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563A -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563A
KR20130012563A KR1020120080669A KR20120080669A KR20130012563A KR 20130012563 A KR20130012563 A KR 20130012563A KR 1020120080669 A KR1020120080669 A KR 1020120080669A KR 20120080669 A KR20120080669 A KR 20120080669A KR 20130012563 A KR20130012563 A KR 20130012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wire
bracket
housing
compressor
inser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2424B1 (ko
Inventor
히로시 사이토
마모루 구와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30012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04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 F04B27/0821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component parts, details, e.g. valves, sealings, lubrication
    • F04B27/086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component parts, details, e.g. valves, sealings, lubrication swash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8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압축기에 있어서, 제조 비용, 제품 관리 등의 점에서 문제를 일으키기 어렵고, 브래킷의 조립을 자동화하기 쉽고, 또한 와이어 하네스의 리드선이 브래킷으로부터 잘 빠지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의 압축기는, 하우징 (3) 에 고정되고, 경사판식 압축 기구 (5) 에 전기적 작용을 부여하는 전자 용량 제어 밸브 (7) 와, 전자 용량 제어 밸브 (7) 와 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와이어 하네스 (9) 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 (3) 에는, 내부에 와이어 하네스 (9) 의 리드선 (9b) 이 유지 가능한 유지실 (117a) 을 갖는 브래킷 (11) 이 고정되어 있다. 브래킷 (11) 에는, 유지실 (117a) 에 연통하고, 리드선 (9b) 이 외부로부터 유지실 (117a) 내에 삽입 가능한 삽입구 (117b) 와, 유지실 (117a) 내의 리드선 (9b) 과 접촉함으로써 리드선 (9b) 이 하우징 (3) 의 표면으로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이동 저지벽 (117c) 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압축기{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압축기는, 외부로부터 회전 구동되는 구동축과, 구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 내에는, 구동축의 회전 동작에 의거하여 유체의 압축 작용을 실시하는 압축 기구가 내장되어 있다. 압축 기구로서는,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경사판을 가지며, 경사판의 경사각에 따라 피스톤이 실린더 보어 내를 왕복 운동함으로써, 압축실이 용적 변화를 일으키는 경사판식 압축 기구 등이 있을 수 있다.
이 종류의 압축기에 있어서, 압축 기구에 전기적 작용을 부여하기 위해, 전기 부품을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압축 기구의 토출 용량을 자동 제어하기 위해, 전자 용량 제어 밸브가 채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전기 부품은 와이어 하네스에 의해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와이어 하네스는 커넥터와 일단이 전기 부품에 접속되고, 타단이 커넥터에 접속된 리드선을 가지고 있다. 리드선은, 압축기 자체에서 방해가 되지 않고, 또한 탑재되는 차량 등에 있어서도 방해가 되지 않도록, 또, 엔진룸 내의 제한된 스페이스에서의 점유 영역을 증가시키지 않도록 하우징에 직접 고정되는 것 외에, 하우징에 고정된 브래킷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하우징에 형성된 오목부에 리드선을 끼워 삽입함으로써, 하우징에 직접 리드선을 고정시키는 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나 특허문헌 3 에는, 하우징에 고정시킨 브래킷에 의해 리드선을 유지하는 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브래킷으로서는, 내부에 리드선이 유지 가능한 유지실을 갖는데, 하우징으로부터 분해된 상태로 유지실 내에 리드선을 삽입시키는 것이 있다. 또, 다른 브래킷으로서 리드선이 유지실에 삽입 가능한 삽입구가 형성된 것도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49062호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2-13937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343호
하우징에 직접 리드선을 고정시키는 수단을 채용한 압축기에서는, 리드선의 위치가 압축기의 하우징의 형상에 따라 제한되게 된다. 이 때문에, 그러한 압축기는, 탑재되는 차량 등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하우징을 구비할 필요성이 생겨, 제조 비용, 제품 관리 등의 점에서 문제가 된다.
한편, 하우징에 고정된 브래킷에 의해 리드선을 유지한 압축기에서는, 브래킷의 형상을 변경하거나 브래킷을 고정시키는 위치를 변경하거나 하면, 탑재되는 차량 등의 종류에 따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이 경우에는 제조 비용, 제품 관리 등의 점에서 문제를 일으키기 어렵다.
