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728U - 예습진도복습의 학습시스템을 갖는 교재 - Google Patents

예습진도복습의 학습시스템을 갖는 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728U
KR20130004728U KR2020120000639U KR20120000639U KR20130004728U KR 20130004728 U KR20130004728 U KR 20130004728U KR 2020120000639 U KR2020120000639 U KR 2020120000639U KR 20120000639 U KR20120000639 U KR 20120000639U KR 20130004728 U KR20130004728 U KR 201300047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review
progress
display unit
text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6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현경
최영주
이승재
최진형
오명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상교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상교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상교육
Priority to KR20201200006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4728U/ko
Publication of KR201300047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72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2Counting; Calc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9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printed 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06Paper provided with guiding marks, e.g. ruled, squared or scaled pap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예습진도복습의 학습시스템을 갖는 교재에 관한 것으로, 각 단원별로 예습, 진도, 복습의 순서로 학습단계를 구분하여 각 학습내용이 인쇄된 다수의 학습내지를 배치하되, 상기 각 학습내지에는 학습자가 현재 학습단계를 인지한 상태에서 학습이 수행되도록 상기 각 학습단계 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표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예습-진도-복습 및 평가의 학습시스템을 교재에 그대로 구현하고, 학습자가 각 학습위치에서 현재 학습단계를 정확히 인지하여 학습함으로써 학습효과를 극대화하는 동시에, 이를 주차별, 학습회차별 학습량이 구체적으로 제시된 공부계획표와 연계하여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예습진도복습의 학습시스템을 갖는 교재{TEACHING MATERIALS WITH LEARNING SYSTME OF PREPARATION,PROGRESS AND REVIEW}
본 고안은 학습교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습-진도-복습 및 평가/피드백의 학습시스템을 교재에 그대로 구현하고, 학습자가 각 학습위치에서 현재 학습단계를 정확히 인지하여 학습함으로써 학습효과를 극대화하는 동시에, 이를 주차별, 학습회차별 학습량이 구체적으로 제시된 공부계획표와 연계하여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한 예습진도복습의 학습시스템을 갖는 교재에 관한 것이다.
학습자가 학습할 때 예습 및 복습을 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그러나, 예습 복습을 실천에 옮겨 공부하기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며, 이를 위해 학원이나 가정교사 등 외부의 도움을 받는 것은 학습비용의 증가와 더불어 자기주도 학습에 대한 적절한 훈련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기존의 학습교재 특히 문제집들은 일반적으로 개념-기본문제-실력문제-단원평가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러한 교재를 가지고 예습-진도-복습의 단계로 학습을 수행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 학습교재가 저마다 '자기주도학습'이라는 목표를 내세우고 있기는 하나, 이러한 학습체계가 교재에 구현되지 않은 이상, 학습자가 바라는 효과를 얻어내기란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
특히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이 갖추어지지 않은 초등학생의 경우 외부의 도움없이 스스로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예습-진도-복습의 단계에 따라 스스로 학습을 하기란 더욱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의 목적은, 예습-진도-복습 및 평가/피드백의 학습시스템을 교재에 그대로 구현하고, 학습자가 각 학습위치에서 현재 학습단계를 정확히 인지하여 학습함으로써 학습효과를 극대화하는 동시에, 이를 주차별, 학습회차별 학습량이 구체적으로 제시된 공부계획표와 연계하여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한 예습진도복습의 학습시스템을 갖는 교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각 단원별로 예습, 진도, 복습의 순서로 학습단계를 구분하여 각 학습내용이 인쇄된 다수의 학습내지를 배치하되, 상기 각 학습내지에는 학습자가 현재 학습단계를 인지한 상태에서 학습이 수행되도록 상기 각 학습단계 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표시부가 마련되는 예습진도복습의 학습시스템을 갖는 교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각 단원에는 복습의 학습단계 후에 상기 학습내용을 평가하기 위한 다수의 문항으로 구성된 평가 학습단계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각 학습내지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 중 어느 하나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현재 학습단계를 문자로 표시하는 문자표시부 또는 각 학습단계별로 구분된 색으로 표시된 색표시부 중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학습내지 하나 이상에는 각 학습단계 또는 학습내용 별로 학습자에게 학습목표, 학습방법 또는 학습요약 등의 학습정보를 캐릭터와 함께 제공하는 캐릭터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평가 학습단계 후에 배치되는 피드백 학습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피드백 학습단계는 상기 평가 학습단계의 각 문항별로 각 문항의 학습내용과 관련된 상기 진도 학습단계의 페이지 및 항목을 표시한 자가진단표가 마련될 수 있다.
