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0824A - 보행형 작업기 - Google Patents

보행형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0824A
KR20130010824A KR1020120023365A KR20120023365A KR20130010824A KR 20130010824 A KR20130010824 A KR 20130010824A KR 1020120023365 A KR1020120023365 A KR 1020120023365A KR 20120023365 A KR20120023365 A KR 20120023365A KR 20130010824 A KR20130010824 A KR 20130010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arm
state
swinging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1214B1 (ko
Inventor
히또시 다나까
시게루 마스다
다꾸또 야스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30010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2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 A01B33/028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of the walk-behind ty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02Devices for adjusting or regulating the position of tools or whe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체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이동 륜을 사용한 기체의 이동 조작을 행하기 쉽게 한다. 보행형 작업기에 있어서, 기체 프레임(1)의 후방부에, 기체의 하부에 배치한 경운 로터(2)의 후방에서 좌우 방향의 지지축(27)을 지지점으로 해서 요동하는 요동 아암(28)을 장비하고, 요동 아암(28)에, 요동 아암(28)의 하향 자세에서 접지하는 이동 륜(29)과, 요동 아암(28)을 하향 자세에서 후방으로 요동 변위시킨 후방 요동 자세에서 접지하는 저항체(30)를 구비하고, 요동 아암(28)의 하향 자세 및 후방 요동 자세에서의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 수단을 기체 프레임(1)의 후방부와 요동 아암(28)에 걸쳐 장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보행형 작업기{WALKING TYPE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이동 륜을 사용하는 이동 상태와 저항체를 사용하는 작업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한 보행형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보행형 작업기로는, 일단부측에 저항체(저항 막대)를 설치하고, 타단부측에 이동 륜(꼬리 륜)을 설치한 회전 프레임의 중간부를, 경운 로터의 후방에 배치한 전후 방향의 회전축의 후단부에 설치함으로써, 전후 방향의 회전축을 지지점으로 한 회전 프레임의 회전 조작으로 저항체가 접지하는 상태와 이동 륜이 접지하는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8-224001호 공보
상기의 구성에서는, 전후 방향의 회전축을 지지점으로 한 회전 프레임의 회전 조작으로 저항체가 접지하는 상태와 이동 륜이 접지하는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저항체를 접지시킨 작업 상태와 이동 륜을 접지시킨 이동 상태 모두, 보행형 작업기를 후방에서 조종하는 작업자의 발밑측에 저항체와 이동 륜 모두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보행형 작업기에 있어서 이동 륜을 사용하여 기체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경운 로터의 접지를 피하기 위해서, 기체 후방의 작업자를 향해 연장된 조종 핸들을 작업자가 이동 륜을 지지점으로 해서 밀어내려 경운 로터를 부상시키는 것인데, 이러한 조작을 상기의 구성에서 행하면, 그 조작에 수반하여 이동 륜의 상방에 위치하는 저항체가 더욱 작업자의 발밑측으로 변위하기 때문에, 저항체가 방해가 되어 기체의 이동 조작을 행하기 어려워지는 문제를 초래하기 쉬워진다. 또한, 이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는, 조종 핸들의 기체 후방으로의 연장 길이를 길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기체의 대형화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체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도 이동 륜을 사용한 기체의 이동 조작을 행하기 쉽게 하는 것에 있다.
제1 발명은, 보행형 작업기에 있어서, 기체 프레임의 후방부에, 기체의 하부에 배치한 경운 로터의 후방에서 좌우 방향의 지지축을 지지점으로 해서 요동하는 요동 아암을 장비하고, 상기 요동 아암에, 상기 요동 아암의 하향 자세에서 접지하는 이동 륜과, 상기 요동 아암을 상기 하향 자세에서 후방으로 요동 변위시킨 후방 요동 자세에서 접지하는 저항체를 구비하고, 상기 요동 아암의 상기 하향 자세 및 상기 후방 요동 자세에서의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 수단을 상기 기체 프레임의 후방부와 상기 요동 아암에 걸쳐 장비하고 있다.
제1 발명에 따르면, 요동 아암을 하향 자세로 요동 변위시켜 고정 수단으로 고정하는 것만으로, 이동 륜을 접지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이동 륜을 사용한 기체의 이동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요동 아암을 후방 요동 자세로 요동 변위시켜 고정 수단으로 고정하는 것만으로, 저항체를 접지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저항체를 사용한 경운 작업에서의 속도 조절을 행할 수 있고, 속도 조절에 의한 경심(耕深) 조절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동 륜을 사용한 기체의 이동 조작을 행하기 위해서, 요동 아암을 저항체가 접지하는 후방 요동 자세에서 이동 륜이 접지하는 하향 자세로 요동 변위시킨 경우에는, 이 요동 변위에 수반하여 이동 륜 및 저항체가 전방측으로 변위하여 보행형 작업기를 후방에서 조종하는 작업자의 발밑에서부터 멀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기체 후방의 작업자를 향해 연장되는 조종 핸들의 연장 길이를 길게 하지 않고도, 이동 륜을 사용한 기체의 이동 조작 시의 작업자의 발밑 공간을 넓게 할 수 있어, 이동 륜을 사용한 기체의 이동 조작에 있어서 이동 륜 및 저항체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륜을 사용하는 이동 상태와 저항체를 사용하는 작업 상태의 전환을 좌우 방향의 지지축을 지지점으로 한 요동 아암의 요동 조작으로 간단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기체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도 이동 륜을 사용한 기체의 이동 조작을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제2 발명은, 상기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요동 아암의 상기 하향 자세에서는, 상기 저항체가 상기 이동 륜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발명에 따르면, 이동 륜의 전방에 위치하는 경운 로터의 회전 궤적의 최하점과 경운 로터용 전동 케이스의 저부의 사이의 공간을 저항체의 수납 공간으로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좌우 방향의 지지축을 지지점으로 한 요동 아암의 요동 조작으로 이동 륜이 접지하는 이동 상태와 저항체가 접지하는 작업 상태로 전환하는 구성이면서 기체의 전후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기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3 발명은, 상기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요동 아암의 상기 하향 자세에서는, 상기 저항체의 선단부측이 좌우의 상기 경운 로터의 사이에 위치하여 측면에서 보아 상기 경운 로터와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4 발명은, 상기 제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요동 아암의 상기 하향 자세에서 접지하는 상기 이동 륜의 접지 높이 위치가 상기 요동 아암의 상기 후방 요동 자세에서 접지하는 상기 저항체의 접지 높이 위치보다 낮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4 발명에 따르면, 이동 륜을 접지시킨 이동 상태에서의 기체 높이가 저항체를 접지시킨 작업 상태에서의 기체 높이보다 높아져서, 이동 상태에서의 조종 핸들의 높이 위치가 작업 상태에서의 조종 핸들의 높이 위치보다 높아진다. 그로 인해, 조종 핸들을 동일한 높이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는, 이동 상태에서의 경운 로터의 높이 위치가 작업 상태에서의 경운 로터의 높이 위치보다 높아져서 접지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이동 륜을 사용한 기체의 이동 조작 시에 경운 로터가 지면 등 접촉해서 기체의 이동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제5 발명은, 상기 제4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운 로터를 하방에서 덮는 상태로 수납하는 수납 박스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수납 박스의 후방부에, 상기 요동 아암을 상기 하향 자세로 한 상태에서의 상기 저항체의 수납 박스 내로의 수납을 가능하게 하는 절결부를 형성하고 있다.
