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3839A - 빔트래킹에 기초한 파티션 스케줄링 - Google Patents

빔트래킹에 기초한 파티션 스케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3839A
KR20170023839A KR1020167035815A KR20167035815A KR20170023839A KR 20170023839 A KR20170023839 A KR 20170023839A KR 1020167035815 A KR1020167035815 A KR 1020167035815A KR 20167035815 A KR20167035815 A KR 20167035815A KR 20170023839 A KR20170023839 A KR 20170023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s
channel
data
determining
communi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5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8537B1 (ko
Inventor
전량 장
순다르 수브라마니안
애시윈 삼파스
준이 리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23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3Auxiliary parameters, e.g. power control [PCB] or not acknowledged commands [NACK], used as feedback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8Transmission or re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copy of acknowledgement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장치는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채널들의 제 1 세트를 결정한다. 제 1 세트에서의 각각의 채널은 다른 장치와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결정된다. 장치는 또한, 제 1 세트로부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고, 여기서 제 2 세트의 채널들은 임계치보다 큰 채널 조건을 갖는다. 장치는 제 2 세트를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고, 여기서 데이터가 통신되는 제 2 세트의 채널은 제 2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채널 조건에 기초한다.

Description

빔트래킹에 기초한 파티션 스케줄링{PARTITION SCHEDULING BASED ON BEAMTRACKING}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4년 6월 27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PARTITION SCHEDULING BASED ON BEAMTRACKING" 인 미국 특허출원 제14/318,431호의 이익을 주장하고, 그 전부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분명히 통합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응하는 채널 조건들에 기초하여 다수의 방향 (multiple direction) 들을 따라 빔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주기를 적응적으로 조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텔레포니,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및 브로드캐스트들과 같은 다양한 전기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널리 전개된다. 통상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리소스들 (예를 들어, 대역폭, 송신 전력) 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한 다중-액세스 기술들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중-액세스 기술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 시스템들,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 (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MA) 시스템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OFDMA) 시스템들, 단일-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SC-FDMA) 시스템들, 및 시간 분할 동기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TD-SCDMA)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이들 다중 액세스 기술들은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지방 자치체, 국가, 지방, 및 심지어 글로벌 레벨에서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공통 프로토콜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전기통신 표준들에서 채택되어 왔다. 부상하는 전기통신 표준의 일 예는 롱 텀 에볼루션 (LTE) 이다. LTE 는 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3GPP) 에 의해 공표된 범용 모바일 전기통신 시스템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모바일 표준에 대한 향상들의 세트이다. LTE 는 스펙트럼 효율을 개선시키고, 비용들을 낮추고, 서비스들을 개선시키고, 새로운 스펙트럼을 이용하고, 그리고 다운링크 (DL) 상에서 OFDMA, 업링크 (UL) 상에서 SC-FDMA, 그리고 다중-입력 다중-출력 (MIMO) 안테나 기술을 이용하여 다른 개방 표준들과 더 잘 통합함으로써 모바일 브로드밴드 인터넷 액세스를 더 잘 지원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모바일 브로드밴드 액세스에 대한 요구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LTE 기술에 있어서 추가 개선들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가급적이면, 이들 개선들은 다른 멀티-액세스 기술들 및 이들 기술들을 채용하는 전기통신 표준들에 적용가능해야 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채널들의 제 1 세트를 결정한다. 제 1 세트에서의 각각의 채널은 다른 장치와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결정된다. 장치는 또한, 제 1 세트로부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고, 여기서 제 2 세트의 채널들은 임계치보다 큰 채널 조건을 갖는다. 장치는 제 2 세트를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고, 여기서 데이터가 통신되는 제 2 세트의 채널은 제 2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채널 조건에 기초한다.
도 1 은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일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 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일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3 은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진화된 노드 B 및 사용자 장비의 일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4a 내지 도 4c 는 LTE 시스템과 함께 이용된 mmW 시스템의 예시적인 전개들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들이다.
도 5a 및 도 5b 는 접속 포인트와 UE 간의 빔형성된 신호들의 송신의 일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들이다.
도 6a 는 전통적인 빔트래킹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6b 는 데이터 송신 주기의 파티셔닝을 적응적으로 조정하는 일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7 은 무선 통신의 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8 은 무선 통신의 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9 는 예시적인 장치에서의 상이한 모듈들/수단/컴포넌트들 간의 데이터 플로우를 예시하는 데이터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도 10 은 프로세싱 시스템을 채용하는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일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1 은 예시적인 장치에서의 상이한 모듈들/수단/컴포넌트들 간의 데이터 플로우를 예시하는 데이터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도 12 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채용하는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일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이하 기재된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구성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되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개념들이 실시될 수도 있는 유일한 구성들을 나타내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개념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는 목적을 위해 특정 상세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개념들이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도 실시될 수도 있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일부 인스턴스들에서는, 잘 알려진 구조들 및 컴포넌트들은 이러한 개념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도시된다.
전기통신 시스템들의 여러 양태들은 이제 다양한 장치 및 방법들을 참조하여 제시될 것이다. 이들 장치 및 방법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고 첨부한 도면들에 다양한 블록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회로들, 단계들, 프로세스들, 알고리즘들 등 (일괄하여 "엘리먼트들" 로 지칭됨) 에 의해 예시될 것이다. 이들 엘리먼트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엘리먼트들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 및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한다.
일 예로,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의 임의의 부분, 또는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조합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 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들의 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DSP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들 (FPGA들),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들 (PLD들), 상태 머신들, 게이티드 로직, 이산 하드웨어 회로들, 및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른 적합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시스템에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 또는 다른 것으로 지칭되든 간에, 명령들, 명령 세트들,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들, 서브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패키지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오브젝트들, 실행가능물들, 실행 스레드들, 프로시저들, 함수들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그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그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 또는 인코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컴퓨터 저장 매체들을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들일 수도 있다. 제한이 아닌 일 예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판독 전용 메모리 (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ROM (EEPROM), 콤팩트 디스크 ROM (CD-ROM) 또는 다른 광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반송 또는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조합들이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도 1 은 네트워크 아키텍처 (예를 들어, LTE 네트워크 아키텍처) (100) 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네트워크 아키텍처 (100) 는 진화된 패킷 시스템 (Evolved Packet System; EPS) (100) 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EPS (100) 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 (UE) (102), 진화된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104), 진화된 패킷 코어 (Evolved Packet Core; EPC) (110), 및 오퍼레이터의 인터넷 프로토콜 (IP) 서비스들 (122) 을 포함할 수도 있다. EPS 는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들과 상호접속할 수 있지만, 단순성을 위해 그 엔티티들/인터페이스들은 도시되지 않는다. 도시한 바와 같이, EPS 는 패킷-스위칭된 서비스들을 제공하지만, 당업자들이 용이하게 인식할 바와 같이,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제시된 다양한 개념들은 회로-스위칭된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네트워크들로 확장될 수도 있다.
E-UTRAN 은 진화된 노드 B (eNB) (106) 및 다른 eNB들 (108) 을 포함하고, MCE (Multicast Coordination Entity) (128) 를 포함할 수도 있다. eNB (106) 는 UE (102) 를 향한 사용자 및 제어 평면들 프로토콜 종단들을 제공한다. eNB (106) 는 백홀 (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 을 통해 다른 eNB들 (108) 에 접속될 수도 있다. MCE (128) 는 진화된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MBMS) (eMBMS) 에 대해 시간/주파수 무선 리소스들을 할당하고, eMBMS 에 대한 무선 구성 (예를 들어, 변조 및 코딩 스킴 (MCS)) 을 결정한다. MCE (128) 는 eNB (106) 의 별도의 엔티티 또는 일부일 수도 있다. eNB (106) 는 또한, 기지국, 노드 B,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 트랜시버, 무선 기지국, 무선 트랜시버, 트랜시버 기능부, 기본 서비스 세트 (BSS), 확장 서비스 세트 (ESS), 또는 일부 다른 적합한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eNB (106) 는 UE (102) 에 대해 EPC (110) 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한다. UE들 (102) 의 예들은 셀룰러 폰, 스마트 폰, 세션 개시 프로토콜 (SIP) 폰, 랩톱,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PDA), 위성 라디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비디오 디바이스,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카메라, 게임 콘솔, 태블릿, 또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기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UE (102) 는 또한, 당업자들에 의해 이동국,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기, 모바일 단말기, 무선 단말기, 원격 단말기, 핸드셋,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일부 다른 적합한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eNB (106) 는 EPC (110) 에 접속된다. EPC (110) 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112), 홈 가입자 서버 (Home Subscriber Server; HSS) (120), 다른 MME들 (114), 서빙 게이트웨이 (116),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MBMS) 게이트웨이 (124),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센터 (BM-SC) (126),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Packet Data Network; PDN) 게이트웨이 (118) 를 포함할 수도 있다. MME (112) 는 UE (102) 와 EPC (110) 간의 시그널링을 프로세싱하는 제어 노드이다. 일반적으로, MME (112) 는 베어러 및 접속 관리를 제공한다. 모든 사용자 IP 패킷들은 서빙 게이트웨이 (116) 를 통해 전송되고, 서빙 게이트웨이 (116) 자체는 PDN 게이트웨이 (118) 에 접속된다. PDN 게이트웨이 (118) 는 UE IP 어드레스 할당 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들을 제공한다. PDN 게이트웨이 (118) 및 BM-SC (126) 는 IP 서비스들 (122) 에 접속된다. IP 서비스들 (122) 은 인터넷, 인트라넷,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IMS), PS 스트리밍 서비스 (PSS), 및/또는 다른 IP 서비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BM-SC (126) 는 MBMS 사용자 서비스 프로비저닝 및 전달을 위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BM-SC (126) 는 콘텐츠 제공자 MBMS 송신을 위한 엔트리 포인트로서 기능할 수도 있고, PLMN 내에서 MBMS 베어러 서비스들을 인가 및 개시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고, 그리고 MBMS 송신들을 스케줄링 및 전달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MBMS 게이트웨이 (124) 는 특정한 서비스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 (MBSFN) 영역에 속하는 eNB들 (예를 들어, 106, 108) 에 MBMS 트래픽을 분배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고, 세션 관리 (시작/정지) 와 eMBMS 관련 차징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담당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UE (102) 는 LTE 네트워크 및 밀리미터파 (mmW) 시스템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UE (102) 는 LTE 링크를 통해 eNB (106) 및/또는 다른 eNB들 (108) 과 통신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UE (102) 는 mmW 링크를 통해 접속 포인트 (CP) 또는 기지국 (BS) (130) (mmW 시스템 통신이 가능함) 과 통신할 수도 있다.
