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3321A - 자동차용 에어벤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에어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3321A
KR20130013321A KR1020110074899A KR20110074899A KR20130013321A KR 20130013321 A KR20130013321 A KR 20130013321A KR 1020110074899 A KR1020110074899 A KR 1020110074899A KR 20110074899 A KR20110074899 A KR 20110074899A KR 20130013321 A KR20130013321 A KR 20130013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direction
direction control
air
control vane
air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4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3321A/ko
Publication of KR20130013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33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에어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벤트의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는 1차풍향조절베인에 동일방향으로 회동되는 2차풍향조절베인을 연결설치하여 상기 하우징에서 일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범위를 더욱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에어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의 송풍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다수개의 1차풍향조절베인과,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에 연결되어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다수개의 2차풍향조절베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2차풍향조절베인은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의 회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에어벤트{AIR VENT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에어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벤트의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는 1차풍향조절베인에 동일방향으로 회동되는 2차풍향조절베인을 연결설치하여 상기 하우징에서 일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범위를 더욱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에어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실내의 냉난방을 위하여 온기 또는 냉기를 발생시켜 실내로 공급시키는 공조시스템이 장착된다.
이와 같은 공조시스템은 공기를 송풍시키는 불로어 유닛과,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히터유닛과 에바유닛, 그리고 이와 연통되어 온기 또는 냉기를 실내측으로 유입되도록 기류가 흐르는 덕트의 차실방향 단부에 설치되는 에어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벤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를 형성하는 케이싱(1)과 상기 케이싱(1)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힌지결합되어 송풍방항을 상하로 변경하는 제1윙부재(2) 그리고 케이싱(1)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힌지결합되어 송풍방향을 좌우로 변경하는 제2윙부재(3), 상기 제1,2윙부재(1,2)들의 연동을 위한 링크(4), 상기 윙의 조작을 위한 노브(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운전자 또는 탑승객은 상기 노브를 조작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바람이 나오도록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어벤트에서는 상기 제1윙부재를 하방향으로 최대회전하더라도 윙과 윙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의 간섭에 의해 토출 공기의 방향이 하방향으로 꺾이지 않게 되어 하방향으로의 풍향범위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벤트의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는 1차풍향조절베인에 동일방향으로 회동되는 2차풍향조절베인을 연결설치하여 상기 하우징에서 일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범위를 더욱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특히, 하우징으로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차량실내의 하방향으로 하는 경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기의 송풍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다수개의 1차풍향조절베인과,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에 연결되어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다수개의 2차풍향조절베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2차풍향조절베인은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의 회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벤트의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는 1차풍향조절베인에 동일방향으로 회동되는 2차풍향조절베인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에서 일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범위를 더욱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에어밴트의 외관을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
도 2는 종래 에어밴트의 구성부품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밴트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도,
도 6의 본 발명에 따른 2차풍향조절베인의 작동에 따른 배출 공기의 흐름도,
도 7a는 종래 에어밴트의 하방 풍향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에서 1차풍향조절베인과 2차풍향조절베인의 하측 조작에 따른 하방 풍향성을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의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설명에서 가로방향 혹은 좌우방향은 에어벤트의 수평부 길이방향을 지칭하며, 세로방향 혹은 상하방향은 에어벤트의 수직부 길이방향을 지칭하고, 공기가 에어벤트내로 유입되는 측이 에어벤트의 후방이고, 공기가 유출되는 측이 에어벤트의 전방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밴트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도이다.
상기 에어밴트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1차풍향조절베인(20)과 2차풍향조절베인(50),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20)과 2차풍향조절베인(50)을 조절하는 노브 결합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20)과 2차풍향조절베인(50)은 통상의 에어벤트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상호 직각되는 방향 즉 상기 제1차풍향조절베인(20)과 2차풍향조절베인(50)중 어느 하나가 세로방향으로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을 거쳐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기 노브 결합체(40)에 의해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베인(vain) 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20)과 2차풍향조절베인(50)이 동일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을 거쳐 토출되는 공기가 동일방향에 대해 1차, 2차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베인(vain)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과 2차풍향조절베인은 상기 하우징(10)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공기의 토출방향이 상/하방향으로 1차, 2차 조절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하우징(10)에는 공기의 송풍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20)은 상기 하우징(10)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한다.