제5 발명에 따르면, 요동 아암을 하향 자세로 변경한 상태에서 기체에 수납 박스를 설치함으로써, 이동 륜을 수납 박스 외에 사용 가능한 상태로 노출시키면서, 경운 로터와 함께 저항체를 수납 박스 내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동 륜을 사용해서 기체를 이동시킬 때에는, 수납 박스를 설치함으로써, 경운 로터 및 저항체가 지면 등 접촉해서 기체의 이동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 등을 미연에 피할 수 있다.
도 1은 조종 핸들을 작업 자세로 전환한 상태에서의 보행형 전동 작업기의 전체 측면도다.
도 2는 조종 핸들을 저장 자세로 전환해서 수납 박스를 설치한 상태에서의 보행형 전동 작업기의 전체 측면도다.
도 3은 조종 핸들을 저장 자세로 전환해서 수납 박스를 설치한 상태에서의 보행형 전동 작업기의 일부 종단 측면도다.
도 4는 보행형 전동 작업기에서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다.
도 5는 수납 박스 등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일부 종단 정면도다.
도 6은 주 프레임 및 하측 커버부 등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다.
도 7은 주 프레임 및 하측 커버부 등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사시도다.
도 8은 로터 커버 및 배터리 탑재부 등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배면도다.
도 9는 조종 핸들 및 배터리 탑재부 등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평면도다.
도 10은 배터리의 고정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측면도다.
도 11은 배터리의 고정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횡단 평면도다.
도 12는 요동 아암의 고정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일부 종단 배면도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일례로서, 본 발명을, 보행형 작업기의 일례인 보행형 전동 작업기에 적용한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 예시하는 보행형 전동 작업기는, 기체 프레임(1)의 하부에 좌우 한 쌍의 경운 로터(2)를 장비하고, 기체 프레임(1)의 상부에, 좌우의 경운 로터(2)의 상방을 덮는 로터 커버(3), 좌우의 경운 로터(2)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4), 상기 전동 모터(4)에 급전하는 배터리(5),및 전후 요동에 의한 자세 변경이 가능한 조종 핸들(6) 등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1)은, 배터리(5)를 지지하는 주 프레임(7)을 프레임 부재를 겸하는 전동 케이스(8)에 볼트 연결하고, 주 프레임(7)의 후단부에, 그 후단부로부터 후방 경사 자세로 후측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상태로 핸들 프레임(9)을 용접하고, 이 핸들 프레임(9)에서의 하단부의 좌우 중앙 개소에, 그 좌우 중앙 개소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상태로 지지 부재(10)를 용접해서 구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프레임(7)은, 상면에 평면에서 보아 10자 형상의 배터리 지지부(7A)를 구비하고, 또한, 보강 리브를 겸하는 세로 방향이고 좌우 한 쌍의 전방 연결 아암부(7B)와 후방 연결 아암부(7C)를 갖는 형상으로 굴곡 형성된 판금제이며, 좌우의 후방 연결 아암부(7C)에는, 배터리 지지부(7A)의 형성에 수반하여 개방되는 개구부(7D)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 연결 아암부(7B)의 연장 단부를 전동 케이스(8)의 상부에 볼트 연결하고, 하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연결 아암부(7C)의 연장 단부를 전동 케이스(8)의 하부에 볼트 연결함으로써, 그 상면의 배터리 지지부(7A)가 후측 내리막 자세가 되는 상태로 기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케이스(8)는, 웜 감속기(11)를 내장하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L자 형상의 좌우 2분할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부에 형성한 플랜지(8A)에 전동 모터(4)를 볼트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그 내부에서 전동 모터(4)의 출력축(4A)과 웜 감속기(11)의 입력축(11A)을 연결하고 있다. 웜 감속기(11)는, 전동 케이스(8)의 하단부로부터 좌우로 연장되는 출력축(11B)을 구비하고, 이들 출력축(11B)에 대응하는 경운 로터(2)를 일체 회전하는 상태로 연결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7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프레임(9)은, U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된 둥근 파이프재로 이루어지는 제1 부재(9A)의 양단부에 걸쳐 둥근 파이프재로 이루어지는 일직선 형상의 제2 부재(9B)를 좌우 방향으로 용접하고, 제2 부재(9B)의 양단부에, 결합용의 복수의 요철을 링 형상의 가로 외측면에 정렬 형성한 국화꽃 모양의 와셔 형상의 결합 부재(9C)를 용접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 프레임(7)에서의 후측 내리막 자세의 배터리 지지부(7A)에 대하여 직각이 되는 후 경사 자세로 자세 설정되어 있다.
