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0275A -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장치로 제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장치로 제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0275A
KR20130010275A KR1020110070968A KR20110070968A KR20130010275A KR 20130010275 A KR20130010275 A KR 20130010275A KR 1020110070968 A KR1020110070968 A KR 1020110070968A KR 20110070968 A KR20110070968 A KR 20110070968A KR 20130010275 A KR20130010275 A KR 20130010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mote control
controller
sig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8006B1 (ko
Inventor
박성종
조재훈
이은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0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006B1/ko
Priority to EP12166208.4A priority patent/EP2521370B1/en
Priority to US13/462,470 priority patent/US8933881B2/en
Priority to CN201210135526.1A priority patent/CN102984564B/zh
Publication of KR20130010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1Multimodal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enabling the user to issue commands by simultaneous use of input devices of different nature, e.g. voice plus gesture on digitiz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로 제어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 또는 터치 입력에 기초하는 신호를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움직임의 정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모션(motion) 모드로 동작하고, 움직임의 정도가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원격제어장치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터치(touch)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장치로 제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Remote Controller and Image Display Device Controllable by Remote Controller}
본 발명은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장치로 제어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제어 모드를 제공하는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장치로 제어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원격제어장치는 영상표시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이다. 원격제어장치는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는 명령에 포함된 신호를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한다. 영상표시장치는 원격제어장치가 전송한 신호에 포함된 명령에 따라 동작이 제어된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화면을 통한 터치 입력에 의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입력, 메뉴 화면 등 다양하고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 및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상표시장치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모드를 제공하는 원격제어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로 제어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 또는 터치 입력에 기초하는 신호를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움직임의 정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모션(motion) 모드로 동작하고, 움직임의 정도가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원격제어장치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터치(touch)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로 제어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 또는 터치 입력에 기초하는 신호를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터치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모션(motion) 모드로 동작하고,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원격제어장치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터치(touch)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는,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영상표시장치로 제어명령이 포함된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와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 및 터치스크린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이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되도록 터치스크린과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제어 모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편리하게 영상표시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격제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장치는,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표시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장치는,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TV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및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튜너(110)와 복조부(12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와,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복조부(120)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장치(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영상표시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표시되는 영상과 관련된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 수집된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줌인 또는 줌아웃 입력이 있는 경우, 관련 정보를 줌인 또는 줌아웃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줌인 또는 줌아웃 입력은,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접근하도록 이동되거나, 디스플레이부(180)에 멀어지도록 이동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표시되는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 검색어 입력시, 동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영상의 재생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어부(170)는, 검색어 입력을 위해, 디스플레이부(180)에 자판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표시되는 자판 내의 문자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문자가 입력되는 것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200) 내의 버튼에서 선택되는 문자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수신 신호에 기초하여 문자가 입력되는 것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표시되는 영상 내의 일부 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선택 영역 내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검색어가 입력되는 것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영역 내의 이미지를 영상표시장치 내 또는 네트워크 상에서 검색하여, 해당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를 검색하여 해당 내용을 파악하고, 검색어 도출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선택 영역 내의 이미지에 부가된 메타 데이터(meta data)를 활용하여,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어 도출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검색 결과 표시를 위해, 관련 정보가 정렬된 복수의 항목들을 디스플레이부(180)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표시된 항목들 중 선택된 항목에 대한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80)의 다른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항목들은, 음악 항목, 영상 항목, 웹 항목, 지도 항목, 애플리케이션 항목들 일 수 있으며, 이러한 항목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추가 또는 삭제가 가능하며, 우선 순위에 따라 표시되는 항목들의 순서도 가변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항목들 중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된 경우, 관련 정보 중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레케이션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 