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647U - 자유변형 가구 - Google Patents

자유변형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647U
KR20130006647U KR2020120003862U KR20120003862U KR20130006647U KR 20130006647 U KR20130006647 U KR 20130006647U KR 2020120003862 U KR2020120003862 U KR 2020120003862U KR 20120003862 U KR20120003862 U KR 20120003862U KR 20130006647 U KR20130006647 U KR 201300066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hooks
furniture
cushion
f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8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지웅
Original Assignee
허그디자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그디자인(주) filed Critical 허그디자인(주)
Priority to KR20201200038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6647U/ko
Publication of KR201300066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64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자유변형 가구는 등받이와 쿠션부가 일체로 구성되며, 내부에 탄성부재 파티클이 충전되어 있는 몸체; 상기 등받이 부분에 형성된 한 쌍의 제 1 연결고리; 상기 쿠션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제 2 연결고리; 및 양 끝단이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고리에 후킹되는 제 1 및 제 2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후크 사이에 길이조절부가 마련되는 각도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유변형 가구{A Free-form furniture}
본 고안은 형태를 자유롭게 변형시킬 수 있는 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의자나 쇼파로 사용하거나, 간이 침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자유변형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앉거나 눕는 용도로 사용하는 가구는 용도에 따라 거실용 쇼파, 간이 의자, 침대 등과 같이 나누어진다. 이와 같은 용도별 가구의 경우에는 한번 설치하면 위치를 바꾸기 어려우며, 한정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일반 가구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자유변형 가구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한국 등록실용 제20-0426952호에서는, 사용자가 취하는 자세에 따라 외형을 변형하여 사용자가 장시간 동안 불편 없이 편안하고 안락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자유변형 대쿠션에 대한 기술이 공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자유변형 쿠션은 외피와, 상기 외피 내부에 삽입되는 내피 및 상기 내피 내부에 채워지는 충전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전체적인 몸체의 외형은 상부 꼭짓점이 일측으로 편향된 삼각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꼭짓점이 편향된 측의 외피 모서리와, 상기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는 몸체의 양 측면의 외피에는 몸체의 외형을 변형시켜 전체적인 몸체의 형상 및 몸체 내부의 부피를 변화시키기 위한 외형변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자유변형 쿠션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몸에 밀착된 상태로 그 형상이 마련되므로,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가 눕는 용도가 아닌 의자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도, 사용자의 자세가 흐트러지면 쿠션의 형태 변형에 따라 의자가 아닌 침대가 되어 버리기도 하는 등, 사용자가 원하는 용도에 맞추어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 제20-0426952호(2006.9.13. 등록)
본 고안은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자유변형 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자유변형 가구는 등받이와 쿠션부가 일체로 구성되며, 내부에 탄성부재 파티클이 충전되어 있는 몸체; 상기 등받이 부분에 형성된 한 쌍의 제 1 연결고리; 상기 쿠션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제 2 연결고리; 및 양 끝단이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고리에 후킹되는 제 1 및 제 2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후크 사이에 길이조절부가 마련되는 각도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고리는, 금속재질의 환형으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상기 몸체는, 피혁 또는 페브릭 재질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각도조절 유닛에 의해 제 1 및 제 2 연결고리가 후킹 될 경우, 네 모서리 부분이 둥글게 말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등받이와 쿠션부분에 개별적으로 마련되는 안감 속에 탄성부재 파티클이 충진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에 따른 자유변형 가구는 각도조절 유닛을 구비하므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자유변형 가구의 등받이 부분의 각도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의자로 사용할 때, 사용자의 자세가 흐트러지더라도, 자유변형 가구는 등받이의 각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어 사용 편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침대 등으로 사용할 경우, 각도조절 유닛의 후크를 제거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등받이와 쿠션 부분이 180도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유변형 가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평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유변형 가구를 침대로 사용하기 위해 각도조절 유닛을 해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유변형 가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유변형 가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평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유변형 가구를 침대로 사용하기 위해 각도조절 유닛을 해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유변형 가구는 일체로 형성된 몸체(10)가 자유변형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몸체(10)의 양 측면에는 제 1 및 제 2 연결고리(21)(22)가 각각 한 쌍씩 마련될 수 있다.
몸체(10)는 대략 사각형상의 피혁 또는 페브릭 재질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외피의 내부에 파쇄된 스티로폴 또는 스펀지 등과 같은 탄성부재 파티클이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진되는 재질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충진된 탄성부재 파티클이 상기 몸체(10)의 바깥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별도의 안감부재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몸체(10)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과 등이 지지될 수 있는 등받이(11)와, 사용자가 앉게 되는 쿠션부(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11)와 쿠션부(12) 부분은 쉽게 접힐 수 있도록 재봉선 등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등받이(11) 부분과 쿠션부(12) 부분에 충진되는 탄성부재 파티클을 개별적인 안감을 이용하여 수용하여, 자연스럽게 등받이(11) 부분과 쿠션부(12) 부분이 접힐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및 제 2 연결고리(21)(22)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몸체(10)의 네 귀퉁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 1 연결고리(21) 한 쌍은 상기 등받이(11)의 좌우측에 배치되고, 제 2 연결고리(22) 한 쌍은 상기 쿠션부(12)의 좌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는 완전히 펼쳐졌을 때, 사각형상이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고리(21)(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네 모서리 끝부분에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므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후술할 각도조절 유닛(30)으로 연결되었을 경우, 상기 모서리 부분이 둥글게 말리면서, 가구의 전체적인 형상이 둥글게 되도록 형태가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 등받이(11)와 쿠션부(12)의 각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 유닛(30)을 가지는 것에 있다.
각도조절 유닛(30)은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고리(21)(22)에 제 1 후크(31)와 제 2 후크(32)가 각각 후킹 결합되며, 중간 부분에 길이조절부(33)가 마련되어, 각도조절 유닛(30)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후크(31)(32)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손쉽게 후크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한 고리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후크(31)(32)에 사용 가능한 후크의 형태는 시중에 유동되는 고리 형상의 후크는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길이조절부(33)는 멜빵 길이 조절에 사용되는 클립 등을 이용할 수도 있고, 허리띠 등에 사용하는 버클 형태 등을 마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각도조절 유닛(30)은 등받이(11)와 쿠션부(12)의 각도 고정을 위해 사용자의 체중 이상의 힘을 이용 중에 받게 되므로, 최대한 인장 강도가 강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가죽소재나, 폴리에스터 직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몸체(10)의 재질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자유변형 가구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의자로 사용할 경우, 본 고안에 의한 자유변형 가구는 몸체(10)의 좌우측 모서리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연결고리(21)(22)에 각도조절 유닛(30)을 걸어, 상기 길이조절부(33)를 이용하여 각도조절 유닛(30)의 길이를 줄여, 등받이(11)와 쿠션부(12)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가 되도록 조절한다. 즉, 상기 각도조절 유닛(30)의 길이를 최대한 짧게 하면, 등받이(11)와 쿠션부(12)이 이루는 각도가 90도에 근접하도록 조절되어, 사용자의 자세가 바뀌더라도, 가구는 의자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등받이(11)와 쿠션부(12)의 각도가 90도에 가까워지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충전된 탄성부재 파티클들이, 상기 몸체(10)의 내부에서 뭉치면서, 등받이(11)와 쿠션부(12) 부분을 불룩하게 형성하므로, 앉았을 경우, 사용자의 다리 부분이 위로 올려 지면서,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가 자유변형 가구를 침대 또는 보료와 같은 침구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 1 또는 제 2 후크(31)(32) 중 어느 하나의 연결을 해제하는 동작만으로, 간단하게 몸체(10)를 평평하게 펼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몸체 11; 등받이
12; 쿠션 21; 제 1 연결고리
22; 제 2 연결고리 30; 각도조절 유닛
31; 제 1 후크 32; 제 2 후크
33; 길이조절부

