WWAN들(1410, 1412), 운영자 네트워크(1406) 등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지원 인프라구조들을 통해 WWAN 클라이언트(1402)의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420)과 애플리케이션 서버(1408) 사이에 링크를 구축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420)은 MPTP(1418)에 대한 클라이언트 앵커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모뎀간 조정(1422)은, 어떤 WWAN들(1410, 1412)이 이용될 수 있는지, 및 이 WWAN들(1410, 1412)이 어떻게 이용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WWAN 모뎀들(1414, 1416)이 동일한 플랫폼 상에 있으면, 모뎀들 사이의 정보는 플랫폼 상의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예를 들어, ARM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을 통해 교환될 수 있어서, WWAN 모뎀들(1414, 1416)은 이용할 WWAN들(1410, 1412)을 조정 및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WWAN 모뎀(1414)이 특정한 네트워크를 선택하면, 그 WWAN 모뎀(1414)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WWAN 모뎀들(1416)에게 다른 네트워크를 선택하도록 통지할 수 있어서, 2개의 네트워크들 모두로부터의 성능이 시스템(1400)에 애그리게이트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양상에서, 링크 조건들, 송신들과 연관된 에너지/비트, 이용가능한 대역폭, 링크의 활용 비용, 이용되고 있는 변조 및 코딩 방식, 기지국까지의 거리 등과 같은 제한들(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기초하여, WWAN 모뎀들(1414, 1416)은, 대역폭을 애그리게이트하기 위해 서로 언제 협력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제한 정보는 모뎀간 조정 동안 모뎀들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어서, 모뎀들에 걸쳐 수행되는 판정이 통신을 위해 이용가능한 WWAN들을 선택 또는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액세스 링크에 대한 접속 조건들이 열악한 경우, 예를 들어, 액세스 링크들 중 하나에 대한 링크 조건들이 열악하거나, 에너지/비트가 낮은 경우, 또는 이용가능한 대역폭이 낮은 경우, 또는 액세스 비용이 높은 경우, 그 액세스 링크는 애그리게이션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에서, WWAN 모뎀들(1414, 1416)은, MPTP(1404)에 대한 네트워크 앵커의 다중경로 TCP 계층에게 이러한 경로를 이용하지 않고 다른 경로들을 계속 이용하도록 함께 통지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모뎀간 조정(1422)은 제 2 디바이스 상의 무선 p2p 링크(예를 들어, 접속들(1116, 1216 등)를 통해 이용가능한 다른 WWAN 모뎀과 협력가능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주 조정은 (예를 들어, 폰, 랩탑, 태블릿 등 내의) 동일한 플랫폼(1402) 상의 WWAN 모뎀들(1414, 1416) 사이의 조정을 지칭할 수 있고, 보조 조정은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폰들, 랩탑들, 태블릿들, 차량 모뎀들 등 사이에서) 플랫폼들에 걸친 조정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5는 다양한 예시적인 패킷 포맷들 및 플로우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일 양상에서, 패킷 포맷들(1502, 1506 및 1508)은 클라이언트(예를 들어, 1302)로부터 인터넷 목적지(예를 들어, 1308)로의 데이터 플로우들을 도시한다. 데이터 포맷(1502)은 클라이언트에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에 대한 예시적인 IP 패킷을 제공한다. 일 양상에서, IP 패킷(1502)은 터널링 페이로드(1504)에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 포맷(1506)은 클라이언트에서 예시적인 터널링 랩퍼(wrapper)를 제공한다. 도시된 양상에서, MPTCP 서브-플로우들 중 하나가 이용된다. 데이터 포맷(1508)은 MPTCP 터널링 서버에서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포맷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에서, 패킷 포맷들(1510, 1512 및 1514)은 인터넷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로의 통신들에 대한 예시적인 패킷 포맷들을 제공한다. 데이터 패킷(1510)은 인터넷 서버에서의 예시적인 데이터 포맷을 제공한다. 데이터 패킷(1512)은 터널링 서버에서의 예시적인 포맷을 제공한다. 도시된 양상에서, MPTCP 서브-플로우들 중 하나가 이용된다. 추가로, 데이터 패킷(1514)은 클라이언트가 터널링 페이로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을 추출하기 위한 예시적인 포맷을 제공한다.
도 16은 예시적인 방법/프로세스의 흐름도(1600)이다. 프로세스를 이용하면, 디바이스는, 제 1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 1 MPTP 경로를 통해 서버와 통신할 수 있고(1602); 제 2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 2 MPTP를 통해 서버와 통신할 수 있고 ―제 2 MPTP 경로를 통한 서버와의 통신은 제 2 IP 어드레스에서 무선 노드를 통한 통신임―(1604); 그리고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무선 노드와 통신할 수 있다(1606).
도 17은 예시적인 장치(1700)의 기능을 도시하는 개념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시스템(1700)은 UE, WWAN 클라이언트, 및 임의의 적절한 수의 추가적인 WWAN 클라이언트들 또는 UE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시스템(1700)에서의 동작시에, UE는 대역폭 애그리게이션 기술들을 구현할 수 있다.
장치(1700)는, 제 1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 1 MPTP 경로를 통해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모듈(1702)을 포함한다. 장치(1700)는, 제 2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 2 MPTP를 통해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모듈(1704) ―제 2 MPTP 경로를 통한 서버와의 통신은 제 2 IP 어드레스에서 무선 노드를 통한 통신임―을 포함한다. 장치(1700)는,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무선 노드와 통신할 수 있는 모듈(1706)을 포함한다.
도 18은, 예시적인 방법/프로세스의 흐름도(1800)이다. 프로세스를 이용하면, 디바이스는 MPTP 터널링 서버와의 MPTP 세션을 요청한다(1802). 또한, 프로세스는, 디바이스가 MPTP 터널을 통해 MPTP 터널링 서버와 통신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1804). 터널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포함한다. MPTP 경로들 각각은 통신을 위한 캐리어에 대응한다.
도 19는 예시적인 장치(1900)의 기능을 도시하는 다른 개념 블록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시스템(1900)은 UE, WWAN 클라이언트, 및 임의의 적절한 수의 추가적인 WWAN 클라이언트들 또는 UE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시스템(1900)에서의 동작시에, eNB는 대역폭 애그리게이션 기술들을 구현할 수 있다.
장치(1900)는, MPTP 터널링 서버와의 MPTP 세션을 요청할 수 있는 모듈(1902)을 포함한다. 장치(1900)는 MPTP 터널을 통해 MPTP 터널링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모듈(1904)을 포함한다.
도 20은 예시적인 방법/프로세스의 흐름도(2000)이다. 이 프로세스를 사용하면, 디바이스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성능 파라미터들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선택한다(2002). 또한, 프로세스는,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이용하여 디바이스가 링크를 구축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2004). MPTP 경로들 각각은 통신을 위한 캐리어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1은 예시적인 장치(2100)의 기능을 도시하는 개념 블록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시스템(2100)은 UE 앵커, WWAN 네트워크 앵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2100)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성능 파라미터들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선택할 수 있는 모듈(2102)을 포함한다. 장치(2100)는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이용하여 링크를 구축할 수 있는 모듈(2104)을 포함한다.