로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검색어 입력을 위한 입력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입력창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과 다른 영역에 표시되거나, 영상에 오버레이(overlay)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관련 정보 표시의 나가기 또는 줌인 또는 줌아웃 표시의 나가기 입력이 있는 경우, 이전에 표시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영상의 재생을 나타내는 재생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들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내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된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영상표시장치(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를 구비하는 액정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 동작이 가능한 인버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장치는, 도 1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80)와 오디오 출력부(185)가 제외된 영상표시장치로서, 무선 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부(185)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와이어리스(wireless) 타입일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1의 도시된 튜너(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장치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일예이다.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다른 예로는, 도 1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80)와 오디오 출력부(185)가 제외된 셋탑 박스,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기기,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믹서(3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H.26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350)로 입력되게 된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340)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믹서(350)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2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360)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FRC)(3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동일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거나, 예측된 프레임을 3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별도의 변환없이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3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180)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G,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G,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는, MPEG-2 디코더, 또는 MPEG 4 디코더, 또는 AAC 디코더, 또는 AC-3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A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상술한 스트림, 즉 MPEG-2 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RF 통신규격 또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a)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3(b)), 앞뒤(도 3(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3(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격제어장치, 공간리모콘(201)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간리모콘(201)은, 각종 입력키 또는 입력 버튼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간리모콘(201)은, 확인키(Okay key)(291), 메뉴키(292), 사방향키(293), 채널 조정키(294), 볼륨 조정키(296)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키(Okay key)(291)는 메뉴 또는 항목 선택시 사용 가능하며, 메뉴키(292)는 소정 메뉴 표시를 위해 사용 가능하며, 사방향키(293)는 포인터 또는 인디케이터를 상,하,좌우 이동시 사용 가능하며, 채널 조정키(294)는 채널 상, 하 조정시 사용 가능하며, 볼륨 조정키(296)는, 볼륨 업, 다운 조정 시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공간리모콘(201)은, 백 키(back key)(297), 홈 키(home key)(29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 키(back key)(297)는 이전 화면 이동시 사용 가능하며, 홈 키(298)는, 홈 화면으로의 이동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면과 같이, 확인키(291)는, 스크롤 기능이 추가된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확인키(291)는 휠 키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즉, 확인키(291)가 눌려지는 경우, 해당 메뉴 또는 항목 선택으로 사용되고, 확인키(291)가 상,하로 스크롤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 스크롤링 또는 리스트 페이지 전환 등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80)에 디스플레이의 사이즈 보다 더 큰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해당 영상 탐색을 위해 확인키(291)를 스크롤링하면, 현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지 않던 영상 영역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된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부(180)에 리스트 페이지가 표시되는 경우, 확인키(291)를 스크롤링하면, 현재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 또는 다음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롤 기능은, 확인키(291)가 아닌 별도의 키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사방향키(293)는, 도면과 같이, 원형 타입에서, 상,하,좌,우키가 각각 사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사방향키(293)에 대한 터치 입력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방항키(293) 내의 상 키(up key)에서부터 하 키(down key)까지 터치 동작이 있는 경우, 해당 터치 입력에 따라, 설정된 기능이 입력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사방향키(293)에 대한 터치 입력 뿐만 아니라, 실시예에 따라서는 터치 스크린을 더 구비하여 터치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도 4b는 도 1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225), 사용자 입력부(235),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25)는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를 조작하여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경우, 사용자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을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기기(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영상표시기기(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5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10), A/V(Audio/Video) 입력부(5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535), 센서부(540), 저장부(550), 제어부(560), 디스플레이부(570), 오디오 출력부(580), 및 전원 공급부(5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예를 들어, 도 6의 (a)와 같이 스마트폰, 도 6의 (b)와 같이 태블릿(tablet) PC가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는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또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도 수행가능하며, 통화모드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에 따른 인터넷망, 이동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510)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51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스위치(switch), 터치 스크린(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51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5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와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 영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570)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550)에 저장되거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535)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30)는, 휴대 단말기(5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5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휴대 