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8667A - 수술용 압배체 - Google Patents

수술용 압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8667A
KR20130018667A KR1020127022693A KR20127022693A KR20130018667A KR 20130018667 A KR20130018667 A KR 20130018667A KR 1020127022693 A KR1020127022693 A KR 1020127022693A KR 20127022693 A KR20127022693 A KR 20127022693A KR 20130018667 A KR20130018667 A KR 20130018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main body
surgical
shape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께유끼 하마구찌
Original Assignee
가와모또 산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또 산교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또 산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18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6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36Surgical swabs, e.g. for absorbency or packing body cavities during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98Material properties expandable upon contact with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2017/0212Cushions or pads, without holding arms, as tissue retainers, e.g. for retracting visc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22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flexible, e.g. fabrics, meshes, or membra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수술시에 체내에 삽입되는 압배체(90)이며, 압배체(90)의 압배체 본체(91)가, 흡수 팽창성 재료가 압축 형성됨으로써 압축 반대 방향으로의 팽창 응력이 잔류하는 상태로 구성되고, 상기 잔류하는 팽창 응력이 부위에 따라 다른 값을 갖는 것이다. 또한 팽창 응력이 잔류하는 방향의 면[측면(91b, 91d)]에, 열가소성 수지의 용착부(92)가 설치되어 있다. 수분의 부여에 의해 압배체 본체(91)는, 팽창 응력이 높은 중앙 부분 C가 크게 팽윤하고, 팽창 응력이 낮은 양단부 부분 E에서 작게 팽윤한다. 한편, 용착부(92)는 신장되지 않으므로, 이것에 규제되어, 팽윤 후의 형상으로서 만곡된 압배체(90)로 된다.

Description

수술용 압배체{SURGICAL RETRACTOR}
본 발명은, 수술에 있어서 표적 장기(수술 대상 장기) 이외의 장기를 압배(壓排)할 때에 사용하는 수술용 압배체에 관한 것이다.
외과 수술은, 복부나 흉부 등을 크게 절개하여 행하는 수술(이하, 개복 수술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과, 복부 등에 개방한 작은 구멍을 통해 행하는 내시경하 수술로 크게 구별된다.
이들 수술에 있어서는 장기의 절제·적출 등이 행해지지만, 이 조작시, 표적 장기 이외의 장기(표적 외 장기)가 방해가 되어, 조작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시야 확보의 장해가 되는 다른 장기를 압배하여, 시술을 위한 시야를 확보하는 것이 요망된다.
표적 외 장기의 압배 방법으로서는, 환자의 체위를 기울여 중력에 의해 압배하는 방법 외에, 스펀지제 등의 압배체를 이용하여 표적 외 장기를 밀어 젖히는 것과 같이 압배하는 방법이 있다.
스펀지제 압배체에는 개복 수술용으로서, 두꺼운 평판 형상의 셀룰로오스 스펀지제 압배체가 알려져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스펀지제 압배체는 흡액함으로써 유연해지므로, 표적 외 장기에 대해 부드럽게 압배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흡액에 의해 팽윤하므로 적당한 반발력을 발휘하고, 또한 어느 정도 중량을 가진 것으로 되고, 또한 그 표면이 조면(粗面)이므로, 시술자 또는 보조자가 누르고 있지 않아도 압배체의 존재 자체로 표적 외 장기를 압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내시경하 수술용의 압배체로서, 고무제의 시트의 주위에 초탄성 합금제의 환 형상 프레임을 장착한 내시경용 압배구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사용법은, 상기 내시경용 압배구를 눌러 찌부러뜨려 가느다란 직선 형상으로 하고, 이것을 투관침(trocar)으로부터 삽입하고, 이어서 체강 내에 있어서 상기 환 형상 프레임의 복원력에 의해 폭을 넓혀 장기를 압배한다고 하는 것이다.
그 밖에, 선단에 벌룬을 구비한 내시경용 압배구(지지 겸자)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이 압배구에서는, 벌룬을 접어 통 형상의 자루 부분에 수납하고, 이 상태에서 투관침으로부터 체강 내에 삽입하고, 이어서 자루를 어긋나게 하여 벌룬을 노출시키고, 가스 주입하여 부풀어 오르게 하여 장기의 압배나 지지를 행한다. 사용 후에는, 벌룬의 가스를 빼고, 접도록 하여 통 형상의 자루에 수납하고, 투관침으로부터 제거한다.
상기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압배구는, 비교적 유연한 고무제 시트나 벌룬에 의해 장기를 압배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을 지지하는 프레임이나 자루 부분은 경질이다. 따라서, 체강 내의 장기를 부드럽게 압배하는 점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스펀지제 압배체가 우수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특허문헌 1, 2의 내시경용 압배구에서는, 압배구를 지지하여 압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사람의 손이 필요하지만, 셀룰로오스 스펀지제 압배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압배 상태 유지를 위한 사람의 손이 불필요해, 이 점에 있어서도 우수하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164459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253916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이 셀룰로오스 스펀지제 압배체는 여러 이점을 갖지만, 그 형태로서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이 알려져 있을 뿐이다.
