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355U - 부분 개폐가 편리한 한 쌍의 손잡이가 구비된 주방용 조리 용기 - Google Patents

부분 개폐가 편리한 한 쌍의 손잡이가 구비된 주방용 조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355U
KR20130005355U KR2020120001667U KR20120001667U KR20130005355U KR 20130005355 U KR20130005355 U KR 20130005355U KR 2020120001667 U KR2020120001667 U KR 2020120001667U KR 20120001667 U KR20120001667 U KR 20120001667U KR 20130005355 U KR20130005355 U KR 201300053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lid
container body
cov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2099Y1 (ko
Inventor
이희연
Original Assignee
이희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연 filed Critical 이희연
Priority to KR2020120001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099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3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3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0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0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2Bowl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용 조리 용기에 관한 것으로, 수용 공간의 상측에 개구가 형성되고, 내열성 소재로 형성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를 선택적으로 덮는 덮개와; 상기 덮개가 상기 개구의 상단을 따라 일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덮개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를 일부 개방시키는 제1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덮개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면이 상기 용기 측면을 대향하게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음식물의 조리 중에 끓어 넘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를 일부만 개폐하고자 할 경우에, 협소한 조리대에서 추가적인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 부분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세련된 미관을 유지하면서도 조리 공간의 효율 및 사용의 편리성을 배가시키는 주방용 조리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분 개폐가 편리한 한 쌍의 손잡이가 구비된 주방용 조리 용기 {COOKING VESSEL HAVING A PAIR OF HANDLES WHICH EASILY PREVENTS BOILING SPILLOVER DURING COOKING}
본 고안은 곰솥, 냄비 등 한 쌍의 손잡이가 구비된 주방용 조리 용기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의 조리 중에 끓어 넘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를 일부만 개폐하고자 할 경우에, 협소한 조리대에서 추가적인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 부분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주방용 조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이나 찌게 등의 음식물은 조리 용기에 식재료와 물을 넣고 가열하여 식재료를 익히고 끓여 조리된다.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조리 용기에 가열하는 열손실을 최소화하거나 맛을 내기 위한 필요에 의해, 용기 본체의 덮개를 덮은 상태로 가열되는 경우가 많다. 조리 용기 본체의 개구를 덮개로 밀폐시킨 상태로 가열하면, 열손실이 적어져 빠른 시간 내에 끓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용기 내의 압력이 높아져 용기에 담긴 물이 한꺼번에 끓어 넘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대체로 많은 가정에서 끓이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에는, 용기의 덮개를 열어 둔 상태로 조리하거나, 조리 중인 음식물이 끓으려고 하면 덮개를 열어 다른 장소에 놓아두어야 하는 데, 이는 주방 공간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 되어 왔다.
대체로 주방용 조리 용기(1)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료 등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S)이 구비된 본체(10)와, 본체(10)의 개구부를 막는 덮개(20)로 구성된다. 본체(10)에는 조리 용기(1)를 운반할 수 있도록 손잡이(12)가 양 측면에 경사진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덮개(20)가 수용 공간(S)을 덮은 상태로 위치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개구 둘레에 단턱(14, 또는 개구 선단부)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덮개(20)의 가장자리의 저면(24)은 본체(10)의 개구 선단부에 얹혀진 상태로, 덮개(20)가 본체(10)에 자리 잡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조리용 용기(1)는 조리 도중에 가열에 의해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덮개 손잡이(21)를 잡고 윗 방향(20d)으로 들어올릴 수 밖에 없는 구조로 구성된다. 따라서, 조리 중에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덮개(20)를 좁은 조리대의 어느 위치에 어야 하므로, 주방 공간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여전히 야기되었다.
