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6711A -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6711A
KR20130016711A KR1020110078815A KR20110078815A KR20130016711A KR 20130016711 A KR20130016711 A KR 20130016711A KR 1020110078815 A KR1020110078815 A KR 1020110078815A KR 20110078815 A KR20110078815 A KR 20110078815A KR 20130016711 A KR20130016711 A KR 20130016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substituted
unsubstituted
group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4797B1 (ko
Inventor
박무진
유은선
채미영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8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797B1/ko
Priority to PCT/KR2011/007384 priority patent/WO2013022145A1/ko
Priority to CN201180071548.XA priority patent/CN103597052B/zh
Priority to EP11870589.6A priority patent/EP2700695B1/en
Publication of KR20130016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711A/ko
Priority to US14/062,222 priority patent/US944405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2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nitro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phenanthroline or carbazol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56Ring systems containing three or more rings
    • C07D209/80[b, c]- or [b, d]-condensed
    • C07D209/82Carbazoles; Hydrogenated carb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7/00Other synthetic dyes of known constit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21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IA element, e.g. Tris (8-hydroxyquinoline) gallium [Gaq3]
    • H10K85/324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IA element, e.g. Tris (8-hydroxyquinoline) gallium [Gaq3] comprising aluminium, e.g. Alq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41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 H10K85/342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comprising iridiu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4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comprising only nitrogen as hetero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6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sulfur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benzothiop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44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two nitrogen atoms as heteroatom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 H10K2101/10Triple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을 제공하여, 우수한 전기화학적 및 열적 안정성으로 수명 특성이 우수하고, 낮은 구동전압에서도 높은 발광효율을 가지는 유기광전자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133

Description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COMPOUND FOR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NCLUDING THE SAME}
수명, 효율, 전기화학적 안정성 및 열적 안정성이 우수한 유기광전자소자를 제공할 수 있는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광전자소자(organic optoelectric device)라 함은 정공 또는 전자를 이용한 전극과 유기물 사이에서의 전하 교류를 필요로 하는 소자를 의미한다.
유기광전자소자는 동작 원리에 따라 하기와 같이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외부의 광원으로부터 소자로 유입된 광자에 의하여 유기물층에서 엑시톤(exciton)이 형성되고 이 엑시톤이 전자와 정공으로 분리되고, 이 전자와 정공이 각각 다른 전극으로 전달되어 전류원(전압원)으로 사용되는 형태의 전자소자이다.
둘째는 2 개 이상의 전극에 전압 또는 전류를 가하여 전극과 계면을 이루는 유기물 반도체에 정공 또는 전자를 주입하고, 주입된 전자와 정공에 의하여 동작하는 형태의 전자소자이다.
유기광전자소자의 예로는 유기광전소자, 유기발광소자, 유기태양전지, 유기감광체 드럼(organic photo conductor drum), 유기트랜지스터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소자의 구동을 위하여 정공의 주입 또는 수송 물질, 전자의 주입 또는 수송 물질, 또는 발광 물질을 필요로 한다.
특히,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는 최근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현상이란 유기 물질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전환시켜주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유기발광소자는 유기발광재료에 전류를 가하여 전기에너지를 빛으로 전환시키는 소자로서 통상 양극(anode)과 음극(cathode) 사이에 기능성 유기물 층이 삽입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유기물층은 유기발광소자의 효율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각기 다른 물질로 구성된 다층의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으며, 예컨대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유기발광소자의 구조에서 두 전극 사이에 전압을 걸어주게 되면 양극에서는 정공(hole)이, 음극에서는 전자(electron)가 유기물층에 주입되게 되고,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만나 재결합(recombination)에 의해 에너지가 높은 여기자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형성된 여기자가 다시 바닥상태(ground state)로 이동하면서 특정한 파장을 갖는 빛이 발생하게 된다.
최근에는, 형광 발광물질뿐 아니라 인광 발광물질도 유기발광소자의 발광물질로 사용될 수 있음이 알려졌으며, 이러한 인광 발광은 바닥상태(ground state)에서 여기상태(excited state)로 전자가 전이한 후, 계간 전이(intersystem crossing)를 통해 단일항 여기자가 삼중항 여기자로 비발광 전이된 다음, 삼중항 여기자가 바닥상태로 전이하면서 발광하는 메카니즘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기발광소자에서 유기물층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기능에 따라, 발광 재료와 전하 수송 재료, 예컨대 정공주입 재료, 정공수송 재료, 전자수송 재료, 전자주입 재료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발광 재료는 발광색에 따라 청색, 녹색, 적색 발광재료와 보다 나은 천연색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노란색 및 주황색 발광 재료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발광 재료로서 하나의 물질만 사용하는 경우 분자간 상호 작용에 의하여 최대 발광 파장이 장파장으로 이동하고 색순도가 떨어지거나 발광 감쇄 효과로 소자의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색순도의 증가와 에너지 전이를 통한 발광 효율과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발광 재료로서 호스트/도판트 계를 사용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가 전술한 우수한 특징들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소자 내 유기물층을 이루는 물질, 예컨대 정공주입 물질, 정공수송 물질, 발광 물질, 전자수송 물질, 전자주입 물질, 발광 재료 중 호스트 및/또는 도판트 등이 안정하고 효율적인 재료에 의하여 뒷받침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며, 아직까지 안정하고 효율적인 유기발광소자용 유기물층 재료의 개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며, 따라서 새로운 재료의 개발이 계속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재료 개발의 필요성은 전술한 다른 유기광전자소자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저분자 유기발광소자는 진공 증착법에 의해 박막의 형태로 소자를 제조하므로 효율 및 수명성능이 좋으며, 고분자 유기 발광 소자는 잉크젯(Inkjet) 또는 스핀코팅(spin coating)법을 사용하여 초기 투자비가 적고 대면적화가 유리한 장점이 있다.
저분자 유기발광소자 및 고분자 유기발광소자는 모두 자체발광, 고속응답, 광시야각, 초박형, 고화질, 내구성, 넓은 구동온도범위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기존의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비교하여 자체발광형으로서 어두운 곳이나 외부의 빛이 들어와도 시안성이 좋으며, 백라이트가 필요 없어 LCD의 1/3수준으로 두께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응답속도가 LCD에 비해 1000배 이상 빠른 마이크로 초 단위여서 잔상이 없는 완벽한 동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 본격적인 멀티미디어 시대에 맞춰 최적의 디스플레이로 각광받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러한 장점을 바탕으로 1980년대 후반 최초 개발 이후 효율 80배, 수명 100배 이상에 이르는 급격한 기술발전을 이루어 왔고, 최근에는 40인치 유기발광소자 패널이 발표되는 등 대형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대형화를 위해서는 발광 효율의 증대 및 소자의 수명 향상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때, 소자의 발광 효율은 발광층 내의 정공과 전자의 결합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유기물의 전자 이동도는 정공 이동도에 비해 느리므로, 발광층 내의 정공과 전자의 결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전자 수송층을 사용하여 음극으로부터의 전자 주입 및 이동도를 높이는 동시에, 정공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수명 향상을 위해서는 소자의 구동시 발생하는 줄열(Joule heat)로 인해 재료가 결정화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전자의 주입 및 이동성이 우수하며, 전기화학적 안정성이 높은 유기 화합물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정공 주입 및 수송 역할 또는 전자 주입 및 수송역할을 할 수 있고, 적절한 도펀트와 함께 발광 호스트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을 제공한다.
수명, 효율, 구동전압, 전기화학적 안정성 및 열적 안정성이 우수한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L1 및 L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6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6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렌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n 및 m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0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고, A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R1 내지 R8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R5 내지 R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정공 특성을 가지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정공 특성을 가지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정공 특성을 가지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아민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상기 R5 내지 R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페닐레닐기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L1 및 L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6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6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렌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n 및 m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0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고, A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R1 내지 R10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X는 NR', O 또는 S이며, 상기 R'는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L1 및 L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6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6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렌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n 및 m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0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고, A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R1 내지 R10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X는 NR', O 또는 S이며, 상기 R'는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4에서, L1 및 L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6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6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렌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n 및 m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0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고, A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R1 내지 R10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X는 NR', O 또는 S이며, 상기 R'는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상기 A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바이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디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미디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아지닐기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일 수 있다.
상기 L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렌기인 것일 수 있다.
상기 n은 1이고, 상기 m은 0 또는 1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정공 특성을 가지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카바졸릴계 유도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벤조퓨라닐계 유도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벤조티오페닐계 유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정공 특성을 가지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플루오레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스피로-플루오레닐기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정공 특성을 가지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아민기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아릴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아릴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나프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안트라세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난트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나프타세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레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바이페닐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p-터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m-터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크리세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페닐레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릴레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인데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퓨라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티오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롤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라졸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미다졸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아졸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사졸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티아졸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사디아졸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티아디아졸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미디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라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아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조퓨라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조티오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즈이미다졸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인돌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퀴놀리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소퀴놀리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퀴나졸리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퀴녹살리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나프티리디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즈옥사진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즈티아진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크리디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나진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노티아진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녹사진일기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A1 내지 A22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A1] [화학식 A2] [화학식 A3]
Figure pat00005
[화학식 A4] [화학식 A5] [화학식 A6]
Figure pat00006
[화학식 A7] [화학식 A8] [화학식 A9]
Figure pat00007
[화학식 A10] [화학식 A11] [화학식 A12]
Figure pat00008
[화학식 A13] [화학식 A14] [화학식 A15]
Figure pat00009
[화학식 A16] [화학식 A17] [화학식 A18]
Figure pat00010
[화학식 A19] [화학식 A20] [화학식 A22]
Figure pat00011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B1 내지 B42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B1] [화학식 B2] [화학식 B3]
Figure pat00012
[화학식 B4] [화학식 B5] [화학식 B6]
Figure pat00013
[화학식 B7] [화학식 B8] [화학식 B9]
Figure pat00014
[화학식 B10] [화학식 B11] [화학식 B12]
Figure pat00015
[화학식 B13] [화학식 B14] [화학식 B15]
Figure pat00016
[화학식 B16] [화학식 B17] [화학식 B18]
Figure pat00017
[화학식 B19] [화학식 B20] [화학식 B21]
Figure pat00018
[화학식 B22] [화학식 B23] [화학식 B24]
Figure pat00019
[화학식 B25] [화학식 B26] [화학식 B27]
Figure pat00020
[화학식 B28] [화학식 B29] [화학식 B30]
Figure pat00021
[화학식 B31] [화학식 B32] [화학식 B33]
Figure pat00022
[화학식 B34] [화학식 B35] [화학식 B36]
Figure pat00023
[화학식 B37] [화학식 B38] [화학식 B39]
Figure pat00024
[화학식 B40] [화학식 B41] [화학식 B42]
Figure pat00025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C1 내지 C42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C1] [화학식 C2] [화학식 C3]
Figure pat00026
[화학식 C4] [화학식 C5] [화학식 C6]
Figure pat00027
[화학식 C7] [화학식 C8] [화학식 C9]
Figure pat00028
[화학식 C10] [화학식 C11] [화학식 C12]
Figure pat00029
[화학식 C13] [화학식 C14] [화학식 C15]
Figure pat00030
[화학식 C16] [화학식 C17] [화학식 C18]
Figure pat00031
[화학식 C19] [화학식 C20] [화학식 C21]
Figure pat00032
[화학식 C22] [화학식 C23] [화학식 C24]
Figure pat00033
[화학식 C25] [화학식 C26] [화학식 C27]
Figure pat00034
[화학식 C28] [화학식 C29] [화학식 C30]
Figure pat00035
[화학식 C31] [화학식 C32] [화학식 C33]
Figure pat00036
[화학식 C34] [화학식 C35] [화학식 C36]
[화학식 C37] [화학식 C38] [화학식 C39]
Figure pat00038
[화학식 C40] [화학식 C41] [화학식 C42]
Figure pat00039

