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670A - 모서리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모서리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670A
KR20130005670A KR1020110067217A KR20110067217A KR20130005670A KR 20130005670 A KR20130005670 A KR 20130005670A KR 1020110067217 A KR1020110067217 A KR 1020110067217A KR 20110067217 A KR20110067217 A KR 20110067217A KR 20130005670 A KR20130005670 A KR 20130005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ocessed
edge
moving
sand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정철
Original Assignee
구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정철 filed Critical 구정철
Priority to KR1020110067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670A/ko
Publication of KR20130005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6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04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plane surfaces
    • B24B21/12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plane surfaces involving a contact wheel or roller pressing the belt against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서리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포밴드의 전체면적을 연삭에 활용하도록 하고 연삭과정에서 사포밴드의 찢어짐 현상을 최소화 함에 따라 사포밴드의 잦은 교체에 의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코팅층의 모서리가 라운드 형태로 연삭되도록 함에 따라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와 연동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에 걸쳐져 있고 가공대상 프레임의 직선이동방향과 직교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연마면이 상기 가공대상 프레임의 모서리에 접촉되는 사포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모서리 가공장치{APPARATUS FOR CHAMFER}
본 발명은 목조프레임의 제작과정에서 사포를 이용해 해당 프레임의 모서리를 연삭 가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포의 낭비 및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고 기존에 비해 목조프레임 모서리의 가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ㅎ나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조제품의 생산과정에서 각 목조프레임 중 외부로 노출되는 면 상에는 UV코팅액을 도포시켜 표면 광택을 높이는 과정을 실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표면광택작업 시 UV코팅액은 각 모서리를 덮어 코팅이 형성될 필요가 없는 면까지 침범하게 되는데, 이때 UV코팅층 중 프레임 모서리를 덮고 있는 부분, 즉 코팅층의 모서리부분은 코팅액 재질 상 날카로운 상태가 된다.
따라사 이러한 코팅공정 이후에 프레임 모서리 상의 코팅층을 연삭처리 하는 모서리 가공공정을 실시한다.
모서리 가공공정에 사용되는 종래의 가공장치는 사포밴드가 구동롤러에 의해 일정궤도를 이루며 회전하고 별도의 가압판이 사포밴드의 특정지점을 외부로 밀어내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그 작동과정은 도면과 같이 UV코팅과정을 거친 목조프레임이 직선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압판이 사포밴드의 특정지점을 밀어냄에 따라 사포밴드가 UV코팅층의 모서리에 접촉되면서 연삭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 장치는 도면과 같이 사포밴드의 이동방향이 목조프레임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이동되기 때문에, 사포밴드와 UV코팅층의 모서리 간에는 사포밴드의 길이방향의 중간지점에서 선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사포밴드의 연마면 중 실질적으로 연마에 사용되는 부분은 중간지점에 직선라인 형태로만 형성되고 그 외 나머지 구간은 전혀 연마에 활용되지 못한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코팅층 모서리가 날카롭기 때문에 이렇게 선접촉이 이루어질 경우 사포밴드 중 접촉라인이 쉽게 찢어져, 결국 사포밴드 전체를 교체해야 한다.
즉 기존에는 사포밴드의 면적 대부분이 연삭기능을 하지 못하고 쉽게 찢어지기 때문에 사포밴드의 낭비가 심할 수밖에 없다.
