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7562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7562A
KR20130017562A KR1020110080062A KR20110080062A KR20130017562A KR 20130017562 A KR20130017562 A KR 20130017562A KR 1020110080062 A KR1020110080062 A KR 1020110080062A KR 20110080062 A KR20110080062 A KR 20110080062A KR 20130017562 A KR20130017562 A KR 20130017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 pattern
base station
transmission beam
uplink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0221B1 (ko
Inventor
유현규
김태영
박정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0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221B1/ko
Priority to US13/569,550 priority patent/US9450661B2/en
Priority to CN201280050007.3A priority patent/CN103875190B/zh
Priority to CA2844374A priority patent/CA2844374C/en
Priority to EP12822268.4A priority patent/EP2742603B1/en
Priority to AU2012295039A priority patent/AU2012295039B2/en
Priority to PCT/KR2012/006351 priority patent/WO2013022292A2/en
Priority to JP2014524937A priority patent/JP6185467B2/ja
Publication of KR20130017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562A/ko
Priority to US15/262,796 priority patent/US20170005711A1/en
Priority to US15/491,396 priority patent/US10148331B2/en
Priority to JP2017092599A priority patent/JP6431952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3Auxiliary parameters, e.g. power control [PCB] or not acknowledged commands [NACK], used as feedback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6Weighted combining using weights depending on external parameters, e.g. direction of arrival [DOA], predetermined weights or beam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Transmission or re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copy of a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different training sequences per anten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추적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 및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상기 기지국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지시하는 ACK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 추적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TRACK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 추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계속하여 증가하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방향으로 발전하여 왔다.
현재까지의 4G 시스템은 데이터 전송률 증가를 위해 주로 주파수 효율성(spectral efficiency)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기술 개발을 추구하였으나, 이러한 주파수 효율성 개선 기술 만으로는 폭증하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만족시키기 어렵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은 매우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인데, 현재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10GHz 이하)에서는 넓은 주파수 대역 확보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더 높은 주파수 대역을 확보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무선 통신을 위한 전송 주파수가 높으면 높을수록 전파의 도달거리는 상대적으로 짧아져 서비스 영역(coverage)의 감소를 초래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즉,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중요 기술 중 하나가 빔포밍(beamforming) 기술이다.
송신 빔포밍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파의 도달 영역을 특정한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방법이다. 다수의 안테나가 집합된 형태를 안테나 배열(antenna array), 배열에 포함되어 있는 안테나를 배열 요소(array element)라 하기로 한다. 송신 빔포밍을 사용하면 신호의 전송 거리를 증가시킬 수가 있고, 또한 해당 방향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는 신호가 거의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 신호로부터의 간섭이 매우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한편 수신 측에서도 수신 안테나 배열을 이용하여 수신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는데, 상기 수신 빔포밍 또한 전파의 수신을 특정 방향으로 집중시켜 해당 방향으로 들어오는 신호의 이득(gain)을 증가시키고 또한 해당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들어오는 신호를 수신 신호에서 배제함으로써 간섭 신호를 차단한다.
이러한 빔포밍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기지국과 단말에서 송·수신 빔을 효율적으로 선택(beam selection)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송·수신 빔 설정 과정에서 특정 오류에 의해 빔을 올바로 설정하지 못하면 주파수 효율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기지국이 오류 상황을 제어할 수 있게 하여 안정적인 빔 추적 방법을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 빔포밍을 효율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빔 추적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빔 추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빔추적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 및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상기 기지국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지시하는 ACK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빔추적 방법에 있어서, 단말에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기반으로 결정된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지시하는 ACK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빔추적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 및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수신 빔 패턴을 결정하는 과정과, 기지국으로부터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가 성공적으로 수신될 시, ACK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빔추적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 및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수신 빔 패턴을 결정하는 과정과, 단말로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성공적으로 수신될 시, ACK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빔추적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 및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수신 빔 패턴을 결정하는 과정과,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 수신 여부에 따라 ACK 혹은 NACK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빔추적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 및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수신 빔 패턴을 결정하는 과정과,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 수신 여부에 따라 ACK 혹은 NACK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7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빔추적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신부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 및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상기 기지국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지시하는 ACK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8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빔추적 장치에 있어서, 단말로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기반으로 결정된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지시하는 ACK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9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빔추적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 및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수신 빔 패턴을 결정하고, 기지국으로부터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결정된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신부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가 성공적으로 수신될 시, ACK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0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빔추적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 및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수신 빔 패턴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단말로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성공적으로 수신될 시, ACK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1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빔추적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 및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수신 빔 패턴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신부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 수신 여부에 따라 ACK 혹은 NACK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2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빔추적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 및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수신 빔 패턴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 수신 여부에 따라 ACK 혹은 NACK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향링크 송수신 빔 패턴에 해당하는 인덱스 및 상향링크 송수신 빔 패턴에 해당하는 인덱스를 수신할 시, 송수신 빔 패턴에 해당하는 인덱스 재전송 절차를 정의함으로써,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 빔포밍 패턴을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른,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에 대한 빔 설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 제2 실시 예에 따른,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에 대한 빔 설정을 각각 수행하는 경우 하향링크 빔 설정에 대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 제3 실시 예에 따른,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에 대한 빔 설정을 각각 수행하는 경우 상향링크 빔 설정에 대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에 대한 빔 설정을 수행하는 단말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에 대한 빔 설정을 수행하는 단말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송수신 빔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에 대한 빔 설정을 위한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 추적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3가지 경우에 대한 빔 추적 방법을 제안한다. 제1 방법은 하향링크(downlink)와 상향링크(uplink)에 대한 빔 설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방법이다. 제2 방법은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에 대한 빔 설정을 각각 수행하는 경우 하향링크 빔 설정에 대한 방법이다. 이 경우 단말은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신 빔을 알고 있고 기지국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수신 빔을 알고 있다고 가정한다. 제3 방법은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에 대한 빔 설정을 각각 수행하는 경우 상향링크 빔 설정에 대한 방법이다. 이 경우 기지국은 P개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신 빔을 알고 있고 단말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수신 빔을 알고 있다고 가정한다.
도 1은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른,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에 대한 빔 설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100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이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수신 빔을 선택할 수 있게, 하향링크 기준신호(reference signal) 신호를 N번 반복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N = Ntx×Nrx이며, Ntx는 기지국이 빔의 방향을 변화시키며 전송하는 송신 빔의 개수를 의미하며, Nrx는 단말의 수신 빔 선택을 위해 기지국이 특정 송신 빔을 반복하여 전송하는 횟수를 나타낸다. Ntx, Nrx는 변경 가능한 시스템 정보로서 기지국이 방송 채널 등을 통해 단말들에게 알려줄 수 있다. 상기 하향링크 기준신호는 동기신호, 프리앰블신호, 파일럿신호 등 신호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서처럼, 기지국에서 K개의 송신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고, 단말에서 L개의 수신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면, 상기 기지국은 특정 시간 구간 동안 총 K*L개의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해야 한다.