조종 핸들(6)은, 측면에서 보아 ヘ 형상으로 굴곡 형성된 둥근 파이프재로 이루어지는 좌우 한 쌍의 핸들 부재(6A)의 중간부를, 둥근 파이프재로 이루어지는 일직선 형상의 연결 부재(6B)로 연결하고, 좌우의 핸들 부재(6A)의 일단부에, 결합용의 복수의 요철을 링 형상의 가로 내측면에 정렬 형성한 국화꽃 모양의 와셔 형상의 결합 부재(6C)를 용접하고, 좌우의 핸들 부재(6A)의 타단부에 고무제의 그립(6D) 등을 장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각 결합 부재(6C)를 핸들 프레임(9)의 대응하는 결합 부재(9C)에 대향시킨 상태에서, 조종 핸들(6)의 요동 지지점축을 겸하는 볼트(12)를 각 결합 부재(6C, 9C) 및 연결 부재(6B)에 좌측으로부터 삽입 관통하고, 그 볼트(12)의 우측 단부에 노브 부착 너트(13)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핸들 프레임(9)의 연장 단부(후측 상단부)에 전후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부터, 조종 핸들(6)은, 볼트(12)의 우측 단부에 나사 결합한 노브 부착 너트(13)를 조작함으로써, 핸들 프레임(9)에 대한 조종 핸들(6)의 전후 요동을 저지하는 고정 상태와 전후 요동을 허용하는 고정 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해제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조종 핸들(6)의 자세를, 핸들 프레임(9)의 상단부로부터 후측 상방으로 연장되는 작업 자세(도 1 참조)와, 조종 핸들(6) 전체가 전방으로 쓰러져 기체 프레임(1)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저장 자세(도 2 및 도 3 참조)로 변경할 수 있고, 작업 자세로는 작업자의 신장 등에 따른 임의의 각도 변경에 의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또한, 저장 자세로는, 작업기 전체적으로의 상하 길이를 자동차의 트렁크에 수납 가능한 치수로 짧게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 커버(3)는, 상하로 설정 간격을 두고 배치한 하측 커버부(3A)와 상측 커버부(3B)를 구비하는 이중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하측 커버부(3A)는, 판금제이며 좌우 한 쌍의 커버 부재(14)를 대응하는 경운 로터(2)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주 프레임(7)의 가로 측부인 전방 연결 아암부(7B) 및 후방 연결 아암부(7C)에 가로 외측으로부터 볼트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측 커버부(3B)는, 그 좌우의 양단부가 좌우의 경운 로터(2)의 가로 외측 단부보다 가로 외측에 위치하는 광폭으로 형성한 수지제의 커버체(15)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후방부를 주 프레임(7)의 배터리 지지부(7A)에 볼트 연결하고 있고, 그 전방부를 전동 모터(4)와 함께 전동 케이스(8) 전방 상단부에 연결한 지지 스테이(16)에 볼트 연결하고 있다.
좌우의 커버 부재(14)는, 전동 모터(4)에 대한 직교 자세로 경운 로터(2)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전방측 커버부(14A)와, 배터리 지지부(7A)와 동일한 후측 내리막 자세로 경운 로터(2)의 후방부 상방에 위치하는 후방측 커버부(14B)를 갖는 측면에서 보아 ヘ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각 커버부(14A, 14B)의 가로 외측 단부에는, 보강 리브를 겸하는 외측벽(14C)을 기립 형성하고 있고, 그 외측벽(14C)에 걸쳐서, 그 사이에 형성되는 V자 형상의 간극을 막으면서 커버 부재(14)를 보강하는 플레이트(17)를 용접하고 있다. 또한, 전방측 커버부(14A)의 가로 내측단부에는, 전동 케이스(8)에서의 플랜지(8A)의 하방 개소가 걸리는 오목부(14D), 및 대응하는 전방 연결 아암부(7B)와의 볼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전방 연결편(14E) 등을 형성하고 있고, 후방측 커버부(14B)의 가로 내측단부에는, 대응하는 후방 연결 아암부(7C)와의 볼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후방 연결편(14F), 및 주 프레임(7)에 대한 연결에 수반하여 주 프레임(7)의 좌우의 개구부(7D)를 삽입 관통하는 설편(14G) 등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각 커버 부재(14)를 주 프레임(7)에 볼트 연결한 상태에서는, 각 커버 부재(14)의 전방측 커버부(14A)가 좌우의 경운 로터(2)와 전동 케이스(8)의 플랜지(8A)와의 사이에 위치해서 좌우의 경운 로터(2)가 튀기는 흙 등을 받아내는 상태가 되고, 또한, 각 커버 부재(14)의 후방측 커버부(14B)가 주 프레임(7)과 함께 좌우의 경운 로터(2)와 배터리(5)와의 사이에 위치해서 좌우의 경운 로터(2)가 튀기는 흙 등을 받아내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그 각 커버부(14A, 14B)의 상면이, 주 프레임(7)의 전방 연결 아암부(7B) 및 후방 연결 아암부(7C)와 각 커버 부재(14)의 외측벽(14C) 및 플레이트(17)와의 사이에서, 전동 모터(4)와 배터리(5)를 접속하는 전선(18) 등의 적재를 가능하게 하는 적재면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주 프레임(7)의 좌우의 개구부(7D)를 삽입 관통하는 각 설편(14G)의 연장 단부측이 주 프레임(7)에서의 배터리 지지부(7A)의 하방에서 상하로 겹침으로써, 각 설편(14G)이, 배터리 지지부(7A)에 구비한 배터리 접속용의 커넥터(19)를 하방에서 덮는 커버, 및 좌우의 개구부(7D)의 사이에서 좌우의 후방측 커버부(14B)의 적재면에 걸친 가교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커버체(15)는, 주 프레임(7)의 배터리 지지부(7A) 및 지지 스테이(16)에 볼트 연결한 상태에서는, 좌우의 경운 로터(2)의 상방과 함께 주 프레임(7) 및 좌우의 커버 부재(14) 등의 상방을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체(15)의 전방부에는, 전동 모터(4)의 상부측이 삽입 관통하는 개구부(15A)를 형성하고 있고, 또한, 이 개구부(15A)로부터 상방에 노출되는 전동 모터(4)의 상부측을 상방에서 덮는 수지제의 모터 커버(2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 연결하고 있다. 커버체(15)의 후방부에는 배터리 탑재용의 오목부(15B)를 일체 형성하고 있다. 배터리 탑재용의 오목부(15B)에는, 주 프레임(7)의 배터리 지지부(7A)를 따른 후측 내리막 자세로 배터리 지지부(7A)에 볼트 연결되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저부(15Ba)와, 핸들 프레임(9)과 평행하게 상승되어 배터리(5)의 하부측의 가로 외주를 둘러싸는 주위벽부(15Bb)를 구비하고, 저부(15Ba)에는, 오목부(15B)에 집어넣은 배터리(5)의 저부에 구비한 커넥터(5A)와 배터리 지지부(7A)의 커넥터(19)와의 접속을 허용하는 개구부(15Bc)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부터, 전동 모터(4) 및 배터리(5)를, 좌우의 경운 로터(2)의 상방을 덮는 하측 커버부(3A)의 상방에, 그 상부측이 상측 커버부(3B)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상태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좌우의 경운 로터(2)가 작업 중에 튀기는 흙 등으로부터 전동 모터(4) 및 배터리(5)를 보호할 수 있게 하면서, 전동 모터(4) 및 배터리(5)의 전체를 상측 커버부(3B)로 덮는 경우에 비해, 상측 커버부(3B)를 높이가 낮은 부피가 크지 