추가 양태에서, 다른 eNB들 (108) 중 적어도 하나는 LTE 네트워크 및 mmW 시스템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이로써, eNB (108) 는 LTE + mmW eNB 로 지칭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CP/BS (130) 는 LTE 네트워크 및 mmW 시스템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이로써, CP/BS (130) 는 LTE + mmW CP/BS 로 지칭될 수도 있다. UE (102) 는 LTE 링크를 통해서는 물론 mmW 링크를 통해 다른 eNB (108) 와 통신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다른 eNB (108) 는 LTE 네트워크 및 mmW 시스템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는 한편, CP/BS (130) 는 mmW 시스템 단독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LTE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eNB (108) 에 시그널링하는 것이 불가능한 CP/BS (130) 는 mmW 백홀 링크를 통해 다른 eNB (108) 와 통신할 수도 있다. UE (102) 와 CP (130) 사이의 EPS (100) 와 같은 방향성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발견 기법들이 아래에 더욱 상세히 논의된다.
도 2 는 네트워크 아키텍처 (예를 들어, LTE 네트워크 아키텍처) 에서의 액세스 네트워크 (200) 의 일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이 예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200) 는 다수의 셀룰러 영역들 (셀들) (202) 로 분할된다. 하나 이상의 하위 전력 클래스 eNB들 (208) 은 셀들 (202) 중 하나 이상과 오버랩하는 셀룰러 영역들 (210) 을 가질 수도 있다. 하위 전력 클래스 eNB (208) 는 펨토 셀 (예를 들어, 홈 eNB (HeNB)), 피코 셀, 마이크로 셀, 또는 원격 라디오 헤드 (RRH) 일 수도 있다. 매크로 eNB들 (204) 은 각각의 셀 (202) 에 각각 할당되고 셀들 (202) 에서의 모든 UE들 (206) 에 대해 EPC (110) 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 액세스 네트워크 (200) 의 예에는 중앙집중화된 제어기가 없지만, 대안적 구성들에서는 중앙집중화된 제어기가 이용될 수도 있다. eNB들 (204) 은 무선 베어러 제어, 수락 제어, 이동성 제어, 스케줄링, 보안, 및 서빙 게이트웨이 (116) 에 대한 접속성을 포함한 모든 무선 관련 기능들을 담당한다. eNB 는 하나 또는 다수 (예를 들어, 3 개) 의 셀들 (섹터들로 또한 지칭됨) 을 지원할 수도 있다. 용어 "셀" 은 특정한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eNB 및/또는 eNB 서브시스템의 최소 커버리지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게다가, 용어들 "eNB", "기지국", 및 "셀" 은 본 명세서에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UE (206) 는 LTE 네트워크 및 밀리미터파 (mmW) 시스템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UE (206) 는 LTE 링크를 통해 eNB (204) 와 통신하고 mmW 링크를 통해 접속 포인트 (CP) 또는 기지국 (BS) (212) (mmW 시스템 통신이 가능함) 과 통신할 수도 있다. 추가 양태에서, eNB (204) 및 CP/BS (212) 는 LTE 네트워크 및 mmW 시스템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할 수도 있다. 이로써, UE (206) 는 (eNB (204) 가 mmW 시스템 통신이 가능할 때) mmW 링크 및 LTE 링크를 통해 eNB (204) 와 통신할 수도 있거나, 또는 (CP/BS (212) 가 LTE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할 때) LTE 링크 및 mmW 링크를 통해 CP/BS (212) 와 통신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eNB (204) 는 LTE 네트워크 및 mmW 시스템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하는 한편, CP/BS (212) 는 mmW 시스템 단독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한다. 이에 따라, LTE 네트워크를 통해 eNB (204) 에 시그널링하는 것이 불가능한 CP/BS (212) 는 mmW 백홀 링크를 통해 eNB (204) 와 통신할 수도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 (200) 에 의해 채용된 변조 및 다중 액세스 스킴은 전개되고 있는 특정한 전기통신 표준에 의존하여 가변할 수도 있다. LTE 애플리케이션들에서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FDD) 및 시간 분할 듀플렉스 (TDD) 양자를 지원하기 위해 OFDM 이 DL 상에서 이용되고 SC-FDMA 가 UL 상에서 이용된다. 다음에 오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들이 용이하게 인식할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다양한 개념들은 LTE 애플리케이션들에 매우 적합하다. 그러나, 이들 개념들은 다른 변조 및 다중 액세스 기법들을 채용하는 다른 전기통신 표준들로 용이하게 확장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이들 개념들은 EV-DO (Evolution-Data Optimized) 또는 UMB (Ultra Mobile Broadband) 로 확장될 수도 있다. EV-DO 및 UMB 는 표준들의 CDMA2000 패밀리의 일부로서 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 (3GPP2) 에 의해 공표된 공중 인터페이스 표준들이고 이동국들에 브로드밴드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CDMA 를 채용한다. 이들 개념들은 또한, 광대역-CDMA (W-CDMA) 및 CDMA 의 다른 변종들, 이를 테면 TD-SCDMA 를 채용하는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UTRA); TDMA 를 채용하는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및 OFDMA 를 채용하는 진화된 UTRA (E-UTRA),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및 플래시-OFDM 으로 확장될 수도 있다. UTRA, E-UTRA, UMTS, LTE 및 GSM 은 3GPP 기관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CDMA2000 및 UMB 는 3GPP2 기관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채용된 실제 무선 통신 표준 및 다중 액세스 기술은 시스템에 부과된 전체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할 것이다.
eNB들 (204) 은 MIMO 기술을 지원하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가질 수도 있다. MIMO 기술의 이용은 eNB들 (204) 이 공간 도메인을 활용하여 공간 멀티플렉싱, 빔형성, 및 송신 다이버시티를 지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공간 멀티플렉싱은 동일한 주파수 상에서 데이터의 상이한 스트림들을 동시에 송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데이터 스트림들은 데이터 레이트를 증가시키기 위해 단일의 UE (206) 에 송신되거나 또는 전체 시스템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수의 UE들 (206) 에 송신될 수도 있다. 이것은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을 공간적으로 프리코딩 (즉, 진폭 및 위상의 스케일링을 적용) 하고 그 후 각각의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스트림을 DL 상에서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 송신함으로써 달성된다.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들은 상이한 공간 시그니처 (spatial signature) 들과 함께 UE(들) (206) 에 도달하고, 그 공간 시그니처들은 UE(들) (206) 의 각각으로 하여금, 그 UE (206) 를 목적지로 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복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UL 상에서, 각각의 UE (206) 는 eNB (204) 로 하여금, 각각의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의 소스를 식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한다.
공간 멀티플렉싱은 일반적으로는, 채널 조건들이 양호할 때 이용된다. 채널 조건들이 덜 유리한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방향들에서 송신 에너지를 포커싱하기 위해 빔형성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것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통한 송신을 위해 데이터를 공간적으로 프리코딩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셀의 에지들에서 양호한 커버리지를 달성하기 위해, 단일 스트림 빔형성 송신이 송신 다이버시티와 조합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다음에 오는 상세한 설명에서, 액세스 네트워크의 다양한 양태들은 DL 상에서 OFDM 을 지원하는 MIMO 시스템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OFDM 은 OFDM 심볼 내의 다수의 서브캐리어들 위로 데이터를 변조하는 확산-스펙트럼 기법이다. 서브캐리어들은 정확한 주파수들로 이격된다. 이격은 수신기로 하여금, 서브캐리어들로부터의 데이터를 복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직교성" 을 제공한다. 시간 도메인에서, 가드 간격 (예를 들어, 사이클릭 프리픽스) 이 OFDM-심볼-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OFDM 심볼에 추가될 수도 있다. UL 은 높은 피크-대-평균 전력비 (PAPR) 를 보상하기 위해 DFT-확산 OFDM 신호의 형태로 SC-FDMA 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 은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UE (350) 와 통신하고 있는 기지국 (310) 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기지국 (310) 은 예를 들어, LTE 시스템의 eNB, 밀리미터파 (mmW) 시스템의 접속 포인트 (CP)/액세스 포인트/기지국, LTE 시스템 및 mmW 시스템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하는 것이 가능한 eNB, 또는 LTE 시스템 및 mmW 시스템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하는 것이 가능한 접속 포인트 (CP)/액세스 포인트/기지국일 수도 있다. UE (350) 는 LTE 시스템 및/또는 mmW 시스템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DL 에서, 코어 네트워크로부터의 상위 계층 패킷들은 제어기/프로세서 (375) 에 제공된다. DL 에서, 제어기/프로세서 (375) 는 다양한 우선순위 메트릭들에 기초하여 헤더 압축, 암호화, 패킷 세그먼트화 및 재순서화, 논리 채널과 전송 채널 간의 멀티플렉싱, 및 UE (350) 에 대한 무선 리소스 할당들을 제공한다. 제어기/프로세서 (375) 는 또한, HARQ 동작들, 손실된 패킷들의 재송신, 및 UE (350) 에 대한 시그널링을 담당한다.