각 단원의 학습단계별로 주차별 학습계획이 표시된 공부계획표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부계획표에는 각 주차에 따라 학습회차가 표시되며, 상기 각 학습회차별로 1회 학습시 학습해야할 학습량이 상기 학습내지의 페이지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각 학습내지에는 상기 각 학습회차가 표시되며, 상기 각 학습회차별로 완성스티커가 마련되어 각 학습회차가 종료되면 각 학습회차의 마지막 학습내지에 부착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예습-진도-복습 및 평가/피드백의 학습시스템을 교재에 그대로 구현하고, 학습자가 각 학습위치에서 현재 학습단계를 정확히 인지하여 학습함으로써 학습효과를 극대화하는 동시에, 이를 주차별, 학습회차별 학습량이 구체적으로 제시된 공부계획표와 연계하여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하다.
또한, 각 단원별로 예습-진도-복습-평가 및 피드백의 학습단계를 통하여 학습내용을 체계적으로 반복함으로써 학습 내용을 장기기억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습' 학습단계의 학습내지를 도시한 그림,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도' 학습단계의 학습내지를 도시한 그림,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습' 학습단계의 학습내지를 도시한 그림,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가' 학습단계의 학습내지를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학습단계의 학습내지를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계획표'를 도시한 그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습진도복습의 학습시스템을 갖는 교재(1)는, 각 단원별로 예습, 진도, 복습의 순서로 학습단계를 구분하여 각 학습내용이 인쇄된 다수의 학습내지(10)를 배치하되, 각 학습내지(10)에는 학습자가 현재 학습단계를 인지한 상태에서 학습이 수행되도록 각 학습단계 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표시부(30)가 마련된다.
상기 각 단원에는 복습의 학습단계 후에 상기 학습내용을 평가하기 위한 다수의 문항으로 구성된 평가 학습단계가 더 추가될 수 있다.
또한, 각 단원의 학습단계별로 주차별 학습계획이 표시된 공부계획표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예습진도복습의 학습시스템을 갖는 교재(1)는 각 단원별로 '예습'. '진도', '복습'. '평가' 및 '피드백'의 학습단계로 구분하고 이를 표시부(30)를 통하여 학습자가 현재 학습단계를 명확히 인지하고 학습을 수행하도록 하며, 공부계획표를 통하여 각 주차별, 학습회차별 학습량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자기주도형 학습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설명에 앞서, 각 학습단계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예습' 학습단계는 각 단원에서 배울 내용에 대한 학습 흥미를 높일 수 있도록 내용이 구성된다.(도 1 참조)
'진도' 학습단계는 교과서의 개념과 원리를 자세하고 쉽게 설명하여 학습내용을 확실히 학습할 수 있도록 내용이 구성된다.(도 2 참조)
'복습' 학습단계는 '진도' 학습단계에서 학습한 내용을 두 번 이상 반복 학습함으로써 단기 기억을 장기 기억으로 만들도록 내용이 구성된다. (도 3 참조)
'평가' 학습단계는 '예습', '진도', '복습' 학습단계에서 학습한 것에 대하여 문항을 통하여 평가를 하여 학습 수준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내용이 구성된다.(도 4 참조)
'피드백' 학습단계는 '평가' 학습단계에서 나온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가 부족한 부분을 파악하고 해당 학습내용을 손쉽게 찾아 다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도 5 참조)
마지막으로, '공부계획표'는 학습자가 학습해야하는 1회 학습량과 주차별 학습계획표를 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학습목표를 분명하게 알고 학습에 임하도록 하는 동시에 학습의 성취감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도 6 참조)
이하, 도 1에 도시된 '예습' 학습단계를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각 구성을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이하 설명될 각 구성은 각 학습단계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됨을 밝혀둔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부(30)는 각 학습내지(10)에 마련되며, 학습자가 현재 학습단계를 인지한 상태에서 학습이 수행되도록 각 학습단계 별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즉, 표시부(30)는 학습자가 현재 진행하고 있는 학습단계를 직관적으로 인지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현재 진행하고 있는 학습의 성격을 이해하고 학습에 임하도록 하여 학습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한다.
표시부(30)는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내지(10)의 좌측 단부 또는 우측 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측 단부 또는 하측 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표시부(30)는 바람직하게는, 학습내지(10)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 중 어느 하나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표시부(30)는 학습내지가 제본되는 책등 방향(도 1에서 학습내지의 우측 단부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등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노출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교재(1)가 펼쳐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표시부(30)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현재 학습단계를 문자로 표시하는 문자표시부(31)로 마련될 수도 있고, 각 학습단계 별로 구분된 색으로 표시된 색표시부(35)로 마련될 수도 있다.