않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어, 기체의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측 커버부(3B)를 떼어내는 수고를 하지 않고 전동 모터(4) 및 배터리(5)에 대한 메인터넌스를 간단히 행할 수 있으며, 게다가, 전동 모터(4) 및 배터리(5)의 방열을 촉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기체의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하면서도, 전동 모터(4)의 상부로부터 연장된 커넥터(4B)와 배터리 지지부(7A)의 커넥터(19)를 접속하는 전선(18)이나, 배터리 지지부(7A)의 커넥터(19)와 조종 핸들(6)에 구비한 경운 스위치(도시하지 않음) 및 긴급 정지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접속하는 전선(18) 등은, 하측 커버부(3A)와 상측 커버부(3B)의 사이에서, 커버 부재(14)의 적재면 및 설편(14G)의 각 면 상에서 주 프레임(7)의 개구부(7D)에 통과시키면서 적재면 및 설편(14G)을 따라 배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좌우의 경운 로터(2)가 작업 중에 튀긴 흙 등이 전선(18)에 격렬하게 충돌하는 것을 하측 커버부(3A)에 의해 저지할 수 있어, 장기 사용에 있어서 흙 등의 충돌에 기인한 단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측 커버부(3A)를 구성하는 각 커버 부재(14)의 설편(14G)이 배터리 지지부(7A)의 커넥터(19)를 하방에서 덮는 커버로서 기능함으로써, 좌우의 경운 로터(2)가 작업 중에 튀긴 흙 등이, 배터리 지지부(7A)의 커넥터(19)나, 이 커넥터(19)에 접속하는 전선(18)의 배터리측의 커넥터(18A)에 격렬하게 충돌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어, 장기 사용에 있어서 흙 등의 충돌에 기인한 배터리용의 각 커넥터(18A, 19)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동 모터(4) 및 전동 모터(4)의 커넥터(4B)와 배터리 지지부(7A)의 커넥터(19)에 걸쳐 커버 부재(14)의 적재면 및 설편(14G)을 따라 배선한 전선(18) 등에 대한 빗물 떨어짐을 상측 커버부(3B) 및 모터 커버(20)에 의해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전동 모터(4) 및 전선(18)에 대한 방수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더구나, 좌우의 경운 로터(2)가 작업 중에 튀기는 흙 등으로부터 커넥터(19) 및 전선(18)을 보호하는 하측 커버부(3A)를 판금제로 하고, 전동 모터(4) 및 전선(18) 등을 빗물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상측 커버부(3B) 및 모터 커버(20)를 수지제로 함으로써, 하측 커버부(3A)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하면서 로터 커버(3) 전체적으로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주 프레임(7)이 하측 커버부(3A)를 구성하는 좌우의 커버 부재(14)의 사이에 위치해서 상측 커버부(3B)로 상방이 덮인 상태가 됨으로써, 배터리 지지부(7A)를 구비하는 주 프레임(7)의 상부측이 하측 커버부(3A)와 상측 커버부(3B)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의해, 주 프레임(7)의 상부측을 로터 커버(3)로 가림으로써 기체의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측 커버부(3B)에 의해 주 프레임(7)에 대한 빗물 등의 떨어짐을 방지할 수 있어, 빗물 등의 부착에 기인한 주 프레임(7)의 부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프레임(7)에서의 핸들 프레임(9)의 직전 개소에는, 주 프레임(7)의 배터리 지지부(7A)와 커버체(15)의 오목부(15B)로 구성한 배터리 탑재부(23)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핸들 프레임(9)의 좌측 부분에는, 작업시의 진동 등에 의한 배터리(5)의 배터리 탑재부(23)로부터의 부상을 저지하는 고정구(24)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 프레임(9)의 제1 부재(9A)는, 그 좌우의 중심간 거리가 배터리(5)의 좌우 폭과 동일하거나 또는 배터리(5)의 좌우 폭보다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정구(24)는, 핸들 프레임(9)의 좌측 부분에서의 배터리(5)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서 핸들 프레임(9)의 내측으로 연장하도록 용접한 좌우 방향의 지지축(25)에, 배터리(5)에 결합해서 배터리 탑재부(23)로부터의 배터리(5)의 이탈을 저지하는 전방측의 작용 위치와, 배터리(5)와의 결합을 해제해서 배터리 탑재부(23)에 대한 배터리(5)의 착탈을 허용하는 후방측의 퇴피 위치에 걸쳐 전후 요동 가능하게 장비되어 있다. 또한, 좌우 방향의 지지축(25)에 외부 끼움 결합된 비틀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압 수단(26)의 작용에 의해 퇴피 위치로부터 작용 위치를 향해 전방측에 요동 가압되어 있다.
고정구(24)에는, 좌우 방향의 지지축(25)에 외부 끼움 결합하는 좌우 한 쌍의 끼워 맞춤부(24A), 작용 위치에서는 배터리(5)의 상면에 접촉함으로써 배터리(5)에 대한 결합 상태가 되는 결합부(24B), 결합부(24B)의 상방에 위치해서 가압 수단(26)의 작용에 저항한 고정구(24)의 작용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의 요동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부(24C), 및 제1 부재(9A)의 좌측의 기립부(9a)와의 접촉으로 가압 수단(26)의 작용에 의한 고정구(24)의 작용 위치로부터 전방으로의 요동을 제한하는 접촉부(24D) 등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조작부(24C)에는, 배터리 탑재부(23)에 장착하는 배터리(5)와의 접촉으로 가압 수단(26)의 작용에 저항해서 고정구(24)를 작용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후퇴 요동시키는 캠면(24E)을 형성하고 있다.
배터리(5)에는, 배터리(5)의 잔량 및 온도 등을 감시해서 과방전이나 과충전 등을 방지하는 전압·전류 제어를 행하는 마이크로컴퓨터(도시하지 않음)를 내장한 리튬 이온 배터리를 채용하고 있다. 배터리(5)의 전방 상부에는, 배터리 탑재부(23)에 대한 배터리(5)의 착탈 및 배터리(5)의 반송을 용이하게 하는 파지부(5B)를 좌우 방향의 자세로 구비하고 있고, 배터리(5)의 상면에서의 후방부 우측 개소에는, 배터리(5)의 잔량 등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5C)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부터, 배터리(5)를 배터리 탑재부(23)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한쪽 손으로 조종 핸들(6) 또는 핸들 프레임(9)을 파지하면서, 또 한쪽 손으로 배터리(5)의 파지부(5B)를 파지한 상태에서, 배터리(5)를, 핸들 프레임(9)을 따른 후 경사 자세로, 배터리 탑재부(23)의 상방으로부터 핸들 프레임(9)을 따라 고정구(24)의 캠면(24E)에 접촉시키도록 하면서 하방의 배터리 탑재부(23)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고정구(24)를 작용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요동 조작하는 수고를 할 필요없이, 중량이 큰 배터리(5)를 배터리 탑재부(23)에 집어넣어 설치할 수 있고, 배터리(5)의 자중으로 배터리 저부의 커넥터(5A)를 배터리 지지부(7A)의 커넥터(19)에 접속할 수 있다.