상기 유기광전자소자는 유기광전소자, 유기발광소자, 유기태양전지, 유기트랜지스터, 유기 감광체 드럼 및 유기메모리소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서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한 층 이상의 유기박막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박막층 중 적어도 어느 한 층은 전술한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유기박막층은 발광층, 정공수송층, 정공주입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정공차단층 및 이들의 조합을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발광층 내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발광층 내에 인광 또는 형광 호스트 재료로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정공수송층, 정공주입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또는 정공차단층 재료로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발광층 내에 형광 청색 도펀트 재료로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높은 정공 또는 전자 수송성, 막 안정성, 열적 안정성 및 높은 3중항 여기에너지를 가지는 화합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발광층의 정공 주입/ 수송 재료, 호스트 재료, 또는 전자 주입/ 수송 재료로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한 유기광전자소자는 상기 화합물을 단독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우수한 전기화학적 및 열적 안정성을 가지게 되어 낮은 구동전압에서도 높은 발광 효율을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에 대한 다양한 구현예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치환"이란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C1 내지 C30 알킬기, C1 내지 C10 알킬실릴기,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 C6 내지 C30 아릴기, C1 내지 C10 알콕시기, 플루오로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등의 C1 내지 C10 트리플루오로알킬기, 또는 시아노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헤테로"란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하나의 작용기 내에 N, O, S 및 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 원자를 1 내지 3개 함유하고, 나머지는 탄소인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들의 조합"이란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둘 이상의 치환기가 연결기로 결합되어 있거나, 둘 이상의 치환기가 축합하여 결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알킬(alkyl)기"이란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의미한다. 알킬기는 어떠한 알켄기나 알킨기를 포함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하는 "포화 알킬(saturated alkyl)기"일 수 있다. 알킬기는 적어도 하나의 알켄기 또는 알킨기를 포함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불포화 알킬(unsaturated alkyl)기"일 수도 있다. "알켄(alkene)기"는 적어도 두 개의 탄소원자가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으로 이루어진 작용기를 의미하며, "알킨(alkyne)기" 는 적어도 두 개의 탄소원자가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으로 이루어진 작용기를 의미한다. 포화이든 불포화이든 간에 알킬기는 분지형, 직쇄형 또는 환형일 수 있다.
알킬기는 C1 내지 C20인 알킬기일 수 있다. 알킬기는 C1 내지 C10인 중간 크기의 알킬기일 수도 있다. 알킬기는 C1 내지 C6인 저급 알킬기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1 내지 C4 알킬기는 알킬쇄에 1 내지 4 개의 탄소원자, 즉, 알킬쇄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및 t-부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됨을 나타낸다.
전형적인 알킬기에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에테닐기, 프로페닐기, 부테닐기,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으로부터 개별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그룹들로 치환될 수도 있는 작용기임을 의미한다.
"방향족기"는 고리 형태인 작용기의 모든 원소가 p-오비탈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p-오비탈이 공액(conjugation)을 형성하고 있는 작용기를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로 아릴기와 헤테로아릴기가 있다.
"아릴(aryl)기"는 모노시클릭 또는 융합 고리 폴리시클릭(즉, 탄소원자들의 인접한 쌍들을 나눠 가지는 고리) 작용기를 포함한다.
"헤테로아릴(heteroaryl)기"는 아릴기 내에 N, O, S 및 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 원자를 1 내지 3개 함유하고, 나머지는 탄소인 것을 의미한다.
"스피로(spiro) 구조"는 하나의 탄소를 접점으로 가지고 있는 고리 구조를 의미한다. 또한, 스피로 구조는 스피로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스피로 구조를 포함하는 치환기로도 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유기광전소자는 유기 화합물을 이용한 소자로 빛을 전기로 변환하는 소자 및/또는 전기를 빛으로 변환하는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미다졸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카바졸릴기를 포함하는 코어에 정공 특성을 가지는 치환기가 결합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은 전자 특성이 우수한 상기 코어 구조에 정공 특성을 선택적으로 보강하여 발광층에서 요구되는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로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코어 부분과 코어 부분에 치환된 치환기에 다양한 또 다른 치환기를 도입함으로써 다양한 에너지 밴드 갭을 갖는 화합물이 될 수 있다. 이에, 상기 화합물은 정공수송층, 정공주입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또는 정공차단층으로서도 이용이 가능하다.
상기 화합물의 치환기에 따라 적절한 에너지 준위를 가지는 화합물을 유기광전소자에 사용함으로써, 전자전달 능력이 강화되어 효율 및 구동전압 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전기화학적 및 열적 안정성이 뛰어나 유기광전소자 구동시 수명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40
상기 화학식 1에서, L1 및 L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6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6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렌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n 및 m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0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고, A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R1 내지 R8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R5 내지 R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정공 특성을 가지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정공 특성을 가지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정공 특성을 가지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아민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상기 정공 특성이란, HOMO 준위를 따라 전도 특성을 가져 양극에서 형성된 정공의 발광층으로의 주입 및 발광층에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특성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정공 특성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전자 특성이란, LUMO 준위를 따라 전도 특성을 가져 음극에서 형성된 전자의 발광층으로의 주입 및 발광층에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특성을 의미한다.
상기 R5 내지 R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페닐레닐기일 수 있다.
상기 화합물에서 트리페닐레닐기는 벌크한 구조를 가지고 공명 효과(resonance effect)를 일으키므로 고체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반응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져, 유기발광소자의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화합물을 벌크하게 만들어 결정화도를 낮추고 수명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트리페닐레닐기는 다른 치환체와는 달리 밴드갭이 넓고, 3중항 여기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카바졸에 결합하여 화합물의 밴드갭이나 3중항 여기에너지를 줄이지 않아, 더욱 큰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41
상기 화학식 2에서, L1 및 L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6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6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렌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n 및 m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0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고, A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R1 내지 R10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X는 NR', O 또는 S이며, 상기 R'는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카바졸계 유도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벤조퓨라닐계 유도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벤조티오페닐계 유도체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카바졸릴계 유도체는 카바졸릴기에 결합된 둘 이상의 치환기가 융합되어 융합고리를 형성한 치환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는 상기 디벤조퓨라닐계 유도체 및 상기 디벤조티오페닐계 유도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카바졸릴계 유도체, 디벤조퓨라닐계 유도체 또는 디벤조티오페닐계 유도체를 포함하는 경우, 전체 화합물의 바이폴라(bi-polar)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기 카바졸계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유기광전소자에 사용될 수 있는 정공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L1 및 L2는 보다 구체적으로, 동일하거나 상기하며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에테닐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에티닐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바이페닐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나프탈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디닐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미디닐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아지닐렌, 등이다.
상기 치환기는 파이 결합이 존재하기 때문에 치환기는 화합물 전체의 파이공액길이(π-conjugation length)를 조절하여 삼중항 에너지 밴드갭을 크게 함으로서 인광호스트로 유기광전소자의 발광층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n 및 m은 서로 독립적으로 0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L1 및 L2와 같은 연결기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n은 1이고, 상기 m은 0 또는 1일 수 있다. 이러한 조합의 n 및 m을 만족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다양한 에너지 준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L1 및 L2는 보다 구체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카바졸릴계 유도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벤조티오페닐계 유도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벤조퓨라닐계 유도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치환기의 경우 연결기 자체에 정공 특성이 있기 때문에 전체 화합물의 정공 특성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바졸릴계 유도체의 결합 위치에 따라 파이 결합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전체 화합물의 에너지 밴드갭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상기 L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렌기일 수 있다. 상기 L1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렌기인 경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광전소자의 합성이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 또는 4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42