송신 (TX) 프로세서 (316) 는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한다.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은 UE (350) 에서의 순방향 에러 정정 (FEC) 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코딩 및 인터리빙 및 다양한 변조 스킴들 (예를 들어, 이진 위상-시프트 키잉 (BPSK), 직교 위상-시프트 키잉 (QPSK), M-위상-시프트 키잉 (M-PSK), M-직교 진폭 변조 (M-QAM)) 에 기초한 신호 성상 (constellation) 들에 대한 맵핑을 포함한다. 코딩된 및 변조된 심볼들은 그 후 병렬 스트림들로 스플리팅된다. 각각의 스트림은 그 후 OFDM 서브캐리어에 맵핑되고, 시간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레퍼런스 신호 (예를 들어, 파일럿) 와 멀티플렉싱되고, 그 후 역 고속 푸리에 변환 (IFFT) 을 이용하여 함께 결합되어 시간 도메인 OFDM 심볼 스트림을 반송하는 물리 채널을 생성한다. OFDM 스트림은 다수의 공간 스트림들을 생성하기 위해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다. 채널 추정기 (374) 로부터의 채널 추정치들은 코딩 및 변조 스킴을 결정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공간 프로세싱을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채널 추정치는 UE (350) 에 의해 송신된 채널 조건 피드백 및/또는 레퍼런스 신호로부터 유도될 수도 있다. 각각의 공간 스트림은 그 후 별도의 송신기 (318TX) 를 통해 상이한 안테나 (320) 에 제공될 수도 있다. 각각의 송신기 (318TX) 는 송신을 위해 각각의 공간 스트림으로 RF 캐리어를 변조할 수도 있다.
UE (350) 에서, 각각의 수신기 (354RX) 는 그 각각의 안테나 (352) 를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각각의 수신기 (354RX) 는 RF 캐리어 위로 변조된 정보를 복구하고 그 정보를 수신 (RX) 프로세서 (356) 에 제공한다. RX 프로세서 (356) 는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한다. RX 프로세서 (356) 는 그 정보에 대해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UE (350) 를 목적지로 한 임의의 공간 스트림들을 복구할 수도 있다. 다수의 공간 스트림들이 UE (350) 를 목적지로 하면, 그들은 RX 프로세서 (356) 에 의해 단일 OFDM 심볼 스트림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RX 프로세서 (356) 는 그 후 OFDM 심볼 스트림을 고속 푸리에 변환 (FFT) 을 이용하여 시간-도메인으로부터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한다. 주파수 도메인 신호는 OFDM 신호의 각각의 서브캐리어에 대한 별도의 OFDM 심볼 스트림을 포함한다. 각각의 서브캐리어 상의 심볼들, 및 레퍼런스 신호는 기지국 (310) 에 의해 송신된 가장 가능성있는 신호 성상 포인트들을 결정함으로써 복구 및 복조된다. 이들 연판정 (soft decision) 들은 채널 추정기 (358) 에 의해 컴퓨팅된 채널 추정치들에 기초할 수도 있다. 연판정들은 그 후 기지국 (310) 에 의해 물리 채널 상에서 원래 송신되었던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을 복구하기 위해 디코딩 및 디인터리빙된다.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은 그 후 제어기/프로세서 (359) 에 제공된다.
제어기/프로세서 (359) 는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360) 와 연관될 수 있다. 메모리 (360) 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지칭될 수도 있다. UL 에서, 제어기/프로세서 (359) 는 전송 채널과 논리 채널 간의 디멀티플렉싱, 패킷 리어셈블리, 복호화, 헤더 압축해제, 제어 신호 프로세싱을 제공하여, 코어 네트워크로부터의 상위 계층 패킷들을 복구한다. 상위 계층 패킷들은 그 후 데이터 싱크 (362) 에 제공된다. 다양한 제어 신호들이 또한 프로세싱을 위해 데이터 싱크 (362) 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 (359) 는 또한, HARQ 동작들을 지원하기 위해 확인응답 (ACK) 및/또는 부정 확인응답 (NACK) 프로토콜을 이용한 에러 검출을 담당한다.
UL 에서, 데이터 소스 (367) 는 제어기/프로세서 (359) 에 상위 계층 패킷들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된다. 기지국 (310) 에 의한 DL 송신과 관련하여 설명된 기능성과 유사하게, 제어기/프로세서 (359) 는 기지국 (310) 에 의한 무선 리소스 할당들에 기초하여 헤더 압축, 암호화, 패킷 세그먼트화 및 재순서화, 및 논리 채널과 전송 채널 간의 멀티플렉싱을 제공한다. 제어기/프로세서 (359) 는 또한, HARQ 동작들, 손실된 패킷들의 재송신, 및 기지국 (310) 에 대한 시그널링을 담당한다.
기지국 (310) 에 의해 송신된 피드백 또는 레퍼런스 신호로부터 채널 추정기 (358) 에 의해 유도된 채널 추정치들은 TX 프로세서 (368) 에 의해 적절한 코딩 및 변조 스킴들을 선택하기 위해, 그리고 공간 프로세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TX 프로세서 (368) 에 의해 생성된 공간 스트림들은 별도의 송신기들 (354TX) 을 통해 상이한 안테나 (352) 에 제공될 수도 있다. 각각의 송신기 (354TX) 는 송신을 위해 각각의 공간 스트림으로 RF 캐리어를 변조할 수도 있다.
UL 송신은 UE (350) 에서의 수신기 기능과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지국 (310) 에서 프로세싱된다. 각각의 수신기 (318RX) 는 그 각각의 안테나 (320) 를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각각의 수신기 (318RX) 는 RF 캐리어 위로 변조된 정보를 복구하고 그 정보를 RX 프로세서 (370) 에 제공한다.
제어기/프로세서 (375) 는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376) 와 연관될 수 있다. 메모리 (376) 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지칭될 수도 있다. UL 에서, 제어기/프로세서 (375) 는 전송 채널과 논리 채널 간의 디멀티플렉싱, 패킷 리어셈블리, 복호화, 헤더 압축해제, 제어 신호 프로세싱을 제공하여, UE (350) 로부터의 상위 계층 패킷들을 복구한다. 제어기/프로세서 (375) 로부터의 상위 계층 패킷들은 코어 네트워크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 (375) 는 또한, HARQ 동작들을 지원하기 위해 ACK 및/또는 NACK 프로토콜을 이용한 에러 검출을 담당한다.
LTE 의 동기는 모바일 데이터 요구에 대한 셀룰러 네트워크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모바일 데이터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다른 기술들이 그 요구를 지속시키기 위해 활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속 모바일 데이터는 밀리미터파 (mmW) 채널을 이용하여 전달될 수도 있다.
mmW 링크는 mmW 빔형성이 가능한 송신기로부터 mmW 빔형성이 가능한 수신기로의 기저대역 심볼들의 전달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mmW 리소스 유닛은 빔 폭, 빔 방향, 및 타임슬롯의 특정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타임슬롯은 LTE 서브프레임의 프랙션 (fraction) 일 수도 있고 LTE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프레임 타이밍과 정렬될 수도 있다. 송신기에서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지 않고 수신 mmW 신호 강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빔형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수신기 이득은 송신기 및 수신기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의 mmW 빔 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증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빔 폭은 안테나 어레이에 위상 시프팅을 적용함으로써 변경될 수도 있다.
mmW 통신 시스템은 매우 높은 주파수 대역들 (예를 들어, 10GHz 내지 300GHz) 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높은 캐리어 주파수들은 큰 대역폭의 사용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60GHz mmW 무선 네트워크는 대략 60GHz 주파수 대역에서 큰 대역폭을 제공하고 매우 높은 데이터 레이트 (예를 들어, 최대 6.7Gbps) 를 지원하는 능력을 갖는다. 매우 높은 주파수 대역들은 예를 들어, 백홀 통신을 위해 또는 네트워크 액세스 (예를 들어, UE들은 네트워크에 액세스함) 를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mmW 시스템에 의해 지원된 애플리케이션들은 예를 들어, 미압축된 비디오 스트리밍, 싱크-앤-고 (sync-n-go) 파일 전송, 비디오 게임들, 및 무선 디스플레이들에 대한 프로젝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mmW 시스템은 낮은 이득을 갖는 채널을 극복하기 위해 빔형성 및 다수의 안테나들의 도움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높은 캐리어 주파수 대역들에서의 큰 감쇠는 송신된 신호의 범위를 수 미터 (예를 들어, 1 내지 3 미터) 로 제한할 수도 있다. 또한, 장애물들 (예를 들어, 벽들, 가구, 인간 등) 의 존재는 높은 주파수 밀리미터파의 전파를 차단할 수도 있다. 이로써, 높은 캐리어 주파수들에서의 전파 특성들은 손실을 극복하기 위해 빔형성에 대한 필요성을 수반한다. 빔형성은 수신 디바이스들에 대해 특정한 방향에서 고주파수 신호를 빔형성하고, 따라서 신호의 범위를 확장하기 위해 협력하는 안테나들의 어레이 (예를 들어, 페이즈드 어레이들) 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mmW 시스템은 스탠드-얼론 방식으로 동작할 수도 있지만, mmW 시스템은 LTE 와 같이 더 많이 확립되지만 더 낮은 주파수 (및 더 낮은 대역폭) 시스템들과 함께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본 개시는 LTE 시스템과 mmW 시스템 간의 협력적 기법들을 위해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는 기지국의 발견, 빔형성, 또는 동기화를 돕기 위해 보다 강인한 시스템의 존재를 활용할 수도 있다. mmW 시스템과 하위-주파수 시스템 (예를 들어, LTE) 간의 협력은 다음에 의해 용이해질 수도 있다: 1) mmW 채널에 대한 발견, 동기화, 또는 연관을 지원한 시그널링의 타입들은 상이한 하위-주파수 강인 캐리어 위로 전송될 수 있다; 2) mmW 채널과 하위-주파수 캐리어 (예를 들어, LTE) 간에 발견 및 동기화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오더 (order); 3) 기존 접속성의 활용; 4) 송신된 메시지에 기지국들 (BS들)/사용자 장비들 (UE들) 에 의해 포함될 정보; 및 5) LTE 시그널링에 포함될 정보.