단말기(5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30)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위한 이동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통신부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영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500)는 유무선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방송과 관련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방송 수신을 위한 별도의 방송수신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방송수신부는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으며 신호의 수신 및 신호 처리를 위한 튜너, 복조부, 역다중화부, 디코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535)는 외부 장치와 휴대 단말기(5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535)는, TV,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냉장고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5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휴대 단말기(500)의 제어부(56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56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5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휴대 단말기(5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500)는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535)는 상술한 외부 장치 이외에도 휴대 단말기(5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5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535)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5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5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5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560) 또는 저장부(55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6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535)를 통하여 연결된 다른 전자기기로 사용자의 명령 또는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거나 허락된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거나,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PC를 이용한 예약 작업을 수행하거나, 스마트 냉장고의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가족 구성원의 스마트 폰으로부터 메시지 또는 명령 등 각종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부(540)는 휴대 단말기(500)의 위치, 이동,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5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센서부(540)는 감지센서, 압력센서, 및 모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는 휴대 단말기(500)로 접근하는 물체나, 휴대 단말기(5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감지센서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감지센서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는 휴대 단말기(5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는 사용환경에 따라 휴대 단말기(5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가 디스플레이부(570)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570)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57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5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 및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5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휴대 단말기(5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550)는 제어부(56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500)는 저장부(55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55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5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55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저장부(550)가 제어부(56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550)는 제어부(56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제어부(560)는, 휴대 단말기(5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1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5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휴대 단말기(5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560)는,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또는 음성이 디스플레이부(570) 또는 오디오 출력부(58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5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1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5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570) 또는 오디오출력부(5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560)는, 영상 통화 모드시 통화 상대방의 영상, 사용자의 영상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57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수신되는 통화 상대방의 음성 신호에 기초한 음성을 오디오출력부(580)가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60)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츠는, 휴대 단말기(5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560)는 터치 입력 신호의 패턴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이 알파벳, 숫자, 기호 등 문자 입력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60)는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의 궤적과 대응하는 문자를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는 한글, 영어, 중국어, 일본어, 숫자, 기호 등을 포함하며, 제어부(560) 또는 저장부(55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560)는,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57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500)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은, 상술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OS 기반의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플랫폼은 제어부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에 프로그램 형태로 구비되거나,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은, OS 커널(OS Kernel), OS 커널 상의 드라이버(Driver), 미들웨어(Middleware), 프레임워크(Framework), 애플리케이션층(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OS 커널은, 유닉스 기반(리눅스), 윈도우 기반 등 다양한 운영체제(OS) 기반의 커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OS 커널은, 공개(open)된 OS 커널로서, 다른 전자기기 등에서 사용가능한 범용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70)는, 제어부(56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5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57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57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출력부(580)는 호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수신되거나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출력부(580)는 휴대 단말기(5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효과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오디오출력부(180)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590)는, 휴대 단말기(5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5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고,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 또는 터치 입력에 기초하는 신호를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다.(S710)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가 상기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도 3, 도 4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공간리모콘일 수 있다.