일 구성에서, 장치(100)는, 제 1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 1 MPTP 경로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 제 2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 2 MPTP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 ―제 2 MPTP 경로를 통한 서버와의 통신은 제 2 IP 어드레스에서 무선 노드를 통한 통신임―; 및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무선 노드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 구성에서 장치(100)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은 MPTP 터널을 통해 MPTP 터널링 서버에 액세스한다. 일 구성에서, 장치(100)는 MPTP 터널을 이용하여 MPTP 터널링 서버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장치(100)는, 새로운 MPTP 경로가 이용가능하게 되는 경우 새로운 MPTP를 추가하기 위한 수단, 또는 분석된 성능에 기초하여 서버와의 경로들 상에서 통신의 분배를 최적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장치(100)는, 새로운 MPTP 경로가 이용가능하게 되는 경우 새로운 MPTP를 추가하기 위한 수단, 또는 MPTP 경로가 손실되는 경우 기존의 MPTP 경로를 삭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장치(100)는, MPTP 터널링 서버와의 MPTP 세션을 요청하기 위한 수단, 및 MPTP 터널을 통해 MPTP 터널링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터널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포함한다. MPTP 경로들 각각은 통신을 위한 캐리어에 대응한다. 일 구성에서, 장치(100)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은 MPTP 터널을 통해 MPTP 터널링 서버에 액세스한다. 일 구성에서, 장치(100)는 MPTP 터널을 이용하여 MPTP 터널링 서버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장치(100)는, 새로운 MPTP 경로가 이용가능하게 되는 경우 새로운 MPTP를 추가하기 위한 수단, 또는 MPTP 경로가 손실되는 경우 기존의 MPTP 경로를 삭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장치(100)는 MPTP 터널링 서버와의 통신의 MPTP 경로들 각각에 대해 클라이언트 IP 어드레스 및 서버 IP 어드레스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장치(100)는 경로들 각각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한 수단, 또는 분석된 성능에 기초하여 MPTP 터널링 서버와의 경로들 상에서 통신의 분배를 최적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장치(100)는, 제 1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 1 MPTP 서브플로우를 통해 MPTP 터널링 서버와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수단, 제 2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 2 MPTP 플로우를 통해 MPTP 터널링 서버와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수단 ―제 2 MPTP 서브플로우를 통한 MPTP 터널링 서버와의 통신은 제 2 IP 어드레스에서 무선 노드를 통한 통신임―, 및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무선 노드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장치(100)는 VPN 어드레스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장치(100)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성능 파라미터들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이용하여 링크를 구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 구성에서, 장치(100)는,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들 각각에 MAIC를 적용하기 위한 수단, 및 적용된 MAIC에 기초하여 링크를 구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장치(100)는 미사용 경로와 연관된 네트워크 혼잡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 경로를 사용하지 않도록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장치(100)는 통신의 제 1 방향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들 중 제 1 경로를 이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장치(100)는 통신의 제 2 방향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들 중 제 2 경로를 이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장치(100)는 각각의 경로에 대한 라운드 트립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일방향 지연 추정치를 이용하여 링크를 개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장치(100)는 구축된 링크를 통해 제 1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 중 제 1 경로를 통해, 스케줄링된 시간보다 더 일찍 제 1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일 구성에서, 장치(100)는 구축된 링크를 통해 제 2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 중 제 2 경로를 통해, 스케줄링된 시간 이후 제 2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지연 수단을 더 포함한다.
전술된 수단은, 전술된 수단 각각에서 식별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싱 시스템(100)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04) 내의 전술된 수단은 전술된 수단 각각에서 식별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전의 설명은 이 분야의 당업자가 본 출원의 전체 범주를 완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구성들에 대한 변형들은 이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한정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청구항들의 표현에 일치하는 전체 범주에 부합하도록 의도되고, 단수인 엘리먼트에 대한 참조는, 특정하게 언급되지 않으면 "하나 및 오직 하나"를 의미하지 않고 오히려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특정하여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용어 "몇몇"은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지칭한다. 이 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거나 후에 알려질 본 개시 전체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들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통합되며 청구범위들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어떠한 개시내용도 이러한 개시가 청구범위들에 명시적으로 인용되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공중에 부여된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위한 수단" 문구를 이용하여 명시적으로 구성요소가 언급되거나, 방법 청구항의 경우에, "~위한 방법" 문구를 이용하여 명시적으로 구성요소가 언급되지 않는 한, 어떠한 청구범위의 구성요소도 35 U.S.C. §112, 6번째 문단의 조문에 따라 해석되지 않는다.

Claims (114)

  1. 제 1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 1 다중경로 전송 프로토콜(MPTP) 경로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
    제 2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 2 MPTP 경로를 통해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MPTP 경로를 통한 상기 서버와의 통신은 상기 제 2 IP 어드레스에서 무선 노드를 통한 통신임―; 및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노드와 통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노드와 통신하는 단계는 유선 또는 무선 링크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MPTP 경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서버에 액세스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MPTP 세션을 시작하기 위해,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다수의 MPTP 경로들 상에서 통신할 수 있음을 표시하는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PTP 경로는 제 1 MPTP 서프플로우(subflow)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MPTP 경로는 제 2 MPTP 서브플로우에 대응하며, 상기 제 1 MPTP 경로를 통해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는 제 1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MPTP 서브플로우를 통해 상기 서버와 정보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MPTP 경로를 통해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는 제 2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MPTP 서브플로우를 통해 상기 서버와 정보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노드로부터 상기 제 2 IP 어드레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무선 노드로부터 상기 제 2 IP 어드레스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MPTP 서브플로우를 시작하기 위해, 상기 제 2 IP 어드레스를 갖는 서버와의 통신을 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및 상기 무선 노드와의 통신은,
    상기 제 1 MPTP 경로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제 1 통신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MPTP 경로를 통해 상기 제 1 IP 어드레스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제 2 통신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MPTP 경로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제 3 통신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3 통신은 상기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노드에 전송되고, 상기 무선 노드에 의해 상기 서버에 전송됨―; 및
    상기 제 2 MPTP 경로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제 4 통신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통신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 2 IP 어드레스로 전송되고, 상기 제 2 IP 어드레스에서 상기 무선 노드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노드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들 각각의 성능 또는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된 성능 또는 비용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와의 경로들 상에서 통신의 분배를 최적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성능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오버레이(overlay)가 이용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새로운 MPTP 경로가 이용가능하게 되는 경우 상기 새로운 MPTP를 추가하는 단계; 또는
    기존의 MPTP 경로가 손실되는 경우 상기 기존의 MPTP 경로를 삭제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MPTP 경로의 추가 또는 삭제는 네트워크 이용가능성, 프록시 노드 이용가능성, 또는 상기 MPTP 경로의 성능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는 유선 또는 무선 링크들 상에서 통신 디바이스와 연관된 둘 또는 그 초과의 모뎀들을 통해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모뎀들을 통해 통신하는 단계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WWAN들에 관한 성능 정보, 가격 정보 및 이용가능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교환하기 위해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WWAN들을 선택하기 위해, 모뎀간(inter-modem) 조정을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4. 다중경로 전송 프로토콜(MPTP) 터널링 서버와의 MPTP 세션을 요청하는 단계; 및
    MPTP 터널을 통해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터널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포함하고, 상기 MPTP 경로들 각각은 통신을 위한 캐리어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MPTP 터널을 통해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는, 유선 또는 무선 링크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는 유선 또는 무선 링크들 상에서 통신 디바이스에 이용가능한 둘 또는 그 초과의 모뎀들을 통해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모뎀들을 통해 통신하는 단계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WWAN들에 관한 성능 정보, 가격 정보 및 이용가능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교환하기 위해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WWAN들을 선택하기 위해, 모뎀간 조정을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은 상기 MPTP 터널을 통해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에 액세스하는,
    무선 통신 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MPTP 터널을 이용하여 상기 MPTP 터널링 서버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새로운 MPTP 경로가 이용가능하게 되는 경우 상기 새로운 MPTP를 추가하는 단계; 또는
    기존의 MPTP 경로가 손실되는 경우 상기 기존의 MPTP 경로를 삭제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MPTP 경로의 추가 또는 삭제는 네트워크 이용가능성, 프록시 노드 이용가능성, 또는 상기 MPTP 경로의 성능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 방법.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와의 통신의 MPTP 경로들 각각에 대해 클라이언트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 및 서버 IP 어드레스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와의 통신은 상기 클라이언트 IP 어드레스에서 수신되고 상기 MPTP 경로들 각각에 대한 상기 서버 IP 어드레스로 전송되는,
    무선 통신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들 각각의 성능 또는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된 성능 또는 비용에 기초하여,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와의 경로들 상에서 통신의 분배를 최적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와 성능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오버레이가 이용되는,
    무선 통신 방법.
