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425B1 - 자립형 등받이 쿠션 - Google Patents

자립형 등받이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425B1
KR102200425B1 KR1020190138349A KR20190138349A KR102200425B1 KR 102200425 B1 KR102200425 B1 KR 102200425B1 KR 1020190138349 A KR1020190138349 A KR 1020190138349A KR 20190138349 A KR20190138349 A KR 20190138349A KR 102200425 B1 KR102200425 B1 KR 102200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cushion
cushion
present
sides
side e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호천
Original Assignee
배호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호천 filed Critical 배호천
Priority to KR1020190138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4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4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with projections, depressions or cavities
    • A47C27/14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with projections, depressions or cavities inside the mattress or cush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0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 A47C31/11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for chair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등을 편안하게 기댈 수 있도록 한 등받이 쿠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부와 수직부 및 경사부로 된 직각 삼각형 구조의 쿠션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부는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는 배면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는 전면에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측면상 직각 삼각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넓은 면적의 수평 바닥면에 의해 장소에 구애없이 항상 일정한 형태로 위치하게 되는 것이고, 수직의 배면에 의해 벽체나 소파 등받이체 및 침대 헤드 등에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기대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것이며, 상부에 비해 하부가 넓은 경사진 전면으로 인해 몸을 젖혀 기대는 사용자의 요추 부분이나 옆구리 부분을 효율적으로 받쳐주므로 더욱 편안하고 안락한 사용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립형 등받이 쿠션 {Back Cushion}
본 발명은 사용자가 등을 편안하게 기댈 수 있도록 한 등받이 쿠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부와 수직부 및 경사부로 된 직각 삼각 형태로 된 등받이 쿠션을 제공함에 따라 등받이 쿠션 자체의 자립 특성으로 인해 쿠션이 쓰러지거나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등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동시에 더욱 편안하고 안락한 상태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자립형 등받이 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받이 쿠션은 가장 보편적으로는 소파 위에 올려져 있어 사용자가 소파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본래 소파의 등받이체에 비하여 더욱 향상된 안락함과 편안함을 얻고자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등받이 쿠션은 상기와 같은 소파 이외에도 벽이나 침대에 앉아 등을 기대고자 하는 경우에도 사용되는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바닥에서 누워 베개 대용 혹은 비스듬한 자세를 취하는 경우에도 종종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등받이 쿠션은 통상적으로 정사각 혹은 직사각 모양으로 된 백 형태의 쿠션커버 내에 다양한 종류의 속쿠션을 삽입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의 쿠션커버는 천연 혹은 인조 가죽이나 직물 등이 주로 사용되고, 상기 속쿠션은 직물로 된 주머니 내부에 천연 솜이나 인조 솜 혹은 스펀지나 마이크로 화이버, 알갱이 형태의 폴리에스테르 등의 충전재를 가득 채워 만들어지는 것이다.
특히,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기존의 등받이 쿠션이 갖는 단조로움을 탈피하고자 다양한 형태의 기능성 등받이 쿠션이 안출되고 있는 추세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348410호와 같이 쿠션의 일면에 사진이나 인쇄물 등 다양한 시트체를 교체하여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한 시트체 수납수단을 형성시켜 다양한 용도로의 활용이 가능하여 다 기능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다 기능성 쿠션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07621호와 같이 고가의 안마 전용의자와는 달리 휴대할 수 있고 값이 싼 소형 제품이면서 자동차 의자나 사무실 의자, 소파 등의 등받이에 기대어 놓고 사용하는 등받이용 진동 쿠션의 구조를 개선하여 진동작동에 의한 마사지 효과에 의해서 인체의 피로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솜이나 스펀지 등의 탄성재로 된 심재를 외피의 내부에 넣어서 방석형의 등받이용 쿠션을 형성함에 있어서, 외피 전면의 등받이면에 영구자석으로 된 다수의 지압돌기를 종횡으로 배열 부착하여 인체의 등이나 허리부에 접촉되게 하고, 심재의 중앙에는 건전지를 이용하는 공지의 진동기를 내장하여 쿠션 전체에 진동이 발생 될 수 있게 구성한 등받이용 진동 쿠션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개선된 등받이 쿠션을 포함한 종래의 모든 등받이 쿠션은 납작한 사각 형태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소파 위에 올려놓거나 바닥에 내려놓는 경우 쓰러지거나 불필요하게 기울어지는 등 사용상의 불편함이 매우 큰 것이다.
