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5751A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5751A
KR20160025751A KR1020140112984A KR20140112984A KR20160025751A KR 20160025751 A KR20160025751 A KR 20160025751A KR 1020140112984 A KR1020140112984 A KR 1020140112984A KR 20140112984 A KR20140112984 A KR 20140112984A KR 20160025751 A KR20160025751 A KR 20160025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retransmission
width
present
beam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0286B1 (ko
Inventor
박성진
김민호
조동호
류선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2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286B1/ko
Priority to US14/839,751 priority patent/US10064069B2/en
Publication of KR20160025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6Weighted combining using weights depending on external parameters, e.g. direction of arrival [DOA], predetermined weights or beam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5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at the moment of starting communication in a multiple access enviro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재전송 빔 설정 방법을 설정하는 기준(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송신단 및 수신단 모두 적용 가능하고, 빔 방향 및 빔 폭을 적응적으로 조절하여 재전송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빔 설정 방법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방법에 있어서, 랜덤 억세스 시도 실패에 응답하여, 기준값을 고려하여 빔 폭 및 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하여 재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값은 후보 빔 조합의 빔 이득 히스토리, 이전 전송 실패 히스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BEAM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상용화가 된 4세대 이동 통신에 이어 차세대 이동 통신인 5세대 이동 통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제안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주파수 대역을 증가시켜 시스템 통신 용량을 증가시키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주파수 대역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셀룰러 시스템에서 쓰이던 3GHz 캐리어 주파수가 아닌 3~30GHz의 초고주파(이하 "mmWave"이라 칭함) 대역의 사용이 불가피하다.
mmWave 대역에서의 이동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 대역의 주파수 특성상 경로손실, 반사 손실 등의 전파손실이 증가하는 단점을 가진다. 이로 인해 전파의 도달거리는 상대적으로 짧아져 서비스 영역(coverage)의 감소를 초래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초고주파로 인해 파장길이가 매우 짧아져서 다수의 작은 안테나를 이용한 빔포밍(beamforming)을 적용하기에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mmWave 대역의 전파 특성인 지향성과 간섭 제어를 위해 빔포밍 기술을 이용한다. 다중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하여 기지국은 물론 단말에서도 특정 각도와 너비를 가진 빔을 생성하여 통신을 한다.
섹터빔을 쓰는 기존 셀룰러 시스템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빔의 어긋남으로 인해 deafness가 생긴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송신빔을 생성하여 단말과 통신을 하고자 할 경우, 단말이 빔포밍을 하지 않고 기존처럼 옴니(omni) 안테나를 사용하면 수신할 때 문제가 없지만, 빔포밍을 하게 될 경우 수신빔이 기지국의 송신빔과 매칭되지 않을 경우 안테나 이득(gain)이 현저히 떨어져 통신이 거의 불가능하다. 반대로 단말이 송신빔을 생성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기지국의 수신빔이 단말의 송신빔과 매칭되지 않을 경우 통신이 어렵다.
본 발명은 mmWave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재전송 시, 송신단 뿐만 아니라 수신단에서도 빔의 방향과 폭을 적응적으로 조절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mmWave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재전송 시, 빔 이득을 높일 수 있도록 빔을 조절하여 재전송 성공 확률을 증가시키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방법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방법에 있어서, 랜덤 억세스 시도 실패에 응답하여, 기준값을 고려하여 빔 폭 및 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하여 재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값은 후보 빔 조합의 빔 이득 히스토리, 이전 전송 실패 히스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장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장치에 있어서, 랜덤 억세스 시도 실패에 응답하여, 기준값을 고려하여 빔 폭 및 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하여 재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값은 후보 빔 조합의 빔 이득 히스토리, 이전 전송 실패 히스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mmWave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재전송 시, 송신단 뿐만 아니라 수신단에서도 빔의 방향과 폭을 적응적으로 조절하여 재전송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mmWave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재전송 시, 빔 이득을 높일 수 있도록 빔을 조절하여 재전송 성공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통신국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제1, 제2 및 제3 재전송 기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전송 빔 설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재전송 빔 설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재전송 빔 설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 내지 제3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는 재전송 후보 빔을 설정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빔 설정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빔 설정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빔 설정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 내지 제3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는 재전송 후보 빔을 설정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블록 구성도;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블록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기존의 선행기술에서 고려하고 있는 빔 설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기존 선행기술에서는 링크 불안정으로 패킷 전송이 실패하였을 경우 빠르게 링크를 복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고,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통신국의 블록 구성도이다.