상기 화학식 3에서, L1 및 L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6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6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렌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n 및 m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0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고, A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R1 내지 R10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X는 NR', O 또는 S이며, 상기 R'는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화학식 4]
Figure pat00043
상기 화학식 4에서, L1 및 L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6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6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렌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n 및 m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0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고, A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R1 내지 R10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X는 NR', O 또는 S이며, 상기 R'는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상기 A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A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나프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안트라세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난트레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레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바이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디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디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아지닐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A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바이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디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미디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아지닐기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Ar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바이페닐기인 경우,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이 적절한 에너지 준위 및 열적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Ar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디닐기인 경우, 상기 피리디닐기의 치환 위치에 따라 화합물의 전자의 이동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피리디닐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이용한 소자는 효율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Ar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아지닐기인 경우,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의 전자 이동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정공 특성을 가지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카바졸릴계 유도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벤조퓨라닐계 유도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벤조티오페닐계 유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정공 특성을 가지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플루오레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스피로-플루오레닐기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정공 특성을 가지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아민기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아릴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아릴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나프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안트라세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난트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나프타세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레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바이페닐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p-터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m-터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크리세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페닐레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릴레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인데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퓨라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티오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롤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라졸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미다졸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아졸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사졸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티아졸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사디아졸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티아디아졸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미디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라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아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조퓨라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조티오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즈이미다졸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인돌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퀴놀리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소퀴놀리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퀴나졸리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퀴녹살리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나프티리디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즈옥사진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즈티아진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크리디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나진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노티아진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녹사진일기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아릴아민기는 정공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상기 치환기의 조절을 통해 화합물의 에너지 밴드갭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발광소자의 발광층에 적합한 특성을 가지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환기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열적 안정성 또는 산화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구조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치환기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비대칭 바이폴라(bipolar)특성의 구조를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비대칭 바이폴라특성의 구조는 전공과 전자 전달 능력을 향상시켜 소자의 발광효율과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치환기의 조절로 화합물의 구조를 벌크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결정화도를 낮출 수 있다. 화합물의 결정화도가 낮아지게 되면 소자의 수명이 길어질 수 있다.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A1 내지 A22로 표시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화합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A1] [화학식 A2] [화학식 A3]
Figure pat00044
[화학식 A4] [화학식 A5] [화학식 A6]
Figure pat00045
[화학식 A7] [화학식 A8] [화학식 A9]
Figure pat00046
[화학식 A10] [화학식 A11] [화학식 A12]
Figure pat00047
[화학식 A13] [화학식 A14] [화학식 A15]
Figure pat00048
[화학식 A16] [화학식 A17] [화학식 A18]
Figure pat00049
[화학식 A19] [화학식 A20] [화학식 A22]
Figure pat00050
또한,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B1 내지 B42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화합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B1] [화학식 B2] [화학식 B3]
Figure pat00051
[화학식 B4] [화학식 B5] [화학식 B6]
Figure pat00052
[화학식 B7] [화학식 B8] [화학식 B9]
Figure pat00053
[화학식 B10] [화학식 B11] [화학식 B12]
Figure pat00054
[화학식 B13] [화학식 B14] [화학식 B15]
Figure pat00055
[화학식 B16] [화학식 B17] [화학식 B18]
Figure pat00056
[화학식 B19] [화학식 B20] [화학식 B21]
Figure pat00057
[화학식 B22] [화학식 B23] [화학식 B24]
Figure pat00058
[화학식 B25] [화학식 B26] [화학식 B27]
Figure pat00059
[화학식 B28] [화학식 B29] [화학식 B30]
Figure pat00060
[화학식 B31] [화학식 B32] [화학식 B33]
Figure pat00061
[화학식 B34] [화학식 B35] [화학식 B36]
Figure pat00062
[화학식 B37] [화학식 B38] [화학식 B39]
Figure pat00063
[화학식 B40] [화학식 B41] [화학식 B42]
Figure pat00064
또한,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C1 내지 C42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화합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C1] [화학식 C2] [화학식 C3]
Figure pat00065
[화학식 C4] [화학식 C5] [화학식 C6]
Figure pat00066
[화학식 C7] [화학식 C8] [화학식 C9]
Figure pat00067
[화학식 C10] [화학식 C11] [화학식 C12]
Figure pat00068
[화학식 C13] [화학식 C14] [화학식 C15]
Figure pat00069
[화학식 C16] [화학식 C17] [화학식 C18]
Figure pat00070
[화학식 C19] [화학식 C20] [화학식 C21]
Figure pat00071
[화학식 C22] [화학식 C23] [화학식 C24]
Figure pat00072
[화학식 C25] [화학식 C26] [화학식 C27]
Figure pat00073
[화학식 C28] [화학식 C29] [화학식 C30]
Figure pat00074
[화학식 C31] [화학식 C32] [화학식 C33]
Figure pat00075
[화학식 C34] [화학식 C35] [화학식 C36]
Figure pat00076
[화학식 C37] [화학식 C38] [화학식 C39]
Figure pat00077
[화학식 C40] [화학식 C41] [화학식 C42]
Figure pat00078

