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371A - 밀겨 추출물을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밀겨 추출물을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371A
KR20130005371A KR1020110066713A KR20110066713A KR20130005371A KR 20130005371 A KR20130005371 A KR 20130005371A KR 1020110066713 A KR1020110066713 A KR 1020110066713A KR 20110066713 A KR20110066713 A KR 20110066713A KR 20130005371 A KR20130005371 A KR 20130005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wheat bran
hangover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수
오좌섭
안은경
고혜진
백승호
Original Assignee
이해수
오좌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수, 오좌섭 filed Critical 이해수
Priority to KR1020110066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371A/ko
Publication of KR20130005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실험에서 혈중 알콜 농도와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낮추는 것으로 확인된 밀겨 추출물을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밀겨 추출물을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Removing HangoverUsing an Extract of Wheat Bran}
본 발명은 밀겨 추출물을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숙취 현상이란, 간 세포에 축적된 알콜(에틸알콜) 및/또는 아세트알데히드의 독성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콜 및/또는 아세트알데히드의 독성이 장시간 계속되면서 신진대사 등에 장애를 일으켜서 전신 권태, 피로감, 복부 팽만감, 구토 등의 증상을 일으키게 된다.
알콜 대사과정을 보면, 체내로 유입된 알콜이 위장 또는 소장에서 흡수되어 혈관 속에 들어가 간장으로 옮겨지며, 간세포에서 알콜 탈수소화 효소(ADH(alcohol dehydrogenase), 알콜 분해 효소)에 의해 알콜이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되고, 이 아세트알데히드는 간세포에 있는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화 효소(ALDH(acetaldehyde dehydrogenase), 알데히드 분해 효소)에 의해 초산으로 분해되어 최종적으로는 탄산가스와 물로 분해되게 된다
한편 알데히드 분해 효소에는 아세트알데히드가 저농도이더라도 산화를 개시하는 Ⅱ형과 아세트알데히드가 고농도로 되지 않으면 작용을 하지 않은 Ⅰ형이 있으나, 동양인은 일반적으로 Ⅱ형 알데히드 분해 효소가 결핍 또는 부족하기 때문에 아세트알데히드의 산화가 느리고 따라서 산화되지 아니한 아세트알데히드 및 알콜의 독성에 의하여 정상적인 신진대사가 방해받아 여러 숙취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숙취 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403721호, 대한민국 특허 제976241호 등과 같이 천연 추출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제조한 조성물이 다수 제안되어 있다.
본 발명도 천연 추출물인 밀겨 추출물을 이용하여 숙취 현상를 해소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밀겨 추출물을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밀겨 추출물을 실험동물에 경구 투여한 후 40% 알콜을 투여하고 알콜 투여 1시간, 3시간 및 5시간 경과 후 혈중 알콜 농도와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측정하였을 때, 증류수 경구 투여군인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뚜렷하게 혈중 알콜 농도와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가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밀겨 추출물의 이러한 혈중 알콜 농도와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낮추는 효과는 알콜 투여 3시간 및 5시간 경과 후에 있어서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여명808((주)그래미)보다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밀겨 추출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밀겨"는 제분 과정에서 얻어지는 부산물, 즉 밀의 도정 과정에서 밀가루를 빼내고 남은 부산물을 말한다. 이러한 부산물은 통상 밀가루가 되는 배유를 제외하고 주로 종피와 배아로 구성되게 되며 소량이 배유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밀겨의 의미에는 제분 과정의 부산물을 가공하여 얻어진 그것의 파생물, 특히 제분 과정의 부산물인 밀겨를 가공하여 얻어지는 말분(wheat red dog, 末粉) 등도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밀겨 추출물"은 추출 방법을 불문하고 추출 대상인 밀겨를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포화노말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조추출물과 그 조추출물에서 상기 열거된 용매로 분획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추출 방법을 불문하므로, 추출 대상인 밀겨를 추출 용매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통하여 추출되는 한, 추출 방법은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등 임의의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에서 분획하여 얻어진 추출물은 고형상의 밀겨 추출물이 현탁된 두 가지의 혼합 용매를 일정 시간 정치시켜 얻어지는 분획물과, 고형상의 밀겨 추출물을 특정 용매에 현탁한 후 여러 다른 용매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얻어진 분획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밀겨 추출물을 숙취 해소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99.900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숙취가 일으키는 증상의 예방, 개선, 치료, 또는 이러한 증상의 발현 지연을 유도할 수 있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밀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외에, 숙취 해소 활성을 상승·보강할 수 있도록 숙취 해소 활성이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천연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천연물 또는 화합물로서는 선지 분말 또는 추출물, 콩나물 분말 또는 