통신국(100)은 방향성 안테나(102)를 사용하여 통신국(CS)(150) 등의 하나 이상의 다른 통신국들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국(100)은 통신국(150)에 의한 수신을 위해 방향들(101A, 101B, 101C) 중 하나의 방향으로 패킷들을 송신하기 위해, 방향성 안테나(102)에 결합된 방향 조종 회로(104)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국(100)은 또한 방향성 안테나(102)에 의해 송신 및 수신 방향을 선택 및/또는 결정하는 시스템 콘트롤러(106)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국(100) 또는 통신국(150) 중 어느 하나가 송신국으로서 동작할 수 있으며, 통신국(100) 또는 통신국(150) 중 어느 하나가 수신국으로서 동작할 수 도 있다.
다수의 재송신 시도 후에도 수신국으로부터 승인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송신국은 인접한 방향으로 패킷을 재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실패 예약 후에도 송신국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수신국은 인접한 방향으로 수신을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송신국 또는 수신국은 다수의 재송신 시도 후에도 통신에 실패하였을 경우 인접한 방향으로 빔 송수신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두 번째 기존 선행기술에서는 재전송 상황이 아닌 랜덤 억세스(Random Access) 상황이지만, 송신단에서 전송 빔의 파워 레벨 또는 전송빔의 폭을 조절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고,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제1, 제2 및 제3 재전송 기법을 도시한다.
도 2에서, 유효하지 않은 영역(205)은 성공적인 랜덤 억세스를 달성하기에 Tx 전력이 너무 낮고, TX 빔 폭이 너무 넓은 경우의 Tx 전력와 Tx 빔 폭 조합을 식별한다.
재전송 기법-1(210)에서, 랜덤 억세스가 성공하지 않으면, 단말은 연속적인 반복(iteration)으로 그의 Tx 전력(212)를 ΔP만큼 제1 부스팅하여 재전송을 시도하는데, 랜덤 억세스가 달성되거나 임계 레벨 Pmax에 도달할 때까지 그러하다. 임계 Tx 전력 레벨은 최대 전력 레벨이거나 어떤 소정의 전력 레벨 또는 특정화된 전력 레벨일 수 있다. 이후에, 랜덤 억세스가 여전히 달성되지 않으면, 단말은 연속적인 반복으로 Tx 빔 폭(214)을 ΔW만큼 감소시키되, 랜덤 억세스가 달성되거나 임계 레벨 Wmin에 도달할 때까지 그러하다. 임계 Tx 빔 폭 레벨은 최소빔 폭 레벨이거나 어떤 소정의 빔 폭 레벨 또는 특정화된 빔 폭 레벨일 수 있다.
재전송 기법-2(220)에서, 랜덤 억세스가 성공하지 않으면, 단말은 연속적인 반복으로 그의 빔 폭 Tx 전력(222)를 ΔW만큼 제1 감소시켜 재전송을 시도하는데, 랜덤 억세스가 달성되거나 임계 레벨 Wmin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임계 Tx 빔 폭 레벨은 최소 빔 폭 레벨이거나 어떤 소정의 빔 폭 레벨 또는 특정화된 빔 폭 레벨일 수 있다. 이후에, 랜덤 억세스가 여전히 달성되지 않으면, 단말은 연속적인 반복으로 그의 Tx 빔 폭(224)을 ΔP만큼 부스팅하되, 랜덤 억세스가 달성되거나 임계 레벨 Pmax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임계 Tx 전력 레벨은 최대 전력 레벨이거나 어떤 소정의 전력 레벨 또는 특정화된 전력 레벨일 수 있다.