역으로, 배터리(5)를 배터리 탑재부(23)로부터 제거하는 경우에는, 고정구(24)의 조작부(24C)를 가압 수단(26)의 작용에 저항해서 후방으로 요동 조작하여 배터리(5)의 상면에 대한 결합부(24B)의 결합을 해제한 상태에서, 배터리(5)의 파지부(5B)를 파지해서 배터리(5)를 핸들 프레임(9)을 따라 후측 상방으로 끌어올림으로써, 배터리 저부의 커넥터(5A)와 배터리 지지부(7A)의 커넥터(19)의 접속을 해제할 수 있고, 배터리(5)를 배터리 탑재부(23)로부터 꺼내어 제거할 수 있다.
즉, 커버체(15)의 오목부(15B)(주위벽부(15Bb))에 대한 배터리(5)의 핸들 프레임(9)을 따른 삽입 발출로, 배터리 탑재부(23)에 대한 배터리(5)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더구나, 배터리(5)의 파지부(5B)를 배터리(5)의 전방 상부에 구비함으로써, 배터리(5)의 파지부(5B)를 파지해서 배터리(5)를 들어올린 상태에서는, 그때의 중량 밸런스로 배터리(5)의 자세가 후방 경사 자세로 되기 때문에, 후방 경사 자세의 핸들 프레임(9)을 따른 배터리(5)의 삽입 발출을 행하기 쉬워져, 배터리 탑재부(23)에 대한 배터리(5)의 착탈을 더욱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5)를 배터리 탑재부(23)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가압 수단(26)의 작용으로 고정구(24)가 좌우 방향의 지지축(25)을 지지점으로 해서 퇴피 위치로부터 작용 위치로 복귀 요동해서 배터리(5)의 상면에 결합함으로써, 작업시의 진동 등에 기인해서 배터리(5)가 배터리 탑재부(23)로부터 부상하여 배터리 저부의 커넥터(5A)와 배터리 지지부(7A)의 커넥터(19)의 접속이 해제될 우려를 피할 수 있어, 그 접속 해제에 기인한 예기치 못한 작동 정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탑재부(23)에 설치한 배터리(5)가 핸들 프레임(9)을 따른 후방 경사 자세가 되고, 배터리(5)의 상면에서의 후방부 우측 개소에 구비한 인디케이터(5C)가, 파지부(5B)나 고정구(24)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후측 상방에 면하게 되므로, 기체를 후방에서 조종하는 작업자가 인디케이터(5C)의 표시를 시인할 때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중량이 큰 배터리(5)를, 기체 프레임(1)의 전방부측에 배치한 중량이 큰 전동 모터(4)로부터 이격된 기체 프레임(1)의 후방부측에 있어서, 핸들 프레임(9)을 따른 후방 경사 자세로, 커버체(15) 및 고정구(24)를 사이에 두고 주 프레임(7)과 핸들 프레임(9)에 걸친 안정된 상태에서 배터리 탑재부(23)에 탑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체 프레임(1)에 배터리(5)를 안정된 상태로 탑재하기 위한 전용의 지지 부재 등을 설치하지 않고도, 중량이 큰 전동 모터(4)와 배터리(5)를 기체 프레임(1)의 전방부측에 탑재하는 경우에 비해 기체의 전후 밸런스를 양호하게 할 수 있어, 기체의 조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배터리(5)가, 주 프레임(7)에서의 핸들 프레임(9)의 직전 개소에, 핸들 프레임(9)을 따른 후방 경사 자세로, 그 하부측이 로터 커버(3)의 상측 커버부(3B)(커버체(15))로 덮인 상태로 위치하기 때문에, 부피가 큰 배터리(5)를 기체 프레임(1)의 후방부측에서 로터 커버(3) 및 핸들 프레임(9)과 거의 일체화한 눈에 띄기 어려운 상태로 장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기체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동시에 기체의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5)의 전방벽 및 후방벽의 각 하부측 부분에는, 배터리(5)의 내부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간 좌우 한 쌍의 결합 오목부(5D)를 배터리(5)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형성하고 있다. 또한, 배터리 탑재부(23)를 구성하는 커버체(15)의 오목부(15B)에서의 주위벽부(15Bb)의 전방벽 부분 및 후방벽 부분의 각 하부측에는, 배터리(5)를 배터리 탑재부(23)에 설치한 상태에서 배터리(5)가 대응하는 결합 오목부(5D)에 걸어 넣음으로써 커버체(15)의 오목부(15B)에 대한 배터리(5)의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에 대한 위치 어긋남을 저지하는 좌우 한 쌍의 돌축 조(15Bd)를 오목부(15B)의 내부측에 돌출하는 상태로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배터리(5)의 배터리 탑재부(23)에 대한 설치에 수반하는 배터리 저부의 커넥터(5A)와 배터리 지지부(7A)의 커넥터(19)의 접속을 보다 확실하면서도 간단히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4, 도 6, 도 7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1)의 후방부를 형성하는 지지 부재(10)는, 전후 방향에서 보아 역 U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한 판금제로, 그 후측 상부에 배치한 좌우 방향의 지지축(27)을 지지점으로 해서 좌우의 경운 로터(1)의 후방에서 상하 요동하는 요동 아암(28)을 장비하고 있다.
요동 아암(28)은, 측면에서 보아 ヘ 형상으로 형성한 좌우 한 쌍의 아암 부재(28A)를, 그 후방부측에 대한 직교 자세로 자세 설정한 둥근 파이프 강재로 이루어지는 지지 부재(28B)를 통해 대향하는 상태로 용접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 아암(28)의 요동 시단부를 형성하는 좌우의 아암 부재(28A)의 전단부가 지지 부재(10)의 가로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요동 아암(28)의 요동 시단부를 지지 부재(10)에 좌우 방향의 지지축(27)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요동 아암(28)의 자유단부를 형성하는 좌우의 아암 부재(28A)의 일단부에는, 요동 아암(28)을 하향으로 요동 변위시킨 하향 자세(도 1의 실선 및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하는 자세)에서 접지하는 이동 륜(29)을 장비하고 있다. 지지 부재(28B)에는, 요동 아암(28)을 후방 요동 자세의 일례로서 후향으로 요동 변위시킨 후향 자세(도 1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자세)에서 접지하는 저항체로서의 저항 막대(30)를 높이 조절 가능하게 핀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지지 부재(10)와 요동 아암(28)의 요동 시단부에 걸쳐, 요동 아암(28)의 하향 자세 및 후향 자세에서의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 수단(31)을 장비하고 있다.
