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3032A - 효소 발효 흑홍삼과 그 제조 방법 및 효소 발효 흑홍삼을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효소 발효 흑홍삼과 그 제조 방법 및 효소 발효 흑홍삼을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3032A
KR20130013032A KR1020110074410A KR20110074410A KR20130013032A KR 20130013032 A KR20130013032 A KR 20130013032A KR 1020110074410 A KR1020110074410 A KR 1020110074410A KR 20110074410 A KR20110074410 A KR 20110074410A KR 20130013032 A KR20130013032 A KR 20130013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ginseng
fermented
hours
ak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예
이재석
백승한
김대현
Original Assignee
한국인삼농업법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인삼농업법인(주) filed Critical 한국인삼농업법인(주)
Priority to KR1020110074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3032A/ko
Publication of KR20130013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30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6Yeasts;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8Baker's yeast; Brewer's yeast
    • C12N1/185Saccharomyces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C12R2001/85Saccharomyces
    • C12R2001/865Saccharomyces cerevisia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소 발효 흑홍삼과 그 제조 방법 및 효소 발효 흑홍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효소 발효 흑홍삼 제조 방법은, 감을 포함하는 천연식물복합 발효액(AKI-C01)을 홍삼에 접종하면서 45~70℃로 200~300시간 혐기적 발효 시키는 단계와; 상기 발효 숙성 단계를 거친 홍삼을 대류열 습식 가열과 대류열 순환을 병행하면서 40~55℃로 360~480시간 재증숙-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를 이용하여 천연식물복합 발효액을 제조하고, 혐기적인 발효 환경을 조성하여 천연식물복합 발효액 내에 존재하고 있는 미생물의 활동 환경을 분해 및 발효 쪽으로 유도함으로써 진세노사이드와 같은 기존 홍삼의 유효성분을 사람의 체내에서 보다 흡수 가능한 성분으로 전환시켜 기존 인삼 가공 제품에 비해 진세노사이드의 흡수율이 크게 증가하고,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 발효 조건으로, 제품의 손상이나 유효성분의 손실 없이 인삼을 발효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발효방법으로서 발효가 어려웠던 홍삼 등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효소 발효 흑홍삼과 그 제조 방법 및 효소 발효 흑홍삼을 포함하는 조성물{FERMENTED BLACK-RED GINSENG AND THE METHOD OF PREPARING IT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GINSENG}
본 발명은 홍삼을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와 천연식물복합 효소를 이용하여 체내 흡수가능한 사포닌 중간 대사물인 Rg2와 홍삼 특이 사포닌인 Rg3, Rh1, Rh2를 강화시킨 효소발효흑홍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혐기적 환경을 이용하여 발효 흑홍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은 가공 방법에 따라 수삼, 백삼, 건삼, 홍삼 및 1990년대 후반부터 등장한 특정한 홍삼으로써 ‘구증구포홍삼, 초고압홍삼, 유산균발효홍삼, 효모발효홍삼, 효소발효홍삼’ 등으로 구분되어 지고 있다.
수삼 중에서도 4 ~ 6년근을 껍질을 제거하지 않은 채로 증기로 쪄서 건조시키는 증숙 및 건조 단계를 거쳐 얻는 것을 홍삼이라고 하는데, 홍삼은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옅은 황갈색 및 옅은 적갈색을 띠게 된다.
현행법은 홍삼을 “인삼을 증숙 또는 팽숙 (증포)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인삼의 녹말을 호화한 것을 말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즉, 홍삼은 수삼을 증기 또는 기타방법으로 쪄서 익혀 말린 것을 말하며, 홍삼은 제조 공정을 거치는 동안 홍삼 특유의 비효소적 갈색화 반응 생성물이 형성되고 말톨(Maltol) 등과 같은 항산화 성분이 생성되며 인삼에 들어있는 조사포닌 함량이 크게 증가하고 항암물질로 알려진 진세노사이드가 대폭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인삼 진세노사이드는 그 자체로 약효를 내는 것은 아니고, 섭취 후 사람의 체내에서 진세노사이드 대사물로 분해 흡수되어 약효를 나타내게 된다.
홍삼을 먹는 한국인의 37.5%가 아무런 효과를 보지 못한 채 몸 밖으로 배출되고 남은 62.5% 역시 개개인에 따라 효과의 차이를 보인다고 한다.
그 이유는 홍삼의 유효성분인 사포닌이 장내의 미생물에 의해 전환되어야만 체내에 흡수가 되어 그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에 보고에 의하면, 한국인의 32.5%가 홍삼의 주요 성분인 사포닌을 전환해하는 효소가 전혀 없거나 효소중의 일부가 결여되어 있는 홍삼을 복용해도 효과가 없고 또한 남은 62.5%는 분해효소가 있지만 그 보유량은 개인차가 있다고 한다.