한편, 도2a에 도시된 조리 용기(2)도 제안된 바 있다. 도2a에 도시된 조리 용기(2)도 마찬가지로 식재료 등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S)이 구비된 본체(40)와, 본체(40)의 개구를 막는 덮개(20)로 구성되며, 본체(40)로부터 연장된 손잡이(42)가 개구 선단부(44)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조리 용기(2)로 조리하는 동안에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30)를 제3의 위치로 옮겨 두지 않고,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덮개(30)를 조금 열어두고자 덮개(30)의 저면(32)이 본체 개구(44)에 지지되고 가장자리가 손잡이(42)에 거치시키고자 덮개(30)를 이동(30d')시키더라도, 덮개(30)를 거치시키는 자세가 불안정하여 사용자들이 개구(44)의 일부만을 개방시킨 상태로 덮개(30)를 거치시키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일환으로 이재명이 고안하여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58647호의 냄비의 넘침방지구조는 냄비 본체의 선단부의 형상을 조절하여, 일부 영역에는 덮개를 지지할 수 있는 단턱으로 형성되고, 일부 영역에는 덮개의 회전 변위를 수용한 상태로 덮개를 지지하는 경사턱으로 형성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냄비는 덮개의 가장자리가 본체에 담긴 음식물에 잠기므로 위생 불량의 문제가 야기될 뿐만 아니라, 덮개가 본체를 덮은 상태에서는 단턱의 형상이 보이지 않아, 본체의 일부를 개방시킨 상태로 덮개를 거치시키는 것이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냄비 등의 주방용 조리 용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동안에 용기 본체의 일부를 안정되면서도 확실하고 편리하게 부분 개폐시킬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식물의 조리 중에 끓어 넘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를 일부만 개폐하고자 할 경우에, 협소한 조리대에서 추가적인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 부분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주방용 조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무엇보다도, 본 고안은 용기 본체의 일부만 개방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설비나 추가적인 장치 없이도 덮개의 위치를 보다 안정되게 위치 고정시킴으로써, 세련된 미관을 유지하면서도 조리 공간의 효율 및 사용의 편리성을 배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용기의 덮개가 본체 개구의 전부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도 제 위치를 유지하고, 용기의 덮개가 본체 개구의 일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도 그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여, 용기 내의 음식물이 끓어 수증기의 압력에도 덮개가 들썩거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용 공간의 상측에 개구가 형성되고, 내열성 소재로 형성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를 선택적으로 덮는 덮개와; 상기 덮개가 상기 개구의 상단을 따라 일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덮개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를 일부 개방시키는 제1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덮개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면이 상기 용기 측면을 대향하게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주방용 조리 용기를 제공한다.
이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용기 본체의 개구를 따라 덮개가 미끄러지는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용기 본체의 개구를 일부 개폐하는 제1위치에 도달하면, 덮개의 위치를 고정하는 손잡이의 구속면에 의해 덮개의 일부 개폐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용기 본체에 담긴 내용물이 끓어 넘치려고 할 때에, 협소한 조리대 내에서 덮개를 다른 위치에 옮겨두지 않더라도, 간단히 끓어 넘침을 방지하면서 협소한 조리대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무엇보다도, 본 고안은, 상기 구속면은 상측이 하측에 비하여 상기 용기 본체의 측면에 보다 근접하게 형성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구배를 가짐으로써, 상기 덮개의 가장자리가 상기 구속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구속면에 접촉한 상기 덮개의 가장자리가 상방으로 들리는 것이 억제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덮개가 용기 본체의 개구를 일부 개방하는 제1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용기 본체의 내용물이 끓어 증기압이 덮개의 저면에 도달하더라도, 제1위치에서의 덮개가 구속면과의 간섭에 의해 상방으로 들리지 않고 제 자세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덮개 가장자리가 구속면에 도달하기 직전에 상기 덮개의 가장자리를 거치시키는 거치면이 형성되어, 손잡이에 의해 덮개의 무게를 보다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고안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덮개는 가장자리의 크기(R2)가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 크기(R1)보다 크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덮개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용기 본체의 일부를 개방시키는 제1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용기 본체의 바깥으로 연장된 덮개의 가장 자리가 용기 본체의 개구 가장자리에 지지된 상태를 보다 더 지속할 수 있으므로, 용기 본체의 일부 개방을 위해 덮개가 이동함에도 불구하고 덮개의 자세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덮개의 저면에는, 상기 덮개가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를 모두 덮은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 내측을 따라 형성되는 외측 돌출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덮개가 용기 본체를 전부 덮은 상태에서는 외측 돌출부에 의해 덮개가 용기 본체에 안정되게 자리잡을 수 있다.