한편, 상기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N번 반복하여 수신한 단말은 상기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통해 P 개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수신 빔 페어(pair)를 측정하고 선택한다. 예를 들어, 도 6a에서 상기 단말은 총 N*N개의 송수신 빔 페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수신 빔 페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도 6a에서 기지국의 송신 빔 #3과 단말의 수신 빔 #3 페어가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수신 빔 페어가 될 수 있다.
이후, 102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P개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신 빔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M번 반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신호에 대응하는 시퀀스가 하향링크 송신 빔 인덱스 정보과 매핑될 수 있다.
여기서, M = Mtx× Mrx이며, Mtx는 단말이 빔의 방향을 변화시키며 전송하는 송신 빔의 개수를 의미하며, Mrx는 기지국의 수신 빔 선택을 위해 단말이 특정 송신 빔을 반복하여 전송하는 횟수를 나타낸다. Mtx, Mrx는 변경 가능한 시스템 정보로서 기지국이 방송 채널 등을 통해 단말들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하향링크/상향링크 채널 상호관계(channel reciprocity)를 가정할 경우 Mtx는 1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상향링크 기준신호는 액세스신호, 사운딩신호, 파일럿신호 등 신호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신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6b에서처럼, 단말에서 L개의 송신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고, 기지국에서 K개의 수신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면, 상기 단말은 특정 시간 구간 동안 총 N*N개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해야 한다.
구현에 따라, 기지국의 송신 빔 패턴 개수와 수신 빔 패턴 개수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단말의 송신 빔 패턴 개수와 수신 빔 패턴 개수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은 102단계에서 상기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전송할 때, 이전에 104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이 전송한 ACK/NACK 응답을 기반으로, 상향링크 송신 빔의 방향, 폭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로 이전 상기 단말이 전송한 상향링크 기준신호에 대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ACK 응답이 올 경우, 상기 단말은 바로 이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피드백 받은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신 빔 폭보다 더 좁은 폭의 세밀한 빔(narrow beam)으로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바로 이전 상기 단말이 전송한 상향링크 기준신호에 대해 NACK 응답이 올 경우, 상기 단말은 초기 전송에서 이용되는 넓은 폭의 빔(wide beam)으로 상기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104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전송한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통해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수신 빔 페어(pair)를 측정하고 선택한다. 또한, 상기 상향링크 기준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신 빔 인덱스를 검출(detect)(sequence-based) 또는 디코딩(decoding)(message-based with CRC) 한다. 즉, 상기 상향링크 기준신호는 하향링크 송신 빔 인덱스에 해당하는 시퀀스로 구성되거나 별도의 CRC가 첨부된 메시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104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이 P개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신 빔을 성공적으로 획득하고, 또한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신 빔을 성공적으로 검출(detect or measure)한 경우, 상기 기지국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신 빔을 통해 단말에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신 빔 인덱스와 ACK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ACK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기준신호로 통해 전송된 P개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신 빔을 성공적으로 수신한 것에 대한 응답이다.
만약, 104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이 P개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신 빔 수신에 실패하고,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신 빔을 성공적으로 검출한 경우, 상기 기지국은 단말에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신 빔 인덱스와 NACK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단말에 이전에 수신한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신 빔을 기반으로 P개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신 빔 인덱스를 다시 전송하라고 명령할 수 있다.
혹은 104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이 P개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신 빔 수신에 실패하고,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신 빔 검출 또한 실패한 경우, 상기 기지국은 단말에 NACK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에 102단계를 다시 수행하라고 명령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지국 명령 없이 단말은 특정 타이머 기반으로 102단계부터 다시 수행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서, 104단계에서 ACK/NACK 전송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NACK 전송 시에, 상기 기지국은 현 시점에 상기 단말이 전송한 P개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신 빔을 알 수 없으므로, 폭이 넓은 빔(wide beam)을 이용하거나, 이전에 성공적으로 수신한 P개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신 빔을 이용할 수 있다. 하향링크/상향링크에 대한 채널 상호관계(cannel reciprocity)를 가정할 경우는, 한정적으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수신 빔을 이용하여 검출하지 못한 하향링크 송신 빔 대신 하향링크 송신 빔을 유추할 수 있다.
이후, 106단계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이 전송한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신 빔 인덱스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경우, 상기 단말은 그 값을 저장하고 갱신하여 상기 기지국에 ACK 신호를 보낸다.
만약,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이 전송한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신 빔 인덱스 수신에 실패한 경우, 상기 단말은 NACK 신호를 전송하거나(상기 단말이 실패를 인지하는 경우) 혹은 아무 신호도 보내지 않는다.
상기 NACK을 전송할 경우, 상기 단말은 현 시점에 상기 기지국이 전송한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신 빔을 알 수 없으므로, 폭이 더 넓은 빔을 이용하거나, 이전에 성공적으로 수신한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신 빔을 이용할 수 있다. 하향링크/상향링크에 대한 채널 상호관계(cannel reciprocity)를 가정할 경우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수신 빔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106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이 단말이 전송한 ACK/NACK 신호를 NACK으로 판정할 경우, 상기 기지국은 단말에 104단계부터 반복하라고 명령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 제2 실시 예에 따른,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에 대한 빔 설정을 각각 수행하는 경우 하향링크 빔 설정에 대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200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이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수신 빔을 선택할 수 있게,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N번 반복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N = Ntx×Nrx이며, Ntx는 기지국이 빔의 방향을 변화시키며 전송하는 송신 빔의 개수를 의미하며, Nrx는 단말의 수신 빔 선택을 위해 기지국이 특정 송신 빔을 반복하여 전송하는 횟수를 나타낸다. Ntx, Nrx는 변경 가능한 시스템 정보로서 기지국이 방송 채널 등을 통해 단말들에게 알려줄 수 있다. 상기 하향링크 기준신호는 동기신호, 프리앰블신호, 파일럿신호 등 신호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신호를 나타낸다.
이때, 200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통해 P 개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수신 빔 페어(pair)를 측정하고 선택한다.
이후, 202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P개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신 빔 정보를 하나 이상의 기결정된 상향링크 송신 빔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은 P개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신 빔 정보를 검출(sequence-based) 또는 디코딩(message-based with CRC)한다.
이후, 204단계에서, P개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신 빔 정보 획득에 성공한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ACK 신호를 전송한다.