그런데 본 출원인은, 내시경하 수술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내시경용 압배체에 대해 새롭게 발명하여, 이미 출원하고 있다(국제 출원 번호:PCT/JP2009/064777). 이 기출원에 관한 내시경용 압배체는, 압배체 본체를 흡수 팽창성 재료(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스펀지)로 구성하고, 이 압배체 본체를 막대 형상으로 하여 그 횡단면(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이 투관침의 원통 내강 단면보다도 작은 것으로 되도록 압축 형성한 것이다. 상기 내시경용 압배체에 따르면, 투관침으로부터 체강 내에 삽입할 수 있고, 이어서 체강 내에서, 수분을 공급하여 흡수 팽윤시킴으로써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장기를 충분히 압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기출원된 발명은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지만, 팽윤 후의 형상에 관해서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인 것 등이 소개되는 것에 그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술에 있어서의 가일층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보다 사용 편의성이 좋은 수술용 압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술용 압배체는, 수술시에 체내에 삽입되는 압배체이며, 상기 압배체의 압배체 본체가, 흡수 팽창성 재료가 압축 형성됨으로써 압축 반대 방향으로의 팽창 응력이 잔류하는 상태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잔류하는 팽창 응력이 부위에 따라 다른 값을 갖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술용 압배체는, 내시경용, 개복 수술(개흉 수술 등도 포함함)용의 어느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흡수 팽창성 재료」라 함은, 흡수함으로써 팽창하는 성질을 나타내는 재료를 말하며, 셀룰로오스 스펀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팽창 응력」이라 함은, 압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팽윤하려고 하는 복원력을 의미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압배체 본체는, 압축 형성한 흡수 팽창성 재료에 의해 구성된 것이므로, 수분이 부여되면 팽윤하여 커진다. 그리고 팽창 응력이 부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팽윤할 때, 팽창 응력의 값의 고저(강약)에 따라, 크게 팽윤하는 개소와 작게 팽윤하는 개소를 발생한다. 이 대소(大小)에 의해 팽윤 후의 형상이, 팽윤 전(압축 형성된 상태)과는 다른 것으로 된다. 즉, 단순히 상사형(相似形)으로 팽윤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형상으로 팽윤한다.
팽윤 후의 형상으로서는, 중앙 부분이 광폭으로 된 평판 형상[후술하는 도 3의 (c) 참조]이나,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에 있어서의 일부를 절결한 것과 같은 형상[후술하는 도 9의 (b) 참조] 등을 대표예로서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그리고 팽윤 전(압축 형성된 상태)의 형상으로서는 막대 형상(후술하는 도 1 참조), 입방체, 직방체 등을 들 수 있다.
내시경용 압배체의 경우에는, 투관침으로부터 삽입 가능하게 한다고 하는 요청으로부터, 투관침의 통 내강 단면 형상에 의한 제한을 받는다. 이 점에 관하여, 압배체 본체를 압축 형성에 의해 투관침으로부터 삽입 관통 가능한 형상으로 한 것에 있어서도, 상기한 바와 같이 팽창 응력을 부위에 따라 다르게 하도록 하면, 팽윤 후에 원하는 형상으로 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팽윤 전(압축 형성된 상태)의 형상을, 팽윤 후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예를 들어 막대 형상체, 직방체 등으로 함으로써, 내시경용 압배체로서 투관침으로부터 삽입 관통 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 외에, 개복 수술용 압배체로서도, 보관시에 콤팩트한 수납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팽윤 후에는, 원하는 이형(異形) 형상으로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압배체에 있어서는, 상기 압배체 본체를 압축 형성하였을 때의 압력 부여면 중 적어도 한쪽의 면에 열가소성 수지의 용착부를 구비하고, 이 용착부에 의해 상기 압배체 본체를 구속하도록 구성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압배체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팽창 응력이 다른 부분을 넘어 열가소성 수지의 용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 형성된 압배체 본체는, 수분을 부여함으로써 팽윤하여 커지지만, 상기 용착부는 수분이 부여되어도 신장되지 않으므로(팽윤하지 않으므로), 팽윤 개소에 대해 잡아 당기도록(팽윤을 억제하도록) 작용한다. 이에 의해, 팽윤 후의 압배체의 형상으로서, 만곡된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용착부를 구비한 압배체에 있어서, 상기 압배체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압력 부여면의 폭이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압배체 본체가 압축 형성된 상태에서 6면체이며, 그 압축 방향 및 압축 반대 방향을 X 방향, 이것과 직교하는 한 방향을 Y 방향, X 방향 및 Y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Z 방향이라 하였을 때, 압배체 본체의 YZ 평면의 면(압력 부여면)의 폭이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배체에 수분을 부여하는 데 있어서, 압배체 본체에 있어서의 XZ 평면의 2개의 면(이하, 표면, 이면이라 하는 경우가 있음) 중 표면에 수분을 부여하였을 때, 이 표면측이 먼저 팽윤을 시작하고, 이면측이 늦게 팽윤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용착부의 규제에 의해 압배체 본체는 만곡되어 팽창되지만, 이때, 먼저 팽윤하는 표면측이 외측으로 돌출되고, 늦게 팽윤하는 이면측으로 오목해지도록 하여 만곡되는 경향이 있다.
압배체 본체의 두께(압력 부여면의 폭)가 1㎜로 얇은 경우는, 물을 부여한 표면측과 이면측에 팽윤의 시간차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어느 쪽이 돌출/오목해질지 정해지기 어렵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5㎜ 이상이면, 팽윤의 시간차가 있으므로, 사용자가 어느 쪽의 면에 수분을 부여하는지에 따라 만곡 방향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트롤할 수 있으면, 보다 조작성이 향상되어, 수술시의 사용 편의성이 좋다.