재전송 기법-3(230)에서, 랜덤 억세스가 성공하지 않으면, 단말은 연속적인 반복으로 그의 Tx 전력을 부스팅하고 그의 Tx 빔 폭을 감소시켜 재전송을 시도한다. 예컨대, 제1 재전송 시도에서, 단말은 그의 Tx 빔 폭(232)을 줄인다. 랜덤 억세스가 성공하지 않으면, 단말은 그의 Tx 전력(234)를 부스팅하여 랜덤 억세스를 재시도한다. 단말은 연속적인 반복으로 그의 Tx 빔 폭(232)를 ΔW 만큼 계속 감소시키고 그의 Tx 전력 레벨(234)을 ΔP만큼 계속 부스팅하는데, 랜덤 억세스가 달성되거나 임계 레벨(Wmin)에 도달하거나 임계 레벨(Pmax)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mmWave 빔포밍을 사용하는 환경에서 랜덤 억세스 채널의 실패에 대응하여 재접속 유효시간 내에 전송 파워레벨, 전송빔 폭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랜덤 억세스를 다시 시도할 시 반영할 수 있다.
전술한 선행기술들은 주로 송신단 관점에서 재전송을 수행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즉, 선행기술들은 처음 송신된 빔과 다른 방향을 가진 빔 혹은 다른 폭을 가진 빔으로 재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기반으로 제안되었다. 수신단에서 고려하는 빔변경 방안도 빔의 방향을 단순히 이웃 빔으로 변경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재전송시 송수신의 빔특성을 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경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mmWave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문제가 될 수 있는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재전송 방안에서 효율적인 해결책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재전송 시, 송신단 뿐만 아니라 수신단에서도 빔의 방향과 폭을 적응적으로 조절하여 재전송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전송 시 단말과 기지국이 통신하게 될 재전송 빔을 선정하는 방법으로, 후보 빔 조합의 빔 이득 히스토리, 이전 전송 실패 히스토리, 이동성 등을 고려하여 재전송 송수신빔의 빔 방향, 빔 폭을 조절할 수 있다. mmWave 대역의 다양한 채널 특성을 고려하면 재전송 성공확률이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전송 빔 설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재전송에 사용되는 송수신 빔의 폭 변화 없이 방향만을 변화 시킴으로써 재전송을 제공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송수신 빔 전송/재전송 전에 송수신 빔 스캐닝을 통해 송수신 후보 빔을 선정한다. 이때, 송수신 빔 방향에 따른 수신 신호 세기를 추정하고, 수신 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재전송 빔을 설정한다.
일 예로, 전송 단계(310)에서는 송신 빔 ID 6과 수신 빔 ID 6에서 빔을 전송하고, 1차 재전송 단계(320)에서는 송신 빔 ID 5과 수신 빔 ID 5에서 빔을 전송하고, 2차 재전송 단계(330)에서는 송신 빔 ID 7과 수신 빔 ID 6에서 빔을 전송한다.
결과적으로, 6(송신 빔 ID) - 6(수신 빔 ID) => 5(송신 빔 ID)-5(수신 빔 ID) => 7(송신 빔 ID)-8(수신 빔 ID) 순으로 빔 수신 신호 세기가 클 경우, 송신단과 수신단은 전송 및 각 재전송 시점에 맞춰 해당 빔을 전송한다.
송신단과 수신단은 각각 상대방의 빔 방향 변화에 상관없이 각 시점에 자신이 전송해야 할 빔 방향 정보만을 저장함으로써 동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재전송 빔 설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송신(수신) 빔 폭을 변화(빔 방향 고정)시키는 동시에 수신(송신) 빔 방향을 변화(빔 폭 고정)시키는 경우를 나타낸다.
일 예로, 전송 단계(410)에서는 송신 빔 ID 6과 수신 빔 ID 6에서 빔을 전송하고, 1차 재전송 단계(420)에서는 송신 빔 ID 6과 수신 빔 ID 5에서 빔을 전송하고, 2차 재전송 단계(430)에서는 송신 빔 ID 6과 수신 빔 ID 7에서 빔을 전송한다. 이때, 재전송 시, 송신(수신) 단의 재전송 빔 폭을 변화 시키며, 수신(송신) 단은 재전송 빔 방향을 변화 시킴으로써 재전송 송수신 빔을 설정한다.
