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535A - 소변 흡수 물품 - Google Patents

소변 흡수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535A
KR20130007535A KR1020127008987A KR20127008987A KR20130007535A KR 20130007535 A KR20130007535 A KR 20130007535A KR 1020127008987 A KR1020127008987 A KR 1020127008987A KR 20127008987 A KR20127008987 A KR 20127008987A KR 20130007535 A KR20130007535 A KR 20130007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body
opening
edge portion
urine
sid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8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후미 미야케
아키코 타츠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브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브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브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07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5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male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소변 흡수 물품(1)은 실질적인 직사각형 자루 몸체(10)를 갖는다. 자루 몸체(10)는 이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측부 엣지부(16), 및 측부 엣지부(16)에 연결되고 세로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엣지부(15)를 갖는다. 측부 엣지부(16)에서, 가로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10P)는 상부 엣지부(15)를 따라 연속적인 측부 엣지부(16a)에 위치된다. 남성 생식기(P)가 가로 방향을 따라 개구(10P)를 통해 삽입되기에, 바닥부(10c)는 남성 생식기(P) 아래에 위치되는 경향이 있다. 심지어 기저귀, 속옷 등이 착용될 때 이는 바닥부(10c) 근처의 부분이 크게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개구(10P)로부터 소변의 넘침이 효율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Description

소변 흡수 물품{URINE ABSORBING ARTICLE}
본 발명은 남성 생식기로부터 배설된 소변을 흡수하도록 남성 생식기에 부착되는 소변 흡수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기저귀 및 속옷과 같은 외부 용품 내에서 남성 생식기에 부착되고 남성 생식기로부터 배설된 소변을 흡수하는 소변 흡수 물품이 공지되어 왔다. 이러한 소변 수용 패드의 실시예로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4-159724호는 남성 생식기가 통과하여 소변 흡수 물품 안으로 삽입되는 개구를 갖는 주머니 형상(pouched shape)을 갖는 소변 흡수 물품을 개시한다.
도 10은 종래의 소변 수용 패드(100)가 남성 생식기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루 형상의 소변 수용 패드(100)에서, 남성 생식기가 통과하여 삽입되는 개구(101)는 소변 수용 패드(100)의 (바닥부(103)의 반대측에서) 상부 엣지부(102)에 위치된다. 일반적으로, 남성 생식기(P)는 다리들 및 엉덩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소변 수용 패드(100)가 남성 생식기(P)에 부착될 때, 소변 수용 패드(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위치에 고정된다.
만약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이런 상태로 기저귀(104)(또는 속옷)를 착용한다면, 소변 수용 패드(100)의 바닥부(103)는 기저귀(104)와 접촉하도록 이르게 되고 이에 따라 부분적으로 접히며, 이는 소변 수용 패드(100)에서 큰 주름이 소변 수용 패드(100)의 내부 공간을 폐쇄하는 것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남성 생식기로부터 배설된 소변은 개구(101)로부터 넘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된 상황의 관점에서 이루어지고, 본 발명의 목적은 소변 수용 패드의 개구로부터 소변의 넘침을 억제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상기에 설명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 1 양상에 따라, 남성 생식기로부터 배설된 소변을 흡수하도록 남성 생식기에 부착되는 소변 흡수 물품이 제공된다. 소변 흡수 물품은 내부 표면을 형성하는 액체 투과성 상면 시트(top sheet), 외부 표면을 형성하는 액체 불투과성 후면 시트(back sheet), 및 상면 시트와 후면 시트 사이에 개재된 흡수재를 갖는 자루 몸체(bag body)를 포함한다. 자루 몸체는 개구를 가지며 남성 생식기가 개구를 통과하여 자루 몸체 안으로 삽입된다. 자루 몸체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된 측부 엣지부(side edge portion), 및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부 엣지부에 연결된 상부 엣지부(top edge portion)를 포함한다. 개구는 상부 엣지부 측을 향하여 벗어난 위치에서의 측부 엣지부에 위치된다.
제 2 양상에 따라, 제 1 양상에 따른 소변 흡수 물품에서, 제 1 방향은 자루 몸체의 세로 방향이다.
제 3 양상에 따라, 제 1 양상 또는 제 2 양상에 따른 소변 흡수 물품에서, 개구는 측부 엣지부 및 상부 엣지부 모두에 걸쳐 연장되기 위하여 위치되고, 개구 조절부는 상부 엣지부에 위치되며, 개구 조절부는 하나가 다른 하나를 두고 개구를 형성하는 자루 몸체의 대향하는 부분들을 배치하고 이런 상태로 이들을 고정시킴으로써 개구의 개구 크기를 조절한다.
제 4 양상에 따라, 제 1 양상 내지 제 3 양상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소변 흡수 물품에서, 개구가 위치된 측부 엣지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 2 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다.
제 5 양상에 따라, 제 1 양상 내지 제 4 양상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소변 흡수 물품에서, 자루 몸체의 바닥부는 자루 몸체 안으로 접히는 접힘부를 갖는다.
제 6 양상에 따라, 제 5 양상에 따른 소변 흡수 물품에서, 흡수재는 접힘부에 배열된다.