그러나, 브래킷이 삽입구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인 경우에는, 미리 리드선을 브래킷의 유지실 내에 유지하고, 그 브래킷을 하우징에 고정시킴으로써 압축기를 조립해야 된다. 이 경우에는, 브래킷의 조립을 자동화하기 어렵다는 난점이 있다. 이 때문에, 브래킷에 삽입구를 형성한다고 하면, 브래킷의 조립 후에 리드선을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문제는 해결되지만, 예를 들어, 작업자나 기계가 압축기를 잡을 때 유지실 내에 유지된 리드선에 접촉하게 되어, 삽입구로부터 빠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압축기에 있어서, 제조 비용, 제품 관리 등의 점에서 문제를 일으키기 어렵고, 브래킷의 조립을 자동화하기 쉽고, 또한 와이어 하네스의 리드선이 브래킷으로부터 잘 빠지지 않게 하는 것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압축기는, 외부로부터 회전 구동되는 구동축과, 그 구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그 구동축의 회전 동작에 의거하여 유체의 압축 작용을 실시하는 압축 기구를 내장하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고정되고, 그 압축 기구에 전기적 작용을 부여하는 전기 부품과, 그 전기 부품과 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와이어 하네스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 하네스는 커넥터와, 일단이 상기 전기 부품에 접속되고, 타단이 그 커넥터에 접속된 리드선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는, 내부에 그 리드선이 유지 가능한 유지실을 갖는 브래킷이 고정되고,
그 브래킷에는, 그 유지실에 연통하고, 그 리드선이 외부로부터 그 유지실 내에 삽입 가능한 삽입구와, 그 유지실 내의 그 리드선과 접촉함으로써 그 리드선이 그 하우징의 표면으로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이동 저지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본 발명의 압축기에서는, 압축기 자체에서 방해가 되지 않고, 또한 탑재되는 차량 등에 있어서 방해가 되지 않도록, 또, 엔진룸 내에서의 점유 영역을 증가시키지 않도록, 하우징에 고정된 브래킷에 의해 리드선이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의 형상을 변경하거나 브래킷을 고정시키는 위치를 변경하거나 하면, 탑재되는 차량 등의 종류에 따르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 의하면, 제조 비용, 제품 관리 등의 점에서 문제를 일으키기 어렵다.
또, 이 압축기에서는, 브래킷이 삽입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브래킷을 하우징에 고정시킨 후, 리드선을 외부로부터 삽입구를 거쳐 브래킷의 유지실 내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브래킷의 조립을 자동화하기 쉽다.
여기서, 예를 들어, 작업자나 기계가 압축기를 잡을 때, 리드선은 하우징의 표면으로 향하여 탄성 지지되기 쉽다. 이 압축기에서는, 브래킷에 이동 저지벽이 형성되고, 이동 저지벽은 유지실 내의 리드선과 접촉함으로써 리드선이 하우징의 표면으로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유지실 내에 유지한 리드선이 삽입구로부터 잘 빠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압축기에 의하면, 제조 비용, 제품 관리 등의 점에서 문제를 일으키기 어렵고, 브래킷의 조립을 자동화하기 쉽고, 또한 와이어 하네스의 리드선이 브래킷으로부터 잘 빠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압축기에 있어서, 압축 기구로서는, (1)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경사판을 가지며, 경사판의 경사각에 따라 피스톤이 실린더 보어 내에서 왕복 운동함으로써, 압축실이 용적 변화를 일으키는 경사판식 압축 기구, (2) 실린더 내에서 구동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로터와, 로터에 형성된 베인 홈 내를 출몰하는 복수매의 베인을 가지며, 압축실이 용적 변화를 일으키는 베인형 압축 기구, (3) 고정 스크롤과,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고정 스크롤에 대해 공전되는 가동 스크롤을 가지며, 압축실이 용적 변화를 일으키는 스크롤형 압축 기구 등이 있을 수 있다.