관련 선행기술로, '흑삼과 흑미삼의 제조방법'(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529475호, 특허문헌 1) 1페이지 요약을 살펴보면, 수삼을 60 ~ 110℃로 7회 이상 증숙, 건조시키는 인삼 가공방법을 기술하고 있으며, 이렇게 가공된 삼이 검정색에 가까워 (구증구포)흑삼 이라고 지칭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인삼을 아홉 번 찌고 아홉 번 말리는 ‘구증구포’에 의한 제조방법으로서, 제조과정에 50일 이상의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공정이 복잡하므로 경제성이 떨어지며,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제품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흑홍삼 제조방법 및 흑홍삼 가공품'(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531429호, 특허문헌 2) 4페이지 청구항1을 살펴보면, 수삼을 140 ~ 180℃ 사이의 온도에서 8 ~ 12시간 동안 1회 처리하는 가공방법과 이렇게 얻어진 흑홍삼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홍삼의 갈변은 인삼에 포함되어 있는 아미노산과 당류의 갈변에 의한 것이므로, 이 특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인삼을 고온에 장기간 노출시키게 되면 비록 아미노산 및 당류의 갈변에 의해 색이 짙어져 외관상 홍삼과 같은 형태가 되었더라도 극성 진세노사이드인 Rb1, Rb2, Rc, Rd, Re, RF 등이 분해되어 유효성분의 함량이 감소하고, 효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인삼에 대한 여러 가지 가공법들이 시도되고 있는데, 고온에서의 반복적인 장시간 처리는 발암물질과 같은 원치 않는 변성물질의 생성을 초래할 수도 있었다.
즉, 종래에 인삼의 유효성분을 증가시키기 위한 종래의 인삼 가공방법, 특히 홍삼이나 구증구포 및 초고압 방법에 의한 흑삼, 기타 종래의 발효흑홍삼 등은 고온처리로 인해 인삼 고유의 유효성분이 분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고온처리로 제조공정상 에너지 소모가 많고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등 공정이 번잡하고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529475호 (2005.11.11) Kr 10-531429호 (2005.11.21)
본 발명의 효소 발효 흑홍삼과 그 제조 방법 및 효소 발효 흑홍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홍삼, 흑삼 등을 포함하는 기존 인삼제품에 비해 사람의 체내에서 흡수 가능한 유효성분의 함량을 크게 증가시킨 새로운 ‘효소발효흑홍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를 이용하여 천연식물 복합 발효액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 조건으로 유효성분의 손실이나 성분의 변성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효소발효흑삼을 제조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를 이용하여 천연식물복합 발효액을 제조하고, 혐기적인 발효 환경을 조성하여 천연식물복합 발효액 내에 존재하고 있는 미생물의 활동 환경을 분해 및 발효 쪽으로 유도함으로써 진세노사이드와 같은 기존 홍삼의 유효성분을 사람의 체내에서 보다 흡수 가능한 성분으로 전환시켜 기존 인삼 가공 제품에 비해 진세노사이드의 흡수율을 크게 증가시키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소 발효 흑홍삼 제조 방법은 감을 포함하는 천연식물복합 발효액(AKI-C01)을 홍삼에 접종하면서 45~70℃로 200~300시간 혐기적 발효 시키는 단계와; 상기 발효 숙성 단계를 거친 홍삼을 대류열 습식 가열과 대류열 순환을 병행하면서 40~55℃로 360~480시간 재증숙-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b)의 재증숙-숙성 단계를 거친 홍삼을 25 ~ 35℃로 240 ~ 360시간 건조 숙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천연식물복합 발효액(AKI-C01)은 감을 포함하는 50가지 천연과일과 무정제설탕을 1:0.3~2의 부피비로 혼합시켜 발효한 1차 발효액에 효모균인 Saccharomyces cerevisiae를 0.05%로 접종, 배양후 정제수를 50배 ~ 70배로 희석한 천연식물복합 발효액(AKI-C01)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인삼은 홍삼이고 상기 천연식물복합 발효액(AKI-C01)을 홍삼 75㎏당 10L-15L 정량 분사 또는 10시간 침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기존의 홍삼이나 흑삼 등에 비해 사포닌대사물질, 사포닌중간대사물질 및 홍삼특이사포닌의 유효성분 함량이 크게 증가된다.