제 7 양상에 따라, 제 1 양상 내지 제 6 양상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소변 흡수 물품에서, 자루 몸체는 자루 몸체를 수축시키기 위하여 자루 몸체를 바이어스하는(bias) 바이어싱부(biasing portion)를 더 포함한다.
제 8 양상에 따라, 제 7 양상에 따른 소변 흡수 물품에서, 바이어싱부는 팽장되는 동안에 자루 몸체 주위에 부착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제 9 양상에 따라, 제 1 양상 내지 제 8 양상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소변 흡수 물품에서, 개구 근처의 부분은 이의 주변과 상이한 색상을 갖는다.
제 1 양상 내지 제 9 양상에 따른 소변 흡수 물품에서, 남성 생식기가 측부 엣지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삽입될 수 있기에, 기저귀, 속옷 등이 착용될 때, 자루 몸체의 바닥부 근처의 부분이 크게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자루 몸체에서 상대적으로 큰 주름의 발생이 억제된다. 이는 자루 몸체의 내부 공간이 폐쇄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개구로부터의 소변의 넘침이 억제될 수 있다.
특히, 제 2 양상에 따른 소변 흡수 물품에서, 소변을 수용하는 큰 공간은 자루 몸체 내의 개구 아래에 보장될 수 있다.
특히, 제 3 양상에 따른 소변 흡수 물품에서, 개구의 개구 크기가 개구 조절부에 의해 조절되고, 이에 의해 남성 생식기가 자루 몸체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더욱이, 자루 몸체가 남성 생식기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기에, 소변 누설의 발생이 감소될 수 있다.
특히, 제 4 양상에 따른 소변 흡수 물품에서, 소변 흡수 물품이 부착될 때, 남성 생식기가 돌출부에 의해 둘러싸이고, 남성 생식기가 자루 몸체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더욱이, 부분적으로 돌출된 특징적인 구조가 형성되기에, 남성 생식기가 삽입된 삽입 개구의 위치는 쉽게 인지가능하다.
특히, 제 5 양상에 따른 소변 흡수 물품에서, 자루 몸체의 크기의 증가가 억제되는 반면에 소변 저장 공간은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자루 몸체의 크기에 대한 소변 수용능력이 향상된다.
특히, 제 6 양상에 따른 소변 흡수 물품에서, 흡수재가 배열된 위치가 확대되기에, 소변 흡수 수용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소변이 배설될 때, 접힘부의 흡수재가 배설된 소변을 흡수하여서, 자루 몸체의 내부 공간이 확대된다. 이는 소변 수용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다.
특히, 제 7 양상에 따른 소변 흡수 물품에서, 자루 몸체는 안쪽으로 당겨지고, 자루 몸체가 주머니 형상으로 팽윤하는 것을 손쉽게 한다. 이는 자루 몸체의 내부 공간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소변 흡수 물품의 소변 흡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제 8 양상에 따른 소변 흡수 물품에서, 자루 몸체는 손쉽게 수축될 수 있다.
특히, 제 9 양상에 따른 소변 흡수 물품에서, 자루 몸체의 개구의 위치는 색상을 기초로 하여 손쉽게 인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런 또는 다른 목적, 특성, 양상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취해질 때 본 발명의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른 소변 수용 패드의 전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Ⅱ-Ⅱ을 따라 취해진 바와 같은 소변 수용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Ⅲ-Ⅲ을 따라 취해진 바와 같은 자루 몸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소변 수용 패드의 전개도이다.
도 5는 소변 수용 패드가 남성 생식기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기저귀가 추가로 부착되는 동안에 남성 생식기에 부착되는 소변 수용 패드를 도시한다.
도 7은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소변 수용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소변 수용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소변 수용 패드의 전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소변 수용 패드의 전체도이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구체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1. 바람직한 구체예>
도 1은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른 소변 수용 패드(1)의 전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Ⅱ-Ⅱ을 따라 취해진 바와 같은 소변 수용 패드(1)의 단면도이다. 소변 수용 패드(1)는 남성 생식기(남근)에 부착되고 남성 생식기로부터 배설되는 소변을 흡수하는 소변 흡수 물품이다. 착용자는 소변 수용 패드(1)를 착용하고, 소변 수용 패드(1)에 걸쳐 기저귀 및 속옷과 같은 외부 용품을 추가로 착용한다. 소변 수용 패드(1)가 착용될 때, 작은 양의 배뇨의 경우에, 기저귀 등의 교체 없이, 소변 수용 패드(1)의 교체만으로 충분하다. 이는 착용자에 대한 경제적인 부담 및 캐어기버에 대한 돌봄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고, 더욱이 친환경적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런 바람직한 구체예의 소변 수용 패드(1)는 상호 간에 라미네이팅된(laminated) 실질적인 직사각형 표면들에 의해 형성된 자루 몸체(10; bag body)를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루 몸체(10)는 이의 내부 표면을 형성하는 상면 시트(11; top sheet), 이의 외부 표면을 형성하는 액체 불투과성 후면 시트(12; back sheet), 및 상면 시트(11)와 후면 시트(12) 사이에 개재된 흡수재(13)를 갖는다.
자루 몸체(10) 내에 배설된 소변은 정상적인 압력 하에서 상면 시트(11)를 투과할 수 있으나, 후면 시트(12)를 투과할 수 없다. 소변은 상면 시트(11)와 후면 시트(12) 사이의 흡수재(13)에 의해 흡수되고 유지된다.