만약, P개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신 빔 정보 획득에 실패한 경우, 상기 기지국은 단말에 NACK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에 P개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신 빔 정보의 재전송을 요청한다(즉, 202단계로 진행함).
다른 구현에 있어서, P개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신 빔 정보 획득에 실패한 경우, 상기 기지국은 단말에 NACK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도 1의 102단계 내지 106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에 있어서, 하기 도 3을 수행한 후 상기 도 2의 200단계 내지 204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 제3 실시 예에 따른,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에 대한 빔 설정을 각각 수행하는 경우 상향링크 빔 설정에 대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300단계에서, 단말은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M번 반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M = Mtx×Mrx이며, Mtx는 단말이 빔의 방향을 변화시키며 전송하는 송신 빔의 개수를 의미하며, Mrx는 기지국의 수신 빔 선택을 위해 단말이 특정 송신 빔을 반복하여 전송하는 횟수를 나타낸다. Mtx, Mrx는 변경 가능한 시스템 정보로서 기지국이 방송 채널 등을 통해 단말들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하향링크/상향링크의 채널 상호관계(channel reciprocity)를 가정할 경우 Mtx는 1로 설정할 수 있다. 상향링크 기준신호는 액세스신호, 사운딩신호, 파일럿신호 등 신호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신호를 나타낸다.
상기 단말은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전송할 때, 상기 도 2에서 상기 기지국이 전송하는 ACK/NACK 응답을 기반으로, 상향링크 송신 빔의 방향, 폭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 하향링크 빔 트랙킹(tracking) 과정에서(상기 도 2의 204단계) 상기 단말이 전송한 빔 인덱스 피드백 신호에 대해 ACK 응답이 수신될 경우, 상기 단말은 이전 상향링크 빔 트래킹 과정에서 기지국으로부터 피드백 받은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신 빔을 중심으로 더 적은 폭의 세밀하고 향상된 이득을 갖는 빔으로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이전 하향링크 빔 트래킹 과정에서(상기 도 2의 204단계) 상기 단말이 전송한 빔 인덱스 피드백 신호에 대해 NACK 응답이 수신될 경우, 상기 단말은 초기 전송에 이용된 넓은 폭의 빔으로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지국은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통해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수신 빔 페어(pair)를 측정하고 선택한다.
이후, 302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300단계에서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수신 빔 측정에 성공하였다면, 상기 기지국은 ACK 정보와 함께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신 빔 정보를 하나 이상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신 빔을 이용하여 기지국에 전송한다. 상기 300단계에서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수신 빔 측정에 실패하였다면(즉, 하나의 구현 예에 따르면 상향링크 기준신호의 크기가 기정의된 특정 임계값을 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NACK 정보와 함께 300단계를 다시 실행할 것을 상기 단말에 명령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서, ACK/NACK 정보 전송은 생략될 수 있다.
이후, 304단계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이 전송한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신 빔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경우, 상기 단말은 그 값을 저장하고 갱신하여 기지국에 ACK 신호를 보낸다. 만약 수신에 실패한다면, 상기 단말은 NACK 신호를 보내거나(단말이 실패를 인지하는 경우) 혹은 아무 신호도 보내지 않는다.
이때,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로부터 NACK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혹은 기지국이 NACK으로 판단하는 경우, 302단계로 진행하여 다시 수행한다.
구현에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로부터 NACK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혹은 기지국이 NACK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도 2의 200단계 내지 204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도 3의 300단계 내지 304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에 대한 빔 설정을 수행하는 단말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400단계에서, 단말은 400단계에서 N번 횟수에 걸쳐 하향링크 기준신호(reference signal) 신호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여기서, N = Ntx×Nrx이며, Ntx는 기지국이 빔의 방향을 변화시키며 전송하는 송신 빔의 개수를 의미하며, Nrx는 단말의 수신 빔 선택을 위해 기지국이 특정 송신 빔을 반복하여 전송하는 횟수를 나타낸다. Ntx, Nrx는 변경 가능한 시스템 정보로서 기지국이 방송 채널 등을 통해 단말들에게 알려줄 수 있다. 상기 하향링크 기준신호는 동기신호, 프리앰블신호, 파일럿신호 등 신호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서처럼, 기지국에서 N개의 송신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고, 단말에서 N개의 수신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면, 상기 기지국은 특정 시간 구간 동안 총 N*N개의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해야 한다.
이후, 상기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N번 반복하여 수신한 단말은 402단계에서, 상기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통해 P 개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수신 빔 페어(pair)를 측정하고 선택한다. 예를 들어, 도 6a에서 상기 단말은 총 N*N개의 송수신 빔 페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수신 빔 페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도 6a에서 기지국의 송신 빔 #3과 단말의 수신 빔 #3 페어가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수신 빔 페어가 될 수 있다.
이후, 404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P개의 최적화된 송신 빔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M번 반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신호에 대응하는 시퀀스가 송신 빔 인덱스 정보와 매핑될 수 있다. 여기서, M = Mtx× Mrx이며, Mtx는 단말이 빔의 방향을 변화시키며 전송하는 송신 빔의 개수를 의미하며, Mrx는 기지국의 수신 빔 선택을 위해 단말이 특정 송신 빔을 반복하여 전송하는 횟수를 나타낸다. Mtx, Mrx는 변경 가능한 시스템 정보로서 기지국이 방송 채널 등을 통해 단말들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하향링크/상향링크 채널 상호관계(channel reciprocity)를 가정할 경우 Mtx는 1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상향링크 기준신호는 액세스신호, 사운딩신호, 파일럿신호 등 신호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신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6b에서처럼, 단말에서 N개의 송신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고, 기지국에서 N개의 수신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면, 상기 단말은 특정 시간 구간 동안 총 N*N개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해야 한다.
구현에 따라, 기지국의 송신 빔 패턴 개수와 수신 빔 패턴 개수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단말의 송신 빔 패턴 개수와 수신 빔 패턴 개수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은 상기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전송할 때, 이전에 상기 기지국이 전송한 ACK/NACK 응답을 기반으로, 상향링크 송신 빔의 방향, 폭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로 이전 상기 단말이 전송한 상향링크 기준신호에 대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ACK 응답이 올 경우, 상기 단말은 바로 이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피드백 받은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신 빔 폭보다 더 좁은 폭의 세밀한 빔(narrow beam)으로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바로 이전 상기 단말이 전송한 상향링크 기준신호에 대해 NACK 응답이 올 경우, 상기 단말은 초기 전송에서 이용되는 넓은 폭의 빔(wide beam)으로 상기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406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상향링크 기준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신 빔 인덱스가 성공적으로 검출되고, 상기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기반으로 Q개의 상향링크 송신 빔이 성공적으로 검출될 시, 4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Q개의 상향링크 송신 빔 인덱스를 수신한다.