또한 가압판에 의해 코팅층 모서리가 라운드 형태가 아닌 일반적인 모따기 형태로 연삭되기 때문에 제품성이 저하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사포밴드의 전체면적을 연삭에 활용하도록 하고 연삭과정에서 사포밴드의 찢어짐 현상을 최소화 함에 따라 사포밴드의 잦은 교체에 의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모서리 가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코팅층의 모서리가 라운드 형태로 연삭되도록 함에 따라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서리 가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와 연동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에 걸쳐져 있고 가공대상 프레임의 직선이동방향과 직교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연마면이 상기 가공대상 프레임의 모서리에 접촉되는 사포밴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구동모터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동롤러 및 상기 사포밴드를 통해 상기 구동롤러와 연결되어 있는 종동롤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종동롤러는 상기 가공대상 프레임의 모서리를 사이에 두고 상하 양측에 위치하고 있는 제1, 2종동롤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공대상 프레임의 모서리가 상기 사포밴드 중 상기 제1, 2종동롤러 사이에 위치하는 지점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고정본체 및 상기 고정본체에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 및 롤러부가 설치되어 있는 이동본체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이동본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본체를 전후 이동시키는 본체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포밴드는 상기 이동본체의 이동과정에서 상기 가공대상 프레임의 모서리와 분리 및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공대상 프레임의 직선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가공대상 프레임의 이동 과정에서 접촉되는 위치감지센서, 상기 위치감지센서 및 상기 본체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공대상 프레임과 상기 위치감지센서가 접촉하였을 때 본체이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본체이동부는 상기 가공대상 프레임이 상기 위치감지센서와 접촉되었을 때 상기 사포밴드가 상기 가공대상 프레임의 모서리에 접촉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본체에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제2이동본체, 상기 제2이동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제2구동모터, 상기 제2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있는 제2구동롤러 및 제2종동롤러, 상기 제2종동롤러와 상기 제2구동롤러에 동시에 결쳐져 상기 가공대상 프레임의 이동방향과 직교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연마면이 상기 가공대상 프레임의 모서리와 접촉되는 제2사포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포밴드와 상기 제2사포밴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가공대상 프레임의 하측 모서리와 접촉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가공대상 프레임의 상측 모서리와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사포밴드가 가공대상 프레임의 이동방향과 직교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가공대상 프레임의 모서리와 접촉되기 때문에 사포밴드의 찢어짐이 방지됨과 동시에 연마면 전체가 연마에 활용되는 장점이 있어 사포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가공대상 프레임의 모서리가 사포밴드 중 제1, 2종동롤러 사이에 위치하는 지점에 접촉되기 때문에 사포밴드가 가공대상 프레임의 모서리를 감싸는 형태로 접촉됨으로 해당 모서리가 라운드 형태로 연마됨에 따라 가공품질이 향상되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제2사포밴드가 별도로 구비됨에 따라 가공대상 프레임의 상하 모서리가 단계별로 순차적으로 가공되므로 가공불량율을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1은 제1가공부를 부각시킨 전체 측면 개략도
도2는 제2가공부를 부각시키킨 전체 측면 개략도
도3은 전체 평면 개략도
도4는 가공대상 프레임이 제1가공부에 의해 가공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개략도
도5는 가공대상 프레임이 제1가공부에 의해 가공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개략도
도6은 제1사포밴드가 가공대상 프레임 모서리에 접촉된 상태를 나나탠 일부확대 단면도
도7은 가공대상 프레임이 제2가공부에 의해 가공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개략도
도8은 가공대상 프레임이 제2가공부에 의해 가공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 개략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래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 모서리 가공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1가공부(1)와 제2가공부(2)로 나뉘어 구성된다.
먼저 제1가공부(1)는 이송컨베이어(C)를 따라 직선이동되는 가공대상 프레임(F)의 하측 모서리 가공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고정본체(3)와 제1이동본체(100), 제1본체이동부(200), 제1구동부(300), 제1사포밴드(350) 및 제1위치감지센서(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고정본체(3)는 제1가공부(1)와 제2가공부(2) 전체의 뼈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철재 프레임구조로 이루어지고 테이블이나 지면 상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참고로 고정본체(3)의 형상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2이동본체(100)(200) 및 전체 구성요소의 설치가 가능한 구조라면 얼마든지 변형제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고정본체(3)의 일측부에는 제1본체이동부(200)가 설치되는데, 제1본체이동부(200)는 후술하는 제1이동본체(100)의 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 형태이고 고정본체(3) 상에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제1이동본체(100)는 후술하는 제1구동부(300) 및 제1사포밴드(350)의 설치기능 및 가공대상 프레임(F)의 위치에 따라 제1사포밴드(35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재 구조의 제1설치판재(110)와 제1조절판재(120) 및 제1설치판재(110)와 제1본체이동부(200)를 연결하는 제1연결판재(130)로 구성된다.