구체적으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를 이용하여 천연식물복합 발효액을 제조하고, 혐기적인 발효 환경을 조성하여 천연식물복합 발효액 내에 존재하고 있는 미생물의 활동 환경을 분해 및 발효 쪽으로 유도함으로써 진세노사이드와 같은 기존 홍삼의 유효성분을 사람의 체내에서 보다 흡수 가능한 성분으로 전환시켜 기존 인삼 가공 제품에 비해 진세노사이드의 흡수율이 크게 증가한다.
또한,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 발효 조건으로, 제품의 손상이나 유효성분의 손실 없이 인삼을 발효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발효방법으로서 발효가 어려웠던 홍삼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효방법을 사용하면 고른 숙성으로 균일한 ‘효소발효흑홍삼’ 제품을 얻을 수 있으며, 제조과정에 고온처리가 필요 없고 사람의 손길이 적게 소요되어 경제적이며, 모든 과정이 발효설비 내에서 일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체계적이고 간편화하여 높은 생산성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효방법을 이용하면 균질한 발효제품을 일정기간 내에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효소 발효 흑홍삼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효소발효흑홍삼’ 제조방법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1. 발효 숙성 단계
천연식물복합 발효액(AKI-C01)을 홍삼에 접종 후 45~70℃로 200~300시간 발효 한다.
천연식물복합 발효액(AKI-C01)은 감을 포함하는 50여가지 천연과일과 무정제설탕을 1:0.3~2의 부피비로 혼합하고 발효시켜 1차 발효액을 얻은 후 여기에 효모균인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를 0.05% 접종, 배양후 정제수를 50배 내지 70배의 부피비로 희석, 혼합하여 만든다.
홍삼은 뚜껑이 있는 발효 전용 용기에 나누어 담고 상기와 같이 준비된 천연식물복합 발효액(AKI-C01)을 홍삼 75㎏ 당 10L~15L 정도로 정량 분사 또는 10시간 침전한 후 발효 전용 용기에 소분후 뚜껑을 덮고 가온과 가습이 가능한 발효기에 넣는다.
이때 천연식물복합 발효액(AKI-C01)을 한번에 전량 분사 또는 10시간 침전하지 않고 2회 이상으로 나누어 발효과정 중에 분사 또는 5시간 침전할 수도 있다.
또, 발효 상태를 보아가며 필요에 따라 추가로 더 분사 또는 5시간 침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천연식물복합 발효액(AKI-C01)이 접종된 홍삼이 소분된 발효 전용 용기를 발효기내에 가지런히 정렬 적재후 발효기의 온도를 45~70℃ 범위로 유지하면서 200~300시간 혐기적 발효를 실시한다.
발효기의 온도가 40℃ 미만일 경우는 효소활성이 낮아 발효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면서도 충분히 발효되기 어렵다. 반면 온도가 높으면 효소가 불활성화 될 수 있어 70℃를 초과하지 않는 게 바람직하다.
2. 재증숙-숙성 단계
상기 발효 숙성이 끝난 홍삼을 계속하여 발효기 내에서 대류열 습식 가열 방식을 번갈아 시행하면서 40~55℃의 온도범위를 유지하고 360~480시간에 걸쳐 증숙 숙성시킨다. 이때 발효기의 바람직한 습도 범위는 40~60% 로 유지한다.
발효기 내의 상하 온도와 습도를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발효기 내 발효상태를 고르게 할 수 있다.
이렇게 균일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발효시키면 한번에 500㎏ 정도를 발효시키는 대량 발효의 경우에도 균일하게 잘 발효된 질 좋은 ‘효소발효흑홍삼’이 얻어진다.
본 단계를 거쳐 1차로 완성된 ‘효소발효흑홍삼’이 얻어진다.
3. 저온 숙성 단계
상기 증숙 숙성 단계를 거친 홍삼을 25~35℃로 240~360시간 건조 숙성시킨다.
앞의 두 단계와 달리 본 단계의 건조 숙성은 선택적인 절차인데, 제품의 발효상태를 보다 균일하게 하고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본 단계의 건조 숙성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단계는 앞의 두 단계에 이어 발효기 내에서 그대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단계를 그대로 발효기 내에서 실시할 경우 발효의 전(全)과정이 한번 들어간 발효기내에서 연속해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전체 공정진행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고, 제품의 균일한 발효상태를 위해서도 바람직하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본 단계는 발효기 밖 숙성실에서 실시될 수도 있다.