고정 수단(31)은, 요동 아암(28)의 요동 조작에 수반하여, 우측의 아암 부재(28A)의 전단부 가로 외측에 좌우 방향으로의 미끄럼 이동 조작이 가능해지는 상태로 장비한 L자 형상의 로크 핀(32)이, 로크 핀(32)을 좌측으로 미끄럼 이동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압 수단(33)의 작용으로, 지지 부재(10)의 전방부측에 형성한 제1 결합 구멍(10A)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이동 륜(29)이 접지하는 하향 자세에서 요동 아암(28)을 고정하고, 또한, 지지 부재(10)의 후방부측에 형성한 제2 결합 구멍(10B)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저항 막대(30)가 접지하는 후향 자세에서 요동 아암(28)을 고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로크 핀(32)을 가압 수단(33)의 작용에 저항해서 우측으로 미끄럼 이동 조작해서 로크 핀(32)의 제1 결합 구멍(10A) 또는 제2 결합 구멍(10B)에 대한 삽입 관통을 해제함으로써, 요동 아암(28)의 하향 자세 또는 후향 자세에서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부터, 고정 수단(31)에 의해 요동 아암(28)을 하향 자세로 고정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가압 수단(33)의 작용에 저항해서 로크 핀(32)을 우측으로 미끄럼 이동 조작해서 제1 결합 구멍(10A)에서 뽑아낸 후, 요동 아암(28)을 후방으로 요동 조작해서 가압 수단(33)의 작용으로 로크 핀(32)을 제2 결합 구멍(10B)에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요동 아암(28)을 후향 자세로 고정할 수 있어, 저항 막대(30)를 접지시키는 작업 상태로 간단하게 전환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고정 수단(31)에 의해 요동 아암(28)을 후향 자세로 고정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가압 수단(33)의 작용에 저항해서 로크 핀(32)을 우측으로 미끄럼 이동 조작해서 제2 결합 구멍(10B)에서 뽑아낸 후, 요동 아암(28)을 전방으로 요동 조작해서 가압 수단(33)의 작용으로 로크 핀(32)을 제1 결합 구멍(10A)에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요동 아암(28)을 하향 자세로 고정할 수 있어, 이동 륜(29)을 접지시키는 이동 상태로 간단하게 전환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상태에서는, 이동 륜(29) 및 저항 막대(30)가 작업 상태일 때보다 기체 전방측으로 변위해서 기체를 후방에서 조종하는 작업자의 발밑으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이에 의해, 이동 륜(29)을 사용해서 기체를 이동시킬 때의 작업자의 발밑 공간이 넓어지기 때문에, 이동 륜(29)을 사용한 기체의 이동 조작에서 이동 륜(29) 및 저항 막대(30)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 막대(30)는, ヘ 형상으로 굴곡 형성한 둥근 봉 강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 아암(28)의 하향 자세에서는, 그 일단부측인 지지 부재(28B)에 대한 연결부(30A)가 이동 륜(29)의 상방에서 전후 방향 자세가 되고, 또한, 그 타단부측인 접지부(30B)가 이동 륜(29)의 전방에서 정방 내리막 자세가 되어, 접지부(30B)의 단부측이 좌우의 경운 로터(2)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접지부(30B)의 단부가 경운 로터(2)의 회전 궤적의 최하점과 전동 케이스(8)의 저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요동 아암(28)의 후향 자세에서는, 그 연결부(30A)가 이동 륜(29)의 전방에서 상하 방향 자세가 되고, 또한, 그 접지부(30B)가 이동 륜(29)의 하방에서 전방 내리막 자세가 되어, 접지부(30B)의 단부측이 접지해서 조종 핸들(6)의 상하 조작에 의한 저항 막대(30)의 접지 상태(대지 돌입 깊이)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부터, 요동 아암(28)을 하향 자세로 고정해서 이동 륜(29)을 접지시키는 이동 상태에서는, 저항 막대(30)를 이동 륜(29)의 상방으로부터 이동 륜(29)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상태로 할 수 있어, 저항 막대(30)의 접지부(30B)를, 이동 륜(29)의 전방에서의 경운 로터(2)의 회전 궤적의 최하점과 전동 케이스(8)의 저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로 좌우의 경운 로터(2)의 사이에 수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동 상태에서 저항 막대(30)가 후방의 조종 위치를 향해 연장되도록 구성한 경우에 초래될 우려가 있는, 이동 륜(29)을 사용한 기체의 이동 조작 시에,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저항 막대(30)가 조종 위치에서 보행하는 작업자의 발밑 등에 위치해서 작업자의 보행 등의 방해된다는 문제의 발생을 미연에 피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상태에서는 저항 막대(30)를 이동 륜(29)의 전방으로 연장시키도록 하면서도, 이동 륜(29)을 사용해서 기체를 이동시킬 때에는, 좌우의 경운 로터(2)를 접지시키지 않는 부상 상태로 유지하는데 수반하여, 저항 막대(30)도 부상해서 접지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이동 륜(29)을 사용한 기체의 이동 조작시에 저항 막대(30)가 접지해서 기체의 이동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발생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더구나, 이동 륜(29)의 전방에 위치하는 좌우의 경운 로터(2)의 사이에서 경운 로터(2)의 회전 궤적의 최하점과 전동 케이스(8)의 저부의 사이의 공간을 저항 막대(30)의 수납 공간으로 유효 이용함으로써, 이동 상태에서는 저항 막대(30)를 이동 륜(29)의 전방에 위치시키도록 하면서도, 이동 상태에서의 이동 륜(29)의 위치를 좌우의 경운 로터(2)에 접근시킨 위치로 설정할 수 있고, 이동 상태에서의 이동 륜(29)을 기체 후방부측의 배터리 탑재부(23)에 핸들 프레임(9)을 따른 후측 경사 자세로 탑재한 배터리(5)의 하방에 집어넣은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 조작시의 이동 륜(29)을 지지점으로 한 좌우의 경운 로터(2)의 들어올림 조작을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요동 아암(28)을 후향 자세로 고정해서 저항 막대(30)를 접지시키는 작업 상태에서는, 저항 막대(30)의 접지부(30B)가 전방 경사 자세로 접지함으로써, 저항 막대(30)의 접지점을 좌우의 경운 로터(2)보다 더 후방으로 멀어진 위치로 설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좌우의 경운 로터(2)를 지지점으로 한 조종 핸들(6)의 상하 조작에 의한 저항 막대(30)의 접지 상태(대지 돌입 깊이)의 조절을 행하기 쉬워져, 그 접지 상태의 조절에 의한 이동 저항의 변경을 