예를 들어, 상면 시트(11)는 친수성 섬유(셀룰로오스, 레이온, 면 등)를 이용한 부직포 직물로 제조된다. 대안적으로, 상면 시트(11)는 이의 표면들이 액체 투과성으로 만드는 계면활성제로 처리된 소수성 섬유(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나일론 등)를 이용한 부직포 직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 시트(12)는 소수성 섬유(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나일론 등)를 이용한 발수성 부직포 직물로 제조된다. 후면 시트(12)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이의 외부에 부착된 고유연성 부직포 직물 및 플라스틱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재(13)는 입상 폴리머 흡수재(granular polymer absorber)로 제조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런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폴리머 흡수재는 (미도시된) 접착제로 후면 시트(12)의 내부 표면에 고정되고, 폴리머 흡수재를 덮는 액체 투과성 보조 시트(14)는 폴리머 흡수재의 내부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폴리머 흡수재는 시트형 방식으로 분포된다.
여기서, 흡수재(13)는 보조 시트(14)의 개재 없이 상면 시트(11)와 후면 시트(12) 사이에 유지될 수 있다. 흡수재(13)는 페이퍼 시트(paper sheet) 예를 들어 티슈 페이퍼(tissue paper) 또는 액체 투과성 부직포 직물 시트로 덮힌 분상 친수성 섬유, 예를 들어, 펄프 섬유 또는 셀룰로오스 섬유의 집합체의 레이어와 입상 폴리머 흡수재를 혼합함으로써 획득된 덩어리(mass)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흡수재(13)의 벌키니스(bulkiness)를 억제하기 위하여, 흡수재(13)는 펄프 없이 폴리머 흡수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루 몸체(10)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엣지부(15; top edge portion), 및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가방 몸체(10)의 일측 엣지를 형성하는 측부 엣지부(16; side edge portion)를 갖는다. 측부 엣지부(16) 상에는, 세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7)가 자루 몸체(10)의 상측부(바닥부(10c)에 대한 반대측에서의 자루 몸체(10)의 부분)의 위치에 형성된다. 자루 몸체(10)의 측부 엣지부(16)는 돌출부(17)의 측부 엣지에 상응하는 측부 엣지부(16a), 및 돌출부(17)를 제외한 측부 엣지부(16)의 부분에 상응하는 측부 엣지부(16b)에 의해 구성된다.
비록 이런 바람직한 구체예에서는, 상부 엣지부(15)의 길이가 측부 엣지부(16)의 길이보다 작더라도, 상부 엣지부(15)의 길이는 측부 엣지부(16)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하지만, 측부 엣지부(16)의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소변을 수용하는 큰 공간이 자루 몸체(10) 내의 개구(10P)의 하부측에서 보장될 수 있고, 더 큰 양의 흡수재(13)가 배열될 수 있다.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slit)이 돌출부(17)의 측부 엣지부(16a)에 형성되어서, 가로 방향으로 개방된 제 1 개구(10Pa)가 형성된다. 또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이 돌출부(17)의 상측부에 형성되어서, 세로 방향으로 개방된 제 2 개구(10Pb)가 형성된다. 상부 엣지부(15)에서의 슬릿 및 측부 엣지부(16)에서의 슬릿은 상호 간에 연결되고, 제 1 개구(10Pa) 및 제 2 개구(10Pb)는 단일 개구(10P)를 형성한다. 개구(10P)를 형성하는 슬릿들은 돌출부(17)를 좌측부 및 우측부, 즉, 측부 표면부(171a) 및 측부 표면부(171b)로 나눈다.
개구(10P)의 존재로 인해, 자루 몸체(10)의 내부 공간은 이의 외부와 연통된다. 남성 생식기(P)는 개구(10P)에서, 측부 엣지부(16)에서의 개구(10Pa)를 통해, 자루 몸체(10) 안으로 삽입된다(도 5 참조). 자루 몸체(10)에서, 제 2 개구(10Pb)가 형성되기에, 개구(10P)가 넓게 개방될 수 있고, 남성 생식기(P)의 삽입을 손쉽게 한다. 더욱이, 자루 몸체(10)가 특징적인 구조를 갖는 돌출부(17)를 갖기에, 착용자 또는 캐어기버는 남성 생식기(P)가 삽입된 위치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루 몸체(10)의 (상부 엣지부(15)에 대한 반대측에서) 바닥부(10c)는 자루 몸체(10) 안으로 접히고, 접힘부(18)를 형성한다. 접힘부(18)는 가방 몸체(10) 안으로 접히는 상면 시트(11), 보조 시트(14), 흡수재(13) 및 후면 시트(12)에 의해 형성된다.
접힘부(18)가 소변 수용 패드(1)에 형성되기에, 가방 몸체(10)의 내부 표면이 큰 표면적을 획득하는 반면에 세로 방향에 대한 가방 몸체(10)의 크기의 증가는 억제된다. 또한, 이러한 접힘부(18)가 형성되기에, 흡수재(13)의 증가된 양은 상면 시트(11)와 후면 시트(12) 사이에 유지될 수 있다.