공간리모콘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통신규격 또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는 공간리모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공간리모콘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공간리모콘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가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으므로, 영상표시장치(100)는 공간리모콘의 움직임의 정도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공간리모콘이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터치 입력으로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휴대 단말기일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 기능은 애플리케이션의 형태 또는 휴대 단말기에 임베디드되어 제공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56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535)를 통하여 연결된 다른 전자기기로 사용자의 명령 또는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거나 허락된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70)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의 정도(M)와 기준치(R)를 대비한다.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의 정도(M)와 기준치(R)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모션(motion) 모드로 동작한다.(S730)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의 정도(M)와 기준치(R)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터치(touch) 모드로 동작한다.(S740)
즉, 제어부(170)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동작의 크기에 따라 영상표시장치의 제어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의 입장에서도, 제스쳐 동작이 크면 모션(Motion) 원격제어장치로 기능하고, 동작이 작아지면 자동으로 터치를 활성화하여 터치(touch) 원격제어장치로 기능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를 모션(Motion) 모드로 인식하면서 원격제어장치를 움직이는 경우에도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존재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의 정도(M)와 기준치(R)보다 큰 경우에는 모션(Motion) 모드로 동작하므로 오입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터치로 메뉴를 선택하지 않고도 간단한 제어명령 입력이 가는하므로 직관적이면서도, 사용자의 시선 분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제어명령이라도 모션 모드인 경우와 터치 모드인 경우에 그 변화 정도를 상이하게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큰 변화는 모션 모드를 통하여 수행하고, 세밀한 동작은 터치 모드로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휴대 단말기(500)를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상기 신호가 포인터(810, 820)를 이동시키는 입력인 경우에, 상기 모션 모드에서의 상기 포인터 이동 거리(d1)가 상기 터치 모드에서의 상기 포인터 이동 거리(d2)보다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오입력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인터의 이동은 포인터 모드에서만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신호가 설정값을 변경시키는 입력인 경우에, 상기 모션 모드에서의 상기 설정값 변경 정도가 상기 터치 모드에서의 상기 설정값 변경 정도보다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휴대 단말기(500)를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방송 채널을 변경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제어부(170)는,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좌우 방향으로 상기 기준치 이상 움직이는 경우에 채널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CH 9'(911)를 시청하다가 원격제어장치를 우측으로 소정 거리보다 크게 움직이면, 'CH 19'(912)로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가 'CH 9'(911)를 시청하다가 원격제어장치를 우측으로 소정 거리보다 작게 움직이면, 터치 입력에 따라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터치 입력은 터치 스크린의 우측 소정 영역에 대한 터치로써 입력되거나, 도 9의 (c)와 같이 터치 입력을 위한 메뉴(921, 922)를 터치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 입력을 위한 메뉴(921, 922)는 먼저 표시되어 있거나,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 정도가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 활성화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모션 모드에서는 채널이 '10' 단위로 변경되고, 터치 모드에서는 '1' 단위로 변경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설정값의 변경 정도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은 휴대 단말기(500)를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오디오 출력, 볼륨(volume)을 변경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더욱 자세히는 사용자가 볼륨 '10'으로 영상표시장치(100)를 이용하다가 휴대 단말기(500)를 모션 모드로 볼륨을 '20'으로 조정하거나, 터치 모드로 볼륨을 '11'로 조정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제어부(170)는,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상하 방향으로 상기 기준치 이상 움직이는 경우에 볼륨(volume)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를 기준치보다 큰 거리만큼 상측으로 움직여 볼륨을 크게, 예를 들어 '10' 단위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볼륨 조절 메뉴(1021, 1022) 중 볼륨을 증가시키는 메뉴(1021)를 터치하여 볼륨을 작게, 예를 들어 '1' 단위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소정 패턴으로 움직이는 경우에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500)를 좌우로 왕복시키는 패턴을 입력하면 메뉴(11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다.
도 11은 예시적인 것으로, 메뉴를 표시하는 소정 패턴의 입력은 왕복 패턴 이외의 패턴이 설정될 수 있다.
또는, 휴대 단말기(500)를 좌우로 왕복시키는 패턴은 다른 명령, 예를 들어 포인터 표시 명령, wake-up 명령 등에 할당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 또는 터치 입력에 기초하는 신호를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다.(S1210)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가 상기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공간리모콘이거나 휴대 단말기일 수 있다.