또한 상술한「팽윤 후에 중앙 부분이 광폭으로 된 평판 형상」이 되는 경우에 대해 더 서술하면, 압배체 본체가 압축 형성된 상태에 있어서, 하기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압배체 본체는, 압축 형성된 상태에 있어서 막대 형상이고, 이 길이 방향을 Z 방향, 상기 Z 방향과 직교하는 한 방향을 X 방향, Z 방향 및 X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Y 방향이라 하였을 때, 상기 막대 형상의 압배체 본체가, 상기 Z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XY 평면)이 사각형이며, 상기 X 방향 및 상기 Y 방향을 측면으로 하고, 상기 팽창 응력이, 적어도 상기 X 방향을 향해 작용하고, 또한 이 팽창 응력이, 상기 막대 형상의 압배체 본체에 있어서의 양단부 부분에 비해 중앙 부분이 높은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이하, 이것을 형태 [1]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
상기 단면 사각의 막대 형상 압배체는, 팽윤함으로써 중앙 부분이 광폭으로 된 평판 형상으로 되지만[예를 들어, 후술하는 도 3의 (c) 참조], 단부 부분의 폭이 좁으므로, 이 단부 부분을 겸자로 파지하여 압배체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기 쉬워, 체강 내에서의 압배체의 조작성이 양호해진다. 이에 더하여, 단부 부분이 작으므로, 이곳을 장기 사이의 좁은 간극에 밀어 넣어 압배체를 고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수술의 형태에 따라서는, 압배체에 의해 표적 외 장기를 앞쪽으로 압배하고, 상기 압배체의 양단부 부분으로부터 상기 압배체 위를 넘도록 하여, 겸자나 메스 등을 수술 부위에 도달시켜 수술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후술하는 도 4 참조). 이러한 경우에, 상기 「중앙 부분이 광폭으로 된 평판 형상」의 압배체에 따르면, 그 중앙 부분에서 장기를 확실히 덮어 압배할 수 있는 동시에, 단부 부분의 폭이 좁은 개소로부터 겸자 등을 수술 부위에 위치시킬 수 있어, 수술에 있어서의 작업성이 양호해진다.
상기 형태 [1]의 경우에, 압축 형성된 상태의 막대 형상 압배체에 있어서, 그 횡단면(XY 평면)이 투관침의 원통 내강 단면보다도 작은 것으로 하면, 투관침의 통을 통과시켜 체강 내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압배체 본체에 수분을 부여하여 팽윤시킴으로써, 장기를 압배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로 된다.
또한 상기 형태 [1]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용착부가, 상기 막대 형상의 압배체 본체에 있어서 압축 형성하였을 때의 양쪽의 압력 부여면에, 그 한쪽 단부로부터 다른 쪽 단부에 걸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이하, 이것을 형태 [1']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
이 형태 [1']에서는, 팽윤하였을 때에, 막대 형상 압배체 본체는 그 양단부에 비해 중앙 부분이 광폭으로 확대된 판 형상으로 되는 동시에, 용착부에 의해 잡아 당겨지게 되어, 전체적으로 배 바닥 형상으로 된다[예를 들어 후술하는 도 3의 (a), (b) 참조]. 그리고 이러한 배 바닥(舟底) 형상이면, 표적 외 장기를 덮도록 하여, 양호하게 압배할 수 있다. 또한 배 바닥 형상의 입체 구조를 취함으로써, 양호한 탄력성을 유지한 상태로, 압배체 전체적으로 형상 유지 능력이 증가하여 안정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안정적인 압배체이면, 수술시에 작업을 행하기 쉬워져, 수술 시간의 단축으로 이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수술용 압배체에 따르면, 보관시에 콤팩트하게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거나, 내시경하 수술에 있어서의 투관침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수술에 있어서의 사용시에는 팽윤에 의해, 팽윤 전(압축 형성한 상태)과는 다른 형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팽윤 전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팽윤 후의 수술용 압배체를 원하는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수술용 압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압배체를 프레임에 수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제1 실시 형태의 수술용 압배체를 팽윤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b)는 (a)에 도시하는 D-D 화살표 단면도이고, (c)는 압배체 본체 뿐인 것에 대해 팽윤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압배체를 사용하여 표적 외 장기를 압배하고 수술을 행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압배체를 제조하는 방법 (1)을 도시하는 사시도로, (a) 내지 (e)는 블록 형상의 셀룰로오스 스펀지로부터 막대 형상의 내시경용 압배체로 될 때까지의 각 공정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압배체를 제조하는 방법 (2)를 도시하는 사시도로, (a) 내지 (f)는 블록 형상의 셀룰로오스 스펀지로부터 막대 형상의 내시경용 압배체로 될 때까지의 각 공정도이다.
도 7의 (a)는 제2 실시 형태의 수술용 압배체를 제조하는 방법 (1)에 있어서의 일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b)는 이 다음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c)는 이 다음 공정이며 또한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수술용 압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의 수술용 압배체를 제조하는 방법 (2)를 도시하는 사시도로, 그 (a) 내지 (c)는 각 공정도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수술용 압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이 압배체를 팽윤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의 수술용 압배체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로, 그 (a) 내지 (e)는 각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수술용 압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이 압배체를 팽윤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c)는 이 압배체의 압배체 본체만을 팽윤시켰을 때의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수술용 압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이 압배체를 팽윤시켰을 때의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수술용 압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이 압배체(20)를 팽윤시켰을 때의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c)는 이 압배체에 있어서의 압배체 본체를 압축 형성하기 전의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의 (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수술용 압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이 압배체를 팽윤시켰을 때의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수술용 압배체(9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압배체(90)는 내시경하 수술용이며, 압배체 본체(91)와, 이것에 용착된 용착부(92)로 이루어진다.