만약, 406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P개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신 빔 수신이 실패하고,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신 빔 검출 또한 실패한 경우, 4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은 P개의 최적화된 송신 빔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M번 반복하여 기지국으로 재전송한다.
구현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P개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신 빔 수신이 실패하고, Q개의 상향링크 송신 빔이 성공적으로 검출될 시, 이전에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신 빔을 기반으로 P개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신 빔 인덱스를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한다.
이후, 410단계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이 전송한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신 빔 인덱스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경우, 상기 단말은 412단계로 진행하여 그 값을 저장하고 갱신하여 상기 기지국에 ACK 신호를 보낸다.
만약,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이 전송한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신 빔 인덱스 수신에 실패한 경우, 408단계로 진행하여 NACK 신호를 전송하거나(상기 단말이 실패를 인지하는 경우) 혹은 아무 신호도 보내지 않는다. 이때 상기 단말은 406단계로 진행하여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신 빔 인덱스를 상기 기지국에 재요청하여 수신한다.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에 대한 빔 설정을 수행하는 기지국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500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이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수신 빔을 선택할 수 있게,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N번 반복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N = Ntx×Nrx이며, Ntx는 기지국이 빔의 방향을 빔의 방향을 변화시키며 전송하는 송신 빔의 개수를 의미하며, Nrx는 단말의 수신 빔 선택을 위해 기지국이 특정 송신 빔을 반복하여 전송하는 횟수를 나타낸다. Ntx, Nrx는 변경 가능한 시스템 정보로서 기지국이 방송 채널 등을 통해 단말들에게 알려줄 수 있다. 상기 하향링크 기준신호는 동기신호, 프리앰블신호, 파일럿신호 등 신호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서처럼, 기지국에서 N개의 송신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고, 단말에서 N개의 수신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면, 상기 기지국은 특정 시간 구간 동안 특정 시간 구간 동안 총 N*N개의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해야 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502단계에서, P개의 최적화된 송신 빔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M 횟수에 걸쳐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단말이 전송한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통해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수신 빔 페어(pair)를 측정하고 선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신호에 대응하는 시퀀스가 송신 빔 인덱스 정보과 매핑될 수 있다. 여기서, M = Mtx× Mrx이며, Mtx는 단말이 변화시키며 전송하는 송신 빔의 개수를 의미하며, Mrx는 기지국의 수신 빔 선택을 위해 단말이 특정 송신 빔을 반복하여 전송하는 횟수를 나타낸다. Mtx, Mrx는 변경 가능한 시스템 정보로서 기지국이 방송 채널 등을 통해 단말들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하향링크/상향링크 채널 상호관계(channel reciprocity)를 가정할 경우 Mtx는 1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상향링크 기준신호는 액세스신호, 사운딩신호, 파일럿신호 등 신호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신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6b에서처럼, 단말에서 N개의 송신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고, 기지국에서 N개의 수신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면, 상기 단말은 총 N*N개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해야 한다.
구현에 따라, 기지국의 송신 빔 패턴 개수와 수신 빔 패턴 개수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단말의 송신 빔 패턴 개수와 수신 빔 패턴 개수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504단계에서, P개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신 빔을 성공적으로 획득하고, 또한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신 빔을 성공적으로 검출(detect or measure)한 경우, 상기 기지국은 506단계로 진행하여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신 빔을 통해 단말에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신 빔 인덱스와 ACK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ACK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기준신호로 통해 전송된 P개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신 빔을 성공적으로 수신한 것에 대한 응답이다.
만약, 504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이 P개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신 빔 수신에 실패하고,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신 빔을 성공적으로 검출한 경우, 5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은 단말에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신 빔 인덱스와 NACK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단말에 이전에 수신한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신 빔을 기반으로 P개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신 빔 인덱스를 다시 전송하라고 명령할 수 있다.
혹은 504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이 P개의 최적화된 하향링크 송신 빔 수신에 실패하고,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신 빔 검출 또한 실패한 경우, 502단계로 진행하여 P개의 최적화된 송신 빔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M 횟수에 걸쳐 상기 단말로부터 재수신하여, 상기 단말이 전송한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통해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수신 빔 페어(pair)를 측정하고 선택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510단계에서 상기 단말이 전송한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신 빔 인덱스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경우, 본 발명의 절차를 종료한다.
만약, 상기 단말이 전송한 Q개의 최적화된 상향링크 송신 빔 인덱스 수신에 실패한 경우, 506단계로 진행하여 Q개의 상향링크 송신 빔 인덱스를 상기 단말로 재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에 대한 빔 설정을 위한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단말은 제어부(700), 수신부(702) 및 송신부(70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마찬가지로, 기지국도 제어부(710), 수신부(714) 및 송신부(7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신부(700, 714)는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신호를 기저대역 신호처리한다.
예를 들어, OFDM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아날로그 신호를 샘플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샘플데이터를 FFT(Fast Fourier Transform)하여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에서 실제 수신하고자 하는 부반송파들의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변조수준(MCS레벨)에 따라 복조(demodulation) 및 복호(decoding)하여 제어부(700, 710)로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예로, CDAM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수신부(700, 714)는 데이터를 채널디코딩(channel decoding) 및 역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704, 712)는 기저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송신부(804, 814)는 상기 제어부(800, 810)로부터의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변조수준(MCS레벨)에 따라 부호 및 변조한다. 그리고, 변조된 심볼에 대해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하여 샘플데이터(OFDM심볼)를 출력하고, 상기 샘플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송신부(704, 712)는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700, 710)는 프로토콜 제어부로서, 상기 제어부(700)는 전반적인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710)는 전반적인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 710)는 프로토콜 처리 수행중 필요한 정보를 물리계층의 해당 구성부로 제공받거나, 물리계층의 해당 구성부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에 더하여, 상기 제어부(700, 710)는 빔 추적 및 송수신 빔포밍 패턴을 결정한다. 즉, 상기 제어부(700, 710)는 도 1 내지 도 3에 설명된 단말 및 기지국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1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의 상기 제어부(700)는 기지국으로부터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 및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상기 기지국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지시하는 ACK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단말의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성공적으로 검출할 경우, ACK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성공적으로 검출하지 못할 경우, NACK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만약,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성공적으로 검출하고,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상기 기지국에서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했음을 지시하는 NACK 정보를 수신할 시, 이전 다수의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재수신한다.
한편,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성공적으로 검출하지 못하고,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상기 기지국에서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했음을 지시하는 NACK 정보를 수신할 시,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 및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상기 기지국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지시하는 ACK 정보를 재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상기 기지국에서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했음을 지시하는 NACK 정보를 수신할 시, 상기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은 넓은 빔 패턴이 이용되거나 이전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이용한다.