이때 제1조절판재(120)와 제1설치판재(110)는 상호 분리된 상태에서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후술하는 제1장력조절실린더(310)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제1설치판재(110)는 제1연결판재(130)를 통해 제1본체이동부(200)와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1이동본체(100) 전체는 제1본체이동부(200)의 작동에 따라 전후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게 된다.
이때 제1설치판재(110)의 후단부는 가공대상 프레임의 하측모서리와 비슷한 높이에 위치하고 제1설치판재(110)의 전단부 및 제1조절판재(120)는 그보다 아래 지점에 위치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전단부가 아래를 향해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제1이동본체(100)에는 제1구동부(300)가 설치된다.
제1구동부(300)는 후술하는 제1사포밴드(350)의 구동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제1장력조절실린더(310)와 제1구동모터(320), 제1구동롤러(330), 제1종동롤러(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제1장력조절실린더(310)는 후술하는 제1사포밴드(350)의 장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래귤레이터 방식의 실린더 구조이고 제1설치판재(1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실린더로드가 제1조절판재(120)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조절판재(120)는 제1장력조절실린더(310)의 작동에 따라 전후 이동되어 제1설치판재(110)와의 간격이 조절된다.
그리고 제1구동모터(320)는 제1구동부(300)의 실질적인 구동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D.C모터 또는 A.C모터가 사용되며 제1조절판재(120)에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제1구동롤러(330)의 일단부가 제1구동모터(320)의 모터축과 연결되는데 이때 제1구동롤러(330)의 길이방향은 제1설치판재(110)의 길이방향과 직교 상태로 설치되고, 결국 가공대상 프레임의 직선이동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로 회전된다.
또한 제1종동롤러(340)는 제1구동롤러(330)와 수평 상태로 제1설치판재(110)의 후단부에 설치되는데, 제1상하 종동롤러(342)(343)로 나뉘어 구성된다.
이때 제1상하 종동롤러(342)(343)는 상호 상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추후 가공과정에서 가공대상 프레임(F)의 하측 모서리가 제1상하 종동롤러(342)(343)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설치된 제1구동롤러(330) 및 제1종동롤러(340)에는 제1사포밴드(350)가 연결된다.
제1사포밴드(350)는 가공대상 프레임 하부 모서리의 실질적인 연삭기능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고리 형태를 띠며 일측은 제1구동롤러(330)에 걸쳐지고 타 단부는 제1상하 종동롤러(342)(343)를 동시에 감싸는 형태로 걸쳐져 일정괘도를 띠고 회전된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제1구동롤러(330)와 제1종동롤러(340)의 설치구조에 따라 제1사포밴드(350)의 회전방향은 가공대상 프레임(F)의 직선이동방향과 직교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렇게 제1사포밴드(350)까지 설치된 상태에서 제1종동롤러(340)의 일측에는 제1위치감지센서(400)가 설치된다.
제1위치감지센서(400)는 가공대상 프레임이 적정위치에 왔을 때 이를 감지하여 제1이동본체(100)를 이동시켜 제1사포밴드(350)가 연삭지점으로 이동시키는 신호전달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위치감지센서(400)는 일반적인 리미트 스위치 구조이고 가공대상 프레임(F)의 이동경로 상에 설치되어 가공대상 프레임(F)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1위치감지센서(400)는 별도의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고 제어부는 다시 제1본체이동부(200)와 연결되어 제1위치감지센서(400)의 신호에 의해 제1본체이동부(200)가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제1가공부(1)와 더불어 구비되는 제2가공부(2)는 가공대상 프레임(F)의 상부모서리 연삭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제1가공부(1)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고정본체(3)를 사이에 두고 제1가공부(1)와 대칭 지점에 위치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가공부(2)는 [도 2] 내지 [도 4]처럼 제2이동본체(1000), 제2본체이동부(200), 제2구동부(3000), 제2사포밴드(3500) 및 제2위치감지센서(40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본체이동부(200)는 후술하는 제2이동본체(1000)의 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본체이동부(200)처럼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 형태이고 고정본체(3) 일측에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제2이동본체(1000)는 제1이동본체(100)와 동일기능, 즉 후술하는 제2구동부(3000) 및 제2사포밴드(3500)의 설치기능 및 가공대상 프레임(F)의 위치에 따라 제2사포밴드(350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재 구조의 제2설치판재(1100)와 제2조절판재(1200) 및 제2설치판재(1100)와 제2본체이동부(200)를 연결하는 제2연결판재(1300)로 구성된다.