  2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MPTP 경로들은 제 1 MPTP 서브플로우에 대응하는 제 1 MPTP 경로 및 제 2 MPTP 서브플로우에 대응하는 제 2 MPTP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는,
    제 1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MPTP 서브플로우를 통해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와 정보를 통신하는 단계;
    제 2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MPTP 서브플로우를 통해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와 정보를 통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MPTP 서브플로우를 통한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와의 통신은 상기 제 2 IP 어드레스에서 무선 노드를 통한 통신임―; 및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노드와 통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6. 제 14 항에 있어서,
    가상 사설 네트워크(VPN) 어드레스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VPN 어드레스는 동적으로 할당되는,
    무선 통신 방법.
  28.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성능 파라미터들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이용하여 링크를 구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성능 파라미터들은,
    애플리케이션 대역폭 사용량(usage);
    패킷 송신 지연 제한들;
    현재의 TCP 혼잡 윈도우 추정치; 또는
    선행적(proactive) 링크 성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파라미터들은,
    경로 스펙트럼 효율;
    링크 품질;
    링크 활용 팩터;
    채널 대역폭;
    이용가능한 데이터 대역폭 및 지연;
    네트워크 가격;
    에너지;
    동적 네트워크 로드(load); 또는
    경로 활용 비용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1. 제 28 항에 있어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들 각각에 대해 다중-안테나 간섭 제거(MAIC)를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를 구축하는 단계는 적용된 MAIC에 기초하여 상기 링크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2.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미사용 경로와 연관된 네트워크 혼잡을 감소시키기 위해 경로를 사용하지 않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3.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구축하는 단계는, 통신의 제 1 방향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들 중 제 1 경로를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구축하는 단계는, 통신의 제 2 방향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들 중 제 2 경로를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의 제 2 방향은 상기 통신의 제 1 방향과는 상이한,
    무선 통신 방법.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하는 단계는, 각각의 경로에 대한 라운드 트립 시간(round trip time) 정보에 기초하여, 일방향 지연 추정치를 이용하여 상기 링크를 개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6. 제 28 항에 있어서,
    구축된 링크를 통해 제 1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 중 제 1 경로를 통해, 스케줄링된 시간보다 더 일찍 상기 제 1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구축된 링크를 통해 제 2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 중 제 2 경로를 통해, 스케줄링된 시간 이후 상기 제 2 패킷의 송신을 지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경로는 상기 제 1 경로보다 더 빠른 송신 시간들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방법.
  38. 제 1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 1 다중경로 전송 프로토콜(MPTP) 경로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
    제 2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 2 MPTP 경로를 통해 상기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2 MPTP 경로를 통한 상기 서버와의 통신은 상기 제 2 IP 어드레스에서 무선 노드를 통한 통신임―; 및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노드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노드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은 유선 또는 무선 링크를 이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0. 제 38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MPTP 경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서버에 액세스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1. 제 38 항에 있어서,
    MPTP 세션을 시작하기 위해,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서버가 다수의 MPTP 경로들 상에서 통신할 수 있음을 표시하는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2.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PTP 경로는 제 1 MPTP 서프플로우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MPTP 경로는 제 2 MPTP 서브플로우에 대응하며, 상기 제 1 MPTP 경로를 통해 상기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은 제 1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MPTP 서브플로우를 통해 상기 서버와 정보를 통신하고, 상기 제 2 MPTP 경로를 통해 상기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은 제 2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MPTP 서브플로우를 통해 상기 서버와 정보를 통신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노드로부터 상기 제 2 IP 어드레스를 요청하기 위한 수단;
    상기 무선 노드로부터 상기 제 2 IP 어드레스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2 MPTP 서브플로우를 시작하기 위해, 상기 제 2 IP 어드레스를 갖는 서버와의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4.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및 상기 무선 노드와의 통신은,
    상기 제 1 MPTP 경로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제 1 통신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MPTP 경로를 통해 상기 제 1 IP 어드레스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제 2 통신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2 MPTP 경로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제 3 통신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3 통신은 상기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노드에 전송되고, 상기 무선 노드에 의해 상기 서버에 전송됨―; 및
    상기 제 2 MPTP 경로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제 4 통신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 4 통신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 2 IP 어드레스로 전송되고, 상기 제 2 IP 어드레스에서 상기 무선 노드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노드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5.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들 각각의 성능 또는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기 위한 수단 및
    분석된 성능 또는 비용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와의 경로들 상에서 통신의 분배를 최적화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성능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오버레이가 이용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7. 제 38 항에 있어서,
    새로운 MPTP 경로가 이용가능하게 되는 경우 상기 새로운 MPTP를 추가하기 위한 수단; 또는
    기존의 MPTP 경로가 손실되는 경우 상기 기존의 MPTP 경로를 삭제하기 위한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MPTP 경로의 추가 또는 삭제는 네트워크 이용가능성, 프록시 노드 이용가능성, 또는 상기 MPTP 경로의 성능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은 유선 또는 무선 링크들 상에서 통신 디바이스에 이용가능한 둘 또는 그 초과의 모뎀들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모뎀들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수단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WWAN들에 관한 성능 정보, 가격 정보 및 이용가능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교환하기 위해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WWAN들을 선택하기 위해, 모뎀간 조정을 이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51. 다중경로 전송 프로토콜(MPTP) 터널링 서버와의 MPTP 세션을 요청하기 위한 수단; 및
    MPTP 터널을 통해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터널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
    을 포함하고, 상기 MPTP 경로들 각각은 통신을 위한 캐리어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52. 제 51 항에 있어서,
    MPTP 터널을 통해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은, 유선 또는 무선 링크를 이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53.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은 통신 디바이스에 이용가능한 둘 또는 그 초과의 모뎀들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모뎀들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수단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WWAN들에 관한 성능 정보, 가격 정보 또는 이용가능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교환하기 위해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WWAN들을 선택하기 위해, 모뎀간 조정을 이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55. 제 51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은 상기 MPTP 터널을 통해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에 액세스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56.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MPTP 터널을 이용하여 상기 MPTP 터널링 서버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57. 제 51 항에 있어서,
    새로운 MPTP 경로가 이용가능하게 되는 경우 상기 새로운 MPTP를 추가하기 위한 수단; 또는
    기존의 MPTP 경로가 손실되는 경우 상기 기존의 MPTP 경로를 삭제하기 위한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58.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MPTP 경로의 추가 또는 삭제는 네트워크 이용가능성, 프록시 노드 이용가능성, 또는 상기 MPTP 경로의 성능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59.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와의 통신의 MPTP 경로들 각각에 대해 클라이언트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 및 서버 IP 어드레스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와의 통신은 상기 클라이언트 IP 어드레스에서 수신되고 상기 MPTP 경로들 각각에 대한 상기 서버 IP 어드레스로 전송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60.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들 각각의 성능 또는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기 위한 수단; 및