전술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화합물이 전자 특성, 정공 특성 양쪽을 모두 요구하는 경우에는 전자 특성을 가지는 작용기를 도입하는 것이 유기발광소자의 수명 향상 및 구동 전압 감소에 효과적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최대 발광 파장이 약 320 내지 500 nm 범위를 나타내고, 3중항 여기에너지(T1)가 2.0 eV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 2.0 내지 4.0 eV 범위일 수 있다.
높은 3중항 여기 에너지를 가지는 호스트 재료의 경우 전하가 도판트에 잘 전달되어 도판트의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며, 상기 재료의 호모(HOMO)와 루모(LUMO) 에너지 준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구동전압을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호스트 재료 또는 전하수송재료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유리전이온도가 110℃ 이상이며, 열분해온도가 400℃이상으로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다. 이로 인해 고효율의 유기광전자소자의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발광, 또는 전자 주입 및/또는 수송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적절한 도판트와 함께 발광 호스트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즉,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인광 또는 형광의 호스트 재료, 청색의 발광도펀트 재료, 또는 전자수송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유기박막층에 사용되어 유기광전자소자의 수명 특성, 효율 특성, 전기화학적 안정성 및 열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구동전압을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광전자소자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유기광전자소자라 함은 유기광전소자, 유기발광소자, 유기 태양 전지, 유기 트랜지스터, 유기 감광체 드럼, 유기 메모리 소자 등을 의미한다. 특히, 유기 태양 전지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이 전극이나 전극 버퍼층에 포함되어 양자 효율을 증가시키며, 유기 트랜지스터의 경우에는 게이트, 소스-드레인 전극 등에서 전극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한 층 이상의 유기박막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박막층 중 적어도 어느 한 층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는 유기박막층으로는 발광층, 정공수송층, 정공주입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정공차단층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층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을 포함한다. 특히, 전자수송층 또는 전자주입층에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이 발광층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인광 또는 형광호스트로서 포함될 수 있고, 특히, 형광 청색 도펀트 재료로서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100, 200, 300, 400 및 500)는 양극(120), 음극(110) 및 이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적어도 1층의 유기박막층(105)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양극(120)은 양극 물질을 포함하며, 이 양극 물질로는 통상 유기박막층으로 정공주입이 원활할 수 있도록 일함수가 큰 물질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극 물질의 구체적인 예로는 니켈, 백금, 바나듐, 크롬, 구리, 아연, 금과 같은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을 들 수 있고, 아연산화물, 인듐산화물, 인듐주석산화물(ITO), 인듐아연산화물(IZO)과 같은 금속 산화물을 들 수 있고, ZnO와 Al 또는 SnO2와 Sb와 같은 금속과 산화물의 조합을 들 수 있고, 폴리(3-메틸티오펜), 폴리[3,4-(에틸렌-1,2-디옥시)티오펜](polyehtylenedioxythiophene: PEDT), 폴리피롤 및 폴리아닐린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극으로 ITO(indium tin oxide)를 포함하는 투명전극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극(110)은 음극 물질을 포함하여, 이 음극 물질로는 통상 유기박막층으로 전자주입이 용이하도록 일 함수가 작은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음극 물질의 구체적인 예로는 마그네슘, 칼슘, 나트륨, 칼륨, 타이타늄, 인듐, 이트륨, 리튬, 가돌리늄, 알루미늄, 은, 주석, 납, 세슘, 바륨 등과 같은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을 들 수 있고, LiF/Al, LiO2/Al, LiF/Ca, LiF/Al 및 BaF2/Ca과 같은 다층 구조 물질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극으로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전극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유기박막층(105)으로서 발광층(130)만이 존재하는 유기발광소자(100)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유기박막층(105)은 발광층(130)만으로 존재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유기박막층(105)으로서 전자수송층을 포함하는 발광층(230)과 정공수송층(140)이 존재하는 2층형 유기발광소자(200)를 나타낸 것으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기박막층(105)은 발광층(230) 및 정공 수송층(140)을 포함하는 2층형일 수 있다. 이 경우 발광층(130)은 전자 수송층의 기능을 하며, 정공 수송층(140)은 ITO와 같은 투명전극과의 접합성 및 정공수송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유기박막층(105)으로서 전자수송층(150), 발광층(130) 및 정공수송층(140)이 존재하는 3층형 유기발광소자(300)로서, 상기 유기박막층(105)에서 발광층(130)은 독립된 형태로 되어 있고, 전자수송성이나 정공수송성이 우수한 막(전자수송층(150) 및 정공수송층(140))을 별도의 층으로 쌓은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유기박막층(105)으로서 전자주입층(160), 발광층(130), 정공수송층(140) 및 정공주입층(170)이 존재하는 4층형 유기발광소자(400)로서, 상기 정공주입층(170)은 양극으로 사용되는 ITO와의 접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유기박막층(105)으로서 전자주입층(160), 전자수송층(150), 발광층(130), 정공수송층(140) 및 정공주입층(170)과 같은 각기 다른 기능을 하는 5개의 층이 존재하는 5층형 유기발광소자(500)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유기발광소자(500)는 전자주입층(160)을 별도로 형성하여 저전압화에 효과적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5에서 상기 유기박막층(105)을 이루는 전자 수송층(150), 전자 주입층(160), 발광층(130, 230), 정공 수송층(140), 정공 주입층(170)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는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상기 전자 수송층(150) 또는 전자주입층(160)을 포함하는 전자수송층(150)에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전자수송층에 포함될 경우 정공 차단층(도시하지 않음)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보다 단순화된 구조의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이 발광층(130, 230)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인광 또는 형광호스트로서 포함될 수 있으며, 또는 형광 청색 도펀트로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유기발광소자는, 기판에 양극을 형성한 후, 진공증착법(evaporation), 스퍼터링(sputtering), 플라즈마 도금 및 이온도금과 같은 건식성막법; 또는 스핀코팅(spin coating), 침지법(dipping), 유동코팅법(flow coating)과 같은 습식성막법 등으로 유기박막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음극을 형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1: 화학식 B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본 발명의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시된 상기 화학식 B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아래의 반응식 1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합성되었다.
[반응식 1]
Figure pat00079
Figure pat00080
제 1 단계: 화합물 (A)의 합성
2000 mL의 둥근 플라스크에서 N-(4-클로로페닐)-1,2-페닐렌 다이아민 41.6 g(160 mmol), 바이페닐-4-카르복살데하이드 33 g(180 mmol)을 2-메톡시 에탄올 300 ml에 교반하며 반응 용기의 온도를 환류온도로 상승시킨 후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을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물을 이용하여 유기층을 얻어 낸 다음,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을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다음 컬럼을 실시하여 화합물 (A)를 30 g (수율 40%)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원소분석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calcd. C25H17ClN2: C, 78.84; H, 4.50; N, 7.36; found: C, 78.80; H, 4.52; N, 7.40
제 2 단계: 화합물 B2의 합성
화합물 (A)로 표시되는 화합물 16 g(40 mmol), 9-페닐-9H,9'H-[3,3']바이 카바졸-일 (B) 15 g (40 mmol), 및 탄산칼륨 7.6 g(55 mmol) 을 DMSO 250 ml에 현탁시키고, 1,10-페난쓰롤린 1 g(7 mmol)과 염화구리 1 g(7 mmol)을 넣어준 후, 질소 기류 하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환류하였다. 반응용액을 MeOH 1000ml에 가하여 결정화된 고형분을 필터한 후, 모노클로로벤젠에 녹여 실리카겔/셀라이트로 필터하였다. 유기용매를 적당량 제거한 후, MeOH에 재결정하여 화합물 B2 15 g (수율 56%)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B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원소분석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calcd. C55H36N4: C, 87.74; H, 4.82; N, 7.44; found: C, 87.76; H, 4.81; N, 7.39
실시예 2: 화학식 B3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본 발명의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시된 상기 화학식 B3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아래의 반응식 2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합성되었다.