제1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의 상기 제어부(710)는 단말로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기반으로 결정된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지시하는 ACK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의 상기 제어부(710)는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성공적으로 검출될 경우, ACK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성공적으로 검출하지 못할 경우, NACK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다.
한편, 상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성공적으로 검출하고,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했음을 지시하는 NACK 정보를 전송할 시, 이전 다수의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를 상기 단말에 재전송한다.
만약,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성공적으로 검출하지 못하고,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했음을 지시하는 NACK 정보를 전송할 시,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재수신하고,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 및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지시하는 ACK 정보를 다시 상기 단말로 재전송한다.
이때,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했음을 지시하는 NACK 정보를 수신할 시, 상기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은 넓은 빔 패턴이 이용되거나 이전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이용한다.
제2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의 상기 제어부(700)는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 및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수신 빔 패턴을 결정하고, 기지국으로부터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가 성공적으로 수신될 시, ACK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을 시, 상기 결정된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한다.
만약,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을 시,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 수신 여부에 따라 ACK 혹은 NACK를 전송한다.
제2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의 상기 제어부(710)는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 및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수신 빔 패턴을 결정하고, 단말로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성공적으로 수신될 시, ACK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한다.
제3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의 상기 제어부(700)는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 및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수신 빔 패턴을 결정하고,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 수신 여부에 따라 ACK 혹은 NACK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가 성공적으로 검출되지 않을 시,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기지국으로 재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재수신한다.
만약,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가 성공적으로 검출되지 않을 시, 기지국으로부터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수신한다.
제3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의 상기 제어부(710)는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 및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수신 빔 패턴을 결정하고,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 수신 여부에 따라 ACK 혹은 NACK를 수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하향링크 기준신호 전송단계, 102: 상향링크 기준신호 전송단계, 104: 상향링크 송신 빔 인덱스 전송단계, 106: 상향링크 송신 빔 인덱스 전송에 대한 응답단계.

Claims (52)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빔추적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 및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상기 기지국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지시하는 ACK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성공적으로 검출할 경우, ACK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성공적으로 검출하지 못할 경우, NACK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성공적으로 검출하고,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상기 기지국에서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했음을 지시하는 NACK 정보를 수신할 시, 이전 다수의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재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성공적으로 검출하지 못하고,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상기 기지국에서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했음을 지시하는 NACK 정보를 수신할 시,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 및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상기 기지국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지시하는 ACK 정보를 재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 및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상기 기지국에서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했음을 지시하는 NACK 정보를 수신할 시, 상기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은 넓은 빔 패턴이 이용되거나 이전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기준신호는 기지국의 최대 송신 빔 패턴 개수와 단말의 최대 수신 패턴 개수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의 송신 빔 패턴과 상기 단말의 수신 빔 패턴이 각각 적용되어 정수 N번 수신되며,
    상기 정수 N은 상기 기지국의 최대 송신 빔 패턴 개수×상기 단말의 최대 수신 패턴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기준신호는 단말의 최대 송신 빔 패턴 개수와 기지국의 최대 수신 패턴 개수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송신 빔 패턴과 상기 기지국의 수신 빔 패턴이 각각 적용되어 정수 M번 송신되며,
    상기 정수 M은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빔 패턴 개수×상기 기지국의 최대 수신 패턴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기준신호는 동기신호, 프리앰블신호, 파일럿신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기준신호는 액세스신호, 사운딩신호, 파일럿신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빔추적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기반으로 결정된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지시하는 ACK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성공적으로 검출될 경우, ACK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성공적으로 검출하지 못할 경우, NACK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성공적으로 검출하고,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했음을 지시하는 NACK 정보를 전송할 시, 이전 다수의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를 상기 단말에 재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성공적으로 검출하지 못하고,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했음을 지시하는 NACK 정보를 전송할 시,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재수신하는 과정과,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 및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지시하는 ACK 정보를 다시 상기 단말로 재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2항 및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했음을 지시하는 NACK 정보를 수신할 시, 상기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은 넓은 빔 패턴이 이용되거나 이전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기준신호는 기지국의 최대 송신 빔 패턴 개수와 단말의 최대 수신 패턴 개수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의 송신 빔 패턴과 상기 단말의 수신 빔 패턴이 각각 적용되어 정수 N번 수신되며,
    상기 정수 N은 상기 기지국의 최대 송신 빔 패턴 개수×상기 단말의 최대 수신 패턴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기준신호는 단말의 최대 송신 빔 패턴 개수와 기지국의 최대 수신 패턴 개수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송신 빔 패턴과 상기 기지국의 수신 빔 패턴이 각각 적용되어 정수 M번 송신되며,
    상기 정수 M은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빔 패턴 개수×상기 기지국의 최대 수신 패턴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기준신호는 동기신호, 프리앰블신호, 파일럿신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기준신호는 액세스신호, 사운딩신호, 파일럿신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빔추적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 및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수신 빔 패턴을 결정하는 과정과,
    기지국으로부터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가 성공적으로 수신될 시, ACK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을 시,
    상기 결정된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을 시,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 수신 여부에 따라 ACK 혹은 NACK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빔추적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 및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수신 빔 패턴을 결정하는 과정과,
    단말로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성공적으로 수신될 시, ACK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빔추적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 및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수신 빔 패턴을 결정하는 과정과,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 수신 여부에 따라 ACK 혹은 NACK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가 성공적으로 검출되지 않을 시,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기지국으로 재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재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가 성공적으로 검출되지 않을 시,