문자표시부(31)는 각 학습단계를 문자로 표시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학습단계를 "예습", "진도", "복습", "평가" 등으로 표시한다.
색표시부(35)는 각 학습단계별로 지정된 색을 띠 형태로 나타냄으로써 학습자가 색깔에 의해서 현재 학습단계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습'은 연두색, '진도'는 주황색, '복습'은 파랑색, '평가' 및 '피드백'은 하늘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색표시부(35)는 각 학습단계 별로 구분이 가능한 한 다양한 색으로 변경이 가능하나, 각 단원별로 교재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학습단계는 동일한 색으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색표시부(3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내지(10)의 상하 전부에 걸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일부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30)는 교재(1)가 펼쳐진 상태에서 양쪽이 모두 동일한 학습단계에 속하는 경우에는 어느 한쪽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캐릭터부(40)는 다수의 학습내지(10) 중 하나 이상에 마련되어 각 학습단계 또는 학습내용 별로 학습자에게 학습목표, 학습방법 또는 학습요약 등의 학습정보를 캐릭터와 함께 제공되도록 마련된다.
이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자샘'과 같은 캐릭터를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마치 학습교사가 설명해주는 듯한 효과를 발휘하여, 해당 학습내지에서 미리 알고 있어야 하거나 학습해야할 핵심 개념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상기 '피드백' 학습단계에서는 상기 '평가' 학습단계의 각 문항별로 각 문항의 학습내용과 관련된 상기 진도 학습단계의 페이지 및 항목을 표시한 자가진단표(5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피드백' 학습내지(10)에는 '평가' 학습단계에 제시한 각 문항 별로 각 문항에 관계된 학습내용이 위치한 학습단계 및 위치를 제시한다.
이에, 학습자는 '평가' 학습단계에서 학습한 각 문항을 채점하여 틀린 문항이 있는 경우, 앞선 내용을 넘겨가며 일일히 찾을 필요가 없이 '피드백' 학습내지를 참고하면 관련 학습내용이 위치한 페이지 및 위치를 바로 알 수 있어서 학습능률이 향상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진단지(51)가 더 마련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학습자는 진단지(51)를 가지고 '평가' 학습단계에서 채점한 결과를 각 문항별로(1~20번) 진단지에 'O' 또는 'X' 표시를 한 뒤에 이를 자가진단표(50)에 대치시키면 해당 문항의 옆에 바로 관련 내용이 위치한 페이지 및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공부계획표(60)는 각 단원의 학습단계 별로 주차별 학습계획이 표시되도록 마련된다.
공부계획표(60)는 교재의 맨 앞부분에 1개가 마련될 수도 있고, 각 단원별로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도 6에는 공부계획표(60)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가로 방향으로는 '1주', '2주', '3주',... 등 주차별(61)로 구획이 되어 있으며, 세로방향으로는 '예습', '진도', '복습', '평가 및 피드백'의 학습단계별(63)로 구획되어 있다.
가로방향의 주차별 구획 내에는 다시, 학습자가 한번에 공부할 분량으로 학습량을 구분한 학습회차(70)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각 학습회차(70)에는 상하 막대그래프(65) 형상으로 단원과 학습해야할 페이지를 제시한다. 예를 들어, 학습자는 1주차에 1회 학습에서는 1단원의 8~15페이지에 걸쳐서 학습해야 하며, 이는 '예습' 학습단계와 '진도'의 학습단계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학습자는 교재(1)를 학습함에 있어서, 명확한 학습목표를 가지고 학습에 임할 수 있다.