즉, 송신(수신) 단은 재전송 빔 방향은 전송 방향과 동일하게 고정된 상태이며, 재전송 시, 빔 폭을 이전 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재전송 빔을 설정한다. 이때, 송신(수신) 단은 안테나 배열, 안테나 수 등에 따라서 빔 폭을 얼마나 크게 설정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수신(송신) 단은 재전송 빔 폭은 전송 빔 폭과 동일하게 설정하며, 재전송 빔 방향을 전송 빔 방향을 기준으로 주변 후보 빔 중 하나를 랜덤하게 설정함으로써 재전송 빔을 설정한다. 이때 같은 빔 방향이 선택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재전송 빔 설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송신 빔 폭을 변화(빔 방향 고정)시키는 동시에 수신 빔 폭을 변화 (빔 방향 고정)시키는 경우를 나타낸다.
일 예로, 전송 단계(510)에서는 송신 빔 ID 6과 수신 빔 ID 6에서 빔을 전송하고, 1차 재전송 단계(520)에서는 송신 빔 ID 6과 수신 빔 ID 6에서 빔을 전송하고, 2차 재전송 단계(530)에서는 송신 빔 ID 6과 수신 빔 ID 6에서 빔을 전송한다. 이때 빔 방향은 고정한다.
재전송 시, 송수신 빔 방향의 변화 없이 송수신 빔 폭을 변화하여 재전송 빔을 설정한다. 즉, 송신단과 수신단 모두 전송 시, 사용된 빔 방향은 동일하게 사용하면서 이전보다 넓은 빔 폭을 설정함으로써 재전송을 수행한다. 빔 폭의 증가량은 송신단과 수신단 모두 동일하거나 다르게 설정 가능하다. 가능한 실시 예로 송수신 빔 폭의 변화를 통해 재전송 빔을 설정한다. 송신(수신) 단과 수신(송신) 단은 안테나 배열, 안테나 수 등에 따라서 빔 폭을 얼마나 크게 설정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 내지 제3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는 재전송 후보 빔을 설정하는 도면이다.
수신단(송신단)의 입장에서 재전송 후보 빔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두 경우가 가능하다.
1. 빔 방향을 변경하는 방법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빔 방향을 변경하는 방법은 빔 이득(또는 data rate)은 기대할 수 있지만, 수신 빔과 송신 빔의 매칭 확률이 낮아지게 된다.
2. 빔 폭을 변경하는 방법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빔 이득이 클수록 형성되는 빔 폭은 좁아지고, 빔 이득이 작을수록 형성되는 빔 폭은 넓어진다. 따라서 빔 폭을 변경하는 방법은 빔 이득(또는 data rate)은 기대하기 어렵지만, 수신 빔과 송신 빔의 매칭 확률이 높아진다.
우선 첫 번째로 수신단에서 빔 방향 또는 빔 폭의 변화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은 3 가지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후보 빔 조합의 빔 이득 히스토리, 이전 전송 실패 히스토리, 이동성 등이 빔 방향 또는 빔 폭의 변화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상기 후보 빔 조합의 빔 이득 히스토리와 이전 전송 실패 히스토리는 모두 전송과 재전송 사이의 correlation이 존재할 때에 사용 가능(예를 들어, 단말의 이동성이 거의 없는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그러므로 각각의 메트릭(metric)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빔 방향 및/또는 빔 폭의 변화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두 번째로 송신단에서 빔 방향 또는 빔 폭의 변화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은 후보 빔 조합의 빔 이득 히스토리, 이전 전송 실패 히스토리, 이동성 등 모두를 포함하고, 추가로 수신단에서 서비스가 가능한 최대 허용 송신 빔 폭을 고려하여 빔 방향 또는 빔 폭을 변경한다.
다음은 빔 폭과 빔 방향을 변경하는 4가지 결정 기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결정 기준 a : 후보 빔 조합의 빔 이득 히스토리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빔 설정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후보 빔 즉, 송신 빔 ID 5와 수신 빔 ID 5의 조합의 빔 이득은 예컨대 0.3임을 가정한다. 후보 빔 조합의 빔 이득이 임계값 보다 큰 가를 판단한다. 만약 후보 빔 조합의 빔 이득이 임계값 보다 큰 경우, 빔 방향을 변경한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재전송 후보 빔(610) 중 빔(송신 빔 ID 5- 수신 빔 ID 5)에 해당하는 과거 빔 이득이 0.3이고, 재전송 후보 빔(610) 중 빔(송신 빔 ID 7- 수신 빔 ID 8)에 해당하는 과거 빔 이득이 0.2 일 경우, 재전송 후보 빔의 과거 빔 이득이 좋지 않기 때문에 재전송 후보 빔(610) 설정 시, 도 3과 같이, 송수신단 모두 빔 방향만 변경하는 경우를 배제한다.