    분석된 성능 또는 비용에 기초하여,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와의 경로들 상에서 통신의 분배를 최적화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61.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와 성능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오버레이가 이용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6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MPTP 경로들은 제 1 MPTP 서브플로우에 대응하는 제 1 MPTP 경로 및 제 2 MPTP 서브플로우에 대응하는 제 2 MPTP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은,
    제 1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MPTP 서브플로우를 통해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와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수단;
    제 2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MPTP 서브플로우를 통해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와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2 MPTP 서브플로우를 통한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와의 통신은 상기 제 2 IP 어드레스에서 무선 노드를 통한 통신임―; 및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노드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63. 제 51 항에 있어서,
    가상 사설 네트워크(VPN) 어드레스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64.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VPN 어드레스는 동적으로 할당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65.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성능 파라미터들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이용하여 링크를 구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66.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성능 파라미터들은,
    애플리케이션 대역폭 사용량;
    패킷 송신 지연 제한들;
    현재의 TCP 혼잡 윈도우 추정치; 또는
    선행적 링크 성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67.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 파라미터들은,
    경로 스펙트럼 효율;
    링크 품질;
    링크 활용 팩터;
    채널 대역폭;
    이용가능한 데이터 대역폭 및 지연;
    네트워크 가격;
    에너지;
    동적 네트워크 로드; 또는
    경로 활용 비용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68. 제 65 항에 있어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들 각각에 대해 다중-안테나 간섭 제거(MAIC)를 적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를 구축하기 위한 수단은 적용된 MAIC에 기초하여 상기 링크를 구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69.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미사용 경로와 연관된 네트워크 혼잡을 감소시키기 위해 경로를 사용하지 않도록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70.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축하기 위한 수단은, 통신의 제 1 방향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들 중 제 1 경로를 이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71.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구축하기 위한 수단은, 통신의 제 2 방향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들 중 제 2 경로를 이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의 제 2 방향은 상기 통신의 제 1 방향과는 상이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72.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하기 위한 수단은, 각각의 경로에 대한 라운드 트립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일방향 지연 추정치를 이용하여 상기 링크를 개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73. 제 65 항에 있어서,
    구축된 링크를 통해 제 1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 중 제 1 경로를 통해, 스케줄링된 시간보다 더 일찍 상기 제 1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74.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구축된 링크를 통해 제 2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 중 제 2 경로를 통해, 스케줄링된 시간 이후 상기 제 2 패킷의 송신을 지연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경로는 상기 제 1 경로보다 더 빠른 송신 시간들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75. 제 1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 1 다중경로 전송 프로토콜(MPTP) 경로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고;
    제 2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 2 MPTP 경로를 통해 상기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제 2 MPTP 경로를 통한 상기 서버와의 통신은 상기 제 2 IP 어드레스에서 무선 노드를 통한 통신임―; 그리고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노드와 통신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76. 다중경로 전송 프로토콜(MPTP) 터널링 서버와의 MPTP 세션을 요청하고; 그리고
    MPTP 터널을 통해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터널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포함하고, 상기 MPTP 경로들 각각은 통신을 위한 캐리어에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77.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성능 파라미터들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선택하고; 그리고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이용하여 링크를 구축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78. 제 1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 1 다중경로 전송 프로토콜(MPTP) 경로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고;
    제 2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 2 MPTP 경로를 통해 상기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제 2 MPTP 경로를 통한 상기 서버와의 통신은 상기 제 2 IP 어드레스에서 무선 노드를 통한 통신임―; 그리고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노드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79. 제 7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 링크를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80. 제 7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MPTP 경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서버에 액세스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81. 제 7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MPTP 세션을 시작하기 위해,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개시하고; 그리고
    상기 서버가 다수의 MPTP 경로들 상에서 통신할 수 있음을 표시하는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82. 제 7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PTP 경로는 제 1 MPTP 서프플로우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MPTP 경로는 제 2 MPTP 서브플로우에 대응하며,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제 1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MPTP 서브플로우를 통해 상기 서버와 정보를 통신하고, 그리고
    제 2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MPTP 서브플로우를 통해 상기 서버와 정보를 통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83. 제 8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무선 노드로부터 상기 제 2 IP 어드레스를 요청하고;
    상기 무선 노드로부터 상기 제 2 IP 어드레스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MPTP 서브플로우를 시작하기 위해, 상기 제 2 IP 어드레스를 갖는 서버와의 통신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84. 제 7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제 1 MPTP 경로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제 1 통신을 전송하고;
    상기 제 1 MPTP 경로를 통해 상기 제 1 IP 어드레스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제 2 통신을 수신하고;
    상기 제 2 MPTP 경로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제 3 통신을 전송하고 ―상기 제 3 통신은 상기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노드에 전송되고, 상기 무선 노드에 의해 상기 서버에 전송됨―; 그리고
    상기 제 2 MPTP 경로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제 4 통신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 4 통신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 2 IP 어드레스로 전송되고, 상기 제 2 IP 어드레스에서 상기 무선 노드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노드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85. 제 7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경로들 각각의 성능 또는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고; 그리고
    분석된 성능 또는 비용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와의 경로들 상에서 통신의 분배를 최적화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86. 제 8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성능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오버레이가 이용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87. 제 7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새로운 MPTP 경로가 이용가능하게 되는 경우 상기 새로운 MPTP를 추가하는 것; 또는
    기존의 MPTP 경로가 손실되는 경우 상기 기존의 MPTP 경로를 삭제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88. 제 87 항에 있어서,
    상기 MPTP 경로의 추가 또는 삭제는 네트워크 이용가능성, 프록시 노드 이용가능성, 또는 상기 MPTP 경로의 성능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89. 제 7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 링크들 상에서 통신 디바이스에 이용가능한 둘 또는 그 초과의 모뎀들을 통해 통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90. 제 8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WWAN들에 관한 성능 정보, 가격 정보 또는 이용가능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교환하기 위해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WWAN들을 선택하기 위해, 모뎀간 조정을 이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91. 다중경로 전송 프로토콜(MPTP) 터널링 서버와의 MPTP 세션을 요청하고; 그리고
    MPTP 터널을 통해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터널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포함하고, 상기 MPTP 경로들 각각은 통신을 위한 캐리어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92. 제 9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 링크를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93. 제 91 항에 있어서,