추출물, 조개 분말 또는 추출물, 굴 분말 또는 추출물, 산미나리 분말 또는 추출물, 무 즙 또는 추출물, 오이 즙 또는 추출물, 부추 즙 또는 추출물, 시금치 즙 또는 추출물, 연근 즙 또는 추출물, 칡 즙 또는 추출물, 솔잎 즙 또는 추출물, 인삼 즙 또는 추출물, 백화사설초 분말 또는 추출물, 감초 분말 또는 추출물, 갈화 분말 또는 추출물, 갈근 분말 또는 추출물, 사인 분말 또는 추출물, 박 분말 또는 추출물, 생강 분말 또는 추출물, 대추 분말 또는 추출물, 인진 분말 또는 추출물, 지구자 분말 또는 추출물, 수비계 분말 또는 추출물, 백출 분말 또는 추출물, 저령 분말 또는 추출물, 진피(진귤의 껍질) 분말 또는 추출물, 구기자 분말 또는 추출물, 녹차 분말 또는 추출물, 오미자 분말 또는 추출물, 헛개나무 추출물, 지치 추출물, 노근 추출물, 계피 추출물, 데커시놀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에서 추출물의 의미는 밀겨 추출물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러한 추출물은 추출 대상을 혼합하여 얻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 특히 기능성 음료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감미제, 풍미제, 생리활성 성분, 미네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감미제는 식품이 적당한 단맛을 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의 형태의 것들이 이용될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로가테킨, 에피갈로카테킨 등의 카테킨류나, 레티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칼시페롤,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화물, 게르마늄, 요오드,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인, 칼륨, 셀레늄, 규소, 나트륨, 황, 바나듐, 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감미제 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제, 유화제 등은 그것이 첨가되는 용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극미량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미량이란 수치적으로 표현할 때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5중량% 내지 약 0.5중량% 범위를 의미한다.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을 포함하여, 경구용 제형(정제, 현탁액, 과립, 에멀젼, 캡슐, 시럽 등), 비경구형 제형(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국소형 제형(용액, 크림, 연고, 겔, 로션, 패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가능한 이상의 독성(충분히 낮은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전분(예컨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등), 셀룰로오스, 그것의 유도체(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 맥아, 젤라틴, 탈크, 고체 윤활제(예컨대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 황산 칼슘, 식물성 기름(예컨대 땅콩 기름, 면실유, 참기름, 올리브유 등), 폴리올(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알긴산, 유화제(예컨대 TWEENS), 습윤제(예컨대 라우릴 황산 나트륨), 착색제, 풍미제, 정제화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보존제, 물, 식염수, 인산염 완충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당한 것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형제도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수성 현탁제로 제조될 경우에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현탁제나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주사액으로 제조되는 경우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링거액, 등장 염화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특히 기능성 음료나 약제학적 조성물 등으로 제품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험동물에서 밀겨 추출물이 혈중 알콜 농도를 낮추는 효과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2는 실험동물에서 밀겨 추출물이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낮추는 효과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밀겨 추출물의 제조
밀(Triticum aestivum L.)의 도정 부산물인 밀겨 (wheat bran)에 물을 가하고 24시간 3회 냉침 추출 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한 후에 여액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밀겨의 추출물을 얻었다.
< 실험예 > 동물실험을 통한 밀겨 추출물의 숙취해소 활성 실험
<실험예 1> 시료 및 알콜 투여 후의 혈청의 분리
생후 6주령된 평균체중 200±5g의 SD-rat을 실험동물들을 변화된 주변 환경과 온도, 습도, 먹이 등에 적응하게 하기 위해 실험 시작 전 1주일간 순화시킨 후 실험을 시행하였다. 시험동물은 개별 온습도 조절 사육 장비에서 사육하였으며 사육 환경은 온도 22℃, 상대습도 45±10%, 환기 횟수 10-15회/hr, 조명 12시간 간격, 조도 150-250Lux, 소음 50dB 이하로 조절하였다.
1주일의 순화기간이 끝난 SD-rat을 18시간 절식시킨 후, 7 마리씩 3개의 군으로 나누고, 음성 대조군에는 음용수 10㎖/BWkg를, 실험군에는 밀겨 추출물 1,000mg/10㎖/BWkg를, 양성대조군에는 여명808((주)그래미) 1,500mg/10㎖/BWkg를 경구투여하였다. 30분 후에 알코올(40% EtOH 3g/BWkg)을 경구투여하고, 투여 후 1시간, 3시간, 5시간 경과 후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액은 3,000rpm, -4℃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실험예 2> 혈중 알콜 농도의 측정
상기 알콜 투여 후 1시간, 3시간, 5시간 경과 후 채취한 혈액으로부터 얻은 혈청의 알콜 농도는 키트(r-biopharm, Cat. No. 10 176 290 035)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매뉴얼에 따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키트에 포함된 NAD 반응용액 3.0㎖에 대조군에는 증류수 0.1㎖을, 실험군에는 증류수에 1/50 희석된 혈청 0.1㎖을 큐벳(cuvette)에 넣어 섞어주었다. 3분간 반응시킨 후에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A1). 다시 키트에 있는 효소 ADH(alcohol dehydrogenase)를 각각 0.05㎖씩 넣고 섞어주었다. 5분간 반응시킨 후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A2).