행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경운 로터(2)의 구동으로 이동하는 기체의 이동 속도의 조절을 조종 핸들(6)의 상하 조작에 의해 간단하면서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즉, 이동 상태에서는 이동 륜(29)을 사용한 기체의 이동을 간단하면서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상태에서는, 저항 막대(30)를 사용한 이동 속도의 조절을 간단하면서도 양호하게 행할 수 있고, 이동 속도의 조절에 의한 경심 조절을 간단하면서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보행형 전동 작업기에서는, 요동 아암(28)의 하향 자세로 접지하는 이동 륜(29)의 접지 높이 위치가 요동 아암(28)의 후향 자세로 접지하는 저항 막대(30)의 접지 높이 위치보다 낮아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이동 륜(29)을 접지시킨 이동 상태에서의 기체 높이가 저항 막대(30)를 접지시킨 작업 상태에서의 기체 높이보다 높아져, 이동 상태에서의 조종 핸들(6)의 높이 위치가 작업 상태에서의 조종 핸들(6)의 높이 위치보다 높아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로 인해, 조종 핸들(6)을 동일한 높이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는, 이동 상태에서의 좌우의 경운 로터(2)의 높이 위치가 작업 상태에서의 좌우의 경운 로터(2)의 높이 위치보다 높아져서 접지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이동 륜(29)을 사용한 기체의 이동 조작시에 좌우의 경운 로터(2)가 지면 등 접촉해서 기체의 이동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행형 전동 작업기에는, 좌우의 경운 로터(2)를 하방에서 덮는 상태로 수납하는 상부 개방형으로 수지제의 수납 박스(34)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다. 수납 박스(34)의 저부에는, 좌우의 경운 로터(2)의 사이에 위치해서 전동 케이스(8)의 저부를 하방에서 받아 지지하는 지지대(34A)를 상향으로 팽출 형성하고 있다. 수납 박스(34)에서의 좌우 양측부의 상부측에는, 로터 커버(3)에서의 커버체(15)(상측 커버부(3B))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한 결합 오목부(15C)와의 결합으로, 지지대(34A)와의 사이에 보행형 전동 작업기의 전동 케이스(8)로부터 커버체(15)에 걸친 부분을 끼워 넣음으로써, 좌우의 경운 로터(2)를 하방에서 덮는 상태로 수납 박스(34)를 보행형 전동 작업기의 하부에 고정하는 버클식의 고정구(35)를 장비하고 있다. 수납 박스(34)의 후방부에는, 요동 아암(28)을 하향 자세로 해서 좌우의 경운 로터(2)의 사이에 위치시킨 저항 막대(30)의 접지부(30B)의 수납 박스 내에 대한 수납을 가능하게 하는 절결부(34B)를, 수납 박스(34)의 좌우 폭과 대략 동일한 폭으로 수납 박스(34)의 상단부에서 수납 박스 내에 대한 저항 막대(30)의 수납을 허용하는 소정의 높이 위치까지 하향으로 오목하게 형성하고 있다.
즉, 요동 아암(28)을 하향 자세로 변경한 상태에서 기체에 수납 박스(34)를 설치함으로써, 이동 륜(29)을 수납 박스 밖으로 사용 가능한 상태로 노출시키면서, 좌우의 경운 로터(2)와 함께 저항 막대(30)의 접지부(30B)를 수납 박스 내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동 륜(29)을 사용해서 기체를 이동시킬 때에는, 수납 박스(34)를 설치함으로써, 좌우의 경운 로터(2) 및 저항 막대(30)의 접지부(30B)가 지면 등 접촉해서 기체의 이동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를 미연에 피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이동 후에 조종 핸들(6)을 저장 자세로 변경해서 자동차의 트렁크 등에 실을 때에는, 기체에 설치한 수납 박스(34)에 의해, 좌우의 경운 로터(2) 및 저항 막대(30)의 접지부(30B)가 자동차의 트렁크 등에 바로 접촉하는 것이나, 좌우의 경운 로터(2) 및 저항 막대(30)의 접지부(30B)에 부착된 흙 등이 자동차의 트렁크 내 등에 떨어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다. 이에 의해, 자동차 등을 이용해서 보행형 전동 작업기를 운반할 때에에, 보행형 전동 작업기를 싣는 개소인 트렁크 등이, 좌우의 경운 로터(2) 및 저항 막대(30)의 접지부(30B)와의 접촉에 기인해서 손상되는 문제나, 좌우의 경운 로터(2) 및 저항 막대(30)의 접지부(30B)에 부착된 흙 등의 떨어짐에 기인해서 오염되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케이스(8)의 상부에는, 보행형 전동 작업기를 들어 운반할 때의 파지부로 사용 가능한 루프 형상이고 전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둥근 파이프 강재로 이루어지는 프론트 가드(36)를 볼트 연결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보행형 전동 작업기의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행형 전동 작업기에서 요동 아암(28)을 하향 자세로 변경해서 이동 륜(29)을 접지시킨 이동 상태에서는, 이동 륜(29) 및 저항 막대(30)가 조종 핸들(6)의 요동 지지점축을 겸하는 볼트(12)보다 기체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요동 아암(28)을 하향 자세로 변경하고, 또한, 조종 핸들(6)을 저장 자세로 변경한 기체의 저장 상태에서의 전후 길이를, 프론트 가드(36)의 전단부로부터 핸들 프레임(9)의 후단부에 걸친 전후 길이로 짧게 할 수 있어, 자동차의 트렁크 등에 실기 쉽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보행형 작업기로는,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으로 경운 로터(2)를 구동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좋다.
[2] 기체 프레임(1)의 구성으로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후 방향에서 보아 역 U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한 주 프레임(7)을, 주 프레임과는 별체의 좌우 한 쌍의 전방 연결 아암 및 후방 연결 아암을 통해 전동 케이스(8)에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지지 부재(10)를 구비하지 않고 주 프레임(7)의 후단부에 요동 아암(28)을 장비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전동 케이스(8)의 상부와, 전동 케이스(8)에 후측 경사 자세로 볼트 연결한 핸들 프레임(9)에 걸쳐, 주 프레임(7)을 전후 방향으로 가설해서 구성한 것이어도 좋다.
[3] 요동 아암(28)으로는, 측면에서 보아 일직선 형상, L자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어도 좋다.
[4] 요동 아암(28)의 후방 요동 자세로는, 후향 자세 이외의 후 하향 자세 또는 후 상향 자세 등이어도 좋다.
[5] 저항체(30)로는, 경운 로터(2)의 구동에 의한 기체의 이동에 저항을 가하는 것이 가능한 판 부재, 회전 륜, 또는 회전 디스크 등이어도 좋다.