하우징에는, 리드선을 하우징의 표면에 고정시키는 클램프가 고정될 수 있다 (청구항 2). 이 경우, 엔진룸에 있어서의 점유 영역을 보다 증가시키지 않도록 하면서, 리드선은 하우징의 표면으로 향하여 보다 한층 탄성 지지되기 쉬운 점에서, 본 발명의 압축기가 보다 현저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브래킷에는, 커넥터를 유지하는 커넥터 유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청구항 3). 이 경우, 리드선을 유지하는 브래킷에 커넥터를 유지하는 기능을 갖게 하므로, 새로이 커넥터 유지용 부재를 하우징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커넥터의 방향에 따라서는, 구부러진 리드선이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의 표면으로 향하여 보다 한층 탄성 지지되기 쉽다. 이 때문에, 이 경우에는, 본 발명의 압축기가 보다 현저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전기 부품으로서는, 압축 기구에 전기적 작용을 부여하는 것이면, 전자 용량 제어 밸브, 센서 등 여러 가지의 것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전기 부품은, 토출 용량을 자동 제어하기 위한 전자 용량 제어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4). 많은 압축기에 채용되고 있는 전자 용량 제어 밸브가 전기 부품이면, 많은 압축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작용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구동축과 하우징에 장착되는 전자 클러치는, 압축 기구에 전기적 작용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전기 부품에는 상당하지 않는다.
이동 저지벽이 삽입구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 삽입구는 유지실 내의 리드선이 보통 상태로부터 탄성 변형됨으로써 분해되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5). 이동 저지벽이 삽입구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동 저지벽으로 규제되어 있는 리드선은 삽입구에 가까운 위치에 있으므로, 리드선이 삽입구로부터 빠질 우려가 높아진다. 그러나, 삽입구의 크기를 이와 같이 규정하면, 유지실 내의 리드선은 탄성 변형되지 않으면 삽입구로부터 분해되는 일은 없어, 리드선이 갑자기 브래킷으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다.
브래킷에는, 유지실 내의 리드선이 삽입구에 근접함으로써 리드선을 탄성 변형시키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6). 이 경우, 유지실 내의 리드선이 삽입구를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탄성 변형되게 된다. 이 때문에, 유지실 내의 리드선은 삽입구로부터 분해될 때에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저항한다. 한편, 리드선을 탄성 변형에 저항하여 이동시키면, 리드선을 삽입구로부터 분해할 수 있다.
삽입구 중 이동 저지벽이 아닌 부위에는, 리드선이 삽입구를 통과할 때의 탄성 변형량을 작게 하도록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7). 이 경우, 리드선을 삽입구에 통과시킬 때의 탄성 변형량이 작아, 리드선을 유지실 내에 수용하기 쉽다.
본 발명의 압축기는, 제조 비용, 제품 관리 등의 점에서 문제를 일으키기 어렵고, 브래킷의 조립을 자동화하기 쉽고, 또한 와이어 하네스의 리드선이 브래킷으로부터 잘 빠지지 않는다.
도 1 은, 실시예 1 의 압축기의 측면도이다.
도 2 는, 실시예 1 의 압축기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실시예 1 의 압축기에 관련되며, 압축 기구와 전자 용량 제어 밸브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 는, 실시예 1 의 압축기에 관련되며,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실시예 1 의 압축기에 관련되며, 브래킷의 정면도이다.
도 6 은, 실시예 1 의 압축기에 관련되며, 브래킷의 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7 은, 실시예 2 의 압축기에 관련되며, 브래킷의 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8 은, 실시예 3 의 압축기에 관련되며, 브래킷의 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9 는, 실시예 4 의 압축기에 관련되며, 브래킷의 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10 은, 실시예 5 의 압축기에 관련되며, 브래킷의 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11 은, 비교예의 압축기에 관련되며, 브래킷의 정면도이다.
도 12 는, 비교예의 압축기에 관련되며, 브래킷의 요부 확대 모식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 1 ~ 5 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 의 압축기는 용량 가변형 경사판식 압축기이다. 이 압축기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회전 구동되는 구동축 (1) 과 구동축 (1)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 (3) 을 구비하고 있다. 이 압축기에서는, 전방 (front) 하우징 (3a) 과 실린더 블록 (3b) 과 후방 (rear) 하우징 (3c) 에 의해 하우징 (3) 이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 (3) 내에는,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축 (1) 의 회전 동작에 의거하여 냉매의 압축 작용을 실시하는 주지의 경사판식 압축 기구 (5) 가 내장되어 있다.
즉, 전방 하우징 (3a) 내에는 크랭크실 (3d) 이 형성되고, 크랭크실 (3d) 내에는 구동축 (1) 과 함께 회전하는 경사판 (5a) 이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 (3b) 에는 복수개의 실린더 보어 (5b) 가 형성되어 있고, 피스톤 (5c) 은 경사판 (5a) 의 경사각에 따라 각 실린더 보어 (5b) 내를 왕복 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 (3b) 과 후방 하우징 (3c) 사이에는 도시되지 않은 밸브 유닛이 설치되고, 실린더 보어 (5b) 와 피스톤 (5c) 과 밸브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압축실이 용적 변화를 일으키도록 되어 있다.