압배체 본체(91)는 셀룰로오스 스펀지제이며, 셀룰로오스 스펀지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압출 방향을 길이 방향(Z 방향)으로 한 단면 정사각형의 막대 형상체(8㎜×8㎜×200㎜)이다(또한 도면에서는 편의상, 길이 방향을 짧게 묘화하고 있음). 또한, 상기 Z 방향과 직교하는 한 방향을 X 방향, Z 방향 및 X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Y 방향이라 한다.
압배체 본체(91)는, 그 측면(91a, 91b, 91c, 91d) 중, YZ 평면의 측면(91b, 91d)으로부터 평균 압축률 10%로 압축(화살표 A) 및 건조된 것이다. 따라서, X 방향으로, 팽창 응력이 잔류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면(91b, 91d)이 상술한 「압력 부여면」이다.
그리고 이 팽창 응력은, 압배체 본체(91)의 양단부 부분 E에 비해 중앙 부분 C가 높게(강하게) 되어 있다.
용착부(92)는, X선 비투과성 물질(예를 들어, 황산바륨)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황산바륨을 이겨 넣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황산바륨을 이겨 넣은 염화비닐 수지나 실리콘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용착부(92)는, 압배체 본체(91)의 측면(91b, 91d)(압력 부여면)에, 길이 방향(Z 방향)을 따라 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면(91b, 91d)에 있어서 그 폭(Y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압배체 본체(91)는 상기한 사이즈이므로, 원통 내강 단면의 사이즈가 직경 12㎜인 투관침(내강이 진원임)으로부터 압배체(90)를 삽입 관통하여 체강 내에 넣을 수 있다.
그런데, 압배체 본체(91)는 수분을 부여하면 팽윤하여 커지지만, 이 성질로 인해, 사용 전의, 예를 들어 멸균 처리 단계나 보관 단계에서, 주위의 습기를 흡수하여, 다소 팽창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 팽창이 과도하게 발생하면, 투관침 원통 내강보다도 압배체 본체가 커져 투관침에 삽입 관통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배체(90)를 프레임(93)에 수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 프레임(93)에 의해 팽창이 억제되어, 투관침 원통 내강을 삽입 관통 가능한 크기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 중, 부호 97은, 프레임(93)의 길이 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설부(舌部)이다. 이 설부(97)를 상방으로 끌어올림으로써(화살표 G), 압배체(90)가 들어올려져, 프레임(93)으로부터 압배체(90)를 취출하기 쉬워진다.
상기 내시경하 수술용 압배체(90)의 사용시에 있어서는, 압배체(90)를 프레임(93)으로부터 취출하여, 투관침의 통으로부터 체강 내에 삽입한다. 다음에, 압배체(90)에 생리 식염수 등을 넣고 팽윤시켜, 표적 외 장기를 압배한다.
도 3의 (a)는 제1 실시 형태의 수술용 압배체(90)를 팽윤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a)에 도시하는 D-D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3의 (c)는, 압배체 본체(91)뿐인 것[용착부(92)를 설치하고 있지 않은 것]에 대해, 팽윤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3의 (c)에 도시하는 형상은, 제조 과정에 있어서 압배체 본체(91)를 압축 형성하기 전의 형상과 동일해진다. 단, 압축, 보관, 팽윤 등의 과정에 있어서 응력이 잔류하여, 완전히 동일하게는 되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복원할 수 있다.
압배체(90)는 수분(생리 식염수 등)의 부여에 의해, X 방향을 향해, 팽창 응력이 높은 중앙 부분 C가 크게 팽윤하고, 팽창 응력이 낮은 양단부 부분 E에서 작게 팽윤한다[도 1, 도 3의 (a), (c)]. 따라서, 압배체(90)에 용착부(92)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압배체 본체(91)뿐인 경우]에는, 도 3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부분의 폭이 넓고(W2), 양단부 부분의 폭의 좁은(W1) 상태의 평판 형상으로 된다. 또한, 도 3의 (c)에 나타내는 백색 화살표 F는,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압축 방향이다.
그리고 제1 실시 형태의 압배체(90)에는 용착부(92)가 구비되어 있고, 이 용착부(92)는 수분의 부여에 의해서는 신장되지 않으므로(팽창하지 않으므로), 용착부(92)가 압배체 본체(91)의 팽윤을 규제하도록 작용한다. 이로 인해, 측면(91b, 91d)이 잡아 당겨지게 되고, 이에 대해 중앙은 충분히 팽윤하므로, 도 3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 형상으로 만곡된다.
또한, 도 3의 (a), (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측면(91a)측에 수분을 부여한 것이며, 측면(91a)이 팽윤하기 시작하는 것에 대해 측면(91c)이 늦게 팽윤하므로, 측면(91a)이 외측으로 돌출되고, 측면(91c)이 오목해지도록 하여, 배 바닥 형상으로 만곡된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압배체(90)에 의해 장(61)(표적 외 장기)을 압배하고 수술 부위(62)를 넓게 하여, 조작을 행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압배체(90)는 배 바닥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으므로, 장(61)을 감싸는 것과 같이 양호하게 압배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압배체(90)의 압배체 본체(91)의 재료인 셀룰로오스 스펀지(흡수 팽창성 재료)는, 팽윤에 의해 적절한 반발력을 발휘하는 동시에 어느 정도의 중량을 가지므로, 표적 외 장기를 양호하게 압배할 수 있다. 또한 팽윤한 셀룰로오스 스펀지는 유연하므로, 자유롭게 절곡할 수 있어 다루기 쉽고, 표적 외 장기에 대해 부드럽게 압배할 수 있다.