결정 기준 b : 이전 전송 실패 히스토리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빔 설정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이전의 전송 성공 및 실패 히스토리 예를 참조하여, 재전송 시점 기준으로 프레임(700)에서 일정 시간 내에 전송 실패가 일어난 횟수(전송 실패가 일어난 횟수는 참조번호 720, 750을 통해 알 수 있다.)와 해당 재전송 횟수(재전송 횟수는 참조번호 710, 730, 740을 통해 알 수 있다.)를 확인한다. 전송 실패가 빈번하면, 빔 폭을 넓혀서 링크가 연결될 확률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결정 기준 c : 이동성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빔 설정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성을 근거로 한 빔 방향 및/또는 빔 폭의 변화 여부 결정은 단말(820, 830)과 기지국(810)에서 모두 적용 가능하다. 단말과 기지국은 자신의 이동성을 파악할 수 있는 여러 요소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단말과 기지국의 이동성이 크다고 판단되면, 빔 폭을 증가시키고, 단말과 기지국의 이동성이 작다고 판단되면, 빔 방향을 변경한다. 도 8은 단말의 이동성이 크다고 판단될 경우, 빔 폭을 증가시킬 수 있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결정 기준 d : 수신단에서 서비스가 가능한 최대 허용 송신 빔 폭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빔 설정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송신 빔 폭과 빔 이득은 서로 반비례 관계이므로, 송신 빔 폭이 작을수록 서비스 반경(coverage)이 넓어지게 된다. 기지국(910)은 전송하기 전에 단말 별(920, 930)로 최대 허용 가능한 송신 빔 폭을 탐색함으로써, 서비스가 가능한 최대 허용 송신 빔 폭 정보를 재전송에 반영한다. 기지국은 다양한 빔 폭을 가진 빔을 파일럿 정보로 활용하여 전송한다. 단말은 서비스가 가능한 최대 허용 송신 빔 폭 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단말이 송신기일 경우는 해당 정보를 동일하게 활용할 수 있다.
전술한 4 가지 결정기준(a, b, c, d)을 가지고, 기지국과 단말은 재전송시 빔 방향 또는 빔 폭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 내지 제3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는 재전송 후보 빔을 설정하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송신단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수신단에서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송신단은 1000 단계에서 재전송을 시작한다. 송신단은 1002 단계에서 허용 송신 빔임을 판단한다. 허용 송신 빔이 아닌 경우, 송신단은 1010 단계에서 빔 방향을 변경한다. 그러나 허용 송신 빔인 경우, 송신단은 1004 단계에서 전송과 재전송 사이의 correlation이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 만약, 전송과 재전송 사이의 correlation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송신단은 1008 단계에서 빔 폭을 변경한다.
송신단의 1004 단계에서 correlation이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과정은 전송 및/또는 재전송 사이의 구간 길이가 임계값 보다 작은가를 판단하는 과정 또는/및 단말 또는 기지국의 이동성이 임계값 보다 작은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러나 전송과 재전송 사이의 correlation이 존재하는 경우, 송신단은 1006 단계에서 제1 히스토리를 판단한다. 제1 히스토리를 판단하는 과정은 결정기준 a, b에 해당한다. 예컨대, 후보 빔 조합의 빔 이득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또는 이전 전송 실패 및/또는 성공 회수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송신단은 1010 단계로 진행하여 빔 방향을 변경한다. 그러나 후보 빔 조합의 빔 이득값이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또는 이전 전송 실패 및/또는 성공 회수가 임계값 보다 큰 경우, 송신단은 1008 단계로 진행하여 빔 폭을 변경한다.