즉,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2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되 다수 개가 상하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고, 그 다수개의 1차풍향조절베인(20)은 일정길이의 제1링크부재(23)에 힌지축(21)을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노브 결합체(40)의 조작에 의해 상/하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2차풍향조절베인(50)은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20)에 연결되되 그 1차풍향조절베인의 회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2차풍향조절베인(50)은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20)의 전단에 상/하회전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20)에 상기 2차풍향조절베인(50)의 연결을 위한 설치공간(30)을 형성하고, 그 설치공간(30)에 상기 2차풍향조절베인(50)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20)의 전방측에는 일정면적의 설치공간(30)이 형성되고, 상기 2차풍향조절베인(50)은 상기 설치공간(30)과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상태로 양측단에 회전축(51)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51)이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20)의 설치공간(30)측에 형성된 축결합홈(3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2차풍향조절베인(50)이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20)의 설치공간(30)에서 그 1차풍향조절베인(20)의 회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2차풍향조절베인은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의 상하 최대 회동시 그 1차풍향조절베인과 일정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2차 상/하 회동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예로써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20)이 일정각도를 갖는 상태로 하방향으로 최대 회동되어 더 이상 회동되지 않게 되면, 그때 상기 2차풍향조절베인(50)이 하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하방향으로 최대 회동된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20)과 일정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하우징(10)를 거쳐 토출되는 공기의 하방향으로 풍향 범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20)이 상방향으로 최대 회동된 다음, 상기 2차풍향조절베인(50)이 회동되는 경우에도 상기 하우징(10)를 거쳐 토출되는 공기의 상방향으로 풍향 범위또한 확보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면 운전자의 눈에 토출되는 공기가 직접타격되어 안전운행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하방향으로의 풍향 범위만를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설치공간(30)측의 1차풍향조절베인(20)에 걸림홈(25)을 형성하고, 상기 2차풍향조절베인(50)에 걸림돌기(55)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기(55)가 상기 걸림홈(25)에 걸림되는 경우에는 상기 2차풍향조절베인(50)이 상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되고, 상기 2차풍향조절베인(50)이 하방향으로 회동시에는 상기 걸림돌기(55)가 상기 걸림홈(25)에서 이탈되어 회동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2차풍향조절베인(50)에 형성된 걸림돌기는 탄성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걸림홈(25)으로의 인입이나 상기 걸림홈(25)에서의 인출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55)와 걸림홈(25)에 의해 상기 2차풍향조절베인(50)이 상방향으로는 이동이 제한되고, 하방향으로는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그리고, 상기 2차풍향조절베인(50)은 연결링크(53)에 의해 상호연결되어 동시에 회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연결링크(53)는 상호 근접된 2차풍향조절베인(50)을 상호연결하여 다수개의 상기 2차풍향조절베인이 동시에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결링크(53)의 일측과 타측이 근접된 2차풍향조절베인에 연결된 상태에서 다수개의 2차풍향조절베인 중 어느 하나의 2차풍향조절베인에 하방향힘이 가해지면 다수개의 2차풍향조절베인이 동시에 하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자동차용 에어벤트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먼저, 차량용 에어벤트의 구성간 결합관계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공기의 송풍 유로가 형성된 하우징(10)의 내측가로방향에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20)이 상/하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되 다수개가 상하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고, 그 다수개의 1차풍향조절베인은 제1링크부재(23)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태로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20)의 전방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20)과 수직되는 수직윙(60)이 좌/우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다수개가 좌/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고, 그 다수개의 수직윙은 제2링크부재(63)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태로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20)의 전단에는 일정면적의 설치공간(30)이 형성되고, 그 설치공간(30)에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20)과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는 2차풍향조절베인(50)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2차풍향조절베인(50)은, 그 2차풍향조절베인에 형성된 걸림돌기(55)가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20)의 설치공간측에 형성된 걸림홈(25)에 걸림되어 상측으로의 회동이 제한된다.
또한, 다수개의 2차풍향조절베인은 연결링크에 의해 상호연결된 상태에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상기 수직윙(60)중 어느 하나의 수직윙(60)에는 노브 조립체(40)가 결합되는데, 상기 노브 결합체(40)는 리어노브(43)와 프런트노브(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노브 결합체(40)의 프런트노브(41)가 상기 수직윙(60)을 감싼 상태로 있게 되고, 상기 노브 결합체(40)의 리어노브(43)가 다수개의 2차풍향조절베인중 어느 하나의 2차풍향조절베인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에어벤트의 작동은, 먼저 상기 노브 결합체(40)를 좌/우 이동시키면 상기 수직윙(60)이 좌/우 회동되어 상기 하우징(1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 풍향을 조작할 수 있게된다.