[반응식 2]
Figure pat00081
Figure pat00082
제 1 단계: 화합물 (C)의 합성
2000 mL의 둥근 플라스크에서 N-(4-클로로페닐)-1,2-페닐렌 다이아민 48.5 g(210 mmol), 1-나프타알데하이드 33 g(210 mmol)을 2-메톡시 에탄올 300 ml에 교반하며 반응 용기의 온도를 환류온도로 상승시킨 후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을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물을 이용하여 유기층을 얻어 낸 다음,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을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다음 컬럼을 실시하여 화합물 (C)를 30 g (수율 40%)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C)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원소분석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calcd. C23H25ClN2: C, 77.85; H, 4.26; N, 7.89; found: C, 77.79; H, 4.21; N, 7.79
상기 수득된 (C)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자기공명분석기 (엔엠알)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300 MHz (CDCl3, ppm) : 8.05 (1H, t), 7.95 (1H, d), 7.82 (2H, m), 7.35 (7H, m), 7.18 (d, 2H), 7.05 (d, 2H)
제 2 단계: 화합물 B3의 합성
화합물 (C)로 표시되는 화합물 14.5 g(40 mmol), 9-페닐-9H,9'H-[3,3']바이 카바졸-일 (B) 14.5 g (40 mmol), 및 탄산칼륨 7.5 g(53 mmol) 을 DMSO 250 ml에 현탁시키고, 1,10-페난쓰롤린 1 g(7 mmol)과 염화구리 1 g(7 mmol)을 넣어준 후, 질소 기류 하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환류하였다. 반응용액을 MeOH 1000ml에 가하여 결정화된 고형분을 필터한 후, 모노클로로벤젠에 녹여 실리카겔/셀라이트로 필터하였다. 유기용매를 적당량 제거한 후, MeOH에 재결정하여 화합물 B3 16.5 g (수율 65%)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B3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원소분석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calcd. C53H34N4: C, 87.58; H, 4.71; N, 7.71; found: C, 87.60; H, 4.68; N, 7.65
실시예 3: 화학식 B16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본 발명의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시된 상기 화학식 B16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아래의 반응식 3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합성되었다.
[반응식 3]
Figure pat00083
제 1 단계: 화합물 (D)의 합성
2000 mL의 둥근 플라스크에서 N-(4-클로로페닐)-1,2-페닐렌 다이아민 25 g(110 mmol), 바이페닐-4-카르복살데하이드 20 g(110 mmol)을 2-메톡시 에탄올 300 ml에 교반하며 반응 용기의 온도를 환류온도로 상승시킨 후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을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물을 이용하여 유기층을 얻어 낸 다음,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을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다음 컬럼을 실시하여 화합물 (D)를 12 g (수율 28%)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D)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원소분석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calcd. C24H16ClN3: C, 75.49; H, 4.22; N, 11; found: C, 75.79; H, 4.11; N, 11.8
제 2 단계: 화합물 B16의 합성
화합물 (D)로 표시되는 화합물 12 g(31 mmol), 9-바이페닐-9H,9'H-[3,3']바이 카바졸-일 (E) 15 g (31 mmol), 및 탄산칼륨 6.5 g(47 mmol) 을 DMSO 250 ml에 현탁시키고, 1,10-페난쓰롤린 1 g(7 mmol)과 염화구리 1 g(7 mmol)을 넣어준 후, 질소 기류 하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환류하였다. 반응용액을 MeOH 1000ml에 가하여 결정화된 고형분을 필터한 후, 모노클로로벤젠에 녹여 실리카겔/셀라이트로 필터하였다. 유기용매를 적당량 제거한 후, MeOH에 재결정하여 화합물 B16 15.6 g (수율 60%)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B16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원소분석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calcd. C60H39N5: C, 86.83; H, 4.74; N, 8.44; found: C, 87.01; H, 4.69; N, 8.49
실시예 4: 화학식 C32 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본 발명의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시된 상기 화학식 C3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아래의 반응식 4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합성되었다.
[반응식 4]
Figure pat00084
Figure pat00085
제 1 단계: 화합물 (C)의 합성
2000 mL의 둥근 플라스크에서 N-(4-클로로페닐)-1,2-페닐렌 다이아민 41.6 g(160 mmol), 바이페닐-4-카르복살데하이드 33 g(180 mmol)을 2-메톡시 에탄올 300 ml에 교반하며 반응 용기의 온도를 환류온도로 상승시킨 후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을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물을 이용하여 유기층을 얻어 낸 다음,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을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다음 컬럼을 실시하여 화합물 (C)를 30 g (수율 40%)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C)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원소분석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calcd. C25H17ClN2: C, 78.84; H, 4.50; N, 7.36; found: C, 78.80; H, 4.52; N, 7.40
제 2 단계: 화합물 C32 의 합성
화합물 (C)로 표시되는 화합물 16 g(40 mmol), 3-다이벤조싸이오펜-2-일-9-H-카바졸 (F) 14 g (40 mmol), 및 탄산칼륨 7.6 g(55 mmol) 을 DMSO 250 ml에 현탁시키고, 1,10-페난쓰롤린 1 g(7 mmol)과 염화구리 1 g(7 mmol)을 넣어준 후, 질소 기류 하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환류하였다. 반응용액을 MeOH 1000ml에 가하여 결정화된 고형분을 필터한 후, 모노클로로벤젠에 녹여 실리카겔/셀라이트로 필터하였다. 유기용매를 적당량 제거한 후, MeOH에 재결정하여 화합물 C32 15.5 g (수율 56%)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C3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원소분석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calcd. C49H31N3S: C, 84.82; H, 4.50; N, 6.06; S, 4.62; found: C, 84.79; H, 4.54; N, 6.02
실시예 5: 화학식 C33 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본 발명의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시된 상기 화학식 C33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아래의 반응식 5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합성되었다.
[반응식 5]
Figure pat00086
Figure pat00087
제 1 단계: 화합물 (D)의 합성
2000 mL의 둥근 플라스크에서 N-(4-클로로페닐)-1,2-페닐렌 다이아민 25 g(110 mmol), 바이페닐-4-카르복살데하이드 20 g(110 mmol)을 2-메톡시 에탄올 300 ml에 교반하며 반응 용기의 온도를 환류온도로 상승시킨 후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을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물을 이용하여 유기층을 얻어 낸 다음,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을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다음 컬럼을 실시하여 화합물 (D)를 12 g (수율 28%)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D)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원소분석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calcd. C24H16ClN3: C, 75.49; H, 4.22; N, 11; found: C, 75.79; H, 4.11; N, 11.8
제 2 단계: 화합물 C33 의 합성
화합물 (D)로 표시되는 화합물 12 g(31 mmol), 3-다이벤조싸이오펜-2-일-9-H-카바졸 (F) 14 g (40 mmol) 15 g (31 mmol), 및 탄산칼륨 6.5 g(47 mmol) 을 DMSO 250 ml에 현탁시키고, 1,10-페난쓰롤린 1 g(7 mmol)과 염화구리 1 g(7 mmol)을 넣어준 후, 질소 기류 하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환류하였다. 반응용액을 MeOH 1000ml에 가하여 결정화된 고형분을 필터한 후, 모노클로로벤젠에 녹여 실리카겔/셀라이트로 필터하였다. 유기용매를 적당량 제거한 후, MeOH에 재결정하여 화합물 C33 13 g (수율 60%)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C33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원소분석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calcd. C48H30N4S: C, 82.97; H, 4.35; N, 8.06; S, 4.61; found: C, 83.01; H, 4.40; N, 8.01
(유기발광소자의 제조)
실시예 6
구체적으로,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양극은 15 Ω/cm2의 면저항값을 가진 ITO 유리 기판을 50 mm × 50 mm × 0.7 mm의 크기로 잘라서 아세톤과 이소프로필알코올과 순수물 속에서 각 15 분 동안 초음파 세정한 후, 30 분 동안 UV 오존 세정하여 사용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ITO 투명 전극을 양극으로 사용하여 ITO 기판 상부에 하기 HTM 화합물을 진공 증착하여 1200Å두께의 정공 주입층을 형성하였다.
[HTM]
Figure pat00088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된 화합물을 호스트로 사용하고, 인광 그린 도판트로 하기 PhGD 화합물을 7 중량%로 도핑하여 진공증학으로 300Å 두께의 발광층을 형성하였다. 양극으로는 ITO를 1000 Å의 두께로 사용하였고, 음극으로는 알루미늄(Al)을 1000 Å의 두께로 사용하였다.
[PhGD]
Figure pat00089