또, 후방 하우징 (3c) 내에는, 용적 확대 도중의 압축실과 밸브 유닛을 통하여 연통하는 흡입실 (3e) 과, 용적 축소 도중의 압축실과 밸브 유닛을 통하여 연통하는 토출실 (3f) 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 (3b) 및 후방 하우징 (3c) 에는, 크랭크실 (3d) 과 흡입실 (3e) 을 연통하는 추기 통로 (3g) 가 형성되어 있다. 추기 통로 (3g) 에는 고정 스로틀 (3h) 이 설치되어 있다. 또, 실린더 블록 (3b) 및 후방 하우징 (3c) 에는, 크랭크실 (3d) 과 토출실 (3f) 을 연통하는 급기 통로 (3i) 가 형성되어 있다. 급기 통로 (3i) 에는, 전기 부품으로서의 전자 용량 제어 밸브 (7) 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 용량 제어 밸브 (7) 에는 흡입실 (3e) 과 연통하는 검지 통로 (3j) 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하우징 (3a) 및 후방 하우징 (3c) 에는, 차량에 탑재하기 위한 장착 플레이트 (3k, 31, 3m)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 (3b) 에는 흡입실 (3e) 과 연통하는 흡입 플랜지 (3n) 가 형성되고, 후방 하우징 (3c) 에는 토출실 (3f) 과 연통하는 토출 플랜지 (3o) 가 형성되어 있다.
전자 용량 제어 밸브 (7) 는 와이어 하네스 (9) 에 의해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와이어 하네스 (9) 는 커넥터 (9a) 와, 일단이 전자 용량 제어 밸브 (7) 에 접속되고, 타단이 커넥터 (9a) 에 접속된 리드선 (9b) 으로 이루어진다.
전방 하우징 (3a) 에는 장착 플레이트 (3k) 와 일체적으로 장착대 (3q) 가 형성되어 있고, 장착대 (3q) 에는 브래킷 (11) 이 볼트 (13) 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브래킷 (11) 은,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대 (3q) 에 고정되기 위해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평판부 (111) 를 가지고 있다. 평판부 (111) 는 평면에서 보아 전후로 긴 직방 형상을 하고 있다. 평판부 (111) 에는, 볼트 (13) 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긴 구멍 (111a) 이 폭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평판부 (111) 의 후방에는 수하부 (垂下部) (113) 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평판부 (111) 의 폭방향의 좌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연결부 (115) 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제 1 연결부 (115) 의 후방에는 평판부 (111) 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에서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연결부 (117) 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제 1 연결부 (115) 와 제 2 연결부 (117) 사이에는, 각각으로부터 돌출 설치된 보강을 위한 리브 (116) 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연결부 (117) 의 하단에는, 내부에 리드선 (9b) 이 유지 가능한 유지실 (117a) 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실 (117a) 은 삽입구 (117b) 에 의해 좌경사 하방에 개구되어 있다. 제 2 연결부 (117) 는 삽입구 (117b) 의 옆이 이동 저지벽 (117c) 으로 되어 있다. 유지실 (117a), 삽입구 (117b) 및 이동 저지벽 (117c) 의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제 2 연결부 (117) 의 하단의 상측에는 오목부 (118) 를 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는 커넥터 유지부 (119)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커넥터 유지부 (119) 는, 서로 평행한 2 개의 지지봉 (119a, 119b) 과, 지지봉 (l19b) 의 중앙에 형성되어 지지봉 (119a) 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 걸림부 (119c) 로 이루어진다.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의 브래킷 (11) 에서는, 유지실 (117a) 이 커넥터 유지부 (119) 의 상면 (119d) 과 평행한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지실 (117a) 의 하단측의 면 (117h) 으로부터 이동 저지벽 (117c) 이 돌출되어 있고, 그 길이는 리드선 (9b) 의 반경을 초과하고 있다. 