    기지국으로부터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빔추적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 및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수신 빔 패턴을 결정하는 과정과,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 수신 여부에 따라 ACK 혹은 NACK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빔추적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신부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 및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상기 기지국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지시하는 ACK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성공적으로 검출할 경우, ACK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성공적으로 검출하지 못할 경우, NACK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성공적으로 검출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상기 기지국에서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했음을 지시하는 NACK 정보를 수신할 시, 이전 다수의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재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성공적으로 검출하지 못하고,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상기 기지국에서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했음을 지시하는 NACK 정보를 수신할 시,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 및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상기 기지국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지시하는 ACK 정보를 재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29항 및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상기 기지국에서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했음을 지시하는 NACK 정보를 수신할 시, 상기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은 넓은 빔 패턴이 이용되거나 이전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기준신호는 기지국의 최대 송신 빔 패턴 개수와 단말의 최대 수신 패턴 개수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의 송신 빔 패턴과 상기 단말의 수신 빔 패턴이 각각 적용되어 정수 N번 수신되며,
    상기 정수 N은 상기 기지국의 최대 송신 빔 패턴 개수×상기 단말의 최대 수신 패턴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기준신호는 단말의 최대 송신 빔 패턴 개수와 기지국의 최대 수신 패턴 개수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송신 빔 패턴과 상기 기지국의 수신 빔 패턴이 각각 적용되어 정수 M번 송신되며,
    상기 정수 M은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빔 패턴 개수×상기 기지국의 최대 수신 패턴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기준신호는 동기신호, 프리앰블신호, 파일럿신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기준신호는 액세스신호, 사운딩신호, 파일럿신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빔추적 장치에 있어서,
    단말로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기반으로 결정된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지시하는 ACK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성공적으로 검출될 경우, ACK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성공적으로 검출하지 못할 경우, NACK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성공적으로 검출하고,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했음을 지시하는 NACK 정보를 전송할 시, 이전 다수의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를 상기 단말에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성공적으로 검출하지 못하고,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했음을 지시하는 NACK 정보를 전송할 시,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재수신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 및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지시하는 ACK 정보를 다시 상기 단말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0. 제38항 및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했음을 지시하는 NACK 정보를 수신할 시, 상기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은 넓은 빔 패턴이 이용되거나 이전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1.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기준신호는 기지국의 최대 송신 빔 패턴 개수와 단말의 최대 수신 패턴 개수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의 송신 빔 패턴과 상기 단말의 수신 빔 패턴이 각각 적용되어 정수 N번 수신되며,
    상기 정수 N은 상기 기지국의 최대 송신 빔 패턴 개수×상기 단말의 최대 수신 패턴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2.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기준신호는 단말의 최대 송신 빔 패턴 개수와 기지국의 최대 수신 패턴 개수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송신 빔 패턴과 상기 기지국의 수신 빔 패턴이 각각 적용되어 정수 M번 송신되며,
    상기 정수 M은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빔 패턴 개수×상기 기지국의 최대 수신 패턴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3.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기준신호는 동기신호, 프리앰블신호, 파일럿신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4.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기준신호는 액세스신호, 사운딩신호, 파일럿신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5.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빔추적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 및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수신 빔 패턴을 결정하고,
    기지국으로부터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결정된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신부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가 성공적으로 수신될 시, ACK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을 시,
    상기 결정된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을 시,
    상기 송신부는,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 수신 여부에 따라 ACK 혹은 NACK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8.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빔추적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 및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수신 빔 패턴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단말로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가 성공적으로 수신될 시, ACK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빔추적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 및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수신 빔 패턴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신부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 수신 여부에 따라 ACK 혹은 NACK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가 성공적으로 검출되지 않을 시, 상기 송신부는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기지국으로 재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재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1.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가 성공적으로 검출되지 않을 시,
    상기 제어부는 기지국으로부터 다수의 하향링크 기준신호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2.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빔추적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송신 빔 패턴 및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수신 빔 패턴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다수의 상향링크 기준신호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상향링크 송신 빔 패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 수신 여부에 따라 ACK 혹은 NACK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10080062A 2011-08-11 2011-08-1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KR101800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062A KR101800221B1 (ko) 2011-08-11 2011-08-1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US13/569,550 US9450661B2 (en) 2011-08-11 2012-08-08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track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2844374A CA2844374C (en) 2011-08-11 2012-08-09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bea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2822268.4A EP2742603B1 (en) 2011-08-11 2012-08-09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bea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280050007.3A CN103875190B (zh) 2011-08-11 2012-08-09 在无线通信系统中跟踪波束的方法和装置
AU2012295039A AU2012295039B2 (en) 2011-08-11 2012-08-09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bea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2/006351 WO2013022292A2 (en) 2011-08-11 2012-08-09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bea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4524937A JP6185467B2 (ja) 2011-08-11 2012-08-09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ビーム追跡方法及び装置
US15/262,796 US20170005711A1 (en) 2011-08-11 2016-09-12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bea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5/491,396 US10148331B2 (en) 2011-08-11 2017-04-19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bea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7092599A JP6431952B2 (ja) 2011-08-11 2017-05-08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ビーム追跡方法及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062A KR101800221B1 (ko) 2011-08-11 2011-08-1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562A true KR20130017562A (ko) 2013-02-20
KR101800221B1 KR101800221B1 (ko) 2017-11-22

Family

ID=47669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062A KR101800221B1 (ko) 2011-08-11 2011-08-1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9450661B2 (ko)
EP (1) EP2742603B1 (ko)
JP (2) JP6185467B2 (ko)
KR (1) KR101800221B1 (ko)
CN (1) CN103875190B (ko)
AU (1) AU2012295039B2 (ko)
CA (1) CA2844374C (ko)
WO (1) WO2013022292A2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6116A (ko) * 2014-01-17 2015-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기를 이용한 동기화 방법 및 장치
KR20150105710A (ko) * 2014-03-10 2015-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결정 장치 및 방법
KR20150116183A (ko) * 2014-04-07 2015-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 기반 셀룰러 시스템의 상향링크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KR20160007062A (ko) * 2014-07-10 2016-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포밍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25751A (ko) * 2014-08-28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170023839A (ko) * 2014-06-27 2017-03-0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빔트래킹에 기초한 파티션 스케줄링