심지어 배뇨 이전에, 자루 몸체(10)의 바닥부(10c)는 접힘부(18)에 포함된 시트들의 각 부분들의 약간의 탄성 및 벌키니스 때문에 약간 확장되도록 유지된다. 따라서, 또한 자루 몸체(10)의 상측부에서, 내부 표면의 부분들 사이의 접촉이 손쉽게 발생하지 않아서, 더 큰 공간이 자루 몸체(10) 내에 보장될 수 있다.
소변이 자루 몸체(10) 안으로 배설될 때, 흡수재(13)는 소변을 흡수하고 팽윤된다. 이는 접힘부(18)를 펼치고, 이에 따라 자루 몸체(10)의 바닥부(10c)는 더 확장된다. 결국, 훨씬 더 큰 공간이 자루 몸체(10) 내에 보장된다.
소변 수용 패드(1)가 접힘부(18)를 갖기에, 자루 부재(10)는 큰 내부 공간을 획득할 수 있다. 이는 착용자가 소변을 배설할 때, 소변의 흡수되지 않는 부분이 자루 몸체(10)로부터 벗어나 유동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런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접힘부(18)의 접힌 길이는 세로 방향에 대한 자루 몸체(10)의 크기의 절반과 동일하거나 보다 작게 설정된다. 남성 생식기의 전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S)은 접힘부(18)의 상부(181)에 대하여 상부 엣지부(15) 측에서 자루 몸체(10) 내에 보장된다. 이는 착용자의 남성 생식기(P)로부터 배설된 소변이 접힘부(18)의 상부(181)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손쉽게 한다. 따라서, 흡수재(13)의 접힘부는 효율적으로 팽윤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루 몸체(10)의 바닥부(10c)는 양호한 방식으로 확장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돌출부(17)는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 개의 스트링형(string-like) 탄성 부재(19)들을 갖는다. 돌출부(17)에서, 자루 몸체(10)의 외부 표면을 형성하는 후면 시트(12)의 종단부는 개구(10P)의 엣지의 내부측 안으로 접힌다. 탄성 부재(19)들은 후면 시트(12)의 이런 접힘부 내에 위치된다. 다시 말해서, 탄성 부재(19)들은 후면 시트(12)에 의해 개재된 이의 양측부들과 함께 내장된다.
복수 개의 탄성 부재(19)들은, 이들의 본래 길이 이상으로 확장되는 동안에, 접착제 등으로 후면 시트(12)에 부착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탄성 부재(19)들은 개구(10P)를 수축시키는 (즉, 개구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탄성력을 야기한다. 한편, 소변 수용 패드(1)의 착용자 또는 캐어기버는 탄성 부재(19)의 탄성력에 반하여 세로 방향으로 개구(10P)를 손쉽게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19)는 폴리우레탄 방적사(yarn)로 제조될 수 있으나, 다른 재료들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필름 및 천연 고무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개구 시트(20)는 돌출부(17)의 개구(10P)에 부착된다. 개구 시트(20)는 상면 시트(11)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후면 시트(12)의 외부 표면까지 연장되기 위하여 접착제 등으로 부착된다. 개구 시트(20)는 착용자의 피부에 대하여 질감을 부드럽게 하도록 작용하고 피부 자극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개구 시트(20)는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섬유를 이용한 부직포 직물로 제조되나, 부직포 직물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스트링형 탄성 부재(21)들은 세로 방향에 대한 자루 몸체(10)의 중심부 근처에 배열된다. 복수 개의 탄성 부재(21)들은 상면 시트(11)와 보조 시트(14) 사이에 위치된다. 복수 개의 탄성 부재(21)들은, 이의 본래의 길이 이상으로 확장되는 동안에, 접착제를 통해 상면 시트(11) (또는 보조 시트(14))에 부착된다. 복수 개의 탄성 부재(21)들은 가로 방향으로 적어도 흡수재(13)에 걸쳐 확장되기 위하여, 자루 몸체(10)의 모든 측부 표면들의 각각에 위치된다.
도 3은 도 2의 선Ⅲ-Ⅲ을 따라 취해진 바와 같은 자루 몸체(10)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21)들이 배열된 부분 및 이의 이웃하는 부분은 탄성 부재(21)들의 탄성력으로 인해 가로 방향으로 수축된다. 즉, 탄성 부재(21)들은 가로 방향으로 자루 몸체(10)를 수축시키기 위하여 자루 몸체(10)를 바이어스한다(bias). 탄성 부재(21)들이 실질적으로 자루 몸체(10)의 전체 폭에 걸쳐 위치되기에, 도 3의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자루 몸체(10)의 양 종단부들은 자루 몸체(10)의 내부를 향하여 당겨진다. 따라서, 자루 몸체(10)는 자루 몸체(10)의 양측 표면들이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주머니 형상(pouched shape)으로 손쉽게 팽윤된다.
비록 이런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탄성 부재(21)들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기 위하여 위치되더라도, 탄성 부재(21)들은 어떤 방향으로 연장되기 위하여 배열될 수 있다. 탄성 부재(21)들이 어떤 방향으로 연장되기 위하여 위치될 때, 자루 몸체(10)는 이런 방향으로 수축되고, 이에 따라 자루 몸체(10)는 주머니 형상으로 손쉽게 팽윤한다.