특히, 외측 돌출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내측 돌출부가 형성되어, 덮개 저면의 내측 돌출부와 외측 돌출부의 사이에는 요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덮개를 용기 본체의 개구를 따라 미끄러지게 이동시켜 덮개의 가장자리가 구속면과 접촉하는 제1위치에 도달하기 이전이더라도, 용기 본체의 상단이 외측 돌출부와 내측 돌출부 사이에 끼는 제2위치에서 또 다른 만큼의 일부만을 개방한 상태로 상기 덮개를 위치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덮개의 저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그 사이에 요홈이 형성되도록 2개의 돌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용기 본체의 또 다른 일부만을 개방한 제2위치에서 덮개를 위치고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용기 본체의 개구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외측 돌출부와 내측 돌출부는 용기 본체의 윤곽의 형상대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용기 본체의 윤곽이 원형인 경우에는 외측 돌출부와 내측 돌출부도 모두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요홈은 용기 본체의 상단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덮개가 용기 본체의 개구의 상단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일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덮개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를 일부 개방시키는 제1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덮개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면이 상기 용기 측면을 대향하게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덮개의 일부 개방 상태를 손잡이의 구속면으로 유지함으로써, 용기 본체에 담긴 내용물이 끓어 넘치려고 할 때에, 협소한 조리대 내에서 덮개를 다른 위치에 옮겨두지 않더라도, 간단히 끓어 넘침을 방지하면서 협소한 조리대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주방용 조리 용기를 제공한다.
즉, 본 고안은 음식물의 조리 중에 끓어 넘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의 부분 개폐를 안정적이면서 편리하게 구현하여, 협소한 조리대 내에서 덮개를 다른 위치에 옮겨두지 않더라도, 간단히 끓어 넘침을 방지하면서 협소한 조리대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무엇보다도, 본 고안은 상기 구속면은 상측이 하측에 비하여 상기 용기 본체의 측면에 보다 근접하게 형성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구배를 가짐으로써, 상기 덮개의 가장자리가 상기 구속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구속면에 접촉한 상기 덮개의 가장자리가 상방으로 들리는 것이 억제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용기 본체의 일부만 개방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설비나 추가적인 장치 없이도 수증기의 압력에 의해 덮개가 들리지 않고 덮개의 위치가 안정되게 고정됨으로써, 세련된 미관을 유지하면서도 조리 공간의 효율 및 사용의 편리성을 배가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무엇보다도, 본 고안은, 덮개가 용기 본체의 개구를 일부 개방하는 제1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용기 본체의 내용물이 끓어 증기압이 덮개의 저면을 상방으로 밀어올리려고 하더라도, 제1위치에서의 덮개가 구속면과의 간섭에 의해 상방으로 들리지 않고 제 자세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덮개의 저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2개의 돌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용기 본체를 전부 밀폐시킨 상태와 용기 본체의 또 다른 일부만을 개방한 제2위치에서 덮개를 위치 고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용기 본체의 개구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잇점도 얻을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일반적인 한 쌍의 손잡이가 구비된 주방용 조리 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2a 및 도2b는 종래의 또 다른 형태의 한 쌍의 손잡이가 구비된 주방용 조리 용기의 닫힌 상태 및 부분 개방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손잡이가 구비된 주방용 조리 용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도3의 정면도
도5는 도4의 단면도
도6은 도3의 주방용 조리 용기의 용기 본체와 덮개의 분리 사시도
도7은 도3의 주방용 조리 용기의 덮개의 일부 개방 상태(제1위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도7의 단면도
도9는 도8의 'A'의 확대도
도10은 주방용 조리 용기의 덮개의 일부 개방 상태(제2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손잡이가 구비된 주방용 조리 용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서는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며,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3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조리 용기(100)는, 수용 공간(S)의 상측에 개구가 형성된 용기 본체(110)와, 용기 본체(110)의 개구를 전부 덮거나 일부 개방 또는 전부 개방시키는 덮개(120)와, 용기 본체(110)의 양측면에 연장된 한 쌍의 손잡이(130)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 본체(110)는 가스렌지나 전자렌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도록 내열 유리, 사기, 스텐레스 등의 내열성 소재로 형성된다. 도면에는 냄비 형태로 형성된 구성을 예로 들었지만, 본 고안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곰솥, 전골 냄비 등 한 쌍의 손잡이가 형성된 다양한 형태의 조리 용기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덮개(120)는 용기 본체(110)의 개구(開口)를 덮는 용도로 사용되며, 마찬가지로 내열성 소재로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가장자리에는 금속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20)는 용기 본체(110)의 반경(R1)보다 더 큰 반경(R2)으로 형성되어, 용기 본체(110)의 개구를 덮은 상태에서는 덮개(120)의 가장 자리가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된다. 이에 따라, 덮개(12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용기 본체(110)를 부분 개방시키는 제1위치(도8)로 이동하는 동안에, 덮개(120)의 가장 자리(120S)가 용기 본체(110)의 개구 가장자리(111)에 거치되어 지지되는 상태를 보다 더 지속할 수 있으므로, 용기 본체(110)의 부분 개방을 위한 덮개(120)의 이동에 의한 자세 불안정 문제를 어느정도 상쇄시킬 수 있는 잇점이 얻어진다.