알콜 농도(mg/㎖)는 아래의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알콜 농도(mg/㎖)=(V×M.W.)/(ε x d x v x 2 x 1000) × △A
V = 최종 혼합물의 양 (ml)
v = 처리된 샘플양 (ml)
M.W. = 에탄올 분자량 (46.07g)
d = 큐벳의 빛이 통과하는 길이 (1cm)
e = 6.3 (파장이 340nm일 때)
△A(흡광도 변화량) = [(A2-A1)실험군 - (A2-A1)대조군]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음성대조군(Vehicle)과 비교할 때. 밀겨 추출물(Mellex)이 뚜렷하게 혈중 알콜 농도를 낮춤을 확인할 수 있으며, 3시간 및 5시간 경과 후의 혈중 알콜 농도는 양성대조군인 여명808(Yeomeung) 보다도 낮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혈중 아세트알데히드농도 측정
상기 <실험예 1>에서 분리한 혈청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는 키트(r-biopharm, Cat. No. 10 668 613 035)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매뉴얼에 따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키트에 포함된 NAD 반응용액 3.0㎖에 대조군에는 증류수 0.2㎖을, 실험군에는 혈청원액 0.2㎖을 큐벳(cuvette)에 넣어 섞어주었다. 3분간 반응시킨 후에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A1). 다시 키트에 있는 효소 ALDH(acetaldehyde dehydrogenase)를 각각 0.05㎖씩 넣고 섞어주었다. 5분간 반응시킨 후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A2).
아세트알데히드 농도(mg/㎖)는 아래의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아세트알데히드 농도(mg/㎖)=(V×M.W.)/(ε x d x v x 2 x 1000) × △A
V = 최종 혼합물의 양 (ml)
v = 처리된 샘플양 (ml)
M.W. = 에탄올 분자량 (46.07g)
d = 큐벳의 빛이 통과하는 길이 (1cm)
e = 6.3 (파장이 340nm일 때)
△A(흡광도 변화량) = [(A2-A1)실험군 - (A2-A1)대조군]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밀겨 추출물(Mellex)이 음성대조군(Vehicle)과 비교할 때 뚜렷하게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낮춤을 확인할 수 있으며, 3시간 및 5시간 경과 후의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는 양성대조군인 여명808(Yeomeung) 보다도 낮음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밀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겨 추출물은 밀겨를 물에 침지시켜 얻어진 밀겨의 물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음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20110066713A 2011-07-06 2011-07-06 밀겨 추출물을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201300053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713A KR20130005371A (ko) 2011-07-06 2011-07-06 밀겨 추출물을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713A KR20130005371A (ko) 2011-07-06 2011-07-06 밀겨 추출물을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371A true KR20130005371A (ko) 2013-01-16

Family

ID=47836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713A KR20130005371A (ko) 2011-07-06 2011-07-06 밀겨 추출물을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3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98248B (zh) * 2019-04-30 2020-07-11 頤康生技股份有限公司 植物萃取物用於製備活化個體中的乙醛去氫酶的組合物的用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98248B (zh) * 2019-04-30 2020-07-11 頤康生技股份有限公司 植物萃取物用於製備活化個體中的乙醛去氫酶的組合物的用途
CN111939236A (zh) * 2019-04-30 2020-11-17 颐康生技股份有限公司 植物萃取物用于制备活化个体中的乙醛脱氢酶的组合物
CN111939236B (zh) * 2019-04-30 2022-05-27 颐康生技股份有限公司 植物萃取物用于制备活化个体中的乙醛脱氢酶的组合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4594B1 (ko) 간 기능 개선제 조성물
KR101103576B1 (ko) 죽순과 죽엽을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10068958A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076535B1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KR101092197B1 (ko) 토마토 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용 식품조성물
KR101076185B1 (ko) 토마토 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134251B1 (ko) 사상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개선용 식품조성물
KR20110022882A (ko)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KR20130005371A (ko) 밀겨 추출물을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1440781B1 (ko) 밀겨 추출물을 이용한 간 기능 개선제 조성물
KR101897005B1 (ko)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80045595A (ko) 흑무 추출물을 이용한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076583B1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용 식품조성물
KR101076536B1 (ko) 토마토 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KR101076098B1 (ko) 토마토 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076596B1 (ko) 사상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KR101076200B1 (ko) 토마토 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076575B1 (ko) 토마토 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개선용 식품조성물
KR101076528B1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076531B1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269040B1 (ko) 중금속 해독제 조성물
KR20230150465A (ko) 간보호 및 숙취해소 증진 기능을 갖는 초고압 초음파 추출물
KR20220091742A (ko) 황태 껍질 발효물과 복령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예방 및 치료용 반려동물의 사료첨가제 조성물
KR20110022883A (ko)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20110053942A (ko) 사상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