도 10에서 1002 단계, 1004 단계, 1006 단계는 "and" 개념으로 기재하였지만, "or"개념으로 적용 가능하다. 즉, 송신단은 재전송 시작 단계(1000 단계) 이후 1002 단계 또는 1004 단계 또는 1006 단계를 수행 가능하고, 1002 단계 또는 1004 단계 또는 1006 단계의 실행 순서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11의 경우는 도 10과 유사하다. 그러나 다른 점은 1106 단계에서 송신단은 제2 히스토리를 판단한다. 제2 히스토리는 결정기준 a 또는 b에 해당한다. 또 다른 점은 송신단의 1104 단계에서 correlation이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과정은 전송 및/또는 재전송 사이의 구간 길이가 임계값 보다 작은가를 판단하는 과정만을 포함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송신단이 될 수도 있고 수신단이 될 수도 있다.
단말은 송/수신부(1230), 수신부(1210), 제어부(1210), 메모리부(12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20)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1230)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과 수신 모듈을 각각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송/수신부(12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빔 방향 및/또는 빔 폭의 변화 여부를 결정하여 기지국 또는 단말로 알려주기 위한 메시지 또는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 송/수신부(1230)는 서비스가 가능한 최대 허용 송신 빔 폭 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상기 제어부(12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서, 후보 빔조합의 빔 이득 히스토리, 이전 전송 실패 히스토리, 이동성 등을 이용하여 빔 폭 및/또는 빔 방향을 변경한다. 상기 제어부(1220)는 수신단에서의 서비스가 가능한 최대 허용 송신 빔 폭 정보를 이용하여 빔 폭 및/또는 빔 방향을 변경한다.
상기 메모리부(1240)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빔을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 또는 추출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2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상기 제어부(1210)로 전달하거나 상기 제어부(121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은 송신단이 될 수도 있고 수신단이 될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송/수신부(1320), 메모리부(1330), 제어부(1310)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1320)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빔 설정을 위해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메모리부(1330)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빔을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 또는 추출한다.
상기 제어부(1310)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서, 후보 빔조합의 빔 이득 히스토리, 이전 전송 실패 히스토리, 이동성 등을 이용하여 빔 폭 및/또는 빔 방향을 변경한다. 상기 제어부(1310)는 수신단에서 서비스가 가능한 최대 허용 송신 빔 폭 정보를 이용하여 빔 폭 및/또는 빔 방향을 변경한다.
본 발명은 송수신단에서 재전송을 수행할 시 여러 가지 환경을 고려하여 빔 폭과 빔 방향을 변화시켜 재전송에 유리한 빔을 생성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해당 기준에는 이전의 빔 이득 히스토리를 이용하여 현재의 빔 이득을 예측하는 방법과 이전 전송 실패 히스토리를 이용하는 방법과 같이 과거 기록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단말의 경우 이동성을 가지기 때문에 이동성을 정도를 기준으로 빔 폭과 빔 방향을 조정한다. 기지국 또한 이동성 정도를 기준으로 빔 폭과 빔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신단에서 서비스가 가능한 최대 허용 빔 폭을 가지고 재전송 빔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mmWave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재전송 시 빔 이득을 높일 수 있도록 빔을 조절하여 재전송 성공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방법 및 장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프로그램 처리 장치가 기 설정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2)

  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방법에 있어서,
    랜덤 억세스 시도 실패에 응답하여, 기준값을 고려하여 빔 폭 및 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하여 재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값은 후보 빔 조합의 빔 이득 히스토리, 이전 전송 실패 히스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폭 및 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는 안테나 수 및 안테나 배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변경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이동성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서비스가 가능한 최대 허용 송신 빔 폭 정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빔 조합의 빔 이득 히스토리, 이전 전송 실패 히스토리는 전송과 재전송 사이의 correlation이 존재할 경우에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가 가능한 최대 허용 송신 빔 폭 정보는 송신단에 의해 단말 별로 최대 허용 가능한 송신 빔 폭을 탐색하여 재전송에 반영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방법.