탄성 부재(21)들이 흡수재(13)가 배열된 부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흡수재(13)가 배열된 부분이 다른 부분들보다 높은 강성을 갖기에, 탄성 부재(21)들로 인한 자루 몸체(10)의 형상의 손실은 억제될 수 있다.
탄성 부재(21)들은 후면 시트(12)와 흡수재(1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하지만, 흡수재(13)와 보조 시트(14) 사이의 접착력을 약화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 부재(21)들은 후면 시트(12)와 흡수재(13) 사이에서보다 상면 시트(11)와 보조 시트(14) 사이에서의 위치에서 위치된다.
고정 부재(22)(개구 조절부)는 개구(10P)의 엣지 근처에 위치된다. 남성 생식기(P)의 크기에 따라, 고정 부재(22)는 세로 방향에 대한 개구(10P)의 크기를 고정시킨다. 고정 부재(22)는 베이스 시트(221) 및 수 부재(222; male member)를 갖는다. 베이스 시트(221)는 자루 몸체(10)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접착제 등으로 돌출부(17)의 측부 표면부(171a)에 부착된 베이스 종단부를 갖는다. 수 부재(222)는 베이스 시트(221)의 타종단부 근처에 위치된다.
수 부재(222)는 예를 들어, 조임 부재로서 작용하는 후크(hook)를 포함하는 후크-앤드-루프 파스너(hook-and-loop fastener)에 의해 구성된다. 수 부재(222)는 개구 시트(20)의 표면 상의 어떠한 위치에 부착되고, 개구 시트(20)의 표면 상의 어떠한 위치로부터 탈착된다. 후면 시트(12)가 부직포 직물로 제조되는 경우에, 수 부재(222)는 또한 후면 시트(12)의 어떤 위치에 부착되고, 후면 시트(12)의 어떤 위치로부터 탈착된다.
고정 부재(22)는 수 부재(222)가 개구 시트(20)에 부착되도록 반드시 구성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암 부재(female member)(예를 들어, 후크-앤드-루프 파스너의 루프(loop))가 개구(10P) 근처에서 후면 시트(12)의 외부 표면 상의 부분에 위치될 수 있고, 수 부재(222)는 암 부재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 테이프가 수 부재(222)로서 채택될 수 있다.
도 4는 소변 수용 패드(1)의 전개도이다. 소변 수용 패드(1)는 상면 시트(11), 보조 시트(14), 흡수재(13) 및 후면 시트(12)가 언급된 순서로 라미네이팅된(laminated) 실질적인 직사각형 라미네이팅된 몸체(30)로서 형성된다. 여기서, 라미네이팅된 몸체(30)는 돌출부(17)로서 작용하는 부분(도 6의 좌측 엣지에서 상측 엣지부 및 하측 엣지부)이 가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소변 수용 패드(1)를 제조하기 위하여, 우선, 라미네이팅된 몸체(30)는 상면 시트(11)를 내부에 이르게 하고 접힘부(18)를 형성하기 위하여 접힌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시트(12)가 상측으로 대향하는 동안에, 라미네이팅된 몸체(30)는 세로 방향에 대하여 라미네이팅된 몸체(30)의 중심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접힘선(31a)에서, 후측으로 돌출되기 위하여 골 모양으로 접힌다(valley-folded). 또한, 라미네이팅된 몸체(30)는 접힘선(31a)의 반대측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접힘선들(31b, 31c)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기 위하여 산 모양으로 접힌다(mountain-folded).
이런 방식으로 접힌 라미네이팅된 몸체(30)에서, 밀봉 영역(32)은 가열 밀봉(heat seal) 등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밀봉-결합은 돌출부(17)의 측부 엣지부(16a)에 상응하는 부분 및 돌출부(17) 측에서 상부 엣지부(15)의 부분에 상응하는 부분에서 수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개구(10P)는 그 안에 형성된다.
이런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접힘부(18)로서 작용하는 라미네이팅 몸체(30)의 부분이 접히고, 이어서 가열 밀봉에 의해 결합이 수행된다. 이는 접힘부(18)를 형성하는 것을 손쉽게 한다. 접힘부(18)의 양측에서의 부분들은 또한 안쪽으로 접히는 동안에 가열 밀봉에 의해 고정된다. 이는 안쪽으로 접힌 접힘부(18)가 자루 몸체(10)의 외부를 향하여 자연스럽게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소변 수용 패드(1)가 남성 생식기(P)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소변 수용 패드(1)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우선, 착용자 또는 캐어기버는 소변 수용 패드(1)의 개구(10P)를 확장시킨다. 이어서, 남성 생식기(P)가 측부 엣지부(16a) 측에 있는 개구(10P)의 제 1 개구(10Pa)를 통해 삽입된다.