KR20170049132A (ko) * 2015-10-28 2017-05-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장치 및 단말장치, 그리고 트래픽 전송 방법
KR20190018712A (ko) * 2016-06-17 2019-02-25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대규모 mimo 시스템을 위한 강화된 업링크 빔 선택
CN109565805A (zh) * 2016-08-12 2019-04-02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波束形成系统中的波束管理
KR20190073533A (ko) * 2016-11-04 2019-06-26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빔 추적 프로세스 관리 및 인덱스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32427A (ko) * 2017-03-17 2019-11-27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업링크 송신빔 확정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847B1 (ko) * 2012-02-21 2018-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49772B1 (ko) * 2013-01-15 2019-11-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빔포밍 시스템에서 신호 측정 방법 및 장치
EP2949055A1 (en) * 2013-01-25 2015-12-0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vertical beamforming
US9392639B2 (en) * 2013-02-27 2016-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channel sounding in beamformed massive MIMO systems
KR102085003B1 (ko) * 2013-04-30 2020-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 시스템에서 최적의 송수신 빔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5379332B (zh) 2013-07-23 2019-04-19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装置
KR102071372B1 (ko) * 2013-09-16 2020-0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포밍을 고려한 drx 제어 방법 및 장치
EP3046269B1 (en) * 2013-09-27 2018-09-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CN104661321A (zh) * 2013-11-15 2015-05-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通信链路管理方法、设备和系统
CN104734761A (zh) * 2013-12-20 2015-06-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上下行波束混合指示的方法、基站、终端和系统
CN104734760A (zh) * 2013-12-20 2015-06-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下行波束索引处理的方法、装置和系统
CN104734763A (zh) * 2013-12-20 2015-06-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指示和接收上行波束索引的方法、系统及装置
CN104735685B (zh) * 2013-12-20 2019-04-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和系统
JP2015165640A (ja) * 2014-02-07 2015-09-17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基地局、及び通信方法
JP7200155B2 (ja) * 2014-02-07 2023-01-06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信号送信方法、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6121931B2 (ja) * 2014-03-20 2017-04-26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ユーザ装置
JP6572305B2 (ja) * 2014-09-30 2019-09-04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ワイヤレス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信号を受信し及び送信するための、アクセスノード及びビーム形成方法
WO2016086144A1 (en) * 2014-11-26 2016-06-0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Initial access in high frequency wireless systems
CN107005377B (zh) * 2014-12-17 2020-11-10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发送移动性信号的方法和相关网络节点及无线设备
FR3033464B1 (fr) * 2015-03-03 2017-03-31 Sigfox Procedes d'emission de donnees entre un terminal et un reseau d'acces synchronise en frequences sur un message montant dudit terminal
WO2016186425A1 (ko) * 2015-05-18 201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커버리지를 고려하여 반복 패턴에 따라 상향링크 참조 신호를 설계하는 방법 및 장치
JP6596580B2 (ja) * 2015-05-30 2019-10-23 華為技術有限公司 通信方法、基地局およびユーザ機器
WO2017000985A1 (en) * 2015-06-30 2017-01-05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ontrol signaling
EP3806379A1 (en) 2015-07-08 2021-04-14 Apple Inc. User equipment (ue)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using directio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RU2717961C2 (ru) * 2015-10-06 2020-03-27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WO2017105299A1 (en) * 2015-12-14 2017-06-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pilot sequence allocation
US20170230869A1 (en) * 2016-02-10 2017-08-10 Qualcomm Incorporated Beam selection for uplink and downlink based mobility
US10284315B2 (en) 2016-03-24 2019-05-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figuration and reporting of mobility measurements
US11088747B2 (en) * 2016-04-13 2021-08-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beam management
US10425200B2 (en) 2016-04-13 2019-09-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beam adjustment request
US10615862B2 (en) 2016-04-13 2020-04-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beam adjustment request
US10687335B2 (en) 2016-06-10 2020-06-16 Qualcomm Incorporated Informing base station regarding user equipment's reception of beam change instruction
US10855342B2 (en) * 2016-06-24 2020-12-01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UE beam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7567038B (zh) 2016-07-01 2021-04-27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中当服务波束为无效时管理通信的方法和设备
WO2018012887A1 (ko) 2016-07-13 2018-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빔을 이용한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014192A1 (en) * 2016-07-19 2018-01-25 Nec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JP6891419B2 (ja) 2016-07-29 2021-06-18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方法及び記録媒体
EP3282776B1 (en) * 2016-08-10 2020-04-29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athloss derivation for beam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7889220B (zh) * 2016-09-29 2022-01-28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基站和终端设备
WO2018059711A1 (en) 2016-09-30 2018-04-0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ontrol of transmission of mobility reference signals
CN107888259B (zh) * 2016-09-30 2021-07-0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天线波束管理方法及相关设备
US9942886B1 (en) * 2016-10-07 2018-04-10 Qualcomm Incorporated Variable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signaling and transmission
WO2018084331A1 (ko) * 2016-11-02 2018-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Rrc 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US10849134B2 (en) 2016-11-04 2020-11-24 Qualcomm Incorporated Indicating a range of beam correspondence in a wireless node
US10284278B2 (en) * 2016-11-04 2019-05-07 Qualcomm Incorporated Beam management for various levels of beam correspondence
WO2018082017A1 (en) * 2016-11-04 2018-05-11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procedure in nr system with beamforming
US10582397B2 (en) * 2016-11-09 2020-03-03 Qualcomm Incorporated Beam refinement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s during control symbol
EP3557937B1 (en) 2016-12-21 2020-09-3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IL267721B2 (en) * 2016-12-30 2023-03-0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A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 network device and a terminal device
WO2018120101A1 (zh) * 2016-12-30 2018-07-0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信息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US10859713B2 (en) 2017-01-04 2020-12-08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window extension for GNSS and visual-inertial-odometry (VIO) fusion
CN108366423B (zh) 2017-01-26 2021-01-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配置资源指示方法及装置
US10194442B2 (en) * 2017-02-10 2019-01-29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resources for beam recovery
US10779273B2 (en) 2017-03-10 2020-09-15 Qualcomm Incorporated NR uplink transmit beam selection based on PDCCH/PDSCH receive beams
JP7022762B2 (ja) * 2017-03-23 2022-02-18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基地局、無線通信方法およびシステム
TWI618374B (zh) * 2017-04-21 2018-03-11 國立臺灣大學 束波成型索引空間調變的方法
WO2018223426A1 (zh) * 2017-06-09 2018-12-13 华为技术有限公司 波束失败报告发送方法、接收方法、用户设备和网络设备
CN116113056A (zh) * 2017-06-16 2023-05-12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US11419173B2 (en) 2017-08-09 2022-08-16 Idac Holding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beam recovery and management
CN109391409B (zh) * 2017-08-10 2020-11-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波束失败恢复方法和用户终端
US20200244337A1 (en) * 2017-09-27 2020-07-30 Nec Corpor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processing and transmitting beam tracking request
US10212690B1 (en) * 2017-10-16 2019-02-19 Verizon Patenting and Licensing Inc. Mobility management entity support of user equipment using extended discontinuous reception and power saving mode