  7.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장치에 있어서,
    랜덤 억세스 시도 실패에 응답하여, 기준값을 고려하여 빔 폭 및 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하여 재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값은 후보 빔 조합의 빔 이득 히스토리, 이전 전송 실패 히스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빔 폭 및 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는 안테나 수 및 안테나 배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변경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이동성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서비스가 가능한 최대 허용 송신 빔 폭 정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빔 조합의 빔 이득 히스토리, 이전 전송 실패 히스토리는 전송과 재전송 사이의 correlation이 존재할 경우에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가 가능한 최대 허용 송신 빔 폭 정보는 송신단에 의해 단말 별로 최대 허용 가능한 송신 빔 폭을 탐색하여 재전송에 반영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장치.
KR1020140112984A 2014-08-28 2014-08-28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2220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984A KR102220286B1 (ko) 2014-08-28 2014-08-28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방법 및 장치
US14/839,751 US10064069B2 (en) 2014-08-28 2015-08-28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beam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984A KR102220286B1 (ko) 2014-08-28 2014-08-28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751A true KR20160025751A (ko) 2016-03-09
KR102220286B1 KR102220286B1 (ko) 2021-02-25

Family

ID=55404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984A KR102220286B1 (ko) 2014-08-28 2014-08-28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64069B2 (ko)
KR (1) KR1022202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7586A1 (ko) * 2016-06-16 2017-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지시자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95285A (ko) * 2016-12-16 2019-08-1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랜덤 액세스 초기 메시지 송신 및 재송신을 위한 업링크 송신 파라미터 선택
CN114423019A (zh) * 2020-10-09 2022-04-29 诺基亚通信公司 监测波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5491B2 (en) * 2015-09-28 2019-02-12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large scale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ommunications
CN108352874B (zh) 2015-10-20 2021-09-0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执行波束成形的方法和设备
US10028303B2 (en) * 2015-10-26 2018-07-17 Intel IP Corporation Clear channel assessment (CCA) in wireless networks
WO2017162301A1 (en) * 2016-03-24 2017-09-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wireless communication node adapted to radiate antenna beams of different types
US10111255B2 (en) * 2016-05-16 2018-10-23 Qualcomm Incorporated Beam and symbol selection to transmit RACH
US9866293B1 (en) * 2016-06-30 2018-01-09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pdating one or more beamforming settings of a beamformed link
US10681742B2 (en) * 2016-07-18 2020-06-09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505618B2 (en) * 2016-08-10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measurement and management in wireless systems
CN108012334B (zh) * 2016-10-31 2021-11-30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方法、终端设备和无线接入网设备
US11296770B2 (en) 2016-11-11 2022-04-05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US10420018B2 (en) * 2016-11-23 2019-09-17 Qualcomm Incorporated Steady-state beam scanning and codebook generation
WO2018112808A1 (zh) * 2016-12-21 2018-06-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信号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18127283A1 (en) * 2017-01-05 2018-07-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figuration of beamforming mode
EP3545627A1 (en) 2017-01-05 2019-10-02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s devices,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CN115413056A (zh) * 2017-01-06 2022-11-2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前导序列重传的方法、用户设备及基站
JP6916893B2 (ja) * 2017-03-22 2021-08-1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ビーム回復過程を行う方法とユーザ機器、及びビーム回復過程の支援方法及び基地局
CN108632837B (zh) * 2017-03-23 2022-01-21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波束通信方法及装置
US10863399B2 (en) * 2017-05-04 2020-12-08 Qualcomm Incorporated Predictive beamforming and subarray selection
US10674383B2 (en) * 2017-07-25 2020-06-02 Mediatek Inc. Channels and procedures for beam failure recovery
US10256877B2 (en) 2017-08-02 2019-04-0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beam refinement
EP3685516A1 (en) * 2017-09-19 2020-07-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eam assignment in a communications network
JP7227150B2 (ja) * 2017-11-02 2023-02-21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WO2019125255A1 (en) * 2017-12-21 2019-06-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beam assignment support
CN111567119B (zh) * 2017-12-22 2024-02-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执行波束故障恢复的方法和无线通信设备
CN108513724B (zh) * 2018-01-12 2022-09-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及数据发送端
WO2019161733A1 (en) 2018-02-23 2019-08-29 Huawei Technologies Co., Ltd. A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reception beam
CN111869275B (zh) * 2018-03-14 2023-07-18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用于传输方案的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EP3766188A4 (en) * 2018-03-16 2022-01-19 Lenovo (Beijing) Limited BEAM FAILURE RECOVERY
KR102500149B1 (ko) 2018-08-27 2023-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폭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N112020077B (zh) * 2019-05-30 2022-06-10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