이런 상태로, 착용자 또는 캐어기버는 하나가 다른 하나를 두고, 개구(10P)에 의해 나누어진 돌출부(17)의 좌측부 및 우측부, 즉, 측부 표면부들(171a, 171b)을 덮어씌우고, 이에 의해 자루 몸체(10) 내에 남성 생식기(P)를 저장한다. 이때, 고정 부재(22)를 갖지 않는 측부 표면부(171b)는 고정 부재(22)를 갖는 측부 표면부(171a)와 남성 생식기(P) 사이에 배치된다. 돌출부(17)의 하측 종단과 접촉하는 남성 생식기(P)의 하측부를 만듦으로써, 남성 생식기(P)와 개구(10P) 사이의 갭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고정 부재(22)는, 당겨지는 동안에, 남성 생식기(P)가 통과하여 삽입된 개구(10P) 주위에 감기고, 게다가 고정 부재(22)의 수 부재(222)는 측부 표면부(171b)에 부착된다. 이런 방식으로, 개구(10P)의 크기는 남성 생식기(P)의 크기에 따라 조절되어서, 소변 수용 패드(1)는 남성 생식기(P)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는 배설된 소변이 개구(10P)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이런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개구(10P)가 돌출부(17)에 위치되기에, 고정 부재(22)의 베이스 시트(221)는 남성 생식기(P)의 크기에 따라 돌출부(17) 주위에 감길 수 있어서, 소변 수용 패드(1)는 남성 생식기(P)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하지만, 돌출부(17)는 필수적이지 않고, 생략될 수 있다.
도 6은 기저귀(40)가 추가로 부착되는 동안에 남성 생식기(P)에 부착된 소변 수용 패드(1)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런 바람직한 구체예의 소변 수용 패드(1)에서, 남성 생식기(P)의 삽입 방향은 자루 몸체(10)의 가로 방향이다. 따라서, 소변 수용 패드(1)가 부착될 때, 자루 몸체(10)의 바닥부(10c)는 남성 생식기(P) 아래에 위치되는 경향이 있다. 기저귀(40) 등이 추가로 부착될 때 이는 바닥부(10c) 및 그 주위의 부분이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부(10c)로 연장된 통로는 손쉽게 보장될 수 있고, 이는 효율적으로 남성 생식기(P)로부터 배설된 소변이 개구(10P)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로 방향에 대한 자루 몸체(10)의 길이는 세로 방향에 대한 이의 길이보다 작다. 따라서, 자루 몸체(10)에서 발생하는 주름의 크기는 자루 몸체(10)가 세로 방향으로 접힐 때보다 자루 몸체(10)가 가로 방향으로 접힐 때 더 작다. 따라서, 배설된 소변은 개구(10P)로부터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런 바람직한 구체예의 소변 수용 패드(1)에서, 개구(10P)는 측부 엣지부(16a)에 위치된다. 이에 의해, 자루 몸체(10)가 소변의 무게의 영향 때문에 하측으로 당겨질 때, 자루 몸체(10)의 내부의 상측부는 남성 생식기(P)에 걸리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개구가 상부 엣지부에 위치된 종래의 소변 수용 패드(100)와 비교해 볼 때, 자루 몸체(10)는 남성 생식기(P)로부터 거의 탈착되지 않는다.
<2. 변형된 실시예>
비록 바람직한 구체예가 상기에 설명되어 왔더라도,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된 바람직한 구체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에서는, 상기에 설명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와 같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들은 공통의 참조 번호들에 의해 표시되고, 이의 설명은 적절하게, 생략된다.
예를 들어, 비록 상기에 설명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흡수재(13)가 실질적으로 상면 시트(11)와 후면 시트(12) 사이의 공간 전체에 개재되더라도, 흡수재(13)가 상면 시트(11)와 후면 시트(12) 사이에 개재되지 않는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하지만, 배뇨 시에 자루 몸체(10)의 바닥부를 확장시키는 효과를 획득하기 위하여, 흡수재(13)가 적어도 접힘부(18)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에 설명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하나의 접힘부(18)는 자루 몸체(10)의 바닥부에 위치된다. 하지만, 복수 개의 접힘부들이 자루 몸체(10)의 바닥부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소변 수용 패드(1A)에서와 같이, 2 개의 접힘부(18)들은 자루 몸체(10)의 바닥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런 구성은 자루 몸체(10)의 내부 표면의 표면적을 더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상면 시트(11)와 후면 시트(12) 사이에 개재된 흡수재(13)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더욱이, 더 큰 공간이 자루 몸체(10) 내에서 보장될 수 있다.