이 때문에, 삽입구 (117b) 는 유지실 (117a) 내의 리드선 (9b) 이 보통 상태로부터 탄성 변형됨으로써 분해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또, 유지실 (117a) 의 상단측의 면 (117i) 에는 원호상의 볼록부 (117d) 가 돌출되어 있다. 유지실 (117a) 의 하단측의 면 (117h) 으로부터 상단측의 면 (117i) 까지의 길이는 리드선 (9b) 의 직경보다 약간 크고, 면 (117h) 으로부터 볼록부 (117d) 까지의 길이는 리드선 (9b) 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유지실 (117a) 의 상단측의 면은 볼록부 (117d) 보다 하방이 경사면 (117e) 에 의해 절결되어 있고, 이동 저지벽 (117c) 의 선단과 경사면 (117e) 으로 삽입구 (117b) 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 (117e) 이 경사부이다. 이 때문에, 리드선 (9b) 을 삽입구 (117b) 에 통과시킬 때의 탄성 변형량이 작아, 리드선 (9b) 을 유지실 (117a) 내에 수용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 삽입구 (117b) 는, 유지실 (117a) 내의 리드선 (9b) 이 경사면 (117e) 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유지실 (117a) 로부터 분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하우징 (3c) 에는 클램프 (15) 가 외부로부터 고정되어 있다. 클램프 (15) 는 얇은 금속판이 U 자상으로 구부러져 내부에 유지실 (15a) 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전자 용량 제어 밸브 (7) 로부터 연장되는 리드선 (9b) 은 미리 클램프 (15) 의 유지실 (15a) 에 삽입 통과된다. 이 상태에서 클램프 (15) 가 나사 (17) 에 의해 후방 하우징 (3c) 에 고정된다.
클램프 (15) 로부터 연장되는 리드선 (9b) 은, 도 2 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으로부터 브래킷 (11) 의 유지실 (117a) 에 유지된다. 이 때, 브래킷 (11) 은 이미 전방 하우징 (3a) 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3) 에 가까운 외부에 위치하는 리드선 (9b) 은, 삽입구 (117b) 에서 탄성 변형되어, 유지실 (117a) 내에 삽입된다.
유지실 (117a) 내로부터 연장되는 리드선 (9b) 은,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해져,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하여 되접어 꺾인다. 그리고, 커넥터 (9a) 가 브래킷 (11) 의 지지봉 (119a, 119b) 에 후방으로부터 삽입된다. 지지봉 (119a, 119b) 에 삽입된 커넥터 (9a) 는 걸림부 (119c) 에 의해 걸린다. 이렇게 하여, 커넥터 (9a) 가 커넥터 유지부 (119) 에 유지된다.
이 압축기는, 도 3 에 나타낸 토출실 (3f) 에 응축기가 접속되고, 응축기는 팽창 밸브를 통하여 증발기에 접속되고, 증발기가 흡입실 (3e) 에 접속된다. 또, 구동축 (1) 은 엔진 등에 접속된다. 구동축 (1) 과 엔진 등의 사이에 전자 클러치가 설치되어도 된다. 와이어 하네스 (9) 의 커넥터 (9a) 에는, 다른 커넥터 (17a) 를 통하여 ECU 및 배터리가 접속된다.
이 압축기에서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기 자체에서 방해가 되지 않고, 또한 탑재되는 차량에 있어서 방해가 되지 않도록, 클램프 (15) 및 브래킷 (11) 에 의해 리드선 (9b) 이 유지되어 있다. 요컨대, 이 압축기에서는, 리드선 (9b) 을 방해하지 않고, 실린더 블록 (3b) 에 품번 플레이트 등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 압축기에서는, 리드선 (9b) 을 방해하지 않고 곤포 (梱包) 가 실시되고, 또한 차량에 탑재된다.
그리고, 클램프 (15) 나 브래킷 (11) 을 변경하거나, 클램프 (15) 나 브래킷 (11) 을 고정시키는 위치를 변경하거나 하면, 탑재되는 차량의 종류에 따르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 의하면, 제조 비용, 제품 관리 등의 점에서 문제를 일으키기 어렵다.
또, 이 압축기에서는, 브래킷 (11) 이 삽입구 (117b) 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브래킷 (11) 을 전방 하우징 (3a) 에 고정시킨 후, 리드선 (9b) 을 외부로부터 삽입구 (117b) 를 거쳐 유지실 (117a) 내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브래킷 (11) 의 조립을 자동화하기 쉽다.