    둘 또는 그 초과의 모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 링크들 상에서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모뎀들을 통해 통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94. 제 9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WWAN들에 관한 성능 정보, 가격 정보 또는 이용가능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교환하기 위해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WWAN들을 선택하기 위해, 모뎀간 조정을 이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95. 제 9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은 상기 MPTP 터널을 통해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에 액세스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96. 제 9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MPTP 터널을 이용하여 상기 MPTP 터널링 서버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통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97. 제 9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새로운 MPTP 경로가 이용가능하게 되는 경우 상기 새로운 MPTP를 추가하는 것; 또는
    기존의 MPTP 경로가 손실되는 경우 상기 기존의 MPTP 경로를 삭제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98. 제 97 항에 있어서,
    상기 MPTP 경로의 추가 또는 삭제는 네트워크 이용가능성, 프록시 노드 이용가능성, 또는 상기 MPTP 경로의 성능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99. 제 9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와의 통신의 MPTP 경로들 각각에 대해 클라이언트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 및 서버 IP 어드레스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와의 통신은 상기 클라이언트 IP 어드레스에서 수신되고 상기 MPTP 경로들 각각에 대한 상기 서버 IP 어드레스로 전송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00. 제 9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경로들 각각의 성능 또는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고; 그리고
    분석된 성능 또는 비용에 기초하여,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와의 경로들 상에서 통신의 분배를 최적화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01. 제 100 항에 있어서,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와 성능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오버레이가 이용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02. 제 101 항에 있어서,
    상기 MPTP 경로들은 제 1 MPTP 서브플로우에 대응하는 제 1 MPTP 경로 및 제 2 MPTP 서브플로우에 대응하는 제 2 MPTP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제 1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MPTP 서브플로우를 통해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와 정보를 통신하고;
    제 2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MPTP 서브플로우를 통해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와 정보를 통신하고 ―상기 제 2 MPTP 서브플로우를 통한 상기 MPTP 터널링 서버와의 통신은 상기 제 2 IP 어드레스에서 무선 노드를 통한 통신임―; 그리고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노드와 통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03. 제 10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가상 사설 네트워크(VPN) 어드레스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04. 제 103 항에 있어서,
    상기 VPN 어드레스는 동적으로 할당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05.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성능 파라미터들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선택하고; 그리고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TP 경로들을 이용하여 링크를 구축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06. 제 10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성능 파라미터들은,
    애플리케이션 대역폭 사용량;
    패킷 송신 지연 제한들;
    현재의 TCP 혼잡 윈도우 추정치; 또는
    선행적 링크 성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07. 제 10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파라미터들은,
    경로 스펙트럼 효율;
    링크 품질;
    링크 활용 팩터;
    채널 대역폭;
    이용가능한 데이터 대역폭 및 지연;
    네트워크 가격;
    에너지;
    동적 네트워크 로드; 또는
    경로 활용 비용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08. 제 10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들 각각에 대해 다중-안테나 간섭 제거(MAIC)를 적용하고, 그리고
    적용된 MAIC에 기초하여 상기 링크를 구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09. 제 10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미사용 경로와 연관된 네트워크 혼잡을 감소시키기 위해 경로를 사용하지 않도록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10. 제 10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통신의 제 1 방향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들 중 제 1 경로를 이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11. 제 1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통신의 제 2 방향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들 중 제 2 경로를 이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통신의 제 2 방향은 상기 통신의 제 1 방향과는 상이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12. 제 1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각각의 경로에 대한 라운드 트립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일방향 지연 추정치를 이용하여 상기 링크를 개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13. 제 10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구축된 링크를 통해 제 1 패킷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송신은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 중 제 1 경로를 통해, 스케줄링된 시간보다 더 일찍 상기 제 1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14. 제 1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경로 중 제 2 경로를 통해, 스케줄링된 시간 이후 제 2 패킷의 송신을 지연시킴으로써, 상기 구축된 링크를 통해 상기 제 2 패킷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경로는 상기 제 1 경로보다 더 빠른 송신 시간들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KR1020127029140A 2010-04-06 2011-04-06 다중경로 전송을 이용한 협력적 대역폭 애그리게이션 KR1015174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2120110P 2010-04-06 2010-04-06
US61/321,201 2010-04-06
US12/957,801 US9455897B2 (en) 2010-04-06 2010-12-01 Cooperative bandwidth aggregation using multipath transport
US12/957,801 2010-12-01
PCT/US2011/031442 WO2011127189A2 (en) 2010-04-06 2011-04-06 Cooperative bandwidth aggregation using multipath transp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858A true KR20130018858A (ko) 2013-02-25
KR101517471B1 KR101517471B1 (ko) 2015-05-04

Family

ID=4412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9140A KR101517471B1 (ko) 2010-04-06 2011-04-06 다중경로 전송을 이용한 협력적 대역폭 애그리게이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55897B2 (ko)
EP (3) EP2624508A3 (ko)
JP (2) JP5714696B2 (ko)
KR (1) KR101517471B1 (ko)
CN (2) CN103004167B (ko)
WO (1) WO2011127189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4936A (ko) * 2013-05-15 2014-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패킷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70032433A (ko) * 2014-07-21 2017-03-2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링크 제어 노드, 링크 제어 방법 및 통신 시스템
KR20170137088A (ko) * 2015-04-10 2017-12-12 도이체 텔레콤 악티엔 게젤샤프트 Tcp 터널들 및 고유 tcp 정보를 기초로 하는 번들링 시나리오에서 패킷들의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07189A (ko) * 2018-07-12 2020-01-22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정보 보안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전송 방법
KR20200015777A (ko) * 2017-06-23 2020-02-1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패킷 전송 방법, 프록시 서버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9434B2 (en) * 2007-12-17 2015-02-03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ally provisioning a WWAN device
US8125907B2 (en) * 2008-06-12 2012-02-28 Talari Networks Incorporated Flow-based adaptive private network with multiple WAN-paths
US8400923B2 (en) * 2010-10-15 2013-03-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ultipath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proxy
EP2656574A1 (en) * 2010-12-22 2013-10-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obility handling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8514701B2 (en) * 2011-04-12 2013-08-20 Qualcomm Innovation Center, Inc. Aggregating multiple radio links from multiple modems in a communication device
CN102811464B (zh) * 2011-05-31 2017-09-05 株式会社Ntt都科摩 移动互联网接入点及其带宽汇聚的方法、汇聚系统
US9451415B2 (en) 2011-06-17 2016-09-20 Qualcomm Incorporated Cooperative data transport
US9264353B2 (en) * 2011-09-22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subflow control for a multipath transport conn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897753B2 (en) 2011-10-12 2014-11-25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for retrieving content by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first and second radio access interface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130100808A1 (en) * 2011-10-24 2013-04-25 Kaminario Technologies Ltd. Managing Utilization Of A Logical Communication Path In A Multi-Path Channel
EP2792188B1 (en) 2011-12-14 2019-03-20 Seven Networks, LLC Mobile network reporting and usage analytics system and method using aggregation of data in a distributed traffic optimization system