이때 제2조절판재(1200)와 제2설치판재(1100)는 상호 분리된 상태에서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후술하는 제2장력조절실린더(310)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제2설치판재(1100)는 제2연결판재(1300)를 통해 제2본체이동부(200)와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2이동본체(1000) 전체는 제2본체이동부(200)의 작동에 따라 전후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게 된다.
이때 제2설치판재(1100)의 후단부는 가공대상 프레임의 상측모서리와 비슷한 높이에 위치하고 제2설치판재(1100)의 전단부 및 제2조절판재(1200)는 그보다 위쪽 지점에 위치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전단부가 위쪽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제2이동본체(1000)에는 제2구동부(3000)가 설치된다.
제2구동부(3000)는 후술하는 제2사포밴드(3500)의 구동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제2장력조절실린더(310)와 제2구동모터(3200), 제2구동롤러(3300), 제2종동롤러(3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제2장력조절실린더(310)는 후술하는 제2사포밴드(3500)의 장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장력조절실린더(310)처럼 일반적인 래귤레이터 방식의 실린더 구조이고 제2설치판재(11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실린더로드가 제2조절판재(1200)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조절판재(1200)는 제2장력조절실린더(310)의 작동에 따라 전후 이동되어 제2설치판재(1100)와의 간격이 조절된다.
그리고 제2구동모터(3200)는 제2구동부(3000)의 실질적인 구동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D.C모터 또는 A.C모터가 사용되며 제2조절판재(1200)에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제2구동롤러(3300)의 일단부가 제2구동모터(3200)의 모터축과 연결되는데 이때 제2구동롤러(3300)의 길이방향은 제2설치판재(1100)의 길이방향과 직교 상태로 설치되고, 결국 가공대상 프레임의 직선이동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로 회전된다.
또한 제2종동롤러(3400)는 제2구동롤러(3300)와 수평 상태로 제2설치판재(1100)의 후단부에 설치되는데, 제2상하 종동롤러(3420)(3430)로 나뉘어 구성된다.
이때 제2상하 종동롤러(3420)(3430)는 상호 상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추후 가공과정에서 가공대상 프레임(F)의 하측 모서리가 제2상하 종동롤러(3420)(343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설치된 제2구동롤러(3300) 및 제2종동롤러(3400)에는 제2사포밴드(3500)가 연결된다.
제2사포밴드(3500)는 가공대상 프레임 하부 모서리의 실질적인 연삭기능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고리 형태를 띠며 일측은 제2구동롤러(3300)에 걸쳐지고 타 단부는 제2상하 종동롤러(3420)(3430)를 동시에 감싸는 형태로 걸쳐져 일정괘도를 띠고 회전된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제2구동롤러(3300)와 제2종동롤러(3400)의 설치구조에 따라 제2사포밴드(3500)의 회전방향은 가공대상 프레임(F)의 직선이동방향과 직교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렇게 제2사포밴드(3500)까지 설치된 상태에서 제2종동롤러(3400)의 일측에는 제2위치감지센서(4000)가 설치된다.
제2위치감지센서(4000)는 가공대상 프레임이 제1가공부(1)를 통과한 후 적정위치에 왔을 때 이를 감지하여 제2이동본체(1000)를 이동시켜 제2사포밴드(3500)가 연삭지점으로 이동시키는 신호전달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위치감지센서(4000)는 일반적인 리미트 스위치 구조이고 가공대상 프레임(F)의 이동경로 상에 설치되어 가공대상 프레임(F)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2위치감지센서(4000)도 제어부와 연결되고 제어부는 다시 제2본체이동부(200)와 연결되어 제2위치감지센서(4000)의 신호에 의해 제2본체이동부(200)가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이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이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 및 [도 5]처럼 가공대상 프레임(F)이 이송컨베이어(C)를 타고 직선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위치감지센서(400)와 접촉되면 제1본체이동부(200)의 작동에 의해 [도 6] 및 [도 7]처럼 제1이동본체(100) 전체와 제1구동부(300)도 함께 앞쪽으로 이동하여 제1사포밴드(350)가 가공대상 프레임(F)의 하부 모서리와 접촉된다.