한편, 각 학습내지(10)에는 상기 각 학습회차(70)가 소정부분에 표시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하단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학습자는 각 학습회차에서 학습할 학습량을 현재의 학습위치에서 바로바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5의 우측 하단을 참조하면, 각 학습회차(70)가 마무리되는 마지막 학습내지(10)에는 별도로 제공되는 완성스티커(53)를 부착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성취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추가로, 공부계획표(60)와 더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고사 또는 기말고사와 같은 시험을 대비한 공부계획(90) 이나, 주간계획표(80) 등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1 : 예습진도복습의 학습시스템을 갖는 교재
10 : 학습내지 30 : 표시부
31 : 문자표시부 35 : 색표시부
40 : 캐릭터부 50 : 자가진단표
51 : 진단지 53 : 완성스티커
60 : 공부계획표 61 : 주차별
63 ; 학습단계별 65 : 막대그래프

Claims (9)

  1. 각 단원별로 예습, 진도, 복습의 순서로 학습단계를 구분하여 각 학습내용이 인쇄된 다수의 학습내지를 배치하되,
    상기 각 학습내지에는 학습자가 현재 학습단계를 인지한 상태에서 학습이 수행되도록 상기 각 학습단계 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표시부가 마련되는 예습진도복습의 학습시스템을 갖는 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원에는 복습의 학습단계 후에 상기 학습내용을 평가하기 위한 다수의 문항으로 구성된 평가 학습단계가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습진도복습의 학습시스템을 갖는 교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각 학습내지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 중 어느 하나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습진도복습의 학습시스템을 갖는 교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현재 학습단계를 문자로 표시하는 문자표시부 또는 각 학습단계별로 구분된 색으로 표시된 색표시부 중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습진도복습의 학습시스템을 갖는 교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학습내지 하나 이상에는 각 학습단계 또는 학습내용 별로 학습자에게 학습목표, 학습방법 또는 학습요약 등의 학습정보를 캐릭터와 함께 제공하는 캐릭터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습진도복습의 학습시스템을 갖는 교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학습단계 후에 배치되는 피드백 학습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피드백 학습단계는 상기 평가 학습단계의 각 문항별로 각 문항의 학습내용과 관련된 상기 진도 학습단계의 페이지 및 항목을 표시한 자가진단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습진도복습의 학습시스템을 갖는 교재.
  7. 제1항에 있어서,
    각 단원의 학습단계별로 주차별 학습계획이 표시된 공부계획표가 추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습진도복습의 학습시스템을 갖는 교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부계획표에는 각 주차에 따라 학습회차가 표시되며, 상기 각 학습회차별로 1회 학습시 학습해야할 학습량이 상기 학습내지의 페이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습진도복습의 학습시스템을 갖는 교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학습내지에는 상기 각 학습회차가 표시되며, 상기 각 학습회차별로 완성스티커가 마련되어 각 학습회차가 종료되면 각 학습회차의 마지막 학습내지에 부착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습진도복습의 학습시스템을 갖는 교재.
KR2020120000639U 2012-01-27 2012-01-27 예습진도복습의 학습시스템을 갖는 교재 KR2013000472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639U KR20130004728U (ko) 2012-01-27 2012-01-27 예습진도복습의 학습시스템을 갖는 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639U KR20130004728U (ko) 2012-01-27 2012-01-27 예습진도복습의 학습시스템을 갖는 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728U true KR20130004728U (ko) 2013-08-06

Family

ID=53716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639U KR20130004728U (ko) 2012-01-27 2012-01-27 예습진도복습의 학습시스템을 갖는 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472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478A (ko) 2019-08-08 2021-02-17 고나연 예습과 복습을 통한 학습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478A (ko) 2019-08-08 2021-02-17 고나연 예습과 복습을 통한 학습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74484A1 (en) Soccer Skills and Techniques Training Mat Set
US200802684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teaching math
Schellhase Applying mastery learning to athletic training education
KR20130004728U (ko) 예습진도복습의 학습시스템을 갖는 교재
US6402522B1 (en) Workbook with movable colored tabs
Supon High-stakes testing: strategies by teachers and principals for student success.
Naqvi et al. Introducing an innovative viva format for assessment of integrated knowledge
JP2004252115A (ja) 学習進度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Balan Use of Study Guide as Intervention Tool in Enhancing Students' Motivation in Grade 8 Genetics Concepts.
US20140356847A1 (en) Learning Tool
JP3799338B2 (ja) 暗算能力強化用教材
Pérez Teaching the use of WebQuests to master students in Pablo de Olavide University
Sharp et al. Opportunity Thrives with High-Quality Digital Curriculum
US20100203485A1 (en) Method for teaching multiplication and factorization
KR102609601B1 (ko) 실시간 비대면 독해훈련 방법 및 그 시스템
JP3166872U (ja) 学習用カード
Yoon A study of project-based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p-isd) model development for engineering practice education
JP3151599U (ja) 漢字習熟ノート
Warshauer et al. Development of preservice teacher noticing through analysis of student work
Credit EDU503: INSTRUCTION, TECHNOLOGY AND ASSESSMENT
Sarangapani et al. Multi-grade Multilevel (MGML) programme in Chhattisgarh: An evaluation
JP6765116B2 (ja) 指導者用解答付き用紙
Sung On Intensive E-learning TOEIC Course
Bhagyalakshmi et al. Student performance using Blooms cognition levels: A case study
JP3001330U (ja) 学習ノ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