즉, 기존의 등받이 쿠션은 납작한 형태의 전,후 사용면과 좁은 형태로 된 사방의 측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형태의 등받이 쿠션을 소파에 올려놓게 되면 불가피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놓아야 하는 것이고 기울어진 상태의 등받이 쿠션은 사용자의 체중이 가해지게 되면 사용자의 등을 온전하게 지지하지 못하고 구겨지거나 구부러지면서 효율적인 지지와 받침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등받이 쿠션은 침대 헤드에 비스듬하게 세워놓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체중이 작용하면 구부러지게 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요추 부분에 대하여 효율적인 하중 지지가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사용자가 자꾸 눕는 형태로 자세를 바꾸게 되므로 결국 올바르지 못한 자세를 유도하는 동시에 장시간 편안하고 안락한 상태로의 사용이 어려워지게 된다.
특히, 기존의 등받이 쿠션을 바닥 및 벽체를 이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세워진 형태로의 자립이 불가능하므로 쿠션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납작한 상태로 눕혀지므로 매번 이를 세워 등에 받쳐 사용하거나 벽에 비스듬하게 기대어 놓고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손을 사용하여 수직 형태로 바로잡아 사용하게 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348410 (2004.04.09.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407621 (2006.01.25.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수평부와 수직부 및 경사부로 된 직각 삼각형 구조의 쿠션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부는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는 배면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는 전면에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직각 삼각형 구조로 된 쿠션은 자립이 가능하여 소파 혹은 침대 위나 바닥에 항상 일정한 형태로 위치하게 되는 것이고, 상부에 비하여 하부가 넓은 형상으로 인해 사용자가 몸을 젖히는 경우 사용자의 요추 부분을 효과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한 특징의 자립형 등받이 쿠션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피의 내부에 충전재를 갖는 내피가 삽입되는 등받이 쿠션(C)에 있어서, 상기의 등받이 쿠션(C)은 수평면부(C1)와 수직면부(C2) 및 경사면부(C3)와 삼각면부(C4)로 된 측면상 직각 삼각형 형태로 구성하되,
상기 수평면부(C1)는 등받이 쿠션(C)의 바닥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면부(C2)는 등받이 쿠션(C)의 배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부(C3)는 등받이 쿠션(C)의 전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삼각면부(C4)는 등받이 쿠션(C)의 양측면으로 각각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측면상 직각 삼각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넓은 면적의 수평 바닥면에 의해 장소에 구애없이 항상 일정한 형태로 위치하게 되는 것이고, 수직의 배면에 의해 벽체나 소파 등받이체 및 침대 헤드 등에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기대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것이며, 상부에 비해 하부가 넓은 경사진 전면으로 인해 몸을 젖혀 기대는 사용자의 요추 부분이나 옆구리 부분을 효율적으로 받쳐주므로 더욱 편안하고 안락한 사용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쿠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쿠션의 측면 전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쿠션의 측면 전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쿠션의 사용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쿠션의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쿠션의 또 다른 실시예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쿠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쿠션의 측면 전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쿠션의 측면 전체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쿠션은 합성수지 혹은 피혁으로 된 외피(10)에 내,외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 파스너(11)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11)에 의해 개방된 외피(10)의 내측으로는 별도 구비의 내피(20)를 삽입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밀봉 상태인 상기의 내피(20) 내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충전재(21)가 삽입되는 것이다.