또한, 상기 노브 결합체(40)를 상/하 이동시키면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20)이 상/하 회동되어 상기 하우징(1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 풍향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노브 결합체(40)를 이용하여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20)을 하측방향 최대 회동각도까지 이동시켜 더 이상 회동 되지 않게 되면 상기 노브 결합체(40)에 인가된 힘이 상기 2차풍향조절베인(50)으로 전달되고, 그로 인해 상기 2차풍향조절베인(50)이 상기 1차풍향조저베인(20)의 설치공간(30)에서 하측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하우징(1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하방향 풍향 범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2차풍향조절베인에 의해 하방향으로 풍향범위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음을 도 6의 본 발명에 따른 2차풍향조절베인의 작동에 따른 배출 공기의 흐름도를 참고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수개의 1차풍향조절베인에 결합된 2차풍향조절베인을 사용자의 필요시에만 작동되게 함으로써 다수의 1차풍향조절베인(20)간에 작용하는 토출공기의 반작용의 중첩이 상기 2차풍향조절베인(50)의 작동시 극대화되어 하방향 풍향 범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7a에서와 같이 종래 에어벤트에서는 하방으로의 풍향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는 반면 도 7b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는 하방으로의 풍향이 충분히 확보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과 2차풍향조절베인이 상기 하우징(10)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하방향으로의 풍향 범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하우징(10)의 가로방향에는 수평윙을 구비하고 세로방향에는 상기 2차풍향조절베인이 결합된 1차풍향조절베인을 설치하여 좌/우방향으로의 풍향 범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즉, 1차풍향조절베인을 공기의 토출방향이 좌우로 변경되게 상기 하우징에 좌/우회동되게 설치하고, 1차풍향조절베인의 좌우 최대 회동시 그 1차풍향조절베인고 일정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2차 좌/우 회동되는 2차풍향조절베인을 1차풍향조절베인에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20: 1차풍향조절베인
21: 힌지축 23: 제1링크부재
25: 걸림홈 30: 설치공간
31: 축결합홈 40: 노브결합체
41: 프런트노브 43: 리어노브
50: 2차풍향조절베인 51: 회전축
53: 연결링크 55: 걸림돌기
60: 수직윙 63: 제2링크부재

Claims (8)

  1. 공기의 송풍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다수개의 1차풍향조절베인(20); 및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20)에 연결되어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다수개의 2차풍향조절베인(50)을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용 에어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풍향조절베인(50)은,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20)의 회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벤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풍향조절베인(50)은,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20)에 형성된 설치공간(30)에 그 1차풍향조절베인(20)의 회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벤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20)은 공기의 토출방향이 상하로 변경되게 회전되고,
    상기 2차풍향조절베인(50)은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의 상하 최대 회동시 그 1차풍향조절베인과 일정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2차 상/하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벤트.
  5. 청구항 1 내지 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풍향조절베인(50)은 연결링크(53)에 의해 상호연결되어 동시에 회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벤트.
  6. 청구항 1 내지 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호 근접된 2차풍향조절베인(50)을 상호연결하여 다수개의 상기 2차풍향조절베인(50)이 동시에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연결링크(5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벤트.
  7. 청구항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풍향조절베인(50)은, 그 2차풍향조절베인(50)에 형성된 걸림돌기(55)가 상기 1차풍향조절베인(20)에 형성된 걸림홈(25)에 걸림되어 일방향으로의 회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벤트.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2차풍향조절베인(50)에 형성된 걸림돌기(55)는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벤트.
KR1020110074899A 2011-07-28 2011-07-28 자동차용 에어벤트 KR201300133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899A KR20130013321A (ko) 2011-07-28 2011-07-28 자동차용 에어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899A KR20130013321A (ko) 2011-07-28 2011-07-28 자동차용 에어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321A true KR20130013321A (ko) 2013-02-06

Family

ID=47893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899A KR20130013321A (ko) 2011-07-28 2011-07-28 자동차용 에어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33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99791A (zh) * 2017-09-11 2018-01-19 依工(宁波)电子元件紧固装置有限公司 一种单叶片导向的汽车空调出风口
CN108422833A (zh) * 2017-02-15 2018-08-21 福特全球技术公司 控制从机动车辆调风器排出的空气羽流的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2833A (zh) * 2017-02-15 2018-08-21 福特全球技术公司 控制从机动车辆调风器排出的空气羽流的方法
CN108422833B (zh) * 2017-02-15 2023-05-26 福特全球技术公司 控制从机动车辆调风器排出的空气羽流的方法
CN107599791A (zh) * 2017-09-11 2018-01-19 依工(宁波)电子元件紧固装置有限公司 一种单叶片导向的汽车空调出风口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64721A (zh) 空调装置
CN106476563B (zh) 远程出口叶片控制系统
JP2018538196A (ja) 乗物座席のためのネックファン及び同品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CN103660847A (zh) 车用空调装置
KR101952662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KR20130013321A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KR10260347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5012286A1 (ja) 車両用空調ユニット
KR200457556Y1 (ko) 차량용 에어벤트
CN110997373A (zh) 汽车用的通风装置
KR20110037755A (ko) 차량용 에어 벤트
CN109668276A (zh) 空调器的控制方法
KR20130053680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19209869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982019B1 (ko) 상이한 작동 각을 구현하는 자동차용 에어벤트
KR10200199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668902B1 (ko) 버스용 에어컨 루버 구조
KR101454758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팬
KR102475366B1 (ko) 차량의 독립 공조 장치
KR100354120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KR20060016355A (ko) 차량용 에어벤트 구조
KR10259243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90663B1 (ko) 차량용 에어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59758B1 (ko) 에어벤트 장치
KR102106513B1 (ko) 풍량 제어 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