일 양태에서, mmW-가능 접속 포인트들 (CP들) 또는 기지국들 (BS들) (mmW-가능 디바이스들에 대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 은 라이트 폴들, 빌딩 사이드들에 탑재되고, 및/또는 메트로 셀들과 병치될 수도 있다. mmW 링크는 장애물들 주위의 가시선 (LOS) 또는 우세한 반사 경로들 또는 회절 경로들을 따라 빔형성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mmW-가능 디바이스의 도전과제는 빔형성에 적절한 LOS 또는 반사 경로를 발견하는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c 는 LTE 시스템과 함께 이용된 mmW 시스템의 예시적인 전개들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들이다. 도 4a 에서, 다이어그램 (400) 은 LTE 시스템이 mmW 시스템에 독립적으로, 및 그와 병렬로 동작하는 전개를 예시한다. 도 4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UE (402) 는 LTE 시스템 및 mmW 시스템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UE (402) 는 LTE 링크 (410) 를 통해 eNB (404) 와 통신할 수도 있다. LTE 링크 (410) 와 병렬로, UE (402) 는 또한, 제 1 mmW 링크 (412) 를 통해 제 1 BS (406) 와 통신하고 제 2 mmW 링크 (414) 를 통해 제 2 BS (408) 와 통신할 수도 있다.
도 4b 에서, 다이어그램 (430) 은 LTE 시스템 및 mmW 시스템이 병치되는 전개를 예시한다.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UE (432) 는 LTE 시스템 및 mmW 시스템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양태에서, BS (434) 는 LTE 시스템 및 mmW 시스템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하는 것이 가능한 LTE eNB 일 수도 있다. 이로써, BS (434) 는 LTE + mmW eNB 로 지칭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BS (434) 는 LTE 시스템 및 mmW 시스템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하는 것이 가능한 mmW CP 일 수도 있다. 이로써, BS (434) 는 LTE + mmW BS 로 지칭될 수도 있다. UE (432) 는 LTE 링크 (436) 를 통해 BS (434) 와 통신할 수도 있다. 한편, UE (432) 는 또한 mmW 링크 (438) 를 통해 BS (434) 와 통신할 수도 있다.
도 4c 에서, 다이어그램 (470) 은 LTE 시스템 및 mmW 시스템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하는 것이 가능한 BS (LTE + mmW 기지국) 가 mmW 시스템 단독을 통해 신호들을 통신하는 것이 가능한 BS들과 함께 존재하는 전개를 예시한다. 도 4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UE (472) 는 LTE 링크 (480) 를 통해 LTE + mmW BS (474) 와 통신할 수도 있다. LTE + mmW BS (474) 는 LTE + mmW eNB 일 수도 있다. LTE 링크 (480) 와 병렬로, UE (472) 는 또한, 제 1 mmW 링크 (482) 를 통해 제 2 BS (476) 와 통신하고 제 2 mmW 링크 (484) 를 통해 제 3 BS (478) 와 통신할 수도 있다. 제 2 BS (476) 는 또한, 제 1 mmW 백홀 링크 (484) 를 통해 LTE + mmW BS (474) 와 통신할 수도 있다. 제 3 BS (478) 는 또한, 제 2 mmW 백홀 링크 (486) 를 통해 LTE + mmW BS (474) 와 통신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 는 CP 와 UE 간의 빔형성된 신호들의 송신의 일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들이다. CP 는 mmW 시스템에서의 BS (mmW BS) 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a 를 참조하면, 다이어그램 (500) 은 상이한 송신 방향들 (예를 들어, 방향들 (A, B, C, 및 D)) 에서 빔형성된 신호들 (506) (예를 들어, 동기화 신호들 또는 발견 신호들) 을 송신하는 mmW 시스템의 CP (504) 를 예시한다. 일 예에서, CP (504) 는 시퀀스 (A-B-C-D) 에 따른 송신 방향들을 거쳐 스윕 (sweep) 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CP (504) 는 시퀀스 (B-D-A-C) 에 따른 송신 방향들을 거쳐 스윕할 수도 있다. 단지 4 개의 송신 방향들 및 2 개의 송신 시퀀스들이 도 5a 에 대하여 설명되지만, 임의의 수의 상이한 송신 방향들 및 송신 시퀀스들이 고려된다.
신호들을 송신한 후에, CP (504) 는 수신 모드로 스위칭할 수도 있다. 수신 모드에서, CP (504) 는 CP (504) 가 이전에 상이한 송신 방향들에서 동기화/발견 신호들을 송신했던 시퀀스 또는 패턴에 대응 (맵핑) 하는 시퀀스 또는 패턴으로 상이한 수신 방향들을 거쳐 스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P (504) 가 이전에 시퀀스 (A-B-C-D) 에 따른 송신 방향들에서 동기화/발견 신호들을 송신했다면, CP (504) 는 UE (502) 로부터 연관 신호를 수신하려는 시도로 시퀀스 (A-B-C-D) 에 따른 수신 방향들을 거쳐 스윕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CP (504) 가 이전에 시퀀스 (B-D-A-C) 에 따른 송신 방향들에서 동기화/발견 신호들을 송신했다면, CP (504) 는 UE (502) 로부터 연관 신호를 수신하려는 시도로 시퀀스 (B-D-A-C) 에 따른 수신 방향들을 거쳐 스윕할 수도 있다.
각각의 빔형성된 신호 상의 전파 지연은 UE (502) 가 수신 (RX) 스윕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한다. 수신 모드에서의 UE (502) 는 동기화/발견 신호 (506) 를 검출하려는 시도로 상이한 수신 방향들을 거쳐 스윕할 수도 있다 (도 5b 참조). 동기화/발견 신호들 (506) 중 하나 이상은 UE (502) 에 의해 검출될 수도 있다. 강한 동기화/발견 신호 (506) 가 검출되는 경우, UE (502) 는 강한 동기화/발견 신호에 대응하는 CP (504) 의 최적의 송신 방향 및 UE (502) 의 최적의 수신 방향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502) 는 강한 동기화/발견 신호 (506) 의 예비 안테나 가중치들/방향들을 결정할 수도 있고, CP (504) 가 빔형성된 신호를 최적으로 수신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 및/또는 리소스를 추가로 결정할 수도 있다. 그 후에, UE (502) 는 빔형성된 신호를 통해 CP (504) 와 연관하려고 시도할 수도 있다.
도 5b 의 다이어그램 (520) 을 참조하면, UE (502) 는 상이한 수신 방향들 (예를 들어, 방향들 (E, F, G, 및 H)) 에서 빔형성된 발견 신호들에 대해 청취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UE (502) 는 시퀀스 (E-F-G-H) 에 따른 수신 방향들을 거쳐 스윕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UE (502) 는 시퀀스 (F-H-E-J) 에 따른 수신 방향들을 거쳐 스윕할 수도 있다. 단지 4 개의 수신 방향들 및 2 개의 수신 시퀀스들이 도 5b 에 대하여 설명되지만, 임의의 수의 상이한 수신 방향들 및 수신 시퀀스들이 고려된다.