그 후 상기 발광층 상부에 BAlq [Bis(2-methyl-8-quinolinolato-N1,O8)-(1,1'-Biphenyl-4-olato)aluminum] 50Å 및 Alq3 [Tris(8-hydroxyquinolinato)aluminium] 250Å 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전자수송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전자수송층 상부에 LiF 5Å과 Al 1000Å을 순차적으로 진공 증착하여 음극을 형성함으로써 유기발광소자를 제조하였다.
[BAlq] [Alq3]
Figure pat00090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6에서, 실시예 1에 따른 화합물 대신 실시예 3에 따른 화합물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발광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구체적으로,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양극은 15 Ω/cm2의 면저항값을 가진 ITO 유리 기판을 50 mm × 50 mm × 0.7 mm의 크기로 잘라서 아세톤과 이소프로필알코올과 순수물 속에서 각 15 분 동안 초음파 세정한 후, 30 분 동안 UV 오존 세정하여 사용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ITO 투명 전극을 양극으로 사용하여 ITO 기판 상부에 하기 HTM 화합물과 실시예 1에 따른 화합물을 진공 증착하여 총 1200Å두께의 정공 주입층을 형성하였다.
[HTM]
Figure pat00091

4,4-N,N-다이카바졸바이페닐(CBP)를 발광층의 호스트로 사용하고, 인광 그린 도판트로 하기 PhGD 화합물을 7 중량%로 도핑하여 진공증학으로 300Å 두께의 발광층을 형성하였다. 양극으로는 ITO를 1000 Å의 두께로 사용하였고, 음극으로는 알루미늄(Al)을 1000 Å의 두께로 사용하였다.
[PhGD]
Figure pat00092