US8824480B2 (en) * 2012-01-31 2014-09-02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end-host based mobility, multi-homing and multipath protocols
US8817797B2 (en) * 2012-01-31 2014-08-26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ath protocol packet relay
CN103313232B (zh) * 2012-03-07 2017-10-17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通信设备和用户设备
US11109244B2 (en) 2012-04-06 2021-08-31 Plume Design, Inc. Optimization of distributed Wi-Fi networks
CN103369013A (zh) * 2012-04-09 2013-10-23 厦门毅想通信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数据传输装置和电子设备
US20130311614A1 (en) * 2012-05-21 2013-11-21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for retrieving content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performing same
EP2672671A1 (en) * 2012-06-04 2013-12-11 Thomson Licensing Data transmission using a multihoming protocol such as SCTP
WO2014015486A1 (zh) * 2012-07-25 2014-01-30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分流方法,数据发送装置以及分流节点装置
WO2014044333A1 (en) * 2012-09-24 2014-03-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raffic shaping and steering for a multipath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connection
KR101657920B1 (ko) * 2012-09-29 2016-09-1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데이터 분할 방법 및 장치
EP2723135A1 (en) * 2012-10-19 2014-04-23 Telefonica S.A. A method and a system for sharing wireless broadband connection between devices
US9420026B2 (en) * 2012-10-31 2016-08-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istributing communication of a data stream among multiple devices
TWI473518B (zh) * 2012-12-12 2015-02-11 Quanta Comp Inc 多模作業之通訊裝置
JP6301358B2 (ja) * 2012-12-14 2018-03-28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マルチパス伝送制御プロトコル信号伝達の処理
EP2763362A1 (en) * 2013-01-31 2014-08-06 Thomson Licensing A method for connecting a multi-homed and MPTCP capable client with a regular TCP server
US9888042B2 (en) * 2013-05-21 2018-02-06 Citrix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ath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connection management
US20140351445A1 (en) * 2013-05-24 2014-11-27 Qualcomm Incorporated Mac layer transport for wi-fi direct services application service platform without internet protocol
CN104426758A (zh) * 2013-08-19 2015-03-18 宇宙互联有限公司 传输控制系统、装置及方法
KR102096425B1 (ko) * 2013-08-20 2020-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트래픽 분산 방법 및 장치
KR102139721B1 (ko) * 2013-08-29 2020-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경로 프로토콜에서 이중으로 네트워크 코딩을 적용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6206009B2 (ja) * 2013-09-04 2017-10-0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パケット通信装置及びシステム
CN103532878B (zh) * 2013-09-26 2017-01-04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包的处理方法和网络流量的管理方法及装置和系统
US20150089382A1 (en) * 2013-09-26 2015-03-26 Wu-chi Feng Application context migration framework and protocol
EP2854357A1 (en) * 2013-09-30 2015-04-01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connecting a first host and a second host within at least on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relay module, corresponding relay module
EP2869524A1 (en) * 2013-10-31 2015-05-06 Telefonica Digital España, S.L.U.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path TCP proxy services
WO2015065422A1 (en) * 2013-10-31 2015-05-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ireless software-defined networking
KR101937004B1 (ko) * 2014-01-24 2019-01-09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다중-경로 tcp의 사용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네트워크 노드,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US9584402B2 (en) * 2014-01-27 2017-02-28 Fasetto,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eer to peer communication
WO2015118020A1 (en) 2014-02-04 2015-08-13 Nec Europe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arrier allocation in a multi-connectivity radio access environment
US10412159B1 (en) * 2014-02-07 2019-09-10 Amazon Technologies, Inc. Direct load balancing using a multipath protocol
GB2523394B (en) 2014-02-25 2020-10-28 Mclaren Applied Tech Ltd Vehicle data communication
JP6334207B2 (ja) * 2014-03-04 2018-05-30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通信方法
US9350672B2 (en) * 2014-03-13 2016-05-24 Cisco Technology, Inc. Performance enhancement and congestion control of multipath protocol packets in a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with multipath transport protocols
US9742664B2 (en) 2014-03-24 2017-08-22 James A. Carso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utilizing network connectivity by combining allocated bandwidth for optimized broadband access
US20150281367A1 (en) * 2014-03-26 2015-10-01 Akamai Technologies, Inc. Multipath tcp techniques for distributed computing systems
US9992237B1 (en) * 2014-03-28 2018-06-05 Amazon Technologies, Inc. Determining feature unavailability
KR102259652B1 (ko) * 2014-03-31 2021-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패스 트랜스포트 제어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6555853B2 (ja) * 2014-05-07 2019-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022266A (zh) * 2014-05-29 2019-07-16 华为技术有限公司 负载传输的控制方法及装置
US9578109B2 (en) * 2014-05-30 2017-02-21 Apple Inc. Long-lived MPTCP sessions
FR3024004A1 (fr) * 2014-07-21 2016-01-22 Orange Procede de communication tcp via des chemins multiples entre deux terminaux
WO2016015747A1 (en) * 2014-07-28 2016-02-0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ssage-based path selection for transport protocols supporting multiple transport paths
EP3180895B1 (en) * 2014-08-06 2019-11-06 Watchy Technology Private Limited System for communicating data with vpn and wwan
WO2016029150A1 (en) * 2014-08-21 2016-02-25 Seven Networks, Llc Optimizing network traffic management in a mobile network
WO2016027130A1 (en) * 2014-08-21 2016-02-2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dentifying and controlling multipath traffic
US10117287B2 (en) * 2014-08-26 2018-10-30 Nokia Of Americ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dual connectivity
WO2016049933A1 (zh) * 2014-09-30 2016-04-07 华为技术有限公司 多路径传输控制协议通信的地址管理装置、系统及方法
EP3016347B1 (en) * 2014-10-27 2019-02-13 Cisco Technology, Inc. Multipath provisioning of l4-l7 traffic in a network
WO2016066210A1 (en) * 2014-10-30 2016-05-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Handling of backup path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5577732B (zh) * 2014-10-31 2019-04-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服务发现方法、相关设备、及系统
US9813465B2 (en) * 2014-12-19 2017-11-07 Intel Corporation Network proxy for energy efficient video streaming on mobile devices
EP3257203B1 (en) * 2015-02-09 2019-06-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for handling multi path connections
CN107113816B (zh) * 2015-02-09 2020-01-21 速威技术有限公司 用于隐藏连接合并的系统和方法
GB201502257D0 (en) * 2015-02-11 2015-04-01 Nat Univ Ireland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between a source node and destination node
EP3257214B1 (en) * 2015-02-13 2021-06-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path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connections
KR102352679B1 (ko) * 2015-03-25 2022-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경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에서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으로 수신하는 방법
CN104852793B (zh) * 2015-04-04 2016-04-13 华中科技大学 一种基于半双工多径协作系统的虚拟全双工中继传输方法
WO2016163032A1 (ja) * 2015-04-10 2016-10-13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局および処理方法
FR3035291A1 (fr) 2015-04-17 2016-10-21 Orange Procede d' emulation dune connexion a chemins multiples
EP3318102A4 (en) * 2015-04-20 2019-03-20 Shoelace Wireless, Inc. SYSTEMS FOR IMPROVING THE SPEED AND SECURITY OF THE MOBILE INTERNET
US9929879B2 (en) * 2015-06-09 2018-03-27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ultipath support of real-time communications
EP3119057A1 (en) * 2015-07-16 2017-01-18 Deutsche Telekom AG Packet conversion device and method for allowing transparent packet-based multipath bundling
US9942131B2 (en) 2015-07-29 2018-04-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pathing using flow tunneling through bound overlay virtual machines
CN105119778B (zh) * 2015-09-09 2018-09-07 华为技术有限公司 测量时延的方法和设备
CN105898799B (zh) * 2015-10-30 2019-04-30 法法汽车(中国)有限公司 基于信号强度的移动网络的多链路带宽分配方法及装置