UE (502) 는 상이한 송신 방향들 (예를 들어, 방향들 (E, F, G, 및 H)) 에서 빔형성된 신호들 (526) (예를 들어, 연관 신호들) 을 송신함으로써 연관을 시도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UE (502) 는 CP (504) 가 연관 신호를 최적으로 수신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리소스에서 UE (502) 의 최적의 수신 방향을 따라 송신함으로써 연관 신호 (526) 를 송신할 수도 있다. 수신 모드에서의 CP (504) 는 상이한 수신 방향들을 거쳐 스윕하고 수신 방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타임슬롯들 동안에 UE (502) 로부터 연관 신호 (526) 를 검출할 수도 있다. 강한 연관 신호 (526) 가 검출되는 경우, CP (504) 는 강한 연관 신호에 대응하는 UE (502) 의 최적의 송신 방향 및 CP (504) 의 최적의 수신 방향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P (504) 는 강한 연관 신호 (526) 의 예비 안테나 가중치들/방향들을 결정할 수도 있고, UE (502) 가 빔형성된 신호를 최적으로 수신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 및/또는 리소스를 추가로 결정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 에 대하여 상기 논의된 프로세스들 중 임의의 프로세스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리파인 (refine) 또는 반복될 수도 있어, UE (502) 및 CP (504) 는 결국 서로 링크를 확립하기 위해 가장 최적의 송신 및 수신 방향들을 러닝 (learning) 한다. 이러한 리파인먼트 및 반복은 빔 트레이닝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CP (504) 는 다수의 빔형성 방향들에 따라 동기화/발견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시퀀스 또는 패턴을 선정할 수도 있다. CP (504) 는 그 후 UE (502) 가 동기화/발견 신호를 검출하려는 시도로 다수의 빔형성 방향들을 거쳐 스윕하게 할 정도로 충분히 긴 시간량 동안 신호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P 빔형성 방향은 n 으로 표시될 수도 있고, 여기서 n 은 0 에서 N 까지의 정수이고, N 은 송신 방향들의 최대 수이다. 더욱이, UE 빔형성 방향은 k 로 표시될 수도 있고, 여기서 k 는 0 에서 K 까지의 정수이고, K 는 수신 방향들의 최대 수이다. UE (502) 가 CP (504) 로부터 동기화/발견 신호를 검출하는 경우, UE (502) 는 UE (502) 빔형성 방향이 k=2 이고 CP (504) 빔형성 방향이 n=3 일 때 가장 강한 동기화/발견 신호가 수신된다는 것을 발견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UE (502) 는 대응하는 응답 타임슬롯에서 CP (504) 에 응답 (빔형성된 신호를 송신) 하기 위해 동일한 안테나 가중치들/방향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UE (502) 는 CP (504) 가 CP (504) 빔형성 방향 n=3 에서 수신 스윕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될 때의 타임슬롯 동안에 UE (502) 빔형성 방향 k=2 를 이용하여 CP (504) 로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본 개시는 대응하는 채널 조건들에 기초하여 다수의 방향들을 따라 빔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파티션을 적응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제공한다. 빔트래킹은 채널 변동을 도모하기 위해 데이터 송신 동안에 빔형성 트레이닝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6a 는 전통적인 빔트래킹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 (600) 이다. 전통적인 빔트래킹은 채널 조건들이 경과 시간 동안에 변화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소정의 시간량 동안 데이터 송신이 일어난 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빔트래킹의 결과로서, 유리한 채널이 발견될 수도 있고 데이터가 그 유리한 채널을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전통적인 빔트래킹의 일 예는 도 6a 에 도시된다. 도 6a 에서, 송신 (TX) 안테나는 다수의 방향들, 예를 들어, 채널들 (1, 2, 3, 및 4) 을 따라 빔트래킹 신호들을 전송할 수도 있다. 채널 (2) 이 최상의 채널 조건을 갖는다면, 데이터는 다음번의 빔트래킹이 필요할 때까지 (예를 들어, 채널 (2) 의 채널 조건이 저하될 때) 채널 (2) 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빔트래킹은 오버헤드의 약간의 증가를 희생하여 데이터 송신보다 더 적은 시간이 걸린다. 그러나, 채널 조건은 데이터 송신 동안에 현저히 가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a 에서, 채널 (2) 은 빠르게 저하되어, 채널 (2) 상의 데이터 송신을 불충분하게 할 수도 있다. 저하된 채널 상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비효율성은 빔트래킹을 보다 빈번히 수행함으로써 부분적으로 해결될 수도 있다. 그러나, 빔트래킹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빔트래킹이 오버헤드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합리적이지 않을 수도 있고, 시스템 효율은 작은 오버헤드를 유지하는 것에 의해 더 적합해질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본 개시는 오버헤드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고 채널 변동에 대하여 더 강인한 빔트래킹에 기초한 파티션 스케줄링 스킴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초기 빔형성 트레이닝 후에, 송신기는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여러 유리한 채널들 및 대응하는 빔 방향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송신기는 빔트래킹을 주기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유리한 채널들의 조건들을 추적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서, 송신기는 빔트래킹 결과로부터 발생하는 최상의 채널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아닐 수도 있고, 빔트래킹 결과로부터 발생하는 다수의 고품질 (채널 조건) 채널들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적응적 파티션 스케줄링 스킴이 다음과 같이 제공될 수도 있다. 빔트래킹 결과에 기초하여, 송신기는 다수의 합리적으로 양호한 (예를 들어, 고품질) 후보 채널들의 존재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후속의 짧은 데이터 송신 주기가 후보 채널들의 채널 조건들에 기초하여 비례적인 프랙션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각각의 프랙션 내에서, 데이터가 후보 채널들 중 하나를 따라 송신될 수도 있다.
다음번의 빔트래킹 후에, 후보 채널들의 조건들은 수신기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재평가될 수도 있다. 피드백은 신호-대-잡음비 (SNR), 비트-에러 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후보 채널들에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 주기의 프랙션들은 각각의 후보 채널에 대해 수신된 피드백에 기초하여 적응적으로 조정될 수도 있다. 이 프로세스의 일 예가 도 6b 에 도시된다.
도 6b 는 데이터 송신 주기의 파티셔닝을 적응적으로 조정하는 일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 (650) 이다. 도 6b 에서, 송신기는 다수의 채널들, 예를 들어, 채널들 (1, 2, 3, 및 4) 의 조건들을 추적하기 위해 신호들을 전송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채널들 (1 및 2) 이 채널 조건 메트릭의 관점에서 합리적으로 양호할 (고품질을 가질) 수도 있고, 따라서 후보 채널들로서 선정될 수도 있다. 그 후에, 후속의 작은 데이터 송신 주기는 2 개의 후보 채널들의 채널 조건들에 기초하여 비례적인 프랙션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각각의 프랙션 내에서, 송신기는 2 개의 후보 채널들 중 하나를 따라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채널 (2) 의 조건은 채널 (1) 의 조건보다 품질이 더 높을 수도 있다. 따라서, 데이터 송신 주기는 각각의 채널에 대한 품질의 레벨에 따라 채널들 (1 및 2) 사이에 분할될 수도 있다. 이런 이유로, 채널 (2) 이 고품질 채널이기 때문에, 데이터는 채널 (1) 보다 더 긴 시간 주기 동안 채널 (2) 을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도 6b 에 대하여 설명된 동작은 송신이 데이터 송신 주기 대부분 동안 최상의 이용가능한 채널을 이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합리적인 데이터 송신 레이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긴 데이터 송신 지속기간에 걸쳐, 채널 (2) 의 조건은 빠르게 저하될 수도 있는 한편 채널 (1) 의 조건은 향상될 수도 있다. 2 개의 후보 채널들 (1 및 2) 에 대한 수신기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2 개의 후보 채널들에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 주기의 프랙션들이 조정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나중에는, 송신기가 채널 (2) 의 채널 조건을 계속 파악하면서 대부분 채널 (1) 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후보 채널들의 수는 빔트래킹의 결과에 의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빔트래킹 후에, 4 개의 채널들이 동일하게 고품질 채널 조건을 갖는다고 송신기가 결정하면, 송신기는 모든 채널들의 조건들을 계속 파악하면서 짧은 데이터 송신 주기를 4 개의 동일한 프랙션들로 분할할 수도 있다. 후보 채널들의 수가 처음에 많다면, 데이터 송신 동안에, 송신기는 상당한 채널 조건 저하를 갖는 채널들에 대응하는 임의의 프랙션들을 제거/재할당할 수도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 송신 주기 파티션의 적응적 조정이 송신기에 대하여 주로 논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된 동작들은 송신 (TX) 안테나 트레이닝을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또한, 수신기에 대하여 데이터 수신 주기 파티션을 적응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제공한다. 일 예에서는, 수신 (RX) 안테나 트레이닝을 위해, RX-특정 파일럿 톤들이 데이터 송신 심볼들에 추가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서, 무선 통신의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도 있다. 방법은 UE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먼저, UE 는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채널들의 제 1 세트를 결정할 수도 있고, 여기서 제 1 세트에서의 각각의 채널은 대응하는 빔 방향을 갖는다. 채널들의 제 1 세트는 기지국과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결정될 수도 있다. 그 후에, UE 는 대응하는 빔 방향을 따라 빔트래킹을 주기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제 1 세트에서의 각각의 채널의 채널 조건을 추적할 수도 있다. UE 는 채널들의 제 1 세트로부터 후보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할 수도 있고, 여기서 제 2 세트에서의 각각의 후보 채널은 임계치보다 높은 채널 조건을 갖는다. UE 는 데이터 송신 주기를 제 2 세트에서의 다수의 후보 채널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서브-주기들로 분할하고, 후보 채널들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한다. 각각의 후보 채널을 통해 송신된 데이터는 각각의 후보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주기 동안 송신된다.
추가 양태에서, 방법은 UE 가 각각의 후보 채널의 채널 조건에 기초하여 각각의 후보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주기의 길이를 사이징하게 하기 위해 제공한다. 그 다수의 서브-주기들 중에 가장 큰 길이를 갖는 서브-주기는 다수의 후보 채널들 중에 가장 강한 채널 조건을 갖는 후보 채널에 대응한다.
다른 양태에서, 방법은 UE 가 수신기로부터 각각의 후보 채널의 업데이트된 채널 조건을 수신하게 하기 위해 제공한다. UE 는 그 후 각각의 후보 채널의 업데이트된 채널 조건에 기초하여 각각의 후보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주기의 길이를 리-사이징하고, 리-사이징된 길이를 갖는 대응하는 서브-주기 동안에 각각의 후보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다. 각각의 후보 채널의 업데이트된 채널 조건이 임계치보다 낮을 때, UE 는 각각의 후보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억제할 수도 있다.
도 7 은 무선 통신의 방법의 플로우 차트 (700) 이다. 방법은 기지국 (예를 들어, CP (504))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702) 에서, 기지국은 장치 (예를 들어, UE (502)) 와 통신하기 위한 채널들의 제 1 세트를 결정한다. 제 1 세트에서의 각각의 채널은 장치와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결정될 수도 있다.
단계 (704) 에서, 기지국은 제 1 세트로부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한다. 제 2 세트의 채널들은 임계치보다 큰 채널 조건을 가질 수도 있다.