그 후 상기 발광층 상부에 BAlq [Bis(2-methyl-8-quinolinolato-N1,O8)-(1,1'-Biphenyl-4-olato)aluminum] 50Å 및 Alq3 [Tris(8-hydroxyquinolinato)aluminium] 250Å 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전자수송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전자수송층 상부에 LiF 5Å과 Al 1000Å을 순차적으로 진공 증착하여 음극을 형성함으로써 유기발광소자를 제조하였다.
[BAlq] [Alq3]
Figure pat00093

실시예 9
상기 실시에 8에서, 실시예 1에 따른 화합물 대신 실시예 3에 따른 화합물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발광소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된 화합물을 발광층의 호스트로 사용한 것을 대신하여, 4,4-N,N-다이카바졸바이페닐(CBP)를 발광층의 호스트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유기발광소자의 성능 측정)
상기 실시예 6 내지 9 및 비교예 1서 제조된 각각의 유기발광소자에 대하여 전압에 따른 전류밀도 변화, 휘도변화 및 발광효율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고, 그 결과는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1) 전압변화에 따른 전류밀도의 변화 측정
제조된 유기발광소자에 대해, 전압을 0 V 부터 10 V까지 상승시키면서 전류-전압계(Keithley 2400)를 이용하여 단위소자에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값을 면적으로 나누어 결과를 얻었다.
(2) 전압변화에 따른 휘도변화 측정
제조된 유기발광소자에 대해, 전압을 0 V 부터 10 V까지 상승시키면서 휘도계(Minolta Cs-1000A)를 이용하여 그 때의 휘도를 측정하여 결과를 얻었다.
(3) 발광효율 측정
상기(1) 및 (2)로부터 측정된 휘도와 전류밀도 및 전압을 이용하여 동일 전류밀도(10 mA/cm2)의 전류효율(cd/A) 및 전력효율(lm/W)을 계산하였다.
분류 구동전압
(Vd, V)
전류효율
(cd/A)
전력효율
(lm/W)
휘도
(cd/m2)
색좌표
(CIEx)
색좌표
(CIEy)
비교예 1 4.90 44.8 28.7 3000 0.329 0.626
실시예 6 5.07 48.8 30.2 3000 0.325 0.629
실시예 7 5.14 49.0 30.0 3000 0.330 0.625
비교물질인 CBP를 발광층의 호스트로 적용한 비교예 1 보다 실시예 6 및 7의 소자에서, 소자의 효율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분류 구동전압
(Vd, V)
전류효율
(cd/A)
전력효율
(lm/W)
휘도
(cd/m2)
색좌표
(CIEx)
색좌표
(CIEy)
비교예 1 4.90 44.8 28.7 3000 0.329 0.626
실시예 8 4.75 62.4 41.2 3000 0.295 0.674
실시예 9 5.10 68.4 42.1 3000 0.322 0.654
비교물질인 CBP를 발광층의 단독 호스트로 적용한 비교예 1 보다, 중간층이 삽입된 실시예 8 및 9의 소자에서, 소자의 효율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유기발광소자 110 : 음극
120 : 양극 105 : 유기박막층
130 : 발광층 140 : 정공 수송층
150 : 전자수송층 160 : 전자주입층
170 : 정공주입층 230 : 발광층 + 전자수송층

Claims (20)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pat00094

    상기 화학식 1에서,
    L1 및 L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6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6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렌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n 및 m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0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고,
    A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R1 내지 R8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R5 내지 R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정공 특성을 가지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정공 특성을 가지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정공 특성을 가지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아민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5 내지 R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페닐레닐기인 것인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인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화학식 2]
    Figure pat00095

    상기 화학식 2에서,
    L1 및 L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6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6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렌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n 및 m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0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고,
    A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R1 내지 R10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X는 NR', O 또는 S이며, 상기 R'는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것인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화학식 3]
    Figure pat00096

    상기 화학식 3에서,
    L1 및 L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6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6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렌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n 및 m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0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고,
    A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R1 내지 R10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X는 NR', O 또는 S이며, 상기 R'는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인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화학식 4]
    Figure pat00097

    상기 화학식 4에서,
    L1 및 L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6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6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렌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n 및 m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0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고,
    A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R1 내지 R10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X는 NR', O 또는 S이며, 상기 R'는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바이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디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미디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아지닐기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인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렌기인 것인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은 1이고, 상기 m은 0 또는 1인 것인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특성을 가지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카바졸릴계 유도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벤조퓨라닐계 유도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벤조티오페닐계 유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인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특성을 가지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플루오레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스피로-플루오레닐기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인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특성을 가지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아민기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아릴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아릴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나프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안트라세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난트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나프타세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레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바이페닐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p-터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m-터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크리세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페닐레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릴레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인데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퓨라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티오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롤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라졸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미다졸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아졸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사졸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티아졸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사디아졸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티아디아졸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미디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라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아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조퓨라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조티오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즈이미다졸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인돌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퀴놀리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소퀴놀리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퀴나졸리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퀴녹살리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나프티리디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즈옥사진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즈티아진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크리디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나진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노티아진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녹사진일기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인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12. 하기 화학식 A1 내지 A22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화학식 A1] [화학식 A2] [화학식 A3]
    Figure pat00098

    [화학식 A4] [화학식 A5] [화학식 A6]
    Figure pat00099

    [화학식 A7] [화학식 A8] [화학식 A9]
    Figure pat00100

    [화학식 A10] [화학식 A11] [화학식 A12]
    Figure pat00101

    [화학식 A13] [화학식 A14] [화학식 A15]
    Figure pat00102

    [화학식 A16] [화학식 A17] [화학식 A18]
    Figure pat00103

    [화학식 A19] [화학식 A20] [화학식 A22]
    Figure pat00104


  13. 하기 화학식 B1 내지 B42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화학식 B1] [화학식 B2] [화학식 B3]
    Figure pat00105

    [화학식 B4] [화학식 B5] [화학식 B6]
    Figure pat00106

    [화학식 B7] [화학식 B8] [화학식 B9]
    Figure pat00107

    [화학식 B10] [화학식 B11] [화학식 B12]
    Figure pat00108

    [화학식 B13] [화학식 B14] [화학식 B15]
    Figure pat00109

    [화학식 B16] [화학식 B17] [화학식 B18]
    Figure pat00110

    [화학식 B19] [화학식 B20] [화학식 B21]
    Figure pat00111

    [화학식 B22] [화학식 B23] [화학식 B24]
    Figure pat00112

    [화학식 B25] [화학식 B26] [화학식 B27]
    Figure pat00113

    [화학식 B28] [화학식 B29] [화학식 B30]
    Figure pat00114

    [화학식 B31] [화학식 B32] [화학식 B33]
    Figure pat00115

    [화학식 B34] [화학식 B35] [화학식 B36]
    Figure pat00116

    [화학식 B37] [화학식 B38] [화학식 B39]
    Figure pat00117

    [화학식 B40] [화학식 B41] [화학식 B42]
    Figure pat00118

  14. 하기 화학식 C1 내지 C42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화학식 C1] [화학식 C2] [화학식 C3]
    Figure pat00119