Claims (5)

  1. 등받이와 쿠션부가 일체로 구성되며, 내부에 탄성부재 파티클이 충전되어 있는 몸체;
    상기 등받이 부분에 형성된 한 쌍의 제 1 연결고리;
    상기 쿠션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제 2 연결고리; 및
    양 끝단이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고리에 후킹되는 제 1 및 제 2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후크 사이에 길이조절부가 마련되는 각도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자유변형 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고리는,
    금속재질의 환형으로 마련되는 자유변형 가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피혁 또는 페브릭 재질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자유변형 가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각도조절 유닛에 의해 제 1 및 제 2 연결고리가 후킹 될 경우, 네 모서리 부분이 둥글게 말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변형 가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등받이와 쿠션부분에 개별적으로 마련되는 안감 속에 탄성부재 파티클이 충진되는 자유변형 가구.
KR2020120003862U 2012-05-10 2012-05-10 자유변형 가구 KR2013000664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862U KR20130006647U (ko) 2012-05-10 2012-05-10 자유변형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862U KR20130006647U (ko) 2012-05-10 2012-05-10 자유변형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647U true KR20130006647U (ko) 2013-11-20

Family

ID=52434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862U KR20130006647U (ko) 2012-05-10 2012-05-10 자유변형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664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4172A (ko) * 2021-02-08 2022-08-17 김용호 분할형 쿠션
KR20230026779A (ko) * 2021-08-18 2023-02-27 김용호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4172A (ko) * 2021-02-08 2022-08-17 김용호 분할형 쿠션
KR20230026779A (ko) * 2021-08-18 2023-02-27 김용호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6088B1 (ko) 절첩식 의자
AU2010239770B2 (en) A baby carrier
US10085575B2 (en) Folding two section pillow comprised of horseshoe and contour pillows
US7178864B2 (en) Foldable chair having a detachable fabric sheet
EP2417877A2 (en) Beanbag sofa with a built-in headrest
JP3149141U (ja) 汎用クッション
US20160375809A1 (en) Bodily Support Assembly
KR20130006647U (ko) 자유변형 가구
KR102200425B1 (ko) 자립형 등받이 쿠션
JP3221368U (ja) 骨盤クッション
JP6270084B1 (ja) 人間工学に基づいたスペース調整可能なクッション
CN207707635U (zh) 一种护腰靠垫以及保健座椅
JP3168968U (ja) ビーズクッション
KR200476071Y1 (ko) 접이식 매트리스
JP3221369U (ja) クッション
JP3184319U (ja) 座布団
AU2015100056A4 (en) A lumbar cushion having gas bags with fixed air pressure
JP3163626U (ja) 座布団
JP2007229371A (ja) 椅子本体及び椅子カバー
JP3206992U (ja) 乳児固定具
RU2664333C1 (ru) Гамак-качалка
CN209489743U (zh) 座椅
KR100975979B1 (ko) 가변 방석
WO2019216363A1 (ja) 乳児用ベッド
CN208658379U (zh) 变形沙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