이때 가공대상 프레임(F)의 하부모서리는 [도 6]처럼 제1상하 종동롤러(342)(343) 사이에 위치하고 이 상태에서 제1사포밴드(350)와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가공대상 프레임(F)은 계속 직선이동되고 RM 과정에서 제1사포밴드(350)가 회전하면서 해당 모서리를 연삭한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1사포밴드(350)는 회전방향이 가공대상 프레임(F)의 직선이동방향과 직교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결국 제1사포밴드(350)의 연마면 중 좌우폭 전체가 가공대상 프레임(F)의 하부모서리와 접촉되므로, 기존과 달리 제1사포밴드(350)의 활용면적이 최대화 된다.
그리고 제1사포밴드(350)의 회전방향과 가공대상 프레임(F)의 이동방향이 직교방향이기 때문에 기존과 달리 프레임 모서리에 의해 제1사포밴드(350)의 접촉지점이 찢어지는 등의 현상이 최소화 된다.
즉 사포밴드의 전체면적을 연삭에 활용함과 동시에 사포밴드의 찢어짐 현상이 최소화 됨에 따라 기존에 비해 사포밴드의 교환주기가 훨씬 늘어나 경제적인 효과를 얻게 된다.
그리고 [도 6]처럼 가공대상 프레임(F)의 모서리가 제1상하 종동롤러(342)(343) 사이에 위치함에 따라 도면과 같이 제1사포밴드(350)가 해당 모서리를 감싸는 형태로 연삭이 이루지기 때문에 기존과 달리 모서리가 라운드 형태로 가공되어 기존에 비해 가공품질이 향상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하부 모서리의 가공이 완료된 가공대상 프레임(F)은 계속 직선이동하면서 [도 7] 및 [도 8]처럼 제2위치감지센서(4000)와 접촉되면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원리로 제2이동본체(1000)와 제2사포밴드(3500)가 이동하여 가공대상 프레임(F)의 상측 모서리를 가공하게 된다.
이때에도 상측 모서리는 [도 6]에 도시된 구조에 의해 라운드 형태로 가공이 이루어진다.
참고적으로 제1가공부와 제2가공부의 설치위치는 반대가 될 수도 있는데, 즉 제2가공부(2)에 의해 가공대상 프레임(F)의 상측모서리가 먼저 가공되고 그 후 하측모서리가 가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더 나아가 제1가공부(1)와 제2가공부(2)중 어는 하나를 생략하고 가공대상 프레임(F)의 상측 또는 하측 모서리를 가공한 후 뒤집은 상태에서 다시 반대쪽 모서리를 가공하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은 사포밴드의 회전방향과 가공대상 프레임의 이동방향이 직교방향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사포밴드의 수명을 연장하고 해당 모서리의 가공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및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될 경우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 제1가공부 100 : 제1이동본체
110 : 제1설치판재 120 : 제1조절판재
130 : 제1연결판재 200 : 제1본체이동부
300 : 제1구동부 310 : 제1장력조절실린더
320 : 제1구동모터 330 : 제1구동롤러
340 : 제1종동롤러 350 : 제1사포밴드
400 : 제1위치감지센서

Claims (5)

  1.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와 연동되는 롤러,
    상기 롤러에 걸쳐져 있고 가공대상 프레임의 직선이동방향과 직교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연마면이 상기 가공대상 프레임의 모서리에 접촉되는 사포밴드
    를 포함하는 모서리 가공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롤러는,
    상기 구동모터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동롤러 및 상기 사포밴드를 통해 상기 구동롤러와 연결되어 있는 종동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종동롤러는 상기 가공대상 프레임의 모서리를 사이에 두고 상하 양측에 위치하고 있는 제1, 2상하종동롤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공대상 프레임의 모서리가 상기 사포밴드 중 상기 제1, 2상하종동롤러 사이에 위치하는 지점과 접촉되는
    모서리 가공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본체는,
    고정설치되어 있는 고정본체 및 상기 고정본체에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 및 롤러부가 설치되어 있는 이동본체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본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본체를 전후 이동시키는 본체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포밴드는 상기 이동본체의 이동과정에서 상기 가공대상 프레임의 모서리와 분리 및 접촉이 이루어지는
    모서리 가공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가공대상 프레임의 직선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가공대상 프레임의 이동 과정에서 접촉되는 위치감지센서,
    상기 위치감지센서 및 상기 본체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공대상 프레임과 상기 위치감지센서가 접촉하였을 때 본체이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이동부는 상기 가공대상 프레임이 상기 위치감지센서와 접촉되었을 때 상기 사포밴드가 상기 가공대상 프레임의 모서리에 접촉되도록 작동되는
    모서리 가공장치.