    [화학식 C4] [화학식 C5] [화학식 C6]
    Figure pat00120

    [화학식 C7] [화학식 C8] [화학식 C9]
    Figure pat00121

    [화학식 C10] [화학식 C11] [화학식 C12]
    Figure pat00122

    [화학식 C13] [화학식 C14] [화학식 C15]
    Figure pat00123

    [화학식 C16] [화학식 C17] [화학식 C18]
    Figure pat00124

    [화학식 C19] [화학식 C20] [화학식 C21]
    Figure pat00125

    [화학식 C22] [화학식 C23] [화학식 C24]
    Figure pat00126

    [화학식 C25] [화학식 C26] [화학식 C27]
    Figure pat00127

    [화학식 C28] [화학식 C29] [화학식 C30]
    Figure pat00128

    [화학식 C31] [화학식 C32] [화학식 C33]
    Figure pat00129

    [화학식 C34] [화학식 C35] [화학식 C36]
    Figure pat00130

    [화학식 C37] [화학식 C38] [화학식 C39]
    Figure pat00131

    [화학식 C40] [화학식 C41] [화학식 C42]
    Figure pat00132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광전자소자는 유기광전소자, 유기발광소자, 유기태양전지, 유기트랜지스터, 유기 감광체 드럼 및 유기메모리소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16.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한 층 이상의 유기박막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박막층 중 적어도 어느 한 층은 상기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박막층은 발광층, 정공수송층, 정공주입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정공차단층 및 이들의 조합을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발광층 내에 포함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발광층 내에 인광 또는 형광 호스트 재료로서 사용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은 정공수송층, 정공주입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또는 정공차단층 재료로서 사용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KR1020110078815A 2011-08-08 2011-08-08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KR101474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815A KR101474797B1 (ko) 2011-08-08 2011-08-08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PCT/KR2011/007384 WO2013022145A1 (ko) 2011-08-08 2011-10-06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CN201180071548.XA CN103597052B (zh) 2011-08-08 2011-10-06 有机光电子装置的化合物和包含该化合物的有机发光元件
EP11870589.6A EP2700695B1 (en) 2011-08-08 2011-10-06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compound and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including same
US14/062,222 US9444054B2 (en) 2011-08-08 2013-10-24 Compound for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815A KR101474797B1 (ko) 2011-08-08 2011-08-08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711A true KR20130016711A (ko) 2013-02-18
KR101474797B1 KR101474797B1 (ko) 2014-12-19

Family

ID=47668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815A KR101474797B1 (ko) 2011-08-08 2011-08-08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44054B2 (ko)
EP (1) EP2700695B1 (ko)
KR (1) KR101474797B1 (ko)
CN (1) CN103597052B (ko)
WO (1) WO20130221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7450A (ko) * 2016-02-18 2017-08-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화합물, 유기 광전자 소자 및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200823D0 (en) * 2012-01-18 2012-02-29 Cambridge Display Tech Ltd Electroluminescence
US9512136B2 (en) * 2012-11-26 2016-12-06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EP3053918B1 (en) * 2015-02-06 2018-04-11 Idemitsu Kosan Co., Ltd. 2-carbazole substituted benzimidazoles for electronic applications
EP3093288A1 (en) * 2015-05-12 2016-11-16 Novaled GmbH Organic light-emitting diode comprising different matrix compounds i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CN107683281A (zh) 2015-06-10 2018-02-09 默克专利有限公司 用于有机电致发光器件的材料
CN107973786B (zh) * 2016-10-25 2021-07-09 株式会社Lg化学 新型化合物以及利用其的有机发光元件
CN106753340A (zh) * 2016-12-20 2017-05-31 中节能万润股份有限公司 一种苯并咪唑类有机电致发光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148199B1 (ko) * 2017-12-19 2020-08-26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전자수송용 유기반도체 소재
CN110818696A (zh) * 2018-08-09 2020-02-21 昱镭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苯并咪唑化合物及其有机电子装置
CN110143952A (zh) * 2019-06-17 2019-08-20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化合物、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2300146B (zh) * 2019-07-30 2022-02-01 江苏三月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以咔唑为核心的有机化合物及包含其的有机电致发光器件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0059B2 (ja) * 1998-09-24 2008-07-16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新規ベンゾイミダゾール化合物、その製造法および用途
JP4590072B2 (ja) * 2000-08-02 2010-12-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ベンゾイミダゾール誘導体
KR101020350B1 (ko) * 2003-03-13 2011-03-08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신규한 질소 함유 헤테로환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ATE447558T1 (de) 2004-04-07 2009-11-15 Idemitsu Kosan Co Stickstoffhaltiges heterocyclusderivat und organisches elektrolumineszentes element, bei dem dieses verwendung findet
KR101192512B1 (ko) * 2004-04-07 2012-10-17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질소함유 헤테로환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기 발광 소자
CN100554366C (zh) * 2007-08-07 2009-10-28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树枝状发绿光的铱配合物、其制法及该配合物的有机电致发光器件
KR100959189B1 (ko) 2007-12-31 2010-05-24 제일모직주식회사 저분자 유기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
KR100857655B1 (ko) 2008-06-05 2008-09-08 주식회사 두산 새로운 유기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JP2010092960A (ja) 2008-10-06 2010-04-22 Sony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表示装置
TWI530493B (zh) 2008-10-14 2016-04-21 第一毛織股份有限公司 苯并咪唑化合物及具有該化合物之有機光電裝置
KR101219487B1 (ko) * 2009-03-03 2013-01-15 덕산하이메탈(주) 비스벤조이미다졸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단말
KR101506999B1 (ko) 2009-11-03 2015-03-31 제일모직 주식회사 유기광전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7450A (ko) * 2016-02-18 2017-08-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화합물, 유기 광전자 소자 및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00695A1 (en) 2014-02-26
US9444054B2 (en) 2016-09-13
US20140048789A1 (en) 2014-02-20
CN103597052A (zh) 2014-02-19
WO2013022145A9 (ko) 2013-11-07
CN103597052B (zh) 2016-08-17
KR101474797B1 (ko) 2014-12-19
EP2700695A4 (en) 2015-01-28
EP2700695B1 (en) 2017-12-06
WO2013022145A1 (ko)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797B1 (ko)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KR101432599B1 (ko) 유기광전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
KR101506999B1 (ko) 유기광전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
KR101297158B1 (ko) 유기광전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
KR101497133B1 (ko)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531612B1 (ko) 유기광전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
KR101354638B1 (ko) 유기광전자소자용 재료,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5938397B2 (ja) 有機光電子素子用化合物、これを含む有機発光ダイオードおよび前記有機発光ダイオードを含む表示装置
KR101453768B1 (ko) 유기광전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
KR20140087996A (ko)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474800B1 (ko)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507004B1 (ko)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40087647A (ko)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20131870A (ko)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20078303A (ko) 유기광전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
JP2014508130A (ja) 有機光電子素子用化合物、これを含む有機発光ダイオードおよび前記有機発光ダイオードを含む表示装置
KR20120078326A (ko) 유기광전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
KR20130020398A (ko)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30073853A (ko)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2016505611A (ja) 有機光電子素子用化合物、これを含む有機発光素子および前記有機発光素子を含む表示装置
KR101507000B1 (ko)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50009370A (ko)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664122B1 (ko)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용 조성물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627748B1 (ko)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515431B1 (ko)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