WO2021154131A1 (en) * 2020-01-31 2021-08-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mproved relay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1483776B1 (en) * 2021-04-23 2022-10-2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per-beam adjustment of output power in a wireless network
US20230156664A1 (en) * 2021-11-18 2023-05-18 Qualcomm Incorporated Sidelink repeating operations
WO2023239273A1 (en) * 2022-06-10 2023-12-14 Beammwave Ab A method of pre-coding a data packet for a multi-antenna transmitter and receiver arrangement, a computer program product,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 multi-antenna transmitter and receiver arrangement, a wireless device, and a transceiver nod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7562A (ko) * 2011-08-11 201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KR20130043078A (ko) * 2011-10-19 2013-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30090528A (ko) * 2012-02-06 2013-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 기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130100733A (ko) * 2012-03-02 2013-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적응적 빔포밍 이득 조정 장치 및 방법
KR20140009046A (ko) * 2012-07-12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망에서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임의 접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7842A1 (ja) * 2005-01-19 2006-07-27 Nec Corporation 無線通信装置およびアンテナ指向性・無線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
KR101264327B1 (ko) * 2006-04-19 2013-05-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랜덤액세스 다이버시티를 얻기 위한 이동국의 송신 방법
US7652624B2 (en) 2007-03-06 2010-01-26 Intel Corporation Millimeter-wave communication stations with directional antennas and methods for fast link recovery
US8996066B1 (en) * 2008-02-11 2015-03-31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directing a beam towards a device in the presence of interference
WO2013058612A1 (en) * 2011-10-19 2013-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link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7562A (ko) * 2011-08-11 201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KR20130043078A (ko) * 2011-10-19 2013-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30090528A (ko) * 2012-02-06 2013-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 기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130100733A (ko) * 2012-03-02 2013-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적응적 빔포밍 이득 조정 장치 및 방법
KR20140009046A (ko) * 2012-07-12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망에서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임의 접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7586A1 (ko) * 2016-06-16 2017-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지시자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95285A (ko) * 2016-12-16 2019-08-1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랜덤 액세스 초기 메시지 송신 및 재송신을 위한 업링크 송신 파라미터 선택
CN114423019A (zh) * 2020-10-09 2022-04-29 诺基亚通信公司 监测波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64069B2 (en) 2018-08-28
KR102220286B1 (ko) 2021-02-25
US20160066197A1 (en)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0286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방법 및 장치
US106303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ptim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ams in beamforming system
KR101563469B1 (ko) 스위치드 빔포밍을 통해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 및 그 제어 방법과, 기지국의 제어 방법
KR10214029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정보 송신 방법 및 장치
US95786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2D communication
JP4241395B2 (ja) スマートアンテナを持つ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方法
KR10191085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를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703113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 in beam forming-based communication system
US104775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14128356A (zh) 用于无线网络的功率暴露报告
CN103875190A (zh) 在无线通信系统中跟踪波束的方法和装置
US20160212680A1 (en) Rapid rerout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US10819159B2 (en) Methods of wireless power transfer by energy signal transfer apparatus operating in the same frequency band as wireless local area network in wireless power transfer energy harvesting system and energy signal transfer apparatuses for performing the same
US964210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ransmission-power control device
JP2007525065A (ja) 空間ダイバーシティに基づくアクセスポイントのためのアンテナステアリング
US8249599B2 (en) Terminal, random access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ase station
RU2008145711A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влияния внесотовых помех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отовой связ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радиоуправления с обратной связью
WO2019062676A1 (zh) 一种随机接入重传方法及装置、终端、计算机可读介质
US11632161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11869275B (zh) 用于传输方案的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JP2007019835A (ja) 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20120028573A1 (en) Directional communication technique for systems with stations having multiple antennas or multiple antenna subassemblies
KR101954925B1 (ko) 기지국장치 그 장치에서 수행되는 페이징 수행 방법
KR20170001557A (ko) 일괄적이며 점진적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