즉, 상기의 충전재(21)는 천연 솜이나 인조 솜 혹은 스펀지나 마이크로 화이버, 알갱이 형태의 폴리에스테르 등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용자가 몸을 기대어 편안하고 안락한 상태로의 쿠션감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등받이 쿠션(C)에 있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등받이 쿠션(C)을 측면상 직각 삼각형 형태로 구성한 것으로, 쿠션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수평면부(C1)와 등받이 쿠션(C)의 배면을 형성하는 수직면부(C2) 및 등받이 쿠션(C)의 전면을 형성하는 경사면부(C3)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등받이 쿠션(C)의 양측에는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된 삼각면부(C4)가 각기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등받이 쿠션(C)을 소파 혹은 침대나 바닥 등에 내려놓게 되면 평평한 상태의 수평면부(C1)로 인해 스스로 세워진 상태를 연출하게 되는 것이고, 수직면부(C2)는 소파 등받이체 혹은 침대 헤드 혹은 실내 벽체에 면접되어 본 발명의 등받이 쿠션(C)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것이고, 경사진 형태로 된 전면의 경사면부(C3)는 사용자가 몸을 눕히거나 기대는 경우 사용자의 등에 자연스럽게 밀착되면서 등받이 쿠션(C)의 밀림없이 온전하게 체중을 받쳐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등받이 쿠션(C)으로부터 몸을 일으키는 경우에도 압축되어 있던 등받이 쿠션(C)의 전면에 해당하는 경사면부(C3) 만이 내부의 충전재(21)로 인해 형태 복원되면서 등받이 쿠션(C)의 이동이나 기울어짐 혹은 쓰러짐이 거의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등받이 쿠션(C)을 반복적으로 연속 사용하더라도 늘 일정한 위치에서 체중을 안락하게 받쳐줄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등받이 쿠션(C)은 삼각면부(C4)에 해당하는 외피(10)의 측면에는 일측 혹은 양측에 위치하는 수납포켓부(12)를 더 형성함에 따라 리모컨이나 휴대폰 등 다양한 물품을 간편하게 집어넣어 보관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의 수납포켓부(12)를 이용하여 각기 분리된 형태의 등받이 쿠션(C)을 클립이나 집게 등에 의해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어, 본 발명의 등받이 쿠션(C)은 내부에 별도의 무게판(30)(30')을 삽입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등받이 쿠션(C)이 더욱 안정적인 자립 상태를 연출할 수 있는 것으로, 도 5의 도시와 같이 외피(10) 중 수평면부(C1)의 내면 양측에는 상호 대향의 삽입포켓(12)(12')을 형성하고, 이들 상호 대향의 삽입포켓(12)(12')을 이용하여 바 형태로 된 무게판(30)(30')의 양 끝단을 삽입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무게판(30)(30')은 등받이 쿠션(C)의 가장 낮은 지점에 위치하여 무게판(30)(30')이 갖는 자중에 의해 상기 등받이 쿠션(C)이 쓰러지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의 도시와 같이 내피(20)의 양측면에 전,후 개방 형태의 끼움부(22)(22')를 덧댐 재봉에 의해 형성하고, 이들 양측의 끼움부(22)(22')를 이용하여 별도 구비의 탄력보형대(40)를 삽입한 상태에서 이들을 외피(10) 내부에 삽입하여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탄력보형대(40)는 양측에 직선 형태로 된 측면단부(42)(42')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측면단부(42)(42')의 사이에는 오목한 형태의 곡면홈부(41)가 형성하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측면단부(42)(42')를 내피(20)의 끼움부(22)(22')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의 탄력보형대(40)는 내피(20)의 전면 중간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탄력보형대(40) 중 측면단부(42)(42')의 끝단에는 평면상 "U"자 형태로 된 걸림부(43)를 각기 형성하여 상기 걸림부(43)를 포함한 측면단부(42)(42')가 내피(20)의 끼움부(22)(22')로 삽입하여 상기의 걸림부(43)가 끼움부(22)(22')로 관통 삽입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의 