단계 (710) 에서, 기지국은 제 2 세트를 통해 장치에 데이터를 통신한다. 데이터가 통신되는 제 2 세트의 채널은 제 2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채널 조건에 기초할 수도 있다. 더욱이, 데이터의 통신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 및/또는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기지국이 다운링크에서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때, 기지국은 장치에, 제 1 세트의 각각의 채널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를 먼저 송신함으로써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단계 (704)). 그 후에,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세트의 하나 이상의 채널들 상에서 확인응답 (ACK)/부정 확인응답 (NACK)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 1 세트의 각각의 채널의 채널 조건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기지국은 그 후 임계치보다 큰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을 갖는 제 1 세트의 채널들을 포함하도록 제 2 세트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단계 (706) 에서 (단계 (710) 에서 데이터를 통신하기 이전에), 기지국은 제 2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에 기초하여 제 2 세트의 채널들 사이에 통신될 데이터를 분할한다 (도 6b 및 대응 설명 참조). 기지국은 또한, 제 2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에 기초하여 제 2 세트의 각각의 채널 상에서 송신된 다수의 파일럿 신호들을 조정할 수도 있다.
추가 양태에서, 기지국이 업링크에서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때, 기지국은 제 1 세트의 각각의 채널의 채널 조건을 먼저 모니터링함으로써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단계 (704)). 그 후에, 기지국은 제 1 세트의 각각의 채널의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통신 (예를 들어, 데이터를 수신) 하기 위한 리소스 승인 (resource grant) 을 결정한다. 기지국은 그 후 결정된 리소스 승인에 대응하는 제 1 세트의 채널들을 포함하도록 제 2 세트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단계 (708) 에서 (단계 (710) 에서 데이터를 통신하기 이전에), 기지국은 장치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리소스 승인을 송신한다.
도 8 은 무선 통신의 방법의 플로우 차트 (800) 이다. 방법은 UE (예를 들어, UE (502))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802) 에서, UE 는 장치 (예를 들어, CP (502)) 와 통신하기 위한 채널들의 제 1 세트를 결정한다. 제 1 세트에서의 각각의 채널은 장치와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결정될 수도 있다.
단계 (804) 에서, UE 는 제 1 세트로부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한다. 제 2 세트의 채널들은 임계치보다 큰 채널 조건을 가질 수도 있다.
단계 (810) 에서, UE 는 제 2 세트를 통해 장치에 데이터를 통신한다. 데이터가 통신되는 제 2 세트의 채널은 제 2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채널 조건에 기초할 수도 있다. 더욱이, 데이터의 통신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 및/또는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UE 가 다운링크에서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때, UE 는 장치로부터, 제 1 세트의 하나 이상의 채널들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 1 세트의 각각의 채널의 채널 조건을 먼저 모니터링함으로써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단계 (804)). 그 후에, UE 는 임계치보다 큰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을 갖는 제 1 세트의 하나 이상의 채널들을 포함하도록 제 2 세트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단계 (808) 에서 (단계 (810) 에서 데이터를 통신하기 이전에), UE 는 제 2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에 기초하여 제 2 세트의 채널들 사이에 데이터의 통신 (예를 들어, 데이터의 수신) 을 분할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데이터의 통신을 분할하기 (단계 (808)) 이전에, UE 는 장치에,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에 응답하여 제 2 세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채널들 상에서 확인응답 (ACK)/부정 확인응답 (NACK)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UE 가 업링크에서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때, UE 는 장치로부터, 장치에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리소스 승인을 먼저 수신함으로써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단계 (804)). UE 는 그 후 리소스 승인에 대응하는 제 1 세트의 채널들을 포함하도록 제 2 세트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단계 (808) 에서 (단계 (810) 에서 데이터를 통신하기 이전에), UE 는 리소스 승인에 기초하여 제 2 세트의 채널들 사이에 데이터의 통신 (예를 들어, 데이터의 송신) 을 분할한다.
도 9 는 예시적인 장치 (902) 에서의 상이한 모듈들/수단/컴포넌트들 간의 데이터 플로우를 예시하는 개념적인 데이터 플로우 다이어그램 (900) 이다. 장치는 기지국 (예를 들어, CP (504)) 일 수도 있다. 장치는 수신 모듈 (904), 채널 결정 모듈 (906), 데이터 프로세싱 모듈 (908), 리소스 결정 모듈 (910), 및 송신 모듈 (912) 을 포함한다.
채널 결정 모듈 (906) 은 UE (950) (예를 들어, UE (502)) 와 통신하기 위한 채널들의 제 1 세트를 결정한다. 제 1 세트에서의 각각의 채널은 UE (950) 와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결정될 수도 있다.
채널 결정 모듈 (906) 은 제 1 세트로부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한다. 제 2 세트의 채널들은 임계치보다 큰 채널 조건을 가질 수도 있다.
데이터 프로세싱 모듈 (908) 은 제 2 세트를 통해 UE (950) 에 데이터를 통신한다. 데이터가 통신되는 제 2 세트의 채널은 제 2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채널 조건에 기초할 수도 있다. 더욱이, 데이터의 통신은 UE (950) 에 데이터를 (송신 모듈 (912) 을 통해) 송신하는 것 및/또는 UE (950) 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모듈 (904) 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장치 (902) 가 다운링크에서 UE (950) 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때, 채널 결정 모듈 (906) 은 UE (950) 에 제 1 세트의 각각의 채널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를 (송신 모듈 (912) 을 통해) 먼저 송신함으로써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할 수도 있다. 그 후에, 채널 결정 모듈 (906) 은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세트의 하나 이상의 채널들 상에서 확인응답 (ACK)/부정 확인응답 (NACK)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 1 세트의 각각의 채널의 채널 조건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채널 결정 모듈 (906) 은 그 후 임계치보다 큰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을 갖는 제 1 세트의 채널들을 포함하도록 제 2 세트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를 통신하기 이전에, 데이터 프로세싱 모듈 (908) 은 제 2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에 기초하여 제 2 세트의 채널들 사이에 통신될 데이터를 분할한다. 채널 결정 모듈 (906) 은 또한, 제 2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에 기초하여 제 2 세트의 각각의 채널 상에서 송신된 다수의 파일럿 신호들을 조정할 수도 있다.
추가 양태에서, 장치 (902) 가 업링크에서 UE (950) 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때, 채널 결정 모듈 (906) 은 제 1 세트의 각각의 채널의 채널 조건을 먼저 모니터링함으로써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할 수도 있다. 그 후에, 리소스 결정 모듈 (910) 은 제 1 세트의 각각의 채널의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통신 (예를 들어, 데이터를 수신) 하기 위한 리소스 승인을 결정한다. 채널 결정 모듈 (906) 은 그 후 결정된 리소스 승인에 대응하는 제 1 세트의 채널들을 포함하도록 제 2 세트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프로세싱 모듈 (908) 이 데이터를 수신하기 이전에, 리소스 결정 모듈 (910) 은 UE (950) 에, UE (950) 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리소스 승인을 (송신 모듈 (912) 을 통해) 송신한다.
장치는 도 7 의 전술한 플로우 차트에서의 알고리즘의 단계들의 각각을 수행하는 추가적인 모듈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로써, 도 7 의 전술한 플로우 차트에서의 각각의 단계는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장치는 그 모듈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모듈들은 기재된 프로세스들/알고리즘을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되거나, 기재된 프로세스들/알고리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한 구현을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내에 저장되거나, 또는 그 일부 조합인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일 수도 있다.
도 10 은 프로세싱 시스템 (1014) 을 채용하는 장치 (902') 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일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 (1000) 이다. 프로세싱 시스템 (1014) 은 버스 (1024) 에 의해 일반적으로 표현된, 버스 아키텍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버스 (1024) 는 전체 설계 제약들 및 프로세싱 시스템 (1014) 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하여 임의의 수의 상호접속 버스들 및 브릿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버스 (1024) 는 프로세서 (1004) 에 의해 표현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들, 모듈들 (904, 906, 908, 910, 912),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006) 를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링크한다. 버스 (1024) 는 또한,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고, 따라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타이밍 소스들, 주변기기들, 전압 레귤레이터들, 및 전력 관리 회로들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들을 링크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 (1014) 은 트랜시버 (1010)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트랜시버 (1010) 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1020) 에 커플링된다. 트랜시버 (1010) 는 송신 매체를 통해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트랜시버 (1010) 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1020) 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프로세싱 시스템 (1014), 구체적으로는 수신 모듈 (904) 에 제공한다. 추가로, 트랜시버 (1010) 는 프로세싱 시스템 (1014), 구체적으로는 송신 모듈 (912) 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1020) 에 적용될 신호를 생성한다. 프로세싱 시스템 (1014) 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006) 에 커플링된 프로세서 (1004) 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1004) 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006) 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프로세싱을 담당한다.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 (1004) 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싱 시스템 (1014) 으로 하여금, 임의의 특정한 장치에 대해 위에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006) 는 또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 프로세서 (1004) 에 의해 조작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은 모듈들 (904, 906, 908, 910, 912)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모듈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006) 에 상주/저장된, 프로세서 (1004) 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 프로세서 (1004) 에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모듈들, 또는 그 일부 조합일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 (1014) 은 기지국 (310) 의 컴포넌트일 수도 있고 메모리 (376) 및/또는 TX 프로세서 (316), RX 프로세서 (370), 및 제어기/프로세서 (37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902/902') 는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채널들의 제 1 세트를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제 1 세트에서의 각각의 채널은 장치와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결정되는, 상기 채널들의 제 1 세트를 결정하는 수단, 제 1 세트로부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제 2 세트의 채널들은 임계치보다 큰 채널 조건을 갖는, 상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는 수단, 제 2 세트를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는 수단으로서, 데이터가 통신되는 제 2 세트의 채널은 제 2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채널 조건에 기초하는, 상기 제 2 세트를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는 수단, 제 2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에 기초하여 제 2 세트의 채널들 사이에 통신될 데이터를 분할하는 수단, 장치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리소스 승인을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전술한 수단은 전술한 수단에 의해 열거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장치 (902') 의 프로세싱 시스템 (1014) 및/또는 장치 (902) 의 전술한 모듈들 중 하나 이상일 수도 있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세싱 시스템 (1014) 은 TX 프로세서 (316), RX 프로세서 (370), 및 제어기/프로세서 (375)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로써, 하나의 구성에서, 전술한 수단은 전술한 수단에 의해 열거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TX 프로세서 (316), RX 프로세서 (370), 및 제어기/프로세서 (375) 일 수도 있다.