그리고, 덮개(120)의 저면에는 용기 본체(110)의 개구 가장자리(111)와 맞닿는 외측 돌출부(126')가 용기 본체(111)의 개구(開口)의 형상인 원형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20)가 용기 본체(110)를 완전히 덮은 상태에서는, 덮개(120)가 외측 돌출부(126')에 의해 용기 본체(110)에 대해 요동없이 제자리에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덮개(12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외측 돌출부(126')의 내측(중심을 향하는 방향)에는 내측 돌출부(126)가 용기 본체(111)의 개구 형상인 원형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외측 돌출부(126')와 내측 돌출부(126)의 사이에는 원형 요홈(125)이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20)가 용기 본체(110)의 개구를 부분 개방한 제2위치 상태에서는, 외측 돌출부(126')와 내측 돌출부(126)의 사이에 형성된 요홈(126)이 용기 본체(110)의 개구 가장자리(111)를 수용함으로써 덮개(120)가 용기 본체(110)에 대해 안정적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 또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20)가 제2위치에 비하여 보다 많이 용기 본체(110)의 개구를 보다 많이 부분 개방시킨 상태에서는 용기 본체(110)의 개구 가장자리(111)가 내측 돌출부(126)에 맞닿아 지지됨으로써 덮개(120)가 용기 본체(110)에 대해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된다. 이 때, 보다 바람직하게는, 덮개(120)의 가장자리(120S)가 손잡이(130)의 구속면(132S)에 닿은 제1위치에서 덮개(120)의 내측 돌출부(126)에 용기 본체(110)의 개구 가장자리(111)가 맞닿아 지지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상기 손잡이(130)는 용기 본체(110)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손잡이 몸체(13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손잡이(130)에는, 덮개(120)가 개구 가장자리(111)를 타고 미끄러져 이동할 때에 덮개(120)의 가장자리(120S)를 거치시키는 거치면(131S)과, 덮개(120)가 개구 가장자리(111)를 타고 미끄러져 이동한 후 제1위치에 도달하면 덮개(120)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속면(132S)이 구비된다. 이 때, 덮개(120)의 이동 시에 구속면(132S)과 신뢰성있게 접촉할 수 있도록 구속면(132S)은 주변보다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32)에 형성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면(132S)은 상측이 하측에 비하여 용기 본체(110)의 측면에 보다 근접하게 형성된다. 즉, 구속면(132S)에는 상하 방향으로 구배(w)가 형성되어, 덮개(120)의 가장자리(120s)가 구속면(132S)에 접촉한 제1위치에서는 덮개(120)를 상방(120y)으로 밀어올리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구속면(132S)의 구배(w)에 의한 간섭으로 덮개(120)는 제1위치에 그대로 위치고정된다.