측면단부(42)(42')를 되빠짐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의 걸림부(43)로 끼움부(22)(22')가 걸려 상호 결합되면서 싱기 탄력보형대(40)에 대한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내피(20)의 전면에 탄력보형대(40)가 결합된 상태로 이들을 외피(10)의 내부에 삽입한 후 슬라이드 파스너(11)를 닫아 완성된 등받이 쿠션(C)은 사용자가 등받이 쿠션(C)의 전면에 해당하는 경사면부(C3)에 등을 기대어 몸을 젖히게 되면 사용자의 체중으로 인해 상기 내피(40)의 압축과 동시에 탄력보형대(40)의 곡면홈부(41)에 대한 휨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력보형대(40)의 휨 작용에 의한 탄력보형대(40)의 양단부는 사용자의 옆구리 부분을 가볍게 압박하는 형태로 작용하게 되므로 흡사 버킷 시트와 같이 사용자의 등 부분 전체를 감싸 안으며 편안함과 안락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곡면홈부(41)에 의해 사용자의 등 전체를 부드럽게 지지해주는 동시에 곡면홈부(41)의 중앙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휨이 적은 탄력보형대(40)의 양측 끝단은 사용자의 옆구리 부분을 가볍게 압박하여 안락한 사용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탄력보형대(40)는 부드러운 합성수지 혹은 실리콘이나 고무 등에 의해 만들어져 이물감을 최소화시키고, 탄력보형대(40) 자체가 갖고 있는 형상 유지력은 등받이 쿠션(C)의 전체 형상 및 모양을 장기간 유지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는 것으로 결국 등받이 쿠션(C)의 본래 목적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동시에 그 사용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C : 등받이 쿠션 C1 : 수평면부
C2: 수직면부 C3 : 경사면부
C4 : 삼각면부
10 : 외피 11 : 슬라이드 파스너
12 : 수납포켓부
20 : 내피 21 : 충전재
22,22' : 끼움부
30 : 무게판
40 : 탄력보형대 41 : 곡면홈부
42,42' : 측면단부 43 : 걸림부

Claims (6)

  1. 외피(10)의 내부에 충전재(21)를 갖는 내피(20)가 삽입되는 등받이 쿠션(C)을 형성하되, 상기의 등받이 쿠션(C)은 수평면부(C1)와 수직면부(C2) 및 경사면부(C3)와 삼각면부(C4)로 된 측면상 직각 삼각형 형태로 구성하며, 상기 수평면부(C1)는 등받이 쿠션(C)의 바닥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면부(C2)는 등받이 쿠션(C)의 배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부(C3)는 등받이 쿠션(C)의 전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삼각면부(C4)는 등받이 쿠션(C)의 양측면으로 각기 형성되도록 구성한 자립형 등받이 쿠션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쿠션(C)의 수평부(C1)에 해당하는 외피(10)의 내면 양측에는 전,후 대향의 삽입포켓(12)(12')을 재봉 형성하여, 상호 대향의 삽입포켓(12)(12')으로 별도 구비의 무게판(30)(30') 양 끝단이 각기 삽입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등받이 쿠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20)의 양측에는 전,후 개방의 끼움부(22)(22')를 개봉 형성하고, 상기 끼움부(22)(22')를 이용하여 내피(20)의 전면에는 별도 구비의 탄력보형대(4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탄력보형대(40)는 양측에 직선의 측면단부(42)(42')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22)(22')에 측면단부(42)(42')의 끝단이 각기 삽입되고 탄력보형대(40)의 중간부에는 오목한 곡면홈부(41)가 형성되어, 측면단부(42)(42')에 의한 등받이 쿠션(C)의 측부 형상 유지와 곡면홈부(41)에 의한 등받이 쿠션(C)의 탄력 쿠션감이 가일층 향상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등받이 쿠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단부(42)(42')의 끝단에는 평면상 "U"자 형태로 절곡된 걸림부(43)를 형성하여 상기 끼움부(22)(22')에 삽입된 측면단부(42)(42')가 상기 걸림부(43)에 의해 되빠지지 않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등받이 쿠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38349A 2019-11-01 2019-11-01 자립형 등받이 쿠션 KR102200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349A KR102200425B1 (ko) 2019-11-01 2019-11-01 자립형 등받이 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349A KR102200425B1 (ko) 2019-11-01 2019-11-01 자립형 등받이 쿠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425B1 true KR102200425B1 (ko) 2021-01-08