또한, 압배체(90)의 단부 부분 E는 폭이 좁으므로, 이 단부 부분 E를 파지하여 조작하기 쉽고, 이에 더하여 이 작은 단부 부분 E를 장기의 사이에 끼워 넣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4와 같이, 제1 겸자(63), 제2 겸자(64)를, 압배체(90)에 있어서의 단부 부분 E의 낮은 개소 위를 넘어 삽입하여, 수술 부위(62)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압배체(90)는 거의 수술 조작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용착부(92)에 황산바륨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X선 조영(렌트겐 촬영)을 행하여, 상기 용착부(92)를 단서로 압배체(90)의 존재의 유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압배체 본체의 흡수 시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압배체 본체(91)의 재료인 셀룰로오스 스펀지의 흡수 속도에 대해, 하기와 같이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 방법은, JIS L 1907 5.1의 흡수 속도 시험의 5.1.1 적하법에 따라서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시료로부터 사이즈 30㎜×30㎜의 시험편을 5매 채취하고(시험편 No.1 내지 5), 이 시험편의 표면으로부터 뷰렛의 선단까지가 10㎜의 높이로 되도록 조정하고, 뷰렛으로부터 65% 설탕물을 1방울 적하시켜, 물방울이 시험편의 표면에 도달하였을 때부터 그 물방울이 특별한 반사를 하지 않게 될 때까지의 시간(초)을 스톱워치로 측정하였다.
이 흡수 속도의 시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대조로서 거즈를 시료로서 사용하여, 마찬가지로 시험을 행하였다.
Figure pct00001
표 1의 결과로부터, 셀룰로오스 스펀지에서는, 물이 서서히 퍼지도록 시간에 따라서 흡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두께가 있는 셀룰로오스 스펀지이면, 물을 부여한 표면 부분과 이면 부분에 팽윤의 시간차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1로부터, 압축한 쪽이, 흡수 속도가 빠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셀룰로오스 스펀지의 흡수량에 대해, 후생성 고시 제285호 생리 처리 용품 기준 III 규격 및 시험법 (5) 흡수량에 따라서 시험을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수술용 압배체의 제품을 1개 취하여 시료로 하고(시료 No.6 내지 10), 질량 기지의 1.680㎛(10메쉬)의 금속망 상에 두고, 그 전체면에 비커로부터 서서히 물을 부어, 시료 전체가 완전히 흡수하고, 또한 물이 넘칠 때까지 주수를 계속하여, 1분간 방치한 후, 흡수량을 측정하였다. 이 시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표 2의 결과로부터, 셀룰로오스 스펀지는 우수한 흡수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압배체의 만곡 방향 확인 시험>
제1 실시 형태의 압배체(90)에 대해, 팽윤하였을 때의 만곡 방향에 대해 확인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 방법은, 압배체(90)의 측면(91a) 혹은 측면(91c)[용착부(92)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면]을 상측으로 하여 베이스 위에 두고, 위로부터 물을 가하여 팽윤시켜, 만곡되는 방향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10개의 시료(시료 No.11 내지 20)에 대해 시험을 행하였다. 이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0개의 시료 전부에 대해, 물을 부여한 면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팽창되고, 이 반대측이 오목해지도록 만곡되었다. 따라서, 물의 부여 조작에 의해 만곡 방향을 컨트롤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압배체(90)의 제조 방법 (1)>
다음에 제1 실시 형태의 압배체(90)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도 5는 블록 형상의 셀룰로오스 스펀지로부터 내시경용 압배체를 얻을 때까지의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압배체 본체(91)의 원료인 셀룰로오스 스펀지에 대해서는, 재생 셀룰로오스법이나 셀룰로오스 용제 용액법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3520511호 공보에 개시된 셀룰로오스 스펀지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셀룰로오스 스펀지의 제조법을 예시하면, 우선 목재칩 등의 셀룰로오스 원료로부터 비스코스를 얻는다. 이 비스코스에 천연 섬유를 가하고, 또한 결정 망초와 폴리올 화합물 및 적절하게 계면 활성재를 혼합한다. 얻어진 스펀지 원액을 성형형 내에 압출하여 충전하고, 가열 응고시켜, 블록 형상의 셀룰로오스 스펀지를 얻는다[도 5의 (a), 도면 중의 화살표 B는 압출 방향임].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블록 형상 셀룰로오스 스펀지(11)를,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단부가 X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잘라낸다[절출 블록(12)]. 이어서 X 방향으로부터 압축하면서(또한 이 압축 방향이 도 1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됨) 건조하여, 평판 형상으로 한다[도 5의 (c)]. 이때, 경우에 따라서는 Y 방향이나 Z 방향으로부터도 압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Y, Z 방향으로부터 압축한 경우에는, 수분의 부여에 의해 Y, Z 방향으로도 팽창되게 된다.
다음에, 이 평판 형상물(13)을 Z 방향으로 슬라이스하여, 복수개의 막대 형상(단면 사각형)의 압배체 본체(91)를 제작한다[도 5의 (d)].
한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황산바륨을 이겨 넣은 멀티 필라멘트를 제작하고, 이것을 실 형상으로 묶는다[이것을 조영사(造影絲)(14)라 함]. 이 조영사(14)를, 상기 압배체 본체(91)의 압축면(압력 부여면)의 양면에, 길이 방향(Z 방향)을 따라 폭 중앙(Y 방향 중앙)에 배치하고, 가열 압착함으로써 조영사(14)를 용착시켜 용착부(92)로 한다[도 5의 (e), 도 1]. 또한, 도 5의 예에서는, 8개의 압배체(90)가 얻어지게 되지만, 도 5의 (e)에서는 1개의 압배체(90)만을 나타내고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압배체(90)의 제조 방법 (2)>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압배체(90)를 제조하는 방법 (2)를 도시하는 사시도로, (a) 내지 (f)는 그 각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원료인 셀룰로오스 스펀지(11)로부터 절출 블록(12)을 제작하고, X 방향으로부터 압축하면서 건조하여 평판 형상[평판 형상물(13)]으로 할 때까지의 공정은, 상술한 도 5의 (a) 내지 (c)의 공정과 동일하다[도 6의 (a) 내지 (c)].