SG11201803491YA (en) * 2015-11-05 2018-05-30 Swag Tech Sdn Bhd A way of configuring a device for concealed connection merging through coordinated and dynamic virtual proxy allocation
US10084754B2 (en) * 2015-12-11 2018-09-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irtual private network aggregation
KR101708238B1 (ko) * 2015-12-28 2017-03-08 전자부품연구원 송신 장치 및 다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동적 경로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
JP6794474B2 (ja) * 2016-03-18 2020-12-02 プリューム デザイ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Plume Design, Inc. 分散Wi−Fiネットワークの最適化
US9992786B2 (en) 2016-03-31 2018-06-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on of multipath scheduling
US10118696B1 (en) 2016-03-31 2018-11-06 Steven M. Hoffberg Steerable rotating projectile
US10193781B2 (en) 2016-04-14 2019-01-2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on of multipath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s
US20170339219A1 (en) * 2016-05-17 2017-11-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nsparent wide-area service migration with mptcp
US10159101B2 (en) 2016-05-20 2018-12-18 Blackberry Limited Using WLAN connectivity of a wireless device
WO2017220149A1 (en) * 2016-06-23 2017-12-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cheduling packets for transport over an mptcp connection
US10873526B2 (en) * 2016-07-08 2020-12-22 Alcatel Lucent Flow aggregation and routing for multi-connectivity client devices
CN106100986A (zh) * 2016-07-25 2016-11-09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通信链路控制方法及装置
KR102568436B1 (ko) * 2016-07-28 2023-08-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전송 방법 및 장치
JP6724641B2 (ja) * 2016-08-03 2020-07-15 富士通株式会社 管理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割当方法
US10721169B2 (en) * 2016-09-02 2020-07-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CP proxy using a communication distance indicator
US10397943B2 (en) * 2016-09-23 2019-08-27 Apple Inc. Flexible NAN availability schedule indications
CN106535226A (zh) * 2016-10-17 2017-03-22 南京邮电大学 一种基于协同学理论的多网络协同选择和聚合方法
CN108306827B (zh) * 2017-01-12 2021-06-01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和服务器
WO2018165190A1 (en) * 2017-03-07 2018-09-13 Akamai Technologies, Inc. Cooperative multipath
US10797731B2 (en) 2017-03-10 2020-10-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oftware defined radio for auxiliary receiver
WO2018203113A1 (en) * 2017-05-05 2018-11-08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traffic distribution and bi-casting in a hybrid network environment
WO2018222007A1 (en) * 2017-06-02 2018-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accounting for data usage in mptcp
US20180352057A1 (en) * 2017-06-05 2018-12-06 Smartiply, Inc. Application-Level Mechanism for Multi-Path Transport
US11394759B2 (en) * 2017-06-29 2022-07-19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apparatus
CN109218186B (zh) * 2017-07-05 2021-02-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路径数据传输处理方法及网络设备
US10498442B2 (en) * 2017-08-04 2019-12-03 T-Mobile Usa, Inc. Wireless delivery of broadcast data
US10694237B2 (en) 2017-08-04 2020-06-23 T-Mobile Usa, Inc. Wireless delivery of broadcast data
US20200228492A1 (en) * 2017-09-29 2020-07-16 Nokia Technologies Oy Traffic management in data networks
CN108366104B (zh) * 2018-01-29 2020-11-13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下载控制方法和装置
JP6443956B2 (ja) * 2018-02-05 2018-12-26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移動体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1316871B2 (en) 2018-02-08 2022-04-26 Cisco Technology, Inc. Encrypted traffic analytics over a multi-path TCP connection
EP3544332B1 (en) * 2018-03-19 2021-05-26 Deutsche Telekom AG Techniques for scheduling multipath data traffic
US11712637B1 (en) 2018-03-23 2023-08-01 Steven M. Hoffberg Steerable disk or ball
JP7208465B2 (ja) * 2018-07-12 2023-01-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制御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10531436B1 (en) 2018-09-12 2020-01-07 Capital One Services, Llc Multiple network connections to increase data throughput of mobile device
US11184799B2 (en) * 2018-09-27 2021-11-23 Apple Inc. WiFi TCP performance in multi-radio coexistence cases
EP4054131B1 (en) * 2018-10-11 2023-10-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munication between a controller and a controlled device over a wireless network
CN111107672B (zh) * 2018-10-26 2023-04-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建立多路径连接的子流的方法、装置和系统
CN110247836A (zh) * 2018-12-29 2019-09-17 锐捷网络股份有限公司 基于多运营商网络的通信方法及装置
CN110708377A (zh) * 2019-09-30 2020-01-1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和存储介质
GB2588819A (en) * 2019-11-10 2021-05-12 Bluwireless Tech Lt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with vehicle based node
CN112969090A (zh) 2019-12-03 2021-06-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http请求传输方法及设备
JP7326625B2 (ja) * 2019-12-11 2023-08-15 グーグル エルエルシー ユーザ仲介接続およびキャリア仲介接続の区分
CN114531472B (zh) * 2020-10-30 2024-01-09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电子设备
CN112615938B (zh) * 2020-12-30 2022-11-04 四川巧夺天工信息安全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tcp的物联网客户端的跨平台协同工作方法
CN112822088B (zh) * 2020-12-31 2022-08-26 山石网科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网络连接方法和装置、电子设备、处理器及存储介质
US11632323B2 (en) * 2021-08-18 2023-04-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outing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eparate networks to improve end-to-end network performance for users
US20230292383A1 (en) * 2022-03-10 2023-09-1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data transmission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8448B1 (en) 1997-06-18 2001-01-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mal link scheduling for multiple links by obtaining and utilizing link quality information
US6862622B2 (en) 1998-07-10 2005-03-01 Van Drebbel Mariner Llc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TCP/IP) packet-centric wireless point to multi-point (PTMP) transmission system architecture
US20020083172A1 (en) 2000-12-21 2002-06-27 Knowles Gregory T.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responding to client requests directed to networked embedded devices via proxy services
US7116640B2 (en) 2000-12-22 2006-10-03 Mitchell Paul Tasman Architecture and mechanism for forwarding layer interfacing for networks
US7218692B2 (en) * 2001-06-15 2007-05-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ulti-path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transmit diversity
EP1400062A2 (en) 2001-06-28 2004-03-24 King's College London Electronic data communication system
US7349380B2 (en) 2001-08-15 2008-03-25 Mesh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ddressing and proxy scheme for facilitating mobility of wireless nodes between wired access points on a core network of a communications network
US7561517B2 (en) 2001-11-02 2009-07-14 Internap Network Services Corporation Passive route control of data networks
US7339897B2 (en) 2002-02-22 2008-03-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ross-layer integrated collision free path routing
US7796503B2 (en) 2002-09-03 2010-09-14 Fujitsu Limited Fault tolerant network routing
US7646710B2 (en) 2003-07-28 2010-01-12 Nortel Networks Limited Mobility in a multi-access communication network
US7376087B2 (en) 2003-08-13 2008-05-20 Tropos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routing metrics of a network
IL158158A (en) 2003-09-29 2012-05-31 Bamboo Mediacasting Ltd Distribution of multicast data to users
WO2005079534A2 (en) * 2004-02-19 2005-09-01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arallel communication
WO2006029126A2 (en) 2004-09-07 2006-03-16 Mesh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different types of nodes with access point nodes in wireless network to route data in the wireless network
US20060105764A1 (en) 2004-11-16 2006-05-18 Dilip Krishnaswamy Adaptive wireless network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multimedia in a proactive enterprise
WO2006055784A2 (en) * 2004-11-19 2006-05-26 The Trustees Of The Stevens Institute Of Technology Multi-access terminal wiht capability for simultaneous connectivity to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KR100784419B1 (ko) * 2005-06-29 2007-12-11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통신 단말기 및 통신 방법