Family

ID=74127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349A KR102200425B1 (ko) 2019-11-01 2019-11-01 자립형 등받이 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4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4172A (ko) * 2021-02-08 2022-08-17 김용호 분할형 쿠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146Y1 (ko) * 2002-07-26 2002-12-18 표형덕 팔걸이가 있는 쿠션
KR200348410Y1 (ko) 2004-01-19 2004-04-28 김용진 다 기능성 쿠션
KR200407621Y1 (ko) 2005-10-31 2006-02-02 권영철 등받이용 진동 쿠션
CN202168626U (zh) * 2011-02-28 2012-03-21 毛桂勇 一种沙发的靠背与坐垫的相互支撑结构
JP2013036245A (ja) * 2011-08-09 2013-02-21 Sekisui House Ltd 床段差部を利用した背もたれ構造
KR20160083743A (ko) * 2015-01-02 2016-07-12 (주)인터피플 형상유지용 가이드 패드가 구비된 빈백 소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146Y1 (ko) * 2002-07-26 2002-12-18 표형덕 팔걸이가 있는 쿠션
KR200348410Y1 (ko) 2004-01-19 2004-04-28 김용진 다 기능성 쿠션
KR200407621Y1 (ko) 2005-10-31 2006-02-02 권영철 등받이용 진동 쿠션
CN202168626U (zh) * 2011-02-28 2012-03-21 毛桂勇 一种沙发的靠背与坐垫的相互支撑结构
JP2013036245A (ja) * 2011-08-09 2013-02-21 Sekisui House Ltd 床段差部を利用した背もたれ構造
KR20160083743A (ko) * 2015-01-02 2016-07-12 (주)인터피플 형상유지용 가이드 패드가 구비된 빈백 소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4172A (ko) * 2021-02-08 2022-08-17 김용호 분할형 쿠션
KR102508646B1 (ko) * 2021-02-08 2023-03-09 김용호 분할형 쿠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5177B2 (ja) 姿勢保持具
US20110233979A1 (en) Chair with separate and interconnecting type lumbar and thoracic supports
KR102200425B1 (ko) 자립형 등받이 쿠션
KR101053553B1 (ko) 의자용 좌판
KR102138836B1 (ko) 좌판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
KR100772167B1 (ko)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
KR102508646B1 (ko) 분할형 쿠션
KR200453289Y1 (ko) 의자
KR101022764B1 (ko) 의자
CN110638241A (zh) 一种舒适型座椅
KR101071058B1 (ko) 의자의 접철식 서포터 장치
CN213405488U (zh) 一种双腰靠的办公椅
KR102073647B1 (ko) 의자용 좌판쿠션
CN218419087U (zh) 一种多功能床椅
JP2001037594A (ja) 座面クッション
CN221450272U (zh) 一种记忆绵护椎腰靠
CN221555080U (zh) 一种沙发躺椅减震结构
JP3157889U (ja) クッション
JP3241681U (ja) 背当てクッション
KR102597324B1 (ko) 척추교정이 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되는 좌대로 이루어진 의자.
KR101674488B1 (ko) 짐볼형 허리 쿠션
CN221997400U (zh) 一种立式天鹅椅
CN220631596U (zh) 一种摇摆折叠靠垫
CN209694609U (zh) 一种多功能透气舒适椅
CN221616623U (zh) 一种单人懒人沙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