이후, 제어부(170)는 터치 입력이 있는지를 판별한다.(S1220)
제어부(170)는 상기 터치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모션(motion) 모드로 동작하고,(S1230) 상기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터치(touch)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240)
즉,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다른 점은 터치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터치 입력을 우선적으로 반영하여 터치 모드로 동작한다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를 움직이더라도, 터치 스크린을 터치한 경우에, 터치 입력을 반영하여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만 모션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가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에게 도 7 또는 도 12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를 사용하면서 자신의 사용 태양을 파악할 수 있고, 사용 태양에 따라서, 자신에게 더 편리한 제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선택한 제어 모드 내에서 모션 모드와 터치 모드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은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제어명령이 포함된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 및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이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과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휴대 단말기, 공간리모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의 정도 또는 상기 터치 입력의 유무에 따라 상이한 제어명령이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과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원격제어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원격제어장치로 제어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 또는 터치 입력에 기초하는 신호를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움직임의 정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모션(motion)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움직임의 정도가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터치(touch)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로 제어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휴대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공간리모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가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입력인 경우에, 상기 모션 모드에서의 상기 포인터 이동 거리가 상기 터치 모드에서의 상기 포인터 이동 거리보다 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가 설정값을 변경시키는 입력인 경우에, 상기 모션 모드에서의 상기 설정값 변경 정도가 상기 터치 모드에서의 상기 설정값 변경 정도보다 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좌우 방향으로 상기 기준치 이상 움직이는 경우에 채널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상하 방향으로 상기 기준치 이상 움직이는 경우에 볼륨(volume)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소정 패턴으로 움직이는 경우에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9. 원격제어장치로 제어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 또는 터치 입력에 기초하는 신호를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터치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모션(motion)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터치(touch)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로 제어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휴대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공간리모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가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입력인 경우에, 상기 모션 모드에서의 상기 포인터 이동 거리가 상기 터치 모드에서의 상기 포인터 이동 거리보다 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가 설정값을 변경시키는 입력인 경우에, 상기 모션 모드에서의 상기 설정값 변경 정도가 상기 터치 모드에서의 상기 설정값 변경 정도보다 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좌우 방향으로 상기 기준치 이상 움직이는 경우에 채널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상하 방향으로 상기 기준치 이상 움직이는 경우에 볼륨(volume)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소정 패턴으로 움직이는 경우에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7.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제어명령이 포함된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 및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이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과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공간리모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휴대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의 정도 또는 상기 터치 입력의 유무에 따라 상이한 제어명령이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과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KR1020110070968A 2011-05-03 2011-07-18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장치로 제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KR101788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968A KR101788006B1 (ko) 2011-07-18 2011-07-18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장치로 제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EP12166208.4A EP2521370B1 (en) 2011-05-03 2012-04-30 Remote controlle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controllable by remote controller
US13/462,470 US8933881B2 (en) 2011-05-03 2012-05-02 Remote controlle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controllable by remote controller
CN201210135526.1A CN102984564B (zh) 2011-05-03 2012-05-03 由遥控器可控制的图像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968A KR101788006B1 (ko) 2011-07-18 2011-07-18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장치로 제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275A true KR20130010275A (ko) 2013-01-28
KR101788006B1 KR101788006B1 (ko) 2017-10-19

Family

ID=46045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968A KR101788006B1 (ko) 2011-05-03 2011-07-18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장치로 제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33881B2 (ko)