이렇게 발효기에 들어가 홍삼은 발효기 내에서 총 33일 내지 48일에 걸쳐 건조 숙성을 포함한 발효 숙성의 전(全)과정을 모두 마치게 되며, 완성된 ‘효소발효흑홍삼’이 된다. 이럴 때 ‘효소발효흑홍삼’의 표면색상은 발효흑삼과 거의 동일하게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효소발효흑홍삼’은 본 발명의 발효숙성 과정을 거치면서 홍삼의 유효성분 함량이 증가되며, 이밖에도 맛, 기호도, 섭취 용이성, 보존성 증가 등 발효에 따른 여러 가지 장점을 갖게 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실시예 1
홍삼을 이용한 ‘효소발효흑홍삼’의 제조
(1) 감을 포함한 50여종의 천연과실과 무정제 설탕을 1:0.5의 비율로 6개월간 자연발효시킨 후 여기에 50배-70배의 정제수를 희석한 천연식물복합 발효액(AKI-C01)을 만들었다.
(2) 홍삼을 발효 전용용기에 소분후 (1)에서 준비한 천연식물복합 발효액(AKI-C01)을 홍삼 75㎏에 대해 10L~15L 정도로 정량 분사 또는 10시간 침전한 후 발효기에 넣어 45℃~70℃의 온도 범위로 300시간 발효 하였다.
홍삼은 시판되는 홍삼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3) 계속하여 발효기에서 대류열을 이용한 습식 가열과 대류열 순환을 교대로 실시하면서 40~55℃의 온도 범위로 480시간 재증숙-숙성시켜 ‘효소발효흑홍삼’을 얻었다.
실시예 2
홍삼을 이용한 ‘효소발효흑홍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한 후 계속하여 발효실에서 25~35℃의 온도 범위로
300시간 건조숙성시켜, 건조숙성 과정을 거친 ‘효소발효흑홍삼’을 얻었다.
비교예
상기 실시예에서 원료로 사용된 홍삼을 각각 비교예 1로 하였다.
비교예
상기 실시예에서 원료로 사용된 홍삼을 각각 비교예 1로 하였다.
시험예 1
조사포닌 함량 분석
실시예 2에서 얻은 효소발효흑홍삼에 대해 조사포닌 함량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 표 1에 나타냈다.
시험항목(mg/kg) 실시예2 비교예1
조사포닌 145.26 68.58
시험예 2
진세노사이드 5종의 함량 비교 분석
실시예 2에서 얻은 효소발효흑홍삼에 대해 홍삼 특히 진세노사이드인 Rg2,Rg3, Rh1, Rh2, 사포닌 대사물질(C-K)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 표 1에 나타냈다.
성분(mg/kg) 실시예2 비교예1
Rg2 125.55 33.10
Rg3 825.55 37.56
Rh1 178.56 29.52
Rh2 25.55 0.00
C-k 195.00 0.00
시험예 3
잔류농약 검사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효소발효흑홍삼”에 대해 효소발효후 잔류농약을 검사한 결과 모두 “불검출”로 나타났다.
시험예 4
발암물질(PAHs) 검사
실시예 1 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효소발효흑홍삼”에 대해 효소발효후 발암물질(PAHs)을 검사한 결과 모두 “불검출”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효소발효흑홍삼은 홍삼을 발효시키기 위해 Saccharomyces cerevisiae와 천연식물복합 효소를 이용한 미생물을 홍삼의 체내 흡수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장내에서 일어날 사포닌 전환과정을 미리 진행시켜 놓은 홍삼을 기존 홍삼의 유효성분(즉, 진세노사이드)을 사람의 체내에서 보다 흡수 가능한 성분으로 전환시켜 홍삼을 포함하는 기존 인삼보다 진세노사이드의 흡수율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에 관한 것으로 미생물의 활동환경을 분해 및 발효쪽으로 유도함으로써 효과적인 조건을 맞추어 그에 따른 홍삼의 유효성분 [‘체내 흡수가능성분 (사포닌대사물질, 사포닌중간대사물질 , 홍삼특이사포닌)’] 함량 증가 및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중금속과 농약을 중화시키거나 소멸시키고 독성이 제거돼 장기간 복용해도 몸에 전혀 부담이 없는 양질의 발효 제품을 얻을 수 있도록 전체적인 공정 진행을 체계적시키고 간편화시켜 생산성의 증대 (대량생산가능) 및 균질성을 크게 향상시켜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의약외품 의 원료로 사용 할 수 있으며 특정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이 높아 정제 추출과정을 통해 유효성분 (홍삼특이사포닌)을 뽑아 낼 수 있고 대량 생산과 균질성, 사용의 편리성이 높아 그 산업적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Claims (6)

  1. (a) 감을 포함하는 천연식물복합 발효액(AKI-C01)을 홍삼에 접종하면서 45~70℃로 200~300시간 혐기적 발효 시키는 단계와;
    (b) (a)의 발효 숙성 단계를 거친 홍삼을 대류열 습식 가열과 대류열 순환을 병행하면서 40~55℃로 360~480시간 재증숙-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효소발효흑홍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의 재증숙-숙성 단계를 거친 홍삼을 25 ~ 35℃로 240 ~ 360시간 건조 숙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효소발효흑홍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식물복합 발효액(AKI-C01)은 감을 포함하는 50가지 천연과일과 무정제설탕을 1:0.3~2의 부피비로 혼합시켜 발효한 1차 발효액에 효모균인 Saccharomyces cerevisiae를 0.05%로 접종, 배양후 정제수를 50배 ~ 70배로 희석한 천연식물복합 발효액(AKI-C01)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소발효흑홍삼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홍삼이고 상기 천연식물복합 발효액(AKI-C01)을 홍삼 75㎏당 10L-15L 정량 분사 또는 10시간 침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소발효흑홍삼의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소발효흑홍삼.