다음에, 도 6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판 형상물(13)에 있어서의 압축면(압력 부여면)의 양면에, 조영사(14)를 Z 방향으로 소정 개수(도시예에서는 8개), 간격을 두고 배치한다. 그리고 가열 압착함으로써 조영사(14)를 용착시켜, 용착부(92)를 형성한다.
그 후, 용착부(92) 사이의 개소에서 평판 형상물(13)을 절단하여[도 6의 (e)], 복수개의 막대 형상(단면 사각형)의 압배체(90)를 얻는다{도 6의 (f)〔여기서는, 1개의 압배체(90)만을 나타내고 있음〕, 도 1}.
<제2 실시 형태>
도 7의 (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수술용 압배체(8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1 실시 형태의 압배체(90)에서는, 용착부(92)가 압배체 본체(91)의 측면(91b, 91d)(압력 부여면)에 있어서의 폭(Y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나타냈지만, 본 제2 실시 형태의 압배체(80)에서는, 압배체 본체(91)의 측면에 있어서의 테두리의 부근에 용착부(8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압배체(90)에서는, 사용시에 수분을 부여하는 측을 측면(91a, 91c) 중 어느 쪽으로 하는지에 따라, 배 바닥 형상으로 오목해지는 방향을 컨트롤하였지만, 용착부가 설치된 측면(91b, 91d)이나, 막대 형상의 압배체(90)의 선단부로부터 수분을 부여한 경우에는, 배 바닥 형상으로 오목해지는 방향이 Y 방향의 어느 측인지 미리 정해지지 않고, 팽윤하였을 때의 미묘한 차이에 의해 한쪽으로 오목해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본 제2 실시 형태의 압배체(8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용착부(82)가 측면(91b, 91d)에 있어서 치우쳐 위치하고 있으므로, 용착부(82)가 존재하는 쪽이 보다 잡아 당겨지게 되어, 그 반대측으로 오목해지게 된다.
<제2 실시 형태의 압배체(80)의 제조 방법 (1)>
도 7의 (a), (b)는, 제2 실시 형태의 압배체(80)를 제조하는 방법 (1)에 있어서의 각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c)는 완성된 압배체(8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원료인 셀룰로오스 스펀지(11)로부터 절출 블록(12)을 제작하고, X 방향으로부터 압축하면서 건조하여 평판 형상으로 할 때까지의 공정은, 상술한 도 5의 (a) 내지 (c)의 공정과 동일하다.
다음에,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판 형상물(13)에 있어서의 압축면(압력 부여면)의 양면에, 조영사(14)를 Z 방향으로 소정 개수, 간격을 두고 배치한다. 이때, 후공정에서 막대 형상으로 절단하는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절단 위치의 근방이 되도록 조영사(14)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가열 압착함으로써 조영사(14)를 용착시켜 용착부(82)를 형성한다.
그 후, 용착부(82)의 바로 옆의 위치를 절단하여[도 7의 (b)], 복수개의 막대 형상(단면 사각형)의 압배체(80)를 얻는다{도 7의 (c)〔여기서는 1개의 압배체(80)만을 나타내고 있음〕}.
<제2 실시 형태의 압배체(80)의 제조 방법 (2)>
도 8은 제2 실시 형태의 압배체(80)를 제조하는 방법 (2)를 도시하는 사시도로, 그 (a) 내지 (c)는 각 공정을 나타낸다.
원료인 셀룰로오스 스펀지(11)로부터 절출 블록(12)을 제작하여, X 방향으로부터 압축하면서 건조하여 평판 형상으로 할 때까지의 공정은, 상술한 도 5의 (a) 내지 (c)의 공정과 동일하다.
다음에, 조영사(14)를 2개 병행시킨 세트로 하고[2개 세트 조영사(15)], 도 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판 형상물(13)에 있어서의 압축면(압력 부여면)의 양면에, 상기 2개 세트 조영사(15)를 Z 방향을 따라 배치한다. 이때, 후공정에서 막대 형상으로 절단하는 위치를 1개 건너뛰고, 또한 2개 세트 조영사(15)가 절단 위치를 걸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가열 압착함으로써 2개 세트 조영사(15)를 용착시켜 용착부(82)를 형성한다.
계속해서,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착부(82)의 중앙 및 용착부(82)끼리의 사이를 절단한다. 용착부(82)의 중앙에서 절단함으로써, 이 용착부(82)가 2개로 나뉘어, 각각의 압배체(80)에 배치되게 된다[도 8의 (c)]. 또한, 도 8의 예에서는 8개의 압배체(80)가 얻어지게 되지만, 도 8의 (c)에서는 4개의 압배체(80)만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개의 막대 형상(단면 사각형)의 압배체(80)를 얻는다.
<제3 실시 형태>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수술용 압배체(7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의 (b)는 이 압배체(70)를 팽윤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제3 실시 형태의 압배체(70)는, 셀룰로오스 스펀지제의 압배체 본체(71)에 의해서만 구성되고, 용착부를 갖지 않는 것이다.