여기서, 예를 들어, 작업자나 기계가 압축기를 잡을 때, 리드선 (9b) 에 접촉할 우려가 있다. 또, 리드선 (9b) 은, 전자 용량 제어 밸브 (7) 가 외부로부터 후방 하우징 (3c) 에 고정되고, 클램프 (15) 에 의해 후방 하우징 (3c) 의 표면에 고정되고, 또한 브래킷 (11) 에 의해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하여 되접어 꺾여 있기 때문에, 하우징 (3) 의 표면을 향하여 탄성 지지된다. 그러나, 이 압축기에서는, 브래킷 (11) 에 이동 저지벽 (117c) 이 형성되고, 이동 저지벽 (117c) 은 유지실 (117a) 내의 리드선 (9b) 과 접촉함으로써 리드선 (9b) 이 하우징 (3) 의 표면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유지실 (117a) 내에 유지된 리드선 (9b) 이 삽입구 (117b) 로부터 빠지기 어렵다.
따라서, 이 압축기에 의하면, 제조 비용, 제품 관리 등의 점에서 문제를 일으키기 어렵고, 브래킷 (11) 의 조립을 자동화하기 쉽고, 또한 와이어 하네스 (9) 의 리드선 (9b) 이 브래킷 (11) 으로부터 잘 빠지지 않는다.
또, 이 압축기에서는, 이동 저지벽 (117c) 이 삽입구 (117b) 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 저지벽 (117c) 으로 규제되어 있는 리드선 (9b) 은 삽입구 (117b) 에 가까운 위치에 있으므로, 리드선 (9b) 이 삽입구 (117b) 로부터 빠질 우려가 높아진다. 그러나, 삽입구 (117b) 는 유지실 (117a) 내의 리드선 (9b) 이 보통 상태로부터 탄성 변형됨으로써 분해되는 크기이기 때문에, 유지실 (117a) 내의 리드선 (9b) 은 탄성 변형되지 않으면 삽입구 (117b) 로부터 분해되는 일은 없어, 리드선 (9b) 이 갑자기 브래킷 (11) 으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다.
또한, 이 압축기에서는, 브래킷 (11) 에 볼록부 (117d)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실 (117a) 내의 리드선 (9b) 은 삽입구 (117b) 로부터 분해될 때에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저항한다. 한편, 리드선 (9b) 을 탄성 변형에 저항하여 이동시키면, 리드선 (9b) 을 삽입구 (117b) 로부터 분해할 수 있다.
또, 이 압축기에서는, 삽입구 (117b) 가 경사면 (117e) 에 의해서도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리드선 (9b) 을 삽입구 (117b) 에 통과시킬 때의 탄성 변형량이 작아, 리드선 (9b) 을 유지실 (117a) 내에 수용하기 쉽다. 한편, 경사면 (117e) 을 따르게 하는 형태로 리드선 (9b) 을 이동시키면, 리드선 (9b) 을 유지실 (117a) 로부터 분해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 의 압축기는,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래킷 (21) 이 볼록부 (117d) 를 갖지 않는다. 유지실 (117a) 의 하단측의 면 (117h) 으로부터 상단측의 면 (117i) 까지의 길이는 리드선 (9b) 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이 압축기에서는, 실시예 1 의 압축기와 비교해서, 볼록부 (117d) 에 의한 작용 효과는 발휘하지 않지만, 다른 작용 효과는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 의 압축기는,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래킷 (31) 에 있어서의 이동 저지벽 (117f) 의 길이가 리드선 (9b) 의 반경보다 작다. 또, 이 브래킷 (31) 은 실시예 1, 2 의 경사면 (117e) 과 비교해서, 작은 경사면 (117g) 을 채용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2 와 동일하다.
이 압축기에서는, 경사면 (117g) 이 실시예 1, 2 의 경사면 (117e) 보다 작기 때문에, 리드선 (9b) 이 삽입구 (117b) 를 통과할 때의 탄성 변형량이 비교적 커서, 리드선 (9b) 이 유지실 (117a) 로부터 빠지기 어렵다. 그러나, 이동 저지벽 (117f) 의 길이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리드선 (9b) 이 유지실 (117a) 로부터 빠지기 쉽다. 이들이 작용적으로 상쇄되어, 이 압축기는 실시예 1 의 압축기와 동일한 정도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 의 압축기는,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래킷 (41) 에 있어서의 경사면 (117g) 이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작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2 와 동일하다.