  6. 제 5항의 효소발효흑홍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 조성물.
KR1020110074410A 2011-07-27 2011-07-27 효소 발효 흑홍삼과 그 제조 방법 및 효소 발효 흑홍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300130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410A KR20130013032A (ko) 2011-07-27 2011-07-27 효소 발효 흑홍삼과 그 제조 방법 및 효소 발효 흑홍삼을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410A KR20130013032A (ko) 2011-07-27 2011-07-27 효소 발효 흑홍삼과 그 제조 방법 및 효소 발효 흑홍삼을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032A true KR20130013032A (ko) 2013-02-06

Family

ID=47893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410A KR20130013032A (ko) 2011-07-27 2011-07-27 효소 발효 흑홍삼과 그 제조 방법 및 효소 발효 흑홍삼을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30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847A (ko) * 2016-11-29 2018-06-07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성 복합발효미생물을 활용한 고기능 진세노사이드 흑삼본삼 제조방법
CN110680839A (zh) * 2019-11-26 2020-01-14 白山市顺源参业有限公司 一种林下参黑参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847A (ko) * 2016-11-29 2018-06-07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성 복합발효미생물을 활용한 고기능 진세노사이드 흑삼본삼 제조방법
CN110680839A (zh) * 2019-11-26 2020-01-14 白山市顺源参业有限公司 一种林下参黑参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97966B (zh) 一种微生物发酵制作gaba茶的方法
KR100950978B1 (ko) 발효인삼 및 그 제조방법
CN103571721B (zh) 一种金花茶茶酒及其制作方法
CN108967775A (zh) 一种野樱莓活性植物乳酸菌发酵饮料及其制备方法
CN102238878A (zh) 发酵人参以及其制造方法
CN113564015B (zh) 一种液态发酵食醋及其制备方法
CN105533707A (zh) 一种人参小分子营养成分制剂及其制备方法
CN107594416B (zh) 一种发酵槟榔的加工方法
CN115413779A (zh) 一种通过微生物发酵加速陈皮陈化的方法
CN109593630B (zh) 一种发酵型无核黄皮果醋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6387652B (zh) 灵芝益生菌发酵产品的制备方法
KR101372400B1 (ko) 미량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을 증진시킨 홍삼전분의 제조 방법
CN107853588A (zh) 一种功能性青稞粉的制备方法
CN105477540B (zh) 一种姜黄红曲制备方法及其制品
KR20150083339A (ko) 천연 효소액과 효모 및 리보플라빈의 복합발효액을 이용한 흑삼 및 그 제조방법
CN111235003B (zh) 一种石榴复合保健果醋及其制备方法
KR20130013032A (ko) 효소 발효 흑홍삼과 그 제조 방법 및 효소 발효 흑홍삼을 포함하는 조성물
CN104664262A (zh) 一种制酱组合物以及制酱方法
CN107099415B (zh) 一种具有预防脑缺氧功能的红景天青稞保健酒的制作方法
CN114027089B (zh) 一种提高食用菌菇风味的方法与应用
CN105087280B (zh) 一种鸭血糯银杏低度黄酒的现代化大罐酿造方法
CN106260359A (zh) 一种雪莲培养物组合物灵芝茶及其制备方法
KR20170062893A (ko) 누룩을 이용한 아로니아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분말화하는 방법
CN106880043B (zh) 一种油橄榄酵素及其制备方法
CN112553039A (zh) 一种由麦芽谷芽经液态发酵酿造酵素醋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