  5. 제3항에서,
    상기 고정본체에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제2이동본체,
    상기 제2이동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제2구동모터,
    상기 제2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있는 제2구동롤러 및 제2종동롤러,
    상기 제2종동롤러와 상기 제2구동롤러에 동시에 결쳐져 상기 가공대상 프레임의 이동방향과 직교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연마면이 상기 가공대상 프레임의 모서리와 접촉되는 제2사포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포밴드와 상기 제2사포밴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가공대상 프레임의 하측 모서리와 접촉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가공대상 프레임의 상측 모서리와 접촉되는
    모서리 가공장치.





KR1020110067217A 2011-07-07 2011-07-07 모서리 가공장치 KR201300056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217A KR20130005670A (ko) 2011-07-07 2011-07-07 모서리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217A KR20130005670A (ko) 2011-07-07 2011-07-07 모서리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670A true KR20130005670A (ko) 2013-01-16

Family

ID=47836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217A KR20130005670A (ko) 2011-07-07 2011-07-07 모서리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6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5795A (zh) * 2019-11-20 2020-01-17 宁波希澈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桌板表面打磨倒圆角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5795A (zh) * 2019-11-20 2020-01-17 宁波希澈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桌板表面打磨倒圆角机
CN110695795B (zh) * 2019-11-20 2020-09-01 南京溧水高新创业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桌板表面打磨倒圆角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23100B (zh) 对头焊缝自动修磨装置
US10821569B2 (en) Continuous compression wire spring polishing apparatus configured to easily replace two parallel and opposite grindstones
CN103692311A (zh) 全自动卧式玻璃直线四边磨边机及其磨边加工方法
CN214292595U (zh) 一种装有砂纸磨头的钢板砂光机
EP1963065B1 (en) Machine for optimized cutting of slabs in stone or lithoid material
CN103707153B (zh) 玻璃磨边机及其磨边加工方法
CN1309208A (zh) 打磨钢轨用的装置
KR20130005670A (ko) 모서리 가공장치
CN101104246A (zh) 磨边机
KR101570837B1 (ko) 소재 자동 연마장치
US8784158B2 (en) Continuous grinding machine
CN208684060U (zh) 板材封边供料装置
US10919795B2 (en) Glass plate bend-breaking machine
KR102007573B1 (ko) 베젤프레임 연마장치
CN201089101Y (zh) 磨边机
CN102152205B (zh) 磨片机
KR200464338Y1 (ko) 보도블럭 가공장치
US3134206A (en) Coated abrasive belt machine
JP5502385B2 (ja) 両頭平面研削方法および装置
CN103833205B (zh) 一种用于超薄平板玻璃横切的移动托板装置
KR20140148159A (ko) 석재 자동 측면 연마기
KR101228714B1 (ko) 강판이물 제거장치
JPH08118217A (ja) 石材端部の研磨装置
CN203696657U (zh) 侧压紧机构及玻璃磨边机
JP2695379B2 (ja) 研削機械における研削部制御方法及び研削部移動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