JP2007043678A (ja) 2005-06-29 2007-02-15 Ntt Docomo Inc 通信端末及び通信方法
US20070087829A1 (en) 2005-10-14 2007-04-19 Derek Liu Multi-player game architecture
US20070094325A1 (en) 2005-10-21 2007-04-26 Nucleoid Corp. Hybrid peer-to-peer data communication and management
US20070110035A1 (en) * 2005-11-14 2007-05-17 Broadcom Corporation, A California Corporation Network nodes cooperatively routing traffic flow amongst wired and wireless networks
US7643427B2 (en) 2006-03-28 2010-01-05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Multipath routing architecture for large data transfers
US20070291765A1 (en) 2006-06-20 2007-12-20 Harri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mode-driven link management
KR20090083339A (ko) 2006-09-13 2009-08-03 아산키아 네트웍스 인코포레이티드 다중경로 환경에서 전송 프로토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616976B2 (en) 2006-11-07 2013-12-31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Gaming via peer-to-peer networks
WO2008064356A1 (en) 2006-11-22 2008-05-29 Metis Enterprise Technologies Llc Real-time multicast peer-to-peer video streaming platform
US8385263B2 (en) 2006-12-27 2013-02-26 Panasoni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domain managing device, edge device and mobile terminal device
US9155118B2 (en) 2007-01-22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Multi-link support for network based mobility management systems
KR100905218B1 (ko) 2007-04-09 2009-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콘텐츠 중복 검출 방법
US8422491B2 (en) 2007-04-18 2013-04-16 Waav Inc. Mobile network configuration and method
JP5010973B2 (ja) 2007-04-27 2012-08-29 ローム株式会社 情報交換装置
TW200847058A (en) 2007-04-27 2008-12-01 Rohm Co Ltd Information exchanging apparatus
EP2040390B1 (en) 2007-08-30 2010-04-14 Lucent Technologies Inc. Multiple-antenna interference cancellation
US8320250B2 (en) 2008-02-12 2012-11-27 Nvidia Corporatio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CP flow control
JP4535163B2 (ja) 2008-04-08 2010-09-0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通信端末、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094540B2 (ja) * 2008-05-12 2012-12-12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JP5097620B2 (ja) 2008-06-03 2012-1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パス通信システム
US20090325479A1 (en) 2008-06-25 2009-12-31 Qualcomm Incorporated Relay antenna indexing for shared antenna communication
US8792349B2 (en) * 2008-08-26 2014-07-29 University Of Miami Concurrent association of a wireless mobile node with access points for increasing capacity of access points
US8279794B2 (en) 2008-09-24 2012-10-02 Qualcomm Incorporated Opportunistic data forwarding and dynamic reconfigur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8797943B2 (en) * 2008-12-03 2014-08-05 Broadcom Corporation Providing private access point ser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306039B2 (en) * 2008-12-15 2012-11-06 Ciena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transport path selection for multi-homed entities in 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US8971331B2 (en) 2009-03-24 2015-03-03 Nokia Corporation Selection of transmission parameters for wireless connection
US8265086B2 (en) * 2009-06-26 2012-09-11 Nokia Corporation Multi-path transport
US8640204B2 (en) 2009-08-28 2014-01-28 Broadcom Corporation Wireless device for group access and management
JP2013503919A (ja) * 2009-09-08 2013-02-04 ヤンセン バイオテツク,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癌患者においてヘプシジンを減少させるための抗il−6抗体の使用
US8737409B2 (en) 2009-10-02 2014-05-27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th communications for mobile node interfaces
US9723083B2 (en) 2009-12-14 2017-08-0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ath communication
US9660912B2 (en) 2010-02-19 2017-05-23 Thomson Licensing Control of packet transfer through a multipath session comprising a single congestion window
JP5762445B2 (ja) * 2010-02-26 2015-08-12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ピアツーピア通信におけるモビリティ
EP2495927B1 (en) * 2011-03-02 2014-10-08 Alcatel Lucent Concept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 data packet association and for forwarding a data packet
US8767625B2 (en) 2011-03-18 2014-07-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concurrent bandwidth aggregation using a second path on a second wireless network that utilizes the packet core network of a first path on a first wireless network
US9451415B2 (en) 2011-06-17 2016-09-20 Qualcomm Incorporated Cooperative data transport
US20120331160A1 (en) 2011-06-22 2012-12-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ulti-path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proxy service
US9699274B2 (en) 2011-07-25 2017-07-04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able session migration
US9264353B2 (en) 2011-09-22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subflow control for a multipath transport conn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2259652B1 (ko) * 2014-03-31 2021-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패스 트랜스포트 제어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0129811B2 (en) * 2015-01-20 2018-11-13 Parallel Wireless, Inc. Multi-RAT heterogenous carrier aggregatio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4936A (ko) * 2013-05-15 2014-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패킷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70032433A (ko) * 2014-07-21 2017-03-2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링크 제어 노드, 링크 제어 방법 및 통신 시스템
US10362496B2 (en) 2014-07-21 2019-07-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Link control node and method, and communications system
US10841815B2 (en) 2014-07-21 2020-11-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Link control node and method, and communications system
KR20170137088A (ko) * 2015-04-10 2017-12-12 도이체 텔레콤 악티엔 게젤샤프트 Tcp 터널들 및 고유 tcp 정보를 기초로 하는 번들링 시나리오에서 패킷들의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15777A (ko) * 2017-06-23 2020-02-1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패킷 전송 방법, 프록시 서버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20200007189A (ko) * 2018-07-12 2020-01-22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정보 보안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96006A1 (en) 2011-12-01
EP2556645A2 (en) 2013-02-13
KR101517471B1 (ko) 2015-05-04
CN103004167A (zh) 2013-03-27
EP2624509A2 (en) 2013-08-07
JP5976852B2 (ja) 2016-08-24
CN103004167B (zh) 2017-05-31
EP2624509A3 (en) 2017-12-27
EP2556645B1 (en) 2015-11-25
CN107181676A (zh) 2017-09-19
WO2011127189A3 (en) 2012-05-31
EP2624508A3 (en) 2017-12-20
JP2013528984A (ja) 2013-07-11
JP5714696B2 (ja) 2015-05-07
US9455897B2 (en) 2016-09-27
WO2011127189A2 (en) 2011-10-13
JP2015111879A (ja) 2015-06-18
EP2624508A2 (en)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471B1 (ko) 다중경로 전송을 이용한 협력적 대역폭 애그리게이션
CN110915181B (zh) 用于多连接性控制的方法和网络元件
US9253015B2 (en) Transparent proxy architecture for multi-path data connections
JP2018057025A (ja) 多接続通信用の統合副層
CN111527725A (zh) 用于通过使用网络分片来控制数据传输的方法
US10182386B2 (en) Communication method of determining suitable communication paths between devices
US10447783B2 (en) Communication method
JP2018511275A (ja) Tcpトンネル及びネイティブtcp情報に基づくバンドリングシナリオにおけるパケットのスケジューリング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Sun et al. Multipath ip routing on end devices: Motivation, design, and performance
Kucera et al. Latency as a service: Enabling reliable data delivery over multiple unreliable wireless links
Zhuang et al. Multipath transmission for wireless Internet access–from an end-to-end transport layer perspective
WO201511802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arrier allocation in a multi-connectivity radio access environment
De Schepper et al. ORCHESTRA: Supercharging wireless backhaul networks through multi-technology management
US11246060B2 (en) Network node communication
You et al. Multipath transmission architecture for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US20240056885A1 (en) Multi-access traffic management
Singh LTE–Wi-Fi Aggregation Solutions and Congestion Control Management in MPTCP
Seetharaman et al. Integrated approach towards bandwidth aggregation (BAG) in multi-homed devices
Bin et al. TeamBoost: Enhanced cloud connectivity through collaborative MPTC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