여기서, 용기 본체(110)의 측면으로부터 구속면(132S)까지의 거리(d=R3-R2)는 덮개(120)의 반경(R2)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덮개(120)가 개구 가장자리(111)를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경우에, 덮개(120)의 가장자리(120s)가 구속면(132S)의 구배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그 높이(h)가 정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조리 용기(100)는, 용기 본체(110)의 개구가 덮개(120)에 의해 전부 닫힌 상태에서는, 덮개(120)의 저면에 돌출된 외측 돌출부(126')가 용기 본체(110)의 개구 가장자리(111)와 접하므로 닫힌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중에 물이 끓어넘치려고 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덮개(120)의 꼭지(121)를 잡고 120f'로 표시된 방향으로 밀면, 덮개(120)가 용기 본체(110)의 개구 가장자리(111)를 타고 슬라이딩 이동하다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20)의 저면에 형성된 요홈(125)이 용기 본체(110)의 개구 가장자리(111)를 수용하는 제2위치에서 개구를 조금만 부분 개방한 상태로 덮개(120)를 안정되게 위치 고정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2위치의 부분 개방 상태에 비하여 보다 더 많이 개구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덮개(120)의 꼭지(121)를 잡고 일방으로 덮개(120)를 추가적으로 밀면, 덮개(120)가 용기 본체(110)의 개구 가장자리(111)를 타고 슬라이딩하다가, 덮개(120)의 내측 돌출부(126)의 내측면이 용기 본체(110)의 개구 가장자리(111)와 맞닿아 지지되는 제3위치에 위치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개구를 더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덮개(120)를 더 일방으로 밀어 도7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20)의 일측 가장자리(120S)가 손잡이(130)의 구속면(132S)에 도달하여 보다 용기 본체(110)의 개구를 보다 많이 개방하는 제1위치에 있게 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20)의 가장자리(120S)가 구속면(132S)에 접촉하는 제1위치와 덮개의 내측 돌출부(126)가 개구 가장자리(111)와 접하는 위치가 서로 동일한 위치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조리 용기(100)는 덮개(120)의 부분 개방 상태를 단계적으로 다수의 상태로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뿐만 아니라, 덮개(120)로 용기 본체(110)의 개구를 부분 개방한 상태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개구의 부분 개방이 불안정하여 덮개(120)를 용기 본체(110)로부터 분리하여 조리대에 거치해야 함에 따라 조리대의 공간 활용에 제약이 수반되었던 종래의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덮개(120)가 손잡이(130)의 구속면(132S)에 접촉하는 제1위치(도8)에 도달하면, 제2위치에 비하여 덮개(120)의 중심과 용기 본체(110)의 중심이 많이 이격된 상태이므로, 덮개(120)의 타측 가장자리는 도면부호 120a로 표시된 상방으로 약간 들려 불안정해지기 쉽지만,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면(132S)이 상하 구배(w)를 갖도록 형성되어 덮개(120)의 일측 가장자리(120S)가 구속면(132S)에 의하여 상방으로의 들림이 억제된다. 따라서, 덮개(120)가 용기 본체(110)에 대하여 중심이 많이 벗어나도록 이동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수용 공간(S)에 담긴 음식물이 끓어 수증기압에 의해 덮개(120)의 저면에 상방으로의 힘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더라도, 덮개(120)는 제1위치에서 들리는 힘을 억제한 상태로 안정되게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조리 용기(100)는 용기 본체(110)에 담긴 내용물이 끓어 넘치려고 할 때에, 협소한 조리대 내에서 덮개를 다른 위치에 옮겨두지 않더라도, 간단히 끓어 넘침을 방지하면서 협소한 조리대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의 구배(w)를 갖는 구속면(132S)에 의하여 용기 본체(110)의 개구를 부분 개방시킨 덮개(120)의 일측 가장자리(120S)가 상방으로 들리는 것이 억제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별도의 설비나 추가적인 장치 없이도 수증기의 압력에 의해 덮개(120)가 들리지 않고 안정되게 위치 고정되어, 세련된 미관을 유지하면서도 사용의 편리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덮개(120)의 저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내측 돌출부(126)과 외측 돌출부(126')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 요홈(125)이 형성됨에 따라, 덮개(120)의 부분 개방 상태를 단계적으로 다수의 상태로 안정되게 구현할 수 있는 잇점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기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주방용 조리 용기 110: 용기 본체
111: 개구 가장자리 120: 덮개
120s: 가장자리 125: 요홈
126: 내측 돌출부 126': 외측 돌출부
130: 손잡이 131S: 거치면
132: 돌출부 132s: 구속면

Claims (5)

  1. 수용 공간의 상측에 개구가 형성되고, 내열성 소재로 형성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를 선택적으로 덮는 덮개와;
    상기 덮개가 상기 개구의 상단을 따라 미끄러지게 일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덮개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를 일부 개방시키는 제1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덮개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면이 상기 용기 측면을 대향하게 형성된 한 쌍의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주방용 조리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면은 상측이 하측에 비하여 상기 용기 본체의 측면에 보다 근접하게 형성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구배를 갖게 형성되어, 상기 덮개의 가장자리가 상기 구속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구속면에 접촉한 상기 덮개의 가장자리가 상방으로 들리는 것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리 용기.