이 압축기에서는, 이동 저지벽 (117c) 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길기 때문에, 리드선 (9b) 이 분해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는, 실시예 2 의 압축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5 의 압축기는,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래킷 (50) 에 있어서의 유지실 (117a) 의 하단측의 면 (117h) 으로부터 상단측의 면 (117i) 까지의 길이는 리드선 (9b) 의 직경보다 충분히 크게 되어 있다. 또, 이동 저지벽 (117j) 은 삽입구 (117b) 측의 단에 볼록부 (117k) 를 가지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이 압축기에서는 실시예 1 의 압축기와 비교해서,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비교예)
발명자들은, 도 11 에 나타낸 브래킷 (51) 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의 검토를 실시했다. 이 브래킷 (51) 은, 장착대에 고정되기 위해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평판부 (511) 를 가지고 있다. 평판부 (511) 는 평면에서 보아, 전후로 긴 제 1 평판부 (511a) 와, 제 1 평판부 (511a) 로부터 폭방향으로 돌출된 후, 비스듬히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평판부 (511b) 와, 제 2 평판부 (511b) 로부터 역방향으로 직각으로 굴곡하는 제 3 평판부 (511c) 로 이루어진다. 제 1 평판부 (511a) 에는, 볼트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긴 구멍 (511d) 이 폭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평판부 (511a), 제 2 평판부 (511b) 및 제 3 평판부 (511c) 에는, 각각으로부터 돌출 설치된 보강을 위한 리브 (512) 가 설치되어 있다.
제 3 평판부 (511c) 에는, 제 1 평판부 (511a) 에 근접하도록 제 3 평판부 (511c) 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는 커넥터 유지부 (513) 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 유지부 (513) 에는 걸림부 (513a) 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유지부 (513) 에는 하우징 (3) 에 근접하도록 굴곡하는 연결부 (515) 가 형성되고, 연결부 (515) 의 하단에 유지실 (515a) 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실 (515a) 은 삽입구 (515b) 에 의해 비스듬히 전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발명자들의 확인에 의하면, 도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실 (515a) 이 리드선 (9b) 의 단면적보다 큰 경우에 리드선 (9b) 이 삽입구 (515b) 로부터 분해되기 어렵다. 또, 삽입구 (515b) 의 좌우에 유지실 (515a) 내에 돌출하는 벽 (515c, 515d) 을 설치하고, 벽 (515c, 515d) 의 돌출 길이에 차이 Δ 를 형성하는 편이 리드선 (9b) 이 분해되기 어렵다. 이들의 수단을 실시예 1 ~ 5 의 브래킷 (11, 21, 31, 41, 50) 에 채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 있어서, 본 발명을 실시예 1 ~ 5 에 입각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1 ~ 5 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은 용량 가변형 경사판식 압축기 등에 이용 가능하다.
1 : 구동축
3 : 하우징
5 : 경사판식 압축 기구 (압축 기구)
7 : 전기 부품, 전자 용량 제어 밸브
9 : 와이어 하네스
9a : 커넥터
9b : 리드선
11, 21, 31, 41 : 브래킷
15 : 클램프
117a : 유지실
117b : 삽입구
117c : 이동 저지벽
117d : 볼록부
117e, 117g : 경사면 (경사부)
119 : 커넥터 유지부

Claims (7)

  1. 외부로부터 회전 구동되는 구동축과, 그 구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그 구동축의 회전 동작에 의거하여 유체의 압축 작용을 실시하는 압축 기구를 내장하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고정되고, 그 압축 기구에 전기적 작용을 부여하는 전기 부품과, 그 전기 부품과 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와이어 하네스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 하네스는 커넥터와, 일단이 상기 전기 부품에 접속되고, 타단이 그 커넥터에 접속된 리드선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는, 내부에 그 리드선이 유지 가능한 유지실을 갖는 브래킷이 고정되고,
    그 브래킷에는, 그 유지실에 연통하고, 그 리드선이 외부로부터 그 유지실 내에 삽입 가능한 삽입구와, 그 유지실 내의 그 리드선과 접촉함으로써 그 리드선이 그 하우징의 표면으로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이동 저지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리드선을 그 하우징의 표면에 고정시키는 클램프가 고정되어 있는 압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에는, 상기 커넥터를 유지하는 커넥터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압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부품은, 토출 용량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용량 제어 밸브인 압축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저지벽이 상기 삽입구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 그 삽입구는 상기 유지실 내의 상기 리드선이 보통 상태로부터 탄성 변형됨으로써 분해되는 크기인 압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에는, 상기 유지실 내의 상기 리드선이 상기 삽입구에 근접함으로써 그 리드선을 탄성 변형시키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압축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 중 상기 이동 저지벽이 아닌 부위에는, 상기 리드선이 상기 삽입구를 통과할 때의 탄성 변형량을 작게 하도록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압축기.