KR20200123461A (ko) * 2018-06-21 2020-10-29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Bwp 전환 방법 및 장치, 단말 장치
WO2020014833A1 (en) * 2018-07-16 2020-01-23 Nec Corporation Beam failure recovery
EP3629506A1 (en) * 2018-09-27 2020-04-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involved in the transmission of data
CN112771791B (zh) * 2018-09-28 2024-03-15 索尼集团公司 指示用户设备(ue)极化跟踪能力
KR20200046483A (ko) * 2018-10-24 2020-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EP4091374A1 (en) * 2020-01-15 2022-11-23 AST & Science, LLC System with modulated signal to compensate frequency errors in lte signals
JP2023512811A (ja) * 2020-02-06 2023-03-29 華為技術有限公司 シンボル配列を成形するための通信デバイス
WO2021190750A1 (en) 2020-03-26 2021-09-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beam tracking for efficient and reliable mmwave communication among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7037A (en) * 1996-02-26 1999-11-16 Lucent Technologies Inc. Multiple beam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WO2000027139A1 (en) 1998-10-30 2000-05-11 Motorola Inc. Method and point-to-multipoint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optimized communication vectors
US7302238B2 (en) 2003-04-25 2007-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t diversity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7630688B2 (en) 2004-03-31 2009-12-0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itigation of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to WTRU interference using multiple antennas or beams
JP4663369B2 (ja) 2004-05-20 2011-04-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基地局装置及び端末装置
US8116262B2 (en) * 2004-06-22 2012-02-14 Rockstar Bidco Lp Methods and systems for enabling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8280443B2 (en) 2004-07-30 2012-10-02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WLAN access point with extended coverage area
RU2007126640A (ru) * 2005-01-12 2009-01-20 Самсунг Эллекроникс Ко., Лтд. (Kr)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онных данных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7420508B2 (en) * 2006-02-14 2008-09-02 The Aerospace Corporation Higher-order intermodulation reduction using phase and angle smearing
JP4776685B2 (ja) * 2006-07-07 2011-09-21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EP2045944A1 (en) * 2006-07-24 2009-04-08 Panasonic Corporation Reception device, transmiss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7702029B2 (en) * 2006-10-02 2010-04-20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IMO precoding enabling spatial multiplexing, power allocation and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JP4806449B2 (ja) * 2006-10-24 2011-11-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CN101652936B (zh) 2007-03-30 2013-05-0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无线电通信系统、无线电通信装置以及无线电通信方法
CN101359952B (zh) * 2007-07-30 2012-04-18 华为技术有限公司 时分双工模式下多输入多输出系统通信方法及设备
JP5158979B2 (ja) * 2007-11-22 2013-03-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US8588321B2 (en) * 2007-12-25 2013-11-19 Panasoni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8351521B2 (en) 2008-03-17 2013-01-08 Qualcomm Incorporated Multi-resolution beamforming based on codebooks in MIMO systems
JP5385392B2 (ja) 2008-08-26 2014-01-08 マーベル ワールド トレード リミテッド セクタスイーピングによるビーム形成
KR101481591B1 (ko) 2008-12-03 2015-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안테나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기준 신호 전송 및 수신 방법
EP2211483B1 (en) 2009-01-23 2016-05-25 Sony Corporation Iterative beam selection method with receiver and transmitter diversity
JP5434137B2 (ja) * 2009-02-26 2014-03-05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通信システム、並びに情報処理装置
JP2010212804A (ja) 2009-03-06 2010-09-24 Sony Corp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並びに通信システム
TWI535194B (zh) * 2009-04-13 2016-05-21 凡爾賽特公司 前置選擇器放大器
US8140024B2 (en) * 2009-06-29 2012-03-20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Fast convergence to optimal beam patterns
US8982796B2 (en) * 2010-06-22 2015-03-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precoding information for uplink multi-antenna transmission
EP2815519B1 (en) * 2012-02-17 2018-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control channels for beamforming-based wireless communication
JP5853764B2 (ja) * 2012-02-28 2016-02-09 富士通株式会社 無線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9439174B2 (en) * 2012-03-27 2016-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beam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30286960A1 (en) * 2012-04-30 2013-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channel beam management in a wireless system with a large number of antennas
US9750003B2 (en) * 2012-12-21 2017-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channel by beam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6116A (ko) * 2014-01-17 2015-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기를 이용한 동기화 방법 및 장치
KR20150105710A (ko) * 2014-03-10 2015-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결정 장치 및 방법
KR20150116183A (ko) * 2014-04-07 2015-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 기반 셀룰러 시스템의 상향링크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KR20170023839A (ko) * 2014-06-27 2017-03-0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빔트래킹에 기초한 파티션 스케줄링
US11246040B2 (en) 2014-07-10 2022-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beamforming scheme
KR20160007062A (ko) * 2014-07-10 2016-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포밍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25751A (ko) * 2014-08-28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170049132A (ko) * 2015-10-28 2017-05-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장치 및 단말장치, 그리고 트래픽 전송 방법
KR20190018712A (ko) * 2016-06-17 2019-02-25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대규모 mimo 시스템을 위한 강화된 업링크 빔 선택
CN109565805A (zh) * 2016-08-12 2019-04-02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波束形成系统中的波束管理
CN109565805B (zh) * 2016-08-12 2023-08-25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波束形成系统中的波束管理方法与用户设备
KR20190073533A (ko) * 2016-11-04 2019-06-26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빔 추적 프로세스 관리 및 인덱스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32427A (ko) * 2017-03-17 2019-11-27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업링크 송신빔 확정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85467B2 (ja) 2017-08-23
WO2013022292A3 (en) 2013-05-02
JP2017169220A (ja) 2017-09-21
AU2012295039A1 (en) 2014-02-20
CN103875190B (zh) 2018-06-05
CA2844374A1 (en) 2013-02-14
KR101800221B1 (ko) 2017-11-22
EP2742603A4 (en) 2015-04-29
US20170005711A1 (en) 2017-01-05
US20130040684A1 (en) 2013-02-14
CA2844374C (en) 2023-04-11
EP2742603B1 (en) 2022-02-16
US9450661B2 (en) 2016-09-20
US20170230093A1 (en) 2017-08-10
CN103875190A (zh) 2014-06-18
JP2014529213A (ja) 2014-10-30
EP2742603A2 (en) 2014-06-18
JP6431952B2 (ja) 2018-11-28
AU2012295039B2 (en) 2016-06-23
WO2013022292A2 (en) 2013-02-14
US10148331B2 (en) 201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195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ビーム追跡方法及び装置
KR101980101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빔 할당 장치 및 방법
KR101966724B1 (ko) 빔 포밍 기반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빔을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4029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정보 송신 방법 및 장치
KR102144986B1 (ko) 다수의 안테나들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770812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hysical layer beam indications
KR20220044682A (ko) 빔 실패 회복 장치 및 방법
KR20160007062A (ko) 빔 포밍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시스템
US20220029753A1 (en) Multiplex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priority values
CN116264858A (zh) 通信系统中的harq-ack信息禁用
US20210345411A1 (en) PRACH Detection in a Radio Access Network
US11425577B2 (en) Handling of BS-to-BS interference in radio access networks
CN101754361A (zh) 一种多小区联合传输的方法、系统及装置
US202202556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harq in a non-terrestrial network
US202303445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ink and uplink carrier-phase reporting
US12003316B2 (en) Reference signaling for radio access networks
EP4305769A1 (en) Signal blockage mitigation techniqu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WO2022250887A1 (en) Maximum permissible exposure (mpe) and grating lobes in wide bandwidth ope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