도 11 은 예시적인 장치 (1102) 에서의 상이한 모듈들/수단/컴포넌트들 간의 데이터 플로우를 예시하는 개념적인 데이터 플로우 다이어그램 (1100) 이다. 장치는 UE (예를 들어, UE (502)) 일 수도 있다. 장치는 수신 모듈 (1104), 채널 결정 모듈 (1106), 데이터 프로세싱 모듈 (1108), 리소스 결정 모듈 (1110), 및 송신 모듈 (1112) 을 포함한다.
채널 결정 모듈 (1106) 은 기지국 (1150) (예를 들어, CP (502)) 과 통신하기 위한 채널들의 제 1 세트를 결정한다. 제 1 세트에서의 각각의 채널은 기지국 (1150) 과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결정될 수도 있다.
채널 결정 모듈 (1106) 은 제 1 세트로부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한다. 제 2 세트의 채널들은 임계치보다 큰 채널 조건을 가질 수도 있다.
데이터 프로세싱 모듈 (1108) 은 제 2 세트를 통해 기지국 (1150) 에 데이터를 통신한다. 데이터가 통신되는 제 2 세트의 채널은 제 2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채널 조건에 기초할 수도 있다. 더욱이, 데이터의 통신은 기지국 (1150) 에 데이터를 (송신 모듈 (1112) 을 통해) 송신하는 것 및/또는 기지국 (1150) 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모듈 (1104) 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장치 (1102) 가 다운링크에서 기지국 (1150) 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때, 채널 결정 모듈 (1106) 은 기지국 (1150) 으로부터, 제 1 세트의 하나 이상의 채널들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 1 세트의 각각의 채널의 채널 조건을 먼저 모니터링함으로써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할 수도 있다. 그 후에, 채널 결정 모듈 (1106) 은 임계치보다 큰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을 갖는 제 1 세트의 하나 이상의 채널들을 포함하도록 제 2 세트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를 통신하기 이전에, 데이터 프로세싱 모듈 (1108) 은 제 2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에 기초하여 제 2 세트의 채널들 사이에 데이터의 통신 (예를 들어, 데이터의 수신) 을 분할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데이터 프로세싱 모듈 (1108) 이 데이터 통신을 분할하기 이전에, 채널 결정 모듈 (1106) 은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에 응답하여 제 2 세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채널들 상에서 확인응답 (ACK)/부정 확인응답 (NACK) 신호를 기지국 (1150) 에 송신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장치 (1102) 가 업링크에서 기지국 (1150) 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때, 리소스 결정 모듈 (1110) 은 기지국 (1150) 으로부터, 기지국 (1150) 에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리소스 승인을 (수신 모듈 (1104) 을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채널 결정 모듈 (1106) 은 리소스 결정 모듈 (1110) 로부터 제공된 리소스 승인에 기초하여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채널 결정 모듈 (1106) 은 리소스 승인에 대응하는 제 1 세트의 채널들을 포함하도록 제 2 세트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를 통신하기 이전에, 데이터 프로세싱 모듈 (1108) 은 리소스 승인에 기초하여 제 2 세트의 채널들 사이에 데이터의 통신 (예를 들어, 데이터의 송신) 을 분할할 수도 있다.
장치는 도 8 의 전술한 플로우 차트들에서의 알고리즘의 단계들의 각각을 수행하는 추가적인 모듈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로써, 도 8 의 전술한 플로우 차트에서의 각각의 단계는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장치는 그 모듈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모듈들은 기재된 프로세스들/알고리즘을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되거나, 기재된 프로세스들/알고리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한 구현을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내에 저장되거나, 또는 그 일부 조합인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일 수도 있다.
도 12 는 프로세싱 시스템 (1214) 을 채용하는 장치 (1102') 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일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 (1200) 이다. 프로세싱 시스템 (1214) 은 버스 (1224) 에 의해 일반적으로 표현된, 버스 아키텍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버스 (1224) 는 전체 설계 제약들 및 프로세싱 시스템 (1214) 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하여 임의의 수의 상호접속 버스들 및 브릿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버스 (1224) 는 프로세서 (1204) 에 의해 표현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들, 모듈들 (1104, 1106, 1108, 1110, 1112)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206) 를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링크한다. 버스 (1224) 는 또한,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고, 따라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타이밍 소스들, 주변기기들, 전압 레귤레이터들, 및 전력 관리 회로들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들을 링크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 (1214) 은 트랜시버 (1210)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트랜시버 (1210) 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1220) 에 커플링된다. 트랜시버 (1210) 는 송신 매체를 통해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트랜시버 (1210) 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1220) 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프로세싱 시스템 (1214), 구체적으로는 수신 모듈 (1104) 에 제공한다. 추가로, 트랜시버 (1210) 는 프로세싱 시스템 (1214), 구체적으로는 송신 모듈 (1112) 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1220) 에 적용될 신호를 생성한다. 프로세싱 시스템 (1214) 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206) 에 커플링된 프로세서 (1204) 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1204) 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206) 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프로세싱을 담당한다.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 (1204) 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싱 시스템 (1214) 으로 하여금, 임의의 특정한 장치에 대해 위에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206) 는 또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 프로세서 (1204) 에 의해 조작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은 모듈들 (1104, 1106, 1108, 1110, 및 1112)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모듈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206) 에 상주/저장된, 프로세서 (1204) 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 프로세서 (1204) 에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모듈들, 또는 그 일부 조합일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 (1214) 는 UE (350) 의 컴포넌트일 수도 있고 메모리 (360) 및/또는 TX 프로세서 (368), RX 프로세서 (356), 및 제어기/프로세서 (35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102/1102') 는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채널들의 제 1 세트를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제 1 세트에서의 각각의 채널은 장치와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결정되는, 상기 채널들의 제 1 세트를 결정하는 수단, 제 1 세트로부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제 2 세트의 채널들은 임계치보다 큰 채널 조건을 갖는, 상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는 수단, 제 2 세트를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는 수단으로서, 데이터가 통신되는 제 2 세트의 채널은 제 2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채널 조건에 기초하는, 상기 제 2 세트를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는 수단, 장치에,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에 응답하여 제 2 세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채널들 상에서 확인응답 (ACK)/부정 확인응답 (NACK)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 및 제 2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에 기초하여 제 2 세트의 채널들 사이에 데이터 통신을 분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전술한 수단은 전술한 수단에 의해 열거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장치 (1102') 의 프로세싱 시스템 (1214) 및/또는 장치 (1102) 의 전술한 모듈들 중 하나 이상일 수도 있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세싱 시스템 (1214) 은 TX 프로세서 (368), RX 프로세서 (356), 및 제어기/프로세서 (359)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로써, 하나의 구성에서, 전술한 수단은 전술한 수단에 의해 열거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TX 프로세서 (368), RX 프로세서 (356), 및 제어기/프로세서 (359) 일 수도 있다.