상기에 설명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면 시트(11), 보조 시트(14), 흡수재(13) 및 후면 시트(12)는 접힘부(18)에서 자루 몸체(10) 안으로 접힌다. 하지만, 이런 시트들의 모두가 접히는 것이 항상 필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소변 수용 패드(1)에서와 같이, 상면 시트(11), 보조 시트(14) 및 흡수재(13)만이 자루 몸체(10) 안으로 접힐 수 있다. 이런 구성에서도, 자루 몸체(10)의 내부 표면의 표면적 및 흡수재(13)의 양이 증가될 수 있고, 더욱이 자루 몸체(10)의 바닥부는 약간 확장되도록 유지될 수 있어서, 공간이 자루 몸체(10) 내에서 보장될 수 있다. 하지만, 배뇨 시에 자루 몸체(10)의 바닥부를 확장시키기 위하여, 후면 시트(12)를 포함하는 모든 시트들이 자루 몸체(10) 안으로 접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에 설명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돌출부(17)는 자루 몸체(10)의 측부 엣지부(16)의 부분에 위치된다. 하지만, 이런 돌출부(17)는 필수적으로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부 엣지부(16)는 선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 1 개구(10Pa)는 선형 형상을 갖는 측부 엣지부(16)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 설명된 바람직한 구체예의 자루 몸체(10)에서, 상부 엣지부(15)가 개구(10P) 측에 대하여 반대측에서 측부 엣지부와 교차하는 코너부는 기저귀 등과 접촉함으로써 접힐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소변 수용 패드(1C)에서와 같이, 기저귀(40)와 접촉할 수 있는 코너부는 미리 절단될 수 있다. 이는 자루 몸체(10)의 접힘을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저귀(40) 등 내에서 소변 수용 패드(1)의 벌키니스를 억제할 수 있다. 코너부는 만곡된 형상 또는 선형 형상으로 절단될 수 있고, 어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에 설명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라미네이팅된 몸체(30)는 접힘부(18)를 형성하도록 접히고, 이어서 가열 밀봉에 의해 결합이 수행된다. 하지만, 라미네이팅된 몸체(30)가 절반으로 접히고 양측 엣지(16)들 및 상부 엣지부(15)가 밀봉되며, 이어서 자루 몸체(10)의 바닥부(10c)가 접힘부(18)를 형성하도록 자루 몸체(10) 안으로 접히는 것이 허용가능할 수 있다.
상기에 설명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돌출부(17)가 위치되기에, 착용자 또는 캐어기버는 남성 생식기(P)가 통과하여 삽입된 개구(10P)의 위치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개구(10P)의 위치를 인지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개구의 위치가 가시적으로 인지되도록 허용하는 표시 수단은 자루 몸체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10P) 근처의 부분이 이의 주변과 상이한 색상으로 채색될 수 있거나, 개구가 화살표 등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상기에 설명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직사각형 라미네이팅된 몸체(30)가 접히고 이의 양측 엣지들이 밀봉되며, 이에 의해 자루 몸체(10)를 형성한다. 하지만, 자루 몸체(10)가 단일 라미네이팅된 몸체(30)로서 반드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루 몸체(10)는 복수 개의 라미네이팅된 몸체들을 상호 간에 결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세하게 설명되어 온 반면에, 앞서 말한 설명은 모든 양상들에서 예시적이고 한정적이지 않다. 따라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창안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Claims (9)

  1. 남성 생식기로부터 배설된 소변을 흡수하도록 남성 생식기에 부착되는 소변 흡수 물품에 있어서,
    내부 표면을 형성하는 액체 투과성 상면 시트, 외부 표면을 형성하는 액체 불투과성 후면 시트, 및 상기 상면 시트와 상기 후면 시트 사이에 개재된 흡수재를 갖는 자루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자루 몸체는 개구를 가지며(상기 남성 생식기는 상기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자루 몸체 안으로 삽입된다),
    상기 자루 몸체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된 측부 엣지부; 및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측부 엣지부에 연결된 상부 엣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상부 엣지부 측을 향하여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측부 엣지부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흡수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자루 몸체의 세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흡수 물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가 상기 상부 엣지부 및 상기 측부 엣지부의 모두에 걸쳐 연장되기 위하여 위치되고,
    개구 조절부는 상기 상부 엣지부에 위치되며, 상기 개구 조절부는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상기 자루 몸체의 대향하는 부분들을 덮어씌우고 이런 상태로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개구의 개구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흡수 물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가 위치된 상기 측부 엣지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흡수 물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 몸체의 바닥부는 상기 자루 몸체 안으로 접히는 접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흡수 물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는 상기 접힘부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흡수 물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 몸체는 상기 자루 몸체를 수축시키기 위하여 상기 자루 몸체를 바이어스하는 바이어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흡수 물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부는 확장되는 동안에 상기 자루 몸체 주위에 부착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흡수 물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근처의 부분은 주변과 상이한 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흡수 물품.