  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가장자리의 크기(R2)가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 크기(R1)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리 용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덮개 가장자리가 구속면에 도달하기 직전에 상기 덮개의 가장자리를 거치시키는 거치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리 용기.
  5.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저면에는,
    상기 덮개가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를 모두 덮은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 내측을 따라 형성되는 외측 돌출부와;
    상기 외측 돌출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내측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내측 돌출부와 상기 외측 돌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요홈에 의해 상기 덮개가 상기 개구의 일부를 개방한 제2위치로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리 용기.
KR2020120001667U 2012-03-04 2012-03-04 부분 개폐가 편리한 한 쌍의 손잡이가 구비된 주방용 조리 용기 KR2004720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667U KR200472099Y1 (ko) 2012-03-04 2012-03-04 부분 개폐가 편리한 한 쌍의 손잡이가 구비된 주방용 조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667U KR200472099Y1 (ko) 2012-03-04 2012-03-04 부분 개폐가 편리한 한 쌍의 손잡이가 구비된 주방용 조리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355U true KR20130005355U (ko) 2013-09-12
KR200472099Y1 KR200472099Y1 (ko) 2014-04-04

Family

ID=51485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667U KR200472099Y1 (ko) 2012-03-04 2012-03-04 부분 개폐가 편리한 한 쌍의 손잡이가 구비된 주방용 조리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09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98004A1 (de) * 2020-10-30 2022-05-18 RÖSLE GROUP GmbH Kochgefäss
IT202100029666A1 (it) * 2021-11-24 2023-05-24 Francesco Silvio Bozzini Attrezzo multiuso per la cucin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619B1 (ko) * 2020-02-17 2021-04-15 (주)드림셰프 주방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5432U (ko) * 1988-01-25 1989-08-03
JPH07313372A (ja) * 1994-05-23 1995-12-05 Zenzo Yada 鍋の蓋受具
JPH09252934A (ja) * 1996-03-19 1997-09-30 Toshio Harada 鍋の蓋を鍋本体に立て掛け、及び半開きに近い 状態に保持できる係止部付き鍋。
KR200401570Y1 (ko) * 2005-08-17 2005-11-17 김복희 일회용 종이후라이팬뚜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98004A1 (de) * 2020-10-30 2022-05-18 RÖSLE GROUP GmbH Kochgefäss
IT202100029666A1 (it) * 2021-11-24 2023-05-24 Francesco Silvio Bozzini Attrezzo multiuso per la cucin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099Y1 (ko) 201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2653B1 (ko) 벤트 뚜껑을 가진 식기
US9538881B2 (en) Kitchen applian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8827101B2 (en) Kitchen appliance and method of using same
RU2432893C2 (ru) Комплект контейнеров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на пару в микроволновой печи
US11986124B2 (en) Cookware assembly
KR20120115346A (ko) 간편한 취급성을 갖는 기구
KR200472099Y1 (ko) 부분 개폐가 편리한 한 쌍의 손잡이가 구비된 주방용 조리 용기
US20090158940A1 (en) Kitchen appliance for heating foodstuff
KR101587937B1 (ko) 조리용기 손잡이
JP3194420U (ja) 多機能調理器
KR100834805B1 (ko) 가마솥
KR20110037387A (ko) 조리용기의 뚜껑 및 구이판과 전골냄비의 겸용이 가능한 조리기기
JP2012225606A (ja) 調理装置
KR101146368B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KR200423951Y1 (ko) 조리기용 뚜껑
KR101605612B1 (ko) 직화 조리용 뚜껑
CN219578699U (zh) 一种便于取放食物的蒸笼
KR200479981Y1 (ko) 다목적 조리 기구
KR101179297B1 (ko) 뚜껑을 겸한 찜기용구
KR100836681B1 (ko) 전기압력밥솥의 손잡이 장치
KR200287863Y1 (ko) 끓어 넘침이 방지되는 조리용기
KR102327451B1 (ko) 다용도 조리기구
KR101138925B1 (ko) 다기능 조리용 뚜껑
CN212546614U (zh) 锅具
KR101131780B1 (ko) 다기능 조리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