EP (1) EP2521370B1 (ko)
KR (1) KR101788006B1 (ko)
CN (1) CN102984564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9812A1 (ko) * 2013-02-04 2014-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KR20170011872A (ko) * 2015-07-24 201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18021885A1 (en) * 2016-07-29 2018-02-01 Lg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3799B2 (en) 2011-06-05 2016-12-06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control of a touch-based user interface absent physical touch capabilities
KR101352329B1 (ko) * 2011-11-23 2014-01-22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9116611B2 (en) 2011-12-29 2015-08-2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multitouch inputs and hardware-based features using a single touch input
EP2613227B1 (en) * 2012-01-06 2020-04-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613242A3 (en) * 2012-01-06 2015-03-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display through user manipulation
KR101890624B1 (ko) * 2012-04-12 2018-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패드를 구비한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 방법
KR101431581B1 (ko) * 2012-06-22 2014-09-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를 기반으로 한 가상 게임 컨트롤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컨트롤 시스템
CN102830904B (zh) * 2012-06-29 2016-08-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图片插入方法
KR20140060818A (ko) * 2012-11-12 2014-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4769955A (zh) * 2012-11-21 2015-07-08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终端和终端控制界面的显示方法
CN102984569A (zh) * 2012-11-29 2013-03-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电视界面焦点的方法、装置和系统
US9497509B2 (en) * 2012-11-29 2016-11-15 Echostar Uk Holdings Limited Navigation techniques for electronic programming guides and video
CN103902195B (zh) * 2012-12-28 2017-02-22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显示屏幕自动调节系统及方法
JP6064617B2 (ja) * 2013-01-23 2017-01-25 富士通株式会社 電子装置、電子装置の入力制御方法、入力制御プログラム
US9772764B2 (en) * 2013-06-06 2017-09-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ccommodating sensors and touch in a unified experience
KR20150000278A (ko) * 2013-06-24 2015-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50081012A (ko) * 2014-01-03 2015-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40028A (ko) * 2014-10-02 2016-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6057944A2 (en) * 2014-10-09 2016-04-14 FiveByFive, Inc. Channel-based live tv conversion
CN105630204A (zh) * 2014-10-29 2016-06-0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鼠标模拟系统及方法
CN105988618A (zh) * 2015-02-12 2016-10-05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触摸型显示装置及双向数据传输方法
US20160291703A1 (en) * 2015-03-31 2016-10-06 Sony Corporation Operating system, wearable device, and operation method
KR20160139481A (ko) * 2015-05-27 201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961239B2 (en) 2015-06-07 2018-05-01 Apple Inc. Touch accommodation options
US10139966B2 (en) * 2015-07-22 2018-11-27 Osterhout Group, Inc. External user interface for head worn computing
KR20170025400A (ko) * 2015-08-28 201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5068664B (zh) * 2015-09-23 2019-01-04 谢小强 交互系统及交互控制方法
US10678326B2 (en) 2015-09-25 2020-06-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bining mobile devices with people tracking for large display interactions
CN106843709B (zh) 2015-12-04 2020-04-1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根据实时信息显示展现对象的方法和装置
KR101853961B1 (ko) * 2016-04-19 2018-06-20 (주)휴맥스 포스 입력의 식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0509487B2 (en) * 2016-05-11 2019-12-17 Google Llc Combining gyromouse input and touch input for navigation in an augmented and/or virtual reality environment
DK201670621A1 (en) * 2016-06-12 2018-01-22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Accessing Prevalent Device Functions
DK201670616A1 (en) 2016-06-12 2018-01-22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Accessing Prevalent Device Functions
US10255779B2 (en) * 2017-02-16 2019-04-09 Walmart Apollo, Llc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shoplifting at a retail facility
CN107707950B (zh) * 2017-09-26 2018-07-06 泉州市奥维电子有限公司 扩展型数字视频变换盒
CN108063963B (zh) * 2017-09-26 2019-12-06 杭州尚田信息技术有限公司 扩展型数字视频变换盒
KR102495326B1 (ko) * 2018-01-31 2023-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96593B1 (ko) 2019-03-26 2024-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 및 입력 장치와 상호 작용하는 전자 장치
US11782593B1 (en) 2019-06-09 2023-10-10 Advanced Electronic Design, Inc. Wireless personal protection device and methods of use
CN111290674B (zh) * 2020-02-06 2021-05-21 广州华多网络科技有限公司 切换帐号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TWI739429B (zh) * 2020-05-14 2021-09-11 許祐豪 喇叭聲道音訊控制系統
CN112584214B (zh) * 2020-12-09 2022-11-25 青岛信芯微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遥控设备及遥控设备唤醒方法
US11762458B2 (en) * 2021-02-15 2023-09-19 Sony Group Corporation Media display device control based on eye gaze
KR20230112485A (ko) * 2022-01-20 2023-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3261A (en) * 1992-02-14 1996-01-09 Itu Research, Inc. Graphical input controller and method with rear screen image detection