압배체(70)의 팽윤 전의 상태(압축 형성된 상태)에 있어서는, 단면 사각형의 막대 형상체이다[도 9의 (a)]. 그리고 압배체(70)의 압배체 본체(71)에 있어서의 측면 중, X 방향에 대향하는 측면(압력 부여면)으로부터 평균 압축률 10%로 압축 및 건조된 것이다(화살표 F). 따라서, X 방향으로 팽창 응력이 잔류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압배체(70)에 수분(예를 들어, 생리 식염수)을 부여하면, X 방향을 향해 팽윤한다. 또한, 팽윤 전의 상태(압축 형성된 상태)에 있어서, 절결부(73)의 개소의 팽창 응력의 값이 낮게, 이 절결부(73)의 양 옆의 개소(74)의 팽창 응력의 값이 높게 되어 있다.
압배체(70)에 따르면, 예를 들어 S상 결장의 수술시에, 하강 결장을 절결부(73)에 끼워 넣도록 하여 이것보다 상측의 결장이나 소장을 압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팽윤한 형상을, 수술에 따른 이형 형상으로 할 수 있으면서도, 팽윤 전의 상태로서 막대 형상이므로, 보관시에 콤팩트하게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투관침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형태의 내시경용 압배체로 할 수도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압배체(70)의 제조 방법>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의 압배체(70)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로, 그 (a) 내지 (e)는 그 각 공정을 나타낸다.
원료인 블록 형상의 셀룰로오스 스펀지(11)를 제작하는 공정은, 상술한 도 5의 (a)의 공정과 동일하다[도 10의 (a)].
다음에,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룰로오스 스펀지(11)에 대해, 오목부(19)를 형성하도록 잘라낸다[절출 블록(18)]. 이어서, X 방향으로부터 압축하면서 건조하여, 평판 형상[평판 형상물(13)]으로 한다[도 10의 (c)].
그 후,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평판 형상물(13)을 Z 방향으로 슬라이스하여[도 10의 (d)], 복수개의 막대 형상의 압배체 본체(71)[압배체(70)]를 얻는다[도 10의 (e)].
<그 밖의 실시 형태>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수술용 압배체(40)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상기 압배체(40)의 사시도, (b)는 상기 압배체(40)를 팽윤시켰을 때의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의 (c)는 이 압배체(40)의 압배체 본체(41)만을 팽윤시켰을 때의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지만,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용착부(42)의 위치를 함께 묘화하고 있다. 또한 도 11의 (c)에 도시하는 백색 화살표 F는 압축 형성시에 있어서의 압축 방향이다.
이 압배체(40)는 팽윤시의 압배체 본체(41)가, 직각 삼각형의 정상부를 절결한 사다리꼴을 하고 있고[도 11의 (c)], 이 측변에 용착부(4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팽윤하였을 때, 이 용착부(42)에 구속되어 만곡되게 된다[도 11의 (b)].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수술용 압배체(50)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상기 압배체(50)의 사시도, (b)는 이 압배체(50)를 팽윤시켰을 때의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12의 (b)에 도시하는 백색 화살표 F는, 압축 형성시에 있어서의 압축 방향이다.
제5 실시 형태의 압배체(50)에서는, 표주박형의 압배체 본체(51)의 측면에 용착부(5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팽윤하였을 때에, 2개의 오목부를 구비한 표주박형으로 만곡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수술용 압배체(20)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상기 압배체(20)의 사시도, (b)는 상기 압배체(20)를 팽윤시켰을 때의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의 (c)는 이 압배체(20)에 있어서의 압배체 본체(21)를 압축하기 전의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3의 (a), (c)에 도시하는 백색 화살표 F는, 압축 형성시에 있어서의 압축 방향이다.
제6 실시 형태의 압배체(20)에서는, 원반형의 압배체 본체(21)를 주위 측면으로부터 압축하고[도 13의 (c)의 화살표 F, X 방향], 이때의 압력 부여면의 양면에 용착부(22)를 설치한 것이다[도 13의 (a)]. 압배체(20)는, 팽윤하였을 때, 용착부(22)에 규제되므로, 깊게 움푹 들어간 배 형상으로 만곡된다[도 13의 (b)].
도 14의 (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수술용 압배체(3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4의 (b)는 이 압배체(30)를 팽윤시켰을 때의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7 실시 형태의 압배체(30)는 용착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셀룰로오스 스펀지제 압배체 본체만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팽윤 전에 원반 형상의 형상이[도 14의 (a)], 팽윤에 의해 6개의 돌출부를 갖는 별 형상으로 된다[도 14의 (b)].
이상, 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물론 상기 예에 의해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취지에 적합한 범위에서 적당하게 변경을 가하여 실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고, 그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압배체 본체의 재료로서 셀룰로오스 스펀지를 들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우레탄 등의 흡수 팽창성 재료라도 좋다.
상기 제1 실시 형태 등에서는 압축 방향의 양면에 용착부를 설치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압축 방향의 한쪽 면에만 용착부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용착부의 형상에 대해서도, 상기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직선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호나 지그재그, 파형 등의 선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용착부는, 선 형상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또한, 팽윤 전의 압배체의 형상으로서 상기 제1 내지 제6 실시 형태에서는 막대 형상물을 예로 들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7 실시 형태와 같은 원반 형상 외에, 예를 들어 팽윤 전의 압배체의 형상을 구 형상으로 하고, 수분의 부여에 의해 별사탕 형상으로 돌출부가 돌출되도록 팽윤하는 구성이라도 좋고, 팽윤 전, 팽윤 후 모두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내시경 수술이나 개복 수술(개흉 수술 등을 포함함) 등의 각종 수술에 이용할 수 있다.