개시된 프로세스들/플로우 차트들에서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법들의 예시인 것이 이해된다. 설계 선호도들에 기초하여, 프로세스들/플로우 차트들에서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구조가 재배열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게다가, 일부 단계들은 결합 또는 생략될 수도 있다. 첨부한 방법 청구항들은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샘플 순서로 제시하고, 제시된 특정 순서 또는 계층구조에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이전의 설명은 임의의 당업자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양태들을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들 양태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은 당업자들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고,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다른 양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본 명세서에 도시된 양태들에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고, 언어 청구항들에 부합하는 전체 범위를 따르도록 할 것이고, 여기서 단수의 엘리먼트에 대한 언급은 구체적으로 그렇게 기재하지 않는 한 "하나 및 단 하나" 를 의미하도록 의도되지 않고, 오히려 "하나 이상" 을 의미한다. 단어 "예시적인" 은 "일 예, 인스턴스, 또는 예시로서 기능하는 것" 을 의미하는데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으로서 설명된 임의의 양태는 반드시 선호되거나 또는 다른 양태들에 비해 이로운 것으로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다르게 기재하지 않는 한, 용어 "일부" 는 하나 이상을 지칭한다.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C, 또는 그 임의의 조합" 과 같은 조합들은 A, B, 및/또는 C 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고, A 의 배수, B 의 배수, 또는 C 의 배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C, 또는 그 임의의 조합" 과 같은 조합들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및 B 및 C 일 수도 있고, 여기서 임의의 이러한 조합들은 A, B, 또는 C 의 하나 이상의 멤버 또는 멤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당업자들에게 알려져 있거나 또는 후에 알려지게 되는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양태들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등가물들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분명히 통합되고 청구항들에 의해 포괄되도록 의도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어떤 것도, 이러한 개시가 청구항들에서 명시적으로 기재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공중에게 전용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어떤 청구항 엘리먼트도 그 엘리먼트가 어구 "위한 수단" 을 이용하여 분명히 기재되지 않는 한 수단 플러스 기능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30)

  1. 무선 통신의 방법으로서,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채널들의 제 1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세트에서의 각각의 채널은 상기 장치와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결정되는, 상기 채널들의 제 1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세트로부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세트의 채널들은 임계치보다 큰 채널 조건을 갖는, 상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세트를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데이터가 통신되는 상기 제 2 세트의 채널은 상기 제 2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채널 조건에 기초하는, 상기 제 2 세트를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장치에, 상기 제 1 세트의 각각의 채널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하나 이상의 채널들 상에서 확인응답 (ACK)/부정 확인응답 (NACK)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각각의 채널의 채널 조건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임계치보다 큰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을 갖는 상기 제 1 세트의 채널들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 2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세트의 채널들 사이에 통신될 상기 데이터를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세트의 각각의 채널 상에서 송신된 다수의 파일럿 신호들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세트의 각각의 채널의 채널 조건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제 1 세트의 각각의 채널의 모니터링된 상기 채널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리소스 승인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리소스 승인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세트의 채널들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 2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상기 리소스 승인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세트의 하나 이상의 채널들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각각의 채널의 채널 조건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임계치보다 큰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을 갖는 상기 제 1 세트의 하나 이상의 채널들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 2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세트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들 상에서 확인응답 (ACK)/부정 확인응답 (NACK)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세트의 채널들 사이에 데이터 통신을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장치에 상기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리소스 승인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리소스 승인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세트의 채널들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 2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1.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채널들의 제 1 세트를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세트에서의 각각의 채널은 상기 장치와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결정되는, 상기 채널들의 제 1 세트를 결정하는 수단;
    상기 제 1 세트로부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 2 세트의 채널들은 임계치보다 큰 채널 조건을 갖는, 상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제 2 세트를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데이터가 통신되는 상기 제 2 세트의 채널은 상기 제 2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채널 조건에 기초하는, 상기 제 2 세트를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는 수단은,
    상기 장치에, 상기 제 1 세트의 각각의 채널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하나 이상의 채널들 상에서 확인응답 (ACK)/부정 확인응답 (NACK)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각각의 채널의 채널 조건을 모니터링하고; 그리고
    상기 임계치보다 큰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을 갖는 상기 제 1 세트의 채널들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 2 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세트의 채널들 사이에 통신될 상기 데이터를 분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는 수단은 또한,
    상기 제 2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세트의 각각의 채널 상에서 송신된 다수의 파일럿 신호들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는 수단은,
    상기 제 1 세트의 각각의 채널의 채널 조건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 1 세트의 각각의 채널의 모니터링된 상기 채널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리소스 승인을 결정하고; 그리고
    결정된 상기 리소스 승인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세트의 채널들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 2 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상기 리소스 승인을 송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는 수단은,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세트의 하나 이상의 채널들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각각의 채널의 채널 조건을 모니터링하고; 그리고
    상기 임계치보다 큰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을 갖는 상기 제 1 세트의 하나 이상의 채널들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 2 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세트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들 상에서 확인응답 (ACK)/부정 확인응답 (NACK)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세트의 채널들 사이에 데이터 통신을 분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는 수단은,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장치에 상기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리소스 승인을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리소스 승인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세트의 채널들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 2 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1.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채널들의 제 1 세트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세트에서의 각각의 채널은 상기 장치와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결정되는, 상기 채널들의 제 1 세트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세트로부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2 세트의 채널들은 임계치보다 큰 채널 조건을 갖는, 상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세트를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데이터가 통신되는 상기 제 2 세트의 채널은 상기 제 2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채널 조건에 기초하는, 상기 제 2 세트를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장치에, 상기 제 1 세트의 각각의 채널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하나 이상의 채널들 상에서 확인응답 (ACK)/부정 확인응답 (NACK)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각각의 채널의 채널 조건을 모니터링하고; 그리고
    상기 임계치보다 큰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을 갖는 상기 제 1 세트의 채널들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 2 세트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 2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세트의 채널들 사이에 통신될 상기 데이터를 분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 2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세트의 각각의 채널 상에서 송신된 다수의 파일럿 신호들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세트의 각각의 채널의 채널 조건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 1 세트의 각각의 채널의 모니터링된 상기 채널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리소스 승인을 결정하고; 그리고
    결정된 상기 리소스 승인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세트의 채널들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 2 세트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장치에,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상기 리소스 승인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세트의 하나 이상의 채널들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각각의 채널의 채널 조건을 모니터링하고; 그리고
    상기 임계치보다 큰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을 갖는 상기 제 1 세트의 하나 이상의 채널들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 2 세트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장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세트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들 상에서 확인응답 (ACK)/부정 확인응답 (NACK) 신호를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모니터링된 채널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세트의 채널들 사이에 데이터 통신을 분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9.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장치에 상기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리소스 승인을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리소스 승인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세트의 채널들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 2 세트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0. 코드를 포함하고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채널들의 제 1 세트를 결정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세트에서의 각각의 채널은 상기 장치와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결정되는, 상기 채널들의 제 1 세트를 결정하게 하고;
    상기 제 1 세트로부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2 세트의 채널들은 임계치보다 큰 채널 조건을 갖는, 상기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세트를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데이터가 통신되는 상기 제 2 세트의 채널은 상기 제 2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채널 조건에 기초하는, 상기 제 2 세트를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167035815A 2014-06-27 2015-06-11 빔트래킹에 기초한 파티션 스케줄링 KR1019585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18,431 US9357558B2 (en) 2014-06-27 2014-06-27 Partition scheduling based on beamtracking
US14/318,431 2014-06-27
PCT/US2015/035249 WO2015199989A1 (en) 2014-06-27 2015-06-11 Partition scheduling based on beamtrack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839A true KR20170023839A (ko) 2017-03-06
KR101958537B1 KR101958537B1 (ko) 2019-03-14

Family

ID=53776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815A KR101958537B1 (ko) 2014-06-27 2015-06-11 빔트래킹에 기초한 파티션 스케줄링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57558B2 (ko)
EP (1) EP3138212B1 (ko)
JP (1) JP6456985B2 (ko)
KR (1) KR101958537B1 (ko)
CN (1) CN106664126B (ko)
CA (1) CA2952603C (ko)
WO (1) WO20151999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92209A1 (en) * 2014-12-31 2016-06-30 Thomson Licensing Antenna radiation pattern adjustment and mobile devices
CN106936487B (zh) * 2015-12-31 2021-01-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波束训练方法和装置
US10219231B2 (en) * 2016-07-27 2019-02-26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beamformed broadcast and synchronization signals in massive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ommunications systems
CN107682066A (zh) * 2016-08-02 2018-02-09 北京信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接收数据的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2519A1 (en) * 2008-11-04 2010-05-14 Nokia Corporation Asymmetric beam steering protocol
KR20100124331A (ko) * 2008-03-17 2010-11-26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Mimo 시스템들에서 피드백을 사용한 멀티-레졸루션 빔형성
KR20130017562A (ko) * 2011-08-11 201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3293B2 (ja) * 2004-11-12 2010-05-19 三洋電機株式会社 送信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無線装置
US7881258B2 (en) 2006-03-22 2011-02-01 Sibeam, Inc. Mechanism for streaming media data over wideband wireless networks
US8432938B2 (en) 2006-03-29 2013-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video stream transmission over wireless channels
US8054223B2 (en) 2007-11-06 2011-11-08 Qualcomm Incorporated Quasi-omni training in channel time allocation period
US8116819B2 (en) 2008-12-31 2012-02-14 Intel Corporation Arrangements for beam refinement in a wireless network
US8457026B1 (en) 2009-02-03 2013-06-04 Sibeam, Inc. Enhanced wireless data rates using multiple beams
EP2282471A1 (en) * 2009-08-07 2011-02-09 Thomson Licensing Data transmission using low density parity check coding and constellation mapping
US8976729B2 (en) * 2009-08-19 2015-03-10 Qualcomm Incorporated Maximum power spectral density reporting in response to overload indications
US20110103247A1 (en) * 2009-11-02 2011-05-05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atus reporting
US8611940B2 (en) 2009-11-20 2013-12-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a channel access protocol for directional MAC
US8923219B2 (en) * 2010-02-17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daptive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rate in multi-user communication systems
US9591593B2 (en) * 2011-07-22 2017-03-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radio uplink power control
IN2014DN10839A (ko) * 2012-08-03 2015-09-04 Ericsson Telefon Ab L M
US9130611B2 (en) 2012-08-17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using zoning map for beam searching, tracking and refinement
WO2014074894A1 (en) * 2012-11-09 2014-05-1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Beamforming methods and methods for using beam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4331A (ko) * 2008-03-17 2010-11-26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Mimo 시스템들에서 피드백을 사용한 멀티-레졸루션 빔형성
WO2010052519A1 (en) * 2008-11-04 2010-05-14 Nokia Corporation Asymmetric beam steering protocol
KR20130017562A (ko) * 2011-08-11 201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26230A (ja) 2017-09-07
CN106664126B (zh) 2020-06-05
US20150382370A1 (en) 2015-12-31
CN106664126A (zh) 2017-05-10
US9357558B2 (en) 2016-05-31
EP3138212A1 (en) 2017-03-08
BR112016030040A2 (pt) 2017-08-22
WO2015199989A1 (en) 2015-12-30
KR101958537B1 (ko) 2019-03-14
CA2952603C (en) 2020-10-27
JP6456985B2 (ja) 2019-01-23
CA2952603A1 (en) 2015-12-30
EP3138212B1 (en) 201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27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weight messaging during initial synchronization, discovery, and association in directional wireless systems
EP3155729B1 (en) Beamform scheduling based on the directionality of ues
KR101761086B1 (ko) 지향성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접속 포인트 발견 및 연관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28292B1 (ko) 배향 기반 빔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75307B1 (ko)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통합된 안테나 빔 트레이닝에 의한 핸드오버
US10097321B2 (en) Cooperative techniques between lower-frequency carriers and millimeter-wave channels for discovery and synchronization and beamforming
KR101958537B1 (ko) 빔트래킹에 기초한 파티션 스케줄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