KR1020127008987A 2009-11-27 2010-11-22 소변 흡수 물품 KR201300075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70167 2009-11-27
JP2009270167A JP5438479B2 (ja) 2009-11-27 2009-11-27 尿吸収物品
PCT/JP2010/006824 WO2011064979A1 (en) 2009-11-27 2010-11-22 Urine absorbing art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535A true KR20130007535A (ko) 2013-01-18

Family

ID=43556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8987A KR20130007535A (ko) 2009-11-27 2010-11-22 소변 흡수 물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20197228A1 (ko)
EP (1) EP2503975A1 (ko)
JP (1) JP5438479B2 (ko)
KR (1) KR20130007535A (ko)
CN (1) CN102639090A (ko)
AU (1) AU2010324044A1 (ko)
CA (1) CA2776033A1 (ko)
TW (1) TW201117786A (ko)
WO (1) WO201106497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827Y1 (ko) * 2017-11-24 2018-07-04 김순걸 소변 흡수용 팩
WO2022261521A1 (en) * 2021-06-12 2022-12-15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Urine collection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such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32137A (ja) * 2012-10-01 2015-11-09 マックエアレイズ フリースシュトフェ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McAirlaid’s VliesstoffeGmbH サニタリーバッグ
US10993858B2 (en) 2014-07-14 2021-05-04 Ez Male Pads, Incorporated Urine absorbent pad
US10588793B2 (en) 2014-07-14 2020-03-17 Ez Male Pads, Incorporated Urine absorbent pad
USD827815S1 (en) 2015-03-30 2018-09-04 Lorna Mateo Lumaque-Steeman Male urinary pad
USD810931S1 (en) 2015-03-30 2018-02-20 Ez Male Pads, Incorporated Urine absorbent pad
CN108524105A (zh) * 2018-04-28 2018-09-14 许东升 一种男士尿不湿
JP6869560B2 (ja) * 2019-09-11 2021-05-12 株式会社アイ企画 吸水性パッド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3593A (en) * 1963-12-03 1966-05-31 Macbick Company Urinary drainage system and parts thereof
US3403410A (en) * 1966-06-01 1968-10-01 Automatic Sprinkler Corp Disposable urine container
SE421858B (sv) * 1980-06-11 1982-02-08 Brendling Lennart I Anordning for att utvidga tversnittet hos en elastisk urindroppsamlare
US4453938A (en) * 1981-03-12 1984-06-12 Landstingens Inkopscentral, Lic, Ekonomisk Forening Urine collecting incontinence guard
US4387726A (en) * 1981-06-18 1983-06-14 Ruthie Denard Disposable urine collection device for human males
US4886509A (en) * 1985-12-20 1989-12-12 Lars Mattsson Device for collecting and absorbing urine
US4863448A (en) * 1988-01-11 1989-09-05 Skip Berg Post urination drip collector
US4997427A (en) * 1989-11-03 1991-03-05 Bowen Thomas M External male urinary catheter
US5065459A (en) * 1990-05-03 1991-11-19 Surja Tjahaja Disposable portable urinal
US5235705A (en) * 1991-08-19 1993-08-17 Brice Belisle Pocket portable urinal
US5318549A (en) * 1992-06-22 1994-06-07 Yang Chung Rong Disposable urine bag
US5797890A (en) * 1996-02-06 1998-08-25 Goulter Medical Corporation Support devices for retaining a male urinary incontinence condom catheter onto a penis
JP3492055B2 (ja) * 1995-11-30 2004-02-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男性用尿とり袋
JP3500269B2 (ja) * 1997-02-28 2004-02-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男性用吸尿パッド
US6209142B1 (en) * 1997-12-19 2001-04-03 Sorbinco Maskin Ab Male incontinence pouch
JP3877451B2 (ja) * 1998-10-30 2007-02-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尿取りパッド
JP3993978B2 (ja) * 1999-11-19 2007-10-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男性用尿取り袋
US6336919B1 (en) * 2000-08-03 2002-01-08 Paul Davis Absorbent penis shield
US20020193762A1 (en) * 2001-06-18 2002-12-19 Suydam Kristen V. Disposable urinal system
US6565545B1 (en) * 2001-08-31 2003-05-20 Adolphe Joseph Frenche Male incontinence device
US20040000503A1 (en) * 2002-06-28 2004-01-01 Shah Ketan N. Recloseable storage bag with porous evacuation portal
JP2004159724A (ja) 2002-11-11 2004-06-10 Koyo:Kk 男性用尿吸収器具
US6922852B1 (en) * 2003-09-16 2005-08-02 Alvin S. Blum Disposable female urinal
US7926489B2 (en) * 2004-05-07 2011-04-19 Gt Urological, Llc Penile compression device
TWI491388B (zh) * 2009-10-09 2015-07-11 Kevin Yang Carrying bag
US8187238B1 (en) * 2010-09-23 2012-05-29 Dupree Charles B Male incontinence gar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827Y1 (ko) * 2017-11-24 2018-07-04 김순걸 소변 흡수용 팩
WO2022261521A1 (en) * 2021-06-12 2022-12-15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Urine collection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such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10264A (ja) 2011-06-09
CN102639090A (zh) 2012-08-15
CA2776033A1 (en) 2011-06-03
US20120197228A1 (en) 2012-08-02
WO2011064979A1 (en) 2011-06-03
TW201117786A (en) 2011-06-01
JP5438479B2 (ja) 2014-03-12
AU2010324044A1 (en) 2012-04-26
EP2503975A1 (en) 2012-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7535A (ko) 소변 흡수 물품
JP4996508B2 (ja) 吸収性物品
JP5566594B2 (ja) 吸収性物品
JP5117249B2 (ja) インナー吸収性物品
CN101909561A (zh) 一次性尿布
JP5964146B2 (ja) 吸収性物品
JP2014068848A (ja) 使い捨ておむつ
JP5836329B2 (ja) 吸収性物品
CN101584627B (zh) 吸收性物品
JP2008228980A (ja) 吸収性物品
JP5237229B2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包装体
KR20100139032A (ko) 일회용의 팬츠형 기저귀
JP5243079B2 (ja) インナー吸収性物品
JP2008125562A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EA017778B1 (ru)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JP2010220835A (ja) 男性用軽失禁パッド
JP2010017308A (ja) 伸縮シート、吸収性物品および伸縮シートの製造方法
JP5175702B2 (ja) 使い捨ておむつ
WO2019131285A1 (ja) 吸収性物品
JP2011041678A (ja) 尿吸収物品
JP6531686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13230395A (ja) 尿吸収物品
JP5337557B2 (ja) 吸収性物品
JP5530713B2 (ja) 尿吸収物品
JP2023172526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