KR1020120080669A 2011-07-25 2012-07-24 압축기 KR101412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62161A JP5831007B2 (ja) 2011-07-25 2011-07-25 圧縮機
JPJP-P-2011-162161 2011-07-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563A true KR20130012563A (ko) 2013-02-04
KR101412424B1 KR101412424B1 (ko) 2014-06-25

Family

ID=47573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669A KR101412424B1 (ko) 2011-07-25 2012-07-24 압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831007B2 (ko)
KR (1) KR101412424B1 (ko)
CN (1) CN1029006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70553B2 (ja) * 2017-09-27 2021-05-1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両用可変容量型圧縮機
KR101959910B1 (ko) * 2018-06-12 2019-03-19 주식회사 경신 배터리팩 장착형 와이어링 프로텍터
DE102022104382A1 (de) * 2021-03-09 2022-09-15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Elektrischer Kompressor
WO2022249375A1 (ja) * 2021-05-27 2022-12-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載電気装置の筐体に取り付けられた部品の防振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14098U (ko) * 1977-02-18 1978-09-11
DE3117913A1 (de) * 1981-05-06 1982-11-25 Tucker Gmbh, 6300 Giessen "rohrschelle"
JPS6189506U (ko) * 1984-11-19 1986-06-11
JPH0754630Y2 (ja) * 1989-04-26 1995-12-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コンプレッサにおけるリード線の支持構造
EP0400186B1 (de) * 1989-06-01 1994-03-02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Bezeichnungsträger für elektrische Leiter
JPH0680880U (ja) * 1993-04-30 1994-11-15 サンデン株式会社 コンプレッサのリード線固定構造
US5645252A (en) * 1995-03-22 1997-07-08 Goodwill Industries Of Mid-Michigan, Inc. Fastening device
JP2000249062A (ja) * 1999-03-02 2000-09-12 Sanden Corp 圧縮機に接続される線状部品の固定構造及び固定方法
JP3497105B2 (ja) * 1999-08-20 2004-02-16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固定クランプ
JP2003097438A (ja) * 2001-09-19 2003-04-03 Toyota Industries Corp ハイブリッド圧縮機におけるモータ配線の取出し構造
JP3793961B2 (ja) * 2001-11-16 2006-07-05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リニアモーター式駆動部のリード線取付け構造
JP2007205305A (ja) * 2006-02-03 2007-08-16 Calsonic Compressor Inc 気体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2424B1 (ko) 2014-06-25
JP2013024202A (ja) 2013-02-04
CN102900648A (zh) 2013-01-30
CN102900648B (zh) 2015-11-04
JP5831007B2 (ja)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2424B1 (ko) 압축기
US10371147B2 (en) Electrically-driven compressor
CN100532856C (zh) 旋转式压缩机的排气阀装置及其控制方法
US10087942B2 (en) Motor driven compressor
CN105115131B (zh) 导风板组件和具有其的空调器
US20110186709A1 (en) Device for fastening the housing of a refrigerant compressor
EP2594737A2 (en) Rotary Compres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009019B2 (en) Reciprocating type compressor
US20040047751A1 (en) Reciprocating compressor
KR20230098551A (ko) 전동 압축기
CN101240797A (zh) 一种旋转式压缩机的滑片弹簧及其应用
US10167860B2 (en) Hermetic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apparatus
CN111412139B (zh) 旋转式压缩机及具有其的冷冻循环装置
CN104251189B (zh) 马达驱动压缩机
JP4763823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及びその製造方法
JP5246052B2 (ja) 圧縮機
KR20160104398A (ko) 전동식 스크롤 압축기
EP4170165A1 (en) Electronic control unit for an encapsulated refrigerant compressor
CN214741913U (zh) 一种空气压缩机
US8858197B2 (en) Compressor with sensor and valve plate arrangement
WO2017134220A1 (en) A compressor with suction muffler
JP2015117614A (ja) 圧縮機
CN113048055A (zh) 泵体组件、压缩机及空调器
CN203189240U (zh) 一种车用空调压缩机
KR101454243B1 (ko) 왕복동식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