[6] 고정 수단(31)의 구성으로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압 수단(33)을 구비하지 않고, 로크 핀(32)의 수동 조작에 의해 요동 아암(28)의 고정과 고정 해제 모두를 행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좋다.
[7] 요동 아암(28)의 하향 자세와 후방 요동 자세에 걸친 요동 조작시에는, 저항 막대(30)가 좌우의 경운 로터(2)의 사이에서의 전동 케이스(8)의 후방 개소를 통과하도록 구성하고, 요동 아암(28)의 하향 자세에서는 저항체(30)가 이동 륜(29)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8] 수납 박스(34)의 후방부에 형성하는 절결부(34B)로는, 그 좌우 폭이 저항 막대(30)의 직경보다 약간 큰 정도의 슬릿 형상인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은, 이동 륜을 사용하는 이동 상태와 저항체를 사용하는 작업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한 보행형 작업기에 적용할 수 있다.
1 : 기체 프레임 2 : 경운 로터
27 : 지지축 28 : 요동 아암
29 : 이동 륜 30 : 저항체
31 : 고정 수단 34 : 수납 박스
34B : 절결부

Claims (5)

  1. 기체 프레임의 후방부에, 기체의 하부에 배치한 경운 로터의 후방에서 좌우 방향의 지지축을 지지점으로 해서 요동하는 요동 아암을 장비하고,
    상기 요동 아암에, 상기 요동 아암의 하향 자세에서 접지하는 이동 륜과, 상기 요동 아암을 상기 하향 자세에서 후방으로 요동 변위시킨 후방 요동 자세에서 접지하는 저항체를 구비하고,
    상기 요동 아암의 상기 하향 자세 및 상기 후방 요동 자세에서의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 수단을 상기 기체 프레임의 후방부와 상기 요동 아암에 걸쳐 장비하고 있는, 보행형 작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아암의 상기 하향 자세에서는, 상기 저항체가 상기 이동 륜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보행형 작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아암의 상기 하향 자세에서는, 상기 저항체의 선단부측이 좌우의 상기 경운 로터의 사이에 위치하여 측면에서 보아 상기 경운 로터와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보행형 작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아암의 상기 하향 자세에서 접지하는 상기 이동 륜의 접지 높이 위치가 상기 요동 아암의 상기 후방 요동 자세에서 접지하는 상기 저항체의 접지 높이 위치보다 낮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보행형 작업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운 로터를 하방에서 덮는 상태로 수납하는 수납 박스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수납 박스의 후방부에, 상기 요동 아암을 상기 하향 자세로 한 상태에서의 상기 저항체의 수납 박스 내로의 수납을 가능하게 하는 절결부를 형성하고 있는, 보행형 작업기.
KR1020120023365A 2011-07-19 2012-03-07 보행형 작업기 KR1013512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58413 2011-07-19
JP2011158413A JP5676384B2 (ja) 2011-07-19 2011-07-19 歩行型作業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824A true KR20130010824A (ko) 2013-01-29
KR101351214B1 KR101351214B1 (ko) 2014-01-14

Family

ID=47781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365A KR101351214B1 (ko) 2011-07-19 2012-03-07 보행형 작업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676384B2 (ko)
KR (1) KR10135121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80909A (zh) * 2014-10-28 2015-03-04 湖南农业大学 一种新型割草及旋耕方法
KR200489768Y1 (ko) 2018-06-18 2019-10-21 이범규 보행형 작업기용 동력전달장치
RU2742928C1 (ru) * 2017-04-04 2021-02-11 Е Инк Корпорэйшн Способы управления электрооптическими дисплеями
KR102353595B1 (ko) 2021-06-09 2022-01-20 이범규 직접 기어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작업하는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 전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34542B (zh) * 2012-11-30 2015-07-29 温岭正峰动力有限公司 微耕机
CN103181255B (zh) * 2013-02-27 2015-09-16 湘乡市明洋耕整机制造有限公司 手扶耕整机
CN110959317B (zh) * 2019-12-31 2021-09-14 李保福 一种园林养护用松土装置
CN111183753A (zh) * 2020-03-09 2020-05-22 苏州煜水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农业生产用便于存放的小型翻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3063B2 (ja) * 1996-01-16 1998-04-22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管理機
JP4139251B2 (ja) * 2003-03-17 2008-08-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管理機
JP4128154B2 (ja) * 2004-04-28 2008-07-30 株式会社マキタ沼津 管理機
JP4673914B2 (ja) * 2008-11-26 2011-04-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作業機
JP2012249591A (ja) * 2011-06-03 2012-12-20 Orec Co Ltd 抵抗棒と補助輪の切替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歩行型作業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80909A (zh) * 2014-10-28 2015-03-04 湖南农业大学 一种新型割草及旋耕方法
RU2742928C1 (ru) * 2017-04-04 2021-02-11 Е Инк Корпорэйшн Способы управления электрооптическими дисплеями
KR200489768Y1 (ko) 2018-06-18 2019-10-21 이범규 보행형 작업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2353595B1 (ko) 2021-06-09 2022-01-20 이범규 직접 기어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작업하는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 전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21951A (ja) 2013-02-04
KR101351214B1 (ko) 2014-01-14
JP5676384B2 (ja)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214B1 (ko) 보행형 작업기
JP5868280B2 (ja) 歩行型管理機
US8839692B2 (en) Walk-behind tiller with adjustable handle mechanism
US7757805B2 (en) Working vehicle
EP3549423A1 (en) Lawn mower robot
EP3295784A1 (en) Mid-mount riding grass mower
JP6416075B2 (ja) 歩行型作業機
JP5868475B2 (ja) 歩行型作業機
JP2009006811A (ja) 歩行型作業機
JP5778511B2 (ja) 歩行型電動作業機
JP5702242B2 (ja) 歩行型電動作業機のバッテリ搭載構造
JP4359574B2 (ja) 歩行型作業車
JP4495642B2 (ja) 乗用田植機
JP4566829B2 (ja) 乗用田植機
CN113383131B (zh) 作业车辆以及挡泥部的装卸方法
JP4617201B2 (ja) 移動農機
JP4773321B2 (ja) 歩行型作業機
JPH06153602A (ja) 歩行型耕耘機
US11753058B2 (en) Movement assisting tool
JP2008237095A (ja) 歩行型管理機
EP4249352A1 (en) Tractor
JP5725805B2 (ja) 乗用型作業車両
JP4913364B2 (ja) 作業車両のシート
JP4443468B2 (ja) 後部作業機の座席装置
JP6475137B2 (ja) 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