US6292174B1 (en) * 1997-08-23 2001-09-18 Immersion Corporation Enhanced cursor control using limited-workspace force feedback devices
US6573883B1 (en) * 1998-06-24 2003-06-03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omputing device with gestures
EP1285330B1 (en) * 2000-05-11 2006-08-30 Nes Stewart Irvine Zeroclick
US6947062B2 (en) * 2001-07-23 2005-09-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eamlessly combined freely moving cursor and jumping highlights navigation
US20030231168A1 (en) * 2002-06-18 2003-12-18 Jory Bell Component for use as a portable computing device and pointing device in a modular computing system
JP4161814B2 (ja) 2003-06-16 2008-10-08 ソニー株式会社 入力方法および入力装置
US7903084B2 (en) * 2004-03-23 2011-03-08 Fujitsu Limited Selective engagement of motion input modes
US20050212753A1 (en) * 2004-03-23 2005-09-29 Marvit David L Motion controlled remote controller
US7535456B2 (en) * 2004-04-30 2009-05-19 Hillcrest Laboratori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removing unintentional movement in 3D pointing devices
US20070080940A1 (en) * 2005-10-07 2007-04-12 Sharp Kabushiki Kaisha Remote control system, an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remote control system
KR100679053B1 (ko) * 2005-12-28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틸팅 인터페이스에서 기울기의 변화를 이용하여 반복적신호 입력을 정지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1171055B1 (ko) * 2006-02-02 2012-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뉴 리스트 항목의 이동 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090213081A1 (en) * 2007-01-10 2009-08-27 Case Jr Charlie W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uchpad Input Controller
JP4897525B2 (ja) * 2007-03-16 2012-03-14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画像表示装置
KR20140061551A (ko) 2007-09-18 2014-05-21 톰슨 라이센싱 셋톱 박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US8423076B2 (en) * 2008-02-01 2013-04-16 Lg Electronics Inc. User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KR101606834B1 (ko) * 2008-07-10 201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움직임과 사용자의 조작을 이용하는 입력장치 및 이에적용되는 입력방법
KR101591552B1 (ko) * 2008-09-04 2016-02-03 사반트 시스템즈 엘엘씨 시스템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터치 감지형 무선 장치 및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US20100066677A1 (en) * 2008-09-16 2010-03-18 Peter Garrett Computer Peripheral Device Used for Communication and as a Pointing Device
KR101662172B1 (ko) * 2008-11-21 2016-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
US20100201615A1 (en) * 2009-02-12 2010-08-12 David John Tupman Touch and Bump Input Control
US8896527B2 (en) * 2009-04-07 2014-1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resolution pointing system
US9703398B2 (en) * 2009-06-16 2017-07-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ointing device using proximity sensing
US20120075196A1 (en) * 2010-09-23 2012-03-29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pu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9812A1 (ko) * 2013-02-04 2014-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KR20170011872A (ko) * 2015-07-24 201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388248B2 (en) 2015-07-24 2019-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18021885A1 (en) * 2016-07-29 2018-02-01 Lg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0200738B2 (en) 2016-07-29 2019-02-05 Lg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le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84564B (zh) 2016-09-21
EP2521370A1 (en) 2012-11-07
US8933881B2 (en) 2015-01-13
US20130002576A1 (en) 2013-01-03
EP2521370B1 (en) 2015-11-18
CN102984564A (zh) 2013-03-20
KR101788006B1 (ko) 2017-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8006B1 (ko)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장치로 제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KR101729527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EP2811753B1 (en) Operating method of image display apparatus with multiple remote control devices
US20130314396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1006956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5763921B (zh) 图像显示设备和方法
KR20100128960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40120211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708648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77672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KR20130019260A (ko)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20150019123A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KR20160088652A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772526B1 (ko) 영상표시기기의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20120131258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40125629A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KR101891614B1 (ko) 휴대 단말기 및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172049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05459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KR102057559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10012357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50015800A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KR101551437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29588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30033182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