20, 30, 40, 50, 70, 80, 90 : 압배체
21, 41, 51, 71, 91 : 압배체 본체
22, 42, 52, 72, 82, 92 : 용착부
61 : 장
62 : 수술 부위
63 : 제1 겸자
64 : 제2 겸자
91a, 91b, 91c, 91d : 측면

Claims (5)

  1. 수술시에 체내에 삽입되는 압배체에 있어서,
    상기 압배체의 압배체 본체는, 흡수 팽창성 재료가 압축 형성됨으로써 압축 반대 방향으로의 팽창 응력이 잔류하는 상태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잔류하는 팽창 응력이 부위에 따라 다른 값을 갖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압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배체는, 상기 압배체 본체를 압축 형성하였을 때의 압력 부여면 중 적어도 한쪽의 면에 열가소성 수지의 용착부를 구비하고, 이 용착부에 의해 상기 압배체 본체를 구속하도록 구성된 것인, 수술용 압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배체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압력 부여면의 폭이 5㎜ 이상인, 수술용 압배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배체 본체는, 압축 형성된 상태에 있어서 막대 형상이고,
    이 길이 방향을 Z 방향, 상기 Z 방향과 직교하는 한 방향을 X 방향, Z 방향 및 X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Y 방향이라 하였을 때,
    상기 막대 형상의 압배체 본체가, 상기 Z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이 사각형이며, 상기 X 방향 및 상기 Y 방향을 측면으로 하고,
    상기 팽창 응력이, 적어도 상기 X 방향을 향해 작용하고, 또한 이 팽창 응력이, 상기 막대 형상의 압배체 본체에 있어서의 양단부 부분에 비해 중앙 부분이 높은, 수술용 압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착부가, 상기 막대 형상의 압배체 본체에 있어서 압축 형성하였을 때의 양쪽의 압력 부여면에, 그 한쪽 단부로부터 다른 쪽 단부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수술용 압배체.
KR1020127022693A 2010-03-08 2011-03-08 수술용 압배체 KR201300186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51077 2010-03-08
JP2010051077 2010-03-08
PCT/JP2011/055376 WO2011111703A1 (ja) 2010-03-08 2011-03-08 手術用圧排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667A true KR20130018667A (ko) 2013-02-25

Family

ID=44563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693A KR20130018667A (ko) 2010-03-08 2011-03-08 수술용 압배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545858A4 (ko)
JP (1) JP5313394B2 (ko)
KR (1) KR20130018667A (ko)
CN (1) CN102791202B (ko)
WO (1) WO20111117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46906A4 (en) * 2014-05-19 2017-11-22 Toray Fine Chemicals Co., Ltd. Exclud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1629A (en) * 1968-06-11 1976-06-08 American Cyanamid Company Using hydrophilic polyurethane laparotomy sponges
US5374261A (en) * 1990-07-24 1994-12-20 Yoon; Inbae Multifunctional devices for use in endoscopic surgical procedures and methods-therefor
US6120437A (en) * 1988-07-22 2000-09-19 Inbae Yoon Methods for creating spaces at obstructed sites endoscopically and methods therefor
JP3520511B2 (ja) 2000-09-04 2004-04-19 株式会社ホギメディカル セルローススポンジを用いた創部吸収性被覆保護材の製造方法
JP4033327B2 (ja) 2001-11-30 2008-01-16 株式会社八光 レトラクター
JP2005253916A (ja) 2004-03-10 2005-09-22 Shigehisa Yanagimoto 腹腔鏡手術および体外法などの小視野の開腹手術における二酸化炭素注入よるバルーン型支持鉗子
WO2006119256A2 (en) * 2005-04-29 2006-11-09 Cook Biotech Incorporated Volumetric grafts for treatment of fistulae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JP2009089900A (ja) * 2007-10-09 2009-04-30 Toray Fine Chemicals Co Ltd 手術用圧排部材
EP2332469B1 (en) * 2008-09-01 2015-05-27 Kawamoto Corporation Endoscope exclu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1111703A1 (ja) 2013-06-27
JP5313394B2 (ja) 2013-10-09
EP2545858A4 (en) 2015-06-24
WO2011111703A1 (ja) 2011-09-15
CN102791202A (zh) 2012-11-21
EP2545858A1 (en) 2013-01-16
CN102791202B (zh) 201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3923B2 (ja) 結び目をつける作業が不要な縫合糸及びそれを含むキット
US10208925B2 (en) Soft conformal laparoscopic instrument
JP5173930B2 (ja) 手術装置
US6582451B1 (en) Device for use in surgery
JP6845355B2 (ja) 積層組織移植片製品
WO1980001239A1 (en) Surgical device
EP2572645A2 (en) Percutaneous nephrostomy plug delivery device
CN107872966A (zh) 伤口闭合设备和方法
JP5602757B2 (ja) 内視鏡用シートのローリング装置
JP5257956B2 (ja) 鏡視下手術用の臓器間スペーサー
JP5128672B2 (ja) 内視鏡用圧排体
KR20130018667A (ko) 수술용 압배체
US20070225729A1 (en) Medical device basket legs of a plurality of materials
KR20170007725A (ko) 압배체
KR100563709B1 (ko) 피막하 공간 조성기
US20240130869A1 (en) Graft deployment systems and methods
CN201279161Y (zh) 自动荷包缝合器
JP2022503854A (ja) 子宮頸部用止血部材及び子宮頸部用止血部材キット
WO2010150874A1 (ja) 手術用臓器間スペーサ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